KR20220132939A -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939A
KR20220132939A KR1020210038127A KR20210038127A KR20220132939A KR 20220132939 A KR20220132939 A KR 20220132939A KR 1020210038127 A KR1020210038127 A KR 1020210038127A KR 20210038127 A KR20210038127 A KR 20210038127A KR 20220132939 A KR20220132939 A KR 20220132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e
voltage
converter unit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장혁
최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3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2939A/ko
Priority to PCT/KR2022/003934 priority patent/WO2022203326A1/ko
Priority to JP2023515318A priority patent/JP2023541143A/ja
Priority to US18/038,945 priority patent/US20230420974A1/en
Priority to CN202280006493.2A priority patent/CN116261665A/zh
Priority to EP22776027.9A priority patent/EP4207545A4/en
Publication of KR20220132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9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10Control circuit supply, e.g.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직렬로 연결된 양극 릴레이의 일단 사이의 제1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동작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컨버터부;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배터리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컨버터부의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컨버터부가 비활성화되는 셧 다운 모드 또는 상기 컨버터부가 활성화되는 웨이크업 모드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버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APPARATUS FOR MANAGING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가 과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배터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배터리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배터리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배터리는 니켈 계열의 배터리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배터리 팩에 구비되며, DC-DC 컨버터를 통해서 배터리 팩에 구비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등의 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BMS 등에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상시 공급되기 때문에, 배터리 팩과 부하 간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도 배터리 전압은 계속해서 소모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즉, DC-DC 컨버터가 구동되는 동안, 배터리 전압은 계속 소모되기 때문에 배터리가 과방전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배터리의 전압 레벨에 따라 DC-DC 컨버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배터리가 과방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 전압에 기반하여 컨버터부의 동작 모드를 제어함으로써,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직렬로 연결된 양극 릴레이의 일단 사이의 제1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동작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컨버터부;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배터리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컨버터부의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컨버터부가 비활성화되는 셧 다운 모드 또는 상기 컨버터부가 활성화되는 웨이크업 모드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버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버터 구동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컨버터부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버터 구동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미만이면, 상기 컨버터부의 동작 모드를 상기 셧 다운 모드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버터 구동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이상이면, 상기 컨버터부의 동작 모드를 상기 웨이크업 모드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버터 구동부는, 상기 양극 릴레이의 타단 측의 제2 노드에 더 연결되고, 상기 제2 노드를 통해서 외부 전압을 입력받으면 상기 컨버터부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버터 구동부는, 상기 컨버터부의 동작 모드가 상기 셧 다운 모드인 경우, 상기 외부 전압을 입력받으면 상기 컨버터부의 동작 모드를 상기 웨이크업 모드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버터 구동부는, 상기 제1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으며, 입력받은 배터리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원 모듈; 및 상기 전원 모듈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제1 노드, 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컨버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노드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배터리 전압, 상기 제2 노드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외부 전압 및 상기 기준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컨버터부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구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상기 컨버터부의 동작 모드에 의한 전원 인가 여부에 기반하여 동작 상태가 비활성 모드 또는 활성 모드로 제어되고, 제어되는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양극 릴레이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버터부의 동작 모드가 상기 웨이크업 모드로 제어되면, 상기 컨버터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서 상기 동작 상태가 상기 활성 모드로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버터부의 동작 모드가 상기 셧 다운 모드로 제어되면, 상기 컨버터부로부터의 전원을 인가받지 못하여 상기 동작 상태가 상기 비활성 모드로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상태가 상기 활성 모드에서 상기 비활성 모드로 제어되는 경우, 상기 양극 릴레이의 동작 상태를 턴-오프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상태가 상기 비활성 모드에서 상기 활성 모드로 제어되는 경우, 상기 양극 릴레이의 동작 상태를 턴-온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전압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에는 컨버터부의 동작 모드가 셧 다운 모드로 제어됨으로써, 배터리가 과방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배터리 전압이 소모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가 포함된 배터리 팩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배터리 팩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가 포함된 배터리 팩의 다른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를 나머지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그러한 용어들에 의해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가 포함된 배터리 팩(1)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컨버터부(110), 컨버터 구동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버터부(110)는 배터리(10)와 배터리(10)에 직렬로 연결된 양극 릴레이(20)의 일단 사이의 제1 노드(N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10)는 음극 단자와 양극 단자를 구비하며, 물리적으로 분리 가능한 하나의 독립된 셀을 의미한다. 일 예로, 리튬 이온 전지 또는 리튬 폴리머 전지가 배터리(10)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0)는 복수의 셀이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구비된 배터리 모듈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배터리(10)가 하나의 독립된 셀을 의미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예컨대, 도 2의 실시예에서, 배터리(10)는 배터리 팩(1)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10)의 양극 단자(+)는 배터리 팩(1)의 양극 단자(P+)와 연결되고, 배터리(10)의 음극 단자(-)는 배터리 팩(1)의 음극 단자(P-)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0)의 양극 단자(+)와 배터리 팩(1)의 양극 단자(P+) 사이에는 양극 릴레이(2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양극 릴레이(20)의 일단은 배터리(10)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고, 양극 릴레이(20)의 타단은 배터리 팩(1)의 양극 단자(P+)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의 실시예에서, 컨버터부(110)는 배터리(10)의 양극 단자(+)와 양극 릴레이(20)의 일단 사이의 제1 노드(N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노드(N1)에 연결된 제1 라인(L1)을 통해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컨버터부(110)는 동작 모드에 기반하여 배터리(10)의 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컨버터부(110)는 배터리(10)의 전압을 소정의 전압(예컨대, 12V)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압을 출력하는 DC-DC 컨버터일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컨버터부(110)는 제1 라인(L1)을 통해서 입력받은 배터리 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압을 제4 라인(L4)을 통해서 제어부(130) 및 부하(2)로 출력할 수 있다.
컨버터 구동부(120)는 제1 노드(N1)에 연결되어 배터리(10)로부터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컨버터 구동부(120)는 배터리(10)로부터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아서 구동될 수 있다. 즉, 컨버터 구동부(120)는 배터리(1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서 구동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컨버터부(110) 및 컨버터 구동부(120)는 제1 노드(N1)에 연결되고, 제1 라인(L1)을 통해서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다만, 컨버터부(110)와 컨버터 구동부(120)는 공통 라인(제1 라인(L1))을 통해서만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것은 아니고, 별도의 라인을 통해서 배터리(10)의 양극 단자(+)와 양극 릴레이(20)의 일단 사이에 연결될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컨버터 구동부(120)는 배터리 전압에 기반하여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를 컨버터부(110)가 비활성화되는 셧 다운 모드 또는 컨버터부(110)가 활성화되는 웨이크업 모드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버터 구동부(120)는 배터리 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전압은 미리 설정된 전압값으로서, 과방전된 배터리(10)의 전압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배터리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이면 배터리(10)는 충전이 요구되는 상태이고, 이러한 상황에서의 배터리(10)에 대한 추가 방전은 배터리(10)의 퇴화를 야기할 수 있다.
예컨대, 컨버터 구동부(120)는, 배터리 전압과 기준 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를 셧 다운 모드 또는 웨이크업 모드로 제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컨버터부(110)는 제1 라인(L1)을 통해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는 단자와 제3 라인(L3)을 통해 컨버터 구동부(12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단자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의 실시예에서, 컨버터 구동부(120)는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제3 라인(L3)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컨버터부(110)는 제3 라인(L3)을 통해 컨버터 구동부(12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모드가 셧 다운 모드 또는 웨이크업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셧 다운 모드는 컨버터부(110)가 비활성화되어 제1 라인(L1)을 통해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을 수 없는 모드를 의미한다. 반대로, 웨이크업 모드는 컨버터부(110)가 활성화되어 제1 라인(L1)을 통해 입력받은 배터리 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압을 제4 라인(L4)을 통해 출력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즉, 셧 다운 모드는 컨버터부(110)의 상태가 오프되는 모드이고, 웨이크업 모드는 컨버터부(110)의 상태가 온되는 모드이다.
구체적인 예로, 컨버터 구동부(120)는, 배터리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이면,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를 셧 다운 모드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배터리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이면, 컨버터 구동부(120)는 제3 라인(L3)을 통해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를 셧 다운 모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컨버터부(110)는 배터리(10)로부터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을 수 없게 되어, 배터리(10)의 전압이 컨버터부(110)에 의해 지속적으로 소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컨버터부(110)가 비활성화됨으로써, 컨버터부(110)로부터 변환된 전압이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 팩(1)에 구비된 컨버터 구동부(120)를 제외한 다른 구성들도 비활성화될 수 있다.
반대로, 컨버터 구동부(120)는, 배터리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이면,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를 웨이크업 모드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배터리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이면, 컨버터 구동부(120)는 제3 라인(L3)을 통해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를 웨이크업 모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컨버터부(110)는 배터리(10)로부터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배터리 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컨버터부(110)가 활성화됨으로써, 배터리 팩(1)에 구비된 다른 구성들도 활성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컨버터부(110)에 의해 배터리(10)의 전압이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이면 컨버터부(110)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배터리(10)의 누설 전류(Leakage current)가 발생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배터리(10)가 과방전되는 것이 방지되고, 나아가 배터리(10)의 수명이 증대될 수 있다.
컨버터 구동부(120)는, 양극 릴레이(20)의 타단 측의 제2 노드(N2)에 더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의 실시예에서, 컨버터 구동부(120)는 제2 라인(L2)을 통해서 양극 릴레이(20)의 타단과 배터리 팩(1)의 양극 단자(P+) 사이의 제2 노드(N2)에 연결될 수 있다.
컨버터 구동부(120)는 제2 노드(N2)를 통해서 외부 전압을 입력받으면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팩(1)이 부하(2)와 연결된 경우, 부하(2)로부터 제2 노드(N2)로 외부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컨버터 구동부(120)는 제2 노드(N2)를 통해서, 부하(2)로부터 인가되는 외부 전압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팩(1)이 충전 장치와 연결된 경우, 충전 장치에 의해 배터리(10)의 충전이 개시되기 전에 충전 장치로부터 외부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전압은 충전 개시를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 즉, 컨버터 구동부(120)는 충전 개시를 요청하는 신호에 대응되는 외부 전압을 입력받으면,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0)가 충전 중인 경우, 충전 장치에 의해 외부 전압이 지속적으로 인가되기 때문에, 컨버터 구동부(120)는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를 웨이크업 모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는 셧 다운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가 셧 다운 모드인 경우, 배터리(10)의 전압 레벨은 충전이 요구되는 레벨일 수 있다. 따라서, 컨버터 구동부(120)는,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가 셧 다운 모드인 경우, 외부 전압을 입력받으면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를 웨이크업 모드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가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된 경우, 컨버터부(110)는 배터리(10)로부터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배터리 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전압을 제4 라인(L4)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배터리 팩(1)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버터 구동부(120)는 전원 모듈(121) 및 구동 모듈(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모듈(121)은 제1 노드(N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배터리(10)로부터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으며, 입력받은 배터리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모듈(121)은 제1 노드(N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배터리 전압을 5V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모듈(121)은 변환된 5V 전압을 구동 모듈(122)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모듈(121)은 배터리 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는 리니어 레귤레이터로서, LDO(Low dropout)가 적용될 수 있다.
구동 모듈(122)은 전원 모듈(121)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구동 모듈(122)은 컨버터부(110)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지 않고, 전원 모듈(121)을 통해서 전원을 인가받기 때문에,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가 셧 다운 모드로 제어되더라도 상시 구동될 수 있다.
구동 모듈(122)은 제1 노드(N1), 제2 노드(N2) 및 컨버터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노드(N1)를 통해 입력받은 배터리 전압, 제2 노드(N2)를 통해 입력받은 외부 전압 및 기준 전압에 기반하여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3 의 실시예에서, 구동 모듈(122)은 제1 라인(L1)을 통해 제1 노드(N1)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 모듈(122)은 제1 라인(L1)을 통해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고, 배터리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 모듈(122)은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를 셧 다운 모드 또는 웨이크업 모드로 제어하는 신호를 제3 라인(L3)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듈(122)은 제2 라인(L2)을 통해 제2 노드(N2)에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이어서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가 셧 다운 모드로 제어된 이후, 구동 모듈(122)이 제2 라인(L2)을 통해 외부 전압을 입력받은 경우, 구동 모듈(122)은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를 웨이크업 모드로 제어하는 신호를 제3 라인(L3)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배터리(10)로부터 직접 전원을 인가받는 컨버터 구동부(120)를 포함함으로써,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제어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에 의한 전원 인가 여부에 기반하여 동작 상태가 비활성 모드 또는 활성 모드로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가 웨이크업 모드로 제어되면, 제어부(130)는 컨버터부(11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서 동작 상태가 활성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의 실시예에서, 컨버터부(110)와 제어부(130)는 제4 라인(L4)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컨버터부(110)는 동작 모드가 웨이크업 모드인 경우, 배터리 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압을 제4 라인(L4)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가 웨이크업 모드인 경우, 제어부(130)는 컨버터부(110)로부터 동작 전원을 인가받아서 동작 상태가 활성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30)는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가 셧 다운 모드로 제어되면, 제어부(130)는 컨버터부(110)로부터의 전원을 인가받지 못하여 동작 상태가 비활성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컨버터부(110)는 동작 모드가 셧 다운 모드인 경우,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컨버터부(110)로부터 동작 전원을 인가받을 수 없기 때문에, 동작 상태가 비활성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어되는 동작 상태에 따라 양극 릴레이(2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제7 라인(L7)을 통해 양극 릴레이(20)와 연결되며, 제7 라인(L7)을 통해 양극 릴레이(2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동작 상태가 활성 모드에서 비활성 모드로 제어되는 경우, 양극 릴레이(20)의 동작 상태를 턴-오프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0)의 동작 상태가 비활성 모드로 제어되면, 제7 라인(L7)을 통한 제어 신호의 출력이 중단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의 동작 상태가 비활성 모드로 제어되면, 양극 릴레이(20)의 동작 상태는 턴-오프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30)는 동작 상태가 비활성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제어되는 경우, 양극 릴레이(20)의 동작 상태를 턴-온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의 실시예에서,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가 웨이크업 모드로 제어되면, 컨버터부(110)는 제4 라인(L4)을 통해 제어부(130)와 부하(2)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후, 부하(2)는 제5 라인(L5)을 통해 제어부(130)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130)는 제5 라인(L5)을 통해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으면 제6 라인(L6)을 통해 부하(2)와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제6 라인(L6)을 통해 부하(2)와 통신 가능한 상태에서, 제7 라인(L7)을 통해 양극 릴레이(20)의 동작 상태를 턴-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관리 장치(100)에 구비된 제어부(130)는 본 발명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제어 로직들을 실행하기 위해 당업계에 알려진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통신 모뎀,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로직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제어부(130)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램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부(1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제어부(13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제어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배터리 관리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가 동작 및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 또는 동작 및 기능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는 데이터를 기록, 소거, 갱신 및 독출할 수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정보 저장 수단이라면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일 예시로서, 정보 저장 수단에는 RAM, 플래쉬 메모리, ROM, EEPROM, 레지스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제어부(130)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들이 정의된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가 포함된 배터리 팩(1)의 다른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컨버터 구동부(120)는 제1 전원 모듈(121) 및 구동 모듈(122)을 포함하고, 제어부(130)는 제2 전원 모듈(131) 및 제어 모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원 모듈(131)은 제4 라인(L4)을 통해 컨버터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컨버터부(110)의 동작 모드가 웨이크업 모드인 경우, 제2 전원 모듈(131)은 제4 라인(L4)을 통해 컨버터부(110)로부터 변환된 전압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전원 모듈(131)은 제5 라인(L5)을 통해 부하(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원 모듈(131)은 제5 라인(L5)을 통해 부하(2)로부터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 모듈(132)로 전원을 인가하여 제어 모듈(132)의 동작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2)은 제2 전원 모듈(131)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으면, 제6 라인(L6)을 통해 부하(2)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어 모듈(132)이 제6 라인(L6)을 통해서 부하(2)와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된 경우, 제어 모듈(132)은 제7 라인(L7)을 통해 양극 릴레이(2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팩(1)은 배터리(10)의 음극 단자(-)와 배터리 팩(1)의 음극 단자(P-) 사이에 연결된 음극 릴레이(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음극 릴레이(30)의 일단은 배터리(10)의 음극 단자(-)에 연결되고, 음극 릴레이(30)의 타단은 배터리 팩(1)의 음극 단자(P-)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 모듈(132)은 제6 라인(L6)을 통해 부하(2)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이후, 제8 라인(L8)을 통해 음극 릴레이(3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132)이 제6 라인(L6)을 통해 부하(2)와 통신 가능한 상태인 경우, 제어 모듈(132)은 제7 라인(L7)을 통해 양극 릴레이(20)의 동작 상태를 턴-온 상태로 제어하고, 제8 라인(L8)을 통해 음극 릴레이(30)의 동작 상태를 턴-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10)의 양극 단자(+), 배터리 팩(1)의 양극 단자(P+), 부하(2), 배터리 팩(1)의 음극 단자(P-) 및 배터리(10)의 음극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배터리(10)는 부하(2)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부하(2)는 배터리 팩(1)의 양극 단자(P+) 및 음극 단자(P-)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실시예에서, 부하(2)의 일단은 배터리 팩(1)의 양극 단자(P+)에 연결되고, 부하(2)의 타단은 배터리 팩(1)의 음극 단자(P-)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양극 릴레이(20) 및 음극 릴레이(30)의 동작 상태가 모두 턴-온 상태로 제어되면, 배터리(10)와 부하(2)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BMS는, 상술한 배터리 관리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배터리 관리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는, 종래 BMS에 포함된 구성의 기능을 보완하거나 추가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관리 장치(100)의 컨버터부(110), 컨버터 구동부(120) 및 제어부(130)는 BMS의 구성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를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 배터리 팩
2: 부하
10: 배터리
20: 양극 릴레이
30: 음극 릴레이
100: 배터리 관리 장치
110: 컨버터부
120: 컨버터 구동부
121: 전원 모듈, 제1 전원 모듈
122: 구동 모듈
130: 제어부
131: 제2 전원 모듈
132: 제어 모듈

Claims (10)

  1.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직렬로 연결된 양극 릴레이의 일단 사이의 제1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동작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컨버터부;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배터리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컨버터부의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컨버터부가 비활성화되는 셧 다운 모드 또는 상기 컨버터부가 활성화되는 웨이크업 모드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버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 구동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컨버터부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 구동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미만이면, 상기 컨버터부의 동작 모드를 상기 셧 다운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이상이면, 상기 컨버터부의 동작 모드를 상기 웨이크업 모드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 구동부는,
    상기 양극 릴레이의 타단 측의 제2 노드에 더 연결되고, 상기 제2 노드를 통해서 외부 전압을 입력받으면 상기 컨버터부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 구동부는,
    상기 컨버터부의 동작 모드가 상기 셧 다운 모드인 경우, 상기 외부 전압을 입력받으면 상기 컨버터부의 동작 모드를 상기 웨이크업 모드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 구동부는,
    상기 제1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으며, 입력받은 배터리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원 모듈; 및
    상기 전원 모듈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제1 노드, 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컨버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노드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배터리 전압, 상기 제2 노드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외부 전압 및 상기 기준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컨버터부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부의 동작 모드에 의한 전원 인가 여부에 기반하여 동작 상태가 비활성 모드 또는 활성 모드로 제어되고, 제어되는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양극 릴레이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버터부의 동작 모드가 상기 웨이크업 모드로 제어되면, 상기 컨버터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서 상기 동작 상태가 상기 활성 모드로 제어되고,
    상기 컨버터부의 동작 모드가 상기 셧 다운 모드로 제어되면, 상기 컨버터부로부터의 전원을 인가받지 못하여 상기 동작 상태가 상기 비활성 모드로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상태가 상기 활성 모드에서 상기 비활성 모드로 제어되는 경우, 상기 양극 릴레이의 동작 상태를 턴-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동작 상태가 상기 비활성 모드에서 상기 활성 모드로 제어되는 경우, 상기 양극 릴레이의 동작 상태를 턴-온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210038127A 2021-03-24 2021-03-24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20132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127A KR20220132939A (ko) 2021-03-24 2021-03-24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PCT/KR2022/003934 WO2022203326A1 (ko) 2021-03-24 2022-03-21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2023515318A JP2023541143A (ja) 2021-03-24 2022-03-21 バッテリー管理装置及び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US18/038,945 US20230420974A1 (en) 2021-03-24 2022-03-21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N202280006493.2A CN116261665A (zh) 2021-03-24 2022-03-21 电池管理装置和包括该电池管理装置的电池组
EP22776027.9A EP4207545A4 (en) 2021-03-24 2022-03-21 BATTERY MANAGEMENT DEVICE AND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127A KR20220132939A (ko) 2021-03-24 2021-03-24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939A true KR20220132939A (ko) 2022-10-04

Family

ID=8339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127A KR20220132939A (ko) 2021-03-24 2021-03-24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420974A1 (ko)
EP (1) EP4207545A4 (ko)
JP (1) JP2023541143A (ko)
KR (1) KR20220132939A (ko)
CN (1) CN116261665A (ko)
WO (1) WO202220332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4137B2 (ja) * 2008-07-11 2013-10-16 イーエム・ミクロエレクトロニク−マリン・エス アー 電圧変換器を有する電源ユニット
JP5293841B2 (ja) * 2010-02-09 2013-09-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電源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1223755A (ja) * 2010-04-09 2011-11-04 Honda Motor Co Ltd Dc−dcコンバータ
JP5742524B2 (ja) * 2011-07-08 2015-07-01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蓄電システム、電子機器、電動車両および電力システム
JP6127813B2 (ja) * 2013-07-31 2017-05-17 ソニー株式会社 蓄電装置、蓄電システムおよび蓄電装置の制御方法
US9537333B2 (en) * 2014-04-22 2017-01-03 Lg Chem, Ltd. Voltage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disabling operation of a DC-DC voltage converter
MX2018015052A (es) * 2016-06-09 2019-05-13 Incell Int Ab Modulo de bateria y metodo realizado en este.
KR102498254B1 (ko) * 2017-11-14 2023-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기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7156175B2 (ja) * 2019-05-29 2022-10-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制御装置及びdcdcコンバータ
KR20210038127A (ko) 2019-09-30 2021-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시간기반 배터리 충방전 예측 제어 방법 및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261665A (zh) 2023-06-13
US20230420974A1 (en) 2023-12-28
WO2022203326A1 (ko) 2022-09-29
EP4207545A4 (en) 2024-05-01
EP4207545A1 (en) 2023-07-05
JP2023541143A (ja) 2023-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6601B1 (ko) Bms 웨이크업 장치, 이를 포함하는 bms 및 배터리팩
KR101146378B1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팩의 충전 시스템
US8810067B2 (en) Power supply apparatus
KR102443667B1 (ko) 밸런싱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배터리팩
US20060006841A1 (en) Battery pack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200551B1 (ko) 배터리 팩
KR102202012B1 (ko) 배터리팩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CN114072984B (zh) 电池管理设备
CN109904886B (zh) 控制电路模块及其控制方法
US20100194342A1 (en) Power supply system and cell assembly control method
US9973011B2 (en) Battery management unit and method for setting identifier by using frequency modulation
US10324514B2 (en) MCU wake-up device and method in sleep mode
KR20220132939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583694B1 (ko) 신호라인이 고전압 또는 접지 단락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1919402B2 (en) Re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102244124B1 (ko) 스위칭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KR20220132940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EP4270722A1 (en) Power control device and battery system comprising same
KR102481013B1 (ko) 배터리 관리 장치
EP4156446A1 (en) Relay control device and method
KR20220048372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20167117A (ko) 과방전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220117408A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