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279A -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279A
KR20220108279A KR1020210010888A KR20210010888A KR20220108279A KR 20220108279 A KR20220108279 A KR 20220108279A KR 1020210010888 A KR1020210010888 A KR 1020210010888A KR 20210010888 A KR20210010888 A KR 20210010888A KR 20220108279 A KR20220108279 A KR 20220108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dule
support bars
display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환
김범진
이종화
최동원
김태웅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0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8279A/ko
Priority to US17/536,266 priority patent/US11849551B2/en
Priority to PCT/KR2022/000608 priority patent/WO2022164093A1/ko
Priority to CN202280007298.1A priority patent/CN116529805A/zh
Publication of KR20220108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279A/ko
Priority to US18/387,496 priority patent/US2024007407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의 롤러블 표시 장치는 지지 모듈, 지지 모듈 상에 배치되고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지지 모듈과 표시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레진층을 포함하고, 표시 모듈은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지지 모듈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지지바들 및 복수의 지지바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이웃하는 지지바에 결합된 힌지를 포함한다.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와 결합되고, 표시 모듈의 중립면은 표시 패널 내에 정의되고, 구동축은 단면상에서 표시 패널을 관통할 수 있다.

Description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ROLL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장치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최근 표시 장치의 기술 발달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곡면 형태로 변형되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는 다양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은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중, 롤러블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면적 대비 우수한 휴대성을 갖는 장점이 있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롤러블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롤러블 표시 장치의 롤링에 의해 인가되는 스트레스는 상기 표시 모듈의 구성요소들을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롤러블 표시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에 따라, 표시 모듈의 면 품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모듈의 면 품위(surface quality)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실시예는 지지 모듈, 상기 지지 모듈 상에 배치되고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지지 모듈과 상기 표시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레진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모듈은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모듈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지지바들; 및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이웃하는 지지바에 결합된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와 결합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중립면은 상기 표시 패널 내에 정의되고, 상기 구동축은 단면상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관통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단면상에서 상기 표시 모듈의 중립면은 상기 구동축과 동일한 위치에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레진층의 모듈러스는 1kPa 이상 50MPa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힌지에 정의된 결합홈에 삽입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의 회전은 상기 결합홈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힌지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서브 지지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정의되는 폭을 갖고,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의 폭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중 이웃하는 지지바들 사이의 폭 차이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모듈은 롤링 영역 및 상기 롤링 영역에 인접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모듈은 평평한 상태 또는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이격된 롤링축을 중심으로 롤링된 상태를 가지며, 상기 평평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정의되는 상기 지지 모듈의 롤링 영역의 길이는 식 1을 만족하고, 상기 롤링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모듈의 외경(outer diameter)은 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식 1]
Figure pat00001
[식 2]
Figure pat00002
상기 식 1 내지 식 2에서 L은 상기 지지 모듈의 상기 롤링 영역의 길이, D는 상기 지지 모듈의 외경, x는 상기 지지바들의 개수, a는 상기 지지바들의 폭들 중 가장 작은 폭의 값, b는 이웃하는 상기 지지바들의 간의 폭 값의 차이이다.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사이의 이격 공간을 충진하는 복수의 접합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접합부들은 상기 레진층과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은 상기 접합부들에 접촉하는 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면들 중 적어도 일부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내에 삽입된 복수의 자석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자석들은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영역에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레진층 사이에 배치된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립면은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성 회로 기판 및 상기 지지 모듈의 하면 상에 배치된 메인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은 상기 표시 영역에 중첩하고 서로 연결된 제1 지지바들 및 상기 제1 지지바들 중 상기 제2 방향에서 최 외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제1 지지바와 연결된 제2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회로 기판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지지바들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 지지바와 중첩하며,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제2 지지바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며 상기 메인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바들의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정의되는 폭들은 상기 제2 지지바에 인접할수록 증가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연성 회로 기판 및 상기 메인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몰드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몰드 상에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플레이트와 소정의 이격 공간을 형성하며 지지 모듈의 상면과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지지 모듈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이격 공간에 레진을 충진하는 단계, 상기 레진을 경화하여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레진층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기 레진층 상에 표시 모듈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 모듈을 배치하기 전, 상기 지지 모듈의 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를 배치한 후, 상기 플레이트 상에 상기 지지 모듈의 상면을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상기 플레이트의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블 표시 장치가 평탄한 상면을 제공하는 지지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롤러블 표시 장치의 면 품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르면, 단면상에서 지지 모듈의 구동축이 표시 패널 내를 관통하도록 정의됨으로써, 표시 모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평한 상태의 롤러블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링 상태의 롤러블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롤러블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1a에 도시된 절단선 I-I'에 대응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롤링 전, 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절단선 II-II'에 대응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5에 도시된 일부 영역에 대응한 평평한 상태의 롤러블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5에 도시된 일부 영역에 대응한 롤링 상태의 롤러블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평한 상태의 롤러블 표시 장치의 일부구성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링 상태의 롤러블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8a에 도시된 절단선 III-III'에 대응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8b에 도시된 절단선 IV-IV'에 대응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a는 도 8a에 도시된 절단선 III-III'에 대응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8b에 도시된 절단선 IV-IV'에 대응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모듈의 일부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일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링 상태의 지지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평한 상태의 롤러블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링 상태의 지지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14a는 비교예의 면 품위 특성을 표시한 이미지이다.
도 14b는 실시예의 면 품위 특성을 표시한 이미지이다.
도 15a는 비교예의 면 품위 특성을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 15b는 실시예의 면 품위 특성을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의 일 단계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18a 내지 1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의 일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롤러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중 일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일 단계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2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일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사전적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a는 롤링 되지 않고 평평한 상태의 롤러블 표시 장치(DD)의 사시도이며,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롤러블 표시 장치(DD)를 시계 방향으로 롤링 한 상태의 롤러블 표시 장치(DD)의 사시도이다.
롤러블 표시 장치(DD)의 상면은 제1 방향(DR1) 및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 평행할 수 있다. 롤러블 표시 장치(DD)의 두께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평면에 수직한 제3 방향(DR3)을 따라 정의될 수 있다. 롤러블 표시 장치(DD)는 롤링되지 않은 상태에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평행한 면을 기준으로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이 정의될 수 있다. 전면과 배면은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대향(opposing)되고, 전면과 배면 각각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과 평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평면상에서"는 구성을 위에서 바란본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3 방향(DR3)에서 바라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면상에서" 또는 "측면상에서"는 제1 방향(DR1) 또는 제2 방향(DR2)에서 바라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에 평행한 방향 일 수 있다.
제3 방향(DR3)을 따라 정의되는, 전면과 배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각 부재의 두께/높이와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 각각이 지시하는 방향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롤러블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 지지 모듈(SM) 및 레진층(LR, 도 2b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블 표시 장치(DD)는 가상의 롤링축을 중심으로 롤링(rolling) 가능한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플렉서블(flexible)한 것일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면(DM-IS)을 통해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면(DM-IS)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할 수 있다. 표시면(DM-IS)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이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제공하는 영역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에워쌀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일 측에만 인접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영역(DA)에 표시되는 영상을 생성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 각각은 발광 소자와 발광 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은 발광 소자의 일 예로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은 표시 영역(DA)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소들 중 일부는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모듈(SM)은 표시 모듈(DM)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모듈(SM)은 표시 모듈(DM)의 하면 및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모듈(SM)은 표시 모듈(DM)을 지지함과 동시에, 표시 모듈(DM)을 소정의 곡률로 롤링시킬 수 있다.
지지 모듈(SM)은 롤링 영역(RA)과 주변 영역(SA)이 정의될 수 있다. 롤링 영역(RA)은 가상의 롤링축을 중심으로 롤링되는 영역일 수 있다. 주변 영역(SA)은 롤링 영역(RA)의 일 측에 인접하며, 표시 모듈(DM)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회로 기판 등이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도 1a에 표시하지 않았지만, 레진층(LR, 도 2b 참조)은 지지 모듈(SM)과 표시 모듈(D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레진층(LR)은 표시 모듈(DM)과 지지 모듈(SM)을 결합시킬 수 있다. 레진층(LR)은 평탄한 상면을 제공함으로써, 롤링되는 표시 모듈(DM)의 면 품위를 개선시킬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지지 모듈(SM)은 복수의 지지바들(SP) 및 복수의 힌지들(HG)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모듈(SM)은 복수의 서브 지지바들(SP-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서브 지지바들(SP-S)을 더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롤러블 표시 장치(DD)에 관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브 지지바들(SP-S)은 생략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바들(SP)은 가상의 롤링축에 나란한 일 방향으로 연장된 바들일 수 있다. 복수의 지지바들(SP)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며,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바들(SP)은 각각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장변들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단변들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지지바들(SP)은 각각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 모듈(DM)을 지지할 수 있다면, 복수의 지지바들(SP)의 물질은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힌지들(HG) 각각은 이웃하는 지지바들(SP) 사이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지지바들(SP)을 결합할 수 있다. 복수의 힌지들(HG) 각각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지지바들(SP)의 단변들에 인접하도록, 이웃하는 지지바들(SP)과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힌지들(HG)은 복수의 힌지들(HG)에 결합된 지지바(SP)를 사이에 두고 제2 방향(DR2)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하나의 지지바(SP)의 일 측 및 타 측 상에 결합된 힌지들(HG)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바들(SP) 각각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들(HG)에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복수의 지지바들(SP)은 구동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구동축은 지지바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때 회전의 중심이 되는 가상의 고정 회전축을 의미한다. 힌지들(HG)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바들(SP)에 의해, 지지 모듈(SM)은 구동축과 이격된 롤링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며 롤링될 수 있다. 지지바들(SP) 및 힌지들(HG)의 구조에 따라 롤링되는 지지 모듈(SM)의 곡률 반경이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지지바들(SP-S) 각각은 지지바들(SP)이 연장된 일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서브 지지바들(SP-S)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장변들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단변들을 가질 수 있다.
서브 지지바들(SP-S) 각각은 이웃하는 지지바들(S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지지바들(SP-S)은 지지바들(SP)의 장변들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지지바들(SP-S) 및 지지바들(SP)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서로 교번하며 배열될 수 있다.
서브 지지바들(SP-S) 각각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이격된 힌지들(HG)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바들(SP)은 각각 힌지들(HG)에 결합되어 움직일 수 있고, 서브 지지바들(SP-S)은 각각 힌지들(HG)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서브 지지바들(SP-S)은 이격된 지지바들(SP)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DM)을 지지할 수 있다. 서브 지지바들(SP-S)은 이격된 지지바들(SP) 사이에 배치되어, 롤링 시 표시 모듈(DM)의 면 품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롤러블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 2b는 도 1a에 도시된 절단선 I-I'에 대응한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롤러블 표시 장치(DD)는 연성 회로 기판(CF), 메인 회로 기판(MB) 및 케이스(C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CF) 및 메인 회로 기판(MB)은 표시 모듈(DM)에 포함된 표시 패널(DP)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CF)은 지지 모듈(SM)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CF)은 지지 모듈(SM)의 주변 영역(SA)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CF)은 표시 패널(DP) 및 메인 회로 기판(MB)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CF)의 일 단은 비표시 영역(NDA)에 중첩하는 표시 패널(DP)의 일 영역에 중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CF)의 타 단은 메인 회로 기판(M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CF)에는 구동 회로가 실장 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CF)은 메인 회로 기판(MB)의 신호를 구동 회로로 전달할 수 있고, 구동 회로의 신호를 표시 패널(DP)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 회로는 표시 패널(DP) 또는 메인 회로 기판(MB)에 실장 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CF)은 플렉서블(flexible)한 베이스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CF)은 가요성을 가지고 지지 모듈(SM)의 일 부분을 감싸며 표시 패널(DP) 및 메인 회로 기판(MB)에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CF)은 지지 모듈(SM)의 상면 상에 배치된 표시 패널(DP)과 지지 모듈(SM)의 하면 상에 배치된 메인 회로 기판(MB)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CF)은 복수로 구비되어,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각각이 표시 패널(DP)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a는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된 연성 회로 기판들(CF)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연성 회로 기판(CF)은 하나로 제공되거나, 일부가 중첩하여 쌍을 이룰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b를 참조하면, 지지 모듈(SM)의 지지바들(SP)은 롤링 영역(RA)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지지바들(SP-a) 및 주변 영역(SA)에 배치된 제2 지지바(SP-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바들(SP-a)은 표시 영역(DA)에 중첩할 수 있다. 제2 지지바(SP-b)는 서로 연결된 제1 지지바들(SP-a) 중 제2 방향(DR2)을 따라 최외측에 배치된 제1 지지바와 연결될 수 있다.
메인 회로 기판(MB)은 지지 모듈(SM)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회로 기판(MB)은 주변 영역(SA)에 중첩하며 제2 지지바(SP-b)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회로 기판(MB)은 평면상에서 제1 지지바들(SP-a)로부터 이격되며, 제2 지지바(SP-b)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회로 기판(MB)에는 신호 제어부가 실장 될 수 있다. 신호 제어부는 연성 회로 기판(CF)을 거쳐, 표시 패널(DP)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케이스(CS)는 지지 모듈(SM)의 주변 영역(SA) 상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CS)는 평면상에서 표시 영역(DA)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케이스(CS)는 외부의 충격 및 이물질로부터 연성 회로 기판(CF) 및 메인 회로 기판(MB)을 보호할 수 있다.
케이스(CS)는 연성 회로 기판(CF) 및 메인 회로 기판(MB)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CS)는 서로 체결 가능한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체결된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는 연성 회로 기판(CF) 및 메인 회로 기판(MB)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케이스(CS)는 연성 회로 기판(CF) 및 메인 회로 기판(MB)을 수용할 수 있다면,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모듈(DM)은 지지 모듈(SM)의 롤링 영역(RA)에 중첩하여, 지지 모듈(SM)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보호층(PF), 표시 패널(DP) 및 윈도우(WM)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표시 모듈(DM) 상으로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또는 무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또는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설명된다.
표시 패널(DP)은 표시 기판(DS), 표시 소자층(DL) 및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기판(DS), 표시 소자층(DL) 및 봉지층(TFE)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표시 기판(DS)은 반도체층, 복수의 절연층들 및 도전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기판(DS)은 스캔 구동 회로, 신호 라인들 및 화소의 제어 회로 등을 구성할 수 있다. 표시 기판(DS)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성 회로 기판(CF) 및 메인 회로 기판(MB)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표시 소자층(DL)은 표시 모듈(DM)의 표시 영역(DA)에 중첩하며 표시 기판(D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L)은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표시 모듈(DM)의 표시면(DM-IS)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소자층(DL)은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TFE)은 표시 소자층(DL) 상에 배치되어, 표시 소자층(DL)을 커버하는 층일 수 있다. 봉지층(TFE)은 복수 개의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박막은 발광 소자를 보호할 수 있고, 일부 박막은 광학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WM)는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WM)는 외부의 스크래치 및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DP)을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 상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WM)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M)는 고분자 필름, 플라스틱 기판, 박막 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단일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윈도우(WM)는 광학 필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필름은 예를 들어, 편광 필름, 확산 필름, 보호 필름 등일 수 있다. 윈도우(WM)는 지문방지 코팅층 또는 반사방지 코팅층과 같은 기능성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호층(PF)은 표시 패널(DP)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PF)은 단일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층(PF)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 필름이 포함된 층일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은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poly(arylene ethersulfo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보호층(PF)의 물질은 가요성이 있으면서 표시 패널(DP)의 하부를 보호할 수 있다면 어느 하나의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레진층(LR)은 지지 모듈(SM)과 표시 모듈(D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레진층(LR)은 지지 모듈(SM)의 상면 및 표시 모듈(DM)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레진층(LR)은 지지 모듈(SM)에 포함된 복수의 지지바들에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진층(LR)은 롤링 영역(RA)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지지바들(SP-a)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레진층(LR)은 이격된 제1 지지바들(SP-a) 사이의 틈 또는 경계를 커버함으로써, 평탄한 상면을 표시 모듈(DM)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레진층(LR) 상에 배치된 표시 모듈(DM)의 면 품위는 향상될 수 있다.
레진층(LR)은 주변 영역(SA)에 배치된 제2 지지바(SP-b)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진층(LR)은 제2 지지바(SP-b)의 상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
레진층(LR)은 탄성 중합체(Elastomer)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레진층(LR)은 외력에 대응하여 변형이 일어날 수 있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쉽게 돌아올 수 있다. 레진층(LR)의 모듈러스는 1kPa 이상 50MPa 이하일 수 있다. 레진층(LR)의 모듈러스가 1kPa 보다 작으면, 외력이 제거된 후에도 형상이 원래 상태로 돌아오지 못하고 쉽게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레진층(LR)의 모듈러스가 50MPa 보다 크면 유연성이 저하되어 롤링시 깨질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DM)의 롤링 전, 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구성들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표시 모듈(DM)에 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복수의 점착층들(AD1, AD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점착층(AD1)은 보호층(PF)과 표시 패널(DP) 사이에 배치된 점착층 일 수 있다. 제2 점착층(AD2)은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M) 사이에 배치된 점착층 일 수 있다. 제1 점착층(AD1) 및 제2 점착층(AD2) 각각은 투광성을 갖는 광학 투명 점착제(optical clear adhesive), 광학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또는 감압성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를 포함할 수 있다.
다층 구조를 갖는 표시 모듈(DM)의 구성들은 롤링 시,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며 롤링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휘어지는 표시 모듈(DM)의 단면을 확대해서 관찰하면, 단면의 일정 부분은 인장 응력(Tensile stress)에 의해 늘어날 수 있고, 단면의 일정 부분은 압축 응력(Compressive stress)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압축 응력과 인장 응력은 상대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단면상에서 압축 응력과 인장 응력이 서로 평형을 이루는 면은 중립면(Neutral plane)으로 정의될 수 있다. 중립면으로부터 곡률 중심으로 인접할수록 인가되는 압축 응력은 증가될 수 있고, 중립면으로부터 곡률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인가되는 인장 응력은 증가될 수 있다.
중립면의 위치는 적층 구성들의 물질, 구조, 두께, 모듈러스(Modulus), 푸아송 비(Poisson Ratio)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중립면의 위치에 따라 적층 구성의 일부 구성은 롤링 시, 인장 응력을 받을 수 있고, 일부 구성은 압축 응력을 받을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중립면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표시 모듈(DM)이 외부 응력에 의해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DM)의 중립면(NP)은 표시 패널(DP) 내에 정의 될 수 있다. 즉, 표시 모듈(DM)의 중립면(NP)은 표시 패널(DP)의 하면 및 표시 패널(DP)의 상면 사이에 정의 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 내에 중립면(NP)이 정의되도록 표시 모듈(DM)을 설계하여, 표시 패널(DP)이 롤링에 의해 인가되는 응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 모듈(SM) 상에 배치된 레진층(LR, 도 2b 참조) 및 표시 모듈(DM)을 적층 모듈로 정의할 수 있다. 레진층(LR, 도 2b 참조)의 두께 및 모듈러스는 적층 모듈의 중립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그 영향은 매우 작을 수 있다. 즉, 레진층(LR, 도 2b 참조) 및 표시 모듈(DM)이 포함된 적층 모듈의 중립면과 표시 모듈(DM)의 중립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오차 범위 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모듈(DM)의 중립면과 적층 모듈의 중립면이 모두 표시 패널(DP)의 내에 정의될 수 있고, 각 중립면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그 차이는 오차 범위 내일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표시 패널(DP)의 단면도는 표시 모듈(DM)의 표시 영역(DA)에 포함되는 일 화소의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표시 기판(DS), 표시 소자층(DL), 및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기판(DS), 표시 소자층(DL) 및 봉지층(TFE)은 제3 방향(DR3)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표시 기판(DS)은 베이스층(BL), 베리어층(BR), 버퍼층(BF), 복수의 절연층들(ENC1, ENC2, ENC3),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 및 구동 트랜지스터(TFT-D)를 포함할 수 있다. 베리어층(BR), 버퍼층(BF) 및 복수의 절연층들(ENC1, ENC2, ENC3)은 무기막 및 유기막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L)은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이 배치되는 층일 수 있다. 베이스층(BL)은 실리콘 기판, 플라스틱 기판 또는 유리 기판일 수 있으며,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일 수 있다. 베이스층(BL)은 플렉서블한 층일 수 있다.
베리어층(BR)은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층(BR)은 베이스층(BL)에 존재하는 불순물이나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이 트랜지스터들에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불순물은 베이스층(BL)이 열분해됨으로써 발생하는 가스 또는 나트륨일 수 있다.
버퍼층(BF)은 베리어층(BR)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BF) 상에 구동 트랜지스터(TFT-D)의 반도체 패턴(ALD)이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BF)은 베이스층(BL)과 반도체 패턴(ALD)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FT-D)는 반도체 패턴(ALD), 제어 전극(GED), 입력 전극(SED) 및 출력 전극(DED)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패턴(ALD)은 아몰포스(amorphous) 실리콘, 폴리 실리콘 또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ENC1)은 반도체 패턴(AL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ENC1)은 반도체 패턴(ALD)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1 절연층(ENC1)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 또는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막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또는 실리콘 옥사이드층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 전극(GED)은 제1 절연층(ENC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 역시 제1 절연층(ENC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ENC2)은 제1 절연층(ENC1) 상에 배치되어, 제어 전극(GED)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절연층(ENC2)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 또는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막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또는 실리콘 옥사이드층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 전극(SED) 및 출력 전극(DED)은 제2 절연층(ENC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 역시 제2 절연층(ENC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전극(SED) 및 출력 전극(DED)은 제1 절연층(ENC1) 및 제2 절연층(ENC2)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CH1) 및 제2 관통홀(CH2)을 통해 반도체 패턴(ALD)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절연층(ENC3)은 제2 절연층(ENC2) 상에 배치 되어, 입력 전극(SED), 출력 전극(DED)을 커버할 수 있다. 제3 절연층(ENC3)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 또는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3 절연층(ENC3)은 평탄면을 제공하기 위해서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ENC2) 및 제3 절연층(ENC3) 각각은 층간 절연층(interlayer)으로 정의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은 층간 절연층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된 도전패턴과 상부에 배치된 도전패턴을 절연시키는 층일 수 있다.
표시 소자층(DL)은 제3 절연층(ENC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L)은 화소 정의막(PDL) 및 발광 소자(EL)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EL)는 제1 전극(AE), 정공 제어층(HCL), 발광층(EML), 전자 제어층(ECL) 및 제2 전극(CE)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L)은 발광 영역들(PXA)과 발광 영역들(PXA)에 인접한 비발광 영역(NPXA)이 정의될 수 있다. 발광 영역(PXA)은 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발광 영역(NPXA)은 발광 영역(PXA)을 에워쌀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제3 절연층(ENC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제3 절연층(ENC3)을 관통하는 제3 관통홀(CH3)을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TFT-D)의 출력 전극(DED)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개구부(OP)가 정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의 개구부(OP)는 제1 전극(AE)의 일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의 개구부(OP)는 발광 영역들(PXA)에 대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 영역들(PXA)은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AE)의 영역들에 대응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은 발광 영역(PXA)과 비발광 영역(NPXA)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은 복수 개의 화소들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정공 제어층(H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화소 정의막(PDL)의 개구부(OP)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발광층(EML)은 개구부(OP)에 대응하도록 패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광층(EML)은 복수 개의 화소들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광을 생성하는 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층(EML)은 백색 광 또는 청색 광을 생성하는 층일 수 있다. 발광층(EML)은 발광 재료로 유기물 또는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층(EML)은 발광 재료로 유기 화합물 또는 유기 금속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광층(EML)은 발광 재료로 양자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제어층(ECL)은 발광층(EM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전자 제어층(E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제어층(ECL) 및 제2 전극(CE)은 발광 영역(PXA)과 비발광 영역(NPXA)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TFE)은 표시 소자층(DL)을 밀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층(TFE)은 제2 전극(CE)을 직접 커버할 수 있다. 그러나, 일 실시예의 표시 패널(DP)은 표시 소자층(DL) 상에 제2 전극(CE)을 커버하는 캡핑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봉지층(TFE)은 캡핑층을 직접 커버할 수 있다.
봉지층(TFE)은 유기막 및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봉지층(TFE)은 하나의 층으로 도시되었으나, 무기막 및 유기막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층(TFE)은 복수의 무기막들 사이에 유기막이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시 모듈(DM)은 봉지층(TFE) 상에 배치되는 입력 감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은 사용자의 손, 열, 광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을 감지하는 층일 수 있다. 입력 감지층은 복수의 도전층들 및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은 봉지층(TFE)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점착 필름을 사이에 두고 봉지층(TF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중립면(NP, 도 3 참조)은 표시 패널(DP)에 포함되는 다양한 구성들 각각의 두께, 물질, 모듈러스 및 배치 구조 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표시 패널(DP)에 포함된 각 구성들에 따라 표시 모듈(DM)의 중립면(NP, 도 3 참조)이 정의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표시 패널(DP) 및 표시 모듈(DM)의 각 구성들은 표시 모듈(DM)의 중립면(NP, 도 3 참조)이 표시 패널(DP)에 포함된 봉지층(TFE)에 인접하거나 봉지층(TFE) 내에 정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지지 모듈(SM) 및 지지 모듈(SM) 상에 배치된 레진층(LR)을 도시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레진층(LR)은 투명한 층으로 도시하였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절단선 II-II'에 대응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5에 도시된 일부 영역(AA)의 확대 단면도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지 모듈(SM)은 복수의 지지바들(SP), 복수의 힌지들(HG) 및 복수의 서브 지지바들(SP-S)을 포함할 수 있고, 레진층(LR)은 지지 모듈(SM) 상에 배치 될 수 있다. 각 구성들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바들(SP)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바들(SP)은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웃하는 지지바들(SP)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서브 지지바(SP-S)를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평평한 상태에서 복수의 지지바들(SP)은 이웃한 지지바들(SP)과 제2 방향(DR2)을 따라 일 부분이 접촉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바들(SP)은 롤링 영역(RA)에 배치된 제1 지지바들(SP-a) 및 주변 영역(SA)에 배치된 제2 지지바(SP-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바들(SP-a) 중 최외측에 배치된 하나의 제1 지지바(SP-a)는 제2 지지바(SP-b)와 힌지들(HG)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바들(SP-a)은 n개의 지지바들을 포함할 수 있다. n개의 제1 지지바들(SP-a)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평평한 상태에서 제2 지지바(SP-b)와 제2 방향(DR2)을 따라 가장 멀리 이격된 지지바를 1번 지지바(SP1)로 지칭하며, 제2 지지바(SP-b)와 제2 방향(DR2)을 따라 가장 인접한 n번째 지지바를 n번 지지바로(SPn)로 지칭하였다.
롤링 영역(RA)에 배치된 제1 지지바들(SP-a)의 폭들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지바의 폭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지지바의 단변의 길이를 의미한다. 제1 지지바들(SP-a)의 폭들은 제2 지지바(SP-b)에 인접한 지지바일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번 지지바(SP1)는 제1 폭(W1)을 가질 수 있고, n번 지지바(SPn)는 제n 폭(Wn)을 가질 수 있다. 지지바의 폭은 1번 지지바(SP1)와 제2 방향(DR2)을 따라 이격된 지지바일수록 제1 폭(W1)과 차이가 클 수 있다. 제1 폭(W1)은 제1 지지바들(SP-a)의 폭들 중 가장 작은 폭일 수 있고, 제n 폭(Wn)은 제1 지지바들(SP-a)의 폭들 중 가장 큰 폭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바들(SP-a)은 각각 제1 부분(SP-1), 제1 부분(SP-1)의 일 측으로부터 절곡된 제2 부분(SP-2) 및 제1 부분(SP-1)의 타 측으로부터 절곡된 제3 부분(SP-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SP-2) 및 제3 부분(SP-3)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부분일 수 있다.
표시 모듈(DM, 도 1a 참조)은 지지바들(SP-a)의 제2 부분들(SP-2) 및 제3 부분들(SP-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분(SP-1)의 상면은 지지 모듈(SM) 상에 배치되는 표시 모듈(DM)의 하면과 마주할 수 있다. 제2 부분(SP-2)의 내측면은 지지 모듈(SM) 상에 배치되는 표시 모듈(DM)의 일 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제3 부분(SP-3)의 내측면은 표시 모듈(DM)의 상기 일 측면과 대향하는 타 측면과 마주하는 부분일 수 있다.
지지 모듈의 두께(TT)는 제3 방향(DR3)을 따라 정의되는 지지바(SP-a)의 최하면에서 최상면까지의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지지바(SP-a)의 최하면은 지지바(SP-a)의 제1 부분(SP-1)의 하면일 수 있다. 지지바(SP-a)의 최상면은 제2 부분(SP-2)의 상면(SP-2-U) 및 제3 부분(SP-3)의 상면(SP-3-U)일 수 있다.
힌지들(HG) 각각은 이웃하는 지지바들(SP-a)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힌지들(HG)은 힌지(HG)에 결합된 지지바들(SP)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들(HG) 각각은 이웃하는 지지바들(SP)의 이격된 제2 부분들(SP-2) 또는 제3 부분들(SP-3) 사이에 제2 방향(DR2)을 따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힌지들(HG) 각각은 지지바들(SP)의 외측면 상에 배치되어, 지지바들(SP)에 결합될 수 있고, 지지바들(SP)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힌지들(HG)의 형상은 이웃하는 지지바들(SP)과 결합하며, 결합된 지지바들(SP) 각각을 구동축(DX, 도 7 참조)을 중심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면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레진층(LR)은 지지바들(SP-a)의 제1 부분(SP-1)들 및 서브 지지바들(SP-S)의 상면들을 커버할 수 있다. 지지바들(SP-a)과 서브 지지바들(SP-S) 사이의 간격 또는 미세한 단차에 의해, 제1 부분(SP-1)의 상면들 및 서브 지지바들(SP-S)의 상면들에 대응하는 지지 모듈(SM)의 상면은 굴곡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진층(LR)은 지지바들(SP-a)의 제1 부분(SP-1)들 및 서브 지지바들(SP-S)의 상면들을 커버함으로써, 표시 모듈(DM)에 평탄한 상면(LR-U)을 제공할 수 있고, 표시 모듈(DM)의 면 품위를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레진층(LR) 상에 배치되는 표시 모듈(DM, 도 2b 참조)의 상면은 지지바들(SP-a)의 제2 부분(SP-2)의 상면(SP-2-U) 및 제3 부분(SP-3)의 상면(SP-3-U)과 단면상에서 일치할 수 있다. 즉, 표시 모듈(DM)의 두께는 레진층(LR)의 평탄한 상면(LR-U)으로부터 제2 부분(SP-2)의 상면(SP-2-U)까지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7a는 평평한 상태의 지지 모듈(SM)의 일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지지 모듈(SM)의 롤링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예시적으로 복수의 힌지들(HG) 중 하나의 힌지(HG) 및 상기 힌지(HG)와 결합된 두 개의 지지바들(SP-a)을 도시하였다.
도 7a를 참조하면, 지지바들(SP-a) 각각은 결합부(CC)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CC)는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 지지바(SP-a)의 제2 부분(SP-2) 및 제3 부분(SP-3)의 외측면 상에서 각각 제1 방향(DR1)을 따라 돌출된 부분일 수 있다. 그러나 결합부(CC)의 형상은 도시된 일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부(CC)는 제2 부분(SP-2) 및 제3 부분(SP-3)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부(CC)는 지지바(SP)의 제2 부분(SP-2) 및 제3 부분(SP-3)과 상이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HG)에는 결합홈(HH)이 정의될 수 있다. 지지바(SP-a)의 결합부(CC)는 힌지(HG)의 결합홈(HH)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지지바(SP-a)는 힌지(HG)에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힌지(HG)는 2개의 결합홈들(HH)이 정의될 수 있고, 결합홈들(HH) 각각에 서로 이웃하는 지지바들(SP-a)의 결합부들(CC)이 삽입될 수 있다. 힌지(HG)에 결합된 지지바(SP-a)의 결합부(CC)는 결합홈(HH)의 형상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다.
힌지(HG)는 서브 지지바(SP-S, 도 6 참조)와 결합되는 결합 부분(CN)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분(CN)은 제1 방향(DR1)에서 바라본 측면상에서 서브 지지바(SP-S, 도 6 참조)와 중첩하는 부분일 수 있다. 힌지(HG)와 서브 지지바(SP-S, 도 6 참조)는 나사에 의해 체결되거나,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홈과 돌출부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결합 부분(CN)의 형상은 힌지(HG)와 서브 지지바(SP-S, 도 6 참조)를 결합시키는 것이라면,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7b를 참조하면, 지지 모듈(SM)의 롤링 시, 지지바들(SP-a) 각각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구동축(D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바들(SP-a)은 결합홈(HH)의 형상에 대응하여 결합홈(HH)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지지바들(SP-a) 각각은 구동축(DX)을 중심으로 구동축(DX)으로부터 소정의 곡률 반경(RR)을 갖는 원의 소정의 원호만큼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곡률 반경(RR)은 측면상에서 구동축(DX)으로부터 결합부(CC)의 중심까지의 직선 거리일 수 있다.
지지 모듈(SM)의 구동축(DX)은 단면상에서 지지 모듈(SM) 상에 배치된 표시 모듈(DM)을 관통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축(DX)은 단면상에서 표시 패널(DP)을 관통할 수 있다. 지지 모듈(SM)의 구동축(DX)은 표시 모듈(DM)의 중립면(NP, 도 3 참조)과 단면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정의될 수 있다. 즉, 지지 모듈(SM) 상에 배치된 표시 모듈(DM) 하면으로부터 표시 모듈(DM)의 중립면(NP, 도 3 참조)까지의 높이는 표시 모듈(DM) 하면으로부터 구동축(DX)까지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서로 다른 모듈러스를 갖는 2 이상의 층들이 적층된 구조에 있어서, 적층 구조의 중립면은, 단면상에서 적층 구조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더 높은 모듈러스를 가진 층에 인접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바들(SP-a)은 지지바들(SP-a) 각각에 정의된 구동축들(D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구동축들(DX)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지지바들(SP-a)에 의해 지지 모듈(SM)은 구동축들(DX)과 이격된 롤링축을 중심으로 롤링될 수 있다. 구동축들(DX)을 연결한 가상의 면(NP-S)은 지지 모듈(SM)내에서 길이 변형이 없는 면일 수 있다. 지지 모듈(SM)의 모듈러스는 표시 모듈(DM)에 포함된 각 적층 구조들의 모듈러스 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블 표시 장치(DD)의 중립면은 표시 모듈(DM)의 중립면(NP, 도 3 참조)보다 지지 모듈(SM)의 구동축들(DX)을 연결한 가상의 면(NP-S) 쪽으로 더 치우친 위치에 정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 및 지지 모듈(SM)은 표시 모듈(DM)의 중립면(NP, 도 3 참조)이 구동축들(DX)과 단면상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정의되도록 설계 될 수 있다. 지지 모듈(SM)의 구동축들(DX)에 인접한 롤러블 표시 장치(DD)의 중립면이 표시 모듈(DM)의 중립면(NP, 도 3 참조)과 단면상에서 인접하거나 일치됨에 따라, 롤링 시 표시 모듈(DM)이 스트레인(strain)에 의해 손상되는 정도가 감소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손상 정도가 감소됨에 따라, 롤러블 표시 장치(DD)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일 예로, 표시 모듈(DM)의 중립면(NP, 도 3 참조)은 표시 모듈(DM)에 포함된 보호층(PF), 표시 패널(DP) 및 윈도우(WM)의 각 구성들의 두께 및 모듈러스 등을 조절하여, 표시 패널(DP) 내에 정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이 롤링 될 때, 단면상에서 표시 모듈(DM)의 중립면(NP, 도 3 참조)에 인접한 표시 패널(DP)의 각 구성들은 표시 모듈(DM)의 중립면(NP, 도 3 참조)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윈도우(WM) 및 보호층(PF)보다 적은 스트레인(strain)을 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패널(DP) 내에 포함되는 발광 소자 및 회로 등은 스트레인에 의해 손상되지 않거나, 손상되는 정도가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지지 모듈(SM)의 구동축(DX)은 지지바들(SP) 및 힌지들(HG) 등 각 구성들의 두께, 배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축(DX)은 측면상에서 힌지(HG)를 관통하여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a는 평평한 상태의 일부 지지 모듈(SM) 및 레진층(LR)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일부 지지 모듈(SM) 및 레진층(LR)의 롤링 상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예시적으로 복수의 힌지들(HG) 중 하나의 힌지(HG)와 상기 힌지(HG)에 결합된 1개의 서브 지지바(SP-S) 및 2개의 지지바들(SP-a)을 도시하였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이웃하는 지지바들(SP-a)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지지바(SP-a)와 이웃하는 지지바(SP-a)는 서브 지지바(SP-S)를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지지바들(SP-a)과 서브 지지바(SP-S)는 과 각각 제2 방향(DR2)을 따라 제1 간격(T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간격(T1)은 1mm 이하일 수 있다. 다만, 제1 간격(T1)의 수치는 상기 예에 제한되지 않고 1mm 이상일 수 있다.
도 9a는 도 8a에 도시된 절단선 III-III'에 대응하는 일 실시예의 지지 모듈(SM) 및 레진층(LR)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b는 도 8b에 도시된 절단선 IV-IV'에 대응하는 일 실시예의 지지 모듈(SM) 및 레진층(LR)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레진층(LR)은 서브 지지바(SP-S)의 상면 및 지지바들(SP-a)의 상면들을 커버할 수 있다. 레진층(LR)은 서브 지지바(SP-S)와 이웃한 지지바들(SP-a) 사이의 틈을 커버하여 평탄한 상면을 제공하는 층일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지지 모듈(SM)의 롤링 시, 서브 지지바(SP-S)와 서브 지지바(SP-S)에 이웃한 지지바들(SP-a) 사이의 간격은 레진층(LR)으로부터 이격될 수록 평평한 상태 대비 벌어질 수 있다. 레진층(LR)은 벌어진 틈을 커버하여 레진층(LR) 상에 배치되는 표시 모듈(DM)의 면 품위를 개선시킬 수 있다. 그러나, 롤링 시, 지지바들(SP-a)의 모서리에 인접하는 레진층(LR)의 일 부분들(10)은 스트레스가 집중될 수 있다.
도 10a는 도 8a에 도시된 절단선 III-III'에 대응하는 일 실시예의 지지 모듈(SM) 및 레진층(LR)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b는 도 8b에 도시된 절단선 IV-IV'에 대응하는 일 실시예의 지지 모듈(SM) 및 레진층(LR)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지지 모듈(SM)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지지 모듈(SM)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들을 포함하며, 일부 구성에 차이가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지지 모듈(SM)은 서브 지지바(SP-S)와 서브 지지바(SP-S)에 이웃한 지지바(SP-a) 사이의 제2 방향(DR2)을 따라 이격된 공간에 충진되는 접합부(L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합부(LM)는 서로 마주하는 서브 지지바(SP-S)의 일 면과 지지바(SP-a)의 일 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접합부(LM)는 레진을 포함할 수 있다. 접합부(LM)는 탄성 중합체(Elastomer)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접합부(LM)의 모듈러스는 50MPa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합부(LM)의 모듈러스는 1kPa 이상 50MPa 이하일 수 있다. 접합부(LM)의 모듈러스가 1kPa 보다 작으면, 롤링에 의해 변형된 형상이 원래 상태로 돌아오지 못하고 쉽게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레진층(LR)의 모듈러스가 50MPa 보다 크면 유연성이 저하되어 롤링시 깨질 수 있다.
접합부(LM)는 레진층(LR)과 동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것처럼, 접합부(LM)는 레진층(LR)의 일 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것처럼, 접합부(LM)는 레진층(LR)과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합부(LM)와 레진층(LR)은 동일 공정 내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합부(LM)와 레진층(LR)은 순차적인 공정에 의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진층(LR) 형성 전, 접합부(LM)는 별도의 레진 도포 및 경화 공정을 거쳐 형성될 수 있다. 접합부(LM)가 형성된 후, 레진층(LR)은 레진 도포 및 경화 공정을 거쳐 형성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접합부(LM)는 레진층(LR) 및 지지바들(SP-a)의 모서리에 접촉할 수 있다. 지지 모듈(SM)의 롤링 시, 접합부(LM)는 서브 지지바(SP-S)와 서브 지지바(SP-S)에 이웃한 지지바들(SP-a) 사이의 틈이 벌어짐에 따라 인장될 수 있다. 접합부(LM)는 지지바들(SP-a)의 모서리에 인접하는 레진층(LR)의 일 부분(20)에 스트레스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레진층(LR)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모듈의 일부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일부 영역(BB)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11a는 예시적으로 하나의 서브 지지바(SP-S) 및 서브 지지바(SP-S)에 인접하는 2개의 지지바들(SP-a, SP-a')을 도시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지지바들(SP-a, SP-a')이 상이한 형상을 갖도록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지지 모듈(SM)에 포함된 지지바들의 형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지지바들(SP-a, SP-a')은 접합부(LM)에 접촉하는 복수의 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SP-a, SP-a')는 각각 접합부(LM)에 접촉하며,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지지바(SP-a, SP-a')의 장변에 나란한 제1 면(100) 및 제1 면(100)으로부터 절곡된 제2 면(20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SP-a, SP-a')는 서브 지지바(SP-S)의 일 면과 마주하는 제3 면(300)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면(300)은 제1 면(100)에 평행할 수 있다. 제2 면(200)은 제1 면(100) 및 제3 면(300)에 연결된 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지지바(SP-a')의 제2 면(200)과 제3 면(300) 사이의 각도(θ1)는 직각일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지지바(SP-a)는 각각 접합부(LM)에 접촉하며, 제2 면(200) 및 제3 면(300)에 연결된 제4 면(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면(400)은 제2 면(200)으로부터 절곡된 면일 수 있다. 제2 면(200)과 제4 면(400) 사이의 각도(θ2)는 둔각일 수 있다. 제4 면(400)은 일 방향에 평행한 면일 수 있고, 곡면을 포함하는 면일 수 있다. 접합부(LM)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곡면을 포함하는 지지바(SP-a)에 의해 지지바(SP-a)에 접촉하는 접합부(LM)의 일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3은 일 실시예의 롤링 상태의 지지 모듈의 측면도들을 도시하였다. 도 12b는 도 12a에 도시된 지지 모듈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동일 도면 부호를 부여한 각 구성들의 설명은 상술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3을 참조하면, 롤링 상태의 지지 모듈(SM)에서, 롤링 영역(RA)에 배치된 제1 지지바들(SP-a) 중 롤링축(RX)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제1 지지바(SP-a)는 도 5에 도시된 제2 지지바(SP-b)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1번 지지바(SP1)에 대응될 수 있고, 롤링축(RX)으로부터 가장 먼 제1 지지바(SP-a)는 제2 지지바(SP-b)에 가장 인접한 n번 지지바(SPn)에 대응될 수 있다.
지지 모듈(SM)은 가상의 롤링축(RX)을 중심으로 롤링될 수 있다. 롤링축(RX)은 구동축(DX)에 이격되며,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축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12a는 측면상에서 8각으로 롤링되는 지지 모듈(SM)을 도시하였다. 하지만 지지 모듈(SM)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면, 8각보다 작은 수의 각이나 더 많은 수의 각으로 롤링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지지 모듈(SM)은 제1 지지바들(SP-a) 중 적어도 일부의 제1 지지바들(SP-a) 내에 삽입된 자석들(M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b는 자석(MG)이 삽입된 일부 제1 지지바들(SP-a)의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 12a는 복수의 제1 지지바들(SP-a) 중 일부 지지바들에 자석(MG)이 포함된 일 실시예의 지지 모듈(SM)을 도시하였다. 제1 지지바들(SP-a)의 폭들은 서로 상이하므로, 일부 지지바들의 폭은 내부에 자석(MG)을 배치하기에 충분히 크지 않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일부 지지바들은 자석(MG)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를 참조하면, 8각으로 롤링되는 복수의 제1 지지바들(SP-a) 중 롤링축(RX)으로부터 가장 인접하게 롤링되는 1번 지지바(SP1) 내지 8번 지지바들은 자석(MG)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9번 지지바 내지 n번 지지바(SPn)들은 각각 자석(MG)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제1 지지바들(SP-a)은 모두 자석(MG)을 포함하거나, 도 12a에 도시된 것보다 더 작은 수의 자석(MG)을 포함할 수 있다.
롤링된 상태에서, 제1 지지바들(SP-a) 각각에 포함된 자석들은(MG) 일 방향으로 나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를 참조하면, 4개의 제1 지지바들(SP-a)은 롤링축(RX)으로부터 일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적층되며 롤링될 수 있다. 일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적층된 제1 지지바들(SP-a)에 삽입된 자석들(MG)도 일 방향을 따라 나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8각으로 롤링된 지지 모듈(SM)에서 9번 지지바에 포함된 자석(MG), 17번 지지바에 포함된 자석(MG) 및 25번 지지바에 포함된 자석(MG)은 일 방향을 따라 나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지지 모듈(SM)은 롤링 시 인장되는 접합부(LM, 도 10b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접합부(LM)는 복원력에 의해 인장되기 전으로 돌아가려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지지 모듈(SM)은 제1 지지바들(SP-a) 중 적어도 일부의 지지바들에 삽입된 자석들(MG)을 더 포함함으로써, 자석(MG)들 간의 인력에 의해 지지 모듈(SM)은 안정적으로 롤링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자석들(MG)은 평면상에서 표시 모듈(DM)의 표시 영역(DA)에 이격될 수 있다. 하나의 제1 지지바(SP-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MG)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2b는 하나의 제1 지지바(SP-a)에 삽입된 2개의 자석들(MG)을 도시하였다. 하나의 제1 지지바(SP-a)에 포함된 자석들(MG)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롤링 영역(RA)에 배치되는 제1 지지바들(SP-a)의 폭들은 롤링되는 곡률 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지지바들(SP-a)의 폭들은 롤링축(RX)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질 수 있다. 롤링축(RX)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1번 지지바(SP1)의 제1 폭(W1)은 제1 지지바들(SP-a)의 폭들 중 가장 작을 수 있다. 롤링축(RX)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n번 지지바(SPn)의 제n 폭(Wn)은 제1 지지바들(SP-a)의 폭들 중 가장 클 수 있다.
롤링되는 곡률 반경은 롤링축(RX)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질 수 있다. 곡률 반경이 클수록, 지지바(SP-a)의 폭도 상대적으로 더 클 수 있다. 제1 곡률 반경(R1)으로 롤링되는 1 번 지지바(SP1)의 제1 폭(W1)은 제1 곡률 반경(R1)보다 큰 제2 곡률 반경(R2)으로 롤링되는 2번 지지바(SP2)의 제2 폭(W2) 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지지 모듈(SM)의 롤링 영역(RA)의 길이, 외경(outer diameter) 및 두께는 롤링 영역(RA)에 배치된 복수의 지지바들(SP-a)의 개수 및 폭들과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지 모듈(SM)의 롤링 영역(RA)의 길이는 평평한 상태에서 지지 모듈(SM)의 롤링축(RX)의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정의되는 롤링 영역(RA)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 모듈(SM)의 롤링 영역(RA)의 길이는 평평한 상태에서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된 1번 지지바(SP1)에서부터 n번 지지바(SPn)까지의 전체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지지 모듈(SM)의 롤링 영역(RA)의 길이는 하기 식 1를 만족할 수 있다.
[식 1]
Figure pat00003
상기 식 1에서 L은 지지 모듈(SM) 롤링 영역(RA)의 길이이다. 상기 식 1에서 x는 지지 모듈(SM)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지지바들(SP-a)의 개수이고, a는 제1 지지바들(SP-a)의 폭들 중 가장 작은 폭의 값, b는 이웃하는 지지바들 사이의 폭 값의 차이이다. 예를 들어, a는 폭이 가장 작은 1번 지지바(SP1)의 제1 폭(W1)일 수 있고, b는 1번 지지바(SP1)의 제1 폭(W1)과 1번 지지바(SP1)에 이웃하는 2번 지지바(SP2)의 제2 폭(W2)과 제1 폭(W1)간의 차이일 수 있다.
지지 모듈(SM)의 외경(OD)은 롤링 상태에서 지지 모듈(SM)의 최외곽의 지름을 의미한다. 지지 모듈(SM)의 외경(OD)은 롤링축(RX)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며 롤링된 제1 지지바들(SP-a) 중 제3 방향(DR3)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하나의 지지바의 하면에서부터 다른 하나의 지지바의 하면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지지 모듈(SM)의 외경(OD)은 롤링 상태에서 롤러블 표시 장치(DD)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지지 모듈(SM)의 외경(OD)은 하기 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식 2]
Figure pat00004
상기 식 2에서 D는 지지 모듈(SM)의 외경(OD)이다. 상기 식 2에서 x, a 및 b 각각은 상기 식 1의 x, a 및 b와 동일하다.
지지 모듈(SM)의 두께(TT)는 도 6을 참조하며 상술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지지 모듈(SM)의 두께(TT)는 하기 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식 3]
Figure pat00005
상기 식 3에서 T는 지지 모듈(SM)의 두께(TT)이다. 상기 식 3에서 x, a 및 b 각각은 상기 식 1의 x, a 및 b와 동일하다.
도 14a 및 14b는 비교예 및 실시예의 면 품위 특성을 비교한 이미지들이다. 도 15a 및 15b는 비교예 및 실시예의 면 품위 특성을 비교한 그래프들이다.
도 14a는 비교예의 면 품위 특성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14b는 실시예의 면 품위 특성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비교예는 지지 모듈(SM)과 표시 모듈(DM) 사이에 레진층(LR)이 미배치된 롤러블 표시 장치(DD)이며, 실시예는 지지 모듈(SM)과 표시 모듈(DM) 사이에 레진층(LR)이 배치된 롤러블 표시 장치(DD)이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이미지들 각각은 오른쪽에 도시된 막대바의 0에 대응되는 기준면으로부터 높이 차이 정도를 여러 색상으로 표현한 것이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기준면은 녹색, 기준면으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돌출된 부분은 적색, 기준면으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함몰된 부분은 파란색으로 도시되었다. 기준면에 대응되는 녹색 부분의 면적이 클수록 돌출 또는 함몰되는 영역의 면적이 작고, 롤러블 표시 장치의 면 품위 특성이 뛰어남을 의미한다.
도 14a 및 도 14b를 비교하면, 기준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색 부분이나, 함몰된 청색 부분의 면적이 도 14a보다 도 14b에서 작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시예(도 14b)의 롤러블 표시 장치의 면 품위 특성이 상대적으로 뛰어남을 의미한다.
또한, 비교예의 롤러블 표시 장치는 기준면으로부터 최대 돌출되거나 최대 함몰된 부분의 높이가 300㎛인 것에 반해, 실시예의 롤러블 표시 장치는 기준면으로부터 최대 돌출되거나 최대 함몰된 부분의 높이가 25㎛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와 비교예의 롤러블 표시 장치는 돌출되거나 함몰된 정도가 약 250㎛ 이상 차이 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이 정의하는 측면상에서 바라본 롤러블 표시 장치의 돌출 또는 함몰 정도를 도시한 그래프들이다. 그래프의 가로축은 제2 방향(DR2)에 대응될 수 있고, 그래프의 세로축은 제3 방향(DR3)에 대응될 수 있다. 그래프에 도시된 형상이 평탄할수록 면 품위 특성이 뛰어남을 의미한다.
도 15a는 비교예의 면 품위 특성을 표현한 그래프이고, 도 15b는 실시예의 면 품위 특성을 표현한 그래프이다. 비교예 및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롤러블 표시 장치는 비교예의 롤러블 표시 장치 대비, 상대적으로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함몰된 부분이 적고, 그 돌출 또는 함몰된 정도도 작다. 이는 실시예의 롤러블 표시 장치의 면 품위 특성이 상대적으로 뛰어남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지 모듈과 표시 모듈 사이에 평탄한 상면을 제공하는 레진층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롤러블 표시 장치는 면 품위 특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면 품위 특성이 개선된 롤러블 표시 장치는 사용자에게 더 좋은 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의 롤러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몰드 상에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S1), 플레이트와 이격 공간을 형성하도록 몰드 상에 지지 모듈을 배치하는 단계(S2), 이격 공간에 레진을 충진하는 단계(S3), 충진된 레진을 경화하여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S4), 레진층으로부터 플레이트를 분리하는 단계(S5) 및 플레이트가 분리된 레진층 상에 표시 모듈을 배치하는 단계(S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의 일 단계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18a 내지 1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의 일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단면도들은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이 정의하는 측면상에서 바라본 단면을 도시한 것들이다.
도 17a는 몰드(MD) 상에 플레이트(GL)를 배치하는 일 단계(S1)를 도시하였다. 몰드(MD)는 몰드(MD) 상에 배치될 플레이트(GL)를 지지하는 지지부(B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a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플레이트(GL)의 테두리에 인접하는 일부 영역들을 지지하는 지지부(BS)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지지부(BS)는 플레이트(GL)의 하면 전체를 지지할 수 있고, 지지부(BS)의 형상은 플레이트(GL)를 지지할 수 있다면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몰드(MD) 상에 제공되는 플레이트(GL)의 상면은 평탄할 수 있다. 상면이 평탄한 플레이트(GL) 상에 레진층(LR)을 형성시킴으로써 레진층(LR)의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GL)는 상면이 평탄한 유리 플레이트일 수 있다. 유리 플레이트 상에 레진층(LR)을 형성시킴으로써, 레진층(LR)의 상면의 평탄한 정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플레이트(GL)의 실시예가 상기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7b는 플레이트(GL)와 이격 공간을 형성하도록 몰드(MD) 상에 지지 모듈(SM)을 배치하는 일 단계(S2)를 도시하였다. 지지 모듈(SM)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지지 모듈(SM)은 지지 모듈(SM)의 상면이 플레이트(GL)의 상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 모듈(SM)은 지지 모듈(SM)의 하면이 외부에 시인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GL) 상에 지지 모듈(SM)을 제공하기 전, 플레이트(GL) 상면 상에 보호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면에 보호 필름이 배치된 플레이트(GL)가 몰드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보호 필름 상에 레진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필름은 상술한 표시 모듈(DM)의 보호층(PF)을 구성하는 필름일 수 있다. 플레이트(GL)를 보호 필름으로부터 제거한 후, 보호 필름 상에 표시 모듈(DM)의 구성들을 배치할 수 있다. 보호 필름은 공정 과정에서 보호 필름 상에 배치될 표시 모듈의 일부 구성들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은 레진층(LR, 18c 참조)이 형성된 지지 모듈(SM)을 플레이트(GL)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호 필름 배치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7c는 플레이트(GL)와 지지 모듈(SM) 사이의 이격 공간에 레진을 충진하는 일 단계(S3)를 도시하였다. 레진은 이격 공간이 노출된 방향(110)으로 충진될 수 있다. 도 17c를 참조하면, 플레이트(GL)와 지지 모듈(SM) 사이의 이격 공간은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이 정의하는 측면상에서 제2 방향(DR2)으로 노출될 수 있고, 레진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이격 공간 내에 충진될 수 있다.
한편, 몰드(MD)는 몰드(MD)상에 배치된 지지 모듈(SM)을 둘러싸는 외벽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벽들은, 레진이 충진되는 단계에서, 지지 모듈(SM) 및 몰드(MD) 외부로 레진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a는 플레이트(GL)와 이격 공간(SS)을 형성하도록 몰드(MD) 상에 지지 모듈(SM)을 배치한 일 단계를 도시하였다. 지지 모듈(SM)은 지지 모듈(SM)의 상면(SM-U)이 플레이트(GL)의 상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모듈(SM)의 상면(SM-U)은 상술한 복수의 지지바들(SP-a) 각각의 제1 부분들(SP-1, 도 6 참조)의 상면에 대응될 수 있다.
지지 모듈(SM)의 형상은 지지 모듈(SM)의 상면(SM-U)으로부터 절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모듈(SM)의 절곡된 부분은 상술한 복수의 지지바들(SP-a) 각각의 제2 부분(SP-2, 도 6 참조) 및 제3 부분(SP-3, 도 6 참조)들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및 제3 부분들(SP-2, SP-3, 도 6 참조)의 상면들(SP-2-U, SP-3-U, 도 6 참조)은 몰드(MD)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모듈(SM)과 플레이트(GL)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SS)은 레진이 충진될 공간일 수 있다. 이격 공간(SS)은 제3 방향(DR3)을 따라 제1 두께(D1)를 가질 수 있다. 제1 두께(D1)는 후속 공정들을 통해 형성될 레진층(LR)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지지 모듈(SM)을 플레이트(GL) 상에 제공하기 전, 지지 모듈(SM)의 상면(SM-U) 상에 프라이머(Primer)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라이머는 레진과의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라이머에 의해 지지 모듈(SM)의 상면(SM-U)과 이격 공간(SS)을 통해 충진될 레진 사이의 접착력이 증가될 수 있다. 프라이머가 도포 되지 않은 영역에 제공된 레진은 프라이머가 도포된 영역에 제공된 레진보다 상대적으로 쉽게 제거될 수 있고,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레진이 접착되는 영역과 미접착되는 영역을 구분시킬 수 있다.
도 18b는 레진층(LR)을 형성한 일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레진층(LR)은 이격 공간(SS) 내에 레진을 충분히 충진한 후,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레진층(LR) 형성 단계에서, 지지 모듈(SM)에 포함된 접합부(LM, 도 10b 참조)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레진의 양을 조절하여, 지지바들(SP-a) 사이의 이격 공간 및 플레이트(GL)와 지지 모듈(SM) 사이의 이격 공간(SS)에 레진을 충진시킬 수 있고, 그 후 경화를 통해, 레진층(LR) 및 접합부(LM)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 모듈(SM)의 상면(SM-U)이 외부로 시인되도록 배치한 후, 지지 모듈(SM)의 상면(SM-U) 상에 레진을 도포 및 경화하여 접합부(LM)를 먼저 형성한 후, 레진층(LR)을 형성할 수 있다.
형성된 레진층(LR)의 상면은 플레이트(GL)의 상면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레진층(LR)의 상면의 평탄한 정도는 플레이트(GL)에 의해 향상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레진층(LR) 상에 배치될 표시 모듈(DM)의 면 품위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형성된 레진층(LR)의 두께는 이격 공간(SS)의 제1 두께(D1)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8c는 지지 모듈(SM) 상에 레진층(LR)을 형성한 후, 레진층(LR)으로부터 플레이트(GL)를 분리하는 일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레진층(LR)이 형성된 지지 모듈(SM)은 플레이트(GL)가 배치된 몰드(MD)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지지 모듈(SM)의 절곡된 부분의 상면(SM-Ua)은 상술한 지지바들(SP-a)의 제2 및 제3 부분들(SP-2, SP-3, 도 6 참조)의 상면들(SP-2-U, SP-3-U, 도 6 참조)에 대응될 수 있다. 지지 모듈(SM)의 절곡된 부분의 상면(SM-Ua)으로부터 레진층(LR) 까지는 제2 두께(D2)를 가질 수 있다.
도 18d는 플레이트(GL, 18c 참조)로부터 분리된 레진층(LR) 상에 표시 모듈(DM)을 배치하여, 일 실시예의 롤러블 표시 장치(DD)을 제조하는 일 단계를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표시 모듈(DM)은 레진층(LR) 상에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상면(DM-U)은 지지 모듈(SM)의 절곡된 부분의 상면(SM-Ua)과 단면상에서 일치할 수 있다. 즉, 표시 모듈(DM)의 두께는 상술한 제2 두께(D2)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모듈(DM)은, 굴곡지거나 틈이 있는 지지 모듈(SM)의 상면(SM-U) 상에 형성된 레진층(LR)에 의해 면 품위가 개선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의 롤러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중 플레이트(GL)와 이격 공간(SS)을 형성하도록 몰드(MD) 상에 지지 모듈(SM)을 배치한 일 단계를 도시하였다.
지지 모듈(SM)을 배치하기 전, 플레이트(GL) 상에 스페이서(SC)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SC)는 플레이트(GL)의 테두리에 인접하도록 플레이트(GL)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SC)는 지지 모듈(SM)의 상면(SM-U)을 지지할 수 있다.
스페이서(SC)의 두께는 이격 공간(SS)의 두께(D1)에 대응될 수 있다. 스페이서(SC)의 두께를 조절하여, 형성될 레진층(LR)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스페이서(SC)는 레진층(LR)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레진층(LR)은 이격 공간(SS) 내에 충진된 레진에 스페이서(SC)가 포함된 상태로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일 단계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20d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일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몰드(MD) 상에 제1 댐부(DAM1) 및 제2 댐부(DAM2)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0a는 지지 모듈(SM)이 배치된 몰드(MD) 상에 제1 댐부(DAM1)를 배치하는 일 단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 댐부(DAM1)는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 몰드(MD)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댐부들(DAM1)은 지지바들(SP)이 연장된 방향과 나란한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댐부들(DAM1)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지지 모듈(SM)의 일단 및 타단을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댐부들(DAM1)은 지지 모듈(SM)을 사이에 두고,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댐부들(DAM1)은 몰드(MD)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댐부들(DAM1)은 몰드(MD) 상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것일 수 있고, 지지 모듈(SM)을 지지한다면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댐부들(DAM1)은 이격 공간(SS, 도 20e 참조)에 충진되는 레진이 지지 모듈(SM)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정 단계에서, 제1 댐부들(DAM1)은 레진이 이격 공간(SS, 도 20e 참조)에 충분히 충진되도록 할 수 있고, 레진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댐부들(DAM1) 중 적어도 하나의 댐부는 홀(HO)이 정의될 수 있다. 홀(HO)은 제1 댐부(DAM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홀(HO)은 플레이트(GL)와 지지 모듈(SM) 사이의 이격 공간(SS, 도 20e 참조)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레진은 홀(HO)을 통해 주입될 수 있고, 홀(HO)을 통과한 레진은 이격 공간(SS, 도 20e 참조) 내로 충진될 수 있다.
도 20b는 제1 댐부(DAM1)가 배치된 몰드(MD) 상에 제2 댐부(DAM2)를 배치하는 일 단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 댐부(DAM2)는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 몰드(MD)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댐부들(DAM2)은 제1 댐부들(DAM1)이 연장된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댐부들(DAM2)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의 정의하는 면에 평행한 지지 모듈(SM)의 하면을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댐부들(DAM2)은 서로 제1 방향(DR1)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제2 댐부들(DAM2)은 이격 공간(SS, 도 20e 참조)에 충진되는 레진이 지지 모듈(SM)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댐부들(DAM2)은 지지 모듈(SM)이 공정 중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댐부들(DAM2)은 제1 댐부들(DAM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댐부들(DAM1) 상에 접촉하여 배치되거나, 몰드(MD)에 직접 결합되는 것일 수 있고, 지지 모듈(SM)을 지지한다면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0c는 제1 댐부들(DAM1) 및 제2 댐부들(DAM2)이 배치된 후, 이격 공간(SS) 내에 레진을 충진하는 일 단계를 도시하였다. 도 20d는 도 20c에 도시된 일 단계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20d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댐부(DAM1)의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에 평행한 일 측면과 마주하며 중첩하는 지지 모듈(SM) 및 플레이트(GL)를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레진(LR-a)은 홀(HO) 내부로 주입되도록 제1 댐부(DAM1)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레진(LR-a)이 제공되는 방향(120)을 예시적으로 도 20c에 도시하였다. 도 20c 및 도 20d를 참조하면, 레진(LR-a)은 홀(HO)을 통과하여, 홀(HO)과 이어지는 플레이트(GL)와 지지 모듈(SM) 사이의 이격 공간(SS)으로 주입되고, 이격 공간(SS)을 충진 할 수 있다. 충분히 충진 한 후, 경화하면 도 18b에 도시된 것처럼, 레진층(LR)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롤러블 표시 장치는 지지 모듈, 지지 모듈 상에 배치된 표시 모듈 및 지지 모듈과 표시 모듈 사이에 배치된 레진층에 의해, 표시 모듈의 면 품위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모듈의 구동축이 표시 모듈의 중립면과 단면상에서 일치하도록 정의됨으로써, 표시 모듈에 포함된 표시 패널이 외부 응력에 의해 압축되거나 인장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표시 패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롤러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지지 모듈 상에 평탄한 상면을 제공하는 레진층을 형성하고, 레진층 상에 표시 모듈을 배치함으로써, 표시 모듈의 면 품위가 향상된 롤러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롤러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상면이 평탄한 플레이트 배치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지지 모듈과 플레이트 사이에서 형성되는 레진층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롤러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댐부들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제조 과정에서 지지 모듈의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지지 모듈을 고정할 수 있고, 레진이 지지 모듈의 외부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DM: 표시 모듈
DA: 표시 영역 NDA: 비표시 영역
SM: 지지 모듈 SP: 지지바
SP-S: 서브 지지바 HG: 힌지
CF: 연성 회로 기판 MB: 메인 회로 기판
WM: 윈도우 PF: 보호층
LR: 레진층 DP: 표시 패널
SP-1: 제1 부분 SP-2: 제2 부분
SP-3: 제3 부분 DX: 구동축
CC: 결합부 HH: 결합홈
LM: 접합부 RX: 롤링축
SP-a: 제1 지지바 SP-b: 제2 지지바
MG: 자석 MD: 몰드
BS: 지지부 GL: 플레이트
DAM1: 제1 댐부 DAM2: 제2 댐부
LR-a: 레진

Claims (20)

  1. 지지 모듈;
    상기 지지 모듈 상에 배치되고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지지 모듈과 상기 표시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레진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모듈은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모듈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지지바들; 및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이웃하는 지지바에 결합된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와 결합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중립면은 상기 표시 패널 내에 정의되고,
    상기 구동축은 단면상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관통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상에서 상기 표시 모듈의 중립면은 상기 구동축과 동일한 위치에 정의되는 롤러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층의 모듈러스는 1kPa 이상 50MPa 이하인 롤러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힌지에 정의된 결합홈에 삽입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의 회전은 상기 결합홈을 따라 이루어지는 롤러블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힌지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서브 지지바를 더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정의되는 폭을 갖고,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각각의 폭은 서로 상이한 롤러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중 이웃하는 지지바들 사이의 폭 차이는 동일한 롤러블 표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모듈은 롤링 영역 및 상기 롤링 영역에 인접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모듈은 평평한 상태 또는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이격된 롤링축을 중심으로 롤링된 상태를 가지며,
    상기 평평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정의되는 상기 지지 모듈의 롤링 영역의 길이는 식 1을 만족하고,
    상기 롤링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모듈의 외경(outer diameter)은 식 2를 만족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식 1]
    Figure pat00006

    [식 2]
    Figure pat00007

    상기 식 1 및 상기 식 2에서 L은 상기 지지 모듈의 상기 롤링 영역의 길이, D는 상기 지지 모듈의 외경, x는 상기 지지바들의 개수, a는 상기 지지바들의 폭들 중 가장 작은 폭의 값, b는 이웃하는 상기 지지바들의 간의 폭 값의 차이이다.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사이의 이격 공간을 충진하는 복수의 접합부들을 더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합부들은 상기 레진층과 일체의 형상을 가진 롤러블 표시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은 상기 접합부들에 접촉하는 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면들 중 적어도 일부는 곡면을 갖는 롤러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 내에 삽입된 복수의 자석들을 더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석들은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영역에 이격되는 롤러블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레진층 사이에 배치된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립면은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 사이에 정의되는 롤러블 표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성 회로 기판 및
    상기 지지 모듈의 하면 상에 배치된 메인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은
    상기 표시 영역에 중첩하고 서로 연결된 제1 지지바들 및 상기 제1 지지바들 중 상기 제2 방향에서 최 외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제1 지지바와 연결된 제2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회로 기판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지지바들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 지지바와 중첩하며,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제2 지지바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며 상기 메인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롤러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바들의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정의되는 폭들은 상기 제2 지지바에 인접할수록 증가되는 표시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연성 회로 기판 및 상기 메인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18. 지지부를 포함하는 몰드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몰드 상에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플레이트와 소정의 이격 공간을 형성하며 지지 모듈의 상면과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지지 모듈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이격 공간에 레진을 충진하는 단계;
    상기 레진을 경화하여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레진층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기 레진층 상에 표시 모듈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모듈을 배치하기 전, 상기 지지 모듈의 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를 배치한 후,
    상기 플레이트 상에 상기 지지 모듈의 상면을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상기 플레이트의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210010888A 2021-01-26 2021-01-26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10827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888A KR20220108279A (ko) 2021-01-26 2021-01-26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7/536,266 US11849551B2 (en) 2021-01-26 2021-11-29 Rollabl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CT/KR2022/000608 WO2022164093A1 (ko) 2021-01-26 2022-01-13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2280007298.1A CN116529805A (zh) 2021-01-26 2022-01-13 可卷曲显示设备及用于制造可卷曲显示设备的方法
US18/387,496 US20240074074A1 (en) 2021-01-26 2023-11-07 Rollabl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888A KR20220108279A (ko) 2021-01-26 2021-01-26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279A true KR20220108279A (ko) 2022-08-03

Family

ID=8249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888A KR20220108279A (ko) 2021-01-26 2021-01-26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849551B2 (ko)
KR (1) KR20220108279A (ko)
CN (1) CN116529805A (ko)
WO (1) WO20221640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5719B2 (en) * 2021-11-03 2023-10-1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0370B2 (en) * 2002-11-21 2010-05-04 Polymer Vision Limited Flexible display device rollable between rolled-up and unrolled states
WO2010041227A1 (en) * 2008-10-12 2010-04-15 Barit, Efrat Flexib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6198194B2 (ja) * 2012-12-05 2017-09-27 齋藤 敬 表示装置
US9940892B2 (en) 2014-05-20 2018-04-10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101621458B1 (ko) 2014-07-07 2016-05-17 주식회사 세코닉스 메탈메쉬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용 마스터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의 제조방법
KR102319543B1 (ko) 2014-10-22 2021-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롤러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398162B1 (ko) * 2015-02-10 2022-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KR102306540B1 (ko) 2015-04-30 2021-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9772657B2 (en) * 2015-04-30 2017-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KR102384576B1 (ko) * 2015-06-15 2022-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378758B1 (ko) * 2015-06-19 2022-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WO2017003415A1 (en) * 2015-06-27 2017-01-05 Intel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structure
KR102454386B1 (ko) 2016-04-29 2022-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102492731B1 (ko) * 2016-06-09 2023-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20180025358A (ko) * 2016-08-29 2018-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578589B1 (ko) * 2016-09-30 2023-09-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391961B1 (ko) * 2018-01-29 2022-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66152B1 (ko) * 2018-02-22 202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변경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9604B1 (ko) * 2018-02-23 202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69451B1 (ko) 2018-12-20 2023-08-24 희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패턴에 레진을 충진하는 방법
US20220201108A1 (en) * 2019-03-27 2022-06-2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20200126449A (ko) * 2019-04-29 2020-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75556B1 (ko) * 2019-04-30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16018A (ko) * 2020-03-17 2021-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39921A (ko) * 2020-04-08 2022-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1206193A1 (ko) * 2020-04-09 2021-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220150318A (ko) * 2020-05-07 2022-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246802A1 (ko) * 2020-06-05 2021-1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54153A (ko) * 2020-06-30 202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EP4097563A4 (en) * 2020-07-14 2023-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 ANTENNA ARRANGEMENT
US11493956B2 (en) * 2020-07-14 2022-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KR20220030625A (ko) * 2020-09-03 2022-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54996A1 (ko) * 2020-09-14 2022-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989061B2 (en) * 2020-09-23 2024-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CN116348942A (zh) * 2020-10-12 2023-06-27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柔性显示器的电子装置
EP4128729A4 (en) * 2020-10-12 2023-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A FRICTION-REDUCING STRUCTURE
WO2022098159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부착 구조
WO2022114266A1 (ko) * 2020-11-26 2022-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EP4155864A4 (en) * 2020-12-02 2023-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EP4224280A4 (en) * 2020-12-04 2024-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US20220182477A1 (en) * 2020-12-04 2022-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JP2024502774A (ja) * 2020-12-23 2024-01-23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ローラブル電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40402A1 (en) 2022-07-28
CN116529805A (zh) 2023-08-01
US20240074074A1 (en) 2024-02-29
US11849551B2 (en) 2023-12-19
WO2022164093A1 (ko)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6377B2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7217310B2 (ja) 発光装置
US20210280828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CN104241316B (zh) 具有改进的弯曲属性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80021299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180042485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21578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제조방법
KR102497285B1 (ko) 만입된 형상의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40074074A1 (en) Rollabl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4078377A (zh) 显示设备
KR20220045604A (ko) 전자 장치
WO2020199322A1 (zh) 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30023121A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20042269A (ja) 湾入した形状の表示部を含む表示装置
TWI761015B (zh) 可撓式顯示模組
KR20230088600A (ko) 전자 장치
KR20230160682A (ko) 표시 장치
KR20230061639A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40043836A (ko) 표시 장치
KR20230170111A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18076161A (zh) 显示装置
KR20230096217A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