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3836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3836A
KR20240043836A KR1020220122155A KR20220122155A KR20240043836A KR 20240043836 A KR20240043836 A KR 20240043836A KR 1020220122155 A KR1020220122155 A KR 1020220122155A KR 20220122155 A KR20220122155 A KR 20220122155A KR 20240043836 A KR20240043836 A KR 20240043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blocking
disposed
display panel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2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식
박정민
송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2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3836A/ko
Priority to US18/134,180 priority patent/US20240107858A1/en
Priority to CN202322008235.2U priority patent/CN220570916U/zh
Priority to CN202310938698.0A priority patent/CN117794317A/zh
Publication of KR20240043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3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7Arrangements for heating or cool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4Arrangements for heating and cool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및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차광 부재를 포함하는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커버 패널; 및 상기 커버 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 패널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커버 스페이서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패널은, 제1 쿠션층, 상기 제1 쿠션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쿠션층, 상기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2 쿠션층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층, 상기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2 쿠션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방열층과 중첩하는 차광층, 상기 표시 패널 및 제1 쿠션층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결합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방열층은 상기 차광 부재와 중첩하고,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방열층의 일 단부는, 상기 상부 결합층,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커버 스페이서의 일 단부보다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돌출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이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층을 중심으로 캐소드 전극, 애노드 전극이 배치되고, 이러한 양 전극들에 전압을 가하면 양 전극들에 연결된 유기 발광층에서 가시광선이 발생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스마트폰 등 휴대 전자 기기에 많이 사용되는데, 외부 충격에 노출되기 쉽다. 또, 유기 발광 소자나 이를 구동하는 구동칩 등에서 과도한 열이 발생하면 소자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위험으로부터 표시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표시 패널의 하면에 방열, 완충 등의 기능을 갖는 커버 패널을 부착한다.
커버 패널이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 커버 패널의 단부가 외부에 시인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 커버 패널이 윈도우의 차광 부재와 일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커버 패널과 차광 부재가 중첩하는 만큼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커버 패널의 단부가 외부에 시인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데드 스페이스를 줄임으로써 소형화 및 집적화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커버 패널 및 표시 패널의 내면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고, 접촉 시에도 크랙 발생의 위험이 최소화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및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차광 부재를 포함하는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커버 패널; 및 상기 커버 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 패널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커버 스페이서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패널은, 제1 쿠션층, 상기 제1 쿠션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쿠션층, 상기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2 쿠션층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층, 상기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2 쿠션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방열층과 중첩하는 차광층, 상기 표시 패널 및 제1 쿠션층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결합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방열층은 상기 차광 부재와 중첩하고,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방열층의 일 단부는, 상기 상부 결합층,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커버 스페이서의 일 단부보다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돌출된다.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결합층 및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패턴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방열층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패턴 필름의 일 단부와 정렬할 수 있다.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방열층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패턴 필름의 일 단부보다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결합층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패턴 필름의 일 단부보다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쿠션층, 상기 제2 쿠션층,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상부 결합층의 일 단부는 상기 차광 부재의 타 단부와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2 쿠션층은 상기 차광 부재와 중첩하고, 상기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2 쿠션층의 일 단부는, 상기 상부 결합층,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커버 스페이서의 일 단부보다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2 쿠션층의 일 단부는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결합층 및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패턴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결합층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패턴 필름의 일 단부보다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2 쿠션층의 일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타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쿠션층, 상기 제2 쿠션층,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상부 결합층의 일 단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층, 상기 방열층, 상기 제1 쿠션층, 상기 제2 쿠션층,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상부 결합층의 일 단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및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차광 부재; 상기 표시 패널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커버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커버 패널은, 방열층, 상기 방열층 상에 배치되는 차광층, 상기 차광층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되는 상부 결합층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패널의 일 단부인 커버 패널 엣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 패널 엣지는,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방열층의 일 단부를 포함하는 제1 엣지, 및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상부 결합층의 일 단부를 포함하는 제2 엣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엣지는 상기 제2 엣지보다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패널 엣지는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패널 엣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패널 엣지는 둥근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면 상에 위치하는 제1 쿠션층; 상기 제1 쿠션층 상에 위치하는 차광층; 상기 차광층 상에 위치하는 방열층; 상기 방열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쿠션층; 및 상기 차광층과 상기 방열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층간 결합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간 결합층은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방열층과 직접 접촉한다.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면 상에 위치하는 차광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방열층의 일 단부는 상기 차광 부재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방열층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2 쿠션층의 일 단부보다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커버 패널의 단부가 외부에 시인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데드 스페이스를 줄임으로써 소형화 및 집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커버 패널 및 표시 패널의 내면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고, 접촉 시에도 크랙 발생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벤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Ⅰ-Ⅰ' 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 "좌" 및 "우"로 지칭되는 것들은 다른 소자와 바로 인접하게 개재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재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표시 장치(1)는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텔레비전 등의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표시면(IS)에 제3 방향(DR3)을 향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면(IS)은 표시 장치(1)의 전면(front surface)과 대응될 수 있다. 영상은 동적인 영상은 물론 정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은 각각 수평 방향으로서 서로 교차한다. 예컨대,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은 상호 직교할 수 있다. 또한, 제3 방향(DR3)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대해 교차하며, 예컨대 직교하는 수직 방향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이 정의된다. 전면과 배면은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대향(opposing)되고, 전면과 배면 각각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과 평행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전면은 투과 영역(TA) 및 베젤 영역(BZ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사용자는 투과 영역(TA)을 통해 영상을 시인한다. 본 실시예에서, 투과 영역(TA)은 꼭짓점들이 둥근 사각 형상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투과 영역(TA)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인접한다. 베젤 영역(BZ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을 에워쌀 수 있다. 이에 따라, 투과 영역(TA)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베젤 영역(BZ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의 일 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는 외부 케이스(EDC)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EDC)는 표시 모듈(10) 및 하부 모듈(20)을 수용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EDC)는 상부 모듈(30)과 결합되어 표시 장치(1)의 외관을 정의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EDC)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며 표시 모듈(10)로 침투되는 이물질/수분 등을 방지하여 외부 케이스(EDC)에 수용된 구성들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케이스(EDC)는 복수의 수납 부재들이 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벤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Ⅰ-Ⅰ' 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모듈(10), 표시 모듈(10)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모듈(20), 및 표시 모듈(10)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10)은 표시 패널(110), 표시 패널(110) 상부에 배치된 광학 필름(120), 표시 패널(110) 하부에 배치된 패턴 필름층(130), 및 벤딩 영역(BA) 상에 배치된 벤딩 보호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10)은 입력된 데이터 신호에 의해 이미지를 표시하는 패널로서, 유기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전기습윤 표시 패널,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마이크로 LED(Light emitting diode) 표시 패널 등의 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110)로서 유기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표시 패널(110)은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가요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표시 패널(110)은 휘어지거나, 절곡되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A)은 사각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즉, 표시 영역(DA)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가요성을 가지며 일 방향으로 접힌 벤딩 영역(BA) 및 벤딩 영역(BA)의 적어도 일측에 연속하며 접히지 않고 편평한 플랫 영역(F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랫 영역(FA)은 가요성을 가지거나 혹은 가요성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벤딩 영역(BA)은 비표시 영역(NDA)에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벤딩 영역(BA)은 표시 영역(DA)에 제공될 수도 있다. 플랫 영역(FA)은 벤딩 영역(BA)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제1 플랫 영역(FA1) 및 제2 플랫 영역(F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랫 영역(FA1)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제1 플랫 영역(FA1)에 연속하며 비표시 영역(NDA)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플랫 영역(FA2)은 벤딩 영역(BA)에 연속하며 비표시 영역(NDA)에 제공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과 제2 플랫 영역(FA2)은 비표시 영역(NDA)의 돌출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에서 표시 패널(110)은 하측 방향, 즉 표시면의 반대 방향으로 곡률을 가지고 벤딩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구간별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벤딩 영역(BA)에서 표시 패널(110)은 반원 형상 또는 반타원 형상을 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컨대, 표시 패널(11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또는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 패널(11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설명된다.
광학 필름(120)은 표시 패널(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필름(120)은 편광 필름, 마이크로 렌즈, 프리즘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광학 필름(120)은 표시 패널(11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학 필름(120)의 하면에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결합층(미도시)이 배치되고, 이를 통해 표시 패널(11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결합층(미도시)은 광학 투명 결합층, 또는 결합 투명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접착 물질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 필름층(130)은 표시 패널(1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패턴 필름층(130)은 표시 패널(110) 및 상부 결합층(211)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10) 및 표시 패널(110) 하부에 배치된 하부 모듈(20)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패턴 필름층(130)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서로 이격된 제1 패턴 필름(131) 및 제2 패턴 필름(132)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 필름층(130)은 플랫 영역(FA)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패턴 필름층(130)은 벤딩 영역(BA)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제1 플랫 영역(FA1)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1 패턴 필름(131)이 배치될 수 있고, 제2 플랫 영역(FA2)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2 패턴 필름(132)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10)의 내측면이 커버 패널(210)을 향하여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패턴 필름층(13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술폰(PSF),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시클로올레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벤딩 보호층(140)은 표시 패널(110)의 일부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벤딩 보호층(140)은 표시 패널(110)의 벤딩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벤딩 영역(BA) 이외의 비표시 영역(NDA) 중 일부 영역 상에도 배치될 수 있다.
벤딩 보호층(140)은 폴리이미드,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등과 같은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벤딩 보호층(140)은 표시 패널(110)의 벤딩 시 기판(110-1; 도 6 참조)에 가해지는 응력에 의한 크랙 발생을 최소화하며 상기 크랙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모듈(1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표시 모듈(10)은 구동 회로(IC) 및 연성 회로 기판(FPC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회로(IC)는 표시 패널(110)의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스캔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스캔 신호들을 스캔 라인들로 전달하는 스캔 구동 회로,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라인들로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 회로, 및 발광 제어 신호를 발광 제어 라인들로 전달하는 발광 제어 구동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회로(IC)는 표시 패널(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회로(IC)는 표시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N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회로(IC)가 표시 패널(110) 상에 배치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동 회로(IC)는 연성 회로 기판(FPCB)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연성 회로 기판(FPCB)은 표시 패널(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FPCB)은 구동 회로(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FPCB)은 표시 패널(110)의 구동 회로(IC)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표시 패널(110)에 포함된 구성들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FPCB)은 복수의 구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소자는 표시 패널(110)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회로(IC) 및 연성 회로 기판(FPCB)은 표시 패널(110)의 벤딩 시 표시 패널(110)의 하부 면, 일 예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모듈(20)은 표시 모듈(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부 모듈(20)은 표시 모듈(10)의 배면, 즉 제3 방향(DR3) 타측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모듈(20)은 표시 모듈(10)의 배면에 접촉할 수 있다.
하부 모듈(20)은 표시 모듈(10)의 벤딩 상태에서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표시 모듈(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부 모듈(20)은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제1 패턴 필름(131) 및 제2 패턴 필름(1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모듈(20)은 커버 패널(210) 및 커버 스페이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패널(210)은 제1 패턴 필름(131)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패널(210)은 커버 패널(210) 내에 포함된 상부 결합층(211; 도 8 참조)에 의해 표시 패널(110) 또는 표시 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된 패턴 필름층(130)에 부착될 수 있다.
커버 패널(210)은 방열 기능, 전자파 차폐 기능, 완충 기능, 및/또는 강도 보강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커버 패널(210)의 세부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커버 스페이서(220)는 표시 패널(110)의 벤딩 시에 커버 패널(210)과 표시 패널(110) 사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기 표시 패널(110)의 벤딩(혹은 굴곡)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 스페이서(220)는 후술할 쿠션층(213, 216; 도 8 참고) 또는 강도 보강층(212; 도 8 참고)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을 갖는 물질들 또는 지지 기능을 할 수 있는 물질 중 표시 패널(110)의 설계 조건 등에 적합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 스페이서(220)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thermoplastic elastomer),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커버 스페이서(22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모듈(30)은 표시 모듈(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부 모듈(30)은 표시 모듈(10)의 전면, 즉 제3 방향(DR3) 일측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모듈(30)은 표시 모듈(10)의 전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부 모듈(30)은 윈도우(310) 및 차광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310)는 표시 모듈(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310)는 광학용 투명 접착 부재(OCA)를 통해 표시 모듈(10)과 결합할 수 있다. 윈도우(31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모듈(10)을 보호하고, 사용자에게 입력면 및/또는 표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윈도우(310)는 영상을 출사할 수 있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사파이어,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310)는 단일층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다층 구조는 연속 공정 또는 접착층을 이용한 접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310)는 전체 또는 일부가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310)는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된 부속 자재들이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차광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차광 부재(320)는 유색의 유기물을 포함하는 유기막일 수 있다. 일 예로, 차광 부재(320)는 검정색 유기막 필름일 수 있다. 차광 부재(320)는 코팅 방식으로 윈도우(310)의 배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차광 부재(320)는 윈도우(31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차광 부재(320)는 윈도우(310)의 하측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차광 부재(320)의 하면은 윈도우(310)의 하면과 일치할 수 있다.
차광 부재(320)는 윈도우(310)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광 부재(320)는 실질적으로 베젤 영역(BZA)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NDA)은 제3 방향, 즉 표시 장치(1)의 두께 방향에서 차광 부재(320)와 중첩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는 각도에 따라 비표시 영역(NDA)은 차광 부재(320)와 중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10)은 복수 개의 절연층들 및 반도체 패턴, 도전 패턴, 신호 라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 증착 등의 방식으로 의해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포토리소그래피의 방식으로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을 선택적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이스층(110-1) 위에 회로 소자층(110-2) 및 표시 소자층(110-3)에 포함된 반도체 패턴, 도전 패턴, 신호 라인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표시 소자층(110-3)을 커버하는 봉지층(110-4)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층(110-1)은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합성수지층은 열 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110-1)은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층(110-1)은 합성수지층, 접착층, 및 합성수지층의 3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특히, 합성수지층은 폴리이미드계 수지층일 수 있고, 그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합성수지층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층(110-1)은 유리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110-1)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무기층은 알루미늄옥사이드, 티타늄옥사이드,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은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층의 무기층들은 배리어층 및/또는 버퍼층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10)은 버퍼층(BFL)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버퍼층(BFL)은 베이스층(110-1)과 반도체 패턴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버퍼층(BFL)은 실리콘옥사이드층 및 실리콘나이트라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옥사이드층과 실리콘나이트라이드층은 교번하게 적층될 수 있다.
버퍼층(BFL) 상에 반도체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반도체 패턴은 비정질실리콘 또는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버퍼층(BFL) 상에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반도체 패턴 및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2 반도체 패턴이 배치된다. 제1 반도체 패턴은 제1 소스부(S1), 제1 채널부(A1) 및 제1 드레인부(D1)를 포함하고, 제2 반도체 패턴은 제2 소스부(S2), 제2 채널부(A2) 및 제2 드레인부(D2)를 포함한다. 제1 채널부(A1)는 제1 소스부(S1) 및 제1 드레인부(D1)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채널부(A2)는 제2 소스부(S2) 및 제2 드레인부(D2) 사이에 배치된다. 도 6에는 연결 신호 라인(SCL)의 일부분을 도시하였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결 신호 라인(SCL)은 평면 상에서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2 드레인부(D2)에 연결될 수 있다.
버퍼층(BFL) 상에 제1 절연층(11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11)은 복수 개의 반도체 패턴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11)은 무기층 및/또는 유기층일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절연층(111)은 알루미늄옥사이드, 티타늄옥사이드,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11)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회로 소자층(110-2)의 절연층은 무기층 및/또는 유기층일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무기층은 상술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11) 상에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게이트(G1) 및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2 게이트(G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게이트(G1, G2)는 제1 및 제2 채널부(A1, A2)에 각각 중첩할 수 있다.
제2 절연층(112)은 제1 절연층(111) 위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게이트(G1, G2)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절연층(112)은 무기층 및/또는 유기층일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부전극(UE)은 제2 절연층(11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전극(UE)은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2 게이트(G2)와 중첩할 수 있다. 제2 게이트(G2)의 일부분과 그에 중첩하는 상부전극(UE)은 커패시터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절연층(113)은 제2 절연층(112) 위에 배치되며, 상부전극(UE)을 커버할 수 있다. 제3 절연층(113)은 무기층 및/또는 유기층일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3 절연층(113) 상에 제1 연결전극(CNE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전극(CNE1)은 제1 내지 제3 절연층(111 내지 113)을 관통하는 제1 컨택홀(CNT-1)을 통해 연결 신호 라인(SCL)에 접속될 수 있다.
제4 절연층(114)은 제3 절연층(113)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절연층(114)은 단층의 실리콘옥사이드층일 수 있다.
제5 절연층(115)은 제4 절연층(114)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절연층(115)은 유기층일 수 있다.
제5 절연층(115) 상에 제2 연결전극(CNE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전극(CNE2)은 제4 절연층(114) 및 제5 절연층(115)을 관통하는 제2 컨택홀(CNT-2)을 통해 제1 연결전극(CNE1)에 접속될 수 있다.
제6 절연층(116)은 제5 절연층(115) 위에 배치되며, 제2 연결전극(CNE2)을 커버할 수 있다. 제6 절연층(116)은 유기층일 수 있다.
제6 절연층(116) 상에 제1 전극(AE)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제6 절연층(116)을 관통하는 제3 컨택홀(CNT-3)을 통해 제2 연결전극(CNE2)에 연결된다. 화소 정의막(117)에는 개구부(117-OP)가 정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17)의 개구부(117-OP)는 제1 전극(AE)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발광영역들(PXA)과 발광영역들(PXA)에 인접한 비발광영역(NPXA)을 포함할 수 있다. 비발광영역(NPXA)은 발광영역들(PXA)을 에워쌀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영역들(PXA) 각각은 개구부(117-OP)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AE)의 일부 영역에 대응하게 정의된다.
정공 제어층(HCL)은 발광영역들(PXA)과 비발광영역(NPXA)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은 정공 수송층을 포함하고, 정공 주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정공 제어층(HCL)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개구부(117-OP)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발광층(EML)은 발광영역들(PXA) 각각에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제어층(ECL)은 발광층(EML)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제어층(ECL)은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고, 전자 주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과 전자 제어층(ECL)은 오픈 마스크를 이용하여 발광영역들(PXA)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전자 제어층(ECL)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일체의 형상을 갖고, 발광영역들(PXA)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캡핑층(118)은 제2 전극(CE) 위에 배치되며 제2 전극(CE)에 접촉될 수 있다. 캡핑층(118)은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캡핑층(118)은 후속의 공정 예컨대 스퍼터링 공정으로부터 제2 전극(CE)을 보호하고, 발광 소자(EME)의 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핑층(118)은 후술 될 제1 무기층(119-1)보다 큰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봉지층(110-4)은 표시 소자층(110-3)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110-4)은 제1 무기층(119-1), 유기층(119-2), 및 제2 무기층(119-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층(119-1) 및 제2 무기층(119-3)은 수분/산소로부터 표시 소자층(110-3)을 보호하고, 유기층(119-2)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표시 소자층(110-3)을 보호한다. 제1 무기층(119-1) 및 제2 무기층(119-3)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옥시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옥사이드층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유기층(119-2)은 아크릴 계열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세부 구조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커버 패널(210)은 표시 모듈(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패널(210)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층은 방열 기능, 전자파 차폐기능, 완충 기능, 강도 보강 기능, 지지 기능, 접착 기능 등을 수행하는 층일 수 있다. 기능층은 시트로 이루어진 시트층, 필름으로 필름층, 박막층, 코팅층, 패널, 플레이트 등일 수 있다. 하나의 기능층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적층된 복수의 박막이나 코팅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기능층은 예를 들어, 지지 기재, 방열층, 전자파 차폐층, 충격 흡수층, 결합층 등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버 패널(210)은 제2 쿠션층(216), 제2 쿠션층 상에 배치되는 방열층(215), 방열층(215) 상에 배치되는 차광층(214), 차광층(214) 상에 배치되는 제1 쿠션층(213), 제1 쿠션층(213)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필름(212), 및 베이스 필름(212) 상에 배치되는 상부 결합층(2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결합층(211)은 베이스 필름(2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결합층(211)은 커버 패널(210)의 상부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10)과 접촉할 수 있다. 커버 패널(210)과 표시 모듈(10)은 상부 결합층(211)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결합층(211)은 접착층, 점착층, 또는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할 층간 결합층(AN1~AN4)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결합층(211)의 상면, 즉 표시 모듈(10)과 접촉하는 표면에는 엠보 형상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부 결합층(211)의 상면에 엠보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커버 패널(210)을 표시 모듈(10)의 하부에 부착할 때 표면 엠보 형상이 공기 통로 역할을 하여 기포를 줄일 수 있다. 상부 결합층(211)이 표시 모듈(10)의 하부에 완전히 부착되면, 후술할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결합층(211) 상면의 엠보 형상은 무너지고 평탄해질 수 있다.
베이스 필름(212)은 상부 결합층(211) 및 제1 쿠션층(2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212)은 커버 패널(210)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212)은 표시 장치(1)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강하기 위한 강도 보강 부재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필름(212)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술폰(PSF),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쿠션층(213)은 베이스 필름(212) 및 차광층(2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쿠션층(213)은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장치(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쿠션층(213)은 단일층 또는 복수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쿠션층(213)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thermoplastic elastomer),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polyurethane thermoplastic elastomers), 폴리아미드(polyamides), 합성고무(synthetic rubbers),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폴리이소부티렌(polyisobutylene), 폴리(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poly(styrene-butadienestyr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s), 폴리클로로프렌(polychloropr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실리콘(silicone), 등 및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력을 갖는 물질들 중 표시 패널(110)의 영상 표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합한 물질이 선택될 수 있다.
차광층(214)은 제1 쿠션층(213) 및 방열층(21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층(214)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흡수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차광층(214)은 차광성 물질을 포함하거나, 광투과율이 낮은 유색의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층(214)은 검정색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으며, 일 예로, 검정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필름일 수 있다. 상부 모듈(30)의 상측으로부터 표시 모듈(10)을 바라봤을 때, 차광층(214) 아래에 배치된 구성 요소들은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방열층(215)은 차광층(214) 및 제2 쿠션층(2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층(215)은 표시 장치(1)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내보낼 수 있고,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열층(215)은 우수한 열 전도성을 가지는 구리, 은, 금, 알루미늄, 니켈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열층(215)은 구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열층(215)은 그라파이트 및/또는 탄소 나노 튜브를 포함하는 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라파이트를 포함하는 층은 그라파이트화된 고분자 필름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그라파이트화된 폴리이미드 필름일 수 있다.
제2 쿠션층(216)은 방열층(215)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쿠션층(216)은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장치(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쿠션층(216)은 단일층 또는 복수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쿠션층(216)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쿠션층(216)은 제1 쿠션층(21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패널(210)은 층간 결합층(AN1~AN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간 결합층(AN1)은 베이스 필름(212) 및 제1 쿠션층(213) 사이에 배치되어, 베이스 필름(212) 및 제1 쿠션층(213)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층간 결합층(AN2)은 제1 쿠션층(213) 및 차광층(214)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쿠션층(213) 및 차광층(214)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3 층간 결합층(AN3)은 차광층(214) 및 방열층(215) 사이에 배치되어, 차광층(214) 및 방열층(215)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4 층간 결합층(AN4)은 방열층(215) 및 제2 쿠션층(216) 사이에 배치되어, 방열층(215) 및 제2 쿠션층(216)을 결합시킬 수 있다.
층간 결합층(AN1~AN4)은 접착층, 점착층, 또는 수지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층간 결합층(AN1~AN4)은 실리콘계, 우레탄계, 실리콘-우레탄 하이브리드 구조의 SU폴리머, 아크릴계,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비닐알코올계, 젤라틴계, 비닐계, 라텍스계, 폴리에스테르계, 수계 폴리에스테르계 등으로 분류되는 고분자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층간 결합층(AN1~AN4)은 아크릴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접착 물질로서 광학적으로 투명한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광층(214) 및 방열층(215)은 차광 부재(320)와 두께 방향, 즉 제3 방향(DR3)에서 일부 중첩할 수 있다. 일 예로, 차광층(214) 및 방열층(215)이 차광 부재(320)와 중첩하는 폭은 약 100μm 내지 약 500μm일 수 있다.
제1 엣지(EDG1)는 차광 부재(320)의 타 단부(320a), 즉 제2 방향(DR2)의 반대측 단부보다 더 벤딩 영역(BA) 쪽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10)의 하부에 위치한 제1 엣지(EDG1)가 외부로부터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유색 물질을 포함하는 차광층(214) 및 금속으로 이루어져 반사율이 높은 방열층(215)의 단부가 시인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커버 패널(210)의 일 단부, 즉 제2 방향(DR2) 일측의 단부인 커버 패널 엣지(EDGE)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패널 엣지(EDGE)는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커버 패널 엣지(EDGE)는 벤딩 영역(BA)을 향하여 돌출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층(214), 제3 층간 결합층(AN3) 및 방열층(215)의 일 단부(214b, AN3b, 215b)를 포함하는 제1 엣지(EDG1)는, 제1 쿠션층(213) 및 제2 층간 결합층(AN2)의 일 단부(213b, AN2b)를 포함하는 제2 엣지(EDG2), 제2 쿠션층(216) 및 제4 층간 결합층(AN4)의 일 단부(216b, AN4b)를 포함하는 제3 엣지(EDG3), 및 상부 결합층(211), 베이스 필름(212) 및 제1 층간 결합층(AN1)의 일 단부(211b, 212b, AN1b)를 포함하는 제4 엣지(EDG4)보다 돌출된 구조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엣지(EDG1)는 제2 내지 제4 엣지(EDG2~EDG4)보다 제1 폭(w1) 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폭(w1)은 50μm 내지 150μm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엣지(EDG1)는 제1 및 제2 패턴 필름(131, 132)의 일 단부(131b, 132b)와 일치할 수 있다. 제2 내지 제4 엣지(EDG2~EDG4)는 차광 부재(320)의 타 단부(320a)와 제1 및 제2 패턴 필름(131, 132)의 일 단부(131b, 132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내지 제4 엣지(EDG1~EDG4)가 모두 차광 부재(320)의 타 단부(320a)와 제1 및 제2 패턴 필름(131, 132)의 일 단부(131b, 132b)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엣지(EDG1)가 제2 내지 제4 엣지(EDG2~EDG4)보다 돌출됨에 따라 외부에서 제1 엣지(EDG1)가 시인되기 위한 시야각이 더욱 작아질 수 있다. 일 예로, 제2 및 제3 방향(DR2, DR3)을 따라 자른 단면 상에서, 차광 부재(320)의 타 단부(320a)와 차광 부재(320)의 하부면(320c)이 만나는 점인 제1 지점(P1)과 제1 엣지(EDG1)와 차광층(214)의 상부면(214d)이 만나는 점인 제2 지점(P2)을 잇는 선(L1)이 차광층(214)의 상부면(214d)과 이루는 각도는 제1 각도(θ1)일 수 있다. 제1 지점(P1)과 제2 엣지(EDG2)와 차광층(214)의 상부면(214d)이 만나는 점인 제3 지점(P3)을 잇는 선(L2)이 차광층(214)의 상부면(214d)과 이루는 각도는 제2 각도(θ2)일 수 있다. 제1 각도(θ1)는 제2 각도(θ2)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엣지(EDG1)가 돌출되지 않은 구조일 때보다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의 차이만큼 외부에서 시인되기 위한 시야각이 작아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버 패널(210)의 조립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조립 공차)를 고려하여 제1 엣지(EDG1)가 시인되지 않도록 커버 패널 엣지(EDGE)를 의도적으로 벤딩 영역(BA) 방향, 즉 제2 방향(DR2)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조립 공차만큼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조립 공차는 커버 패널(210) 및 차광 부재(320)가 중첩하는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조립 공차는 50μm 내지 400μm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210)의 경우, 제1 엣지(EDG1)가 돌출된 구조로 인해 제1 엣지(EDG1)가 외부에서 시인되기 위한 시야각이 작아지게 되므로, 제1 엣지(EDG1)가 돌출된 제1 폭(w1)만큼 조립 공차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데드 스페이스가 감소하여 표시 장치(1)를 더욱 소형화 및 집적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도 7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커버 패널 엣지(EDGE)의 위치에 차이가 있다.
제2 내지 제4 엣지(EDG2~EDG4)는 차광 부재(320)의 타 단부(320a)와 일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내지 제4 엣지(EDG2~EDG4)는 차광 부재(320)의 타 단부(320a)보다 더 제2 방향(DR2)의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도 있다.
앞서 도 7의 일 실시예와 같이 차광층(214) 및 방열층(215)은 차광 부재(320)와 두께 방향, 즉 제3 방향(DR3)에서 일부 중첩할 수 있다. 제1 엣지(EDG1)는 차광 부재(320)의 타 단부(320a)와 제1 및 제2 패턴 필름(131, 132)의 일 단부(131b, 132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커버 패널(210)에 따르면, 제1 엣지(EDG1)는 제2 내지 제4 엣지(EDG2~EDG4)보다 제1 폭(w1)만큼 제2 방향(DR2)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제2 내지 제4 엣지(EDG2~EDG4)가 차광 부재(320)와 중첩하지 않더라도, 제1 엣지(EDG1)는 차광 부재(320)와 중첩하므로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커버 패널 엣지(EDGE)는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도 7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커버 패널 엣지(EDGE)의 위치에 차이가 있다.
제1 내지 제4 엣지(EDG1~EDG4)는 벤딩 영역(BA)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내지 제4 엣지(EDG1~EDG4)는 제1 및 제2 패턴 필름(131, 132)의 일 단부(131b, 132b)보다 더 벤딩 영역(BA) 방향, 즉 제2 방향(DR2)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엣지(EDG1)는 벤딩 영역(BA)에 위치하되, 제2 내지 제4 엣지(EDG2~EDG4)는 플랫 영역(FA)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제1 엣지(EDG1)가 벤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제1 엣지(EDG1)는 표시 패널(110)의 내측면, 즉 배면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210)은 차광층(214) 및 방열층(215)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쿠션층(213, 216)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차광층(214) 및 방열층(215)은 상대적으로 중간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광층(214) 및 방열층(215)은 벤딩 영역(BA)에서 표시 패널(110)과 커버 패널(210) 사이의 제2 방향(DR2) 수평 거리가 가장 긴 곳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엣지(EDG1)가 돌출된 구조에서도 커버 패널(210)과 표시 패널(110)의 내측면이 접촉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이를 통해 벤딩 영역(BA)에서 표시 패널(110)의 내측면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도 7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 엣지(EDG1) 뿐만 아니라, 제2 엣지(EDG2) 및 제3 엣지(EDG3)도 제4 엣지(EDG4)보다 돌출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1 내지 제3 엣지(EDG1~EDG3)는 제4 엣지(EDG4)보다 벤딩 영역(BA) 방향, 즉 제2 방향(DR2)으로 더 돌출된 구조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엣지(EDG1~EDG3)는 두께 방향에서 서로 일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내지 제3 엣지(EDG1~EDG3)는 제4 엣지(EDG2~EDG4)보다 제1 폭(w1) 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폭(w1)은 50~150um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엣지(EDG1~EDG4)는 벤딩 영역(BA)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내지 제4 엣지(EDG1~EDG4)는 제1 및 제2 패턴 필름(131, 132)의 일 단부(131b, 132b)보다 더 벤딩 영역(BA)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210)에 따르면, 제2 엣지(EDG2) 및 제3 엣지(EDG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 패널(110)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쿠션층(213, 216)에 의해 커버 패널(210)과 표시 패널(110)의 내측면이 접촉되더라도 크랙 발생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210)은 차광층(214) 및 방열층(215)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쿠션층(213, 216)이 배치될 수 있다. 쿠션층(213, 216)이 차광층(214) 및 방열층(215)과 함께 돌출되어 있어, 차광층(214) 및 방열층(215)이 표시 패널(110)에 접촉하기 전에 먼저 쿠션층(213, 216)이 표시 패널(110)과 접촉할 수 있다. 쿠션층(213, 216)은 탄성 물질을 포함하여 충격 완화 기능을 수행하므로 표시 패널(110)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면 상에서 제1 내지 제4 엣지(EDG1~EDG4)는 모두 벤딩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엣지(EDG1~EDG3)는 벤딩 영역(BA)에 위치하되, 제4 엣지(EDG4)는 플랫 영역(FA)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엣지(EDG1~EDG3)는 차광 부재(320)의 타 단부(320a)와 제1 및 제2 패턴 필름(131, 132)의 일 단부(131b, 132b)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4 엣지(EDG4)는 차광 부재(320)와 중첩할 수도 있고, 중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도 7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커버 패널 엣지(EDGE)가 경사면을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커버 패널 엣지(EDGE)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내지 제4 엣지(EDG2~EDG4)는 제2 방향(DR2)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패널(210)의 상면에서 차광층(214)의 상면으로 갈수록 커버 패널 엣지(EDGE)는 제2 방향(DR2)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커버 패널(210)의 하면에서 방열층(215)의 하면으로 갈수록 커버 패널 엣지(EDGE)는 제2 방향(DR2)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면 상에서 제1 엣지(EDG1)는 제1 및 제2 패턴 필름(131, 132)의 일 단부(131b, 132b)와 일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엣지(EDG1)는 벤딩 영역(BA)에 위치할 수도 있고, 차광 부재(320)의 타 단부(320a)와 제1 및 제2 패턴 필름(131, 132)의 일 단부(131b, 132b)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앞서 도 7 내지 도 11의 실시예와 같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도 7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커버 패널 엣지(EDGE)가 둥근 곡면을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커버 패널 엣지(EDGE)는 둥근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내지 제4 엣지(EDG1~EDG4)는 둥근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엣지(EDG1)는 제2 내지 제4 엣지(EDG2~EDG4)보다 제2 방향(DR2)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패널(210)의 상면에서 차광층(214)의 상면으로 갈수록 커버 패널 엣지(EDGE)는 제2 방향(DR2)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커버 패널(210)의 하면에서 방열층(215)의 하면으로 갈수록 커버 패널 엣지(EDGE)는 제2 방향(DR2)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커버 패널 엣지(EDGE)는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구간별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커버 패널 엣지(EDGE)는 반원 형상 또는 반타원 형상을 할 수 있다.
도면 상에서 제1 엣지(EDG1)의 우측 최단부가 제1 및 제2 패턴 필름(131, 132)의 일 단부(131b, 132b)와 일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엣지(EDG1)는 벤딩 영역(BA)에 위치할 수도 있고, 차광 부재(320)의 타 단부(320a)와 제1 및 제2 패턴 필름(131, 132)의 일 단부(131b, 132b)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앞서 도 7 내지 도 11의 실시예와 같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 장치
10: 표시 모듈
20: 하부 모듈
30: 상부 모듈
110: 표시 패널
120: 광학 필름
130: 패턴 필름층
131: 제1 패턴 필름
132: 제2 패턴 필름
140: 벤딩 보호층
210: 커버 패널
211: 상부 결합층
212: 베이스 필름
213: 제1 쿠션층
214: 차광층
215: 방열층
216: 제2 쿠션층
AN1~AN4: 층간 결합층
220: 커버 스페이서
310: 윈도우
320: 차광 부재
IC: 구동 회로
FPCB: 연성 회로 기판
DA: 표시 영역
NDA: 비표시 영역
BA: 벤딩 영역
EDGE: 커버 패널 엣지
EDG1~EDG4: 제1 내지 제4 엣지

Claims (20)

  1. 제1 영역 및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차광 부재를 포함하는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커버 패널; 및
    상기 커버 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 패널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커버 스페이서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패널은,
    제1 쿠션층,
    상기 제1 쿠션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쿠션층,
    상기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2 쿠션층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층,
    상기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2 쿠션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방열층과 중첩하는 차광층,
    상기 표시 패널 및 제1 쿠션층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결합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방열층은 상기 차광 부재와 중첩하고,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방열층의 일 단부는, 상기 상부 결합층,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커버 스페이서의 일 단부보다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돌출된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결합층 및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패턴 필름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방열층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패턴 필름의 일 단부와 정렬하는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방열층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패턴 필름의 일 단부보다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돌출된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층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패턴 필름의 일 단부보다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돌출된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층, 상기 제2 쿠션층,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상부 결합층의 일 단부는 상기 차광 부재의 타 단부와 일치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2 쿠션층은 상기 차광 부재와 중첩하고,
    상기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2 쿠션층의 일 단부는, 상기 상부 결합층,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커버 스페이서의 일 단부보다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돌출된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2 쿠션층의 일 단부는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결합층 및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패턴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결합층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패턴 필름의 일 단부보다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돌출된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2 쿠션층의 일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타면에 접촉하는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층, 상기 제2 쿠션층,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상부 결합층의 일 단부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 상기 방열층, 상기 제1 쿠션층, 상기 제2 쿠션층,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상부 결합층의 일 단부는 곡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 영역 및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차광 부재;
    상기 표시 패널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커버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커버 패널은,
    방열층,
    상기 방열층 상에 배치되는 차광층,
    상기 차광층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되는 상부 결합층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패널의 일 단부인 커버 패널 엣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패널 엣지는,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방열층의 일 단부를 포함하는 제1 엣지, 및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상부 결합층의 일 단부를 포함하는 제2 엣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엣지는 상기 제2 엣지보다 돌출된 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패널 엣지는 단차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패널 엣지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패널 엣지는 둥근 곡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면 상에 위치하는 제1 쿠션층;
    상기 제1 쿠션층 상에 위치하는 차광층;
    상기 차광층 상에 위치하는 방열층;
    상기 방열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쿠션층; 및
    상기 차광층과 상기 방열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층간 결합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간 결합층은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방열층과 직접 접촉하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면 상에 위치하는 차광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방열층의 일 단부는 상기 차광 부재와 중첩하는 표시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방열층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쿠션층 및 상기 제2 쿠션층의 일 단부보다 돌출된 표시 장치.
KR1020220122155A 2022-09-27 2022-09-27 표시 장치 KR20240043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155A KR20240043836A (ko) 2022-09-27 2022-09-27 표시 장치
US18/134,180 US20240107858A1 (en) 2022-09-27 2023-04-13 Display device
CN202322008235.2U CN220570916U (zh) 2022-09-27 2023-07-28 显示设备
CN202310938698.0A CN117794317A (zh) 2022-09-27 2023-07-28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155A KR20240043836A (ko) 2022-09-27 2022-09-27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3836A true KR20240043836A (ko) 2024-04-04

Family

ID=90094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2155A KR20240043836A (ko) 2022-09-27 2022-09-27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07858A1 (ko)
KR (1) KR20240043836A (ko)
CN (2) CN220570916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07858A1 (en) 2024-03-28
CN117794317A (zh) 2024-03-29
CN220570916U (zh) 2024-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67434A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JP2019159313A (ja) 表示装置
KR20190008495A (ko) 표시 장치
KR20200048205A (ko) 플렉서블 회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11217636B2 (en) Display device
US11017199B2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sensor opening
US11342539B2 (en) Display panel aligned with window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200328382A1 (en) Display device
KR20210016231A (ko) 패널 하부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502280B2 (en) Display device
KR20210044920A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11626567B2 (en) Display device
CN111830742A (zh) 显示设备
WO2021227775A1 (zh) 电子设备及显示屏
JP2004252676A (ja) タッチパネル付電気光学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付電気光学パネル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200115756A (ko) 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KR20200107014A (ko) 표시 장치
CN112447928A (zh) 显示装置
US20060285043A1 (en) Display device and portabl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13707009A (zh) 柔性盖窗及可折叠显示装置
KR20210030544A (ko) 표시 장치
KR20240043836A (ko) 표시 장치
CN114585965A (zh) 光路控制构件及具有其的显示器
US20130128445A1 (en) Electronic product with video displa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10811630B2 (en)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