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547A -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547A
KR20220081547A KR1020200171147A KR20200171147A KR20220081547A KR 20220081547 A KR20220081547 A KR 20220081547A KR 1020200171147 A KR1020200171147 A KR 1020200171147A KR 20200171147 A KR20200171147 A KR 20200171147A KR 20220081547 A KR20220081547 A KR 20220081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connection
abutment
wall
dental implant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범
안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to KR1020200171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1547A/ko
Priority to EP21903590.4A priority patent/EP4260831A4/en
Priority to US18/266,263 priority patent/US20240041568A1/en
Priority to PCT/KR2021/013526 priority patent/WO2022124543A1/ko
Priority to CN202180083111.1A priority patent/CN116634965A/zh
Priority to TW110140646A priority patent/TWI827995B/zh
Publication of KR20220081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547A/ko
Priority to KR1020230135808A priority patent/KR20230145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39Details of the shape in the form of hollow cylinder with an open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치조골에 식립되기 위한 나사부가 외벽에 형성되는 몸체부; 몸체부의 입구 쪽 내벽에 형성되되 어버트먼트(abutment)가 접촉 지지되면서 결합하는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 및 몸체부가 치조골에 식립되는 방향에 대하여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가 끝나는 영역의 몸체부 내벽에 형성되며, 몸체부의 회전 핸들링을 위한 소정의 공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게 단면이 비원형 구조를 형성하는 인터널 커넥션부(internal connection part)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Dental Implant Fixture}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구의 잦은 사용 시 종전처럼 입구 쪽에서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어버트먼트와의 접촉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어버트먼트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그대로 흡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작기능이 감소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일련의 시술을 가리킨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인 픽스츄어(fixture)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해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공치아 시술(임플란트 혹은 임플란트 시술이라고도 함)은, 소정의 드릴을 사용하여 식립위치를 천공한 후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뼈에 골융합시킨 다음, 픽스츄어에 어버트먼트(abutment, 지대주)를 결합시킨 후에, 어버트먼트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완료된다.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키며,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과 아울러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인공 치근으로서 식립되는 픽스츄어(Fixture)와, 픽스츄어 상에 결합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와, 어버트먼트를 픽스츄어에 고정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루(Abutment Screw)와, 어버트먼트에 결합하는 인공치아를 포함한다. 여기서, 어버트먼트를 픽스츄어에 결합시키기 전에, 즉 치조골에 픽스츄어가 골융합되기까지의 기간 동안에 치유 어버트먼트(미도시)가 픽스츄어에 결합하여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도 한다.
임플란트의 한 구성인 픽스츄어(Fixture)는 임플란트 시술 시 치조골에 식립되는 구조물이며, 실질적으로 인공 치근의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픽스츄어는 치조골에 견고히 식립되어야 한다. 이처럼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식립하기 위해, 또한 식립된 픽스츄어를 치조골에서 일부 들어 올려 위치 조정하기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공구, 예컨대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픽스츄어에 연결해서 작업해야 한다.
한편, 공구를 픽스츄어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픽스츄어의 내벽에 공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부분, 예컨대 공구 연결홈 등이 가공되어야 할 것이고, 이러한 부분을 픽스츄어의 입구 쪽에 가공하는 것을 쉽게 고려해볼 수 있다.
그런데, 현존하는 통상적인 픽스츄어는 입구 쪽의 살 두께가 다른 곳보다 상대적으로 얇아 이곳에 공구가 연결되는 부분을 가공하면 잦은 공구의 사용 시 픽스츄어는 입구 쪽에서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할 소지가 크다.
또한, 어버트먼트는 픽스츄어는 입구 쪽 내벽의 경사진 부분에 접촉 지지된 상태로 픽스츄어에 결합하는데, 픽스츄어의 입구 쪽에 공구가 연결되는 부분을 가공하면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 간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어버트먼트에서 픽스츄어로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할 수 있고, 이는 곧 저작기능의 저하 문제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31334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구의 잦은 사용 시 종전처럼 입구 쪽에서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어버트먼트와의 접촉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어버트먼트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그대로 흡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작기능이 감소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치조골에 식립되기 위한 나사부가 외벽에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입구 쪽 내벽에 형성되되 어버트먼트(abutment)가 접촉 지지되면서 결합하는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가 상기 치조골에 식립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가 끝나는 영역의 상기 몸체부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회전 핸들링을 위한 소정의 공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게 단면이 비원형 구조를 형성하는 인터널 커넥션부(internal connection par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어버트먼트 또는 상기 어버트먼트를 고정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루가 체결되는 스크루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와 상기 스크루 체결부 사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와 상기 스크루 체결부 사이 영역의 상기 몸체부 내벽에는 상기 몸체부가 식립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수직 벽체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는 상기 스크루 체결부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되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와 상기 수직 벽체부에 걸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 쪽에 홈(groove)의 형태로 가공되는 경사 벽체측 홈부; 및 상기 경사 벽체측 홈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 벽체부 쪽에 홈(groove)의 형태로 가공되는 수직 벽체측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를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반원 형상을 이루되 상기 몸체부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6개이며, 6개의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토록스(torrox)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체부가 상기 몸체부 내벽과 동일한 곡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를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코너가 비원형으로 각진 형상을 이루되 상기 몸체부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6개이며, 6개의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헥사(hexa)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체부가 상기 직선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구의 잦은 사용 시 종전처럼 입구 쪽에서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어버트먼트와의 접촉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어버트먼트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그대로 흡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작기능이 감소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를 강조하기 위해 스크루 체결부 영역을 점선 처리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어버트먼트가 결합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를 강조하기 위해 스크루 체결부 영역을 점선 처리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를 강조하기 위해 스크루 체결부 영역을 점선 처리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어버트먼트가 결합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100)를 사용할 경우, 공구의 잦은 사용 시 종전처럼 입구 쪽에서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어버트먼트(160, abutment)와의 접촉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어버트먼트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그대로 흡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작기능이 감소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100)는 치조골에 식립되기 위한 나사부(111)가 외벽에 형성되는 몸체부(110)를 포함하며, 몸체부(110)에 위치별로 아래 구성들이 마련되는 형태를 취한다.
몸체부(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100)에서 골격을 이루는 부분이다. 나사부(111)를 포함해서 진입방향 안내부(114), 커팅 에지부(115, cutting edge portion) 등의 구성 혹은 패턴(pattern)이 몸체부(110)에 각 위치별로 마련될 수 있다.
픽스츄어(100)는 치조골로 식립되는 나사 형태의 구조물이라서, 식립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몸체부(110)는 식립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외면이 테이퍼지게 마련되고 외면에 나사부(111)가 형성된다.
물론, 도면과 달리 픽스츄어(100)의 몸체부(110)가 길이 방향을 따라 그 단면직경이 모두 동일한 원기둥 타입의 일자형 구조이거나 중간의 배불뚝이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처럼 몸체부(110)가 식립되는 방향을 따라 즉 진입방향 안내부(114)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면 식립이 용이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테이퍼 구조로 픽스츄어(100)의 몸체부(110)를 가공함에 있어서, 몸체부(110)는 외면 전 영역에서 동일한 기울기를 갖게 테이퍼질 수도 있고, 혹은 몸체부(110)는 외면에 형성되는 테이퍼 기울기가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몸체부(110)의 외면 일부 구간만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는 도면과 달리, 몸체부(110)의 상단부에서 중앙 영역에 이르는 구간은 테이퍼진 기울기를 형성하고, 그 나머지 부분은 마치 원기둥과 같은 직선 형태로 가공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면 초기 식립을 용이하게 하면서 강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몸체부(110)의 외벽에 형성되는 나사부(111)는 삼각 나사, 사각 나사 혹은 혼합 나사 등 어떠한 형태가 적용되더라도 관계는 없다.
몸체부(110)의 입구 측 코너 영역에는 베벨부(116)가 형성되다. 베벨부(116)는 몸체부(110)의 입구 측 단부 영역을 일컫는다. 이러한 베벨부(116)는 몸체부(110)의 하단부 즉 진입방향 안내부(114) 등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접촉 면적을 제공함으로써 어버트먼트(160, Abutment)와의 강한 고정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몸체부(110)의 입구 측 반대편, 즉 몸체부(110)의 하단부에는 진입방향 안내부(114)가 형성된다.
진입방향 안내부(114)는 몸체부(110)가 식립되는 방향에 대하여 몸체부(110)의 선단부로부터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구간만큼 형성되되 몸체부(110)에 대한 초기의 식립 진입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진입방향 안내부(114)는 폭이 좁고 벽체가 날카로운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진입방향 안내부(114)의 주변에는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커팅 에지부(115, cutting edge portion)가 더 형성된다.
물론, 커팅 에지부(115)가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커팅 에지부(115)가 형성되면 커팅 에지부(115)가 절삭날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픽스츄어(100)가 치조골에 식립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이러한 커팅 에지부(115)는 몸체부(110)의 외벽에 1개 형성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처럼 여러 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처럼 복수 개의 커팅 에지부(115)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몸체부(110)를 기준으로 해서 커팅 에지부(115)들이 동심적으로 또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상 자세히 설명한 몸체부(110)의 외부 구조 외에 몸체부(110)의 내부 혹은 내벽에는 아래의 구성 혹은 패턴이 형성된다. 즉 몸체부(110)의 내부 혹은 내벽에는 어버트먼트(160)가 접촉 지지되면서 결합하는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120)와, 몸체부(110)의 핸들링을 위한 소정의 공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되 단면이 비원형 구조를 형성하는 인터널 커넥션부(130, internal connection part)와, 어버트먼트(160) 또는 어버트먼트(160)를 고정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루(미도시)가 체결되는 스크루 체결부(113)가 위치별로 마련된다. 이들 구성 혹은 패턴(pattern)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자세히 살펴본다.
우선, 스크루 체결부(113)에 대해 먼저 알아본다. 스크루 체결부(113)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암나사의 형태로 마련되되 어버트먼트(160) 또는 어버트먼트(160)를 고정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루(미도시)가 체결되는 장소를 이룬다.
어버트먼트(160)는 도면처럼 픽스츄어(100)의 몸체부(110)에 결합한 후, 즉 끼워진 후, 별도의 어버트먼트 스크루를 스크루 체결부(113)에 체결함으로써 어버트먼트(160)와 픽스츄어(100)가 한 몸체가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도면과 달리, 어버트먼트 스크루 역할을 하는 기능이 어버트먼트(미도시)에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120)는 몸체부(110)의 입구 쪽 내벽에 형성되되 도 7처럼 어버트먼트(160)가 접촉 지지되면서 결합하는 장소를 이룬다.
픽스츄어(100)가 치조골에 식립된 이후 픽스츄어(100)가 치조골에 골융합할 때까지 도 7처럼 어버트먼트(160)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도 7처럼 어버트먼트(160)는 그 일단부 영역이 도 7처럼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120)에 지지된 상태로 픽스츄어(100)의 몸체부(110)에 결합한다.
픽스츄어(100)의 몸체부(110) 입구 쪽에 어버트먼트(160)가 잘 결합해서 지지되기 위해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120)는 몸체부(110) 입구 쪽 단부에서 스크루 체결부(113)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경사진 경사면을 이룬다.
그리고,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120)와 스크루 체결부(113) 사이 영역의 몸체부(110) 내벽에는 몸체부(110)가 식립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수직 벽체부(122)가 형성된다. 수직 벽체부(122)는 인터널 커넥션부(130)의 일부가 형성되는 장소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인터널 커넥션부(130)는 몸체부(110)가 치조골에 식립되는 방향에 대하여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120)가 끝나는 영역의 몸체부(110) 내벽에 형성되되 몸체부(110)의 회전 핸들링을 위한 소정의 공구(미도시)가 선택적으로 연결되게 단면이 비원형 구조를 형성하는 패턴이다.
즉 픽스츄어(100)를 치조골에 나사식으로 식립하거나 식립된 픽스츄어(100)를 일부 들어 올리기 위해서는 픽스츄어(100)의 몸체부(110)에 별도의 공구, 즉 몸체부(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를 선택적으로 연결해야 하는데, 이를 인터널 커넥션부(130)가 담당한다.
다만, 이러한 인터널 커넥션부(130)를 몸체부(110)의 내벽에 가공할 경우, 인터널 커넥션부(130)가 원형의 단면 형상을 이루게 되면 공구가 헛돌 수밖에 없으므로 인터널 커넥션부(130)는 연결되는 공구가 헛돌지 않게 단면이 비원형 구조를 이룬다.
한편, 이러한 인터널 커넥션부(130)를 몸체부(110)의 내벽에 가공함에 있어서 종전처럼 몸체부(110)의 입구 쪽에 가공하면 공구의 반복적인 사용 시 살 두께가 얇은 몸체부(110)의 입구 쪽에서 변형 또는 파손이 일어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인터널 커넥션부(130)를 몸체부(110)의 입구 쪽, 즉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120) 영역에 가공하면 도 7처럼 픽스츄어(100)에 어버트먼트(160)를 결합했을 때,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160) 간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어버트먼트(160)에서 픽스츄어(100)로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할 수 있고, 이는 곧 저작기능의 저하 문제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좀 더 부연 설명한다. 도 7처럼 어버트먼트(160)가 픽스츄어(100)에 결합한 임플란트 시술 중에 음식을 씹으면 이러한 저작에 따라 어버트먼트(160)에 가해지는 하중이 전부 픽스츄어(100)에 전달되어야만 하는데, 만약 본 실시예와 달리 인터널 커넥션부(130)를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120) 영역에 가공하면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160) 간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어버트먼트(160)에서 픽스츄어(100)로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그만큼 저작기능이 저하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다양한 문제, 즉 살 두께가 얇은 몸체부(110)의 입구 쪽에서 변형 또는 파손이 일어나는 문제, 또한 어버트먼트(160)에서 픽스츄어(100)로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하여 저작기능이 저하되는 문제 등을 모두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널 커넥션부(130)를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120)와 스크루 체결부(113) 사이 영역에 배치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몸체부(110)의 입구 쪽에서 스크루 체결부(113)까지의 길이(L1)가 3.7mm로 가정할 때, 인터널 커넥션부(130)는 스크루 체결부(113)에 이웃한 1.3mm의 길이(l2)만큼 가공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면, 본 실시예에서 인터널 커넥션부(130)는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120)와 수직 벽체부(122)에 걸치게 배치된다.
이러한 인터널 커넥션부(130)는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120) 쪽에 홈(groove)의 형태로 가공되는 경사 벽체측 홈부(131)와, 경사 벽체측 홈부(131)에 연결되고 수직 벽체부(122) 쪽에 홈(groove)의 형태로 가공되는 수직 벽체측 홈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경사 벽체측 홈부(131) 및 수직 벽체측 홈부(132)의 조합 형태로 마련되는 인터널 커넥션부(130)는 몸체부(110)를 평면에서 볼 때, 반원 형상을 이루되 몸체부(110)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인터널 커넥션부(130)는 6개이되 6개의 인터널 커넥션부(130)는 토록스(torrox) 구조를 이룬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인터널 커넥션부(130)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체부(140)가 몸체부(110) 내벽과 동일한 곡률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공구의 안정적인 결합을 끌어낼 수 있고, 결합 강도가 20%이상 올라가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인터널 커넥션부(130)에 연결해서 픽스츄어(100)를 치조골에 식립한 후, 도 7처럼 어버트먼트(160)를 결합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인터널 커넥션부(130)로 인해 픽스츄어(100)를 치조골에 안정적으로 또한 힘 있게 식립할 수 있음은 물론, 어버트먼트(160)에서 픽스츄어(100)로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하여 저작기능이 저하되지 않게끔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구의 잦은 사용 시 종전처럼 입구 쪽에서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어버트먼트(160)와의 접촉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어버트먼트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그대로 흡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작기능이 감소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서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를 강조하기 위해 스크루 체결부 영역을 점선 처리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8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200) 역시, 나사부(111)가 외벽에 형성되는 몸체부(210)를 포함하며, 몸체부(210)의 내벽에 인터널 커넥션부(230)가 가공되는 형태를 취한다. 다른 구성들의 역할과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피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인터널 커넥션부(230)는 몸체부(210)를 평면에서 볼 때, 코너가 비원형으로 각진 형상을 이룬다. 물론, 인터널 커넥션부(230)가 몸체부(210)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열된다는 점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인터널 커넥션부(230)는 6개이고, 6개의 인터널 커넥션부(230)는 헥사(hexa) 구조를 이룬다. 이때, 인터널 커넥션부(230)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체부(24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직선 라인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의 인터널 커넥션부(130)는 토록스(torrox) 구조를 이룬 반면, 본 실시예의 인터널 커넥션부(230)는 헥사(hexa)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구조 혹은 패턴만 상이할 뿐, 그 기능과 역할은 같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은 헥사(hexa) 구조의 인터널 커넥션부(230)가 적용되더라도 공구의 잦은 사용 시 종전처럼 입구 쪽에서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어버트먼트(160)와의 접촉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어버트먼트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그대로 흡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작기능이 감소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픽스츄어 110 : 몸체부
111 : 나사부 113 : 스크루 체결부
114 : 진입방향 안내부 115 : 커팅 에지부
116 : 베벨부 120 :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
122 : 수직 벽체부 130 : 인터널 커넥션부
131 : 경사 벽체측 홈부 132 : 수직 벽체측 홈부
140 : 연결 벽체부 160 : 어버트먼트

Claims (11)

  1. 치조골에 식립되기 위한 나사부가 외벽에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입구 쪽 내벽에 형성되되 어버트먼트(abutment)가 접촉 지지되면서 결합하는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가 상기 치조골에 식립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가 끝나는 영역의 상기 몸체부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회전 핸들링을 위한 소정의 공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게 단면이 비원형 구조를 형성하는 인터널 커넥션부(internal connection par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어버트먼트 또는 상기 어버트먼트를 고정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루가 체결되는 스크루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와 상기 스크루 체결부 사이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와 상기 스크루 체결부 사이 영역의 상기 몸체부 내벽에는 상기 몸체부가 식립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수직 벽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는 상기 스크루 체결부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되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와 상기 수직 벽체부에 걸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 쪽에 홈(groove)의 형태로 가공되는 경사 벽체측 홈부; 및
    상기 경사 벽체측 홈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 벽체부 쪽에 홈(groove)의 형태로 가공되는 수직 벽체측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를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반원 형상을 이루되 상기 몸체부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6개이며, 6개의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토록스(torrox)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체부가 상기 몸체부 내벽과 동일한 곡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를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코너가 비원형으로 각진 형상을 이루되 상기 몸체부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6개이며, 6개의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헥사(hexa)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체부가 상기 직선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20200171147A 2020-12-09 2020-12-09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220081547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147A KR20220081547A (ko) 2020-12-09 2020-12-09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EP21903590.4A EP4260831A4 (en) 2020-12-09 2021-10-01 DENTAL IMPLANT FIXATION
US18/266,263 US20240041568A1 (en) 2020-12-09 2021-10-01 Dental implant fixture
PCT/KR2021/013526 WO2022124543A1 (ko) 2020-12-09 2021-10-01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CN202180083111.1A CN116634965A (zh) 2020-12-09 2021-10-01 牙科植体固定装置
TW110140646A TWI827995B (zh) 2020-12-09 2021-11-01 牙科植體固定裝置
KR1020230135808A KR20230145309A (ko) 2020-12-09 2023-10-12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147A KR20220081547A (ko) 2020-12-09 2020-12-09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5808A Division KR20230145309A (ko) 2020-12-09 2023-10-12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547A true KR20220081547A (ko) 2022-06-16

Family

ID=819737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147A KR20220081547A (ko) 2020-12-09 2020-12-09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20230135808A KR20230145309A (ko) 2020-12-09 2023-10-12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5808A KR20230145309A (ko) 2020-12-09 2023-10-12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41568A1 (ko)
EP (1) EP4260831A4 (ko)
KR (2) KR20220081547A (ko)
CN (1) CN116634965A (ko)
TW (1) TWI827995B (ko)
WO (1) WO202212454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1334A (ko) 2009-01-07 2011-03-25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풍력 발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573Y1 (ko) * 2005-12-16 2006-04-26 장경삼 치과용 임플란트 유니트
DE102008027007A1 (de) * 2008-06-06 2009-12-10 Ilja Beilin Verwendung der internen Aussparungen des Zahnimplantats die für die Werkzeuge vorgesehen sind, für die wiederholte Positionierung des zweiteiligen Kopfteils in voller Länge der konischen Verbindung, mit Erhaltung der ununterbrochenen biologischen Abdichtung des Implantats
US8758012B2 (en) * 2008-07-14 2014-06-24 Nobel Biocare Services Ag Compact dental implant
EP2416728A1 (de) * 2009-04-11 2012-02-15 Ady Palti Implantatanalog, verfahren zum anwenden eines implantatanalogs und implantat-system mit implantatanalogen
KR101216348B1 (ko) * 2011-05-15 2012-12-27 이도상 완충형 임플란트
WO2014198681A1 (en) * 2013-06-10 2014-12-18 Straumann Holding Ag Dental implant socket arrangement
KR20160099603A (ko) * 2013-12-17 2016-08-22 에피파노스틱스 게엠베하 에노살 단일 치아 임플란트
GB2523827A (en) * 2014-03-07 2015-09-09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implant
KR101642594B1 (ko) * 2014-11-03 2016-07-26 이도상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1707596B1 (ko) * 2015-04-24 2017-02-16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 임플란트의 상호 호환용 어버트먼트
WO2017129826A2 (en) * 2016-01-29 2017-08-03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implant, insertion tool for dental implant and combination of dental implant and insertion tool
KR20170136215A (ko) * 2016-06-01 2017-12-11 와이메디칼네트워크 주식회사 치과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커버 스크류 인서트형 픽스츄어
EP3398553A1 (en) * 2017-05-02 2018-11-07 Ophir Fromovich Improved dental implant system
KR102096885B1 (ko) * 2017-12-04 2020-04-03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0493997Y1 (ko) * 2019-05-17 2021-07-13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픽스츄어 시술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1334A (ko) 2009-01-07 2011-03-25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풍력 발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24543A1 (ko) 2022-06-16
EP4260831A1 (en) 2023-10-18
EP4260831A4 (en) 2024-05-15
US20240041568A1 (en) 2024-02-08
KR20230145309A (ko) 2023-10-17
TWI827995B (zh) 2024-01-01
CN116634965A (zh) 2023-08-22
TW202222272A (zh)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4268A (en) Method for installing a dental implant fixture in cortical bone
US9833300B2 (en) Dental implant system
US12004920B2 (en) Asymmetric zygomatic dental implant with partial micro thread/groove
KR10113434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세트
US5695336A (en) Dental implant fixture for anchorage in cortical bone
JPS618043A (ja) 義歯保持体を取付けるための顎骨内植込み子
US5709547A (en) Dental implant for anchorage in cortical bone
KR102262184B1 (ko) 골 소실의 방지를 위한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
KR101707596B1 (ko) 치과 임플란트의 상호 호환용 어버트먼트
IL267879B1 (en) Dental implant and connection screw for its use
KR20220081547A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020072632A (ko) 즉시 고정 가능한 팽창형 치과용 임플란트
KR200392241Y1 (ko) 치과용 임시 임플란트
KR10059475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0807289B1 (ko) 임플란트 조립체
KR200493322Y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20210228321A1 (en) Dental Implant
KR10119125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0280119B1 (ko) 치과용 인공치아의 인공치근
KR102617204B1 (ko)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KR20190043697A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JP3718623B2 (ja) 歯科用セルフタッピング式スクリュー型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ー
RU195904U1 (ru) Дентальный имплантат
JP7305283B2 (ja) スレッド溝深さが漸減する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
KR200377963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