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289B1 - 임플란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289B1
KR100807289B1 KR1020060128919A KR20060128919A KR100807289B1 KR 100807289 B1 KR100807289 B1 KR 100807289B1 KR 1020060128919 A KR1020060128919 A KR 1020060128919A KR 20060128919 A KR20060128919 A KR 20060128919A KR 100807289 B1 KR100807289 B1 KR 100807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fixture
coupled
fixing screw
implan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민
이선병
김상윤
차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티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티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티움
Priority to KR1020060128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체와 어버트먼트를 상호간에 결합시키는 고정나사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어버트먼트를 경유하여 고정체에 결합시키거나, 고정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의 외측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별도의 고정나사부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체와 결합을 실시하되, 상기 고정나사부 또는 어버트먼트의 외측에 이중 나사산을 갖도록 하여 식립 시간의 단축과 식립 이후에 결합력 상승이 가능한 임플란트 조립체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치조골에 식립 가능하도록 고정체 바디의 외측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외부 나사산, 상기 고정체 바디의 내측 중앙에 형성된 삽입부의 길이 방향 상에 형성된 내부 나사홈을 포함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상측에 어버트먼트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홈을 통해 고정체의 내부 나사홈과 결합되며 최소의 회전으로 내부 나사홈과 결합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시작 나사산이 형성된 치합부; 상기 치합부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나사 바디의 상부를 따라 일정 피치를 갖으며 다수개의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나사산은 고정나사 바디의 상측으로 경사진 제1 경사부, 상기 제1 경사부의 외측 단부에서 고정 나사 바디의 하측을 향해 경사지되 상기 제1 경사부의 경사각보다 작은 경사각을 갖는 제2 경사부가 형성된 고정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임플란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고정체, 치합부, 제1,2 경사부, 어버트먼트

Description

임플란트 조립체{Implant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조립체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조립체의 결합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임플란트 조립체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임플란트 조립체의 부분 결합 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고정체 200 : 어버트먼트
300 : 고정나사부 310 : 치합부
322 : 제1 경사부 324 : 제2 경사부
330 : 가이드부 400 : 어버트먼트
본 발명은 식립 시간의 단축과 식립 이후에 결합력 상승이 가능하도록 고정체와 결합되는 임플란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가 없는 경우에 보철물을 시술하는 의료기술은 널리 보편화 되어 왔고, 보철물에 관하여도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치아가 없는 경우에 잇몸 내부의 뼈 속에 임플란트를 고정시키고 그 상부에 인공치아를 시술하는 방법 및 여러 가지 형태의 임플란트 등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임플란트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는고정체, 코니컬 어버트먼트(conical abutment)가 부착된 어버트먼트 스크류, 및 리테인 스크류(retaining screw)를 갖는 실린더로 이루어진다.
우선, 임플란트의 고정체는 잇몸 내부의 뼈 속에 삽입시키고, 상기 고정체가 뼈와 충분한 골유착(osseointegration)이 된 후, 고정체의 내부에 어버트먼트 스크류를 조립하고, 그 위에 실린더를 조립한 후 최종적으로 실린더 위에 인공치아를 제작하여 고정시킨다. 치과용 보철물의 시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보철물이 잇몸속의 뼈와 얼마만큼 견고하게 골유착을 하느냐 하는 것이며 치아는 음식물의 저작에 의한 압력에 충분히 지지될 수 있도록 견고한 골유착을 형성하여야 한다. 특히 측방압을 받는 경우에 그 지지력이 약화되어 임플란트가 빠지거나 통증을 일으키는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을 야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임플란트가 뼈와 충분하게 골유착을 하여야 한다는 점은 매우 중요하다.
치과용 보철물의 시술에 있어서 또 중요한 점은 보철물을 시술한 후에, 부작용이 발생하거나 기타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보철물을 잇몸으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그 제거가 용이해야 한다는 점이다. 잇몸의 뼈 속에 이식한 임플란트의 제거가 어려운 경우에 그 부분에 해당하는 잇몸과 뼈를 절제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시술된 그 부위에 손상을 주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상기한 고정체는 어버트먼트와 결합시에 별도로 구비된 나사 혹은 나사 일체형 어버트먼트를 이용하여 상호간에 결합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나사와 결합되는 고정체는 나사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상호간에 결합된다.
상기한 나사는 고정체와 결합된 이후에 교합력에 의한 미세한 진동이 발생되었으며 그 결과 나사 풀림 현상이 발생되어 이에 대한 대책을 필요로 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정체와 결합되는 고정나사부 또는 어버트먼트의 외측에 이중 나사산을 형성하여 식립 시간의 단축과 식립 이후에 결합력 상승이 가능한 임플란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조립체는 치조골에 식립 가능하도록 고정체 바디의 외측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외부 나사산, 상기 고정체 바디의 내측 중앙에 형성된 삽입부의 길이 방향 상에 형성된 내부 나사홈을 포함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상측에 어버트먼트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홈을 통해 고정체의 내부 나사홈과 결합되며 최소의 회전으로 내부 나사홈과 결합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시작 나사산이 형성된 치합부, 상기 치합부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나사 바디의 상부를 따라 일정 피치를 갖으며 다수개의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나사산은 고정나사 바디의 상측으로 경사진 제1 경사부, 상기 제1 경사부의 외측 단부에서 고정 나사 바디의 하측을 향해 경사 지되 상기 제1 경사부의 경사각보다 작은 경사각을 갖는 제2 경사부가 형성된 고정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경사부와 제1 경사부는 1:2의 각도 비율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나사부는 삽입부에 결합될 때 안정적인 결합을 안내하도록 상기 치합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는 치합부의 하측을 향해 양측이 각각 내측으로 경사진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거나, 나사산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으며 치합부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은 치조골에 식립 가능하도록 고정체 바디의 외측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외부 나사산, 상기 고정체 바디의 내측 중앙에 형성된 삽입부의 길이 방향 상에 형성된 내부 나사홈을 포함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내부 나사홈에 결합되며 최소의 회전으로 내부 나사홈과 결합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시작 나사산이 형성된 치합부, 상기 치합부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어버트먼트 바디의 상부를 따라 일정 피치를 갖으며 다수개의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나사산은 어버트먼트 바디의 상측으로 경사진 제1 경사부, 상기 제1 경사부의 외측 단부에서 어버트먼트 바디의 하측을 향해 경사지되 상기 제1 경사부의 경사각보다 작은 경사각을 갖는 제2 경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경사부와 제1 경사부는 1:2의 각도 비율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어버트먼트는 삽입부에 어버트먼트가 결합될 때 안정적인 결합을 안내 하도록 상기 치합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는 치합부의 하측을 향해 양측이 각각 내측으로 경사진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거나 상기 나사산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으며 치합부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조립체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조립체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조립체의 결합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임플란트 조립체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임플란트 조립체의 부분 결합 절개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치조골에 식립 가능하도록 고정체 바디의 외측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외부 나사산(110), 상기 고정체 바디의 내측 중앙에 형성된 삽입부(102)의 길이 방향 상에 형성된 내부 나사홈(120)을 포함하는 고정체(100); 상기 고정체(100)의 상측에 어버트먼트(200)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어버트먼트(200)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홈(202)을 통해 고정체(100)의 내부 나사홈(120)과 결합되며 최소의 회전으로 내부 나사홈(120)과 결합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시작 나사산(302)이 형성된 치합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치합부(310)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나사 바디(301)의 상부를 따라 일정 피치를 갖으며 다수개의 나사산(320)이 형성되되 상기 나사산(320)은 고정나사 바디(301)의 상측으로 경사진 제1 경사부(322), 상기 제1 경사부(322)의 외측 단부에서 고정 나사 바디(301)의 하측을 향해 경사지되 상기 제1 경사부(322)의 경사각보다 작은 경사각을 갖는 제2 경사부(324)가 형성된 고정나사부(3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치합부(310)는 고정나사부(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경사부(324)와 제1 경사부(322)는 1:2의 각도 비율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나사부(300)는 삽입부(102)에 고정나사부(300)가 결합될 때 안정적인 결합을 안내하도록 상기 치합부(3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330)는 치합부(310)의 하측을 향해 양측이 각각 내측으로 경사진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거나, 나사산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으며 치합부(310)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은 치조골에 식립 가능하도록 고정체 바디의 외측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외부 나사산(110), 상기 고정체 바디의 내측 중앙에 형성된 삽입부(102)의 길이 방향 상에 형성된 내부 나사홈(120)을 포함하는 고정체(100); 상기 고정체(100)의 내부 나사홈(120)에 결합되며 최소의 회전으로 내부 나사홈(120)과 결합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시작 나사산(402)이 형성된 치합부(410); 및 상기 치합부(410)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어버트먼트 바디(401)의 상부를 따라 일정 피치를 갖으며 다수개의 나사산(420)이 형성 되되 상기 나사산(420)은 어버트먼트 바디(401)의 상측으로 경사진 제1 경사부(422), 상기 제1 경사부(422)의 외측 단부에서 어버트먼트 바디(401)의 하측을 향해 경사지되 상기 제1 경사부(422)의 경사각보다 작은 경사각을 갖는 제2 경사부(424)가 일체로 형성된 어버트먼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경사부(424)와 제1 경사부(422)는 1:2의 각도 비율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어버트먼트(400)는 삽입부(102)에 결합될 때 안정적인 결합을 안내하도록 상기 치합부(4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430)는 치합부(410)의 하측을 향해 양측이 각각 내측으로 경사진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거나 상기 나사산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으며 치합부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임플란트 조립체의 결합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조립체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임플란트 시술을 실시할 때 우선적으로 환자의 잇몸에 고정체(100)를 식립한다. 상기 고정체(100)의 외측에는 고정체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부 나사산(110)이 형성되어 있어서 환자의 잇몸에 식립이 손쉽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체(100)의 삽입부(102)의 내측으로 어버트먼트(200)를 삽입한 후에 다수개의 나사산(320)이 형성된 고정나사부(300)를 어버트먼트(200)의 결합홈(202)의 내측으로 삽입한다.
상기 고정나사부(300)의 하측 단부에는 가이드부(330)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체(100)의 내측에 형성된 내부 나사홈(120)과 치합시 이를 가이드 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3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되거나, 나사산(3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으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330)에 의해 상기 고정나사부(300)가 고정체(100)에 일차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시술자에 의해 고정나사부(300)를 고정체(100)의 내부 나사홈(120)과 결합시킨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나사부(300)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320)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부(322)가 θ1의 각도를 갖으며 고정나사 바디(301)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 경사부(324)가 θ2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2 경사부(324)와 제1 경사부(322)는 1:2의 각도 비율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체(100)의 내부 나사홈(120)과 결합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경사부(322)가 30°의 경사각도를 갖는다면, 제2 경사부(324)는 15°의 경사각도를 갖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2 경사부(322,324)의 경사각도를 다르게 형성하여 고정나사부(300)의 풀림을 방지하고, 마찰 단면적을 향상시켜 결합력이 증대된 상태로 고정체(100)와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나사부(300)의 치합부(310)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시작 나사선(302)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체(100)와 결합되는 고정나사 부(300)의 결합에 필요한 회전수를 최소로 하여 결합이 가능해져 실제 시술 현장에서 식립 시간이 단축됨으로서 빠른 시술이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 고정나사부(300)를 해제할 경우에도 시작 나사선(302)에 의해 빠르게 고정나사부(300)가 어버트먼트(200)의 결합홈(202)의 외측으로 풀리게 되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나사부(300)와 고정체(100) 상호간에 결합이 완료된 이후에 어버트먼트(200)의 상측에 인공치관(미도시)을 결합하게 되면 작업이 완료된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 상태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임플란트 조립체는 어버트먼트의 외측에 나사산을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서, 환자에게 임플란트 시술을 실시할 때 우선적으로 환자의 잇몸에 고정체(100)를 식립한다. 상기 고정체(100)의 외측에는 고정체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부 나사산(110)이 형성되어 있어서 환자의 잇몸에 식립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체(100)의 삽입부(102)의 내측으로 어버트먼트(400)를 삽입한다.
상기 어버트먼트(400)의 하측 단부에는 고정체(100)의 내측에 형성된 내부 나사홈(120)과 치합시 이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430)가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체(100)에 일차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어버트먼트(400)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420)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부(422)가 θ3의 각도를 갖으며 어버트먼트 바디(401)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 경사부(424)가 θ4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2 경사부(424)와 제1 경사부(422)는 1:2의 각도 비율을 갖으며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체(100)의 내부 나사홈(120)과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경사부(422)가 30°의 경사각도를 갖는다면, 제2 경사부(424)는 15°의 경사각도를 갖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2 경사부(422,424)의 경사각도를 다르게 형성하여 고정체(100)와 결합된 어버트먼트(400)의 풀림을 방지하고, 마찰 단면적을 향상시켜 결합력이 증대된 상태로 고정체(100)와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400)의 치합부(410)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시작 나사선(402)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체(100)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400)의 결합에 필요한 회전수를 최소로 하여 결합이 가능해져 실제 시술 현장에서 식립 시간이 단축됨으로서 빠른 시술이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어버트먼트(400)의 외측에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나사산(420)을 형성하여 고정체(100)와 결합을 하게 되면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시술이 가능해지며 어버트먼트(400)와 고정체(100) 상호간에 결합이 완료된 이후에 어버트먼트(400)의 상측에 인공치관(미도시)을 결합하게 되면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는 이중 나사선을 고정나사 또는 어버트먼트상에 형성하여 픽스쳐와 결합시 식립 시간의 단축과 식립 이후에 결합력 상승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체에 어버트먼트가 결합된 이후에 풀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치조골에 식립 가능하도록 고정체 바디의 외측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외부 나사산, 상기 고정체 바디의 내측 중앙에 형성된 삽입부의 길이 방향 상에 형성된 내부 나사홈을 포함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상측에 어버트먼트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홈을 통해 고정체의 내부 나사홈과 결합되며 최소의 회전으로 내부 나사홈과 결합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시작 나사산이 형성된 치합부, 상기 치합부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나사 바디의 상부를 따라 일정 피치를 갖으며 다수개의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나사산은 고정나사 바디의 상측으로 경사진 제1 경사부, 상기 제1 경사부의 외측 단부에서 고정 나사 바디의 하측을 향해 경사지되 상기 제1 경사부의 경사각보다 작은 경사각을 갖는 제2 경사부가 형성된 고정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부와 제1 경사부는 1:2의 각도 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나사부는 삽입부에 결합될 때 안정적인 결합을 안내하도록 상기 치 합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치합부의 하측을 향해 양측이 각각 내측으로 경사진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거나, 나사산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으며 치합부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조립체.
  5. 치조골에 식립 가능하도록 고정체 바디의 외측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외부 나사산, 상기 고정체 바디의 내측 중앙에 형성된 삽입부의 길이 방향 상에 형성된 내부 나사홈을 포함하는 고정체;
    상기 고정체의 내부 나사홈에 결합되며 최소의 회전으로 내부 나사홈과 결합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시작 나사산이 형성된 치합부; 및
    상기 치합부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어버트먼트 바디의 상부를 따라 일정 피치를 갖으며 다수개의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나사산은 어버트먼트 바디의 상측으로 경사진 제1 경사부, 상기 제1 경사부의 외측 단부에서 어버트먼트 바디의 하측을 향해 경사지되 상기 제1 경사부의 경사각보다 작은 경사각을 갖는 제2 경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부와 제1 경사부는 1:2의 각도 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조립체.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삽입부에 결합될 때 안정적인 결합을 안내하도록 상기 치합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조립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치합부의 하측을 향해 양측이 각각 내측으로 경사진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거나 상기 나사산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으며 치합부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조립체.
KR1020060128919A 2006-12-15 2006-12-15 임플란트 조립체 KR100807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919A KR100807289B1 (ko) 2006-12-15 2006-12-15 임플란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919A KR100807289B1 (ko) 2006-12-15 2006-12-15 임플란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7289B1 true KR100807289B1 (ko) 2008-02-28

Family

ID=39383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919A KR100807289B1 (ko) 2006-12-15 2006-12-15 임플란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2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07538B (zh) * 2009-02-09 2014-01-01 李道相 具有经过改良的植入结构的种植体夹具
WO2016006730A1 (ko) * 2014-07-09 2016-01-14 (주)예스바이오테크 임플란트용 스크류
KR20220027548A (ko) 2020-08-27 2022-03-08 김종희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110A (ko) * 1999-12-14 2001-11-15 코헤르샤이트 크리스챤 에프. 태핑 나사
KR20040034874A (ko) * 2002-10-17 2004-04-29 (주) 코웰메디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200386077Y1 (ko) 2005-03-02 2005-06-07 주식회사 케이 디이 씨이 풀림이 방지되는 임플란트
KR20070009060A (ko) * 2005-07-15 2007-01-18 이석원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110A (ko) * 1999-12-14 2001-11-15 코헤르샤이트 크리스챤 에프. 태핑 나사
KR20040034874A (ko) * 2002-10-17 2004-04-29 (주) 코웰메디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200386077Y1 (ko) 2005-03-02 2005-06-07 주식회사 케이 디이 씨이 풀림이 방지되는 임플란트
KR20070009060A (ko) * 2005-07-15 2007-01-18 이석원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07538B (zh) * 2009-02-09 2014-01-01 李道相 具有经过改良的植入结构的种植体夹具
WO2016006730A1 (ko) * 2014-07-09 2016-01-14 (주)예스바이오테크 임플란트용 스크류
KR20220027548A (ko) 2020-08-27 2022-03-08 김종희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7294B2 (en) Fixture for a dental implant and an impla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N108697492B (zh) 可拆卸的种植体结合假体
KR100594753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US20060216673A1 (en) Dental implant
KR200467684Y1 (ko)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스크루 및 이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KR20130097036A (ko) 가이드홀 내면에 어뷰트먼트 체결용 탄성체 어댑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픽스처
KR20130058410A (ko) 힐링 어버트먼트
KR100894315B1 (ko) 응급 임플란트용 고정체
KR10077922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0383246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JP6639286B2 (ja) 貫通固定される多数の義歯
KR100807289B1 (ko) 임플란트 조립체
KR100860356B1 (ko) 인공치아
US8998612B2 (en) Dental implant fixture and implant system having the same
KR20150115057A (ko) 임플란트용 인공치근
KR100894986B1 (ko)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WO2008016205A1 (en) Internal fixture for dental rescue implant
KR10121067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0598937B1 (ko) 컷팅 에지를 갖는 치근형 인공치아 시술용 픽쳐
JP4818598B2 (ja) スクリュー型インプラント用フィクスチャー
KR10059475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EP3574866A1 (en) Dental implant
KR100280119B1 (ko) 치과용 인공치아의 인공치근
EP2497441A1 (en) Dental implant system
TWI827995B (zh) 牙科植體固定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