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273A - 이륜차 및 그 시동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륜차 및 그 시동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273A
KR20220057273A KR1020200142364A KR20200142364A KR20220057273A KR 20220057273 A KR20220057273 A KR 20220057273A KR 1020200142364 A KR1020200142364 A KR 1020200142364A KR 20200142364 A KR20200142364 A KR 20200142364A KR 20220057273 A KR20220057273 A KR 20220057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ed vehicle
starting
pattern
ang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승돈
이재상
Original Assignee
재상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젠트로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상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젠트로피 filed Critical 재상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2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7273A/ko
Priority to PCT/KR2020/015045 priority patent/WO2022092366A1/ko
Publication of KR20220057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2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03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itiating engine start or s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10Safet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륜차 및 그의 시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는,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온이 유지되고, 운전석에 가해진 무게가 기준치 이하로 감소되고, 지지대가 접촉상태에서 비접촉상태로 전환되고, 지지대가 초기각도에서 최대각도로 회전되면 시동을 끄도록 한다.

Description

이륜차 및 그 시동 제어방법{Two-wheeled vehicle and its starting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이륜차 및 그의 시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륜차는 좁은 골목이나 짧은 거리의 이동이 편리하고 레저활동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륜차로는 대표적으로 오토바이가 있으며 최근에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시켜서 동력을 얻는 전기이륜차에 대한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륜차는 출퇴근이나 레저 등 개인용으로 많이 사용되지만 최근 배달, 탁송 등 상업용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업용 이륜차는 관리자의 관리하에 다수의 운전자들이 운행하고 있다.
우편배달, 퀵 서비스 등을 위해 이륜차를 이용하는 경우 운전자는 이륜차에 시동을 켜놓은 상태에서 잠깐 자리를 비우는 경우가 많아 도난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KR0-1593937 B1(선행문헌 1)에는 잠시 자리를 비우는 경우 자동으로 오토바이의 시동을 걸고 해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1은 오토바이의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오토바이의 속도가 0인 경우, 속도가 0이고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경우, 또는 속도가 0이고 오토바이에 탑승자가 감지되지 않고 스마트키가 인증되지 않은 경우 등의 시동해제조건이 만족되면 시동을 끄도록 제어하고, 오토바이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오토바이의 전원이 온 상태에서 운전자 탑승이 감지되고 브레이크가 작동해제되었다가 다시 브레이크 작동상태로 전환된 경우 또는 엑셀레이터가 작동중인 경우 오토바이의 시동을 켜는 시동조건이 만족되면 시동을 켜도록 제어한다.
일본공개특허 JP2014-190164 A(선행문헌 2)에는 오토바이에서 정지조건이 성립하면 엔진을 자동 정지시키고 엔진의 자동 정지중에 재시동조건이 성립하면 엔진을 재시동시키는 오토바이의 제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2는 오토바이가 정지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지면에 한 쪽 발을 내리고 있다고 판단하면 정지조건이 성립된 것으로 판단하고, 엔진의 자동정지 중에 운전자가 지면에 내리고 있는 한 쪽 발을 다른 쪽 발로 변경했다고 판단하면 재시동조건이 성립했다고 판단한다. 이는 한 쪽 발을 지면에 디딜 때 오토바이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정지조건을 판단하고, 자동정지 중에 다른 쪽 발을 바꾸어 지면을 디딜 때 반대방향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재시동조건을 판단하는 것이다.
선행문헌 1,2는 오토바이의 사용중 의도치 않게 시동조건과 시동해제조건(정지조건)이 성립될 수 있어, 운전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또는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오토바이가 시동되거나 정지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사용상 불편한 점이 발생하게 된다.
(선행문헌 1) 한국등록특허 KR10-1593937 B1 (선행문헌 2) 일본공개특허 JP2014-190164 A
본 발명은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이륜차의 시동을 끄거나 켜도록 하는 이륜차 및 그의 시동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륜차의 시동걸기 및 시동끄기를 위한 동작패턴을 사전에 미리 설정하고, 그 동작패턴이 실시된 것으로 감지하면 이륜차의 시동을 자동으로 켜고 끄도록 하는 이륜차 및 그의 시동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륜차의 정차 또는 주차를 감지함에 따라 이륜차의 시동걸기 및 시동끄기가 실시되도록 하는 이륜차 및 그의 시동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는, 브레이크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브레이킹감지부; 운전석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부; 주차용 지지대가 설정된 초기위치에 접촉되는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부; 상기 지지대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회전감지부; 상기 이륜차의 시동을 제어하는 시동부; 상기 이륜차에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가 온이 유지되는 제1과정, 상기 운전석에 가해진 무게가 기준치 이하로 감소되는 제2과정, 상기 지지대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접촉상태에서 비접촉상태로 전환되는 제3과정, 상기 지지대가 초기각도에서 최대각도로 회전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진 시동끄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시동을 끄도록 상기 시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륜차는 상기 이륜차의 핸들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각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시동끄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진행된 이후에 상기 핸들의 조향각이 제1방향으로 기준각도 이상으로 커지는 과정이 추가로 진행되면 상기 시동을 끄도록 상기 시동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륜차에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가 온이 유지되는 제5과정, 상기 지지대가 상기 최대각도에서 상기 초기각도로 회전하는 제6과정, 상기 지지대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비접촉상태에서 접촉상태로 전환되는 제7과정, 상기 운전석에 가해진 무게가 기준치 이상으로 증가되는 제8과정으로 이루어진 시동걸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실시되면 상기 이륜차의 시동을 걸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이 끄진 상태에서 상기 시동걸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진행된 이후에 상기 핸들의 조향각이 제2방향으로 기준각도 이상으로 커지는 과정이 추가로 진행되면 상기 시동을 걸도록 상기 시동부를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의 시동 제어방법은, 브레이크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단계; 이륜차의 운전석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주차용 지지대가 설정된 초기위치에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지지대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륜차에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가 온이 유지되는 제1과정, 상기 운전석에 가해진 무게가 기준치 이하로 감소되는 제2과정, 상기 지지대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접촉상태에서 비접촉상태로 전환되는 제3과정, 상기 지지대가 초기각도에서 최대각도로 회전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진 시동끄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상기 이륜차의 시동을 끄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시동 제어방법은, 상기 이륜차의 핸들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동끄기패턴은 상기 제4과정 이후에 상기 이륜차의 핸들의 조향각이 제1방향으로 기준각도 이상으로 커지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1~4과정 및 추가된 과정을 포함한 시동끄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상기 시동을 끄도록 한다.
상기 시동 제어방법은, 브레이크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이륜차의 시동끄기패턴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륜차에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가 온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시동끄기패턴이 진행되고 상기 진행된 시동끄기패턴이 상기 등록된 시동끄기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시동을 끄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의 시동 제어방법은, 브레이크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단계; 이륜차의 운전석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주차용 지지대가 설정된 초기위치에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지지대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륜차에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가 온이 유지되는 제5과정, 상기 지지대가 최대각도에서 초기각도로 회전되는 제6과정, 상기 지지대가 초기위치에서 비접촉상태에서 접촉상태로 전환되는 제7과정, 상기 운전석에 가해진 무게가 기준치 이상으로 증가되는 제8과정으로 이루어진 시동걸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실시되면 상기 이륜차의 시동을 걸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시동 제어방법은, 상기 이륜차의 핸들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동걸기패턴은 상기 제6과정 이후에 상기 이륜차의 핸들의 조향각이 제2방향으로 기준각도 이상으로 커지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5~8과정 및 추가된 과정을 포함한 시동걸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상기 시동을 걸도록 한다.
상기 시동 제어방법은, 브레이크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이륜차의 시동걸기패턴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륜차에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가 온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시동걸기패턴이 진행되고 상기 진행된 시동걸기패턴이 상기 등록된 시동걸기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시동을 걸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및 그의 시동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이륜차 및 그의 시동 제어방법에서는 이륜차의 시동걸기 및 시동끄기를 위한 동작패턴을 운전자가 사전에 미리 설정하고, 그 동작패턴이 감지되면 시동을 켜고 끄도록 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이륜차의 시동을 끄거나 켜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운전자의 의도와 상관 없이 시동이 켜지고 꺼지는 종래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륜차의 정차 또는 주차를 위한 지지대의 동작을 감지하여 시동걸기 및 시동끄기가 이루어지므로, 확실한 주,정차시에만 이륜차의 시동을 끄도록 하고 확실한 사용시에만 이륜차의 시동을 켜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의도치 않게 시동걸기와 시동끄기가 실시되는 것을 방지하고 확실한 정지 및 운전의 경우에만 시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의 개략도.
도 2는 상기 이륜차에서 주차용 지지대를 사용하는 예시도.
도 3은 상기 지지대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의 구성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시동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시동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상기 이륜차에서 주차용 지지대를 사용하는 예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지지대의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의 구성블럭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100)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석(14)이 몸체(11)에 구비될 수 있고, 운전자가 운전석(14)에 탑승하여 이륜차(100)를 운전하기 위한 핸들(10)이 좌우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운전석(14)에는 운전석(14)에 가해진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부(112)가 설치될 수 있다. 운전석(14)에 운전자가 탑승하면 무게감지부(112)에서 무게를 감지함으로써 운전자의 탑승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무게감지부(112)는 또한 운전석(14)에 가해진 무게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운전자가 운전석(14)에 탑승한 상태에서 한쪽 또는 양쪽 발을 바닥에 디디는 경우 운전석(14)에 가해지는 무게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무게감지부(112)는 이러한 무게의 변화를 감지할 수도 있다.
핸들(10)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체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핸들(10)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핸들(10)의 조향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핸들(10)의 조향각은 조향각검출부(115)에서 검출될 수 있다.
핸들(1)에 근접하여 브레이크(12)가 구비될 수 있다. 브레이크(12)는 운전자가 핸들(10)을 잡은 상태에서 브레이크(12)를 손가락을 뻗어 잡아 당길 수 있을 정도로 근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륜차(100)의 운전중 브레이크(12)를 잡아당겨서 속도를 줄이거나 비상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 브레이크(12)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기는 경우와 놓는 경우를 브레이킹감지부(111)에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12)를 잡아당기는 경우 브레이킹감지부(111)는 브레이크 온(ON)으로 감지하고 브레이크(12)를 잡은 후 놓는 경우 브레이킹감지부(111)는 브레이크 오프(OFF)로 감지할 수 있다.
브레이킹감지부(111)는 브레이크(12)가 당겨질 때와 당긴 후 놓을 때의 브레이크(12)의 움직임을 각각 감지하여 브레이크의 온/오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륜차(100)는 앞바퀴(16)와 뒷바퀴(18)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이륜차(100)는 내부에 탑재된 엔진 또는 모터(미도시) 등으로부터 동력을 얻어 앞바퀴(16) 및/또는 뒷바퀴(18)를 구동시킴으로써 운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이륜차(Electric Two-Wheeled Vehicle)는 몸체(11)의 내부에 배터리가 장착되고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시켜서 앞바퀴(16)및 뒷바퀴(18)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몸체(11)의 하부에는 발디딤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발디딤부(13)는 기본적으로 운전자가 운전석(14)에 탑승하여 운전하는 중에 발을 편하게 올려놓기 위한 것이다. 발디딤부(13)는 뒷바퀴(18)의 상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발디딤부(13)의 하부에는 이륜차(100)를 주차(이하 정차를 포함함)시 사용되는 주차용 받침대 또는 주차용 지지대(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20)는 통상적으로 킥스탠드(kick stand)라고 불린다.
지지대(20)는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지지대(20)는 평상시 또는 운전시에는 위로 접힌 상태가 되고 주차시에는 지면(23)으로 회전하면서 아래로 펼쳐질 수 있다.
통상 지지대(20)는 이륜차(100)의 왼쪽 하단에 설치되며 이륜차(100)의 주차시 운전자는 오른발을 지면에 디딘채 왼발을 이용하여 지지대(20)를 회전시켜 펼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운전자가 운전중이거나 운전석(14)에 탑승한 채로 가볍게 한쪽 발 또는 양쪽 발을 지면에 디디면서 체중을 완전히 운전석(14)에 실은 상황(제1상황)에 비해서 이륜차(100)를 주차하기 위해 한쪽 발(예:오른발)을 지면에 디딘 후에 다른 발(예:왼발)을 이용하여 지지대(20)를 회전시키는 상황(제2상황)이 되면 운전석(14)에 가해진 무게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제1상황 -> 제2상황으로 전개되면 무게는 일정값 이상 감소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1상황에서는 운전석에 운전자의 체중이 완전히 실리게 되지만, 제2상황에서는 운전자가 체중을 한쪽 발에 대부분 싣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무게 변화를 무게감지부(112)에서 감지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제2상황 -> 제1상황)에도 무게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반대로 무게가 일정값 이상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20)는 무게감지부(112)에서 감지한, 운전석(14)에 가해진 무게의 변화를 이용하여 주차여부를 한번 더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운전자가 운전석(14)에서 완전히 이탈하면 더 큰 감소량 및 증가량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20)에서 운전석(14)에 가해진 무게의 변화, 즉 무게의 감소량 또는 무게의 증가량이 각각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운전자가 주차를 하거나 또는 주차모드에서 주행모드로 진행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지지대(20)는 접힌 상태에서는 발디딤부(13)에 접촉되고 지면(23)으로 회전하여 펼쳐진 상태에서는 발디딤부(13)에 비접촉, 즉 발디딤부(13)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20)가 발디딤부(13)에 접촉된 위치를 초기위치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륜차(100)를 주차하기 위해 지지대(20)는 최대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대(20)가 최대각도로 회전하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회전제한부 또는 리미트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20)가 접촉되는 발디딤부(13)의 위치, 즉 발디딤부(13)의 초기위치에 지지대(20)가 접촉되는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부(113)가 설치될 수 있다.
지디대(20)가 접힌 상태에서는 발디딤부(13)의 초기위치에 지지대(20)가 접촉상태가 되어 접촉감지부(113)는 접촉으로 감지하고, 지지대(20)가 회전되어 펼쳐진 상태에서는 초기위치에 지지대(20)가 비접촉상태가 되어 접촉감지부(113)는 비접촉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감지부(113)는 터치 여부에 반응하는 티치센서 또는 푸시-풀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20)가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그 회전각도는 회전감지부(114)에서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회전각도는 제어부(12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륜차(100)의 주차시 지지대(20)가 최대각도로 회전하므로 회전감지부(114)에서 최대각도가 감지되면 제어부(120)는 지지대(20)가 주차를 위해 회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20)가 초기위치에 접촉된 상태에서의 각도를 초기각도라 하고, 주차를 위해 최대로 회전한 각도를 최대각도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륜차(100)는 조향각검출부(115)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향각검출부(115)는 핸들(10)의 조향각을 검출할 수 있다.
핸들(10)은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향각도 좌우방향에 대응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10)을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항각은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반대로 핸들(10)을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항각은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은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이 될 수 있고, 제2방향은 제1방향의 반대방향이 될 수 있다.
시동부(119)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이륜차(100)의 시동걸기 및 시동끄기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동부(119)는 엔진 또는 모터로 공급되는 연료 및 전원을 공급/차단함으로써 시동걸기 및 시동끄기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서 시동전원의 공급/차단을 통해 시동걸기 및 시동끄기를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이륜차(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브레이킹감지부(111), 무게감지부(112), 접촉감지부(113), 회전감지부(114)에서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시동부(119)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이륜차(100)에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브레이킹감지부(111)에서 브레이크(12)가 온이 유지되는지를 감지하고, 무게감지부(112)에서 운전석(14)에 가해진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고, 접촉감지부(113)에서 지지대(20)가 초기위치에 접촉/비접촉 여부를 감지하고, 회전감지부(114)에서 지지대(20)가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시동걸기 및 시동끄기를 위해 시동부(119)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이륜차(100)에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온이 유지되는 제1과정, 운전석(14)에 가해진 무게가 기준치 이하로 감소되는 제2과정, 지지대(20)가 기설정된 초기위치에서 접촉상태에서 비접촉상태로 전환되는 제3과정, 지지대(20)가 기설정된 초기각도에서 최대각도로 회전되는 제4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시동을 끄도록 시동부(119)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상기와 같이 시동끄기가 완료되어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온이 유지되는 제5과정, 지지대(20)가 최대각도에서 기설정된 초기각도로 회전하는 제6과정, 지지대(20)가 기설정된 초기위치에 비접촉상태에서 접촉상태로 전환되는 제7과정, 운전석(14)에 가해진 무게가 기준치 이상으로 증가되는 제8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시동을 걸도록 시동부(119)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4과정을 시동끄기패턴으로 사전에 등록하고, 제5~8과정을 시동걸기패턴으로 사전에 등록할 수 있다. 사전에 등록된 시동끄기패턴과 시동걸기패턴을 저장부(118)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등록절차는 브레이크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과정 이전에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제1~4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그 진행된 제1~4과정이 사전에 등록된 시동끄기패턴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하면 시동끄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다.
또한,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제5~8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그 진행된 제5~8과정이 사전에 등록된 시동걸기패턴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하면 시동걸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입력부(116)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16)를 필요한 명령, 정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정보 및 데이터는 저장부(118)에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116)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시동걸기패턴 및 시동끄기패턴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부(116)를 통해 시동끄기패턴으로, 상기 제1~4과정을 순차적으로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시동걸기패턴으로 상기 제5~8과정을 순차적으로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제1~4과정을 시동끄기패턴으로 등록한 경우, 제1,2,3,4과정이 순서대로 진행되는 경우에만 시동끄기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어느 한 과정이라도 순서가 어긋난다면 시동끄기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5~8과정을 시동걸기패턴으로 등록한 경우, 제5,6,7,8과정이 순서대로 진행되는 경우에만 시동걸기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어느 한 과정이라도 순서가 어긋난다면 시동걸기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것은 보완을 위한 것이다.
한편, 이륜차(100)가 조향각검출부(115)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시동끄기패턴 및 시동걸기패턴에 조향각 검출결과를 추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륜차(100)에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시동끄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진행된 후, 즉 제1~4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된 이후 핸들(10)의 조향각이 제1방향으로 기준각도 이상으로 커지는 과정이 추가로 진행되면 시동이 꺼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제1~4과정의 시동끄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시동을 꺼는 것이 아니라, 그 이후에 추가로 핸들(10)을 제1방향(예:좌측방향)으로 기준각도 이상 회전시키는 과정이 더 진행되면 시동이 꺼지도록 하는 것이다.
반대로, 이륜차(100)에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시동걸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진행된 후, 즉 제5~8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된 이후 핸들(10)의 조향각이 제2방향으로 기준각도 이상으로 커지는 과정이 추가로 진행되면 시동이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제5~8과정의 시동걸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시동을 거는 것이 아니라, 그 이후에 추가로 핸들(10)을 제2방향(예:우측방향)으로 기준각도 이상 회전시키는 과정이 더 진행되면 시동을 걸도록 하는 것이다.
표시부(117)는 이륜차(1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시동걸기 및 시동끄기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시동걸기패턴 및 시동끄기패턴이 각각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시동걸기 및 시동끄기가 진행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시동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의 시동 제어방법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아(S101), 시동끄기패턴을 등록할 수 있다(S103). 등록된 시동끄기패턴은 저장부(118)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시동끄기패턴이 사전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S101 및 S103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후에, 브레이킹감지부(111), 무게감지부(112), 접촉감지부(113), 회전감지부(114)에서 각각 브레이크 온/오프, 운전석(14)에 가해진 무게, 지지대(20)가 설정된 초기위치에서의 접촉여부, 지지대(20)가 초기각도에서 회전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105). 선택적으로 S105 단계에서 조향각검출부(105)에서 핸들(10)의 회전에 대응하는 조향각을 추가로 검출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상기 각각의 감지결과 및/또는 검출결과를 이용하여 시동끄기 또는 시동걸기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이륜차(100)에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온이 유지되는 제1과정, 운전석(14)에 가해진 무게가 기준치 이하로 감소되는 제2과정, 지지대(20)가 초기위치에서 접촉상태에서 비접촉상태로 전환되는 제3과정, 지지대(20)가 초기각도에서 최대각도로 회전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진 시동끄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상기 진행된 시동끄기패턴이 상기 등록된 시동끄기패턴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07).
판단결과 일치하면, 제어부(120)는 시동부(119)를 제어하여 이륜차(100)의 시동을 끄도록 할 수 있다(S109).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1~4과정의 시동끄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진행된 이후에 조향각이 제1방향으로 기준각도 이상으로 커지는 과정이 추가로 진행되면, 상기 진행된 시동끄기패턴이 상기 등록된 시동끄기패턴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S107).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시동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시동 제어방법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아(S201), 시동걸기패턴을 등록할 수 있다(S203). 등록된 시동끄기패턴은 저장부(118)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시동걸기패턴이 사전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S201 및 S203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후에, 브레이킹감지부(111), 무게감지부(112), 접촉감지부(113), 회전감지부(114)에서 각각 브레이크 온/오프, 운전석(14)에 가해진 무게, 지지대(20)가 설정된 초기위치에서의 접촉여부, 지지대(20)가 초기각도에서 회전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205). 선택적으로 S205 단계에서 조향각검출부(105)에서 핸들(10)의 회전에 대응하는 조향각을 추가로 검출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상기 각각의 감지결과 및/또는 검출결과를 이용하여 시동끄기 또는 시동걸기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이륜차(100)에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브레이크의 온이 유지되는 제5과정, 지지대(20)가 최대각도에서 초기각도로 회전하는 제6과정, 지지대(20)가 초기위치에 비접촉상태에서 접촉상태로 전환되는 제7과정, 운전석에 가해진 무게가 기준치 이상으로 증가되는 제8과정으로 이루어진 시동걸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상기 진행된 시동걸기패턴이 상기 등록된 시동걸기패턴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207).
판단결과 일치하면, 제어부(120)는 시동부(119)를 제어하여 이륜차(100)의 시동을 걸도록 할 수 있다(S209).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5~8과정의 시동걸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진행된 이후에 조향각이 제2방향으로 기준각도 이상으로 커지는 과정이 추가로 진행되면, 상기 진행된 시동걸기패턴이 상기 등록된 시동걸기패턴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S207).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운전자가 사전에 시동걸기패턴과 시동끄기패턴을 등록할 수 있으며, 등록한 이후에 시동걸기패턴 또는 시동끄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자동으로 이륜차의 시동을 걸거나 끄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동걸기패턴과 시동끄기패턴은 운전자가 확실히 주차할 의도가 있는 경우에 실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므로, 주차모드에만 시동끄기가 진행되고, 주차모드를 벗어나 운전을 할 준비가 되면 시동걸기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운전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반영하여 시동걸기와 시동끄기가 진행되므로 이륜차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핸들 11 : 몸체
12 : 브레이크 13 : 발디딤부
14 : 운전석 16,18 : 바퀴
20 : 지지대 111 : 브레이킹감지부
112 : 무게감지부 113 : 접촉감지부
114 : 회전감지부 115 : 조향각검출부
116 : 입력부 117 : 표시부
118 : 저장부 119 : 시동부
120 : 제어부

Claims (10)

  1. 브레이크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브레이킹감지부;
    운전석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부;
    주차용 지지대가 설정된 초기위치에 접촉되는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부;
    상기 지지대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회전감지부;
    상기 이륜차의 시동을 제어하는 시동부;
    상기 이륜차에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가 온이 유지되는 제1과정, 상기 운전석에 가해진 무게가 기준치 이하로 감소되는 제2과정, 상기 지지대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접촉상태에서 비접촉상태로 전환되는 제3과정, 상기 지지대가 초기각도에서 최대각도로 회전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진 시동끄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시동을 끄도록 상기 시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륜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륜차의 핸들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각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시동끄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진행된 이후에 상기 핸들의 조향각이 제1방향으로 기준각도 이상으로 커지는 과정이 추가로 진행되면 상기 시동을 끄도록 상기 시동부를 제어하는 이륜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륜차에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가 온이 유지되는 제5과정, 상기 지지대가 상기 최대각도에서 상기 초기각도로 회전하는 제6과정, 상기 지지대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비접촉상태에서 접촉상태로 전환되는 제7과정, 상기 운전석에 가해진 무게가 기준치 이상으로 증가되는 제8과정으로 이루어진 시동걸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실시되면 상기 이륜차의 시동을 걸도록 제어하는 이륜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륜차의 핸들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각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이 끄진 상태에서 상기 시동걸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진행된 이후에 상기 핸들의 조향각이 제2방향으로 기준각도 이상으로 커지는 과정이 추가로 진행되면 상기 시동을 걸도록 상기 시동부를 제어하는 이륜차.
  5. 브레이크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단계;
    이륜차의 운전석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주차용 지지대가 설정된 초기위치에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지지대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륜차에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가 온이 유지되는 제1과정, 상기 운전석에 가해진 무게가 기준치 이하로 감소되는 제2과정, 상기 지지대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접촉상태에서 비접촉상태로 전환되는 제3과정, 상기 지지대가 초기각도에서 최대각도로 회전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진 시동끄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상기 이륜차의 시동을 끄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륜차의 시동 제어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륜차의 핸들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동끄기패턴은 상기 제4과정 이후에 상기 이륜차의 핸들의 조향각이 제1방향으로 기준각도 이상으로 커지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1~4과정 및 추가된 과정을 포함한 시동끄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상기 시동을 끄도록 하는 이륜차의 시동 제어방법.
  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브레이크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이륜차의 시동끄기패턴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륜차에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가 온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시동끄기패턴이 진행되고 상기 진행된 시동끄기패턴이 상기 등록된 시동끄기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시동을 끄도록 제어하는 이륜차의 시동 제어방법.
  8. 브레이크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단계;
    이륜차의 운전석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주차용 지지대가 설정된 초기위치에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지지대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륜차에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가 온이 유지되는 제5과정, 상기 지지대가 최대각도에서 초기각도로 회전되는 제6과정, 상기 지지대가 초기위치에서 비접촉상태에서 접촉상태로 전환되는 제7과정, 상기 운전석에 가해진 무게가 기준치 이상으로 증가되는 제8과정으로 이루어진 시동걸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실시되면 상기 이륜차의 시동을 걸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륜차 시동 제어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륜차의 핸들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동걸기패턴은 상기 제6과정 이후에 상기 이륜차의 핸들의 조향각이 제2방향으로 기준각도 이상으로 커지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5~8과정 및 추가된 과정을 포함한 시동걸기패턴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상기 시동을 걸도록 하는 이륜차의 시동 제어방법.
  10. 청구항 8 또는 9에 있어서,
    브레이크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이륜차의 시동걸기패턴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륜차에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가 온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시동걸기패턴이 진행되고 상기 진행된 시동걸기패턴이 상기 등록된 시동걸기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시동을 걸도록 하는 이륜차의 시동 제어방법.
KR1020200142364A 2020-10-29 2020-10-29 이륜차 및 그 시동 제어방법 KR2022005727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364A KR20220057273A (ko) 2020-10-29 2020-10-29 이륜차 및 그 시동 제어방법
PCT/KR2020/015045 WO2022092366A1 (ko) 2020-10-29 2020-10-30 이륜차 및 그 시동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364A KR20220057273A (ko) 2020-10-29 2020-10-29 이륜차 및 그 시동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273A true KR20220057273A (ko) 2022-05-09

Family

ID=81384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364A KR20220057273A (ko) 2020-10-29 2020-10-29 이륜차 및 그 시동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57273A (ko)
WO (1) WO20220923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950B1 (ko) * 2022-09-13 2023-02-07 배창빈 안전 전동 킥보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0164A (ja) 2013-03-26 2014-10-06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制御装置
KR101593937B1 (ko) 2015-07-06 2016-02-15 (주)플라토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2109B2 (ja) * 2011-03-30 2015-05-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アイドルストップ装置を備えた自動二輪車
JP5991248B2 (ja) * 2013-03-26 2016-09-14 株式会社デンソー 鞍乗型の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CN103909998B (zh) * 2014-04-09 2016-05-04 上海电机学院 一种智能自行车锁及其上锁方法
JP2017025697A (ja) * 2015-07-22 2017-02-02 東海理研株式会社 キャリーボックス付きオートバイ
KR101935858B1 (ko) * 2016-11-28 2019-01-07 (주)케이피엘 안정성이 향상된 이륜 전동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0164A (ja) 2013-03-26 2014-10-06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制御装置
KR101593937B1 (ko) 2015-07-06 2016-02-15 (주)플라토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950B1 (ko) * 2022-09-13 2023-02-07 배창빈 안전 전동 킥보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2366A1 (ko) 2022-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9431B2 (ja) 駐車支援装置
US20120203407A1 (en) Control device for electric vehicle
US8788183B2 (en) Engine idle spee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vehicular gear
JP5353863B2 (ja) 車両用制御装置
CN110435443B (zh) 坡道辅助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00103021A1 (en) Control Element for a Vehicle
US20150300308A1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US20160264020A1 (en) Variable creep torque
CN110312649B (zh) 驻车控制装置
CN106660575B (zh) 在发动机自动重启过程中减少转向柱急动的***和方法
KR20220057273A (ko) 이륜차 및 그 시동 제어방법
JP5786299B2 (ja) アイドルストップ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及びエンジン制御方法
JP2007152997A (ja) 座席位置自動調整装置
JP3829686B2 (ja) 移動体用操舵装置
JP4428207B2 (ja) 車両の制御装置
US9865413B2 (en) Vehicle control device
JP7327296B2 (ja) 車両制御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車両
JP4464716B2 (ja) 駆動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自動車
CN105074174B (zh) 跨座式车辆的发动机控制装置
US7717076B2 (en) Method for starting an engine of a vehicle
JP2000265870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2004169692A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2251665B1 (ko) 오토바이에 장착되는 isg기능 선택스위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9214763A (ja) 車両用制御装置
JP2001260654A (ja) 車両用パワースライドドアの制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