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035A - 내전압 특성이 우수한 절연체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내전압 특성이 우수한 절연체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035A
KR20220050035A KR1020210102025A KR20210102025A KR20220050035A KR 20220050035 A KR20220050035 A KR 20220050035A KR 1020210102025 A KR1020210102025 A KR 1020210102025A KR 20210102025 A KR20210102025 A KR 20210102025A KR 20220050035 A KR20220050035 A KR 20220050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polyolefin resin
resin composition
rubber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웅
전용성
김봉석
Original Assignee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21163399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2065628A/ja
Priority to US17/499,013 priority patent/US20220119634A1/en
Priority to EP21202321.2A priority patent/EP3985066A1/en
Priority to CN202111194495.2A priority patent/CN114369327A/zh
Publication of KR20220050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3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08L2203/202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use in electrical wires or wire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 특성이 우수하여 전력 케이블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 내전압 특성, 직류 절연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내전압 특성이 우수한 절연체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for Insulation with High Breakdown Voltage and Article Molded Therefrom}
본 발명은 절연 특성이 우수하여 전력 케이블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내열성, 내전압 특성, 직류 절연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우수한 강성과 높은 내열성, 화학 약품에 대한 안정성과 높은 절연 특성으로 인해, 전자 제품의 중요 부품의 포장, 자동차용 전기 부품의 하우징, 전기 제품의 주요 부위의 보호, 소형 전열기 표면 등 높은 전압에 대한 절연 특성 및 내열성을 동시에 요구하는 제품에 널리 이용된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강성이 높고, 굴곡 시 백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굴곡이 있는 부품에 적용하기 곤란하고, 충격에 취약하며, 특히 낮은 온도에서 쉽게 파괴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야외 환경이나 굴곡이 많은 부위에 설치 및 사용이 곤란하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전력 케이블용 절연체로는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ethylene-propylene rubber; 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공중합체(ethylene-propylene-diene rubber; EPDM) 등을 가교시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가교된 폴리에틸렌, EPR 또는 EPDM을 사용하는 경우, 제품의 수명이 다하거나 불량이 발생한 경우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이를 소각할 수밖에 없으므로 친환경적이지 못하다.
한편, 비가교 형태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의 경우 재활용은 가능하지만, 내열성이 낮아 고온에서 변형이 발생하고 용융되기 때문에, 운전 온도가 고온인 고전압 케이블에는 사용하기 어렵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단점을 보완하고 고온 가동 온도 및 내충격 특성을 보완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lyolefin elastomer; POE), EPDM,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고무(styrene-ethylene-butene-styrene rubber; SEBS) 공중합체 등을 혼합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사용하는 절연체의 개발이 시도되어 왔다.
하지만, 결정성 고분자인 폴리프로필렌과 달리 비결정성 고분자인 POE, EPDM, SEBS 등은 내열 특성과 유전 특성이 낮아 이를 혼합한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절연 특성도 급격하게 저하된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10-2014-0053204호에는 유기 핵제를 첨가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절연층에 사용한 전력 케이블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핵제에 의해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강성이 증가하여 연질성이 크게 저하되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10-2121072호, 제10-2141732호, 제10-2082674호, 제10-2082673호 및 제10-1946945호는 폴리프로필렌과 SEBS, 카탈로이(Catalloy), POE 등을 혼합한 수지를 사용하여 폴리프로필렌의 내열, 내화학, 내전압 특성과 함께 연질성과 내충격성을 개선한 절연 소재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 수지 조성물의 경우 상분리가 발생하여 폴리프로필렌과 고무 사이에 계면이 생성됨으로써 전기 절연 특성이 저하되거나 내열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문헌(Hosier et al., J. Mater. Sci., 46, 4058(2011))에 따르면, EPR, POE, EPDM, SEBS 등의 공중합체는 유전 상수가 높아, 이를 혼합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유전율이 증가하고 내전압 특성이 저하되어 절연체로 효과적이지 않으며, 온도가 올라갈수록 내전압 특성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고무 공중합체의 특성으로 인해 고온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한편, 가교 고분자나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가교 잔사나 촉매의 잔사가 외부 전압에 의해 대전되어 절연체에 가해지는 전기장을 높이고, 그 결과 절연 파괴 강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직류 절연체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별도의 첨가제나 전압 안정제로서 유기 또는 무기 충진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높은 직류 전압에서는 이들이 헤테로 전하의 역할을 하여 오히려 공간 전하가 누적되어 전계가 심해지는 단점이 발생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2008-007653호에서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를 첨가하여 직류 절연체를 성형함으로써 절연 파괴 강도를 개선하려고 하였고, 국제출원공개 제2013/030206호에서는 나노 크기의 촉매 시스템을 적용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직류 절연 특성을 개선하려고 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2011-0110928호에서는 폴리에틸렌 혹은 폴리프로필렌 절연 수지에 나노 무기 입자(산화마그네슘, 탄소입자, 산화규소, 이산화티탄 등)를 혼합하여 부피 비저항이 우수하고, 절연 파괴 강도가 우수한 절연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나노 입자를 폴리올레핀 상에 균일하게 분산하기가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10-2014-0053204호 대한민국 특허 제10-2121072호 대한민국 특허 제10-2141732호 대한민국 특허 제10-2082674호 대한민국 특허 제10-2082673호 대한한국 특허 제10-1946945호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2008-007653호 대한한국 국제출원공개 제2013/030206호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2011-0110928호
Hosier et al., J. Mater. Sci., 46, 4058(2011)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열성, 내전압 특성, 직류 절연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연질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서, 성분 (A)와 성분 (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A)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가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되어 얻어지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0~100 중량%; 및 (B)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0~50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로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중의 각각의 금속성 촉매 잔사의 함량이 5 ppm 이하이고, 금속성 촉매 잔사의 총 함량이 50 ppm 이하이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용융온도(Tm)가 150℃ 이상이고, 이 용융온도와 결정화온도(Tc)의 차이(Tm - Tc)가 45℃ 이하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금속성 촉매 잔사는 Mg, Ti, Si 및 Al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동역학 측정장치로 측정 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중의 고무 성분의 유리전이온도가 -60~-40℃에서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 중의 α-올레핀은 탄소수가 3~8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1-부텐 고무, 에틸렌-부틸렌 고무, 에틸렌-1-펜텐 고무, 에틸렌-1-헥센 고무, 에틸렌-1-헵텐 고무, 에틸렌-1-옥텐 고무 및 에틸렌-4-메틸-1-펜텐 고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 중의 α-올레핀 함량은 10~90 중량%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용융온도(Tm)가 150~16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동역학 측정장치로 측정 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중의 고무 성분의 유리전이온도가 -60~-40℃에서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중화제, UV안정제, 장기 내열안정제, 슬립제, 블로킹방지제,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핵제, 난연제, 안료 및 염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첨가제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위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굴곡탄성률이 600 MPa 이하이고, 내한 타격 온도가 -4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온에서 측정 시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의 체적 저항이 1016 Ω㎝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상온~60℃에서 PEA 방법으로 측정한 공간 전하 특성에서 헤테로 공간 전하의 누적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 내전압 특성, 직류 절연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헤테로 전하에 의한 공간전하가 발생하지 않으며, 가교가 필요 없기 때문에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다. 따라서, 이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가교 폴리에틸렌(XLPE) 상업 제품, 비교예 1의 조성물 및 실시예 1의 조성물의 공간전하 누적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가교 폴리에틸렌 상업 제품, 비교예 1의 조성물 및 실시예 1의 조성물의 온도에 따른 절연 파괴 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과 비교예 2의 수지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성분 (A)와 성분 (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A)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가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되어 얻어지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0~100 중량%; 및 (B)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0~50 중량%를 포함한다.
(A)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포함한다. 이때,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가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되어 얻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먼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matrix)가 중합되고, 이어서 이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성분이 블록 공중합되어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수지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는 각각의 금속성 촉매 잔사의 함량이 5 ppm 이하이고, 금속성 촉매 잔사의 총 함량이 5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ppm 이하일 수 있다. 금속성 촉매 잔사의 총 함량이 50 ppm을 초과하면, 금속 성분에 의해 성형품의 절연성이 저하되어 절연 파괴 강도가 낮아지고, 유전 특성이 올라가 절연 성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위 금속성 촉매 잔사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의 중합에 사용된 촉매로부터 유래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위 금속성 촉매 잔사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중합에 사용되는 촉매로부터 기원한 것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위 금속성 촉매 잔사는 Mg, Ti, Si 및 Al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중의 고무 성분은 동역학 측정장치(dynamic mechanical analyzer; DMA)로 측정 시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가 -60~-40℃에서 선명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Izod로 측정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내한 충격강도가 2 kgf·㎝/㎝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성분 (A)와 성분 (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위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50~10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한다.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이면, 성형품의 내열성이 떨어지고 가열변형이 심화되어 고온의 운전에서 외형의 변화가 심화될 수 있다.
위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제조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그대로 또는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벌크(bulk) 반응기 2기와 기상 반응기 1기가 직렬로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중합할 수 있는 미츠이(Mitsui)사 하이폴 제조공정(Hypol process)을 이용하여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중합 방법에 의하여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단과 2단 반응기에서는 프로필렌을 단독 주입하여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생성하거나 에틸렌을 추가로 주입하여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생성할 수 있다.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중합 시에는 각 중합 반응기에서 동량의 에틸렌이 공중합될 수 있다. 이어지는 3단 반응기에서는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투입하여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성분을 블록 공중합함으로써 최종적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생성되는 공중합체의 용융지수는 각 반응기에 수소를 주입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촉매는 염화마그네슘 또는 디알콕시마그네슘 담체에 티타늄화합물과 내부전자 공여체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글러-나타 촉매는 반응 개시제인 할로겐 화합물 또는 질소 할로겐 화합물 존재하에 금속 마그네슘 및 알코올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디알콕시마그네슘 입자로 이루어진 담체와 사염화티타늄 및 내부전자 공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디알콕시마그네슘 담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금속 마그네슘 입자의 형태에는 크게 제한이 없으나, 그 평균 입경이 10~300 ㎛인 분말상이 바람직하고, 50~200 ㎛인 분말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 마그네슘의 평균 입경이 10 ㎛ 미만일 경우, 생성물인 담체의 평균 입자 크기가 너무 미세해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금속 마그네슘의 평균 입경이 300 ㎛를 초과하면, 담체의 평균 입자크기가 너무 커지고, 담체의 모양이 균일한 구형의 형태로 되기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다.
위에서 얻은 촉매는 조촉매로서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예컨대, 트리에틸알루미늄) 및 외부전자 공여체로서 디알킬디알콕시실란계 화합물(예컨대, 디시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를 포함할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는 성형품의 연질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 중의 α-올레핀은 탄소수가 3~8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1-부텐 고무, 에틸렌-부틸렌 고무, 에틸렌-1-펜텐 고무, 에틸렌-1-헥센 고무, 에틸렌-1-헵텐 고무, 에틸렌-1-옥텐 고무 및 에틸렌-4-메틸-1-펜텐 고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 중의 α-올레핀 함량이 10~90 중량%이다. 구체적으로,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를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기로 측정 시 α-올레핀 함량이 10~90 중량%이다. α-올레핀 함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 에틸렌 함량이 과량이기 때문에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와 상 분리가 발생하여 성형품의 연질성과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계면을 따라 전기 통로가 생성되어 절연 특성이 저하된다. α-올레핀 함량이 90 중량%를 초과하면, 수지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가 높게 형성되어 -40℃에서 성형품의 내한 충격 특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성분 (A)와 성분 (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위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를 0~5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이 추가될 경우 성형품의 연질성이 개선되지만,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성형품의 내열 특성이 급격히 감소할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는 위에서 언급한 하이폴 제조공정에 이어지는 4단 기상 반응기에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의 존재하에 에틸렌과 α-올레핀 단량체를 추가로 공급하여 중합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하이폴 제조공정에서 얻어진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에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를 블렌딩함으로써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는 Versify(DOW), Vistamaxx(ExxonMobil), Tafmer(Mitsui), KEP(금호석유화학), Engage(DOW), Exact (ExxonMobil), Lucene(LG화학), Solumer(SK화학)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C) 비극성 α-올레핀 중합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비극성 α-올레핀 중합체(C)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극성 α-올레핀 중합체(C)는 성형품의 굴곡탄성률이 증가하는 것을 막으면서 유전율과 내 전압 특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비극성 α-올레핀 중합체(C)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과 α-올레핀의 삼원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성분 (A) 및 성분 (B)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비극성 α-올레핀 중합체(C)를 10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극성 α-올레핀 중합체(C)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과 계면을 형성하여 내전압 특성이 저하되며, 굴곡탄성률이 너무 높아져서 전선 소재로의 연질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블렌딩 방법을 그대로 또는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위에서 언급한 각 수지들과 후술하는 첨가제를 필요한 양만큼 니더(kneader), 롤(roll), 밴버리 믹서(Banbury mixer) 등의 혼련기 또는 1축/2축 압출기 등에 투입한 후 이들 기기들을 사용하여 투입된 원료들을 블렌딩하는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용융온도(Tm)가 150℃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용융온도(Tm)가 150~165℃일 수 있다. 이 용융온도가 150℃보다 낮으면,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이 충분하지 않아서, 높은 온도에서 운전되는 고전압 전력 케이블에 사용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용융온도(Tm)와 결정화온도(Tc)의 차이(Tm - Tc)가 45℃ 이하이다. 용융 온도와 결정화 온도의 차이가 45℃를 초과하면, 제품 성형을 위해 용융 상태의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냉각하여 결정화시킬 때 기핵(nuclei)의 수가 적고 결정 성장(crystal growth)이 늦어 구정(spherulite)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성형품의 전기적 특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ASTM D1238에 의거하여 2.16 kg의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0.5~10 g/10분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용융지수가 0.5 g/10분 미만이면 압출 공정에 적합하지 않으며, 10 g/10분을 초과하면 분자량이 낮아서 성형품의 내전압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자일렌(xylene) 용제로 상온에서 추출 시 추출되는 고무 성분(즉, 용제 추출물)의 함량이 25~5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30~45 중량%일 수 있다. 이 고무 성분의 함량이 25 중량% 미만이면 성형품의 강도가 높아 가요성이 떨어지며, 고무 성분의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면 성형품의 가열 변형율이 높고 인장 및 신율 강도가 낮아 내열 특성 및 가공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자일렌 용제로 추출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중의 고무 성분은 135℃ 데칼린 용매에서 측정되는 고유점도가 2.0~4.0 ㎗/g일 수 있다. 이 고유점도가 2.0 ㎗/g 미만일 경우 성형품의 충격 강도가 좋지 않으며, 4.0 ㎗/g을 초과할 경우 고무 성분의 뭉침이 발생할 수 있고, 계면의 면적이 저하되어 공간 전하가 쉽게 누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중의 고무 성분은 동역학 측정장치(dynamic mechanical analyzer; DMA)로 측정 시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가 -60~-40℃에서 선명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Izod로 측정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내한 충격강도가 2 kgf·㎝/㎝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중화제, UV안정제, 장기 내열안정제, 슬립제, 블로킹방지제,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핵제, 난연제, 안료 및 염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내열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산화방지제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등이 이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실릴네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3,5-트리메틸-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촉매 잔사를 제거하기 위한 중화제로서 하이드로탈사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첨가제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추가될 수 있다.
성형품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위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사출성형, 압출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성형하여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굴곡탄성률이 600 MPa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50 MPa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00 MPa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내한 타격 온도가 -40℃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굴곡탄성률이 600 MPa 이하이고, 내한 타격 온도가 -4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상온에서 측정 시 체적 저항이 1016 Ω㎝ 이상일 수 있다. 체적 저항이 이 범위 내일 경우 성형품이 절연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상온~60℃에서 PEA(pulse electro acoustic) 방법으로 측정한 공간 전하 특성에서 헤테로 공간 전하의 누적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촉매의 제조
교반기와 오일 히터, 냉각 환류기가 장착된 5 리터 크기의 초자 반응기를 질소로 충분히 환기시킨 다음, N-클로로숙신이미드 1.65 g, 금속 마그네슘(평균 입경 100 ㎛인 분말 제품) 15 g, 무수 에탄올 240 ㎖를 투입하고, 교반 속도를 240 rpm으로 유지하면서 반응기의 온도를 78℃로 올려 에탄올이 환류되는 상태를 유지하였다. 약 5분이 경과하면 반응이 시작되면서 수소가 발생하므로, 발생되는 수소가 빠져나가도록 반응기의 출구를 열린 상태로 두어 반응기에 압력을 상압으로 유지하였다.
수소 발생이 끝나면, 금속 마그네슘(평균 입경이 100 ㎛인 분말형 제품) 15 g과 에탄올 240 ㎖를 3회로 나누어 매 20분마다 투입하였다. 금속 마그네슘과 에탄올의 주입이 모두 끝나면 반응기 온도 및 교반 속도를 환류 상태로 2시간 동안 유지하였다(숙성 처리).
숙성 처리가 끝난 후, 50℃에서 세정 1회당 노말 헥산 2,000 ㎖를 사용하여 결과물을 3회 세정하였다. 세정된 결과물을 흐르는 질소하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흐름성이 좋은 백색 분말상의 고체 생성물인 디에톡시마그네슘 270 g(수율 96%)을 얻었다. 제조된 디에톡시마그네슘은 평균 입경 37 ㎛인 구형이고, 입도 분포 지수가 0.78, 겉보기 밀도가 0.32 g/㎖이었다.
교반기가 설치되고 질소로 충분히 치환된 1 리터 크기의 유리 반응기에 톨루엔 150 ㎖와 위에서 제조한 디에톡시마그네슘 25 g을 투입하고 10℃로 유지하였다. 사염화티타늄 25 ㎖를 톨루엔 50 ㎖에 희석하여 1시간에 걸쳐 투입한 후, 반응기의 온도를 60℃까지 분당 0.5℃의 속도로 올렸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한 다음, 교반을 멈추어 고체 생성물이 침전되기를 기다려 상등액을 제거하고, 새로운 톨루엔 200 ㎖를 사용하여 15분간 교반한 후 교반 후 정치하여 상등액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1회 세척하였다.
사염화티타늄으로 처리된 위 고체 생성물에 톨루엔 150 ㎖를 첨가하여 온도를 30℃로 유지한 상태에서 250 rpm으로 교반하면서 사염화티타늄 50 ㎖를 1시간에 걸쳐 일정한 속도로 투입하였다. 사염화티타늄의 투입이 완료되면,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 2.5 ㎖를 투입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110℃까지 80분간에 걸쳐 일정한 속도로 올려 주었다(분당 1℃의 속도로 승온). 승온 과정에서 반응기의 온도가 40℃와 60℃에 도달하였을 때, 각각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 2.5 ㎖를 추가로 투입하였다.
110℃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한 다음 90℃로 온도를 내려 교반을 멈추고 상등액을 제거하고 추가로 톨루엔 200 ㎖를 사용하여 교반 후 정치하여 상등액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1회 세척하였다. 여기에 톨루엔 150 ㎖와 사염화티타늄 50 ㎖를 투입하여 온도를 110℃까지 올려 1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숙성 과정이 끝난 위 슬러리 혼합물을 매회당 톨루엔 200 ㎖로 2회 세척하고, 40℃에서 노말헥산으로 매회당 200 ㎖씩 5회 세척하여 연노랑색의 촉매를 얻었다. 이를 흐르는 질소에서 18시간 건조시켜 얻어진 건조 촉매 중의 티타늄 함량은 2.70 중량%이었다.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위에서 제조된 촉매를 사용하고, 조촉매로 트리에틸알루미늄 및 외부 전자 공여체로 디시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을 사용하였다.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중합은 벌크 반응기 2기와 기상 반응기 1기가 직렬로 연결되어 연속으로 중합할 수 있는 미쓰이(Mitsui)사의 하이폴 제조 공정(Hypol process)을 이용하였다. 벌크 반응기인 1, 2단 반응기의 운전 온도와 압력은 각각 68~75℃, 25~35 kg/㎠과 60~67℃, 20~30 kg/㎠이었다. 기상 반응기인 3단 반응기의 운전 온도와 압력은 75~82℃, 15~20 kg/㎠이었다. 1, 2단 벌크 반응기에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중합할 경우에는 각 반응기에 프로필렌 외에 수소를 추가로 주입하여 용융지수를 조정하였고,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중합할 경우에는 각 반응기에서 동량의 에틸렌이 공중합 될 수 있도록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비율을 조정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 가교 폴리에틸렌(XLPE) 상업 제품(보레알리스사의 LS4201)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위에서 언급한 하이폴 공정과 촉매를 이용하여,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가 중합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하되, 1단과 2단 반응기에서 에틸렌을 각각 1 중량%와 1.8 중량%을 주입하여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중합한 후,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를 중합하여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제조하였다.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중합 시, 각 중합 반응기에서 동량의 에틸렌이 중합되도록 공정 조건을 조절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얻고, 여기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B)(프로필렌 함량 80 중량%, 용융지수 3.0 g/10분)를 추가로 용융 혼합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얻고, 여기에 에틸렌-부텐 고무 공중합체(B)(부텐 함량 40 중량%, 용융지수 1.0 g/10분)를 추가로 용융 혼합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하되, Lyondellbasell사의 ZN118 촉매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하되, 1단과 2단 반응기에서 에틸렌을 각각 1 중량%와 1.8 중량%을 주입하여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중합한 후,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를 중합하여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제조하였다.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중합 시, 각 중합 반응기에서 동량의 에틸렌이 중합되도록 공정 조건을 조절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얻고, 여기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B)(프로필렌 함량 80 중량%, 용융지수 3.0 g/10분)를 추가로 용융 혼합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얻고, 여기에 에틸렌-부텐 고무 공중합체(B)(부텐 함량 40 중량%, 용융지수 1.0 g/10분)를 추가로 용융 혼합하였다.
시험예
위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조성물 및 성형품 시편의 물성을 아래와 같은 방법 및 기준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1과 표 2에 나타내었다.
(1) 용융지수(melt index)
ASTM D 1238의 방법에 따라서 2.16 kg의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하였다.
(2) 용제 추출물(xylene soluble) 함량
수지 조성물을 자일렌(xylene)에 1% 농도로 140℃에서 1시간 동안 녹인 후, 상온에서 2시간 경과 후 추출하여 그 무게를 측정하고,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3) 용제 추출물의 고유점도
점도측정기를 이용하여 135℃의 데칼린 용매에서 위 (2)에서 얻은 용제 추출물의 고유점도를 측정하였다.
(4) 용융온도
TA Instrument Q2000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를 이용하여 샘플을 200℃에서 10분간 등온으로 유지하여 열이력을 제거한 후, 200℃로부터 30℃까지 분당 10℃씩 냉각하며 결정화시켜 동일한 열이력을 갖도록 한 후, 30℃에서 10분간 등온 유지하였고, 다시 분당 10℃씩 승온시키며 피크 온도로부터 용융온도(melting temperature; Tm)를 구하였다.
(5) 유리전이온도
동역학 측정장치(dynamic mechanical analyzer; DMA; TA instrument Q800)를 이용하여 -140℃로부터 2℃분의 속도로 145℃까지 승온시켜 응력이완곡선(stress relaxation curve)으로부터 고무 성분의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를 구하였다.
(6) 금속성 촉매 잔사
X-선 형광분석기(X-ray fluorescence; XRF)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내부에 잔존하는 금속성 물질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7) 굴곡탄성율(flexural modulus; FM)
ASTM D 790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사출 시편의 규격은 100 ㎜ × 10 ㎜ × 3 ㎜이었다.
(8) 직류 절연 파괴 전압
폴리프로필렌 시편은 실험용 압출기(HAAKE extruder)를 이용하여 200 ㎛ 두께의 시트를 제작한 후, ASTM D 149-92의 방법에 따라서 직경이 12.7 ㎜인 구대구 전극(sphere electrodes)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직류 절연 파괴 전압을 측정하였다.
(9) 교류 절연 파괴 전압
실험용 압출기(HAAKE extruder)를 이용하여 250 ㎛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제작한 후, ASTM D 149 규격에 따라 교류 절연 파괴 전압을 측정하였다.
(10) 공간전하 측정
실험용 압출기(HAAKE extruder)를 이용하여 250 ㎛ 두께의 시트를 제작한 후, 각각 30℃와 60℃에서 20 kV/㎜, 50 kV/㎜, 100 kV/㎜에서 10분간 펄스를 가하는 PEA(pulse electro acoustic) 방법에 의해 공간전하 생성을 관찰하였다.
(11) 내한 타격 실험
에탄올과 드라이 아이스를 혼합하여 -40℃로 유지된 매체에서 38 ㎜ × 6.0 ㎜ × 2.0 ㎜로 사출 가공된 시편을 넣고 2분 후 타격을 가하여 파괴 여부를 기록하였다. KSC 3004:2002에 의해 총 5개의 시편에 대해 실행하고, 2개 이상의 시편이 파괴되면 Fail, 2개 미만의 시편이 파괴되면 pass이다.
실시예
1 2 3 4
수지 조성물
구성(중량%)
(A)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100 100 90 75
(B)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0 0 10 25
수지 (A)의 금속성 촉매 잔사(ppm)
Ti
Mg
Al
Si
총 함량

1.1
3.2
32.3
2.3
38.9

0.8
2.3
37.2
3.1
43.4

0.8
2.3
37.2
3.1
43.4

0.8
2.3
37.2
3.1
43.4
수지 조성물
물성
용융지수(g/10분) 2.0 1.9 2.2 1.8
용제 추출물 함량(중량%) 35 34 41 51
용제 추출물 고유점도(㎗/g) 3.0 3.2 2.7 3.2
열적 거동
용융온도(Tm; ℃)
결정화온도(Tc; ℃)
Tm - Tc

163
125
38

153
110
43

151
109
42

152
113
39
성형품 물성 굴곡탄성률(MPa) 480 420 330 340
내한 타격 특성(-40℃) Pass Pass Pass Pass
교류 절연 파괴 전압(kV/㎜) 121 110 107 105
직류 절연 파괴 전압(kV/㎜) 311 289 261 247
체적 저항(Ω㎝) >1017 >1017 >1016 >1016
공간 전하 누적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비교예
1 2 3 4
수지 조성물
구성(중량%)
(A)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100 100 90 75
(B)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0 0 10 25
수지 (A)의 금속성 촉매 잔사(ppm)
Ti
Mg
Al
Si
총 함량

1.9
16.4
96.2
23.1
137.6

2.2
8.4
43.2
5.1
58.9

2.2
8.4
43.2
5.1
58.9

2.2
8.4
43.2
5.1
58.9
수지 조성물
물성
용융지수(g/10분) 1.8 1.8 2.3 2.1
용제 추출물 함량(중량%) 32 33 40 48
용제 추출물 고유점도(㎗/g) 3.3 3.1 3.0 3.1
열적 거동
용융온도(Tm; ℃)
결정화온도(Tc; ℃)
Tm - Tc

161
121
40

156
108
48

155
112
43

155
113
42
성형품 물성 굴곡탄성률(MPa) 490 430 350 320
내한 타격 특성(-40℃) Pass Pass Fail Pass
교류 절연 파괴 전압(kV/㎜) 113 87 83 72
직류 절연 파괴 전압(kV/㎜) 294 251 214 132
체적 저항(Ω㎝) >1016 >1016 >1015 >1014
공간 전하 누적 발생 발생 발생 발생
위 표 1과 2 및 도 1과 2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교류 절연 파괴 전압, 직류 절연 파괴 전압, 체적 저항 및 공간 전하 누적 등의 전기적 특성이 모두 우수하였다.
반면, 비교예의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중의 금속성 촉매 잔사의 함량이 높아, 공간 전하 누적이 발생하였다. 또한, 가교 폴리에틸렌(XLPE)의 경우에도 공간 전하 누적이 발생하였다.
특히, 비교예 2의 수지 조성물은 용융 온도와 결정화 온도 차이가 커서 구정이 크게 자라기 때문에 절연 파괴 강도가 낮았다. 에틸렌-α-올레핀(B)이 용융 혼합된 비교예 3과 4의 경우, 실시예 3과 4에 비해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었다. 비교예 5의 경우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였지만, 추가의 금속 안정화제가 투입되어 공간 전하가 누적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 내전압 특성, 직류 절연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성분 (A)와 성분 (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A)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가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되어 얻어지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0~100 중량%; 및 (B)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0~50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로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중의 각각의 금속성 촉매 잔사의 함량이 5 ppm 이하이고, 금속성 촉매 잔사의 총 함량이 50 ppm 이하이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용융온도(Tm)가 150℃ 이상이고, 이 용융온도와 결정화온도(Tc)의 차이(Tm - Tc)가 45℃ 이하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금속성 촉매 잔사가 Mg, Ti, Si 및 Al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동역학 측정장치로 측정 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중의 고무 성분의 유리전이온도가 -60~-40℃에서 나타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 중의 α-올레핀이 탄소수가 3~8개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1-부텐 고무, 에틸렌-부틸렌 고무, 에틸렌-1-펜텐 고무, 에틸렌-1-헥센 고무, 에틸렌-1-헵텐 고무, 에틸렌-1-옥텐 고무 및 에틸렌-4-메틸-1-펜텐 고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 중의 α-올레핀 함량이 10~90 중량%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용융온도(Tm)가 150~165℃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동역학 측정장치로 측정 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중의 고무 성분의 유리전이온도가 -60~-40℃에서 나타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중화제, UV안정제, 장기 내열안정제, 슬립제, 블로킹방지제, 보강재, 충진재,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핵제, 난연제, 안료 및 염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첨가제가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추가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12. 제11항에 있어서, 굴곡탄성률이 600 MPa 이하이고, 내한 타격 온도가 -40℃ 이하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온에서 측정 시 체적 저항이 1016 Ω㎝ 이상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14. 제11항에 있어서, 상온~60℃에서 PEA(pulse electro acoustic) 방법으로 측정한 공간 전하 특성에서 헤테로 공간 전하의 누적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15. 제11항에 있어서,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KR1020210102025A 2020-10-15 2021-08-03 내전압 특성이 우수한 절연체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05003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63399A JP2022065628A (ja) 2020-10-15 2021-10-04 耐電圧特性に優れた絶縁体用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成形品
US17/499,013 US20220119634A1 (en) 2020-10-15 2021-10-12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For Insulation With High Breakdown Voltage And Article Molded Therefrom
EP21202321.2A EP3985066A1 (en) 2020-10-15 2021-10-13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for insulation with high breakdown voltage and article molded therefrom
CN202111194495.2A CN114369327A (zh) 2020-10-15 2021-10-13 耐电压特性优异的用于绝缘体的聚烯烃树脂组合物及由其制成的成型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080 2020-10-15
KR20200133080 2020-10-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035A true KR20220050035A (ko) 2022-04-22

Family

ID=8145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025A KR20220050035A (ko) 2020-10-15 2021-08-03 내전압 특성이 우수한 절연체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0035A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7653A (ko) 2005-05-06 2008-01-22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과 그 제조 방법, 및 연료 전지
KR20110110928A (ko) 2010-04-02 2011-10-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직류용 전력 케이블용 절연 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케이블
KR20130030206A (ko) 2011-09-16 2013-03-2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하우징리스 커넥터
KR20140053204A (ko) 2011-08-04 2014-05-07 프리즈미안 에스피에이 열가소성 전기 절연층을 구비한 에너지 케이블
KR101946945B1 (ko) 2017-06-16 2019-02-12 일진전기 주식회사 전력케이블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KR102082674B1 (ko) 2017-02-13 2020-02-28 일진전기 주식회사 투명성이 향상된 절연층을 구비한 전력케이블
KR102082673B1 (ko) 2017-02-13 2020-02-28 일진전기 주식회사 유연성이 향상된 절연층을 구비한 전력케이블
KR102121072B1 (ko) 2011-02-18 2020-06-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비가교 수지를 함유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KR102141732B1 (ko) 2018-07-27 2020-08-05 한국전력공사 절연재 조성물을 이용한 전력케이블용 절연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7653A (ko) 2005-05-06 2008-01-22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과 그 제조 방법, 및 연료 전지
KR20110110928A (ko) 2010-04-02 2011-10-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직류용 전력 케이블용 절연 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케이블
KR102121072B1 (ko) 2011-02-18 2020-06-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비가교 수지를 함유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KR20140053204A (ko) 2011-08-04 2014-05-07 프리즈미안 에스피에이 열가소성 전기 절연층을 구비한 에너지 케이블
KR20130030206A (ko) 2011-09-16 2013-03-2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하우징리스 커넥터
KR102082674B1 (ko) 2017-02-13 2020-02-28 일진전기 주식회사 투명성이 향상된 절연층을 구비한 전력케이블
KR102082673B1 (ko) 2017-02-13 2020-02-28 일진전기 주식회사 유연성이 향상된 절연층을 구비한 전력케이블
KR101946945B1 (ko) 2017-06-16 2019-02-12 일진전기 주식회사 전력케이블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KR102141732B1 (ko) 2018-07-27 2020-08-05 한국전력공사 절연재 조성물을 이용한 전력케이블용 절연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osier et al., J. Mater. Sci., 46, 4058(2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852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를 절연층에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KR101004251B1 (ko)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체 및 전선
KR102038709B1 (ko) 전력 케이블
KR101985611B1 (ko) 전선 절연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JP7104124B2 (ja) 直流絶縁特性が改善された軟質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成形品
KR101957049B1 (ko) 전력 케이블 절연체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EP3498773B1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different rubber components for insulating electric cables
WO2010076242A1 (en) Alpha-nucleated polypropylene for power cable insulation
US11866540B2 (en) Polypropylene resin for insulating electric cables
EP3342791B1 (en) Polypropylene resin for power cable and power cable comprising the same in insulation layer
KR20220050035A (ko) 내전압 특성이 우수한 절연체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EP3985066A1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for insulation with high breakdown voltage and article molded therefrom
JP7443439B2 (ja) 絶縁特性に優れた電力ケーブル用軟質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成形品
KR20220068666A (ko) 친환경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용 수지 조성물
US20230080608A1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With High Resistance To Tracking And Article Molded Therefrom
KR102299708B1 (ko) 우수한 연질 특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30075199A (ko) 내백화 특성이 우수한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230075209A (ko) 유연성 및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친환경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