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945A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945A
KR20220049945A KR1020200133681A KR20200133681A KR20220049945A KR 20220049945 A KR20220049945 A KR 20220049945A KR 1020200133681 A KR1020200133681 A KR 1020200133681A KR 20200133681 A KR20200133681 A KR 20200133681A KR 20220049945 A KR20220049945 A KR 20220049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groove
connector assembly
terminals
hous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형
이상언
박재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3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9945A/ko
Priority to US17/237,283 priority patent/US11532907B2/en
Priority to DE102021204692.4A priority patent/DE102021204692A1/de
Priority to CN202110515780.3A priority patent/CN114374109A/zh
Publication of KR20220049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9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9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e.g. with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5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on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9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e.g. with filters
    • H01R13/719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e.g. with filters with ferrite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일면에 복수 개의 단자가 각각 삽입 가능한 수용홈이 복수 개로 형성되고, 수용홈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만입된 삽입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수용홈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삽입되고, 수용홈에 삽입된 복수 개의 단자의 이탈을 저지하는 TPA기구; 및 하우징 또는 TPA기구에 고정되고, 수용홈으로 삽입된 복수 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를 구성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입력되는 신호의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전자 기기가 개발되고 있고, 전자기기 내부에는 절연성 재질로 구성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도전성 재질로 구성된 터미널로 이루어진 커넥터가 구비되며, 커넥터를 통해 터미널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를 구성한다.
특히, 차량의 와이어링에 적용되는 조인트 커넥터에는 차량 내에서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정보가 전달되고 있으며, 차량의 안전 및 편의 시스템을 위한 통신용 조인트 커넥터에 많은 양의 정보가 전달되고 있다.
또한, CAN FD(Controller Area Network with Flexible Data-rate)로 변경된 통신 속도의 증가에 따라 전송 신호에 발생되는 노이즈에 의해 오작동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조인트 터미널(20)이 내장된 커버(30)가 하우징(1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조립되는 것으로, 별도의 커버(30)를 통해 조인트 터미널(20)이 결합됨으로써 체결시 강한 삽입력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불완전하게 체결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우징(10)에 삽입된 단자를 통해 조인트 터미널(20)로 입력된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가 조인트 터미널(20)을 통해 다른 단자들을 통해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8-0044090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하우징에 삽입된 단자를 통해 조인트 터미널로 입력된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일면에 복수 개의 단자가 각각 삽입 가능한 수용홈이 복수 개로 형성되고, 수용홈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만입된 삽입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수용홈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삽입되고, 수용홈에 삽입된 복수 개의 단자의 이탈을 저지하는 TPA기구; 및 하우징 또는 TPA기구에 고정되고, 수용홈으로 삽입된 복수 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를 구성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한다.
연결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일체로 연결되면서 복수 개의 수용홈 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조인트 터미널일 수 있다.
연결장치는 수용홈으로 삽입된 복수 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부가 삽입공간의 내부에 노출된 상태로 TPA기구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장치는 TPA기구에 결합된 회로기판 및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수용홈으로 삽입된 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접속터미널이 포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접속터미널은 일단부가 회로기판과 결합되며, 수용홈으로 삽입된 단자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부가 회로기판에서 이격된 상태로 수용홈으로 삽입된 단자 측으로 탄성 결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접속터미널은 회로기판 상에서 수용홈으로 삽입된 단자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TPA기구는 회로기판과 결합된 복수 개의 접속터미널의 일부분을 수용홈 측으로부터 커버링하고, TPA기구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접속터미널 사이에서 수용홈 측으로 돌출된 차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에는 접속터미널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포함된 전자파 장해를 필터링하는 페라이트 코어가 결합될 수 있다.
연결장치에는 수용홈으로 삽입된 단자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포함된 전자파 장해를 필터링하는 노이즈 필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에 따르면, 하우징에 별도로 조립되는 커버가 제거됨으로써 조립 공정을 간소화함과 동시에 체결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커넥터 조립체에 삽입된 단자를 통해 조인트 터미널로 입력된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가 저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복수 개의 단자가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TPA기구가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적용 이전과 이후의 신호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복수 개의 단자가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일면에 복수 개의 단자(T)가 각각 삽입 가능한 수용홈(110)이 복수 개로 형성되고, 수용홈(110)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만입된 삽입공간(120)이 형성된 하우징(100); 하우징(100)의 삽입공간(120)에 수용홈(110)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삽입되고, 수용홈(110)에 삽입된 복수 개의 단자(T)의 이탈을 저지하는 TPA기구(200); 및 하우징(100) 또는 TPA기구(200)에 고정되고, 수용홈(110)으로 삽입된 복수 개의 단자(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를 구성하는 연결장치(310,32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의 일측면에는 수용홈(110)이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용홈(110)은 하우징(100)의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만입되게 형성되며,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수용홈(110)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 특히 상방 또는 하방으로 만입된 삽입공간(120)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간(120)에는 후술하는 TPA기구(200)가 삽입되어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TPA(Terminal Position Assurance)기구는 하우징(100)의 삽입공간(120)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일 실시예로 수용홈(110)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TPA기구(200)에는 하우징(100)의 수용홈(110)이 연장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홀(210)이 형성되거나, 후술하는 차단부(220) 사이의 연장홈이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100)의 삽입공간(120)에 삽입된 상태로 수용홈(110)에 삽입된 단자(T)가 관통홀(210) 또는 연장홈으로 삽입될 수 있다. TPA기구(200)는 수용홈(110)에 삽입된 단자(T)의 이탈을 저지할 수 있다.
연결장치(310,320)는 하우징(100)에 고정되거나, 또는 TPA기구(200)에 고정되어 수용홈(110)으로 삽입된 복수 개의 단자(T)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종래에는 복수 개의 단자(T)가 삽입된 하우징(100)에 연결장치(310,320)가 고정된 커버를 별도로 조립하는 방식이었고, 이에 따라 커버를 체결하기 위한 강한 삽입력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에 따라 하우징(100)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단자(T)가 많아질수록 요구되는 삽입력이 증대되고, 과다한 삽입력이 요구됨에 따라 체결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따르면, 하우징(100)에 별도로 조립되는 커버가 제거됨으로써 조립 공정을 간소화함과 동시에 체결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일 실시예로, 연결장치(310,32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고정되고, 일체로 연결되면서 복수 개의 수용홈(110) 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조인트 터미널(310)일 수 있다.
조인트 터미널(310)은 복수 개의 수용홈(110) 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형상이고, 수용홈(110)이 형성된 일측면의 반대 측에서 서로 연결된 형상일 수 있다.
조인트 터미널(31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인서트 사출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거나, 수용홈(110)이 형성된 일측면의 반대 측에서 복수 개의 수용홈(110) 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추가로, 하우징(100)의 수용홈(110)이 형성된 면과 마주보는 면에서 하우징(100)에 결합되어 연결장치(310,320)를 외부로부터 커버링하는 보호캡(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캡(미도시)은 하우징(100)의 일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평면 형상일 수 있고, 연결장치(310,320)가 하우징(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10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보호캡(미도시)은 수용홈(110)이 형성된 일측면의 반대 측으로 노출된 조인트 터미널(310)을 외부로부터 커버링함으로써 조인트 터미널(310)이 외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TPA기구(200)가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6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310,320)는 수용홈(110)으로 삽입된 복수 개의 단자(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부가 삽입공간(120)의 내부에 노출된 상태로 TPA기구(20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TPA기구(200)는 수용홈(110)으로 복수 개의 단자(T)가 삽입된 상태로 하우징(100)의 삽입공간(120)으로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단자(T)가 연결장치(310,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 내지 6은 TPA기구(200)가 하우징(100)에 고정되기 이전 상태이며, 도 7 내지 8은 TPA기구(200)가 하우징(100)에 고정되도록 결합된 상태이다.
연결장치(320)는 하우징(100) 대신 TPA기구(200)에 결합된 상태로 TPA기구(200)가 하우징(100)에 삽입됨으로써 하우징(100)의 수용홈(110)으로 삽입된 복수 개의 단자(T)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연결장치(320)는 복수 개의 단자(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부가 하우징(100)의 삽입공간(120)으로 노출되도록 TPA기구(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하우징(100)의 하면에 형성된 삽입공간(120)으로 삽입되는 연결장치(320) 및 TPA기구(200)는 연결장치(320)의 일부가 TPA 기구로부터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연결장치(320)는 TPA기구(200)에 결합된 회로기판(321) 및 회로기판(3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수용홈(110)으로 삽입된 단자(T)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접속터미널(322)이 포함될 수 있다.
연결장치(320)는 TPA기구(200)에 삽입된 상태로 TPA기구(200)에 고정된 회로기판(321)과 회로기판(3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된 복수 개의 접속터미널(322)로 구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321)은 일 실시예로 인쇄회로기판(321)(PCB)일 수 있다.
특히, 복수 개의 접속터미널(322)은 삽입공간(120)을 향하는 회로기판(321)의 일면(일 시예로, 상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수용홈(110)으로 삽입된 단자(T)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접속터미널(322)은 일단부가 회로기판(321)과 결합되며, 수용홈(110)으로 삽입된 단자(T)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부가 회로기판(321)에서 이격된 상태로 수용홈(110)으로 삽입된 단자(T) 측으로 탄성 결합될 수 있다.
접속터미널(322)의 일단부는 회로기판(3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접속터미널(322)의 일단부는 단자(T)가 삽입되는 수용홈(110) 측을 향하는 단부일 수 있다.
접속터미널(322)은 수용홈(110)으로 삽입된 단자(T)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타단부가 자유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접속터미널(322)의 타단부는 삽입공간(120) 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로기판(321)에서 이격된 상태로 수용홈(110)으로 삽입된 단자(T) 측으로 탄성 결합될 수 있다.
즉, 접속터미널(322)은 수용홈(110)으로 삽입된 단자(T)에 의해 타단부가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접속터미널(322)이 탄성 변형되고, 이에 따라 수용홈(110)으로 삽입된 단자(T)와 밀착되도록 탄성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접속터미널(322)은 회로기판(321) 상에서 수용홈(110)으로 삽입된 단자(T)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접속터미널(322)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수용홈(110)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이에 따라 서로 이격되어 삽입되는 복수 개의 단자(T)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TPA기구(200)는 회로기판(321)과 결합된 복수 개의 접속터미널(322)의 일부분을 수용홈(110) 측으로부터 커버링하고, TPA기구(200)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접속터미널(322) 사이에서 수용홈(110) 측으로 돌출된 차단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TPA기구(200)는 서로 분할된 제1파트(230)와 제2파트(240)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분할된 제1파트(230)와 제2파트(240) 사이에 회로기판(321) 또는 연결장치(320)가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제1파트(230)와 제2파트(240)는 수용홈(110)으로 삽입된 단자(T)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TPA기구(200)는 서로 분할된 제1파트(230)와 제2파트(240)가 회로기판(321)과 결합된 복수 개의 접속터미널(322)의 일단부를 수용홈(110) 측으로부터 커버링하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TPA기구(200)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접속터미널(322)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TPA기구(200)의 일면에서 수용홈(110) 측으로 돌출된 차단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차단부(220)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수용홈(110)으로 삽입된 단자(T)의 사이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홈(110)으로 삽입된 복수 개의 단자(T)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간섭 등이 서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연결장치(310,320)에는 수용홈(110)으로 삽입된 단자(T)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포함된 전자파 장해를 필터링하는 노이즈 필터(500)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회로기판(321)에는 접속터미널(322)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포함된 전자파 장해를 필터링하는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 500) 또는 페라이트 코어(500)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칩비드(Chip bead)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페이라이트 코어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칩비드는 페라이트 코어(5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특히, 페라이트 코어(500)는 접속터미널(322)이 결합된 회로기판(321)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위치될 수 있고, 접속터미널(322)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회로기판(321)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페라이트 코어(500)가 복수 개의 단자(T)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는 조인트 터미널(3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노이즈 필터(500)는 상술한 페라이트 코어일 수도 있고, 회로기판(321)에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필터링 소자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 조립체에 삽입된 단자(T)를 통해 조인트 터미널(310)로 입력된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가 저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적용 이전과 이후의 신호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종래의 CAN에서 CAN FD로 변경된 통신 규격에 의해 통신 속도가 증대되고 통신 주기 또한 감소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CAN 통신에 따르는 경우 노이즈에 의해 신호가 불안정한 구간이 상대적으로 짧았지만, 통신 속도가 증대되고 통신 주기가 감소된 CAN FD 통신에 따르면 노이즈에 의해 신호가 불안정한 구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된다.
즉, CAN FD 통신에 따르는 경우 제어기의 신호 등의 노이즈에 의해 차량이 오동작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다만,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노이즈 필터를 적용하는 경우 노이즈에 의한 신호 불안정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면서 신호가 안정적인 구간이 증가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하우징 200 : TPA기구
310, 320 : 연결장치 500 : 노이즈 필터

Claims (9)

  1. 일면에 복수 개의 단자가 각각 삽입 가능한 수용홈이 복수 개로 형성되고, 수용홈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만입된 삽입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수용홈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삽입되고, 수용홈에 삽입된 복수 개의 단자의 이탈을 저지하는 TPA기구; 및
    하우징 또는 TPA기구에 고정되고, 수용홈으로 삽입된 복수 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를 구성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일체로 연결되면서 복수 개의 수용홈 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조인트 터미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장치는 수용홈으로 삽입된 복수 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부가 삽입공간의 내부에 노출된 상태로 TPA기구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장치는 TPA기구에 결합된 회로기판 및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수용홈으로 삽입된 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접속터미널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접속터미널은 일단부가 회로기판과 결합되며, 수용홈으로 삽입된 단자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부가 회로기판에서 이격된 상태로 수용홈으로 삽입된 단자 측으로 탄성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6. 청구항 4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접속터미널은 회로기판 상에서 수용홈으로 삽입된 단자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TPA기구는 회로기판과 결합된 복수 개의 접속터미널의 일부분을 수용홈 측으로부터 커버링하고,
    TPA기구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접속터미널 사이에서 수용홈 측으로 돌출된 차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8. 청구항 4에 있어서,
    회로기판에는 접속터미널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포함된 전자파 장해를 필터링하는 페라이트 코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장치에는 수용홈으로 삽입된 단자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포함된 전자파 장해를 필터링하는 노이즈 필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200133681A 2020-10-15 2020-10-15 커넥터 조립체 KR2022004994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681A KR20220049945A (ko) 2020-10-15 2020-10-15 커넥터 조립체
US17/237,283 US11532907B2 (en) 2020-10-15 2021-04-22 Connector assembly having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chanism
DE102021204692.4A DE102021204692A1 (de) 2020-10-15 2021-05-10 Verbinderanordnung
CN202110515780.3A CN114374109A (zh) 2020-10-15 2021-05-12 连接器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681A KR20220049945A (ko) 2020-10-15 2020-10-15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945A true KR20220049945A (ko) 2022-04-22

Family

ID=80929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681A KR20220049945A (ko) 2020-10-15 2020-10-15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32907B2 (ko)
KR (1) KR20220049945A (ko)
CN (1) CN114374109A (ko)
DE (1) DE1020212046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157A (ko) * 2020-11-27 2022-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090A (ko) 2016-10-21 201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4302A1 (fr) * 1989-03-13 1990-09-14 Amp France Assemblage d'interconnexion electrique
JP2910623B2 (ja) * 1995-06-06 1999-06-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3754304B2 (ja) 2001-02-16 2006-03-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6253017A (ja) * 2005-03-11 2006-09-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5421809B2 (ja) * 2010-01-28 2014-02-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203436B2 (ja) * 2010-09-21 2013-06-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690607B2 (en) * 2012-08-08 2014-04-08 Yazaki Corporation Joint connector
JP6254893B2 (ja) * 2014-04-17 2017-12-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20160066182A (ko) 2014-12-02 2016-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KR101755856B1 (ko) * 2015-10-06 2017-07-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다중 접지 커넥터
KR101783862B1 (ko) 2016-06-16 2017-10-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일체형 조인트 커넥터
US10148034B2 (en) * 2016-08-01 2018-12-04 Te Connectivity Corporation Arcless power connector
JP6653302B2 (ja) 2017-10-05 2020-02-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26870B2 (ja) * 2017-10-05 2019-12-2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63895B2 (ja) * 2017-10-05 2020-03-1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090A (ko) 2016-10-21 201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74109A (zh) 2022-04-19
DE102021204692A1 (de) 2022-04-21
US20220123494A1 (en) 2022-04-21
US11532907B2 (en)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681B1 (ko) 전기 커넥터
US8062070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a compensation circuit component
JP4275150B2 (ja) モジュラージャックを有する装置
KR100383374B1 (ko) 스위치 부착 동축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JP2007048491A (ja) 電気コネクタ
KR20100123594A (ko) 커넥터
JP6916440B2 (ja) Fpcコネクタおよび同fpcコネクタを備えたシステム
US6926540B1 (en) Transmission module assembly having printed circuit board
US11631952B2 (en)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09148576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mpensation component
KR20220049945A (ko) 커넥터 조립체
KR20220055946A (ko) 커넥터 조립체
US6905366B2 (en) Connector
CN112670758B (zh) 连接器
US6152765A (en) Electrical connector
KR20220074157A (ko) 커넥터 조립체
KR101285675B1 (ko) 전자 장치용 하우징 구조 및 이러한 하우징 구조를형성하는 방법
JP4599741B2 (ja) コネクタ
US7125286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12803180A (zh) 逆变器装置
JP2904280B2 (ja) 金属基板を有する集積回路のコネクタ構造
CN112470555B (zh) 电子控制装置
KR102397522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4063181B2 (ja) 光モジュール
KR102148179B1 (ko) 커넥터 어셈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