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767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767A
KR20220049767A KR1020200133270A KR20200133270A KR20220049767A KR 20220049767 A KR20220049767 A KR 20220049767A KR 1020200133270 A KR1020200133270 A KR 1020200133270A KR 20200133270 A KR20200133270 A KR 20200133270A KR 20220049767 A KR20220049767 A KR 20220049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cover
unit
case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홍
정관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3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9767A/ko
Priority to EP21186552.2A priority patent/EP3985156A1/en
Priority to US17/384,009 priority patent/US20220120008A1/en
Priority to CN202111142549.0A priority patent/CN114427158B/zh
Priority to AU2021250920A priority patent/AU2021250920B2/en
Publication of KR20220049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0Starting machine operation, e.g. delayed start or re-start after power cu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7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물체가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커버, 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 커버 및 제2측면 커버, 상기 상부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커버 관통홀, 및 전방면에 형성된 인출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되는 드로워 바디, 및 상기 드로워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인출구를 개폐하는 드로워 패널이 구비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 바디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일단은 상기 제1측면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제1측면 커버와 상기 드로워 바디 중 상기 제1측면 커버에 가까운 제1지점과 상기 드로워 바디에 가까운 제2지점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작동부; 상기 커버 관통홀을 통해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상부커버에 안착된 물체에 접촉되면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물체와 접촉하지 않으면 상기 커버 관통홀을 향해 이동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가 상기 캐비닛 내부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자유단을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커버 관통홀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자유단을 상기 제1지점으로 이동시키는 변환부; 및 상기 드로워 패널이 상기 인출구를 폐쇄한 때 상기 자유단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 패널이 상기 인출구를 폐쇄한 상태 및 상기 자유단이 상기 제2지점에 위치된 상태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를 세탁하는 세탁기, 의류(건조대상물)를 건조하는 건조기,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복합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세탁기나 건조기를 지지 가능하게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터브의 물을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가 구비된 것이 있었다.
상술한 드로워 타입 의류처리장치는 드로워가 캐비닛에 삽입된 경우에만 작동되어야 터브에 저장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드로워 형태의 의류처리장치에는 드로워가 캐비닛 내부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필요했다.
또한, 종래 드로워 타입 의류처리장치는 드로워를 캐비닛에서 인출할 때 무게 중심이 드로워를 따라 이동하고, 이로 인해 드로워 타입 의류처리장치가 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캐비닛의 상부면에 세탁기와 같은 다른 물체가 안착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필요했다(공개특허 10-2020-0069731호).
본 출원은 의류처리를 위한 장치(건조기, 세탁기, 건조겸용 세탁기 등)를 지지하도록 구비되어 의류의 세탁이 가능한 드로워 타입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감지부로 드로워가 캐비닛에 삽입되었는지 여부, 및 캐비닛의 상부면에 물체(건조기, 세탁기, 건조겸용 세탁기 등)가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물체가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커버, 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 커버 및 제2측면 커버, 상기 상부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커버 관통홀, 및 전방면에 형성된 인출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되는 드로워 바디, 및 상기 드로워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인출구를 개폐하는 드로워 패널이 구비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 바디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일단은 상기 제1측면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제1측면 커버와 상기 드로워 바디 중 상기 제1측면 커버에 가까운 제1지점과 상기 드로워 바디에 가까운 제2지점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작동부; 상기 커버 관통홀을 통해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상부커버에 안착된 물체에 접촉되면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물체와 접촉하지 않으면 상기 커버 관통홀을 향해 이동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가 상기 캐비닛 내부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자유단을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커버 관통홀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자유단을 상기 제1지점으로 이동시키는 변환부; 및 상기 드로워 패널이 상기 인출구를 폐쇄한 때 상기 자유단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 패널이 상기 인출구를 폐쇄한 상태 및 상기 자유단이 상기 제2지점에 위치된 상태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드로워 패널이 상기 인출구를 폐쇄한 때 상기 자유단이 상기 제2지점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드로워 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드로워 패널이 상기 인출구를 폐쇄한 때 상기 제2지점과 기 설정된 기준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작동부의 자유단에 고정된 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자석의 자력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때 상기 드로워 패널은 상기 인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자유단은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드로워 패널이 상기 인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자유단이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자유단에 접촉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작동부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빛을 방출하는 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램프에서 방출되는 빛의 세기가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때 상기 드로워 패널은 상기 인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자유단은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위치감지부가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수신 받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로워 패널은 상기 인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자유단은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한 경우에만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로워 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노출된 컨트롤패널; 및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어 문자와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패널이 상기 인출구를 폐쇄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자유단이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알림부는 경고메시지 또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급수부, 상기 배수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위치감지부가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패널이 상기 인출구를 폐쇄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자유단이 상기 제2지점에 위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 상기 배수부, 및 상기 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측면 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커버 관통홀의 하부에 위치하는 케이스; 상기 작동부의 일단을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커버 관통홀을 통해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노출되는 접촉바디; 및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접촉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삽입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변환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삽입바디의 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상기 슬라이드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삽입바디의 운동방향에 평행한 직선경로 및 상기 직선경로의 일단에서 상기 제1측면 커버를 향해 경사진 경사경로가 구비된 슬릿; 및 일단은 상기 슬릿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부에 고정된 연결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로워 바디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제1측면 커버에 상기 드로워 바디를 체결하는 드로워 제1지지부; 및 상기 드로워 바디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제2측면 커버에 상기 드로워 바디를 체결하는 드로워 제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측면 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드로워 제1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슬라이드와 상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돌기; 및 상기 슬라이드와 상기 케이스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경로 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측면 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작동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스 바디; 및 상기 케이스 바디에 고정되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케이스 바디를 향하는 면에 구비된 제1돌기; 및 상기 케이스 커버를 향하는 면에 구비된 제2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경로 형성부는 상기 케이스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돌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1돌기 가이드; 및 상기 케이스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제2돌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2돌기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케이스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지점에 위치된 상기 자유단이 상기 케이스 바디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측면 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작동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스 바디; 상기 케이스 바디에 고정되는 케이스 커버; 및 상기 케이스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삽입바디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접촉부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슬라이드를 상기 커버 관통홀이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물체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드럼; 상기 제2드럼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제2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제2캐비닛이 상기 상부커버에 안착하면 상기 접촉부를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가압하는 가압부;가 구비된 제2처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의류처리를 위한 장치(건조기, 세탁기, 건조겸용 세탁기 등)를 지지하도록 구비되어 의류의 세탁이 가능한 드로워 타입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감지부로 드로워가 캐비닛에 삽입되었는지 여부, 및 캐비닛의 상부면에 물체(건조기, 세탁기, 건조겸용 세탁기 등)가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캐비닛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와 도 5는 감지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감지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0)는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제1처리장치(100) 및 상기 제1처리장치(100)의 상부면에 안착하도록 구비되어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제2처리장치(200)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100)는 물체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드로워(2),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과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3),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도어(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은 제2처리장치(200) 등의 물체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부커버(15), 상부커버의 마주보는 양단에 구비되어 제1처리장치(100)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 커버(16) 및 제2측면 커버(17), 상기 제1처리장치(100)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1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15), 제1측면 커버(16) 및 제2측면 커버(17)는 하나의 금속판의 마주보는 양단을 절곡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의 전방면에는 상기 드로워(2)의 출입을 위한 인출구(113)가 구비된다. 상기 인출구(113)는 상기 캐비닛(1)의 전방을 개방면으로 구성함으로써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캐비닛(1)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커버를 관통하는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200) 등의 물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커버들(15, 16, 17, 18)이 고정되는 전방프레임(11), 후방프레임(12), 및 프레임 연결부(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11)은 상기 캐비닛(1)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후방프레임(12)은 상기 캐비닛(1)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연결부(14)는 상기 전방프레임(11)의 바닥면과 상기 후방프레임(12)의 바닥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11)은 프레임 제1바디(111) 및 제1지지프레임(11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제1바디(111)는 상기 상부커버(15)의 전방이고정되는 면, 상기 제1측면 커버(16)의 전방이 고정되는 면, 및 제2측면 커버(17)의 전방이 고정되는 면이 구비된 C자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는 상기 프레임 제1바디(111)의 양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프레임 제1바디(111)와 제1지지프레임(112)이 결합하면 중앙에 프레임 관통홀이 형성되는데, 상기 인출구(113)는 상기 프레임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12)은 프레임 제2바디(121) 및 제2지지프레임(12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제2바디(121)는 상기 상부커버(15)의 후방이 고정되는 면, 상기 제1측면 커버의 후방이 고정되는 면, 및 상기 제2측면 커버의 후방이 고정되는 면이 구비된 C자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122)은 상기 프레임 제2바디(121)의 양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연결부(14)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과 제2지지프레임(122)을 연결하되 상기 제1측면 커버(16)가 위치된 방향에 고정된 제1프레임 연결부,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과 제2지지프레임(122)을 연결하되 상기 제2측면 커버(17)가 위치된 방향에 고정된 제2프레임 연결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커버(18)는 상기 후방프레임(1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과 제2지지프레임(122)에는 상기 캐비닛(1)이 안착되는 면에 접촉하는 레그(leg)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15)에는 안착부(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9)는 상기 제2처리장치(200)나 수납장치 등이 상기 제1처리장치(100)의 상부에 안착될 때, 각 장치를 상기 상부커버(15)에 고정하는 수단이다. 상기 안착부(19)는 상부커버(15)의 각 모서리에 고정되는 안착바디(191), 상기 안착바디에 구비된 레그 체결부(19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그 체결부(193)는 상기 제2처리장치(200) 등의 바닥면에 구비된 구비된 레그(leg, 돌기 등)를 안착바디(191)에 결합하는 수단으로, 상기 레그 체결부(193)는 상기 안착바디(1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안착바디 관통홀, 또는 상기 안착바디(191)의 표면이 상기 상부커버(15)를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안착바디 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커버(15)에는 커버 관통홀(151)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바디(191)에는 상기 커버 관통홀(151)에 연통하는 바디 관통홀(195)이 구비된다. 상기 커버 관통홀(151)과 바디 관통홀(195)은 감지부(9)에 구비된 접촉부를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수단으로, 구체적 기능은 후술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2)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서 인출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3)가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로워 바디(21),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드로워 커버(23), 상기 드로워 바디(21)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위치하는 드로워 패널(25, 도 1 참고)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21)는 상기 인출구(113)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 가능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드로워 바디(21)가 상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개방면에는 상기 드로워 커버(23)가 고정되고,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전방면에는 상기 드로워 패널(25)이 고정된다.
상기 드로워 바디(21)는 드로워 지지부(131, 132)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 인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제1측면(제1측면 커버를 향하는 면)은 드로워 제1지지부(131)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고,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제2측면(제2측면 커버를 향하는 면)은 드로워 제2지지부(132)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제1지지부(131)는 상기 전방프레임(11)과 상기 후방프레임(12)에 고정된 제1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1고정프레임에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제1측면에 고정된 제1슬라이딩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드로워 제2지지부(132)는 상기 전방프레임(11)과 상기 후방프레임(12)에 고정된 제2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2고정프레임에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제2측면에 고정된 제2슬라이딩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 패널(25)은 상기 드로워 바디(21)가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되면 상기 인출구(113)를 개방하고, 상기 드로워 바디(21)가 상기 캐비닛(1)으로 삽입되면 상기 인출구(113)를 폐쇄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패널(25)에 의해 상기 인출구(113)가 개방된다는 것은 상기 인출구(113)가 제1처리장치의 외부 노출됨을 의미하고, 상기 인출구(113)가 폐쇄된다는 것은 상기 인출구(113)가 제1처리장치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인출구가 밀폐되거나 인출구의 가장자리를 드로워 패널이 밀폐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상기 드로워 패널(25)의 일면(상부면 등)에는 컨트롤패널(251)이 구비되는데, 상기 컨트롤패널(251)에는 입력부(253)와 알림부(2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53)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수단이고, 상기 알림부(254)는 사용자에게 제1처리장치의 작동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이다. 상기 알림부(254)는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스피커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 커버(23)에는 상기 드로워 바디(2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커버 관통홀(23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드로워 커버(23)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부(233), 및 상기 드로워 커버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세제저장부에 연통하는 세제공급구(2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233)는 후술할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세제저장부(233)로 공급된 세제 및 물은 배출관(235)을 통해 상기 수용부(3)로 이동한다.
상기 수용부(3)는 상기 드로워 바디(21)에 고정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3a), 및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3b)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3a)는 물이 저장되는 터브 바디(31), 및 상기 터브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 커버(3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31)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터브 커버(33)는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터브 바디(31)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31)는 터브 지지부(315)를 통해 상기 드로워 바디(21)에 고정되는데, 상기 터브 지지부(315)는 상기 드로워 바디(21)에 구비된 제1브라켓(211)과 상기 터브 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된 제2브라켓(314)을 연결하는 바(bar)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31)의 원주면에는 상기 배출관(235)에 연결되는 세제공급구(311)가 구비되고, 상기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에는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3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커버(33)에는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331), 및 상기 터브 바디(31)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구(332)가 구비된다. 상기 투입구(331)는 상기 도어(4)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도어(4)는 상기 투입구(331)를 폐쇄하는 지점(폐쇄점)과 상기 투입구(311)를 개방하는 지점(개방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폐쇄점과 개방점은 모두 상기 터브 커버(33)와 드로워 커버(23)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부에 위치된 지점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도어가 터브 커버에 힌지를 통해 결합되면, 투입구를 개방할 때 도어의 자유단이 커버 관통홀(231)을 통해 드로워의 외부로 인출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터브를 건조하려면(투입구를 개방하여 터브의 잔수를 제거), 반드시 드로워를 캐비닛에서 인출해야만 한다.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드로워가 캐비닛 내부에 삽입되면, 드로워를 캐비닛에서 인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로 투입구(331)가 개방되면, 이물질이 터브에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가 상기 터브 커버(33)와 드로워 커버(23)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면(화살표 참고), 드로워를 캐비닛에 삽입한 상태에서도 터브의 건조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드럼(3b)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36), 및 상기 드럼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럼 투입구(3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36)는 구동부(38)를 통해 상기 터브(3a)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데, 상기 구동부(38)는 상기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381),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383), 상기 터브 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 바디(36)의 바닥면과 상기 로터(383)를 연결하는 드럼 회전축(38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36)의 원주면과 바닥면 등에는 드럼 관통홀(361)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터브 바디(31)에 저장된 물은 상기 드럼 관통홀(361)을 통해 상기 드럼 바디(36)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드럼 바디(36) 내부의 물이나 이물질은 상기 드럼 관통홀(361)을 통해 상기 터브 바디(31)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드럼 투입구(37)는 상기 도어(4)에 의해 개폐되는 투입구(331)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투입구(331)는 상기 드로워 커버에 구비된 커버 관통홀(2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드로워(2)가 캐비닛(1)에서 인출되면 상기 커버 관통홀(237)의 하부에 위치된 도어(4)는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될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도어(4)를 열어 상기 투입구(331)를 개방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드럼(3b)으로 의류를 공급할 수도 있고,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를 상기 드로워의 외부로 인출할 수도 있다.
상기 터브(3a)는 급수부(6, 7)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터브(3a)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8)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수부(8)는 상기 드로워 바디의 후방면(212, 바디 후방면)에 고정된 펌프(81), 상기 펌프(81)와 상기 터브의 배수구(313)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83), 및 상기 펌프(81)에서 배출되는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8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세제저장부(233)와 상기 터브의 급수구(332)로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7), 상기 디스펜서와 급수원을 연결하는 연결관(6)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7)에는 공급구(71)와 제1배출구(73)를 연결하는 제1유로, 상기 공급구(71)와 제2배출구(75)를 연결하는 제2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관(6)은 상기 공급구(71)에 연결되고, 상기 세제저장부(233)는 상기 제1배출구(73)에 연결된 제1급수관(76)을 통해 물을 공급받으며, 상기 급수구(332)는 상기 제2배출구(75)에 연결된 제2급수관(77)을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연결관(61)과 공급구(71)는 밸브(61)를 통해 연결되는데, 상기 밸브(61)는 제어부(C)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연결관(61)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100)에는 상기 드로워(2)가 캐비닛(1)에 삽입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캐비닛(1)의 상부면에 제2처리장치(200) 등의 물체가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9)가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9)는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된 케이스(91), 일단은 상기 바디 관통홀(195)을 통해 상기 상부커버(15)에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91) 내부에 위치하는 접촉부(9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91)는 상기 캐비닛의 제1측면 커버(16)와 드로워 바디(21)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 또는 상기 캐비닛의 제2측면 커버(17)와 드로워 바디(21)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될 수 있는데, 도 4는 상기 케이스(91)가 상기 제1측면 커버(16)와 드로워 바디(21)의 측면 사이에 위치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91)는 상기 캐비닛의 제1측면 커버(16)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전방프레임(11)에 고정되어 제1측면 커버(16)와 드로워 바디(21) 사이의 공간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4는 후자의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감지부(9)에는 케이스 고정부(9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고정부(915)는 상기 케이스(91)에서 돌출된 체결돌기(915a) 및 상기 전방프레임(11)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체결홀(915b)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91)는 상기 케이스 고정부(915)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는 케이스 바디(911), 및 상기 케이스 바디(911)에 고정되는 케이스 커버(91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911)는 상기 드로워 바디(21)를 향하는 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 커버(912)는 상기 케이스 바디(911)의 개방면을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911)의 상부면(케이스 바디 중 상부커버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접촉부(92)의 일단이 삽입되는 케이스 제1관통홀(9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92)는 상기 케이스 제1관통홀(916)에 삽입되는 삽입바디(923), 상기 삽입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커버 관통홀(151) 및 상기 바디 관통홀(195)을 통해 상기 상부커버(15)에 노출되는 접촉바디(92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바디(921)는 상기 상부커버(15)에 안착되는 물체의 자중에 의해 상기 캐비닛(1) 내부를 향해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2처리장치(200) 등의 물체가 상기 상부커버(15)에 안착되면(제2처리장치 등이 안착부에 결합하면), 상기 접촉바디(921)는 상기 캐비닛(1)의 내부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삽입바디(923)는 상기 케이스 바디(911)의 바닥면을 향해 이동한다. 상기 삽입바디(923)는 상기 케이스 제1관통홀(916)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케이스 제1관통홀(916)은 접촉바디(921)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접촉부 가이드)가 된다.
상기 케이스(91)에는 상기 케이스 바디(911)가 위치된 방향(제1측면 커버가 위치된 방향)과 상기 케이스 커버(912)가 위치된 방향(드로워 바디의 측면이 위치된 방향) 사이를 왕복하는 작동부(96), 및 상기 접촉부(92)의 직선운동을 상기 작동부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95)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96)는 일단은 상기 케이스 바디(9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자유단은 제1지점(P1, 도 6 (a) 참고)과 제2지점(P2, 도 6 (b) 참고) 사이를 왕복하는 바(bar)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케이스(91)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케이스 바디(911)에 가까운 지점(제1측면 커버에 가까운 지점)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케이스(91) 내부 공간 중 상기 케이스 커버(912)에 가까운 지점(드로워 바디의 측면에 가까운 지점)으로 설정된다.
도 5는 상기 작동부(96)가 상기 케이스 바디(911)에 결합하는 고정단이 구비된 제1바디(961), 상기 제1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자유단이 구비된 제2바디(96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961)는 회전축(968)을 통해 상기 케이스 바디(911)에 결합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바디(961)에는 상기 회전축(968)이 관통하는 회전축 관통홀(961a)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바디(911)에는 상기 회전축(968)이 고정되는 축 지지부(9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963)의 자유단에는 영구자석(967)이 고정되는 장착바디(9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911)에는 케이스 제2관통홀(91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제2관통홀(917)은 상기 장착바디(965)가 제1지점에 위치한 때 상기 장착바디(965)와 상기 케이스 바디(911)의 접촉을 방지하는 수단(간섭방지홀)이다. 상기 케이스(91)가 전방프레임(11)에 고정되면, 상기 케이스 바디(911)와 상기 제1측며 커버(16) 사이에 공간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 바디(911)에 상기 케이스 제2관통홀(917)이 구비되면, 상기 케이스(91)의 두께(X축 방향 길이)는 최소화 하면서도(케이스의 부피는 최소화하면서도)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의 거리는 극대화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측면 커버(16)와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측면에는 상기 드로워 제1지지부(13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측면 커버(16)와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측면 사이에는 상기 드로워 제1지지부(131)의 두께(X축 방향 길이)에 상당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91)가 상기 전방프레임(11)에 고정되어 상기 드로워 제1지지부(131)의 상부에 위치되면, 상기 케이스 제2관통홀(917)은 상기 케이스의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의 거리는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의 거리는 후술할 위치감지부의 감지오류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변환부(95)는 상기 케이스(91) 내부에서 상기 삽입바디(923)의 운동방향(Y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951, 952), 상기 슬라이드를 관통하는 직선경로(954a) 및 경사경로(954b)로 구비된 슬릿(954), 및 상기 슬라이드(951, 952)가 상기 케이스 바디(911)의 상부면(케이스 제1관통홀이 위치된 방향, 상부커버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하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95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삽입바디(923)에 접촉하는 제1슬라이드(951), 및 상기 슬릿(954)이 구비되며 상기 제1슬라이드(951)의 운동을 상기 작동부(96)에 전달하는 제2슬라이드(95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프링(953)은 상기 제1슬라이드(951)를 상기 케이스 바디(911)의 상부면이 위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바디(921)가 상기 상부커버(15)에 안착된 물체에 접촉되면, 상기 접촉부(92) 및 슬라이드(951, 952)는 상기 캐비닛(1)의 내부를 향해 이동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상부커버(15)에 안착된 물체가 상기 접촉바디(921)에서 분리되면, 상기 스프링(953)에 의해 상기 접촉부(92)는 상기 커버 관통홀(151)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슬라이드(951, 952)는 상기 케이스 바디(911)의 상부면을 향해 이동할 것이다.
상기 직선경로(954a)는 상기 삽입바디(923)의 운동 방향(Y축 방향)에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경사경로(954b)는 상기 직선경로(954a)의 일단에서 상기 케이스 바디(911)를 향해 경사(제1측면 커버를 향해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릿(954)에는 연결축(957)이 삽입되는데, 상기 작동부의 제2바디(963)는 상기 연결축(957)을 통해 상기 제2슬라이드(952)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바디(963)에는 상기 연결축이 관통하는 연결축 관통홀(963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부(98)는 상기 드로워 패널(25)이 상기 인출구(113)를 폐쇄한 때 상기 변화부에 구비된 영구자석(967)의 자력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15)에 제2처리장치(200) 등의 물체가 안착되면 상기 작동부(96)의 자유단에 고정된 영구자석(967)은 제2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커버(15)에 물체가 안착되지 않으면 상기 영구자석(967)은 제1지점에 위치한다. 상기 드로워 패널(25)이 인출구(113)를 폐쇄한 경우, 상기 위치감지부(98)에 감지되는 자력의 세기는 상기 영구자석이 제2지점에 위치된 경우가 상기 영구자석이 제1지점에 위치된 경우보다 클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처리장치(100)는 상기 제어부(C)가 상기 위치감지부(98)에서 전송되는 영구자석의 세기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드로워 패널이 상기 인출구를 폐쇄한 상태인지 여부, 및 상기 상부커버(15)에 물체가 안착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위치감지부(98)의 구조는 일례에 불과하다. 즉, 상기 위치감지부(98)는 상기 작동부(96)의 자유단에 접촉한 때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센서(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촉센서는 상기 드로워 패널(25)이 상기 인출구(113)를 폐쇄하고(제1조건), 및 상기 작동부(96)의 자유단이 상기 제2지점에 위치(제2조건)한 때 상기 작동부(96)의 자유단에 접촉하는 센서(switch sensor 등)가 일례가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위치감지부(98)는 상기 장착바디(965)에 구비되어 빛을 방출하는 램프, 및 상기 드로워 바디(21)에 고정되어 상기 램프에서 방출되는 빛의 세기나 빛의 입사각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감지부(98)는 상기 램프에서 방출되는 빛의 세기가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때, 또는 상기 램프에서 방출된 빛의 각도가 기 설정된 기준각도 이하일 때 상기 드로워 패널은 상기 인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작동부(96)의 자유단은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게 될 것이다.
어느 경우에나, 상기 위치감지부(98)는 상기 드로워 바디(2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드로워 패널(25)이 상기 인출구(113)를 폐쇄한 때 상기 제2지점과 기 설정된 기준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영역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위치감지부(98)는 상기 작동부(96)의 자유단이 제2지점에 위치한 때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위치감지부(98)는 상기 작동부(96)의 자유단이 제1지점에 위치한 때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부(9)에는 상기 슬라이드(951, 952)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슬라이드 가이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가 상기 제2슬라이드(952)에 구비된 돌기, 및 상기 케이스(91)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 형성부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돌기는 상기 제2슬라이드 중 상기 케이스 바디(911)를 향하는 면에 구비된 제1돌기(955), 및 상기 제2슬라이드 중 상기 케이스 커버(912)를 향하는 면에 구비된 제2돌기(956)로 구비되고, 상기 경로 형성부는 상기 케이스 바디(911)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돌기(955)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1돌기 가이드(913), 및 상기 케이스 커버(912)에 구비되어 상기 제2돌기(956)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2돌기 가이드(914)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 가이드(913)는 상기 케이스 바디(911)의 높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된 홈이나 슬릿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돌기 가이드(914)는 상기 케이스 커버(912)의 높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된 홈이나 슬릿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드로워 패널(25)은 상기 인출구(113)를 폐쇄하고, 상기 작동부(96)의 자유단은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한 경우에만 상기 구동부(38)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C)가 구동부(38)를 작동시킨다는 것은 상기 스테이터(381)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로터(383)를 회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드로워 패널(25)이 상기 인출구(113)를 개방한 상태이거나, 상기 작동부(96)의 자유단이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알림부(254)가 경고메시지나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상기 알림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위치감지부(98)가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부(6, 7), 상기 배수부(8),및 상기 구동부(38)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드로워 패널(25)이 상기 인출구(113)를 폐쇄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작동부(96)의 자유단이 상기 제2지점에 위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급수부(6, 7), 상기 배수부(8), 및 상기 구동부(3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가 급수부으 작동을 제한한다는 것은 밸브(61)가 상기 연결관(6)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제어부(C)가 배수부의 작동을 제한한다는 것은 펌프(81)가 작동하지 않게 함을 의미하며, 상기 구동부(38)의 작동을 제한한다는 것은 상기 스테이터(381)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6 (a)는 제2처리장치(200) 등의 물체가 상부커버(15)에 안착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 (b)는 상부커버(15)에 물체가 안착되었을 뿐 아니라 상기 드로워 패널(25)이 인출구(113)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처리장치(200)가 상부커버(15)에 안착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접촉바디(921)는 상기 바디 관통홀(195)에 위치한다. 상기 케이스(91)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953)이 상기 제1슬라이드(951)가 상기 상부커버(15)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상기 제1슬라이드(951) 및 삽입바디(923)에 공급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기 연결축(957)은 상기 제2슬라이드에 구비된 경사경로(954b)에 위치하므로, 상기 장착바디(965)에 고정된 영구자석(967)은 상기 제1지점(P1)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2처리장치(200)가 상기 상부커버(15)에 안착하면, 상기 접촉바디(921)는 상기 제2처리장치(200)에 구비된 가압부(230)에 의해 상기 캐비닛(1)의 내부로 이동한다(케이스의 상부면을 향해 이동한다). 상기 접촉바디(921)가 상기 케이스(91)의 상부면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삽입바디(923)는 상기 제1슬라이드(951) 및 제2슬라이드(952)를 상기 케이스(91)의 바닥면이 위치된 방향(케이스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슬라이드(951)가 상기 케이스(91)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스프링(953)은 압축될 것이다.
상기 제1슬라이드(951)가 상기 케이스(91)의 하부면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2슬라이드(952) 역시 상기 케이스(91)의 하부면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연결축(957)은 상기 경사경로(954b)에서 직선경로(954a)로 이동한다. 상기 연결축(957)이 직선경로(954a)로 이동하면, 상기 연결축(957)에 고정된 상기 제2바디(963)의 자유단에 고정된 영구자석(967)은 상기 제2지점(P2)을 향해 회전할 것이다.
상기 제2바디의 자유단에 고정된 영구자석(967)이 제2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 패널(25)이 인출구(113)를 폐쇄하면, 상기 위치감지부(98)는 상기 영구자석(967)의 자력이 기준 값 이상임을 감지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처리장치(100)는 하나의 감지부(9)로 드로워 패널(25)이 인출구(113)를 폐쇄했는지 여부, 및 캐비닛의 상부면에 제2처리장치(200) 등의 물체가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감지부(9)는 케이스(91) 없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작동부(96)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968)을 통해 상기 제1측면 커버(1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지점(P1)은 상기 제1측면 커버(16)와 상기 드로워 바디(21) 중 상기 제1측면 커버에 가까운 지점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지점(P2)은 상기 제1측면 커버(16)와 상기 드로워 바디(21) 중 상기 드로워 바디(21)에 가까운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처리장치(200)는 의류(옷, 신발 등의 세탁대상물)를 세탁하는 세탁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200)는 제2캐비닛(210), 상기 제2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터브,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제2드럼, 상기 제2캐비닛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레그 체결부(193)에 결합하는 레그(220), 및 상기 레그(220)가 레그 체결부(193)에 결합하면 상기 접촉바디(921)를 상기 캐비닛(1) 내부로 이동시키는 가압부(230)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터브는 제2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제2터브에 저장된 물은 제2배수부를 통해 상기 제2캐비닛(2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230)가 제2캐비닛(210)의 바닥면에서 상기 상부커버(15)를 향해 돌출된 바(bar)로 구비되면, 상기 접촉바디(921)는 상기 제2처리장치(20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캐비닛(1)의 내부를 향해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2처리장치(200)는 의류(옷, 신발 등의 건조대상물)를 건조하는 건조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캐비닛(210)에는 상기 제2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공급부가 구비되어야 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의류처리장치(1000)는 상기 제1처리장치(100) 단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촉부(92)를 가압하는 수단은 상기 작동부(96)를 이동시킬 수 있는 한 어떠한 사물로도 대체될 수 있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는 본 출원에 게시된 아이디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1000: 의류처리장치 100: 제1처리장치 1: 캐비닛
11: 전방프레임 111: 프레임 제1바디 112: 제1지지프레임
113: 인출구 12: 후방프레임 121: 프레임 제2바디
122: 제2지지프레임 14: 프레임 연결부 131: 드로워 제1지지부
132: 드로워 제2지지부 15: 상부커버 151: 커버 관통홀
16: 제1측면 커버 17: 제2측면 커버 18: 후방커버
19: 안착부 191: 안착 바디 193: 레그 체결부
195: 바디 관통홀 2: 드로워 21: 드로워 바디
23: 드로워 커버 231: 커버 관통홀 232: 세제공급구
233: 세제저장부 235: 배출관 25: 드로워 패널
251: 컨트롤패널 253: 입력부 254: 알림부
3: 수용부 3a: 터브 31: 터브 바디
313: 배수구 315: 터브 지지부 33: 터브 커버
331: 투입구 332: 급수구 3b: 드럼
36: 드럼 바디 361: 드럼 관통홀 37: 드럼 투입구
38: 구동부 381: 스테이터 383: 로터
385: 회전축 4: 도어 6: 연결관
61: 밸브 7: 디스펜서 71: 공급구
73: 제1배출구 75: 제2배출구 76: 제1급수관
77: 제2급수관 8: 배수부 81: 펌프
83: 제1배수관 85: 제2배수관 C: 제어부
9: 감지부 91: 케이스 911: 케이스 바디
912: 케이스 커버 915: 케이스 고정부 916: 케이스 제1관통홀
917: 케이스 제2관통홀 918: 축 지지부 913: 제1돌기 가이드
914: 제2돌기 가이드 92: 접촉부 921: 접촉바디
923: 삽입바디 95: 변환부 951: 제1슬라이드
952: 제2슬라이드 953: 스프링 954: 슬릿
954a: 직선경로 954b: 경사경로 955: 제1돌기
956: 제2돌기 957: 연결축 96: 작동부
961: 제1바디 961a: 회전축 관통홀 963: 제2바디
963a: 연결축 관통홀 965: 장착바디 967: 영구자석
968: 회전축 98: 위치감지부 200: 제2처리장치

Claims (15)

  1. 물체가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커버, 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 커버 및 제2측면 커버, 상기 상부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커버 관통홀, 및 전방면에 형성된 인출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되는 드로워 바디, 및 상기 드로워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인출구를 개폐하는 드로워 패널이 구비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 바디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일단은 상기 제1측면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제1측면 커버와 상기 드로워 바디 중 상기 제1측면 커버에 가까운 제1지점과 상기 드로워 바디에 가까운 제2지점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작동부;
    상기 커버 관통홀을 통해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상부커버에 안착된 물체에 접촉되면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물체와 접촉하지 않으면 상기 커버 관통홀을 향해 이동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가 상기 캐비닛 내부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자유단을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커버 관통홀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자유단을 상기 제1지점으로 이동시키는 변환부; 및
    상기 드로워 패널이 상기 인출구를 폐쇄한 때 상기 자유단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 패널이 상기 인출구를 폐쇄한 상태 및 상기 자유단이 상기 제2지점에 위치된 상태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드로워 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드로워 패널이 상기 인출구를 폐쇄한 때 상기 제2지점과 기 설정된 기준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자유단에 고정된 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자석의 자력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때 상기 드로워 패널은 상기 인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자유단은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드로워 패널이 상기 인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자유단이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자유단에 접촉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빛을 방출하는 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램프에서 방출되는 빛의 세기가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때 상기 드로워 패널은 상기 인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자유단은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위치감지부가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수신 받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로워 패널은 상기 인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자유단은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한 경우에만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노출된 컨트롤패널; 및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어 문자와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패널이 상기 인출구를 폐쇄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자유단이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알림부는 경고메시지 또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급수부, 상기 배수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위치감지부가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패널이 상기 인출구를 폐쇄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자유단이 상기 제2지점에 위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 상기 배수부, 및 상기 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커버 관통홀의 하부에 위치하는 케이스;
    상기 작동부의 일단을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커버 관통홀을 통해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노출되는 접촉바디; 및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접촉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삽입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변환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삽입바디의 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상기 슬라이드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삽입바디의 운동방향에 평행한 직선경로 및 상기 직선경로의 일단에서 상기 제1측면 커버를 향해 경사진 경사경로가 구비된 슬릿; 및 일단은 상기 슬릿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부에 고정된 연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와 상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돌기; 및
    상기 슬라이드와 상기 케이스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경로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측면 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작동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스 바디; 및 상기 케이스 바디에 고정되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케이스 바디를 향하는 면에 구비된 제1돌기; 및 상기 케이스 커버를 향하는 면에 구비된 제2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경로 형성부는 상기 케이스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돌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1돌기 가이드; 및 상기 케이스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제2돌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2돌기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지점에 위치된 상기 자유단이 상기 케이스 바디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측면 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작동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스 바디; 상기 케이스 바디에 고정되는 케이스 커버; 및 상기 케이스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삽입바디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접촉부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를 상기 커버 관통홀이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드럼; 상기 제2드럼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제2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제2캐비닛이 상기 상부커버에 안착하면 상기 접촉부를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133270A 2020-10-15 2020-10-15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270A KR20220049767A (ko) 2020-10-15 2020-10-15 의류처리장치
EP21186552.2A EP3985156A1 (en) 2020-10-15 2021-07-20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7/384,009 US20220120008A1 (en) 2020-10-15 2021-07-23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2111142549.0A CN114427158B (zh) 2020-10-15 2021-09-28 衣物处理装置
AU2021250920A AU2021250920B2 (en) 2020-10-15 2021-10-14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270A KR20220049767A (ko) 2020-10-15 2020-10-1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767A true KR20220049767A (ko) 2022-04-22

Family

ID=76999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270A KR20220049767A (ko) 2020-10-15 2020-10-1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20008A1 (ko)
EP (1) EP3985156A1 (ko)
KR (1) KR20220049767A (ko)
CN (1) CN114427158B (ko)
AU (1) AU2021250920B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4281A1 (zh) * 2022-11-19 2024-05-23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水压联动开关及自动投放装置及多滚筒洗衣机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9293B2 (ja) * 2001-03-15 2006-01-25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DE102007022098A1 (de) * 2007-05-11 2008-11-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utomatisch gesteuerte Waschmaschine
JP5583499B2 (ja) * 2010-07-02 2014-09-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衣類処理装置
KR102329115B1 (ko) * 2014-05-30 2021-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401639B1 (ko) * 2015-06-30 202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JP6750162B2 (ja) * 2015-12-14 2020-09-02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洗濯機
KR102582579B1 (ko) * 2018-10-11 2023-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00046411A (ko) * 2018-10-24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99107B1 (ko) 2018-12-07 202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4281A1 (zh) * 2022-11-19 2024-05-23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水压联动开关及自动投放装置及多滚筒洗衣机及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427158A (zh) 2022-05-03
US20220120008A1 (en) 2022-04-21
AU2021250920B2 (en) 2023-08-24
EP3985156A1 (en) 2022-04-20
AU2021250920A1 (en) 2022-05-05
CN114427158B (zh) 202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4879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7159910B2 (en) Apparatus for opening/closing door of dryer
KR20150097184A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9718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5628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46411A (ko) 의류처리장치
JP6082071B2 (ja) 衣類処理装置
KR20220049767A (ko) 의류처리장치
KR10264589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2818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769A (ko) 의류처리장치
US20230295860A1 (en) Detergent supply device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3985154A1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KR2022001414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28183A (ko) 의류처리장치
KR10205786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086893A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08836A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