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411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411A
KR20200046411A KR1020180127531A KR20180127531A KR20200046411A KR 20200046411 A KR20200046411 A KR 20200046411A KR 1020180127531 A KR1020180127531 A KR 1020180127531A KR 20180127531 A KR20180127531 A KR 20180127531A KR 20200046411 A KR20200046411 A KR 20200046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abinet
magnetic force
dra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홍
정관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7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6411A/ko
Priority to EP23190165.3A priority patent/EP4290003A3/en
Priority to PCT/KR2019/013351 priority patent/WO2020085695A1/en
Priority to EP19877158.6A priority patent/EP3870748B1/en
Priority to US17/309,051 priority patent/US11920273B2/en
Publication of KR20200046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411A/ko
Priority to US18/433,062 priority patent/US2024017518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8Operation mode; Program pha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체가 안착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상부면 및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출입구가 형성된 전방면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으로 의류를 유입시키는 투입구;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단 및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과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는 자유단이 구비된 레버; 상기 레버의 자유단과 상기 드로워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부; 상기 레버의 자유단과 상기 드로워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드로워가 기준위치까지 상기 캐비닛에 삽입되면 상기 자력발생부가 제공하는 자력을 감지 가능한 자력감지부;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 물체가 안착하면 상기 레버의 자유단을 상기 드로워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자력발생부와 상기 자력감지부 사이의 거리를 기준거리 이하로 유지시키고,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 물체가 안착하지 않으면 상기 레버의 자유단을 상기 드로워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자력발생부와 상기 자력감지부 사이의 거리가 상기 기준거리보다 길어지게 하는 레버 작동부;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 또는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레버의 자유단을 상기 드로워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자력발생부와 상기 자력감지부 사이의 거리를 상기 기준거리보다 길어지게 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ment Machin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를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에서 투입하는 프론트 로딩 방식(일명 드럼 세탁기)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투입하기 위해 구비된 투입구가 사용자의 허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의류를 의류처리장치에 투입하거나 의류처리장치에서 의류를 인출할 때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제거하고자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프론트 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의 하부에 드로워 형태의 받침대를 추가하여 투입구의 높이를 높인 것이 있었다.
나아가,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상기 드로워 형태의 받침대가 프론트 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수단일 뿐 아니라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도 수행 가능한 것도 있었다.
드로워 형태의 의류처리장치는 드로워가 캐비닛에 삽입된 경우에만 작동되어야 하고, 드로워가 캐비닛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터브(드로워에 구비됨)를 개폐하는 도어가 열리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종래 드로워 형태의 의류처리장치에는 드로워가 캐비닛 내부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드로워가 캐비닛 내부에 있을 때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필요했다.
또한, 드로워 형태의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드로워를 캐비닛에서 인출할 때 무게중심이 드로워를 따라 이동하고, 이로 인해 드로워 타입 의류처리장치가 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캐비닛의 상부면에 세탁기와 같은 다른 물체가 안착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것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를 위한 장치(건조기, 세탁기, 건조겸용 세탁기 등)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되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도 가능한 드로워 타입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센서로 드로워가 기준위치까지 캐비닛에 삽입되었는지 여부, 캐비닛 내부에서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했는지 여부, 및 캐비닛의 상부면에 물체가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물체가 안착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상부면 및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출입구가 형성된 전방면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으로 의류를 유입시키는 투입구;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단 및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과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는 자유단이 구비된 레버; 상기 레버의 자유단과 상기 드로워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부; 상기 레버의 자유단과 상기 드로워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드로워가 기준위치까지 상기 캐비닛에 삽입되면 상기 자력발생부가 제공하는 자력을 감지 가능한 자력감지부;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 물체가 안착하면 상기 레버의 자유단을 상기 드로워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자력발생부와 상기 자력감지부 사이의 거리를 기준거리 이하로 유지시키고,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 물체가 안착하지 않으면 상기 레버의 자유단을 상기 드로워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자력발생부와 상기 자력감지부 사이의 거리가 상기 기준거리보다 길어지게 하는 레버 작동부;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 또는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레버의 자유단을 상기 드로워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자력발생부와 상기 자력감지부 사이의 거리를 상기 기준거리보다 길어지게 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자력감지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받도록 구비되고, 상기 자력발생부와 상기 자력감지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기준거리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 작동부는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 안착하는 물체에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물체가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 안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이송부; 및 상기 물체가 상기 이송부에 접촉하면 상기 레버의 자유단을 상기 드로워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물체가 상기 이송부에 접촉하지 않으면 상기 레버의 자유단을 상기 드로워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 안착하면 상기 물체의 하중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물체가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서 제거되면 상기 슬라이드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이송바디; 상기 이송바디와 상기 슬라이드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이송돌기; 및 상기 이송바디와 상기 슬라이드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이송바디가 상기 슬라이드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드를 상기 레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물체가 상기 이송바디를 가압하면 상기 레버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물체가 상기 이송바디를 가압하지 않으면 상기 레버를 향해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디;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 바디에 고정되어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작동 바; 상기 작동 바의 직선왕복운동을 상기 레버 자유단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작동 바가 상기 레버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자력발생부와 상기 자력감지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기준거리 이하가 되게 하고, 상기 작동 바가 상기 레버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자력발생부와 상기 자력감지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기준거리보다 길어지게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레버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 바를 향할수록 상향 경사진 레버 경사면; 상기 작동 바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 경사면에 접촉하며, 상기 레버를 향할수록 하향 경사진 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슬리이딩 바디를 상기 레버가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슬라이드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딩 바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슬라이드 가이드; 상기 이송바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이송부 가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체결단과 상기 자유단이 구비된 바 형상의 레버 바디; 상기 체결단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 바디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레버 회전축; 상기 자유단에 구비되어 상기 자력발생부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레버 바디에서 상기 도어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도어에 접촉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투입구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레버가 지지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절곡부를 상기 베이스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베이스 제1관통홀;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를 상기 베이스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베이스 제2관통홀; 및 상기 절곡부를 상기 베이스 제1관통홀이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레버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될 때 상기 도어가 상기 출입구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서 상기 롤러의 최하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서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 평행한 상기 출입구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에서 돌출된 레버 가이드;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 가이드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를 위한 장치(건조기, 세탁기, 건조겸용 세탁기 등)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되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도 가능한 드로워 타입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센서로 드로워가 기준위치까지 캐비닛에 삽입되었는지 여부, 캐비닛 내부에서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했는지 여부, 및 캐비닛의 상부면에 물체가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통합감지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통합감지부에 구비된 신호발생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통합감지부에 구비된 레버 작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과 도 7은 캐비닛의 상부면에 물체가 안착하지 않은 때 레버 작동부 및 신호발생부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8과 도 9는 캐비닛의 상부면에 물체가 안착한 때 레버 작동부 및 신호발생부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캐비닛 내부에서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한 때 레버 작동부 및 신호발생부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부에 물체가 안착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뿐 아니라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제1처리장치(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1)의 상부면에 안착하여 제1처리장치(1)의 진동을 억제하고, 제1처리장치(1)의 무게 중심을 유지하는 물체는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제2처리장치(2)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1)는 제2처리장치(2)을 지지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11,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드로워(13),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15, 제1터브), 상기 제1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17, 제1드럼)을 포함한다.
상기 제1캐비닛(11)은 출입구(113)가 구비된 전방면(111), 상기 제2처리장치(2)가 안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부면(115)을 포함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입구(113)는 상기 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캐비닛(11)의 외부를 내부와 연통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드로워(13)는 상기 출입구(113)를 통해 상기 제1캐비닛(11)에서 인출되거나 상기 제1캐비닛(11)의 내부로 이동 가능한 드로워 바디(131), 상기 드로워 바디(131)에 고정되어 상기 출입구(113)를 개폐하는 드로워 패널(133)을 포함한다.
상기 드로워 바디(131)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드로워 바디의 상부면에는 드로워 바디(13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드로워 제1관통홀(131a) 및 드로워 제2관통홀(13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제1관통홀(131a)은 의류를 제1드럼(17)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고, 상기 드로워 제2관통홀(131b)은 제1터브(15)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인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드로워 패널(133)은 드로워 바디(131)의 전방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캐비닛(11)의 외부에 위치한다. 상기 드로워 패널(133)은 상기 드로워 바디(131)의 핸들이 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패널(133)은 상기 출입구(113)를 개폐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패널(133)이 출입구(113)를 개방한다는 것은 상기 드로워 패널(133)이 전방면(111)에서 멀어지는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출입구(113)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드로워 패널(133)이 출입구(113)를 폐쇄한다는 것은 상기 드로워 바디(131)가 제1캐비닛(11)에 삽입되어 상기 출입구(113)가 상기 드로워 패널(133)에 가려져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드로워 패널(133)에는 컨트롤패널(135, 제1컨트롤패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트롤패널(135)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에게 제1처리장치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브(15)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터브 지지부(154)를 통해 상기 드로워 바디(13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터브(15)의 상부면에는 투입구(151, 제1투입구) 및 공급구(152)가 구비된다. 상기 제1투입구(151)는 상기 드로워 제1관통홀(131a)의 하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공급구(152)는 상기 드로워 제2관통홀(131b)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투입구(151)는 도어(153, 제1도어)에 의해 개폐되는데, 상기 제1도어(153)는 제1터브(15)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드로워 바디(131)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제1도어(153)가 힌지를 통해 제1터브의 상부면에 결합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인데, 이 경우 상기 제1도어(153)는 상기 드로워 제1관통홀(131a)을 통해 상기 제1터브(15)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1터브(15)는 급수부(제1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제1터브(15)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제1배수부)를 통해 상기 제1터브에서 배출된다.
상기 제1급수부는 상기 드로워 제2관통홀(131b)에 삽입되어 급수원(미도시)과 상기 공급구(152)를 연결하는 제1급수관(155), 제1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1급수관(155)을 개폐하는 제1밸브(156)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배수부는 상기 제1터브(15) 내부의 물을 제1캐비닛(1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158), 물이 상기 제1배수관을 따라 이동하게 만드는 제1펌프(157)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드로워 바디(131)는 제1캐비닛(11)의 길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제1급수관(155) 및 제1배수관(158)은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드럼(17)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제1드럼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투입구(151)에 연통하는 제1드럼 투입구(171), 상기 제1드럼의 원주면과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173)을 포함한다. 상기 제1드럼 투입구(171)는 상기 제1투입구(151)의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 제1관통홀(131a), 제1투입구(151), 및 제1드럼 투입구(171)를 통해 제1드럼(17)으로 의류를 공급 가능하다.
상기 연통홀(173)은 상기 제1드럼(17) 내부를 상기 제1터브(15)와 연통시키는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제1터브(15)로 공급된 물은 상기 연통홀(173)을 통해 상기 제1드럼 내부의 의류에 공급되고, 의류에 잔류하는 물과 이물질은 상기 연통홀(173)을 통해 상기 제1터브(15)로 배출된다.
상기 제1드럼(17)은 제1구동부를 통해 회전하는데, 도 2는 상기 제1구동부가 제1스테이터(181), 제1로터(183) 및 제1회전축(185)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스테이터(181)는 제1터브(15)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수단이고, 상기 제1로터(183)는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수단이며, 상기 제1회전축(185)은 제1터브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드럼(17)과 제1로터(183)를 연결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2처리장치(2)는 제1캐비닛(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캐비닛(21), 상기 제2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터브(23),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제2드럼(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캐비닛(21)은 제2투입구(213)가 구비된 프론트 패널(211),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패널(215), 제2처리장치(2)를 지지하는 레그(216)를 포함한다. 상기 제2투입구(213)는 프론트 패널(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도어(214)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211)에는 제2컨트롤패널(212, 도 1 참고)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컨트롤패널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제2입력부, 제2처리장치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제2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그(216)는 상기 베이스 패널(215)의 각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115)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2터브(23)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되 전방면에 상기 제2투입구(213)에 연통하는 제2터브 투입구(231)가 구비된다. 상기 제2터브 투입구(231)와 상기 투입구(213)는 주름관 형태로 구비된 가스켓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터브 내부의 물이 제2캐비닛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고, 상기 제2터브의 진동이 제2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터브(23)는 제2터브 지지부(233)를 통해 상기 제2캐비닛(21) 내부에 고정되는데, 상기 제2터브 지지부(233)는 제2터브의 하부영역을 베이스 패널(215)에 고정하는 댐퍼, 상기 제2터브의 상부영역을 제2캐비닛(21)에 고정하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터브(23)는 제2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데, 상기 제2급수부는 급수원과 상기 제2터브(23)를 연결하는 제2급수관(235), 제2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급수관(235)을 개폐하는 제2밸브(23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터브(23)에 저장된 물은 제2배수부를 통해 제2캐비닛(21)의 외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제2배수부는 제2터브(21) 내부의 물을 제2캐비닛(2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239), 물이 상기 제2배수관(239)을 따라 이동하게 만드는 제2펌프(23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드럼(24)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전방면에 상기 제2터브 투입구(231)를 통해 제2캐비닛의 제2투입구(213)에 연통하는 제2드럼 투입구(24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드럼(24)의 원주면, 전방면 및 후방면에는 상기 제2드럼 내부를 제2터브 내부에 연통시키는 다수의 연통홀(243)이 구비된다.
상기 제2드럼(24)은 제2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제2구동부는 제2터브의 배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제2스테이터(251),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제2로터(253), 제2터브의 배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드럼(24)과 상기 제2로터(253)를 연결하는 제2회전축(25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제2처리장치(2)가 의류의 세탁을 위한 장치로 구비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인데, 상기 제2처리장치(2)는 의류의 건조도 가능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2)에는 상기 제2터브(23)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인출한 뒤 상기 제2터브로 재공급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순환덕트,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구비된 팬, 상기 순환덕트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열교환부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처리장치(2)는 의류의 건조만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는 제2캐비닛, 제2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2드럼, 상기 제2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순환덕트,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구비된 팬 및 열교환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터브로 공기를 공급하는 유로는 상기 제2터브 내부의 공기를 제2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덕트, 상기 제2캐비닛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2터브로 공급하는 공급덕트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팬은 상기 배기덕트에 구비되고,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공급덕트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드로워(13)가 기 설정된 기준위치까지 제1캐비닛(11)에 삽입되었는지 여부, 제1캐비닛(11) 내부에서 제1도어(153)가 제1투입구(151)를 개방했는지 여부, 및 제1캐비닛(11)의 상부면에 물체(제2처리장치 등)가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한 통합감지부(4, 6, integrated sensing un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합감지부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4),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115)에 제2처리장치(2)가 안착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신호발생부(4)가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하는 레버 작동부(6)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발생부(4)는 일단이 상기 제1캐비닛(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115)과 상기 드로워 바디(131)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는 레버(42), 상기 레버(42)와 상기 드로워 바디(131)의 상부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자력발생부(45), 상기 레버(45)와 상기 드로워 바디(131)의 상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 자력감지부(46, 도 1 참고)를 포함한다.
상기 자력발생부(45)는 영구자석과 같이 자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고, 상기 자력감지부(46)는 홀센서(Hall effect sensor)와 같이 상기 자력발생부가 제공하는 자력을 감지하는 수단이다. 도 3은 상기 자력발생부(45)는 레버(42)에 구비되고, 상기 자력감지부(46)는 상기 드로워 바디(131)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42)는 상기 제1캐비닛(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단 및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115)과 상기 드로워 바디(131)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는 자유단이 구비된 바(bar)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레버(42)는 고정단과 자유단이 구비된 바 형태의 레버 바디(421), 상기 레버 바디(421)의 고정단에 구비된 레버 회전축(423), 상기 레버 바디(421)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상기 자력발생부(45)가 고정되는 수용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 바디(421)는 상기 제1도어(153)가 상기 제1캐비닛(11) 내부에서 상기 제1투입구(15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도어(153)에 의해 상기 드로워 바디(131)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제1캐비닛의 상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도어(153)가 제1캐비닛(11) 내부에서 제1투입구(151)를 개방한 때 상기 레버 바디(421)가 상기 드로워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레버 바디(421)에는 상기 제1도어(153)를 향해 돌출된 절곡부(42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429)는 상기 레버 회전축(423)과 상기 수용부(425)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153)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캐비닛(11) 내부에서 제1도어(153)가 제1투입구(15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도어(153)는 상기 절곡부(429)를 상기 드로워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가압하게 될 것이다.
상기 레버(42)에는 레버 바디(421)의 자유단을 상기 드로워 바디(131)의 상부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레버 스프링(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429)를 통해 상기 레버 바디(421)에 입력되는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레버 바디(421)의 자유단은 상기 레버 스프링(43)에 의해 상기 드로워 바디(131)의 상부면을 향해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수용부(425)는 상기 자력발생부(45)가 수용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4는 상기 수용부(425)가 상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수용부(425)에는 수용부 관통홀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수용부 관통홀은 상기 자력발생부(45)의 자력이 상기 수용부(425)의 외부로 방출되는 통로이다.
상기 레버(42)는 상기 레버 회전축(423)을 통해 상기 제1캐비닛(11)에 직접 체결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캐비닛(11)에 고정된 베이스(4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41)는 상기 제1캐비닛(11)에 고정되어 상기 제1투입구(151)의 상부에 위치하는데, 상기 레버 바디(421)와 드로워 바디(131)의 상부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베이스(41)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베이스(41)의 바닥면에는 상기 레버 바디(421)에 구비된 절곡부(429)를 상기 베이스(41)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베이스 제1관통홀(411), 상기 베이스(4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425)를 상기 베이스(41)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베이스 제2관통홀(413)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제1관통홀(411)과 베이스 제2관통홀(413) 사이에는 상기 레버 바디(421)가 지지되는 레버 지지부(4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 지지부(417)는 상기 레버 바디(421)의 초기 위치(제1도어에 의한 힘이 레버 바디에 입력되지 않을 때 레버 바디의 위치)를 설정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41)에는 상기 레버 회전축(423)이 수용되는 축 수용부(415)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축 수용부(415)에 삽입된 레버 회전축(423)은 커버(431)에 의해 상기 축 수용부(415)에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커버(431)는 상기 베이스(4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버 스프링(43)은 일단은 상기 커버(43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레버 바디(42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바디(42)에 고정되는 레버 스프링(43)의 타단은 상기 레버 회전축(423)과 상기 수용부(42) 사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로워 바디(131)가 기 설정된 기준위치까지 제1캐비닛(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 바디(421)가 상기 레버 지지부(417)에 안착하면, 상기 자력발생부(45)와 상기 자력감지부(46) 사이의 거리는 일정한 거리(기준거리)를 유지할 것이고, 상기 자력감지부(46)는 일정한 세기의 자력(기준세기의 자력)을 감지하게 될 것이다.
상기 기준위치는 상기 자력감지부(46)가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의 자력을 감지하는 위치(또는 자력발생부와 자력감지부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하의 거리가 되는 위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드로워 패널(133)이 출입구(113)를 폐쇄하는 위치가 상기 기준위치의 일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자력감지부(46)가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드로워 바디(131)가 기준위치까지 이동했는지 여부를 감지 가능하다. 즉, 상기 드로워 바디(131)가 기준위치에 위치한 경우(드로워가 제1캐비닛에 삽입된 경우)에 자력감지부(46)가 감지하는 자력의 세기는 상기 드로워 바디(131)가 기준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드로워가 제1캐비닛에서 인출된 경우)에 자력감지부(46)가 감지하는 자력의 세기보다 클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술한 신호발생부(4)를 통해 드로워(13)가 제1캐비닛(11)에서 인출되었는지 여부를 감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드로워 바디(131)가 상기 기준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153)가 제1투입구(151)를 개방하면, 상기 레버 바디(421)의 자유단은 상기 드로워 바디(131)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자력발생부(45)와 상기 자력감지부(46) 사이의 거리는 상기 기준거리보다 길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술한 신호발생부(4)를 통해 상기 드로워 바디(131)가 상기 기준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도어(153)가 제1투입구(151)를 개방했는지 여부도 감지 가능하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자력발생부(45)와 자력감지부(46) 사이의 간격이 상기 기준거리 이하인 경우(자력감지부가 기준세기 이상의 자력을 감지한 경우)에만 상기 제1구동부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로워 바디(131)가 상기 제1캐비닛(11)에 완전히 삽입되고, 상기 제1도어(153)가 제1투입구(151)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1드럼(17)이 회전해야만 제1처리장치(1)의 작동 중 드로워가 제1캐비닛에서 인출되는 문제, 물과 의류가 제1캐비닛으로 배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레버 바디(421)의 회전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레버(42)에는 상기 수용부(425)에서 돌출된 레버 가이드(427)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41)에는 상기 레버 가이드(427)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홈(419)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레버 가이드(427)는 상기 수용부(425)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홈(419)은 상기 베이스(41)의 전방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작동부(6)는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115)에 제2처리장치(2)가 안착하면 상기 레버 바디(421)의 자유단을 상기 드로워 바디(131)의 상부면을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115)에 제2처리장치(2)가 안착하지 않으면 상기 레버 바디(421)의 자유단을 상기 드로워 바디(131)의 상부면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레버 바디(421)의 자유단이 상기 드로워 바디(131)의 상부면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자력발생부(45)와 자력감지부(46) 사이의 거리는 기준거리 이하가 될 것이고, 상기 레버 바디(421)의 자유단이 상기 드로워 바디(131)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자력발생부(45)와 자력감지부(46) 사이의 거리는 상기 기준거리보다 길어지게 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작동부(6)는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115)에 안착하는 제2처리장치(2)에 접촉하도록 구비된 이송부(62), 상기 제2처리장치(2)가 상기 이송부(62)에 접촉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레버 바디(421)의 자유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슬라이드(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62)는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에 구비된 상부면 관통홀(117, 도 1 참고)을 통해 상기 제1캐비닛(11)의 상부면(115)에 노출되며, 상기 상부면(115)에 제2처리장치(2)가 안착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캐비닛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왕복도록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64)는 상기 제2처리장치(2)가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115)에 안착하여 상기 이송부(62)에 접촉하면 상기 레버 바디(421)의 자유단을 상기 드로워 바디(131)의 상부면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처리장치(2)가 상기 이송부(62)에 접촉하지 않으면 상기 레버 바디(421)의 자유단을 상기 드로워 바디(131)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레버 작동부(6)에는 상기 이송부(62)의 이동경로 및 상기 슬라이드(64)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뿐 아니라, 상기 이송부와 슬라이드의 체결상태를 유지시키는 하우징(6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61)은 제1캐비닛(11)에 고정되는데, 하우징 바디(611) 및 하우징 커버(61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611)는 상기 슬라이드(64)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613)는 상기 하우징 바디의 개방된 상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61)의 상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611)의 일면(신호발생부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는 하우징 제1관통홀(615)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613)에는 하우징 제2관통홀(617)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부(62)는 일단은 상기 하우징(61)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제2관통홀(617) 및 제1캐비닛의 상부면 관통홀(117)을 통해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115)에 노출되는 이송바디(6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2)가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115)에 안착하면, 상기 이송바디(621)는 상기 제2처리장치(621)의 하중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64)를 향해 이동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2처리장치(2)가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115)에서 제거되면, 상기 이송바디(621)는 상기 슬라이드(64)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2처리장치(2)에는 상기 제2캐비닛(21)이 제1캐비닛의 상부면(115)에 안착한 때 상기 이송바디(621)를 제1캐비닛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부(217, 도 2 참고)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가압부(217)는 상기 베이스 패널(215)에서 돌출된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64)는 상기 이송바디(621)에 의해 상기 하우징(61)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딩 바디(641)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61)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제1관통홀(615)을 통해 상기 하우징(61)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다.
상기 이송바디와(621)와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 중 어느 하나에는 이송돌기(623)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바디(621)와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이송돌기(623)가 삽입되는 이송홈(625)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홈(625)은 상기 이송바디(621)가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를 상기 하우징(61) 내부로 이동(레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송바디(621)가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를 상기 하우징(61)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레버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는 슬라이드 스프링(645)을 통해 복원력을 제공받는데, 상기 슬라이드 스프링(645)은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를 상기 하우징 제2관통홀(617)이 위치된 방향(레버가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바디(621)의 자유단이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115)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는 작동 바(647)를 통해 상기 레버 바디(421)에 연결되는데, 상기 작동 바(647)는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는 작동 바(647)가 슬라이딩 바디(641)에 착탈 가능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슬라이딩 바디와 작동 바의 조립이 보다 용이할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와 작동 바(647)의 체결을 위해,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에는 바 체결부(643)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에는 슬라이드 체결부(64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 바(647)는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와 동일한 운동을 한다. 즉, 상기 이송바디(621)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가 상기 하우징(61) 내부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작동 바(647)는 상기 레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이송바디(621)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가 상기 하우징(61)에서 인출되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작동 바(647)는 상기 레버 바디(421)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이동할 것이다.
상기 작동 바(647)의 직선왕복운동은 변환부를 통해 상기 레버 바디(421)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된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작동 바(647)가 상기 레버 바디(42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자력발생부(45)와 자력감지부(46) 사이의 간격이 상기 기준거리 이하가 되게 하고, 상기 작동 바(647)가 상기 레버 바디(421)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자력발생부(45)와 자력감지부(46) 사이의 간격이 상기 기준거리보다 길어지게 하는 수단이다.
도 3은 상기 변환부(66)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변환부(66)는 상기 레버 바디(421)에 구비된 레버 경사면(663), 및 상기 작동 바(647)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 경사면(663)에 접촉하는 바 경사면(66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 경사면(663)은 상기 작동 바(647)를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바 경사면(665)은 상기 레버 바디(421)를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115)에 제2처리장치(2)가 위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는 슬라이드 스프링(645)을 통해 상기 하우징(61)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작동 바(647)는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에 의해 상기 레버 바디(421)가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115)에 제2처리장치(2)가 안착하지 않은 경우, 상기 레버 바디(421)의 자유단은 상기 드로워 바디(131)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할 것고, 이로 인해 상기 자력발생부(45)와 자력감지부(46) 사이의 간격은 상기 기준거리보다 긴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작동부(6)에는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 상기 이송바디(621)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슬라이드 가이드, 및 이송부 가이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 바디(611)에 상기 슬라이딩 바디의 이동경로에 평행하게 구비된(제1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1돌기(681),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돌기가 수용되는 제1돌기 수용홈(68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 바디(611)에 상기 이송바디의 이동경로에 평행하게 구비된(제1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2돌기(691), 상기 이송바디(621)에 구비되어 상기 제2돌기가 수용되는 제2돌기 수용홈(69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통합감지부(4, 6)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115)에 제2처리장치(2) 등의 물체가 안착되지 않으면, 상기 이송바디(621)에는 외력이 입력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슬라이딩 바디(641) 및 상기 작동 바(647)는 상기 슬라이드 스프링(645)에 의해 상기 레버 바디(421)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가압될 것이다.
상기 작동 바(647)가 레버 바디(421)를 향해 가압되면, 상기 레버 바디(421)의 자유단은 상기 레버 경사면(663) 및 바 경사면(665)의 형상 때문에 상기 드로워 바디(131)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하게 될 것이다.
즉,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115)에 제2처리장치(2)와 같은 물체가 안착되지 않으면, 상기 드로워 바디(131)가 기준위치(P)까지 이동했더라도 상기 자력발생부(45)와 자력감지부(46) 사이의 거리(L2)는 기준거리보다 긴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도 7 참고). 따라서, 상기 자력감지부(46)는 자력발생부(45)가 기준거리 이내에 있을 때 감지되는 기준세기보다 작은 세기의 자력을 감지할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115)에 제2처리장치(2)가 안착되면, 상기 이송바디(621)는 제2처리장치에 구비된 가압부(217)에 의해 상기 제1캐비닛(11) 내부를 향해 이동한다. 상기 이송바디(621)가 제1캐비닛(11) 내부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딩 바디(641)와 상기 작동 바(647)는 상기 이송돌기(623)와 상기 이송홈(625)에 의해 상기 레버 바디(42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드 스프링(645)는 하우징 바디(611) 내부에서 압축된다.
상기 작동 바(647)가 레버 바디(4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레버 경사면(663)과 바 경사면(665)의 형상때문에 상기 레버 바디(421)의 자유단은 상기 드로워 바디(131)의 상부면을 향해 이동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력발생부(45)와 자력감지부(46) 사이의 거리는 상기 기준거리(L1)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자력감지부(46)는 상기 기준세기의 자력을 감지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도어(153)가 제1투입구(15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레버 바디(421)는 상기 드로워 바디(131)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 바디(131)가 기준위치(P)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153)가 제1투입구(151)를 개방하면, 상기 제1도어(153)는 상기 절곡부(429)를 가압하여 상기 레버 바디(421)의 자유단을 드로워 바디(131)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될 될 것이다.
상기 제1캐비닛(11) 내부에서 제1도어(153)가 열리면, 상기 드로워 바디(131)는 상기 제1캐비닛(11)에서 인출되지 못할 위험이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131)가 제1캐비닛(11)에서 인출될 때 상기 제1도어(153)가 상기 출입구(113)에 간섭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드로워 바디(131)가 제1도어(153) 때문에 제1캐비닛에서 인출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베이스(41)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153)가 상기 출입구(113)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 가압부(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가압부(7)는 상기 베이스(4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로 구비되는데, 도 10은 상기 롤러가 상기 베이스(41)의 전방에 구비된 제1롤러(71) 및 상기 베이스(41)의 후방에 구비된 제2롤러(7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115)에서 상기 각 롤러(73, 75)의 최하단까지의 거리(L3)는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115)에서 상기 출입구(113)의 가장자리(L4, 출입구의 가장자리 중 드로워 바디의 상부면에 평행한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설정되어야 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에서 상기 제1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자력감지부(46)가 기준세기 이상의 자력을 감지했다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드로워 바디(131)는 기준위치(P)까지 이동했고, 제1캐비닛의 상부면(115)에 제2처리장치(2)가 안착했으며, 상기 제1도어(153)는 제1투입구(151)를 폐쇄한 상태라고 인식한다. 따라서, 제1제어부는 제1컨트롤패널(135)의 입력부로 사용자의 요청이 입력되면, 제1구동부, 제1밸브(156), 제1펌프(157)를 제어하여 의류의 세탁을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자력감지부(46)가 기준세기보다 작은 세기의 자력을 감지했다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제1제어부는 제1컨트롤패널(135)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상기 자력감지부(46)가 기준세기보다 작은 세기의 자력을 감지했다는 것은, 상기 드로워 바디(131)가 기준위치까지 이동하지 않은 상태,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115)에 제2처리장치(2)가 안착하지 않은 상태, 제1캐비닛 내부에서 상기 제1도어(153)가 열린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상기 에러 메시지는 문자 또는 소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자력발생부와 하나의 자력감지부만으로 3가지 상태를 감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제1처리장치 11: 제1캐비닛
113: 출입구 115: 상부면 13: 드로워
131: 드로워 바디 133: 드로워 패널 135: 제1컨트롤패널
15: 제1터브 151: 제1투입구 153: 제1도어
17: 제1드럼 171: 제1드럼 투입구 2: 제2처리장치
21: 제2캐비닛 211: 프론트 패널 212: 제2컨트롤패널
213: 제2투입구 214: 제2도어 217: 가압부
23: 제2터브 24: 제2드럼 4: 신호발생부
41: 베이스 411: 베이스 제1관통홀 413: 베이스 제2관통홀
415: 축 수용부 417: 레버 지지부 419: 가이드 홈
42: 레버 421: 레버 바디 423: 레버 회전축
425: 수용부 427: 레버 가이드 429: 절곡부
43: 레버 스프링 431: 커버 45: 자력발생부
46: 자력감지부 6: 레버 작동부 61: 하우징
615: 하우징 제1관통홀 617: 하우징 제2관통홀 62: 이송부
621: 이송바디 623: 이송돌기 625: 이송홈
64: 슬라이드 641: 슬라이딩 바디 643: 바 체결부
645: 슬라이드 스프링 647: 작동 바 649: 슬라이드 체결부
66: 변환부 661: 작동바디 663: 레버 경사면
665: 바 경사면 7: 도어 가압부

Claims (13)

  1. 물체가 안착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상부면 및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출입구가 형성된 전방면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으로 의류를 유입시키는 투입구;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단 및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과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는 자유단이 구비된 레버;
    상기 레버의 자유단과 상기 드로워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부;
    상기 레버의 자유단과 상기 드로워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드로워가 기준위치까지 상기 캐비닛에 삽입되면 상기 자력발생부가 제공하는 자력을 감지 가능한 자력감지부;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 물체가 안착하면 상기 레버의 자유단을 상기 드로워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자력발생부와 상기 자력감지부 사이의 거리를 기준거리 이하로 유지시키고,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 물체가 안착하지 않으면 상기 레버의 자유단을 상기 드로워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자력발생부와 상기 자력감지부 사이의 거리가 상기 기준거리보다 길어지게 하는 레버 작동부;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 또는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레버의 자유단을 상기 드로워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자력발생부와 상기 자력감지부 사이의 거리를 상기 기준거리보다 길어지게 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자력감지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받도록 구비되고, 상기 자력발생부와 상기 자력감지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기준거리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작동부는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 안착하는 물체에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물체가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 안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이송부; 및
    상기 물체가 상기 이송부에 접촉하면 상기 레버의 자유단을 상기 드로워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물체가 상기 이송부에 접촉하지 않으면 상기 레버의 자유단을 상기 드로워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 안착하면 상기 물체의 하중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물체가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서 제거되면 상기 슬라이드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이송바디;
    상기 이송바디와 상기 슬라이드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이송돌기; 및
    상기 이송바디와 상기 슬라이드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이송바디가 상기 슬라이드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드를 상기 레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물체가 상기 이송바디를 가압하면 상기 레버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물체가 상기 이송바디를 가압하지 않으면 상기 레버를 향해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디;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 바디에 고정되어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작동 바;
    상기 작동 바의 직선왕복운동을 상기 레버 자유단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작동 바가 상기 레버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자력발생부와 상기 자력감지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기준거리 이하가 되게 하고, 상기 작동 바가 상기 레버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자력발생부와 상기 자력감지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기준거리보다 길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레버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 바를 향할수록 상향 경사진 레버 경사면;
    상기 작동 바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 경사면에 접촉하며, 상기 레버를 향할수록 하향 경사진 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딩 바디를 상기 레버가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슬라이드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바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슬라이드 가이드;
    상기 이송바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이송부 가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체결단과 상기 자유단이 구비된 바 형상의 레버 바디;
    상기 체결단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 바디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레버 회전축;
    상기 자유단에 구비되어 상기 자력발생부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레버 바디에서 상기 도어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도어에 접촉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투입구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레버가 지지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절곡부를 상기 베이스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베이스 제1관통홀;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를 상기 베이스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베이스 제2관통홀; 및
    상기 절곡부를 상기 베이스 제1관통홀이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레버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될 때 상기 도어가 상기 출입구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서 상기 롤러의 최하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서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 평행한 상기 출입구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서 돌출된 레버 가이드;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 가이드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80127531A 2018-10-24 2018-10-24 의류처리장치 KR20200046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531A KR20200046411A (ko) 2018-10-24 2018-10-24 의류처리장치
EP23190165.3A EP4290003A3 (en) 2018-10-24 2019-10-11 Laundry treating apparatus
PCT/KR2019/013351 WO2020085695A1 (en) 2018-10-24 2019-10-11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19877158.6A EP3870748B1 (en) 2018-10-24 2019-10-11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7/309,051 US11920273B2 (en) 2018-10-24 2019-10-11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8/433,062 US20240175188A1 (en) 2018-10-24 2024-02-05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531A KR20200046411A (ko) 2018-10-24 2018-10-2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411A true KR20200046411A (ko) 2020-05-07

Family

ID=7033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531A KR20200046411A (ko) 2018-10-24 2018-10-2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920273B2 (ko)
EP (2) EP4290003A3 (ko)
KR (1) KR20200046411A (ko)
WO (1) WO202008569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85156A1 (en) * 2020-10-15 2022-04-2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23158202A1 (ko) * 2022-02-18 2023-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107B1 (ko) 2018-12-07 202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769A (ko) 2020-10-15 2022-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060280A1 (it) * 2006-04-13 2007-10-14 Indesit Co Spa Macchina lavabiancheria con dispensatore di agenti di lavaggio
JP2014012058A (ja) * 2012-07-04 2014-01-23 Panasonic Corp 洗濯機の蓋開閉検知装置
ITRM20120492A1 (it) * 2012-10-16 2014-04-17 Bitron Spa Dispositivo blocco-porta.
KR102329115B1 (ko) * 2014-05-30 2021-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401639B1 (ko) * 2015-06-30 202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70002889A (ko) *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70002891A (ko) *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85156A1 (en) * 2020-10-15 2022-04-2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14427158A (zh) * 2020-10-15 2022-05-03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4427158B (zh) * 2020-10-15 2023-10-03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WO2023158202A1 (ko) * 2022-02-18 2023-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70748B1 (en) 2023-09-06
EP3870748A4 (en) 2022-08-10
EP3870748A1 (en) 2021-09-01
EP4290003A2 (en) 2023-12-13
WO2020085695A1 (en) 2020-04-30
US11920273B2 (en) 2024-03-05
US20220034017A1 (en) 2022-02-03
US20240175188A1 (en) 2024-05-30
EP4290003A3 (en) 202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641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56284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2911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6010629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2764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28185A (ko) 의류처리장치
US20220120008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284362B1 (ko) 의류 건조장치
KR10238167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82579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60106293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608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875A (ko) 의류처리장치
KR101598522B1 (ko) 세탁장치
KR2023006566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14141A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113012A (ko) 의류처리장치
KR20160041885A (ko) 세탁장치
KR20140120678A (ko) 의류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