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215U -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215U
KR20220000215U KR2020200002565U KR20200002565U KR20220000215U KR 20220000215 U KR20220000215 U KR 20220000215U KR 2020200002565 U KR2020200002565 U KR 2020200002565U KR 20200002565 U KR20200002565 U KR 20200002565U KR 20220000215 U KR20220000215 U KR 202200002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shaft
bracket
fasten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치
Priority to KR2020200002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215U/ko
Publication of KR202200002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2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85Anchoring devices with stopp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by clamping or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안전벨트를 와인딩하여 차량과 차량용 안전시트의 고정을 강화할 수 있는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안전벨트가 측면에 형성된 끼움공에 끼워진 후,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안전벨트를 권취하는 샤프트; 샤프트의 관통이 이루어지며, 안전벨트가 끼움공에 끼워지도록 안전벨트를 내부로 인입시키는 브래킷; 브래킷의 투입이 이루어지며, 안전벨트가 끼움공에 끼워지도록 안전벨트를 내부로 인입시키는 커버; 브래킷을 관통하지 않는 샤프트의 일단이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샤프트의 일단을 감싸며, 벨트와 연결되어 제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래칫; 샤프트의 일단과 체결되며, 외력이 가해질 때 래칫에 제1 방향으로의 동력을 제공하는 벨트가 내부에 수용되는 핸들; 및 브래킷의 상측에 체결되며,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동안 래칫과의 치합을 해제시켜 샤프트, 래칫 및 핸들이 제2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안전벨트가 샤프트로부터 권출되도록 하는 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Winding device of seat belt}
본 고안은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안전벨트를 와인딩하여 차량과 차량용 안전시트의 고정을 강화할 수 있는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고속으로 주행하는 수송수단으로서 고속 주행중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그 충격은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 전원에게 가해지며 작게는 가벼운 찰과성에서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게 될 수 있다.
특히, 성인보다 유아 또는 어린이의 경우 경미한 사고라도 성인이 받는 충격보다 더 큰 충격을 받을 수 있고, 그 피해 또한 더 클 수 있는 바, 최근 유아용 안전시트를 기존 차량 시트 위에 별도로 설치하여 유아가 벨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충격 발생시 유아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대한으로 감소시키고자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유아용 안전시트의 경우, 차량의 안전벨트로 고정시키거나 유아용 안전시트에 구비된 별도의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에 고정되고 있으나, 상기 방식은 안전벨트가 유아용 안전시트를 최대한 권취시키지 못하여 차량과 유아용 안전시트의 고정 구조가 약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0217호(이하, 선행기술 1)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2542호(이하, 선행기술 2)
선행기술 1은 와이어를 감싸서 승객으로 하여금 탑승시 와이어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유아용 카 시트의 ISOFIX 체결부와 와이어 간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슬라이딩 방식의 프론트 커버를 사용하여 체결부의 삽입부만으로도 와이어와의 체결이 가능하게 하는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 2는 차량에 기 설치된 차량용 안전벨트의 흉부 및 복부벨트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한 어린이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 및 2는 안전벨트를 최대한 권취시키기 위한 고정장치가 유아용 안전시트으로부터 착탈 불가능하게 고정 배치됨에 따라, 고정장치를 해당 유아용 안전시트에서만 사용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 1 및 2는 차량의 안전벨트를 2점식 및 3점식으로 혼용하여 적용하기 어려우므로, 안전벨트의 종류에 따라 유아용 안전시트의 고정이 완전하지 못하여 유아의 안전이 유아용 안전시트에 의해 확실하게 보장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0217호(2014. 12. 01.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2542호(2014. 04. 01. 등록)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아 또는 어린이를 위한 차량용 안전시트로부터 착탈 가능하면서 차량의 안전벨트를 와인딩하여 차량과 차량용 안전시트의 고정을 강화할 수 있는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차량의 안전벨트 종류와 관계없이 안전벨트의 와인딩이 가능하여 다양한 차량용 안전시트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안전벨트가 측면에 형성된 끼움공에 끼워진 후,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안전벨트를 권취하는 샤프트; 샤프트의 관통이 이루어지며, 안전벨트가 끼움공에 끼워지도록 안전벨트를 내부로 인입시키는 브래킷; 브래킷의 투입이 이루어지며, 안전벨트가 끼움공에 끼워지도록 안전벨트를 내부로 인입시키는 커버; 브래킷을 관통하지 않는 샤프트의 일단이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샤프트의 일단을 감싸며, 벨트와 연결되어 제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래칫; 샤프트의 일단과 체결되며, 외력이 가해질 때 래칫에 제1 방향으로의 동력을 제공하는 벨트가 내부에 수용되는 핸들; 및 브래킷의 상측에 체결되며,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동안 래칫과의 치합을 해제시켜 샤프트, 래칫 및 핸들이 제2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안전벨트가 샤프트로부터 권출되도록 하는 권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샤프트는, 끼움공이 측면에 형성되는 샤프트 본체; 및 핸들과의 체결을 위한 제2 스크류볼트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샤프트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한다.
그리고 끼움공은, 안전벨트가 끼워지는 수직 구간 및 안전벨트가 수직 구간으로 투입되도록 수직 구간으로부터 샤프트 본체의 측면 끝단을 향해 굴곡지게 연장형성되는 굴곡 구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브래킷은, 브래킷 본체;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브래킷 본체의 상,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공; 안전벨트가 내부에 인입되도록 브래킷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인입공; 및 권출부과의 체결을 위한 리벳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브래킷 본체의 상측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한다.
그리고 인입공은, 끼움공과 평행한 수직 구간 및 수직 구간으로부터 브래킷 본체의 측면 끝단을 향해 굴곡지게 연장형성되는 굴곡 구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커버는, 커버 본체; 브래킷이 투입되도록 커버 본체의 상측에 형성되는 가이드공; 안전벨트가 내부에 인입되도록 커버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인입공; 및 브래킷과의 체결을 위한 제1 스크류볼트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커버 본체의 하측에 복수로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한다.
그리고 인입공은, 끼움공과 평행한 수직 구간 및 수직 구간으로부터 커버 본체의 측면 끝단을 향해 굴곡지게 연장형성되는 굴곡 구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핸들은, 외력이 가해지며, 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핸들 본체; 및 샤프트와의 체결을 위한 제2 스크류볼트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핸들 본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한다.
그리고 권출부는, 중심부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래칫과 치합되도록 일부가 절곡형성되는 권출부 본체; 권출부 본체와 브래킷 상측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체결공을 관통하는 리벳; 권출부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손잡이; 및 권출부 본체의 타측에 형성된 장착공에 장착되며, 손잡이가 외력에 의해 가압될 때 탄성에 의한 변형이 이루어져 권출부 본체와 래칫의 치합이 해제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는, 브래킷과 커버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제1 스크류볼트; 샤프트와 핸들의 체결을 위한 제2 스크류볼트; 및 브래킷을 관통하는 샤프트의 타단을 감싸 샤프트가 브래킷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E-링;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의 안전벨트를 최대한 권취시켜 차량과 차량용 안전시트의 고정을 강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다양한 차량용 안전벨트에 적용 가능하여 차량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된 차량용 안전벨트의 고정을 강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의 안전벨트의 종류와 관계없이 안전벨트의 와인딩이 가능하여 다양한 방식의 안전벨트와 차량용 안전시트의 고정을 강화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의 내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권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차량용 안전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차량용 안전시트의 헤드부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차량용 안전시트의 접이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벨트의 종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로 NLR 벨트를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로 2점식 수동벨트를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의 구성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1)는 차량의 안전벨트를 와인딩하여 차량과 차량용 안전시트(100)의 고정을 강화하기 위해 샤프트(10), 브래킷(20), 커버(30), 래칫(40), 핸들(50), 권출부(60), 제1 스크류볼트(70), 제2 스크류볼트(80) 및 E-링(9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샤프트(10)는 샤프트 본체(11), 끼움공(12) 및 체결공(13)으로 이루어진다.
샤프트 본체(11)는 샤프트(10)의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으로서 끼움공(12)이 측면, 체결공(13)이 일단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샤프트 본체(11)는 끼움공(12)에 안전벨트가 끼워진 후, 핸들(50)에 가해지는 외력을 통해 안전벨트의 권취를 위한 제1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래칫(40)과 권출부 본체(61)의 치합 해제를 통해 안전벨트의 권출을 위한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끼움공(12)은 샤프트 본체(11)의 제1, 2 방향 회전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안전벨트의 와인딩(권출 또는 권출)이 이루어지며, 안전벨트의 와인딩을 위해 굴곡 구간(12) 및 수직 구간(12)을 포함한다.
굴곡 구간(12a)은 안전벨트가 수직 구간(12b)으로 투입되도록 하기 위해 수직 구간(12b)으로부터 샤프트 본체(11)의 측면 끝단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구간이다.
수직 구간(12b)은 굴곡 구간(12a)의 일측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굴곡 구간(12a)을 따라 투입되는 안전벨트의 끼움이 이루어지는 구간이다.
체결공(13)은 샤프트 본체(11)와 핸들 본체(51)를 체결하기 위한 제2 스크류볼트(80)의 삽입이 이루어진다.
브래킷(20)은 브래킷 본체(21), 상측 가이드공(22), 하측 가이드공(23), 인입공(24) 및 체결공(25)으로 이루어진다.
브래킷 본체(21)는 브래킷(20)의 외형을 이루면서 동시에 샤프트(10)의 관통이 이루어지는 프레임으로서 상측 가이드공(22)이 상측, 하측 가이드공(23)이 하측, 인입공(24)이 측면 및 체결공(25)이 상측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브래킷 본체(21)는 커버 본체(31)와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제1 스크류볼트(70)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체결공(미도시)이 하측에 형성된다.
상, 하측 가이드공(22, 23)은 샤프트 본체(11)가 브래킷 본체(21)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샤프트 본체(11)의 관통이 이루어진다.
인입공(24)은 안전벨트의 투입 및 끼움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굴곡 구간(24a) 및 수직 구간(24b)을 포함한다.
굴곡 구간(24a)은 안전벨트가 브래킷 본체(21)의 내부에 투입되도록 하기 위해 수직 구간(24b)으로부터 브래킷 본체(21)의 측면 끝단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구간이다.
또한, 굴곡 구간(24a)은 샤프트 본체(11)가 브래킷 본체(21)의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 끼움공(12)의 굴곡 구간(12a)과 평행하게 되어 안전벨트가 끼움공(12)의 굴곡 구간(12a)에 투입되도록 유도한다.
수직 구간(24b)은 굴곡 구간(24a)의 일측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굴곡 구간(24a)을 따라 투입되는 안전벨트의 끼움이 이루어지는 구간이다.
또한, 수직 구간(24b)은 샤프트 본체(11)가 브래킷 본체(21)의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 끼움공(12)의 수직 구간(12b)과 평행하게 되어 안전벨트가 끼움공(12)의 수직 구간(12b)에 끼워지도록 유도한다.
체결공(25)은 브래킷 본체(21)와 권출부 본체(61)를 체결하기 위한 리벳(63)의 삽입이 이루어진다.
커버(30)는 커버 본체(31), 가이드공(32), 인입공(33) 및 체결공(34)으로 이루어진다.
커버 본체(31)는 커버(30)의 외형을 이루면서 동시에 브래킷(20)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프레임으로서 가이드공(32)이 상측, 인입공(33)이 측면 및 체결공(34)이 하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 본체(31)는 브래킷 본체(21)의 하측 가이드공(23)을 관통 샤프트 본체(11)의 타단 및 상기 샤프트 본체(11)의 타단을 감싸는 E-링(90)의 수용을 위해 하부의 중심부가 돌출되어 수용공간(31a)을 형성한다.
가이드공(32)은 브래킷 본체(21)가 커버 본체(31)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브래킷 본체(21)의 투입이 이루어진다.
인입공(33)은 안전벨트의 투입 및 끼움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굴곡 구간(33a) 및 수직 구간(33b)을 포함한다.
굴곡 구간(33a)은 안전벨트가 커버 본체(31)의 내부에 투입되도록 하기 위해 수직 구간(33b)으로부터 커버 본체(31)의 측면 끝단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구간이다.
또한, 굴곡 구간(33a)은 샤프트 본체(11) 및 브래킷 본체(21)가 커버 본체(31)의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 끼움공(12)의 굴곡 구간(12a) 및 인입공(24)의 굴곡 구간(24a)과 평행하게 되어 안전벨트가 끼움공(12)의 굴곡 구간(12a) 및 인입공(24)의 굴곡 구간(24a)에 투입되도록 유도한다.
수직 구간(33b)은 굴곡 구간(33a)의 일측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굴곡 구간(33a)을 따라 투입되는 안전벨트의 끼움이 이루어지는 구간이다.
또한, 수직 구간(33b)은 샤프트 본체(11) 및 브래킷 본체(21)가 커버 본체(31)의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 끼움공(12)의 수직 구간(12b) 및 인입공(24)의 수직 구간(24b)과 평행하게 되어 안전벨트가 끼움공(12)의 수직 구간(12b) 및 인입공(24)의 수직 구간(24b)에 끼워지도록 유도한다.
체결공(34)은 브래킷 본체(11)의 하측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미도시)과 평행하게 될 때 제1 스크류볼트(70)가 삽입되어 브래킷 본체(21)와 커버 본체(31)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더 나아가, 체결공(34)은 제1 스크류볼트(70)이 복수로 구비됨에 따라, 커버 본체(31)의 하측에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칫(40)은 상측 가이드공(22)을 관통하지 않는 샤프트 본체(11)의 일단이 가이드공(40a)을 관통할 때 샤프트 본체(11)의 일단을 감싸며, 벨트(미도시)로부터 제공받는 동력을 이용하여 제1 방향으로 회전되기 위해 벨트(미도시)와 연결된다.
또한, 래칫(40)은 핸들 본체(51)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될 때 벨트(미도시)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된 후, 손잡이(64)에 의해 권출부 본체(61)와의 치합이 해제될 때 제2 방향으로 회전된다.
핸들(50)은 핸들 본체(51) 및 체결공(52)으로 이루어지며,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래칫(40)에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벨트(미도시)가 구비된다.
핸들 본체(51)는 래칫(40)과 연결되는 벨트(미도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51a)이 내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핸들 본체(51)는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 가능한 영역을 포함하여 사용자로부터 파지될 시 외력이 가해질 때 제1 방향으로 회전된 후, 래칫(40)과 권출부 본체(61)의 치합이 해제될 때 제2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핸들 본체(51)는 제2 스크류볼트(80)를 통해 샤프트 본체(11)의 일단과 체결되면서 래칫(40)과 연결됨에 따라, 외력이 가해질 때 샤프트 본체(11) 및 래칫(40)이 핸들 본체(51)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체결공(52)은 샤프트 본체(11)의 일단에 형성된 체결공(13)과 평행하게 될 때 제2 스크류볼트(80)가 삽입되어 샤프트 본체(11)와 핸들 본체(51)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권출부(60)는 권출부 본체(61), 체결공(62), 리벳(63), 손잡이(64) 및 장착공(65)으로 이루어지며,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래칫(40)과 권출부 본체(61)의 치합을 해제시키기 위한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된다.
권출부 본체(61)는 체결공(62)이 중심부에 형성되며, 손잡이(64)가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장착공(65)이 타측에 형성된다.
또한, 권출부 본체(61)는 사용자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동안 래칫(40)의 제2 방향 회전을 차단하기 위해 절곡형성되는 일부(61a)가 래칫(40)과 치합된다.
이러한 권출부 본체(61)의 일부(61a)는 손잡이(64)에 외력이 가해질 때, 래칫(40)과의 치합이 해제된다.
체결공(62)은 리벳(63)의 삽입이 이루어지며, 브래킷 본체(21)의 상측에 형성된 체결공(25)과 평행하게 될 때 리벳(63)의 삽입이 이루어지면 브래킷 본체(21)와 권출부 본체(61)가 체결되도록 한다.
리벳(63)은 브래킷 본체(21)와 권출부 본체(61)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체결공(25, 62)을 관통한다.
손잡이(64)는 사용자의 손으로 가압 가능한 영역을 포함하여 사용자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며,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을 통해 스프링(미도시)의 변형을 발생시켜 래칫(40)과 권출부 본체(61)의 치합이 해제되도록 한다.
장착공(65)은 스프링(미도시)의 장착을 위해 권출부 본체(61)의 타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스프링(미도시)은 수용공간(51a)에 수용되고, 손잡이(64)가 사용자의 외력을 통해 가압될 시 탄성에 의한 변형이 이루어져 래칫(40)과 권출부 본체(61)의 치합을 해제시켜 제1 방향으로 회전되었던 샤프트 본체(11), 래칫(40) 및 핸들 본체(51)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샤프트 본체(11)에 권취되었던 안전벨트가 샤프트 본체(11)로부터 권출되도록 한다.
제1 스크류볼트(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로 구비되되, 브래킷 본체(21)의 하측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미도시)와 커버 본체(31)의 하측에 형성된 체결공(34)을 관통하여 브래킷 본체(21)와 커버 본체(31)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 스크류볼트(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 본체(11)의 일단에 형성된 체결공(13)과 핸들 본체(51)의 중심부에 형성된 체결공(52)을 관통하여 샤프트 본체(11)와 핸들 본체(51)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E-링(90)은 브래킷 본체(21)의 하측에 형성된 하측 가이드공(23)을 관통하는 샤프트 본체(11)의 타단을 감싸 샤프트 본체(11)가 브래킷 본체(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본 발명의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1)는 차량과 차량용 안전시트(100)의 고정을 강화하기 위한 장치이며, 차량용 안전시트(100)의 실시예는 이하와 같다.
차량용 안전시트의 구성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1)에 의해 차량과의 고정이 강화되는 차량용 안전시트(100)의 일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용 안전시트(100)는 헤드부(110), 등받이부(120), 착석체부(130) 및 몸통 날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헤드부(110)는 등받이부(120)의 일단에 연결되고, 충돌시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10)는 헤드 지지부(111), 헤드 날개부(113), 날개 힌지부(112) 및 헤드 힌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지지부(111)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헤드 지지부(111)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 힌지부(114)를 이용하여 등받이부(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날개 힌지부(112)는 헤드 지지부(111)를 기준으로 복수의 헤드 날개부(113)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헤드 날개부(113)는 차량의 충돌시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헤드 지지부(111)의 양 측면에 돌출하여 구비되는 날개 형상의 구조물이다.
이러한 헤드 날개부(113)는 차량용 안전시트(100)가 차량과 분리되는 경우, 복수의 날개 힌지부(112)를 이용하여 헤드 지지부(111)의 바깥 방향으로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다.
더 나아가, 헤드 날개부(113)는 헤드 지지부(11)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2개의 헤드 날개부(113a, 113b)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날개 힌지부(112)는 2개의 날개 힌지부(112a, 112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 힌지부(114)는 등받이부(120)를 기준으로 헤드 지지부(111)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등받이부(120)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등 부분이 안착되는 영역이다.
착석체부(130)는 등받이부(120)의 타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할 수 있으며, 착석체 힌지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착석체부(130)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착석체를 별도로 두고, 적어도 하나의 착석체 힌지부(131)를 이용하여 등받이부(120)를 기준으로 착석체가 회전하여 접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착석체 힌지부(131)와 헤드 힌지부(114)는 회전을 통해 차량용 안전시트(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착석체는 적어도 하나의 착석체 힌지부(131)에 의해 등받이부(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즉, 차량용 안전시트(100)는 복수의 헤드 날개부(113)가 평평하게 펼쳐지고, 해당 헤드 지지부(111)가 등받이부(120)를 향하도록 접히며, 착석체가 등받이부(120)를 향하도록 접힘으로써, 전체 부피가 감소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차량용 안전시트(100)를 손쉽게 보관할 수 있다.
몸통 날개부(140)는 등받이부(12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차량의 충돌시 사용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몸통 날개부(140)는 차량에 구비된 안전벨트가 관통하여 2점식 및 3점식 중 적어도 하나로 고정되도록 하는 관통공(미도시)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공(미도시)은 안전벨트를 2점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안전벨트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영역의 2점식 관통공과 안전벨트를 3점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안전벨트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영역의 3점식 관통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100)는 차량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는 유아용 안전시트이며,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100)를 고정하기 위한 안전벨트의 실시예는 이하와 같다.
안전벨트의 구성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1)에 의해 와인딩되며, 차량용 안전시트(100)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안전벨트의 일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1)에 와인딩되는 안전벨트는 NLR(Non Locking Retractor) 벨트, ALR(Automatic Locking Retractor) 벨트 및 ELR(Emergency Locking Retractor) 벨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a)에 도시된 NLR 벨트는 LOCKING 기능이 없는 것으로 잠김 기능이 없기 때문에 웨빙을 전량 인출하여 별도의 길이 조절구 사용으로 탑승객 신체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며, 2점식에서만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의 (b)에 도시된 ALR 벨트는 자동잠김 기능이 있어 SEAT BELT를 인출하여 잠긴 후에는 더 이상 인출되지 않고 잠김 해제시 원위치로 되돌아가는 방식이며, 2점식 및 3점식에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의 (c)에 도시된 ELR 벨트는 웨빙 인지 방식에서 웨빙이 인출되는 속도에 따라 LOCKING되고, 차량 인지 방식에서 차량의 기울기 또는 가속도에 따라 LOCKING되며, 이중 인지 방식에서 웨빙과 차량 인지를 모두 이용하여 LOCKING될 수 있다. 이러한 ELR 벨트는 주로 3점식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안전벨트는 상기 NLR 벨트, ALR 벨트 및 ELR 벨트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2점식 수동벨트 및 2점식 자동벨트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안전벨트는 차량용 안전시트(100)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1)가 상기 안전벨트의 와인딩을 통해 차량용 안전시트(10)의 고정을 강화하는 과정은 이하의 실시예와 같다.
실시예 1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차량의 안전벨트 중 하나인 NLR 벨트의 와인딩을 통해 차량과 차량용 안전시트(100)의 고정을 강화하는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NLR 벨트는 최대한 권취되지 않은 상태로 차량용 안전시트(100)와 고정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00)와의 고정이 불안정할 수 있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1)를 몸통 날개부(140)의 측면과 근접하게 위치시킨 후,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1)의 인입공(24, 34)에 NLR 벨트를 인입시켜 끼움공(12)에 끼우며, 핸들 본체(51)에 외력을 가해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켜 샤프트 본체(11) 및 래치(40)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NLR 벨트를 샤프트 본체(11)에 권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1)는 절곡 구간(12a, 24a, 34a)이 샤프트 본체(11), 브래킷 본체(21) 및 커버 본체(31)의 측면 끝단을 관통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NLR 벨트의 끼움 및 인입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2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핸들 본체(12)를 계속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켜 NLR 벨트를 최대한 권취시켜 차량과 차량용 안전시트(100)의 고정을 강화할 수 있다.
이때,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1)는 NLR 벨트를 최대한 권취하기 때문에, 몸통 날개부(140)의 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1)를 몸통 날개부(140)의 측면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NLR 벨트의 권취가 가능한 위치라면 그 위치를 한정하지 아니한다.
실시예 2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차량의 안전벨트 중 하나인 2점식 수동벨트의 와인딩을 통해 차량과 차량용 안전시트(100)의 고정을 강화하는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2점식 수동벨트는 최대한 권취되지 않은 상태로 차량용 안전시트(100)와 고정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00)와의 고정이 불안정할 수 있다.
도 13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1)를 몸통 날개부(140)의 측면과 근접하게 위치시킨 후,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1)의 인입공(24, 34)에 2점식 수동벨트를 인입시켜 끼움공(12)에 끼우며, 핸들 본체(51)에 외력을 가해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켜 샤프트 본체(11) 및 래치(40)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2점식 수동벨트를 샤프트 본체(11)에 권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1)는 절곡 구간(12a, 24a, 34a)이 샤프트 본체(11), 브래킷 본체(21) 및 커버 본체(31)의 측면 끝단을 관통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2점식 수동벨트의 끼움 및 인입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3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핸들 본체(12)를 계속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켜 2점식 수동벨트를 최대한 권취시켜 차량과 차량용 안전시트(100)의 고정을 강화할 수 있다.
이때,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1)는 2점식 수동벨트를 최대한 권취하기 때문에, 몸통 날개부(140)의 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1)를 몸통 날개부(140)의 측면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2점식 수동벨트의 권취가 가능한 위치라면 그 위치를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고안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고안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고안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 10: 샤프트,
11: 샤프트 본체, 12: 끼움공,
12a: 굴곡 구간, 12b: 수직 구간,
13: 체결공, 20: 브래킷,
21: 브래킷 본체, 22: 상측 가이드공,
23: 하측 가이드공, 24: 인입공,
24a: 굴곡 구간, 24b: 수직 구간,
25: 체결공, 30: 커버,
31: 커버 본체, 31a: 수용공간,
32: 가이드공, 33: 인입공,
33a: 굴곡 구간, 33b: 수직 구간,
34: 체결공, 40: 래칫,
40a: 가이드공, 50: 핸들,
51: 핸들 본체, 51a: 수용공간,
52: 체결공, 60: 권출부,
61: 권출부 본체, 61a: 권출부 본체의 일부,
62: 체결공, 63: 리벳,
64: 손잡이, 65: 장착공,
70: 제1 스크류볼트, 80: 제2 스크류볼트,
90: E-링.

Claims (10)

  1.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안전벨트가 측면에 형성된 끼움공에 끼워진 후,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상기 안전벨트를 권취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관통이 이루어지며, 상기 안전벨트가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도록 상기 안전벨트를 내부로 인입시키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투입이 이루어지며, 상기 안전벨트가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도록 상기 안전벨트를 내부로 인입시키는 커버;
    상기 브래킷을 관통하지 않는 상기 샤프트의 일단이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의 일단을 감싸며, 벨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래칫;
    상기 샤프트의 일단과 체결되며,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래칫에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동력을 제공하는 벨트가 내부에 수용되는 핸들; 및
    상기 브래킷의 상측에 체결되며,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동안 상기 래칫과의 치합을 해제시켜 상기 샤프트, 상기 래칫 및 상기 핸들이 제2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상기 안전벨트가 상기 샤프트로부터 권출되도록 하는 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끼움공이 측면에 형성되는 샤프트 본체; 및
    상기 핸들과의 체결을 위한 제2 스크류볼트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샤프트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공은,
    상기 안전벨트가 끼워지는 수직 구간 및 상기 안전벨트가 상기 수직 구간으로 투입되도록 상기 수직 구간으로부터 상기 샤프트 본체의 측면 끝단을 향해 굴곡지게 연장형성되는 굴곡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브래킷 본체;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상기 브래킷 본체의 상,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공;
    상기 안전벨트가 내부에 인입되도록 상기 브래킷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인입공; 및
    상기 권출부과의 체결을 위한 리벳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브래킷 본체의 상측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공은,
    상기 끼움공과 평행한 수직 구간 및 상기 수직 구간으로부터 상기 브래킷 본체의 측면 끝단을 향해 굴곡지게 연장형성되는 굴곡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커버 본체;
    상기 브래킷이 투입되도록 상기 커버 본체의 상측에 형성되는 가이드공;
    상기 안전벨트가 내부에 인입되도록 상기 커버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인입공; 및
    상기 브래킷과의 체결을 위한 제1 스크류볼트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커버 본체의 하측에 복수로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공은,
    상기 끼움공과 평행한 수직 구간 및 상기 수직 구간으로부터 상기 커버 본체의 측면 끝단을 향해 굴곡지게 연장형성되는 굴곡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외력이 가해지며, 상기 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핸들 본체; 및
    상기 샤프트와의 체결을 위한 제2 스크류볼트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핸들 본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출부는,
    중심부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래칫과 치합되도록 일부가 절곡형성되는 권출부 본체;
    상기 권출부 본체와 상기 브래킷 상측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는 리벳;
    상기 권출부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손잡이; 및
    상기 권출부 본체의 타측에 형성된 장착공에 장착되며, 상기 손잡이가 상기 외력에 의해 가압될 때 탄성에 의한 변형이 이루어져 상기 권출부 본체와 상기 래칫의 치합이 해제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는,
    상기 브래킷과 상기 커버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제1 스크류볼트;
    상기 샤프트와 상기 핸들의 체결을 위한 제2 스크류볼트; 및
    상기 브래킷을 관통하는 상기 샤프트의 타단을 감싸 상기 샤프트가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E-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
KR2020200002565U 2020-07-17 2020-07-17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 KR202200002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565U KR20220000215U (ko) 2020-07-17 2020-07-17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565U KR20220000215U (ko) 2020-07-17 2020-07-17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15U true KR20220000215U (ko) 2022-01-25

Family

ID=80048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565U KR20220000215U (ko) 2020-07-17 2020-07-17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215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542B1 (ko) 2013-08-20 2014-04-07 김정율 어린이용 시트벨트
KR101470217B1 (ko) 2013-10-17 2014-12-05 현대다이모스(주)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542B1 (ko) 2013-08-20 2014-04-07 김정율 어린이용 시트벨트
KR101470217B1 (ko) 2013-10-17 2014-12-05 현대다이모스(주)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8167B2 (en) Child safety seat
EP3718834B1 (en) Passenger restraint device
EP2703210B1 (en) Child seat with belt tensioning mechanism for improved installation
US10870408B2 (en) Airba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airbag cushion for an airbag device
US7748744B2 (en) Seat belt apparatus
DE102009052711B4 (de) Kraftfahrzeug-Sicherheitsrückhaltesystem
US6334628B1 (en) Ceiling retractable three point seat belt system
EP1619091B1 (en) Retractor
US7273191B2 (en) Low profile spline
JP5478995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3531704B2 (ja) ガイド席を有するバス
KR20220000215U (ko) 안전벨트 와인딩 장치
KR100520768B1 (ko) 자동차의 뒷좌석 강도 보강장치
CN217623223U (zh) 一种高强度汽车座椅调角器
KR100716516B1 (ko) 차량의 폴딩 시트쿠션용 세트브래킷장치
US8820831B2 (en) Safety bar for vehicles
CN115195659A (zh) 座椅安全带总成
US20060038392A1 (en) Roller D-ring for seat belt of vehicl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S5810668Y2 (ja) 自動車用パツシブシ−トベルト装置
JPH07323770A (ja)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用取付構造
KR100324959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의 구조
JP2002046511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100930949B1 (ko) 차량용 웨빙 가이드 장치
CN117043018A (zh) 具有计划变形的安全带紧固和引导板件
KR19990026211U (ko) 시트 벨트의 완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