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397A - 보호 도체 연결부 - Google Patents

보호 도체 연결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397A
KR20210123397A KR1020217028968A KR20217028968A KR20210123397A KR 20210123397 A KR20210123397 A KR 20210123397A KR 1020217028968 A KR1020217028968 A KR 1020217028968A KR 20217028968 A KR20217028968 A KR 20217028968A KR 20210123397 A KR20210123397 A KR 20210123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actuating element
protective conductor
plug
spr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8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나르트 슐레겔
플로리안 학케마이어
마리오 슈톨레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filed Critical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Publication of KR20210123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28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 H01R4/48365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with integral release means
    • H01R4/483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91Terminal block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lugs or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01R13/6583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28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 H01R4/4833Sliding arrangements, e.g. sliding button
    • H01R4/48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5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insertion of a wire only possible by pressing on the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6Busbar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1Spring details
    • H01R4/4816Spring details the spring shape preventing insertion of the conductor end when the spring is unbia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Spring housing detail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인 방향(S)으로 연장되고 플러그 커넥터의 절연체(6)의 벽(60)에 제공된 접지 요소(1)의 버스 바(11)에 보호 도체(5)를 연결하기 위한 보호 도체 연결부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접지 요소(1)는 벽(60)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영역(10), 메이팅 플러그 커넥터와의 전기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접촉 요소(15), 및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의 전기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접촉면을 가지며; 장착 영역(10)에는 스프링 요소(2) 및 작동 요소(3)가 제공되고, 이 작동 요소(3) 및 스프링 요소(2)는, 작동 요소(3)가 작동 중에 스프링 요소(2)와 상호 작용하여, 플러그인 방향(S)으로 작동 요소(3)의 제1 위치(P1)에서는 버스 바(11)와 보호 도체(5)의 접촉 연결부가 스프링 요소(2)에 의해 열리도록 그리고 플러그인 방향(S)으로 작동 요소(3)의 제2 위치(P2)에서는 버스 바(11)와 보호 도체(5)의 접촉 연결부가 스프링 요소(2)에 의해 닫히도록 구성 및 배치된다.

Description

보호 도체 연결부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 요소를 위한 보호 도체 연결부 및 이러한 보호 도체 연결부용으로 적합한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보호 도체에 연결된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 요소는, 상도체(live conductor)를 접촉 가능한 전도성 부분과, 예컨대 하우징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접촉 가능한 전도성 부분을 접지 전위로 유지하고 퓨즈를 트리거하여, 특히 (사람의) 몸체를 통과해서 접지로 향하는 전류 흐름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플러그 커넥터의 경우, 가급적 플러그 커넥터가 자신의 메이팅 플러그(mating plug)와 접속될 때 접지 요소들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생성되어야 한다는 요건이 따른다.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솔루션에서는, 접지 요소에 보호 도체 연결부로서 나사 연결부가 제공되며, 여기서 보호 도체는 스크루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접지 요소에 고정된다. 이 경우, 보호 도체의 연결을 위해서는 접지 요소 내에 나사를 돌려 넣거나 돌려 빼내야 한다. 이 나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동에 의해 느슨해질 수 있으며, 이는 보호 도체가 그 기능을 상실하는 결과를 낳는다.
이 경우에는 또한, 나사의 조임 토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기 때문에 보호 도체의 나사 연결이 잘못 연결될 가능성이 많다. 조임 토크가 지나치게 작으면, 접지 요소와 보호 도체 사이의 연결이 느슨해져서 전기 연결이 중단될 수 있다. 조임 토크가 너무 크면 보호 도체가 손상될 수 있고, 그 결과 보호 도체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보호 도체가 나사의 잘못된 면에 부착되어 의도치 않게 바깥쪽으로 눌릴 수도 있다.
또한, 접지 요소에 연결된 보호 도체는 부착될 때와 마찬가지로 스크루드라이버에 의해서만 풀릴 수 있으며, 이 작업은 필요한 경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DE 10 2012 016 725 A1호로부터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 요소를 위한, 나사 연결에 의해 제공된 보호 도체 연결부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 보호 도체 연결부는 전술한 단점들을 갖고 있다.
보호 도체 연결부는 또한, 접촉 핀을 형성하며 상기 접촉 핀에 연결 블록을 구비한 보호 도체 접촉부를 갖는다.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하우징 벽이 연결 블록의 원통형 벽 섹션에 인접하는 베어링을 형성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연결될 보호 도체를 하우징 벽에 대해 클램핑하기 위해 나사 연결부의 나사가 돌려 넣어질 수 있는, 보호 도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영역 또는 연결 영역이 존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된 보호 도체 연결부의 경우, 보호 도체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이미 배치된 접지 요소와 연결되어야 한다. 연결된 보호 도체가 이미 제공된 접지 요소의 장착은 불가능하다. 이로 인해 전술한 단점들이 촉진된다.
독일 특허 및 상표청은, 본 출원에 대한 우선권 출원에서 다음과 같은 종래 기술을 조사했다: DE 10 2012 016 725 A1, DE 10 2016 120 002 A1, DE 20 2017 107 035 U1, DE 601 28 235 T2.
본 발명의 과제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 요소를 위한 기능적으로 신뢰할 수 있으면서도 간단한 방식으로 다룰 수 있는 보호 도체 연결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전술한 보호 도체 연결부용으로 적합한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 및/또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부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플러그 커넥터의 절연체의 벽에 제공된 접지 요소의 버스 바에 보호 도체를 연결하기 위한 보호 도체 연결부에 관한 것이다.
접지 요소는, 절연체의 벽에 접지 요소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영역, 메이팅 플러그 커넥터와의 전기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접촉 요소, 및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의 전기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접촉면을 갖는다.
접촉 요소는 적합한 방식으로, 메이팅 플러그 커넥터와 연결하기 위한 절연체의 연결 영역의 벽에서 플러그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 핀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지 요소의 장착 영역에는 스프링 요소 및 이 스프링 요소와 상보적으로 형성되고 배치된 작동 요소가 제공된다. 이때, 작동 요소 및 스프링 요소는, 작동 요소가 작동 중에 스프링 요소와 상호 작용하여, 버스 바와 보호 도체의 접촉 연결부가 스프링 요소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배치된다.
이때, 접촉 연결부는, 플러그인 방향으로 작동 요소의 제1 위치에서는 열리고, 플러그인 방향으로 작동 요소의 제2 위치에서는 닫힌다.
이를 위해, 특히 바람직하게, 작동 요소가 플러그인 방향으로 작용하는 작동 요소의 제1 작동에 의해 접촉 연결부가 열려 있는 제1 위치로부터 접촉 연결부가 닫혀 있는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작동 요소가 구성되어 플러그인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 요소는 또한 적합한 방식으로,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작동 요소의 제2 작동에 의해 작동 요소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 및 배치된다.
작동 요소의 바람직한 제공에 의해, 보호 도체용 접촉 연결부가 특히 케이블 연결 방향으로부터 특히 간단하고 신뢰성 있게 열리고 닫힐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호 도체는 복잡하고 번거로운 조작 없이도 보호 도체 접촉부에 간단하고 안전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플러그인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작동 요소의 간단하고 서로 반대 방향인 선형 변위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위치가 구현되는 장점도 있으며, 이를 위해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복잡한 조작이 불필요하다. 이로써, 발생 가능한 작동 오류 및 이에 기인하는 오작동을 바람직하게 전반적으로 없앨 수 있다.
접지 요소의 장착 영역은 적합한 방식으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 각진 제1 레그 및 제2 레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버스 바는 간단히 제1 레그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다시 말해 제1 레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버스 바는 바람직하게 접지 요소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스프링 요소 및 작동 요소는, 작동 요소의 윤곽이 스프링 요소의 인접한 윤곽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으로 제1 레그와 제2 레그 사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 레그 및 제2 레그에 의해, 스프링 요소 및 작동 요소의 포지셔닝을 위해 적합한 프레임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버스 바도 제공하는 제1 레그는 특히 바람직한 이중 기능을 갖는다.
스프링 요소는 적합한 방식으로 윈도우 리세스, 평평한 접촉면 및 인장 레그를 갖는 케이지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지 인장 스프링은 매우 신뢰할 수 있으며, 신뢰성 있는 전기 접촉뿐만 아니라 기계 접촉도 제공하기 위해 바람직한 스프링 상수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케이지 인장 스프링으로서 형성된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 특성은 특히 바람직하게, 보호 도체의 도체 단면이 증가함에 따라 스프링 요소에 의해 보호 도체와 버스 바 사이의 압착력이 증가한 후에, 상이한 도체 단면을 갖는 보호 도체와 버스 바의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스프링 요소는, 이 스프링 요소의 평평한 접촉면이 제2 레그에 대향하는 제1 레그의 제1 접촉면에 넓은 면적에 걸쳐 접하도록 공간 절약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때, 윈도우 리세스는, 스프링 요소의 접촉면에 인접하면서 약간 각진, 자유 돌출형 러그 및 그 외에도 제1 레그 상에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각진 상부 러그를 둘러싼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프링 요소는, 윈도우 리세스가 제1 위치에서는 제1 레그의 제1 접촉면에 대향하는 제1 레그의 제2 접촉면에 걸쳐 연장되고, 보호 도체를 수용하기 위해 개방되도록, 제1 레그 상에 공간 절약적으로 안전하게 배치된다. 이때, 스프링 요소의 윈도우 리세스는 적합한 방식으로, 케이지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특성의 전술한 긍정적인 영향을 이용하여 보호 도체 연결부가 바람직하게 0.15㎟ 내지 4㎟의 도체 단면을 갖는 보호 도체를 연결하기에 적합하도록 형성된다.
제1 위치에서, 스프링 요소는, 스프링 요소와 상호 작용하고 스프링 요소에 인접하게 배치된 작동 요소 및 제2 레그에 의해 제공되는, 바람직하게게 초기 인장 상태에 있다. 이에 상응하는 작동 요소의 바람직한 윤곽 및 배치는 이하에서 앞서 언급한 제2 레그를 참조해서도 기술되며, 제2 레그에 의해 제1 레그에 대한 대향 레그가 제공된다.
제2 위치에서는, 윈도우 리세스 내로 삽입된 보호 도체가 제1 위치에 대해 이완되는 스프링 요소에 의해 제1 레그의 제2 접촉면 및 제1 레그의, 바람직하게 각진 상부 러그에 대해 클램핑된다. 이때, 케이블 엔드 슬리브(cable end sleeve)가 없는 보호 도체는 꺾인 러그의 꺾임부 내로 눌려서, 의도치 않게 빠지지 않도록 보호된다. 작동 요소의 상응하는 바람직한 윤곽 및 배치는 마찬가지로 이하에서 앞서 언급한 제2 레그를 참조해서도 설명된다. 게다가, 제1 레그의 바람직하게 각진 상부 러그는 스프링 요소가 미리 정해진 동작 위치로부터 미끄러져 빠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작동 요소는 적합한 방식으로, 플러그인 방향으로 제1 레그와 제2 레그 사이에 연장되고, 제1 측면에 의해 제1 레그의 제1 접촉면에 대향하는 제2 레그의 접촉면에 접하는 볼트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 요소를 향하는 작동 요소의 제2 측면은, 인장 숄더, 인장 챔퍼 및 작동 리세스를 구비하고 전술한 스프링 요소와 상호 작용하는 윤곽을 가지며, 이 경우 작동 요소의 작동 리세스에서의 작동 요소의 두께가 인장 숄더에서의 두께에 비해 상당히 감소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프링 요소 및 작동 요소는 바람직하게, 인장 숄더가 작동 요소의 제1 위치에서는 스프링 요소의 인장 레그와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응하게 상호 작용하는 방식으로 구성 및 배치된다. 이때, 스프링 요소는, 스프링 요소의 윈도우 리세스가 제1 레그의 제2 접촉면에 걸쳐 연장되고 보호 도체를 수용하기 위해 개방되도록, 제2 레그에 의해 제공된 인장력 및 작동 요소에 의해 인장된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레그는 충분한 재료 두께를 갖는다.
제2 위치에서, 작동 요소의 작동 리세스는, 스프링 요소가 작동 요소의 방향으로 비교적 확장되는 방식으로 스프링 요소의 인장 레그와 상호 작용하며, 이 경우 스프링 요소의 인장 레그는 작동 요소의 작동 리세스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스프링 요소가 제2 위치에서는 비교적 이완되며, 이때 스프링 요소의 윈도우 리세스의 일측 단부가 제1 레그 및 제1 레그의 상부 러그를 향해 당겨지고, 그 이전에 제1 위치에서 윈도우 리세스 내로 삽입된 보호 도체는 전술한 것처럼 스프링력에 의해 제2 접촉면 및 제1 레그의 상부 러그에 대해 클램핑된다.
플러그인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작동 요소의 제1 및/또는 제2 작동에 의한 작동 요소의 전술한 간단한 작동에서, 스프링 요소의 인장 레그는, 작동 요소가 제1 및/또는 제2 위치로부터 각각 제2 및/또는 제1 위치로 이동하도록 작동 요소의 인장 챔퍼와 바람직하게 상호 작용하며, 이에 따라 스프링 요소는 작동 요소 및 제2 인장 레그에 의해 상응하게 인장되고 그리고/또는 이완된다.
스프링 요소와 상호 작용하는 전술한 윤곽에 대향하고 제2 레그의 접촉면에 접하는 작동 요소의 측면은 인접한 맞물림 단을 갖는 맞물림 챔퍼를 구비하며, 이 맞물림 단 및 맞물림 챔퍼는 작동 요소의 헤드 내에 형성된 공구 삽입 개구를 통해 간단한 방식으로 공구에 접근할 수 있다.
특히 케이블 연결 방향으로부터 공구 삽입 개구 내로 삽입되어 피벗 포인트로서의 제2 레그의 에지를 통해 맞물림 챔퍼와 맞물림 단 사이의 에지에 안착하는 공구의 레버 작용에 의해, 미리 정해진 힘이 간단하게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동 요소에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작동 요소는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동되고, 스프링 요소의 인장 레그가 작동 리세스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전술한 제2 위치로부터 인장 챔퍼를 거쳐, 인장 레그가 인장 숄더 상에 배치되어 있고 스프링 요소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상응하게 인장되는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작동 요소가 제1 위치로부터 스프링 요소가 비교적 이완되어 있는 제2 위치로 이동하는, 플러그인 방향으로 작용하는 작동 요소의 전술한 제1 작동은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공구 없이도 작동 요소의 헤드를 플러그인 방향으로 손으로 약간 누르는 동작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가압 동작은 실질적으로, 작동 요소를 제1 위치로부터 스프링 요소의 인장 레그가 인장 챔퍼 상에 배치되어 있는 위치로 변위시키는 데 필요하며, 이에 따라 비교적 작은 압력에 의해 제2 위치로의 작동 요소의 추가 변위가 달성된다.
도입부에서 언급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의 전기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접지 요소의 접촉면은 접지 요소의 장착 영역에서 플러그인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각진, 대칭으로 형성된 제3 및 제4 레그에 의해 적합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절연체의 벽에 형성된 돌출부에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접촉면에는, 접지 요소를 절연체 및/또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 적합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수단은 나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적합한 방식으로, 접촉면의 레그들 중 하나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인 방향으로 작동 요소의 변위를 위한 바람직한 정지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레그는 바람직한 이중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정지부는 추가로 보호 도체 접촉부의 작동 요소의 오조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도체 접촉부를 위한 하우징을 제공하기 위해, 적합한 방식으로 접지 요소의 장착 영역과 형상 결합 방식으로 형성되어 상호 작용하는 하우징 하프쉘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장착 영역과 하우징 하프쉘은 스프링 요소 및 작동 요소가 바람직하게 수용되어 있는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상호 조립될 수 있다. 하우징의 제공에 의해, 스프링 요소 그리고 상기 스프링 요소 및 제1 레그에 의해 제공된 보호 도체용 접촉 연결부가 효과적으로 보호된다.
돌출하는 하우징 하프쉘은, 장착 영역 외에 또한 제1 레그와 제2 레그 그리고 작동 요소와 형상 결합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바람직한 내부 윤곽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보호 도체용 보호 도체 삽입부를 갖는 제1 돌출부가 하우징 하프쉘의 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는, 접지 요소의 장착 영역과 하우징 하프쉘이 조립될 때 페그(peg)가 래칭되는 방식으로, 접지 요소의 장착 영역에 형성된 리세스와 형상 결합 방식으로 적합하게 상호 작용하는 페그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돌출부에는, 장착 영역에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지지면, 그리고 제1 레그에 지지하기 위한 제3 및 제4 지지면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조립된 하우징이 바람직한 안정성을 갖는다. 적합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지지면은 플러그인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3 지지면은 바람직하게 플러그인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4 지지면은 플러그인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며, 제1 레그의 하부 에지에 대응된다. 이러한 조치에 의해 하우징의 바람직한 안정성이 촉진된다.
이때, 제1 돌출부는 적합한 방식으로 제1 위치에서 제1 레그의 제2 접촉면 위로 돌출하는 스프링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구비하며, 이 경우 리세스는 특히 제3 지지면을 통과해서도 연장된다.
또한, 제1 돌출부에는, 하우징의 안정성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 작동 요소에 접하기 위한 제5 지지면이 형성될 수 있고, 나아가 챔퍼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챔퍼에 의해 작동 요소를 위한 정지부가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공된다. 이때, 제1 돌출부에 형성된 챔퍼가 작동 요소의 인장 챔퍼와 상호 작용한다. 이러한 조치에 의해, 작동을 위해 그 헤드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작동 요소가 하우징 내에 효과적으로 보유되고 이탈이 방지된다.
하우징 하프쉘의 벽에는, 하우징의 안정성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 적합한 방식으로 제2 레그에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지지면, 작동 요소에 지지하기 위한 제3 지지면, 그리고 접지 요소의 장착 영역에 지지하기 위한 제4 지지면을 갖는 제2 측면 돌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의 제3 지지면 및 제1 돌출부의 전술한 제5 지지면에 의해, 플러그인 방향으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그리고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의 작동 요소의 변위를 위한 가이드부가 제공된다.
이러한 조치는, 작동 요소를 오조작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하우징 하프쉘의 벽에는 적합한 방식으로, 스프링 요소의 과도 굽힘(overbending) 방지가 제공되도록 하는 윤곽을 갖는 중앙 블록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의 바람직하게 콤팩트한 구성을 위해, 하우징의 벽은 접지 요소의 장착 영역의 중앙 영역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하우징 하프쉘의 벽은 이 벽에 대향하도록 구성 및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도체 접촉부에 적합한 하우징의 전술한 조치들 및 특징부들은 바람직하게 안정적이고 콤팩트하며 간단한 방식으로 조립될 하우징을 가능하게 하며, 이와 같은 하우징은 스프링 요소 및 작동 요소를 보호 방식으로 수용하며, 이 하우징으로부터 작동 요소의 헤드가 작동 요소의 작동을 위해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특히,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플러그 커넥터의 절연체의 벽에 제공된 접지 요소의 버스 바에 보호 도체를 연결하기 위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도체 연결부용 하우징과도 관련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의 벽은 적합한 방식으로 절연체의 벽에 장착할 목적으로 제공되고 구성된 접지 요소의 장착 영역에 의해 제공된다.
이 경우, 하우징은, 하우징 하프쉘이 장착 영역과 조립되어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착 영역과 형상 결합 방식으로 상응하게 형성된 전술한 하우징 하프쉘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장착 영역은 바람직하게, 하우징이 장착 영역에 제공된 스프링 요소 및 이 스프링 요소와 상호 작용하는 작동 요소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방식으로, 내부 윤곽을 갖는 하우징 하프쉘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이 경우 도입부에 기술한 제1 및 제2 레그와 상호 작용하는 작동 요소 및 스프링 요소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도체 연결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도체 연결부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의해, 특히 보호 도체 연결부의 효과적인 기능 보호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제공을 통해 바람직하게, 이미 보호 도체가 제공된 접지 요소를 사전 조립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하우징 내에 보호되어 있고 연결된 보호 도체를 이미 구비한 보호 도체 접촉부에 의해 접지 요소를 플러그 커넥터의 절연체의 벽의 의도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공된다.
케이지 인장 스프링으로서 구성된 스프링 요소는 적합한 방식으로 금속으로 제조된다. 작동 요소 및 하우징 하프쉘은 각각 금속 및/또는 적합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면부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도체 연결부를 위한 접지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접지 요소를 위한 하우징 하프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버스 바 및 버스 바 상에 배치된 스프링 요소를 구비한 접지 요소의 일 섹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스프링 요소를 구비한 버스 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스프링 요소 및 보호 도체를 구비한 버스 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e는 공구와 함께 도 2d의 라인 L-L을 따라 절단한 작동 요소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접지 요소, 스프링 요소 및 작동 요소를 구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도체 연결부의 제1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작동 요소를 갖는 보호 도체 연결부의 제2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하우징 하프쉘이 제공된 접지 요소의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접지 요소를 다른 쪽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플러그 커넥터의 절연체에 의도한 대로 장착되고 보호 도체 및 하우징이 제공된, 도 4a의 접지 요소의 제2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들은 부분적으로 간소화된 개략적인 도해들을 포함한다. 때로는 유사하지만 경우에 따라 동일하지 않은 요소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된다. 동일한 요소를 도시한 상이한 도면들은 상이하게 스케일링되었을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도체 연결부를 위한 접지 요소(1)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1b는, 도면부에서 180°만큼 수평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하나의 공통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접지 요소(1)와 조립되도록 적합하게 구성된 하우징 하프쉘(4)을 보여준다.
접지 요소(1)는, 본 발명의 보호 도체(5)를 연결하기에 적합하게 형성되어 , 플러그 커넥터의 절연체(6)의 벽(60)에 장착하도록 제공된다. 이 절연체(6)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이때, 접지 요소(1)는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인 방향(S)으로 연장된다.
접지 요소(1)는, 벽(60)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영역(10), 메이팅 플러그 커넥터와의 전기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접촉 요소(15), 및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의 전기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접촉면을 구비한다. 도 1a의 실시예의 접촉 요소(15)는 접촉 핀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변형된 접촉 요소(15)는 접촉 스프링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접촉 요소(15)는 자체 단부에 꺾임부를 가지며, 이 꺾임부는 절연체(6)에 형성된 단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대응된다.
장착 영역(10)은 접촉 요소(15)와 같이 마찬가지로, 절연체(6)에 형성된 단과 형상 결합 방식으로 대응하는 꺾임부를 갖는다. 접지 요소(1)의 장착 영역(10)에는 서로를 향해 꺾인 제1 레그(11) 및 제2 레그(1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레그(11)는 보호 도체(5)에 대한 접촉 연결을 위한 버스 바를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고, 스프링 요소(2)와 상호 작용한다. 제2 레그(12)는 제1 레그(11)를 위한 대향 레그를 제공하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작동 요소(3)와 상호 작용한다.
접지 요소(1)의 장착 영역(10)에서는 또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대칭으로 형성된 제3 및 제4 레그(13)가 플러그인 방향(S)에 대해 수직으로 꺾여 있다. 제3 및 제4 레그(13)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의 전기 접촉을 위한 접촉면 및 절연체(6)의 벽(60)에 있는 돌출부(63) 상에 안착 및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제3 및 제4 레그(13)에 적합한 나사가 제공된다.
장착 영역(10)에는 또한 리세스(14)가 제공되며, 이 리세스는 도 1b의 하우징 하프쉘(4)에 형성된 페그(44)에 대응한다. 페그(44)는 하우징 하프쉘(4)의 벽(40)에 형성된 하우징 하프쉘(4)의 내부 윤곽에 제공된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하우징 하프쉘(4)의 벽(40)에는, 조립된 하우징 내로 보호 도체(5)를 삽입하기 위한 보호 도체 삽입부(45)를 갖는, 블록 형태로 형성된 제1 돌출부(41)가 형성된다.
제1 돌출부(41)는 장착 영역(10)에 형성된 리세스(14)와 형상 결합 방식으로 형성된 페그(44)를 구비한다. 블록 형태로 형성된 제1 돌출부(41)는 또한 장착 영역(10)에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지지면(410), 및 제1 레그(11)에 지지하기 위한 제3 및 제4 지지면(411)을 갖는다. 제3 지지면(411)은 플러그인 방향(S)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1 레그(11)의 제2 접촉면에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4 지지면(411)은 플러그인 방향(S)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고, 제1 레그(11)의 하부 에지에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1 위치(P1)에서 제1 레그(11)의 제2 접촉면 위로 돌출하는 후술되는 스프링 요소(2)를 수용하기 위해, 특히 제1 돌출부(41)의 제3 지지면(411)을 통과해서도 연장되는 리세스(412)가 제1 돌출부(41) 내에 형성된다.
제1 돌출부(41)는 또한, 후술되는 작동 요소(3)에 지지하기 위한 제5 지지면(413)을 갖는다. 더욱이, 제1 돌출부(41)에는 챔퍼(43)가 형성되며, 이 챔퍼는 제5 지지면(413)과 함께 하나의 공통 에지를 형성하고, 상기 챔퍼에 의해 작동 요소(3)를 위한 정지부가 플러그인 방향(S)과 반대 방향으로 제공된다.
또한, 하우징 하프쉘(4)의 벽(40)에는 제2 레그(12)에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지지면(421), 작동 요소(3)에 지지하기 위한 제3 지지면(423), 그리고 장착 영역(10)에 지지하기 위한 제4 지지면(420)을 갖는 제2 측면 돌출부(42)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지지면(421)은 각각, 플러그인 방향(S)으로 연장되는 에지 및 플러그인 방향(S)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레그(12)의 하부 에지에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2 돌출부(42)의 제3 지지면(423) 및 제1 돌출부(41)의 전술한 제5 지지면(413)에 의해, 플러그인 방향(S)으로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그리고 플러그인 방향(S)과 반대 방향으로 제2 위치(P2)로부터 제1 위치(P1)로의 후술되는 작동 요소(3)의 변위를 위한 가이드부가 제공된다.
또한, 하우징 하프쉘(4)의 벽(40)에 윤곽을 갖는 중앙 블록(46)이 형성됨으로써, 스프링 요소(2)를 위한 과도 굽힘 방지가 제공된다.
도 2a는, 도 2d 및 도 2e 그리고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작동 요소(3)의 제1 위치(P1)에 상응하는 초기 인장된 상태에서 전술한 스프링 요소(2)를 갖는 도 1a의 접지 요소(1)의 일 섹션을 보여준다.
도 2b는 도 2a의 접지 요소(1)의 버스 바(11)에 배치된 스프링 요소(2)를 보여주며, 도 2c는 보호 도체(5)를 포함한 도 2b의 스프링 요소(2)를 보여준다. 버스 바는 제1 레그(11)에 의해 제공되어 있다.
케이지 인장 스프링으로서 적합한 방식으로 구성된 스프링 요소(2)는 윈도우 리세스(20), 평평한 접촉면(21) 및 인장 레그(22)를 구비하며, 이 경우 평평한 접촉면(21)은 제2 레그(12)에 대향하는 제1 레그(11)의 제1 접촉면에 넓은 면적에 걸쳐서 접한다.
윈도우 리세스(20)는, 스프링 요소(2)의 접촉면(21)에 인접하면서 약간 꺾여 있고 자유롭게 돌출하는 스프링 요소(2)의 러그(211) 및 그 밖에 제1 레그(11)의 꺾인 상부 러그(111)를 둘러싼다. 러그(111)는, 처음에는 제1 레그(11)의 제2 접촉면을 향해 제1 각도(α1)로 약간 꺾인 다음, 제1 레그(11)의 제1 접촉면을 향해 제2 각도(α2)로 꺾인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윈도우 리세스(20) 내로 삽입된 보호 도체(5)는 윈도우 리세스(20)에 의해 제1 레그(11)의 제2 접촉면에 대해 그리고 제1 각도(α1)로 약간 꺾인 상부 러그(111)에 대해 클램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특히 안전하고 안정적인 방식으로 기계적으로도 파지될 수 있다.
제1 레그(11)의 제1 접촉면을 향해 각도(α2)로 꺾인 제2 꺾임부에 의해, 윈도우 리세스(20) 내에 있는 스프링 요소(2)의 러그(211)가 제1 레그(11)에 안정적으로 파지되어 있다.
앞서 언급하였고, 도 3a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작동 요소(3)의 제1 위치(P1)에 상응하는 초기 인장된 상태에서는, 스프링 요소(2)의 윈도우 리세스(20)가 제1 레그(11)의 제2 접촉면에 걸쳐 연장되고, 보호 도체(5)를 수용하기 위해 개방되어 있다.
도 3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작동 요소(3)의 제2 위치(P2)에서는, 도 2c에 따라 위로부터 윈도우 리세스(20) 내로 삽입된 보호 도체(5)가 스프링 요소(2)에 의해 제1 레그(11)의 제2 접촉면에 대해 그리고 상기 제2 접촉면을 향해 약간 꺾인 상부 러그(111)에 대해 클램핑된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술한 작동 요소(3)를 보여주며, 도 2e는 도 2d의 라인 L-L을 따라 도 2d의 작동 요소(3)를 절단한 단면을 공구(37)와 함께 보여준다.
작동 요소(3)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레그(11)와 제2 레그(12) 사이에 플러그인 방향(S)으로 연장되며, 제1 레그(11)의 제1 접촉면에 대향하여 놓인 제2 레그(12)의 접촉면상의 제1 측면과 접한다. 이와 관련해서 도 3a 및 도 3b도 참조된다.
스프링 요소(2)를 향하는 작동 요소(3)의 제2 측면은 인장 숄더(30), 인장 챔퍼(31) 및 작동 리세스(32)를 구비한다.
제2 레그(12)의 접촉면에 접하는 작동 요소(3)의 측면은, 작동 요소(3)의 헤드(33) 내에 형성된 공구 삽입 개구(34)를 통해 공구(37)에 접근할 수 있는 인접하는 맞물림 단(36)을 가진 맞물림 챔퍼(35)를 구비한다.
공구 삽입 개구(34) 내로 삽입되어 맞물림 챔퍼(35)와 맞물림 단(36) 사이의 에지에 안착된 공구(37)를 이용하여, 피벗 포인트로서 형성된 제2 레그(12)의 상부 에지에 의해, 플러그인 방향(S)과 반대 방향으로 작동 요소(3)에 작용하는 레버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작동 공구의 작동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작동 요소(3)는 도 3b에 도시된 제2 위치(P2)로부터 도 3a의 자체 제1 위치(P1)로 간단한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헤드(33) 내에는 또한, 플러그인 방향(S)으로 작용하는 작동 요소(3)의 작동을 위한 공구를 위해 또 다른 공구 삽입 개구(34)가 제공된다.
도 3a는, 이와 관련하여, 도 1a의 접지 요소(1), 도 2a의 스프링 요소(2) 및 도 2d의 작동 요소(3)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도체 연결부를 전술한 제1 위치(P1)에서 보여주며, 도 3b는 도 3a의 보호 도체 연결부를 전술한 제2 위치(P2)에서 보여준다.
접지 요소(1)의 장착 영역(10)에 제공된 스프링 요소(2) 및 작동 요소(3)는, 작동 요소(3)가 작동 중에 스프링 요소(2)와 상호 작용하여, 도 3a의 플러그인 방향(S)으로 작동 요소(3)의 제1 위치(P1)에서는 버스 바와 보호 도체(5)의 접촉 연결부가 스프링 요소(2)에 의해 열리도록 구성 및 배치되어 있다. 도 3b의 플러그인 방향(S)으로 작동 요소(3)의 제2 위치(P2)에서는, 버스 바(11)에 대한 보호 도체(5)의 접촉 연결부가 스프링 요소(2)에 의해 닫혀 있다. 이때, 버스 바는 제1 레그(11)에 의해 제공된다.
작동 요소(3)는, 이 작동 요소(3)가 플러그인 방향(S)으로 작용하는 작동 요소(3)의 제1 작동에 의해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변위될 수 있도록, 그리고 플러그인 방향(S)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작동 요소(3)의 제2 작동에 의해 제2 위치(P2)로부터 제1 위치(P1)로 변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플러그인 방향(S)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위치(P1)에서는, 윈도우 리세스(20)가 제1 레그(11)의 제2 접촉면에 걸쳐 연장되고 보호 도체(5)를 수용하기 위해 개방되도록, 스프링 요소(2)가 제2 레그(12)에 의해 제공된 인장력 및 작동 요소(3)에 의해 인장되는 방식으로, 작동 요소(3)의 인장 숄더(30)가 스프링 요소(2)의 인장 레그(22)와 상호 작용한다. 이때, 스프링 요소(2)의 인장 레그(22)는 작동 요소(3)의 인장 숄더(30) 상에 배치된다.
제2 위치(P2)에서는, 윈도우 리세스(20) 내로 삽입된 보호 도체(5)가 스프링 요소(2)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력에 의해 제1 레그(11)의 제2 접촉면 및 상부 러그(111)에 대해 클램핑되는 방식으로, 작동 요소(3)의 작동 리세스(32)가 스프링 요소(2)의 인장 레그(22)와 상호 작용한다. 명확성을 위해, 도 2c에서와 달리 도 3b에는 보호 도체(5)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스프링 요소(2)의 인장 레그(22)는 작동 요소(3)의 작동 리세스(3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위치(P2)에서는, 작동 요소(3)의 헤드(33)가 제2 레그(12)의 상부 에지에 접한다. 더 언급해야 할 사실은, 헤드(33)와 작동 리세스(32) 사이의 영역에서 작동 요소(3)의 두께는 인장 숄더(30)의 두께에 비해 수축되어 있고, 이때 앞서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 챔퍼(43)는 작동 요소(3)가 플러그인 방향(S)과 반대 방향으로 작동될 때 제1 위치(P1)에서 정지부를 제공하기 위해 인장 챔퍼(31)와 상호 작용한다. 이러한 조치를 통해, 작동 요소(3)가 하우징 하프쉘(4) 및 접지 요소(1)의 장착 영역(10)에 의해 제공된 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보장된다.
작동 요소(3)가 플러그인 방향(S)으로 작동될 때, 제2 위치(P2)에서 레그(13)에 의해 작동 요소(3)를 위한 정지부가 제공된다.
작동 요소(3)의 작동 시, 스프링 요소(2)의 인장 레그(22)는, 작동 요소(3)가 제1 위치(P1) 또는 제2 위치(P2)로부터 각각 제2 위치(P2) 또는 제1 위치(P1)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작동 요소(3)의 인장 챔퍼(31)와 상호 작용한다. 이때, 플러그인 방향(S)으로의 작동은 적합한 공구를 이용해서 그리고 수작업으로도 수행될 수 있으며,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작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공구(37)를 이용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4a는, 그 헤드(33)가 하우징 하프쉘(4) 및 접지 요소(1)로 구성된 하우징 밖으로 돌출하는 작동 요소(3)와 함께, 도 1b의 하우징 하프쉘(4)이 제공된 도 3a의 접지 요소(1)를 제1 위치(P1)에서 보여준다. 이때, 하우징 하프쉘(4)의 벽(40)은, 스프링 요소(2) 및 작동 요소(3)가 수용되어 있는 조립된 하우징의 벽을 형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b는, 접지 요소(1)의 장착 영역(10)에 의해 제공된 하우징의 벽과 반대 방향으로부터 조립된 도 4a의 하우징을 보여준다. 여기서, 하우징 하프쉘(4)의 페그(44)는 접지 요소(1)의 장착 영역(10)에 형성된 리세스(14)와 형상 결합 방식으로 래칭되어 있다. 레그(13) 및 작동 요소(3)를 장착하기 위한 나사가 도 4b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5는, 플러그 커넥터의 절연체(6)의 벽(60)에 의도된 바대로 장착되어 있고 보호 도체(5) 및 하우징 하프쉘(4)이 제공된 접지 요소(1)를 제2 위치(P2)에서 보여준다. 보호 도체(5)는 하우징 하프쉘(4)의 보호 도체 삽입부(45) 내로 삽입되어 있으며, 이 삽입부의 벽(40)은 절연체(6)의 벽(60)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한편, 플러그인 방향(S)으로 연장되는 접지 요소(1)는 자신의 장착 영역(10)으로써, 그리고 단부(15)가 꺾여 있는 접촉 핀으로서 형성된 자신의 접촉 요소로써 절연체(6)의 벽(60)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접한다.
접촉 요소(15)는 메이팅 플러그 커넥터와의 전기 접촉을 제공하기 위해 절연체(6)의 연결 영역(65)에 배치된다. 제3 및 제4 레그(13)에 의해 제공된 플랜지는 2개의 나사가 제공된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나사를 이용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의 조립을 위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의 전기 접촉을 제공하기 위해 벽(60)에 형성된 절연체(6)의 돌출부(63) 상에 안착한다.
도면들에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 또는 특징들이 각각 조합되어 도시되어 있더라도,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도시되고 논의된 조합들만 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사실이다. 특히, 상이한 실시예들로부터 유래하는 서로 상응하는 유닛들 또는 특징 복합체들은 서로 교환될 수 있다.
1: 접지 요소
10: 장착 영역
11: 제1 레그, 버스 바
111: 러그
12: 제2 레그, 메이팅 레그
13: 제3, 제4 레그, 접촉면, 플랜지
14: 리세스
15: 접촉 요소, 접촉 핀
2: 스프링 요소, 케이지 인장 스프링
20: 윈도우 리세스
21: 접촉면
211: 러그
22: 인장 레그
3: 작동 요소
30: 인장 숄더
31: 인장 챔퍼
32: 작동 리세스
33: 헤드
34: 공구 삽입 개구
35: 맞물림 챔퍼
36: 맞물림 단
37: 공구
4: 하우징 하프쉘
40: 벽
41, 42: 돌출부
410, 411, 420, 421: 지지면
412: 리세스
413, 423: 지지면, 가이드부
43: 챔퍼, 정지부
44: 페그
45: 리세스, 보호 도체 삽입부
46: 돌출부, 블록, 과도 굽힘 방지부
5: 보호 도체
6: 절연체
60: 벽
63: 돌출부, 지지면
65: 연결 영역
L: 라인
P1, P2: 위치
S: 플러그인 방향

Claims (12)

  1.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인 방향(S)으로 연장되고 플러그 커넥터의 절연체(6)의 벽(60)에 제공된 접지 요소(1)의 버스 바(11)에 보호 도체(5)를 연결하기 위한 보호 도체 연결부로서,
    접지 요소(1)는 벽(60)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영역(10), 메이팅 플러그 커넥터와의 전기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접촉 요소(15), 및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의 전기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접촉면을 가지며,
    장착 영역(10)에는 스프링 요소(2) 및 작동 요소(3)가 제공되고, 이 작동 요소(3) 및 스프링 요소(2)는, 작동 요소(3)가 작동 중에 스프링 요소(2)와 상호 작용하여,
    플러그인 방향(S)으로 작동 요소(3)의 제1 위치(P1)에서는 버스 바(11)와 보호 도체(5)의 접촉 연결부가 스프링 요소(2)에 의해 열리도록, 그리고
    플러그인 방향(S)으로 작동 요소(3)의 제2 위치(P2)에서는 버스 바(11)와 보호 도체(5)의 접촉 연결부가 스프링 요소(2)에 의해 닫히도록 구성 및 배치되는, 보호 도체 연결부.
  2. 제1항에 있어서,
    플러그인 방향(S)으로 작용하는 작동 요소(3)의 제1 작동에 의해 작동 요소(3)가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그리고
    플러그인 방향(S)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작동 요소(3)의 제2 작동에 의해 작동 요소(3)가 제2 위치(P2)로부터 제1 위치(P1)로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작동 요소(3)가 구성되어 플러그인 방향(S)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된, 보호 도체 연결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지 요소(1)의 장착 영역(10)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 각진 제1 레그(11) 및 제2 레그(12)를 구비하고, 이때 버스 바는 제1 레그(11)에 의해서 형성되며,
    스프링 요소(2) 및 작동 요소(3)는, 작동 요소(3)의 윤곽이 스프링 요소(2)의 인접한 윤곽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으로 제1 레그(11)와 제2 레그(12) 사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보호 도체 연결부.
  4. 제3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2)는 케이지 인장 스프링이고,
    스프링 요소(2)는 윈도우 리세스(20), 평평한 접촉면(21) 및 인장 레그(22)를 구비하며, 평평한 접촉면(21)은 제2 레그(12)에 대향하는 제1 레그(11)의 제1 접촉면에 넓은 면적에 걸쳐 접하며,
    윈도우 리세스(20)는, 스프링 요소(2)의 접촉면(21)에 인접하면서 약간 각진, 스프링 요소(2)의 자유 돌출형 러그(211) 및 그 외에도 제1 레그(11)의 각진 상부 러그(111)를 둘러싸며,
    제1 위치(P1)에서는, 스프링 요소(2)의 윈도우 리세스(20)가 제1 레그(11)의 제2 접촉면에 걸쳐 연장되고, 보호 도체(5)를 수용하기 위해 개방되어 있으며,
    제2 위치(P2)에서는, 윈도우 리세스(20) 내로 삽입된 보호 도체(5)가 스프링 요소(2)에 의해 제1 레그(11)의 제2 접촉면 및 상부 러그(111)에 대해 클램핑되는, 보호 도체 연결부.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작동 요소(3)가 볼트로서 형성되며,
    작동 요소(3)는 플러그인 방향(S)으로 제1 레그(11)와 제2 레그(12) 사이에 연장되고, 제1 측면에 의해 제1 레그(11)의 제1 접촉면에 대향하는 제2 레그(12)의 접촉면에 접하며,
    스프링 요소(2)를 향하는 작동 요소(3)의 제2 측면은 인장 숄더(30), 인장 챔퍼(31) 및 작동 리세스(32)를 가지며,
    제2 레그(12)의 접촉면에 접하는 작동 요소(3)의 제1 측면은 접경하는 맞물림 단(36)을 가진 맞물림 챔퍼(35)를 구비하며, 상기 맞물림 단 및 맞물림 챔퍼는 작동 요소(3)의 헤드(33) 내에 형성된, 공구(37)용 공구 삽입 개구(34)를 통해 접근 가능한, 보호 도체 연결부.
  6. 제4항 및 제5항에 있어서,
    제1 위치(P1)에서는, 윈도우 리세스(20)가 제1 레그(11)의 제2 접촉면에 걸쳐 연장되고 보호 도체(5)를 수용하기 위해 개방되도록, 스프링 요소(2)가 작동 요소(3) 및 제2 레그(12)에 의해 제공된 인장력에 의해 인장되는 방식으로, 작동 요소(3)의 인장 숄더(30)가 스프링 요소(2)의 인장 레그(22)와 상호 작용하고,
    제2 위치(P2)에서는, 윈도우 리세스(20) 내로 삽입된 보호 도체(5)가 스프링력에 의해 제1 레그(11)의 제2 접촉면 및 상부 러그(111)에 대해 클램핑되는 방식으로, 작동 요소(3)의 작동 리세스(32)가 스프링 요소(2)의 인장 레그(22)와 상호 작용하며,
    작동 요소(3)의 작동 시, 상기 작동 요소(3)가 제1 위치(P1) 또는 제2 위치(P2)로부터 각각 제2 위치(P2) 또는 제1 위치(P1)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스프링 요소(2)의 인장 레그(22)가 작동 요소(3)의 인장 챔퍼(31)와 상호 작용하는, 보호 도체 연결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의 전기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접촉면은 장착 영역(10)에서 플러그인 방향(S)에 대해 수직으로 꺾이고 대칭을 이루어 형성된 제3 및 제4 레그(13)에 의해 제공되고, 절연체(6)의 벽(60)에 형성된 돌출부(63)에 장착하기 위해 제공되며,
    레그들(13) 중 하나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인 방향(S)으로 작동 요소(3)를 위한 정지부가 제공되는, 보호 도체 연결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착 영역(10)과 형상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상호 작용하는 하우징 하프쉘(4)을 가지며, 상기 장착 영역(10)과 하우징 하프쉘(4)은 하나의 하우징으로 결합될 수 있고, 스프링 요소(2) 및 작동 요소(3)가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보호 도체 연결부.
  9. 제8항에 있어서,
    하우징 하프쉘(4)이 내부 윤곽을 가지며,
    하우징 하프쉘(4)의 벽(40)에, 보호 도체 가이드부(45)를 가진 제1 돌출부(41)가 형성되고,
    제1 돌출부(41)는, 장착 영역(10) 내에 형성된 리세스(14)와 형상 결합하도록 형성된 페그(44)를 구비하며,
    제1 돌출부(41)는, 장착 영역(10)에 접하기 위한 제1 및 제2 지지면(410), 그리고 제1 레그(11)에 접하기 위한 제3 및 제4 지지면(411)을 가지며,
    제1 돌출부(41)는, 제1 위치(P1)에서 제1 레그(11)의 제2 접촉면을 넘어 돌출하는 스프링 요소(2)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412)를 구비하며,
    제1 돌출부(41)는, 작동 요소(3)에 접하기 위한 제5 지지면(413)을 구비하며,
    제1 돌출부(41)는, 플러그인 방향(S)과 반대 방향으로 작동 요소(3)를 위한 정지부를 제공하는 챔퍼(43)를 가지며,
    벽(40)에는, 제2 레그(12)에 접하기 위한 제1 및 제2 지지면(421)과, 작동 요소(3)에 접하기 위한 제3 지지면(423) 및 장착 영역(10)에 접하기 위한 제4 지지면(420)을 가진 제2 측면 돌출부(42)가 형성되며,
    제2 돌출부(42)의 제3 지지면(423) 및 제1 돌출부(41)의 제5 지지면(413)에 의해, 플러그인 방향(S)으로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의 그리고 플러그인 방향(S)과 반대 방향으로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의 작동 요소(3)의 변위를 위한 가이드부가 제공되며,
    벽(40)에는, 스프링 요소(2)의 과도 굽힘 방지가 제공되도록 하는 윤곽을 갖는 중앙 블록(46)이 형성되는, 보호 도체 연결부.
  10. 제9항에 있어서, 접지 요소(1)의 장착 영역(10)의 중앙 영역 및 하우징 하프쉘(4)의 벽(40)에 의해, 스프링 요소(2) 및 작동 요소(3)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벽들이 제공되며, 작동 요소(3)의 작동을 위해 상기 작동 요소의 헤드(33)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플러그인 방향(S)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보호 도체 연결부.
  11.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인 방향(S)으로 연장되고 플러그 커넥터의 절연체(6)의 벽(60)에 제공된 접지 요소(1)의 버스 바(11)에 보호 도체(5)를 연결하기 위한 보호 도체 연결부용 하우징으로서,
    벽(60)에 장착하기 위해 제공되고 형성된, 접지 영역(1)의 장착 영역(10)에 의해 하우징의 벽이 제공되며,
    하우징은, 하우징 하프쉘(4)이 장착 영역(10)과 조립되어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착 영역(10)과 형상 결합되도록 상보적으로 형성된 하우징 하프쉘(4)을 가지며,
    장착 영역(10)은, 하우징이 장착 영역(10)에 제공된 스프링 요소(2) 및 이 스프링 요소(2)와 상호 작용하는 보호 도체 연결부의 작동 요소(3)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도록 형성되고, 하우징 하프쉘(4)은 이와 같이 형성된 내부 윤곽을 갖는, 보호 도체 연결부용 하우징.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호 도체 연결부용으로 적합하도록 형성된 보호 도체 연결부용 하우징.
KR1020217028968A 2019-02-13 2020-02-11 보호 도체 연결부 KR202101233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03561 2019-02-13
DE102019103561.9 2019-02-13
DE102019103772.7 2019-02-14
DE102019103772.7A DE102019103772B4 (de) 2019-02-13 2019-02-14 Schutzleiteranschluss
PCT/DE2020/100088 WO2020164664A1 (de) 2019-02-13 2020-02-11 Schutzleiteranschlu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397A true KR20210123397A (ko) 2021-10-13

Family

ID=71738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968A KR20210123397A (ko) 2019-02-13 2020-02-11 보호 도체 연결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64495B2 (ko)
EP (1) EP3925032A1 (ko)
KR (1) KR20210123397A (ko)
CN (1) CN113424369B (ko)
DE (1) DE102019103772B4 (ko)
WO (1) WO2020164664A1 (ko)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111418U1 (de) 1981-04-15 1981-11-05 Harting Elektronik Gmbh, 4992 Espelkamp Anschlußverteiler
US5478259A (en) 1994-03-28 1995-12-26 Burndy Corporation Card edge connector with combined shielding and voltage drain protection
DE29505272U1 (de) 1995-03-29 1995-07-20 Phoenix Contact Gmbh & Co., 32825 Blomberg Sensor-Aktor-Verteiler
DE29520008U1 (de) 1995-12-16 1996-03-07 Harting Elektronik Gmbh, 32339 Espelkamp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29602740U1 (de) 1996-02-21 1996-04-11 Phoenix Contact GmbH & Co, 32825 Blomber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29920231U1 (de) * 1999-11-17 2001-04-05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32760 Detmold Schraubenlose Anschlußklemme
EP1309036B1 (en) * 2000-08-04 2007-05-02 Omron Corporation Wire connector
DE10325009B4 (de) 2002-08-21 2004-09-16 Ges Electronic & Service Gmbh Modularer Steckverbinder und dessen Verwendung
DE20300266U1 (de) 2003-01-08 2004-05-19 Bals Elektrotechnik Gmbh & Co. Kg Leiteranschlussklemme, insbesondere für Steckverbinder
JP2004319196A (ja) 2003-04-15 2004-11-1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接続構造
DE20308863U1 (de) 2003-06-06 2003-08-21 Ria Btr Produktions Gmbh Anschlussklemme
DE102006004238B4 (de) 2005-01-28 2011-09-29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
DE202005015465U1 (de) 2005-10-01 2007-02-15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Steckverbindersystem aus schweren elektrischen Steckverbindern
DE202006009460U1 (de) 2005-10-29 2007-03-15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schlussvorrichtung für Leiter
DE102007013536B3 (de) 2007-03-18 2008-10-0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PE-Anschluss für Steckverbinder
FR2936659B1 (fr) 2008-09-29 2010-11-12 Legrand France Broche electrique integrant la cage d'une borne de connexion electrique automatique
DE202010008028U1 (de) 2009-07-18 2010-12-30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schlussvorrichtung für Leiter
JP5313805B2 (ja) 2009-08-07 2013-10-0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KR101355749B1 (ko) 2009-12-09 2014-02-04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시스템 플러그 커넥터
DE102010002176B4 (de) 2010-02-22 2011-12-15 Tyco Electronics Amp Gmbh Kontakteinrichtung
DE102010017717B4 (de) 2010-07-02 2014-06-0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verbinder
DE102011115637B4 (de) 2011-06-21 2014-03-27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ssklemme
DE102012016725B4 (de) 2012-08-22 2014-07-31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chutzleiteranschluss und Steckverbinder mit einem Schutzleiteranschluss für wenigstens eine Leitung
DE102013108383C5 (de) 2013-08-05 2023-04-27 Harting Electric Stiftung & Co. Kg Steckverbindermodul
DE102013111574B4 (de) 2013-10-21 2017-01-1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ederkraftklemmanschluss und Steckverbinder
DE102013114261A1 (de) 2013-12-17 2015-06-18 Eaton Electrical Ip Gmbh & Co. Kg Elektronikgehäuse eines Schaltgeräts und eine im Elektronikgehäuse montierbare Schutzkontaktanordnung
DE202014010621U1 (de) 2014-10-16 2016-02-11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Steckverbinder
CN204947117U (zh) 2015-08-04 2016-01-0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TWI589079B (zh) * 2016-02-05 2017-06-21 Terminal structure improved
DE202016008409U1 (de) 2016-07-28 2017-11-06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Betätiger für eine Anschlusseinrichtung für elektrische Leiter
DE102016120002A1 (de) 2016-10-20 2018-04-2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ontakteinsatz für ein Steckverbinderteil
DE202017107035U1 (de) * 2017-01-04 2017-12-0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verbinderteil mit einem PE-Anschluss
DE202017101365U1 (de) 2017-03-10 2018-06-1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ontakteinsatz für ein Steckverbinderte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64664A1 (de) 2020-08-20
CN113424369B (zh) 2023-09-26
DE102019103772A1 (de) 2020-08-13
DE102019103772B4 (de) 2024-05-23
US11764495B2 (en) 2023-09-19
EP3925032A1 (de) 2021-12-22
CN113424369A (zh) 2021-09-21
US20220094081A1 (en)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4203998U (zh) 用于连接电导线的连接装置
US7674130B2 (en) Electric connector for routing a line through a housing wall
US20110318975A1 (en) Contact Clamp and Connector Having Contact Clamp
US7833047B2 (en) Spring part for retaining electric wires and terminal block comprising said spring part
JP2014517491A (ja) 電気的な接続端子
US9537228B2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JP2007294467A (ja) 電気コネクタ
JP2009541919A (ja) 電気コネクタ
KR101916327B1 (ko) 일체형 접지단자를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EP3457501B1 (en) A connector housing comprising a cover
JP7125506B2 (ja) 電気ケーブルのシールド導体を接地部分に接続するための接続装置
EP2863486B1 (en) Connector arrangement with cable support
CN114365355A (zh) 用于导体的连接端子
CN101771201A (zh) 用于导体的接触端子
US9761961B2 (en) Lead-through terminal
KR100887791B1 (ko) 속결단자장치 및 배선기구
US11228139B2 (en) Plug connector of an electrical plug connection and set comprising a plug connector and functional element
WO2008092187A1 (en) A connector socket, a connector plug, and an appliance fitted with a connector
KR20210123397A (ko) 보호 도체 연결부
CN109314354B (zh) 穿引端子
WO2021111826A1 (ja) コネクタ
KR100976508B1 (ko) 터미널고정구가 구비된 커넥터
CA2394204A1 (en) Clamping spring
CN113972509A (zh) 接线端子
JP6139802B2 (ja) 電気接続端子のためのハウジング装置と当該電気接続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