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489A - 복합 도어 - Google Patents

복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489A
KR20210121489A KR1020200038225A KR20200038225A KR20210121489A KR 20210121489 A KR20210121489 A KR 20210121489A KR 1020200038225 A KR1020200038225 A KR 1020200038225A KR 20200038225 A KR20200038225 A KR 20200038225A KR 20210121489 A KR20210121489 A KR 20210121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fitting piece
door leaf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3881B1 (ko
Inventor
차상봉
Original Assignee
차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상봉 filed Critical 차상봉
Priority to KR1020200038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881B1/ko
Publication of KR20210121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06B1/526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for door wings that can be set up to open either left or right, outwards or inwards, e.g. provided with grooves for easily detachable hinges or latch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2Frames composed of pa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4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현관이나 출입구에 설치되는 복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면에 제1 끼움편이 형성된 금속재의 문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문틀부; 제1 끼움편에 끼움 결합되어 문틀부의 외부면을 마감하는 목재의 문틀 마감부; 문틀부의 내측에 경첩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면에 제2 끼움편이 형성된 금속재의 문짝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문짝부; 및 제2 끼움편에 끼움 결합되어 문짝부의 외부면을 마감하는 목재의 문짝 마감부; 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복합 도어의 문틀과 문짝을 금속재의 프레임과 목재의 마감부를 서로 결합하여 복합소재로 구성함으로써, 도어의 문틀과 문짝에 대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지지강도를 증가시키고,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 도어{COMPLEX DOOR}
본 발명은 복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현관이나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복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점, 사무실, 주택, 백화점 등의 출입문은 강화유리, 금속 또는 비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문짝과 문틀을 조립하여 설치한다.
이러한 문짝과 문틀은 목재로 제작하는 경우 단열 문제가 있고, 조립시 여러개의 조립부재를 필요로 하고 있어 금속재 또는 주물로 이루어진 출입문 도어의 설치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금속재 또는 금속 주물로 형성된 도어는 단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나, 도어 설치 현장으로 이동하는 경우 도어의 무거운 중량으로 인해 이동에 따른 비용 증가하고, 현장 설치가 어려워 다수의 작업 인원이 필요함에 따른 인건비 증가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금속 재질 도어는 사용자에게 차가운 인상을 주어 도어의 단열 성능 대비 심리적 단열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짝과 문틀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으면서도,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마감재를 문짝과 문틀에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도어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18318호 (2018년 01월 08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78444호 (2019년 07년 04일)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3626 (2009년 04월 20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문짝과 문틀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문짝과 문틀에 마감재를 간단하게 조립하여 결합시킬 수 있으면서도, 단열 성능, 기밀 성능, 지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현관이나 출입구에 설치되는 복합 도어로서, 외부면에 제1 끼움편이 형성된 금속재의 문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문틀부; 상기 제1 끼움편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문틀부의 외부면을 마감하는 목재의 문틀 마감부; 상기 문틀부의 내측에 경첩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면에 제2 끼움편이 형성된 금속재의 문짝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문짝부; 및 상기 제2 끼움편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문짝부의 외부면을 마감하는 목재의 문짝 마감부;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문틀프레임은,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수직 배치되는 측부 프레임; 및 상기 측부 프레임 각각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끼움편은, 상기 상부 프레임, 상기 측부 프레임 각각의 외부면 양쪽 측단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끼움편은,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프레임 각각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문틀 마감부는, 상기 제1 끼움편 사이에 끼워맞춤되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문틀 마감부는, 외부면이 상기 제1 끼움편의 외부면과 동일한 면에 배치되도록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단차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문틀 마감부는, 외부면이 상기 제1 끼움편보다 외부에 배치되도록 양쪽 측면에 상기 제1 끼움편의 절곡 부분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프레임은, 외부면에 제1 끼움편이 형성된 금속재의 상부 외부프레임; 상기 상부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열재의 상부 단열프레임; 및 상기 상부 단열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재의 상부 내부프레임; 이 순서대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부 프레임은, 외부면에 제1 끼움편이 형성된 금속재의 제1 측부 외부프레임; 상기 제1 측부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열재의 제1 측부 단열프레임; 및 상기 제1 측부 단열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재의 제1 측부 내부프레임; 이 순서대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문틀부의 내측 일방에 상기 문짝부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상기 문틀부의 내측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내측공간을 양쪽으로 구획하며,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제3 끼움편이 형성된 금속재의 중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중간 문틀부; 및 상기 제3 끼움편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중간 문틀부의 외부면을 마감하는 목재의 중간 마감부; 상기 문틀부의 내측 타방에 고정설치되며, 외부면에 제4 끼움편이 형성된 금속재의 고정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고정 문짝부; 및 상기 제4 끼움편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고정 문짝부의 외부면을 마감하는 목재의 고정 마감부; 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부 프레임은, 상기 문짝부와 접하도록 상기 문틀부의 일방에 배치되며, 외부면에 제1 끼움편이 형성된 금속재의 제1 측부 외부프레임; 상기 제1 측부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열재의 제1 측부 단열프레임; 상기 제1 측부 단열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재의 제1 측부 내부프레임; 상기 고정 문짝부와 접하도록 상기 문틀부의 타방에 배치되며, 외부면에 제1 끼움편이 형성된 금속재의 제2 측부 외부프레임; 상기 제2 측부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열재의 제2 측부 단열프레임; 및 상기 제2 측부 단열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재의 제2 측부 내부프레임; 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 프레임은, 외부면에 제1 끼움편이 형성된 금속재의 중간 외부프레임; 상기 중간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열재의 중간 단열프레임; 및 상기 중간 단열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재의 중간 내부프레임; 이 순서대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합 도어의 문틀과 문짝을 금속재의 프레임과 목재의 마감부를 서로 결합하여 복합소재로 구성함으로써, 도어의 문틀과 문짝에 대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지지강도를 증가시키고,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문틀프레임에 형성된 제1 끼움편에 문틀마감부를 끼움 결합함으로써, 문틀부와 문틀 마감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문틀 마감부를 목재로 구성함으로써, 도어 외관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에게도 심리적 단열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문틀프레임에 단열재를 사용함으로써, 도어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지지 강도를 증가시키고, 경량화할 수 있으면서 기밀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문틀부를 양쪽으로 분할하는 중간 문틀부와 고정 문짝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문틀과 문짝 사이의 단열 성능 및 기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 도어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 도어를 나타내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 도어의 제1 측부 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 도어를 나타내는 도 1의 B-B'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 측부 프레임에 첫번째 형상의 문틀 마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 측부 프레임에 두번째 형상의 문틀 마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 측부 프레임에 세번째 형상의 문틀 마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에 첫번째 형상의 문틀 마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에 두번째 형상의 문틀 마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에 세번째 형상의 문틀 마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문짝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문짝부에 첫번째 형상의 문짝 마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문짝부에 두번째 형상의 문짝 마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문짝부에 세번째 형상의 문짝 마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 도어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 도어를 나타내는 도 17의 C-C'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 도어의 제2 측부 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중간 문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고정 문짝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 도어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 도어를 나타내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 도어의 제1 측부 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 도어를 나타내는 도 1의 B-B'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 측부 프레임에 첫번째 형상의 문틀 마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 측부 프레임에 두번째 형상의 문틀 마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 측부 프레임에 세번째 형상의 문틀 마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에 첫번째 형상의 문틀 마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에 두번째 형상의 문틀 마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에 세번째 형상의 문틀 마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문짝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문짝부에 첫번째 형상의 문짝 마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문짝부에 두번째 형상의 문짝 마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문짝부에 세번째 형상의 문짝 마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 도어는, 문틀부(100), 문틀 마감부(200), 문짝부(300) 및 문짝 마감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건물의 현관이나 출입구에 설치되는 도어이다.
문틀부(100)는 건물의 현관이나 출입구에 설치되는 문틀부재로서, 내측에 문짝부(300)와 문짝 마감부(400)가 결합되며, 외부면에 제1 끼움편(150)이 형성된 금속재의 문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문틀 프레임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110), 도어의 측부에 배치되는 측부 프레임, 도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1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끼움편(150)은 상부 프레임(110), 측부 프레임 각각의 외부면 양쪽 측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측부 프레임(120)은 상부 프레임(110)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측부 프레임(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측부 프레임(120) 각각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측부 프레임(12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측부 외부프레임(121), 제1 측부 단열프레임(122), 제1 측부 내부프레임(123) 및 제1 측부 지지프레임(124)로 이루어진다.
제1 측부 외부프레임(121)은 내부공간에 복수의 격벽이 설치되어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 형성된 구조체 형상의 프레임부재로서,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외부면에 제1 끼움편(150)이 형성된다.
제1 끼움편(150)은 외부면의 양쪽 측단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제1 측부 프레임(12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1 측부 외부프레임(121)은 문짝부(300)와 접하는 일측에 단차가 형성되어 문짝부(300)의 폐쇄 시, 문짝부(300)의 회전을 제한한다.
제1 측부 단열프레임(122)은 제1 측부 외부프레임(121)과 제1 측부 내부프레임(123)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부재로서, 고강도 폴리우레탄과 같은 단열재로 이루어진다. 제1 측부 단열프레임(122)은 제1 측부 외부프레임(121)과 제1 측부 내부프레임(123) 사이를 이격시키며, 열교를 차단시킴으로써, 제1 측부 프레임(120)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측부 내부프레임(123)은 제1 측부 단열프레임(122)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부재로서,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제1 측부 내부프레임(123)은 일측에 제1 측부 지지프레임(124)이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된다.
제1 측부 지지프레임(124)은 제1 측부 내부프레임(123)의 일측에 형성된 홈부에 돌출 삽입되는 프레임부재로서,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제1 측부 지지프레임(124)의 외부면이 문짝부(300) 내부면을 지지한다. 제1 측부 지지프레임(124)의 외부면에는 실링부재가 삽입되는 실링홈이 형성되어, 문틀 프레임과 문짝부(300) 사이의 기밀 성능,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소음, 먼지, 통풍 등을 차단시킬 수 있다.
제1 측부 프레임(120)은 제1 측부 외부프레임(121), 제1 측부 단열프레임(122) 및 제1 측부 내부프레임(123)이 순서대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프레임(110)은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외부프레임(111), 상부 단열프레임(112), 상부 내부프레임(113), 상부 지지프레임(114) 및 분할 외부프레임(111a), 분할 단열프레임(112a), 분할 내부프레임(113a)으로 구성된 상부 분할프레임(110a)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외부프레임(111)은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외측에 분할 외부프레임(111a)이 결합되고, 외부면에 제1 끼움편(150)이 형성된다.
제1 끼움편(150)은 상부 외부프레임(111)과 분할 외부프레임(111a)에 각각 형성된다. 먼저, 상부 외부프레임(111)에는 외부면 내측단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상부 프레임(120)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분할 외부프레임(111a)에는 외부면이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부 외부프레임(111)과 분할 외부프레임(111a)의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끼움편(150)은 제1 측부 프레임(120)의 제1 끼움편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 프레임(110)의 제1 끼움편(150)은 상부 외부프레임(111)과 분할 외부프레임(111a) 각각에 분할 형성된다. 이로써, 상부 외부프레임(111)과 분할 외부프레임(111a)이 문틀 마감부(200)를 사이에 개재한 상태에서 문틀 마감부(200) 양측을 감싸며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문틀 마감부(200)를 길이 방향으로 제1 끼움편(150)에 삽입하여 끼움 결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다.
상부 단열프레임(112)은 상부 외부프레임(111)과 상부 내부프레임(113)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부재로서, 고강도 폴리우레탄과 같은 단열재로 이루어진다. 상부 단열프레임(112)은 상부 외부프레임(111)과 상부 내부프레임(113) 사이를 이격시키며, 열교를 차단시킴으로써, 상부 프레임(110)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부 내부프레임(113)은 상부 단열프레임(112)의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부재로서,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상부 내부프레임(113)은 일측에 상부 지지프레임(114)이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된다.
상부 지지프레임(114)은 상부 내부프레임(113)의 일측에 형성된 홈부에 돌출 삽입되는 프레임부재로서,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지지 외부프레임(114a), 지지 단열프레임(114b), 지지 내부프레임(114c)로 이루어진다.
지지 외부프레임(114a)은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상부 외부프레임(111)의 내측에 결합되고, 문짝부(300)의 폐쇄 시, 지지 외부프레임(114a)의 외부면이 문짝부(300)의 회전을 제한한다.
지지 단열프레임(114b)은 지지 외부프레임(114a)과 지지 내부프레임(114c)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부재로서, 상부 단열프레임(112)의 내측에 결합되고, 고강도 폴리우레탄과 같은 단열재로 이루어진다. 지지 단열프레임(114b)은 지지 외부프레임(114a)과 지지 내부프레임(114c) 사이를 이격시키며, 열교를 차단시킴으로써, 상부 지지프레임(114)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 내부프레임(114c)은 지지 단열프레임(114b)의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부재로서, 상부 내부프레임(113)의 내측에 결합되고,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지지 내부프레임(114c)은 일부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 형상의 외부면은 문짝부(300)의 내부면을 지지하고, 실링부재가 삽입되는 실링홈이 형성되어 문틀 프레임과 문짝부(300) 사이의 기밀 성능,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소음, 먼지, 통풍 등을 차단시킬 수 있다.
분할 외부프레임(111a)은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상부 외부프레임(111)의 외측에 결합되고, 외부면에 제1 끼움편(150)이 형성된다.
분할 단열프레임(112a)은 분할 외부프레임(111a)과 분할 내부프레임(113a)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부재로서, 고강도 폴리우레탄과 같은 단열재로 이루어진다. 분할 단열프레임(112a)은 분할 외부프레임(111a)과 분할 내부프레임(113a) 사이를 이격시키며, 열교를 차단시킴으로써, 상부 분할프레임(110a)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분할 내부프레임(113a)은 분할 단열프레임(112a)의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부재로서,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하부 프레임(14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부 프레임 각각의 하단을 연결하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외부프레임(141), 하부 단열프레임(142), 하부 내부프레임(143) 및 하부 지지프레임(144)로 이루어진다.
하부 외부프레임(141)은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외부면 내측 모서리가 모따기되어 있다.
하부 단열프레임(142)은 하부 외부프레임(141)과 하부 내부프레임(143)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부재로서, 고강도 폴리우레탄과 같은 단열재로 이루어진다. 하부 단열프레임(142)은 하부 외부프레임(141)과 하부 내부프레임(143) 사이를 이격시키며, 열교를 차단시킴으로써, 하부 프레임(140)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부 내부프레임(143)은 하부 단열프레임(142)의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부재로서,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하부 내부프레임(143)은 일측에 하부 지지프레임(144)이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된다.
하부 지지프레임(144)은 하부 내부프레임(143)의 일측에 형성된 홈부에 돌출 삽입되는 프레임부재로서,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하부 지지프레임(144)의 외부면이 문짝부(300) 내부면을 지지한다. 하부 지지프레임(144)의 외부면에는 실링부재가 삽입되는 실링홈이 형성되어, 문틀 프레임과 문짝부(300) 사이의 기밀 성능,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소음, 먼지, 통풍 등을 차단시킬 수 있다.
문틀 마감부(200)는 문틀부(100)의 외부면을 마감하는 마감부재로, 문틀부(100)의 제1 끼움편(150)에 끼움 결합되는 목재의 문틀 마감부재(210)로 이루어져 문틀부(100)의 심미감을 향상시킨다.
문틀 마감부재(210)는 형상에 따라 3가지 형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제1 측부 프레임(120)의 제1 끼움편(150)에 끼움 결합되는 문틀 마감부재(210)는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한다.
첫번째 형상의 문틀 마감부재(21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제1 끼움편(150) 사이에 끼워맞춤되어 결합된다.
두번째 형상의 문틀 마감부재(21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단차가 형성되어 제1 끼움편(150)의 절곡부분이 배치된다. 이로써, 문틀 마감부재(210)의 외부면이 제1 끼움편(150)의 외부면과 동일한 면에 배치된다. 이는 문틀부(100)의 외부면을 매끄럽게 마감하므로, 돌출부분이 없어 먼지 등의 끼임이 적고,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세번째 형상의 문틀 마감부재(21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측면에 제1 삽입홈(210)이 형성되어 제1 끼움편(150)의 절곡부분이 삽입된다. 이로써, 문틀 마감부재(210)의 외부면이 제1 끼움편(150)보다 외부에 배치되어 문틀 마감부재(210)만 노출되고, 제1 끼움편(150)은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부면에 먼지 적층이 없고,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다양한 형태의 문틀 마감부재(210)는 양쪽 측단이 제1 끼움편(150)의 절곡부분에 의해 지지되므로, 문틀부(100)와 문틀 마감부(200)를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으면서도 결합 강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 프레임(110)의 제1 끼움편(150)에 끼움 결합되는 문틀 마감부재(210)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며, 상술한 제1 측부 프레임(120)의 제1 끼움편에 끼움 결합되는 문틀 마감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문틀 마감부재(210)는 제1 끼움편(150)이 형성된 상부 프레임(110), 상부 프레임 양단에 결합되는 제1 측부 프레임(120) 각각에 끼움 결합된다.
문짝부(300)는 건물의 현관이나 출입구에 설치되는 문짝부재로서, 문틀부(100)의 내측에 경첩(10)을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면에 제2 끼움편(320)이 형성된 금속재의 문짝 프레임(310)으로 이루어진다.
문짝 프레임(310)은 도 1, 도 2,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문짝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프레임부재로, 상하좌우의 테두리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좌측에 배치되는 문짝 프레임(310)을 기준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동일하게 형성된 다른 문짝 프레임(31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문짝 프레임(310)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짝 외부프레임(311), 문짝 단열프레임(312) 및 문짝 내부프레임(313)으로 이루어진다.
문짝 외부프레임(131)은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외측단에 제2 끼움편(320)이 형성된다.
제2 끼움편(320)은 문짝 외부프레임(131)의 외측단에 구비되며, 문짝 외부프레임(131)과 별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끼움편(320)은 문짝 외부프레임(131) 외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문짝 프레임(31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2 끼움편(320)의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이 문짝 외부프레임(131)의 외부면과 접하며 결합된다.
여기서 제2 끼움편(320)의 내부면은 제1 측부 외부프레임(121)의 단차에 걸려, 문짝부(300)의 폐쇄 시, 문짝부(300)의 회전을 제한한다. 또한, 제2 끼움편(320)의 내부면에는 실링부재가 삽입되는 실링홈이 형성되어, 문짝 프레임(310)과 문틀부(100) 사이의 기밀 성능,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소음, 먼지, 통풍 등을 차단시킬 수 있다.
문짝 단열프레임(312)은 문짝 외부프레임(311)과 문짝 내부프레임(313)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부재로서, 고강도 폴리우레탄과 같은 단열재로 이루어진다. 문짝 외부프레임(311)과 문짝 내부프레임(313) 사이를 이격시키며, 열교를 차단시킴으로써, 문짝 프레임(310)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문짝 내부프레임(313)은 문짝 단열프레임(312)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부재로서,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문짝 내부프레임(313)은 문짝 외부프레임(311)과 문짝 단열프레임(312)에 비하여 내측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문짝 내부프레임(313)의 내부면은 문틀 프레임의 각각의 지지 프레임 외부면에 의하여 지지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배치되는 문짝 프레임(310)의 제2 끼움편(320)은 다른 문짝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2 끼움편에 비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프레임(140)은 제2 끼움편(320)과 대향하는 부분이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에 하부에 배치되는 문짝 프레임(310)의 제2 끼움편(320)의 외측면에는 실링부재가 삽입되는 실링홈이 형성되어 문짝 프레임(310)과 하부 프레임(140) 사이의 기밀 성능,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소음, 먼지, 통풍 등을 차단시킬 수 있다. 문짝부(300)의 개폐 시, 하부 프레임(140)의 내측면과 문짝 프레임(310) 제2 끼움편(320)의 외측면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되므로, 슬라이딩을 방해하지 않도록 실링부재는 모헤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짝 마감부(400)는 문짝부(300)의 외부면을 마감하는 마감부재로, 문짝부(300)의 제2 끼움편(320)에 끼움 결합되는 목재의 문짝 마감부재(410)로 이루어져 문짝부(300)의 심미감을 향상시킨다.
문짝 마감부재(4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에 배치되는 문짝 프레임(310)으로부터 우측에 배치되는 문짝 프레임(310)까지 구비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배치되는 문짝 프레임(310)으로부터 하부에 배치되는 문짝 프레임(310)까지 구비되어, 문짝부(300)의 외부 전체면적에 구비된다. 문짝 마감부재(410)는 제2 끼움편(320)에 끼움 결합되는 형상에 따라 도 14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3가지 형상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도 14 내지 도 16은 문짝 마감부재(410)의 일측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첫번째 형상의 문짝 마감부재(21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양측에 배치된 문짝 마감부재(410) 각각의 제2 끼움편(320) 사이에 끼워맞춤되어 결합된다.
두번째 형상의 문짝 마감부재(410)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단차가 형성되어 양측에 배치된 문짝 마감부재(410) 각각의 제2 끼움편(320)의 절곡부분이 배치된다. 이로써, 문짝 마감부재(410)의 외부면이 제2 끼움편(320)의 외부면과 동일한 면에 배치된다. 이는 문짝부(300)의 외부면을 매끄럽게 마감하므로, 돌출부분이 없어 먼지 등의 끼임이 적고,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세번째 형상의 문짝 마감부재(410)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측면에 제2 삽입홈(420)이 형성되어 양측에 배치된 문짝 마감부재(410) 각각의 제2 끼움편(320)의 절곡부분이 삽입된다. 이로써, 문짝 마감부재(410)의 외부면이 제2 끼움편(320)보다 외부에 배치되어 문짝 마감부재(410)만 노출되고, 제2 끼움편(320)은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부면에 먼지 적층이 없고,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다양한 형태의 문짝 마감부재(410)는 양쪽 측단이 제2 끼움편(320)의 절곡부분에 의해 지지되므로, 문짝부(300)와 문짝 마감부(400)를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으면서도 결합 강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 도어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 도어를 나타내는 도 17의 C-C'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 도어의 제2 측부 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중간 문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고정 문짝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 도어는, 문틀부(100), 문틀 마감부(200), 문짝부(300), 문짝 마감부(400), 중간 문틀부(500), 중간 마감부(600), 고정 문짝부(700) 및 고정 마감부(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건물의 현관이나 출입구에 설치되는 복합 도어이다.
제2 실시예의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40), 문틀 마감부(200), 문짝부(300), 문짝 마감부(40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구성이 상이한 측부 프레임, 중간 문틀부(500), 중간 마감부(600), 고정 문짝부(700), 고정 마감부(8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측부 프레임은 제1 측부 프레임(120)과 제2 측부 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진다. 제1 측부 프레임(120)은 문짝부(300)와 접하도록 문틀부(100)의 일방에 배치되고, 제2 측부 프레임(130)은 고정 문짝부(700)와 접하도록 문틀부(100)의 타방에 배치된다. 도 17을 참고하면, 제1 측부 프레임(120)은 도면 상 우측에 배치되고, 제2 측부 프레임(130)은 도면 상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측부 프레임(120)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측부 프레임(130)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측부 외부프레임(131), 제2 측부 단열프레임(132), 제2 측부 내부프레임(133)으로 이루어진다.
제2 측부 외부프레임(131)은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외부면에 제1 끼움편(150)이 형성된다.
제1 끼움편(150)은 외부면의 양쪽 측단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제2 측부 프레임(13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2 측부 단열프레임(132)은 제2 측부 외부프레임(131)과 제2 측부 내부프레임(133)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부재로서, 고강도 폴리우레탄과 같은 단열재로 이루어진다. 제2 측부 단열프레임(132)은 제2 측부 외부프레임(131)과 제2 측부 내부프레임(133) 사이를 이격시키며, 열교를 차단시킴으로써, 제2 측부 프레임(130)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측부 내부프레임(133)은 제2 측부 단열프레임(132)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부재로서,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제2 측부 프레임(130)은 제2 측부 외부프레임(131), 제2 측부 단열프레임(132), 제2 측부 내부프레임(133)이 순서대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측부 프레임(130)은 고정 문짝부(700)와 접하는 일측에 고정삽입홈(135)이 형성된다. 고정삽입홈(135)은 고정 문짝부(700)가 삽입되며, 고정 문짝부(700)를 고정시킨다.
중간 문틀부(500)는 도 17,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틀부(100)의 내측 일방에 문짝부(30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문틀부(100)의 내측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내측공간을 양쪽으로 구획하는 문틀부재로서,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제3 끼움편(520)이 형성된 금속재의 중간 프레임(510)으로 이루어진다.
중간 프레임(510)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외부프레임(511), 중간 단열프레임(512), 중간 내부프레임(513) 및 중간 지지프레임(514)로 이루어진다.
중간 외부프레임(511)은 문틀부(100)의 내측공간에 배치되어 문짝부(300)와 고정 문짝부(700)를 구획하는 프레임부재로서,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외부면에 제3 끼움편(520)이 형성된다.
제3 끼움편(520)은 외부면의 양쪽 측단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중간 프레임(51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중간 외부프레임(511)은 문짝부(200)와 접하는 일측에 단차가 형성되어 문짝부(300)의 폐쇄 시, 문짝부(300)의 회전을 제한한다.
중간 단열프레임(512)은 중간 외부프레임(511)과 중간 내부프레임(513)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부재로서, 고강도 폴리우레탄과 같은 단열재로 이루어진다. 중간 단열프레임(512)은 중간 외부프레임(511)과 중간 내부프레임(513) 사이를 이격시키며, 열교를 차단시킴으로써, 중간 프레임(510)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간 내부프레임(513)은 중간 단열프레임(512)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부재로서,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중간 내부프레임(513)은 문짝부(300)와 접하는 일측에 중간 지지프레임(514)이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된다.
중간 지지프레임(514)은 중간 내부프레임(513)의 일측에 형성된 홈부에 돌출 삽입되는 프레임부재로서,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중간 지지프레임(514)의 외부면이 문짝부(300)의 내부면을 지지한다. 중간 지지프레임(514)의 외부면에는 실링부재가 삽입되는 실링홈이 형성되어, 중간 프레임(510)과 문짝부(300) 사이의 기밀 성능,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소음, 먼지, 통풍 등을 차단시킬 수 있다.
중간 프레임(510)은 중간 외부프레임(511), 중간 단열프레임(512), 중간 내부프레임(513)이 순서대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프레임(510)은 고정 문짝부(700)와 접하는 타측에 고정삽입홈(530)이 형성된다. 고정삽입홈(530)은 고정 문짝부(700)가 삽입되며, 고정 문짝부(700)를 고정시킨다.
중간 마감부(600)는 중간 문틀부(500)의 외부면을 마감하는 마감부재로, 중간 문틀부(500)의 제3 끼움편(520)에 끼움 결합되는 목재의 중간 마감부재(610)로 이루어져 중간 문틀부(500)의 심미감을 향상시킨다.
중간 마감부재(610)는 형상에 따라 3가지 형상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문틀 마감부재(210)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어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고정 문짝부(700)는 문틀부(100)의 내측 타방에 고정설치되는 문짝부재로서, 외부면에 제4 끼움편(720)이 형성된 금속재의 고정 프레임(710)으로 이루어진다.
고정 프레임(710)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문짝부(700)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프레임부재로, 상하좌우의 테두리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우측에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710)을 기준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동일하게 형성된 다른 고정 프레임(71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 프레임(710)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외부프레임(711), 고정 단열프레임(712) 및 고정 내부프레임(713)으로 이루어진다.
고정 외부프레임(711)은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외측단에 제4 끼움편(720)이 형성된다.
제4 끼움편(720)은 고정 외부프레임(711)의 외측단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고정 문짝부(70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고정 단열프레임(712)은 고정 외부프레임(711)과 고정 내부프레임(713)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부재로서, 고강도 폴리우레탄과 같은 단열재로 이루어진다. 고정 외부프레임(711)과 고정 내부프레임(713) 사이를 이격시키며, 열교를 차단시킴으로써, 고정 프레임(710)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 내부프레임(713)은 고정 단열프레임(712)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부재로서,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 프레임(710)의 외측면은 제2 측부 프레임(120)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삽입홈(135) 또는 중간 문틀부(500)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삽입홈(530)에 삽입됨으로써, 고정 프레임(710)이 고정 설치된다.
고정 문짝부(700)는 상부 프레임(110), 중간 문틀부(500), 제2 측부 프레임(120), 하부 프레임(140)으로 둘러싸여 고정되며, 고정 문짝부(700) 내, 외부의 기밀 성능,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소음, 먼지, 통풍 등을 차단시킬 수 있다.
고정 마감부(800)는 고정 문짝부(700)의 외부면을 마감하는 마감부재로, 고정 문짝부(700)의 제4 끼움편(720)에 끼움 결합되는 목재의 고정 마감부재(810)로 이루어져 고정 문짝부(700)의 심미감을 향상시킨다.
고정 마감부재(810)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에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710)으로부터 우측에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710)까지 구비되고, 상하로는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710)으로부터 하부에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710)까지 구비되어, 고정 문짝부(700)의 외부 전체면적에 구비된다.
고정 마감부재(810)는 제4 끼움편(720)에 끼움 결합되는 형상에 따라 3가지 형상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문짝 마감부재(410)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어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합 도어의 문틀과 문짝을 금속재의 프레임과 목재의 마감부를 서로 결합하여 복합소재로 구성함으로써, 도어의 문틀과 문짝에 대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지지강도를 증가시키고,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문틀 프레임에 형성된 제1 끼움편에 문틀마감부를 끼움 결합함으로써, 문틀부와 문틀 마감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문틀 마감부를 목재로 구성함으로써, 도어 외관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에게도 심리적 단열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문틀 프레임에 단열재를 사용함으로써, 도어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지지 강도를 증가시키고, 경량화할 수 있으면서 기밀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문틀부를 양쪽으로 분할하는 중간 문틀부와 고정 문짝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문틀과 문짝 사이의 단열 성능 및 기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 문틀부
200 : 문틀 마감부
300 : 문짝부
400 : 문짝 마감부
500 : 중간 문틀부
600 : 중간 마감부
700 : 고정 문짝부
800 : 고정 마감부

Claims (10)

  1. 건물의 현관이나 출입구에 설치되는 복합 도어로서,
    외부면에 제1 끼움편이 형성된 금속재의 문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문틀부;
    상기 제1 끼움편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문틀부의 외부면을 마감하는 목재의 문틀 마감부;
    상기 문틀부의 내측에 경첩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면에 제2 끼움편이 형성된 금속재의 문짝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문짝부; 및
    상기 제2 끼움편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문짝부의 외부면을 마감하는 목재의 문짝 마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도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틀 프레임은,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수직 배치되는 측부 프레임; 및
    상기 측부 프레임 각각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끼움편은, 상기 상부 프레임, 상기 측부 프레임 각각의 외부면 양쪽 측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도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움편은,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프레임 각각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문틀 마감부는, 상기 제1 끼움편 사이에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도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문틀 마감부는, 외부면이 상기 제1 끼움편의 외부면과 동일한 면에 배치되도록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도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문틀 마감부는, 외부면이 상기 제1 끼움편보다 외부에 배치되도록 양쪽 측면에 상기 제1 끼움편의 절곡 부분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도어.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외부면에 제1 끼움편이 형성된 금속재의 상부 외부프레임;
    상기 상부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열재의 상부 단열프레임; 및
    상기 상부 단열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재의 상부 내부프레임; 이 순서대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도어.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부 프레임은,
    외부면에 제1 끼움편이 형성된 금속재의 제1 측부 외부프레임;
    상기 제1 측부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열재의 제1 측부 단열프레임; 및
    상기 제1 측부 단열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재의 제1 측부 내부프레임; 이 순서대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도어.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문틀부의 내측 일방에 상기 문짝부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상기 문틀부의 내측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내측공간을 양쪽으로 구획하며,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제3 끼움편이 형성된 금속재의 중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중간 문틀부; 및
    상기 제3 끼움편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중간 문틀부의 외부면을 마감하는 목재의 중간 마감부;
    상기 문틀부의 내측 타방에 고정설치되며, 외부면에 제4 끼움편이 형성된 금속재의 고정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고정 문짝부; 및
    상기 제4 끼움편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고정 문짝부의 외부면을 마감하는 목재의 고정 마감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도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측부 프레임은,
    상기 문짝부와 접하도록 상기 문틀부의 일방에 배치되며, 외부면에 제1 끼움편이 형성된 금속재의 제1 측부 외부프레임;
    상기 제1 측부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열재의 제1 측부 단열프레임;
    상기 제1 측부 단열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재의 제1 측부 내부프레임;
    상기 고정 문짝부와 접하도록 상기 문틀부의 타방에 배치되며, 외부면에 제1 끼움편이 형성된 금속재의 제2 측부 외부프레임;
    상기 제2 측부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열재의 제2 측부 단열프레임; 및
    상기 제2 측부 단열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재의 제2 측부 내부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도어.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레임은,
    외부면에 제1 끼움편이 형성된 금속재의 중간 외부프레임;
    상기 중간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열재의 중간 단열프레임; 및
    상기 중간 단열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재의 중간 내부프레임; 이 순서대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도어.
KR1020200038225A 2020-03-30 2020-03-30 복합 도어 KR102473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225A KR102473881B1 (ko) 2020-03-30 2020-03-30 복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225A KR102473881B1 (ko) 2020-03-30 2020-03-30 복합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489A true KR20210121489A (ko) 2021-10-08
KR102473881B1 KR102473881B1 (ko) 2022-12-02

Family

ID=7811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225A KR102473881B1 (ko) 2020-03-30 2020-03-30 복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88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626U (ko) 2007-10-15 2009-04-20 (주)대동아이티에프 목복합창호
KR200469237Y1 (ko) * 2013-07-10 2013-09-27 신언용 목재창호용 프레임
KR101556989B1 (ko) * 2015-05-04 2015-10-19 (주)일진게이트 단열 현관문
KR20170002778U (ko) * 2016-01-26 2017-08-04 차상봉 목재로 이루어진 현관도어
KR101818318B1 (ko) 2016-01-07 2018-01-16 장용수 현관문 문틀 지지용 장식 마감 프레임 결합구조
KR20180015398A (ko) * 2016-08-03 2018-02-13 윤영석 현관문 구조
KR101896484B1 (ko) * 2016-08-26 2018-09-07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복합 단열 시스템 도어
KR20190078444A (ko) 2017-12-26 2019-07-04 봉순근 창문틀과 목재창틀사이에 단열캡이 적용된 목재창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626U (ko) 2007-10-15 2009-04-20 (주)대동아이티에프 목복합창호
KR200469237Y1 (ko) * 2013-07-10 2013-09-27 신언용 목재창호용 프레임
KR101556989B1 (ko) * 2015-05-04 2015-10-19 (주)일진게이트 단열 현관문
KR101818318B1 (ko) 2016-01-07 2018-01-16 장용수 현관문 문틀 지지용 장식 마감 프레임 결합구조
KR20170002778U (ko) * 2016-01-26 2017-08-04 차상봉 목재로 이루어진 현관도어
KR20180015398A (ko) * 2016-08-03 2018-02-13 윤영석 현관문 구조
KR101896484B1 (ko) * 2016-08-26 2018-09-07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복합 단열 시스템 도어
KR20190078444A (ko) 2017-12-26 2019-07-04 봉순근 창문틀과 목재창틀사이에 단열캡이 적용된 목재창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881B1 (ko)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5275U (ja) 組立式建物の構造
KR100916993B1 (ko) 이중창 단열 복합창호
KR102442044B1 (ko) 힌지식 프로젝트 창이 구비된 단열 커튼월
KR20200068834A (ko) 단열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킨 커튼월 유리받침대의 조립구조
KR20210081503A (ko) 멀티형 커튼 월
KR101669409B1 (ko) 강화유리문 프레임의 설치구조
US11591843B2 (en) Connective installation structure for modularized windows and doors
KR20210121489A (ko) 복합 도어
KR102506892B1 (ko) 폴딩도어용 열교방지 창호프레임
KR20100114353A (ko) 창호의 가로프레임 구조
JP2003120136A (ja) 複層ガラス障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05380U (ko) 복층유리 조립체
KR20160004239U (ko) 글라스창호 및 한지창호를 구비한 복합 창호
KR102273885B1 (ko)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및 창틀 제작 방법 및 창틀 제작 방법
KR101127636B1 (ko) 건물 창호용 창틀의 프레임 조인트 마감장치
JP6951238B2 (ja) 方立
KR102249341B1 (ko) 3연동 도어용 문짝 및 문틀의 결합구조
KR102631959B1 (ko) 단열성과 시공성이 향상된 측부단열 부재를 갖는 단열창호
KR102559397B1 (ko) 독립 슬라이딩 방식 다단 행거도어
KR102467344B1 (ko) 가변형 레일 창
RU2003136791A (ru) Перегородка каркасная и профили для нее
KR20100114352A (ko) 창호의 세로프레임 구조
KR100768796B1 (ko) 창틀의 폭을 줄인 창호
WO2020158147A1 (ja) フレーム装置及びこれの設置構造
KR20180097276A (ko) 조립틈새가 최소화된 건축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