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626U - 목복합창호 - Google Patents

목복합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626U
KR20090003626U KR2020070016665U KR20070016665U KR20090003626U KR 20090003626 U KR20090003626 U KR 20090003626U KR 2020070016665 U KR2020070016665 U KR 2020070016665U KR 20070016665 U KR20070016665 U KR 20070016665U KR 20090003626 U KR20090003626 U KR 200900036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wood
window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찬
Original Assignee
(주)대동아이티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동아이티에프 filed Critical (주)대동아이티에프
Priority to KR2020070016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626U/ko
Publication of KR200900036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62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1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06B2003/261Frames made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06B2003/2615Frames made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06B2003/262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with different frame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를 주 소재로 한 복합창호인 목복합창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유리와, 상기 유리를 포위하며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도어 조립체, 및 벽면의 개구 테두리에 형성되며 내부 공간을 통해 도어 조립체와 결합하는 도어틀을 포함하며, 도어 조립체의 프레임은, 틀 형상으로 모든 정점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한 연장부를 구비하는 골조 구조틀의 내부에 목재를 충진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복합창호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창호의 변형(휨 현상, 뒤틀림 현상 등)이 없게 되며, 중량감과 견고성은 이전보다 더욱 향상된다. 또한, 프레임 표면에 다양한 인테리어 내부장식용 패턴 소재를 적용시킬 수 있게 되어 소비자에게는 만족감을 제공하고, 생산업체에는 매출 증대 효과를 줄 수 있게 된다.
창호, 목창호, 복합창호, 구조틀, 구조보강재, (친환경) 인테리어, 패턴 소재

Description

목복합창호 {Composite windows and doors made of wood}
본 고안은 목복합창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주택이나 아파트, 빌딩 등에 설치되는 각종 창호로서 목재를 주 소재로 하는 복합창호인 목복합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벽의 상측이나 천장에 설치되어 조망, 통풍, 채광 등을 목적으로 하는 창(窓)과 벽의 일면에 설치되어 출입을 목적으로 하는 문(戶)을 총칭한다. 이러한 창호는 재질에 따라 알루미늄 합금창, PVC 합성수지창, 목재창 등으로 분류한다. 알루미늄 합금창은 비중이 작고 강도가 좋으며 공작이 자유롭고 녹슬지 않아 사용연한이 길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PVC 합성수지창은 단열성, 내부식성, 내후성, 방로효과 등이 우수하다는 장점 외에도 타 소재와 견주어 기밀성과 방음성이 매우 우수하여 종래에는 그 수요가 많았다.
그런데, 최근들어 창호기능에 대한 재고와 더불어 정부의 에너지 효율화 정책을 반영하고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소재를 혼용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에, 복합창호의 수요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복합창호로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구조를 이원화시켜 내외측으로 분리하고 그 중간에 완 충재로 단열재를 삽입한 알루미늄 단열창, 알루미늄+PVC 복합창, 알루미늄+목재 복합창, 리사이클소재 창호, 시스템 창호 등이 있다. 특히, 시스템 창호는 복수방향의 개폐방법, 창짝과 창틀의 결합방식상의 효율성 확보, 구조적인 안정성 향상 등을 특징으로 하여 다기능 복합창호로써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런데, 현재 전세계적으로 건물은 고층화 대규모화되는 상황에 놓여 있고, 많은 소비자들은 좀더 시스템화되고 편리하며 삶의 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창호를 요구하고 있다. 더욱이, 자연의 일부분으로써 자연을 이용하고 공존하려는 웰빙(well-being)문화가 부각되면서 소비자의 요구에 따른 창호는 더욱 절실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주(main) 소재로 알루미늄이나 PVC 대신 상기한 바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목재를 이용하려는 노력이 진행중이다.
그러나, 목재를 주 소재로 하여 복합창호를 제작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노출된다. 첫째, 장기간 사용에 따라 흔히 발생되는 창문의 뒤틀림 현상과 휨 현상으로 개폐가 원활하지 못하는 등 많은 하자가 발생된다. 이를 감안하여 종래에는 금속이나 PVC를 창호에 적용시키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는 내부마감의 디자인 의도와 연계성이 없이 획일적인 제품만이 생산 시공됨이 일반이어서 소비자에게 다양한 선택을 제공할 수 없다. 둘째, 외부에서 들어오는 직사광선의 복사열에 의해 창틀과 창문에 뒤틀림 현상이 발생한다. 세째, 직사광선에 기인하여 외부면 무늬목이 황변현상(변색 또는 탈색)을 일으키거나 갈라진다. 네째, 창호의 수직/수평 구조가 맞지 않아 틈이 자주 생겨나며 이 틈을 조정하기도 매우 어렵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알루미늄 소재로 골조에 해당하는 창문의 외형(또는 도어의 외형)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목재를 충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복합창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에 따라 제조된 창호 표면에 소비자의 취향에 적합한 다양한 디자인 패턴을 가지는 소재(예컨대, 무늬목, 금속판, 그라스, 가죽 등)를 적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복합창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외부에 면한 창틀(또는 도어틀)에 꺾임구조의 금속 구조보강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복합창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로 노출되는 무늬목의 일면을 컬러 페인트로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복합창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창문(또는 도어) 상단과 하단 각각에 레일가이드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로울러를 구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복합창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복합창호에 있어서, 유리와 상기 유리를 포위하며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도어 조립체; 및 벽면의 개구 테두리에 형성되며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도어 조립체와 결합하는 도어틀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 조립체의 프레임은, 틀 형상으로 모든 정점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한 연장부를 구비하는 골조 구조틀의 내부에 목재를 충진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복합창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조 구조틀에는 상기 연장부가 4개 형성되며, 이웃하는 두 연장부는 상기 도어 조립체에 대해 바깥쪽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른 두 연장부는 상기 도어 조립체에 대해 바깥쪽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조 구조틀은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깥쪽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바깥쪽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인테리어 내부장식용 패턴 소재가 삽입되며, 상기 바깥쪽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연장부 사이 공간에는 유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복합창호는 꺾임구조를 가지며 상기 도어틀의 외부면에 나사결합하는 구조보강재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보강재는 일단에서 직각방향으로 돌기되어 상기 도어틀에 결합하는 나사돌기와, 상기 나사돌기 반대방향으로 돌기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나사돌기 또는 상기 고정돌기의 일측에서 직각방향으로 돌기되는 연장돌기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에 기초하는 목복합창호의 도어 조립체는 상단면에 롤러 형상의 레일 가이드를 장착하고, 하단면에 회전체로서 높낮이가 조절되는 로울러를 장착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생시킨다. 첫째, 알루미 늄 소재로 창문의 외형(또는 도어의 외형)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목재를 충진시킴에 따라 창호의 기본적 하자인 휨 현상과 뒤틀림 현상 등의 변형은 원천 봉쇄되고, 창호의 중량감과 견고성은 이전보다 더욱 향상된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창호 표면에 다양한 인테리어 내부장식용 디자인 패턴을 가지는 소재들을 적용시킴에 따라 인테리어 디자인 마감을 발전시킬 수 있으며, 선택의 폭 확대로 소비자에게 만족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더욱이, 이는 제품으로 출시될 경우 매출 증대에도 영향을 끼쳐 산업발전에 이바지한다 할 수 있다.
세째, 외부에 면한 창틀(또는 도어틀)에 꺾임구조의 금속 구조보강재를 설치함에 따라 창틀(또는 도어틀)의 뒤틀림 현상이 제거되고 무늬목 탈색 현상이 방지된다. 네째, 외부로 노출되는 무늬목의 일면을 컬러 페인트로 마감함에 따라 직사광선에 의한 황변현상이 방지되고, 투톤의 느낌이 투영되어 미려함을 추구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창문(또는 도어) 상단과 하단 각각에 레일가이드와 로울러를 구비시킴에 따라 창문(또는 도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수직/수평 구조가 틀어져 어긋나는 경우에도 이의 조정이 용이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복합창호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상기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복합창호(100)는 창문틀(110)과 창문 조립체(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창문 조립체(120)는 구체적으로 유리(122)와 메인 프레임(1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목복합창호(10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목재를 주 소재로 한 복합창호로 형성된다. 더불어, 목복합창호(10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시스템 창호로 구현된다. 다만, 목복합창호(100)가 주상복합건물에 설치될 경우 구조적인 문제와 안전성 그리고 건물외부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고정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반드시 개폐되도록 설치될 필요는 없다(예컨대, 도 1a의 창문 조립체(120)는 고정된 것의 예이고, 도 1b의 창문 조립체(120)는 개폐되는 것의 예이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목복합창호(100)를 창을 기준으로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실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에 기술된 바는 호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 기술된 바가 창과 호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도어가 창문, 방문, 현관문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임을 참작할 때 상술한 창문 조립체와 창문틀은 각각 도어 조립체와 도어틀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목복합창호(100)의 제작방법은 통상적인 목창호의 제작방법 을 따른다. 예컨대, 목복합창호(100) 제작시 도장은 우드 프레임(wood frame) 상 또는 무늬목 취부 후에 이루어지며, 이후 창틀에 유리를 설치하여 마감하는 과정이 진행되는 식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목복합창호(100)의 제작방법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목복합창호(100)는 발코니가 확장된 주상복합아파트에 설치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함이 바람직하다. 첫째, 안전성을 고려한 개폐방식을 고려해야 한다. 보통 발코니를 확장하게 되면 기존거실의 중간창이 없어지기 때문에 창호는 안전성을 고려한 개폐방식이 반영되어야 한다. 특히, 유아가 있는 가정의 경우에는 추락사고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창호에 Tilt & Turn(윗열기와 여닫이 시스템창호) 개폐방식이 반영됨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도난과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창호가 상하좌우 다양한 각도로 개폐됨이 반영되는 것도 가능하다.
둘째, 단열성을 고려해야 한다. 발코니 확장으로 인해 내부의 열이 외부로 손실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에, 열전도도가 낮은 재질로 창호가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본 고안에서는 이 경우 확장형 외창으로 시스템창호나 이중창을 설치할 수 있다.
세째, 방음을 고려해야 한다. 쾌적하고 조용한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우수한 기밀재와 다양한 두께의 복층유리를 사용한 창호가 고려됨이 바람직하다. 이외, 창틀과 창짝의 맞닿는 부위의 밀폐성, 유리 종류, 프로파일 디자인에 따라 소음차단 정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 부분들도 고려됨이 바람직하다.
네째, 통풍과 환기성을 고려해야 한다.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경우 통풍 및 환기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여름철 에어컨이 없이는 잠시도 생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외, 겨울철 단열성능도 함께 참작해야 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실내온도의 급격한 변화없이 탁한 내부공기를 배출하고 창문 상부로 실외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창문 상부가 10~15도 안으로 기울어지는 Tilt 방식이 반영됨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기밀성 및 수밀성을 고려해야 한다. 기밀성은 단열성 및 방음성과도 밀접한 연관을 보이므로 본 고안의 실시시 참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빗물이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수밀성도 참작됨이 바람직하다.
창문틀(110)은 벽면(150)의 개구부 테두리면에 일정두께로 설치되며, 그 안쪽의 창문 조립체(1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창문 조립체(120)의 용이한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창문틀(1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우드 몰딩(wood molding)을 형성한다.
창문 조립체(120)는 외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소재로 형성된 유리(122)와, 상기 유리(122)를 둘러싸 지지하며 테두리면에 형성된 요(凹) 또는 철(凸) 형상을 통해 창문틀(110)에 안착하는 메인 프레임(124)을 구비한다. 이러한 창문 조립체(12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리(122)가 여러 조각으로 나뉘어 형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유리(122)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보조 프레임(126)을 구비한다. 창문 조립체(12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유리(122)와 프레임(124, 126)이 만나는 부분에 유리보강 몰딩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목복합창호(10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가진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특징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① 알루미늄 소재로 메인 프레임(124)의 골조에 해당하는 구조틀을 형성하고 그 내부를 목재로 충진시킴
도 2a를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124)은 알루미늄 소재의 골조 구조틀(200)을 구비한다. 골조 구조틀(200)은 내부가 비어있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모든 꼭지점(정점)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02)를 형성한다. 연장부(20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제1 연장부(202a) 내지 제4 연장부(202d)로 이루어지는데, 이들 각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웃하는 두 꼭지점에서 연장되는 제1 연장부(202a)와 제2 연장부(202b)는 상기 두 꼭지점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204a)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연장부(202a)와 제2 연장부(202b)가 이와 같이 연장됨은 이들(202a, 202b)과 제1 연결부(204a)를 포함하는 부분이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문틀(110) 또는 다른 창문 조립체에 밀접하기 때문이다. 한편, 이웃하는 또다른 두 꼭지점에서 연장되는 제3 연장부(202c)와 제4 연장부(202d)는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고안에 따른 메인 프레임(124)은 상기한 바 구조로 형성되는 골조 구조틀(200)의 비어있는 내부에 목재(210)를 충진시킴으로써 생성된다. 이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메인 프레임(124)은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종전보다 더욱더 하중을 지지하고(즉, 중량감이 향상됨) 외력에 저항할 수 있게 된다(즉, 견고성이 향상됨). 뿐만 아니라, 휨 현상, 뒤틀림 현상 등 창호 자체의 변형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 프레임(124)은 골조 구조틀(200)을 구비함에 따라 표면에 다양한 인테리어 내부장식용 패턴 소재(예컨대, 무늬목, 금속판, 그라스, 가죽 등)를 적용시킬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골조 구조틀(200)의 형태에 따라 이웃하는 제1 연장부(202a)와 제3 연장부(202c), 제2 연장부(202b)와 제4 연장부(202d) 사이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된다. (이하 내용 도 2b 참조) 그러면, 이 공간을 통해 골조 구조틀(200)에 접합하는 접합부(212)를 형성시킬 수가 있는데, 이 접합부(212)를 다양한 인테리어 내부장식용 패턴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메인 프레임(124)은 이 접합부(212)를 구성함으로써 창호를 기존과는 달리 미려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 접합부(212)의 소재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어 효용성이 매우 높음은 물론이다.
한편, 골조 구조틀(200)의 제3 연장부(202c), 제4 연장부(202d) 및 이들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204b)가 형성하는 공간에는 유리(12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14)가 설치되며, 더불어 지지부(214)의 역할이 배가되도록 유리(122)와 지지부(214) 바깥면에 유리보강 몰딩(216)이 밀접하여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골조 구조틀(200)은 가볍고 연성이 뛰어나 가공이 용이하며 산화가 잘 일어나지 않아 쉽게 부식되지 않는 금속 소재(바람직하게 는,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② 창문틀(110) 양끝에 꺾임구조의 금속 구조보강재가 설치됨
도 3a를 참조하면, 구조보강재(300)는 창문틀(110) 일단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구조보강재(300)는 꺾임구조를 가지며 일단에 직각방향으로 돌기형성된 나사돌기(302)를 통해 창문틀(110)에 결속된다. 구조보강재(300)는 창문틀(110) 결속과 더불어 창문 조립체가 창문틀에서 용이하게 탈착됨을 방지하기 위해 나사돌기(302) 반대방향으로 고정돌기(304)를 더 형성한다.
구조보강재(300)는 도 3b의 (a) 내지 (c)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창문 조립체의 상단과 결합하는 창문틀(110)에는 (a) 형상이 형성되며, 창문 조립체 하단과 결합하는 창문틀(110)에는 (b) 형상이 형성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c) 형상 또는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7-8790호에 제안된 형상이 형성됨도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잦은 개폐로 창문 조립체에 의해 창문틀(110)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조보강재(300)는 연장돌기(306)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연장돌기(306)는 나사돌기(302) 또는 고정돌기(304)에서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요입공이 형성된 부분까지 연장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창문 조립체의 상단에 장착되는 레일 가이드와 창문 조립체의 하단에 장착되는 로울러에 의해 창문틀(110)이 훼손됨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이 끼움되는 요입공에는 제2 구조보강재(320)가 구비된다(이하 설명에서는 제2 구조보강재(320)와의 구별을 위해 상술한 구조보강재(300)를 제1 구조보강재로 칭하겠다). 제2 구조보강재(320)는 요입공에 밀접할 수 있도록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구조보강재(320)는 바람직하게는 레일 가이드가 끼움되는 요입공에는 도 3b의 (d) 형태가 형성되며, 로울러가 끼움되는 요입공에는 도 3b의 (e) 형태가 형성된다. 물론, 제2 구조보강재(320)도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이 형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레일 가이드와 로울러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조보강재(30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이 일반이나 부식되거나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면 다른 재질로 이루어짐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보강재(300)는 상술한 구조에 따라 그 효과로 창문틀(110)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③ 창문 조립체(120)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각각 레일 가이드와 로울러를 구비시킴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창문 조립체(120)는 상단면과 하단면에 각각 롤러 형상의 레일 가이드(400)와 회전체로서 높낮이가 조절되는 로울러(410)를 구비한다. 이들을 구비하게 되면, 창문 조립체(120)는 개폐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며, 더불어 높낮이 조절을 통해 비틀어지는 구조를 바로잡을 수 있게 된다. 이는 복수개의 창문 조립체(120)가 나란하게 형성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틈을 제거하여 에너지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게 한다.
④ 외부로 노출되는 창문 조립체나 창문틀의 일면을 컬러 페인트로 마감함
창문 조립체나 창문틀을 목재로 제작하는 경우, 직사광선에 그대로 노출되는 외부면은 시간 경과에 따라 황변현상 또는 갈라짐 현상을 발생시킨다. 이는 곧 창문 조립체나 창문틀의 훼손을 유발하며, 종국에는 그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창문 조립체나 창문틀의 외부면을 컬러 페인트를 이용하여 마감한다. 그러면,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더불어 투톤의 느낌이 반영되어 미려함을 추구함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알루미늄 소재에 천연목재나 친환경 무늬목 등 다양한 친환경적 표면재를 접목시켜 인테리어 실내마감장식을 웰빙 문화에 최적이도록 한층 업그레이드시켰다. 게다가, 본 고안은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창호 표면에 특정 디자인 패턴을 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적극적인 호응도 이끌어낼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은 알루미늄 바디를 사용하여 창문(또는 도어)의 휨 현상을 원천 방지하였기에 효율성도 높다할 것이다.
상술한 바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내부 마감재(즉, 종전 목창호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이 개선되고, 디자인이 고려되었으며, 신속 정확하게 생산 시공되고, 소비자의 요구에 최적으로 부흥하는 내부 마감재)는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고 있는 주택문화 산업분야에서 그 효용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겠다.
도 1a와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복합창호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복합창호의 골조 구조틀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복합창호의 구조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복합창호의 레일 가이드와 로울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목복합창호 110 : 창문틀
120 : 창문 조립체 122 : 유리
124 : 메인 프레임 126 : 보조 프레임
200 : 골조 구조틀
202(202a ~ 202d) : 연장부(제1 연장부 ~ 제4 연장부)
204a ~ 204b : 제1 연결부 ~ 제2 연결부
210 : 목재 212 : 접합부
214 : 지지부 216 : 유리보강 몰딩
300 : 구조보강재 302 : 나사돌기
304 : 고정돌기 306 : 연장돌기
400 : 레일 가이드 410 : 로울러

Claims (8)

  1. 복합창호에 있어서,
    유리와 상기 유리를 포위하며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도어 조립체; 및
    벽면의 개구 테두리에 형성되며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도어 조립체와 결합하는 도어틀
    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 조립체의 프레임은, 틀 형상으로 모든 정점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한 연장부를 구비하는 골조 구조틀의 내부에 목재를 충진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복합창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 구조틀에는 상기 연장부가 4개 형성되며, 이웃하는 두 연장부는 상기 도어 조립체에 대해 바깥쪽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른 두 연장부는 상기 도어 조립체에 대해 바깥쪽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복합창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바깥쪽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인테리어 내부장식용 패턴 소재가 삽입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복합창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연장부 사이 공간에는 유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복합창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 구조틀은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복합창호.
  6. 제 1 항에 있어서,
    꺾임구조를 가지며 상기 도어틀의 외부면에 나사결합하는 구조보강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복합창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보강재는 일단에서 직각방향으로 돌기되어 상기 도어틀에 결합하는 나사돌기와, 상기 나사돌기 반대방향으로 돌기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나사돌기 또는 상기 고정돌기의 일측에서 직각방향으로 돌기되는 연장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복합창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조립체는 상단면에 롤러 형상의 레일 가이드를 장착하고, 하단면에 회전체로서 높낮이가 조절되는 로울러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복합창호.
KR2020070016665U 2007-10-15 2007-10-15 목복합창호 KR200900036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665U KR20090003626U (ko) 2007-10-15 2007-10-15 목복합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665U KR20090003626U (ko) 2007-10-15 2007-10-15 목복합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626U true KR20090003626U (ko) 2009-04-20

Family

ID=4128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665U KR20090003626U (ko) 2007-10-15 2007-10-15 목복합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62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576B1 (ko) * 2012-08-14 2013-01-25 주식회사 씨쓰리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
KR20210121489A (ko) 2020-03-30 2021-10-08 차상봉 복합 도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576B1 (ko) * 2012-08-14 2013-01-25 주식회사 씨쓰리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
KR20210121489A (ko) 2020-03-30 2021-10-08 차상봉 복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347544U (zh) 一种组合建筑结构
CN105102092A (zh) 一种墙体及其施工方法
KR101161726B1 (ko)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
CN203514588U (zh) 一种建筑用幕墙
KR20210081503A (ko) 멀티형 커튼 월
CN203795652U (zh) 一种组合式墙体
KR102126906B1 (ko) 단열성과 시공성이 개선된 창호구조
KR200355662Y1 (ko) 복합창호
KR200358392Y1 (ko) 단열패널의 결합이 용이한 복합창호
KR20090003626U (ko) 목복합창호
KR20190074750A (ko) 친환경 복합 커튼월
CN206408794U (zh) 隐藏开启窗幕墙***
KR100758378B1 (ko) 고층용 창호
CN106499100A (zh) 隐藏开启窗幕墙***
CN203531175U (zh) 一种单元化建筑物外墙墙体
CN207278143U (zh) 一种高强节能环保铝合金窗
CN203795671U (zh) 一种墙体
CN201047125Y (zh) 一种用于玻璃幕墙的压条
CN211173810U (zh) 一种三层复合型保温窗
CN208669156U (zh) 一种窗框组件
CN208251944U (zh) 一种新型窗纱一体组合窗
CN209556753U (zh) 被动式耐火复合型材节能窗
CN203145394U (zh) 一种建筑外墙扣板的连接结构
KR20100137040A (ko) 단열창문
KR200368017Y1 (ko) 현관방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