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305A - 고혈당증의 치료 방법 - Google Patents

고혈당증의 치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305A
KR20210121305A KR1020217031124A KR20217031124A KR20210121305A KR 20210121305 A KR20210121305 A KR 20210121305A KR 1020217031124 A KR1020217031124 A KR 1020217031124A KR 20217031124 A KR20217031124 A KR 20217031124A KR 20210121305 A KR20210121305 A KR 20210121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apamil
diabete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insulin
acceptable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3967B1 (ko
Inventor
주이-파오 수
구앙-추 셰인
멩-주 리
이-핑 리아오
유-인 예
Original Assignee
센터 래버러토리스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터 래버러토리스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센터 래버러토리스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210121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75Nitriles; Isonitriles
    • A61K31/277Nitriles; Isonitriles having a ring, e.g. verapam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3Amines having hydroxy groups, e.g. sphingos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55Amidines (), e.g. guanidine (H2N—C(=NH)—NH2), isourea (N=C(OH)—NH2), isothiourea (—N=C(SH)—NH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3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having at least one amino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carbocyclic ring, e.g. streptomycin, gentamycin, amikacin, validamycin, fortimic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8Insul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Endocri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besit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본원에 고혈당증과 관련된 상태 및/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고혈당증과 관련된 이러한 상태 및/또는 장애는 I형, II형 진성 당뇨병, 임신성 당뇨병, 다른 형태의 당뇨병 및 이와 관련된 장애를 포함하지만 이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은 고혈당증과 관련된 상태 및/또는 장애의 치료에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혈당증의 치료 방법{METHOD OF TREATING HYPERGLYCEMIA}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고혈당증, 예컨대 진성 당뇨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성 당뇨병은 인체가 인슐린을 충분히 생산하지 못하거나 적절하게 반응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인슐린은 세포가 포도당을 흡수하여 이를 에너지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췌장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이다. 인슐린 생성이 불충분하거나 신체가 인슐린에 적절하게 반응하지 않으면 포도당이 혈액에 축적되어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당뇨병에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지만 I형 당뇨병, II형 당뇨병 및 임신성 당뇨병이라는 세 가지 형태가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전당뇨병은 선행 당뇨병으로서 인식되며 혈당 수치가 정상보다 높지만 당뇨병으로 진단될 만큼 충분히 높지 않은 경우에 존재한다.
I형 당뇨병 또는 인슐린-의존성 진성 당뇨병 (IDDM)은 췌장에서 인슐린-생성 베타 세포의 파괴로 초래되는 대사 장애로서, 혈장 내 인슐린 결핍 및 높은 수준의 포도당을 유도한다. I형 당뇨병의 발병은 일반적으로 자가면역 병인에 기인하지만; 베타 세포 파괴의 특발성 원인으로 I형이 발생할 수 있다. I형 당뇨병은 어린이 또는 성인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어린이 당뇨병 사례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소아 당뇨병"이라고 불린다.
II형 당뇨병 또는 비인슐린-의존성 진성 당뇨병 (NIDDM)은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유전적 소인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II형 당뇨병의 근본적인 병인으로는 인슐린을 생성하는 베타 세포의 결핍; 근육, 지방 및 간 세포에 의한 인슐린 반응의 변경; 식품 섭취 후 탄수화물 및 지질 대사 조절에 관여하는 조절 기전의 이상을 들 수 있다. 인슐린 감수성 조절은 환경적인 요인과 행동, 주로 앉아있는 생활 방식과 비만에 영향을 받는다. 인슐린에 대한 근육 및 지방 세포 감수성의 조절에 기여하는 세포 기전은 복잡하고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인슐린 신호전달 경로를 변경하고, 세포 내 지방의 양을 증가시키며, 유리 지방산 및 다른 지방 조직 산물의 수준을 상승시키는 것이 인슐린 감수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여겨진다.
임신성 당뇨병은 이전에 당뇨병으로 진단되지 않았지만 임신 중에 혈당 수치가 높은 임산부에게서 발생한다. 임신성 당뇨병은 모든 임산부의 약 4%에 영향을 미치고 II형 당뇨병의 발병에 앞서 나타날 수 있다.
적절하게 조절되거나 안정화되지 않으면 고혈당 상태는 심혈관 질환, 시력 손상, 다양한 형태의 신경병증 및 인지 장애, 뇌졸중 및 말초 혈관 질환과 같은 합병증과 연관되게 된다. 일반적인 치료 방법에는 개인의 식이 영양 및 신체 활동의 주요 변경 외에, 항고혈당약 및 인슐린의 사용이 포함된다. 이 질환은 만성이면서 진행성이고, 지금까지 진행을 역전시킬 수 있는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이 분야에서 고지혈증과 관련된 상태, 질환 및/또는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개선된 약물의 필요성이 남아 있다.
이하, 본 명세서를 읽는 사람들에게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개시의 간단한 요약을 제공한다. 이 요약은 본 개시의 광범위한 개관은 아니며, 본 발명의 주요/중요 요소를 규정하거나 본 발명의 범위를 소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요의 유일한 목적은 후술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의 서두로서 본원에 개시된 일부 개념을 간단한 형태로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혈당 강하제와 조합하여 고혈당 대상의 혈당 수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약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I형, II형 진성 당뇨병, 임신성 당뇨병, 다른 형태의 당뇨병 및/또는 이와 관련된 장애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고혈당증과 관련된 상태를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I형, II형 진성 당뇨병, 임신성 당뇨병, 다른 형태의 당뇨병 및/또는 이와 관련된 장애와 관련이 있는 상태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유용한,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약제에 포함된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결정질 형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약제에 포함된 (R)-(+)-베라파밀은 염산염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약제는 추가로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 1 (GLP-1) 수용체 작용제, 디펩티딜 펩티다아제-4 (DPP-4) 억제제, 인슐린, 인슐린 유사체, 비구아나이드, 설포닐우레아, 티아졸리딘디온 (TZD), 나트륨-글루코스 공동-수송체 2 (SGLT2) 억제제 및 α-글리코시다아제 억제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혈당 강하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GLP-1 수용체 작용제는 리라글루티드, 엑세나티드, 알비글루티드 또는 LY2189265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DPP-4 억제제는 글립틴류로서, 시타글립틴, 빌다글립틴, 삭사글립틴, 리나글립틴, 게미글립틴, 아나글립틴, 테넬리글립틴, 알로글립틴, 트렐라글립틴, 듀토글립틴, 오마리글립틴, 베르베린 및 루페올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인슐린 유사체는 글라진, 디글루덱 또는 디테미르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비구아나이드는 메트포르민, 펜포르민 또는 부포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약제는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메트포르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설포닐우레아는 글리벤클라미드, 글리클라지드, 글리메피리드 또는 글리피지드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TZD는 피오글리타존, 로시글리타존, 로베글리타존, 시글리타존, 다글리타존, 엔글리타존, 네토글리타존, 리보글리타존 또는 트로글리타존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SGLT2 억제제는 다파글리플로진, 엠파글리플로진, 카나글리플로진, 이프라글리플로진, 토포글리플로진, 세르글리플로진 에타보네이트, 레모글리플로진 에타보네이트 또는 에르투글리플로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α-글리코시다아제 억제제는 아카보스, 미글리토스 또는 보글리보스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는 경구,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두개 내, 피하, 경점막 또는 직장 내 투여에 적합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약제는 경구적으로 투여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약제는 정제, 환제, 과립제, 산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또는 캡슐제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약제는 약 15 내지 1,000 mg/일의 양으로 투여된다. 바람직하게는, 약제는 약 25 내지 800 mg/일의 양으로 투여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제는 약 30 내지 600 mg/일의 양으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I형, II형 진성 당뇨병, 임신성 당뇨병, 다른 형태의 당뇨병 및/또는 이와 관련된 장애와 같은 고혈당증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진성 당뇨병과 관련된 증상을 경감시키거나 개선시키기에 유효한 양의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진성 당뇨병 및/또는 이와 관련된 장애를 앓고있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결정질의 형태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R)-(+)-베라파밀은 염산염의 형태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 15 내지 1,000 mg/일의 양으로 투여된다. 바람직하게는,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 25 내지 800 mg/일의 양으로 투여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 30 내지 600 mg/일의 양으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경구,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두개 내, 피하, 경점막 또는 직장 내로 투여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경구적으로 투여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약제는 정제, 환제, 과립제, 산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또는 캡슐제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방법은 추가로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 1 (GLP-1) 수용체 작용제, 디펩티딜 펩티다아제 (DPP-4) 억제제, 인슐린, 인슐린 유사체, 비구아나이드, 설포닐우레아, 티아졸리딘디온 (TZD), SGLT2 억제제 및 α-글리코시다아제 억제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혈당 강하제를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GLP-1 수용체 작용제는 리라글루티드, 엑세나티드, 알비글루티드 또는 LY2189265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DPP-4 억제제는 글립틴류로서, 시타글립틴, 빌다글립틴, 삭사글립틴, 리나글립틴, 게미글립틴, 아나글립틴, 테넬리글립틴, 알로글립틴, 트렐라글립틴, 듀토글립틴, 오마리글립틴, 베르베린 및 루페올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인슐린 유사체는 글라진, 디글루덱 또는 디테미르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비구아나이드는 메트포르민, 펜포르민 또는 부포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메트포르민과 함께 투여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설포닐우레아는 글리벤클라미드, 글리클라지드, 글리메피리드 또는 글리피지드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TZD는 피오글리타존, 로시글리타존, 로베글리타존, 시글리타존, 다글리타존, 엔글리타존, 네토글리타존, 리보글리타존 또는 트로글리타존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SGLT2 억제제는 다파글리플로진, 엠파글리플로진, 카나글리플로진, 이프라글리플로진, 토포글리플로진, 세르글리플로진 에타보네이트, 레모글리플로진 에타보네이트 또는 에르투글리플로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α-글리코시다아제 억제제는 아카보스, 미글리토스 또는 보글리보스이다.
본 개시의 많은 부수적인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설명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 도면의 관점에서 읽음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라 STZ에 의해 유도된 당뇨병 마우스에서 라세미 베라파밀 HCl, (R)-(+)-베라파밀 HCl 및 (S)-(-)-베라파밀 HCl이 혈당 수치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한 막대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라 NIDDM 마우스에서 라세미 베라파밀 HCl, (R)-(+)-베라파밀 HCl 및 (S)-(-)-베라파밀 HCl이 혈당 수치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한 막대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1에 따라 NIDDM 마우스에서 (R)-(+)-베라파밀 HCl 및/또는 메트포르민이 혈당 수치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한 막대 그래프로서, 여기서는 †P <0.05, vs 비히클 대조군 (db/m+), *P< 0.05, vs 비히클 대조군 (db/db), #P< 0.05, vs 메트포르민 (db/db)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메트포르민"과 "비히클 대조군 (db/db)"의 비교는 스튜던트 비대응 t-검정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유의성은 실선으로 표시됨;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2에 따라 NIDDM 마우스에서 (R)-(+)-베라파밀 HCl 및/또는 메트포르민이 당화된 헤모글로빈 (HbA1c)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한 막대 그래프로서, 여기서는 †P <0.05, vs 비히클 대조군 (db/m+), *P< 0.05, vs 비히클 대조군 (db/db), #P< 0.05, vs 메트포르민 (db/db)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메트포르민"과 "비히클 대조군 (db/db)"의 비교는 스튜던트 비대응 t-검정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유의성은 실선으로 표시되고, 경향은 점선으로 표시된다
부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에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실시예의 설명으로서 의도되며 본 실시예가 구성되거나 이용될 수 있는 유일한 형태를 나타내고자 하지 않는다. 설명은 실시예의 기능과, 실시예를 구성하고 조작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를 설명한다. 그러나, 동일 또는 동등한 기능 및 순서가 상이한 실시예로 달성될 수도 있다.
1. 정의
편의상, 명세서, 실시예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특정 용어들을 여기에 모아놨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단수 형태 "a", "and" 및 "the"는 본원에서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 대상을 포함하도록 본원에서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약"은 일반적으로 주어진 값 또는 범위의 10%, 5%, 1% 또는 0.5% 이내를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용어 "약"은 당업자가 고려할 때 평균의 허용가능한 표준 오차 이내를 의미한다. 작동/작업 실시예의 경우를 제외하고, 또는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제시된 재료의 양, 시간의 지속 시간, 온도, 작동 조건, 양의 비율 또는 반사각과 같은 모든 수치 범위, 양, 값 및 백분율은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로 수식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본 개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수치 파라미터는 필요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근사치이다. 최소한 각 수치 파라미터는 적어도 보고된 유효 자릿수의 수를 고려하고 일반적인 반올림 기술을 적용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진성 당뇨병"은 I형, II형 진성 당뇨병, 임신성 당뇨병 및 다른 형태의 당뇨병을 지칭한다. 다른 형태의 당뇨병은 성인의 잠복 자가면역 당뇨병 (LADA), 선천성 당뇨병, 스테로이드 당뇨병, 췌장 결함 관련 당뇨병 (예: 만성 췌장염 관련 당뇨병, 낭포성 섬유증 관련 당뇨병, 췌장 신생물 관련 당뇨병, 혈색소침착증 관련 당뇨병 및 섬유결석형 췌장병증 관련 당뇨병), 내분비장애 관련 당뇨병 (예: 말단비대증 관련 당뇨병, 쿠싱 증후군 관련 당뇨병, 갑상선기능항진증 관련 당뇨병, 크롬 친화성 세포종 관련 당뇨병 및 글루카곤종 관련 당뇨병), 감염 관련 당뇨병 (예: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감염 관련 당뇨병 및 콕사키바이러스 B 관련 당뇨병), 당뇨병성 혈관병증 (예: 당뇨병성 망막증 및 당뇨병성 신증) 및 약물 관련 당뇨병 (예: 글루코코르티코이드 관련 당뇨병, 갑상선 호르몬 관련 당뇨병, β-아드레날린 작용제 관련 당뇨병 및 스타틴 관련 당뇨병)일 수 있다. 보통 대사 증후군, 비만, 인슐린 저항성, 이상지질혈증 및 병리학적 포도당 내성 중 하나 이상이 II형 당뇨병과 관련된다. 진성 당뇨병 대상은 다양한 정도의 혈압 상승, 콜레스테롤 및/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수치 증가, 요산 수치 증가 및 응고 촉진 인자의 수준 증가를 발현한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된 "진성 당뇨병과 관련된 장애"는 고혈압, 고지혈증, 고요산혈증, 통풍 및 과다응고, 즉 비정상적이고 증가된 혈관 내 혈괴 형성 경향을 지칭한다. 이러한 장애는 죽상경화성 대혈관뿐만 아니라 미세혈관 질환에 대한 잘 알려진 위험 인자이다. 죽상경화성 대혈관 질환에는 심근경색, 뇌졸중 및 사지 절단이 포함된다. 미세혈관 합병증에는 실명, 신장 질환 및 쇠약성 신경병증이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치료"는 소정의 약리학적 및/또는 생리학적 효과를 얻는 것, 예를 들어, 고혈당증 대상에서 혈당 수치를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그 효과는 질환 또는 그의 증상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예방하는 관점에서 예방적 및/또는 질환 또는 그 질환에 기인하는 부작용을 부분적 또는 완전히 치유한다는 관점에서 치료적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치료"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질환의 예방 (예: 예방적), 치유 또는 완화 치료를 포함하지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을 포함한다: (1) 질환의 성향을 가지나 아직 이로 진단되지 않은 개체에서 질환 또는 상태 (예: 진성 당뇨병 또는 이와 관련된 장애)의 발생 예방 (예: 예방적), 치유 또는 완화 치료; (2) 질환의 억제 (예를 들어, 인슐린-생성 베타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거나 이들 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억제시킴으로써); 또는 (3) 질환 경감 (예: 질환과 관련된 증상 감소).
용어 "투여된", "투여하는 것" 또는 "투여"는 제한없이 본 발명의 약제 (예를 들어,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경구,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동맥 내, 두개 내, 경점막 (예를 들어, 흡입, 및 비강 내) 또는 피하 투여를 포함하는 전달 방식을 지칭하도록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즉, (R)-(+)-베라파밀)은 경구 투여에 적합한 조성물로 제형화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고혈당증에 기인한 질환의 치료에 대해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해 필요한 기간동안의 용량으로 유효한 양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진성 당뇨병의 치료에서 진성 당뇨병과 관련된 임의의 증상을 감소, 예방, 지연 또는 억제 또는 저지하는 약제 (즉, 본 발명의 화합물)가 효과적일 것이다. 유효량의 약제는 질환 또는 상태를 치유할 필요가 없지만 질환 또는 상태의 발병을 지연, 장애 또는 예방하거나, 질환 또는 상태의 증상을 완화시키도록 질환 또는 상태에 대한 치료를 제공할 것이다. 특정 유효량 또는 충분량은 치료되는 특정 상태, 환자의 신체 상태 (예: 환자의 체질량, 연령 또는 성별), 치료할 포유동물 또는 동물의 유형, 치료 기간, 공동 요법의 특성 (있는 경우) 및 사용된 특정 제형 등과 같은 요인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유효량은 예를 들어 1일 활성제의 총 질량 (예컨대, 그램, 밀리그램 또는 마이크로그램)으로 표현될 수 있다. 유효량은 지정된 기간에 걸쳐 1회, 2회 또는 그 이상으로 투여될 수 있는 적합한 형태로 1, 2 또는 그 이상의 용량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용어 "대상" 또는 "환자"는 본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해 치료가능한, 인간 종을 포함한 포유동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포유동물"이란 용어는 인간, 영장류, 가축 및 농장 동물, 예컨대 토끼, 돼지, 양 및 소; 뿐만 아니라 동물원, 스포츠 또는 애완 동물; 및 마우스 및 쥐와 같은 설치류를 포함한 포유류의 모든 구성원을 의미한다. 또한 "대상" 또는 "환자"라는 용어는 특정 성별이 명시되지 않는 한 수컷 및 암컷 성별을 모두 의미한다. 따라서, "대상" 또는 "환자"라는 용어는 본 개시의 치료 방법으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임의의 포유동물을 포함한다. "대상" 또는 "환자"의 예로는 인간, 래트, 마우스, 기니 피그, 원숭이, 돼지, 염소, 소, 말, 개, 고양이, 새 및 가금류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대상은 인간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형제"는 활성제를 위한 비히클/담체를 형성하는 임의의 비활성 물질 (예컨대 분말 또는 액체)을 의미한다. 부형제는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비독성이며, 넓은 의미로 또한 충전제, 희석제, 응집제, 결합제, 윤활제, 활택제, 안정제, 착색제, 습윤제, 붕해제 등과 같이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제약 산업에서 공지된 임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라세미"는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가 상호 실질적으로 정제되지 않은 베라파밀의 (R)- 및 (S)-거울상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지칭한다.
II. 진성 당뇨병 및 이와 관련된 장애의 치료
베라파밀 (예를 들어, 2-(3,4-디메톡시페닐)-5-[2-(3,4-디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2-프로판-2-일펜탄니트릴)은 다양한 의학적 처방을 가진 공지 약물이다. 전통적으로, 이것은 고혈압과 같은 관상동맥 질환의 치료에 사용된다. 상기 화합물은 입체 중심을 가지며, 따라서 그의 광학 거울상이성질체로 분리될 수 있다. (S)-거울상이성질체는 다수의 칼슘 채널 길항 활성을 보유하는데 반해, (R)-거울상이성질체는 소마토스타틴 수용체 2에 대한 작용 활성, 및 오렉신 수용체 1 및 2, 도파민 D2L 수용체, 나트륨 및 칼슘 채널에 대한 길항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WO 2011/057471A1 참조); 따라서, (R)-거울상이성질체는 인간 대상에서 이들 수용체와 관련된 질환 또는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약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R)-(+)-베라파밀이 라세미 베라파밀, 또는 (S)-(-)-베라파밀보다 당뇨병 환자에서 공복 혈당 수치를 감소시키는데 보다 강력하다는 새로운 발견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R)-(+)-베라파밀은 진성 당뇨병 및/또는 이와 관련된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특정 양태는 진성 당뇨병 및/또는 이와 관련된 장애를 앓고 있는 대상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대상에게 유효량의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예를 들어, (R)-(+)-베라파밀 HCl)을 투여하여, 진성 당뇨병 및/또는 이와 관련된 장애와 연관된 증상을 경감 또는 개선시는 단계를 포함한다.
(R)-(+)-베라파밀은 광학 활성 분할 산과 같은 임의의 이용가능한 수단을 사용하여 거울상이성질체의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분리 또는 분할로 베라파밀의 라세미 혼합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R)-(+)-베라파밀은 관련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입체특이적 합성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입체특이적 합성은 일반적으로 높은 거울상이성질체 순도를 갖는 생성물을 유도할 수 있다. 거울상이성질체 순도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합성 생성물은 (S)-(-)-베라파밀로부터 (R)-(+)-베라파밀을 분리함으로써 거울상이성질체 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 정제 공정을 거칠 수 있다. 라세미 베라파밀을 분할하여 (R)-(+)-베라파밀을 생성하는 방법의 예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결정질 형태로 투여된다.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결정질은 임의의 공지된 결정화 방법, 예를 들어 포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례에서, (R)-(+)-베라파밀 HCl을 에틸 아세테이트, 톨루엔 및 1,4-디옥산/헵탄 (1:1)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적합한 용매(들)에 포화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용해시키고; 이어 포화 용액을 냉각시켜 이로부터 (R)-(+)-베라파밀 HCl 결정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R)-(+)-베라파밀은 염산염, 즉 (R)-(+)-베라파밀 HCl의 형태이다.
임의의 실시양태에 따라,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대상의 고혈당 상태를 완화시키거나 경감시키기 위해 (R)-(+)-베라파밀 외 하나 이상의 활성 화합물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활성 화합물은 혈당 강하제이다. 임의의 공지된 혈당 강하제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혈당 강하제는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 1 (GLP-1) 수용체 작용제, 디펩티딜 펩티다아제-4 (DPP-4) 억제제, 인슐린, 인슐린 유사체, 비구아나이드, 설포닐우레아, 티아졸리딘디온 (TZD), 나트륨-글루코스 공동 수송체 (SGLT2) 억제제, 또는 α-글리코시다아제 억제제이다.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적합한 예로는 리라글루티드, 엑세나티드, 알비글루티드 또는 LY2189265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DPP-4 억제제는 글립틴류이고, 글립틴류의 적합한 예로는 시타글립틴, 빌다글립틴, 삭사글립틴, 리나글립틴, 게미글립틴, 아나글립틴, 테넬리글립틴, 알로글립틴, 트렐라글립틴, 듀토글립틴, 오마리글립틴, 베르베린 및 루페올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인슐린"은 구조, 용도 및 의도된 효과가 자연 발생 인슐린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진성 당뇨병 치료에 유용한, 정제, 합성 및/또는 생물공학적으로 유도된 산물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인슐린은 농장 동물 (예를 들어, 돼지)의 췌장샘과 같이, 포유동물의 췌장 조직으로부터 직접 회수될 수 있다. 달리는, 인슐린은 재조합 기술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인슐린 유사체의 예로는 글라진, 디글루덱 및 디테미르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구아나이드의 적합한 예로는 메트포르민, 펜포르민 및 부포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포닐우레아의 적합한 예로는 글리벤클라미드, 글리클라지드, 글리메피리드 및 글리피지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ZD의 예로는 피오글리타존, 로시글리타존, 로베글리타존, 시글리타존, 다글리타존, 엔글리타존, 네토글리타존, 리보글리타존 및 트로글리타존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GLT2 억제제의 예로는 다파글리플로진, 엠파글리플로진, 카나글리플로진, 이프라글리플로진, 토포글리플로진, 세르글리플로진 에타보네이트, 레모글리플로진 에타보네이트 및 에르투글리플로진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α-글리코시다아제 억제제의 적합한 예로는 아카보스, 미글리토스 및 보글리보스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15 내지 1,000 mg/일, 예컨대 15, 20, 25, 30, 35, 40, 50, 60, 70, 75, 80, 90, 100, 110, 120, 125, 130, 140, 150, 160, 170, 175, 180, 190, 200, 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 300, 310, 320, 330, 340, 350, 360, 370, 375, 380, 390, 400, 410, 420, 430, 440, 450, 460, 470, 480, 490, 500, 510, 520, 530, 540, 550, 560, 570, 580, 590, 600, 610, 620, 630, 640, 650, 660, 670, 680, 690, 700, 710, 720, 730,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860, 870, 880, 890, 900, 910, 920, 930, 940, 950, 960, 970, 980, 990, 1,000 mg/일의 양으로 그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에 투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R)-(+)-베라파밀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은 25 내지 800 mg/일, 예컨대 25, 30, 35, 40, 50, 60, 70, 75, 80, 90, 100, 110, 120, 125, 130, 140, 150, 160, 170, 175, 180, 190, 200, 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 300, 310, 320, 330, 340, 350, 360, 370, 375, 380, 390, 400, 410, 420, 430, 440, 450, 460, 470, 480, 490, 500, 510, 520, 530, 540, 550, 560, 570, 580, 590, 600, 610, 620, 630, 640, 650, 660, 670, 680, 690, 700, 710, 720, 730, 740, 750, 760, 770, 780, 790, 800 mg/일의 양으로 투여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30 내지 600 mg/일, 예컨대 30, 35, 40, 50, 60, 70, 75, 80, 90, 100, 110, 120, 125, 130, 140, 150, 160, 170, 175, 180, 190, 200, 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 300, 310, 320, 330, 340, 350, 360, 370, 375, 380, 390, 400, 410, 420, 430, 440, 450, 460, 470, 480, 490, 500, 510, 520, 530, 540, 550, 560, 570, 580, 590, 600 mg/일의 양으로 투여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메트포르민과 함께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투여되며, 이러한 병용 치료로 혈당 및 당화된 헤모글로빈 (HbA1c) 수치의 상승적 감소가 유도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경구,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동맥 내, 두개 내 및 피하 경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유효량의 (R)-(+)-베라파밀 염산염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경구 투여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방법은 경구용 고혈당제에 대한 반응이 좋지 않은당뇨병의 치료를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진성 당뇨병 및/또는 이와 관련된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조성물은 유효량의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한다.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바람직하게는 (R)-(+)-베라파밀의 결정을 적합한 부형제와 혼합하고, 경구,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동맥 내, 두개 내, 경점막 (예를 들어, 흡입, 협측 및 비강 내) 또는 피하 투여에 적합한 투여 형태로 제형화한다. 적합한 부형제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부형제 및 투여 형태에 관해 개시하고 있고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는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Kibbe (ed.), 3rd Edition (2000),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 및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Gennaro (ed.), 20th edition (2000), Mack Publishing Inc., Easton, Pa)]에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부형제는 전분, 당,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희석제, 과립화제, 윤활제, 결합제, 붕해제, 습윤제, 윤활제, 유화제, 착색제, 방출제, 코팅제, 감미제, 향미제, 방부제, 가소제, 겔화제, 농후제, 경화제, 고화제, 현탁화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담체, 안정제, 항산화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약학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임의의 목적하는 경로에 의해 대상에 투여하기에 적합한 투여 형태로 제공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투여 형태에 익숙하다. 임의의 주어진 사례에서 가장 적합한 경로는 치료 및/또는 관리되는 질환의 종류 및 심각도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약학 조성물은 경구,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동맥 내, 두개 내, 경점막 (예를 들어, 흡입, 협측 및 비강 내) 또는 피하 투여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학 조성물은 경구적으로 투여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약학 조성물의 투여 형태는 예를 들어 정제, 환제, 과립제, 산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또는 캡슐제를 포함한다. 정제, 환제, 과립제 또는 산제와 같은 고체 투여 형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이는 부형제, 결합제 또는 붕해제 등과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기술로 형성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고체 투여 형태는 임의로 금이 새겨질 수 있거나, 코팅 및 쉘, 예컨대 장용 코팅 및 방출 속도를 변경하기 위한 코팅과 함께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고체 투여 형태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부형제를 사용하여 연질 및 경질 젤라틴 캡슐에 캡슐화될 수 있다.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또한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투여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적합한 제형은 에멀젼, 용액, 현탁액 또는 시럽을 포함하며, 물, 글리세롤 에스테르, 알콜, 식물성 오일 등과 같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액상 제형은 임의로 습윤제, 유화제 및 현탁화제, 감미제, 향미제, 착색제 및 방부제와 같은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액상 제형은 또한 연질 젤라틴 캡슐에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는 (R)-(+)-베라파밀을 운반하는 용액, 현탁액, 에멀젼, 침전물 또는 임의의 다른 바람직한 액체 매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는 방출시 (R)-(+)-베라파밀의 용해도를 향상시키도록 설계되거나, 방출시 약물 함유 에멀젼 또는 분산상을 형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의 예는 관련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연질 젤라틴 캡슐은 필요에 따라 약물의 방출을 지연시키기 위한 것과 같은 기능성 코팅으로 코팅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의 경우,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정맥 내, 피하 또는 근육 내 투여용의 주사가능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R)-(+)-베라파밀, (R)-(+)-베라파밀 HCl 또는 이들의 결정질)을 생리 식염수 등의 수용성 용액,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식물성 오일 (예: 참기름)과 같은 유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수불용성 용액에 용해시켜 주사제를 제조할 수 있다.
경피 투여의 경우, 예를 들어, 연고 또는 크림과 같은 투약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연고는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R)-(+)-베라파밀, (R)-(+)-베라파밀 HCl 또는 이들의 결정질)을 지방 또는 오일 등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고; 크림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 (예: (R)-(+)-베라파밀, (R)-(+)-베라파밀 HCl 또는 이들의 결정질)을 유화제와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경피 제형은 액체 또는 분말 제형의 형태일 수 있다. 액체 제형에서는, 물, 염 용액, 인산염 완충액, 아세트산염 완충액 등이 염기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계면활성제, 항산화제, 안정제, 방부제 또는 점착부여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분말 제형은 수용성 폴리아크릴레이트, 셀룰로오스 저급 알킬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아밀라아제 등의 수분 흡수 물질 및 셀룰로오스, 전분, 검, 식물성 오일 또는 가교화 중합체와 같은 수분 비흡수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항산화제, 착색제, 방부제가 분말 제형에 첨가될 수 있다. 액상 또는 분말 제형은 분무 장치를 사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직장 투여의 경우는, 젤라틴 연질 캡슐을 사용한 좌제의 형태일 수 있다.
코 또는 입을 통한 흡입의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R)-(+)-베라파밀, (R)-(+)-베라파밀 HCl 또는 이들의 결정질)을 함유하는 용액 또는 현탁액 및 이 목적을 위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약학적 부형제는 흡입용 에어로졸 스프레이를 통해 흡입된다. 대안적으로, 산제 형태의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R)-(+)-베라파밀, (R)-(+)-베라파밀 HCl 또는 이들의 결정질)은 분말과 폐의 직접 접촉을 허용하는 흡입기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들 제형에는, 필요하다면 등장제, 방부제, 분산제 또는 안정제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가 첨가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이들 제형은 여과에 의해, 또는 열 또는 방사선 처리에 의해 멸균될 수 있다.
진성 당뇨병 및/또는 이와 관련된 장애의 치료에 적합한 본 발명의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유효량은 투여 경로 또는 치료를 받는 대상의 상태, 연령, 성별 또는 체중에 따라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매일 2회, 3회, 4회 또는 그 이상의 횟수로 단일 또는 분할 투여량으로 대상에게 투여된다. 대안적으로, 2, 3, 4, 5일 또는 그 이상으로 한번씩 용량이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1일 1회 투여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1일 2회 투여된다. 투여될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유효량은 약 15 내지 1,000 mg/일, 예컨대 15, 20, 25, 30, 35, 40, 50, 60, 70, 75, 80, 90, 100, 110, 120, 125, 130, 140, 150, 160, 170, 175, 180, 190, 200, 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 300, 310, 320, 330, 340, 350, 360, 370, 375, 380, 390, 400, 410, 420, 430, 440, 450, 460, 470, 480, 490, 500, 510, 520, 530, 540, 550, 560, 570, 580, 590, 600, 610, 620, 630, 640, 650, 660, 670, 680, 690, 700, 710, 720, 730,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860, 870, 880, 890, 900, 910, 920, 930, 940, 950, 960, 970, 980, 990, 1,000 mg/일로서; 바람직하게는 (R)-(+)-베라파밀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은 약 25 내지 800 mg/일, 예컨대 25, 30, 35, 40, 50, 60, 70, 75, 80, 90, 100, 110, 120, 125, 130, 140, 150, 160, 170, 175, 180, 190, 200, 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 300, 310, 320, 330, 340, 350, 360, 370, 375, 380, 390, 400, 410, 420, 430, 440, 450, 460, 470, 480, 490, 500, 510, 520, 530, 540, 550, 560, 570, 580, 590, 600, 610, 620, 630, 640, 650, 660, 670, 680, 690, 700, 710, 720, 730, 740, 750, 760, 770, 780, 790, 800 mg/일의 양으로 투여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 30 내지 600 mg/일, 예컨대 30, 35, 40, 50, 60, 70, 75, 80, 90, 100, 110, 120, 125, 130, 140, 150, 160, 170, 175, 180, 190, 200, 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 300, 310, 320, 330, 340, 350, 360, 370, 375, 380, 390, 400, 410, 420, 430, 440, 450, 460, 470, 480, 490, 500, 510, 520, 530, 540, 550, 560, 570, 580, 590, 600 mg/일의 양으로 투여된다.
상술한 임의의 약학 조성물 및 투여 형태는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치료되는 동일한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R)-(+)-베라파밀 외에 하나 이상의 활성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혈당 강하제가 약학 조성물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혈당 강하제는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 1 (GLP-1) 수용체 작용제, 디펩티딜 펩티다아제-4 (DPP-4) 억제제, 인슐린, 인슐린 유사체, 비구아나이드, 설포닐우레아, 티아졸리딘디온 (TZD), SGL-T2 억제제, 또는 α-글리코시다아제 억제제이다.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적합한 예로는 리라글루티드, 엑세나티드, 알비글루티드 및 LY2189265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DPP-4 억제제는 글립틴류이고, 글립틴류의 적합한 예로는 시타글립틴, 빌다글립틴, 삭사글립틴, 리나글립틴, 게미글립틴, 아나글립틴, 테넬리글립틴, 알로글립틴, 트렐라글립틴, 듀토글립틴, 오마리글립틴, 베르베린 및 루페올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인슐린은 구조, 용도 및 의도된 효과가 자연 발생 인슐린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진성 당뇨병 치료에 유용한, 정제, 합성 및/또는 생물공학적으로 유도된 산물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인슐린은 농장 동물 (예를 들어, 돼지)의 췌장샘과 같이, 포유동물의 췌장 조직으로부터 직접 회수될 수 있다. 달리는, 인슐린은 재조합 기술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인슐린 유사체의 예로는 글라진, 디글루덱 및 디테미르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구아나이드의 바람직한 예로는 메트포르민, 펜포르민 또는 부포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포닐우레아의 적합한 예로는 글리벤클라미드, 글리클라지드, 글리메피리드 및 글리피지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ZD의 예로는 피오글리타존, 로시글리타존, 로베글리타존, 시글리타존, 다글리타존, 엔글리타존, 네토글리타존, 리보글리타존 및 트로글리타존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GLT2 억제제의 예로는 다파글리플로진, 엠파글리플로진, 카나글리플로진, 이프라글리플로진, 토포글리플로진, 세르글리플로진 에타보네이트, 레모글리플로진 에타보네이트 및 에르투글리플로진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α-글리코시다아제 억제제의 적합한 예로는 아카보스, 미글리토스 및 보글리보스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유효량의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메트포르민을 포함한다.
임의적인 실시양태에서,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외의 하나 이상의 활성 화합물 (예를 들어, 혈당 강하제)은 별도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과 함께 대상에 투여된다. 이러한 분리된 제형은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본 조성물의 투여 전, 투여 후 또는 투여와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재료 및 방법
재료.
(R)-(+)-베라파밀 HCl, (S)-(-)-베라파밀 HCl 및 라세미 혼합물은 각각 Center Laboratories Inc (대만 타이페이)로부터 공급받았다. 글루코미터 (Glucometer)는 Abbott사 (미국)제를 구입하였다. 포도당 분석 키트는 Denka Seiken Co. Ltd (일본 도쿄)제를 구입하였다. 인슐린 및 메트포르민은 둘 다 Sigma-Aldrich (미국) 제품이며, HbA1c 분석 키트는 Fujirebio사 (일본) 제품이다.
동물.
야생형 수컷 C57BL/6 마우스 (각각 체중 약 20 내지 25 g임), 비인슐린-의존성 진성 당뇨병 (NIDDM) 수컷 db/db 마우스 (C57BLKS/J lar- +Leprdb/+Leprdb, 각각 체중 약 45±10 g임) 및 db/m+ (C57BLKS/J Lar- m+/+Leprdb) 마우스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C57BL/6 마우스는 BioLASCO Taiwan (Charles River Laboratory (매사추세츠 윌밍턴)에 의해 인가받음)에서 공급받았다.
NIDDM 마우스 및 db/m+ 마우스는 동물 번식 연구소 (Institute for Animal Reproduction: IAR, 일본)에서 공급받았다. 이들 동물은 고인슐린혈증, 고혈당증 및 췌도 위축을 나타냈고 약 10-12 주령이 사용되었다. 이들 동물은 연구 기간동안 개별 환기 케이지 랙 (IVC Racks, 36 Mini Isolator systems (Tecniplast, 이탈리아))에 단독으로 수용되었다.
모든 동물은 제어 온도 (20-24 ℃), 습도 (50-80%) 및 12시간/12시간의 빛/어둠 주기 (오전 7시에 조명을 킴)을 갖춘 동물 시설에서 유지되었으며 음식 및 물은 자유롭게 제공되었다. 마우스를 다루기 위한 실험 절차는 AAALAC-공인 실험 동물 시설 (Eurofins Panlabs Taiwan, Ltd.)에서 "실험실 동물의 관리 및 사용을 위한 지침서: 제8판"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2011)에 명시된 관련 규정을 준수하였다.
STZ에 의해 유도된 당뇨병 마우스 및 처리
야생형 수컷 C57BL/6 마우스에 스트렙토조토신 (STZ, 40 mg/Kg/일로 5일간, 1일차-5일차)을 복수 복강 내 주사하여 당뇨병이 걸리게 하였다. 6일차에 평균 혈당 수치가 160 mg/dL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난 마우스를 이후 연구용으로 채택하였다. 비히클 또는 시험 화합물 (즉, 라세미 형태의 베라파밀 HCl (VPM, bid), (R)-(+)-베라파밀 HCl (R-VPM, bid) 또는 (S)-(-)-베라파밀 HCl (S- VPM, bid))을 6일째부터 1일 2회 각 마우스에 경구 투여하고, 44일 내지 49일째까지 계속하였다. 동물을 인슐린으로 처리하기 위해, 혈당 측정 90분 전에 인슐린을 피하 투여하였다. 비공복 혈당 수치는 6, 15 및 25일째에 측정하였고, 공복 혈당 (즉, 12시간 금식시킨 공복 후 혈당 수치)은 40일 및 50일째에 측정하였다.
NIDDM 마우스 및 처리
NIDDM 마우스 및 db/m+ 마우스 (모의 대조군)를 적어도 1주 동안 순응시킨 후, 6시간 금식시킨 후에 평균 혈당 수치가 ≥350 mg/dl이 되면 치료군으로 나누었다. 시험 화합물 (즉, 라세미 형태의 베라파밀 HCl (VPM, bid), (R)-(+)-베라파밀 HCl (R-VPM, bid), (S)-(-)-베라파밀 HCl (S-VPM, bid), 메트포르민 (1일 1회), 또는 R-VPM (bid)과 메트포르민 (Met, 1일 1회)의 조합)을 지정된 투여량으로 1일째부터 각 마우스에 경구로 공급하고, 45일까지 44일 연속 (실시예 1.2) 또는 43일까지 42일 연속 (실시예 2) 계속하였다. 혈당 및 당화된 헤모글로빈 (HbA1c) 수치를 6시간의 금식 후 지정된 날에 측정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 각 실험 동물의 체중도 또한 측정되었다.
본 실험의 사전 시행 (실시예 1.2) 동안, 50 mg/Kg의 VPM 또는 S-VPM의 bid (1일 2회) 투여로 모든 실험 동물이 죽음에 이르렀기에 본 실험에서는 VPM 또는 S-VPM의 용량을 50 mg/Kg, bid 이하 (예컨대, 15 또는 30 mg/Kg, bid)로 설정하였다. 반면에 R-VPM의 용량은 그러한 제한을 받지 않았다.
통계
결과를 평균 ± 평균의 표준 오차 (SEM)로 표현하였다. 물질 처리 및 비히클 처리 군 간의 통계 비교에 비대응 스튜던트 t-검정 또는 일원 (1-way) ANOVA에 이어 듀넷 (Dunnett) 검정을 사용하였다. †P <0.05, vs 비히클 대조군 (db/m+); *P< 0.05, vs 비히클 대조군 (db/db 또는 STZ에 의해 유도된 마우스); #P< 0.05, vs 메트포르민 (db/db)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스튜던트 비대응 t-검정에 의한 "Met"와 "비히클 대조군 (db/db)"의 비교: 유의성은 실선으로 표시되고, 경향은 점선으로 표시됨.
실시예 1: 당뇨병 마우스에서 (R)-(+)-베라파밀 HCl이 혈당 수치에 미치는 영향
1.1 STZ에 의해 유도된 당뇨병 마우스
본 실시예에서는, "재료 및 방법" 부문에 설명된 절차에 따라 STZ에 의해 유도된 당뇨병 동물에서 라세미 베라파밀 HCl (VPM), (R)-(+)-베라파밀 HCl (R-VPM) 또는 (S)-(-)-베라파밀 HCl (S-VPM)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슐린은 STZ에 의해 유도된 당뇨병 동물에서 비-공복 혈당 또는 공복 혈당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었지만, 라세미 베라파밀 (25 또는 35 mg/Kg, bid)은 공복 혈당 또는 비-공복 혈당 수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R)-(+)-베라파밀 HCl 및 (S)-(-)-베라파밀 HCl의 효과와 관련하여, (R)-(+)-베라파밀 HCl은 공복시 혈당 수치를 낮추는데 (S)-(-)-베라파밀 HCl보다 상대적으로 더 효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2 비인슐린-의존성 진성 당뇨병 (NIDDM) 마우스
본 실시예에서는,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고 이어서 당뇨병성 표현형으로 진행되는 인슐린 신호전달 캐스케이드에 경미한 결함을 가지고 태어난 NIDDM 마우스를 사용하여 라세미 베라파밀 HCl (VPM), (R)-(+)-베라파밀 HCl (R-VPM) 또는 (S)-(-)-베라파밀 HCl (S-VPM)이 혈당 수치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비교를 위해, 5 db/m+ (C57BLKS/J Lar- m+/+Leprdb) 마우스 군을 모의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6시간 금식 동물에서 0일 (처리 전) 및 15일, 30일 및 45일째에 혈당 수치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예상대로, 메트포르민 (300 mg/kg)은 NIDDM 마우스에서 공복 혈당 수치를 감소시켰다; 그러나, 라세미 베라파밀 HCl (30 mg/Kg, bid)도 (S)-(-)-베라파밀 HCl도 공복 혈당 수치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대조적으로, 50 및 75 mg/kg의 bid 용량에서의 (R)-(+)-베라파밀 HCl은 각각 대조 비히클 NIDDM 마우스의 것과 비교하여 공복 혈당 수치를 감소시켰다.
실시예 2 (R)-(+)-베라파밀 HCl 및 메트포르민의 병용 치료는 NIDDM 마우스에서 혈당 수치 및 당화된 헤모글로빈 (HbA1c) 수치를 상승적으로 감소시켰다
실시예 1.2의 결과에 기초하여, 공복 혈당 및 당화된 헤모글로빈 (HbA1c)에 미치는 메트포르민과 (R)-(+)-베라파밀 HCl (R-VPM)의 병용 효과를 NIDDM 마우스에서 추가로 평가하였다. 비교를 위해, 8 db/m+ (C57BLKS/J Lar- m+/+Leprdb) 마우스 군을 모의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혈당 및 HbA1c의 수치를 6시간 동안의 공복 동물에서 0일 (처리 전) 및 15일, 29일 및 43일에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3 및 도 4; 및 표 1 내지 표 6에 제공되었다.
2.1 혈당 수치
도 3을 참조하면, 예상한 바와 같이, 메트포르민은 15일, 29일 및 43일에 NIDDM 마우스의 혈당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었고, (R)-(+)-베라파밀 HCl (R-VPM)도 더 높은 용량 (즉, 30 또는 50 mg/kg, bid)에서 그러하였다. 더 놀랍게도, R-VPM과 메트포르민의 병용 치료는 저용량 R-VPM (즉, 15 mg/Kg, bid)을 투여한 경우에도 혈당 수치의 감소에 상승적인 효과를 보였는데, 이들 단독으로는 혈당 수치를 낮추는데 효과가 없다.
표 1에는 본 연구에서 (R)-(+)-베라파밀 HCl (R-VPM, 15 mg/kg, bid), 메트포르민 (300 mg/kg) 또는 둘 다로 처리된 NIDDM 마우스로부터 수집한 상대 혈당 수치가 각각의 대조군 수치와 비교하여 요약되어 있다. 표 1에서, 각 처리군의 혈당 수치는 대조군에 대한 %로 나타나 있으며, 이때 0일째의 혈당 수치를 100%로 하였다. "비히클" 군에서 혈당 수치는 15일, 29일 및 43일째 대조군에 비해 각각 97.1%, 116.4% 및 121.6%이었다 (표 1의 A 열 참조). "메트포르민" 군에서 혈당 수치는 15일, 29일, 43일째에 0일째의 것에 비해 각각 65.3%, 103.6% 및 108.8% (즉, B 열)였으며, 이들 값을 "비히클" 군의 것과 비교하면, 메트포르민이 15일, 29일 및 43일째에 혈당 수치를 약 31.8%, 12.8% 및 12.8% (즉, C 열)로 성공적으로 감소시킨 것이 명백하다. R-VPM의 효과에 관해서는, 혈당 수치가 대조군 (D 열 대 A 열)보다 더 높았고, 혈당 수치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는데 (즉, E 열); 이는 15 mg/kg (bid) 용량에서 (R)-(+)-베라파밀 HCl은 치료 효과가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대조적으로, R-VPM과 메트포르민의 병용 치료는 15일, 29일 및 43일째에 혈당 수치가 약 42.5%, 35% 및 47.6% 감소하였으며 (H 열), 이는 메트포르민 단독 및 R-VPM 단독 (H 열 대 F 열)에 의한 혈당 변화의 합계보다 훨씬 낮은 것이다. 종합하면, 데이터는 R-VPM과 메트포르민의 병용 치료는 당뇨병 동물에서 혈당 수치를 상승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며, 대조군의 것 (즉, F 열)에 비해 약 1.44, 4.61 및 2.45배 (즉, I 칼럼) 감소하였다.
혈당 수치의 감소에 대한 유사한 상승 효과가 메트포르민과 (R)-(+)-베라파밀 HCl을 고농도로 병용 투여한 경우에도 관찰되었으며, 감소량은 R-VPM 30 mg/Kg, bid에 대해 대조군의 것 (F 열, 표 2)에 비해 각각 약 1.11, 1.49 및 1.52배 (I 열, 표 2), 그리고 R-VPM 50 mg/Kg, bid에 대해 대조군 (F 열, 표 3)의 것에 비해 각각 약 1.17, 1.24 및 1.30배 (I 열, 표 3)이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2.2 당화된 헤모글로빈 (HbA1c) 수준
지속 기간 동안의 평균 혈당 수치를 반영하는 또 다른 일반적인 지표인 당화된 헤모글로빈 (HbA1c)을 또한 본 연구에서 측정하였다. HbA1c는 산소를 전신적으로 운반하는 적혈구 내 단백질인 헤모글로빈이 혈액 내 포도당과 결합하여 "당화"되는 경우 발생한다. 인체 내 적혈구는 재생 전 약 8-12 주 동안 생존하기 때문에 HbA1c의 수준은 그 기간에 걸친 평균 혈당 수치의 전반적인 상황을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NIDDM 마우스에서 HbA1c 수준에 대한 메트포르민, (R)-(+)-베라파밀 HCl (R-VPM) 또는 양자의 효과를 나타낸다. 메트포르민은 HbA1c 수준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R-VPM은 15 mg/Kg, bid의 용량에서는 효과가 없었으며, 30 mg/Kg bid의 용량에서 경미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메트포르민과 R-VPM의 병용 치료는 NIDDM 마우스에서 HbA1c의 수준을 상승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는 실시예 2.1의 결과와 유사하다. 표 4에 요약된 바와 같이, 15 mg/Kg, bid의 (R)-(+)-베라파밀 및 메트포르민의 병용 처리는 메트포르민 단독 및 R-VMP 단독으로 인한 HbA1c 변화의 합계 (F 열, 표 4)와 비교하여 각각 15, 29 및 43일에 HbA1c 수준을 1.56, 11.94 및 3.84배 (I 열, 표 4) 감소시켰다. 유사한 결과를 표 5 및 6에서 관찰할 수 있으며, 감소량은 R-VPM 30 mg/Kg, bid에 대해 대조군의 것 (F 열, 표 5)에 비해 각각 약 1.45, 6.71 및 1.13배 (I 열, 표 5), 그리고 V-RMP 50 mg/Kg, bid에 대해 대조군의 것 (F 열, 표 6)에 비해 각각 약 1.10, 2.92 및 1.41 배 (I 열, 표 6)이었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실시예에서의 결과를 종합하면, (R)-(+)-베라파밀 HCl 단독 (≥ 25 mg/Kg, bid)은 혈당 수치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고 따라서 당뇨병 치료에 유용하다. 가장 놀라운 것은 메트포르민 (300 mg/Kg)과 (R)-(+)-베라파밀 (≥ 15 mg/Kg, bid)의 병용 치료가 혈당 수치뿐만 아니라 장기 당뇨병 지표 - HbA1c 수준에 상승적인 감소를 불러온다는 것이다. 따라서, (R)-(+)-베라파밀은 진성 당뇨병 및/또는 이와 관련된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혈당 강하제의 개발을 위한 선도 화합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구체예들의 설명은 단지 예로서 주어진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명세서, 실시예 및 데이터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체예들의 구조 및 사용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구체예가 특정 정도로, 또는 하나 이상의 개별 구체예를 참조하여 상술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개시된 구체예에 많은 변경을 가할 수 있다.

Claims (6)

  1.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로 구성되는 진성 당뇨병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약학 조성물은 두가지 약제로서 메트포르민과 조합하여 독립적으로 투여되는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R)-(+)-베라파밀은 염산염으로 존재하는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경구, 정맥 내, 근육 내, 피하, 경점막 또는 직장 내 투여에 적합한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경구 투여용 약학 조성물은 정제, 환제, 과립제, 산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또는 캡슐제로서 제공되는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15 내지 1,000 mg의 양으로 약학 조성물내에 존재하는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R)-(+)-베라파밀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25 내지 800 mg의 양으로 약학 조성물내에 존재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217031124A 2016-05-20 2017-05-17 고혈당증의 치료 방법 KR102423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39131P 2016-05-20 2016-05-20
US62/339,131 2016-05-20
PCT/CN2017/084746 WO2017198177A1 (en) 2016-05-20 2017-05-17 Method of treating hyperglycemia
KR1020207037511A KR20210000757A (ko) 2016-05-20 2017-05-17 고혈당증의 치료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511A Division KR20210000757A (ko) 2016-05-20 2017-05-17 고혈당증의 치료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305A true KR20210121305A (ko) 2021-10-07
KR102423967B1 KR102423967B1 (ko) 2022-07-21

Family

ID=6032646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511A KR20210000757A (ko) 2016-05-20 2017-05-17 고혈당증의 치료 방법
KR1020187012063A KR102200664B1 (ko) 2016-05-20 2017-05-17 고혈당증의 치료 방법
KR1020217031124A KR102423967B1 (ko) 2016-05-20 2017-05-17 고혈당증의 치료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511A KR20210000757A (ko) 2016-05-20 2017-05-17 고혈당증의 치료 방법
KR1020187012063A KR102200664B1 (ko) 2016-05-20 2017-05-17 고혈당증의 치료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9980935B2 (ko)
EP (1) EP3413886A4 (ko)
JP (3) JP6692903B2 (ko)
KR (3) KR20210000757A (ko)
CN (2) CN113384571A (ko)
AU (1) AU2017267006B2 (ko)
BR (1) BR112018073688A2 (ko)
CA (2) CA3003319C (ko)
HK (1) HK1254471A1 (ko)
IL (1) IL262994B2 (ko)
MX (1) MX2018013943A (ko)
RU (2) RU2739255C2 (ko)
SG (1) SG11201809899RA (ko)
TW (1) TWI659738B (ko)
WO (1) WO20171981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8073688A2 (pt) * 2016-05-20 2019-02-26 Center Laboratories, Inc. método de tratamento de hiperglicemia
US10639292B2 (en) 2018-04-20 2020-05-05 Center Laboratories, Inc. Method of treating hyperglycemia
EP3981401A1 (en) * 2020-10-06 2022-04-13 InSphero AG Pharmaceutical combination for the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diabetes comprising a calcium channel blocking agent and an incretin mimetic
JP2024515137A (ja) * 2021-04-29 2024-04-04 イルドン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Gpr40アゴニスト及びsglt-2阻害剤を含む医薬組成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0911A1 (en) * 2009-11-10 2013-08-15 Center Laboratories,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a disease or condition related to orexin receptor 1, orexin receptor 2, somatostatin receptor 2 or dopamine d2l receptor
WO2016065930A1 (en) * 2014-10-29 2016-05-06 Center Laboratories, Inc. Crystal forms of verapamil hydrochlorid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16549D0 (en) * 1996-08-06 1996-09-25 Chiroscience Ltd Therapeutic product and its use
US20030092765A1 (en) * 2001-11-15 2003-05-15 John Kelly Treatment of abnormal increases in gastrointestinal motility with (R)-verapamil
KR20130103631A (ko) * 2005-06-03 2013-09-23 미쓰비시 타나베 파마 코퍼레이션 의약의 병용 및 그 용도
RU2338521C1 (ru) * 2007-02-28 2008-11-20 Илья Николаевич Медведев Способ быстрого снижения активности тромбопластиногенерации у лиц с метаболическим синдромом
EP2405934B1 (en) * 2009-03-12 2014-03-26 Nordic Bioscience A/S Treatment of diabetes and metabolic syndrome
CN101869708A (zh) * 2009-04-24 2010-10-27 北京奥萨医药研究中心有限公司 含有钙通道阻滞剂和双胍类降糖药物的药物组合物及其用途
JP2012528170A (ja) * 2009-05-27 2012-11-12 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 スクイブ カンパニー 別の抗糖尿病薬を用いた先の治療に抵抗性を有する2型糖尿病患者をsglt2阻害剤およびその組成物を用いて治療する方法
US20120294936A1 (en) * 2009-11-13 2012-11-22 Astrazeneca Uk Limited Reduced mass metformin formulations
EP2573088A1 (en) * 2011-09-26 2013-03-27 Prous Institute for Biomedical Research, S.A. Pyrano[3,2-c]benzopyran-6(2h)-on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WO2015142865A2 (en) * 2014-03-17 2015-09-2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akaryocidal treatments
BR112018073688A2 (pt) * 2016-05-20 2019-02-26 Center Laboratories, Inc. método de tratamento de hiperglicemi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0911A1 (en) * 2009-11-10 2013-08-15 Center Laboratories,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a disease or condition related to orexin receptor 1, orexin receptor 2, somatostatin receptor 2 or dopamine d2l receptor
WO2016065930A1 (en) * 2014-10-29 2016-05-06 Center Laboratories, Inc. Crystal forms of verapamil hydrochlorid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fluence of verapamil on human glucose tolerance,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57(7), 39D-43D(198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54471A1 (zh) 2019-07-19
CA3114057A1 (en) 2017-11-23
CA3003319A1 (en) 2017-11-23
CA3003319C (en) 2021-05-25
KR102200664B1 (ko) 2021-01-08
US9980935B2 (en) 2018-05-29
RU2020140694A (ru) 2021-01-25
JP7266327B2 (ja) 2023-04-28
KR102423967B1 (ko) 2022-07-21
IL262994B2 (en) 2023-07-01
EP3413886A4 (en) 2019-09-18
AU2017267006A1 (en) 2018-05-10
AU2017267006B2 (en) 2019-07-11
TW201740933A (zh) 2017-12-01
RU2020140694A3 (ko) 2021-10-08
RU2018139578A3 (ko) 2020-06-22
JP2022050572A (ja) 2022-03-30
IL262994A (en) 2018-12-31
CN113384571A (zh) 2021-09-14
JP2019503983A (ja) 2019-02-14
MX2018013943A (es) 2019-03-28
US20180235921A1 (en) 2018-08-23
JP6692903B2 (ja) 2020-05-13
CN108430467B (zh) 2021-06-22
BR112018073688A2 (pt) 2019-02-26
EP3413886A1 (en) 2018-12-19
SG11201809899RA (en) 2018-12-28
JP2020100651A (ja) 2020-07-02
US20170333382A1 (en) 2017-11-23
WO2017198177A1 (en) 2017-11-23
TWI659738B (zh) 2019-05-21
KR20210000757A (ko) 2021-01-05
RU2739255C2 (ru) 2020-12-22
KR20180058816A (ko) 2018-06-01
CN108430467A (zh) 2018-08-21
RU2018139578A (ru) 2020-06-22
US10278943B2 (en) 2019-05-07
IL262994B1 (en) 2023-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6327B2 (ja) 高血糖症を処置する方法
JP5077786B2 (ja) 併用医薬
ES2878001T3 (es) Composiciones del activador de la glucocinasa para el tratamiento de la diabetes
MX2012011517A (es) El uso de diacereina como una terapia adyuvante para diabetes.
US10639292B2 (en) Method of treating hyperglycemia
US20190321327A1 (en) Method of treating hyperglycemia
AU2014221222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U201620286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