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188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188A
KR20210112188A KR1020200027420A KR20200027420A KR20210112188A KR 20210112188 A KR20210112188 A KR 20210112188A KR 1020200027420 A KR1020200027420 A KR 1020200027420A KR 20200027420 A KR20200027420 A KR 20200027420A KR 20210112188 A KR20210112188 A KR 20210112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room
case
space
pcb
har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성진
양창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7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2188A/ko
Priority to US17/776,170 priority patent/US20220397329A1/en
Priority to EP20888608.5A priority patent/EP4060269A4/en
Priority to PCT/KR2020/016014 priority patent/WO2021096301A1/ko
Publication of KR20210112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1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하방에 구비되며, 내부에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방열팬이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며, 상기 방열팬의 구동에 의해 공기가 흡입 및 배출되는 프론트 커버;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의 개방시 노출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 따른 냉매의 순환을 이용하여 생성한 냉기로 다양한 식품을 장시간 보관하도록 제공되는 가전 기기이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보관 대상물을 냉동하여 보관하기 위한 하나 혹은, 복수의 저장실이 서로 구획되면서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저장실은 회전식의 도어로 개폐되는 저장실이 될 수도 있고, 서랍식으로 취출 혹은, 수납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저장실이 될 수도 있다.
상기한 저장실은 보관 대상물의 냉동 보관을 위한 냉동실과, 보관 대상물의 냉장 보관을 위한 냉장실이 포함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냉동실 혹은, 둘 이상의 냉장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특히, 와인, 샴페인과 같은 주류의 소비와 기호가 증대됨에 따라 주류의 종류에 따라 저장에 적합한 냉장고와, 김치와 같은 숙성식품을 장시간 보관하기 위한 냉장고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냉장고의 외관이 냉장고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의 가구들과 조화를 이루도록 외관 설계가 이루어지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빌트인 형태의 냉장고는 드러나는 부분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인테리어적인 측면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들은 기존의 냉장고를 보조하는 역할을 하여 자주 사용되는 음식물을 주방가구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통상적인 냉장고들은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냉장고의 상면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냉장고의 제어부 배치 구조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7-009633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냉장고에서는 제어부의 점검 또는 유지 보수를 위해서 상기 캐비닛 상면에 배치된 제어부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냉장고가 가구 또는 벽체에 매립되는 형태로 장착되는 경우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면으로의 접근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상기 냉장고를 이동시켜야 만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냉장고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 모듈로의 접근이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계실 내측 공간을 활용하여 제어 모듈을 배치하여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빌트인 된 상태에서 제어 모듈의 유지 보수가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캐비닛 내부의 전선의 배치 및 조립 연결이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하방에 구비되며, 내부에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방열팬이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며, 상기 방열팬의 구동에 의해 공기가 흡입 및 배출되는 프론트 커버;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의 개방시 노출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의 개구된 상면은 커버 플레이트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게어 모듈은 상기 커버 플레이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기계실의 바닥면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냉장고의 운전을 위한 메인 피시비가 수용되는 피시비 케이스;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피시비 케이스가 인출입되도록 안내하는 케이스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는 상기 기계실을 좌우 양측으로 구획하는 분리 격벽이 구비되며, 상기 분리 격벽에 의해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는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는 흡입 공간과 상기 압축기가 배치되는 배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배출 공간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기계실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기계실의 바닥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팬은 상기 분리 격벽과 상기 기계실 후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 공간의 공기를 배출 공간으로 강제 송풍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압축기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 모듈의 상하 길이는 상기 상기 배출 공간의 상하 길이보다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 격벽은, 상기 기계실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상기 기계실 전면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흡입 공간이 좁아지도록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공간의 입구는 상기 배출 공간의 출구보다 가로폭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수직부 영역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 상기 아웃 케이스 내측에서 상기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 상기 아웃 케이스의 하단과 결합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와 이격된 하면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l 및 상기 아웃 케이스와 커버 플레이트 및 이너 케이스의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어 모듈과 연결된 와이어 하네스가 통과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이너 케이스의 하면 사이 공간으로 안내하는 하네스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메인 피시비가 수용되는 피시비 케이스;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면에 장착되며, 전면이 개구되어 상기 피시비 케이스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케이스 가이드; 및 상기 메인 피시비와 연결되는 다수의 와이어 하네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개구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통과되어 상기 기계실 상방으로 안내되는 하네스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네스 커버의 내측에는 함몰 형성된 하네스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하네스 수용 공간은 상기 피시비 케이스의 인출입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피시비 케이스의 인출입시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하네스 커버의 전반부에는 상기 하네스 커버 내측의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외측으로 안내되는 하네스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기계실 내부에서 전장부품들과 연결된 하네스의 단부에 형성된 플레이트 커넥터가 노출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단부에는 하네스 커넥터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방의 공간에서 상기 플레이트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케이스는 상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피시비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메인 피시비의 둘레를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피시비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테두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테두리와 상기 피시비 케이스의 둘레면 사이에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안내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가이드는, 상기 피시비 케이스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측면부; 및 상기 하면부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시비 케이스의 인입을 제한하는 후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캐비닛의 하면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전방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기계실을 냉각하고 토출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가구 등에 장착되거나, 높이가 낮은 냉장고에서 효율적인 공간 배치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을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배치하여 상기 캐비닛 내주의 저장 공간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동일한 냉장고의 체적에서 상기 저장 공간의 용적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로 공기가 흡입 및 배출되며, 기계실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를 분리하게 되면, 상기 기계실 내부에 구비된 제어 모듈이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제어 모듈로의 접근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냉장고가 빌트인 되거나 인접하는 벽체 및 가구에 의해 둘레면이 막힌 경우에도 상기 냉장고의 전면에서 냉장고의 이동 없이 상기 제어 모듈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되어 유지 보수가 한층 더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메인 피시비가 수용된 피시비 케이스가 상기 케이스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어 모듈을 분리하지 않고 상기 피시비 케이스를 인출하여 작업 가능하게 됨으로서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이더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와 연결된 와이어 하네스가 상기 피시비 케이스를 인출입 하게 더라도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하네스 커버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피시비에에 와이어 하네스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피시비 케이스를 인출입 할 수 있게 되어 상기 냉장고가 동작중인 상태에서도 상기 피시비 케이스를 인출입 하여 작업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작업 편의성이 한층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네스 커버를 통해 안내되는 와이어 하네스는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커넥터와 용이하게 조립 가능하게 되어 상기 캐비닛 및 기계실 내부의 전장부품들과의 연결 작업이 한층 더 용이하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기계실 내부의 배출 공간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상기 기계실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지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 모듈은 별도의 냉각을 위한 장치 없이도 상기 기계실 내부의 공기 유동을 통해 냉각될 수 있으며, 그로인한 냉각 효율의 향상과 소비 전력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냉장고 내부의 냉각 공기 유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냉장고의 그릴 팬 어셈블리 및 증발기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캐비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기계실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기계실의 프론트 커버와 제어 모듈이 분리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제어 모듈의 피시비 케이스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피시비 케이스와 장착 가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기계실 상면에서의 전선 연결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하네스 커버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기계실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상기 제어 모듈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 관하여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와인 또는 음료가 저장될 수 있는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기계실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모든 타입의 냉장공에 적용 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전체적으로 내부에 저장공간(121)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10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30)에 의해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은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높이가 낮게 만들어진다. 본 실시 예의 냉장고(1)는 아일랜드 식탁 내부 등에 설치되는 빌트인 타입 냉장고로, 일반 냉장고 보다 높이가 낮다. 따라서, 내부 용량 뿐 아니라 각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작다. 따라서, 작고 낮은 설치공간을 활용하기 위해서 부품들을 효과적으로 배치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에서는 압축기(610)를 비롯한 부품을 효과적으로 배치하고, 제어 모듈(700)은 기계실(201)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캐비닛(100)은 전방으로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은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데, 크게는 외측 벽면을 이루는 아웃 케이스(110)와 내측 벽면 즉, 저장공간(121)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의 전면에는 도어(13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130)는 상기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0)의 개구된 전면은 도어(1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0)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한 투시창(142) 구조로 만들어져 저장공간(121)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시창(142)은 내부 투시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창(142)은 선택적인 가시화가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투시창(142)에는 코팅 또는 필름이 부착되어 평소에는 내부가 보이지 않다가 내부의 조명이 켜지게 되면 상기 저장공간(121) 내부가 보이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0)의 하부에는 도어 개방장치(9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900)는 상기 도어(130)의 자동 개방을 위한 것으로, 상기 캐비닛(100)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푸시로드(950)가 상기 도어(130) 배면의 접촉부(133)를 밀어서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900)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의해 동작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의 근처에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거나 상기 도어(130)의 전면을 터치하는 것을 감지하여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0)의 하방에는 기계실(2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1)은 상기 기계실 프레임(2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 프레임(200)이 상기 캐비닛(100)의 하방에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1) 내부에는 압축기(610)와 응축기(620)를 비록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들 중 일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에 구비되는 방열팬(611)에 의해 공기의 유동이 발생되어 상기 압축기(610)의 냉각 및 상기 응축기(620)에서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201) 내부에는 제상수 트레이(240)를 비롯하여 제어 모듈(7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1)의 전면은 프론트 커버(220)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의 전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커버(220)의 전면에는 전체적으로 그릴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부(225)는 상기 프론트 커버(220)를 관통하는 다수의 개구를 포함하여 상기 기계실(201) 내부로의 공기 유입과, 상기 기계실(20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1)의 후면은 리어 커버(213)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어 커버(213)의 일측에 공기 흡입구가 더 형성되어 상기 리어 커버(213)가 형성된 후방를 통해서 외부 공기가 상기 기계실(201) 내측으로 일부 흡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기계실(201)의 상면은 커버 플레이트(25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는 상기 기계실 프레임(20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후단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기계실(201) 내부의 압축기(610)와 방열팬(611) 등과 같은 구성들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610)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돌출된 상기 압축기(610)의 상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사출 형성된 압축기 커버(28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전단에는 상기 도어(130)의 개방을 위한 도어 개방장치(900)가 수용되는 개방장치 설치부(25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700)의 배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일측에는 하네스 커버(29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구조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에 장착된 하네스 커버(290)의 상세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저장공간(121)의 내부는 베리어(400)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121)은 이너 케이스(120)에 의해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120)에 결합되는 상기 베리어(400)에 의해서 상기 저장공간(121) 내부는 상하 방향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400)의 전단에는 디스플레이모듈(4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410)은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냉장고(1)의 운전 조절을 위해 사용자 조작이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410)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어 모듈(7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구획된 상부의 저장공간(121)과 하부의 저장공간(121) 내부에는 다수의 베드(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드(300)는 상기 저장공간(121) 내부를 가로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식품이 안착될 수 있는 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베드(300)는 다수의 막대 또는 봉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냉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개구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드(300)는 병 또는 캔이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드(300)는 상기 상부 저장공간(121b)과 하부 저장공간(121a)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하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드(300)는 상기 저장공간(121)의 내측에서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이너 케이스(12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레일(1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22)은 상기 베드(300)의 양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베드(300)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저장공간(121b)과 하부 저장공간(121a)에는 상기 ㅅkdqn증발기(630b)와 하부 증발기(630a)를 각각 차폐하는 상부 그릴 팬(grill pan) 어셈블리(500b)와 하부 그릴 팬 어셈블리(500ㅁ)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630a,630b)는 상기 이너 케이스(120)의 함몰된 후면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부 증발기(630b)와 하부 증발기(630a)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저장공간(121b)과 하부 저장공간(121a)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증발기(630b)와 하부 증발기(630a)는 각각 상기 그릴 팬 어셈블리(500a,500b)에 의해서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저장공간(121b)과 하부 저장공간(121a)에 구비되는 증발기(630a,630b)와 그릴 팬 어셈블리(500a,500b)는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방에 구비되는 증발기(630b)와 그릴 팬 어셈블리(500b)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각각 증발기(630)와 그릴팬 어셈블리(500)로 표시하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냉장고 내부의 냉각 공기 유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냉장고의 그릴 팬 어셈블리 및 증발기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그릴 팬 어셈블리(500)는 그릴 팬(270)과 슈라우드(520) 및 송풍팬(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 팬(270)은 상기 저장공간(121)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공간(121)의 내부를 구획하여 후방에 배치된 증발기(630)를 차폐하고 상기 저장공간(121)의 후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630)는 상기 그릴 팬(270)의 후방에 배치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그릴 팬(270)의 공기 유입부(275)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부(275)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효과적으로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증발기(630)는 핀타입의 증발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630)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각관(638) 및 상기 냉각관(638)이 통과하는 냉각핀(650)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관(638)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절곡된 후 다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관(638)의 가로방향 연장부 양측에 한쌍의 증발기 홀더(64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증발기 홀더(640) 사이에는 열교환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수의 열교환 핀(65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관(638)은 상기 열교한 핀(650)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릴 팬(270)의 후면 중앙 좌,우측에는 각각 그릴고정단(271)이 형성되어 상기 그길팬이 상기 조장 공간 내측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 팬(270)의 전면에는 공기 유입홀(275) 및 냉기 토출부(27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홀(275)은 저장공간(121)의 공기가 상기 증발기가 구비되는 공간으로 유입되는 부분이고, 상기 냉기 토출부(273)는 반대로 상기 증발기(630)를 지나면서 냉각된 공기가 상기 저장공간(121)으로 토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그릴 팬(270)의 배면에는 슈라우드(520)와 송풍팬(5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슈라우드(520)는 상기 그릴 팬(270) 후방의 공기를 상기 그릴 팬(270) 전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송풍팬(53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냉기 토출부(273)를 향하여 개구된 공간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슈라우드(520)에는 상기 송풍팬(5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냉기 토출부(273) 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벽체(520)가 있고, 상기 가이드 벽체(520)의 단부에는 슈라우드 고정부(522)가 형성되어 상기 슈라우드(520)가 상기 그릴 팬(270)의 배면에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슈라우드(520)에는 송풍팬(53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530)은 다양한 구조의 팬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시예로 축류팬 방식의 박스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530)은 상기 슈라우드(520)의 개구된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증발기(630)를 지나면서 냉각된 공기가 상기 슈라우드(520) 내측을 지나 상기 냉기 토출부(273)를 통과하도록 공기의 유동을 강제한다. 그리고, 상기 냉기 토출부(273)를 통해서 상기 저장공간(121)의 내측으로 토출된 냉기는 상기 저장공간(121)을 냉각한 후 상기 그릴 팬(270) 하부의 공기 유입부(275)로 흡입되어 상기 증발기(630)를 지나면서 재차 냉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송풍팬(530)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121)의 내부에는 냉기가 지속적으로 순환되면서 냉각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캐비닛(10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상기 캐비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캐비닛(100)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110)와, 상기 저장공간(121)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0)은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118)과 후면을 형성하는 백 플레이트(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웃 케이스(110)는 전후방 및 아래쪽으로 개방된 대략 육면체형상이고, 이너 케이스(120)는 아웃 케이스(110)의 내부에 아웃 케이스(110)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아웃 케이스(110)의 후면에는 백플레이트(115)가 조립되고, 전면에는 전면프레임(118)이 조립되며, 저면에는 커버 플레이트(250)가 조립된다.
상기 아웃 케이스(110)의 내부에 이너 케이스(120)가 위치한 상태에서 백플레이트(115), 전면프레임(118) 및 커버 플레이트(250)가 각각 아웃 케이스(110)에 조립된 상태로, 상기 이너 케이스(120)와 아웃 케이스(110)의 사이 공간으로 발포 단열재(미도시)가 충진된다. 이때 상기 백플레이트(115)에는 충진홀(116)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충진홀(116)을 통해서 발포 단열재가 주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아웃 케이스(110)와 이너 케이스(120)의 사이로 발포 단열재가 충진될 때, 상기 캐비닛(100) 내부의 전장부품들과 연결되는 와이어 하네스(730)가 발포되는 단열재에 매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하네스(730)는 발포 단열재의 충진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저장공간(121)이 형성될 수 잇다. 상기 저장공간(121)의 안쪽 벽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22)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공간(121)의 바닥면에는 회피부(123)가 형성되어 상기 기계실(201) 내부의 압축기(610)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0)의 하면은 커버 플레이트(25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는 상기 기계실(201)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 프레임(20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는 금속 판상의 소재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는 전반부를 형성하는 로어 파트(251)와, 후반부를 형성하는 어퍼 파트(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251)는 상기 기계실(201) 내부의 응축기(620) 및 분리 격벽(630)의 상면과 접하는 높이로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252)는 상기 기계실(201) 내부의 방열팬(611)의 상단과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로어 파트(251)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는 후반부가 전반부보다 더 높게 형성되며,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201)의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213)의 개방시 상기 기계실(201)의 후면이 개구될 수 있으며, 이때 높이가 높은 어퍼 파트(252)에 의해 상기 기계실(201) 내부의 넓은 후면이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대적으로 넓은 상기 기계실 후면을 통해서 상기 압축기(610)의 설치 및 상기 압축기(610)와 연결되는 배관의 용접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 파트(252)의 높이는 상기 압축기(610)의 상단보다 더 낮게 형성되며, 상기 압축기(610)와 대응하는 부분은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610)의 상단은 상기 어퍼 파트(252)를 통과하여 돌출되며, 상기 어퍼 파트(252)에 장착되는 압축기 커버(280)에 의해서 상기 압축기(610)의 상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커버(280)는 상기 압축기(610)의 상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며,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커버(280)는 상기 어퍼 파트(252)의 절개부를 차폐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를 형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기계실(201)의 구조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상기 기계실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기계실 프레임(200)은 바닥을 형성하는 하면 플레이트(211)와, 양측 벽면을 형성하는 측면 플레이트(212)와,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 플레이트(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 프레임(200)의 상부에는 커버 플레이트(250)가 결합되어 상기 기계실(201)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는 캐비닛(100)의 하부에 조립되어 캐비닛(100)의 일부로 볼 수도 있으나, 기계실 프레임(200)의 상부를 구성하기도 하므로 기계실 프레임(20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의 전단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분리 격벽(23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 격벽(230)의 후단과 상기 리어 커버(213)의 사이는 상기 방열팬(61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 격벽(230) 및 상기 방열팬(611)의 상단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하단과 접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즉, 상기 분리 격벽(230)과 상기 방열팬(611)에 의해 상기 기계실(201)의 내부 공간은 좌측 공간과 우측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분리 격벽(230)에 의해 상기 기계실(201)의 내부는 흡입 공간(I)과 배출 공간(O)으로 좌우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방열팬(611)은 박스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팬(611)의 구동에 의해 상기 기계실(201) 외부의 공기는 상기 흡입 공간(I)으로 유입된 후 상기 배출 공간(O)을 거쳐 다시 기계실(201)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리 격벽(23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기 기계실(20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231)와, 상기 수직부(231)의 후단에서 상기 방열팬(611)까지 상기 흡입 공간에 배치된 사이드 플레이트(212)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2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공간(I)은 전반부가 후반부보다 더 넓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 공간(O)은 전반부가 후반부보다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 공간(I)의 입구와 배출 공간(O)의 출구는 폭은 서로 동일하거나 비슷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그릴부(225)의 흡입구에 해당하는 상기 흡입 공간(I)의 전단은 상기 그릴부(225)의 토출구에 해당하는 상기 배출 공간(O)의 전단 보다 넓다. 하지만 상기 흡입구에서 연결되는 상기 기계실(201)의 흡입 공간(I)은 응축기(620)가 설치된 지역을 지나면 상기 기계실(201)을 구획하게 설치된 분리 격벽(230)에 의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를 넓게 하여 초기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늘리고, 이를 통해 응축기(620)를 효과적으로 냉각시켜줄 수 있다. 그리고, 응축기(620)를 냉각하기 위한 구역을 지나면 흡입 공간(I)을 줄여 나머지 공간을 압축기(610), 방열팬(611) 및 제어 모듈(700) 등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흡입 공간(I)과 배출 공간(O) 내부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흡입 공간(I)의 전반부에는 흡입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내부에 유동되는 냉매를 냉각하여 방열시키는 응축기(62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응축기(620)가 설치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고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응축기(620) 사이의 효과적인 열교환을 위해 상기 흡입 공간(I)은 전반부가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620) 후방의 상기 흡입 공간(I) 후반부에는 제상수 트레이(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상수 트레이(240)에는 제상시 상기 증발기(630) 또는 상기 증발기(630)가 배치된 저장공간(121) 내측에서 발생되는 물이 집수되는 부분으로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620)와 압축기(610)를 연결하는 냉매관이 상기 제상수 트레이(240) 내측을 지나도록 하여 상기 제상수 트레이(240) 내부의 물을 효과적으로 증발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응축기(620)의 일측에는 추가의 응축관(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응축관은 상기 응축기(620)와 함께 냉매의 응축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기계실을 벗어나 상기 캐비닛(100)의 단열재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기계실(201)의 높이가 낮고 좁아 기계실(201) 안에 충분한 크기의 응축기를 설치하지 못하더라도 이를 보완해줄 수 있으며, 상기 응축관은 실질적으로 상기 응축기(620)의 일부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관은 캐비넷(100)의 외관을 감싸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캐비닛(100) 내외부 온도차이에 의하여 상기 캐비넷(100)의 표면에 이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종의 핫라인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응축관은 상기 이너 케이스(120)와 아웃 케이스(110)의 사이 공간으로 발포 단열재가 충진될 때, 단열재 내부에 매립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 공간(O)의 후방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610)와 상기 압축기(610)와 연결되는 제어 밸브(630)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출 공간(O)의 후방은 부피가 큰 상기 압축기(610)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압축기(610)와 연결되는 냉매 배관의 용접 작업이 용이하도록 넓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밸브(630)는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 또는 유동 방향을 절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밸브(630)는 상기 압축기(610)와 응축기(620)를 연결하는 배관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압축기 커버(28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610)의 전방에는 제어 모듈(7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700)은 상기 배출 공간(O)의 전반부에 위치된다. 상기 제어 모듈(700)은 냉장고(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700)은 기계실(201) 내부에 설치되어 캐비넷(100)의 내부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700)은 상기 기계실(201)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모듈(700)의 하방에는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와 이격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배출 공간(O) 내부의 공기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출 공간(O)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제어 모듈(700)이 냉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 모듈(700)은 메인 피시비(720)가 장착되는 피시비 케이스(710)와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가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 가이드(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는 상면이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메인 피시비가 수용될 수 있는 피시비 수용 공간(70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는 상기 배출 공간(O)에 수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높이를 낮게 하여 공기 유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착 가이드(260)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는 상기 장착 가이드(260)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모듈(700)은 실질적으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 가이드(260)는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양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는 상기 장착 가이드(260)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전단이 상기 기계실(201)의 개구된 전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기계실(201)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220)를 분리하게 되면,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가 노출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를 인출하여 서비스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 모듈(700)의 유지보수를 위해서 상기 냉장고(1)의 후방을 개방할 필요가 없고, 상기 냉장고(1)의 전방에서 제어 모듈(700)을 분리하여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고, 상기 냉장고(1)가 가구 또는 벽체에 매립되는 빌트인 냉장고로 사용되는 경우 냉장고 전체를 설치 장소에서 꺼낼 필요 없이 상기 냉장고(1)의 전방에서 상기 제어 모듈(700)의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700)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에 설치되므로, 기계실(201)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압축기(610) 등의 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제어 모듈(70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700)은 기계실(201)의 높이방향이 아니라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눕혀진 상태로 수납되므로, 적어도 배출 공간(O)의 개구된 전단의 폭방향에 해당하는 좌우 설치 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모듈(700)을 구성하는 메인 피시비의 면적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기계실(201)은 냉장고(1)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분할된 좌우측의 두개의 공간에 넓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기계실(201) 내부의 구성들은 상기 기계실(201)이 차지하는 높이가 최소화되도록 좌우측에 효과적으로 배치되어, 설정된 상기 냉장고(1)의 높이 내에서 상기 기계실(201) 상방에 구비되는 캐비닛(100) 내부의 공간 즉 상기 저장공간(121)의 용량이 최대화되도록 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어 모듈(700)의 구조와 장착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상기 기계실의 프론트 커버와 제어 모듈이 분리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기계실(201) 즉, 상기 기계실 프레임(200)의 전면은 개구되며, 상기 기계실 프레임(200)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프론트 커버(2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커버(220)의 개방시 상기 기계실 프레임(200)의 개구된 전체면이 개방될 수 있게 되며, 상기 기계실(201)의 전면을 통해 내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계실의 배출 공간측에는 제어 모듈이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커버(220)를 제거하여 상기 제어 모듈(700)로 용이한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 모듈(700)을 구성하는 피시비 케이스(710)와 케이스 가이드(260) 구조에 의해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는 상기 기계실(201)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기계실(201) 전면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만을 인출하여 상기 제어 모듈(700)의 유지 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는 상기 기계실(20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는 상기 배출 공간(O)의 출구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 공간(O)의 가로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는 상기 압축기(610)의 전방에서 상기 배출 공간(O)의 전단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의 하면은 상기 기계실(201)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배출 공간(O)을 통과하는 공기가 지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0)과 상기 기계실 프레임(200)의 결합시 상기 기계실(20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의 하면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상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공간의 내측에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모듈(700)은 상기 캐비닛(100)의 하면에 메달린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0)과 상기 기계실(201)의 결합될 때 상기 기계실(201)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는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배출 공간(O)의 개구된 전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커버(220)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 모듈(700)이 차폐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220)를 분리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 모듈(700)이 노출될 수 있다 .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 모듈(700)의 구체적인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상기 제어 모듈의 피시비 케이스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피시비 케이스와 장착 가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어 모듈(700)은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와,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냉장고(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피시비(720) 그리고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가 장착되는 케이스 가이드(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는 상면이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둘레면의 높이는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의 상하 폭과 같거나 다소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폭과 길이가 길고 높이가 낮은 납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는 상기 메인 피시비(720)를 가능한 넓고 크게 배치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730)가 측방을 따라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인 피시비(720)의 배치 공간은 확보하되 상기 배출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내측에는 이너 테두리(7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테두리(713)는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내측면 바닥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메인 피시비(720)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테두리(713)의 내측에 상기 메인 피시비(720)가 장착될 수 있는 피시비 수용부(7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720)는 상기 피시비 수용부(701) 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 테두리(713)와 접하여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메인 피시비(720)는 스크류의 체결 또는 후크 결합에 의해서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 내측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테두리(713)의 외측에는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둘레면(711)과 이격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테두리(713)와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둘레면(711)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메인 피시비(720)와 연결된 와이어 하네스(730)들이 후방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둘레면(711)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부(71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712)는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의 양측면 즉 제 1 측면부(262)과 제 2 측면부(263)의 내측면과 접하는 부분으로,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인출입시 상기 제 1 측면부(262) 및 제 2 측면부(263)과 선접촉에 의해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가 원활하게 인출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테두리(713)에는 다수개의 절개된 와이어 통과부(713a,713b,713c)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피시비(720)와 연결된 와이어 하네스(730)들이 상기 이너 테두리(713)를 지나 상기 이너 테두리(713)와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둘레면(711) 사이 공간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통과부(713a,713b,713c)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730)가 연결되는 지점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테두리(713)와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둘레면(711) 사이 공간에는 와이어 결속부(7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결속부(715)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너 테두리(713)와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둘레면 사이로 안내되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730)가 이탈하지 않고 내부 공간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가 인출입되는 과정에서도 상기 와이어 하네스(730)는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 내측에서 고정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 또는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와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후면에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730)가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외측으로 안내되는 케이스 출구(7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출구(716)는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 후면의 가이드 출구(264a)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 외측으로 안내되는 와이어 하네스(730)는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를 통과하여 하네스 커버(290)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는 금속 판 형상의 소재로 성형될 수 있으며, 다수회 절곡되어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양측면과 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는 전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수용된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가 전방으로 인출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하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는 하면부(261)와 제 1 측면부(262), 제 2 측면부(263), 후면부(264) 그리고 상면부(265,2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면부(261)는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하면 크기와 대응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되어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면부(261)에는 하면 개구(261b)가 형성되어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가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 공간(O)을 지나는 공기는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하면과 직접 접하게 되어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 및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에 장착된 상기 메인 피시비(720)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하면부(261)의 전단에는 입구 경사면(26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 경사면(261a)은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인입시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후면 및 하단과 접할 수 있으며,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가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면부(261)의 전단 일측에는 전단 절개부(261c)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단 절개부(261c)는 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함몰된 형상으로 절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가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 내측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단 절개부(261c)를 통해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하면 전반부가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인입된 상태의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인출시 상기 전단 절개부(261c)를 통해 노출된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일측을 잡고 당길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면부(261)의 좌우 양측단에는 제 1 측면부(262)와 제 2 측면부(26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부(262)와 제 2 측면부(263)는 상기 하면부(261)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부(262)와 제 2 측면부(263)의 높이는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높이와 같거나 다소 크게 형성되어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가 원활하게 인출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부(262)는 상기 하면부(261)의 후단에는 전반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측면부(262)에는 측면 개구(262a,262b)가 형성되어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측면부(263)는 상기 하면부(261)의 일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하면부(261)의 전단에서 전반부 일측까지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측면부(263)의 후방에는 측면 절개부(263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측면부(263)는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일측을 구속하는 역할을 하되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외측면이 상기 기계실(201)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265,266)는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의 고정 장착을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 측면부(262)에서 절곡되는 제 1 상면부(265,266)와 상기 제 2 측면부(263)에서 절곡되는 제 2 상면부(265,2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면부(265,266)와 제 2 상면부(265,266)는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각각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면부(264)는 상기 하면부(261)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후면을 지지하여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삽입 위치를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부(264)에는 상기 가이드 출구(264a)가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하네스(730)가 후방으로 출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출구(264a)를 통해 안내되는 와이어 하네스(730)는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인출입시에도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730)의 연결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상기 기계실 상면에서의 전선 연결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하네스 커버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로부터 안내되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730)는 상기 기계실(201)의 내측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 하네스(730)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에 장착된 하네스 커버(290)를 통과하여 안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 중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후단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하네스 커버(29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네스 커버(290)는 상기 기계실(201) 내측의 와이어 하네스(730)를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 상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네스 커버(290)는 하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관통된 개구를 차폐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네스 커버(290)의 일측에는 하네스 커버 출구(296)가 형성되어 상기 상기 하네스 커버(290) 내측으로 안내된 와이어 하네스(730)가 상기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 상방에서 상기 하네스 커버(290) 외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하네스 커버(290)는 하면이 개구며 함몰된 하네스 수용 공간(291)을 형성하는 커버 바디(292)와 상기 커버 바디(292)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커버 테두리(2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테두리(293)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관통된 개구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292)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외측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외측면에 격자 형상의 보강 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단열재의 성형을 위해 발포액이 채워질 때 압력에 의해 상기 하네스 커버(29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바디(292)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의 하네스 수용 공간(291) 또한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의 인출입시에 필요한 충분한 길이의 상기 와이어 하네스(73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하네스(730)가 상기 상기 하네스 수용 공간(291)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 테두리(293)의 내측을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삽입 리브(29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리브(294)는 상기 하네스 커버(290)의 장착시 상기 관통된 개구의 둘레와 접하며, 상기 관통된 개구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리브(294)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커버 후크(294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후크(294a)는 상기 관통된 개구의 둘레에 걸림 구속되어 상기 하네스 커버(290)가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상에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바디(292)의 전반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네스 출구부(29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네스 출구부(295)는 상기 커버 바디(292)의 외측면과 수직한 방량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하네스 수용 공간(291)과 연통되는 하네스 커버 출구(296)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네스 커버(290)를 통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 상방으로 안내된 상기 와이어 하네스(730)의 단부에는 하네스 커넥터(7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네스 커넥터(731)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에 구비되는 다수의 플레이트 커넥터(259)와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네스 커넥터(731)와 플레이트 커넥터(259) 사이의 연결에 의해 상기 기계실(201) 및 상기 캐비닛(100)에 구비되는 전장부품들은 상기 메인 피시비(720)와 연결 가능하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 커넥터(259)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커넥터(259)의 하단은 상기 기계실(201) 내측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장 부품들은 상기 기계실(201) 내측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 커넥터(259)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계실(201) 내부의 압축기(610) 및 방열팬(611) 등과 연결되는 플레이트 커넥터(259)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7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00) 및 상기 도어 개방장치(900) 또한 상기 플레이트 커넥터(259)를 통해서 상기 와이어 하네스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구성은 상기 제어 모듈(700)에 의해서 전체적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채워진 단열재에 의해 상기 와이어 하네스(730)는 상기 캐비닛(100) 내측에 매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 하네스(730)는 상기 하네스 커버(290) 내측에 소정의 길이 만큼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를 인출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 하네스(730)는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1)에서 상기 기계실(201) 내부의 공기 유동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상기 기계실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의 운전 중에는 기계실(201)의 온도가 상승한다. 특히, 상기 압축기(610)와 응축기(620)의 온도가 크게 올라가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기계실(201) 내부의 공기유동을 통해 이러한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방열팬(611)이 동작하면 방열팬(611)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여기서 외부(냉장고가 설치된 장소)의 공기가 프론트 커버(220)을 통해 흡입 공간(I)으로 유입(화살표 ①방향)되면, 공기는 곧바도 응축기(620)를 만나게 된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 흡입 공간(I)의 입구는 배출 공간(O)의 출구 보다 넓다. 즉, 상기 흡입 공간(I)의 입구를 넓게 하여 초기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늘리고, 이를 통해 응축기(620)를 효과적으로 냉각시켜줄 수 있다.
그리고, 유입된 공기는 제상수트레이(240) 위를 지나면서 제상수의 일부를 증발시킬 수 있다.(화살표 ②방향) 이때, 유입된 공기는 분리격벽(230)에 의해 안내된다. 즉, 유입된 공기는 압축기(610)를 비롯한 배출 공간(O) 쪽으로 유동하지 않고, 분리격벽(230)을 따라 방열팬(611)쪽으로 유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리격벽(230)의 후단측 부위에 방열팬(611)이 설치되어, 방열팬(611)이 일종의 벽리격벽(230)의 일부가 된다.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방열팬(611)을 지나면(화살표 ③방향), 방열팬(611)과 마주보는 압축기(610)로 토출되어 압축기(610)를 냉각시킨다. 상기 방열팬(611)은 뚫려있기 때문에 방열팬(611)을 기준으로 흡입 공간(I)과 배출 공간(O)이 서로 연결되지만, 방열팬(611)이 가동하면 공기가 흡입 공간(I)에서 배출 공간(O)으로 흐르기 때문에 그 반대방향으로는 공기가 유동하기 어렵다. 따라서, 압축기(610)의 열기가 응축기(620)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상기 압축기(610)를 지난 공기는 배출 공간(O)을 지난다.(화살표 ④방향) 이때 상기 배출 공간(O)의 위쪽에는 제어 모듈(264)이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제어 모듈(264)의 저면과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의 바닥면 사이에 상기 배출 공간(O)이 형성되고, 이 부분을 공기가 통과한다. 공기가 제어 모듈(264)의 아래쪽을 통과하는 부분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냉각을 마친 공기는 상기 배출 공간(O)의 출구와 맞닿은 상기 그릴부(225)의 일측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화살표 ⑤방향)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유입된 공기가 정해진 일정한 경로를 따라서만 유동하므로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제어 모듈(700)은 상기 배출 공간(O)의 상면에 길고 넓게 배치되어, 상기 제어 모듈(700)과 상기 기계실(201) 바닥을 지나는 공기에 의해 효과적으로 냉각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어 모듈(700)의 유지 보수 작업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는 상기 제어 모듈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상기 제어 모듈(700)에 접근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냉장고(1)가 가구 또는 벽체에 매립되어 전면만이 노출된 상태에서도 상기 제어 모듈(700)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프론트 커버(220)를 제거하게 되면 상기 기계실(201)의 전면에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201)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서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가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노출된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를 전방으로 당겨 인출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에 의해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는 전방 인출이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네스 커버(290)의 내측에 수용된 상기 와이어 하네스(730)들도 함께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와이어 하네스(730)는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가 상기 기계실(201) 외측으로 완전히 인출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를 인출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피시비(720)의 수리, 업데이트 또는 교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를 다시 케이스 가이드(260)의 내측으로 인입시키게 된다.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가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의 내측으로 완전히 인입되면, 상기 와이어 하네스(730)는 상기 하네스 커버(29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케이스(71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프론트 커버(220)를 상기 기계실 프레임(200)에 결합하여 상기 기계실(201)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게 된다.

Claims (20)

  1.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하방에 구비되며, 내부에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방열팬이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며, 상기 방열팬의 구동에 의해 공기가 흡입 및 배출되는 프론트 커버;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의 개방시 노출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개구된 상면은 커버 플레이트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게어 모듈은 상기 커버 플레이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기계실의 바닥면과 이격 배치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냉장고의 운전을 위한 메인 피시비가 수용되는 피시비 케이스;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피시비 케이스가 인출입되도록 안내하는 케이스 가이드를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는 상기 기계실을 좌우 양측으로 구획하는 분리 격벽이 구비되며,
    상기 분리 격벽에 의해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는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는 흡입 공간과 상기 압축기가 배치되는 배출 공간이 형성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배출 공간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기계실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기계실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팬은 상기 분리 격벽과 상기 기계실 후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 공간의 공기를 배출 공간으로 강제 송풍하는 냉장고.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압축기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 모듈의 상하 길이는 상기 상기 배출 공간의 상하 길이보다 더 좁게 형성되는 냉장고.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격벽은,
    상기 기계실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상기 기계실 전면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흡입 공간이 좁아지도록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공간의 입구는 상기 배출 공간의 출구보다 가로폭이 더 크게 형성되는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수직부 영역을 따라서 배치되는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
    상기 아웃 케이스 내측에서 상기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
    상기 아웃 케이스의 하단과 결합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와 이격된 하면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아웃 케이스와 커버 플레이트 및 이너 케이스의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면에 장착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어 모듈과 연결된 와이어 하네스가 통과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이너 케이스의 하면 사이 공간으로 안내하는 하네스 커버가 구비되는 냉장고.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메인 피시비가 수용되는 피시비 케이스;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면에 장착되며, 전면이 개구되어 상기 피시비 케이스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케이스 가이드; 및
    상기 메인 피시비와 연결되는 다수의 와이어 하네스를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개구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통과되어 상기 기계실 상방으로 안내되는 하네스 커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 커버의 내측에는 함몰 형성된 하네스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하네스 수용 공간은 상기 피시비 케이스의 인출입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피시비 케이스의 인출입시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수용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 커버의 전반부에는 상기 하네스 커버 내측의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외측으로 안내되는 하네스 출구가 형성되는 냉장고.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기계실 내부에서 전장부품들과 연결된 하네스의 단부에 형성된 플레이트 커넥터가 노출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단부에는 하네스 커넥터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방의 공간에서 상기 플레이트 커넥터와 결합되는 냉장고.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비 케이스는 상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피시비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메인 피시비의 둘레를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피시비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테두리가 형성되는 냉장고.
  1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테두리와 상기 피시비 케이스의 둘레면 사이에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안내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냉장고.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가이드는,
    상기 피시비 케이스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측면부; 및
    상기 하면부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시비 케이스의 인입을 제한하는 후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00027420A 2019-11-13 2020-03-04 냉장고 KR2021011218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420A KR20210112188A (ko) 2020-03-04 2020-03-04 냉장고
US17/776,170 US20220397329A1 (en) 2019-11-13 2020-11-13 Refrigerator
EP20888608.5A EP4060269A4 (en) 2019-11-13 2020-11-13 REFRIGERATOR
PCT/KR2020/016014 WO2021096301A1 (ko) 2019-11-13 2020-11-13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420A KR20210112188A (ko) 2020-03-04 2020-03-04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188A true KR20210112188A (ko) 2021-09-14

Family

ID=7777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420A KR20210112188A (ko) 2019-11-13 2020-03-04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21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6597A1 (en) * 2021-12-28 2023-07-05 BSH Hausgeräte GmbH A carrier tray for a control unit of a cool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6597A1 (en) * 2021-12-28 2023-07-05 BSH Hausgeräte GmbH A carrier tray for a control unit of a cool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1195B1 (en) Refrigerator having drawer
US20130086936A1 (en) Refrigerator
KR102344627B1 (ko) 냉장고
KR102375122B1 (ko) 냉장고
KR20210112188A (ko) 냉장고
EP4060269A1 (en) Refrigerator
US6014868A (en) Refrigerator with improved cold air supply structure
KR101638191B1 (ko) 냉장고
JP2001174125A (ja) 冷蔵庫
KR100688672B1 (ko) 냉장실도어
KR20170096326A (ko) 냉장고
KR20210112185A (ko) 냉장고
JP5260454B2 (ja) 冷蔵庫
JP3172314B2 (ja) 冷蔵庫
AU2022203947B2 (en) Refrigerator
EP3929512B1 (en) Refrigerator for preventing air supply duct from falling down
AU2022202533B2 (en) Refrigerator
KR20210112189A (ko) 냉장고
JP7401403B2 (ja) 冷却庫
EP3929513B1 (en) Refrigerator with air blower located upstream of lateral side of evaporator
KR20100023352A (ko) 냉장고
KR20110045470A (ko) 저장고의 증발기 파이프 설치 구조와 증발기 파이프
KR20110085603A (ko) 냉장고
KR20210112182A (ko) 냉장고
JP4208280B2 (ja) 貯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