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249A -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249A
KR20210109249A KR1020200024271A KR20200024271A KR20210109249A KR 20210109249 A KR20210109249 A KR 20210109249A KR 1020200024271 A KR1020200024271 A KR 1020200024271A KR 20200024271 A KR20200024271 A KR 20200024271A KR 20210109249 A KR20210109249 A KR 20210109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power transmission
induction heating
mode
transmis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현욱
김의성
김양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4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9249A/ko
Priority to EP21159291.0A priority patent/EP3873176A1/en
Priority to US17/186,923 priority patent/US20210298136A1/en
Publication of KR20210109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36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dapted to induce current in a coil to supply power to a device and electrical heating devices powered in this wa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6Cook-top or cookwar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모드를 변경하며 상기 모드에 따라 대상물을 유도 가열하거나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워킹 코일; 구동 주파수에 따라 온오프되어 상기 전력을 생성하는 인버터; 상기 사용자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대상물을 감지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가능한 대상물인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도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하나의 워킹 코일을 사용하는 다기능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모드 또는 유도 가열 모드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면서도, 무선 전력 전송 모드에서도 대상물의 부하 상태, 즉 소물 가전이 코일이 있는지 없는지 등에 따라 모드를 변환하여 최적화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apable of induction heating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무선 충전이란 전선으로 전력을 전송하여 기기를 충전하는 방식 대신 전력을 대기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하여 기기를 충전하는 방식이다.
무선 충전의 기본 원리는 송신 코일에 교류 전류를 흘리면 송신 코일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 자기장의 영향으로 수신기 코일에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러한 교류 전류를 정류해서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한편, 주방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소형 주방 기기, 즉 소물 가전들은 전력 공급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전자 기기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하는 전기 코드(전원 연결 케이블)를 콘센트에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 경우에, 다수의 전기 코드는 관리, 안전, 공간 활용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 주방에서 사용하는 소물 가전들에 대한 무선 전력 충전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한편, 주방에서 사용하는 소물 가전들 중 유도 전류를 이용한 가열이 요구되는 장치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유도 전류를 이용한 가열 장치는 자기장을 발생시켜 전자 유도를 통해 열을 가하는 인덕션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전기 레인지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전자 유도 가열장치는 내부에 구비된 워킹 코일(Working Coil) 또는 가열 코일에 고주파의 전류를 흐르게 한다.
워킹 코일 또는 가열 코일에 고주파의 전류가 흐르면 강력한 자력선이 발생하게 된다. 워킹 코일 또는 가열 코일에서 발생한 자력선은 조리기기를 통과할 때 와류전류(Eddy Current)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조리기기에 와류전류가 흐름에 따라 열이 생성되어 용기 자체를 가열시키고, 용기가 가열됨에 따라 용기 안의 내용물을 가열시킨다.
이와 같은 유도 가열 가열장치는 한국공개번호 10-2016-0123672 등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에는 한국공개번호 10-2016-0123672 호와 같은 주방에서 사용하는 소물 가전에 따라 유도 가열을 수행하는 가열장치 외에도 무선 충전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다기능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하나의 워킹 코일 또는 가열 코일을 이용하여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유도 가열을 수행하거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다기능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대상 소물 가전에 유도 가열을 수행하거나, 무선 전력 전송을 하는 경우에는 대상 소물 가전이 해당 모드에 적합한 상태를 요한다. 이에 따라 대상 소물 가전이 수신 코일을 포함하는지 여부 등을 판단하여야 하며, 이를 부하 특성 판단으로 칭한다.
한국 공개 특허 2017-0075739호에서는 이와 같은 부하 특성 판단에 대하여 공진 전류를 검출하여 부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부하 판단에 따라 조리 용기의 재질을 판단하여 자성 용기, 비자성용기로 구분하고 그에 맞는 최적의 동작 주파수를 선택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 공개 특허 2017-0075739호에서는 용기의 재질에 따라 최적화된 동작 주파수를 선택하여 유도 가열을 수행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을 뿐, 대상 소물 가전의 종류에 따라 유도 가열 또는 무선 전력 전송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거나 종료하는 기술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미국 특허 US9831686호에는 무선전력전송에서의 소물 가전의 감지를 위해 송신측 시스템에 감지 코일이 존재하고, 감지 회로부에 고주파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이물질과 소물 가전으로 나타나는 감지 주파수를 전압 정보로 변환하여 이물질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무선 전력 전송에서의 이물질 감지로는 수신 코일이 존재하는 소물 가전과 이물질 사이의 구분만이 가능하여, 수신 코일이 없는 주방용 소물 가전, 예를 들어 무선 전기포트 또는 무선 밥솥과 같은 유도 가열을 이용하여 열을 수신하여 내용물을 가열하는 전기제품의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별도의 감지 회로부와 감지 코일이 요구되어 비용 및 공간 활용에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번호 10-2016-0123672호(공개일: 2016년 10년 26일) 한국 공개 특허 10-2017-0075739호(공개일: 2018년 2년 26일) 미국 특허 US9831686호(공개일: 2016년 01년 14일)
본 발명의 제1 과제는 한국공개번호 10-2016-0123672호와 달리, 하나의 워킹 코일을 유도 가열 또는 무선 전력 전송의 다기능으로 사용하는 다기능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여,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일 때, 대상물이 되는 소물 가전의 상태를 판단하여 적합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주방용 소물 가전을 올려 놓은 뒤, 해당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유도 가열 모드 또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드를 선택할 때,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선택된 모드에 따라 주파수를 조절하여 유도 가열 모드 또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과제는 한국 공개 특허 10-2017-0075739호와 달리, 사용자의 모드 선택이 무엇인지 판단하고, 사용자의 모드 선택이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인 경우에 올려져 있는 대상 소물 가전이 무선 전력 전송이 가능한 전자 기기인지를 추가적으로 판단하고, 무선 전력 전송이 가능한 전자 기기가 아닌 경우, 적합한 모드로 변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 모드가 선택될 때에 대상물이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인지, 수신 코일이 없는 소물 가전인지, 유도 가열 가능한 일반 조리 용기인지, 아무 것도 올려져 있지 않은 무부하 상태인지, 또는 이물질이 올려진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각각에 맞는 모드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과제는 정상 전력 전송이 수행하기 전 단계에서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 대상물이 어느 카테고리의 부하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미국 특허 US9831686호와 달리, 별도의 센서 또는 감지를 위한 회로부의 구성 없이 해당 부하 상태를 판단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과제는 대상물의 부하 판단에 있어, 입력 전류를 읽어들여 이에 따라 판단할 수 있는데, 입력 전압이 기준 전압과 상이한 경우, 기준 전압에 대한 보상을 수행하여 해당 보상값에 따라 대상물의 부하 판단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수신 코일이 있다고 판단될 때에도 정상 전력 전송이 진행되기 전에 이물질 감지 모드를 다시 동작하여 사용자의 갑작스러운 조리 용기 올림 또는 이물질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 전력 전송 진행 전까지 부하 판단을 수행하여 안전한 동작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제5 과제이다.
한편, 수신 코일이 없다고 판단될 때에도 바로 진행하지 않고 소프트 스타트 모드를 두어 단계적으로 주파수를 스위칭하면서 현 상태가 수신 코일이 없는 소물 가전인지 무부하 상태인지 일반 가열 용기인지 통신 페어링을 통해 판단하여 적합한 구동 모드로 변경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제6 과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모드를 변경하며 상기 모드에 따라 대상물을 유도 가열하거나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워킹 코일; 구동 주파수에 따라 온오프되어 상기 전력을 생성하는 인버터; 상기 사용자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대상물을 감지하여 상기 대상물이 수신코일 있는 소물 가전을 포함하는 제1 그룹인지, 유도 가열 대상물인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을 진행하는 정상 모드 이전에 준비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준비 구간에서 상기 대상물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유도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상기 대상물이 올려지는 상부 글라스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모드 선택을 유도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모드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대상물 감지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 없는 소물 가전인지 상기 대상물이 가열 용기인지, 상기 대상물이 수신코일 있는 소물 가전, 무부하 및 이물질인 경우를 포함하는 제1 그룹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물 감지 모드에서 인버터에 인가되는 입력 전류를 읽어들여 상기 대상물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소정 기간 동안 복수회의 상기 입력 전류를 읽어들여 상기 입력 전류를 적산하여 상기 입력 전류의 적산 값을 기초로 상기 대상물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전류의 적산 값을 상기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주 전원의 크기에 따라 보상하여 상기 대상물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전류의 적산 값에 대하여 상기 주 전원의 크기가 기준 값을 가질 때를 기준으로 입력된 주 전원의 크기가 상기 기준 값보다 작을 때, 상기 입력 전류의 적산 값을 확장하여 차이를 크게 보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전류를 상기 주 전원의 영전압 포인트에서 카운트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전류의 적산 값이 제1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대상물이 가열 용기로 판단하고, 상기 제2값 이하인 경우, 제1 그룹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값과 제2 값 사이인 경우,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 없는 소물 가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에 대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물 감지 모드 이후 상기 대상물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그룹 중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 있는 소물 가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물과 통신 페어링을 수행한 후 상기 대상물로부터 유도 전압 정보를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도 전압 정보가 제1 임계값 이상인 때,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에 대하여,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이 아닌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물이 상기 수신 코일 없는 소물 가전으로 판단된 경우, 정상 동작 모드로 무선 전력 전송을 하기 전 상기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재확인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확인 모드에서 상기 대상물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대상물이 수신코일 없는 소물 가전인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물과의 통신 페어링을 통해 상기 대상물의 유도 전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 없는 소물 가전인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선택에 따라 모드를 변경하며 상기 모드에 따라 대상물을 유도 가열하거나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유도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 정보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대상물을 감지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가능한 대상물인지 판단하는 준비 단계; 및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가능한 대상물인 경우에만 상기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는 정상 동작 모드 단계를 포함하는 유도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준비 단계는 제1 동작 주파수로 인버터를 구동하면서 상기 인버터의 입력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 없는 소물 가전인지, 상기 대상물이 가열 용기인지,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 있는 소물 가전, 무부하 및 이물질인 경우를 포함하는 제1 그룹인지 판단하는 대상물 감지 단계; 상기 대상물이 상기 잉여 그룹에 속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구동 주파수를 제2 구동 주파수로 변경하고, 상기 대상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인지 판단하는 추가 감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물 감지 단계에서, 소정 기간 동안 복수회의 상기 입력 전류를 읽어들여 상기 입력 전류를 적산하여 상기 입력 전류의 적산 값을 기초로 상기 대상물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대상물 감지 단계에서 상기 입력 전류의 적산 값을 상기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주 전원의 크기에 따라 보상하여 상기 대상물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전류의 적산 값에 대하여 상기 주 전원의 크기가 기준값을 가질 때를 기준으로 입력된 주 전원의 크기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을 때, 상기 입력 전류의 적산 값을 확장하여 차이를 크게 보상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전류를 상기 주 전원의 영전압 포인트에서 카운트할 수 있다.
상기 대상물 감지 단계에서, 상기 입력 전류의 적산 값이 제1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대상물이 가열 용기로 판단하고, 상기 제2값 이하인 경우, 잉여 그룹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값과 제2 값 사이인 경우,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 없는 소물 가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감지 단계는, 상기 대상물과 통신 페어링을 수행한 후 상기 대상물로부터 유도 전압 정보를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유도 전압 정보가 제1 임계값 이상인 때,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에 대하여,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이 아닌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해결 수단을 통해, 하나의 워킹 코일을 사용하는 다기능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모드 또는 유도 가열 모드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면서도, 무선 전력 전송 모드에서도 대상물의 부하 상태, 즉 소물 가전이 코일이 있는지 없는지 등에 따라 모드를 변환하여 최적화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유도 가열 모드 또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드를 선택할 때, 선택된 모드에 따라 주파수를 조절하여 유도 가열 모드 또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동작하면서, 판단된 대상물의 부하 여부에 따라 최적화된 주파수로 동작하여 대상물에 과전류 또는 과전력이 인가되어 기기가 오작동 또는 파손되는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모드 선택이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인 경우에 올려져 있는 대상 소물 가전이 무선 전력 전송이 가능한 전자 기기인지를 추가적으로 판단하고, 가능한 전자 기기가 아닌 경우, 적합한 모드로 변환하여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오류를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 모드가 선택될 때에 대상물이 수신 코일이 존재하는 소물 가전인지, 수신 코일이 존재하지 않는 소물 가전인지, 유도 가열 가능한 일반 조리 용기인지, 아무 것도 올려져 있지 않은 무부하 상태인지, 또는 이물질이 올려진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각각에 맞는 모드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센서 또는 감지회로 없이 해당 부하 상태를 판단 가능하여 비용이 절감되고,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감 수 있으며, 판단 인자에 따라 보상을 수행하여 부하 판단을 수행하여 최적화된 모드 변환이 가능하다.
또한, 수신 코일이 있다고 판단될 때에도 정상 전력 전송이 진행되기 전에 이물질 감지 모드를 다시 동작하여 사용자의 갑작스러운 조리 용기 올림 또는 이물질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 전력 전송 진행 전까지 부하 판단을 수행하여 안전한 동작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수신 코일이 없다고 판단될 때에도 바로 진행하지 않고 소프트 스타트 모드를 두어 단계적으로 주파수를 스위칭 하면서 현 상태가 수신 코일이 없는 소물 가전인지 무부하 상태인지 일반 가열 용기인지 통신 페어링을 통해 판단하여 적합한 구동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무선 전력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개략적인 모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순서도에 대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무선 전력 전송 모드에서의 개략적인 동작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1차 판단 이후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의 1차 판단의 보상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1단계 추가 감지 모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5의 2단계 추가 감지 모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F)/후(R)/좌(Le)/우(Ri)/상(U)/하(D)”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면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1, 제2'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1 구성요소 없이 제2 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도면에서 각 구성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상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무선 전력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상부에 대상물(1)이 위치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대상물(1)을 가열시키거나,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상물(1)은 수신 코일(15)을 가지는 소물 가전, 수신 코일(15)을 가지지 않는 소물 가전, 전자 제품이 아닌 일반적인 가열 가능한 조리 용기 또는 이물질일 수 있다.
수신 코일(15)을 가지는 소물 가전은 무선전력 전송 장치(1)를 통해 수신 코일(15)로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해당 전력을 동력으로 주된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일 예로, 무선 블랜더, 또는 무선 오븐토스터 등일 수 있다.
수신 코일(15)을 가지지 않는 소물 가전은 무선전력 전송 장치(10)의 워킹 코일(12), 즉 송신 코일이 자기장을 발생하여 해당 소물 가전을 직접 가열하는 가전기기로서, 일반적인 조리 용기라고 볼 수 없는 전자 제품을 의미한다. 일 예로, 무선 전기 포트 또는 무선 밥솥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수신 코일(15)을 가지지 않는 소물 가전은 주된 동작을 수행하는 영역, 즉 열을 받아 기능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구동 전력을 요하는 모듈부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픽업 코일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픽업 코일은 송신 코일인 워킹 코일(12)과 대응하는 영역에 빗겨 존재할 수 있으며, 모듈부, 일 예로 통신모듈,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제어 모듈부에 무선 전력 전송을 수신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조리 용기로는, 워킹 코일(12)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2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자기장(20)이 통과가능한 전기 저항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용기를 의미한다. 조리 용기의 재질에 전기 저항 성분이 포함된 경우 자기장(20)은 조리 용기에 와류 전류를 발생 시킨다. 와류 전류는 조리 용기 자체를 발열시키고, 이 열은 전도되어 조리 용기의 내부까지 전달된다. 이에 따라, 조리 용기의 내용물이 조리될 수 있다.
한편, 이물질이 대상물(1)의 위치에 놓여지는 경우, 이물질은 무선 전력 전송을 방해할 수 있는 전기 저항 성분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 편으로서, 숟가락 또는 젓가락 등과 같은 철 바(Iron bar)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자 유도 가열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고, 또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하나의 워킹 코일(12)에 대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반적인 가열 용기를 가열하는 유도 가열 모드로 기능할 수 있고, 수신 코일(15)이 있거나 수신 코일(15)이 없는 소물 가전에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기능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도 2와 같이 상판 글래스(11), 워킹 코일(12)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케이싱(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판 글래스(11)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내부를 보호하고, 대상물(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판 글래스(11)는 여러 광물질을 합성한 세라믹 재질의 강화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판 글래스(11)는 상부에 위치한 대상물(1)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판 글래스(11)의 상부에는 대상물(1)이 위치할 수 있다.
워킹 코일(12)은 대상물(1)의 종류 및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대상물(1)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거나, 가열을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며, 설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워킹 코일(12)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각 코일(12)에 따라 대상물(1)을 배치할 수 있는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상판 글래스(11)의 일 측에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워킹 코일(12)은 상판 글래스(1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워킹 코일(12)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전원 온/오프에 따라 전류가 흐르거나 흐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워킹 코일(12)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도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모드 및 출력에 따라 워킹 코일(12)에 흐르는 전류의 양은 달라질 수 있다.
워킹 코일(12)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 워킹 코일(12)은 자기장(20)을 발생시킬 수 있다. 워킹 코일(12)에 흐르는 전류가 많을수록 자기장(20)은 많이 발생한다.
한편, 워킹 코일(12)에서 발생하는 자기장(20)의 방향은 워킹 코일(12)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워킹 코일(12)에 교류를 흘리게 되면 자기장(20)의 방향은 교류의 주파수만큼 변환된다. 예를 들어, 워킹 코일(12)에 60Hz의 교류를 흘리면 자기장의 방향이 1초에 60번 변환하게 된다.
케이싱 내에 사용자 입력부 및 워킹 코일(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압 및 전류를 수신하고 이를 변환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워킹 코일(12)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모듈(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동 모듈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 위에 실장되는 복수의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체화된 하나의 칩으로 구현가능하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내부에 페라이트(13)을 포함하여 내부의 구동 모듈을 보호할 수 있다.
즉, 페라이트(13)는 워킹 코일(12)에서 발생한 자기장 또는 외부에서 발생한 전자기장이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내부의 구동 모듈에 미치는 영향을 차단하는 차폐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페라이트(13)는 투자율(permeability)이 매우 높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페라이트(13)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자기장이 방사되지 않고, 페라이트(13)를 통해 흐르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적어도 1개의 워킹 코일(12)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를 개시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2개 내지 4개의 워킹 코일(12)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워킹 코일(12)의 코일 크기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코일(12)은 구동 모듈의 제어에 따라 인버터 구동하여 특정 주파수의 전류를 흘림으로써 유도 가열 모드일 때에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화력 레벨에 해당하는 목표 전력을 발생하여 그에 해당하는 열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일 때에는 구동 모듈의 제어에 따라 인버터 구동하여 다른 크기의 주파수의 전류를 흘림으로써 소물 가전으로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워킹 코일(12)은 구동 모듈 내에서 각각의 인버터와 연결되도록 구현 가능하며, 복수개의 워킹 코일(12)이 스위치에 의해 직병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인버터에 연결되도록 구현도 가능하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가 유도 가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소정 주파수의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하여 상판 글라스(11) 위에 올려진 가열 용기에 통과시킨다.
이때, 조리용기의 재질에 전기 저항 성분이 포함된 경우 자기장은 조리 용기에 와류 전류를 발생 시킨다. 와류 전류는 조리 용기 자체를 발열시키고, 이 열은 전도되어 조리용기의 내부까지 전달된다. 이에 따라, 조리 용기의 내용물이 조리되는 방식으로 유도 가열 모드가 진행된다.
페라이트(13)에 의해 워킹 코일(12)(12)에서 발생한 자기장(20)이 이동하는 모습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가 유도 가열 모드로 동작할 때의 회로도를 참고하면, 도 3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은 한 개의 인버터(140) 및 한 개의 워킹 코일(12)(이하에서는 150으로 명명함)을 포함하는 경우 전자 유도 가열 모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전자 유도 가열 모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정류부(120), DC 링크 커패시터(130), 인버터(140), 워킹 코일(12)(150) 및 공진 커패시터(160)를 포함한다.
외부 전원(110)은 AC(Alternation Current) 입력 전원일 수 있다. 외부 전원(110)은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로 교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 전원(110)은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의 정류부(120)로 교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정류부(120, Rectifier)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전기적 회로로서, 정류부(120)는 외부 전원(110)을 통해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이때, 정류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DC 양단을 DC 링크라고 한다. DC 양단에서 측정 되는 전압을 DC 링크 전압이라고 한다. 공진 곡선이 동일한 경우 DC 링크 전압에 따라 출력 전력이 달라질 수 있다. DC 링크 커패시터(130)는 외부 전원(110)과 인버터(140) 사이의 버퍼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DC 링크 커패시터(130)는 정류부(120)를 통해 변환된 DC 링크 전압을 유지시켜 인버터(140)까지 공급한다.
인버터(140)는 워킹 코일(12)(150)에 고주파의 전류가 흐르도록 워킹 코일(12)(150)에 인가되는 전압을 스위칭한다. 인버터(140)는 일반적으로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로 이루어진 스위칭 소자를 구동시킴으로써 워킹 코일(12)(150)에 고주파의 전류가 흐르게 하고, 이에 따라 워킹 코일(12)(150)에 고주파 자계가 형성된다.
워킹 코일(12)(150)은 스위칭 소자의 구동 여부에 따라 전류가 흐르거나 전류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 워킹 코일(12)(150)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발생한다. 워킹 코일(12)(150)은 전류가 흐름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켜 조리 용기를 가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유도 가열 모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워킹 코일(12)(150)을 전자기 유도에 이용하여 조리 용기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무선전력 전송 모드로 기능하는 경우, 유도 가열에 이용되는 워킹 코일(12)(150)을 무선 전력 전송(WPT, Wireless Power Transfer)에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이란 전선 없이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현 재, 주로 무선 전력 전송에 활용되는 방식으로는 자기유도(MI) 방식, 자기공진(MR) 방식이 있다. 각각의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기유도 방식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간의 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1차(송신) 코일에 전류가 주입되면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2차(수신) 코일은 1차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유도 전류가 발생한다. 2차 코일에서 발생한 유도 전류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자기 유도 방식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장은 약하기 때문에,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매우 근접한 위치에 있어야 충전이 가능하다.
자기공진(자기공명) 방식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력을 주고 받는 방식이다. 즉, 1차 코일에서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생성하면, 2차 코일은 1차 코일에서 생성된 자기장과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설계되어 에너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비교적 원거리에서도 충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코일을 유도 가열 모드에서 사용되는 워킹 코일(12)로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구조를 이용하여 사용자 모드 선택에 따라 해당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워킹 코일(12)(150)의 일측은 인버터(140)의 스위칭 소자의 접속점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일측은 공진 커패시터(160)에 연결된다. 스위칭 소자의 구동은 제어부(190)(미도시)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제어부(190)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시간에 제어되어 스위칭 소자가 서로 교호로 동작하면서 워킹 코일(12)(150)로 고주파의 전압을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로터 인가되는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시간은 점차 보상되는 형태로 제어되기 때문에 워킹 코일(12)(150)에 공급되는 전압은 저전압에서 고전압으로 변한다.
제어부(190)(미도시)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어부(190)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공진 커패시터(160)는 완충기 역할을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공진 커패시터(160)는 스위칭 소자의 턴오프 동안 포화 전압 상승 비율을 조절하여, 턴오프 시간 동안 에너지 손실에 영향을 준다. 공진 커패시터(160)는 정류부(120)로부터 전압이 출력되는 DC 양단과 워킹 코일(12)(150) 사이에 직렬 연결된 복수의 커패시터(160a, 160b)를 포함할 수 있다. 공진 커패시터(160)는 제1 공진 커패시터(160a)와 제2 공진 커패시터(160b)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공진 커패시터(160a)는 일단이 정류부(120)로부터 전압이 출력되는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2 공진 커패시터(160b)와 워킹 코일(12)(150)의 접속점에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공진 커패시터(160b)는 일단이 정 류부(120)로부터 저압이 출력되는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1 공진 커패시터(160a)와 워킹 코일(12)(150)의 접속점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공진 커패시터(160a)의 커패시턴스와 제2 공진 커패시터(160b)의 커패시턴스는 동일하다.
한편, 공진 커패시터(160)의 커패시턴스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공진 주파수(resonance frequency)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도로 구성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공진 주파수는 워킹 코일(12)(150)의 인덕턴스(inductance)와 공진 커패시터(160)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워킹 코일(12)(150)의 인덕턴스와 공진 커패시터(160)의 커패시턴스에 의해 결정된 공진 주파수를 중심으로 공진 곡선이 형성될 수 있다. 공진 곡선은 주파수에 따른 출력 전력을 나타낼 수 있다.
다기능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에 포함된 워킹 코일(12)(150)의 인덕턴스 값과 공진 커패시터(160)의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Q 팩터(quality factor)가 결정된다. Q 팩터에 따라 공진 곡선은 상이하게 형성된다. 최대 전력을 출력하는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f0)라 하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공진 곡선의 공진 주파수(f0)를 기준으로 오른쪽 영역의 주파수를 이용한다. 따라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주파수를 감소시켜 화력 단계를 낮추고, 주파수를 증가시켜 화력 단계를 높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이와 같이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출력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제1 주파수부터 제2 주파수의 범위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제1 주파수부터 제2 주파수의 범위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주파수로 변경하여, 화력을 조절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에서 제어 가능한 최소 주파수인 제1 주파수 및 최대 주파수인 제2 주파수는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는 20kHz이고, 제2 주파수는 75kHz일 수 있다.
제1 주파수를 20kHz로 설정함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가 가청 주파수(약 16Hz~ 20kHz)를 사용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 주파수를 IGBT 최대 스위칭 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 IGBT 최대 스위칭 주파수란 IGBT 스위칭 소자의 내압 및 용량 등을 고려하여, 구동 가능한 최대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GBT 최대 스위칭 주파수는 75kHz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에서 유도 가열로 조리기기를 가열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주파수는 약 20kHz 에서 75kHz에 포함된 주파수일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전송(WPT, Wireless Power Transfer)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가 조리 용기를 유도 가열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파수와 상이할 수 있다. 특히,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조리용기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파수보다 더 높은 대역의 주파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공진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동일한 워킹 코일(12)(150)을 통해 조리기기 가열 기능 및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동작할 때의 회로도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 유도 가열 모드 및 무선 전력 전송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정류부(120), DC 링크 커패시터 (130), 인버터(140), 워킹 코일(12)(150), 공진 커패시터(160a, 160b), WPT 커패시터(170a, 170b) 및 모드 전환 스위치(180a, 18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한 내용은 여기서 생략하기로 한다.
워킹 코일(12)(150)은 전류가 흐름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워킹 코일(12)(150)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2차측 조리 용기를 통과함에 따라 2차측 대상물(1)을 가열시킬 수 있다.
또는, 워킹 코일(12)(150)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2차측 소물 가전을 통과함에 따라 2차측 소물 가전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공진 커패시터(160a, 160b)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공진 커패시터(160a, 160b)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에 포함된 공진 커패시터와 동일하다.
한편, 공진 커패시터(160a, 160b)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동작하거나 조리용기 유도 가열 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WPT 커패시터(170a, 170b)와 병렬 연결되거나 병렬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WPT 커패시터(170a, 170b)는 공진 커패시터(160a, 160b)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WPT 커패시터(170a, 170b)는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100)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동작하도록 무선 전력 전송의 공진 주파수를 낮추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가 조리용기 유도 가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WPT 커패시터(170a, 170b)는 공진 커패시터(160a, 160b)와 연결되지 않는다. 반면에,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WPT 커패시터(170a, 170b)는 공진 커패시터(160a, 160b)와 병결 연결된다. WPT 커패시터(170a, 170b)와 공진 커패시터(160a, 160b)가 병렬 연결 되면, 합성 커패시턴스는 증가하게 된다. 합성 커패시턴스가 증가하면, 아래 수학식 1에 의해 공진 주파수(f0)가 감소하게 된다.
즉,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100)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공진 주파수(f0)가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공진 주파수(f0)를 감소시켜 기존의 인버터(140) 및 워킹 코일(12)(150)을 이용하여 2차측 제품으로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WPT 커패시터(170a, 170b)는 제1 WPT 커패시터(170a)와 제2 WPT 커패시터(170b)로 구성된다. 제1 WPT 커패시터 (170a)는 제1 공진 커패시터(160a)와 병렬 연결될 수 있고, 제2 WPT 커패시터(170b)는 제2 공진 커패시터(160 b)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제1 WPT 커패시터(170a)의 커패시턴스와 제2 WPT 커패시터(170b)의 커패시턴스는 동일하다.
모드 전환 스위치(180a, 180b)는 WPT 커패시터(170a, 170b)와 공진 커패시터(160a, 160b)의 병렬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모드 전환 스위치(180a, 180b)는 WPT 커패시터(170a, 170b)를 공진 커패시터(160a, 160 b)와 병렬 연결되거나 병렬 연결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모드 전환 스위치(180a, 180b)가 온(On)되면 회로가 단락(short)되어, WPT 커패시터(170a, 170b) 와 공진 커패시터(160a, 160b)는 병렬 연결된다. 이에 따라,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f0)가 감소 하게 된다.
반면에, 모드 전환 스위치(180a, 180b)가 오프(Off)되면 회로가 개방(open)되어, WPT 커패시터(170a, 170b)는 공진 커패시터(160a, 160b)와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공진 주파수(f0)는 변경되지 않는다.
모드 전환 스위치(180a, 180b)는 제1 모드 전환 스위치(180a) 및 제2 모드 전환 스위치(180b)로 구성되며, 제1 모드 전환 스위치(180a)와 제2 모드 전환 스위치(180b)는 동시에 동작한다. 제1 모드 전환 스위치(180a)는 제1 WPT 커패시터(170a)와 제1 공진 커패시터(160a)의 병렬 연결 여부를 결정하고, 제2 모드 전환 스위치(180b)는 제2 WPT 커패시터(170b)와 제2 공진 커패시터(160b)의 벙렬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 모드에 따라 모드 전환 스위치(180a, 180b)를 제어하여, 동일한 워킹 코일(12)(150)을 통해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동작시키거나 유도 가열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2 가지의 모드 중 하나의 모드가 선택적으로 동작된다.
이와 같은 모드 선택에 따른 전환 스위치(180a, 180b)의 온오프, 인버터(140)의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등을 제어하고, 전반적인 구동 모듈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190)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로 유도 가열 모드가 선택되면,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제어부(190)는 유도 가열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전환 스위치(180a, 180b)가 오프되어 유도 가열이 진행된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로 대상물(1)에 대한 무선 전력 전송 모드가 선택되면,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전환 스위치(180a, 180b)가 온되어 합성된 커패시턴스에 의한 공진 주파수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이 진행된다.
이때,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에서는 상판 글라스(11) 위에 올려진 대상물(1)이 무선전력 전송 가능한 대상물(1)인지 판단하는 대상물(1) 판단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무선 전력 전송 모드를 선택하였다 하더라도,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올려진 대상물(1)이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없는 전자 제품이거나,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이 아닌 수신 코일이 없는 소물 가전인 경우에 그 동작을 서로 달리하여 진행하여야 한다.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모드 선택 정보에만 근거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수신 코일이 없는 대상물(1)에 대하여 과전류가 흐르게 되거나, 이물질인 경우에도 과전류에 의한 전력 낭비가 유발될 수 있고 고열을 동반하여 장치 자체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무선 전력 전송 모드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였다 하더라도 대상물(1)이 해당 모드로 진행 가능한 대상물(1)인지 판단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에서의 대상물(1)의 판단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개략적인 모드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순서도에 대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 모드에 대한 아이콘 또는 버튼이 선택되어 이에 해당 하는 선택 정보가 제어부(190)로 수신되면,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변환되어 동작을 진행한다.
이와 같은 유도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정상 동작 모드(S60), 즉 수신 대상물(1)을 향해 무선 전력을 방사하는 동작에 이르기까지 복수의 단계를 거치며 준비 구간을 가진다.
이와 같은 정상 동작 모드 전의 준비 구간에서 유도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상판 글라스(11)에 올라가져 있는 대상물(1)의 구분을 위한 감지를 수행한다.
즉, 대상물(1)이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인지, 수신 코일이 없이 직접 가열하며 픽업 코일만 있는 소물 가전인지, 일반적인 가열 용기인지, 이물질인지 또는 아무것도 없는 무부하 상태인지를 구분한다.
이와 같은 대상물(1)에 대한 구분은 하나의 단계에서 동시에 진행하지 않고, 준비 구간에서 정상 동작 모드(S60)까지의 준비를 수행하면서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드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S10), 송신측을 기준으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대상물(1) 감지 모드로 진입한다.
송신측으로 정의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대상물 감지 모드(S20)에서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S30)를 지나 1단계 추가 감지 모드(S40), 및 소프트 스타트 모드(Soft start mode)(S50)를 진행한다.
이때, 소프트 스타트 모드(S50)에서 2단계 추가 감지모드(S70)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정상 동작 모드(S60)로 진입하기 전에 모든 대상물(1)에 대한 감지를 종료하고 해당하는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S70).
대상물 감지 모드(S20)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의 무선 전력 전송 모드 아이콘 또는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며, 제어부(190)는 대상물(1)이 상판 글라스(11) 위에 놓여져 있는지 여부 판단 및 정렬 상태를 예측하기 위한 주파수를 발진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은 발진 주파수에 의해 상기 인버터(140)의 스위칭 소자가 교차로 온오프하여 전류를 흘리게 된다. 대상물 감지 모드(S20)에서 구별되는 대상물(1)은 일반적인 가열 용기인지 아닌지에 대한 것으로서, 시작 주파수로부터 제1 구동 주파수로 스위칭하면서 대상물(1)이 가열 용기인지 아닌지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상물 감지 모드(S20)에서는 대상물(1)이 일반적인 조리 용기인지 아니면 그 외의 수신코일이 존재하는 소물 가전, 수신 코일이 존재하지 않는 소물 가전, 이물질 또는 무부하 상태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상물 감지 모드(S20)에서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가 대상물(1)로의 무선통신을 시도하고 있으나, 실제 무선통신을 통한 수신은 뒤에 1단계 추가 감지 모드에서 대상물(1)인 소물 가전의 전원이 인가될 때 통신 페어링이 시작될 수 있다.
Idle 모드는 사용자 입력부에서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눌러 턴온하는 경우,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제어부(190)를 포함하는 구동 모듈에 전원이 인가되어 제어부(190)가 활성화되는 시작 상태로 정의한다.
이와 같은 Idle 모드는 사용자 입력부와 구동 모듈 사이에 유선통신이 진행되나 실질적인 제어부(190)의 구동이 시작되지 않는다.
스탠바이 모드(S30)는 대상물 감지 모드(S20) 이후의 단계로서, 무선전력 전송을 위한 영역에 대상물(1)이 있는 경우에 이물질 판단을 위해 제2 동작 주파수로 인버터(140) 구동을 수행하는 주파수 변경 구간으로 정의한다.
이때, 스탠바이 모드(S30)에서는 초기 동작 주파수로부터 제2 동작 주파수로 주파수 스윕(sweep)이 발생하고, 제2 동작 주파수까지 도달하면 실질적인 제1 단계 추가 가지 모드(S40)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처음부터 제2 동작 주파수로 발진하지 않는 것은 dc 링크의 전압이 충전된 상태에서 제2 동작 주파수, 즉 초기 동작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에서의 구동 시에 구동 소음이 발생할 수 있어 단계를 두고 발진을 유도하게 된다.
다음의 제1 단계 추가 감지 모드(S40)는 제2 구동 주파수로 구동하며 수신측, 즉 대상물(1)의 통신 페어링이 진행된 상태에서 대상물(1)의 유도 전압 정보를 수신하여 이물질 여부를 판단하는 구간으로 정의한다.
이때, 이물질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Idle 모드로 다시 진입하고, 이물질이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이물질이 없는 경우 소프트 스타트 모드(S50)로 진입하게 된다.
즉, 제1 단계 추가 감지 모드(S40)부터 수신측, 즉 대상물(1)이 유도 전류에 의해 전원이 주입되어 활성화되는 상태로서, wakeup 모드로 정의되고, 무선 통신이 페어링되어 수신측과 송신측이 서로 통신 시작된다.
소프트 스타트 모드(S50)는 대상물(1)에서 요청하는 전력 파워를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에서 동작하기 위해 해당 전력에 해당하는 주파수까지 변동하는 구간으로 정의된다.
소프트 스타트 모드(S50)에서 대상물(1)이 요청하는 전력 파워 근처에 도달하면 정상 동작 모드(S60)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소프트 스타트 모드(S50)에서도 제2 단계 추가 감지 모드(S70)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단계 추가 감지 모드(S70)에서는 수신 코일이 없는 소물 가전으로 판단되었을 때에 재확인을 위해 추가적인 감지를 수행하는 구간으로 정의된다.
즉, 제2 단계 추가 감지 모드(S70)에서 사용자가 실제 선택한 모드를 재확인하고, 무부하와 수신코일 없는 소물 가전 사이에 판단 착오가 있는지 여부를 재확인 할 수 있다.
정상 동작 모드(S60)는 대상물(1)이 요청하는 전력 파워에 일정한 레벨을 두고, 요청 출력의 변동을 모니터링하여 실제 출력이 요청 출력과 차이가 있는지 판단하는 구간으로 정의한다.
이때, 실제 출력과 요청 출력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실제 출력이 요청 출력보다 작은 경우 파워 업 모드로 진행하여 동작 주파수를 낮추어 출력을 높일 수 있으며, 실제 출력이 요청 출력보다 높은 경우 파워 다운 모드로 진행하여 동작 주파수를 높임으로써 출력을 낮출 수 있다.
대상물(1) 측에서는 사용자가 대상물(1)의 동작 선택 및 동작 시작에 따라서, 작은 파워 혹은 큰 파워의 요청에 따라 제어부(190)가 그에 맞게 요청 출력으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 설명된 각 모드가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진행되면서 정상 동작 모드 전, 준비 구간에서 대상물(1)이 어떤 상태인지에 대한 판단을 선행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전력 전송 모드를 선택하였다 하더라도 올려져 있는 대상물(1)이 무선 전력 전송으로 구동 불가능한 경우에는 Idle 모드로 진행됨으로써 장치를 보호하고 과전류가 흘러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대상물 감지 모드 이후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무선 전력 전송 모드에서의 개략적인 동작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7의 1차 판단 이후에 따른 상세 순서도이며, 도 9는 도 8의 1차 판단의 보상 순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대상물 감지 모드에서 시작 주파수로부터 제1 구동 주파수로 주파수 변경을 진행하며, 제1 구동 주파수에서 대상물(1) 중 일반적인 가열 용기와 수신 코일이 없는 소물 가전, 그리고 나머지 그룹인 제1 그룹으로 분류 가능하다.
제1 그룹은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 이물질 및 무부하 (아무 대상물이 상판 글라스(11) 위에 배치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정의된다.
상기 시작 주파수는 설정되어 있는 기본 주파수로서, 일 예로 75kHz 근처의주파수일 수 있다.
먼저, 도 7과 같이, 인버터(140)의 스위칭 소자에 제공하는 스위칭 신호에 대하여 영전압 카운트를 시작한다(S21).
이때, 영전압 카운트란,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기준 전원인 상용 전력이 60Hz인 기준 전압에 대하여 전파 정류 후 120Hz로 인가되는 정류된 기준 전압의 0전압인 시점에서 감지를 진행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와 같이, 기준 전압이 0이 될 때 감지 또는 카운트를 진행함으로써 입력되는 기준 전압으로부터의 영향이 최소화되는 출력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입력되는 기준 전압이 상용 전원인 바, 정류된 전압의 주파수인 120Hz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준 전압의 0전압 시에 감지 또는 카운트를 진행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20Hz, 즉 8.33ms 마다 카운트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상물 감지 모드가 시작되면, 제어부(190)는 대상물(1) 감지 모드의 시작점, 즉 사용자 입력부로부터의 모드 선택 신호의 수신 시점부터의 영전압 카운트를 수행하여 정확한 영전압 시점을 찾는다.
다음으로, 소정 시간 동안 영전압 카운트를 시작하여 영전압 카운트의 정확도를 높임으로써 오차를 줄인다(S22). 이때, 소정 시간은 적어도 1초일 수 있으며, 3초를 넘지 않는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90)는 기준 시간 동안 카운트된 값이 없는 경우, Idle 모드로 진입하는 기준 시간을 설정한다(S23).
이와 같은 기준 시간은 상기 소정 시간의 최대값인 3초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각 영전압 시점에서 입력 전류를 읽어 들이는 카운트를 수행한다.
이때, 입력 전류는 인버터(140)의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의미하며, 해당 입력 전류를 읽어들여 소정 카운트에 대하여 적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대상물(1)이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먼저, 영전압 카운트를 수행하여 소정 시간, 일 예로 1초의 시간 동안의 카운트가 모두 진행되어 1초가 경과되면(S24), 대상물(1) 감지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S25), 변수를 모두 초기화한다(S26). 이때 변수는 타이머와 플래그 값을 블랭크 처리하는 등의 리셋,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먼저 소정 시간이 경과된 때,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다음 카운트로 진행된다.
제어부(190)가 소정 시간 경과 다음의 주기에서의 영전압 카운트를 수행하며, 즉, 1초+8.33ms 에서 카운트를 수행한다(S27).
이때, 각 변수값을 재설정하고(S28), 인버터(140)에 인가되는 스위칭 신호의 주파수를 초기 주파수로 설정하여 인버터(140)의 스위칭 소자를 구동한다(S29).
일 예로 초기 주파수가 75kHz일 때, 스위칭 신호의 주파수를 75kHz로 설정한다. 이때, 영전압 카운트에서는 카운트만이 진행되고 입력전류의 감지는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인버터(140)의 스위칭 소자가 초기 주파수로 구동을 시작하면, 이와 같은 초기 주파수로의 구동이 소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의 소정 시간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나, 다음 동작 주파수로의 변경 이전까지 지속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 준비 시간인 1초 이후로 l번의 카운트가 진행될 때까지 초기 주파수로 인버터(140)의 스위칭 소자를 구동할 수 있다.
이 동안의 입력 전류의 감지는 수행하지 않고 영전압 카운트만을 진행하면서 커패시터(130)를 충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영전압 카운트를 수행하여 감지 준비 시간인 1초 이후로 l번의 카운트가 진행되면(S32), 인버터(140)의 스위칭 신호를 제1 구동 주파수를 충족하도록 변경하여 제1 구동 주파수의 공진 전류를 흘린다(S33).
이때, 제1 구동 주파수는 이물질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과전력이 부가되지 않는 임계 주파수로서, 일 예로 55kHz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제1 구동 주파수는 초기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로서, 후에 무선 전력 전송이 진행되는 제2 구동 주파수보다 큰 값의 주파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공진 전류의 주파수가 제1 구동 주파수로 변경되면, 현재 카운트가 초기 준비 시간인 1초 이후의 l회 카운트와 초기 준비 시간인 1초 이후의 m회 카운트 사이의 카운트일 때까지의 각 카운트에서 인버터(140)에 흐르는 입력 전류를 감지한다(S34).
이때, 제어부(190)는 각 카운트에서의 감지한 입력 전류를 적산한다(S35).
즉, 적산되는 입력 전류는 m-l회에 해당하는 입력 전류일 수 있다.
일 예로, ㅣ회가 8회를 충족하고, m회가 15회를 충족할 때, 제어부(190)는 9회부터 14회까지의 인버터(140)에 흐르는 입력 전류를 읽어들여 이를 적산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현재 카운트가 이물질 감지 준비 구간인 1초 이후 m회인 경우, 카운트를 종료하고(S36), 공진 전류의 주파수를 초기 주파수로 다시 변경하며, 적산된 값을 기준으로 대상물(1)에 대한 1차 판단을 수행한다(S37).
이와 같은 1차 판단이 진행되는 대상물 감지 모드는 m회 카운트를 포함하며, m이 15인 경우, 125ms 정도가 소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대상물 감지 모드가 복수회에 걸쳐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나, 횟수와 시간은 특정하지 않는다.
m회 카운트까지의 적산된 입력 전류 값을 근거로, 제어부(190)는 대상물(1)에 대한 1차 판단을 수행하며, 이와 같은 1차 판단은 도 8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8을 참고하면, m회의 카운트가 진행되면, 제어부(190)는 소정 횟수, 즉 m-ㅣ회에 감지된 입력 전류에 대한 적산값을 1차 판단 결과로 수신한다(S100).
이때, 1차 판단 결과를 수신하고, 이에 대하여 보상을 수행하여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인지, 수신 코일이 없는 소물 가전인지, 또는 나머지인지 판단한다.
나머지는 무부하, 이물질 또는 가열 용기일 수 있다.
이때, 1차 판단 결과인 m-l회의 입력 전류 적산 값은 이하에서는 입력 전류 적산 값으로 명명한다.
제어부(190)는 입력 전류 적산 값을 기준으로 상기 3개의 그룹 중 어느 하나에 대상물(1)이 속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0)는 입력 전류 적산 값을 적절히 보상하여 보상된 입력 전류 적산 값을 산출함으로써 판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고하여 보상된 입력 전류 적산 값에 따른 대상물(1)의 구분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를 참고하면, 제어부(190)는 먼저 앞에서 적산한 입력 전류 적산 값을 수신하여 이에 따른 분류를 시작한다.
이때, 인가되는 상용 전원, 즉 기준 전원의 입력 전압 값에 따라 입력 전류의 적산 값에 소정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 하기의 보상식을 적용하여 보상된 입력 전류의 값을 산출할 수 있다(S101).
[수학식 1]
보상된 입력전류 적산 값=입력 전류 적산 값+ {(253-입력 전압)/k}+p
이는 입력 전압이 253V일 때의 무부하 상태에서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보상식을 선정한 것으로서, k, p값은 소정의 정수일 수 있다.
일 예로, k값은 4, p값은 1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보상식은 하기의 표 1로부터 도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at00001
표 1을 참고하면, 다양한 대상물(1)에 대한 입력 전압에 따라 m-ㅣ회의 입력 전류의 적산값이 I_input에 기재되어 있으며, I_55k는 제1 동작 주파수인 55kHz에서의 워킹 코일(12)에 흐르는 공진 전류의 합을 기재한 것이다.
WPT는 무부하를 나타내는 것이고, 최소 가열용기는 일반적인 가열 용기를 나타내며, 시편은 이물질의 일 예로서 철 바(iron bar)인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이때, 정심과 편심은 코일이 대상물(1)에 수신 코일이 있는 경우의 워킹 코일(12)과 수신 코일 사이의 정렬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 전류의 적산 값(I_input)이 공진 전류의 적산 값(I_55k)보다 변동량이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대상물(1)의 차이에 따라 입력 전류의 적산 값(I_input)을 기준으로 대상물(1)을 판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입력 전압이 253V가 아닌 경우, 일 예로 287V거나, 220V인 경우, 해당 보상식을 적용하여 각 대상물(1)을 비교할 수 있으며, 입력 전압이 253V보다 작은 경우에도 각 입력 전류 적산 값의 변동량을 키움으로써 대상물(1)의 구분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보상된 입력 전류 적산 값에 근거하여, 해당 적산 값이 제1 값을 초과하는 경우(S102), 대상물(1)이 가열 용기인 것으로 판단한다(S105).
또한, 해당 적산 값이 제1 값 이하 제2 값 이상인 경우(S103), 수신 코일이 없는 소물 가전인 것으로 우선적으로 판단한다(S104).
마지막으로 해당 적산 값이 제1 값 미만인 경우에는 나머지인 제1 그룹, 즉, 무부하거나, 이물질이거나, 수신코일 있는 소물 가전 중 어느 하나인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한다(S106).
따라서, 나머지 제1 그룹에 속하는 경우에는 셋 중 어느 것인지 추가적인 판단을 요한다.
이와 같이 보상된 입력 전류 적산 값을 이용하여 입력 전압에 관계없이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각 그룹 사이의 차이를 넓힘으로써 제1 값 또는 제2 값의 경계에 따라 해당 대상물(1)에 대한 구분이 명확해진다.
이때, 제1 값은 550 내지 65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0 일 수 있다.
또한, 제2 값은 350 내지 45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0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상 모드 이전의 준비 구간에서 수행하는 대상물 감지 모드에서 가열 용기에 대한 구분은 보상된 입력 전류 적산 값의 비교에 의해 명확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9의 판단을 근거로, 도 8에서와 같이 가열 용기로 판단되면(S180), 변수를 초기화하고(S190), 다시 대상물의 감지 준비 단계에서 진행한 Idle 모드를 위한 소정 시간이 경과되는지를 카운트한다(S210).
즉, 영전압 카운트를 다시 시작하여, 상기 Idle 모드를 위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S220), Idle 모드에 진입하게 되며(S230), 무선 전력 전송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동작을 종료한다(S240).
도 8에서 가열용기일 경우와 같이 묶여있는 나머지 대상물(무부하, 이물질)에대하여도 동일하게 동작하나, 이에 대하여는 이후에 설명한다.
한편, 다시 도 8을 참고하면, 정상 동작 모드 이전의 준비 구간에서 이물질 감지 모드가 종료하면서 제어부(190)는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하여 공진 전류의 주파수를 제2 동작 주파수로 변경하고, 제1 단계 추가 감지를 시작한다(S120).
이때, 인버터(140)는 제2 동작 주파수로의 동작을 준비하며, 제2 동작 주파수는 이물질이 있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 추가 감지 모드를 위한 동작 주파수이다.
제2 동작 주파수는 대상물(1)이 수신 코일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대상물(1)의 수신 코일에 흐르는 유도 전류로부터 발생하는 유도 전압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는 동작 주파수일 수 있다.
일 예로, 제2 동작 주파수는 44kHz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고하여 제1 단계 추가 감지 모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1 단계 추가 감지 모드가 시작되면(S200), 제어부(190)는 보상된 입력 전류 적산 값으로 구분하지 못한 나머지 그룹, 즉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가전, 이물질, 및 무부하 중 대상물(1)이 어디에 속하는지 판별한다.
제어부(190)는 대상물(1)의 판별에 있어, 제2 동작 주파수의 공진 전류로 인버터(140)를 구동하여 대상물(1)로부터의 유도 전압 정보를 받아 이에 따라 대상물(1)을 판별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도 10과 같이 제2 구동 주파수로 인버터(140)를 구동하면서 영전압 카운트를 수행하여 소정 시간 동안의 무선전력을 전송한다(S201).
이때, 소정 시간은 인버터(140)가 구동하여 대상물(1)에 유도 전압이 인가되기 충분한 시간일 것을 요하며 일 예로 5초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구동 주파수로의 공진 전류로 인버터(140)를 구동하면서 영전압 카운트를 소정 시간 이상 진행하면, 제어부(190)는 해당 모드에서 통신 페어링을 수행하면서 대상물(1)과의 무선 통신을 진행한다.
이때, 무선 통신은 지그비,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일반적인 통신 방식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90)는 통신부를 통해 대상물(1)로부터 수신 코일에 유도된 유도 전압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유도 전압의 크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S202), 대상물(1)이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으로 판단한다(S203).
대상물(1)이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으로 판단되는 경우, 현재 모드의 원천적인 목적인 이물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4).
즉, 대상물(1)은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이라고 판단하더라도, 해당 대상물(1) 이외에 이물질이 함께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이물질 여부를 판단하여 이물질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인버터(140) 구동을 종료하고 Idle 모드로 진입한다(S205).
한편, 이물질이 없이 수신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만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소프트 스타트 모드로 진입하여 정상 동작을 최종적으로 준비할 수 있다(S206).
한편, 유도 전압이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 유도 전압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소물 가전의 고장이거나, 무부하 또는 이물질로 판단하여 동작을 정지하고 Idle 모드로 진입한다(S207).
이때, 소정 시간 이상으로 영전압 카운트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대상물(1)이 이물질, 일 예로 주방에서 흔히 사용하는 젓가락 등의 아이언 바인 경우, 제2 구동 주파수로 5초 이상 구동 시 급격한 온도 상승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5초 이상으로 구동하지 않을 것을 요한다.
따라서, 제1 단계 추가 감지 모드에서 나머지 중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일 때를 판단하여 소프트 스타트 모드로 진입할 수 있으며, 그 이외의 모드에서 또는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인 경우에도 이물질이 있을 때에는 동작을 종료하고 Idle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90)는 영전압 카운트를 수행할 때, 소정 시간 내에 워킹 코일(150)의 출력 전력을 주기적으로 읽어들일 수 있다(S208).
이는, 소정 시간 내에 사용자가 갑자기 가열 용기 등을 상판 글라스(11) 위에 올릴 수 있는데, 제2 공진 주파수로 인버터(140)가 구동 되는 때에 가열 용기가 올라가는 경우 매우 큰 파워가 갑자기 소비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큰 파워가 워킹 코일(150)에서 감지되면,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동작을 정지하고 Idle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209).
이때, 출력 전력의 비교는 제2 임계값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그 값으로 500W 이상인 경우를 설정할 수 있다.
주방에서 사용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경우, 유도 가열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가열 용기에 대하여도 제2 구동 주파수, 즉 44kHz 주파수에서의 구동에서 화구가 6인치인 경우에 145mm 이상의 지름을 가지는 용기를 사용할 것을 권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건의 가열 용기가 본 단계에서 갑자기 올려지는 경우, 1000W 이상의 출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단계에서 제2 임계값이 500W 일 때, 즉각적으로 가열 용기가 올려져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0과 같이 동작함으로써, 대상물 감지 모드에서의 나머지 대상물에 대하여 도 8에서의 제1 단계 추가 감지 모드에서의 대상물(1)로부터의 유도 전압 정보를 통해 수신 코일을 포함하는 소물 가전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30), 나머지(이물질, 무부하) 경우에 대하여는 무선전력 전송을 중단하는 Idle 모드(S230)로 진입함으로써 사용자가 착오로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의 아이콘을 선택함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를 선택했을 때, 수신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인 경우에는 소프트 스타트 모드로 진입하여 대상물(1)인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가전과의 통신을 통해 원하는 파워 정보를 수신하여 목표 파워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공진 주파수를 변화할 수 있다.
목표 파워에 근접한 공진 주파수까지 천이한 경우, 정상 동작 모드로서 대상물(1)로 목표 파워의 무선 전력을 전송하게 된다.
한편, 도 8과 같이 수신 코일이 없는 소물 가전인 경우(S140), 즉, 대상물 감지 모드에서 보상된 입력 전류의 적산 값이 제1 값과 제2 값 사이로 판단되어 수신코일이 없는 소물 가전으로 판단된 경우에도 제2 단계 추가 감지 구간을 두어 실제 소물 가전이 있는지 여부를 재확인한 후 소프트 스타트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150).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고하여, 수신 코일이 없는 소물 가전으로 판단되어 소프트 스타트 모드로 진입한 이후의 제2 단계 추가 감지 모드를 설명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제어부(190)는 수신 코일이 없는 소물 가전으로 판단된 경우, 소프트 스타트 모드로 진입하여 대상물(1)인 수신코일이 없는 소물 가전과의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원하는 목표 출력에 도달하도록 주파수 천이를 시작한다(S300).
이때, 대상물(1), 즉 수신측은 wakeup 모드로서 통신 페어링이 연결된 상태이며, 수신측의 소물 가전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고 수득 가능하다.
제어부(190)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인지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01).
이와 같은 확인 과정은 제어부(19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이 선택한 모드를 재확인할 수 있도록 유도 가능하다.
또는, 제어부(190)는 사용자가 초기에 선택한 선택 정보를 다시 읽어들여 선택 정보를 다시 한번 확인함으로써 갈음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전송 모드를 선택한 것이 아니고, 사용자가 유도 가열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90)는 전체 모드를 유도 가열 모드로 전환하여 유도 가열을 진행할 수 있다(S310).
이때, 제어부(190)는 사용자에게 해당 모드 전환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림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강제 종료를 유도할 수 있다.
유도 가열 모드가 진행되면, 제어부(190)는 현재 인버터(140)에 흐르는 입력 전류와 공진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여(S311), 소정 기간 경과 후에 입력 전류가 공진 전류 이하인 경우, 소프트 스타트 모드를 종료하고 목표 출력을 낼 수 있도록 정상 동작 모드로 진입한다(S312).
이와 같이 유도 가열 모드로 진행되면, 공진 전류 이하의 입력 전류가 흐르도록 주파수를 설정하면서 직접 대상물(1)을 가열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전류가 공진 전류보다 크면 구동 주파수를 스위칭하여 입력 전류가 공진 전류보다 작도록 유도할 수 있다(S313).
한편,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재확인 되는 경우, 제어부(190)는 소정 시간 동안 제2 동작 주파수로 인버터(140) 구동하면서 통신 페어링을 진행한다.
이때, 도 11과 같이 소정 시간, 일 예로 5초 경과 후 통신 페어링이 확인되어 소물 가전으로부터 유도 전압 정보가 수신되면(S303), 해당 유도 전압의 크기가 제3 임계값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유도 전압의 크기가 제3 임계값보다 큰 경우, 대상물(1)이 수신 코일 없는 소물 가전, 즉 수신 코일은 없으나, 픽업 코일은 존재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가전 제품으로 판단하고, 정상 동작을 진행하는 정상 동작 모드로 진입한다(S304).
반면, 통신 페어링이 진행되지 않아 유도 전압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소물 가전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무선 전력 전송 모드를 종료하고 Idle 모드로 진입한다(S305).
이와 같이, 입력 전류의 적산 값만으로 구분한 대상물(1)에 대한 판단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판단의 가능성을 통신 페어링 여부로 재확인함으로써 수신 코일이 없는 소물 가전으로 확정할 수 있다.
한편, 소정 시간 내의 제2 주파수 구동을 통한 무선 전력 전송 준비 중 워킹 코일(150)의 입력 전류를 주기적으로 읽어들여(S308), 입력 전류가 공진 전류 이하를 충족하도록 주파수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다(S309).
이와 같이 소프트 스타트 구간에서 제2 단계 추가 감지 모드를 두어 입력 전류 적산 값만으로 판단한 수신 코일 없는 소물 가전에 대한 판단치를 재확인하는 한편,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재확인 함으로써 판단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1 및 도 8을 참고하면, 정상 동작 모드가 진행되면 모든 변수를 초기화하고(S306, S170) 주파수를 변경하면서 해당 목표 출력에 따른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S307).
이와 같이, 정상 동작 모드에 진입하여 무선 전력 전송은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 또는 수신 코일이 없는 소물 가전에 한해서 진행되며, 무부하, 이물질, 일반적인 가열 용기 등에서는 진행되지 않고 Idle 모드로 진입하여 동작이 정지된다.
따라서, 정상 동작 모드 이전의 전력 전송 준비 구간에서 소정의 모드로 동작하면서 복수에 걸쳐 대상물(1)의 특성을 판단하고 해당 대상물(1)을 분류함으로써 각 대상물(1)에 대하여 최적화된 모드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 대상물 10: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1: 상판 글라스 13: 폐라이트
15: 수신 코일 20: 자기장
12, 150 : 워킹 코일 120: 정류부
130: dc링크 커패시터 140: 인버터
160: 공진 커패시터 190: 제어부

Claims (27)

  1. 사용자 선택에 따라 모드를 변경하며 상기 모드에 따라 상기 동작 주파수가 변경되어 대상물을 유도 가열하거나 상기 대상물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워킹 코일;
    동작 주파수에 따라 온오프되어 상기 전력을 생성하는 인버터;
    상기 사용자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대상물을 감지하여 상기 대상물이 수신코일 있는 소물 가전을 포함하는 제1 그룹인지, 유도 가열 대상물인지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유도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을 진행하는 정상 모드 이전에 준비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준비 구간에서 상기 대상물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상기 대상물이 올려지는 상부 글라스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모드 선택을 유도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모드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대상물 감지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대상물이 상기 유도 가열 대상물인 수신 코일 없는 소물 가전이거나 가열 용기인지, 상기 대상물이 수신코일 있는 소물 가전, 무부하 및 이물질인 경우를 포함하는 상기 제1 그룹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물 감지 모드에서 상기 인버터에 인가되는 입력 전류를 읽어들여 상기 대상물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기간 동안 복수회의 상기 입력 전류를 읽어들여 상기 입력 전류를 적산하여 상기 입력 전류의 적산 값을 기초로 상기 대상물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전류의 적산 값을 상기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주 전원의 크기에 따라 보상하여 상기 대상물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전류의 적산 값에 대하여 상기 주 전원의 크기가 기준값을 가질 때를 기준으로 입력된 주 전원의 크기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을 때, 상기 입력 전류의 적산 값을 확장하여 차이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전류를 상기 주 전원의 영전압 포인트에서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류의 적산 값이 제1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대상물이 가열 용기로 판단하고, 상기 제2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그룹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값과 제2 값 사이인 경우,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 없는 소물 가전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대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물 감지 모드 이후 상기 대상물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그룹 중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 있는 소물 가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물과 통신 페어링을 수행한 후 상기 대상물로부터 유도 전압 정보를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도 전압 정보가 제1 임계값 이상인 때,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대하여,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이 아닌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모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물이 상기 수신 코일 없는 소물 가전으로 판단된 경우, 정상 모드로 무선 전력 전송을 하기 전 상기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재확인 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확인 모드에서 상기 대상물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대상물이 수신코일 없는 소물 가전인지 여부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물과의 통신 페어링을 통해 상기 대상물의 유도 전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 없는 소물 가전인지 여부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8. 사용자 선택에 따라 모드를 변경하며 상기 모드에 따라 대상물을 유도 가열하거나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유도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 정보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인지 유도가열 모드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선택 정보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인 경우, 상기 대상물을 감지하여 상기 대상물이 수신코일 있는 소물 가전을 포함하는 제1 그룹인지, 유도 가열 대상물인지 판단하는 준비 단계; 및
    상기 대상물이 수신코일 있는 소물 가전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는 정상 동작 모드 단계
    를 포함하는 유도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단계는
    제1 동작 주파수로 인버터를 구동하면서 상기 인버터의 입력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 없는 소물 가전인지 상기 대상물이 가열 용기인지, 상기 대상물이 수신코일 있는 소물 가전, 무부하 및 이물질인 경우를 포함하는 상기 제1 그룹인지 판단하는 대상물 감지 단계; 및
    상기 대상물이 상기 제1 그룹에 속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구동 주파수를 제2 구동 주파수로 변경하고, 상기 대상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인지 판단하는 추가 감지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 감지 단계에서, 소정 기간 동안 복수회의 상기 입력 전류를 읽어들여 상기 입력 전류를 적산하여 상기 입력 전류의 적산 값을 기초로 상기 대상물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 감지 단계에서 상기 입력 전류의 적산 값을 상기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주 전원의 크기에 따라 보상하여 상기 대상물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류의 적산 값에 대하여 상기 주 전원의 크기가 기준값을 가질 때를 기준으로 입력된 주 전원의 크기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을 때, 상기 입력 전류의 적산 값을 확장하여 차이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류를 상기 주 전원의 영전압 포인트에서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 감지 단계에서, 상기 입력 전류의 적산 값이 제1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대상물이 가열 용기로 판단하고, 상기 제2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그룹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값과 제2 값 사이인 경우,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 없는 소물 가전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감지 단계는, 상기 대상물과 통신 페어링을 수행한 후 상기 대상물로부터 유도 전압 정보를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 있는 소물 가전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전압 정보가 제1 임계값 이상인 때,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대하여, 상기 대상물이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이 아닌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모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200024271A 2020-02-27 2020-02-27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1010924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271A KR20210109249A (ko) 2020-02-27 2020-02-27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EP21159291.0A EP3873176A1 (en) 2020-02-27 2021-02-25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induction heat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7/186,923 US20210298136A1 (en) 2020-02-27 2021-02-26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induction heat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271A KR20210109249A (ko) 2020-02-27 2020-02-27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249A true KR20210109249A (ko) 2021-09-06

Family

ID=74758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271A KR20210109249A (ko) 2020-02-27 2020-02-27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298136A1 (ko)
EP (1) EP3873176A1 (ko)
KR (1) KR202101092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694A1 (ko) * 2021-11-10 2023-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조리 기기 위치 식별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672A (ko) 2015-04-16 201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70075739A (ko) 2014-10-31 2017-07-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 모드 수신기-제한 사용자 장비(ue)에서의 각각의 셀에 대한 최고 가능 랭크를 측정, 보고 및 할당하기 위한 메커니즘
US9831686B2 (en) 2013-03-05 2017-11-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5150B2 (en) * 2006-03-23 2008-04-08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Food preparation system with inductive power
US20120305546A1 (en) * 2011-06-06 2012-12-06 Mariano Pablo Filippa Induction cooktop pan sensing
EP2797384A4 (en) * 2011-12-20 2015-04-29 Panasonic Corp CONTACTLESS DINING AND CONTACTLESS TRANSMISSION SYSTEM
JP6277086B2 (ja) * 2014-08-25 2018-02-0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高周波加熱装置
US10734845B2 (en) * 2016-06-30 2020-08-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induction heating cooker
US10874244B2 (en) * 2016-09-08 2020-12-29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imited Adaptive thermal control for a cooking system
KR20180095332A (ko) * 2017-02-17 201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테이블 및 그 동작 방법
US10399127B2 (en) 2017-06-30 2019-09-03 L'oreal Piezoelectric systems and appliances for removing eye makeup and related methods
ES2714403A1 (es) * 2017-11-28 2019-05-28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Sa Sistema de cocción
EP3598850B1 (en) * 2018-07-18 2020-12-16 LG Electronics Inc. -1- Induction heating device performing container sens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1686B2 (en) 2013-03-05 2017-11-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170075739A (ko) 2014-10-31 2017-07-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 모드 수신기-제한 사용자 장비(ue)에서의 각각의 셀에 대한 최고 가능 랭크를 측정, 보고 및 할당하기 위한 메커니즘
KR20160123672A (ko) 2015-04-16 201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694A1 (ko) * 2021-11-10 2023-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조리 기기 위치 식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98136A1 (en) 2021-09-23
EP3873176A1 (en)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9100B2 (ja) 無線電力伝送のための熱バリア
US9955529B2 (en) Smart cookware
JP6008139B2 (ja) 非接触給電装置およ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CN102823323B (zh) 感应加热烹调器
CN104159479B (zh) 在感应加热炊具上操作的无线厨房用具
CN102934517B (zh) 感应加热烹调器
US20210274606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induction heat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5053362A1 (ja) 加熱調理器、調理器具および加熱調理システム
JP6403808B2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及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JP6731058B2 (ja) ワイヤレス電力伝送のためのデバイス、電力送信機、及び方法
JP6328572B2 (ja) 非接触給電機能付き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727744B1 (ko)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의 동작제어를 위한 부하 인식 방법
US20240206022A1 (en) Induction energy transmission system
KR20210109249A (ko)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10109250A (ko)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210274604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induction heat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834681B2 (ja) 加熱調理のシステムおよび調理器具
KR20210109248A (ko)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10081053A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기 및 그의 구동 모듈
JP2014229425A (ja) 誘導加熱調理器
US20240060653A1 (en) Cooktop
US20220140660A1 (en) Wireless power system,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KR102194277B1 (ko) 유도 가열을 이용한 스마트 케틀
JPH0982467A (ja) 電磁調理器
KR101139770B1 (ko) 유도가열조리기의 전용내솥 판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