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371A - 세제 투입장치, 분말세제 및/또는 액체세제 수용·투입용기 및 해당 시스템 - Google Patents

세제 투입장치, 분말세제 및/또는 액체세제 수용·투입용기 및 해당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371A
KR20210105371A KR1020217020845A KR20217020845A KR20210105371A KR 20210105371 A KR20210105371 A KR 20210105371A KR 1020217020845 A KR1020217020845 A KR 1020217020845A KR 20217020845 A KR20217020845 A KR 20217020845A KR 20210105371 A KR20210105371 A KR 20210105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etergent
screw conveyor
receiving area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0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슐락
Original Assignee
스마익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8009551.8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8009551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9001063.9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9001063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9005000.2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9005000A1/de
Application filed by 스마익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스마익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05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2Liquid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4Powder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6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the powder or tablets being added directly, e.g. without the need of a flu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2Detergent or additive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세제용 제1용기(9)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최소 한 개의 제1수용 영역(5)과 세탁할 세탁물의 측정된 중량에 따라 세제 투입량을 설정하는 세제 투입장치(29)를 갖춘 하우징(3)을 포함하고, 제1수용 영역(5)에 투입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투입장치 수용 영역(27)이 있으며, 투입장치(29)의 작동 및/또는 구동 장치(39)가 투입장치 수용 영역(27)에 배치되는 세제, 특히 분말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세제 투입장치(1)가 제시·설명되어 있다.

Description

세제 투입장치, 분말세제 및/또는 액체세제 수용·투입용기 및 해당 시스템
본 출원은 세탁 세제, 특히 분말세탁세제 및/또는 액체세탁세제 투입장치, 분말세탁세제 수용·투입용기, 액체세탁세제 수용·투입용기 및 세탁세제 투입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탁할 때는 정확한 세제량이 중요하지만, 사용자가 세탁할 세탁물에 알맞은 정확한 세제량을 알기는 어렵다. 더욱이 세제량이 세탁물의 오염 정도에만 좌우되는 것은 아니다. 세제에 따라 사용법이 달라질 뿐만 아니라, 세제량은 세탁기 드럼의 부하량, 물의 경도 등 여러 가지 다른 요인들에 따라 달라진다. 실제로 사용자가 세탁물의 중량을 추정하는 것은 어려우며, 보통 세탁기 드럼이 어느 정도 차 있는지를 기준으로 대략적으로 추정할 뿐이다. 또한 사용자가 배관에 있는 물의 경도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그 결과, 세제를 올바르게 투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소량의 세탁물에 세제를 너무 많이 투입하면 옷에 세제 잔류물이 남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세탁물의 섬유에 수산화나트륨 및 세제 잔류물이 남게 된다. 이후 세제 잔류물이 남아있는 의류를 착용하면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알레르기 환자 및 신경피부염 환자에게 해롭다. 반대로 세탁물에 알맞은 충분한 세제가 투입되지 않으면, 석회 반점이 생기거나 세제가 골고루 분배되지 않아 만족스럽지 않은 세탁으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의류, 침대 시트 또는 기타 세탁물이 회색으로 변하거나 섬유에 석회 잔류물이 남아 딱딱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세제의 과다 투여 또는 과소 투여를 피해야 한다.
일례로, 눈금이 있는 컵과 같은 수동 투입 보조기구가 선행기술로 알려져 있고, 다양한 세탁기 제조업체들이 제품과 함께 제공하기도 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세탁물량, 물의 경도 및 오염 정도 등 본인이 결정하거나 추정한 변수들에 기초해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에 통합된 자동투입시스템도 최첨단 기술로 잘 알려져 있다. 세탁기에 통합된 자동투입시스템은 많은 장점이 있지만 단점도 있다. 가장 큰 장점은 사용자가 세탁주기마다 세제를 다시 채울 필요가 없고 세탁주기마다 각각의 세탁 부하량에 필요한 용량을 다시 추정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그 대신, 사용자는 가령 시중에서 판매되는 세제 한 통처럼 많은 양의 세제를 단번에 세탁기의 세제 챔버에 채울 수 있으며, 그러면 기계가 자동으로 세탁 부하량, 직물의 종류 또는 오염 정도에 따라 세제량을 조절한다. 이처럼 세제 투입량이 정밀하게 자동적으로 결정되므로 잘못된 투입량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세탁기가 물 및 전기 소비량도 동시에 조절할 수 있어, 물 및 에너지 소비량도 최적화된다. 이처럼 자동 투입은 과도한 세제 투입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적은 세제 잔류물이 폐수로 유입되므로 환경친화적이다.
선행기술로 알려진 자동투입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세탁기에 통합되어 있는데, 자동투입기능이 통합된 세탁기는 구입 비용이 더 많이 든다. 또한 선행기술로 알려진 자동투입시스템은 호스라인에 단단히 설치되어 있어 세척해야 한다. 이외에도 유량 측정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백금 센서와 같은 고가의 센서 시스템이 사용된다. 자동 투입을 위해 펌프도 사용된다. 또한 이미 알려진 투입시스템은 액체세제용으로 설계되어 있어, 액체세제 투입만 가능하며 분말 세제의 투입은 불가능하다.
액체세제와 달리 분말세제는 방부제가 들어 있지 않다. 분말세제는 표백 가능한 얼룩을 제거하고 흰색 세탁물을 보장하며 고온에서도 세균에 효과적인 표백제를 함유하고 있다. 전염병이나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 또는 집안에서 돌봄이 필요한 사람의 경우 내의, 침대 시트, 세척용 천, 수건 등은 60℃ 이상에서 강력 세제로 세탁해야 한다. 따라서 세제 잔류물을 방지하려면, 특히 분말세제의 정확한 투입량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선행기술에 기초해 세탁세제, 특히 분말세제 및 액체세제의 간편하고 비용 효율적인 투입량 조절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본 발명에서 이 과제는 독립항에 의해 해결되며, 최적의 실시예는 종속항에서 비롯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세제, 특히 분말세제 투입장치는 최소 한 개의 제1수용 영역, 즉 제1세제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최소 한 개의 제1수용 영역과 세탁할 세탁물의 중량에 따라 세제를 투입하도록 설정된 세제 투입장치를 갖춘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때, 제1수용 영역에는 투입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투입장치 수용 영역이 있고, 투입장치의 작동 및/또는 구동장치는 이 투입장치 수용 영역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제1분말세제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수용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투입장치 수용 영역은 장치의 제1수용 영역, 즉 투입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수용 영역은 제1분말세제용기뿐만 아니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입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투입장치는 제1용기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특히, 투입장치는 정확한 분말세제 투입을 실시할 수 있다. 이것은 투입장치가 동일하게 투입장치 수용 영역에 배치된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또한 장치에서 특히 세제와 접촉하는 모든 구성품은 교체 가능하며 간단한 방법으로 장치에서 분리할 수 있다. 교체 가능한 구성품이란 사용 후 폐기하는 일회용으로 설계되었다는 의미다. 특히, 분말세제를 위한 제1용기, 분말세제를 투입하는 투입장치는 교체 가능하다. 또한 제1용기는 투입장치에 액체세제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세제 투입장치, 특히 제1리셉터클 및 나중에 설명할 제2리셉터클이 세제와 접촉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장치는 세제로 오염되지 않으며, 시간이 소요되는 장치 및/또는 개별 구성품 청소나 석회 제거를 할 필요가 없다.
세제는 장치에 의해 용기, 주로 컵으로 주입하거나 상용 세탁기의 세제 챔버로 정확한 양을 직접 주입할 수 있다. 세제 투입은 세탁물의 오염 정도, 물의 경도 및/또는 세탁물량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 장치를 사용하면, 제1용기에서 저수조로 세제를 공급할 수 있고, 세탁기의 세제 챔버로 정확한 양을 주입할 수 있다. 이 작업은 수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사용자가 용기 또는 컵에 채워진 세제를 시중에서 판매되는 세탁기의 세제 챔버에 채우는 방식이다. 그러나 본 세제 투입장치는 이 장치에 의해 미리 투입양이 정해진 세제를 세제 챔버에 채우는 방식으로 세탁기에 연결하거나 통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장치를 시중에서 판매되는 세탁기의 세제 챔버 또는 개방된 분말·액체세제칸 위나 근처에 직접 설치하여 장치에 의해 정확한 투입량이 정해진 분말 및/또는 액체 세제가 세탁기의 세제 챔버 또는 분말·액체세제칸에 채워지도록 할 수 있다.
본 투입장치에는 세탁할 세탁물의 중량에 따라 세제 투입량을 결정하는 투입 설정이 있다. 즉, 세탁할 세탁물의 중량에 따라 제1용기에서 투입되는 세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물의 중량은 나중에 설명할 저울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이 저울은 세제 투입장치의 일부인 제어기로 세탁물 중량이 전송되고 다시 제어기가 이처럼 전송된 중량에 기초해 제1용기의 세제 투입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세제 투입장치에 결합시킬 수 있다.
나중에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장치는 세탁물의 오염 정도, 물의 경도 및/또는 세탁물량에 따라 세제를 자동으로 투입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본 세제 투입장치는 세탁기에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가급적 세제 투입장치를 세탁기에 연결하거나 고정시키지 말고, 세탁기와 별개로 그 근처에 설치되도록 구성·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장치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모든 세탁기와 호환된다. 본 세제 투입장치는 시판된 모든 유형의 세탁기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세제 투입장치는 가령 중성세제, 일반세제, 섬유유연제, 울세제, 블랙컬러 전용 세제, 위생세제, 컬러의류 전용 세제 등 다양한 종류의 분말세제 및/또는 액체세제를 정확하고 간편하며 비용 효율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세제 투입장치의 모든 구성품이 지닌 특성인 상호호환성은 다양한 세제, 즉 여러 제조업체에서 생산된 각기 다른 분말세제 및/또는 액체세제를 동일한 한 개의 장치로 투입할 수 있다는 뜻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세제 투입장치를 제1용기에 연결할 수 있다.
본 세제 투입장치는 제1용기에 연결할 수 있다. 달리 말해, 투입장치와 제1용기를 다 같이 한꺼번에 수용 영역에 삽입 및/또는 분리할 수 있는 방식으로 투입장치를 제1용기에 연결할 수 있다. 일례로, 투입장치가 제1용기에 단단히 연결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할 수 있다(예: 접착 및/또는 용접). 이와 달리, 투입장치와 제1용기가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는 제1용기와 투입장치를 간단한 방식으로 제1수용 영역에 삽입하고 제1수용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입장치를 수용할 수 있게 해준다. 동시에 의도된 양의 세제, 특히 분말세제가 투입장치에 의해 용기나 컵 또는 세탁기의 세제 챔버에 주입되도록 투입장치를 구동장치에 단단히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투입장치와 제1용기를 연결하지 않은 채 제1수용 영역에 통합시키고 필요한 경우 다시 분리할 수도 있다.
가급적 적어도 한 개의 제1수용 영역이 제1분말세제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입장치는 스크루 컨베이어 및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을 포함하며, 이때 스크루 컨베이어의 전체 길이가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에 삽입되고/되거나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배치 또는 장착함으로써 스크루 컨베이어 및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이 공통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 주위로 확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입장치는 스크루 컨베이어와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이 있는 스크루 컨베이어로 설계할 수 있다. 스크루 컨베이어는 나선형으로 감긴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의 플레이트 한 개 또는 그 이상에 감긴 샤프트 및/또는 기본적으로 나사산 형태를 띠는 스크루 컨베이어의 세로축에서 횡 방향으로 확장된 고무 로브 또는 윙으로 구성할 수 있다. 가급적 스크루 컨베이어는 견고한 스크루 컨베이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컨베이어 웜은 특히 구부릴 수 있는 가요성 웜으로 설계할 수 있다. 웜 스레드는 가령 용접을 통해 샤프트에 단단히 연결하거나 샤프트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제조 또는 제작할 수 있다. 가급적 이송 스크루는 나사산이 이송 스크루의 양쪽 끝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형태를 띠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분말 세제가 이송 스크루에 의해 세로축을 따라 운반되도록 한다. 스크루 컨베이어, 특히 나사산은 원형강과 같은 단단한 소재로 선삭하거나 주물 부품 또는 사출성형 부품으로 제작할 수 있다. 스크루 컨베이어 및/또는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은 기본적으로 원통형이다.
이 같은 투입장치의 설계는 분말세제가 제1용기에서 투입장치로 공급되고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에서 스크루 컨베이어에 의해 스크루 컨베이어의 세로축을 따라 이송되도록 한다. 스크루 컨베이어가 회전할 때마다(부분) 회전 수에 따라 분말세제의 투입량이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특정량의 분말세제를 이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말세제를 정밀하고 간단하게 투입할 수 있으며, 세제 투입은 제어기나 조절장치를 통해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에는 유입구 개구부가 있는 유입구 및 배출구 개구부가 있는 배출구가 있다. 가급적 유입구 및 배출구는 스크루 컨베이어의 세로축과 횡 방향을 이루도록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의 양쪽 반대편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세제는 스크루 컨베이어의 나선형으로 감긴 한 개 이상의 플라이트에 의해 수용되도록 제1용기에서 유입구 개구부를 통해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세제 투입장치는 제1용기 또는 그 내용물을 흔들 수 있는 요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특히 분말세제가 저절로 내려가지 않아 중력에 의해 스크루 컨베이어 내부로 유도되어야 하는 경우, 분말세제가 거의 완전하게 제1용기에서 유입구 개구부를 통해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 내부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미세조정장치는 가급적 제1수용 영역에 배치하거나 그에 상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스크루 컨베이어가 회전함에 따라,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 내부로 들어간 분말세제는 스크루 컨베이어에 의해 기본적으로 스크루 컨베이어의 세로축을 따라 이송되고 배출구의 배출구 개구부를 통해 배출된다. 배출구가 이송 스크루의 세로축과 횡방향을 이루는 유입구 반대편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구에 도달한 분말세제는 이송 스크루 하우징을 빠져나갈 수 있다.
스크루 컨베이어의 스크루 플랭크 직경(스크루 컨베이어의 세로방향을 가로지르는 외경)은 약 20~40mm이다. 스크루 플랭크 직경은 가급적 25mm로 하는 것이 좋다. 이 직경 치수는 분말세제의 이송 또는 투입을 용이하게 한다. 습기는 분말세제의 속성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는데, 특히 분말세제가(부분적으로) 뭉치거나 달라붙은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앞서 설명한 스크루 플랭크 직경 치수는 습기가 유입된 경우에도 분말세제가 올바르게 이송·투입되도록 한다.
스크루 컨베이어의 길이는 약 60~120mm이다. 그러나 스크루 컨베이어의 길이는 90~110mm 범위가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한 길이는 106mm이다. 이 길이 치수는 분말세제의 이송을 용이하게 한다. 이송 스크루의 길이가 줄어들면, 나선형으로 감긴 한 개 이상의 플라이트에 분말세제의 브리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유입구 개구부가 막혀 더 이상 분말세제가 유입구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지 않는다. 브리징은 특히 분말세제가 중력에 의해 유입구 개구부를 통해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으로 공급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스크루 컨베이어의 길이 및 스크루 플랭크 직경에 앞서 설명한 치수를 적용하면, 분말세제의 이송속도를 스크루 컨베이어 회전당 약 5~10g의 범위(예: 회전당 약 8.8g)로 맞출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수(또는 세로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각)를 통해 원하는 양의 분말세제가 스크루 컨베이어 배출구를 통해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 밖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말세제의 정밀한 투입이 가능하다.
유입구 개구부는 기본적으로 타원형이며, 세로축 방향으로 확장된 형태를 띠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른 형태의 유입구 개구부도 고려할 수 있다. 유입구 개구부의 길이는 스크루 컨베이어의 세로축 방향에서 약 20~60mm(예: 약 47mm), 스크루 컨베이어의 세로축을 가로지르는 방향, 특히 스크루 컨베이어의 세로축과 수직인 방향에서 약 10~40mm(예: 약 29mm)로 한다. 배출구 개구부는 기본적으로 직사각형 모양이며, 세로축 방향으로 확장된 형태를 띠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른 형태의 배출구 개구부도 고려할 수 있다. 배출구 개구부의 길이는 스크루 컨베이어의 세로축 방향에서 약 20~50mm(예: 약 30mm), 세로축을 가로지르는 방향, 특히 스크루 컨베이어의 세로축과 수직인 방향에서 약 5~20mm(예: 약 10mm)로 한다. 이러한 유입구 및 배출구 치수는 특히 분말세제가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에 잘 유입·배출되도록 한다.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은 스크루 컨베이어의 세로축을 따라 제1단부 및 반대편의 제2단부 사이에 위치하며, 배출구는 제1단부 근처에, 유입구는 제2단부 근처에 배치한다.
유입구와 배출구는 가급적 세로 방향으로 이격시킨다. 유입구를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의 제2단부 근처에 배치하고 배출구를 제1단부 근처에 배치함으로써, 유입구 개구부를 통해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분말세제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나선형 플라이트에 의해 수용된 후 스크루 컨베이어의 회전을 통해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의 제2단부로 이송되고 배출구 개구부를 통해 배출된다. 1회 회전할 때마다 미리 결정된 양의 분말세제가 이송되므로, 회전 수(또는 세로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각)에 기초해 투입량을 조정(제어 또는 조절)할 수 있다.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의 제1단부는 열린 상태, 제2단부는 닫힌 상태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제1단부를 통해 스크루 컨베이어를 완전히 삽입할 수 있다. 삽입 부재 또는 제거 부재는 제2단부에 제공할 수 있다. 삽입 부재 또는 제거 부재는 대략 엄지손가락 크기의 표면을 포함하는 탭으로 구성할 수 있다. 삽입/제거 부재의 길이는 약 3~4cm, 너비는 약 2~3cm로 할 수 있다. 반대편의 삽입/제거 부재는 주름진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주름진 구조는 가급적 부드러운 고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반대편의 삽입/제거 부재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 수도 있다.
삽입 부재를 통해 투입장치를 투입장치 리셉터클에 고정 및/또는 삽입할 수 있다. 특히 제1용기가 비어 있고 교체해야 할 때, 삽입 부재는 투입장치를 다시 손쉽게 분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유입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입구 개구부를 둘러싸거나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에서(가급적 방사상 형태로) 확장된 주변벽을 갖춘 플랜지를 포함하며, 이때 플랜지는 투입장치를 제1용기에 연결하고/하거나 투입장치를 투입장치 수용 영역에 삽입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한다.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의 유입구 주변벽은 제1용기, 특히 제1용기의 배출구와 결합되도록 설계한다. 이렇게 하면 제1용기의 분말세제가 안정적으로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주변벽은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제작하거나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에 연결할 수 있는 주물 부품 또는 사출성형 부품으로 제작할 수 있다.
주변벽은 횡 방향에서 기본적으로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를 적용해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의 유입구 개구부 가장자리로부터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 개구부와 마찬가지로 주변벽은 기본적으로 타원형일 수 있으며, 스크루 컨베이어의 세로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모양의 주변벽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주변벽은 기본적으로 유입구 개구부와 모양이 같다. 주변벽의 주변부는 약 100~130 mm(예: 약 122 mm)로 할 수 있다. 주변벽은 주변벽 중심 세로축을 따라 확장할 수 있고, 길이는 약 30~60 mm(예: 약 47 mm)로 할 수 있다. 또한 주변벽은 제1주변벽 중심 세로축과 수직을 이루는 제2 주변벽 세로축을 따라 확장할 수 있으며, 길이는 약 20~40 mm(예: 약 29 mm)로 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길이도 고려할 수 있다. 가급적 제1주변벽 중심 세로축의 길이는 제2주변벽 중심 세로축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 주변벽 중심 세로축 길이는 특히 분말세제를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에 유입시키고/시키거나 투입장치를 제1용기에 연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주변벽은 제1접촉면과 반대편에 있는 제2접촉면을 포함하며, 이때 제1 및 제2 접촉면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한다.
제1접촉면과 제2접촉면은 제2주변벽 중심 세로축의 반대편에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면 배치는 투입장치가 투입장치 수용 영역에 쉽게 삽입되도록 한다. 특히 투입장치 수용 영역에 삽입되는 동안 접촉면은 제1수용 영역에서 측면 가이드 부재를 따라 미끄러지며, 투입장치 수용 영역에 수용된 후 측면 가이드 부재에 인접하게 된다. 제1접촉면과 제2접촉면은 기본적으로 포물선 모양의 단면적이다. 두 개의 접촉면과 측면 가이드 부재로 이루어진 구성 및 제1용기가 제1수용 영역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접촉면과 측면 가이드 부재의 상호작용은 제1용기가 제1수용 영역에 의해 올바른 위치로 수용되도록 해주며, 이를 통해 분말세제가 정확한 투입량으로 투입장치의 배출구에서 배출된다.
가급적 커플링 장치는 스크루 컨베이어의 구동 단부에서 세로축 방향으로 확장하며, 특히 작동 및/또는 구동 장치와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도록 설계한다.
커플링 장치는 기본적으로 원통형 공동 및/또는 수용부로 구성해 투입장치가 투입장치 수용 영역에 삽입·수용된 후 투입장치 수용 영역의 커플링 부재도 동시에(원통형) 공동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가급적(원통형) 공동의 내벽에는 커플링 부재 외벽의 외부 프로파일과 결합할 수 있는 내부 프로파일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커플링 부재의 외부 프로파일은 원통형 공동의 내부 프로파일에 있는 최소 한 개의 홈과 결합하거나 상호작용할 수 있는 최소 한 개의 돌출부가 있다. 커플링 부재는 커플링 부재가 원통형 공동에 삽입되면 투입장치가 구동되고 스크루 컨베이어가 회전하도록 구동축으로 구성한다. 가급적 회전속도의 변속비는 조정 또는 변경 가능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이송 스크루 하우징을 통해 이송되는 분말세제의 속도 변화, 즉 분말세제의 투입량 변경이 가능하다.
가급적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은 여러 개의 리브가 있는 외벽을 포함해야 하며, 이때 리브는 기본적으로 제1단부와 제2단부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확장되고/되거나 외벽으로부터 방사상 형태로 확장된다.
리브는 가급적 제1단부와 제2단부사이에서 종방향 리브로 형성하고/하거나 규칙적 또는 대칭적 간격으로 외벽 주변을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는 각 리브가 기본적으로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의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과 평행한 직선으로 확장된 외부 모서리 및/또는 기본적으로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의 외벽에서 일정한 거리에 있는 외부 모서리를 갖추도록 외벽에서 확장시킬 수 있다. 그러나 리브는 가급적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의 제1단부에 인접한 원뿔 모양의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원뿔형 영역에서 리브의 외부 가장자리는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의 제1단부로 향하면서 점점 가늘어진다.
두 개 이상의 리브가 외벽의 주변 방향에서 반대편에 있는 배출구 개구부를 제한한다. 즉, 전체 리브 중 두 개는 배출구 개구부의 인근에 배치하며, 배출구 개구부 가장자리에서 확장 시킨다. 외벽의 축 방향에서 반대편에 있는 배출구 개구부를 제한하도록 또 다른 리브 두 개를 제공한다. 이러한 추가 리브는 주변 방향에서 반대편에 있는 배출구 개구부를 제한하는 두 개의 리브 사이에서 확장되며, 배출구 개구부 인근에 배치해 개구부 가장자리에서부터 확장 시킨다. 따라서 배출구 개구부는 모든 측면에서 리브로 둘러싸이게 된다.
배출구, 특히 배출구 개구부에 있는 리브는 유출된 분말세제가 분말세제 투입장치 하우징과 접촉하지 않도록 방지한다. 이처럼 분말세제가 투입장치 하우징과 접촉하지 못하도록 방지함으로써, 하우징 청소 빈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분말세제가 하우징을 오염시키거나 유출되지 않도록 방지해 세제 낭비를 막는다. 이외에도 리브는 특히 투입장치가 제1수용 영역의 투입장치 수용 영역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 투입장치를 위한 스탠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1용기를 투입장치에 쉽게 연결하는 것뿐만 아니라 제1용기에 분말세제를 주입하는 것도 한층 용이하게 한다.
제1수용 영역은 후면 벽, 기본적으로 후면 벽을 가로지르는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로 배향된 두 개의 이격된 측벽, 기본적으로 측벽을 가로지르는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로 배향된 상한과 하한 및 후면 벽 맞은편에 있는 개방된 전면을 포함해 제1수용 영역이 측벽 및/또는 상한과 하한 사이에 형성되도록 한다. 제1수용 영역은 제1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수용 영역을 포함하며, 이때 용기수용 영역은 가급적 투입장치 수용 영역 위에 배치한다.
따라서 용기 수용 영역은 상한에 인접할 수 있고/있거나 투입장치 수용 영역은 하한에 인접할 수 있다. 개방된 전면은 제1용기와 투입장치가 후면 벽과 수직을 이루는 이동을 통해 제1수용 영역으로 삽입되게 함으로써, 제1용기가 용기 수용 영역에 수용되고 투입장치가 투입장치 수용 영역에 수용되도록 한다. 가급적 제1용기는 제1수용 영역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용기가 하한을 기준으로 투입장치 위에 위치하고/하거나 투입장치보다 하한에서 더 이격되도록 투입장치에 연결한다. 이러한 구조는 분말세제가 중력에 의해 제1용기에서 투입장치로 유도되도록 한다.
가급적 제1가이드 부재와 제2가이드 부재는 용기 수용 영역과 투입장치 수용 영역 사이에 배치해야 하며, 이때 가이드 부재는 기본적으로 개방된 전면에서 후면 벽으로 확장시키거나 측벽에서 확장 시킨다.
가이드 부재는 기본적으로 전면에서 후면 벽까지 연속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호 연결된 상태의 제1용기와 투입장치를 제1수용 영역에 쉽게 삽입할 수 있게 하여, 제1용기가 가이드 부재 위에, 투입장치가 가이드 부재 아래에 배치/수용되도록 한다. 제1용기 및 투입장치의 적절한 삽입을 위해 주변벽은 지지면이 가이드 부재들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가이드 부재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달리 말해, 투입장치가 투입장치 리셉터클에 의해 완전히 수용될 때까지 제1지지면은 제1가이드 부재를 따라 미끄러지고, 제2지지면은 제2가이드 부재를 따라 미끄러진다. 제1수용 영역의 투입장치 수용 영역에 삽입된 상태인 경우 투입장치 주변벽의 측면 접촉면들은 제2가이드 부재에 안착한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제1용기 및/또는 투입장치를 수용하고 제1수용 영역에 안정적으로 배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기본적으로 가이드 부재는 상한 및/또는 하한에 평행한 면 방향으로 향하게 하며, 가급적 용기수용 영역을 향한 평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개방된 전면에 인접한 각각의 가이드 부재는 투입장치의 올바른 삽입을 지원할 수 있는 삽입 경사를 갖추게 된다. 특히 삽입이 이루어지는 동안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 외벽에 배치된 두 개의 리브가 가이드 부재들의 밑면을 따라 미끄러지게 되고, 두 개의 측면 접촉면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가이드 사이로 미끄러진다. 제1수용 부분의 투입장치 수용 부분으로 삽입된 조건에서, 투입장치 주변벽의 측면 접촉면과 두 개의 리브는 두 개의 가이드 부재에 접하게 된다. 특히 접촉면은 측벽에서 확장된 가이드 부재의 가장자리에 접하게 되고, 두 개의 리브는 하한을 향한 가이드 부재 밑면에 접하게 된다.
스크루 컨베이어 또는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이 투입장치 수용 영역에 삽입되면, 끝 위치에 도달하는 즉시 스크루 컨베이어가 딸깍 소리를 내며 제자리에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스크루 컨베이어가 올바르게 장착되었거나(원통형) 공동이 커플링 부재 또는 구동축에 올바르게 연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삽입 챔버는 제1용기가 올바른 위치에 오도록 만들고/만들거나 스크루 컨베이어의 클릭킹을 한층 단순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가급적 투입장치는 자동으로 혹은 수동으로 열리며 투입장치 및/또는 제1용기를 밀폐된 방식으로 폐쇄하도록 설계된 폐쇄 또는 플랩 부재를 포함한다.
하한에는 개방된 전면에서 후면 벽까지 확장된 스크루 하우징 리셉터클이 있다.
스크루 하우징 리셉터클은 기본적으로 두 개의 측벽과 평행하게 배향된 리셉터클 세로축을 중심으로 하여 두 개의 측벽 사이로 확장시킬 수 있다. 리셉터클의 배출구 개구부는 특히 후면 벽에 인접한 리셉터클 세로축에 배치할 수 있으며, 모양 및 규격은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의 배출구 개구부와 동일하다. 수용부에는 오목한 모양을 한 리셉터클의 세로축을 가로지르는 횡단면이 있다. 즉, 리셉터클은 하한의 오목한 부분에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하단에는 제1측벽에 인접한 제1수평면 부분과 제2측벽에 인접한 제2수평면 부분이 있고, 리셉터클은 제1수평면 및 제2수평면 부분 사이의 오목한 표면에 배치된다.
스크루 하우징을 위한 수용장치는 투입장치가 투입장치 리셉터클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투입장치가 삽입·수용된 후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은 스크루 하우징 리셉터클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리브 두 개가 제1수평면 및 제2수평면 섹션에 자리잡게 된다. 동시에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의 배출구 개구부는 리셉터클의 배출구 개구부 상단 또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말세제는 이송 스크루 하우징에서 이송 스크루 하우징의 배출구 개구부 및 투입장치 리셉터클에 있는 배출구 개구부를 통해 이송되며, 하우징과 접촉하지 않고 용기나 컵 또는 세탁기 세제 챔버로 공급된다.
구동축은 후면 벽 또는 그 위에 위치되며, 구동축과 리셉터클은 하한을 가로지르는 평면으로 확장된다.
커플링 부재 또는 구동축은 가급적 후면 벽 또는 그 위에 배치한다. 리셉터클의 세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하한 및 커플링 부재나 구동 축 간 거리는 스크루 컨베이어의 세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원통형 공동 및 스크루 컨베이어 주변벽 간 거리에 해당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투입장치를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 리셉터클에 삽입함으로써, 커플링 부재 또는 구동축이 자동으로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의(원통형) 공동에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크루 컨베이어가 작동한다.
용기수용 영역에 있는 한 개 이상의 측벽은 측벽에서 확장된 다수의 리브를 포함한다.
다수의 리브는 기본적으로 상한 및/또는 하한과 평행하게 확장되며, 개방된 전면에서 후면 벽으로 확장된다. 그러나 상한 또는 하한을 가로지르는 방식으로 배치하거나 전면에서 후면 벽으로 이어져 확장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다수의 리브는 두 개의 측벽에 쌍을 이루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두 개의 리브가 각각 측벽을 가로지르거나 상한 또는 하한에 평행하게 확장 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이드 부재 및 상한 사이의 용기수용 영역에 있는 측벽에 여러 쌍의 리브를 배치할 수 있다. 한 쌍을 이루는 리브는 약 40~5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mm 간격으로 이격시킨다. 또한 모든 리브 쌍이 서로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약 40~50 mm 사이에서 각각 서로 다른 거리로 이격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리브는 제1수용 영역에 수용된 제1용기를 최적으로 정렬함으로써 분말세제가 제1용기의 배출구에서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의 유입구 개구부를 통해 공급 및/또는 투입되도록 한다. 동시에 분말세제가 제1용기에 남아 세탁에 사용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이처럼 리브는 분말세제가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다양한 모양의 제1용기를 쉽고 안전하게 집어 올릴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용기는 올바른 위치, 즉 무너지지 않는 직립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분말세제를 수용·투입하기 위한 용기가 제공되는데, 이 용기는 분말세제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 및 투입수단의 유입구에 연결할 수 있는 내부 공간과 이어진 배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투입수단에는 작동 시 지정된 양의 분말세제를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배출구가 있다. 용기는 세제 투입장치에 삽입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세제 및/또는 투입장치를 저장·투입하기 위한 용기는 교체 가능한 일회용 물품으로 설계하며, 분말세제를 저장·투입하기 위한 용기의 경우 분말세제가 미리 채워진 용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분말세제 공장에서 세제를 채운 용기를 공급할 수 있다. 즉, 분말세제가 미리 채워진 상태로 소비자에게 공급되도록 공장에서 용기에 분말세제를 채워 공급할 수 있다.
용기는 앞서 설명한 세제 투입장치의 제1수용 영역에 제1용기로 삽입되고 이 장치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용기 및/또는 투입장치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모든 기능은 아래에서 설명할 분말세제 수용·투입용 용기(이하 "제1용기”)에도 적용된다.
제1용기는 정확한 양의 분말세제가 분배되어 제1용기 및 투입장치를 통해 투입될 수 있도록 연결된 투입장치를 갖출 수 있다. 그러나 제1용기와 투입장치를 별도의 요소로 구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개구부가 있는 배출구를 갖춘 제1용기에 의해 제1용기에 담긴 분말세제가 제1용기에서 배출된다. 제1용기에서 배출된 분말세제는 투입장치의 유입구와 연결된 배출구를 통해 유입된다. 투입장치를 작동시키면, 사전 결정된 투입량이 세탁에 사용되도록 투입장치의 제2배출구에서 분말세제가 배출된다.
위에서 설명한 제1용기를 사용하면 투입장치를 통해 정확한 양의 분말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투입장치는 작동 및/또는 구동 장치에 의해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투입장치를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확한 양의 세제를 간단하게 투입할 수 있다.
제1용기는 정확한 양의 분말세제가 분배되어 제1용기 및 투입장치를 통해 투입될 수 있도록 연결된 투입장치를 갖출 수 있다. 이를 위해 투입장치에 연결된 제1용기는 제1수용 영역, 특히 앞서 설명한 세제 투입장치의 용기수용 영역 및 투입장치 수용 영역에 삽입·수용되도록 한다. 그러나 제1용기와 투입장치를 별도의 요소로 구성해 각각이 제1수용용역, 특히 용기수용 영역 및 투입장치 수용 영역에 개별적으로 삽입·수용되도록 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용기에서 분말세제를 올바르게 투입하는 것은 투입장치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투입장치는 앞서 설명한 투입장치 수용 영역에 배치된 작동 및/또는 구동 장치에 의해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투입장치를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정확한 양의 분말세제가 세탁기의 세제 챔버에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분말세제를 제1용기에서 용기(예: 컵)로 주입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세탁기가 정확한 양의 세제로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가급적 투입장치는 스크루 컨베이어 및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으로 구성한다. 이때 스크루 컨베이어의 전체 길이가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에 삽입되고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배치함으로써 스크루 컨베이어 및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이 공통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 주위로 확장되도록 하며, 투입장치의 유입구가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 또는 그 위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 같은 투입장치의 설계는 분말세제가 제1용기에서 투입장치로 공급되고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에서 스크루 컨베이어에 의해 스크루 컨베이어의 세로축을 따라 이송되도록 한다. 회전 수에 따라 분말세제의 투입량이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루 컨베이어가 매번 회전할 때마다 특정량의 분말세제를 이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말세제를 정밀하고 간단하게 투입할 수 있으며, 세제 투입은 제어기나 조절장치를 통해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1용기는 스크루 컨베이어 및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투입장치에 연결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투입장치가 제1수용 영역 또는 투입장치 수용 영역에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 스크루 컨베이어 및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은 세제 투입장치의 맥락에서 앞서 설명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투입장치가 가급적 스탠드 플레이트로 설계해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스탠드 플레이트는 제1용기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고/하거나 특히 분말세제를 저장하는 제1용기가 세제 투입장치 외부에 위치할 때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플레이트는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에 단단히 연결시키거나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분말세제가 수용된 후에는 제1용기 및/또는 투입장치가 세제 투입장치의 제1리셉터클에 의해 수용되도록 플레이트를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이 인클로저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인클로저는 제1용기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고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해 스탠드 플레이트 역할을 하는 최소 한 개의 평면을 포함한다. 가급적 제1용기의 배출구는 나사 체결 및/또는 접착을 통해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에 단단히 연결한다.
분말세제가 제1용기에서 정확한 양으로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에 주입되거나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제1용기를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에 연결할 수 있다. 제1용기의 배출구는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 유입구에 단단히 연결한다(예: 접착). 이를 위해 가령 제1용기 배출구는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에 배치된 플랜지의 주변벽과 유사한 주변벽을 갖출 수 있다. 특히 용기 배출구의 주변벽은 플랜지 주변벽의 횡단면 프로파일과 유사한 횡단면 프로파일을 적용할 수 있지만, 용기 배출구 주변벽의 주변부는 플랜지 주변벽의 주변부보다 다소 크거나 작다. 따라서 주변벽은(가령 접착 및/또는 용접을 통해) 겹치거나 단단히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볼트를 이용해 제1용기의 배출구를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 유입구에 고정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에 있는 플랜지의 주변벽은 제1구동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고, 용기 배출구의 주변벽은 제2구동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가급적 제1용기와 투입장치는 두 개의 구동 프로파일을 통해 서로 고정되어 회전하는 방식으로 확실하게 연결한다. 예컨대, 주변벽들이 일정한 형태 맞춤이나 고정되어 회전하는 방식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에 있는 플랜지의 주변벽 외부 윤곽은 구동 프로파일을, 용기 배출구 주변벽의 내부 윤곽은 이에 상응하는 구동 프로파일을 갖출 수 있다. 제1용기와 투입장치를 연결하는 모든 구조는 구동 프로파일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구동 프로파일은 해당되는 경우에 따라 다각형, 별 모양, 슬롯 모양 등으로 할 수 있다.
가급적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은 제1용기에 통합시킨다.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을 제1용기에 통합시킴으로써, 제1용기와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이 서로 분리되지 않는 단단한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일체형으로 만들 수 있다. 특히 용기 배출구의 주변벽과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에 있는 플랜지의 주변벽이 일체형을 이루도록 통합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가급적 제1용기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단면이 있어야 하는데, 제1용기의 주변부는 기본적으로 배출구를 향해 원추형으로 점점 좁아지는 형태를 띤다.
제1용기는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이 제1용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하우징의 세로축을 통과하는 평면에 단면을 갖출 수 있으며, 이때 변단면 부분의 측면은 제1측면 모서리와 제2측면 모서리에 의해 제한된다. "제1용기에 연결된" 상태는 투입장치 또는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이 스크루 컨베이어 및 제1용기에 연결된 상태란 의미이다. 제1측면 모서리는(연결된 조건에서 보았을 때)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의 세로축 기준으로 가급적 90° 미만의 각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5°의 각도를 적용해 횡 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다. 제2측면 모서리는 이송 스크루 하우징의 이송 스크루 세로축 기준으로 가급적 90° 미만의 각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5°의 각도를 적용해 횡 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이 두 개의 측면 모서리를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의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 기준으로 가급적 90° 미만의 각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5°의 각도를 적용해 횡 방향으로 확장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연결된 상태에서 보았을 때) 두 개의 측면 모서리를 이송 스크루 하우징의 이송 스크루 세로축을 기준으로 위와 같이 배치하면, 제1용기에서 분말세제를 매우 쉽게 비울 수 있다.
제2측면 모서리는 제1측면 모서리와 약 45°의 각도를 형성한다. 이러한 설계 덕분에 제1용기의 주변부는 배출구 방향의 변단면 섹션에서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1용기에 담긴 분말세제가 배출구를 통해 효율적으로 배출되어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의 투입구로 유입된다.
가급적 제1용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대칭 부분을 포함해야 하며, 여기서 제1용기의 주변부는 제1대칭 부분에서 동일하게 유지되며, 가급적 제1대칭 부분은 배출구로부터 변단면 부분보다 멀리 이격시킨다.
제1용기는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이 제1용기에 연결된 조건에서 보았을 때 하우징의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을 통과하는 평면에 단면을 갖출 수 있으며, 이때 제1대칭 부분의 측면은(연결된 조건에서 보았을 때)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의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 기준으로 약 90°의 각도로 가로질러 서로 평행을 이루는 제1측면 모서리 및 제2측면 모서리에 의해 제한된다. 제1대칭 부분의 제1측면 모서리는 변단면 부분의 제1측면 모서리와 동일 평면상에 있을 수 있고/있거나 제1대칭 부분의 제2측면 모서리는 변단면 부분의 제2측면 모서리를 가로지르도록 배향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1대층 부분의 제2측면 모서리가 변단면 부분의 제2측면 모서리와 동일한 면에서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대칭 부분 대신 또 다른 변단면 부분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가급적 대칭 섹션의 제1측면 모서리 및 제2측면 모서리 간 거리는 최대 140 mm, 두 측면 모서리의 길이는 최대 155 mm로 한다. 대칭 섹션의 제1측면 모서리 및 제2측면 모서리 간 거리를 100 mm 초과 140 mm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25 mm를 적용한다. 이렇게 하면, 약 1.35kg의 분말 세제를 첫 번째 용기에 담을 수 있다. 또한 제1용기는 밀도가 0.3~0.8 kg/L, 보다 바람직하게는 0.6~0.8 kg/L인 분말세제를 수용할 수 있다. 분말세제 약 1.35 kg을 수용할 수 있는 제1용기의 설계 덕분에 밀도가 0.3 kg/L인 세제 약 4.5 L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밀도가 0.6 kg/L인 세제는 약 2.25L, 밀도가 0.8 kg/L인 세제는 약 1.69 L를 수용할 수 있다. 제1측면 모서리의 길이가 제2측면 모서리보다 길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측면 모서리의 길이는 최대 155 mm, 제2측면 모서리는 최대 125 mm로 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제1용기에 수용된 분말세제가 배출구에서 효율적으로 배출되어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 유입구로 유입되도록 한다. 동시에, 대칭 섹션은 분말세제를 제1용기로 수용하기 위한 유입구의 대안적인 구성을 가능케 한다.
가급적 제1용기에는 배출구에 인접한 제2대칭 부분이 있어야 하는데, 여기서 제1용기의 주변부는 제2대칭 부분에서 동일하게 유지되며, 배출구 및/또는 배출구 개구부의 주변부에 대응된다.
제1용기는 하우징의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을 통과하는 평면에 단면을 갖출 수 있으며, 이때 제2대칭 섹션의 측면은(연결된 조건에서 보았을 때)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의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 기준으로 약 90°의 각도로 가로질러 서로 평행을 이루는 제1측면 모서리 및 제2측면 모서리에 의해 제한된다. 제2대칭 섹션의 제1측면 모서리는 변단면 섹션의 제1측면 모서리와 동일 평면상에 있을 수 있고/있거나 제2대칭 섹션의 제2측면 모서리는 변단면 섹션의 제2측면 모서리를 가로지르고 제1대칭 섹션의 제2측면 모서리에 평행하게 배향시킬 수 있다.
가급적 제2대칭 섹션의 제1측면 모서리와 제2측면 모서리 간 거리는 20~60 mm(예: 약 50 mm), 두 측면 모서리의 길이는 각각 10~110 mm(예: 각각 15 mm 또는 90 mm)로 한다.
제2대칭 섹션은 배출구 직경 또는 배출구 개구부 통로가 제2대칭 섹션의 제1측면 모서리 및 제2측면 모서리 간 거리에 대응되도록 배출구에 연결한다.
이 실시예는 제1용기에 수용된 분말세제가 배출구에서 효율적으로 배출되어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 유입구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러나 제1용기가 변단면 섹션 대신에 또 다른 대칭 섹션을 갖추는 구성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세 개 섹션의 제1측면 모서리 및 제2측면 모서리는 각각 평면에서 확장되며, 이 두 개의 평면은 기본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제1용기에는 유입구 개구부가 있으며, 이때 유입구 개구부는 배출구 및/또는 배출구 개구부의 반대편에 배치한다.
유입구 개구부는 제1대칭 섹션에 배치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구조는 유입구 개구부를 제1대칭 부분의 제1측면 모서리와 제2측면 모서리 사에서 확장된 측면 모서리 근처에 배치하는 것이다. 가급적 유입구 개구부는 제1용기의 제2자유단부 반대편에 있는 제1용기의 제1자유단부에 배치하며, 배출구 및 배출구 개구부는 제2자유단부에 배치한다. 변단면 섹션은 유입구 또는 유입구 개구부 및 배출구 또는 배출구 개구부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분말세제는 유입구 개구부를 통해 제1용기로 수용된다. 배출구 반대편에 유입구 개구부를 배치함으로써 분말세제가 배출구 및 배출구 개구부로 유입되어 제1용기에서 투입장치로 주입된다. 이러한 구조는 분말세제의 적절한 투입을 가능케 한다. 가급적 유입구 개구부는 지퍼와 같은 폐쇄 부재를 사용해 폐쇄한다.
그러나 제1용기가 유입구 개구부 없이 투입장치에 단단히 또는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구조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용기와 투입장치가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태로 분말세제를 채울 수 있다.
가급적 유입구 개구부는 제1대칭 부분의 제1측면 모서리 및 제2측면 모서리 사이의 제1자유단부에 인접시켜 확장시켜야 한다. 가급적 유입구 개구부는 폐쇄 부재로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용기가 비거나 분말세제를 옮긴 경우 다시 채워 폐쇄한 후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분말세제를 채운 후 유입구 또는 유입구 개구부를 용접함에 따라 재활용하지 못하고 폐쇄 부재도 없는 제1용기를 고려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용기에 유입구나 유입구 개구부는 없지만 분말세제가 먼저 배출구 또는 배출구 개구부를 통해 제1용기로 수용되고 배출구가 투입장치에 연결되는 구조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분말세탁세제를 수용한 후 배출구를 접착 스트립 또는 클립 형태의 접착 부재나 연결 부재를 이용해 투입장치의 유입구에 연결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한 개의 동일한 개구부가 분말세탁세제를 제1용기로 수용하는 동시에 제1용기에서 세제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분말세제가 담긴 제1용기는 일회용으로 설계해 투입장치에 이미 연결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용기에 연결할 수 있는 투입장치의 경우 재사용 가능한 물품으로 설계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투입장치와 제1용기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접착 또는 나사로 체결되어 있는 경우, 투입장치는 일회용 물품으로 설계할 수 있다.
폐쇄 부재는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는 지퍼로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지퍼 대신 또는 지퍼에 추가해 레일을 제1용기의 제1자유단부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한 개 이상의 마그네틱 홀더, 벨크로 고정장치, 버튼 및/또는 접착 스트림이나 기타 유형의 고정장치를 사용해 제1용기를 수용 영역 상단부에 연결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용기 및 제1수용 영역의 상단부에 제1나사부재를 이용해 제1용기를 수용 영역의 상단부와 연결하는 구조도 고려할 수 있다.
폐쇄 부재 근처에 탭을 배치할 수 있다. 탭에는 제1용기를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간편하게 운반하기 위한 운반 핸들로 쓰이는 내부 개구부를 갖출 수 있다. 이외에도 내부 개구부는 가령 제1용기를 채울 때 추가적인 안전성을 제공하기 위한 고리 또는 후크 역할을 할 수 있다. 가급적 지퍼를 비롯한 폐쇄 부재는 세제 투입장치의 제1수용 영역에 있는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폐쇄 부재 또는 지퍼는(적어도 부분적으로)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급적 폐쇄 부재 또는 지퍼는 제1수용 영역, 특히 하한을 마주보고 있는 상한의 내측에 배치된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홈은 기본적으로 투입장치 수용 영역의 구동축과 동일한 평면에서, 장치에 삽입된 경우에는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의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과 동일한 평면에서 확장시킬 수 있다. 가급적 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한까지 확장시키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개방된 전면 부근에서 후면 벽 부근으로 확장 시킨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1용기 및/또는 투입장치는 세제 투입장치의 제1수용 영역에 쉽게 삽입되고, 투입장치는 수용 수단에 의해 쉽게 수용되며, 투입장치의 원통형 공동은 구동장치의 구동축과 잘 맞물리게 된다. 동시에, 측면 리브 외에도 폐쇄 부재 또는 지퍼를 홈에 삽입하여 제1용기를 추가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용기는 종이, 플라스틱 또는 분말세제와 같은 분말 재료를 담을 수 있는 기타 가요성 재료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제1용기는 백 또는 파우치의 형태를 띨 수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 비가요성 재료로 제1용기를 제작해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제1용기는 테트라 팩과 같은 판지 상자로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폐쇄된 측벽 및 측벽에서 확장된 다수의 리브를 설치하는 대신 비가요성 재료로 제1용기를 제작하는 경우, 제2수용부는 수용부 세로축의 반대편에 개방된 측면을 적용할 수 있다.
제1용기의 용량은 1.25~2.5 dm3로 할 수 있다. 분말세제 1 kg이 약 1.25 dm3에 해당한다고 할 때, 이 용량은 최대 3 kg의 분말세제를 수용할 수 있다. 1.25~2.5 dm3의 용적은 분말세제를 편리하게 채우거나 옮겨 부을 수 있는 용량이다.
가급적 세제 투입장치 하우징은 최소 1개의 제2수용 영역을 포함해야 하며, 이때 제2수용 영역은 액체세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가급적 제1수용 영역은 제2수용 영역에 연결할 수 있거나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제1수용 영역과 제2수용 영역이 일체형으로 통합된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이처럼 세제 투입장치는 분말세제 및/또는 액체세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최소 1개의 제1용기 및 최소 1개의 제2용기를 갖춰야 한다. 이러한 구조는 분말세제 및 액체세제 간 전환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여러 개의 제1용기와 여러 개의 제2용기가 제공된 경우에는 가령 중성세제, 일반세제, 섬유유연제, 울세제, 블랙컬러 전용 세제, 위생세제, 컬러의류 전용 세제 등 다양한 종류의 세제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나중에 설명할 저울 데이터는 상호 연결된 기록영역(투입장치)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은 장치 사용자가 "시작 버튼"/활성화 버튼을 누를 때 이루어지며(별도 저장 가능), 이를 통해 해당하는(세제별) 투입장치가 작동하도록 설정된다.
강력 분말세제 저장영역, 미세 분말세제 저장영역, 액체 울세제 저장영역 등 다양한 저장영역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모듈식으로 설계할 수 있다.
다양한 기록영역의 커플링은 WLAN, 블루투스 또는 유선으로 할 수 있다. 블루투스 또는 WLAN을 통한 연결은 두 개의 기록영역이 서로 인접해 있거나 가까이 있는 경우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기록영역은 일단 상호 연결된 경우 연결된 장치들과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커플링은(여러 기록영역이 있는) 장치에서 저울 및/또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로 단 한 번만 연결하면 되도록 설계한다. 즉, WLAN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각 기록영역을 개별적으로 스마트폰에 연결할 필요 없이 전체 장치를 연결하기만 하면 되는 방식이다. 이렇게 하면 설정시간이 절약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 또는 별도의 조작 없이 WLAN이나 블루투스를 통해 저울이 자동으로 장치에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제1수용 영역 및 제2수용 영역은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수용 영역들이 서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다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세제 투입장치는 여러 개의 제1수용 영역 및 제2수용 영역이 상호 연결되는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은 수용 영역의 외벽, 가령 측면 외벽에 배치된 클릭 메커니즘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세제들의 수에 따라 이에 해당하는 수용 영역들을 상호 연결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다.
가급적 제2수용 영역은 후면 벽, 기본적으로 후면 벽을 가로질러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로 배향된 두 개의 이격된 측벽, 측벽을 가로질러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로 배향된 하한 및 하한 맞은편에 있는 개방된 상부를 포함하며, 제2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제2수용 영역은 측벽 사이에 형성된다.
제2수용 영역은 개방된 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단 표면이 완전히 열려 있는 형태를 띨 수 있다. 이것은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에 수용될 수 있도록 제2용기가 수직 이동을 통해 제2수용 영역으로 삽입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제2용기가 수직 이동에 의해 제2수용 영역의 하한까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관통 구멍 또는 개구부가 배치된 제2수용 영역도 고려할 수 있다.
제2수용 영역은 후면 벽 맞은편에 있는 전면에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창, 플랩, 클로저 플랩 등의 창 부재를 갖출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전면을 통해 제2용기의 충진 수준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전면이 후면 벽과 같은 전면벽으로 이루어져 개구부가 없는 폐쇄된 형태를 띠는 구조도 고려할 수 있다. 제1수용 영역의 개방된 전면도 제2수용 영역의 클로저 플랩과 유사한 방식으로 플랩이나 클로저 캡을 이용해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용기가 삽입·수용된 후 클로저 플랩으로 닫으면, 제1수용 영역에 먼지나 오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최소 한 개 이상의 제2수용 영역은 가급적 액체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리프팅 시스템을 수용하도록 설계한다.
예컨대 펌프 메커니즘과 같은 리프팅 시스템을 사용하면, 액체세제를 위한 제2용기에 압력을 가해 액체세제가 정확한 양으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정확한 양의 액체세제가 투입되도록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회전 메커니즘 또는 기타 메커니즘을 통해 제2용기에 압력을 가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이처럼 제2수용 영역은 제2용기 외에 리프팅 시스템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가급적 리프팅 시스템은 제2용기에 연결되거나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리프팅 시스템은 제2용기에 단단히 연결할 수 있다. 즉, 리프팅 시스템을 제2용기에 통합시킬 수 있고, 이처럼 통합된 형태로 공급·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용기에서 세제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서로 결합하거나 연결되는 두 개의 개별 요소로 리프팅 시스템과 제2용기를 설치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리프팅 시스템은 가령 제2용기의 유입구나 배출구와 같은 제2용기의 개구부에 연결되거나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제2용기와 마찬가지로, 리프팅 시스템은 교체 가능한 일회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가급적 리프팅 시스템은 제2용기에 연결하거나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리프팅 시스템을 작동시켜 정확한 양의 세제를 제2용기에서 펌핑해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시스템은 가령 호스 시스템을 통해 용기나 컵 또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세탁기의 세제 챔버에 연결되거나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확한 세제 투입량이 용기나 컵 또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세탁기의 세제 챔버에 직접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가급적 용기나 컵 또는 세제 챔버는 제2용기에 중력 방향으로 연결된 또는 연결할 수 있는 리프팅 시스템 아래에 배치한다. 리프팅 시스템은 용기나 컵 또는 세제 챔버 및 제2용기 사이에 중력 방향으로 배치하거나 위치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제가 제2용기에서 중력에 의해 리프팅 시스템 방향으로 쉽게 유도되고 제2용기에서 용기나 컵 또는 세제 챔버에 펌핑되어 세제를 매우 간편하게 용기나 컵 또는 세제 챔버로 주입할 수 있다.
가급적 리프팅 시스템에는 피스톤과 회전판이 있어야 한다.
리프팅 시스템이 피스톤 펌프를 통해 액체세제를 투입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리프팅 시스템은 모터로 구동되어 피스톤에 압력을 가하는 회전판을 포함한다. 피스톤이 회전판에 의해 전향되거나 이동되도록 피스톤을 제2용기에 연결하거나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가급적 회전판은 모터가 회전판을 구동시키고 회전운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피스톤 위에 중력 방향으로 배치한다. 이 회전운동은 피스톤을 병진운동으로 설정한다. 이처럼 피스톤이 제2용기를 향해 중력 방향인 아래쪽으로 밀려남에 따라 세제가 제2용기에서 펌핑되어 정확한 양으로 투입된다. 피스톤을 전향 또는 이동시킴으로써 액체세제가 손쉽게 제2용기에서 펌핑되어 적절하게 투입되는 것이다. 모터의 1회 회전은 여러 스트로크 동작으로 귀결된다. 달리 말해, 모터가 한 번 회전하면, 여러 차례 회전판 및 피스톤의 회전·병진운동이 결합되어 발생한다.
가급적 회전판은 편심 또는 제어 디스크로 설계해야 하며, 중심이 구동 축 바깥에 위치하도록 구동축에 설치한다. 피스톤은 가급적 편심 아래 및 구동 축 바깥에 중력 방향으로 배치한다. 이렇게 하면, 편심의 회전운동이 피스톤의 병진운동 또는 피스톤 스트로크로 쉽게 전환된다.
가급적 제2수용 영역에는 리프팅 시스템 수용 영역이 있어야 한다.
스트로크 시스템 수용 영역은 모터, 회전판 및 피스톤을 수용하도록 설계한다. 또한 모터, 회전판 및 피스톤을 리프팅 시스템 수용 영역에 단단히 연결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모터, 회전판 및 피스톤은 제2리셉터클의 후면 벽 및/또는 측벽에 배치할 수 있다. 회전판 및/또는 피스톤이 리프팅 시스템 수용 영역의 제2용기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제2용기는 제2수용 영역에 삽입하거나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회전판 및 피스톤을 이용함으로써 세제를 제2용기에서 펌핑해 정확한 양을 투입할 수 있으며, 제2용기와 함께 교체할 수 있다. 이처럼 세제가 제2용기에서 펌핑되어 투입되도록 하기 위해 모터, 회전판 및 피스톤은 리프팅 시스템 수용 영역에 제2용기와 함께 삽입할 수 있다.
가급적 리프팅 시스템은 약 0.4초에 액체세제 5 ml를 주입하도록 설계한다. 리프팅 시스템은 2.5 Hz의 주파수에서 작동한다. 즉, 리프팅 시스템을 통해 초당 2.5회 충진된다. 세제 조제업체나 세제 종류, 물의 경도, 세탁기 드럼의 부하량이나 드럼 크기, 세탁물의 오염 정도 등에 따라 20~340 ml(스트로크당 0.4초)를 리프팅 시스템을 통해 투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1.6~27.2초 동안 약 4~68회의 스트로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8초 동안 액체세제 10 ml를 주입하도록 스트로크 시스템을 설계한다. 이를 위해서는 약 1.6~27.2초 동안 약 2~32회의 스트로크가 이루어져야 한다.
가급적 리프팅 시스템은 센서를 갖추어야 한다.
센서는 리프팅 시스템 수용 영역에 단단히 연결할 수 있다. 제2용기가 제2픽업영역에 삽입될 때 센서를 통해 제2용기에 있는 액체세제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남아 있는 액체세제 수준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액체세제를 자동으로 추가 주문할 수 있도록 아래에서 설명할 모바일 앱과 같은 응용 소프트웨어에 센서를 연결할 수 있다.
액체세제의 충진 수준은 가령 시중에서 판매되는 미개봉 상태의 세제가 든 세제용기의 부피 또는 중량에 해당하는 최초 부피 또는 중량을 사용해 결정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미개봉 상태 세제용기의 부피 또는 중량에 관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앱에 저장해 사용할 수 있다. 장치는 미개봉 상태의 세제가 든 세제용기의 최초 부피 또는 중량 및 투입 횟수에 기초해 세제 소비량을 측정·계산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계산된 소비량에 기초해 시스템은 세제를 자동으로 재주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스템은 세탁 빈도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은 배달기간까지 고려한 주문을 가능케 하며, 사용자는 더 이상 세제가 얼마나 남아있는지 신경 쓸 필요가 없다. 이처럼 사용자가 슈퍼마켓에서 세제를 구입하거나 세제를 주문하지 않아도 세제가 자동으로 배송되도록 할 수 있다.
가급적 리프팅 시스템은 세탁할 세탁물의 중량에 따라 달라지는 세제 투입량 설정을 포함한다.
달리 말해, 세탁할 세탁물의 중량에 따라 제2용기에서 투입되는 세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물의 중량은 나중에 설명할 저울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이 저울은 세제 투입장치의 일부인 제어기로 세탁물 중량이 전송되고 다시 제어기가 이처럼 전송된 중량에 기초해 제2용기의 세제 투입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세제 투입장치에 결합시킬 수 있다.
가급적 다수의 클램핑 부재는 제2수용 영역의 측벽에 인접시켜 배치해야 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면 벽 맞은편에 있는 전면 및 제2수용 영역의 후면 벽 사이로 확장 시킨다. 가급적 클램핑 부재는 클램프로 설계하는 것이 좋다. 각 클램프 쌍은 제2수용 영역의 하한에 평행한 평면에서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소 두 개의 클램핑 부재, 가급적 세 개의 클램핑 부재를 제2수용 영역의 두 개 측벽 중 하나에 인접시켜 배치한다. 즉, 제2수용 영역은 최대 6개의 클램핑 부재를 포함하며, 이중 두 개는 가급적 제2수용 영역의 하한과 평행한 평면에서 다른 클램핑 부재 한 쌍과 마주 보도록 배치한다. 가급적 제2수용 영역은 최대 3쌍의 클램핑 부재를 포함한다. 그러나 제2수용 영역이 6개 이상의 클램핑 부재, 즉 3쌍 이상의 클램핑 부재를 포함하도록 제2수용 영역에 있는 두 개의 측벽에 6개 이상의 클램핑 부재(3쌍 이상의 클램핑 부재)를 인접시켜 배치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클램핑 부재 또는 클램핑 부재 쌍은 제2용기의 내부에서 또는 제2용기의 내부로부터 액체세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해준다. 클램핑 부재 또는 클램핑 부재 쌍은 정확한 양이나 원하는 양의 액체세제가 제2용기 내부에서 클램핑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는 고가의 연동펌프, 유량 센서 등을 생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제2리셉터클 영역에 네 개의 클램핑 부재 및 이에 상응하는 두 개의 클램핑 부재 쌍을 갖추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제2용기 및 액체세제 투입과 관련해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제1용기 내부의 분말세제 투입도 유사한 방식으로 다수의 클램핑 부재 또는 클램핑 부재 쌍들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즉, 제1용기 내부의 분말세제 투입이 스크루 컨베이어 및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지만, 분말세제 투입을 위한 제1수용 영역의 측벽 근처에 클램핑 부재 또는 클램프를 제공함으로써 분말세제를 정확한 양으로 투입할 수 있다.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에 삽입됨으로써, 제2용기가 최대 세 쌍의 클램핑 부재에 의해 측면으로 고정 및/또는 클램핑되도록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에 의해 수용된다. 클램핑 부재 쌍들은 제2용기 내부의 액체세제를 클램핑한다. 클램핑 부재 쌍들이 제2리셉터클 측벽에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클램핑 부재 또는 클램핑 부재 쌍들의 변위를 통해 액체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대 세 개의 클램핑 부재 쌍들이 적어도 하나의 위치, 특히 제1위치와 제2위치를 취할 수 있다. 제1위치에서는 최대 세 쌍의 클램핑 부재가 측면 방향으로 제2용기에 인접할 수 있고/있거나 제2용기와 접촉하여 클램핑 부재 쌍들이 제2용기의 측벽, 특히 제2용기의 마주 보는 측벽 두 개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위치에서는 최대 세 쌍의 클램핑 부재가 용기에 인접하지 못하고/못하거나 제2용기와 접촉하지 못해 클램핑 부재 쌍들이 제2용기의 측벽에 압력을 가하지 못한다.
최소 한 쌍의 클램핑 부재들이 지닌 제1위치와 제2위치는 클램핑 부재들의 위치가 제2수용 영역의 측벽을 기준으로 변경 또는 이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클램핑 부재들의 위치도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에서 수용될 때 제2용기의 측벽을 기준으로 변경될 수 있다. 클램핑 부재 쌍들의 배치는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에서 수용될 때 제2용기 및/또는 제2용기 안의 액체세제가 제2수용 영역의 측벽과 접촉하지 않도록 방지한다. 이러한 구조는 제2용기 삽입에 의한 제2수용 영역의 측벽 오염 및 제2용기 내부의 액체세제 오염을 줄인다.
클램핑 부재 제1쌍은 해당 클램핑 부재들이 하한으로부터 제1거리에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클램핑 부재 제2쌍은 해당 클램핑 부재들이 하한으로부터 제1거리보다 큰 제2거리에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핑 부재 제1쌍은 제2수용 영역의 하한에 인접한 클램핑 부재 하위쌍으로 배치할 수 있고, 클램핑 부재 제2쌍은 개방된 상부에 인접한 클램핑 부재 상위쌍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클램핑 부재 제3쌍은 클램핑 부재 제1쌍과 클램핑 부재 제2쌍 사이에 위치해 하한으로부터 제1거리보다는 크고 제2거리보다는 작은 제3거리를 갖는 클램핑 부재 중간쌍으로 배치할 수 있다.
하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1쌍은 하한으로부터 10~30 mm 사이, 가급적 약 20 mm에 해당하는 제1거리에 있다. 상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2쌍은 하한으로부터 160~240 mm 사이, 가급적 약 180 mm에 해당하는 제2거리에 있다. 가급적 하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1쌍과 상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2쌍 간 거리는 140~220 mm 사이, 약 160 mm로 한다. 중간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3쌍은 하한으로부터 10~30 mm 사이, 가급적 약 20 mm 및 160~240 mm 사이, 가급적 약 180 mm에서 변위가 가능하도록 하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1쌍 및 상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2쌍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하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1쌍은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으로 수용될 때 제2용기가 밀봉되어 액체세제가 제2용기에서 유출되지 못하도록 제2용기의 측벽에 압력을 가하거나 고정시킬 수 있다. 이처럼 하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1쌍은 멸균 방식으로 제2용기를 밀봉함으로써 가령 제2용기의 배출구 개구부를 통해 박테리아나 세균이 제2용기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상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2쌍은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으로 수용될 때 제2용기가 밀봉되어 액체세제가 가령 제2용기의 유입구 개구부를 통해 제2용기 및/또는 제2용기에 연결할 수 있는 액체세제조에서 유출되지 못하도록 제2용기의 측벽에 압력을 가하거나 고정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2쌍은 멸균 방식으로 제2용기를 밀봉함으로써 가령 제2용기의 유입구 개구부를 통해 박테리아나 세균이 제2용기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하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1쌍과 상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2쌍은 제2용기 내부 공간을 폐쇄하고 액체세제를 저장함으로써 액체세제가 의도치 않게 제2용기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중간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3쌍은 제2용기 안에 있는 액체세제를 투입하기 위해 하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1쌍과 상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2쌍 사이에 제공된다.
가급적 하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1쌍과 상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2쌍은 이 두 쌍의 클램핑 부재가 제2용기의 내부를 약 180~250 ml의 액체세제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제한하도록 배치한다. 이렇게 하면 약 250 ml의 액체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그러나 하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1쌍과 상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2쌍이 제2용기의 내부를 250 ml 이상의 액체세제, 가급적 250 ml 이상 500 ml 이하의 액체세제 또는 500 ml 이상 750 ml 이하의 액체세제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구조도 고려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둘 이상의 세탁기 부하에 적합한 양의 액체세제를 제공 또는 투입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개의 세탁기 부하를 순차적으로 세탁할 수 있다.
가급적 클램핑 부재들의 거리는 하한 및/또는 개방된 상부를 기준으로 가변적이어야 한다.
가급적 중간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3쌍은 높이 조절이 가능해야 한다. 즉, 하한까지 도달하는 제3거리는 가변적이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는 원하는 양의 세제가 정확히 투입되도록 한다. 또한 하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1쌍과 상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2쌍도 높이 조절이 가능해 하한까지의 제1거리 및 제2거리가 가변적인 구조도 고려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두 쌍의 클램핑 부재가 제2용기의 크기 또는 부피에 맞게 조정되므로 다양한 크기의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에 수용될 수 있고, 제2용기에서 정확한 양의 액체세제가 투입되도록 하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1쌍과 상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2쌍이 제2용기를 측면 방향으로 고정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제2수용 영역에 4개의 클램핑 부재, 즉 서로 대응되는 두 쌍의 클램핑 부재가 있는 경우, 이중 클램핑 부재 제1쌍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상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2쌍에 대응된다.
가급적 각 클램핑 부재는 제1클램핑 부재 표면과 제2클램핑 부재 표면으로 구성해야 하며, 이때 클램핑 부재 표면은 종방향 클램핑 부재 축의 맞은편에 배치한다.
제1클램핑 부재 표면과 제2클램핑 부재 표면은 기본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고, 각각은 제1단부 및 제2단부 사이에서 확장시킬 수 있다. 제1클램핑 부재 표면은 제1평면에서 확장되고, 제2클램핑 부재 표면은 제2평면에서 확장되며, 이때 제1평면과 제2평면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하고/하거나 클램핑 부재의 세로축이 제1평면과 제2평면 사이의 평면에 배치되도록 한다. 두 개의 클램핑 부재 표면의 폭, 즉 클램핑 부재의 세로축을 가로질러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를 이루는 두 개의 클램핑 부재 표면의 폭은 제1단부에서 제2단부 쪽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또한 각 클램핑 부재는 클램핑 부재 세로축을 가로지르는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로 배치된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클램핑 부재 표면은 제1단부를 통해 연결 플레이트에 연결할 수 있고, 제2클램핑 부재 표면도 제1단부를 통해 연결 플레이트에 연결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는 개별 클램핑 부재를 제2수용 영역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연결 플레이트는 클램핑 부재들이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로 후면 벽을 가로질러 확장되도록, 특히 클램핑 부재 표면들의 제2단부가 후면 벽에서 이격되도록 횡 방향으로 제2수용 영역의 후면 벽에 연결할 수 있다. 가급적 개별 클램핑 부재의 연결 플레이트는 제2리셉터클 영역의 한 측벽에 인접한 후면 벽에 연결함으로써 클램핑 부재들이 전면벽과 후면 벽 사이에서 측벽을 따라 확장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에 수용된 후 클램핑 부재 쌍들의 개별 클램핑 부재 사이에 고정되도록 하며, 액체세제가 제2용기 내부에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두 개의 클램핑 부재 표면 폭이 제2단부를 향하면서 점차 좁아지기 때문에, 개별 클램핑 부재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매우 쉽게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개별 클램핑 부재가 연결 플레이트를 통해 후면 벽에 연결되지는 않지만 클램핑 부재가 캐리지,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 부재를 통해 제2수용 영역의 후면 벽 및/또는 측벽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연결하는 구조도 고려할 수 있다.
가급적 두 개의 클램핑 부재 표면은 제3클램핑 부재 표면을 통해 연결하며, 이때 제3클램핑 부재 표면은 기본적으로 클램핑 부재 세로축을 가로지르는 원뿔 모양의 단면을 갖는다.
제3클램핑 부재 표면은 제1클램핑 부재 표면의 제1측면 모서리에서 제2클램핑 부재 표면의 제1측면 모서리로 확장할 수 있다. 제1클램핑 부재 표면 및 제2클램핑 부재 표면의 제1측면 모서리들은 클램핑 부재 세로축을 가로질러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 가급적 90°로 연장되는 동일한 평면에서 확장시킬 수 있다. 제3클램핑 부재 표면은 제1클램핑 부재 표면 및 제2클램핑 부재 표면, 연결 플레이트 및/또는 연결 플레이트가 후면 벽에 연결될 때 제2수용 영역후면 벽과 90°를 이루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클램핑 부재 쌍을 구성하는 개별 클램핑 부재는 제3클램핑 부재 표면을 가질 수 있고, 이때 각 클램핑 부재 쌍을 이루는 클램핑 부재 두 개의 제3클램핑 부재 표면은 클램핑 부재들이 연결 플레이트를 통해 후면 벽에 연결될 때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정렬한다. 가급적 연결 플레이트는 클램핑 부재들이 나사와 같은 연결 부재를 통해 후면 벽에 연결될 수 있도록 최소 한 개의 관통 구멍을 포함한다. 그러나 연결 플레이트를 클램핑 부재 표면의 제1단부 근처에, 예를 들어 클램핑 부재 표면의 제1단부 맞은편에 있는 제2측면 모서리에 정렬함으로써 클램핑 부재가 측벽에 연결되도록 하는 구조도 고려할 수 있다.
가급적 제3클램핑 부재 표면은 클램핑 부재 세로축을 가로지르는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에서 기본적으로 원뿔 모양 또는 삼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3클램핑 부재 표면은 제1클램핑 부재 표면의 제1측면 모서리 및 제2클램핑 부재 표면의 제1측면 모서리 사이에 위치한 원뿔 모양의 단면으로 인해 클램핑 부재의 세로축 방향으로 확장되는 클램핑 부재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 가급적 클램핑 부재 모서리는 클램핑 부재 세로축과 동일한 평면에서 확장 시킨다. 개별 클램핑 부재의 모서리 설계로 인해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에 수용되고 클램핑 부재 또는 클램핑 부재 모서리에 의해 제2용기의 측벽에 압력이 가해질 때 제2용기에 있는 액체세제가 매우 쉽게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제3클램핑 부재 표면이 한 개 이상의 클램핑 부재 모서리, 가급적 앞서 설명한 클램핑 부재 모서리처럼 클램핑 부재 세로축 방향으로 확장되고 제1클램핑 부재 표면의 제1측면 모서리 및 제2클램핑 부재 표면의 제1측면 모서리 사이로 확장되는 두 개의 클램핑 부재 모서리를 포함하는 구조도 고려할 수 있다. 각 클램핑 부재 모서리는 기본적으로 횡 방향으로 확장되거나 클램핑 부재 세로축 평면에 대해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 가급적 90°의 각도로 확장된다.
각각의 클램핑 부재는 제3클램핑 부재 표면의 맞은편에서 클램핑 부재 세로축을 가로지르는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각 클램핑 부재는 세 개의 클램핑 부재 표면 및 한 개의 개방된 면으로 제한된 내부 공동을 포함한다. 클램핑 부재가 제2수용 영역에 연결된 상태일 때, 가령 클램핑 부재가 연결 플레이트에 의해 후면 벽에 연결된 상태일 때, 내부 공동의 개방된 면은 제2수용 영역의 측벽 두 개 중 하나를 향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클램핑 부재들의 중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용기를 클램핑하고/하거나 제2용기 안의 액체세제를 투입하기에 보다 적합하다. 그러나 클램핑 부재의 세로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3클램핑 부재 표면의 맞은편에 제4클램핑 부재 표면을 갖추는 구조도 고려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4클램핑 부재 표면은 제1클램핑 부재 표면의 제2측면 모서리 및 제2클램핑 부재 표면의 제2측면 모서리 사이에서 확장된다.
적어도 한 개의 클램핑 부재 표면, 가급적 제3클램핑 부재 표면은 고무를 입힌 지지면으로 구성한다.
지지면은 특히 제2용기를 단단히 폐쇄할 수 있게 해준다. 지지면은 고무를 입힌 표면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탄성중합체를 포함하거나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재료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지지면은 연질 플라스틱 또는 경질 플라스틱을 포함하거나 이러한 재료로 만들 수 있다.
특히 하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1쌍 및 상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2쌍이 제2위치를 차지할 때, 고무를 입힌 접촉면은 밀봉력을 개선시켜 박테리아나 세균이 제2용기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고 액체세제가 제2용기에서 멸균 상태로 수용되도록 한다. 또한 장치 내부, 특히 측벽을 비롯한 제2리셉터클 내부가 액체세제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장치 청소, 특히 장치 내부 청소를 할 필요가 없다.
가급적 한 개 이상의 클램핑 부재(가급적 모든 클램핑 부재)가 최소 한 개의 스프링 부재를 갖춰야 한다.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부재는 제1클램핑 부재 표면의 제1단부 또는 제2클램핑 부재 표면의 제1단부 근처에 배치된 텐션 스프링 또는 고무 밴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1스프링 부재를 제1클램핑 부재 표면의 제1단부 근처에 배치하고 제2스프링 부재를 제2클램핑 부재 표면의 제1단부 근처에 배치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스프링 부재는 첫 번째 상태에서 클램핑 부재의 접촉 압력을 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하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1쌍과 상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2쌍을 통해 제2용기를 단단히 폐쇄 또는 밀봉할 수 있게 해준다. 이때 클램핑 부재 모서리는 액체세제가 제2용기에 멸균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제2용기의 측벽에 단단히 압착시킬 수 있다. 특히 각 클램핑 부재 쌍을 구성하는 개별 클램핑 부재에 스프링 부재를 포함시킬 수 있다. 제2용기의 양쪽에 있는 이 같은 스프링 지지는 뛰어난 멸균 밀봉을 보장한다.
양쪽의 스프링 지지는 평평한 압착 또는 균일한 표면 압착을 통해 밀봉할 수 있게 한다. 평평한 압력 또는 균일한 표면 압력은 클램핑 부재들의 접촉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클램핑 부재 및 그에 제공된 스프링 지지를 통해 제2용기의 기밀성 또는 밀봉이 항상 보장된다.
가급적 제2수용 영역의 하한에는 관통 구멍이 있어야 한다.
관통 구멍은 제2용기의 배출구가 관통 구멍을 통과하도록 구성한다. 특히 제2용기가 삽입되고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제2예외영역으로 수용되면, 특히 제2수용 영역에 수용되고 제2예외영역 아래로 돌출될 때 제2용기의 하단부에 있는 배출구가 관통 구멍을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배출구가 용기 또는 컵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양의 액체세제가 제2용기를 통해 배출되고 용기나 컵에 채워지도록 한다. 그러나 배출구를 직접 세탁기의 세제 챔버에 연결하거나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양의 액체세제가 직접 세탁기의 세제 챔버에 채워지도록 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액체세제를 세탁기의 세제 챔버에 채우기 위해 사용하는 컵이나 용기를 생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정확한 양의 분말세제가 세탁기의 세제 챔버로 직접 채워지도록 제1용기의 배출구를 세탁기의 세제 챔버에 직접 연결하거나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정확하게 투여된 액체세제 및 분말세제가 용기나 컵에 채워지도록 하거나 세탁기의 세제 챔버에 직접 공급되도록 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세제 챔버로 세제를 공급하는 것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동시에 또는 시차를 두고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령 제1수용 영역에 수용된 제1용기를 통한 분말세제의 동시 사용 및 제2수용 영역에 수용된 제2용기를 통한 섬유유연제 등의 액체세제 사용이 가능하다.
가급적 제1용기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제2용기도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1용기의 하우징 및/또는 제2용기의 하우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 재료, 특히 알루미늄 합성 포일을 포함하거나 이러한 재료로 제작한다.
가급적 제1용기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제2용기는 케이싱을 포함하며, 이때 제1용기의 하우징 및/또는 제2용기의 하우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치수 안정적인 재료를 포함하거나 이러한 재료로 제작한다.
가급적 제1용기 및/또는 제2용기 및/또는 투입장치는 바이오 플라스틱 또는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 가급적 암석지 및/또는 목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체세제를 수용·투입하기 위한 용기가 제공되는데, 이 용기는 액체세제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 내부 공간과 연결된 유입구 및 내부 공간과 연결된 배출구가 있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유입구는 액체세제 저장조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액체세제 투입량은 용기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액체세제를 수용·투입하기 위한 용기는 교체 가능한 일회용 물품으로 설계하고/하거나 액체세제가 미리 채워진 용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액체세제 공장에서 세제를 채운 용기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액체세제가 미리 채워진 상태로 소비자에게 공급되도록 공장에서 용기에 액체세제를 채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액체세제 저장조도 교체 가능한 일회용품으로 설계하고/하거나 액체세제가 미리 채워진 저장통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액체세제 공장에서 세제를 채운 통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액체세제가 미리 채워진 상태로 소비자에게 공급되도록 공장에서 저장통에 액체세제를 채워 공급할 수 있다.
액체세제 저장조는 교체 가능하다. 즉, 액체세제 저장조는 분말세제를 위한 제1용기와 마찬가지로 일회용품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분말세제 투입장치 및 액체세제를 위한 제2용기도 교체 가능한 구성품으로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교체 가능한 것으로 설명했던 구성품들을 재활용 또는 재사용 가능한 구성품으로 제작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액체세제 저장조는 세제 투입장치, 특히 제2수용 영역이 액체세제와 접촉하지 않는 방식으로 제2용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처럼 장치, 특히 제2수용 영역이 액체세제로 오염되지 않기 때문에 장치를 자주 청소할 필요가 없다.
용기는 가급적 제2용기로 세제 투입장치에 삽입·수용되도록 구성한다.
용기는 앞서 설명한 세제 투입장치의 제2수용 영역에 제2용기로 삽입되고 이 장치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용기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장치의 모든 기능은 아래에서 설명할 액체세제를 수용·투입하기 위한 제2용기에도 적용된다. 특히, 아래에서 설명할 제2용기는 각각의 클램핑 부재 쌍을 구성하는 클램핑 부재들을 통해 액체세제를 정확한 양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앞서 설명한 장치의 제2수용 영역에 삽입·수용된다.
가급적 제2용기의 유입구는 용기 세로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용기의 배출구 맞은편에 배치된 유입구 개구부를 포함한다. 제2용기는 유입구 개구부가 있는 유입구 및 배출구 개구부가 있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이때 배출구는 유입구 반대편에 배치된다. 제2용기가 개방된 상부를 통해 수직 이동에 의해 제2수용 영역으로 삽입될 때, 제2용기는 배출구가 하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의 제1쌍 및 하한에 인접한 제2수용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제2수용 영역에 의해 수용된다. 따라서 배출구는 제2수용 영역의 하한에 있는 관통 구멍을 통과할 수 있다. 동시에 유입구는 개방된 상부 및 상부에 위치한 클램핑 부재 제2쌍에 인접한 제2수용 영역의 상부에 배치된다. 유입구가 액체세제 저장조의 배출구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액체세제는 액체세제 저장조에서 제2용기의 내부로 공급되며, 각 클램핑 부재 쌍을 구성하는 클램핑 부재들에 의해 정확한 양으로 투입되어 배출구를 통해 제2용기에서 배출된다. 이러한 구조는(가급적 나사 체결 또는 접착 방식으로) 액체세제 저장조의 배출구에 단단히 연결된 클램핑 부재를 통해 미리 정해진 액체세제 투입량 및 정확한 액체세제 투입량을 투입할 수 있게 한다.
제2용기는 액체세제 저장조에 단단히 연결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2용기와 액체세제 저장조는 견고하게 상호 연결된 유닛으로 구성할 수 있다. 가급적 액체세제 저장조는 제2용기와 일체형이 되도록 용기에 통합시켜야 한다. 이러한 구조는 제2용기 및 액체세제 저장조가 하나의 상호 연결된 유닛으로서 수용 영역에 삽입·수용되도록 해준다. 액체세제 저장조의 배출구를 제2용기의 유입구에 연결함으로써, 일단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에 수용되면 액체세제가 액체세제 저장조에서 제2용기의 내부로 공급되고 클램핑 부재들에 의해 원하는 양으로 투여되어 배출구를 통해 용기나 컵 또는 세탁기의 세제 챔버로 공급된다. 이렇게 하면 액체세제 저장조와 제2용기가 하나의 유닛으로 제공되므로, 사용자는 더 이상 액체세제 저장조와 제2용기를 수동으로 조립할 필요가 없다. 이처럼 제2용기를 액체세제 저장조에 연결해 결합 용기 또는 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결합 용기는 액체세제가 채워진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즉, 제2용기와 액체세제 저장조에 액체세제를 채울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액체세제 저장조에만 액체세제를 채우고 제2용기 또는 투입 섹션을 액체세제 저장조에 배치 또는 부착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액체세제가 채워진 액체세제 저장조, 가령 시중에서 판매되는 세제병은 클램프와 같은 분리 부재를 사용해 제2용기에서 분리할 수 있다. 클램프를 분리 부재로 사용하면 액세세제가 액체세제 저장조에서 제2용기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또는 제2용기를 열 때 액체세제가 배출구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액체세제 저장조와 제2용기는 따로 분리되어 제공되는 별도의 요소로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2용기와 액체세제 저장조가 다 함께 개방된 방부를 통해 제2수용 영역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나사 연결, 플러그인 연결, 접착 연결 또는 클램프 연결을 통해 제2용기의 유입구를 액체세제 저장조의 배출구에 연결할 수 있다.
제2용기는 다양한 재료로 제작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플라스틱 또는 시트 재료와 같이 액체세제를 담기에 적합한 기타 가요성 재료가 포함된다. 또한 제2용기는 백이나 파우치로 구성할 수 있다. 제2용기와 마찬가지로 액체세제 저장조도 가요성 재료로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 비가요성 재료로 액체세제 저장조를 제작해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액체세제 저장조는 테트라 팩과 같은 판지 상자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액체세제 저장조는 가령 시중에서 판매되는 세제병과 같이 플라스틱 용기로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액체세제 저장조와 제2용기가 별도의 요소가 아니라 단일한 유닛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야 한다.
가급적 제2용기를 투입장치에 연결하거나 제2용기가 가급적 리프팅 시스템에 해당하는 투입장치를 포함한다. 후자의 리프팅 시스템은 제2용기 내부에서 액체세제를 투입하도록 구성한다.
가급적 제2용기는 유입구 개구부 및/또는 제2용기의 유입구 근처에 배치된 수평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가급적 수평 플레이트는 제2용기에 연결할 수 있거나 단단히 연결된 상태이거나 제2용기와 통합된 일체형이어야 한다.
플레이트 또는 서스펜션 탭은 제2용기의 상부에 견고하게 또는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플레이트는 제2용기에 통합된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가급적 플레이트의 표면 모양은 특히 제2용기의 세로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 가급적 90°의 각도를 이루는 제2용기의 횡단면 표면 모양에 해당해야 한다. 이 경우, 플레이트의 표면 모양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표면 모양도 고려할 수 있다. 플레이트 단면의 표면 모양에서 마주 보는 두 면 간 거리는 제2수용 영역에 삽입·수용되었을 때, 액체세제로 채워졌을 때 또는 액체세제가 제2용기 내부로 수용되었을 때 제2용기의 마주 보는 두 면 간 거리와 같거나 이보다 크다.
플레이트는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으로 삽입되고 이후 제2수용 영역에서 제2용기를 고정 또는 위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에 수용된 경우, 플레이트는 개방된 상부의 모서리 또는 모서리 표면에 위치해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또한 플레이트는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에 정확히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각 클램핑 부재 쌍을 구성하는 클램핑 부재들이 제2용기의 측벽에 압력을 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조는 정확한 액체세제 투입을 가능케 한다.
플레이트의 대안으로서 기본적으로 플레이트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위치설정장치 또는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가급적 위치설정·고정 장치는 C 모양의 클램프, C 클램프 또는 C 모양의 지지부재로 구성한다. C 클램프는 제2용기와 액체세제 저장조 사이에, 결합 용기인 경우 가급적 제2용기가 액체세제 저장조에 연결되는 지점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 클램프는 접착 방식으로 액체세제 저장조 바닥 또는 제2용기 상부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위치설정·고정 장치가 C 클램프나 C 모양의 지지부재 대신에 접착 스트립 및/또는 벨크로와 같은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결합 용기는 제2수용 영역의 측벽 중 하나, 가급적 제2수용 영역의 상부에 있는 위치설정·고정 장치를 통해 배치·고정할 수 있다. 위치설정·고정 장치는 제2수용 영역에 삽입된 상태에서 액체세제를 비우는 동안 결합 용기가 하한을 향해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2용기가 완전히 비워지도록 한다. 위치설정·고정 장치는 제2용기 및/또는 액체세제 저장조를 제자리에 위치시키고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가급적 플레이트에는 관통 구멍이 있어야 하며, 제1주변벽을 갖춘 제1플랜지를 포함해야 한다. 이때 제1주변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 구멍을 감싸며 플레이트 제1면에서 횡 방향으로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로 확장된다. 제1플랜지는 플레이트를 액체세제 저장조의 배출구 및/또는 배출구 개구부에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플레이트 제1플랜지의 제1주변벽은 액체세제 저장조, 특히 액체세제 저장조의 배출구에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하면 제2용기가 액체세제 저장조에 연결되어 액체세제가 액체세제 저장조에서 제2용기로 확실하게 주입된다. 제1플랜지 또는 제1주변벽은 플레이트와 일체형이 되도록 제작하거나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성형 또는 사출 성형 부품으로 제작할 수 있다. 제1플랜지 및 액체세제 저장조 배출구의 외벽은 기본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그러나 타원형과 같은 다른 모양도 고려할 수 있다.
제1플랜지는 가령 푸시-핏 연결(밀어 맞추는 연결)을 이용해 액체세제 저장조의 배출구에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플랜지 또는 제1주변벽의 내경은 기본적으로 액체세제 저장조의 배출구 외경과 같거나 조금 클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액체세제 저장조의 배출구가 제1플랜지에 쉽게 연결되어 액체세제가 확실하게 제2용기로 주입된다. 그러나 나사 연결을 통해 제1플랜지를 액체세제 저장조의 배출구에 연결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플랜지의 제1주변벽은 관통 구멍을 기준으로 제1주변벽의 내측 또는 외측에 있는 제1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배출구 주변벽의 외측 또는 내측에서 액체세제 저장조 배출구의 제2나사산을 이용해 나사로 고정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2용기는 간단한 플러깅 또는 나사 체결을 통해 액체세제 저장조에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제1플랜지를 통해 제2용기를 액체세제 저장조의 배출구에 접합시키거나 제2용기와 액체세제 저장조가 일체형인 결합 용기로 제작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세제 투입장치 규격에 맞는 탱크를 액체세제 저장조로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탱크는 배출구 및 배출구 개구부가 배열된 한 측면의 평면에 횡단면이 있는데, 이 단면은 세제 투입장치의 세로축 또는 제2수용 영역의 세로축을 가로질러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를 이루는 횡단면에 대응된다. 그러나 액체세제 저장조는 슈퍼마켓에서 액체세제가 든 상태로 구입할 수 있는 병이나 용기를 그대로 사용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병 개구부 또는 용기 개구부를 배출구로 삼아 간단한 방식으로 제1플랜지에 배출구에 나사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병 개구부 또는 용기 개구부의 외부 나사산은 제1플랜지 또는 제1주변벽의 내부에 있는 제1나사산에 나사로 고정시킬 수 있다.
가급적 플레이트는 제2주변벽이 있는 제2플랜지를 포함하며, 이때 제2주변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 구멍을 둘러싸고 제1면의 맞은편에 있는 플레이트의 제2면에서 횡 방향으로 확장 시킨다. 가급적 제2플랜지는 플레이트를 용기의 유입구 및/또는 유입구 포트에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플레이트를 제2용기에 단단히 연결함으로써, 특히 제1플랜지 및 제1주변벽이 있는 제1면 맞은편의 플레이트 제2면을 제2용기에 단단히 연결함으로써, 제2용기가 플레이트를 통해 액세제제 저장조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플레이트는 제1플랜지를 통해 액체세제 저장조의 배출구에 연결하고, 제2플랜지를 통해 제2용기의 유입구에 연결하는 별도 요소로도 고려할 수 있다.
제2플랜지는 제2주변벽을 포함하며, 제2플랜지 및 제2주변벽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 구멍을 둘러싸도록 플레이트의 제2면에 배치한다. 제2플랜지 및 제2주변벽은 기본적으로 제1플랜지 및 제1주변벽처럼 구성할 수 있다. 가급적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는 플레이트의 평면을 가로지르고/가로지르거나 관통 구멍을 통과해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로 확장된 동일한 플랜지의 중심 세로축을 둘러싼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레이트는 제1플랜지를 통해 액체세제 저장조에, 제2플랜지를 통해 제2용기의 유입구에 연결할 수 있으며, 액체세제 저장조의 중심 세로축 및 제2용기의 세로축은 액체세제 저장조, 플레이트 및 제2용기가 모두 연결되었을 때 플랜지의 중심 세로축과 동일한 직선에 위치하게 된다. 액체세제 저장조의 중심 세로축은 배출구 개구부가 액체세제 저장조의 중심 세로축에 배치되도록 배출구를 통해 확장된다. 저장조 세로축은 유입구 배출구가 저장조 세로축에 배치되도록 유입구를 통해 확장된다. 또한 제2용기의 배출구 개구부 및/또는 배출구는 용기 세로축에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배출구 개구부 및/또는 배출구가 용기 세로축이 아니라 용기 세로축에 평행한 면에서 확장되도록 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제2용기의 유입구를 액체세제 저장조의 배출구에 직접 연결해 플레이트를 생략하는 구조도 고려할 수 있다. 가급적 액체세제 저장조의 배출구는 플러그인 연결 또는 나사 연결을 통해 제2용기의 유입구에 연결한다. 그러나 제2용기의 유입구를 액체세제 저장조의 배출구에 접합시키거나 일체형이 되도록 제작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가급적 제2용기의 유입구는 유입구 개구부를 기준으로 유입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한 제1나사산을 포함해야 하며, 이때 제1나사산은 배출구 개구부를 기준으로 배출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액체세제 저장조 배출구의 제2나사산에 나사로 고정할 수 있다. 가급적 액체세제 저장조는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해야 하며, 이때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은 액체세제 저장조의 중심 세로축을 기준으로 맞은편 단부에 배치한다. 액체세제 저장조의 배출구는 밑면에 배치하며, 이때 밑면은 기본적으로 수평면 또는 액체세제 저장조의 중심 세로축을 가로질러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 특히 90°의 각도를 이루는 평면에서 확장 시킨다. 이 실시예에서는 밑면이 플레이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액체세제 저장조는 가급적 배출구 또는 배출구 개구부의 맞은편에 배치된 유입구 개구부가 있는 유입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체세제는 유입구를 통해 액체세제 저장조로 주입 및/또는 보충된다. 그러나 결합 용기에 액체세제를 채우도록 제작함으로써 액체세제 저장조가 유입구 또는 유입구 개구부를 포함하지 않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가급적 용기의 배출구는 제2수용 영역의 하한에 있는 관통 구멍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제2용기의 배출구는 길게 신장된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배출구는 관형 이거나 배출구 세로축을 따라 제1단부 및 그 맞은편에 있는 제2단부 사이로 확장시킬 수 있다. 제1단부는 제2용기의 근처에 배치하며, 제2단부는 제2용기와 이격시킨다. 배출구의 외경은 제2리셉터클의 하한에 있는 관통 구멍의 내경보다 작아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용기의 배출구는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에 수용되었을 때 제2수용 영역의 하한에 있는 관통 구멍을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에 삽입되었을 때 정확한 양의 액체세제가 제2용기로 배출되어 용기나 컵 또는 세제 챔버를 채울 수 있도록 배출구를 용기나 컵 또는 세탁기의 세제 챔버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 이처럼 액체세제 및 분말세제가 세탁기의 세제 챔버(들)에 직접 주입되거나 정확한 양으로 직접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양의 세제를 세탁기의 세제 챔버를 투입하는 데 사용되는 용기나 컵을 생략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배출구의 제1단부는 제2용기에 단단히 연결할 수 있는데, 가령 배출구의 제1단부를 제2용기와 일체형으로 제작하거나 제1단부를 제2용기에 접합시킬 수 있다.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에 수용된 상태에서 배출구의 제2단부는 하한 평면과 동일한 평면 또는 하한 평면에 인접한 평면, 가령 하한 평면의 위에 배치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가급적 제2용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단면 부분이 있어야 하며, 변단면 부분의 제2용기 주변부는 기본적으로 배출구 쪽으로 가면서 원추형으로 감소한다.
제2용기는 용기 세로축을 따라 유입구 단부 및 그 맞은편에 있는 배출구 단부 사이로 확장시킬 수 있다. 유입구 개구부 및 유입구는 유입구 단부에 인접해 위치한다. 배출구 및 배출구 개구부는 배출구 단부 근처에 배치한다. 제2용기는 제1측벽 및 유입구 단부와 배출구 단부 사이의 용기 세로축 평면에 평행하게 확장된 맞은편의 제2측벽을 포함한다. 용기의 변단면 부분은 배출구 단부에 인접한 하부 영역에 있다. 변단면 섹션에서 제1측벽 및 제2측벽 간 거리는 기본적으로 배출구 쪽으로 가면서 원추형으로 감소한다. 이렇게 하면 제2용기에 있는 거의 모든 액체세제가 배출구를 통해 빠져나가 제2용기에는 최소량의 액체세제만 남게 된다.
가급적 제2용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칭 부분을 포함해야 하며, 이때 제2용기의 주변부는 대칭 부분에서 동일하게 유지되고, 대칭 부분은 변단면 부분보다 배출구에서 멀리 이격시킨다.
대칭 섹션에서 제1측벽 및 제2측벽은 각각 용기의 세로축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확장된다. 대칭 섹션은 유입구 단부 및 변단면 섹션 사이에서 확장시킬 수 있다.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에 삽입 또는 수용될 때, 각 클램핑 쌍을 구성하는 클램핑 부재들을 대칭 섹션에서 측벽에 인접시킴으로써 측벽에 압력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액체세제 투입을 가능케 한다. 가급적 하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1쌍은 변단면 부분에 인접해 대칭 섹션에 위치한 제2용기 용역에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제2수용 영역의 측벽에 배치한다.
가급적 제2용기는 변단면 부분의 외벽에 배치된 최소 한 개의 제1자석을 포함해야 하며, 이때 제1자석은 제2수용 영역 하한에 있는 관통 구멍 근처에 위치한 최소 한 개의 제2자석에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최소 한 개의 제1자석은 배출구 또는 배출구 외벽 근처에 배치할 수 있다. 최소 한 개의 제2자석은 하한에 있는 관통 구멍 근처, 가급적 관통 구멍의 내벽에 배치할 수 있다. 최소 한 개의 제1자석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구 외벽을 둘러쌀 수 있으며, 가급적 배출구 외벽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한다. 최소 한 개의 제2자석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 구멍의 내벽을 둘러쌀 수 있으며, 가급적 배출구의 내벽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한다. 가급적 최소 한 개의 제1자석과 최소 한 개의 제2자석은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에 수용될 때 서로 협력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이렇게 하면, 액체세제가 배출구를 통해 거의 완전하게 제2용기에서 빠져나가도록 또는 개별 클램핑 부재가 적절한 양의 액체세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제2용기가 적절한 위치를 차지하거나 유지하게 된다. 대안적으로 최소 한 개의 제1자석 대신 제2자석과 상호작용하는 금속 부재(금속 플레이트 또는 금속 스트립)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자석 대신 제1자석과 상호작용하는 금속 부재(금속 플레이트 또는 금속 스트립)를 제공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이 자석들로 인해 제2용기는 액체세제가 제2리셉터클의 하우징에 닿지 않고 배출구를 통해 유도될 수 있도록 항상 정확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장치는 세제, 특히 분말세제 및/또는 액체세제의 자동 투입을 위해 설계되었다.
세제 투입은 세제 투입장치를 통해 자동화할 수 있다. 장치는 최소 한 개의 제1수용 영역에 있는 최소 한 개의 제1용기에서 분말세제 투입이 이루어지고 최소 한 개의 제2수용 영역에 있는 최소 한 개의 제2용기에서 액체세제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를 가령 앱과 같은 응용 소프트웨어에 연결함으로써 세제 투입이 앱을 통한 제어장치로 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최소 한 개의 제1수용 영역에 있는 최소 한 개의 제1용기에 의한 분말세제 투입 및/또는 최소 한 개의 제2수용 영역에 있는 최소 한 개의 제2용에 의한 액체세제 투입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버튼을 눌러 수동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장치에 누름 버튼과 같은 액추에이터가 있어야 한다. 또한 장치는 자동 및 수동 방식 모두로 작동시킬 수 있다.
세제 투입을 위한 투입량 설정은 세탁물 중량, 세탁 유형, 세탁물 부피, 물의 경도, 세탁기 드럼 크기, 세탁물 세탁 시 사용되는 수돗물의 경도 등에 따라 제어·조절할 수 있다.
세제 투입량은 세탁물의 양에 따라 달라지거나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세제 투입량은 세탁물의 종류, 부피, 중량, 오염 정도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세탁물의 중량 및/또는 부피는 가령 앱과 같은 사용자 소프트웨어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측정된 세탁물의 중량 및 부피에 따라 정확한 양의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세제 투입장치의 제어·조정장치를 제어 또는 조절하는 동일한 앱을 통해 세탁물의 중량 및/또는 부피를 결정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바닥이나 테이블 위에 세탁물을 놓아 360° 각도에서 세탁물의 모든 면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 카메라가 있는 기기에 앱을 설치하면, 이 앱이 카메라를 이용해 세탁물의 크기를 감지하며 설치된 알고리즘을 통해 세탁물의 중량이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같은 방식은 별도의 저울 없이도 세탁물의 중량 및/또는 부피에 근거한 세제 투입량 산출을 간편하게 자동화한다.
세탁물 유형, 부피, 중량 및/또는 오염 정도는 가령 증강현실(AR)에 기초한 모바일 앱과 같은 응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어하거나 측정할 수 있다.
세탁물의 중량 및/또는 부피 외에 오염 정도도 증강현실에 기초해 측정할 수 있다. AR을 통해 소프트웨어는 세탁물에 대한 개별 측정 지점들을 갖춘 디지털 네트워크를 포괄할 수 있다. 세탁물의 모양 및 색상을 통해 소프트웨어는 바닥이나 테이블에 있는 세탁물의 형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모든 면의 하단 및 상단에 측정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탁물의 3차원 측정이 가능하다. 필요한 경우 측정 지점을 수동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설정 지점을 컬러로 표시할 수 있다.
물의 경도 및/또는 세탁기 유형은 앱을 통해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를 통해 드럼 크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물의 경도 및 세탁기 유형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물의 경도 및/또는 세탁기 유형을 앱에 사전 설정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가령 GPS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치 확인을 통해 시스템이 물의 경도를 확인할 수 있다.
(오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앱/스마트폰 카메라 또는 세탁물 바구니에 있는 센서/카메라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세탁물의 오염 정도는 장치에서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장치는 세탁물의 오염 정도를 설정할 수 있는 3개의 버튼, 보다 바람직하게는 4개의 버튼(가벼운 오염, 일반 오염, 심한 오염, 매우 심한 오염)을 포함해야 한다. 그러나 세탁기 안에 있는 물의 탁도를 통해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세탁기를 앱이나 장치에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가급적 분말세탁세제는 앱을 통해 감지하거나 스캔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치는 세제별로 앱에 저장된 권장 투입량에 기초해 투입량을 결정할 수 있다. 투입량 결정은 세제 포장 겉면에 표시된 투입 지침 또는 정보에 따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앱에 저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군의 세제를 수동으로 앱에 입력해 투입량이 결정되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 또한 세제 포장에 표시된 투입 지침에 따라 해당하는 세제량을 수동으로 입력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수동으로 제1용기에 분말세제를 채우거나 옮기는 경우에는 수동 입력이 유리하다.
가급적 앱은 3D 카메라를 사용하여 세탁할 세탁물의 부피를 측정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3D 카메라는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장치에 통합 또는 결합된다. 앱에서 세탁물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물이 주로 면직물 또는 기타 재질인 경우 이를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가급적 장치는 세탁할 세탁물의 재질(예: 면직물)에 맞춰 중량을 측정하도록 설계하거나 이러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앱에 저장되어 있는 세탁물의 부피 또는 중량을 토대로 최종적으로 세탁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가급적 세탁물의 부피는 증강현실을 통해 측정한다. 앱이 세탁물에 대한 개별 특정 지점들을 갖춘 디지털 네트워크를 포괄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세탁물의 모양 및 색상을 통해 소프트웨어는 바닥이나 테이블에 있는 세탁물의 형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모든 면의 하단 및 상단에 측정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탁물의 3차원 측정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클릭킹을 통해 측정 지점을 수동으로 고정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으며, 설정 지점을 컬러로 표시할 수 있다.
가급적 응용 소프트웨어는 세탁물 분리 및/또는 최적·최대 세탁 부하량 달성을 알리도록 설정된 알림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앱이 세탁물의 종류를 인식 또는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앱은 면직물, 벨벳, 프린트 면직물, 새틴, 실크 등 세탁물이 어떤 재질인지 인식할 수 있고, 세탁물의 재질에 따라 적절한 세제용기가 있는 최소 한 개의 제1수용챔버 또는 제2수용챔버를 제어한다. 이처럼 세탁물의 재질에 따라 적절한 세제를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의 원단 재질에 따라 세제 투입량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앱은 서로 다른 원단 재질이기 때문에 함께 세탁하면 안 되는 세탁물인 경우 이를 감지해 세탁물을 분리하도록 알릴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서로 다른 세제를 사용해야 하는 세탁물이 함께 세탁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된 세탁물의 원단 재질 또는 세탁물 유형에 따라 세탁기가 적절한 세탁 프로그램을 선택하도록 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세탁물의 오염 정도는 스마트폰, 태블릿 및/또는 노트북의 카메라를 통해서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앱에서 오염 정도를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수동으로 입력한 오염 정도에 따라 세제 투입량이 결정되도록 예컨대 심한 오염, 일반 오염 및 가벼운 오염의 세 가지 옵션을 앱에 설정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오염 정도를 세분화하는 다른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장치나 앱에 있는 버튼을 눌러 오염 정도를 설정할 수 있다. 가급적 장치에는 가벼운 오염, 일반 오염, 심한 오염 또는 매우 심한 오염을 설정할 수 있도록 4개의 버튼이 있어야 한다.
다양한 재질 및 오염 정도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장치나 앱에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장치는 세탁물의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는 이미지 인식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세탁물의 상부 영역처럼 세탁물의 일부분만 감지하거나 포착하도록 앱을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가 항상 세탁물 바구니에 던져진 마지막 세탁물만 포착·확인하도록 한 다음, 이를 근거로 앱이 바구니에 있는 모든 세탁물에 대한 평균 오염 정도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세탁물이 특별히 더러운 경우, 이러한 기능을 탑재한 장치 또는 시스템은 세탁물이 평균값으로 결정된 투여량으로는 깨끗하게 세탁할 수 없음을 알리는 앱 메시지 또는 음향 경고 신호를 보낼 수 있다.
가급적 앱은 이미지 인식을 위해 학습하거나 학습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경우 적응형 알고리즘이 이미지를 작은 구성요소로 분해해 데이터에 있는 패턴을 검색할 수 있다. 오염 정도, 섬유 재질, 세탁물 바구니 안의 세탁물 위치 등이 이러한 패턴에 속한다. 일례로, 세탁물의 위치는 세탁물 바구니에 개별 세탁물이 담기는 위치를 의미한다. 앱을 통해 인식하거나 감지할 수 있는 이미지는 활성화하거나 마킹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앱은 오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포착된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거나 매칭시킬 수 있다. 이처럼 이미지 인식 앱을 학습시키고 나면 인간보다 훨씬 빠르고 정확하게 작업을 수행한다. 이미지 인식은 구글, IBM, 마이크로소프트, 클래리파이, 클라우드 사이트 등 주요 공급업체의 소프트웨어 툴을 사용해 수행할 수 있다.
세제 투입량 설정은 세탁기에 사용되는 수돗물의 경도에 따라 제어 또는 조절할 수 있다.
수돗물의 경도는 사는 지역에 따라 달라진다. 석회, 칼슘 및 마그네슘이 많을수록 물의 "경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세제는 물의 경도에 따라 투여해야 한다. 세제 투입장치의 제어·조절장치가 데이터베이스에서 또는 위에서 설명한 앱 또는 다른 앱과 같은 사용자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직접 인터넷에서 물의 경도를 파악해 해당 지역의 물 경도에 따라 세제 투입량을 결정하도록 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물의 경도는 세제 투입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지리적 데이터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 물은 경도에 따라 연수, 중수 및 경수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독일에서는 경도값이 8.4 dH(독일에서 사용되는 경도 단위)인 경우 연수, 8.4~14 dH인 경우 중수, 14 dH를 초과하는 경우 경수로 분류된다. 경수는 석회를 더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연수보다 세제 투입량이 많아야 한다. 가령 GPS를 통해 정확한 장치 위치가 파악되면 해당 지역의 물 경도를 간편하고 자동화된 방식으로 확인해 해당 위치의 물 경도에 따라 세제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물의 경도에 따라 세제 투입량을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앞서 설명한 세 가지 경도, 즉 연수, 중수 및 경수 중에서 선택해 수동으로 앱에 설정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앱에 측정된 경도를 입력할 수 있도록 물의 경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스트립을 제공할 수 있다.
가급적 최소 한 개의 제1용기 및/또는 최소 한 개의 제2용기는 RFID(무선주파수 식별) 태그 또는 바코드와 같은 코드를 포함한다. 세제 투입장치는 RFID 판독기 또는 바코드 판독기와 같은 감지기나 판독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가급적 세제 투입장치는 최소 한 개의 제1판독기 및/또는 최소 한 개의 제2판독기를 갖추어야 한다. 가급적 최소 한 개의 제1수용 영역은 제1판독기를 포함하며, 최소 한 개의 제2수용 영역은 제2판독기를 포함한이다. 이 판독기들은 각각 수용 영역의 측벽 또는 후면 벽 내측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제1코드가 있는 제1용기가 제1수용 영역에 삽입된 후 및/또는 제2코드가 있는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에 삽입된 후 각 코드를 자동으로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앱 및/또는 스마트폰 카메라를 사용해 각 코드를 판독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코드에 세제 유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코드를 통해 세제 유형(예: 중성세제, 컬러의류 전용 세제 등)을 감지한 후 장치의 제어·조절장치에 전송 또는 통신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조절장치는 최소 한 개의 제1판독기 및/또는 최소 한 개의 제2판독기와 통신한다. 따라서 장치는 유형 또는 재질에 따라 올바른 세제를 선택하고 자동화된 방식으로 투입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앱을 통해 개별 픽업영역에 세제 유형을 수동으로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세제 투입량 설정은 모바일 앱과 같은 응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어하거나 조절할 수 있다. 세제 투입량 설정은 가급적 블루투스 또는 근거리통신망(LAN)을 통해 제어하거나 조절한다.
세제 투입은 앞서 설명한 앱과 같은 모바일 앱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세제 투입장치에 있는 누름 버튼과 같은 액추에이터를 통해 제어하거나 작동시키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오염 정도, 물의 경도 및/또는 세탁물 중량을 측정한 후 앱을 통해 세제를 투입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앱은 세제 투입장치의 제어·조절장치와 통신한다. 또는 오염 정도, 물의 경도 및/또는 세탁물 중량과 같은 모든 측정값이 확인된 후 세제 투입을 자동화할 수 있다. 즉, 해당 신호를 제어·조절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용기나 컵 또는 세탁기의 세제 챔버에 자동으로 세제가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필요한 모든 측정값이 확보되면 제어·조절장치가 자동으로 세제 투입을 시작한다.
가급적 응용 소프트웨어는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세제를 온라인 주문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세제 투입장치는 투입 횟수를 감지해 세제 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제1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을 중심으로 스크루 컨베이어의 회전을 감지하거나 계수하도록 설정된 제1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는 가급적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 근처에 배치한다. 또한 제1센서는 최소 한 개의 제1수용 영역 안에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소 한 개의 제1리셉터클에 있는 분말세제 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제2수용 영역에 배치된 클램핑 부재의 활동을 감지하거나 계수하도록 설정된 최소 한 개의 제2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센서는 클램핑 부재 근처,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소 한 개의 클램핑 부재에 인접시켜 배치한다. 또한 제2센서는 최소 한 개의 제2수용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소 한개의 제2리셉터클에 있는 액체세제 소비량을 감지할 수 있다. 최소 한 개의 제1센서 및/또는 최소 한 개의 제2센서는 앱과 통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세제 소비량 정보가 앱에 전송·기록된다. 이를 통해 앱이 인터넷에 연결되는 즉시 새로운 세제를 인터넷에서 자동으로 주문할 수 있다. 또한 지정된 최소 세제량에 도달한 경우 앱 사용자가 경고 신호를 수신해 버튼을 누르는 수동 방식으로 인터넷에서 새로운 세제를 주문하거나 슈퍼마켓에서 직접 구입하도록 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세제 보충은 세탁 빈도 및/또는 세제 배송기간을 고려해 수행할 수 있다.
앱이 적절한 세제를 제안하도록 설계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가 실크, 울, 검은색 세탁물 등 세탁물 유형에 대한 모든 데이터를 포착하면 앱이 사용할 세제를 제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떤 기록 영역이 세탁에 사용하고자 하는 세제 유형을 포함하는지에 따라 앱에서 해당하는 기록 영역을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세탁물의 유형이나 재질에 따라 자동으로 적절한 세제가 사용되도록 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세탁물 유형 또는 재질에 대해 카메라가 측정한 데이터가 제1용기 또는 제2용기가 있는 개별 리셉터클 영역의 세제 유형에 대해 판독기가 앱에 전송한 데이터와 일치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액체 또는 분말 세제가 담긴 해당 리셉터클 영역 및/또는 용기를 제어하여 적절한 세제가 자동으로 선택된다.
앱 또는 앱으로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는 세탁기 유형 및/또는 제조업체에 따라 달라지는 다양한 세탁기의 구조적 특징이나 특성을 저장해 이러한 값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앱은 드럼 크기, 세탁 프로그램 등과 같은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따라서 앱은 카메라 또는 저울에 의해 측정된 세탁물의 중량이나 부피가 드럼 사이즈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경고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세탁물의 부피 및/또는 중량을 측정한 결과 스캔 된 세탁물이 세탁기 용량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경우, 앱이 사용자에게 신호를 보낸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세탁물이 깨끗하게 세탁되고 오염이 말끔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세탁물의 부피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은 세탁물 바구니 및 저울과 결합해 세탁기의 최적 또는 최대 부하에 도달했을 때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적용하면 매우 효율적인 세탁을 할 수 있다.
모바일 앱과 같은 응용 소프트웨어는 가급적 제1용기에 있는 분말세제의 충진 수준 및/또는 제2용기에 있는 액체세제의 충진 수준을 신호음 또는 신호등을 통해 자동으로 표시하는 데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제1용기에 분말세제가 떨어졌거나 특정 충진 수준에 도달한 경우 또는 제2용기에 액체세제가 떨어졌거나 특정 충진 수준에 도달한 경우 인터넷에서 자동으로 세제를 주문할 수 있다.
세탁물의 무게는 걸이 식 저울 또는 플랫폼 저울을 사용해 측정할 수 있다.
AR을 통한 카메라 대신 저울이나 중량측정장치, 가급적 걸이 식 저울이나 플랫폼 저울을 이용해 세탁물의 중량 또는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저울을 세탁기에 통합시키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저울은 세탁기 내부의 세탁 드럼 근처에 통합시킬 수 있으며, 조절장치 및/또는 앱과 통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세탁물을 세탁 드럼에 넣을 때 간단하면서도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중량값이 제어·조절장치 및/또는 앱에 전송되므로, 세탁물 중량에 알맞은 세제 투입이 이루어진다. 또한 세탁 드럼의 최대 중량에 도달한 경우 앱이 경고를 보내도록 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다시 세탁 드럼에서 일부 세탁물을 꺼내 세탁물의 중량 또는 부피를 손쉽게 드럼 크기에 맞춰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저울은 표준 세탁기 발 아래에 설치하는 계량 매트 또는 로드 셀로 세탁기 아래에 배치하거나 다른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세탁물을 세탁 드럼에 넣으면, 이미 알고 있는 세탁기 무게를 감안해 손쉽게 세탁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세탁 드럼에 있는 세탁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무게측정장치나 저울이 설치된 발로 일반 세탁기 발을 교체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가급적 발은 세탁기의 바닥에 나사로 고정한다. 이외에도 세탁기에 무게측정장치나 저울을 갖춘 세탁기 베이스 또는 서브프레임을 포함시키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세탁물 바구니, 세제, 분말세제, 건조기 등과 같은 물건을 세탁기 위에 올려놓는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방식의 저울에 의한 중량 측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을 피하기 위해, 세탁 사이클 및 기존 세탁물을 제거한 후 저울을 TARA로 설정할 수 있다. TARE 또는 TARE 중량은 총 중량 및 세탁할 세탁물의 순 중량 간 차이를 의미한다. 저울은 세탁기 도어의 개폐 또는 세탁기에서 기존 세탁물을 제거하는 동작을 감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탁 프로그램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저울이 스스로 TARE 중량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새로운 세탁물을 세탁기에 넣기 전 버튼을 눌러 저울이 TARA로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클릭킹을 통해 개별 크래들 부재 또는 로드셀을 세탁기 발에 연결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저울은 세탁물 바구니에 연결하며, 가급적 세탁물 바구니의 바닥에 플랫폼 저울로 연결한다.
또한 세탁기 외부 및/또는 세탁 드럼 외부에 저울을 배치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일례로, 저울 또는 중량 측정 시스템은 세탁물 바구니 근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세탁 바구니를 저울에 올려놓는다. 또한 저울 또는 중량 측정 시스템은 세탁물 바구니에 통합시킬 수 있다. 이처럼 세탁물의 중량은 저울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세탁물의 중량 또는 무게는 걸이 식 저울을 이용해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물 바구니를 걸이 식 저울에 부착하거나 매달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 수단 또는 수용 수단을 현가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세탁물 바구니의 중량 및/또는 세탁 바구니에 담긴 세탁물의 중량 또는 부피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이러한 현가장치를 중량 측정 장치에 연결한다. 특히 현가 지점, 즉 걸이 식 저울에 현가장치를 부착 또는 연결하는 지점에서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가급적 세탁물 바구니는 현가장치 내에서 들어 올릴 수 있어야 한다. 사용자는 현가장치 외부에서 세탁물 바구니를 채운 다음 중량 측정을 위해 저울의 현가장치에 바구니를 매달 수 있다. 세탁물 바구니 대신 봉지나 파우치 같은 다른 용기를 걸이 식 저울에 연결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세탁물을 봉지나 파우치에 채운다. 가급적 봉지 또는 파우치의 모양이나 부피는 세탁물 바구니에 맞추는 것이 좋다. 중량 측정 장치가 앱 및/또는 세제 투입장치의 제어장치와 통신한다는 것은 세제가 세탁할 세탁물의 중량에 따라 투입될 수 있다는 의미다.
대안적으로 세탁물의 중량 또는 부피는 세탁물 바구니의 손잡이에 배치 또는 연결된 스트레인 게이지를 통해서도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세탁물을 채운 세탁물 바구니를 들어 올리는 즉시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렇게 측정된 중량 값을 앱에 입력하면 세탁할 세탁물의 중량에 따라 세제가 투입된다. 또한 세탁할 세탁물의 중량이 자동으로 앱 및/또는 세제 투입장치의 제어·조절장치에 전달되도록 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은 세탁물 바구니의 중량 및 세탁물 바구니에 있는 세탁물의 중량을 손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표면 조정이 가능한 플랫폼 저울을 사용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이렇게 측정된 중량 값을 앱에 입력하면 세탁할 세탁물의 중량에 따라 세제가 투입된다. 또한 세탁할 세탁물의 중량이 자동으로 앱 및/또는 세제 투입장치의 제어·조절장치에 전달되도록 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세탁 바구니에서 제거된 세탁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제거된 세탁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제거된 세탁물의 양은 사용자가 세탁물 바구니에서 특정 세탁물(들)을 제거할 때 줄어든 양을 뜻한다. 이 기능은 세탁물을 자주 분류해야 하는 경우 유용하다.
가급적 저울은 박스에 통합된 최소 한 개의 칭량 셀, 디스플레이 부재 및/또는 제어 부재를 포함한다.
저울은 세탁물 바구니의 바닥에 통합시키거나 연결할 수 있다. 저울은 최소 한 개의 칭량 부재나 로드 셀,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또는 LCD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부재 등 다양한 하드웨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울의 모든 부재는 박스에 통합시키거나 박스가 저울의 모든 부재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박스는 세탁물 바구니의 바닥과 접촉하고/하거나 세탁물 바구니 바닥 근처에 배치되도록 배치한다. 이렇게 하면 세탁물 바구니에 세탁물을 채우는 즉시 손쉽게 세탁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부재를 사용해 세탁물의 중량을 확인한 후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앱 및/또는 세제 투입장치의 제어·조절장치와 통신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확한 세탁물 중량이 간단한 방식으로 전송되어 세탁물의 부피 또는 중량에 따라 세제 투입이 이루어진다. 또한 세탁물이 세탁기의 최적 또는 최대 부하에 도달했을 때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저울은 가급적 카메라 및/또는 지지판을 포함한다.
저울은 캐리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플레이트는 박스에 연결하거나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가급적 캐리어 플레이트는 연결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박스 외측 맞은편의 박스 외측에 배치한다. 따라서 지지판은 저울 또는 박스가 세탁물 바구니에 연결되거나 삽입되는 세탁물 바구니 바닥 맞은편에 있는 박스 면에 배치한다. 지지판은 세탁물 지지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탁물은 세탁물 바구니에 담길 때 세탁물 지지판과 접촉할 수 있다. 세탁물 지지판은 칭량 셀에 연결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세탁물의 중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저울은 카메라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 부재는 박스에 연결하거나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부재를 세탁물 바구니의 측벽에 배치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카메라 또는 카메라 부재를 통해 세탁물 바구니에 잘못된 세탁물이 담기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카메라 부재가 앱과 통신하기 때문에, 잘못된 세탁물이 투입된 경우 적절한 경고 신호가 전송된다. 이렇게 하면 가령 따로 분리해 세탁해야 하는 검은색 세탁물과 흰색 세탁물이 부적절하게 뒤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부재가 세탁물의 오염 정도를 감지 또는 인식하도록 설계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카메라 부재가 앱 및/또는 세제 투입장치와 통신하기 때문에, 카메라 부재에 의해 감지된 오염 정도에 따라 자동으로 세제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오염 정도(예: 심한 오염, 일반 오염, 가벼운 오염)를 수동으로 앱에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것과 상이한 방식으로 오염 정도를 세분화하는 것도 고려할 수도 있다.
가급적 제2용기는 호스이거나 호스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제2용기 안의 액체세제는 가급적 연동펌프로 투입한다.
가급적 제2용기, 호스 및/또는 연동펌프는 장치의 제2수용 영역에 삽입·수용되도록 한다.
가급적 호스 및/또는 연동펌프는 교체 가능한 일회용으로 설계한다.
가급적 제1용기 및/또는 제2용기 및/또는 투입장치 및/또는 스크루 컨베이어 및/또는 호스 및/또는 연동펌프 및/또는 리프팅 시스템은 바이오 플라스틱 또는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으로 제작한다. 가급적 제1용기 및/또는 제2용기 및/또는 투입장치 및/또는 스크루 컨베이어 및/또는 호스 및/또는 연동펌프 및/또는 리프팅 시스템은 바이오 플라스틱 또는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가령 바이오 플라스틱은 암석지 및/또는 목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세제, 특히 액체세제 및/또는 분말세제 투입장치, 분말세제를 수용·투입하기 위한 최소 한 개의 제1용기 및 액체세제를 수용·투입하기 위한 제2용기를 포함하는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
세제 투입장치 및 분말세제 또는 액체세제를 수용·투입하기 위한 용기 모두 앞서 설명한 기능 및 이러한 기능과 관련된 장점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 시스템의 세탁물 중량 측정은 앞서 설명한 모든 중량 측정 수단을 사용해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세제, 특히 분말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과 관련이 있으며, 여기에는 투입장치를 통해 제1용기에서 분말세제를 투입하는 것과 제2용기에서 추가 투입장치를 통해 액체세제를 투입하는 것이 포함된다.
가급적 이 방법은 분말세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1용기의 세제 충진 수준 측정 및 액체세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2용기의 세제 충진 수준 측정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이 방법은 분말세제 및/또는 액체세제를 식별하고 측정된 충진 수준에 기초해 분말세제 및/또는 액체세제를 재 주문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탁할 세탁물에 대해 측정된 중량에 따라 세제 투입 설정이 이루어지는 세제 투입장치를 통한 세제 투입 방법과 관련이 있다.
가급적 세제 투입 방법은 걸이 식 저울 또는 플랫폼 저울과 같은 저울을 통해 세탁물의 중량을 측정하거나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세제 투입량 설정은 세탁물 세탁 시 사용되는 수돗물의 경도 및/또는 세탁할 세탁물의 오염 정도 및/또는 세탁기의 드럼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정확한 세제 투입량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세탁물 중량 외에도 물의 경도 및/또는 오염 정도 및/또는 드럼 크기가 필요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제 투입량 설정을 개선할 수 있다.
오염 정도를 측정·확인하는 단계는 세탁기의 혼탁도 센서를 통한 측정 또는 확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앱에 결합된 세탁물 바구니의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측정·확인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이외에도 앱에서 오염 정도를 수동으로 설정하거나 디스펜서에 있는 입력 필드 또는 입력 키를 이용하는 등 디스펜서를 통해 오염 정도를 수동으로 설정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가급적 세탁물의 중량은 세탁물 바구니에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할 수 있는 저울을 통해 측정한다. 보다 바람직한 방법은 플랫폼 저울을 세탁물 바구니의 바닥에 연결하거나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스크루 컨베이어와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을 갖춘 세제 투입장치(본 발명)의 실시예 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한 단면을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4는 투입장치가 픽업되지 않은 상태의 투입장치 리셉터클 투시도이다.
도 5은 스크루 컨베이어 투시도이다.
도 6은 위에서 본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 투시도이다.
도 7은 아래에서 본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 투시도이다.
도 8은 스크루 컨베이어 및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을 갖춘 투입장치가 투입장치 리셉터클에 수용된 상태의 투입장치 리셉터클 단면도이다.
도 9는 투입장치가 수용된 투입장치 리셉터클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투입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용기의 제1실시예 측면도이다.
도 11은 투입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용기의 추가 실시예 측면도이다.
도 12는 분말세제를 저장·투입하기 위한 용기의 추가 실시예 측면도이다.
도 13은 투입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용기의 다양한 추가 실시예
도 14는 투입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
도 15a는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에 아직 삽입·수용되지 않은 상태일 때 도 1에 도시된 세제 투입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5b는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에 삽입되고 있는 상태일 때 그럼 15a에 도시된 장치의 제2수용 영역 정면도이다.
도 15c는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에 수용된 상태일 때 도 15a에 도시된 장치의 제2수용 영역 정면도이다.
도 16은 제2픽업영역 클램핑 부재 쌍의 투시도이다.
도 17a는 제2용기의 제1측면도이다.
도 17b는 제2용기의 제2측면도이다.
도 18는 아래에서 본 세제 투입장치의 투시도이다.
도 19는 액체세제 저장조가 제2액체세제용기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일 때 세제 투입장치의 투시도이다.
도 20은 액체세제 저장조가 액체세제용 제2용기에 연결된 상태일 때 세제 투입장치의 투시도이다.
도 21은 수평 플레이트를 통해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액체세제 저장조 및 제2용기의 실시예 투시도이다.
도 22는 액체세제 저장조와 제2용기를 연결하기 위한 수평 플레이트가 없는 액체세제 저장조 및 제2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 투시도이다.
도 23a은 제2용기의 배출구 투시도이다.
도 23b은 제2픽업영역의 하부 투시도이다.
도 24는 제2용기가 픽업된 상태일 때 제2픽업영역의 하부 영역 정면도이다.
도 25a는 제2용기 및 액체세제 저장조를 포함하는 결합 용기의 제1측면도이다.
도 25b는 도 25a에 도시된 결합 용기의 제2측면도이다.
도 26은 위치설정 및 고정장치에 의해 배치된 상태일 때 도 25a 및 25b에 도시된 결합 용기의 투시도이다.
도 27은 세탁물 바구니에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할 수 있는 저울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8은 액체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리프팅 시스템이다.
도 29는 제2용기에 연결된 리프팅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0a는 리프팅 시스템을 갖춘 제2용기의 측면투시도이다.
도 30b는 도 30a에 도시된 리프팅 시스템을 갖춘 제2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30c는 도 30a에 도시된 제2용기에 연결된 리프팅 시스템의 측면 투시도이다.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 도면을 참고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 1 내지 9를 참조하여 세제, 특히 분말세제 및/또는 액체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장치 1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세제 투입장치 1은 분말세제 제1용기(9)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수용 영역(5)를 포함한다. 또한 세제 투입장치 1은 액체세제가 담긴 제2용기(11)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제2수용 영역(7)을 포함한다.
제1수용 영역(5)는 제2수용 영역(7)에 연결할 수 있거나 연결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 도 1 내지 9는 고려할 수 있는 실시예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세제 투입장치 1은 각각 분말세제용 제1용기(9)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여러 개의 제1수용 영역(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제 투입장치 1은 각각 액체세제용 제2용기(11)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여러 개의 제2수용 영역(7)을 포함할 수 있다. 개별 수용 영역(5, 7)은 서로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세제 투입장치 1은 제1용기(9)를 위한 제1수용 영역(5)만 포함하고 제2용기(11)를 위한 제2수용 영역(7)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세제 투입장치 1은 제2용기(11)를 위한 제2수용 영역(7)만 포함하고 제1용기(9)를 위한 제1수용 영역(5)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1수용 영역(5)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말세제용 제1용기(9)를 수용하도록 설계한다. 제1수용 영역(5)은 후면 벽(13), 특히 후면 벽(13)을 가로질러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로 배향·이격시킨 측벽 두 개(15, 17), 특히 측벽(15, 17)을 가로질러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로 배향된 상한(19) 및 하한(21)을 포함한다. 또한 제1수용 영역(5)은 두 개의 측벽(15, 17) 사이에 형성되도록 후면 벽(13) 맞은편에 위치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전면(23), 상한과 하한(19, 21), 후면 벽(13)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전면(23)을 포함한다. 상한 및 하한(19, 21)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후면 벽(31)은 상한 및 하한(19, 21)이 각각 후면 벽이 배치된 평면과 수직인 평면에서 확장되도록 상한 및 하한(19, 21)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배치할 수 있다.
도 설명에서 상단, 하단, 왼쪽, 오른쪽, 전면, 후면, 수평, 수직, 위, 아래 등과 같은 용어는 각 도에 선택된 세제 투입장치 1의 실시예를 지칭한다. 특히, 수평 및 수직이라는 용어는 장치 1의 상한(19) 및 하한(21)이 확장되는 평면을 가리킨다.
제1수용 영역(5)은 제1용기(9)를 수용하기 위한 상부 용기수용 영역(25) 및 투입장치(29)를 수용하기 위한 하부 투입장치 수용 영역(27)을 포함한다. 용기수용 영역(25)은 가급적 투입장치 수용 영역(27) 위에 배치한다.
또한 도 1 내지 3은 세제 투입장치 1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제(특히 액체세제)용 제2용기(11)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제2수용 영역(7)을 도시한다. 제2수용 영역(7)은 후면 벽, 특히 후면 벽을 가로질러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로 배향·이격시킨 측벽 두 개, 특히 측벽을 가로질러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로 배향 시킨 하한 및 하부 벽 맞은편에 있는 개방된 상부면을 포함하며, 제2용기(11)를 수용하기 위한 제2수용 영역(7)은 측벽 사이에 형성된다. 제2수용 영역의 측벽에는 한 개 이상, 가급적 여러 개의 클램핑 부재(155)가 있는데, 클램핑 부재는 후면 벽의 맞은편에 있는 제2수용 영역(7) 전면에서 후면 벽으로 확장되어 장치 1에 제2용기(11)를 위치시키고 제2용기에 있는 액체세제를 투입하며 제2용기에 액체세제를 멸균 방식으로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클램핑 부재(155)는 클램프로 구성되며, 클램프 두 개가 하한과 평행한 평면에서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된다. 하한 및/또는 개방된 상부면에 대한 클램핑 부재(155)의 거리는 가변적이다. 제2수용 영역(7)의 하한에는 제2용기(11)의 배출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관통 구멍이 있다.
도 4 내지 14에는 제1수용 영역(5), 제1용기(9) 및 투입장치(29)가 보다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투입장치 수용 영역(27)은 투입장치(29)를 위한 작동 및/또는 구동 장치(39)를 포함한다. 작동 및/또는 구동 장치(39)는 후면 벽(13)에 배치하고/하거나 커플링 부재 또는 후면 벽에서 확장된 구동 축(41)을 포함한다. 하한(21)은 개방된 전면(23)에서 리셉터클 세로축(45)을 따라 후면 벽(13)으로 확장된 투입장치(29)용 리셉터클(43)을 포함한다. 후면 벽(13)에 있는 구동 축(41) 및 투입장치(29)용 리셉터클(43)은 하한(21)을 가로지르고 리셉터클 세로축(45)에 수직인 동일한 평면에서 확장된다.
특히, 리셉터클(43)은 리셉터클 수용부 세로축(45)을 가로지르는 오목한 모양의 단면을 갖는다. 즉, 수용부(42)는 하한(21)에서 오목한 모양을 이룬다. 따라서 하한(21)에는 측벽(15, 17)의 첫 번째 부분에 인접한 제1수평 표면 부분(47)과 측벽(15, 17)의 두 번째 부분에 인접한 제2수평 표면 부분(49)이 있으며, 리셉터클(43)은 제1수평 표면 부분과 제2수평 표면 부분(47, 49) 사이에 있는 오목한 표면 부분에 배치된다. 리셉터클 배출구 개구부(51)는 특히 후면 벽(13)에 인접한 수용부 세로축(45)에 배치할 수 있다.
제1가이드 부재(31) 및 제2가이드 부재(33)는 용기수용 영역(25) 및 투입장치 수용 영역(27) 사이에 배치하며, 이때 가이드 부재(31, 33)는 개방된 전면에서 후면 벽으로 확장되거나 측벽(15, 17)에서 확장된다. 가이드 부재(31, 32)는 상부의 용기수용 영역(25)이 상한(19) 및 맞은편에 위치한 두 개의 가이드 부재(31, 33)에 의해 제한되도록 제1수용 영역(5)을 상부의 용기수용 영역(25)과 하부의 투입장치 수용 영역(27)으로 나눈다. 하부의 투입장치 수용 영역(27)은 두 개의 가이드 부재(31, 33) 및 맞은편에 있는 하한(21)에 의해 제한된다. 제1용기(9) 및 투입장치(29)가 제1수용 영역(5)에 삽입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후, 제1용기(9)는 가이드 부재(31, 33) 및 상한(19) 사이에, 투입장치(29)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이드 부재(31, 33) 및 하한(21) 사이에 배치된다. 가이드 부재(31, 33)는 기본적으로 상한(19)과 평행한 평면에서 배향되며, 용기수용 영역(25)을 향한 개방된 전면(23)에서 위로 경사진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31, 33)에는 기본적으로 평행한 부분(35)과 경사진 부분(37)이 있다. 평행한 부분(35)은 후면 벽(13)에서 경사진 부분(37)으로 확장되며, 경사진 부분(37)은 평행한 부분(35)에서 개방된 전면(23)으로 확장된다.
용기수용 영역(25)에 있는 한 개 이상의 측벽(15, 17)은 이 측벽에서 확장된 여러 개의 리브(53)를 포함한다. 특히, 이 여러 개의 리브(53)는 상한(19) 및/또는 하한(21)과 평행하게 확장된다. 가급적 여러 개의 리브(53)는 개방된 전면에서 후면 벽(13)으로 확장 시킨다.
특히, 여러 개의 리브(53)는 측벽 두 개(15, 17)에 쌍을 이루도록 배치한다. 두 개의 리브(53)가 각각 측벽(15, 17)을 가로지르거나 상한 또는 하한(19, 21)과 평행한 평면에서 쌍을 이루도록 확장 시킨다. 이 리브 쌍(55)들은 가이드 부재(31, 33) 및 상한(19) 사이의 용기수용 영역(25)에 있는 측벽(19, 21)에 가급적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한다.
투입장치(29)는 제1용기(9)에서 분말세제를 투입하도록 설계한다. 이를 위해 투입장치(29)는 제1용기(9)에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투입장치(29)가 제1용기(9)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제1용기(9)에 연결되었을 때 투입장치(29)는 제1수용 영역(5)의 후면 벽(13)에 대한 수직 이동을 통해 제1수용 영역(5)에 삽입 또는 수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장치(29)는 스크루 컨베이어(57) 및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을 포함한다.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스크루 컨베이어(57)는 가급적 전체 길이가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에 삽입되고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배치함으로써 스크루 컨베이어(57) 및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이 공통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 주위로 확장되도록 한다. 도 5~7과 같이 스크루 컨베이어(57)가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에 삽입되지 않더라도, 스크루 컨베이어(57) 및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의 특징은 공통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61)과 관련 지어 설명할 수 있다.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은 유입구 개구부(35)가 있는 유입구(63) 및/또는 배출구 개구부(69)가 잇는 배출구(67)를 포함한다. 유입구(63) 및 배출구(67)는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61)과 횡 방향을 이루도록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의 양쪽 반대편에 배치한다.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은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61)을 따라 제1단부(71) 및 반대편의 제2단부(73) 사이에서 확장된다. 배출구(67)는 제1단부(71) 근처에, 유입구(63)는 제2단부(73) 근처에 배치한다.
특히, 유입구(63)는 주변벽(77)을 갖춘 플랜지(75)를 포함하며, 이때 주변벽(77)은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입구 개구부(65)를 둘러싸고/둘러싸거나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에서 방사상 형태로 확장된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주변벽(77)은 기본적으로 제1주변벽 중심 세로축(78)을 따라 확장된다. 특히, 주변벽 중심 세로축(78)의 길이는 약 47 mm이다. 또한 주변벽(77)은 가급적 제1주변벽 중심 세로축(78)과 수직을 이루는 횡방향에서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로 배향된 제2주변벽 중심 세로축(80)을 따라 확장되며, 그 길이는 약 29 mm이다.
플랜지(75)는 투입장치(29)를 제1용기(9)에 연결하고/하거나 투입장치(29)를 투입장치 수용 영역(27)에 삽입하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어, 주변벽(77)은 제1접촉면(79) 및 그 맞은편에 있는 제2접촉면(81)을 포함하며, 이때 제1접촉면과 제2접촉면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한다. 이 접촉면들(79, 81)은 투입장치(29)가 투입장치 수용 영역(27)에 쉽게 삽입되도록 한다. 특히 투입장치 수용 영역(27)에 삽입되는 동안 이 접촉면들(79, 81)은 제1수용 영역(5)에서 가이드 부재(31, 33)를 따라 미끄러지며, 투입장치 수용 영역(27)에 수용된 후에는 측면 가이드 부재(31, 33)에 인접하게 된다.
특히,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은 여러 개의 리브 또는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 리브(85)가 있는 외벽(83)을 포함하며, 이때 리브(85)는 가급적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의 제1단부(71) 및 제2단부(73)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확장된다. 또한 리브(85)는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61)에서 보았을 때 외벽으로부터 방사상 형태로 확장된다.
리브(85) 두 개가 외벽(83)의 주변 방향에서 반대편에 있는 배출구 개구부(69)를 제한하는 제한 리브 제1쌍(87) 역할을 한다. 또 다른 리브(85) 두 개가 외벽의 축 방향에서 반대편에 있는 배출구 개구부(69)를 제한하는 제한 리브 제2쌍(89)의 역할을 한다. 이 실시예는 분말세제가 투입용기(29) 및 제1용기(9)와 달리 교체할 수 없는 제1수용 영역(5)과 접촉하지 않도록 방지한다.
스크루 컨베이어(57)은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61) 방향으로 배향된 구동 단부(82)를 포함한다. 커플링 장치(91)는 스크루 컨베이어(57)의 구동단부(82)에서 스크루 컨베이어의 세로축(61) 방향으로 확장되며, 특히 작동 및/또는 구동 장치(39) 또는 구동 축(41)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도록 설계한다.
커플링 장치(91)는 기본적으로 원통형 공동 및/또는 수용부로 구성해 투입장치(29)가 투입장치 수용 영역(27)에 삽입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후 커플링 부재(41)가(원통형) 공동(93)에 있는 투입장치 수용 영역(27)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가급적(원통형) 공동의 내벽(95)에는 커플링 부재(41) 외벽(96)의 외부 프로파일과 결합할 수 있는 내부 프로파일이 있어야 한다. 커플링 부재(41)의 외부 프로파일은 원통형 공동(93)의 내부 프로파일에 있는 최소 한 개의 홈(99)과 결합하거나 상호작용할 수 있는 최소 한 개의 돌출부(97)가 있다. 따라서 커플링 부재(91)는 커플링 부재(41)가(원통형) 공동에 삽입되면 투입장치(29)가 구동되고 스크루 컨베이어(57)가 회전하도록 구동축으로 구성한다.
스크루 컨베이어(57)는 가급적 평평한 가이드 표면, 시트 또는 고무 로브 형태를 띠는 한 개 이상의 나선형 플라이트(101)가 나선형으로 감겨 웜 나사산(107) 형태의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61)에서 횡방향으로 확장되는 축으로 구성한다.
도 8은 세제 투입장치 1의 제1수용 영역(5)에 있는 투입장치 수용 영역(27)에 의해 삽입·수용된 투입장치(29)를 나타낸다. 스크루 컨베이어(57)는 가급적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 내부에서 확장되며, 이때 후면 벽(13)에 있는 커플링 부재(41)는 스크루 컨베이어(57)의 원통형 공동(93)으로 삽입되고/되거나 구동시킬 수 있다. 유입구 개구부(65)를 통해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의 내부로 유입된 분말세제는 한 개 이상의 나선형 플라이트(101) 및 기본적으로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61)을 따라 배출구(67)로 유도되고 배출구 개구부(69)를 통해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 내부에서 배출된다. 삽입 부재 또는 제거 부재(105)는 가급적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의 제2단부(73)에 배치한다.
도 9는 투입장치(29)가 삽입된 상태의 투입장치 수용 영역(27) 정면도를 나타낸다. 제1수용 영역(5)의 투입장치 수용 영역(27)에 삽입된 상태일 때, 투입장치(29) 주변벽(77)의 측면 접촉면(79, 81)과 두 개의 리브(85)는 두 개의 가이드 부재(31, 33)와 접하게 된다. 특히, 접촉면(79, 81)은 측벽(15, 17)에서 확장된 가이드 부재(31, 33)의 가장자리에 접하게 되고, 두 개의 리브는 하한(21)을 향한 가이드 부재(31, 33)의 밑면(109)에 접하게 된다.
도 10 내지 14를 참조하여 분말세제를 저장 및/또는 투입하기 위한 제1용기(9)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용기(9)는 분말세제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112) 및 이 내부 공간(112)과 연결된 배출구가 있는 하우징(111)을 포함한다. 제1용기(9)는 앞서 도 1~9에서 설명한 것처럼, 세제 투입장치 1에 삽입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한다.
배출구(113)는 스크루 컨베이어(57) 및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을 포함하는 투입장치(29)의 유입구에 연결할 수 있으며, 이때 스크루 컨베이어(57)는 가급적 전체 길이가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에 삽입되고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배치함으로써 스크루 컨베이어(57) 및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이 공통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 주위로 확장되도록 한다. 제1용기(9)의 배출구는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의 유입구에 연결할 수 있으며,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에는 투입 수단을 작동시켜 미리 결정된 또는 미리 결정할 수 있는 양(투입량)의 분말세제가 배출구(67)를 통해 투입되도록 하는 배출구(67)가 있다. 제1용기(9)의 배출구(113)는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의 유입구(63)에 나사로 고정하거나 접합시킬 수 있으며, 스크루 컨베이어(59)는 제1용기(9)와 일체형으로 제작하거나 고정시킬 수 있다.
제1용기(9)는 유입구 개구부(1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입구 개구부(115)는 가급적 배출구(113)의 반대편에, 배출구 개구부(117)는 배출구(113)에 배치한다. 유입구 개구부(115)는 지퍼와 같은 폐쇄 부재(119)를 통해 폐쇄할 수 있다. 지퍼 등과 같은 폐쇄 부재(119)는 세제 투입장치 1의 제1수용 영역(5)에 있는 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폐쇄 부재(119) 근처에는 내부 개구부(123)가 있는 탭(121)이 있다. 내부 개구부(123)는 제1용기를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손쉽게 운반할 수 있게 해주는 운반용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1 내지 1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제1용기(9)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단면 부분(125)을 포함하며, 변단면 부문(125)의 제1용기(9) 주변부는 기본적으로 배출구(113)를 향해(원추형으로) 점점 좁아지는 형태를 띤다.
제1용기(9)는(제1용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보았을 때)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의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61)을 가로지르는 단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변단면 부분(125)은 제1측면 모서리(135)와 제2측면 모서리(137)에 의해 제한된다. 제1측면 모서리(135)는(연결된 조건에서 보았을 때)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의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61) 기준으로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 가급적 90° 미만의 각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5°의 각도를 적용해 횡 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다. 제2측면 모서리(137)는 이송 스크루 하우징(59)의 이송 스크루 세로축(61) 기준으로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 가급적 90° 미만의 각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5°의 각도를 적용해 횡 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다. 제1측면 모서리(135) 및/또는 제2측면 모서리(136)는 각각(연결된 상태에서 보았을 때)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의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61)을 기준으로 90°의 각도로 확장되는 측면 모서리 부분(136)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모서리 부분(136)은 대칭 부분의 제1측면 모서리(131) 또는 제2측면 모서리(133)의 평면에서 확장시킬 수 있다.
제1용기(9)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대칭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대칭 부분(127)의 제1용기(9) 주변부는 가급적 일정해야 한다. 제1대칭 부분(127)은 배출구(113)로부터 변단면 부분(125)보다 멀리 이격 시킨다. 제1용기(9)는 연결된 조건에서 보았을 때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의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61)을 가로지르는 단면을 갖출 수 있으며, 이때 제1대칭 부분(127)의 측면은 제1측면 모서리(131) 및 제2측면 모서리(133)에 의해 제한된다. 여기서 제1측면 모서리(131) 및 제2측면 모서리(133)는 서로 평행을 이루거나(연결된 조건에서 보았을 때)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의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61) 기준으로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 가급적 약 90°의 각도로 배향된다. 제1대칭 부분(127)의 제1측면 모서리(131)는 변단면 부분(125)의 제1측면 모서리(135)와 동일 평면상에 있을 수 있고/있거나 제1대칭 부분(127)의 제2측면 모서리(133)는 변단면 부분(125)의 제2측면 모서리(137)를 가로지르는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로 배향시킬 수 있다.
제1용기(9)는 배출구(113) 근처에 제2대칭 부분(129)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제2대칭 부분(129)의 제1용기(9) 주변부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배출구(113) 주변부 및/또는 배출구(113)에 있는 배출구 개구부 주변부에 대응된다. 제2대칭 부분(129)은 분말세제가 제1용기(9)의 내부 공간(112)에서 배출되는 배출구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대칭 부분(129)의 측면 모서리(139, 141) 길이는 10~30 mm, 가급적 15 mm로 한다.
그러나 제2대칭 부분(129)의 측면 가장자리(139, 141) 길이를 30 mm보다 긴 70~110 mm 사이, 가급적 90 mm로 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앞서 설명한 것처럼 세제 투입이 스크루 컨베이어(58) 및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을 갖춘 투입장치(29)를 통해 이루어지지 않는 대신 분말세제 투입을 위한 제1수용 영역(5)의 측벽(15, 17) 근처에 제2용기(11) 및 제2수용 영역(7)과 관련하여 추후 설명할 클램핑 부재(155) 또는 클램프와 유사한 방식으로 설계된 클램핑 부재 또는 클램프가 제공되는 경우 적용할 수 있다.
제1용기(9)는 연결된 조건에서 보았을 때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의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61)을 가로지르는 단면을 갖출 수 있으며, 이때 제2대칭 부분(129)의 측면은 서로 평행하게 배향된 제1측면 모서리(139) 및 제2측면 모서리(141)에 의해 제한된다. 제1측면 모서리(139) 및 제2측면 모서리(141)는(연결된 조건에서 보았을 때)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의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61) 평면을 기준으로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 가급적 약 90°의 각도로 확장된다. 제2대칭 부분(129)의 제1측면 모서리(139)는 변단면 부분(125)의 제1측면 모서리(135) 및 제1대칭 부분(127)의 제1측면 모서리(131)와 동일 평면상에 있을 수 있다.
변단면 부분(125)은 제1대칭 부분(127) 및 제2대칭 부분(129) 사이에 배치된다. 제2대칭 부분(129)의 주변부는 가급적 제1대칭부분(127) 주변부보다 작으며, 제2대칭 부분(129)은 제1대칭부분(127)을 둘러싼 부피보다 적은 제1용기(29)의 부피를 둘러싼다.
또한 도 13은 투입장치(29)에 연결할 수 있고/있거나 앞서 설명한 세제 투입장치 1에 삽입·수용되도록 구성된 제1용기(9)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투입장치(29)는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에 배치하고/하거나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에 연결할 수 있는 스탠드 플레이트로 구성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스탠드 플레이트(143)는 제1용기(9)의 배치 또는 정렬을 용이하게 하고/하거나 특히 제1용기가 분말세제를 수용하는 위치에 있을 때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에 인클로저(145)를 포함시키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는데, 이때 인클로저(145)는 제1용기(9)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고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해 스탠드 플레이트 및/또는 스탠드 풋 역할을 하는 최소 한 개의 평면(147)을 포함한다. 그러나 제1용기(9)가 변단면(125) 대신에 또 다른 대칭 부분을 포함하는 구조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세 개 섹션의 제1측면 모서리(131, 135, 139)와 제2측면 모서리(133, 137, 141)는 서로 평행하게 배향된 두 개의 평면에서 각각 확장된다.
도 14에 제시된 또 다른 제1용기(9) 실시예의 경우, 한 개의 동일한 개구부(117)가 제1용기(9)로 분말세제를 수용하고 제1용기(9)에서 분말세제를 제거하는 역할을 모두 수행한다. 이 경우에는 제1용기(9)가 별도의 유입구 및 유입구 개구부를 포함하지 않도록 개구부가 배출구 개구부(117)로도 쓰인다. 먼저 배출구(113) 또는 배출구 개구부(117)을 통해 분말세제가 제1용기(9)로 수용되면 이제 배출구(113)가 투입장치(29)에 연결된다. 특히, 분말세제를 수용한 후 배출구(117)는 가령 접착 스트립(151) 또는 클립(153) 형태의 접착 또는 연결 부재(149)를 이용해 투입장치(29)의 유입구(63)에 연결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24를 참조하여 장치 1의 제2수용 영역(7), 제2용기(9) 및 투입장치(29)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용 영역(7)은 후면 벽(157), 후면 벽(157)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향된 두 개의 이격된 측벽(159), 측벽(159)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향된 하한(161) 및 하한(161) 맞은편에 있는 개방된 상부(163)을 포함한다. 측벽(159) 근처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면 벽(157) 맞은편에 있는 개방된 전면(159) 및 제2수용 영역(7)의 후면 벽(165) 사이로 확장시킨 여러 개의 클램핑 부재(155)가 있다.
도 15a 내지 15c에 도시된 제2수용 영역(7) 실시예는 측벽(159) 근처에 배치된 3쌍의 클램핑 부재(167, 169, 171)를 포함한다. 각 클램핑 부재 쌍(167, 169, 171)은 제2수용 영역(7)의 하한(161)과 평행을 이루는 평면에 배치한다. 클램핑 부재(155)는 클램프 형태를 띨 수 있으며, 각 클램프 쌍은 제2수용 영역(7)의 하한(161)과 평행한 평면에서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한다.
클램핑 부재(167, 169, 171) 제1쌍은 해당 클램핑 부재들이 하한(161)으로부터 제1거리(D1)에 위치하는 하부 클램핑 부재쌍으로 배치한다. 클램핑 부재(167, 169, 171) 제2쌍은 해당 클램핑 부재들이 하한(161)으로부터 제1거리(D1)보다 큰 제2거리(D2)에 위치하는 상부 클램핑 부재쌍으로 배치한다. 하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1쌍(167)은제2수용 영역(7)의 하한(161) 근처에 배치한다. 상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2쌍(169)은 제2수용 영역(7)의 개방된 상부(163) 근처에 배치한다. 또한 클램핑 부재(167, 169, 171) 제3쌍은 클램핑 부재 제1쌍(167)과 클램핑 부재 제2쌍(169) 사이에 위치해 하한(161)으로부터 제1거리(D1)보다는 크고 제2거리(D2)보다는 작은 제3거리(D3)를 갖는 중간 클램핑 부재 쌍(171)으로 배치한다.
하한(161) 또는 개방된 상부(163)를 기준으로 클램핑 부재(155)의 거리 또는 간격은 가변적이다. 특히 중간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3쌍(171)은 제3거리(D3)가 변경될 수 있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는 원하는 양의 세제(특히 액체세제)가 정확히 투입되도록 한다. 하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1쌍과 상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2쌍도 제1거리(D1) 및 제2거리(D2)가 변경될 수 있도록 높이 조정이 가능하다.
도 15a와 15b에 도시된 것처럼 제2용기(11)는 제2수용 영역(7)에 삽입할 수 있고, 도 15c에 도시된 것처럼 제2수용 영역(7)에 의해 수용된다. 도 15c는 제2용기(11)가 제2수용 영역(7)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2용기(11)는 하한(161)과 수직을 이루는 수직 이동에 의해 제2수용 영역(7)으로 삽입된다.
제2수용 영역(7)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2용기(11)는 세 쌍의 클램핑 부재(167, 169, 171)에 의해 측면으로 고정 또는 클램핑된다. 이와 관련하여, 세 쌍의 클램핑 부재(167, 169, 171)는 제1위치(도 15c 참조) 및 제2위치(도로 표시되지 않음)를 취할 수 있다. 제1위치에서 세 쌍의 클램핑 부재(167, 169, 171)는 측면 방향으로 제2용기(11)에 인접 및/또는 접촉함으로써 클램핑 부재 쌍(167, 169, 171)이 제2용기(11)의 서로 마주 보는 제1측벽과 제2측벽(173, 175)에 압력을 가한다. 반면, 제2위치에서는 세 쌍의 클램핑 부재(167, 169, 171)가 제2용기(11)에 인접 및/또는 접촉하지 않아 클램핑 부재 쌍(167, 169, 171)이 제2용기(11)의 측벽(173, 175)에 압력을 가하지 못한다.
도 16은 세 쌍의 클램핑 부재(167, 169, 171) 중 한 쌍의 실시예 및 서로 대응되는 제1클램핑 부재(177)와 제2클램핑 부재(179) 배치를 도시한다. 제1클램핑 부재(177)와 제2클램핑 부재(179)가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된 위치에서, 세 쌍의 클램핑 부재(167, 169, 171)를 구성하는 각 쌍도 서로 대응되도록 제2수용 영역(7)에 배치된다.
각각의 클램핑 부재(155, 177, 179)는 제1클램핑 부재 표면(181)과 제2클램핑 부재 표면(183)을 포함한다. 이 두 개의 클램핑 부재 표면(181, 183)은 클램핑 부재 축의 맞은편에 각각 배치하며, 가급적 제3클램핑 부재 표면(186)을 통해 연결되는데, 이때 제3클램핑 부재 표면(186)은 클램핑 부재 세로축(185)을 가로지르는 원추형 모양의 단면을 갖는다.
제1클램핑 부재 표면(181)과 제2클램핑 부재 표면(183)은 기본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며 각각 제1단부(187) 및 제2단부(189) 사이에서 확장된다. 제1클램핑 부재 표면(181)은 제1평면에서 확장되고, 제2클램핑 부재 표면(183)은 제2평면에서 확장된다. 이때 제1평면과 제2평면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하고/하거나 클램핑 부재 세로축(185)이 제1평면과 제2평면 사이의 평면에 배치되도록 한다. 두 개의 클램핑 부재 표면(181, 183)의 폭, 즉 클램핑 부재 세로축(189)을 가로질러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를 이루는 두 개의 클램핑 부재 표면(181, 183)의 폭 B는 제1단부(187)에서 제2단부(189) 쪽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또한 각 클램핑 부재(177, 179)는 클램핑 부재 세로축(185)을 가로지르는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로 배치된 연결 플레이트(191)를 포함한다. 제1클램핑 부재 표면(181)에는 연결 플레이트(191)에 연결된 제1단부(187)가 있고, 제2클램핑 부재 표면(187)에도 연결 플레이트(191)에 연결된 제1단부(187)가 있다.
연결 플레이트(191)는 클램핑 부재(155, 177, 179)가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로 후면 벽을 가로질러 확장되도록, 특히 클램핑 부재 표면(181, 183)의 제2단부(189)가 후면 벽(157)에서 이격되고 클램핑 부재(155, 177, 179)가 전면 벽(165) 및 후면 벽(157) 사이에 위치한 측벽(173, 175) 근처로 확장되도록 하기 위해 개별 클램핑 부재(155, 177, 179)를 제2수용 영역(7), 특히 제2수용 영역(7)의 후면 벽(157)에 연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제3클램핑 부재 표면(186)은 제1클램핑 부재 표면(181)의 제1측면 모서리(193)에서 제2클램핑 부재 표면(183)의 제1측면 모서리(195)로 확장된다. 이 제1측면 모서리들(193, 195)은 클램핑 부재 세로축(185)을 가로질러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 가급적 90°로 연장되는 동일한 평면에서 확장된다. 제3클램핑 부재 표면(186)은 제1클램핑 부재 표면(181)과 제2클램핑 부재 표면(183), 연결 플레이트(191) 및 연결 플레이트(191)가 후면 벽(157)에 연결될 때 제2수용 영역(7)의 후면 벽과 90°를 이루도록 배치한다. 따라서 각 클램핑 부재 쌍(167, 169, 171)을 구성하는 개별 클램핑 부재(155, 177, 179)는 제3클램핑 부재 표면(186)을 갖게 되며, 각 클램핑 부재 쌍(167, 169, 171)을 구성하는 개별 클램핑 부재(155, 177, 179)의 제3클램핑 부재 표면(181)은 클램핑 부재(155, 177, 179)가 연결 플레이트(191)를 통해 후면 벽(157)에 연결될 때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연결 플레이트(191)는 클램핑 부재(155, 177, 179)가 나사와 같은 연결 부재를 통해 후면 벽(157)에 연결될 수 있도록 최소 한 개의 관통 구멍을 포함한다. 그러나 클램핑 부재(155, 177, 179)가 연결 플레이트(191)를 통해 후면 벽(157)에 연결되지는 않지만 클램핑 부재(155, 177, 179)가 캐리지,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 부재를 통해 제2수용 영역(7)의 후면 벽(157) 및/또는 측벽(159)에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배치·연결하는 구조도 고려할 수 있다.
제3클램핑 부재 표면(186)은 제1클램핑 부재 표면(181)의 제1측면 모서리(193) 및 제2클램핑 부재 표면(183)의 제1측면 모서리(195) 사이에서 클램핑 부재 세로축(185) 방향으로 확장되는 클램핑 부재 모서리(197)를 가질 수 있다. 가급적 이 클램핑 부재 모서리(197)는 클램핑 부재 세로축(185)과 동일한 평면에서 확장 시킨다.
클램핑 부재(155, 177, 179)는 제3클램핑 부재 표면(186)의 맞은편에서 클램핑 부재 세로축(185)을 가로지르는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각 클램핑 부재(155, 177, 179)는 세 개의 클램핑 부재 표면(181,183, 186) 및 한 개의 개방된 면(201)으로 제한된 내부 공동(199)을 포함한다. 그러나 내부 공동(199)이 없는 클램핑 부재(155, 177, 179)도 고려할 수 있다. 클램핑 부재(155, 177, 179)가 제2수용 영역(7)에 연결된 상태일 때, 가령 클램핑 부재(155, 177, 179)가 연결 플레이트(191)에 의해 후면 벽(157)에 연결된 상태일 때 또는 클램핑 부재(155, 177, 179)가 캐리지,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 부재를 통해 후면 벽(157) 및/또는 측벽(159)에 연결된 상태일 때, 내부 공동(199)의 개방된 면(201)은 제2수용 영역(7)의 측벽 두 개(159) 중 하나를 향하게 된다. 적어도 한 개의 클램핑 부재 표면(181, 183, 186), 가급적 제3클램핑 부재 표면(186)은 고무를 입힌 지지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 클램핑 부재(155, 177, 179)는 스프링 부재(도로 표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스프링 부재는 제1클램핑 부재 표면(181) 또는 제2클램핑 부재 표면(183)의 제1단부(187)에 인접시키거나 그 근처에 배치할 수 있다. 클램핑 부재(155, 177, 179)는 제2용기(11)가 클램핑 부재(155, 177, 179)에 의해 고정 또는 클램핑 될 때 균일한 표면 압력이 가해지도록 탄성중합체를 포함하거나 이 재료로 만들 수 있다.
도 17a와 17b는 세제 투입장치 1에 삽입·수용되도록 구성된 액체세제 저장·투입용 제2용기(11)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2용기(11)는 액체세제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205), 내부 공간(205)과 연결된 유입구(207) 및 내부 공간(205)과 연결된 배출구(209)가 있는 하우징(203)을 포함한다. 하우징(203)은 시트 재료와 같은 가요성 재료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제2용기(11)의 유입구(207)는 액체세제 투입량이 제2용기(11)의 배출구(209)를 통해 배출되도록 액체세제 저장조(213)의 배출구(211) 또는 배출구 개구부(255)와 연결할 수 있다.
제2용기(11)의 유입구(207)는 용기 세로축(217)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용기(11)의 배출구(209) 및/또는 제2용기(11) 배출구(209)의 배출구 개구부(219) 맞은편에 배치된 유입구 개구부(215)를 포함한다. 이처럼 제2용기(11)는 유입구 개구부(215)가 있는 유입구(207) 및 배출구 개구부(219)가 있는 배출구(209)를 포함하며, 배출구(209)는 유입구(207)의 맞은편에 배치된다.
제2용기(11)가 개방된 상부(163)를 통해 수직 이동에 의해 제2수용 영역(7)으로 삽입될 때, 제2용기(11)는 배출구(209)가 하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1쌍(167) 및 하한(161)에 인접한 제2수용 영역(7)의 하부영역(221)에 배치되도록 제2수용 영역(7)에 의해 수용된다. 따라서 제2용기(11)의 배출구(209)는 하한(161)과 수직을 이루는 수직 이동에 의해 제2수용 영역(7)의 하한(161)에 있는 관통 구멍(223)을 통과할 수 있다(도 18 참조). 동시에 제2용기(11)의 유입구(207)는 개방된 상부(163) 및 상부에 있는 클램핑 부재 제2쌍(169)에 인접한 제2수용 영역(7)의 상부영역(225)에 배치된다.
용기(11)의 배출구(209)는 제2수용 영역(7)의 하한(161)에 있는 관통 구멍(223)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제2용기(11)의 배출구(209)는 길게 신장된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배출구(209)는 관형이거나 배출구 세로축(231)을 따라 제1단부(227) 및 그 맞은편에 있는 제2단부(229) 사이로 확장시킬 수 있다. 배출구(209)의 외경은 제2수용 영역(7)의 하한(161)에 있는 관통 구멍(223)의 내경보다 작아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용기(11)의 배출구(209)는 제2용기(11)가 제2수용 영역(7)에 수용되었을 때 제2수용 영역(7)의 하한(161)에 있는 관통 구멍(223)을 통과할 수 있다. 제2용기(11)가 제2수용 영역(7)에 수용된 상태일 때, 배출구(209)의 제2단부(229)는 하한(161) 평면의 아래에 있는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용기(11)는 용기 세로축(217)을 따라 유입구 단부(233) 및 그 맞은편에 있는 배출구 단부(235) 사이로 확장된다. 유입구 개구부(215) 및 유입구(207)는 유입구 단부(223)에 인접해 위치한다. 배출구(209) 및 배출구 개구부(219)는 배출구 단부(235) 근처에 배치한다. 배출구 세로축(231)은 제2용기(11)의 중심 세로축(217)에 대응되는 용기 세로축(217)과 동일한 평면에서 확장시킬 수 있다. 그러나 배출구 세로축(231)이 용기 세로축(217)과 평행한 평면에서 확장되는 구조도 고려할 수 있다.
제2용기(11)는 제1측벽(173) 및 유입구 단부(233)와 배출구 단부(235) 사이의 용기 세로축(217) 평면에 평행하게 확장된 맞은편의 제2측벽(175)을 포함한다. 제2용기(1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구 단부(235)에 인접한 하부영역에 변단면 부분(241)을 포함하며, 변단면 섹션(241)에서 제2용기(11)의 주변부는 배출구(209) 쪽으로 가면서 원추형으로 감소한다. 즉, 변단면 섹션(241)에서 제1측벽(173) 및 제2측벽(175) 간 거리는 기본적으로 배출구 쪽으로 갈수록 원추형으로 감소한다. 이러한 구조를 적용하면, 거의 모든 세제(특히, 액체세제)가 제2용기(11)에서 배출구(209)를 통해 빠져나간다.
제2용기(1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칭 부분(243)을 포함해야 하며, 이때 제2용기(11)의 주변부는 대칭 부분(243)에서 동일하게 유지되며, 대칭 부분(243)은 변단면 부분(241)보다 제2용기의 배출구(209)에서 멀리 이격시킨다.
대칭 섹션(243)에서 제1측벽(173) 및 제2측벽은(175) 각각 용기의 세로축(217)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확장된다. 대칭 섹션(243)은 유입구 단부(233) 및 변단면 섹션(241) 사이에서 확장된다. 제2용기(11)가 제2수용 영역에 삽입 또는 수용된 조건에서, 각 클램핑 쌍(167, 169, 171)을 구성하는 클램핑 부재들(155)이 대칭 섹션(243)에서 측벽에 인접하게 됨에 따라 측벽(173, 175)에 압력이 가해진다.
가급적 변단면 섹션(243)에서 두 측벽(173, 175) 간 거리는 약 20~30 mm(예: 약 30 mm), 두 측벽(173, 175)의 길이는 약 150~300 mm(예: 약 220 mm)로 한다.
변단면 섹션(241)에서 두 측벽(173, 175) 간 거리는 배출구(209)의 제2단부(229) 쪽으로 갈수록 약 20~60 mm(예: 약 30 mm)에서 약 10~50 mm(예: 약 20 mm)로 감소한다. 가급적 배출구(209)의 두 측벽(173, 175) 간 거리는 약 10~50 mm(예: 약 20 mm)로 한다.
도 19 및 20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2용기(11)의 유입구(207)를 액체세제 저장조(213)의 배출구(227)에 연결함으로써, 액체세제가 액체세제 저장조(213)에서 제1용기(11) 내부로 공급되고 클램핑 부재 쌍(167, 169, 171)을 구성하는 클램핑 부재(155)에 의해 원하는 양으로 투입되어 배출구(209)를 통해 제2용기(11)에서 빠져나가도록 한다. 제2용기(11)의 유입구(207)는 가령 나사 결합 또는 접합 방식을 통해 액체세제 저장조(213)에 단단히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액체세제 저장조(213)와 제2용기(11)를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용기(11)는 제2용기는 유입구 개구부(215) 및/또는 제2용기(11)의 유입구(207) 근처에 배치된 수평 플레이트(245)를 포함한다. 이 플레이트(245)는 액체세제 저장조(213)가 치수 안정적인 용기로 구성되지 않은 경우 및/또는 도 25a, 25b 및 26과 관련해 추후 설명할 결합 용기(284)가 아닌 경우 특히 유익하다. 가급적 수평 플레이트(245)는 제2용기(11)에 연결할 수 있거나 단단히 연결된 상태이거나 제2용기(11)와 통합된 일체형이어야 한다. 플레이트(245) 또는 서스펜션 탭은 제2용기(11)의 유입구 단부(233)에 인접한 상부영역에 견고하게 또는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플레이트(245)는 제2용기(11)에 통합된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가급적 플레이트(245)의 표면 모양은 특히 제2용기(11)의 용기 세로축(217)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 가급적 90°의 각도를 이루는 제2용기(11)의 횡단면 표면 모양에 해당해야 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플레이트(245)의 표면 모양은 직사각형이다. 플레이트의 마주 보는 두 면 간 거리는 제2용기가 제2수용 영역(7)에 삽입·수용되었을 때, 액체세제로 채워졌을 때 또는 액체세제가 제2용기(11) 내부 공간(205)로 수용되었을 때, 마주 보는 두 면 간 거리와 같거나 이보다 크다. 도 19 및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용기(11)가 제2수용 영역(7)에 수용될 때, 플레이트(24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개방된 상부(163)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개방된 상부(163)의 모서리 또는 모서리 표면에 위치시킨다.
플레이트(245)에는 제1주변벽(251)을 갖춘 제1플랜지(249)를 포함하는 관통 구멍(247)이 있다. 이때 제1주변벽(25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 구멍(247)을 감싸며 플레이트(245) 제1면(253)에서 횡 방향으로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로 확장된다. 제1플랜지(249)는 플레이트(245)를 액체세제 저장조(213)의 배출구(211) 및/또는 배출구 개구부(255)에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도 19와 20은 제1플랜지(249)를 가령 플러그인 연결을 통해 액체세제 저장조(213)의 배출구에 연결할 수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액체세제 저장조는 탱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플랜지(249) 또는 제1주변벽(251)의 외경은 액체세제 저장조(213) 배출구(211)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이렇게 하면 액체세제가 제2탱크(11)로 확실하게 유입되도록 액체세제 저장조(213)의 배출구(211)를 쉽게 제1플랜지(249)에 꽂아 연결할 수 있다.
도 21은 나사산 연결을 통해 제1플랜지(249)를 액체세제 저장조(213)의 배출구(211)에 연결할 수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액체세제 저장조(213)는 액체세제 투입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슈퍼마켓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병 형태이다. 제1플랜지(249)의 제1주변벽(251)은 제1나사산(257)을 포함하며, 이 제1나사산(257)은 플레이트(245)의 관통 구멍(247)을 마주보고 있는 제1주변벽(251)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1나사산(257)은 액체세제 저장조(213) 배출구(211)의 주변벽(261) 외부에 있는 제2나사산(259)과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레이트(245)는 제2용기(11)에 연결할 수 있거나 단단히 연결된 상태이거나 제2용기(11)와 통합된 일체형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플레이트(245)는 제2용기(11)와 단단히 연결시키거나 일체형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때 제2면(262)은 제1면(253)의 맞은편에 배치되고, 플레이트(245)의 관통 구멍(247)은 제2용기(11)의 유입구(207)에 유동적으로 연결된다.
도 21에 제시된 바와 같이, 관통 구멍(247)은 제2주변벽(265)이 있는 제2플랜지(263)를 포함하며, 이때 제2주변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 구멍(247)을 둘러싸고 플레이트(245)의 제2면(262)에서 횡 방향으로 확장된다. 제2플랜지(263)는 플레이트(245)를 유입구(207) 및/또는 용기(11) 유입구 포트(215)에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제2플랜지(263) 및 제2주변벽(265)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레이트(245)의 관통 구멍(247)을 둘러싸도록 플레이트(245)의 제2면(262)에 배치한다. 제2플랜지(263) 및 제2주변벽(265)은 기본적으로 제1플랜지(249) 및 제1주변벽(251)와 동일하다. 제1플랜지(249) 및 제2플랜지(263)는 플레이트(245)의 평면을 가로지르고/가로지르거나 관통 구멍(247)을 통과해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로 확장된 동일한 플랜지의 중심 세로축을 둘러싼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레이트(245)는 제1플랜지(249)를 통해 액체세제 저장조(213)에, 제2플랜지(263)를 통해 제2용기(11)의 유입구(207)에 연결할 수 있으며, 액체세제 저장조의 중심 세로축(269) 및 제2용기(11)의 세로축(217)은 액체세제 저장조(213), 플레이트(245) 및 제2용기(11)가 모두 연결되었을 때 플랜지의 중심 세로축(267)과 동일한 직선에 위치하게 된다.
도 22는 제2용기(11)의 유입구(207)를 액체세제 저장조(213)의 배출구(211)에 직접 연결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액체세제 저장조(213)는 플레이트(245)가 필요 없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액체세제 저장조(213)의 배출구는 앞서 설명한 플러그인 연결 또는 나사 연결을 통해 제2용기(11)의 유입구(207)에 연결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용기(11)의 유입구(207)는 유입구 개구부(215)를 마주 보는 유입구(207)의 내측에 제1나사산(257)이 있고, 액체세제 저장조(213)의 배출구 개구부(255), 즉 배출구(211) 외측에 있는 제2나사산(259)에 연결할 수 있다. 액체세제 저장조(213)는 상부 표면(273) 및 하부 표면(275)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이때 상부 표면(273) 및 하부 표면(275)은 액체세제 저장조의 중심 세로축(269)을 기준으로 맞은편 단부에 배치한다. 액체세제 저장조(213)의 배출구(211)는 밑면(275)에 배치하며, 이때 밑면(275)은 기본적으로 수평면 또는 액체세제 저장조의 중심 세로축(269)을 가로질러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 특히 90°의 각도를 이루는 평면에서 확장된다. 이 같은 구조 덕분에 밑면(275)은 플레이트(245)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3a와 23b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2용기(11)는 가급적 변단면 부분(241)의 외벽(271)에 배치된 최소 한 개의 제1자석을 포함하며, 이때 제1자석(277)은 제2수용 영역(7)의 하한(161)에 있는 관통 구멍(223) 근처에 위치한 최소 한 개의 제2자석(281)에 연결할 수 있다. 최소 한 개의 제2자석(281)은 관통 구멍(223)의 내벽(283)에 배치한다. 최소 한 개의 제1좌석(277)은 용기 세로축(217)을 가로지르는 0° 또는 180° 이외의 다른 각도로 맞은편에 배치한다. 최소 한 개의 제2자석(281)은 관통 구멍(223)의 내벽에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된 제1자석 접점과 제2자석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액체세제가 제2수용 영역(7)의 하우징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로 제2용기(11)의 배출구(209)에 공급되도록 자석(277, 281)을 통해 제2용기(11)를 제2수용 영역(7)에 올바르게 수용 또는 배치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제1자석(277) 또는 제2자석(281) 대신 금속 부재(금속 플레이트 또는 금속 스트립)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5a와 25b는 제2용기(11)와 액체세제 저장조(213)를 하나로 연결한 결합 용기(284)를 나타낸다. 제2용기(11) 및 액체세제 저장조(213)는 일체형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액체세제 저장조(213) 및/또는 제2용기(11)에 액체세제를 채울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액체세제 저장조(213)만 액체세제를 채우고 제2용기(11) 또는 투입영역은 접어서 액체세제 저장조(213)에 부착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세제병처럼 액체세제가 채워진 액체세제 저장조는 클립 또는 접착 스트립을 이용해 제2용기(11) 또는 투입 용기에서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애초에 따로 제작된 제2용기(11) 및 액체세제 저장조(213)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합 등을 통해 한데 연결한 후 액체세제를 채우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결합 용기는 앞서 설명한 연결 플레이트(191)에 대한 대안으로서 기본적으로 플레이트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위치설정·고정장치(285)를 포함할 수 있다. 가급적 위치설정·고정 장치(285)는 c 모양의 클램프, c 클램프 또는 c 모양의 지지부재로 구성한다. c 클램프는 제2용기(11)와 액체세제 저장조(213) 사이에, 가급적 제2용기(11)가 액체세제 저장조(213)에 연결되는 지점에 배치한다. c 클램프 또는 c 모양의 지지부재는 가급적 접착 방식으로 액체세제 저장조(213) 또는 제2용기(11) 상부에 부착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용기(284)는 제2수용 영역(7)의 측벽(159) 중 하나, 가급적 제2수용 영역(7)의 상부영역에 위치설정·고정장치를 통해 배치·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수용 영역(7)의 개방된 상부면을 닫거나 덮을 수 있도록 설계된 개구부가 있는 뚜껑(도로 표시되지 않음)을 제공함으로써 결합 용기(284)가 위치설정·고정장치를 통해 뚜껑에 배치·고정되도록 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결합 용기(284)가 제2수용 영역에 삽입되었을 때 위치설정·고정장치(285)는 개구부를 감싸고 제2용기(11)가 뚜껑 아래에 배치되며 액체세제 저장조(213)가 뚜껑 위에 배치되도록 뚜껑의 개구부 주위에 배치할 수 있다. 위치설정·고정장치(285)는 제2수용 영역(7)에 삽입된 상태에서 액체세제를 비우는 동안 결합 용기가 하한(161)을 향해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따라서 제2용기가 완전히 비워지도록 보장한다.
앞서 설명한 세제 투입장치 1은 모바일 앱을 통해 제어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앱은 사용자가 버튼을 터치하면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할 수 있다. 세제 투입량은 세탁물의 종류, 부피, 중량 및/또는 오염 정도 등 다양한 세탁물 매개변수에 좌우된다. 이러한 세탁물 매개변수가 측정되면, 동일한 모바일 앱에서 세탁물 매개변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손쉽게 세제 투입을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오염 정도는 가령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장치나 세탁물 바구니에 통합된 또는 세탁물 바구니에 연결할 수 있는 카메라를 통해 또는 수동 설정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물의 경도는 앱을 통해 사전 설정할 수 있으며, 세탁기 또는 세제 투입장치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세탁물 중량은 증강현실이나 저울을 이용해 측정할 수 있다.
모바일 앱은 사용자에게 세탁물 분리를 경고하도록 설계된 경고 시스템을 포함한다. 즉, 스마트폰 카메라가 함께 세탁하면 안 되는 세탁물을 감지한 경우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게 된다. 이 같은 기능은 스마트폰에서 활성화된 경고 신호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화면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모바일 앱은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세제를 온라인 주문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장치는 제1용기 및/또는 제2용기의 충진 수준을 감지하는 최소 한 개의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는 제어장치를 통해 앱으로 전송되어 새로운 세제의 온라인 주문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세탁물의 중량은 예컨대 걸이 식 저울 또는 플랫폼 저울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저울은 세탁물 바구니에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시킬 수 있으며, 가급적 세탁물 바구니 바닥에 플랫폼 저울로 연결한다. 그러나 세탁기에 저울을 통합시키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도 27은 세탁바구니(289)에 연결된 저울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저울(287)은 세탁물 바구니(289)에 점차 쌓이는 세탁물(288)을 간단한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세탁물 바구니(289)의 바닥에 연결하거나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저울(287)은 최소 한 개의 칭량 셀(291), 디스플레이 부재(293) 및/또는 제어 부재(295)를 포함하며, 이 모든 부재가 박스(297)에 통합된다. 박스(297)는 최소 두 개의 연결 부재(299)를 이용해 세탁물 바구니(289)의 바닥에 연결하거나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저울(287)은 카메라 부재(도로 표시되지 않음) 및/또는 지지판(30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저울(287)은 캐리어 플레이트 위에 있는 세탁물의 중량을 손쉽게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한편, 세탁물의 유형이나 재질은 카메라 부재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된 세탁물의 특성은 제어 부재를 통해 앱으로 전송되며, 앱은 다시 세제 투입장치 1의 제어장치와 통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치 1은 측정값에 기초한 적절한 양의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도 28은 액체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리프팅 시스템(303)을 나타낸다. 최소 한 개의 제2리셉터클 영역(7)이 클램핑 부재(155) 또는 여러 개의 클램프 부재 쌍(167, 169, 171)에 대한 대안으로 사용되는 리프팅 시스템을 수용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리프팅 시스템(303)은 제2용기(11)에 결합되어 액체세제가 투입되도록 하는 피스톤 펌프(도로 표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또한 리프팅 시스템(303)은 모터로 구동되어 피스톤(309)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회전판(305)을 포함하다. 이 회전판(305)에 의해 피스톤(309)이 전향 또는 이동되며, 이러한 운동에 의해 액체세제가 제2용기(11)에서 펌핑 되어 적절히 투입된다. 이외에도 리프팅 시스템은 제2용기(11)의 액체세제 충진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311)를 포함한다.
도 29는 제2용기에 연결된 리프팅 시스템(303)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프팅 시스템(303)은 가령 접착 또는 용접을 통해 제2용기(11)의 개구부, 즉 제2용기(11)의 배출구(209)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또한 리프팅 시스템(303)은 호스 시스템(315)을 통해 용기나 컵 또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세탁기의 세제 챔버(313)에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리프팅 시스템(303)을 통해 투입된 정확한 양의 세제를 용기나 컵에 채우거나 직접 세탁기의 세제 챔버(313)에 채울 수 있다. 용기나 컵 또는 세제 챔버(313)는 제2용기(11)에 연결된 리프팅 시스템(303) 아래에 중력 방향으로 배치한다. 이처럼 리프팅 시스템(303)은 용기나 컵 또는 세제 챔버(313) 및 제2용기(11) 사이에 중력 방향으로 배치하거나 위치시킨다. 이렇게 하면 세제가 중력에 의해 제2용기(11)에서 리프팅 시스템(303)으로 공급되고 다시 용기나 컵 또는 세제 챔버(313)로 펌핑 된다. 리프팅 시스템(303)은 피스톤 및 구동축의 중심을 벗어나 편심 구조를 이루는 회전판(305)을 포함한다. 도 29의 실시예에서 피스톤(309)은 편심 및 구동 축 위에 중력 방향으로 배치한다. 편심은 모터(307)에 연결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편심의 회전운동은 피스톤의 병진운동(319) 또는 피스톤 스트로크로 쉽게 전환된다.
도 30a 내지 30c는 앞서 설명한 리프팅 시스템(303)에 연결된 제2용기(11)를 도시한다.
앞서 설명한 세제 투입장치 1을 사용하면, 세탁할 세탁물의 중량에 따라 세제 투입량을 설정하는 투입장치(29)를 통해 다음과 같은 단계로 세제 투입이 이루어지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가령 걸이 식 저울 또는 플랫폼 저울과 같은 저울을 이용해 세탁물의 중량을 측정 또는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세탁물의 중량 측정 또는 확인은 세탁물 바구니(289)에 연결된 또는 연결할 수 있는 저울(287), 가급적 세탁물 바구니(289)의 바닥에 플랫폼 저울로 연결된 또는 연결할 수 있는 저울(287)을 이용해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세제 투입량 설정은 세탁 시 사용되는 수돗물의 경도 및/또는 세탁할 세탁물의 오염 정도 및/또는 세탁기의 드럼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앞서 설명한 시스템은 세제, 특히 분말세제 및/또는 액체세제가 투입될 수 있도록 세제 투입장치 1, 분말세제를 수용·투입하기 위한 제1용기(9), 액체세제를 수용·투입하기 위한 제2용기(11)를 포함한다. 이 시스템에서 제1용기(9)는 분말세제를 수용·투입하며 세제 투입장치 1을 수용하고 이 장치와 상호작용하도록 설계한다. 제2용기(11)는 액체세제를 수용·투입하며 세제 투입장치 1을 수용하고 이 장치와 상호작용하도록 설계한다. 장치 1은 제1용기(9)를 수용하고 용기(9)에 연결할 수 있는 투입장치(29)를 수용·구동하도록 구성된 제1수용 영역(5)을 포함한다. 제1수용 영역(5) 내 투입장치 수용 영역(27)에 배치된 작동 및/또는 구동 장치(39)로 투입장치(29)를 작동시키면, 정확한 양의 분말세제 및/또는 액체세제가 투입된다. 또한 장치 1은 제2용기(11)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수용 영역(7)을 포함한다. 제2수용 영역(7)에 배치된 클램핑 부재(155)에 의해 정확한 양의 액체세제가 투입될 수 있다. 장치 1을 사용하면, 제1용기(9)의 분말세제 및 제2용기(11)의 액체세제가 정확한 양으로 투입되어 용기나 컵 또는 세탁기의 세제 챔버 중 하나에 직접 채워진다. 이처럼 장치 1은 간편하고 정확한 세제 투입을 가능케 한다.
1: 장치 3: 하우징
5: 제1수용 영역 7: 제2수용 영역
9: 제1용기 11: 제2용기
13: 후면 벽 15: 측벽
17: 측벽 19: 상한
21: 하한 23: 개방된 전면
25: 용기수용 영역 27: 투입장치 픽업영역
29: 투입장치 31: 가이드 부재
33: 가이드 부재 35: 가이드 부재의 평행한 부분
37: 가이드 부재의 경사진 부분 39: 작동 및/또는 구동 장치
41: 커플링 부재 또는 구동 축 43: 리셉터클
45: 세로축 47: 제1수평 표면 부분
49: 제2수평 표면 부분 51: 리셉터클 배출구 개구부
53: 리브 55: 리브 쌍
57: 스크루 컨베이어 59: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
61: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 63: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 유입구
65: 유입구 개구부 67: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 배출구
69: 배출구 개구부
71: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의 제1단부
73: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의 제2단부
75: 플랜지 77: 주변벽
78: 제1주변벽 중심 세로축
79: 제1접촉면 80: 제2주변벽 중심 세로축
81: 제2접촉면 82: 스크루 컨베이어 구동단부
83: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 외벽 85: 여러 개의 리브
87: 제한 리브 제1쌍 89: 제한 리브 제2쌍
91: 커플링 장치 93: 원통형 공동
95: 원통형 공동의 내벽 96: 커플링 부재의 외벽
97: 최소 한 개의 돌출부 99: 최소 한 개의 홈
101: 나선형 플라이트 103: 나사산
105: 삽입 부재 또는 제거 부재 107: 가이드 부재의 가장자리
109: 밑면 111: 제1용기 하우징
112: 제1용기의 내부 공간 113: 배출구
115: 제1용기의 유입구 개구부 117: 배출구 개구부
119: 폐쇄 부재 121: 탭
123: 내부 개구부 125: 변단면 부분(섹션)
127: 제1대칭 부분 129: 제2대칭 부분
131: 제1대칭 부분의 제1측면 모서리
133: 제1대칭 부분의 제2측면 모서리
135: 변단면 부분의 제1측면 모서리
137: 변단면 부분의 제2측면 모서리
139: 제2대칭 부분의 제1측면 모서리
141: 제2대칭 부분의 제2측면 모서리
143: 플레이트 145: 인클로저
147: 평면 149: 연결 부재
151: 접착 스트립 153: 클립
155: 제2수용 영역 측벽의 클램핑 부재
157: 제2수용 영역의 후면 벽 159: 측벽
161: 하한 163: 개방된 상부
165: 전면 167: 하부 클램핑 부재 제1쌍
169: 상부 클램핑 부재 제2쌍 171: 중간 클램핑 부재 제3쌍
D1: 제1거리
D2: 제2거리
D3: 제3거리
173: 제2용기의 제1측벽 175: 제2용기의 제2측벽
177: 제1클램핑 부재 179: 제2클램핑 부재
181: 제1클램핑 부재 표면 183: 제2클램핑 부재 표면
185: 클램핑 부재 세로축 186: 제3클램핑 부재 표면
187: 클램핑 부재 표면의 제1단부
189: 클램핑 부재 표면의 제2단부
B: 클램핑 부재 표면의 폭
191: 연결 플레이트 192: 관통 구멍
193: 제1클램핑 부재 표면의 제1측면 모서리
195: 제2클림팽 부재 표면의 제1측면 모서리
197: 클램핑 부재 모서리 199: 내부 공동
201: 공동의 개방된 면 203: 제2용기 하우징
205: 내부 공간 207: 제2영기의 유입구
209: 제2용기의 배출구 211: 액체세제 저장조 배출구
213: 액체세제 저장조 215: 제2용기의 유입구 개구부
217: 용기 세로축 219: 제2용기의 배출구 개구부
221: 제2수용 영역의 하부영역 223: 하한에 있는 관통 구멍
225: 제2수용 영역의 상부영역 227: 제2용기의 배출구 제1단부
229: 제2용기의 배출구 제2단부 231: 배출구 세로축
233: 유입구 단부 235: 배출구 단부
241: 제2용기의 변단면 부분(섹션)
243: 제2용기의 대칭 부분 245: 수평 플레이트
247: 플레이트 관통 구멍 249: 플레이트의 제1플랜지
251: 플레이트의 제1주변벽 253: 플레이트의 제1측벽
255: 액체세제 저장조의 배출구 개구부
257: 제1나사산 259: 제2나사산
261: 액체세제 저장조의 배출구 주변벽
262: 플레이트의 제2면 263: 플레이트의 제2플랜지
265: 플레이트의 제2주변벽 267: 플랜지 중심 세로축
269: 액체세제 저장조 중심 세로축 271: 액체세제 저장조 하우징
273: 액체세제 저장조 상부 275: 액체세제 저장조 밑면
277: 최소 한 개의 제1자석 279: 변단면 섹션의 외벽
281: 최소 한 개의 제2자석 283: 관통 구멍의 내벽
284: 결합 용기 또는 결합 백 285: 위치설정·고정장치
287: 저울 289: 세탁물 바구니
291: 칭량 셀 293: 디스플레이 부재
295: 제어 부재 297: 박스
299: 연결 부재 301: 지지판
303: 리프팅 시스템 305: 회전판
307: 모터 309: 피스톤
311: 센서 313: 세제 챔버
315: 호스 시스템 317: 편심의 회전운동
319: 피스톤의 병진운동

Claims (51)

  1. 최소 한 개의 제1수용 영역(5)이 세탁세제용 제1용기(9)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하우징(3),
    세탁할 세탁물의 측정된 중량에 따라 투입되는 세제 투입량 설정을 포함하고,
    제1수용 영역(5)이 투입장치(29)를 수용하기 위한 투입장치 수용 영역(27)을 포함하며,
    투입장치(29)용 작동 및/또는 구동 장치(39)가 투입장치 수용 영역(27)에 배치되어 있는 세탁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장치(29)를 포함하는
    세제, 특히 분말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세제 투입장치(1).
  2. 청구항 1에 있어서, 투입장치(29)가 제1용기(9)에 연결되며, 제1용기(9) 및 투입장치(29)가 교체 가능한 일회용인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최소 한 개의 제1수용 영역(5)이 분말세제용 제1용기(9)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장치(1).
  4.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크루 컨베이어(57), 가급적 스크루 컨베이어의 전체 길이가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에 삽입되고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배치됨으로써 스크루 컨베이어(57) 및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이 공통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 주위(61)로 확장되는 스크루 컨베이어(57)와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을 포함하는 투입장치(29).
  5. 전술한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플링 장치(91)가 스크루 컨베이어(57)의 구동단부(82)에서 스크루 컨베이어의 세로축(61) 방향으로 확장되며, 커플링 장치(91)가 작동 및/또는 구동 장치(39)와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장치(1).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이 여러 개의 리브(85)가 있는 외벽(83)을 포함하고, 리브(85)가 제1단부(71) 및 제2단부(73)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확장되며/되거나 리브(85)가 외벽(83)으로부터 방사상 형태로 확장되며, 리브(85) 두 개가 외벽(83)의 주변 방향에서 반대편에 있는 배출구 개구부(69)를 정의하고, 가급적 또 다른 리브(85) 두 개가 외벽(83)의 축 방향에서 반대편에 있는 배출구 개구부(69)를 제한하는 장치(1).
  7. 전술한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수용 영역(5)이 제1용기(9)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수용 영역(25)을 포함하고,
    용기수용 영역(25)이 가급적 투입장치 수용 영역(25) 위에 배치되며/되거나, 용기수용 영역(25)에 있는 한 개 이상의 측벽(15, 17)이 이러한 측벽(15, 17)에서 확장된 여러 개의 리브(53)를 포함하는 장치(1).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1가이드 부재(31) 및 제2가이드 부재(33)가 용기수용 영역(25) 및 투입장치 수용 영역(27) 사이에 배치되며,
    가이드 부재(31, 33)가 개방된 전면에서 후면 벽(13)으로 확장되고/되거나, 가이드부재(31, 33)가 측벽(15, 17)에서 확장되는 장치(1).
  9. 청구항 10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31, 33)가 기본적으로 상한(19) 및/또는 하항(21)과 평행한 평면에서 배향되며,
    가이드 부재(31, 33)가 가급적 용기수용 영역(25)을 향한 평면에서 전면(23)을 향해 경사진 장치(1).
  10. 전술한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입장치(29)가 폐쇄 또는 플랩 부재를 포함하고, 폐쇄 또는 플랩 부재가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열리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가급적 폐쇄 또는 플랩 부재가 투입장치(29) 및/또는 제1용기(9)를 밀폐된 방식으로 폐쇄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장치.
  11. 분말세제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112) 및 배출구(113)를 투입장치(29)의 유입구(63)에 연결할 수 있고, 상기 투입장치(29)를 작동시켜 상기 분말세제의 투입량이 상기 배출구(67)를 통해 투입되도록 하는 배출구(67)가 상기 투입수단(29)에 있으며,
    내부 공간(112)과 연결된 배출구(113)가 있는 하우징(111)을 포함하는 분말세제를 수용·투입하기 위한 용기(9).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용기(9) 및/또는 투입장치(29)가 교체 가능한 일회용품으로 설계되어 있으며/있거나 분말세제로 미리 채워 제공되는 용기(9).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청구항 1~11의 어느 한 항에 따라 제1용기(9)로서 세제 투입장치(1)에 의해 삽입·수용되도록 구성된 용기(9).
  14. 청구항 12 또는 13에 있어서, 투입장치(29)가 스크루 컨베이어(57)와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을 포함하고, 스크루 컨베이어(57), 가급적 스크루 컨베이어의 전체 길이가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에 삽입되고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배치됨으로써 스크루 컨베이어(57) 및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이 공통 스크루 컨베이어 세로축 주위로 확장되며, 투입장치(29)의 유입구가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 또는 그 위에 배치되는 용기(9).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용기(9)의 배출구(113)가 나사 체결 및/또는 접착을 통해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의 유입구(63)에 단단히 연결된 용기(9).
  16. 청구항 14~15에 있어서, 스크루 컨베이어 하우징(59)이 통합된 용기(9).
  17. 청구항 11~16에 있어서, 가급적 배출구(113) 반대편에 배치된 유입구 개구부(115) 및/또는 배출구(113)에 있는 배출구 유입구(117)를 포함하는 용기(9).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유입구 개구부를 폐쇄 부재(119), 가급적 지퍼를 통해 폐쇄할 수 있고, 폐쇄 부재(119), 가급적 지퍼가 세제 투입장치(1)의 제1수용 영역(5)에 있는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용기(9).
  19. 청구항 1~10에 있어서, 하우징(3)이 최소 한 개의 제2수용 영역(7)을 포함하고,
    최소 한 개의 제2수용 영역(7)이 액체세제용 제2용기(11)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장치(1).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제2용기(11)가 교체 가능한 일회용인 장치(1).
  21. 청구항 19 또는 20에 있어서, 최소 한 개의 제2수용 영역(7)이 후면 벽(157), 후면 벽(157)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향된 두 개의 이격된 측벽(159), 측벽(159)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향된 하한(161) 및 하한(161) 맞은편에 있는 개방된 상부(163)을 포함하고, 제2용기(11)를 수용하기 위한 최소 한 개의 제2수용 영역이 측벽(159) 사이에 형성되는 장치(1).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최소 한 개의 제2수용 영역(7)이 액체세제 투입용 리프팅 시스템(303)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장치(1).
  23. 전술한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용기(9)이 하우징을 포함하고, 제2용기(11)가 하우징을 포함하며, 제1용기(9)의 하우징 및/또는 제2용기의 하우징(11)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 재료를 포함하거나 가요성 재료로 제작되어 있고, 가급적 제1용기(9)의 하우징 및/또는 제2용기(11)의 하우징이 알루미늄 합성 포일을 포함하거나 알루미늄 합성 포일로 제작되어 있는 장치.
  24. 전술한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용기(9)가 하우징을 포함하고, 제2용기(11)가 하우징을 포함하며, 제1용기의 하우징 및/또는 제2용기(11)의 하우징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치수 안정적인 재료를 포함하거나 치수 안정적인 재료로 제작된 장치.
  25. 전술한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용기(9) 및/또는 제2용기(11) 및/또는 투입장치(29)가 바이오 플라스틱 또는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 가급적 암석지 및/또는 목재를 포함하는 장치.
  26. 액체세제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205) 및 배출구(209)를 액체세제 저장조(213)의 배출구(211)에 연결할 수 있고, 액체세제 투입량이 용기(11)의 배출구(209)를 통해 투입되도록 내부 공간(205)과 연결된 유입구(207)가 있는 하우징(203)을 포함하는 액체세제를 수용·투입하기 위한 용기(11).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용기(11)가 교체 가능한 일회용품으로 설계되어 있으며/있거나 액체세제로 미리 채워 제공되는 용기(11).
  28. 청구항 26 또는 27에 있어서, 청구항 1~10 또는 청구항 19~25의 어느 한 항에 따라 제2용기로서 세제 투입장치(1)에 의해 삽입·수용되도록 구성된 용기(11).
  29. 청구항 26, 27 또는 28에 있어서, 용기(11)의 유입구가 나사 체결 또는 접착을 통해 액체세제 저장조(213)의 배출구(211)에 단단히 연결된 용기(11).
  30. 청구항 26~29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세제 저장조(213)가 통합된 용기(11).
  31. 청구항 26~30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11)가 투입장치에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할 수 있는 형태이거나 투입장치를 포함하고, 가급적 투입장치가 리프팅 시스템(303)이며, 리프팅 시스템(303)이 제2용기(11) 내부에서 액체세제를 투입하도록 구성된 용기(11).
  32. 청구항 1~10 또는 청구항 19~25에 있어서, 세제, 특히 분말세제 및/또는 액체세제의 자동 투입을 위해 설계된 장치.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량 설정을 가급적 세탁물 중량 및/또는 유형 및/또는 부피 및/또는 오염 정도 및/또는 세탁기의 드럼 크기에 따라 제어 또는 조정할 수 있는 장치.
  34. 청구항 32 또는 33에 있어서,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량 설정을 가급적 세탁물 세탁 시 사용되는 수돗물의 경도에 따라 제어 또는 조정할 수 있는 장치.
  35. 청구항 32~34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량 설정을 응용 소프트웨어, 가령 모바일 앱을 통해 제어 또는 조정할 수 있는 장치.
  36. 청구항 3~34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량 설정을 블루투스 또는 무선 LAN을 통해 제어 또는 조정할 수 있는 장치.
  37. 전술한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바일 앱을 비롯한 응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1용기(9)의 분말세제 충진 수준 및/또는 제2용기(11)의 액체세제 충진 수준이 신호음 또는 신호등을 통해 자동으로 표시되는 장치.
  38. 전술한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용기(9)에 분말세제가 떨어졌거나 특정 충진 수준에 도달한 경우 및/또는 제2용기(11)에 액체세제가 떨어졌거나 특정 충진 수준에 도달한 경우 인터넷에서 자동으로 세제 주문이 이루어지는 장치.
  39. 청구항 32~38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탁물 중량을 가령 걸이 식 저울 또는 플랫폼 저울과 같은 저울로 측정할 수 있는 장치.
  40. 청구항 39에 있어서, 저울이 세탁물 바구니에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할 수 있으며, 가급적 세탁물 바구니의 바닥에 플랫폼 저울로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할 수 있는 장치.
  41. 청구항 39에 있어서, 저울이 세탁기에 통합되거나 저울이 세탁기 아래에 위치하는 장치.
  42. 청구항 39에 있어서, 저울이 가급적 박스에 통합된 최소 한 개의 칭량 셀, 디스플레이 부재 및/또는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43. 청구항 42에 있어서, 저울이 이외에도 카메라 부재 및/또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장치.
  44. 청구항 1~10, 청구항 19~25 및 청구항 32~43의 어느 한 항에 의거한 세제 투입장치(1), 청구항 11~18의 어느 한 항에 의거한 분말세제를 수용·투입하기 위한 제1용기(9) 및/또는 청구항 26~31의 어느 한 항에 의거한 액체세제를 수용·투입하기 위한 제2용기(11)를 포함하는 시스템.
  45. 전술한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제 투입장치, 특히 분말세제 투입장치를 제어하며 다음 기능을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 투입장치(29)를 통해 제1용기(9)에서 분말세제 투입
    - 추가 투입장치를 통해 제2용기(11)에서 액체세제 투입
  46. 청구항 45에 있어서, 추가로 다음 기능을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 분말세제를 저장하도록 설계된 제1용기(9)의 충진 수준 측정
    - 액체세제를 저장하도록 설계된 제2용기(11)의 충진 수준 측정
  47. 청구항 46에 있어서, 추가로 다음 기능을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 세제(분말세제 및/또는 액체세제) 식별
    - 측정된 충진 수준에 기초한 세제(분말세제 및/또는 액체세제) 재주문
  48.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에 의거한 장치(1)를 통해 세제를 투입하는 방법:
    - 세탁할 세탁물의 측정된 중량에 따라 세제 투입량을 설정하는 투입장치(29)를 이용한 세제 투입
  49. 청구항 48에 있어서, 세제 투입량 설정이 세탁물 세탁 시 사용되는 수돗물의 경도 및/또는 세탁할 세탁물의 오염 정도 및/또는 세탁기의 드럼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방법.
  50. 청구항 48 또는 49에 있어서, 걸이식 저울이나 플랫폼 저울 또는 세탁기 발이나 저울 아래에 위치한 로드 셀이나 계량 매트 등을 비롯한 저울(289)을 이용해 세탁물 중량을 측정 또는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1. 청구항 50에 있어서, 세탁물의 중량을 세탁물 바구니(289)에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할 수 있는 저울(287), 가급적 세탁물 바구니(287) 바닥에 플랫폼 저울로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할 수 있는 저울(289)을 통해 측정 또는 확인하는 방법.
KR1020217020845A 2018-12-05 2019-12-05 세제 투입장치, 분말세제 및/또는 액체세제 수용·투입용기 및 해당 시스템 KR202101053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009551.8A DE102018009551A1 (de) 2018-12-05 2018-12-05 Vorrichtung zur Zubereitung von Babynahrung, Behälter zur Aufnahme und Dosierung von Babynahrungskonzentrat und/oder eines Fluids und entsprechendes System
DE102018009551.8 2018-12-05
DE102019001063.9A DE102019001063A1 (de) 2019-02-13 2019-02-13 Vorrichtung zum Dosieren und Mahlen von Kaffebohnen und/oder zur Zubereitung von Kaffee, Behälter zur Aufnahme und Dosieren und Mahlen von Kaffeebohnen, Behälter zur Aufnahme und Dosierung von Fluid und entsprechendes System
DE102019001063.9 2019-02-13
DE102019005000.2 2019-07-17
DE102019005000.2A DE102019005000A1 (de) 2019-07-17 2019-07-17 Vorrichtung zur Dosierung von Waschmittel, Behälter zur Aufnahme und Dosierung von Pulverwaschmittel und/oder Flüssigwaschmittel und entsprechendes System
DE202019004331.4 2019-10-21
DE202019004331.4U DE202019004331U1 (de) 2019-02-13 2019-10-21 Vorrichtung zum Dosieren und Mahlen von Kaffeebohnen und/oder zur Zubereitung von Kaffee, Behälter zur Aufnahme und Dosieren und Mahlen von Kaffeebohnen, Behälter zur Aufnahme und Dosierung von Fluid und entsprechendes System
PCT/EP2019/083774 WO2020115184A2 (de) 2018-12-05 2019-12-05 Vorrichtung zur dosierung von waschmittel, behälter zur aufnahme und dosierung von pulverwaschmittel und/oder flüssigwaschmittel und entsprechendes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371A true KR20210105371A (ko) 2021-08-26

Family

ID=709738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845A KR20210105371A (ko) 2018-12-05 2019-12-05 세제 투입장치, 분말세제 및/또는 액체세제 수용·투입용기 및 해당 시스템
KR1020217018971A KR20210097141A (ko) 2018-12-05 2019-12-05 조제할 매체의 투여 및/또는 조제를 위한 장치, 구성요소 수용/투여용 용기, 유체 수용/투여용 용기 및 이에 관한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8971A KR20210097141A (ko) 2018-12-05 2019-12-05 조제할 매체의 투여 및/또는 조제를 위한 장치, 구성요소 수용/투여용 용기, 유체 수용/투여용 용기 및 이에 관한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034016A1 (ko)
EP (2) EP3866651A2 (ko)
JP (3) JP2022520310A (ko)
KR (2) KR20210105371A (ko)
CN (2) CN113195821A (ko)
AU (2) AU2019394072A1 (ko)
BR (2) BR112021010860A2 (ko)
CA (2) CA3122019A1 (ko)
WO (2) WO202011518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9004089U1 (de) * 2019-10-04 2021-01-11 Stefan Schlack Hubsystem zur Dosierung von einem Fluid aus einem Behälter und Behälter für ein Fluid
WO2023212911A1 (en) * 2022-05-06 2023-11-0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otorized chute trap for a beverage brewing system
CN115153307B (zh) * 2022-07-18 2023-09-05 广州玺明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可承载饮料杯自动进出的定温定量开水机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15387A1 (de) * 1977-04-06 1978-10-12 Licentia Gmbh Einrichtung zum gesteuerten zufuehren von pulverfoermigen zusaetzen zum spuelwasser in geschirrspuelmaschinen o.dgl.
GB2035094B (en) * 1978-11-02 1982-11-10 Vickers Ltd Liquid dispensing apparatus
DE3528128A1 (de) * 1985-08-06 1987-02-12 Licentia Gmbh Dosiervorrichtung fuer pulverfoermiges schuettgut
US5261432A (en) * 1990-10-03 1993-11-16 Ro-Sa Micromeccanica S.N.C. Dishwashing machine with multidose dispenser of powder detergent
FR2669944B1 (fr) * 1990-11-30 1994-02-04 Procter & Gamble Dispositif pour le lavage du linge en machine et son mode de mise en óoeuvre.
CH682137A5 (ko) * 1991-04-11 1993-07-30 Sogico Sa
JPH0670851A (ja) * 1992-08-28 1994-03-15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飲料供給装置における原料交換装置
DE69410309T2 (de) * 1993-02-15 1999-02-11 R & D S Srl Automatische Vorrichtung zur Abgabe und Dosierung von Pulverwaschmitteln in Waschmaschinen
JPH07111944A (ja) * 1993-10-19 1995-05-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給茶器
DE4440458A1 (de) * 1994-11-04 1996-05-09 Olaf Klaembt Einrichtung zur Ermittlung der Menge des Waschgutes und des Waschmittels
DE29518415U1 (de) * 1995-11-21 1996-03-28 Landgraf Kunststoffe, 15517 Fürstenwalde Dosiervorrichtung für Waschmittel
JPH09192020A (ja) * 1996-01-22 1997-07-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給茶機
JP4046578B2 (ja) * 2002-08-30 2008-02-13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粉末原料供給装置
US7104184B2 (en) * 2004-01-13 2006-09-12 Eytan Biderman Feeding formula appliance
US20050230343A1 (en) * 2004-04-20 2005-10-20 John Huber Baby formula preparation device
US20060157463A1 (en) * 2005-01-14 2006-07-20 Wiele Melissa A Food preparation device
JP5749436B2 (ja) * 2006-05-19 2015-07-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殺菌水及びインスタント食品から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装置
DE102007022098A1 (de) * 2007-05-11 2008-11-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utomatisch gesteuerte Waschmaschine
ATE473665T1 (de) * 2007-07-05 2010-07-15 Schaerer Ag Vorrichtung zur ausgabe von auf milch basierenden getränken
EP2022379B1 (en) * 2007-08-09 2013-10-02 Nestec S.A. Single piece device for storing, metering and mixing a powder with a diluent
DE102007041603B4 (de) * 2007-09-03 2011-05-26 Miele & Cie. Kg Dosiereinrichtung und Vorratsbehälter für flüssige Zugabemittel für eine Waschmaschine oder Spülmaschine
DE102007050920B3 (de) * 2007-10-23 2008-12-04 Miele & Cie. Kg Dosiervorrichtung für flüssige oder zähflüssige Behandlungsmittel einer Waschmaschine und Waschmaschine
KR101482110B1 (ko) * 2008-05-23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MX2011013983A (es) * 2009-06-17 2012-06-01 Linckia Express Llc Dispositivo de formula lactea.
DE102009037301A1 (de) * 2009-08-14 2011-02-17 Soehnle Professional Gmbh & Co. Kg Wäschebehandlungsmaschine mit einer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s Gewichts einer Zuladung
NL2006239C2 (en) * 2010-02-17 2012-08-09 Sara Lee De Nv Coffee beverage system, second coffee bean packaging cartridge for use with said system,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by means of said system, a method of brewing coffee and a method of supplying coffee beans from said second coffee bean packaging cartridge.
JP5877165B2 (ja) * 2010-02-17 2016-03-02 コーニンクラケ ダウ エグバート ビー.ブイ. コーヒー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装置、そのような装置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挽いたコーヒー包装カートリッジ、そのような装置によって飲料を調製する方法、及びそのような挽いたコーヒー包装カートリッジから挽いたコーヒーを供給する方法
DE102011054155A1 (de) * 2011-10-04 2013-04-04 Eugster/Frismag Ag Kaffeeautomat und Verfahren zum Einbringen einer Bohnenmenge
CH708908A2 (de) * 2013-11-19 2015-05-29 Az Design Gmbh Waschmittelspende-Vorrichtung für das Zudosieren von Waschmittel in die Schublade einer Waschmaschine.
CH709439A2 (de) * 2014-03-21 2015-09-30 Az Design Gmbh Waschmittel-Spende-Vorrichtung für das Dosieren von Wasch- und Weichspülmittel als Wand- oder Tischgerät extern zur Waschmaschine.
DE102016000406B4 (de) * 2016-01-14 2023-06-01 Smiics Gmbh Vorrichtung zur Zubereitung von Babynahrung
CN109312524A (zh) * 2016-06-09 2019-02-05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洗衣产品的提供
GB201715659D0 (en) * 2017-09-27 2017-11-08 Reckitt Benckiser Vanish Bv A dispensing mechanism for dispensing tablets of a washing product
CN108852006A (zh) * 2018-08-09 2018-11-23 深圳前海小智萌品科技有限公司 具有装配检测功能的冲奶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63975A (zh) 2021-07-23
JP2024026565A (ja) 2024-02-28
US20220034016A1 (en) 2022-02-03
JP2022520310A (ja) 2022-03-30
CA3122015A1 (en) 2020-06-11
AU2019392736A1 (en) 2021-06-24
WO2020115185A2 (de) 2020-06-11
EP3866651A2 (de) 2021-08-25
WO2020115184A2 (de) 2020-06-11
WO2020115185A3 (de) 2020-08-06
CA3122019A1 (en) 2020-06-11
BR112021010860A2 (pt) 2021-08-31
KR20210097141A (ko) 2021-08-06
AU2019394072A1 (en) 2021-06-24
WO2020115184A3 (de) 2020-08-06
BR112021010800A2 (pt) 2021-10-13
EP3891332A2 (de) 2021-10-13
JP2022520147A (ja) 2022-03-29
CN113195821A (zh)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05371A (ko) 세제 투입장치, 분말세제 및/또는 액체세제 수용·투입용기 및 해당 시스템
KR101086869B1 (ko) 자동 분유혼합장치
AU2012393021B2 (en) Dispensing system with the means for detecting liquid level and a collapsible container for such a system.
US8122743B2 (en) Automatically controlled washing machine
CN104519775B (zh) 具有可调节计量的流体分配器
US8371211B2 (en) Machine for brewing a beverage such as coffee and related method
JP4959748B2 (ja) フォイル・バッグに食品を充填する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6170914B2 (ja) 流体物のディスペンサ
US10800644B2 (en) Metering apparatus for dispensing household and industrial fluid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US20100133222A1 (en) Baby Bottle Preparation
EP2123201B1 (en) Automatic beverages dispenser with improved delivery device
US11390981B2 (en) Dosing device and system
JP2009517111A5 (ko)
JP2009517111A (ja) 洗浄機器
US20070193651A1 (en)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baby bottles, bottle nipples, lids and powdered baby formula
KR101168802B1 (ko) 분유 디스펜서
WO2022042780A1 (en) Equipment for handling and dispensing bulk, liquid or powder goods
US20220007898A1 (en) Commodity Dispenser System With Inventory Monitor And Use-Based Replenishment Features
JPWO2020115184A5 (ko)
WO2021239778A1 (en) Fluid dispensing apparatus
IT201800002678A1 (it) Distributore automatico di sostanze alimentari allo stato flui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