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246A - 범용 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범용 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246A
KR20210103246A KR1020200017757A KR20200017757A KR20210103246A KR 20210103246 A KR20210103246 A KR 20210103246A KR 1020200017757 A KR1020200017757 A KR 1020200017757A KR 20200017757 A KR20200017757 A KR 20200017757A KR 20210103246 A KR20210103246 A KR 20210103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ox
housing
general
univers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3730B1 (ko
Inventor
이한모
Original Assignee
이한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모 filed Critical 이한모
Priority to KR1020200017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730B1/ko
Publication of KR20210103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5Adjustable conve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02Chutes of straight form
    • B65G11/023Chutes of straight form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3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65G2812/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천정에서 설치되는 제1컨베이어벨트를 통해 내용물이 포장된 범용포장박스를 후속 공정을 위해 지상으로 낙하 이송시키기 위한 범용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범용포장박스를 동력 없이 지상으로 낙하시켜 안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범용포장박스의 크기에 따라 높이와 폭이 가변되고, 더불어 범용포장박스가 낙하할 때 낙하속도를 구간 별로 제어하여 범용포장박스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범용포장박스가 지상으로 최종 배출될 때 범용포장박스의 배출 속도를 일정간격을 두고 배출되게 지연시켜 범용포장박스의 후속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범용 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NON-POWERED DROP TRANSFERR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건물의 천정에서 설치되는 제1컨베이어벨트를 통해 내용물이 포장된 범용포장박스를 후속 공정을 위해 지상으로 낙하 이송시키기 위한 범용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범용포장박스를 동력 없이 지상으로 낙하시켜 안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범용포장박스의 크기에 따라 높이와 폭이 가변되고, 더불어 범용포장박스가 낙하할 때 낙하속도를 구간 별로 제어하여 범용포장박스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범용포장박스가 지상으로 최종 배출될 때 범용포장박스의 배출 속도를 일정간격을 두고 배출되게 지연시켜 범용포장박스의 후속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범용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용물이 낱개 포장되는 포장박스는 묶음으로 번들포장하기 위해 후속공정을 거친다.
이 때 낱개 포장된 포장박스는 건물 공간 효율을 높이기 위해 통상 건물의 천정에 설치된 수평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송되며, 후속공정을 위한 설비는 건물 지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포장박스를 번들 포장하기 위해서는 지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장치는 통상 경사진 컨베이어벨트를 천정에 설치된 컨베이어에 근접시켜 설치하여 포장박스를 지상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유사한 장치로는 " 포장박스용 스티칭 장치에서의 톰슨박스를 패스할 수 있는 장치(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98515호)"의 패스컨베이어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패스컨베이어는 경사도가 낮아 넓은 범위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패스컨베이어를 경사도를 높이면 포장박스의 고정이 쉽지 않아 포장박스가 이탈되는 무제점이 발생되기도 한다.
또한 종래의 패스컨베이어는 별도의 전기동력이 필요하게 되고, 기계적 소음과 더불어 포장박스의 이송이 매우 느린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패스컨베이어는 가격이 고가로 시설투자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패스컨베이어는 포장박스의 크기가 클 경우, 전도되는 문제점이 있어 다양한 크기의 범용포장박스를 이송할 수 있는 이송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985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범용포장박스를 동력 없이 지상으로 낙하시켜 안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범용포장박스의 크기에 따라 높이와 폭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한 범용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범용포장박스가 낙하할 때 낙하속도를 구간 별로 제어하여 범용포장박스의 손상을 방지하고, 더불어 범용포장박스가 지상으로 최종 배출될 때 범용포장박스의 배출 속도를 일정간격을 두고 배출되게 지연시켜 범용포장박스의 후속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범용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건물의 천정에서 설치되는 제1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다양한 크기의 범용포장박스를 후속 공정을 위해 지상으로 낙하 이송시키기 위한 범용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건물의 천정에 설치된 제1컨베이어벨트에 근접되게 높이 방향으로 직립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상부와 하부가 각각 프레임에 고정되고, 범용포장박스를 외부로 이탈됨이 없이 지상으로 자유 낙하시키기 위해 상판이 오픈 가능하도록 경첩을 통해 힌지 결합되는 직사각 통로를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연통되어 제1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범용포장박스를 진입시키는 진입부;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연통되어 하우징으로부터 낙하되는 범용포장박스를 수평으로 방향을 전환시켜 슬라이딩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의 하부에 수평설치되어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범용포장박스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벨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과, 진입부 및 배출부의 양측벽은 요철 결합식으로 분리결합되어 범용포장박스의 높이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가장자리 양측에는 상기 범용포장박스의 낙하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다수의 간격조절수단을 통해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이 조절되는 마찰판이 더 결합되고, 상기 상판의 오픈되는 자유단측에 상판과 하우징간의 갭을 조절하여 하우징 내부 공기의 배출 정도를 제어하는 다수의 공압조절수단이 더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과 배출부의 연결부위에는 상판 중앙 부위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압회전레버가 결합되고,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는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범용포장박스를 일정간격을 두고 배출할 수 있는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외부에서 마찰판의 상호 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마찰판에 고정되는 간격조절핀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 저면을 나사결합으로 관통하여 간격조절핀을 가압 고정하는 가압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공압조절수단은 상기 상판에 부분 고정되는 가압판과, 상기 상판의 바깥쪽으로 노출되는 부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레버와, 상기 회전레버의 하부에 연장되고 탄성스프링이 외장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하부에 결합되는 테이퍼진 두께의 원반형태를 갖는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의 수평선상에 위치되게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되는 캠수용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범용포장박스를 탄력적으로 가이드하는 탄성플레이트와, 상기 탄성플레이트에서 배출되는 범용포장박스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플레이트로 구성되되, 상기 탄성플레이트는 제2컨베이어벨트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에 2개의 탄성수단을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탄성수단은 실린더에 내장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설되는 로드가 상기 탄성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탄성플레이트는 배출측으로 폭이 감소되게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어 범용포장박스의 후단 적층 압력에 의해 폭이 감소된 배출측이 강제 확장되어 범용포장박스의 배출을 일정간격을 두고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진입부는 "ㄱ"자 형상으로 만곡된 형태이되, 범용포장박스가 진입하면, 범용포장박스의 상단이 진입부의 상부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회전반경(R1)이 하부 회전반경(R2)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장되고, 상기 배출부는 "ㄴ"자 형상으로 만곡된 형태이되, 범용포장박스가 배출될 때 범용포장박스의 상단이 배출부의 상부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회전반경(R2)이 상부 회전반경(R1)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하우징과, 진입부 및 배출부의 양측벽은 요철 결합 부위에 고정핀이 삽입되는 다수의 핀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범용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에 따르면, 범용포장박스를 낙하 방식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킬 수 있어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고, 더불어 통상의 컨베이어벨트가 필요치 않아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범용포장박스에 맞게 크기와 폭을 가변시킬 수 있어 범용포장박스의 크게에 맞는 이송장치를 교체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범용포장박스를 지상으로 이송하는데 있어 기계적 소음이 없고, 더불어 빠른 시간에 다수의 범용포장박스를 손상없이 지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범용포장박스가 지상으로 최종 배출될 때 범용포장박스의 배출 속도를 일정간격을 두고 배출되게 지연시켜 범용포장박스의 후속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범용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진입부와, 하우징과, 배출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공압조절수단과, 간격조절수단과, 핀홀에 결합될 고정핀을 나타내는 작동도,
도 5는 가압회전레버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
도 6은 배출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범용포장박스의 이송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8은 도 6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범용포장박스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범용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진입부와, 하우징과, 배출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공압조절수단과, 간격조절수단과, 핀홀에 결합될 고정핀을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5는 가압회전레버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6은 배출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의 천정에서 설치되는 제1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범용포장박스를 후속 공정(5 ~ 10개 묶음 번들포장)을 위해 지상으로 낙하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히 범용포장박스를 동력 없이 지상으로 낙하시켜 안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범용포장박스의 크기에 따라 높이와 폭이 가변되고, 더불어 범용포장박스가 낙하할 때 낙하속도를 구간 별로 제어하여 범용포장박스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범용포장박스가 지상으로 최종 배출될 때 범용포장박스의 배출 속도를 일정간격을 두고 배출되게 지연시켜 범용포장박스의 후속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범용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범용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는 크게 5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프레임(10)과, 하우징(20)과, 진입부(30)와, 배출부(40) 및 제2컨베이어벨트(C2)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직사각 장방형의 하우징(20)을 협소한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게 하게 최대한 직립시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의 천정에 설치된 제1컨베이어벨트(C1)에 근접되게 높이 방향으로 직립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0)은 내용물이 포장된 범용포장박스(60)를 가로방향으로 낙하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 통로 형태를 취하고, 다만 상판(21)이 오픈 가능하도록 경첩(211)을 통해 힌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진입부(30)는 하우징(20)의 상단에 연통되어 제1컨베이어벨트(C1)를 통해 이송되는 범용포장박스(60)를 진입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진입부(30)는 "ㄱ"자 형상으로 만곡된 형태이되, 범용포장박스(60)가 진입하면, 범용포장박스(60)의 상단이 진입부(30)의 상부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회전반경(R1)이 하부 회전반경(R2)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장되는 구조이다.(R1 > R2)
반대로 상기 배출부(40)는 "ㄴ"자 형상으로 만곡된 형태이되, 범용포장박스(60)가 배출될 때 범용포장박스(60)의 상단이 배출부(40)의 상부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회전반경(R2)이 상부 회전반경(R1)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장되는 구조이다.(R2 > R1)
여기서 상기 배출부(40)는 상기 하우징(20)의 하단에 연통되어 하우징(20)으로부터 낙하되는 범용포장박스(60)를 수평으로 방향을 전환시켜 슬라이딩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 4와 같이, 상기 하우징(20)과, 진입부(30) 및 배출부(40)의 양측벽은 요(凹), 철(凸) 결합식으로 분리 결합되어 범용포장박스의 높이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하우징(20)과, 진입부(30) 및 배출부(40)의 양측벽은 요(凹) 부위에는 단일의 고정핀(P)이 삽입되는 핀홀(H)이 형성되고, 철(凸) 부위에는 다수의 핀홀(H)이 형성되어 높이를 조절한 후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0)의 내부 가장자리 양측에는 상기 범용포장박스(60)의 낙하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마찰판(22)이 내장되며, 이러한 마찰판(22)은 다수의 간격조절수단(23)을 통해 상호 간 간격(폭)이 조절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마찰판(22)은 범용포장박스(60)의 폭에 따라 그 위치를 간격조절수단(23)을 통해 1차로 셋팅할 수 있고, 또한 간격조절수단(23)은 2차로 1차 셋팅된 마찰판(22)의 상호 간 간격을 미세조절하여 범용포장박스(60)와의 밀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수단(23)은 외부에서 마찰판(22)의 상호 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우징(20)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마찰판(22)에 고정되는 간격조절핀(231)과, 상기 하우징의(20)을 측벽 저면을 나사결합으로 관통하여 간격조절핀(231)을 가압 고정하는 가압볼트(232)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해당 위치의 간격조절핀(231)을 누르거나 당겨 마찰판(22)의 간격을 조절한 다음, 가압볼트(232)로 간격조절핀(231)을 가압하여 마찰판(22)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 마찰판(22)은 각각 상기 하우징(20)의 길이에 상응하는 단일 판체로 이루어 있으며, 상기 간격조절수단(23)은 하우징(20)의 길이방향을 따라 3부분에 등분 배치되어 2차 셋팅시 단일 마찰판(22)을 3구간별로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2차 셋팅시 상층(W1), 중간층(W2), 하층(W3)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조절하여 하우징(20)의 내부로 낙하되는 범용포장박스(60)의 낙하속도를 점차적으로 감소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20)은 힌지 결합된 상판(21)의 자유단측에 상판(21)과 하우징(20)간의 갭(G)을 조절하여 하우징(20) 내부 공기의 배출 정도를 제어하는 다수의 공압조절수단(24)이 더 결합되어 범용포장박스(60)의 낙하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압조절수단(24)은 하우징(20) 내의 공기 배출량을 조절하여 범용포장박스(60)의 낙하속도를 마찰판(22)의 간격조절수단(23)과 조합하여 소망하는 속도로 제어할 수 있게 기능한다.
이러한 공압조절수단(24)은 하우징(20)의 길이방향을 따라 3부분에 등분 배치되어 하우징(20)의 3구간별로 공기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압조절수단(24)은 상기 상판(21)에 부분 고정되는 가압판(241)과, 상기 상판(21)의 바깥쪽으로 노출되는 부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레버(242)와, 상기 회전레버(242)의 하부에 연장되고 탄성스프링(244)이 외장되는 회전봉(243)과, 상기 회전봉(243)의 하부에 결합되는 테이퍼진 두께의 원반형태를 갖는 회전캠(245)과, 상기 회전캠(245)의 수평선상에 위치되게 상기 하우징(20)의 측벽에 형성되는 캠수용홈(246)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공압조절수단(24)은 회전레버(242)를 회전시켜 두께가 두꺼운 부분의 회전캠(245)이 캠수용홈(246)에 부분 삽입되면 그 두께 만큼 가압판(241)이 상판(21)을 가압하여 상판(21)에 대한 하우징간의 갭(G)이 좁아지기 때문에 하우징(20) 내부 공기 배출량이 작아지는 바, 하우징(20) 내부 공기의 압축에 의해 범용포장박스(60)의 낙하속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회전레버(242)를 회전시켜 두께가 얇은 부분의 회전캠(245)이 캠수용홈(246)에 부분 삽입되면 탄성스프링(244)에 의해 가압판(241)이 상판(21)을 상부로 들어올려 갭(G)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하우징(20) 내부 공기 밀도를 낮춰 범용포장박스(60)의 낙하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범용포장박스(60)가 하우징(20)의 내부로 낙하되면 하우징(20) 내부의 공기 압력이 상승되어 범용포장박스(60)의 낙하속도가 감소하게 되는데, 상기 공압조절수단(24)은 상판(21)과 하우징(20)의 사이의 갭(G)을 확대하거나 좁혀 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는 범용포장박스(60)의 낙하속도를 마찰판(22)의 간격조절수단(23)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0)과 배출부(40)의 연결부위에는 상판(21) 중앙 부위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압회전레버(25)가 결합된다.
여기서 도 5와 같이, 하우징(20)에 힌지 결합된 상판(21)은 중앙부위가 들뜸이 발생될 경우, 하우징의 내부로 낙하되는 범용포장박스(60)가 들뜸 부위에 충돌되어 범용포장박스(60)의 손상과 더불어 적체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상기 가압회전레버(25)는 어느 한부분에 하향으로 돌출된 돌기(251)가 마련되고, 이러한 돌기(251)가 상기 상판(21)에 위치했을 경우, 상판(21)의 들뜬 부위를 평행하게 맞출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C2)는 상기 배출부(40)의 하부에 수평설치되어 배출부(40)로부터 배출되는 범용포장박스(60)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C2)의 상부에는 배출부(40)를 통해 배출되는 범용포장박스(60)를 일정간격을 두고 배출할 수 있는 배출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수단(50)은 도 6과 같이, 상기 배출부(40)에서 배출되는 범용포장박스(60)를 탄력적으로 가이드하는 탄성플레이트(52)와, 상기 탄성플레이트(52)에서 배출되는 범용포장박스(6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플레이트(51)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플레이트(52)의 기능은 범용포장박스(60)의 후속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범용포장박스(60)의 배출측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범용포장박스(60)의 후단 적층 압력에 의해 일정간격을 두고 배출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플레이트(52)는 제2컨베이어벨트(C2)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533)에 연결된 2개의 탄성수단을 매개로 설치되는데, 상기 탄성수단은 실린더(531)에 내장된 탄성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설되는 로드(532)가 상기 탄성플레이트(52)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 때 2개의 탄성수단(53) 중 후단에 배치된 탄성수단(53)의 로드(532)은 상대적으로 더 길게 배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플레이트(52)는 배출측으로 폭이 감소되게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어 범용포장박스(60)의 후단 적층 압력에 의해 폭이 감소된 배출측이 강제 확장되어 범용포장박스(60)의 배출을 일정간격을 두고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마찰판(22)과 간격조절수단(23)은 진입부(30) 및 배출부(40)의 내부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범용포장박스의 이송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8은 도 6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범용포장박스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먼저, 범용포장박스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진입부와, 하우징과, 배출부의 양측벽에 형성된 요(凹), 철(凸) 결합부위에 형성된 핀홀(H)에 고정핀(P)을 삽입하여 높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범용포장박스(60)의 폭에 대응하여 마찰판(22)의 위치를 간격조절수단(23)을 통해 1차로 셋팅한 후, 2차로 1차 셋팅된 마찰판(22)의 상호 간 간격을 미세조절하여 범용포장박스(60)와의 밀착 정도를 조절한다.
여기서 2차 셋팅은 2개의 마찰판(22)을 간격조절수단(23)을 통해 3구간별(상층 -> 중간층 -> 하층)로 상호 간 간격이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미세조절하여 마찰력에 의해 하우징(20)의 내부로 낙하되는 범용포장박스(60)의 낙하속도를 점차적으로 감소되게 앞서 언급된 2차 셋팅한다.
동시에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상판(21)과의 간격을 공압조절수단(24)을 통해 조절하여 하우징(20)의 3구간별(상층 -> 중간층 -> 하층)로 내부의 공기배출량을 개별적으로 셋팅하는 것이 한다.(공기배출량↑= 범용포장박스 낙하속도↑, 공기배출량↓= 범용포장박스 낙하속도↓)
이 후 제1컨베이어벨트(C1)를 통해 천정으로 이송되는 범용포장박스(60)는 진입부(30)를 통해 유입시킨다.
이 때 진입부(30)는 상부 회전반경(R1)이 하부 회전반경(R2)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장되는 구조인 바, 유입된 범용포장박스(60)는 상단이 진입부(30)의 상부에 충돌되는 것이 방지되어 범용포장박스(6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R1 > R2)
진입부(30)로 진입된 범용포장박스(60)는 하우징(20)으로 진입되면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 상태로 자유낙하된다.
이 때 범용포장박스(60)의 낙하속도가 빠르면 범용포장박스(60) 간에 충돌되어 손상될 우려가 있고, 또한 보루 포장된 범용포장박스(60)가 풀일 수 있고, 또한 배출속도가 빨라지면 시간이 오래 걸리는 후속 공정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 후 상기 범용포장박스(60)는 하우징(20)을 거쳐 배출부(40)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배출부(40) 역시 하부 회전반경(R2)이 상부 회전반경(R1)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장 구조인 바, 배출되는 범용포장박스(60)는 상단이 배출부(40)의 상부에 충돌되는 것이 방지되어 범용포장박스(6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R2 > R1)
배출부로 배출되는 범용포장박스(60)는 배출수단(50)을 이루는 탄성플레이트(52)를 통해 배출 속도를 일정간격을 두고 지연시켜 가이드플레이트(51)를 따라 제2컨베이어벨트(C2)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플레이트(52)는 배출측으로 폭(간격) 감소되게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어 범용포장박스(60)의 후단 적층 압력에 의해 일정간격을 두고 배출되어 후속 공정에 투입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프레임
20: 하우징 21: 상판 211: 경첩
22: 마찰판 23: 간격조절수단
231: 간격조절핀 232: 가압볼트
24: 공압조절수단 241: 가압판
242: 회전레버 243: 회전봉
244: 탄성스프링 245: 회전캠
246: 캠수용홈 25: 가압회전레버
251: 돌기
30: 진입부
40: 배출부
50: 배출수단 51: 가이드플레이트 52: 탄성플레이트
53: 탄성수단 531: 실린더
532: 로드 533: 고정플레이트
60: 범용포장박스
C1: 제1컨베이어벨트 C2: 제2컨베이어벨트
H: 핀홀 P: 고정핀

Claims (6)

  1. 건물의 천정에서 설치되는 제1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다양한 크기의 범용포장박스를 후속 공정을 위해 지상으로 낙하 이송시키기 위한 범용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에 있어서,
    건물의 천정에 설치된 제1컨베이어벨트(C1)에 근접되게 높이 방향으로 직립 설치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상부와 하부가 각각 프레임(10)에 고정되고, 범용포장박스를 외부로 이탈됨이 없이 지상으로 자유 낙하시키기 위해 상판(21)이 오픈 가능하도록 경첩(211)을 통해 힌지 결합되는 직사각 통로를 이루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상단에 연통되어 제1컨베이어벨트(C1)를 통해 이송되는 범용포장박스(60)를 진입시키는 진입부(30);
    상기 하우징(20)의 하단에 연통되어 하우징(20)으로부터 낙하되는 범용포장박스(60)를 수평으로 방향을 전환시켜 슬라이딩 배출시키는 배출부(40); 및
    상기 배출부(40)의 하부에 수평설치되어 배출부(40)로부터 배출되는 범용포장박스(60)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벨트(C2);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20)과, 진입부(30) 및 배출부(40)의 양측벽은 요철 결합식으로 분리결합되어 범용포장박스(60)의 높이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20)의 내부 가장자리 양측에는 상기 범용포장박스(60)의 낙하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다수의 간격조절수단(23)을 통해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이 조절되는 마찰판(22)이 더 결합되고,
    상기 상판(21)의 오픈되는 자유단측에 상판(21)과 하우징(20)간의 갭(G)을 조절하여 하우징(20) 내부 공기의 배출 정도를 제어하는 다수의 공압조절수단(24)이 더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20)과 배출부(40)의 연결부위에는 상판(21) 중앙 부위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압회전레버(25)가 결합되고,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C2)의 상부에는 배출부(40)를 통해 배출되는 범용포장박스(60)를 일정간격을 두고 배출할 수 있는 배출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23)은 외부에서 마찰판(22)의 상호 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우징(20)의 측벽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마찰판(22)에 고정되는 간격조절핀(231)과, 상기 하우징(20)의 측벽 저면을 나사결합으로 관통하여 간격조절핀(231)을 가압 고정하는 가압볼트(2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조절수단(24)은 상기 상판(21)에 부분 고정되는 가압판(241)과, 상기 상판(21)의 바깥쪽으로 노출되는 부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레버(242)와, 상기 회전레버(242)의 하부에 연장되고 탄성스프링(244)이 외장되는 회전봉(243)과, 상기 회전봉(243)의 하부에 결합되는 테이퍼진 두께의 원반형태를 갖는 회전캠(245)과, 상기 회전캠(245)의 수평선상에 위치되게 상기 하우징(20)의 측벽에 형성되는 캠수용홈(24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50)은 상기 배출부(40)에서 배출되는 범용포장박스(60)를 탄력적으로 가이드하는 탄성플레이트(52)와, 상기 탄성플레이트(52)에서 배출되는 범용포장박스(6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플레이트(51)로 구성되되,
    상기 탄성플레이트(52)는 제2컨베이어벨트(C2)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에 2개의 탄성수단을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탄성수단은 실린더(531)에 내장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설되는 로드(532)가 상기 탄성플레이트(52)와 연결되고,
    상기 탄성플레이트(52)는 배출측으로 폭이 감소되게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어 범용포장박스(60)의 후단 적층 압력에 의해 폭이 감소된 배출측이 강제 확장되어 범용포장박스(60)의 배출을 일정간격을 두고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30)는 "ㄱ"자 형상으로 만곡된 형태이되, 범용포장박스(60)가 진입하면, 범용포장박스(60)의 상단이 진입부(30)의 상부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회전반경(R1)이 하부 회전반경(R2)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장되고,
    상기 배출부(40)는 "ㄴ"자 형상으로 만곡된 형태이되, 범용포장박스(60)가 배출될 때 범용포장박스(60)의 상단이 배출부(40)의 상부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회전반경(R2)이 상부 회전반경(R1)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과, 진입부(30) 및 배출부(40)의 양측벽은 요철 결합 부위에 고정핀(P)이 삽입되는 다수의 핀홀(H)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
KR1020200017757A 2020-02-13 2020-02-13 범용 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 KR102323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757A KR102323730B1 (ko) 2020-02-13 2020-02-13 범용 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757A KR102323730B1 (ko) 2020-02-13 2020-02-13 범용 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246A true KR20210103246A (ko) 2021-08-23
KR102323730B1 KR102323730B1 (ko) 2021-11-08

Family

ID=77499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757A KR102323730B1 (ko) 2020-02-13 2020-02-13 범용 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73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399A (ko) * 1997-07-23 1999-02-18 윤종용 박스적치장치
KR20020043046A (ko) * 2000-12-01 2002-06-08 안용찬 슬라이딩 사입식 자동 리필 팩커 및 이를 이용한 자동리필 팩킹 방법
KR101398515B1 (ko) 2011-11-30 2014-05-27 주식회사 청용산기 포장박스용 스티칭 장치에서의 톰슨박스를 패스할 수 있는 장치
KR101885866B1 (ko) * 2018-04-25 2018-08-06 (주)부성하이테크 농산물 낙하 높이 제어 장치
KR102021340B1 (ko) * 2019-04-30 2019-09-16 정시국 약품 박스 이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399A (ko) * 1997-07-23 1999-02-18 윤종용 박스적치장치
KR20020043046A (ko) * 2000-12-01 2002-06-08 안용찬 슬라이딩 사입식 자동 리필 팩커 및 이를 이용한 자동리필 팩킹 방법
KR101398515B1 (ko) 2011-11-30 2014-05-27 주식회사 청용산기 포장박스용 스티칭 장치에서의 톰슨박스를 패스할 수 있는 장치
KR101885866B1 (ko) * 2018-04-25 2018-08-06 (주)부성하이테크 농산물 낙하 높이 제어 장치
KR102021340B1 (ko) * 2019-04-30 2019-09-16 정시국 약품 박스 이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730B1 (ko) 202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1888A (ko) 박스의 크기에 상관없이 포장할 수 있는 박스 포장 기계
JPS62182003A (ja) カ−トン装填機械
US6309335B1 (en) Vertically displaced hopper for bliss machines
KR102323730B1 (ko) 범용 포장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
JPS6250379B2 (ko)
KR101950586B1 (ko)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공급장치
CN211309138U (zh) 一种将瓷砖垛装进纸箱的装置
CN117550370A (zh) 一种链式自动上料机
CN112568288A (zh) 一种谷物烘干机的排粮装置
JP2005170465A (ja) 押込方法、押込装置及びその押込装置を用いた自動箱詰め装置
KR102229439B1 (ko) 박스의 판지 분배 공급 장치
JP2005145628A (ja) ガラス基板用カセット
JPH08202935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4954541B2 (ja) コンベアのシュート装置
JP4570901B2 (ja) 挿入装置及び自動箱詰め装置
KR102111336B1 (ko) 담배보루박스 무동력 낙하 이송장치
JP2592769Y2 (ja) 組合せ秤のホッパのゲート開閉装置
CN218423303U (zh) 一种破碎机的上料机构
CN210417219U (zh) 一种面膜自动数片下料机构
CN210776939U (zh) 送料机构及具有其的自动售卖机
JPH06115708A (ja) ワーク供給装置
CN219791334U (zh) 一种物料输送装置及具有其的气膜粮库
JP3024894B2 (ja) 搬送装置
CN218368431U (zh) 一种打包设备
JP4527228B2 (ja) 蓋被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