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935A - 댐핑 메커니즘을 갖는 약물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댐핑 메커니즘을 갖는 약물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935A
KR20210076935A KR1020217013893A KR20217013893A KR20210076935A KR 20210076935 A KR20210076935 A KR 20210076935A KR 1020217013893 A KR1020217013893 A KR 1020217013893A KR 20217013893 A KR20217013893 A KR 20217013893A KR 20210076935 A KR20210076935 A KR 20210076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chamber
assembly
housing
fram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3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티아스 멜란더
야콥 할크제어 페데르센
크리스티안 플람벡
아담 비. 맥컬로우
줄리안 자자예리
Original Assignee
암젠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암젠 인크 filed Critical 암젠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076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9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8Means for causing or aiding aspiration or plunger re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66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 A61M5/31571Means preventing accident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83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rotational translation, i.e. movement of piston rod is caused by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user activated actuator and the piston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06Having specific accessories
    • A61M2005/2013Having specific accessories triggering of discharging means by contact of injector with patient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73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preventing premature release, e.g. by making use of a safety l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73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preventing premature release, e.g. by making use of a safety lock
    • A61M2005/208Release is possible only when device is pushed against the skin, e.g. using a trigger which is blocked or inactive when the device is not pushed against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86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having piston damping means, e.g. axially or rotationally acting reta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43Damping means for syringe components executing relative movements, e.g. retarders or attenuators slowing down or timing syring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6Fully 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61M2005/3267Biased sleeves where the needle is uncovered by insertion of the needle into a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33Spring-loaded one-shot injectors with or without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83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rotational translation, i.e. movement of piston rod is caused by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user activated actuator and the piston rod
    • A61M5/31585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rotational translation, i.e. movement of piston rod is caused by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user activated actuator and the piston rod performed by axially moving actuator, e.g. an injection but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약물 전달 장치가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쉘(shell)을 형성하는 하우징, 근위 단부에서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바늘 조립체,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구동 조립체, 및 원위 단부에 인접한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댐퍼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을 더 형성한다. 바늘 조립체는 약제를 포함하는 주사기 몸통 및 바늘 또는 캐뉼라를 포함한다. 구동 조립체가 바늘 조립체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어 약제를 바늘 또는 캐뉼라를 통해서 압박한다. 댐퍼 메커니즘은 구동 조립체 및 하우징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구동 조립체의 활성화시에, 댐퍼 메커니즘은 구동 조립체의 영향을 감쇠시킨다.

Description

댐핑 메커니즘을 갖는 약물 전달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2018년 10월 15일자로 출원되고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가특허출원 제62/745,813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주입기,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댐핑 메커니즘을 갖는 토크 구동형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 주입기 또는 신체-상의 주입기가 약제 및/또는 치료제의 전달에서 몇몇 이점을 제공한다. 이점 중 하나는, 예를 들어 통상적인 주사기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전달 방법에 비해서, 사용이 단순하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많은 주입기 시스템은, 바늘 삽입 및 약제 전달과 같은 기능을 위한 작동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해서 코일 스프링 구조물을 이용한다. 그러한 스프링의 이용은 사용자를 위한 단순성 및 장치 자동화라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으나, 특정 한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형 스프링 작동기에서 힘과 변위 사이에 선형 관계가 존재한다. 플런저 행정의 종료에서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충분한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해서, 약물 전달이 시작될 때 과다량의 에너지가 시스템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자동 주입기를 통해서 더 큰 점도의 약물이 전달될 때, 필수적인 스프링력이 마찬가지로 증가될 것이다. 큰 스프링 상수를 갖는 스프링은, 이동의 시작에서, 이동 거리당 더 큰 힘을 약물 제품 및 일차 컨테이너에 전달한다. 많은 자동 주입기에서, 사용자 내로의 약물의 주입 전에, 공기 간극이 플런저 면과 약물을 포함하는 저장 부분 사이에 존재한다. 약물을 투약하려 할 때, 스프링은 플런저 면을 공기 간극을 통해서 약제를 향해서 압박한다. 플런저 면이 공기 간극을 이동할 때 적은 저항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리고 플런저를 압박하는 큰 힘으로 인해서, 플런저 면은 약제를 포함하는 저장 부분과 갑작스럽게 접촉할 수 있다. 스프링 구동형 플런저가 약물을 저장하는 일차 컨테이너의 정지부와 충돌할 때, 환자는 이러한 과다 에너지를 "타격" 또는 유사한 물리적 "충격"으로서 느낄 수 있다. 게다가, 회전 이동이 시작될 때 가속도의 갑작스러운 변화로 인해서, 사용자는 또한 갑작스러운 움직임, 반동 및/또는 반응력을 체험할 수 있다. 그러한 기계적 충격은 주입기 사용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할 수 있고/있거나 방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적절한 투여량의 투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과다 에너지에 의해서 생성되는 "타격" 및 "충격"은 잠재적으로 파국적 영향, 예를 들어 전단 하중에 의해서 유발되는 일차 컨테이너의 파괴 및 약물 제품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큰 힘의 스프링은 약물 제품 상에서 바람직하지 못하게 큰 전단율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환자는 약제 특성의 변동으로 인한 주입 시간의 큰 변동을 체험할 수 있다. 이러한 변동은 사용자를 혼동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약물의 투약에서 무언가 잘못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전체 투여량을 수용하기 전에 주입을 중단할 수 있다. 주입 시간의 변동은 약물의 온도 변화로 인한 큰 약물 점도 변경, 장치 내의 구성 요소들 사이의(예를 들어, 주사기 몸통과 정지부 사이의) 마찰의 큰 변동 등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다.
제1 양태에 따라, 약물 전달 장치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쉘(shell)을 형성하는 하우징, 근위 단부에서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바늘 조립체,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구동 조립체, 및 원위 단부에서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댐퍼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을 더 형성한다. 바늘 조립체는 약제를 포함하는 주사기 몸통 및 바늘 또는 캐뉼라를 포함한다. 구동 조립체가 바늘 조립체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어 약제를 바늘 또는 캐뉼라를 통해서 압박한다. 댐퍼 메커니즘은 구동 조립체 및 하우징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구동 조립체의 활성화시에, 댐퍼 메커니즘은 구동 조립체의 영향을 감쇠시킨다. 일부 예에서, 주사기 몸통은 중합체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약제는 약 21℃에서 약 10 cP 미만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댐퍼 메커니즘은 프레임 부재, 구동 조립체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댐퍼 부재, 프레임 부재의 일부와 댐퍼 부재 사이에 형성된 챔버, 및 챔버 내에 배치된 댐퍼 유체를 포함한다. 일부 형태에서, 프레임 부재는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조립체의 활성화시에, 프레임 부재 및 댐퍼 부재가 서로에 대해서 회전되고, 댐퍼 유체는 프레임 부재 및 댐퍼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향 힘을 인가한다.
일부 접근 방식에서, 약물 전달 장치는 또한 챔버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된 여분 챔버(excess cha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분 챔버는 여분의 댐퍼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일부 형태에서, 장치는 댐퍼 유체를 챔버 내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챔버 부근에 배치되는 밀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챔버는 길이방향 축과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다른 접근 방식에서, 챔버는 길이방향 축과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고, 부분적으로 횡방향으로 그러한 축과 정렬될 수 있다. 또 다른 접근 방식에서, 챔버는 길이방향 축과 횡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예 중 임의의 예에서, 구동 조립체는 나사산형 플런저 로드 및 플런저 면을 포함하는 플런저 조립체, 플런저 조립체에 커플링된 플런저 로드 안내부, 및 플런저 로드 안내부에 커플링된 토크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 면은 바늘 조립체 부근에 배치되고,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 안내부는 플런저 조립체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고, 프레임 부재 또는 댐퍼 부재 중 하나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토크 스프링은 플런저 로드 안내부에 힘을 인가하고, 이는 플런저 로드 안내부가 회전되게 한다. 플런저 로드 안내부의 회전은 플런저 조립체가 하우징의 근위 단부를 향해서 전진하게 하여 바늘 조립체를 통해서 약제를 압박하게 한다. 플런저 조립체는 나사산형 플런저 로드 및 플런저 면 사이에서 약 10 mm 초과의 간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사기 몸통은, 적어도 약 4 cP의 점도를 가지는 적어도 약 1 mL의 약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예 중 임의의 예에서, 댐퍼 메커니즘은 구동 조립체 또는 구동 조립체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향 힘을 인가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라,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댐퍼 메커니즘이 프레임 부재,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조립체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댐퍼 부재, 프레임 부재의 일부와 댐퍼 부재 사이에 형성된 챔버, 및 챔버 내에 배치된 댐퍼 유체를 포함한다. 약제를 사용자에게 투약하기 위한 약물 전달 장치의 활성화시에, 프레임 부재 및 댐퍼 부재가 서로에 대해서 회전되고, 댐퍼 유체는 프레임 부재 및 댐퍼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향 힘을 인가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라, 자동 주입기가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을 가지는 쉘을 형성하는 하우징, 근위 단부에서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바늘 조립체, 및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구동 조립체를 포함한다. 바늘 조립체는 약제를 포함하는 주사기 몸통 및 바늘 또는 캐뉼라를 포함한다. 구동 조립체가 바늘 조립체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어 약제를 바늘 또는 캐뉼라를 통해서 압박한다. 구동 조립체는 플런저 조립체를 포함하고, 플런저 조립체는 플런저 로드, 및 바늘 조립체 부근에 배치되고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는 플런저 면을 갖는다. 주사기 몸통은, 적어도 약 4 cP의 점도를 가지는 적어도 약 1 mL의 약제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플런저 로드 및 플런저 면은 약 10 mm 초과의 초기 간격을 갖는다.
전술한 필요성은, 특히 도면과 함께 검토할 때,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에서 설명된 토크 구동형 약물 전달 장치의 제공을 통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족된다.
도 1은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댐퍼 메커니즘을 갖는 예시적인 토크 구동형 약물 전달 장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도 1의 예시적인 약물 전달 장치의 댐퍼 메커니즘의 확대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여분 댐퍼 유체를 위한 챔버를 갖는 제2의 예시적인 약물 전달 장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댐퍼 메커니즘의 디스크들 사이에 배치된 댐퍼 유체를 가지는 제3의 예시적인 약물 전달 장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제4의 예시적인 댐퍼 메커니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제5의 예시적인 댐퍼 메커니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제6의 예시적인 댐퍼 메커니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제7의 예시적인 댐퍼 메커니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제8의 예시적인 댐퍼 메커니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제9의 예시적인 댐퍼 메커니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제10의 예시적인 댐퍼 메커니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제11의 예시적인 댐퍼 메커니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제12의 예시적인 댐퍼 메커니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제13의 예시적인 댐퍼 메커니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제14의 예시적인 댐퍼 메커니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제15의 예시적인 댐퍼 메커니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제16의 예시적인 댐퍼 메커니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제17의 예시적인 댐퍼 메커니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제18의 예시적인 댐퍼 메커니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제19의 예시적인 댐퍼 메커니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전단율에 따른 전단 응력을 보여주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22는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전단율에 따른 겉보기 점도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23은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 요소들 사이에서 간격을 가지는 예시적인 약물 전달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약물 방출에 미치는 댐퍼 메커니즘의 영향의 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5는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저마찰 환경에서 약물 방출에 미치는 댐퍼 메커니즘의 영향의 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6은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고마찰 환경에서 약물 방출에 미치는 댐퍼 메커니즘의 영향의 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7은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예시적인 모델 계산을 도시한다.
당업자는 도면 내의 요소가 간결함 및 명료함을 위해서 도시되었고, 반드시 실제 축척(scale)으로 작성된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면 내의 일부 요소의 치수 및 상대적인 배치가 다른 요소에 비해서 과장되었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여러 실시형태의 덜 가려진 관찰을 돕기 위해서, 상업적으로 실행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유용하거나 필요한 일반적이면서도 잘 알려진 요소를 종종 도시하지 않았다. 특정 작용 및/또는 단계가 특별한 발생 순서로 설명되거나 도시되어 있을 수 있지만, 순서에 관한 그러한 구체성이 실제로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추가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구체적인 의미가 본원에서 달리 설명된 경우를 제외하고,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및 표현이, 전술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해당 용어 및 표현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과 같은 일반적인 기술적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여러 실시형태에 따라, 토크 구동형 주입기는 하우징, 사용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약제를 포함하는 주사기 조립체, 및 약제가 사용자에게 주입되게 하기 위해서 토크 스프링을 이용하는 회전 가능 작동 조립체를 포함한다. 약물이 투약되게 하기 위해서 회전 가능 작동 조립체가 회전될 때, 유체 댐퍼를 이용하여, 점도가 다른 약물들뿐만 아니라, 상이한 환경적 변화(예를 들어, 온도 변화)를 기초로 하는 점도 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약물들 사이에서 더 일정한 약물 전달 시간을 제공한다.
또한, 작동 메커니즘이 회전될 때, 댐퍼 메커니즘은, 플런저 면이 약제 및/또는 약제 저장 장치와 최초로 접촉될 때 발생되는 "타격" 또는 "충격"을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댐퍼 메커니즘은 또한, 메커니즘이 해제될 때, "갑작스런 움직임" 또는 반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약물 전달 프로세스 중에 이러한 급격한 이동을 느끼지 못할 것이고 약제를 편안하고 안전하게 투약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많은 수의 회선(turn)을 이용하는 토크 스프링은, 통상적인 스프링 및 적은 회선을 갖는 스프링에 비해서, 거의-일정한 시작 및 종료 토크를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더 작은 자동 주입기가 이용될 수 있고, 이는 사용자의 편안함을 전체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댐퍼는 주입 시간의 변동을 감소 및/또는 제거할 수 있고, 장치 중단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댐퍼는 또한 사용성을 위한 최적의 주입 시간을 목표로 하는 설계 자유를 제공할 수 있고, 상이한 약물 부피들을 위해서 장치를 맞춤하여야 할 필요성을 잠재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제 도면, 특히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자동 주입기(100)는 쉘을 형성하는 하우징(102), 쉘(10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바늘 조립체(110), 또한 쉘(10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구동 조립체(120), 및 쉘(10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댐퍼 메커니즘(140)을 포함한다. 쉘(102)은 근위 단부(102a), 원위 단부(102b)를 포함하고, 근위 단부(102a)와 원위 단부(102b)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L")을 형성한다.
바늘 조립체(110)는 일반적으로 쉘(102)의 근위 단부(102a)에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되고, 약제(113)를 포함하는 주사기 몸통(112) 및 바늘 또는 캐뉼라(114)를 포함한다. 바늘 조립체(110)는, 예를 들어, 측벽 또는 측벽들, 약제(113)가 바늘 또는 캐뉼라(114)를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개구부, 복귀 스프링, 차폐 부재, 필터 부재, 및 기타와 같은 임의의 수의 부가적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간결함을 위해서, 상당히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을 것이다. 주사기 몸통(112)의 일부가 개방되어 구동 조립체(12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주사기 몸통(112)은, 다양한 양의 약제(113)를 수용하기 위한 임의의 희망하는 형상 및/또는 크기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주사기 몸통(112)은 중합체 재료, 예를 들어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COP"), 고리형 올레핀 공중합체("COC"), 또는 유리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도 가능하다.
구동 조립체(120)는 주사기 몸통(112)에 인접하여 배치된 너트(122), 트리거 링(124), 플런저 로드 안내부(126), 플런저 로드 조립체(130), 및 토크 또는 파워 스프링(136) 형태의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동 조립체(120)의 일부가 임의의 수의 접근 방식을 통해서 쉘(102)에 고정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기구에서, 너트(122)가 쉘(10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나사산형 개구부(122a)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 링(124)은 너트(122)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트리거 링(124)은, 대체로 원형인 내부 표면 및 링의 외주 주위 및/또는 내측에 배치된 임의의 수의 턱부, 돌출부, 및 홈을 가지는, 대체로 원통형인 링의 형태이다. 트리거 링(124)은 임의의 수의 기술을 통해서 하우징(102)에 커플링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 안내부(126)는 로드 부분(127) 및 그에 커플링된 기부 부분(128)을 포함한다. 플런저 로드 안내부(126)는 로드 부분(127) 및 기부 부분(128)을 통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개구부(126a)를 포함한다. 기부 부분(128)은, 그로부터 연장되어 트리거 링(124)과 활주 가능한 결합을 형성하는 임의의 수의 돌출부 또는 탭을 가질 수 있다.
플런저 로드 조립체(130)는, 하우징(102)의 길이방향 축(L)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는, 플런저 로드(131), 와셔(132) 및 플런저(133)를 포함한다. 플런저 로드(131)는, 너트(122)의 나사산형 개구부(122a) 및 플런저 로드 안내부(126)에 나사산식으로 커플링되는, 나사산형 부분(131a)을 갖는다. 와셔(132)는 플런저 로드(131)의 회전과 비-회전 플런저(133) 사이의 마찰 손실을 최소화한다. 일부 접근 방식에서, 와셔(132)를 더 두껍게 또는 더 좁게 만드는 것에 의해서, 와셔(132)가 또한 약제(113)의 부피를 조정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와셔(132)는 동일 장치(100) 내에서 소정 범위의 약제(113) 충진 부피를 수용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와셔(132)의 하단부와 플런저(133)의 상단부 사이의 공기 간극의 보다 양호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플런저 로드 안내부(126)의 로드 부분(127)은,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 조립체(130)가 플런저 로드 안내부(126)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게 하는 스플라인형 연결부 또는 슬롯형 기구를 통하는 것을 포함하는, 임의의 수의 접근 방식을 통해서 플런저 로드 조립체(130)에 커플링된다. 따라서, 플런저 로드 안내부(126)는 플런저 로드 조립체(130)의 회전 이동을 안내한다. 플런저 로드(131)의 나사산형 부분(131a), 그리고 그에 상응하게, 너트(122)의 나사산형 개구부(122a)는, 구동 메커니즘(136)에 의해서 구동될 때 임의의 희망하는 약물 전달률 또는 힘/토크 조합에 적합한 나사산 피치를 가질 수 있다. 플런저 로드(131)와 너트(122)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은 플런저 로드(131)가 하우징(102)의 근위 단부(102a)를 향해서 축방향으로 전진하게 한다. 플런저(133)는, 주사기 몸통(112) 부근에 배치된 상단 면(133a)을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 구동 메커니즘(136)은, 플런저 로드 안내부(126)가 축(L)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는 토크를 플런저 로드 안내부(126)에 인가하기 위한 임의의 알려진 접근 방식을 통해서 플런저 로드 안내부(126)의 로드 부분(127)에 커플링된 내부 부분(136a)을 가지는 파워 스프링 또는 토크 스프링(136)의 형태이다. 일부 예에서, 토크 스프링(136)은 약제를 주사기 몸통(112)으로부터 방출하는데 필요한 적절한 회전 이동을 제공하기 위한 많은 수의 회선을 가질 수 있으나, 재료 특성 및 임의의 적용된 열 처리와 같은, 스프링 설계의 부가적인 매개변수가 토크 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토크 스프링(136)의 예비-성형이 또한 이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로서, 자동 주입기에서, 미리-응력이 가해진 스프링(pre-stressed spring)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는 미리-응력화하는 프로세스가 일반적으로, 의도된 작업 조건의 반대 방향으로 스프링을 초기에 코일링하는 것에 의해서, 그에 의해서 강 밴드 내에서 영구적인 변형을 유발하는 것에 의해서 스프링의 토크 출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형은 재료 내의 응력을 최대화하고, 그에 의해서 토크 증가를 유도한다. 그러한 토크 증가는 장치 크기 및 중량의 최소화에 유리하다.
일부 예에서, 토크 스프링(136)은 권선되거나 로딩된 구성에서 약 1 내지 약 30개의 회선, 그리고 바람직하게 약 12개의 회선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약 20%의 작업 범위의 양 단부에서의 마진(margin)으로 인해서 총 스프링 회선이 더 많을 수 있고, 이는 약 1*1.4=1.4내지 30*1.4=42의 범위를 초래할 수 있다. 투여 메커니즘 회선은 피치 및 요구되는 이동 길이로부터 도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은 토크 입력 및 활성화 힘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인해서, 작은 피치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활성화 힘이 또한 작을 것이다. 큰 축방향 힘이 필요치 않은 경우에, 피치가 증가될 수 있고 더 적은 스프링 회선을 요구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장치가 더 작아질 수 있게 한다. 일부 예에서, 토크 스프링(136)은 이용 가능한 토크를 가지기 위한 많은 수의 초기 또는 예비-하중 회선(preload turn)을 가질 수 있다. 예비-하중 회선 후에, 토크 스프링(136)은 작업 회선으로, 또는 주입 중에 장치에서 이용되는 회선으로 추가적으로 권선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토크 스프링(136)은 약 2.5개의 예비-하중 회선 및 약 6개의 작업 회선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조립 중의 총 회선 수는 약 8.5개이다. 그러나, 스프링 말단부들의 각도 배치에서의 잠재적으로 큰 공차로 인해서, 토크 스프링(136)은 솔리드 스테이트(solid state)에 도달하기 전에 초기 여유(play)를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약 10개의 총 회선을 가질 수 있다. 동일 투여가 요구되는 경우에, 상이한 약물 부피들 및 점도들을 갖는 장치는 토크 스프링(136)으로부터 생성되는 상이한 평균 토크를 필요로 할 수 있다. 토크 스프링(136)을 위해서 이용되는 밴드의 폭(예를 들어, 장치 내에 배치될 때 토크 스프링(136)의 축방향 길이)을 조정하는 것 그리고 동일한 수의 작업 회선을 유지하는 것에 의해서, 평균 토크 출력이 제어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이한 스프링들이 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사용되게 할 수 있고, 약물의 부피 및/또는 점도가 변경될 수 있게 하면서 유사한 주입 시간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바늘(114)을 통해서 약제(113)를 방출하는데 필요한 에너지(EFLOW)는 약물 부피, 점도, 바늘 유동 경로 치수, 및 목표 투여 시간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서 결정된다. 토크 스프링(136)이 전달하는 에너지(ESPRING)는 작업 회선의 수(N) 및 작업 회선 중의 평균 스프링 토크(T)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스프링에 의해서 전달되는 에너지는 이하의 공식: ESPRING = 2*π*N*T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시스템에서 마찰 손실이 배제되는 경우에, 이하의 관계가 존재한다: EFLOW = ESPRING = 2*π*N*T.따라서, 이하의 관계가 얻어진다: EFLOW/(2*π)=N*T.다시 말해서, 주어진 시간에 주어진 바늘을 통해서 주어진 부피로 주어진 약물을 방출하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토크 스프링(136)에서 가지기 위해서, 곱(product)(N*T)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그에 따라 큰 토크가 적은 작업 회선으로 변환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31)와 너트(122) 사이의 나사산형 인터페이스는 토크 스프링(136)의 입력 토크와 출력 축방향 힘 사이의 변환을 제공한다. 회선 수가 많은 토크 스프링(136)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유사한 기어링 사양(comparable gearing specification)을 갖는 선형 스프링 또는 적은 회선 및 작은 피치를 갖는 다른 비틀림 스프링에 비해서, 시작 및 종료 토크의 작은 변화뿐만 아니라 더 작은 전체 토크를 가질 것이다. 또한, 플런저 로드(131) 및 너트(122)의 나사산들은, 회선 수의 증가로 인해서, 플런저 로드 조립체(130)의 동일한 선형 이동을 여전히 달성하면서도, 작은 피치를 가질 수 있다. 나사산 피치가 작은 경우에, 큰 피치의 나사산 및 큰 토크의 스프링과 동일한 출력 힘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더 작은 입력 토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약 1개 내지 약 30개의 회선의) 큰 회선 수에서, 본원에서 설명된 저토크 시스템은 감소된 활성화 힘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활성화 힘이, 플런저 로드 조립체(130)를 구동하기 위해서 이용되어야 하는 입력 토크와 직접적으로 관련되기 때문이다. 또한, 저장 중에(예를 들어, 사용 전에) 토크 스프링(136)으로부터의 토크에 저항하는데 필요한 내부 구조적 힘이 감소되고, 그에 따라 더 작은 주입기 설계가 이용될 수 있게 하고 저렴한 원료가 이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플런저 로드(131)와 너트(122) 사이의 나사산형 인터페이스는, 주사기 몸통(112) 내에 저장되는 약제의 양의 변동을 수용하기 위해서, 나사산형 플런저 로드(131)가 조정될 수 있게 한다. 필요한 경우에, 나사산형 플런저 로드(131)는, 적은 약물 제품 부피가 주사기 몸통(112) 내에 배치된 주입기(100)에서 낮은 위치에 초기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특이적인 구성 요소의 수가 감소되고, 변동 관리가 단순화된다. 나사산형 플런저 로드(131)는 또한 필요에 따라 제조 및/또는 조립 프로세스 중에 다양한 깊이로 조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댐퍼 메커니즘(140)은 또한 하우징의 원위 단부(102b)에서 하우징(10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댐퍼 메커니즘(140)은 구동 조립체(120)(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 안내부(126))의 일부 및 하우징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댐퍼 메커니즘(140)은 구동 조립체(120)에 미치는 토크 스프링(136)의 영향을 감쇠시키는 작용을 한다.
일반적으로, 장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장치(100)를 그들의 피부에 대고 누르고, 그에 의해서 트리거 링(124)이 너트(122) 및/또는 플런저 로드 안내부(126)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그러한 분리는, 플런저 로드 안내부(126)가 트리거 링(124)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토크 스프링(136)이 권선된 또는 압축된 상태이기 때문에, 토크 스프링(136)은 풀리기 시작할 것이고, 그에 의해서 플런저 로드 안내부(126)가 회전되게 할 것이다. 이러한 회전은 다시 플런저 로드(131)가 회전되게 하고, 그러한 플런저 로드의 회전은, 플런저 로드(131)와 너트(122) 사이의 나사산형 인터페이스로 인해서, 플런저 로드(131) 및 플런저(133)가 하우징(102)의 근위 단부(102a)를 향해서 전진하게 하고, 그에 의해서 바늘 또는 캐뉼라(114)를 삽입하고 약제(113)를 투약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2018년 8월 17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719,367호는 활성화 프로세스 및 구동 조립체의 구성 요소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그에 따라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도 1 및 도 2의 도시된 예에서, 댐퍼 메커니즘(140)은 댐퍼 부재(142), 프레임 부재(150), 댐퍼 부재(142)의 일부와 프레임 부재(150) 사이에 형성된 챔버(160), 및 챔버(160) 내에 배치된 댐퍼 유체(151)를 포함한다. 댐퍼 부재(142)는, 예를 들어 마찰 피팅 또는 나사산형 결합을 통하는 것과 같은, 임의의 수의 접근 방식을 통해서 플런저 로드 안내부(126)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댐퍼 부재(142)는, 플런저 로드 안내부(126)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중앙 개구부 또는 보어(144)를 형성하는 내부 표면(143a)을 가지는 본체(143)를 포함하고, 외부 표면(143b)을 더 포함한다. 댐퍼 부재(142)는, 본체의 외부 표면(143b)에 대면되는 본체(143)로부터 멀리 배치된 내부 표면(145a)을 갖는 날개형 부분(145)을 더 포함한다. 채널(146)이 본체(143)의 외부 표면(143b)과 날개형 부분(145)의 내부 표면(145a) 사이에 형성된다.
프레임 부재(150)는 하우징(102)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부재(150)는, 예를 들어 접착제, 나사산, 마찰 연결, 및 기타와 같은 임의의 수의 접근 방식을 통해서 하우징(102)에 커플링되는 커플링 부분(153) 및 본체(152)를 형성하는 원통형 부재의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프레임 부재(150)는 하우징(102)의 원위 단부(102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부재(150)의 본체(152)는 댐퍼 부재(142)의 채널(146)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프레임 부재(150)는, 날개형 부분(145)의 내부 표면(145a)과 (예를 들어, 마찰 연결을 통해서) 결합되는 턱부(155)를 더 포함한다. 챔버(160)는 프레임 부재(150)의 본체(152) 및 댐퍼 부재(140)의 본체(143)에 의해서 형성된다. 일부 예에서, 쉘(102)은 챔버(160)의 단부 표면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댐퍼 유체(151)가 이러한 챔버(160) 내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댐퍼 메커니즘(140)의 구성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은 댐퍼 유체(151)가 이러한 회전의 영향을 감쇠시키게 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예에서, 플런저 로드 안내부(122)가 회전될 때, 댐퍼 부재(140)는 프레임 부재(150)에 대해서 회전된다. 토크 스프링(136)으로부터의 토크가 댐퍼 부재(142)와 프레임(150) 사이에 존재하고, 그에 의해서 시스템이 휴지(rest)로부터 가속되게 하고 그에 따라 속력을 증가시킨다. 상대적인 회전 중에, 댐퍼 유체(151)는 댐퍼 부재(142)의 회전으로 인해서 전단 응력을 받는다. 개시된 예에서, 그에 따라 댐퍼 유체(151)는 대향 작용 반응 토크를 구동 조립체(120)에 그리고 특히 구동 조립체(120)의 플런저 로드 안내부(126)에 인가한다. 구동 조립체(120)의 속력은, 대향 작용 댐퍼 토크가 투여 토크와 동일한 레벨로 축적되고 평형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된다. 이러한 평형은 특정 속력 및 토크에서 발생되고, 예를 들어, 댐퍼 메커니즘(140)의 기하형태, 댐퍼 유체(151)의 유체 특성, 및 토크 스프링(136)의 토크 프로파일과 같은, 많은 수의 인자에 따라 달라진다. 다른 예도 가능하다.
그렇게 구성됨으로써, 댐퍼 메커니즘(140)은 최소 수의 부품을 이용하는 비교적 단순한 설계를 가지고, 그에 따라 조립 및 구성 요소 비용 및 복잡성을 감소시킨다. 댐퍼 메커니즘(140)은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고, 충진될 수 있으며, 장치(100) 내로 삽입되기 전에 별도의 조립 라인에서 테스트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견고하고 안정적인 댐퍼 메커니즘(140)을 가지는 것에 또한 관심이 있을 수 있다. 댐퍼 메커니즘(140)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많은 수의 매개변수가 있으며, 이러한 매개변수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서 댐퍼 메커니즘(140)의 안정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전단 묽어짐 특성(shear thinning property)을 갖는,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가 작은 댐퍼 유체(151)가 선택될 수 있다. 댐퍼 유체(151) 내의 전단 응력은 댐핑 토크와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특정의 필요로 하는 댐핑 토크에서 비교적 일정하고 예측 가능한 속력을 획득하기 위해서, 입력 토크(그리고 그에 의해서 전단 응력)의 변화가 전단율의 최소 변화를 유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예에서, 댐퍼 유체 유형("G")에 대한 전단율에 따른 전단 응력을 도시하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것은 하단부의 전단율을 갖는 설계를 가지는 것에 의해서 최적으로 얻어질 수 있는데, 이는 주어진 입력 토크 간격에서의 전단율(y)의 변동이 이러한 지역에서 작기 때문이다. 도 21의 제공된 곡선 및 그에 도시된 값이 단지 예시적인 곡선을 나타내고, 그에 따라 다른 곡선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도 22는 댐퍼 유체 유형(G)의 겉보기 점도를 도시한다. 전단 묽어짐 특성은 전단율의 증가에 따른 겉보기 점도의 감소에 의해서 확인될 수 있다.
댐퍼 메커니즘의 견고성 및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매개변수는 작은 직경에서의 큰 간극을 포함한다. 전단율 레벨은 댐퍼 메커니즘(140)의 치수에 대해서 설계되고 그러한 치수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챔버(160)를 형성하는 간극의 크기는 전단율에 영향을 미친다. 공칭 챔버(160) 크기가 가능한 한 큰 경우에, 그리고 챔버(160)가 가장 작은 가능한 직경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기술 공차(art tolerance)가 챔버(160)의 크기에 최소의 양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도 23을 간략히 참조하면, 설명된 댐퍼 메커니즘(140)은, 장치의 활성화 시에, 그리고 플런저 로드(131)와 플런저(133) 사이의 충격 시에 장치(100)의 주사기 몸통(112)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파괴할 위험이 없이, 플런저 로드(131)와 플런저(133) 사이에 상당한 간격("C")(예를 들어, 약 10 mm 이상)이 있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장치는, 저어도 약 4 cP의 점도를 가지는 적어도 약 1 mL의 약제(113)를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큰 간격은 플랫폼 복잡성, 재고 변동, 및/또는 프로세스 제어를 유리하게 감소시킨다. 댐퍼 메커니즘(140)은 또한, 충돌 충격, 느낌, 및 소리가 사용자를 놀라게 할 수 있는 댐퍼 메커니즘이 없는 장치와 비교할 때, 보다 양호한 사용자 체험을 제공한다.
일부 예에서, 댐퍼 부재의 상당한 표면이 댐퍼 유체와 접촉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만충되지 않은 것으로 인해서 전체 표면이 댐퍼 유체와 접촉되지 않는 경우에, 댐핑 토크는 감소될 것이다. 따라서, 도 3은, 충진 정확도에 덜 민감한 약물 전달 장치(200)를 위한 대안적인 댐퍼 메커니즘(240)을 도시한다. 약물 전달 장치(200)가 약물 전달 장치(100)와 유사한 임의의 수의 구성 요소 및/또는 특징부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사용된 것과 유사한 2개-숫자의 접미사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 요소를 상당히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을 것이다. 약물 전달 장치(200)에서, 댐퍼 부재(242)는, 플런저 로드 안내부(226)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중앙 개구부 또는 보어(244)를 형성하는 내부 표면(243a)을 가지는 본체(243)를 포함하고, 외부 표면(243b)을 더 포함한다. 댐퍼 부재(242)는 내부 표면(245a) 및 노치(245b)를 가지는 날개형 부분(245)을 포함한다. 댐퍼 부재(242)는 본체(243)의 외부 표면(243b)과 날개형 부분(245)의 내부 표면(245a) 사이에서 채널(246)을 더 형성하고, 단부 캡 부분(247)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프레임 부재(250)는 하우징(202)의 단부 캡과 일체로 형성된다. 프레임 부재는, 내부 표면(252a) 및 외부 표면(252b)을 가지는 대체로 원통형인 돌출부(252)를 포함한다. 원통형 돌출부(252)는 외부 표면(252b) 상에서 탭(253)을 형성한다. 댐퍼 메커니즘(240)이 약물 전달 장치(200) 상으로 설치될 때, 원통형 돌출부(252)는 채널(246) 내로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노치(245b)가 탭(253)과 결합되어, 댐퍼 부재(242)와 프레임 부재(250) 사이의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동심적인 원통체들이 반경방향으로 서로 속박되고, 그에 따라 부품 공차는 동심성에 최소의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댐퍼 부재(242)와 프레임 부재(250)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은 여전히 허용된다. 이러한 예에서, U-형상의 챔버(260)가 돌출부(252), 본체(243) 및 단부 캡 부분(247) 사이에 형성되어 댐퍼 유체(251)를 수용한다.
그러한 구성에서, 챔버는 길이방향 축(L)과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횡방향으로 정렬된다.
구성되었을 때, 채널(246)은, 생성되는 댐핑 토크를 선택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거나 희망하는 것보다 많은 유체가 의도하지 않게 공급된 경우에 단순히 "범람" 영역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여분의 댐퍼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여분 챔버(248)를 더 형성한다. 이러한 예에서, 댐퍼 메커니즘(240)은 희망에 따라 하우징(202) 및/또는 구동 조립체(22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댐퍼 메커니즘(240)은 축방향 조립 프로세스를 통해서 장치(200)에 조립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댐퍼 유체가 희망 챔버 내에 체류하여 일정한 댐핑 토크를 유지하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밀봉 부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한 밀봉부는 프레임과 댐퍼 부재 사이에서 저항력을 생성할 수 있고, 이는 다시 저항 토크를 생성할 것이다. 이러한 추가적인 저항을 극복하기 위해서 파워 공급원(즉, 토크 스프링)이 더 커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것은 투여 중에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4는, 유체가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댐퍼 유체를 단순하게 충진할 수 있게 하는 대안적인 댐퍼 메커니즘(340)을 가지는 대안적인 약물 전달 장치(300)를 도시한다. 약물 전달 장치(300)는 약물 전달 장치(100 및 200)와 유사한 임의의 수의 구성 요소 및/또는 특징부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사용된 것과 유사한 2개-숫자의 접미사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 요소를 상당히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을 것이다. 약물 전달 장치(300)에서, 댐퍼 부재(342)는 본체(343) 및 본체(343)에 커플링된 디스크 부분(345)을 포함한다. 디스크 부분(345)은 제1 표면(345a)을 형성하고, 그 길이를 따라서 배치되는 임의의 수의 홈(345b)을 포함고, 외부 단부(345c)에서 종료된다. 프레임 부재(350)는 또한, 제1 표면(352a)을 형성하는 대체로 디스크와 유사한 기부(352) 및 탭(353a)을 포함하는 측벽 부분(353)을 가지는 대체로 원통형인 부재 형태이다. 디스크-유사 기부(352)는 개구부(354)를 더 형성한다.
도시된 예에서, 임의의 수의 밀봉 부재(347)가 댐퍼 부재(342)의 홈 또는 홈들(345b) 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댐핑 메커니즘을 조립하기 위해서, 디스크 댐퍼 부재(342)가 기부(352)의 개구부(354) 내로 삽입되고, 그에 의해서 외부 단부(345c)는 측벽 부분(353)의 탭(353a)과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챔버(360)가 디스크 부분(345)의 제1 표면(345a)과 기부(352)의 제1 표면(352a)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예에서, 챔버(360)는 횡방향 구성으로 배치되고, 밀봉 부재(들)(347)를 통해서 밀봉된다. 그러한 댐퍼 메커니즘(340)은 동일 파워 모듈로 조립될 수 있고, 여기에서 내부 회전 여유가 존재하지 않으며, 그에 의해서 활성화시에 장치(300)가 갑작스럽게 움직일 위험이 감소되고/되거나 제거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약물 전달 장치(400)를 위한 대안적인 댐퍼 메커니즘(440)이 전술한 댐퍼 메커니즘(240)과 유사한 특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부는 도 3에 제공된 것과 유사한 2개-숫자의 접미사를 가지며, 그에 따라 상당히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을 것이다. 댐퍼 메커니즘(440)은 또한, 프레임 부재(450)로부터 연장되는 내부 원통체(450a)와 짝을 이루는 단부 캡 부분(247)으로부터 연장되는 대체로 원통형인 연장부(447a)를 포함한다. 프레임 부재(450) 및 댐퍼 부재(442)가 함께 커플링되고, 상대적인 회전은 여전히 허용되나, 연장부(447a)와 내부 원통체(450a) 사이의 동심적인 결합은 구성 요소들의 증가된 센터링을 제공하고, 그에 의해서 챔버(460) 크기의 작은 변동을 초래한다.
도 6a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 부재의 다수의 측면에서 댐핑 유체를 수용하는 2개의 챔버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 댐핑 표면을 효과적으로 배가하는, 대안적이 댐퍼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댐핑 메커니즘은, 단일 챔버를 갖는 유사한 설계에 비해서, 약 2배의 댐퍼 토크를 생성할 수 있다. 유리하게, 이러한 댐퍼 메커니즘은, 동일한 댐핑 토크 레벨이 필요한 경우에, 단일 챔버 설계에 비해서 더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댐핑 메커니즘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특징부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유사한 2개-숫자의 접미사를 포함한다. 따라서, 간결함을 위해서, 이러한 구성 요소의 일부가 상당히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 부재(542)는 대체로 U-형상이고, 내부 측벽(543a) 및 외부 측벽(543b) 사이에서 채널(546)을 형성한다. 댐퍼 부재(542)는 또한 외부 측벽(543b)으로부터 연장되는 탭(544), 및 내부 측벽(543a)으로부터 연장되는 턱부(54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부재(550)는 기부 부분(552), 제1의 대체로 원통형인 돌출부(553), 및 노치(554a)를 수반하는 제2의 대체로 원통형인 돌출부(554)를 포함한다.
동작 시에, 댐퍼 부재(542)의 턱부(545)는 플런저 로드 안내부(526)와 마찰 결합되어 그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채널(546)이 댐퍼 유체(551)로 충진되고, 프레임 부재(550)는, 제1 원통형 돌출부(553)를 채널(546) 내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댐퍼 부재(542)에 커플링된다. 그렇게 할 때, 노치(554a)가 탭(544)과 결합되어 댐퍼 부재(542)를 프레임 부재(550)에 고정한다. 또한, 제1 원통형 돌출부(553)는 채널(546)을 U-형상의 챔버(560)로 분할하고, 그에 의해서 댐퍼 유체(551)는 제1 돌출부(553)를 둘러싸고 그에 따라 그 양 측면 상에 배치된다.
도 7은 도 6a 및 도 6b에서 설명된 메커니즘(540)과 유사한, 그러나 대체로 원통형인 제3의 돌출부(655)를 또한 포함하는 댐퍼 메커니즘(640)을 도시한다. 이러한 돌출부(655)는 내부 측벽(643a)과 결합되어, 유체 경감 통로로서 작용하는 부가적인 채널(647)을 생성한다. 도 8에서, 댐퍼 메커니즘(740) 내의 구성 요소가 본질적으로 반전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프레임 부재(750)는, 노치(754a)를 수반하는 원통형 돌출부(754)를 여전히 포함하면서, 제1 측벽(756)과 제2 측벽(758) 사이에서 채널(757)을 형성한다. 댐퍼 부재(742)는 제1 돌출부(743), 탭(744a)을 수반하는 제2 돌출부(744), 및 턱부(745a)를 수반하는 제3 돌출부(745)를 포함한다. 댐퍼 유체(751)는 채널(757) 내에 배치되고, 제1 돌출부(743)가 그 내부에 삽입되어, 제1 돌출부(743)를 둘러싸는 챔버(760)를 형성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프레임 부재(850)의 채널(857) 내로의 댐퍼 유체(851)의 용이한 충진을 가능하게 하는 유사한 댐퍼 메커니즘(840)을 도시한다. 이어서, 댐퍼 부재(842)가 적용되고, 그에 의해서 각도형 돌출부(843)가 내부에 쐐기로 박히고 댐퍼 유체(851)를 제1 돌출부(843)와 제1 및 제2 측벽(856, 858) 사이의 단일 채널(860)로 분배한다. 이러한 예에서, 돌출부(844a)는 제2 측벽(858)에 형성된 노치(858a)와 결합된다. 유사하게, 도 10에서, 댐퍼 메커니즘(940)의 구성 요소가 본질적으로 반전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도 6a 내지 도 7에서와 마찬가지로, 댐퍼 부재(942)는 대체로 U-형상이고, 내부 측벽(943a)과 외부 측벽(943b) 사이에서 채널(946)을 형성한다. 댐퍼 부재(942)는 외부 측벽(943b)으로부터 연장되는 이차 채널(947)을 더 포함한다. 프레임 부재(950)는 기부 부분(952), 제1 돌출부(953), 제2 돌출부(954), 및 제3 돌출부(956)를 포함한다. 댐퍼 유체(951)가 채널(946) 내로 삽입되고, 제1 돌출부(953)가 채널(946) 내로 삽입되어 챔버(960)를 형성한다. 이러한 예에서, 제2 돌출부(954)는 제2 채널(947) 내로 삽입된다.
도 11 내지 도 20은 3개-단편 설계를 갖는 대안적인 댐퍼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유체가 챔버 내에서 유지되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또는 유체가 용이하게 충진될 수 있고 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유체 경로가 밀봉되고/되거나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 요소는 댐핑 표면들 사이의 동심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댐핑 메커니즘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특징부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유사한 2개-숫자의 접미사를 포함한다. 따라서, 간결함을 위해서, 이러한 구성 요소의 일부가 상당히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 메커니즘(1040)은 제1 댐퍼 부재(1042), 프레임 부재(1050) 및 제2 댐퍼 부재(1062)를 포함한다. 제1 댐퍼 부재(1042)는 임의의 수의 접근 방식을 통해서 플런저 로드 안내부(미도시)에 커플링될 수 있고, 플런저 로드 안내부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중앙 개구부 또는 보어(1044)를 형성하는 내부 표면(1043a)을 가지는 본체(1043)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외부 표면(1043b)을 형성한다. 제1 댐퍼 부재(1042)는 또한 본체의 외부 표면(1043b)에 대면되는 본체(1043)로부터 멀리 배치된 내부 표면(1045a)을 갖는 날개형 부분(1045)을 포함한다. 채널(1046)이 본체(1043)의 외부 표면(1043b)과 날개형 부분(1045)의 내부 표면(1045a) 사이에 형성된다.
제2 댐퍼 부재(1062)는, 내부 표면(1063a) 및 외부 표면(1063b)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1063)의 형태이다. 제2 댐퍼 부재(1062)는 외부 표면(1063b)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턱부(1064)를 포함한다. 제2 댐퍼 부재(106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널(1046) 내에 배치되고 제1 댐퍼 부재(1042)의 본체(104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쌈으로써, 그에 따라 동심적인 원통체들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일 때, 챔버(1060)가 제1 댐퍼 부재(1042)의 외부 표면(1043b)과 제2 댐퍼 부재(1062)의 내부 표면(1063a)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챔버(1060)는 댐퍼 유체(1051)를 수용한다.
이러한 예에서, 프레임 부재(1050)는 하우징(1002)의 원위 단부(1002b)와 일체로 형성되고, 기부 부분(1052) 및 기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대체로 원통형인 돌출부(1053)을 포함한다. 동작 시에, 프레임 부재(1050)는 채널(1046) 내에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되고, 제2 댐퍼 부재(1062)의 턱부(1064)와 결합되어 제2 댐퍼 부재를 제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프레임 부재(1050)는 제1 및/또는 제2 댐퍼 부재(1042, 1062)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임의의 수의 부가적인 노치, 탭 및 기타를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챔버(1060)는 제1 댐퍼 부재(1042)의 외부 표면(1043b), 제2 댐퍼 부재(1062)의 내부 표면(1063a), 및 프레임 부재(1050)의 기부 부분(1052)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댐퍼 부재(1042), 제2 댐퍼 부재(1062), 및 프레임 부재(1050)는 3개의 동심적인 원통체를 형성하고, 그에 의해서 (상대적인 회전을 제외하고) 그들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한한다. 일부 예에서, 제2 댐퍼 부재(1062)가 프레임 부재(1050)에 고정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고(프레임 부재 자체가 하우징(1002)에 커플링될 수 있고/있거나 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댐퍼 부재(1042)가 플런저 로드 안내부와 함께 회전되는 동안 제2 댐퍼 부재(1062)가 고정되어 유지되도록 보장한다. 또한, 일부 예에서, 프레임 부재(1050)는, 제1 댐퍼 부재(1042)의 날개형 부분(1045) 상의 홈(1045b)과 결합되어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멈춤부(105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예시적인 댐퍼 메커니즘(1140)은 댐퍼 메커니즘(1040)과 유사하나(그리고, 그에 따라 유사한 특징부가 유사한 2개-숫자 접미사를 포함하나), 챔버(1160) 및 댐퍼 유체(1151)의 배치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챔버(1160)는 날개형 부분(1145)의 내부 표면(1145a), 제2 댐퍼 부재(1162)의 본체(1163)의 외부 표면(1163b), 및 프레임 부재(1150)의 기부 부분(1152)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러한 예에서, 프레임 부재(1150)는, 프레임 부재(1150)를 제2 댐퍼 부재(1162)에 고정하기 위해서 제2 댐퍼 부재(1162)에 의해서 형성된 채널(1164) 내로 삽입되는 돌출부(1153)를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예시적인 댐퍼 메커니즘(1240)은 댐퍼 메커니즘(1140)과 유사하나(그리고, 그에 따라 유사한 특징부가 유사한 2개-숫자 접미사를 포함하나), 프레임 부재(1250)가, 제2 댐퍼 부재(1262)에 의해서 형성된 원통체 또는 보어(1264)와 결합되는 핀 형태의 회전 록킹 돌출부(1253)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따라서, 프레임 부재(1250)와 제2 댐퍼 부재(1262)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이 제한된다.
도 14에 도시된 예시적인 댐퍼 메커니즘(1340)은 댐퍼 메커니즘(1240)과 유사하나(그리고, 그에 따라 유사한 특징부가 유사한 2개-숫자 접미사를 포함하나), 댐퍼 메커니즘(1340)이, 댐퍼 유체(1351)를 내부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챔버(1360)를 밀봉하기 위한 임의의 수의 밀봉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부재(1350)는 제1 댐퍼 부재(1342)의 날개형 부분(1345)의 외부 표면(1345b)과 함께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탄성 핑거 부분(1356)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날개형 부분(1345)은, 외부 표면(1345b)에 대한 탄성 핑거(1356)의 적절한 안착을 보조하기 위해서 대략적으로 테이퍼링되거나 쐐기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1 댐퍼 부재(1342)는, 프레임 부재(1350)의 기부 부분(1352)에 대해서 접경되는 범프 또는 멈춤부(1343) 형태의 부가적인 밀봉부를 갖는다.
도 15에 도시된 예시적인 댐퍼 메커니즘(1440)은 전술한 3개의 단편의 댐퍼 메커니즘과 유사하나(그리고, 그에 따라 유사한 특징부가 유사한 2개-숫자 접미사를 포함하나), 유리하게, 댐퍼 유체(1451)로 챔버(1460)를 용이하게 충전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설치 중에 구성 요소들이 적절하게 정렬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임의의 수의 안착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부재(1450)의 기부 부분(1452)에 의해서 형성된 돌출부(1453)가, 제1 댐퍼 부재(1442)를 프레임 부재(1450)에 대해서 적절히 안착시키는 것을 돕는 턱부(145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댐퍼 부재(1442)의 외부 표면(1443a)이 턱부(1453a)에 대해서 접경되어, 프레임 부재(1450)가 제1 댐퍼 부재(1442)에 대해서 적절히 동심적으로 배열되도록 보장하고, 외부 표면(1443a), 턱부(1453a), 및 돌출부(1453) 사이에 위치되는 챔버(1460)를 또한 형성한다. 이어서, 챔버(1460)는 댐퍼 유체(1451)로 충진될 수 있고, 피팅된 덮개 또는 압입 덮개 형태의 제2 댐퍼 부재(1462)가 적용될 수 있다.
제2 댐퍼 부재(1462)는, 채널(1466)을 형성하기 위해서 협력하는, 기부 부분(1463), 제1 돌출부(1464), 및 제2 돌출부(1465)를 포함한다. 제2 댐퍼 부재(1462)가 설치될 때, 제1 돌출부(1464)가 프레임 부재(1450)의 돌출부(1453)에 대해서 접경되고, 제2 돌출부(1465)는 또한 제1 댐퍼 부재(1442)의 턱부(1444)와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기부 부재(1450)의 돌출부(1453) 및 제1 댐퍼 부재(1442)의 턱부(1444)가 협력하여 제2 댐퍼 부재(1462)의 배치를 안내하고, 그에 따라 이러한 구성 요소들의 상대적인 오정렬을 감소 및/또는 제거한다. 제2 댐퍼 부재(1462)는 또한 챔버(1460)를 밀폐하기 위한 밀봉부로서 작용한다.
도 16에 도시된 예시적인 댐퍼 메커니즘(1540)은 전술한 3개의 단편의 댐퍼 메커니즘과 유사하나(그리고, 그에 따라 유사한 특징부가 유사한 2개-숫자 접미사를 포함하나), 설치 중에 구성 요소들이 적절히 정렬되도록 보장하기 위한 대안적인 안착 기구를 포함한다. 댐퍼 메커니즘(1540)은, 제1 표면(1545a), 탭(1545b), 및 제2 표면 또는 턱부(1545c)를 형성하는 날개형 부분(1545)을 가지는 제1 댐퍼 부재(1542)를 포함한다. 제2 댐퍼 부재(1562)는, 프레임 부재(1550)의 본체 부분(1552)에 수반되는 회전 록킹 돌출부(1553)에 커플링되는 원통체 또는 보어(1564)를 포함한다. 제2 댐퍼 부재(1562)는 또한 대면 표면(1562a) 및 턱부(1566)를 포함한다. 날개형 부분(1545)의 제1 표면(1545)은 제2 댐퍼 부재(1562)의 턱부(1566)에 접경되도록 구성되고, 날개형 부분(1545)의 제2 표면(1545c)은 제2 댐퍼 부재(1562)의 대면 표면(1562a)에 접경되도록 구성되며, 그에 의해서 2개의 접촉점 또는 안착 표면을 생성한다. 따라서, 댐퍼 메커니즘(1540)의 적절한 배치가 더 보장된다.
도 17 및 도 18은 댐퍼 메커니즘(1240, 1340, 1440, 및 1540)과 유사한 댐퍼 메커니즘(1640, 1740)을 도시하나(그에 따라 유사한 특징부가 유사한 2개-숫자 접미사를 포함하나), 댐퍼 메커니즘(1640, 1740)은 그 각각의 프레임 부재(1650, 1750)의 특징부를 안착 표면으로서 사용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도 17에서, 제1 댐퍼 부재(1642)는 핑거 부분(1645)을 포함하고, 그러한 핑거 부분은 제1 턱부 또는 표면(1645a), 제2 표면(1645b), 핑거(1645c), 및 핑거(1645c)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1645d)를 갖는다. 프레임 부재(1650)는, 상대적인 회전을 록킹하는 제1 돌출부(1653) 및 외부 표면(1654a)을 갖는 제2 돌출부(1654)를 수반하는, 기부 부분(1652)을 포함한다. 프레임 부재(1650)는 탭(1656)을 더 포함한다. 제2 댐퍼 부재(1662)는 제1 표면(1662a), 채널 또는 홀(1664), 및 표면(1666a)을 형성하는 턱부(1666)를 포함한다. 프레임 부재(1650)의 제1 돌출부(1653)가 제2 댐퍼 부재(1662)의 홀(1664) 내로 삽입되어 그들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제2 댐퍼 부재(1662)의 턱부(1666)의 표면(1666a)은 프레임 부재(1652)의 제2 돌출부(1654)에 대해서 접경된다. 제2 댐퍼 부재(1662)의 제1 표면(1662a)은 제1 댐퍼 부재(1642)의 핑거 부분(1645)의 제1 턱부(1645a)에 대해서 접경되고, 제1 댐퍼 부재(1642)의 핑거 부분(1645)의 제2 표면(1645b)은 프레임 부재(1650)의 제2 돌출부(1654)의 외부 표면(1654a)에 대해서 접경된다. 또한, 핑거 부분(1645)의 핑거(1645c)는 프레임 부재(1656)의 탭(1656)과 결합된다. 따라서, 다수의 접촉점 또는 안착 표면이 제1 댐퍼 부재(1642), 프레임 부재(1650), 및 제2 댐퍼 부재(1662) 사이에 생성되어, 댐퍼 메커니즘(1640)의 적절한 배치를 추가적으로 보장한다. 도 18에서, 댐퍼 메커니즘(1740)은 도 17에 도시된 댐퍼 메커니즘(1640)과 유사한 특징부, 표면, 및/또는 턱부를 포함하나, 프레임 부재(1750)는 또한, 제1 댐퍼 부재(1742)의 핑거 부분(1745)의 채널(1745a)과 결합되는 범프(1753a)를 수반하는 돌출부(1753)를 포함한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예시적인 댐퍼 메커니즘은 전술한 댐퍼 메커니즘과 유사하나(그리고, 그에 따라 유사한 특징부가 유사한 2개-숫자 접미사를 포함하나), 부가적인 밀봉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부재(1870)는 프레임 부재(1850)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다(예를 들어, 접착되거나 달리 부착된다). 밀봉 부재(1870)는 임의의 수의 통상적인 접근 방식을 이용하여 몰딩될 수 있고, 많은 수의 탄성 밀봉 핑거(1872)를 포함한다. 이러한 핑거(1872)가 챔버(1860)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프레임 부재(1850)와 제1 댐퍼 부재(1842) 및/또는 제2 댐퍼 부재(1862)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경우에, 댐퍼 유체(1851)가 챔버(1860)를 빠져 나가는 것을 제한한다.
도 20에서, 탄성 밀봉 핑거(1947)가 제1 댐퍼 부재(1945)의 핑거 부분(1945)에 수반된다. 이러한 밀봉 핑거(1947)는 프레임 부재(1950)와 결합되어, 댐퍼 유체(1951)가 장치(1900)의 나머지 내로 누출되지 않게 보장한다.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일부 예에서, 주사기 몸통(112)을 상이한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일부 재료들로부터 구성된 컨테이너 내의 큰 마찰 변동으로 인해서, 전달 시간의 큰 변동이 있을 수 있다. 플런저와 주사기 몸통 사이의 마찰은, 특히 주사기가 중합체 재료로 구성될 때, 상당한 변동을 초래한다. 주목한 바와 같이, 축방향 플런저 속도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특정 시간 내에 바늘을 통해서 약물을 방출하는데 필요한 힘은 약물의 점도에 따라 달라진다. 고점도 약물(예를 들어, 10 내지 15 cP 초과)의 경우에, 요구되는 힘이 크고, 저점도 약물의 경우에 요구되는 힘이 작다. 그러한 힘은 또한 약물이 방출되는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투여 중에, 시스템 내의 속도-의존적 저항이 파워 공급원으로부터의 입력 토크와 합치되는, 평형 투여 속도가 달성된다. 그러나, 시스템 내에서 마찰력이 변경되는 범위는 약물의 속도와 관계없이 일정하다. 결과적으로, 마찰력과 약물 방출력 사이의 비율은 저점도 약물의 경우에 커진다. 또한, 마찰력의 큰 변동성이 중합체 주사기 몸통에서 예상되기 때문에, 약물을 방출하기 위한 스프링으로부터의 나머지 토크가 너무 크거나 너무 작을 수 있고, 결과적으로 너무 짧거나 너무 긴 투여 시간을 초래할 수 있다. 이는 수용할 수 없는 투여 시간의 큰 변동을 초래하거나 장치가 전체적으로 중단되는 것을 초래할 수 있다.
댐퍼 메커니즘의 이용은, 과다 토크의 버퍼로서 작용하는 것에 의해서, 이러한 불일치를 해결한다. 투여 메커니즘의 속도는, 시스템 내의 마찰, 약물 방출에 필요한 토크, 및 기계적 댐퍼에 작용하는 토크가 파워 공급원으로부터의 전체 입력 토크와 동일한, 기계적인 평형의 결과이다. 일정하지 않은 토크, 댐퍼 토크 및 부가된 약물을 방출하는데 필요한 토크가 마찰력보다 더 우세하게 되기 때문에, 마찰력의 변동은 방출을 위해서 이용 가능한 토크에 비교적 작은 영향을 미칠 것이고, 그에 따라 속도에 덜 양향을 미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찰 및 구성 요소 공차로 인해서 또는 빠른 약물 속도로 인해서 투여 중에 발생되는) 장치 내의 저항이 증가할 때마다, 장치 내의 속도가 감소된다. 그러나, 댐퍼의 속도-의존성으로 인해서, 속도의 매우 작은 감소가 작은 댐핑 토크를 초래하고, 이는 다시 증가된 저항을 극복하기 위해서 이용 가능한 토크를 제공한다.
도 24 내지 도 2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플런저 마찰, 약물을 방출하는데 필요한 토크, 및 댐퍼에 의해서 흡수되는 토크 사이의 변동이 부가되어, 공칭 입력 토크 요건을 제공한다. 장치 내의 토크 기여가 이러한 제공된 항들(terms)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댐퍼가 상당한 양의 토크를 소산시키기 때문에, 스프링은, 댐퍼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보다, 큰 치수를 갖는다. 속도-의존적 항(즉, Tdamper및 Tdrug)은 장치 내의 에너지의 대부분을 소산시킨다.
작은 속도 감소가 댐퍼 토크의 큰 감소에(그리고 그 반대로) 상응하기 때문에, 약물 방출 중에 이용 가능 토크의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다. 이러한 것이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되어 있다: 도 25에 도시된 경우 1에서, 마찰은 예상 범위의 하단부 이내이고, 이는 더 많은 이용 가능 토크로 인해서 점도 관련 항의 크기 증가를 초래하고, 여기에서 댐퍼 항이 대부분의 토크를 흡수할 것인 한편, 약물 방출을 위해서 이용 가능한 토크는 약간만 증가된다. 이는 단지 약간 더 빠른 투여 시간을 초래한다. 역으로, 도 26에 도시된 경우 2에서, 마찰 증가는 댐퍼 토크의 실질적인 감소를 초래하는 한편, 약물 방출을 위해서 이용 가능한 토크는 약간만 감소되며, 그에 따라 단지 약간 더 긴 투여 시간을 초래한다. 댐퍼 메커니즘이 없는 장치에서, 입력 토크의 상당한 백분율이 시스템 내의 마찰을 극복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마찰의 변동은 방출 부분을 위해서 이용 가능한 토크에 실질적으로 직접적으로 부가되거나 차감될 것이다. 그에 따라, 투여 시간에 큰 요동이 예상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큰 민감도의 예가 모델 계산에 의해서 설명된다. 처음 2개의 컬럼 A 및 B는, 기계적 댐퍼 메커니즘이 사용되는 경우의 마찰 값의 범위에 대한 투여 시간의 범위를 나타낸다. 고점도(컬럼 A) 및 저점도(컬럼 B) 약물 변형 장치 모두는 댐퍼 덕분에 투여 시간의 좁은 변동을 나타낸다. 댐퍼가 없는(컬럼 C 및 D) 변형의 경우에, 변동성은 고점도 약물 변형의 경우에 유사하게 작다. 이는, 일정 마찰을 극복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토크에 대한 약물 방출 시에 소비되는 입력 토크의 높은 비율 때문이다. 그러나, 댐퍼가 사용되지 않는, 저점도 약물 변형(컬럼 D)의 경우에, 투여 시간은 마찰 변동에 따라 크게 변동된다. 마찰 변동성에 대한 큰 투여 시간 민감도에 더하여, 장치 플랫폼과 관련하여, 댐퍼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약물 점도의 임의의 변화는 입력 토크 요건을 상당히 변화시킬 것이다. 그에 따라, 투여 시간의 희망하는 창(desired window)을 달성하기 위해서, 더 많은 수의 파워 스프링이 필요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댐퍼를 가지는 것은, 약간 더 큰 스프링을 감수함으로써, 버퍼링 현상을 도입한다.
또한, 특정 재료가 이러한 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주사기를 사용할 때, 몸통 및 정지부의 실리콘화(siloconization)로 인해서, 플라스틱 주사기에 비해서 작은 미끄러짐 힘(lower glide force) 및 작은 미끄러짐 힘의 변동이 있을 수 있다. 큰 점도를 갖는 약물을 투약할 때, 바늘을 통한 유동의 저항은 전체 주입 시간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저점도 및 작은 부피의 약물을 투약할 때, 미끄러짐 힘(그리고 그 상대적인 변동성)이 시스템 내의 필요한 총 힘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그렇게 구성되면, 전술한 댐퍼 설계는 자동 주입기 플랫폼에서 요구되는 스프링 변형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를 위한 투여 시간의 항상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주사기 파괴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저점도 약물이 사용될 때, 스프링 성능 및/또는 약물 점도에서의 사소한 변동이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본원에서 설명된 댐퍼 메커니즘은 모든 투여 시간을 늦추고, 그에 의해서 더 적은 스프링 변형을 필요로 한다. 고점도 약물을 이용할 때, 본원에서 설명된 댐퍼 메커니즘은, 특히 적은 부피의 약물 제품을 투약할 때, 플런저 로드의 충격 속력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댐퍼 메커니즘은 플런저 로드의 충격 속력을 더 안전한 레벨까지 감소시킬 것이고, 그에 따라 주사기 손상 위험을 낮출 것이다. 본원에서 설명된 댐퍼 메커니즘은 적은 부품을 필요로 하고, 그에 의해서 조립 및 비용 감소를 돕는다. 또한, 설명된 댐퍼 메커니즘은 표면 마찰 및 비교적 복잡한 이동 메커니즘에 의존하지 않고, 그에 따라 시스템 복잡성을 더 감소시킨다.
전술한 설명은 약물 전달 장치와 함께 이용하기 위한 여러 가지 조립체,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조립체, 약물 전달 장치 또는 방법이, 이하에 나열된 약제의 이용을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며, 여기서 이하의 목록이 모든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하고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에 주의 한다. 약제는 저장용기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저장용기는, 약제를 이용한 치료를 위해서 충진되거나 미리-충진된 일차 용기이다. 일차 용기는 카트리지 또는 미리-충진된 주사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 전달 장치 또는 더 구체적으로 장치의 저장용기가, 콜로니 자극 인자, 예컨대 과립구 콜로니-자극 인자(G-CSF)로 충진될 수 있다. 그러한 G-CSF 제제는, 비제한적으로 Neupogen®(필그라스팀) 및 Neulasta®(페그필그라스팀)을 포함한다. 여러 다른 실시형태에서, 약물 전달 장치는, 액체 또는 동결건조 형태일 수 있는, 적혈구생성 자극제(ESA)와 같은, 다양한 의약 제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ESA는 적혈구생성을 자극하는 임의의 분자, 예컨대 Epogen®(에포에틴 알파), Aranesp®(다베포에틴 알파), Dynepo®(에포에틴 델타), Mircera®(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에포에틴 베타), Hematide®, MRK-2578, INS-22, Retacrit®(에포에틴 제타), Neorecormon®(에포에틴 베타), Silapo®(에포에틴 제타), Binocrit®(에포에틴 알파), 에포에틴 알파 헥살, Abseamed®(에포에틴 알파), Ratioepo®(에포에틴 쎄타), Eporatio®(에포에틴 쎄타), Biopoin®(에포에틴 쎄타), 에포에틴 알파, 에포에틴 베타, 에포에틴 제타, 에포에틴 쎄타 및 에포에틴 델타뿐만 아니라, 본원에서 그 각각의 전체가 참고로서 인용되는, 다음과 같은 특허 또는 특허 출원에 개시된 분자 또는 이들의 변형체 또는 유사체이다: 미국 특허 번호 4,703,008; 5,441,868; 5,547,933; 5,618,698; 5,621,080; 5,756,349; 5,767,078; 5,773,569; 5,955,422; 5,986,047; 6,583,272; 7,084,245; 및 7,271,689; 그리고 PCT 공개 번호 WO 91/05867; WO 95/05465; WO 96/40772; WO00/24893; WO 01/81405; 및 WO 2007/136752.
ESA는 적혈구생성 자극 단백질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적혈구생성 자극 단백질"은, 예를 들어,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에 결합하고 이의 이량체화를 유발함으로써, 그러한 수용체의 활성화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유발하는 임의의 단백질을 의미한다. 적혈구생성 자극 단백질은 에리트로포이에틴, 및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에 결합하고 이를 활성화시키는 이들의 변형체, 유사체 또는 유도체;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에 결합하고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항체; 또는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에 결합하고 이를 활성화시키는 펩타이드를 포함한다. 적혈구생성 자극 단백질은, 비제한적으로 에포에틴 알파, 에포에틴 베타, 에포에틴 델타, 에포에틴 오메가, 에포에틴 이오타, 에포에틴 제타, 및 이들의 유사체, 페길화된 에리트로포이에틴, 카바밀화된 에리트로포이에틴, 모방체 펩타이드(EMP1/헤마타이드 포함) 및 모방체 항체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적혈구생성 자극 단백질은 에리트로포이에틴, 다베포에틴, 에리트로포이에틴 작용제 변형체, 및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와 결합되고 이를 활성화시키는 펩타이드 또는 항체(그리고, 각각의 개시 내용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공개 번호 2003/0215444 및 2006/0040858에서 보고된 화합물을 포함)뿐만 아니라 각각의 개시 내용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이하의 특허 또는 특허 출원에 개시된 에리트로포이에틴 분자 또는 이의 변형체 또는 유사체를 포함한다: 미국 특허 번호 4,703,008; 5,441,868; 5,547,933; 5,618,698; 5,621,080; 5,756,349; 5,767,078; 5,773,569; 5,955,422; 5,830,851; 5,856,298; 5,986,047; 6,030,086; 6,310,078; 6,391,633; 6,583,272; 6,586,398; 6,900,292; 6,750,369; 7,030,226; 7,084,245; 및 7,217,689; 미국 공개 번호 2002/0155998; 2003/0077753; 2003/0082749; 2003/0143202; 2004/0009902; 2004/0071694; 2004/0091961; 2004/0143857; 2004/0157293; 2004/0175379; 2004/0175824; 2004/0229318; 2004/0248815; 2004/0266690; 2005/0019914; 2005/0026834; 2005/0096461; 2005/0107297; 2005/0107591; 2005/0124045; 2005/0124564; 2005/0137329; 2005/0142642; 2005/0143292; 2005/0153879; 2005/0158822; 2005/0158832; 2005/0170457; 2005/0181359; 2005/0181482; 2005/0192211; 2005/0202538; 2005/0227289; 2005/0244409; 2006/0088906; 및 2006/0111279; 그리고 PCT 공개 번호 WO 91/05867; WO 95/05465; WO 99/66054; WO 00/24893; WO 01/81405; WO 00/61637; WO 01/36489; WO 02/014356; WO 02/19963; WO 02/20034; WO 02/49673; WO 02/085940; WO 03/029291; WO 2003/055526; WO 2003/084477; WO 2003/094858; WO 2004/002417; WO 2004/002424; WO 2004/009627; WO 2004/024761; WO 2004/033651; WO 2004/035603; WO 2004/043382; WO 2004/101600; WO 2004/101606; WO 2004/101611; WO 2004/106373; WO 2004/018667; WO 2005/001025; WO 2005/001136; WO 2005/021579; WO 2005/025606; WO 2005/032460; WO 2005/051327; WO 2005/063808; WO 2005/063809; WO 2005/070451; WO 2005/081687; WO 2005/084711; WO 2005/103076; WO 2005/100403; WO 2005/092369; WO 2006/50959; WO 2006/02646; 및 WO 2006/29094.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다른 의약 제품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항체, 예컨대 Vectibix®(파니투무맙), XgevaTM(데노수맙) 및 ProliaTM(데노사맙); 다른 생물학적 제제, 예컨대 Enbrel®(에타네르셉트, TNF-수용체/Fc 융합 단백질, TNF 차단제), Neulasta®(페그필그라스팀, 페길화된 필가스트림, 페길화된 G-CSF, 페길화된 hu-Met-G-CSF), Neupogen®(필그라스팀, G-CSF, hu-MetG-CSF), 및 Nplate®(로미플로스팀); 소분자 약물, 예컨대 Sensipar®(시나칼세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치료 항체, 폴리펩타이드, 단백질 또는 다른 화학물질, 예컨대 철, 예를 들어, 페루목시톨, 철 덱스트란, 글리코네이트 제2철, 및 철 수크로오스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의약 제품은 액체 형태로 있을 수 있고, 동결건조된 형태로부터 재구성될 수 있다.
특정 예시적 단백질 중에서, 해당 단백질의 융합체, 단편체, 유사체, 변형체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정 단백질이 있다:
비제한적으로, OPGL 특이적 항체 및 항체 관련 단백질로서, 특히 기술된 서열을 가지는 것, 특히 비제한적으로: 하기 PCT 공개의 도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시퀀스 식별 번호: 2의 경쇄 및/또는 도 4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시퀀스 식별 번호:4의 중쇄 중 어느 하나를 갖는 OPGL 특이적 항체를 포함하는, 9H7; 18B2; 2D8; 2E11; 16E1; 및 22B3으로 표시된 것으로서, 개시 내용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PCT 공개 번호 WO 03/002713에 기재된 항체를 포함하는, 완전 인간화된 및 인간 OPGL 특이적 항체, 특히 완전 인간화된 모노클로날 항체를 포함하는, OPGL 특이적 항체, 펩티바디 및 관련된 단백질 등(또한 RANKL 특이적 항체, 펩티바디 등으로서 지칭됨)(이들 각각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구체적으로 전술한 공보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그 전체가 완전히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됨);
마이오스타틴 특이적 펩티바디, 특히 미국 공개 번호 2004/0181033 및 PCT 공개 번호 WO 2004/058988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하는, 마이오스타틴 결합 단백질, 펩티바디 및 관련된 단백질 등(그러한 미국 공개는, 비제한적으로 TN8-19-1 내지 TN8-19-40, TN8-19 con1 및 TN8-19 con2를 포함하는, 시퀀스 식별 번호:305 내지 351의 것들을 포함하는, mTN8-19 패밀리의 펩티바디; 시퀀스 식별 번호:357 내지 383의 mL2 패밀리의 펩티바디; 시퀀스 식별 번호:384 내지 409의 mL15 패밀리; 시퀀스 식별 번호:410 내지 438의 mL17 패밀리; 시퀀스 식별 번호:439 내지 446의 mL20 패밀리; 시퀀스 식별 번호:447 내지 452의 mL21 패밀리; 시퀀스 식별 번호:453 내지 454의 mL24 패밀리; 및 시퀀스 식별 번호:615 내지 631의 것들을 포함하는, 특히 마이오스타틴 특이적 펩티바디와 관련된 부분에서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 포함되며, 이들 각각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구체적으로 전술한 공보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그 전체가 완전히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됨);
IL-4 수용체 특이적 항체, 펩티바디 및 관련된 단백질 등, 특히 PCT 공개 번호 WO 2005/047331 또는 PCT 출원 번호 PCT/US2004/37242 및 미국 공개 번호 2005/112694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하는, IL-4 및/또는 IL-13이 수용체에 결합됨으로써 매개되는 활성을 억제하는 것들(이때 상기의 문헌은 특히 IL-4 수용체 특이적 항체, 특히 그러한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항체, 특히 비제한적으로 그러한 문헌에서 L1H1; L1H2; L1H3; L1H4; L1H5; L1H6; L1H7; L1H8; L1H9; L1H10; L1H11; L2H1; L2H2; L2H3; L2H4; L2H5; L2H6; L2H7; L2H8; L2H9; L2H10; L2H11; L2H12; L2H13; L2H14; L3H1; L4H1; L5H1; L6H1로 표시된 것들과 관련된 부분에서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 포함되며, 이들 각각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구체적으로 전술한 공보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그 전체가 완전히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됨);
비제한적으로 미국 공개 번호 2004/097712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하는, 인터루킨 1-수용체 1("IL1-R1") 특이적 항체, 펩티바디 및 관련된 단백질 등(상기의 문헌은 IL1-R1 특이적 결합 단백질, 특히 모노클로날 항체, 특히 비제한적으로 그러한 문헌에서 15CA, 26F5, 27F2, 24E12 및 10H7로 표시된 것들과 관련된 부분에서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 포함되며, 이들 각각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구체적으로 전술한 공보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그 전체가 완전히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됨);
비제한적으로 PCT 공개 번호 WO 03/057134 및 미국 공개 번호 2003/0229023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하는, Ang2 특이적 항체, 펩티바디 및 관련된 단백질 등(상기의 문헌은 Ang2 특이적 항체 및 펩티바디 등, 특히 그러한 문헌에 기재되고 비제한적으로 L1(N); L1(N) WT; L1(N) 1K WT; 2xL1(N); 2xL1(N) WT; Con4 (N), Con4 (N) 1K WT, 2xCon4 (N) 1K; L1C; L1C 1K; 2xL1C; Con4C; Con4C 1K; 2xCon4C 1K; Con4-L1 (N); Con4-L1C; TN-12-9 (N); C17 (N); TN8-8(N); TN8-14 (N); Con 1 (N)을 포함하는 서열을 갖는 것들과 관련된 부분에서 특히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 포함되고, 또한 PCT 공개 번호 WO 2003/030833에 기재된 것과 같은 항-Ang 2 항체 및 제형을 포함하며, 상기의 문헌은 동일한 것, 특히 그 문헌에 기재된 그 다양한 순열의 Ab526; Ab528; Ab531; Ab533; Ab535; Ab536; Ab537; Ab540; Ab543; Ab544; Ab545; Ab546; A551; Ab553; Ab555; Ab558; Ab559; Ab565; AbF1AbFD; AbFE; AbFJ; AbFK; AbG1D4; AbGC1E8; AbH1C12; AblA1; AblF; AblK, AblP; 및 AblP로서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 포함되며, 이들 각각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구체적으로 전술한 공보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그 전체가 완전히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됨);
특히 비제한적으로 미국 공개 번호 2005/0074821 및 미국 특허 번호 6,919,426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하는, NGF 특이적 항체, 펩티바디 및 관련된 단백질 등(상기의 문헌은 특히 비제한적으로 그 문헌에서 4D4, 4G6, 6H9, 7H2, 14D10 및 14D11로 지정된 NGF-특이적 항체를 포함하는, NGF-특이적 항체 및 이와 관련하여 관련된 단백질에 대해서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서 포함되며, 이들 각각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구체적으로 전술한 공보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그 전체가 완전히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됨);
CD22 특이적 항체, 펩티바디 및 관련된 단백질 등, 예컨대 미국 특허 번호 5,789,554에 기재된 것들(그러한 문헌은, CD22 특이적 항체 및 관련된 단백질, 특히 인간 CD22 특이적 항체,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예를 들어, 에프라투주맙, CAS 등록 번호 501423-23-0의 인간 CD22 특이적 완전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하는, 특히 비제한적으로 인간 CD22 특이적 IgG 항체, 예컨대, 예를 들면, 인간-마우스 모노클로날 hLL2 카파-사슬에 연결된 인간-마우스 모노클로날 hLL2 감마-사슬 디설파이드의 이량체를 포함하는, 비제한적으로 인간화된 및 완전 인간 모노클로날 항체를 포함하는, 비제한적으로 인간화된 및 완전 인간 항체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그 전체가 참조로 포함됨).
IGF-1 수용체 특이적 항체, 펩티바디 및 관련된 단백질 등으로서, 예컨대 PCT 공개 번호 WO 06/069202에 기재된 것들(그러한 문헌은, 비제한적으로 그 안에서 L1H1, L2H2, L3H3, L4H4, L5H5, L6H6, L7H7, L8H8, L9H9, L10H10, L11H11, L12H12, L13H13, L14H14, L15H15, L16H16, L17H17, L18H18, L19H19, L20H20, L21H21, L22H22, L23H23, L24H24, L25H25, L26H26, L27H27, L28H28, L29H29, L30H30, L31H31, L32H32, L33H33, L34H34, L35H35, L36H36, L37H37, L38H38, L39H39, L40H40, L41H41, L42H42, L43H43, L44H44, L45H45, L46H46, L47H47, L48H48, L49H49, L50H50, L51H51, L52H52로 지정된 IGF-1 특이적 항체, 및 IGF-1R-결합 단편 및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IGF-1 수용체 특이적 항체 및 관련된 단백질과 관련하여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서 인용되며, 이들 각각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구체적으로 전술한 공보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그 전체가 완전히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됨);
또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항-IGF-1R 항체의 비제한적인 예 중에서, 이하에 기재된 것들의 각각 및 전부가 있다:
(i) 미국 공개 번호 2006/0040358(2006년 2월 23일 공개됨), 2005/0008642(2005년 1월 13일 공개됨), 2004/0228859(2004년 11월 18일 공개됨)로서, 이는 비제한적으로, 예를 들어, 그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항체 1A(DSMZ 기탁 번호 DSM ACC 2586), 항체 8(DSMZ 기탁 번호 DSM ACC 2589), 항체 23(DSMZ 기탁 번호 DSM ACC 2588) 및 항체 18을 포함한다;
(ii) PCT 공개 번호 WO 06/138729(2006년 12월 28일 공개됨) 및 WO 05/016970(2005년 2월 24일 공개됨) 및 문헌[Lu 등, 2004, J Biol. Chem. 279:2856-2865]으로서, 이는 비제한적으로 그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항체 2F8, A12 및 IMC-A12를 포함한다;
(iii) PCT 공개 번호 WO 07/012614(2007년 2월 1일 공개됨), WO 07/000328(2007년 1월 4일 공개됨), WO 06/013472(2006년 2월 9일 공개됨), WO 05/058967(2005년 6월 30일 공개됨) 및 WO 03/059951(2003년 7월 24일 공개됨);
(iv) 미국 공개 번호 2005/0084906(2005년 4월 21일 공개됨)으로서, 이는 비제한적으로, 그러한 문헌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항체 7C10, 키메라 항체 C7C10, 항체 h7C10, 항체 7H2M, 키메라 항체 *7C10, 항체 GM 607, 인간화된 항체 7C10 버전 1, 인간화된 항체 7C10 버전 2, 인간화된 항체 7C10 버전 3 및 항체 7H2HM을 포함한다;
(v) 미국 공개 번호 2005/0249728(2005년 11월 10일 공개됨), 2005/0186203(2005년 8월 25일 공개됨), 2004/0265307(2004년 12월 30일 공개됨) 및 2003/0235582(2003년 12월 25일 공개됨), 및 문헌[Maloney 등, 2003, Cancer Res. 63:5073-5083]으로서, 이는 비제한적으로 그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항체 EM164, 재표면화된 EM164, 인간화된 EM164, huEM164 v1.0, huEM164 v1.1, huEM164 v1.2 및 huEM164 v1.3을 포함한다;
(vi) 미국 특허 번호 7,037,498(2006년 5월 2일 발행됨), 미국 공개 번호 2005/0244408(2005년 11월 30일 공개됨) 및 2004/0086503(2004년 5월 6일 공개됨), 및 문헌[Cohen, 등, 2005, Clinical Cancer Res. 11:2063-2073]으로서, 예를 들어, 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제한적으로, ATCC 취득 번호 PTA-2792, PTA-2788, PTA-2790, PTA-2791, PTA-2789, PTA-2793을 갖는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생성되는 항체의 각각을 포함하는, 항체 CP-751,871, 및 항체 2.12.1, 2.13.2, 2.14.3, 3.1.1, 4.9.2 및 4.17.3;
(vii) 미국 공개 번호 2005/0136063(2005년 6월 23일 공개됨) 및 2004/0018191(2004년 1월 29일 공개됨)로서, 이는 비제한적으로, 그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항체 19D12, 및 PTA-5214 번호로 ATCC에 기탁된, 플라스미드 15H12/19D12 HCA(γ4)에서 폴리뉴클레오타이드에 의해 인코딩되는 중쇄, 및 PTA-5220 번호로 ATCC에 기탁된, 플라스미드15H12/19D12 LCF(κ)에서 폴리뉴클레오타이드에 의해 인코딩되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하고;
(viii) 미국 공개 번호 2004/0202655(2004년 10월 14일 공개됨)로서, 이는 비제한적으로, 그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항체 PINT-6A1, PINT-7A2, PINT-7A4, PINT-7A5, PINT-7A6, PINT-8A1, PINT-9A2, PINT-11A1, PINT-11A2, PINT-11A3, PINT-11A4, PINT-11A5, PINT-11A7, PINT-11A12, PINT-12A1, PINT-12A2, PINT-12A3, PINT-12A4, 및 PINT-12A5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 및 전부는, 특히 IGF-1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전술한 항체, 펩티바디 및 관련된 단백질 등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그 전체가 참고로 포함되고;
B-7 관련된 단백질 1 특이적 항체, 펩티바디, 관련된 단백질 등("B7RP-1"은 또한 문헌에서 B7H2, ICOSL, B7h 및 CD275로서 지칭됨), 특히 B7RP-특이적 완전 인간 모노클로날 IgG2 항체, 특히 B7RP-1의 제1 면역글로불린-유사 도메인에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완전 인간 IgG2 모노클로날 항체, 특히 활성화된 T 세포 상에서 B7RP-1의 그의 천연 수용체(ICOS)와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것들, 특히, 상술한 것 전부와 관련하여, 미국 공개 번호 2008/0166352 및 PCT 공개 번호 WO 07/011941에 개시된 것들(그러한 문헌은 비제한적으로 하기 기재된 바와 같이 그러한 문헌에 지정된 항체를 포함한, 전술한 항체 및 관련된 단백질에 관해서 본원에서 그 전체가 참고로서 인용되며, 이들 각각은 전술한 미국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서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포함됨): 16H(그 문헌에서 각각 시퀀스 식별 번호:1 및 시퀀스 식별 번호:7의 경쇄 가변 및 중쇄 가변 서열을 가짐); 5D(그 문헌에서 각각 시퀀스 식별 번호:2 및 시퀀스 식별 번호:9의 경쇄 가변 및 중쇄 가변 서열을 가짐); 2H(그 문헌에서 각각 시퀀스 식별 번호:3 및 시퀀스 식별 번호:10의 경쇄 가변 및 중쇄 가변 서열을 가짐); 43H(그 문헌에서 각각 시퀀스 식별 번호:6 및 시퀀스 식별 번호:14의 경쇄 가변 및 중쇄 가변 서열을 가짐); 41H(그 문헌에서 각각 시퀀스 식별 번호:5 및 시퀀스 식별 번호:13의 경쇄 가변 및 중쇄 가변 서열을 가짐); 및 15H(그 문헌에서 각각 시퀀스 식별 번호:4 및 시퀀스 식별 번호:12의 경쇄 가변 및 중쇄 가변 서열을 가짐);
IL-15 특이적 항체, 펩티바디 및 관련된 단백질 등, 예컨대, 특히 인간화된 모노클로날 항체, 특히 미국 공개 번호 2003/0138421, 2003/023586 및 2004/0071702, 및 미국 특허 번호 7,153,507에 개시된 것과 같은 항체(이들 각각은 특히,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HuMax IL-15 항체 및 관련된 단백질, 예컨대, 예를 들어, 146B7을 포함하는, 펩티바디를 포함하는, IL-15 특이적 항체 및 관련된 단백질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그 전체가 참고로서 포함됨);
IFN 감마 특이적 항체, 펩티바디 및 관련된 단백질 등, 특히 인간 IFN 감마 특이적 항체, 특히 완전 인간 항-IFN 감마 항체, 예컨대, 예를 들어 미국 공개 번호 2005/0004353에 기재된 것들(그러한 문헌은 IFN 감마 특이적 항체, 특히, 예를 들어 그러한 문헌에서 1118; 1118*; 1119; 1121; 및 1121*로 지정된 항체와 관련하여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서 포함된다. 이들 항체 각각의 중쇄 및 경쇄의 전체 서열뿐만 아니라 그의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 및 상보성 결정 영역의 서열은 상기 미국 공보 및 문헌[Thakur 등, (1999), Mol. Immunol. 36:1107-111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서 각각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포함된다. 또한, 전술한 공보에 제공된 이들 항체의 특성에 관한 설명은 또한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서 포함된다. 특이적 항체는, 전술한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시퀀스 식별 번호:17의 중쇄 및 시퀀스 식별 번호:18의 경쇄를 갖는 것들; 시퀀스 식별 번호:6의 중쇄 가변 영역 및 시퀀스 식별 번호:8의 경쇄 가변 영역을 갖는 것들; 시퀀스 식별 번호:19의 중쇄 및 시퀀스 식별 번호:20의 경쇄를 갖는 것들; 시퀀스 식별 번호:10의 중쇄 가변 영역 및 시퀀스 식별 번호:12의 경쇄 가변 영역을 갖는 것들; 시퀀스 식별 번호:32의 중쇄 및 시퀀스 식별 번호:20의 경쇄를 갖는 것들; 시퀀스 식별 번호:30의 중쇄 가변 영역 및 시퀀스 식별 번호:12의 경쇄 가변 영역을 갖는 것들; 시퀀스 식별 번호:21의 중쇄 서열 및 시퀀스 식별 번호:22의 경쇄 서열을 갖는 것들; 시퀀스 식별 번호:14의 중쇄 가변 영역 및 시퀀스 식별 번호:16의 경쇄 가변 영역을 갖는 것들; 시퀀스 식별 번호:21의 중쇄 및 시퀀스 식별 번호:33의 경쇄를 갖는 것들; 및 시퀀스 식별 번호:14의 중쇄 가변 영역 및 시퀀스 식별 번호:31의 경쇄 가변 영역을 갖는 것들을 포함한다. 고려되는 특이적 항체는 전술한 미국 공보에 개시된 항체 1119이고, 이는 그러한 문헌에서 개시된 시퀀스 식별 번호: 17의 완전한 중쇄를 갖고, 그러한 문헌에 개시된 시퀀스 식별 번호: 18의 완전한 경쇄를 갖는다);
TALL-1 특이적 항체, 펩티바디 및 관련된 단백질 등, 및 다른 TALL 특이적 결합 단백질, 예컨대 미국 공개 번호 2003/0195156 및 2006/0135431에 기재된 것들(이들 각각은 TALL-1 결합 단백질, 특히 표 4 및 표 5B의 분자에 관해서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서 포함되며, 이들 각각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구체적으로 전술한 공보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그 전체가 완전히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됨);
부갑상선 호르몬("PTH") 특이적 항체, 펩티바디 및 관련된 단백질 등, 예컨대 미국 특허 번호 6,756,480에 기재된 것들(이는 특히 PTH에 결합하는 단백질과 관련된 부분에서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서 포함됨);
트롬보포이에틴 수용체("TPO-R") 특이적 항체, 펩티바디 및 관련된 단백질 등, 예컨대 미국 특허 번호 6,835,809에 기재된 것들(이는 특히 TPO-R을 결합하는 단백질과 관련된 부분에서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서 포함됨);
HGF/SF:cMet 축(HGF/SF:c-Met)을 표적으로 하는 것들, 예컨대 미국 공개 번호 2005/0118643 및 PCT 공개 번호 WO 2005/017107에 기재된 간세포 성장 인자/스캐터(HGF/SF)를 중화시키는 완전 인간 모노클로날 항체, 미국 특허 번호 7,220,410에 기재된 huL2G7, 및 미국 특허 번호 5,686,292 및 6,468,529 및 PCT 공개 번호 WO 96/38557에 기재된 OA-5d5를 포함하는, 간세포 성장 인자("HGF") 특이적 항체, 펩티바디 및 관련 단백질 등(전술한 문헌의 각각은 특히 HGF에 결합하는 단백질과 관련된 부분에서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서 포함됨);
TRAIL-R2 특이적 항체, 펩티바디, 관련된 단백질 등, 예컨대 미국 특허 번호 7,521,048에 기재된 것들(이는 특히 TRAIL-R2에 결합하는 단백질과 관련된 부분에서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서 포함됨);
비제한적으로 미국 공개 번호 2009/0234106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하는, 액티빈 A 특이적 항체, 펩티바디, 관련 단백질 등(그러한 문헌은 특히 액티빈 A에 결합하는 단백질과 관련된 부분에서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서 포함됨);
비제한적으로 미국 특허 번호 6,803,453 및 미국 공개 번호 2007/0110747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하는, TGF-베타 특이적 항체, 펩티바디, 관련 단백질 등(그러한 문헌의 각각은 특히 TGF-베타에 결합하는 단백질과 관련된 부분에서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서 포함됨);
비제한적으로 PCT 공개 번호 WO 2006/081171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 특이적 항체, 펩티바디, 관련 단백질 등(그러한 문헌은 특히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에 결합하는 단백질과 관련된 부분에서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서 포함된다. 고려되는 하나의 항체는 전술한 공보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시퀀스 식별 번호:8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시퀀스 식별 번호:6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갖는 항체이다);
비제한적으로, 미국 공개 번호 2007/0253951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하는, c-Kit 특이적 항체, 펩티바디, 관련 단백질 등(그러한 문헌은 특히 c-Kit 및/또는 다른 줄기 세포 인자 수용체에 결합하는 단백질과 관련된 부분에서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서 포함됨);
비제한적으로 미국 공개 번호 2006/0002929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하는, OX40L 특이적 항체, 펩티바디, 관련된 단백질 등(그러한 문헌은 OX40L 및/또는 OXO40 수용체의 다른 리간드에 결합하는 단백질과 관련된 부분에서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서 포함됨); 및
다른 예시적인 단백질, 예컨데 Activase®(알테플라제, tPA); Aranesp®(다베포에틴 알파); Epogen®(에포에틴 알파 또는 에리트로포이에틴); GLP-1, Avonex®(인터페론 베타-1a); Bexxar®(토시투모맙, 항-CD22 모노클로날 항체); Betaseron®(인터페론-베타); Campath®(알렘투주맙, 항-CD52 모노클로날 항체); Dynepo®(에포에틴 델타); Velcade®(보르테조밉); MLN0002(항-α4β7 mAb); MLN1202 (항-CCR2 케모카인 수용체 mAb); Enbrel®(에타네르셉트, TNF-수용체/Fc 융합 단백질, TNF 차단제); Eprex®(에포에틴 알파); Erbitux®(세툭시맙, 항-EGFR/HER1/c-ErbB-1); Genotropin®(소마트로핀, 인간 성장 호르몬); Herceptin®(트라스투주맙, 항-HER2/neu(erbB2) 수용체 mAb); Humatrope®(소마트로핀, 인간 성장 호르몬); Humira®(아달리무맙); 용액 인슐린; Infergen®(인터페론 알파콘-1); Natrecor® (네시리타이드; 재조합 인간 B-유형 나트륨이뇨 펩타이드(hBNP); Kineret®(아나킨라); Leukine®(사르가모스팀, rhuGM-CSF); LymphoCide®(에프라투주맙, 항-CD22 mAb); BenlystaTM(림포스타트 B, 벨리무맙, 항-BlyS mAb); Metalyse®(테넥테플라제, t-PA 유사체); Mircera®(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에포에틴 베타); Mylotarg®(젬투주맙 오조가마이신); Raptiva®(에팔리주맙); Cimzia®(세르톨리주맙 페골, CDP 870); SolirisTM(에쿨리주맙); 펙셀리주맙(항-C5 보체); Numax®(MEDI-524); Lucentis®(라니비주맙); Panorex®(17-1A, 에드레콜로맙); Trabio®(레르델리무맙); TheraCim hR3(니모투주맙);Omnitarg(퍼투주맙, 2C4); Osidem®(IDM-1); OvaRex®(B43.13); Nuvion®(비실리주맙); 칸투주맙 메르탄신(huC242-DM1); NeoRecormon®(에포에틴 베타); Neumega®(오프렐베킨, 인간 인터루킨-11); Neulasta®(페길화된 필가스트림, 페길화된 G-CSF, 페길화된 hu-Met-G-CSF); Neupogen®(필그라스팀, G-CSF, hu-MetG-CSF); Orthoclone OKT3®(무로모납-CD3, 항-CD3 모노클로날 항체); Procrit®(에포에틴 알파); Remicade®(인플릭시맙, 항-TNFα 모노클로날 항체); Reopro®(압식시맙, 항-GP lIb/Ilia 수용체 모노클로날 항체); Actemra®(항-IL6 수용체 mAb); Avastin®(베바시주맙), HuMax-CD4(자놀리무맙); Rituxan®(리툭시맙, 항-CD20 mAb); Tarceva®(에를로티닙); Roferon-A®(인터페론 알파-2a); Simulect®(바실릭시맙); Prexige®(루미라콕십); Synagis®(팔리비주맙); 146B7-CHO(항-IL15 항체, 미국 특허 번호 7,153,507 참고); Tysabri®(나탈리주맙, 항-α4인테그린 mAb); Valortim®(MDX-1303, 항-B. 안트라시스 보호 항원 mAb); ABthraxTM;Vectibix®(파니투무맙); Xolair®(오말리주맙); ETI211(항-MRSA mAb); IL-1 트랩(인간 IgG1의 Fc 부분 및 IL-1 수용체 성분 모두(유형 I 수용체 및 수용체 보조 단백질)의 세포외 도메인); VEGF 트랩(IgG1 Fc에 융합된 VEGFR1의 Ig 도메인); Zenapax®(다클리주맙); Zenapax®(다클리주맙, 항-IL-2Rα mAb); Zevalin®(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Zetia®(에제티마이브); Orencia®(아타시셉트, TACI-Ig); 항-CD80 모노클로날 항체(갈릭시맙); 항-CD23 mAb(루밀릭시맙); BR2-Fc(huBR3 / huFc 융합 단백질, 가용성 BAFF 길항제); CNTO 148(골리무맙, 항-TNFα mAb); HGSETR1(마파투무맙; 인간 항-TRAIL 수용체-1 mAb); HuMax-CD20(오크렐리주맙, 항-CD20 인간 mAb); HuMax-EGFR(잘루투무맙); M200(볼록식시맙, 항-α5β1 인테그린 mAb); MDX-010(이필리무맙, 항-CTLA-4 mAb 및 VEGFR-1 (IMC-18F1); 항-BR3 mAb; 항-C. 디시실르 독소 A 및 독소 B C mAbs MDX-066 (CDA-1) 및 MDX-1388); 항-CD22 dsFv-PE38 콘주게이트(CAT-3888 및 CAT-8015); 항-CD25 mAb(HuMax-TAC); 항-CD3 mAb(NI-0401); 아데카투무맙; 항-CD30 mAb(MDX-060); MDX-1333(항-IFNAR); 항-CD38 mAb(HuMax CD38); 항-CD40L mAb; 항-크립토 mAb; 항-CTGF 특발성 폐 섬유증 상 I 피브로겐(FG-3019); 항-CTLA4 mAb; 항-에오탁신1 mAb(CAT-213); 항-FGF8 mAb; 항-강글리오사이드 GD2 mAb; 항-강글리오사이드 GM2 mAb; 항-GDF-8 인간 mAb(MYO-029); 항-GM-CSF 수용체 mAb(CAM-3001); 항-HepC mAb(HuMax HepC); 항-IFNα mAb(MEDI-545, MDX-1103); 항-IGF1R mAb; 항-IGF-1R mAb(HuMax-Inflam); 항-IL12 mAb(ABT-874); 항-IL12/IL23 mAb(CNTO 1275); 항-IL13 mAb(CAT-354); 항-IL2Ra mAb(HuMax-TAC); 항-IL5 수용체 mAb; 항-인테그린 수용체 mAb(MDX-018, CNTO 95); 항-IP10 궤양성 대장염 mAb(MDX-1100); 항-LLY 항체; BMS-66513; 항-만노스 수용체/hCGβ mAb(MDX-1307); 항-메소텔린 dsFv-PE38 콘주게이트(CAT-5001); 항-PD1mAb(MDX-1106 (ONO-4538)); 항-PDGFRα 항체(IMC-3G3); 항-TGFβ mAb(GC-1008); 항-TRAIL 수용체-2 인간 mAb(HGS-ETR2); 항-TWEAK mAb; 항-VEGFR/Flt-1 mAb; 항-ZP3 mAb(HuMax-ZP3); NVS 항체 #1; 및 NVS 항체 #2.
또한, 비제한적으로, 로모소주맙, 블로소주맙, 또는 BPS 804(노바티스)와 같은, 스클레로스틴 항체가 포함될 수 있다. 릴로투무맙, 빅살로머, 트레바나닙, 가니투맙, 코나투무맙, 이인산염 모테사닙, 브로달루맙, 비두피프란트, 파니투무맙, 데노수맙, NPLATE, PROLIA, VECTIBIX 또는 XGEVA와 같은 치료제들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장치에는 인간 전구단백질 전환효소 서브틸리신/켁신 타입 9(PCSK9)에 결합하는 모노클로날 항체(IgG)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한 PCSK9 특정 항체는, 비제한적으로, 각각의 전체가 모든 목적을 위해서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이하의 특허 또는 특허 출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분자, 변형체, 유사체, 또는 이의 유도체, 및 Repatha®(에볼로쿠맙) 및 Praluent®(알리로쿠맙)을 포함한다: 미국 특허 번호 8,030,547, 미국 공개 번호 2013/0064825, WO2008/057457, WO2008/057458, WO2008/057459, WO2008/063382, WO2008/133647, WO2009/100297, WO2009/100318, WO2011/037791, WO2011/053759, WO2011/053783, WO2008/125623, WO2011/072263, WO2009/055783, WO2012/0544438, WO2010/029513, WO2011/111007, WO2010/077854, WO2012/088313, WO2012/101251, WO2012/101252, WO2012/101253, WO2012/109530, 및 WO2001/031007.
흑색종 또는 다른 암의 치료를 위해 탈리모겐 라허파렙벡(talimogene laherparepvec) 또는 다른 온콜리틱(oncolytic) HSV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온콜리틱 HSV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탈리모겐 라허파렙벡(미국 특허 번호 7,223,593 및 7,537,924); OncoVEXGALV/CD(미국 특허 번호 7,981,669); OrienX010(Lei 등, (2013), World J. Gastroenterol., 19:5138-5143)); G207, 1716; NV1020; NV12023; NV1034 및 NV1042(Vargehes 등, (2002), Cancer Gene Ther., 9(12):967-978)를 포함한다.
TIMP가 또한 포함된다. TIMP는 금속 단백질 분해효소들의 내생 조직 억제제(TIMP)이며 많은 자연 프로세스에서 중요하다. TIMP-3은 다양한 세포에 의해 발현되거나 또는 세포 밖 매트릭스에 존재하고; 그것은 모든 주요 연골-퇴화 금속단백질분해효소를 억제하며, 류마티스 관절염 및 골관절염을 포함하는, 결합 조직의 많은 퇴화 질병에서의, 뿐만 아니라, 암 및 심혈관 질환에서 역할을 할 수 있다. TIMP-3의 아미노산 서열, 및 TIMP-3를 인코딩하는 DNA의 핵산 서열은 2003년 5월 13일에 허여된, 미국 특허 번호 6,562,596에 개시되며, 그 개시 내용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TIMP 돌연변이에 관한 설명은 미국 공개 번호 2014/0274874호 및 PCT 공개 번호 WO 2014/152012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간 칼시토닌 유전자-관련 펩타이드(CGRP) 수용체 및 CGRP 수용체 및 다른 두통 표적들을 표적화는 2중 특이적 항체 분자에 대한 길항적 항체들이 포함된다. 이러한 분자에 대한 추가 정보가 PCT 출원 번호 WO 2010/075238에서 확인될 수 있다.
또한, 2중 특이적 T 세포 관여 (BiTE®) 항체, 예를 들어, BLINCYTO®(블리나투모맙)이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APJ 대형 분자 작용제, 예를 들어, 아펠린 또는 그 유사물이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분자에 관한 정보는 PCT 공개 번호 WO 2014/099984에서 확인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들에서, 약제는 치료적 유효량의 항-흉선 기질상 림포포이에틴(TSLP) 또는 TSLP 수용체 항체를 포함한다. 그러한 실시형태들에서 이용될 수 있는 항-TSLP 항체들의 예가, 비제한적으로, 미국 특허 번호 7,982,016 및 8,232,372, 그리고 미국 공개 번호 2009/0186022에 설명된 것들을 포함한다. 항-TSLP 수용체 항체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미국 특허 번호 8,101,182에 설명된 것들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서, 약제는 미국 특허 번호 7,982,016호에서 A5로서 지정된 치료적 유효량의 항-TSLP 항체를 포함한다.
비록 약물 전달 장치, 방법 및 이의 구성 요소를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고, 본 발명의 모든 가능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는 않는데, 이는 모든 가능한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것이, 불가능하지 않더라도, 비현실적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을 규정하는 청구항 범위에 여전히 포함될 수 있는 수 많은 대안적인 실시형태가, 현재의 기술 또는 본 특허의 출원일 이후에 개발되는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상의 주입기 약물 전달 장치 또는 다른 종류의 약물 전달 장치와 같은, 특정 종류의 약물 전달 장치를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 요소는 또한 자동 주입기 약물 전달 장치와 같은 다른 종류의 약물 전달 장치에서 이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매우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조합이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그러한 수정, 변경, 및 조합이 발명의 개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여겨질 것이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4)

  1. 물 전달 장치로서,
    근위 단부, 원위 단부, 상기 근위 단부와 상기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을 갖는 쉘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근위 단부에서 상기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약제를 포함하는 주사기 몸통 및 바늘 또는 캐뉼라를 포함하는, 바늘 조립체;
    상기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바늘 조립체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어, 상기 약제를 상기 바늘 또는 캐뉼라를 통해서 압박하는 구동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의 원위 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구동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상기 구동 조립체의 작동 시에 상기 구동 조립체의 영향을 감쇠시키는, 댐퍼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메커니즘은,
    프레임 부재;
    상기 구동 조립체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댐퍼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의 일부와 상기 댐퍼 부재 사이에 형성된 챔버; 및
    상기 프레임 부재와 상기 댐퍼 부재 사이에 형성된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된 댐퍼 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조립체의 활성화시에, 상기 프레임 부재 및 상기 댐퍼 부재가 서로에 대해서 회전되고, 상기 댐퍼 유체는 상기 프레임 부재 및 상기 댐퍼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향 힘을 인가하는, 약물 전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가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약물 전달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되고, 과다 댐퍼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여분 챔버를 더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유체를 상기 챔버 내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챔버 부근에 배치되는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길이방향 축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약물 전달 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길이방향 축과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부분적으로 횡방향으로 정렬되는, 약물 전달 장치.
  8.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길이방향 축과 횡방향으로 정렬되는, 약물 전달 장치.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는,
    나사산형 플런저 로드, 및 상기 바늘 조립체 부근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는 플런저 면을 포함하는 플런저 조립체;
    상기 플런저 조립체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서 상기 플런저 조립체에 커플링되고, 추가로 상기 프레임 부재 또는 상기 댐퍼 부재 중 하나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플런저 로드 안내부; 및
    상기 플런저 로드 안내부가 회전되게 하는 힘을 상기 플런저 로드 안내부에 인가하기 위해서 상기 플런저 로드 안내부에 커플링된 토크 스프링으로서, 상기 플런저 로드 안내부의 회전은 상기 플런저 조립체가 상기 하우징의 근위 단부를 향해서 진행되어 상기 약제를 상기 바늘 조립체를 통해서 압박하게 하는, 토크 스프링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조립체는 상기 나사산형 플런저 로드와 상기 플런저 면 사이에서 10 mm보다 큰 간격을 포함하고, 상기 주사기 몸통은 적어도 약 4 cP의 점도를 갖는 적어도 약 1 mL의 약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약물 전달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메커니즘은 상기 구동 조립체에 대향 힘을 인가하는, 약물 전달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메커니즘은 상기 구동 조립체와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향 힘을 인가하는, 약물 전달 장치.
  13. 약물 전달 장치용 댐퍼 메커니즘으로서,
    프레임 부재;
    상기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조립체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댐퍼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의 일부와 상기 댐퍼 부재 사이에 형성된 챔버; 및
    상기 프레임 부재와 상기 댐퍼 부재 사이에 형성된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된 댐퍼 유체를 포함하고,
    약제를 사용자에게 투약하기 위한 상기 약물 전달 장치의 활성화시에, 상기 프레임 부재 및 상기 댐퍼 부재가 서로에 대해서 회전되고, 상기 댐퍼 유체는 상기 프레임 부재 및 상기 댐퍼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향 힘을 인가하는, 댐퍼 메커니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가 상기 약물 전달 장치의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댐퍼 메커니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부재는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는 채널 내로 내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댐퍼 메커니즘.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개구부를 갖는 세장형 플랫폼을 형성하고, 상기 댐퍼 부재는 상기 플랫폼 개구부를 통해서 배치되는 돌출부를 갖는 디스크를 형성하고, 상기 챔버는 상기 세장형 플랫폼과 상기 디스크 사이의 부피에 의해서 형성되는, 댐퍼 메커니즘.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되고, 과다 댐퍼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여분 챔버를 더 포함하는, 댐퍼 메커니즘.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유체를 상기 챔버 내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챔버 부근에 배치되는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댐퍼 메커니즘.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길이방향 축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댐퍼 메커니즘.
  20.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길이방향 축과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부분적으로 횡방향으로 정렬되는, 댐퍼 메커니즘.
  21.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길이방향 축과 횡방향으로 정렬되는, 댐퍼 메커니즘.
  22. 제13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조립체는 약물 전달 장치의 하우징 또는 상기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댐퍼 메커니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메커니즘은 축방향 조립을 통해서 상기 약물 전달 장치에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댐퍼 메커니즘.
  24. 근위 단부, 원위 단부, 상기 근위 단부와 상기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을 갖는 쉘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근위 단부에서 상기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약제를 포함하는 주사기 몸통 및 바늘 또는 캐뉼라를 포함하는, 바늘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바늘 조립체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어 상기 약제를 상기 바늘 또는 캐뉼라를 통해서 압박하며, 플런저 로드 및 상기 바늘 조립체 부근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는 플런저 면을 가지는 플런저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동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주사기 몸통은 적어도 약 4 cP의 점도를 갖는 적어도 약 1 mL의 약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런저 로드 및 상기 플런저 면은 약 10 mm 초과의 초기 간격을 가지는, 자동 주입기.



KR1020217013893A 2018-10-15 2019-10-15 댐핑 메커니즘을 갖는 약물 전달 장치 KR202100769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45813P 2018-10-15 2018-10-15
US62/745,813 2018-10-15
PCT/US2019/056174 WO2020081479A1 (en) 2018-10-15 2019-10-15 Drug delivery device having damping mechanis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935A true KR20210076935A (ko) 2021-06-24

Family

ID=6842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893A KR20210076935A (ko) 2018-10-15 2019-10-15 댐핑 메커니즘을 갖는 약물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20200114082A1 (ko)
EP (1) EP3866890A1 (ko)
JP (1) JP2022504769A (ko)
KR (1) KR20210076935A (ko)
CN (2) CN117138169A (ko)
AR (1) AR116704A1 (ko)
AU (1) AU2019361919A1 (ko)
BR (1) BR112021007016A2 (ko)
CA (1) CA3112355A1 (ko)
CL (1) CL2021000891A1 (ko)
EA (1) EA202191037A1 (ko)
IL (1) IL281894A (ko)
MA (1) MA53912A (ko)
MX (1) MX2021004219A (ko)
SG (1) SG11202103800RA (ko)
TW (1) TW202021633A (ko)
WO (1) WO2020081479A1 (ko)
ZA (1) ZA2021015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6288A1 (de) * 2018-09-19 2020-03-25 Tecpharma Licensing AG Elektronisches zusatzmodul für injektionsgeräte
CR20220457A (es) 2020-02-13 2023-01-09 Amgen Inc Formulaciones de anticuerpos anti-tslp humanos y métodos de tratamiento de una enfermedad inflamatoria
IL295511A (en) 2020-02-18 2022-10-01 Amgen Inc Formulations of human anti-tslp antibodies and methods of using them
WO2022146931A1 (en) * 2021-01-03 2022-07-07 Fpin Llc Damped autoinjectors
EP4326762A2 (en) 2021-04-23 2024-02-28 Amgen Inc. Modified anti-tslp antibodies
CN117203233A (zh) 2021-04-23 2023-12-08 美国安进公司 抗tslp抗体组合物及其用途
WO2024092064A1 (en) 2022-10-26 2024-05-02 Amgen Inc. Anti-tslp antibody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10501A (en) 1983-12-13 1991-08-27 Kirin Amgen Inc Erythropoietin produced by procaryotic or eucaryotic expression of an exogenous dna sequence
US4703008A (en) 1983-12-13 1987-10-27 Kiren-Amgen, Inc. DNA sequences encoding erythropoietin
KR850004274A (ko) 1983-12-13 1985-07-11 원본미기재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제조방법
AU646822B2 (en) 1989-10-13 1994-03-10 Kirin-Amgen Inc. Erythropoietin isoforms
US7217689B1 (en) 1989-10-13 2007-05-15 Amgen Inc. Glycosylation analogs of erythropoietin
US5856298A (en) 1989-10-13 1999-01-05 Amgen Inc. Erythropoietin isoforms
IL110669A (en) 1993-08-17 2008-11-26 Kirin Amgen Inc Erythropoietin analogs
US6562596B1 (en) 1993-10-06 2003-05-13 Amgen Inc.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type three (TIMP-3) composition and methods
US5773569A (en) 1993-11-19 1998-06-30 Affymax Technologies N.V. Compounds and peptides that bind to the erythropoietin receptor
US5830851A (en) 1993-11-19 1998-11-03 Affymax Technologies N.V. Methods of administering peptides that bind to the erythropoietin receptor
US5885574A (en) 1994-07-26 1999-03-23 Amgen Inc. Antibodies which activate an erythropoietin receptor
CA2195557C (en) 1994-08-12 2006-10-17 Shui-On Leung Immunoconjugates and humanized antibodies specific for b-cell lymphoma and leukemia cells
US5686292A (en) 1995-06-02 1997-11-11 Genentech, Inc. Hepatocyte growth factor receptor antagonist antibodies and uses thereof
US5767078A (en) 1995-06-07 1998-06-16 Johnson; Dana L. Agonist peptide dimers
DE69838552T2 (de) 1997-07-14 2008-05-21 Bolder Biotechnology, Inc., Louisville Derivate des wachstumshormons und verwandte proteine
US6753165B1 (en) 1999-01-14 2004-06-22 Bolder Biotechnology, Inc. Methods for making proteins containing free cysteine residues
KR100641969B1 (ko) 1997-07-23 2006-11-06 로셰 디아그노스틱스 게엠베하 내인성 유전자 활성화에 의한 에리트로포이에틴의제조방법
US6030086A (en) 1998-03-02 2000-02-2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lash tube reflector with arc guide
US6310078B1 (en) 1998-04-20 2001-10-30 Ortho-Mcneil Pharmaceutical, Inc. Substituted amino acids as erythropoietin mimetics
EP1088084B1 (en) 1998-06-15 2006-09-13 GTC Biotherapeutics, Inc. Erythropoietin analog-human serum albumin fusion protein
US20050181482A1 (en) 2004-02-12 2005-08-18 Meade Harry M.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n erythropoietin analog-human IgG fusion proteins in transgenic mammal milk
EP1124961B9 (en) 1998-10-23 2010-07-21 Kirin-Amgen Inc. Thrombopoietic compounds
DK1813624T3 (da) 1998-10-23 2010-11-22 Amgen Inc Fremgangsmåder og sammensætninger til forebyggelse og behandling af anæmi
SE9803662D0 (sv) * 1998-10-26 1998-10-26 Pharmacia & Upjohn Ab Autoinjector
DE69942782D1 (de) 1998-11-27 2010-10-28 Ucb Sa Zusammensetzungen und Verfahren zur Erhöhung der Knochenmineralisierung
EP1006184A1 (en) 1998-12-03 2000-06-07 F. Hoffmann-La Roche Ag IGF-1 receptor interacting proteins (IIPs) genes coding therefor and uses thereof
JP2002544123A (ja) 1999-04-14 2002-12-24 スミスクライン・ビーチャム・コーポレイション エリトロポイエチン受容体抗体
US7297680B2 (en) 1999-04-15 2007-11-20 Crucell Holland B.V. Compositions of erythropoietin isoforms comprising Lewis-X structures and high sialic acid content
CZ299516B6 (cs) 1999-07-02 2008-08-20 F. Hoffmann-La Roche Ag Konjugát erythropoetinového glykoproteinu, zpusobjeho výroby a použití a farmaceutická kompozice sjeho obsahem
JP2003512840A (ja) 1999-10-22 2003-04-08 ミレニアム・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ラット脳に由来する核酸分子およびプログラム細胞死モデル
JP2003514552A (ja) 1999-11-12 2003-04-22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トング 改善された性質を有するエリトロポエチンの形態
US20050202538A1 (en) 1999-11-12 2005-09-15 Merck Patent Gmbh Fc-erythropoietin fusion protein with improved pharmacokinetics
DE60107203T3 (de) 2000-01-21 2009-07-23 Biovex Ltd. Herpes-virusstämme für die gentherapie
AUPQ599700A0 (en) 2000-03-03 2000-03-23 Super Internet Site System Pty Ltd On-line geographical directory
US6586398B1 (en) 2000-04-07 2003-07-01 Amgen, Inc. Chemically modified novel erythropoietin stimulating protein compositions and methods
ES2306711T3 (es) 2000-04-21 2008-11-16 Amgen Inc. Metodo y composicion destinada a la prevencion y al tratamiento de la anemia.
US6756480B2 (en) 2000-04-27 2004-06-29 Amgen Inc. Modulators of receptors for parathyroid hormone and parathyroid hormone-related protein
US7078376B1 (en) 2000-08-11 2006-07-18 Baxter Healthcare S.A. Therapeutic methods for treating subjects with a recombinant erythropoietin having high activity and reduced side effects
AU2001273388B2 (en) 2000-09-08 2005-01-13 Gryphon Therapeutics, Inc. "Pseudo"-native chemical ligation
US7271689B1 (en) 2000-11-22 2007-09-18 Fonar Corporation Magnet structure
DE60144439D1 (de) 2000-12-20 2011-05-26 Hoffmann La Roche Konjugate von erythropoietin (epo) mit polyethylenglykol (peg)
PT1399483E (pt) 2001-01-05 2010-07-20 Pfizer Anticorpos contra o receptor do factor i de crescimento tipo insulina
EP1383927B1 (en) 2001-04-04 2009-07-08 GenOdyssee New polynucleotides and polypeptides of the erythropoietin gene
CN1970077A (zh) 2001-05-11 2007-05-30 安姆根有限公司 与tall-1结合的肽和相关分子
PT2087908T (pt) 2001-06-26 2018-07-16 Amgen Inc Anticorpos contra opgl
US6900292B2 (en) 2001-08-17 2005-05-31 Lee-Hwei K. Sun Fc fusion proteins of human erythropoietin with increased biological activities
EP1425389B1 (en) 2001-08-23 2011-11-02 Genmab A/S Human antibodies specific for interleukin 15 (il-15)
US7247304B2 (en) 2001-08-23 2007-07-24 Genmab A/S Methods of treating using anti-IL-15 antibodies
US6930086B2 (en) 2001-09-25 2005-08-16 Hoffmann-La Roche Inc. Diglycosylated erythropoietin
US7214660B2 (en) 2001-10-10 2007-05-08 Neose Technologies, Inc. Erythropoietin: remodeling and glycoconjugation of erythropoietin
US7521053B2 (en) 2001-10-11 2009-04-21 Amgen Inc. Angiopoietin-2 specific binding agents
US7138370B2 (en) 2001-10-11 2006-11-21 Amgen Inc. Specific binding agents of human angiopoietin-2
AU2002351746A1 (en) 2001-12-21 2003-07-15 Maxygen Aps Erythropoietin conjugates
US7241444B2 (en) 2002-01-18 2007-07-10 Pierre Fabre Medicament Anti-IGF-IR antibodies and uses thereof
CN100410275C (zh) 2002-01-18 2008-08-13 皮埃尔法布雷医药公司 新的抗igf-ir抗体及其应用
EP1470232A1 (en) 2002-01-31 2004-10-27 Oxford Biomedica (UK) Limited Physiologically regulated erythropoietin-expressing vector for the treatment of anaemia
GB0202252D0 (en) 2002-01-31 2002-03-20 Oxford Biomedica Ltd Anemia
WO2003080852A1 (en) 2002-03-26 2003-10-02 Lek Pharmaceutical And Chemical Company D.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desired erythropoietin glyco-isoform profile
WO2003083118A1 (fr) 2002-03-29 2003-10-09 Kumiai Chemical Industry Co., Ltd. Genes codant l'acetolactase synthase
WO2003084477A2 (en) 2002-03-29 2003-10-16 Centocor, Inc. Mammalian cdr mimetibodies, compositions, methods and uses
GB2403476A (en) 2002-05-13 2005-01-05 Modigenetech Ltd CTP-extended erythropoietin
US7217796B2 (en) 2002-05-24 2007-05-15 Schering Corporation Neutralizing human anti-IGFR antibody
US7538195B2 (en) 2002-06-14 2009-05-26 Immunogen Inc. Anti-IGF-I receptor antibody
US8034904B2 (en) 2002-06-14 2011-10-11 Immunogen Inc. Anti-IGF-I receptor antibody
AU2003256336A1 (en) 2002-06-28 2004-01-19 Centocor, Inc. Mammalian epo mimetic ch1 deleted mimetibodies, compositions, methods and uses
WO2004002417A2 (en) 2002-06-28 2004-01-08 Centocor, Inc. Mammalian ch1 deleted mimetibodies, compositions, methods and uses
WO2004009627A1 (en) 2002-07-19 2004-01-29 Cangene Corporation Pegylated erythropoietic compounds
JP4406607B2 (ja) 2002-08-26 2010-02-03 オンコセラピー・サイエンス株式会社 ペプチド及びこれを含む医薬
NZ605429A (en) 2002-09-06 2014-08-29 Amgen Inc Therapeutic human anti-il-1r1 monoclonal antibody
WO2005025606A1 (en) 2003-09-09 2005-03-24 Warren Pharmaceuticals, Inc. Long acting erythropoietins that maintain tissue protective activity of endogenous erythropoietin
AU2003253399B2 (en) 2002-09-11 2010-10-14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Hasylated polypeptides, especially hasylated erythropoietin
US6919426B2 (en) 2002-09-19 2005-07-19 Amgen Inc. Peptides and related molecules that modulate nerve growth factor activity
US7396913B2 (en) 2002-10-14 2008-07-08 Abbott Laboratories Erythropoietin receptor binding antibodies
TWI320716B (en) 2002-10-14 2010-02-21 Abbott Lab Erythropoietin receptor binding antibodies
US20040071694A1 (en) 2002-10-14 2004-04-15 Devries Peter J. Erythropoietin receptor binding antibodies
WO2004034988A2 (en) 2002-10-16 2004-04-29 Amgen Inc. Human anti-ifn-ϝ neutralizing antibodies as selective ifn-ϝ pathway inhibitors
US20040091961A1 (en) 2002-11-08 2004-05-13 Evans Glen A. Enhanced variants of erythropoietin and methods of use
EP2272864A3 (en) 2002-12-20 2011-02-16 Amgen Inc. Binding agents which inhibit myostatin
MXPA05009837A (es) 2003-03-14 2005-12-05 Pharmacia Corp Anticuerpos para el receptor del factor de crecimiento tipo insulina-i, para el tratamiento de canceres.
ES2383014T3 (es) 2003-04-02 2012-06-15 F. Hoffmann-La Roche Ag Anticuerpos contra el factor I de crecimiento similar a insulina y usos de los mismos
US7220410B2 (en) 2003-04-18 2007-05-22 Galaxy Biotech, Llc Monoclonal antibodies to hepatocyte growth factor
ES2527871T3 (es) 2003-05-01 2015-02-02 Imclone Llc Anticuerpos completamente humanos dirigidos contra el receptor del factor de crecimiento 1 similar a la insulina humana
TWI353991B (en) 2003-05-06 2011-12-11 Syntonix Pharmaceuticals Inc Immunoglobulin chimeric monomer-dimer hybrids
WO2004101611A2 (en) 2003-05-12 2004-11-25 Affymax, Inc. Peptides that bind to the erythropoietin receptor
EP1626983B8 (en) 2003-05-12 2010-12-22 Affymax, Inc. Novel poly (ethylene glycol) modified erythropoietin agonists and uses thereof
PT1629007E (pt) 2003-05-12 2009-05-06 Affymax Inc Péptidos novos que se ligam ao receptor da eritropoietina
US7074755B2 (en) 2003-05-17 2006-07-11 Centocor, Inc. Erythropoietin conjugate compounds with extended half-lives
JP2007537986A (ja) 2003-05-30 2007-12-27 セントカー・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を用いる新規なエリトロポエチン複合体の形成
US20050037390A1 (en) 2003-06-04 2005-02-17 Irm Llc, A Delaware Limited Liability Compan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ulating erythropoietin expression
AR046071A1 (es) 2003-07-10 2005-11-23 Hoffmann La Roche Anticuerpos contra el receptor i del factor de crecimiento de tipo insulinico y los usos de los mismos
DK1648509T3 (da) 2003-07-15 2013-01-07 Amgen Inc Humane anti-NGF-neutraliserende antistoffer som selektive NGF-pathway-inhibitorer
RS53476B (en) 2003-07-18 2014-12-31 Amgen Fremont Inc. Hepatocyte Growth Factor Binders
US20050019914A1 (en) 2003-07-24 2005-01-27 Aventis Pharma Deutschland Gmbh Perfusion process for producing erythropoietin
GB0317511D0 (en) 2003-07-25 2003-08-27 Biovex Ltd Viral vectors
US20070275871A1 (en) 2003-08-28 2007-11-29 Biorexis Technology, Inc. Epo Mimetic Peptides and Fusion Proteins
CN1890383A (zh) 2003-09-30 2007-01-03 森托科尔公司 人铰链核心模拟体、组合物、方法和用途
UA89481C2 (uk) 2003-09-30 2010-02-10 Центокор, Инк. Еритропоетинові міметичні шарнірно-серцевинні міметитіла людини, композиції, способи та застосування
CA2543982C (en) 2003-11-07 2013-01-08 Immunex Corporation Antibodies that bind interleukin-4 receptor
PE20050928A1 (es) 2003-11-21 2005-11-08 Schering Corp Combinaciones terapeuticas de anticuerpo anti-igfr1
AU2004293103C1 (en) 2003-11-24 2010-12-02 Ratiopharm Gmbh Glycopegylated erythropoietin
US8633157B2 (en) 2003-11-24 2014-01-21 Novo Nordisk A/S Glycopegylated erythropoietin
WO2005058967A2 (en) 2003-12-16 2005-06-30 Pierre Fabre Medicament Novel anti-insulin/igf-i hybrid receptor or anti-insulin/igf-i hybrid receptor and igf-ir antibodies and uses thereof
EP1548031A1 (en) 2003-12-22 2005-06-29 Dubai Genetics FZ-LLC Nature-identical erythropoietin
WO2005065239A2 (en) 2003-12-31 2005-07-21 Centocor, Inc. Novel recombinant proteins with n-terminal free thiol
KR20060124656A (ko) 2003-12-31 2006-12-05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개선된 약물동태를 가지는 Fc-에리스로포이에틴 융합단백질
US7423139B2 (en) 2004-01-20 2008-09-09 Insight Biopharmaceuticals Ltd. High level expression of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having a modified 5′-UTR
WO2005070451A1 (en) 2004-01-22 2005-08-04 Zafena Aktiebolag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non-glycosylated erythropoietin
WO2005084711A1 (fr) 2004-03-02 2005-09-15 Chengdu Institute Of Biological Products Erythropoietine recombinante pegylee a activite in vivo
WO2005092369A2 (en) 2004-03-11 2005-10-06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Conjugates of hydroxyethyl starch and erythropoietin
CA2560889A1 (en) 2004-03-23 2005-10-13 Sanjay D. Khare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 for human ox40l (cd 134l)
US20050227289A1 (en) 2004-04-09 2005-10-13 Reilly Edward B Antibodies to erythropoietin receptor and uses thereof
EP1737888A2 (en) 2004-04-23 2007-01-03 Cambridge Antibody Technology LTD Erythropoietin protein variants
GB2414404B (en) * 2004-05-28 2009-06-03 Cilag Ag Int Injection device
AU2005259689B2 (en) 2004-07-07 2011-10-06 H. Lundbeck A/S Novel carbamylated EPO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FR2873699B1 (fr) 2004-07-29 2009-08-21 Pierre Fabre Medicament Sa Nouveaux anticorps anti igf ir rt leurs utilisations
WO2006029094A2 (en) 2004-09-02 2006-03-16 Xencor, Inc. Erythropoietin derivatives with altered immunogenicity
CA2586915A1 (en) 2004-11-10 2006-05-18 Aplagen Gmbh Molecules which promote hematopoiesis
MY146381A (en) 2004-12-22 2012-08-15 Amgen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ing relating to anti-igf-1 receptor antibodies
EP1841455A1 (en) 2005-01-24 2007-10-10 Amgen Inc. Humanized anti-amyloid antibody
US7592429B2 (en) 2005-05-03 2009-09-22 Ucb Sa Sclerostin-binding antibody
CA2678008C (en) 2005-06-17 2013-07-30 Imclon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of treating a secondary bone tumor with anti-pdgfralpha antibodies
WO2007000328A1 (en) 2005-06-27 2007-01-04 Istituto Di Ricerche Di Biologia Molecolare P Angeletti Spa Antibodies that bind to an epitope on insulin-like growth factor 1 receptor and uses thereof
SI1915398T1 (sl) 2005-07-18 2016-07-29 Amgen Inc. Humana nevtralizacijska protitelesa proti b7rp1
FR2888850B1 (fr) 2005-07-22 2013-01-11 Pf Medicament Nouveaux anticorps anti-igf-ir et leurs applications
PE20071101A1 (es) 2005-08-31 2007-12-21 Amgen Inc Polipeptidos y anticuerpos
GB0603683D0 (en) 2006-02-23 2006-04-05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TWI395754B (zh) 2006-04-24 2013-05-11 Amgen Inc 人類化之c-kit抗體
MX2008014744A (es) 2006-05-19 2009-02-10 Glycofi Inc Composiciones de eritrocpoyetina.
CL2007002567A1 (es) 2006-09-08 2008-02-01 Amgen Inc Proteinas aisladas de enlace a activina a humana.
WO2008057457A2 (en) 2006-11-07 2008-05-15 Merck & Co., Inc. Antagonists of pcsk9
WO2008063382A2 (en) 2006-11-07 2008-05-29 Merck & Co., Inc. Antagonists of pcsk9
US20100040610A1 (en) 2006-11-07 2010-02-18 Ayesha Sitlani Antagonists of pcsk9
US20100150937A1 (en) 2006-11-07 2010-06-17 Sparrow Carl P Antagonists of pcsk9
EP2129690A1 (en) 2006-12-14 2009-12-09 Schering Corporation Engineered anti-tslp antibody
TW200906439A (en) 2007-04-13 2009-02-16 Novartis Ag Molecules and methods for modulating 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 9 (PCSK9)
EA201000006A1 (ru) 2007-06-20 2010-10-29 Айрм Ллк Способы и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лечения аллерг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US7982016B2 (en) 2007-09-10 2011-07-19 Amgen Inc. Antigen binding proteins capable of binding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JP2011501952A (ja) 2007-10-26 2011-01-20 シェーリ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脂質障害およびコレステロール障害を治療するための抗pcsk9および方法
UA101825C2 (ru) * 2008-01-11 2013-05-13 Юсб Фарма Са Шприц (варианты), шприцевая система, цилиндр шприца, концевой колпачок для защиты иглы шприца и система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вещества
AR070316A1 (es) 2008-02-07 2010-03-31 Merck & Co Inc Antagonistas de pcsk9 (proproteina subtilisina-kexina tipo 9)
AR070315A1 (es) 2008-02-07 2010-03-31 Merck & Co Inc Anticuerpos 1b20 antagonistas de pcsk9
DE102008011881A1 (de) * 2008-02-29 2009-09-10 Tecpharma Licensing Ag Leerschießgeschwindigkeitsbegrenzungsbremse
TWI516501B (zh) 2008-09-12 2016-01-11 禮納特神經系統科學公司 Pcsk9拮抗劑類
JO3672B1 (ar) 2008-12-15 2020-08-27 Regeneron Pharma أجسام مضادة بشرية عالية التفاعل الكيماوي بالنسبة لإنزيم سبتيليسين كنفرتيز بروبروتين / كيكسين نوع 9 (pcsk9).
JO3382B1 (ar) 2008-12-23 2019-03-13 Amgen Inc أجسام مضادة ترتبط مع مستقبل cgrp بشري
WO2011037791A1 (en) 2009-09-25 2011-03-31 Merck Sharp & Dohme Corp. Antagonists of pcsk9
CN102639150A (zh) 2009-10-30 2012-08-15 默沙东公司 Ax213和ax132 pcsk9拮抗剂和变体
AU2010313381A1 (en) 2009-10-30 2012-04-12 Merck Sharp & Dohme Corp. AX1 and AX189 PCSK9 antagonists and variants
AR079336A1 (es) 2009-12-11 2012-01-18 Irm Llc Antagonistas de la pro-proteina convertasa-subtilisina/quexina tipo 9 (pcsk9)
MX2012010481A (es) 2010-03-11 2012-10-09 Rinat Neuroscience Corp Anticuerpos con union de antigenos dependiente del ph.
EP2399627A1 (en) * 2010-06-28 2011-12-2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uto-injector
EP2593162B1 (en) * 2010-07-13 2015-06-03 Novo Nordisk A/S A piston rod foot
WO2012054438A1 (en) 2010-10-22 2012-04-26 Schering Corporation Anti-pcsk9
WO2012088313A1 (en) 2010-12-22 2012-06-28 Genentech, Inc. Anti-pcsk9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CN103476796A (zh) 2011-01-28 2013-12-25 赛诺菲 治疗特定受试者组的方法中使用的针对pcsk9的人抗体
BR112013020402A2 (pt) 2011-02-11 2018-09-25 Irm Llc antagonistas pcsk9
JOP20200043A1 (ar) 2011-05-10 2017-06-16 Amgen Inc طرق معالجة أو منع الاضطرابات المختصة بالكوليسترول
WO2014099984A1 (en) 2012-12-20 2014-06-26 Amgen Inc. Apj receptor agonists and uses thereof
SG10201804469RA (en) 2013-03-14 2018-06-28 Amgen Inc Variants of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type three (timp-3), compositions and methods
US20140274874A1 (en) 2013-03-14 2014-09-18 Amgen Inc. Variants of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type three (timp-3), compositions and methods
FR3036965B1 (fr) * 2015-06-05 2021-10-01 Aptar France Sas Autoinjecteur
CH711240A2 (de) * 2015-06-23 2016-12-30 Tecpharma Licensing Ag Autoinjektionsvorrichtung.
GB2541445B (en) * 2015-08-20 2018-04-18 Owen Mumford Ltd Injection device
CN106267474A (zh) * 2016-09-27 2017-01-04 严虎荣 一种自动注药胰岛素笔
MX2019014615A (es) * 2017-06-08 2020-02-07 Amgen Inc Dispositivo de administracion de farmacos accionado por par de torsion.
CH712774A2 (de) * 2017-11-21 2018-01-31 Tecpharma Licensing Ag Verzögerungseinrichtung für ein medizinisches Verabreichungs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L2021000891A1 (es) 2021-09-24
IL281894A (en) 2021-05-31
WO2020081479A1 (en) 2020-04-23
ZA202101532B (en) 2022-07-27
TW202021633A (zh) 2020-06-16
EP3866890A1 (en) 2021-08-25
EA202191037A1 (ru) 2021-08-05
BR112021007016A2 (pt) 2021-07-13
MX2021004219A (es) 2021-05-27
MA53912A (fr) 2022-01-19
CN112789073B (zh) 2023-09-15
JP2022504769A (ja) 2022-01-13
CN117138169A (zh) 2023-12-01
AR116704A1 (es) 2021-06-02
CN112789073A (zh) 2021-05-11
AU2019361919A1 (en) 2021-03-18
US20200114082A1 (en) 2020-04-16
SG11202103800RA (en) 2021-05-28
CA3112355A1 (en)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87257B2 (ja) 衝撃低減要素を有する自動注入器
US11904143B2 (en) Torque driven drug delivery device
US11571511B2 (en) Insertion mechanism and method of inserting a needle of a drug delivery device
KR20210076935A (ko) 댐핑 메커니즘을 갖는 약물 전달 장치
US11872374B2 (en) Drug delivery device having a needle guard mechanism with a tunable threshold of resistance to needle guard movement
US20210338936A1 (en) Drug delivery device having dose indicator
EA041074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имеющее демпферный механизм
WO2021071886A1 (en) Drug delivery device
TW202408605A (zh) 具有劑量指示器之藥物遞送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