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154A - 물체접근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물체접근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154A
KR20210067154A KR1020190156486A KR20190156486A KR20210067154A KR 20210067154 A KR20210067154 A KR 20210067154A KR 1020190156486 A KR1020190156486 A KR 1020190156486A KR 20190156486 A KR20190156486 A KR 20190156486A KR 20210067154 A KR20210067154 A KR 20210067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vehicle
strip
band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이규남
최도명
Original Assignee
황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6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7154A/ko
Publication of KR20210067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1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6Sealing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60J10/36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separately inserted fastening means, e.g. using clips, beads o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객체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트립이 개시된다. 차량용 스트립은 차량의 일 부분에 상기 차량용 스트립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차량용 스트림으로부터 특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포함하고, 감지부는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복수의 실드 전극들과 해당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고, 실드 전극들과 이격된 감지 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물체접근감지장치{Object Approach Detecting Apparatus}
실시예들은 객체 감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웨더 스트립(weather strip)은 차량의 도어를 닫을 때 외부로부터 물이나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도어와 차체 사이를 밀폐시켜 주기 위하여 도어나 차체에 장착된다. 이러한 웨더 스트립은 도어를 여닫을 때의 충격이나 운행 중에 도어가 진동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트렁크 룸의 밀폐를 위해 사용된다. 도어를 닫는 과정에서 손이나 발 등의 신체 일 부분, 가방이나 상자 등의 물품이 도어(특히 웨더 스트립)와 차체 사이에 끼게 되어 안전 사고나 물품 파손이 종종 일어난다. 따라서, 이러한 안전 사고나 물품 파손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은, 차량의 일 부분에 상기 차량용 스트립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차량용 스트림으로부터 특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복수의 실드 전극들; 및 상기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실드 전극들과 이격된 감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은, 상기 감지 전극에 의한 상기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전도성의 감지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 밴드는, 상기 실드 전극들 및 상기 감지 전극이 내재 또는 매립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감지 밴드는, 상기 고정부의 사이드 월의 외측에 결합되며, 단면이 아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감지 밴드와 상기 사이드 월 사이에 감지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 밴드 내에서, 상기 실드 전극들 사이에 상기 감지 전극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드 전극들은 각각 금속 와이어 또는 금속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 프레임 또는 스텝 장치에 상기 차량용 스트립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착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장착 홈을 형성하는 복수의 사이드 월들; 및 상기 사이드 월들과 함께 상기 장착 홈을 형성하며, 상기 사이드 월들과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 월들을 지지하는 월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사이드 월들 및 상기 월 서포터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인서트 코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장착 홈의 내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장착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사이드 월들 중 어느 일 사이드 월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은, 상기 실드 전극들을 둘러 싸고, 상기 실드 전극들에 의해 상기 전자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보조하는 전도성의 실드 밴드; 및 상기 감지 전극을 둘러 싸고, 상기 감지 전극에 의한 상기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전도성의 감지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드 밴드의 너비는 상기 감지 밴드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하측이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내측에 상기 실드 밴드와 상기 감지 밴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드 밴드에서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감지 밴드를 향하여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감지 밴드의 일 부분은 상기 실드 밴드를 향하여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감지 밴드의 일 부분은 상기 실드 밴드를 향하여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상기 감지부가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장착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단면의 형태가 환형 또는 D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은, 상기 차량용 스트립이 차량의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을 때, 상기 도어 프레임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과 상기 차량의 차체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차량용 스트립이 상기 차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부가 변형되면서 외력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거나 상기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밀착부의 내측 또는 상기 밀착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완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 단면도다.
도 1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이 차량의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d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e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에서 감지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c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에서 고정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d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이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e는 제5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f는 제6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이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제8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d는 제9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제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제10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제10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가 장착될 수 있는 차량용 스트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d는 제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이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e는 제1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f는 제1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제1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제1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 단면도다.
도 5c는 제1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이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단수의 표현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객체 감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용 스트립은 차량의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장착되어, 객체 감지 장치를 통해 차량의 도어가 닫힐 때 손이나 물품 등 객체가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여 도어가 닫히면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방지하거나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용 스트립은 웨더 스트립일 수 있다.
도 1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 단면도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은 고정부(200) 및 감지부(100)를 포함한다.
고정부(200)는 차량의 일 부분에 차량용 스트립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고정부(200)는 차량용 스트립이 차량의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고정부(200)에는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장착되기 위하여 하측이 개방된 장착 홈(250)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부(200)는 도 1a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2개의 사이드 월들(220, 230)과 월 서포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월들(220, 230) 각각의 상측단은 월 서포터(210)에 결합되어 있다. 사이드 월들(220, 230)과 월 서포터(210)에 의해 장착 홈(250)이 형성될 수 있다. 월 서포터(210)는 사이드 월들(220, 230)을 지지한다. 고정부(200)를 통해 차량용 스트립은 도어 프레임이나 스텝 장치에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사이드 월들(220, 230)과 월 서포터(210)는 EPDM 고분자중합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EPDM은 천연고무와 SBR 중간 정도의 물성으로 갖추고 있으며, 내충격성, 유연성, 내열성, 내오존성, 내약품성을 지니고 있다.
도 1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이 차량의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고정부(200)의 장착 홈(250)에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20)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을 통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이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20)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이드 월들(220, 230)의 내측면에는 장착 블레이드(240)가 하나 또는 다수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 내지 도 1c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장착 블레이드(240)는 사이드 월들(220, 230)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장착 홈(250)의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장착 블레이드(240)는 장착 홈(250)으로 끼워진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20)이 장착 홈(25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장착 블레이드(240)가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장착 홈(250)의 내측에서 상향으로 형성되면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20)이 장착 홈(250)에 끼워질 때는 상대적으로 쉽게 끼워질 수 있으나 반대로 장착 홈(25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00)는 인서트 코어(insert core; 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서트 코어(260)는 도 1c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단면이 U자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사이드 월들(220, 230) 및 월 서포터(210)의 형태나 강성을 보강하여 준다. 인서트 코어(260)는 사이드 월(220, 230) 및 월 서포터(210)의 변형에 대한 대응력을 보강하여 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 코어(260)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사이드 월(220, 230) 및 월 서포터(210)에 내재 또는 매립되어 있을 수 있다.
인서트 코어(260)가 마련되어 있으면 사이드 월(220, 230)이 장착 홈(250)에 끼워진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20)을 눌러 잡는 힘이 보강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스트립이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탈거 또는 분리되는 것이 더욱 억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서트 코어(260)는 탄성 복원력이 있는 금속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월(230)의 끝단 일 부분(235)은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장착 홈(250) 측으로 꺾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사이드 월(230)의 끝단 일 부분(235)이 장착 홈(250) 측으로 꺾여 있으면 장착 홈(250) 내측으로 이물질이 끼어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장착 홈(250) 내에 삽입된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20)이 장착 홈(250)에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감지부(100)는 차량용 스트림으로부터 특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객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감지부(100)는 장착 홈(250)을 형성하는 고정부(200)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다. 감지부(100)는 실드 전극(130), 실드 밴드(150), 감지 전극(120), 감지 밴드(140) 및 하우징(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감지부"는 "객체 감지 장치"로도 지칭될 수 있다.
실드 전극(130)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으로 전자기장을 형성한다. 여기서 외부란, 차량용 스트립의 작동을 제어하는 센서 모듈 등을 예로서 들을 수 있다. 실드 전극(130)은 감지 전극(120)으로부터 사물 또는 신체의 존재 시 전자기장의 변화에 따른 감지 신호를 전달받는 센서 모듈(미도시)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드 전극(130)은 도 1a 내지 도 1c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전도성 있는 플레이트의 형태 갖추고 있다. 또는 다음과 같은 변형 내지 다른 실시 형태도 가능하다.
도 1d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e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d와 도 1e를 참조하면, 도 1d 또는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 전극(130)은 와이어(wire)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와이어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드 전극(130)의 소재로서 구리와 같이 전도성이 있는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실드 전극(130)은 센서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전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며, 객체가 차량용 스트립 근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 전극(120)이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실드 전극(130)은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실드 밴드(150)에 내재 또는 매립되어 있을 수 있다. 실드 밴드(150)는 전도성을 가지며, 실드 전극(130)에 의해 전자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실드 밴드(150)는 실드 전극(130)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장의 영역을 확대시켜 준다. 이러한 실드 밴드(150)는 전도성 있는 고분자중합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드 밴드(150)는 단면의 형태가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감지 밴드(140) 측을 향하는 면 중 적어도 일 부분이 감지 밴드(140)를 향하여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감지 전극(120)은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실드 전극(130)의 상측에 배치되어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감지 전극(120)은 객체의 존재에 의해 실드 전극(130)에 의해 형성된 전자기장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 전극(120)은 예를 들어 센서 모듈(미도시)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사물 또는 신체의 존재에 따라 실드 전극(130)을 통해 형성된 전자기장이 변화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센서 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감지 전극(120)은 전도성이 있는 와이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감지 전극(120)은 실드 전극(13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을 수 있고, 감지 밴드(140) 내에 내재 또는 매립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감지 밴드(140)는 가운데 부분이 실드 밴드(150) 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감지 밴드(140)는 전도성 있는 고분자중합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감지 밴드(140)에 의해 감지 전극(120)이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영역 또는 감지 거리가 증대될 수 있다. 감지 밴드(140)는 감지 전극(120)의 감지 민감도를 증대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실드 전극(130)들이 존재하고 복수의 실드 전극(130)들은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감지 전극(120)은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고 실드 전극(130)들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감지 밴드(140)는 실드 밴드(150)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을 통해 차량용 스트립은 감지 영역 및 감지 거리를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고, 객체의 존재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고정부(200)의 상측단인 월 서포터(2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하측이 고정부(200)의 상측단인 월 서포터(210)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실드 밴드(150) 및 감지 밴드(140)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실드 밴드(150) 및 감지 밴드(140)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110)은 내측에 배치된 실드 밴드(150) 및 감지 밴드(140)를 지지한다.
하우징(110)은 절연성(insulator) 있는 고분자중합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고정부(200)의 월 서포터(210), 사이드 월(220, 230)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감지 밴드(140)와 실드 밴드(150) 사이에는 감지 홀(16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감지 홀(160)이 감지 전극(120) 또는 실드 전극(130)의 길이 방향으로 감지 홀(16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a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제4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c는 제4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고정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트립은 감지부(100)와 고정부(200)를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감지부(100)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부(200)에 장착되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스트립이 된다. 도 2d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이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d를 참조하면, 고정부(200)의 장착 홈(250)에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20)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을 통해 차량용 스트립이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20)에 장착될 수 있다.
고정부(200)는 고정부(200)의 상단에 감지부(100)가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장착 포트(290)를 구비할 수 있다. 감지부(1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 포트(290)는 고정부(200)의 월 서포터(2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장착 포트(290)의 하측이 고정부(200)의 상측단인 월 서포터(2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장착 포트(290)의 내측에는 도 2c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감지부(100)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착 포트(290)에 감지부(100)이 삽입됨으로써 감지부(100)가 고정부(200)에 장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드 전극(130)은 전도성 있는 플레이트 또는 와이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a, 도 2b 및 도 2d는 실드 전극(130)이 플레이트 형태인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도 2e 및 도 2f는 실드 전극(130)이 와이어 형태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2e는 제5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f는 제6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e와 도 2f를 참조하면, 실드 전극(130)은 와이어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와이어는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실드 전극(130)의 소재로서 구리와 같이 전도성 있는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소정의 길이를 갖추고 있으며 단면의 형태가 환형일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측에 실드 밴드(150) 및 감지 밴드(140)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실드 밴드(150) 및 감지 밴드(140)가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110)은 내측에 배치된 실드 밴드(150) 및 감지 밴드(140)를 지지한다.
도 3a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은 고정부(400), 밀착부(500) 및 감지부(300)를 포함한다.
고정부(400)는 차량용 스트립이 차량의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게 한다. 고정부(400)에는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장착되기 위하여 하측이 개방된 장착 홈(4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400)는 도 3a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2개의 사이드 월들(420, 430)과 월 서포터(4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월들(420, 430) 각각의 상측단은 월 서포터(41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사이드 월들(420, 430)과 월 서포터(410)에 의해 장착 홈(450)이 형성될 수 있다. 월 서포터(410)는 사이드 월들(420, 430)을 지지한다. 밀착부(500)는 차량용 스트립이 차량의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을 때, 도어 프레임이 닫힌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과 차량의 차체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차량용 스트립이 차체에 밀착되도록 한다. 밀착부(500)가 변형되면서 외력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거나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에 밀착될 수 있도록 밀착부(500)의 내측 또는 밀착부(500)와 고정부(400) 사이에 완충홀(5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b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이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고정부(400)의 장착 홈(450)에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20)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을 통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이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20)에 장착될 수 있다.
사이드 월들(420, 430)의 내측면에는 장착 블레이드(440)가 하나 또는 다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a 또는 도 3b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장착 블레이드(440)는 사이드 월(420, 430)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장착 홈(450)의 내측으로 일정한 길이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장착 블레이드(440)는 장착 홈(450)으로 끼워진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20)이 장착 홈(45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장착 블레이드(440)가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장착 홈(450)의 내측에서 상향으로 형성되면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20)이 장착 홈(450)에 끼워질 때는 상대적으로 쉽게 끼워질 수 있으나 반대로 장착 홈(45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은 억제될 수 있다.
인서트 코어(460)는 도 3c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단면이 U자와 같은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사이드 월들(420, 430) 및 월 서포터(410)의 형태를 보강하여 줄 수 있다. 인서트 코어(460)는 사이드 월(420, 430) 및 월 서포터(410)의 변형에 대한 대응력을 보강해 줄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 코어(460)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사이드 월(420, 430) 및 월 서포터(410)에 내재 또는 매립되어 있을 수 있다.
인서트 코어(460)가 마련되어 있으면 사이드 월(420, 430)이 장착 홈(450)에 끼워진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20)을 눌러 잡는 힘이 보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용 스트립이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탈거 또는 분리되는 것이 더욱 억제될 수 있다. 인서트 코어(460)는 탄성 복원력이 있는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사이드 월들(420, 430)과 월 서포터(410)는 EPDM 고분자중합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300)는 장착 홈(450)을 형성하는 고정부(400)의 사이드 월(430)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감지부(300)는 차량용 스트립의 인접한 영역 내에서 객체의 존재를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부(300)는 실드 전극(330), 실드 밴드(350), 감지 전극(320), 감지 밴드(340) 및 하우징(31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드 전극(330)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으로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란, 차량용 스트립의 작동을 제어하는 센서 모듈 등을 예로 들을 수 있다. 실드 전극(330)은 도 3a 내지 도 3b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전도성 있는 와이어의 형태 갖추고 있다. 전도성 있는 와이어의 형태를 갖춘 실드 전극(330)은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다수 개도 가능하며, 하나만 마련된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또는 다음과 같은 변형 내지 다른 실시 형태도 가능하다.
도 3c는 제8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실드 전극(330)이 플레이트(plate)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실드 전극(330)의 소재로서 구리와 같이 전도성 있는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실드 전극(330)은 센서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전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며, 신체와 같은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 전극(320)이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실드 전극(330)은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실드 밴드(350)에 내재 또는 매립되어 있다.
실드 밴드(350)는 실드 전극(330)에 의해 전자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보조한다. 실드 밴드(350)는 실드 전극(330)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장의 영역을 확대시켜준다. 이러한 실드 밴드(350)는 전도성 있는 고분자중합체 소재로 이루어진 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드 밴드(350)는 단면의 형태가 도 3a 내지 도 3c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감지 밴드(340) 측을 향하는 면 중 적어도 일 부분이 감지 밴드(340)를 향하여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3d는 제9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실드 밴드(350)에서 감지 밴드(340)을 향하는 면이 평평한 평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지 전극(320)은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실드 전극(330)의 일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 전극(320)은 객체의 존재의 의해 실드 전극(330)에 의해 형성된 전자기장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 전극(520)은 센서 모듈(미도시)와 연결되어 있으며, 사물 또는 신체의 존재에 따라 실드 전극(330)을 통해 형성된 전자기장이 변화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센서 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 전극(320)은 전도성이 있는 와이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 감지 전극(320)은 실드 전극(33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감지 밴드(340) 내에 내재 또는 매립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감지 밴드(340)는 실드 밴드(350)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3a 내지 도 3c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감지 밴드(340)의 가운데 부분이 실드 밴드(350) 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의 형태를 가지거나 또는 도 3d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실드 밴드(350)가 평평한 평면으로 된 경우 감지 밴드(340) 또한 실드 밴드(350)를 향하는 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감지 밴드(340)는 전도성 있는 고분자중합체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감지 밴드(340)에 의해 감지 전극(320)이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영역 또는 감지 거리가 증대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고정부(400)의 사이드 월(430)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하우징(310)의 내측에는 실드 밴드(350) 및 감지 밴드(340)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310)의 내측에는 실드 밴드(350) 및 감지 밴드(340)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310)은 내측에 배치된 실드 밴드(350) 및 감지 밴드(340)를 지지한다. 하우징(310)은 절연성 있는 고분자중합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부(400)의 월 서포터(410), 사이드 월(420, 430)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아울러, 하우징(310)의 내측에서 감지 밴드(340)와 실드 밴드(350) 사이에는 감지 홀(36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감지 홀(360)이 감지 전극(320) 또는 실드 전극(330)의 길이 방향으로 감지 홀(36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밀착부(500)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고정부(400)의 상측에 위치하며, 차체와 도어 프레임 사이가 밀봉될 수 있도록 밀착된다. 밀착부(500)는 차체에 도어 프레임이 닫힌 상태가 될 때 차체와 도어 프레임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밀봉시켜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밀착부(500)는 차체에 도어 프레임이 닫힌 상태가 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흡수 내지 완화시켜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밀착부(500)가 변형되면서 외력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거나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에 밀착될 수 있도록 밀착부(500)의 내측 또는 밀착부(500)와 고정부(400) 사이에 완충홀(550)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밀착부(500)는 탄력성 있는 스폰지 고무(sponge rubb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는 제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제10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c는 제10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가 장착될 수 있는 차량용 스트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은 고정부(400), 밀착부(500) 및 감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에서는 감지부(300)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감지부(30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웨이퍼스트립의 장착 포트(490)에 삽입되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퍼스트립에 감지부(300)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300)를 포함하는 웨이퍼스트립은 고정부(400)와 밀착부(500)을 포할 수 있다. 고정부(400)는 차량용 스트립이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d는 제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이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고정부(400)의 장착 홈(450)에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20)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을 통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이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20)에 장착될 수 있다.
사이드 월(420, 430)의 내측면에는 장착 블레이드(440)가 하나 또는 다수개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a 또는 도 4d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장착 블레이드(440)는 사이드 월(420, 430)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장착 홈(450)의 내측으로 일정한 길이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인서트 코어(460)는 도 4a 또는 도 4d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단면이 U자와 같은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사이드 월들(420, 430) 및 월 서포터(410)의 형태를 보강하여 줄 수 있다.
사이드 월(430)의 외측에는 감지부(300)가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탈거될 수 있도록 감지부(300)가 장착되는 장착 포트(490)가 존재할 수 있다. 감지부(300)는 장착 홈(450)을 형성하는 고정부(400)의 사이드 월(430)의 외측에 마련된 장착 포트(490)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밀착부(500)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고정부(400)의 상측에 위치하며, 차량용 스트립이 차량의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을 때, 도어 프레임이 닫힌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과 차량의 차체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차량용 스트립이 상기 차체에 밀착되도록 한다. 밀착부(500)는 차체에 도어 프레임이 닫힌 상태가 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흡수 내지 완화시켜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밀착부(500)가 변형되면서 외력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거나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에 밀착될 수 있도록 밀착부(500)의 내측 또는 밀착부(500)와 고정부(400) 사이에 완충홀(55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감지부(300)는 외부로부터 신체와 같은 객체의 존재를 감지한다. 감지부(300)는 실드 전극(330), 실드 밴드(350), 감지 전극(320), 감지 밴드(340) 및 하우징(31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드 전극(330)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으로 전자기장을 형성한다. 실드 전극(330)은 도 4a 또는 도 4b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전도성 있는 와이어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다. 또는 다음과 같은 변형 내지 다른 실시 형태도 가능하다.
도 4e는 제1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f는 제12 실시 예에 따른 감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e와 도 4f를 참조하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 전극(330)은 플레이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실드 전극(330)은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전도성의 실드 밴드(350)에 내재 또는 매립되어 있을 수 있다. 실드 밴드(350)는 실드 전극(330)에 의해 전자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보조하여 전자기장의 영역을 확대시켜준다.
실드 밴드(350)는 단면의 형태가 도 4a 또는 도 4c 내지 도 4e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감지 밴드(340) 측을 향하는 면 중 적어도 일 부분이 감지 밴드(340)를 향하여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4f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실드 밴드(350)에서 감지 밴드(340)을 향하는 면이 평평한 평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감지 전극(320)은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실드 전극(330)의 일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감지 전극(320)은 전도성이 있는 와이어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실드 전극(33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감지 전극(320)은 감지 밴드(340) 내에 내재 또는 매립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a, 도 4b, 도 4d 또는 도 4e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감지 밴드(340)의 가운데 부분이 실드 밴드(350) 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도 4f에서와 같이 실드 밴드(350)가 평평한 평면으로 된 경우 감지 밴드(340) 또한 실드 밴드(350)를 향하는 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감지 밴드(340)는 감지 전극(320)의 감지 민감도를 증대 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310)은 소정의 길이를 갖추고 단면의 형태가 D 형태일 수 있고, 고정부(400)의 사이드 월(430)의 외측에 마련된 장착 포트(49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310)의 내측에는 실드 밴드(350) 및 감지 밴드(340)가 배치되어 있고, 내측에 배치된 실드 밴드(350) 및 감지 밴드(340)를 지지한다.
하우징(310)은 절연성 있는 고분자중합체 재질 또는 고정부(400)의 사이드 월(420, 430)과 동일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의 내측에서 감지 밴드(340)와 실드 밴드(350) 사이에는 감지 홀(36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a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감지 홀(360)이 감지 전극(320) 또는 실드 전극(330)의 길이방향으로 감지 홀(36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위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은, 감지 밴드의 너비에 비하여 실드 밴드의 너비가 크게 형성되거나 또는 실드 전극의 개수가 감지 전극의 개수보다 많으므로, 사물 또는 신체의 존재에 따른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영역 또는 감지 거리가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사물 또는 신체의 존재를 좀 더 정확하고 빠르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을 더욱 감축 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a는 제1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의 단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b는 제1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 단면도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차량용 스트립은 고정부(400) 및 감지부(600)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밀착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400)는 차량용 스트립이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고정부(400)에는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장착되기 위하여 하측이 개방된 장착홈(450)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부(4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사이드 월들(420, 430)과 월 서포터(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이드 월들(420, 430) 각각의 상측단이 월 서포터(410)에 결합되어 있고, 사이드 월들(420, 430)과 월 서포터(410)에 의해 장착홈(450)이 형성될 수 있다. 월 서포터(410)는 사이드 월(420, 430)을 지지한다.
도 5c는 제1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이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고정부(400)의 장착홈(450)에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20)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결합을 통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립이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의 일 부분(20)에 장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사이드 월들(420, 430)의 내측면에는 장착 블레이드(440)가 하나 또는 다수 개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장착 블레이드(440)는 사이드 월(420, 430)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장착홈(450)의 내측으로 일정한 길이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인서트 코어(460)는 사이드 월들(420, 430) 및 월 서포터(410)의 형태를 보강하여 준다. 사이드 월(430)의 끝단 일 부분(435)은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착홈(450) 측으로 꺾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감지부(600)는 장착홈(450)을 형성하는 고정부(400)의 사이드 월(430) 외측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고, 차량용 스트립의 인접한 영역에 위치하는 객체의 존재를 감지한다. 감지부(600)는 실드 전극(631, 633), 감지 전극(620) 및 감지 밴드(61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드 전극(631, 633)은 전도성 있는 와이어의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다. 실드 전극(631, 633)은 감지 밴드(610)에 내재 또는 매립되어 있을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와이어의 형태로 된 2개의 실드 전극(631, 633)이 감지 밴드(610)에 내재된 것을 바람직한 하나의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드 전극(631, 633)은 감지 전극(620)으로부터 사물 또는 신체의 존재에 의한 전자기장의 변화에 따른 감지 신호를 전달받는 센서 모듈(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실드 전극(631, 633)은 센서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전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며,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 전극(620)이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 전극(620)은 차량용 스트립의 인접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객체가 감지됨에 따라 실드 전극(631, 633)에 의해 형성된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 전극(620)은 센서 모듈(미도시)와 연결되어 있으며, 사물 또는 신체의 존재에 따라 실드 전극(631, 633)을 통해 형성된 전자기장이 변화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센서 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 전극(620)은 전도성이 있는 와이어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감지 밴드(610) 내에 내재 또는 매립되어 있다. 감지 전극(620)을 중심으로 하여 실드 전극(631, 633)이 대칭적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감지 전극(620)의 일측에 실드 전극(631)이 있고, 실드 전극(631)의 위치에 대응하여 감지 전극(620)의 타측에 실드 전극(633)이 배치될 수 잇다.
그리고, 감지 전극(620)의 중심축과 실드 전극(631)의 중심축을 잇는 가상의 제1선분과 감지 전극(620)의 중심축과 실드 전극(633)의 중심축을 잇는 가상의 제2선분 사이의 각도가 고정부(400)의 사이드 월(430) 측을 향하여 180도 미만이 되도록 감지 전극(620), 실드 전극(631) 및 실드 전극(633)이 배치될 수 있다.
감지 밴드(610)는 고정부(400)의 사이드 월(420, 430)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감지 밴드(610)는 단면의 형태가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사이드 월(430)의 외측방향으로 볼록한 아치(arch)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감지 밴드(610) 내에는 다수개의 실드 전극(631, 633)과 감지 전극(620)이 내재 또는 매립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감지 전극(620)을 중심으로 하여 2개의 실드 전극(631, 633)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감지 밴드(610)는 실드 전극(631, 633)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장의 영역을 확대시켜 준다. 즉, 감지 밴드(610)는 실전자기장의 영역을 확대시켜서 감지 전극(620)이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를 증대시킨다. 이러한 감지 밴드(610)는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카본블랙고분자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감지 밴드(610)가 카본블랙고분자중합체로 이루어지되 카본블랙의 함유율이 3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카본블랙을 함유하고 있는 감지 밴드(610)에 의해 감지 전극(620)이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영역 또는 감지 거리가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감지 밴드(610)는 객체의 존재를 감지하고자 하는 공간 영역측인 외측으로 완만한 곡면의 형태를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감지 밴드(610)와 사이드 월(420, 430) 사이에는 감지 홀(65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밀착부(500)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고정부(400)의 상측에 위치하며, 차체와 도어 프레임 사이가 밀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밀착부(500)가 변형되면서 외력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거나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에 밀착될 수 있도록 밀착부(500)의 내측 또는 밀착부(500)와 고정부(400) 사이에 완충홀(55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1)

  1. 차량용 스트립으로서,
    차량의 일 부분에 상기 차량용 스트립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차량용 스트림으로부터 특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복수의 실드 전극들; 및
    상기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실드 전극들과 이격된 감지 전극
    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트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에 의한 상기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전도성의 감지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 밴드는, 상기 실드 전극들 및 상기 감지 전극이 내재 또는 매립되어 있는, 차량용 스트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밴드는,
    상기 고정부의 사이드 월의 외측에 결합되며, 단면이 아치(arch)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감지 밴드와 상기 사이드 월 사이에 감지 홀이 형성되는, 차량용 스트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밴드는,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카본블랙중합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트립.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밴드 내에서, 상기 실드 전극들 사이에 상기 감지 전극이 배치되는, 차량용 스트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전극들은 각각 금속 와이어 또는 금속 플레이트인, 차량용 스트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 프레임 또는 스텝 장치에 상기 차량용 스트립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착 홈을 구비한, 차량용 스트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장착 홈을 형성하는 복수의 사이드 월들(side walls); 및
    상기 사이드 월들과 함께 상기 장착 홈을 형성하며, 상기 사이드 월들과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 월들을 지지하는 월 서포터(wall supporter)
    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트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사이드 월들 및 상기 월 서포터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인서트 코어(insert core)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스트립.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장착 홈의 내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장착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트립.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사이드 월들 중 어느 일 사이드 월의 외측에 배치되는, 차량용 스트립.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전극들을 둘러 싸고, 상기 실드 전극들에 의해 상기 전자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보조하는 전도성의 실드 밴드; 및
    상기 감지 전극을 둘러 싸고, 상기 감지 전극에 의한 상기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전도성의 감지 밴드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스트립.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밴드의 너비는 상기 감지 밴드의 너비보다 큰, 차량용 스트립.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하측이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내측에 상기 실드 밴드와 상기 감지 밴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트립.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밴드에서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감지 밴드를 향하여 오목한 형태를 가지는, 차량용 스트립.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밴드의 일 부분은 상기 실드 밴드를 향하여 돌출된 형태를 가지는, 차량용 스트립.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밴드의 일 부분은 상기 실드 밴드를 향하여 볼록한 형태를 가지는, 차량용 스트립.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상기 감지부가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장착 포트를 구비하는, 차량용 스트립.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단면의 형태가 환형 또는 단면의 형태가 D 형태인, 차량용 스트립.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스트립이 차량의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을 때, 상기 도어 프레임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과 상기 차량의 차체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차량용 스트립이 상기 차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스트립.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가 변형되면서 외력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거나 상기 차체 또는 도어 프레임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밀착부의 내측 또는 상기 밀착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완충홀이 형성되는, 차량용 스트립.
KR1020190156486A 2019-11-29 2019-11-29 물체접근감지장치 KR202100671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486A KR20210067154A (ko) 2019-11-29 2019-11-29 물체접근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486A KR20210067154A (ko) 2019-11-29 2019-11-29 물체접근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154A true KR20210067154A (ko) 2021-06-08

Family

ID=76399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486A KR20210067154A (ko) 2019-11-29 2019-11-29 물체접근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71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29471B (zh) 带有传感器的防护装置
CN214355805U (zh) 带有传感器的防护装置
JP6427398B2 (ja) センサー付きプロテクター
US10625584B2 (en) Lower structure of vehicle
US20050006909A1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US8387457B2 (en) Collision sensor housing and module
JP7349313B2 (ja) センサー付きプロテクター
PL204393B1 (pl) Zabezpieczająca listwa stykowa
EP2894742B1 (en) Clamp structure of harness protection tube
KR20170011399A (ko) 조향휠 에어백 장치
CN201708290U (zh) 电连接器
CN105934397A (zh) 传感器和监测***
US20160305177A1 (en) Pinching detection device
US9531115B2 (en) Dew condensation proof connector
KR20210067154A (ko) 물체접근감지장치
EP3533964B1 (en) Pinching detection switch
JP6459038B2 (ja) バッテリ端子の被水防止構造
JP5965373B2 (ja) コネクタ
JP2007141617A (ja) 圧電ケーブルの接続構造
KR102240581B1 (ko) 물체접근감지장치
JP6451568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20180212354A1 (en) Shield connector
JP2011073556A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構造
KR102240583B1 (ko) 물체접근감지장치
JP2016215852A (ja) センサー付きプロテク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