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931A - 함수계 첩부제 - Google Patents

함수계 첩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931A
KR20210065931A KR1020217005449A KR20217005449A KR20210065931A KR 20210065931 A KR20210065931 A KR 20210065931A KR 1020217005449 A KR1020217005449 A KR 1020217005449A KR 20217005449 A KR20217005449 A KR 20217005449A KR 20210065931 A KR20210065931 A KR 20210065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mass
copolymer
patch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츠히사 니와
마코토 가네바코
Original Assignee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5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93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61K9/7061Poly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과제] 점착제층 중의 수분이 휘산한 후에 있어서도 점착력이 지속되는 함수계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모노머 A와 모노머 B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의 공중합체인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로서, 상기 모노머 A는, 당해 모노머 A를 호모중합했을 때 유리 전이 온도(Tg)가 270K 이상의 폴리머가 되는 모노머이며, 상기 모노머 B는, 당해 모노머 B를 호모중합했을 때 유리 전이 온도(Tg)가 220K 이하의 폴리머가 되는 모노머이며, 상기 모노머 혼합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상기 모노머 A의 비율이 3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의 비율인,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점착제층에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함수계 첩부제.

Description

함수계 첩부제
본 발명은 함수계 첩부제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점착제층 중의 수분이 휘산된 후에 있어서도 높은 점착력이 유지되고, 또한, 피부 자극성이 낮은, 함수계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프제」라고도 칭해지는 물을 포함하는 점착 기제를 사용하는 첩부제(본 명세서에 있어서 함수계 첩부제라고 칭함)는, 약물 등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고체층(점착제층)을 부직포 등의 지지체 위에 구비하는 첩부제의 일종이다. 파프제는, 고체층에 물을 포함하는 점착 기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 자극성은 낮지만 점착력이 약하고, 특히 고체층 중의 수분의 휘산과 함께 점착력이 시간 경과에 따라 저하되어, 피부로부터 박리하기 쉬운 것이 문제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수계(소수성, 친유성이라고도 칭함)의 점착제를 구성하는 한 성분으로서 알려지는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분산시킨 에멀션(에멀젼이라고도 함) 기제를, 함수계 첩부제의 고체층(점착제층)에 배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파프제 기제(고체)에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수지 에멀젼(상품명 니카졸(Nikasol) TS-620, 닛폰카바이드공업(주))을 1% 배합한 첩부제(비교품)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장시간 첩부시의 점착력 및 재점착력 발현, 수분 상실에 수반하는 경화 및 유연함의 저하의 억제 및 박리시에 있어서의 지지체의 파단 억제가 얻어지는 함수계의 첩부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함수계 외용 첩부제용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수분 산성 계면활성제를 0.01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체를 동 5.0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함수계 외용 첩부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시간 경과에 따른 파프제의 물 함유량이 감소한 경우에 있어서도 충분한 부착력을 갖는 파프재의 제공을 과제로 하고, 폴리아크릴산 중화물과 당해 중화물의 2.5∼10배 질량(고체 기준으로 5∼25질량%)의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체와 폴리아크릴산을 함유하는 파프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보다 작은 힘으로 박리 라이너를 박리 가능한 파프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폴리(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와,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파프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는, 아크릴 수지 에멀젼(상품명 니카졸 TS-620) 1.5중량%,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6.2중량%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냉열 시트를 얻은 점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9-208462호 일본특허공보 제5650684호 명세서 일본특허공보 제5921779호 명세서 국제공개공보 제2016/104227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104957호
전술한 바와 같이,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점착제층에 배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공중합체의 배합량이 적은 경우,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첩부제에 있어서는, 배합량의 적음으로부터 초기텍 및 지속적인 점착성 모두 결여되어 있다는 결과가 나타나, 소망하는 점착력 향상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또한 배합량을 증가시킨 경우에 있어서도, 특히 점착제층 중의 수분이 휘산한 후에 있어서의 점착력은, 테이프제와 비교하면 충분히 만족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에,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로서, 호모중합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270K 이상의 폴리머가 되는 모노머를 30∼50질량%, 그리고 호모중합했을 때의 Tg가 220K 이하의 폴리머가 되는 모노머를 양모노머의 합계량이 100질량%가 되도록 배합한 공중합체를 배합함으로써, 점착제층 중의 수분이 휘산한 후에 있어서도 점착력이 저하되지 않고 오히려 향상되는 것, 또한, 피부 자극성도 낮은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지지체와, 당해 지지체 위에 마련된 점착제층 및 박리 라이너로 이루어지는 함수계 첩부제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하기 1) ∼ 6) 성분을 필수로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함수계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1) 아크릴계 친수성 점착제
2) 모노머 A와 모노머 B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의 공중합체인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이며,
상기 모노머 A는, 당해 모노머 A를 호모중합했을 때 유리 전이 온도(Tg)가 270K 이상의 폴리머가 되는 모노머이며,
상기 모노머 B는, 당해 모노머 B를 호모중합했을 때 유리 전이 온도(Tg)가 220K 이하의 폴리머가 되는 모노머이며,
상기 모노머 혼합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상기 모노머 A의 비율이 3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의 비율인,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3) 유기용매
4) 가교제
5) 유기산
6) 물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추가로 이하의 실시 태양이 제공된다.
1. 상기 모노머 A가, 아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n-부틸, 메타크릴산 i-부틸, 메타크릴산 t-부틸 등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아세트산 비닐,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및 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모노머이며,
상기 모노머 B가,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아크릴산 옥틸 및 아크릴산 이소노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모노머인, 상기 함수계 첩부제.
2. 상기 모노머 A가, 아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및 메타크릴 n-부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모노머이며,
상기 모노머 B가, 아크릴산 2-에틸헥실 및 아크릴산 부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모노머인, 상기 함수계 첩부제.
3. 추가로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함수계 첩부제.
본 발명에 의하면, 호모중합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270K 이상의 폴리머가 되는 모노머 A와, 호모중합했을 때의 Tg가 220K 이하의 폴리머가 되는 모노머 B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의 공중합체이며, 당해 모노머 혼합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상기 모노머 A의 비율이 3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의 비율인,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에 배합함으로써, 점착제층 중의 수분이 휘산한 후에 있어서도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피부 자극성이 낮고, 고체간 부착성이 없어 피부에 대하여 재첩부 가능한 함수계 첩부제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력의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수지 에멀젼(상품명 니카졸 TS-620, 닛폰카바이드공업(주)) 등의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점착제층에 배합하는 제안이나, 이 배합량을 증량하는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제안에서는, 공중합체의 배합량을 증가시킨 경우에 있어서도, 특히 점착제층 중의 수분이 휘산한 후(물휘산 후)의 점착력은 테이프제와 비교하여 충분한 것이라고는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과제에 있어서, 지금까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종류, 그리고 특히 그 배합 비율에 착목하여, 함수시 그리고 건조 후(물휘산 후)의 점착력을 평가했다. 그리고 당해 모노머로 구성되는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에 착목하여, 호모중합시켰을 때의 Tg가 270K 이상의 폴리머가 되는 모노머와, 호모중합시켰을 때의 Tg가 220K 이하의 폴리머가 되는 모노머를 조합하는 것, 그리고 호모폴리머의 Tg가 270K 이상의 모노머의 배합 비율을 전체 모노머의 3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로 한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채용함으로써, 당해 공중합체의 배합량이 적은 경우에 있어서도, 함수시뿐만 아니라 건조시의 점착력이 우수한 첩부제가 되는 것, 또한, 피부 자극성이 낮은 첩부제가 되는 것을 알아냈다.
이하, 본 발명의 함수계 첩부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함수계 첩부제(이하, 단순히 「첩부제」라고도 칭함)는, 지지체와, 당해 지지체 위에 마련된 점착제층 및 박리 라이너로 이루어진다.
상기 첩부제, 특히 지지체와, 당해 지지체 위에 마련된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제제 부분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정사각형, 직사각형 등), 사각형(사다리꼴, 마름모 등), 다각형, 원형, 타원형, 반원형, 삼각형, 초승달 모양, 그리고 이들을 조합한 형상 등, 첩부 개소에 맞추어 여러 가지의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첩부제(특히 상기의 제제 부분)의 면적은 적절히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점착제층에 배합하는 유효 성분의 양 등을 고려하여, 예를 들면 2∼300㎠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점착제층]
본 발명의 함수계 첩부제는, 그 함수계의 점착제층에 대하여, 후술하는 친수성의 아크릴계 점착제에 더하여, 일반적으로 비수계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구성하는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고체층)에 사용되는 점착제로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N-비닐아세트아미드·아크릴산 나트륨 공중합 수지 등의 친수성의 아크릴계 점착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친수성의 아크릴계 점착제와 친화성이 높고, 균일하게 연합할 수 있는 관점에서, 함수계 첩부제의 함수계의 점착제층에 배합하는 비수계 점착제로서는, 아크릴계 및 메타크릴계의 에멀션형의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배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의 쌍방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고,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도 아크릴계 점착제와 메타크릴계 점착제의 쌍방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여 이루어진다.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
비수계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구성하는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비수계 점착 기제)는, 점착력을 발현하는 성분으로서, 알킬에스테르의 탄소원자수가 2∼9이며, 호모중합시켰을 때 유리 전이 온도(Tg)가 -55℃(218K) 이하의 폴리머가 되는 모노머와, 응집력을 향상시키는 성분으로서, 호모중합시켰을 때 Tg가 8∼165℃(281∼438K)의 폴리머가 되는 모노머와, 추가로 필요에 따라서는 카르복실기나 하이드록시기와 같은 가교점이 되는 등의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로 구성되는 공중합체이다(모노머의 일례를 표 1에 들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는, 호모중합했을 때 유리 전이 온도(Tg)가 270K 이상의 폴리머가 되는 모노머 A와, 호모중합했을 때 유리 전이 온도(Tg)가 220K 이하의 폴리머가 되는 모노머 B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모노머 A의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Tg의 상한값은 대략 500K이며, 또한, 상기 모노머 B의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Tg의 하한값은 대략 200K이다.
Figure pct00001
또한, 점착력을 발현하는 모노머만을 중합한 호모폴리머는, 점착력은 높지만 기계적 강도가 약하다고 여겨져, 일반적으로 응집력을 향상시키는 모노머와의 공중합에 의해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킨 공중합체가 점착제로서 사용된다.
상기의 표 1에 나타내는 점착력을 발현하는 모노머로서 든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보다 점착력이 높은 모노머로서, 당해 모노머를 호모중합시켰을 때(호모폴리머)의 Tg가 220K 이하인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아크릴산 옥틸, 아크릴산 이소노닐 등이 사용된다. 이들 중,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의약품 첨가물로서 사용 실적이 있고, 점착력이 높은(호모폴리머의 Tg가 낮은) 아크릴산 2-에틸헥실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응집력을 향상시키는 모노머(호모폴리머의 Tg가 270K 이상)로서는 표 1에 든 모노머를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및 메타크릴산 n-부틸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서는, 기계적 강도가 높고, 점착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지 않는(호모폴리머의 Tg가 비교적 낮은) 아크릴산 메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 든 바와 같이, 첩부제에 사용되는 시판의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로서, 닛폰카바이드(주) 제조의, 니카졸(등록상표) TS-620(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수지 에멀젼)이 있다.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수지 에멀젼은, 의약품 첨가물 규약의 수재품이다.
본 발명자는, 지금까지의 함수계 첩부제에 있어서 사용되어 온 니카졸 TS-620(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수지 에멀젼)에서는, 소망하는 점착력이 얻어지지 않는 점, 특히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물이 휘산한 후에 있어서 점착력이 저하되는 점을 감안하여, 상기 공중합체의 공중합 비율의 변경을 검토했다.
그리고 상기 공중합체에 있어서, 그 호모폴리머의 Tg가 270K 이상이 되는 모노머, 즉 아크릴산 메틸의 중합 비율을 여러 가지 변경한 결과, 후술의 실시예의 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모폴리머의 Tg가 270K 이상이 되는 모노머(아크릴산 메틸 등)의 배합량이 30질량% 이상이 되는 공중합체를 사용한 계가, 점착제층의 물 휘산시에 있어서도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처음 확인되었다. 또한, 호모폴리머의 Tg가 270K 이상이 되는 모노머(아크릴산 메틸 등)의 배합량이 50질량%를 초과하면 에멀션이 응집·침전하여 재분산되기 어려워지는 점에서, 그 상한값을 50질량% 이하로 했다.
본 발명의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에 있어서,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의 배합량(에멀션의 경우, 고형분 환산량)은,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면 0.1질량% 이상 30질량% 이하, 1.0질량% 이상 15질량% 이하, 5.0질량% 이상 10질량%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아크릴계 친수성 점착제와의 배합 비율은, 예를 들면, 질량비로,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아크릴계 친수성 점착제=10:1∼1:10, 동=5:1∼1:5, 동=3:1∼1:2, 동=2:1∼1:1 등으로 할 수 있다.
<유효 성분>
본 발명의 함수계 첩부제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에는, 유효 성분은 임의로 함유한다. 유효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의 본 발명의 함수계 첩부제의 용도로서는, 켈로이드 상태의 피부의 커버재나, 변지종이나 물집 등을 보호하는 쿠션재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에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생리 활성 물질을 함유한다. 생리 활성 물질이란, 경피 흡수성을 갖고, 체내에 투여된 경우에 약리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용성 물질이라도 지용성 물질이라도 좋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펠비낙, 플루르비프로펜, 디클로페낙, 디클로페낙나트륨, 살리실산 메틸, 살리실산 글리콜(살리실산 에틸렌글리콜),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이부프로펜 등의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또는 이들의 에스테르;디펜히드라민, 클로르페니라민 등의 항히스타민제;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록소프로펜나트륨 등의 진통제;리도카인, 디부카인 등의 국소 마취제;염화 석사메토늄 등의 근이완제;클로트리마졸 등의 항진균제;클로니딘 등의 강압제;니트로글리세린, 질산 이소소르비드 등의 혈관 확장제;비타민 A, 비타민 E(토코페롤), 아세트산 토코페롤, 비타민 K, 옥토티아신, 부티르산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프로스타글란딘류;스코폴라민, 펜타닐, 고추 엑기스, 노닐산 바닐릴아미드, 캡사이신, l-멘톨, dl-캠퍼 등을 들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상기 유효 성분은, 그 종류에 따라 적절히 배합량을 결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1질량% 이상 30질량% 이하, 혹은 0.5질량% 이상 15질량% 이하로 할 수 있다.
<아크릴계 친수성 점착제>
본 발명의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에는, 아크릴계 친수성 점착제를 함유한다.
상기 아크릴계 친수성 점착제로서는, 수용성의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수용성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는, 수용성을 갖는 관능기(친수성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로일기 함유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머이며, 점착제층에 물과 함께 배합함으로써, 점착성을 발휘한다. 수용성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는,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의 중화물 등의 호모폴리머;N-비닐아세트아미드·아크릴산 나트륨 공중합 수지 등의 코폴리머를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아크릴산 중화물은, 폴리아크릴산 완전 중화물이라도,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이라도, 이들의 혼합물이라도 좋다. 폴리아크릴산 중화물이란, 폴리아크릴산염을 의미하고, 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암모늄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친수성 점착제의 배합량은,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면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1질량% 이상 8질량% 이하로 할 수 있다.
<유기용매>
본 발명의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에 배합되는 유기용매는, 약물 등의 유효 성분의 용해를 보조하고, 또한 점착제층으로부터 유효 성분이 석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유기용매(용해 보조제)로서, 크로타미톤;N-메틸-2-피롤리돈;마크로골(Macrogol) 400(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아디프산 디에틸, 아디프산 디이소프로필, 세바스산 디에틸, 세바스산 디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올레산 올레일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소르비탄 에스테르류;1,3-부탄디올 등의 다가 알코올;디메틸포름아미드;디메틸술폭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일종 단독으로, 혹은 2종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의 배합량은,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면 0.1질량% 이상 20질량% 이하로 할 수 있다.
<가교제>
본 발명의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에 배합되는 가교제로서는, 다가 금속염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다가 금속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일례로서,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알루미나 마그네슘 등의 수산화물;염화 알루미늄, 황산 알루미늄, 황산 알루미늄칼륨,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디하이드록시알루미늄아미노아세탈), 디하이드록시알루미늄아미노아세테이트, 합성 규산 알루미늄, 건조 수산화 알루미늄겔, 카올린, 스테아르산 알루미늄 등의 무기 또는 유기산의 정염 또는 그들의 염기성염;알루미늄 명반 등의 복염;알루민산 나트륨 등의 알루민산염;무기성 알루미늄 착염 및 유기성 알루미늄 킬레이트 화합물;합성 히드로탈시트, 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등의 다가 금속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의 배합량은, 점착제의 피부로의 잔류나 접착성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는 가교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면 0.01질량% 이상 6.0질량% 이하, 0.01질량% 이상 4.0질량% 이하, 혹은, 0.01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의 범위를 들 수 있다.
<유기산>
본 발명의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에 배합되는 유기산으로서는, 시트르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글루콘산, 글리콜산, 말산, 푸마르산, 메타술폰산, 말레산, 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유기산의 배합량은,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면 0.01질량% 이상 5질량% 이하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물>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함수계 첩부제는, 점착제층 중에 물(수분)을 함유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물」이란, 점착제층을 형성시에, 물로서 따로 첨가한 것뿐만 아니라, 에멀젼이나 수용액등의 형태로서 포함되는 물도 포함한다. 물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면 1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 15질량% 이상 70질량% 이하, 2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수분 배합량은, 첩부제 조제시, 혹은, 첩부제의 첩부 전의 값이며, 첩부의 경과와 함께 점착제층으로부터 물이 휘산한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그 외의 임의 성분>
본 발명의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에는, 그 외의 임의 성분으로서,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계면활성제, 습윤제, 안정제, 산화방지제, 무기 분체, 착색제, 향료, 방부제 등의, 종래의 함수계 첩부제(파프제)나 혹은 비수계 첩부제(테이프제)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에 일반적으로 배합될 수 있는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들의 임의 성분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젤라틴, 한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멜로오스나트륨,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카라기난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의 배합량은, 통상,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면 1.0질량% 이상 30질량% 이하, 3.0질량% 이상 20질량% 이하, 혹은 5.0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의 범위로 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올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올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소르비탄모노카프릴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미리스테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디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이트, 소르비탄모노세스키올레이트, 및 이들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폴리옥시에틸렌도데실에테르(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트리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미리스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에틸헥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이소데실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폴리옥시에틸렌스티렌화 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디스티렌화 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트리벤질페닐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놀에테르;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모노올레산 글리세린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레시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면 0.0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0.01질량% 이상 5질량% 이하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습윤제>
본 발명의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에는, 시간 경과에 따른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기 위해 습윤제(보습제라고도 함)를 배합할 수 있다. 습윤제로서는, 예를 들면, 농글리세린, D-소르비톨,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유동 파라핀,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말티톨, 자일리톨 등의 다가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류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습윤제의 배합량은, 통상,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면 1.0질량% 이상 70질량% 이하, 5.0질량% 이상 60질량% 이하, 혹은 10질량% 이상 60질량% 이하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안정제>
본 발명의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에는, 빛(특히, 자외선), 열 또는 산소에 대하여, 상기 유효 성분 등의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정제를 배합할 수 있다.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데트산 나트륨(에틸렌디아민 4아세트산 2나트륨염);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HT) 등의 항산화제;벤조일메탄 유도체 등의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안정제의 배합량은, 통상,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면 0.01질량% 이상 1질량% 이하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무기 분체>
무기 분체로서는,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규산염, 산화 아연, 산화 티탄, 황산 마그네슘, 황산 칼슘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지지체]
본 발명의 함수계 첩부제에 사용하는 지지체로서는, 필름, 부직포, 일본 종이, 면포, 편포, 직포, 부직포와 필름의 라미네이트 복합체 등의 유연성을 갖는 지지체를 들 수 있다. 이들의 지지체는, 피부에 밀착할 수 있고, 또한, 피부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을 정도의 유연한 재질, 그리고 장시간 첩부 후에 있어서 피부염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지지체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나일론, 코튼, 아세테이트 레이온, 레이온, 레이온/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계 폴리우레탄,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에테르계 폴리우레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셀로판 등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천류 등의 지지체는, 착색제에 의해 피부색 등의 색조로 착색함으로써, 첩부시에 피부의 색과의 상위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첩부하의 피부의 색조를 들여다보기 쉽다는 점에서는, 투명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필름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지지체의 두께는, 통상 5μm 내지 1mm 정도이다. 지지체가 천류인 경우, 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0μm∼1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800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700μm이다. 지지체가 플라스틱 필름인 경우, 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30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12∼200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150μm이다. 지지체의 두께가 5μm∼30μm 정도로 매우 얇은 경우에는, 지지체 위에 형성된 점착제층과는 반대인 면 위에, 박리 가능한 캐리어 필름층을 마련하면, 첩부제로서의 취급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단 5μm보다도 지지체의 두께가 작으면, 첩부제의 강도나 취급성이 저하되고, 피부로의 첩부가 곤란해져, 다른 부재 등과의 접촉에 의해 찢어지거나, 입욕 등의 물과의 접촉에 의해 단시간에 피부로부터 박리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지지체의 두께가 지나치게 크면(1mm보다 초과함), 첩부제가, 피부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어려워지고, 첩부제의 주변부에 벗겨지는 계기를 형성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단시간에 피부로부터 박리하거나, 첩부 중의 위화감이 증가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한 지지체가 필름인 경우에는, 점착제와 지지체의 투묘성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지지체의 편면 또는 양면에 샌드블라스트 처리, 코로나 처리 등의 처리를 행해도 좋다.
또한, 포재로부터 취출하기 쉽게 하기 위해 지지체의 편면 또는 양면에 샌드블라스트 이외의 방법으로 요철을 마련해도 좋다.
[박리 라이너]
본 발명의 함수계 첩부제에 사용하는 박리 라이너(박리층·박리지라고도 함)로서는, 점착제층 중의 약물 등이 흡수·흡착되기 어려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첩부제의 기술분야에 있어서 관용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 폴리프로필렌(무연신, 연신 등),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염화 비닐, 폴리스티렌 등의 플라스틱 필름;상질지, 글라신지, 파치먼트지, 크래프트지 등의 종이나 합성지;상기 플라스틱 필름, 종이 또는 합성지, 합성 섬유 등에 실리콘 수지나 불소 수지 등의 박리 성능을 갖는 박리제를 코팅한 박리 가공지;알루미늄박;이들 필름·시트를 여러 가지 적층한 라미네이트 가공지, 및 당해 라미네이트 가공지에 박리제를 코팅한 라미네이트 박리 가공지 등의, 무색 또는 착색한 시트를 들 수 있다. 또한 박리 라이너는, 포재로부터 취출하기 쉽도록 요철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10μm∼1mm, 예를 들면 20μm∼500μm, 바람직하게는 40μm∼200μm의 범위이다.
박리 라이너의 형상은 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등으로 할 수 있고, 소망에 따라 각을 둥글게 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 크기는, 상기 첩부재에 있어서의 지지체의 크기와 동일한 형상이거나, 약간 크게 할 수 있다. 박리 라이너는 1매 또는 분할되어 복수매로 구성되어도 좋고, 그 절취선은 직선, 파선, 미싱선 형상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박리 라이너끼리의 일부가 겹치는 상태로 해도 좋다.
[함수계 첩부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함수계 첩부제는, 종래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례로서, 이하의 i) 또는 ii)의 공정을 거쳐 제조 가능하다.
i) 지지체 위에, 점착제층 형성 조성물을 도공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지지체 위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박리 라이너를 첩합하는 공정.
ii) 박리 라이너 위에, 점착제층 형성 조성물을 도공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박리 라이너 위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지지체를 첩합하는 공정.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10μm 내지 1000μm, 예를 들면 20μm 내지 800μm 정도로 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 형성 조성물이란, 전술한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각종 성분:유효 성분, 아크릴계 친수성 점착제,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 유기용매, 가교제, 유기산 및 물을 함유하고, 추가로, 그 외의 임의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는 반고형상의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함수계 첩부제는, 함수시 그리고 건조시(물휘산 후)에 있어서의 점착력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피부 자극성도 낮은 첩부제이다.
여기에서 피부 자극성은, 예를 들면, 드레이즈법에 의한 피부1차 자극성 지수(P.I.I.)의 개체 평균값(평균 P.I.I.)으로 평가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첩부제는 예를 들면 1.40 이하로 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이즈법에 의한 피부1차 자극성 지수(P.I.I.)(Primary Irritation Index)란, 토끼의 병변을 사용한 평가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검체(피험 물질)를 토끼의 배부에 첩부하고, 소정 시간 후에 검체를 제거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의 첩부 부위의 반응(홍반의 상태와 부종의 크기를)을 0∼4의 5단계로 평가하고, 2개의 평가값의 합계값(판정 시간이 복수인 경우는 그 평균값)으로서 나타나는 값이며, 평가한 개체차를 고려하여, 개체 평균값(평균 P.I.I.)을 산출하여 평가된다.
본 발명에서는, 검체(함수계 첩부제)를 24시간 첩부한 후, 검체 제거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첩부 개소의 관찰을 행하고, 자극 반응의 채점을 실시하고, 제거 후 30분 후 및 24시간 후에 있어서의 자극 반응의 채점에 기초하여, 평균 P.I.I.를 산출하여 피부 자극성을 평가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첩부제의 제작>
이하의 순서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첩부제를 제조했다.
실시예 1:
폴리비닐알코올 1.5질량부를, 정제수 20질량부에 용해시켰다(수상).
다음으로, 살리실산 에틸렌글리콜 1.25질량부, L-멘톨 1질량부를, 마크로골(등록상표) 400(산요카세이공업(주) 제조) 1질량부를 더하여 용해시켰다(유상).
또한,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 4질량부, 카멜로오스나트륨 4질량부, 디하이드록시알루미늄아미노아세테이트 0.25질량부를, 농글리세린 25질량부 중에서 균일하게 분산시켰다(글리세린상).
교반기 중에, 수상,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에멀젼(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아크릴산 메틸 배합량 31.1질량%, 에멀젼 중에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30EO) 미량 함유) 7질량부, 에데트산 나트륨 수화물 0.20질량부, D-소르비톨 70% 수용액 30질량부의 순으로 투입하고, 균일하게 분산 또는 용해시켰다. 여기에, 유상, 글리세린상의 순으로 투입하고, 균일하게 연합했다. 또한, 락트산 1질량부를 더하고, 정제수로 전체 질량이 100질량부가 되도록 질량 보정한 후, 탈기 조건하, 균일하게 연합하여 실시예 1의 점착제층 형성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점착제층 형성 조성물을 슬릿폭 0.5mm로 조정한 전연기로 라이너(편면 실리콘 처리한 PET(75μm))의 실리콘면 위에 전연하고, 니트 지지체(폴리에스테르제)를 라미네이트한 후, 50℃에서 1주일 숙성시켰다. 숙성 후, 임의의 형상으로 펀칭하여, 실시예 1의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2: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에멀젼(아크릴산 메틸 배합량 31.1질량%)을, 아크릴산 메틸의 배합량이 40.8질량%인 에멀젼으로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의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3: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에멀젼(아크릴산 메틸 배합량 31.1질량%)을, 아크릴산 메틸의 배합량이 46.7질량%인 에멀젼으로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3의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4: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에멀젼을, 메타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에멀젼(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메타크릴산 메틸 배합량 30.0질량%) 10질량부(공중합체의 고형분 환산값은 4.34질량부)로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4의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5: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에멀젼을, 메타크릴산 에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에멀젼(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메타크릴산 에틸 배합량 30.0질량%) 10질량부(공중합체의 고형분 환산값은 4.14질량부)로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5의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6: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에멀젼을, 메타크릴산 n-부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에멀젼(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메타크릴산 n-부틸 배합량 30.0질량%) 10질량부(공중합체의 고형분 환산값은 4.34질량부)로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6의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7: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에멀젼을,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n-부틸 공중합 에멀젼(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아크릴산 메틸 배합량 30.0질량%) 10질량부(공중합체의 고형분 환산값은 4.54질량부)로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7의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8: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에멀젼(아크릴산 메틸 배합량 31.1질량%)을, 아크릴산 메틸의 배합량이 46.7질량%인 에멀젼으로 바꾸고, 그 배합량을 5질량부(공중합체의 고형분 환산값은 2.95질량부)로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8의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9: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에멀젼(아크릴산 메틸 배합량 31.1질량%)을, 아크릴산 메틸의 배합량이 46.7질량%인 에멀젼으로 바꾸고, 그 배합량을 10질량부(공중합체의 고형분 환산값은 5.9질량부)로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9의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10: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에멀젼(아크릴산 메틸 배합량 31.1질량%)을, 아크릴산 메틸의 배합량이 46.7질량%인 에멀젼으로 바꾸고, 그 배합량을 12질량부(공중합체의 고형분 환산값은 7.08질량부)로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0의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11: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에멀젼(아크릴산 메틸 배합량 31.1질량%)을, 아크릴산 메틸의 배합량이 46.7질량%인 에멀젼으로 바꾸고, 그 배합량을 15질량부(공중합체의 고형분 환산값은 8.85질량부)로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1의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12: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에멀젼(아크릴산 메틸 배합량 31.1질량%)을, 아크릴산 메틸의 배합량이 46.7질량%인 에멀젼으로 바꾸고, 그 배합량을 20질량부(공중합체의 고형분 환산값은 11.8질량부)로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2의 제제를 얻었다.
비교예 1: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에멀젼(아크릴산 메틸 배합량 31.1질량%)을, 아크릴산 메틸의 배합량이 14.7질량%인 에멀젼으로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의 제제를 얻었다.
비교예 2: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에멀젼(아크릴산 메틸 배합량 31.1질량%)을, 아크릴산 메틸의 배합량이 27.0질량%인 에멀젼으로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2의 제제를 얻었다.
비교예 3: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에멀젼(아크릴산 메틸 배합량 14.7질량%)의 배합량을 10질량부(10질량%)로 바꾼 것 이외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3의 제제를 얻었다.
비교예 4: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에멀젼(아크릴산 메틸 배합량 14.7질량%)의 배합량을 15질량부(15질량%)로 바꾼 것 이외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4의 제제를 얻었다.
비교예 5: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에멀젼(아크릴산 메틸 배합량 14.7질량%)의 배합량을 20질량부(20질량%)로 바꾼 것 이외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5의 제제를 얻었다.
비교예 6: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에멀젼(아크릴산 메틸 배합량 14.7질량%)의 배합량을 25질량부(25질량%)로 바꾼 것 이외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6의 제제를 얻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있어서의 공중합 에멀젼의 배합량에 있어서, 공중합체의 고형분 환산값은,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전체 성분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4.13질량%, 실시예 4 및 실시예 6은 동 4.34질량%, 실시예 5 및 실시예 7은 동 4.14질량%, 실시예 8은 동 2.95질량%, 실시예 9는 동 5.90질량%, 실시예 10은 동 7.08질량%, 실시예 11은 동 8.85질량%, 실시예 12는 동 11.80질량%, 비교예 3은 동 5.90질량%, 비교예 4는 동 8.85질량%, 비교예 5는 동 11.80질량%, 비교예 6은 동 14.75질량%이다.
참고예 1, 참고예 2:
참고예 1의 제제로서 시판의 테이프제(페이타스(Feitas)(등록상표) 5.0, 히사미쓰제약(주), 로트 번호: SC08T)를, 참고예 2의 제제로서 시판의 파프제(반테린코와 신미니 패드(VANTELIN KOWA NEW MINI-PAD), 코와(주), 로트 번호: NA640)를 사용하여, 후술하는 각종 시험에 제공했다.
시험예 1(점착력 시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2,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 그리고 참고예 1 및 참고예 2의 각 제제에 대해서, 초기(이후 "함수시"라고 칭함,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제는 제조 직후, 참고예의 제제는 제품의 포장을 개봉한 직후), 및 50℃에서 하룻밤 건조시(이후 "건조시"라고 칭함, 모든 제제가 라이너를 박리한 상태(점착제층이 노출된 상태)에서, 50℃에서 하룻밤 보지)의 경사식 볼텍 점착력을, 일본약국방 일반시험법 6.12 점착력 시험법 3.2 경사식 볼텍 시험법에 따라 실시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시험예 2(고체간 박리성 및 재부착성 시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2,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 그리고 참고예 1 및 참고예 2의 각 제제에 대해서, 고체간 박리성 및 재부착성의 평가를 행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2 및 표 3에 합쳐서 나타낸다.
1)고체간 박리성
5cm×5cm의 크기로 재단한 각 제제의 라이너를 박리하고, 각 제제를 둘로 접어 점착제층끼리를 확실히 첩합하고, 30초간 정지했다. 그 후, 첩합한 부분을 박리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N=3).
○: 용이하게 박리한다
△: 박리하지만 변형한다
×: 박리하지 않는다
2)재부착성
각 제제(10cm×7cm)의 라이너를 박리하고, 사람 상완 내부에 첩부했다. 30초 경과 후, 박리하고, 재차 전완부의 다른 부분에 첩부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N=3).
○: 재부착성 있음
△: 약한 재부착성
×: 재부착성 없음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시험 결과>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중, 당해 모노머의 호모폴리머의 Tg가 270K 이상인 모노머 A의 배합량, 즉,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수지에 있어서의 아크릴산 메틸의 배합량, 메타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수지에 있어서의 메타크릴산 메틸의 배합량, 메타크릴산 에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수지에 있어서의 메타크릴산 에틸의 배합량, 메타크릴산 n-부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수지에 있어서의 메타크릴산 n-부틸의 배합량,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n-부틸 공중합 수지에 있어서의 아크릴산 메틸의 배합량이 30질량% 이상인, 수지 에멀션을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의 제제는, 제조 직후(함수시)에 있어서의 볼텍 점착력이 시판의 테이프제(참고예 1)와 시판의 파프제(참고예 2)(표 3 참조)를 약간 하회하는 결과가 되었지만, 건조시(50℃ 하룻밤 건조)에 있어서의 볼텍 점착력은 시판의 테이프제와 거의 동등한 점착력을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 3 및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2의 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수지(아크릴산 메틸 배합량:46.7질량%)의 배합량을 증가에 따라, 제조 직후(함수시) 및 건조시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점착력은 증가하고, 특히 실시예 10 내지 실시예 12에서는, 함수시에 있어서도 상기 참고예 1 및 참고예 2에 나타내는 시판품과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점착력을 나타냈다. 또한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점착제층끼리를 부착시켰을 때에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고, 재부착성도 확인되고,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의 배합량을 증가시켜도 이들의 성능은 유지되었다.
한편, 상기 모노머 A의 배합량, 즉,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수지의 아크릴산 메틸의 배합량이 30질량% 미만의 제제(비교예 1 및 2)는, 건조시의 볼텍 점착력이 실시예 1∼12 보다 낮은 결과가 되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아크릴산 메틸의 배합량이 50질량%를 초과하면 에멀션이 응집·침전하여 재분산이 곤란해지고, 배합량의 상한은 50질량%였다.
또한, 비교예 1에서 채용한 아크릴산 메틸의 배합량이 14.7질량%의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수지에 대해서, 당해 공중합 수지의 배합량을 7질량% 내지 25질량%(고형분으로서, 4.13질량%∼14.75질량%)의 범위에서 증가시킨 제제(비교예 1, 비교예 3 내지 비교예 6)는, 함수시 그리고 건조시 모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제제보다 볼텍 점착력이 낮은 결과가 되었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제제는, 실시예의 제제와 동일한 고체간 박리성·재부착성의 평가가 되었지만, 비교예 5 및 비교예 6의 제제는, 고체간 박리성·재부착성 모두 실시예의 제제에는 이르지 않는 평가가 되고,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의 배합량의 증가에 따라 이들의 성능이 오히려 악화되는 경향이 보였다.
그리고 시판의 제제인 참고예 1의 제제는, 점착제층끼리를 부착시켰을 때에 벗겨지지 않고, 재첩부성을 갖지 않는 것이라는 평가가 되었다.
또한 참고예 2의 제제에 있어서는, 점착제층끼리를 부착시킨 후, 박리하지만 변형이 발생하는 결과가 되고, 또한 재첩부는 하지만 약한 부착성이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중, 당해 모노머의 호모폴리머의 Tg가 270K 이상인 모노머 A(아크릴산 메틸 등)의 배합량이 30∼50질량%인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수지 등)를 채용함으로써, 함수시뿐만 아니라, 건조시의 점착력도 우수한 제제가 되는 것이 확인되고, 또한 고체간 박리성이 용이하고 재부착성이 있는 제제가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3(피부 1차 자극성 지수 시험)
드레이즈법에 기초하는 피부 1차 자극성 지수(P.I.I.) 시험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행했다. 또한 드레이즈법의 상세는, Draize J.H., Woodard, G. and Calvery, H.O.(1944):Methods for the study of irritation and Toxicity of substances applied topically to the skin and mocous membranes, J. Pharmacol Exp. Ther., 82:377-390)에 나타난다.
실시예 3, 비교예 1의 제제를 15mmφ로 펀칭하고, 박리 라이너를 박리 후, 예모 및 체모 처리한 백색 토끼(17주령, 수컷, JW)(N=3)의 배부에 첩부하고, 첩부한 제제 전체를 덮도록 투습성을 갖는 카테립(CATHEREEP)(투명 점착 필름, 니치반(주))을 당해 제제의 위로부터 첩부했다.
24시간 첩부 후, 카테립 및 제제를 박리하고, 당해 제제의 첩부 부위를 정제수로 깨끗이 닦고, 박리 30분 후 및 24시간 경과시의 첩부 부위의 피부의 상태를 관찰하고, 표 4에 나타내는 드레이즈의 기준으로 자극 반응의 채점을 실시했다.
또한 제제 박리 30분 후 및 24시간 후의 채점값에 기초하여, 30분 후 또는 24시간 후의 채점 평균값, 및, 각 개체의 피부 1차 자극성 지수(P.I.I)로부터 개체 평균값인 평균 피부 1차 자극성 지수(평균 P.I.I.)를 얻었다.
또한 양성 대조로서 DNBC(2,4-dinitrochloro-benzene), 참고예 3의 제제로서 시판의 파프제(노비노비 살론십(Nobinobi Salonsip)(등록상표) FH 온감, 히사미쓰제약(주))를, 참고예 4의 제제로서 시판의 파프제(할릭스(HALIX)(등록상표) 55EX 온감, 라이온(주))를 사용하고, 마찬가지로 피부 1차 자극성 지수 시험을 실시하고, 30분 후 또는 24시간 후의 채점 평균값, 각 개체의 피부 1차 자극성 지수(P.I.I) 및 피부 1차 자극성 지수(평균 P.I.I.)를 얻었다.
얻어진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 비교예 1, 참고예 3 및 참고예 4의 제제에 있어서의 평균 1차 자극성 지수(평균 P.I.I.)는 0.7∼1.0이 되고, 경도의 자극이었다는 결과였다.
한편, 양성 대조에 있어서의 평균 1차 자극성 지수(평균 P.I.I.)는 2.8이 되고, 중정도의 자극이었다.
이상의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중, 당해 모노머의 호모폴리머의 Tg가 270K 이상인 모노머 A(아크릴산 메틸 등) 함량이 30∼50질량%의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공중합 수지 등)를 함수계 첩부제의 점착제층에 배합함으로써, 함수시 및 건조시의 높은 점착성을 유지하면서, 피부 자극성이 낮은 첩부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4)

  1. 지지체와, 당해 지지체 위에 마련된 점착제층 및 박리 라이너로 이루어지는 함수계 첩부제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하기 1)∼6) 성분을 필수로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함수계 첩부제.
    1) 아크릴계 친수성 점착제
    2) 모노머 A와 모노머 B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의 공중합체인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이며,
    상기 모노머 A는, 당해 모노머 A를 호모중합했을 때 유리 전이 온도(Tg)가 270K 이상의 폴리머가 되는 모노머이며,
    상기 모노머 B는, 당해 모노머 B를 호모중합했을 때 유리 전이 온도(Tg)가 220K 이하의 폴리머가 되는 모노머이며,
    상기 모노머 혼합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상기 모노머 A의 비율이 3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의 비율인,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
    3) 유기용매
    4) 가교제
    5) 유기산
    6) 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A가, 아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n-부틸, 메타크릴산 i-부틸, 메타크릴산 t-부틸, 아세트산 비닐,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및 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모노머이며,
    상기 모노머 B가,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아크릴산 옥틸 및 아크릴산 이소노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모노머인 함수계 첩부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A가, 아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및 메타크릴n-부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모노머이며,
    상기 모노머 B가, 아크릴산 2-에틸헥실 및 아크릴산 부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모노머인, 함수계 첩부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함수계 첩부제.
KR1020217005449A 2018-09-26 2019-06-27 함수계 첩부제 KR202100659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80413 2018-09-26
JP2018180413 2018-09-26
PCT/JP2019/025673 WO2020066188A1 (ja) 2018-09-26 2019-06-27 含水系貼付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931A true KR20210065931A (ko) 2021-06-04

Family

ID=69952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449A KR20210065931A (ko) 2018-09-26 2019-06-27 함수계 첩부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257410B2 (ko)
KR (1) KR20210065931A (ko)
CN (1) CN112689505A (ko)
TW (1) TW202011993A (ko)
WO (1) WO20200661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0570B2 (en) * 2020-04-08 2022-05-03 Delta Electronics, Inc. Wavelength converting device
WO2022064607A1 (ja) * 2020-09-24 2022-03-31 ニチバン株式会社 医薬品用含水系貼付剤
WO2022064608A1 (ja) * 2020-09-24 2022-03-31 ニチバン株式会社 非医薬品用含水系貼付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0684B2 (ko) 1972-10-16 1981-12-01
JPS5921779B2 (ja) 1980-08-28 1984-05-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材料の多重押出用金型
JPH09208462A (ja) 1996-02-07 1997-08-12 Tsumura & Co 自己粘着型パップ剤
JP2002104957A (ja) 2000-09-29 2002-04-10 Ooshin Seiyaku Kk 外用貼付剤
WO2016104227A1 (ja) 2014-12-22 2016-06-30 久光製薬株式会社 パップ剤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51808B1 (ko) * 1969-07-12 1972-12-26
CA1192232A (en) * 1981-07-07 1985-08-20 Michael E. Lynn Polymer-modified cement mortars and concretes an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H062150B2 (ja) * 1983-09-12 1994-01-12 リ−ドケミカル株式会社 貼付剤用基剤
GB8813557D0 (en) * 1988-06-08 1988-07-13 James River Graphics Ltd Coating composition & coated paper
JP2932574B2 (ja) * 1989-06-30 1999-08-09 ライオン株式会社 セメントモルタル及び/又はコンクリート用添加剤
JP3456828B2 (ja) * 1996-04-12 2003-10-14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ル系水性感圧接着剤組成物
ATE497764T1 (de) * 2002-11-05 2011-02-15 Lead Chem Co Ltd Perkutane absorptionszubereitungen mit 3-methyl-1-phenyl-2-pyrazolin-5-on
JP4527949B2 (ja) * 2003-06-24 2010-08-18 ニプロパッチ株式会社 粘着テープ
CN1905866B (zh) * 2004-01-20 2011-01-05 尼普洛外用药品株式会社 妥洛特罗贴剂
JP4665446B2 (ja) * 2004-07-02 2011-04-06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水性粘着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004789B2 (ja) * 2005-02-23 2012-08-22 ニプロパッチ株式会社 含水系外用貼付剤用組成物及びこの組成物を用いた貼付剤
JP2011182847A (ja) 2010-03-05 2011-09-2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医療用粘着剤組成物
CN103501779B (zh) 2011-01-24 2016-08-10 尼普洛外用药品株式会社 含水性贴附剂
CN107325740B (zh) * 2012-10-19 2020-10-20 琳得科株式会社 粘合剂组合物及粘合片
US10369115B2 (en) * 2013-08-23 2019-08-06 Hisamitsu Pharmaceutical Co., Ltd. Cataplas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9969911B2 (en) * 2013-10-25 2018-05-15 Kuraray Co., Ltd. Hot-melt adhesive composition
WO2016114010A1 (ja) * 2015-01-16 2016-07-21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エマルション型粘着剤組成物
CN116036049A (zh) * 2015-06-17 2023-05-02 东亚荣养株式会社 含有比索洛尔的贴剂
JP6304457B2 (ja) * 2015-08-27 2018-04-04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貼付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0684B2 (ko) 1972-10-16 1981-12-01
JPS5921779B2 (ja) 1980-08-28 1984-05-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材料の多重押出用金型
JPH09208462A (ja) 1996-02-07 1997-08-12 Tsumura & Co 自己粘着型パップ剤
JP2002104957A (ja) 2000-09-29 2002-04-10 Ooshin Seiyaku Kk 外用貼付剤
WO2016104227A1 (ja) 2014-12-22 2016-06-30 久光製薬株式会社 パップ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689505A (zh) 2021-04-20
JPWO2020066188A1 (ja) 2021-08-30
TW202011993A (zh) 2020-04-01
JP7257410B2 (ja) 2023-04-13
WO2020066188A1 (ja) 202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7437B2 (ja) 温感パップ剤
CA2791196C (en) Adhesive skin patch
JP2007099759A (ja) ビソプロロール含有貼付製剤
KR20210065931A (ko) 함수계 첩부제
EP2167001A1 (en) Dermal delivery device with ultrasonic weld
KR20090118957A (ko) 비소프롤롤 경피 투여 디바이스
JP2007186499A (ja) ビソプロロール含有貼付製剤
JPH08193030A (ja) エメダスチン貼付製剤
JP4428903B2 (ja) 非吸蔵性裏打ち層を有する吸蔵性経皮治療系
JP2016014052A (ja) 含水貼付剤
JP5548727B2 (ja) ビソプロロール含有貼付製剤
JPH11209271A (ja) 経皮吸収製剤
KR950013448B1 (ko) 경피 투여형 약물용 첩포(貼布)제
JP7219177B2 (ja) 非水系貼付剤
JP2001029383A (ja) 医療用貼付材および経皮吸収型貼付製剤
WO2018199018A1 (ja) 経皮吸収型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2142438A (ja) 水分センサー機能付含水系貼付剤
WO2014171538A1 (ja) 貼付剤用支持体及びこれを用いた貼付剤
JP2022131753A (ja) 非水系貼付剤
WO2022065430A1 (ja) 医薬品用含水系貼付剤
JPH11209270A (ja) 経皮吸収製剤
WO2021192270A1 (ja) 含水系貼付剤
KR20220158748A (ko) 첩부제
WO2021131032A1 (ja) 貼付剤
JP2002200111A (ja) 貼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