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388A - 적층체 - Google Patents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388A
KR20210060388A KR1020210063307A KR20210063307A KR20210060388A KR 20210060388 A KR20210060388 A KR 20210060388A KR 1020210063307 A KR1020210063307 A KR 1020210063307A KR 20210063307 A KR20210063307 A KR 20210063307A KR 20210060388 A KR20210060388 A KR 20210060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etardation film
retardation
roa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카리 데자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0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H01L51/529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과제] 외광 반사에 의한 반사광의 유색을 억제하여,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양호한 흑표시 능력을 부여할 수 있는 원편광판을 구비하는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및 광 반사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상기 위상차 필름은, 제1 위상차 필름과 제2 위상차 필름을 가지고, 상기 제1 위상차 필름은, 식 (1)∼식 (3)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제2 위상차 필름은, 식 (4)로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상기 위상차 필름은, 식 (5)의 관계를 만족하고, 상기 광 반사층은, 식 (6)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갖는 적층체.
nx>ny≒nz (1)
RoA(450)/RoA(550)≤0.93 (2)
135 ㎚<RoA(550)<145 ㎚ (3)
nx≒ny<nz (4)
0.1<|RthC(550)|/|RoA(550)|<0.5 (5)
45%<Yref<85% (6)

Description

적층체{LAMINATE}
본 발명은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이하, 유기 EL이라고도 함) 표시 장치로 대표되는 화상 표시 장치가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유기 EL 표시 장치로서는, 내부에 삽입된 전극 등이 외광을 반사하는 광 반사층이 되기 때문에, 통상은 편광 필름 및 위상차 필름(λ/4판, 위상차값 약 140 ㎚)을 구비하는 원편광판이 탑재된다. 원편광판을 유기 EL 표시 소자의 전면측에 배치함으로써, 내부 전극 등에 의한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여, 화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가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능력은, 흑을 본래의 흑으로서 표시하는 성능과 직결한다. 이 성능이 높을수록, 표시 장치는 콘트라스트가 높아진다.
원편광판은, 편광 필름과 A 플레이트를 조합함으로써 얻어진다. A 플레이트의 위상차값은,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와, 정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외관상 상이하다. 그 때문에, 화면을 보는 방향에 따라서는, 반사광의 색조가 변하여, 표시 장치의 콘트라스트가 저하하여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화면을 보는 방향에 의존한 위상차값의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C 플레이트를 더 조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C 플레이트는,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위상차를 보상하여, 콘트라스트의 향상에 공헌할 수 있다. 보상의 효과의 크기는, A 플레이트의 면내의 위상차값(RoA)과 C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RthC)의 관계로 결정된다. 보상 부족 및 보상 과잉 중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반사광에 유색이 보이며,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콘트라스트 저하를 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 이론 계산의 견지로부터, 이상적인 보상을 하는 데 필요한 C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RthC)은, A 플레이트의 면내의 위상차값의 1/2이라고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설계된 위상차 필름을 구비하는 원편광판을 탑재한 표시 장치는, 반드시 화면을 보는 방향에 의존하지 않는 콘트라스트를 달성하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6-40603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원편광판과 광 반사층을 구비한 적층체로서, 광 반사층에 의해 반사한 반사광의 유색을 억제하여,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양호한 흑표시 능력을 부여할 수 있는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 및 그 적층체를 구비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적층체를 제공한다.
[1]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및 광 반사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상기 위상차 필름은 제1 위상차 필름과 제2 위상차 필름을 가지고,
상기 제1 위상차 필름은 식 (1)∼식 (3)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제2 위상차 필름은 식 (4)로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제1 위상차 필름과 상기 제2 위상차 필름이 식 (5)의 관계를 만족하고,
상기 광 반사층은 식 (6)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갖는 적층체.
nx>ny≒nz (1)
RoA(450)/RoA(550)≤0.93 (2)
135 ㎚<RoA(550)<145 ㎚ (3)
nx≒ny<nz (4)
0.1<|RthC(550)|/|RoA(550)|<0.5 (5)
45%<Yref<85% (6)
〔각 식에 있어서, nx는 필름 면내에 있어서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y는 필름 면내로서 지상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z는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RoA(λ)는 제1 위상차 필름의 파장 λ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값을 나타내고,
RthC(λ)는 제2 위상차 필름의 파장 λ ㎚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을 나타내고,
Yref는 시감도 보정 반사율을 나타낸다.〕
[2]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및 광 반사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상기 위상차 필름은 제1 위상차 필름과 제2 위상차 필름을 가지고,
상기 제1 위상차 필름은 식 (1)∼식 (3)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제2 위상차 필름은 식 (4)로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제1 위상차 필름과 상기 제2 위상차 필름이 식 (7)의 관계를 만족하고,
상기 광 반사층은 식 (8)로 나타내는 특성을 갖는 적층체.
nx>ny≒nz (1)
RoA(450)/RoA(550)≤0.93 (2)
135 ㎚<RoA(550)<145 ㎚ (3)
nx≒ny<nz (4)
0.5<|RthC(550)|/|RoA(550)|<1.0 (7)
85%≤Yref<100% (8)
〔각 식에 있어서, nx는 필름 면내에 있어서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y는 필름 면내로서 지상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z는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RoA(λ)는 제1 위상차 필름의 파장 λ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값을 나타내고,
RthC(λ)는 제2 위상차 필름의 파장 λ ㎚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을 나타내고,
Yref는 시감도 보정 반사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하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3] [1] 또는 [2]에 기재된 적층체를 구비하고,
흑표시 시에 앙각 50°의 사각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
반사 색상값이 극대가 되는 면내 각도에 있어서의 반사 색상값과, 그 면내 각도에 90°더한 각도에 있어서의 반사 색상값의 a*b* 평면 내의 거리인 사각 색차가 4 미만인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4] 편광 필름 및 위상차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위상차 필름은 제1 위상차 필름과 제2 위상차 필름을 가지고,
상기 제1 위상차 필름은 식 (1)∼식 (3)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제2 위상차 필름은 식 (4)로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제1 위상차 필름과 상기 제2 위상차 필름이 식 (5)의 관계를 만족하는,
식 (6)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갖는 광 반사층에 접합하기 위한 원편광판.
nx>ny≒nz (1)
RoA(450)/RoA(550)≤0.93 (2)
135 ㎚<RoA(550)<145 ㎚ (3)
nx≒ny<nz (4)
0.1<|RthC(550)|/|RoA(550)|<0.5 (5)
45%<Yref<85% (6)
〔각 식에 있어서, nx는 필름 면내에 있어서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y는 필름 면내로서 지상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z는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RoA(λ)는 제1 위상차 필름의 파장 λ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값을 나타내고,
RthC(λ)는 제2 위상차 필름의 파장 λ ㎚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을 나타내고,
Yref는 시감도 보정 반사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하의 원편광판을 제공한다.
[5] 편광 필름 및 위상차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위상차 필름은 제1 위상차 필름과 제2 위상차 필름을 가지고,
상기 제1 위상차 필름은 식 (1)∼식 (3)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제2 위상차 필름은 식 (4)로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제1 위상차 필름과 상기 제2 위상차 필름이 식 (7)의 관계를 만족하는,
식 (8)로 나타내는 특성을 갖는 광 반사층에 접합하기 위한 원편광판.
nx>ny≒nz (1)
RoA(450)/RoA(550)≤0.93 (2)
135 ㎚<RoA(550)<145 ㎚ (3)
nx≒ny<nz (4)
0.5<|RthC(550)|/|RoA(550)|<1.0 (7)
85%≤Yref<100% (8)
〔각 식에 있어서, nx는 필름 면내에 있어서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y는 필름 면내로서 지상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z는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RoA(λ)는 제1 위상차 필름의 파장 λ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값을 나타내고,
RthC(λ)는 제2 위상차 필름의 파장 λ ㎚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을 나타내고,
Yref는 시감도 보정 반사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광 반사층이 식 (6)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갖는 경우라도, 제1 위상차 필름 및 제2 위상차 필름이 식 (5)로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하고, 또한, 광 반사층이 식 (8)로 나타내는 특성을 갖는 경우라도, 제1 위상차 필름 및 제2 위상차 필름이 식 (7)로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하기 때문에, 광 반사층에 의한 외광 반사에 의한 반사광의 유색을 억제하여,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양호한 흑표시 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를 구비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는, 외광 반사에 의한 반사광의 유색이 억제되어,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양호한 흑표시 능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적층체의 층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의 일례이다.
도 2는 사각 색차의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적층체>
본 발명의 적층체는,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및 광 반사층을 이 순서로 구비한다.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광 반사층 및 그 외의 부재는, 접착층을 통해 서로 적층될 수 있다. 접착층으로서는, 예컨대 후술하는 점착제층이나 접착제층을 들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층체의 층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편광 필름(10)과 보호 필름(11, 12)을 각각 접합하기 위한 접착제층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1에 나타내는 적층체(100)는, 편광 필름(10)의 한쪽의 면에 제1 보호 필름(11)이 적층되고, 편광 필름(10)의 다른 한쪽의 면에 제2 보호 필름(12)이 적층된 편광판과, 위상차 필름(2)과, 광 반사층(16)이 이 순서로 적층된 층구성을 갖는다.
편광판과 위상차 필름(2)은 점착제층(13)을 통해 적층되어 있고, 위상차 필름(2)과 광 반사층(16)은 점착제층(14)을 통해 적층되어 있다. 위상차 필름(2)은, 제1 위상차 필름(20)과 제2 위상차 필름(21)이, 접착층(15)을 통해 적층되어 있다. 또한, 위상차 필름은, 제1 위상차 필름 및 제2 위상차 필름 이외에, 예컨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키기 위한 배향막이나, 기재 필름, 그 외의 위상차층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광 반사층(16)은, 예컨대, 유기 EL 표시 소자가 구비하는 전극일 수 있다. 이 경우, 광 반사층(16)과 위상차 필름 사이에,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유기 발광층, 정공 방지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위상차 필름과 제2 위상차 필름의 적층순은 임의이다. 즉, 본 발명의 적층체는, 편광 필름, 제1 위상차 필름, 제2 위상차 필름, 광 반사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여도 좋고, 편광 필름, 제2 위상차 필름, 제1 위상차 필름, 광 반사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여도 좋다.
적층체는, 도 1에 나타낸 층 이외의 층을 가질 수 있다. 적층체가 더욱 가지고 있어도 좋은 층으로서는, 전면판, 차광 패턴, 터치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전면판은, 편광판에 있어서의 위상차 필름이 적층된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 패턴은, 전면판과 적층체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차광 패턴은, 전면판에 있어서의 편광판측의 면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차광 패턴은, 화상 표시 장치의 액자(비표시 영역)에 형성되어, 화상 표시 장치의 배선이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전면판과 적층체 사이, 적층체에 있어서의 위상차 필름과 광 반사층 사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적층체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경우, 장변의 길이는 5 ㎝ 이상 3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 2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단변의 길이는 5 ㎝ 이상 2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 ㎝ 이상 2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란, 적층체가, 각각, 주면의 4개의 코너(각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각부가 둔각이 되도록 절제된 형상이나 라운딩을 마련한 형상이거나, 주면에 수직인 단부면의 일부가 면내 방향으로 움패인 오목부(절결)를 갖거나, 주면 내의 일부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이들의 조합 등의 형상으로 뚫린 천공부를 갖거나 하여도 좋은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를 구비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는, 사각 색차가 4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사각 색차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상적으로는 0이다. 사각 색차가, 이러한 값을 취하면, 유기 EL 표시 장치의 반사광의 색감을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각 색차는, 유기 EL 표시 장치가 흑표시인 상태로, 앙각 50°의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반사 색상값이 극대가 되는 면내 각도에 있어서의 반사 색상값과, 그 면내 각도에 90°더한 각도에 있어서의 반사 색상값의 a*b* 평면 내의 거리를 말한다. 반사 색상값이 극대가 되는 면내 각도는, 앙각을 50°로 하여, 면내 각도를 0°에서 360°까지 바꾸어 반사 색상값을 측정하여, 반사 색상값이 극대가 되는 각도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사각 색차를 설명한다. 도 2의 (a)는 적층체(100)를 측면에서 본 것이다. 사각 색차를 산출하기 위한 반사 색상값은, 앙각(30)이, 50°가 되는 방향(40)에서 관찰하였을 때의 값을 채용한다. 도 2의 (b)는 적층체(100)를 상면에서(편광자를 기준으로 하여 위상차 필름측과는 반대측에서) 본 것이다. 사각 색차는, 반사 색상값이 극대가 되는 방향(41)에서 관찰하였을 때의 반사 색상값과, 그 방향(41)의 면내 각도에 90°[면내 각도(32)]를 더한 각도의 방향(42)에서 관찰하였을 때의 반사 색상값을 각각 측정하여, 양자의 a*b* 평면 내의 거리로서,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된다.
사각 색차=(Δa*2+Δb*2)1/2
반사 색상값이 극대가 되는 방향(41)에서 관찰하였을 때의 반사 색상값에 관하여, a*는 -3 이상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b*는 -3 이상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향(41)의 면내 각도에 90°[각도(32)]를 더한 각도의 방향(42)에서 관찰하였을 때의 반사 색상값에 관하여, a*는 -3 이상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b*는 -3 이상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편광판>
본 발명에 있어서 편광판이란, 편광 필름과, 편광 필름의 편면, 혹은 양면에 접합된 보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말한다. 편광판이 구비하는 보호 필름은, 후술하는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대전 방지층 등의 표면 처리층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은, 예컨대 접착제층이나 점착제층을 통해 적층할 수 있다. 편광판이 구비하는 부재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1) 편광 필름
편광판이 구비하는 편광 필름은, 그 흡수축에 평행한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흡수하고, 흡수축에 직교하는(투과축과 평행한)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 흡수형의 편광 필름일 수 있다. 제1 층이 갖는 편광 필름으로서는, 일축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2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킨 편광 필름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편광 필름은,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함으로써 2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2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 등의 가교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가교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서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예는, 불포화 카르복시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및 암모늄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아미드류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 메타크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쪽을 의미한다. 「(메트)아크릴로일」,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100 ㏖%이고, 98 ㏖% 이상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고,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또는 폴리비닐아세탈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통상, 1000∼10000이고, 1500∼5000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에 준거하여 구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막 제조한 것이, 편광 필름의 원단 필름으로서 이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막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공지의 방법이 채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원단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편광 필름의 두께를 15 ㎛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5∼35 ㎛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일축 연신은, 2색성 색소의 염색 전, 염색과 동시, 또는 염색 후에 행할 수 있다. 일축 연신을 염색 후에 행하는 경우, 이 일축 연신은, 가교 처리 전 또는 가교 처리 중에 행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복수의 단계에서 일축 연신을 행하여도 좋다.
일축 연신에 있어서는, 주속이 상이한 롤 사이에서 일축으로 연신하여도 좋고, 열롤을 이용하여 일축으로 연신하여도 좋다. 또한 일축 연신은, 대기 중에서 연신을 행하는 건식 연신이어도 좋고, 용제나 물을 이용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팽윤시킨 상태로 연신을 행하는 습식 연신이어도 좋다. 연신 배율은 통상, 3∼8배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그 필름을 2색성 색소가 함유된 수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2색성 색소로서는, 요오드나 2색성 유기 염료가 이용된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염색 처리 전에 물에의 침지 처리를 실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2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후의 가교 처리로서는 통상,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함유 수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2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 이 붕산 함유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의 두께는, 통상 3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 ㎛ 이하이다. 편광 필름의 두께는, 통상 2 ㎛ 이상이고, 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70368호 공보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액정 화합물이 중합한 경화막 중에, 2색성 색소가 배향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2색성 색소로서는, 파장 380∼800 ㎚의 범위 내에 흡수를 갖는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유기 염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색성 색소로서, 예컨대, 아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액정 화합물은, 배향한 채로 중합할 수 있는 액정 화합물이며, 분자 내에 중합성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WO2011/02489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액정성을 갖는 2색성 색소로 편광 필름을 형성하여도 좋다.
편광 필름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는,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99.9999% 이하이다. 또한, 편광 필름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은, 3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9.9% 이하이다. 적층체가, 이러한 성능의 편광 필름을 구비함으로써, 반사광이 새기 어려워져, 유색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2) 보호 필름
편광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적층되는 보호 필름은, 투광성을 갖는(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 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보호 필름은, 예컨대, 쇄형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환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넨계 수지 등)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와 같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일 수 있다.
쇄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수지(에틸렌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에틸렌 수지나, 에틸렌을 주체로 하는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수지(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나, 프로필렌을 주체로 하는 공중합체)와 같은 쇄형 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외에, 2종 이상의 쇄형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환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환형 올레핀을 중합 단위로 하여 중합되는 수지의 총칭이며,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1-24051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성3-1488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성3-122137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수지를 들 수 있다. 환형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를 들면, 환형 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환형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환형 올레핀과 에틸렌, 프로필렌과 같은 쇄형 올레핀과의 공중합체(대표적으로는 랜덤 공중합체) 및 이들을 불포화 카르복시산이나 그 유도체로 변성한 그라프트 중합체와 이들의 수소화물이다. 그 중에서도, 환형 올레핀으로서 노르보넨이나 다환 노르보넨계 모노머와 같은 노르보넨계 모노머를 이용한 노르보넨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하기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를 제외한,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수지이며, 다가 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와 다가 알코올의 중축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가 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로서는 2가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를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디메틸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2가의 디올을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대표예로서,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중축합체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을 주된 구성 모노머로 하는 수지이다.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구체예는, 예컨대, 폴리메타크릴산메틸과 같은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MS 수지 등); 메타크릴산메틸과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화합물의 공중합체[예컨대,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과 같은 폴리(메트)아크릴산C1 -6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가 이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50∼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100 중량%)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가 이용된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는, 셀룰로오스와 지방산의 에스테르이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의 구체예는,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디프로피오네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이들의 공중합물이나, 수산기의 일부가 다른 치환기로 수식된 것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카르보네이토기를 통해 모노머 단위가 결합된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보호 필름의 위상차값을, 적절하게 적합한 값으로 제어하여도 좋다. 사용자가 편광 선글라스 등을 착용한 경우의 화면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파장 550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값을 70∼140 ㎚로 하여도 좋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통상 1∼100 ㎛지만, 강도나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5∼6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4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의 양면에 접합되는 보호 필름은, 동종의 열 가소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이종의 열 가소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두께가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다. 또한, 동일한 위상차 특성을 가지고 있어도 좋고, 다른 위상차 특성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 필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그 외면(편광 필름과는 반대측의 면)에, 하드 코트층, 방현층, 광 확산층, 반사 방지층, 저굴절률층, 대전 방지층, 방오층과 같은 표면 처리층(코팅층)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보호 필름의 두께는, 표면 처리층의 두께를 포함한 것이다.
보호 필름은, 예컨대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통해 편광 필름에 접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로서는,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 또는 열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이다. 점착제층으로서는 후술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 수계 2액형 우레탄계 에멀젼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수계 접착제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 처리하여 얻어지는 비닐알코올 호모폴리머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비누화 처리하여 얻어지는 폴리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수산기를 부분적으로 변성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는, 알데히드 화합물(글리옥살 등), 에폭시 화합물, 멜라민계 화합물, 메틸올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아민 화합물, 다가 금속염 등의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을 접합한 후, 수계 접착제 중에 포함되는 물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공정 후, 예컨대 20∼45℃의 온도로 양생하는 양생 공정을 마련하여도 좋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란,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X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경화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접착제이며,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이다.
상기 경화성 화합물은,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이나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일 수 있다.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에폭시계 화합물(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나, 옥세탄계 화합물(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옥세탄고리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계 화합물[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나, 라디칼 중합성의 이중 결합을 갖는 그 외의 비닐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과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을 병용하여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통상, 상기 경화성 화합물의 경화 반응을 개시시키기 위한 양이온 중합 개시제 및/또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한다.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을 접합하는 데 있어서는,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접합면에 표면 활성화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표면 활성화 처리로서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방전 처리(글로우 방전 처리 등), 화염 처리, 오존 처리, UV 오존 처리, 전리 활성선 처리(자외선 처리, 전자선 처리 등)와 같은 건식 처리; 물이나 아세톤 등의 용매를 이용한 초음파 처리, 비누화 처리, 앵커 코트 처리와 같은 습식 처리를 들 수 있다. 이들 표면 활성화 처리는, 단독으로 행하여도 좋고, 2개 이상을 조합하여도 좋다.
편광 필름의 양면에 보호 필름이 접합되는 경우에 있어서 이들 보호 필름을 접합하기 위한 접착제는, 동종의 접착제여도 좋고 이종의 접착제여도 좋다.
<위상차 필름>
위상차 필름은, 제1 위상차 필름과 제2 위상차 필름을 갖는다. 또한, 위상차 필름은 후술하는 기재, 배향막, 그 외의 위상차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제1 위상차 필름은, 식 (1)∼식 (3)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갖는 것이다. 제1 위상차 필름은, 포지티브 A 플레이트일 수 있고, λ/4판일 수 있다. 또한, 제1 위상차 필름은, 역파장 분산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제1 위상차 필름을 구비함으로써, 반사광의 유색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위상차 필름은, 그 지상축이,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하여 대략 45°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대략 45°란, 45±5°를 의미한다.
nx>ny≒nz (1)
RoA(450)/RoA(550)≤0.93 (2)
135 ㎚<RoA(550)<145 ㎚ (3)
식 (1)∼식 (3)에 있어서, nx는, 필름 면내에 있어서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y는, 필름 면내로서 지상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z는,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RoA(λ)는, 제1 위상차 필름의 파장 λ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값을 나타낸다.
ny≒nz는, ny와 nz가 완전히 같은 경우에 더하여, ny와 nz가 실질적으로 같은 경우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ny와 nz의 차의 크기가 0.01 이내이면, ny와 nz가 실질적으로 같다고 할 수 있다.
RoA(λ)는, 파장 λ ㎚에 있어서의 굴절률[n(λ)]과, 두께(d)로부터, 이하의 식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RoA(λ)=〔nx(λ)-ny(λ)〕×d
RoA(450)/RoA(550)은, 제1 위상차 필름의 파장 분산성을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0.92 이하이다.
또한, 파장 λ ㎚에 있어서의 제1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값[RoA(λ)]에 대해서, RoA(450)은 100 ㎚ 이상 13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RoA(550)은 137 ㎚ 이상 14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RoA(650)은 137 이상 16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위상차 필름은, 식 (4)로 나타내는 특성을 갖는 것이다. 제2 위상차 필름은, 포지티브 C 플레이트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위상차 필름을 구비함으로써, 반사광의 유색을 억제할 수 있다.
nx≒ny<nz (4)
식 (4)에 있어서, nx는, 필름 면내에 있어서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y는, 필름 면내로서 지상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z는,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nx≒ny는, nx와 ny가 완전히 같은 경우에 더하여, nx와 ny가 실질적으로 같은 경우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nx와 ny의 차의 크기가 0.01 이내이면, nx와 ny가 실질적으로 같다고 할 수 있다.
후술하는 광 반사층의 반사 특성에 의존하지만, 구체적으로, 제2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은, 파장 550 ㎚에 있어서, -150 ㎚ 이상 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 이상 -2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은, 제1 위상차 필름 및 제2 위상차 필름 이외의 위상차를 갖는 층(이하, 그 외의 위상차층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그 외의 위상차층으로서는, 표시 소자가 구비하는 터치 센서, 발광 소자의 시일층, 발광 소자의 베이스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의 위상차층은, 편광 필름과 광 반사층 사이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제2 위상차 필름과 광 반사층 사이에 배치된다.
그 외의 위상차층은, A 플레이트여도 좋지만, 통상은 C 플레이트일 수 있다. 그 외의 위상차층은, 식 (9)로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즉, 그 외의 위상차층은, 네거티브 C 플레이트일 수 있다.
nx≒ny>nz (9)
nx≒ny는, nx와 ny가 완전히 같은 경우에 더하여, nx와 ny가 실질적으로 같은 경우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nx와 ny의 차의 크기가 0.01 이내이면, nx와 ny가 실질적으로 같다고 할 수 있다.
적어도 제1 위상차 필름과 제2 위상차 필름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은, 광 반사층의 시감도 보정 반사율에 따라, 이하의 식 (5) 또는 (7)을 만족한다.
0.1<|RthC(550)|/|RoA(550)|<0.5 (5)
0.5<|RthC(550)|/|RoA(550)|<1.0 (7)
식 (5) 및 식 (7)에 있어서, RoA(λ)는, 제1 위상차 필름의 파장 λ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값을 나타내고, RthC(λ)는, 제2 위상차 필름의 파장 λ ㎚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을 나타낸다.
RthC(λ)는, 파장 λ ㎚에 있어서의 굴절률[n(λ)]과, 두께(d)로부터, 이하의 식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RthC(λ)={〔nx(λ)+ny(λ)〕/2-nz}×d
RthC(450)/RthC(550)은, 제2 위상차 필름의 파장 분산성을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이하이다.
상기 식 (5) 및 식 (7)은, 발명자가 예의 검토한 결과, 실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알맞은 보상값은, 광 반사층의 반사 특성에 의해 종래의 이상적인 보상값과는 상이한 것이 밝혀진 것에 기초하는 것이다.
광 반사층이 후술하는 식 (6)의 특성을 만족하는 경우, 위상차 필름은, 식 (5)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RthC)과 제1 위상차 필름의 면내의 위상차값의 비는, 종래 이상적인 보상을 달성할 수 있다고 생각되고 있던 0.5보다 작다. 식 (5)의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광 반사층이 식 (6)의 특성을 갖는 경우라도, 본 발명의 적층체는,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양호한 흑표시를 가능하게 한다. |RthC(550)|/|RoA(550)|은, 바람직하게는 0.1 초과 0.5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0.4 이하이다. 위상차 필름이, 상기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반사광의 유색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광 반사층이 후술하는 식 (8)의 특성을 만족하는 경우, 위상차 필름은, 식 (7)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RthC)과 제1 위상차 필름의 면내의 위상차값의 비는, 종래 이상적인 보상을 달성할 수 있다고 생각되고 있던 0.5보다 크다. 식 (7)의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광 반사층이 식 (8)의 특성을 갖는 경우라도, 본 발명의 적층체는,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양호한 흑표시를 가능하게 한다. |RthC(550)|/|RoA(550)|은, 바람직하게는 0.5 초과 1.0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 이상 0.8 이하이다. 위상차 필름이, 상기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반사광의 유색을 억제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는 제1 위상차 필름 및 제2 위상차 필름은, 전술하는 열 가소성 수지 필름이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위상차 필름 및 제2 위상차 필름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되는 층으로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들 수 있다.
제1 위상차 필름이 만족하는 식 (1)∼식 (3)의 관계, 제2 위상차 필름이 만족하는 식 (4)의 관계 및 위상차 필름이 만족하는 식 (5) 또는 식 (7)의 관계는, 예컨대 제1 위상차 필름 및 제2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는 열 가소성 수지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 배합 비율을 조정하거나, 제1 위상차 필름 및 제2 위상차 필름의 두께를 조정하거나 함으로써 제어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은 예컨대, 기재에 마련된 배향막 상에 형성된다. 상기 기재는, 배향막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장척으로 형성되어 있는 기재여도 좋다. 이 기재는, 이형성 지지체로서 기능하며, 전사용의 위상차 필름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그 표면이 박리 가능한 정도의 접착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로서는, 상기 보호 필름의 재료로서 예시를 한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기재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20 ㎛ 이상 200 ㎛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의 두께가 20 ㎛ 이상이면, 강도가 부여된다. 한편, 두께가 200 ㎛ 이하이면, 기재를 재단 가공하여 매엽의 기재로 하는 데 있어서, 가공 부스러기의 증가, 재단날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재는, 여러 가지의 블로킹 방지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블로킹 방지 처리로서는, 예컨대, 이접착 처리, 필러 등을 이겨서 넣는 처리, 엠보스 가공(널링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블로킹 방지 처리를 기재에 대하여 실시함으로써, 기재를 권취할 때의 기재끼리의 들러붙음, 소위 블로킹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생산성 높게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은, 배향막을 통해 기재 상에 형성된다. 즉, 기재, 배향막의 순서로 적층되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은 상기 배향막 상에 적층된다.
또한, 배향막은, 수직 배향막에 한정되지 않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분자축을 수평 배향시키는 배향막이어도 좋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분자축을 경사 배향시키는 배향막이어도 좋다. 제1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수평 배향막을 사용할 수 있고, 제2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수직 배향막을 사용할 수 있다. 배향막으로서는, 후술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도공 등에 의해 용해되지 않는 용매 내성을 가지고, 또한, 용매의 제거나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위한 가열 처리에 있어서의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막으로서는, 배향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배향막, 광 배향막 및 표면에 요철 패턴이나 복수의 홈을 형성하여 배향시키는 그루브 배향막을 들 수 있다. 배향막의 두께는, 통상 10 ㎚∼10000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0 ㎚∼1000 ㎚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200 ㎚의 범위이다.
배향막에 이용하는 수지로서는, 공지의 배향막의 재료로서 이용되는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종래 공지의 단작용 또는 다작용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중합 개시제 하에서 경화시킨 경화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수지로서는, 이들 1종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형상으로부터, 봉형 타입(봉형 액정 화합물)과 원반형 타입(원반형 액정 화합물,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각각 저분자 타입과 고분자 타입이 있다. 또한, 고분자란, 일반적으로 중합도가 100 이상인 것을 말한다(고분자 물리·상전이 다이나믹스, 도이 마사오 저, 2 페이지, 이와나미쇼텐, 1992).
본 실시형태에서는, 어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2종 이상의 봉형 액정 화합물이나, 2종 이상의 원반형 액정 화합물, 또는 봉형 액정 화합물과 원반형 액정 화합물의 혼합물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봉형 액정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표 평성11-513019호 공보의 청구항 1, 또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89980호 공보의 단락 [0026]∼[0098]에 기재된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원반형 액정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08732호 공보의 단락 [0020]∼[0067], 또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44038호 공보의 단락 [0013]∼[0108]에 기재된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2종류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그 경우, 적어도 1종류가 분자 내에 2 이상의 중합성기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은, 중합성기를 갖는 액정 화합물이 중합에 의해 고정되어 형성된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층이 된 후는 이미 액정성을 나타낼 필요는 없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중합 반응을 할 수 있는 중합성기를 갖는다. 중합성기로서는, 예컨대, 중합성 에틸렌성 불포화기나 고리 중합성기 등의 부가 중합 반응이 가능한 작용기가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합성기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로일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메트)아크릴로일기란, 메타아크릴로일기 및 아크릴로일기의 양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예컨대 배향막 상에 도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는, 전술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 이외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에는, 중합 개시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는, 중합 반응의 형식에 따라, 예컨대, 열 중합 개시제나 광 중합 개시제가 선택된다. 예컨대, 광 중합 개시제로서는, α-카르보닐 화합물, 아실로인에테르, α-탄화수소 치환 방향족 아실로인 화합물, 다핵 퀴논 화합물, 트리아릴이미다졸 다이머와 p-아미노페닐케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상기 도공액 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0.01∼2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5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도공막의 균일성 및 막의 강도의 점에서, 중합성 모노머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라디칼 중합성 또는 양이온 중합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다작용성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전술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공중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96423호 공보 중의 단락 [0018]∼[0020]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중합성 모노머의 사용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5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3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도공막의 균일성 및 막의 강도의 점에서, 계면 활성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불소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30725호 공보 중의 단락 [0028]∼[0056]에 기재된 화합물, 일본 특허 출원 제2003-295212호 명세서 중의 단락 [0069]∼[0126]에 기재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용매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유기 용매로서는, 예컨대, 아미드(예, N,N-디메틸포름아미드), 술폭시드(예, 디메틸술폭시드), 헤테로 고리 화합물(예, 피리딘), 탄화수소(예, 벤젠, 헥산), 알킬 할라이드(예,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에스테르(예,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케톤(예,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에테르(예, 테트라히드로푸란, 1,2-디메톡시에탄)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킬 할라이드, 케톤이 바람직하다. 또한, 2종류 이상의 유기 용매를 병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편광 필름 계면측 수직 배향제, 공기 계면측 수직 배향제 등의 수직 배향 촉진제와 편광 필름 계면측 수평 배향제, 공기 계면측 수평 배향제 등의 수평 배향 촉진제라고 하는 각종 배향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도, 밀착 개량제, 가소제, 폴리머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위상차 필름 및 제2 위상차 필름의 두께는, 0.1 ㎛ 이상 5 ㎛ 이하로 할 수 있다. 제1 위상차 필름 및 제2 위상차 필름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이면, 충분한 내구성이 얻어져, 적층체의 박층화에 공헌할 수 있다. 당연한 일이지만, 제1 위상차 필름 및 제2 위상차 필름의 두께는, λ/4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층, λ/2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층, 또는 포지티브 C 플레이트 등의 원하는 면내 위상차값 및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이 얻어지도록 조정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이, 제1 위상차 필름 및 제2 위상차 필름으로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2층 포함하는 경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배향막 상에 각각 제작하여, 양자를 접착제층이나 점착제층을 통해 적층함으로써, 위상차 필름은 제조될 수 있다. 양자를 적층한 후, 기재 및 배향막은 박리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의 두께는, 3∼30 ㎛인 것이 바람직하고, 5∼2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 반사층>
광 반사층은, 적층체에 입사하는 광을 반사하는 층이며, 전형적으로는, 유기 EL 표시 소자가 구비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EL 표시 소자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전극 사이에 유기 발광 재료층이 협지된 박막 구조체를 갖는다. 이 유기 발광 재료층에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전자가 주입되며, 다른쪽의 전극으로부터 정공이 주입됨으로써 유기 발광 재료층 내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자기 발광을 행한다. 백 라이트를 필요로 하는 액정 표시 소자 등과 비교하여 시인성이 좋아, 더욱 박형화가 가능하고, 또한,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광 반사층은, 식 (6) 또는 식 (8)을 만족하는 것이면, 형성하는 재료에 제한은 없다. 광 반사층은, 금, 은, 동, 철, 니켈, 크롬, 몰리브덴, 티탄,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나 이들의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 반사층은, 위상차 필름의 특성에 따라, 이하의 식 (6) 또는 식 (8)을 만족한다.
45%<Yref<85% (6)
85%≤Yref<100% (8)
식 (6) 및 식 (8)에 있어서, Yref는, 시감도 보정 반사율을 나타낸다.
Yref는, 정반사광을 포함하는 SCI 방식으로 측정되는 반사율이며, 등색 함수[y(λ)(JIS Z 8701)]에 의해 시감도 보정된 반사율이다. Yref는, 분광 측색계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상차 필름이 식 (5)의 관계를 만족하는 경우, 광 반사층은, 식 (6)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만족하고, 위상차 필름이 식 (7)의 관계를 만족하는 경우, 광 반사층은, 식 (8)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만족한다. 이러한 위상차 필름과 광 반사층의 조합에 의해,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반사광의 유색을 억제할 수 있다. 식 (6)에 있어서 Yref는, 바람직하게는 45% 이상 80% 이하이고, 식 (8)에 있어서 Yref는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99.9%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4% 이상 99.9% 이하이다.
광 반사층은, 정반사광을 제외한 SCE 방식으로 측정되는 반사율이 10% 이상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 8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SCE 방식으로 측정되는 반사율을, 이러한 범위로 하는 것은 정반사광을 상대적으로 눈에 띄지 않게 함으로써, 특정 앙각에서의 광 강도의 증가를 적게 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SCE 방식으로 측정되는 반사율은, 분광 측색계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점착제층>
점착제층은, 적층체의 각 부재를 서로 적층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광 반사층이 유기 EL 표시 소자가 구비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경우, 점착제층을 통해 유기 EL 표시 소자와 위상차 필름은 적층되어도 좋다. 점착제층은, (메트)아크릴계, 고무계, 우레탄계, 에스테르계, 실리콘계, 폴리비닐에테르계와 같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적합하다. 점착제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열 경화형이어도 좋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3∼30 ㎛이고, 바람직하게는 3∼25 ㎛이다.
점착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베이스 폴리머)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과 같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모노머로 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베이스 폴리머에는, 극성 모노머를 공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을 갖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폴리머만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지만, 통상은 가교제를 더 함유한다. 가교제로서는, 2가 이상의 금속 이온으로서,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카르복시산 금속염을 형성하는 것; 폴리아민 화합물로서,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에폭시 화합물이나 폴리올로서,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전면판>
전면판은, 편광판의 시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면판은, 접착층을 통해 편광판에 적층될 수 있다. 접착층으로서는, 예컨대 전술한 점착제층이나 접착제층을 들 수 있다.
전면판으로서는, 유리, 수지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하드 코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유리로서는, 예컨대, 고투과 유리나, 강화 유리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얇은 투명면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학 강화를 실시한 유리가 바람직하다. 유리의 두께는, 예컨대 100 ㎛∼5 ㎜로 할 수 있다.
수지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하드 코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면판은, 기존의 유리와 같이 경직이 아니라,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5∼100 ㎛여도 좋다.
수지 필름으로서는, 노르보넨 또는 다환 노르보넨계 단량체와 같은 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단위를 갖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 셀룰로오스(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로오스부틸레이트,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시클로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에폭시 등의 고분자로 형성된 필름이어도 좋다. 수지 필름은, 미연신, 1축 또는 2축 연신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고분자는 각각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지 필름으로서는,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이미드 필름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 1축 또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며, 필름의 대형화에 대응할 수 있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필름 및 투명성과 광학적으로 이방성이 없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및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필름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의 두께는 5∼200 ㎛, 바람직하게는 20∼100 ㎛여도 좋다.
<차광 패턴>
차광 패턴(베젤)은, 전면판에 있어서의 표시 소자측에 형성할 수 있다. 차광 패턴은, 표시 장치의 각 배선을 숨겨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차광 패턴의 색 및/또는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없고, 흑색, 백색, 금색 등의 다양한 색을 갖는 수지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차광 패턴의 두께는 2 ㎛∼50 ㎛여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4 ㎛∼30 ㎛여도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 ㎛∼15 ㎛의 범위여도 좋다. 또한, 차광 패턴과 표시부 사이의 단차에 의한 기포 혼입 및 경계부의 시인을 억제하기 위해, 차광 패턴에 형상을 부여할 수 있다.
<적층체의 제조 방법>
도 1에 나타낸 적층체(100)를 예로,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적층체(100)는, 예컨대 편광판과 위상차 필름(2)과 광 반사층(16)을, 점착제층(13, 14)을 통해, 순차 적층시킴으로써 제조된다.
편광판은, 편광 필름(10)과 보호 필름(11, 12)을, 각각 접착제층을 통해 적층하여 제조될 수 있다. 편광판은, 장척의 부재를 준비하여, 롤·투·롤로 각각의 부재를 접합한 후, 소정 형상으로 재단하여 제조하여도 좋고, 각각의 부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한 후, 접합하여도 좋다. 계속해서, 보호 필름(12) 상에, 박리 필름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13)을 적층시킨다.
위상차 필름(2)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기재 상에 배향막을 형성하여, 배향막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도공액을 도공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킨 상태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경화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위상차 필름(20)을 구비하는 필름을 제작한다. 동일하게 하여, 제2 위상차 필름(21)을 구비하는 필름을 제작한다.
제1 위상차 필름(20) 또는 제2 위상차 필름 상에, 접착층(15)을 형성하여, 제1 위상차 필름(20)을 구비하는 필름과 제2 위상차 필름(21)을 구비하는 필름을 접합한다. 계속해서, 기재 필름, 또는 기재 필름 및 배향막을, 각각 박리하여, 위상차 필름(2)을 제작한다. 위상차 필름(2)은, 장척의 부재를 준비하여, 롤·투·롤로 각각의 부재를 접합한 후, 소정 형상으로 재단하여 제조하여도 좋고, 각각의 부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한 후, 접합하여도 좋다. 위상차 필름(2)은, 제1 위상차 필름 상에, 직접 제2 위상차 필름을 형성함으로써 얻어도 좋다. 즉, 접착층(15)은 생략 가능하다.
점착제층(13) 상의 박리필름을 박리하고, 노출한 점착제층(13)을 통해, 얻어진 편광판과 위상차 필름(2)을 접합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필름은, 원편광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광 반사층(16)이, 유기 EL 표시 소자가 구비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경우, 원편광판을 유기 EL 표시 소자에 적층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적층체(100)가 제조된다. 이 원편광판은, 예컨대 점착제층(14)을 통해, 광 반사층(16)을 포함하는 유기 EL 표시 소자에 접합된다. 광 반사층(16)은 식 (6) 또는 식 (8)로 나타내는 특성을 갖는다.
<용도>
본 발명의 적층체는, 여러 가지 표시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란, 표시 소자를 갖는 장치이며, 발광원으로서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로서는,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무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이하, 무기 EL이라고도 함) 표시 장치, 전자 방출 표시 장치[예컨대 전장 방출 표시 장치(FED라고도 함), 표면 전계 방출 표시 장치(SED라고도 함)], 전자 페이퍼{전자 잉크나 전기 영동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투사형 표시 장치[예컨대 그레이팅 라이트 밸브(GLV라고도 함)],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DMD라고도 함)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압전 세라믹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등 중 어느 하나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특히 유기 EL 표시 장치 또는 무기 EL 표시 장치에 특히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발명의 적층체를 구비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는, 외광 반사에 의한 반사광의 유색이 억제되어,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양호한 흑표시 능력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예 중의 「%」 및 「부」는, 특기하지 않는 한, 질량% 및 질량부를 의미한다.
(1) 필름 두께의 측정 방법:
필름의 두께는, 니혼분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엘립소미터 M-220, 또는 접촉식 막후계(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제조의 MH-15M, 카운터 TC101, MS-5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위상차값의 측정 방법: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이나 면내 위상차값은, 오지케이소쿠기기 가부시키가이샤 KOBRA-WPR, 또는 니혼분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엘립소미터 M-22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 앙각 8°의 방향에서 관찰한 반사 색상값:
코니카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분광 측색계인 CM-2600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 앙각 50°의 방향에서 관찰한 반사 색상값:
Instrument SystemsGmbH 제조의 디스플레이 평가 시스템 DMS803으로 측정하였다.
〔광 반사층의 준비〕
이하의 5종류의 광 반사층을 이용하였다. 어느 광 반사층도 평탄한 반사 스펙트럼을 가지며, 백 또는 은색의 반사광을 시인할 수 있었다.
광 반사층 1: 니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SUS판인 NTK SUS 304B.
광 반사층 2: 광 반사층 1의 표면에 크롬 도금을 실시한 것.
광 반사층 3: 가부시키가이샤 UACJ 제조의 알루미늄 호일인 마이호일 후형 50의 광택면.
광 반사층 4: 가부시키가이샤 UACJ 제조의 알루미늄 호일인 마이호일 후형 50의 비광택면.
광 반사층 5: 고반사율 반사판으로서 Alanod사 제조의 알루미늄 증착 반사판인 MIRO5 5011GP.
각 광 반사층의 반사 특성은, 이하의 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어느 반사율도 시감도 보정되어 있다. 코니카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분광 측색계인 CM-2600d를 사용하여 앙각 8°에서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1
[원편광판 1의 제작]
〔수평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
하기 구조의 광 배향성 재료 5부(중량 평균 분자량: 30000)와 시클로펜타논(용매) 95부를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수평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02
〔수직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
닛산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선에버 SE610을 사용하였다.
〔수평 배향 액정 경화막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
수평 배향 액정 경화막(제1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중합성 액정 화합물 A와 중합성 액정 화합물 B를 이용하였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 A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10-31223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또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 B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73893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제조하였다. 이하에 각각의 분자 구조를 나타낸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 A]
Figure pat00003
[중합성 액정 화합물 B]
Figure pat00004
중합성 액정 화합물 A 및 중합성 액정 화합물 B를 90:10의 질량비로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 100부에 대하여, 레벨링제(F-556; DIC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1.0부, 중합 개시제인 2-디메틸아미노-2-벤질-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이가큐어 369, BASF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6부 첨가하였다. 더욱, 고형분 농도가 13%가 되도록 N-메틸-2-피롤리돈(NMP)을 첨가하여,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수평 배향 액정 경화막 형성용 조성물을 얻었다.
〔수직 배향 액정 경화막 형성용 조성물의 조정〕
수직 배향 액정 경화막(제2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이하의 순서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인 Paliocolor LC242(BASF사 등록 상표) 100부에 대하여, 레벨링제로서 F-556을 0.1부 및 중합 개시제로서 이가큐어 369를 3부 첨가하였다. 고형분 농도가 13%가 되도록 시클로펜타논을 첨가하여, 수직 배향 액정 경화막 형성용 조성물을 얻었다.
〔편광판의 제작〕
평균 중합도 약 2,400, 비누화도 99.9 몰% 이상, 두께 75 ㎛의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을 준비하였다. PVA 필름을 30℃의 순수에 침지한 후, 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의 질량비가 0.02/2/100인 수용액에 30℃로 침지하여 요오드 염색을 행하였다(요오드 염색 공정). 요오드 염색 공정을 거친 PVA 필름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의 질량비가 12/5/100인 수용액에, 56.5℃로 침지하여 붕산 처리를 행하였다(붕산 처리 공정). 붕산 처리 공정을 거친 PVA 필름을 8℃의 순수로 세정한 후, 65℃에서 건조하여, 폴리비닐알코올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하고 있는 편광 필름을 얻었다. PVA 필름의 연신은, 요오드 염색 공정과 붕산 처리 공정에 있어서 행하였다. PVA 필름의 총연신 배율은 5.3배였다. 얻어진 편광 필름의 두께는 27 ㎛였다.
편광 필름과, 비누화 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코니카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KC4UYTAC 두께 40 ㎛)을 수계 접착제를 통해 닙롤로 접합하였다. 얻어진 접합물의 장력을 430 N/m으로 유지하면서, 60℃에서 2분간 건조하여, 편면에 보호 필름으로서 TAC 필름을 갖는 편광판을 얻었다. 또한, 수계 접착제는 물 100부에, 카르복실기변성폴리비닐알코올(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 제조, 「쿠라레포발 KL318」) 3부와, 수용성 폴리아미드에폭시 수지(다오카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스미레즈레진 650」, 고형분 농도 30%의 수용액〕 1.5부를 첨가하여 조제하였다.
얻어진 편광판에 대해서 광학 특성의 측정을 행하였다. 측정은 상기에서 얻어진 편광판의 편광 필름면을 입사면으로 하여 분광 광도계(「V7100」, 니혼분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로 실시하였다. 편광판의 흡수축은 폴리비닐알코올의 연신 방향과 일치하고 있으며, 얻어진 편광판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은 42.3%, 시감도 보정 편광도는 99.996%, 단체 색상 a는 -1.0, 단체 색상 b는 2.7이었다.
〔위상차 필름의 제작〕
닛폰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환형 올레핀계 수지(COP) 필름(ZF-14-50) 상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코로나 처리는,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TEC-4AX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코로나 처리는, 출력 0.78 ㎾, 처리 속도 10 m/분의 조건으로 1회 행하였다. COP 필름에 수평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터로 도포하여, 80℃에서 1분간 건조하였다. 도포막에 대하여, 편광 UV 조사 장치(「SPOT CURE SP-9」,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이용하여, 파장 313 ㎚에 있어서의 적산 광량이 100 mJ/㎠가 되도록, 축 각도 45°로 편광 UV 노광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수평 배향막의 막 두께는 100 ㎚였다.
계속해서, 수평 배향막에, 수평 배향 액정 경화막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120℃에서 1분간 건조하였다. 도포막에 대하여, 고압 수은 램프(「유니큐어 VB-15201BY-A」,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질소 분위기 하, 파장 365 ㎚에 있어서의 적산 광량: 500 mJ/㎠)함으로써, 수평 배향 액정 경화막(제1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였다. 수평 배향 액정 경화막의 막 두께는 2.3 ㎛였다.
수평 배향 액정 경화막 상에, 점착제층을 적층하였다. 상기 점착제층을 통해, COP 필름, 배향막, 수평 배향 액정 경화막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유리에 접합하였다. COP 필름을 박리하여, 위상차값을 측정하기 위한 샘플을 얻었다.
각 파장에 있어서의 위상차값[RoA(λ)]을 측정한 결과, RoA(450)=121 ㎚, RoA(550)=142 ㎚, RoA(650)=146 ㎚, RoA(450)/RoA(550)=0.85, RoA(650)/RoA(550)=1.03이고, 수평 배향 액정 경화막은, 역파장 분산성을 나타내었다. 수평 배향 액정 경화막은, nx>ny≒nz의 관계를 만족하는, 포지티브 A 플레이트였다.
또한, 각 파장에 있어서의 위상차값[RthA(λ)]을 측정한 결과, RthA(450)=61 ㎚, RthA(550)=71 ㎚, RthA(650)=73 ㎚였다.
〔수직 배향 액정 경화막의 제작〕
상기에서 제작한 COP 필름, 배향막, 수평 배향 액정 경화막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에 있어서의 수평 배향 액정 경화막에 대하여,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코로나 처리의 조건은 상기와 동일하게 하였다. 수평 배향 액정 경화막 상에, 수직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터로 도포하고, 80℃에서 1분간 건조시켜, 수직 배향막을 얻었다. 얻어진 수직 배향막의 막 두께는 50 ㎚였다.
수직 배향막에, 바 코터를 이용하여 수직 배향 액정 경화막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90℃에서 120초간 건조하였다. 도포막에 대하여, 고압 수은 램프(「유니큐어 VB-15201BY-A」,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질소 분위기 하, 파장 365 ㎚에 있어서의 적산 광량: 500 mJ/㎠)함으로써, 수직 배향 액정 경화막(제2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COP 필름, 수평 배향막, 수평 배향 액정 경화막, 수직 배향막, 수직 배향 액정 경화막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얻었다. 수직 배향 액정 경화막의 막 두께는, 0.1 ㎛였다.
수직 배향 액정 경화막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을 측정하기 위해, 별도, COP 필름 상에, 상기와 같은 순서로, 수직 배향막, 수직 배향 액정 경화막을 형성하였다. 수직 배향 액정 경화막 상에 점착제층을 적층하였다. 상기 점착제층을 통해, COP 필름, 배향막, 수직 배향 액정 경화막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유리에 접합하였다. COP 필름을 박리하여, 위상차값을 측정하기 위한 샘플을 얻었다. 파장 550 ㎚에 있어서의 위상차값[RthC(550)]을 측정한 결과, RthC(550)=-20 ㎚였다. 수직 배향 액정 경화막은, nx≒ny<nz의 관계를 만족하는 포지티브 C 플레이트였다.
COP 필름, 수평 배향막, 수평 배향 액정 경화막, 수직 배향막, 수직 배향 액정 경화막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에 있어서의 수직 배향 액정 경화막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코로나 처리의 조건은 상기와 동일하게 하였다. 편광판에 있어서의 편광 필름과 수직 배향 액정 경화막이 서로 접하도록, 양자를 점착제층을 통해 적층하였다. 이때, 편광 필름의 흡수축과, 수평 배향 액정 경화막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45°였다. 마지막으로 COP 필름을 박리하여, 위상차 필름과 편광판이 점착제층을 통해 적층된 원편광판 1을 얻었다. 이 원편광판 1은, TAC 필름, 편광 필름, 점착제층, 수직 배향 액정 경화막, 수직 배향막, 수평 배향 액정 경화막, 수평 배향막의 층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RthC(550)|/|RoA(550)|=0.14였다.
[원편광판 2의 제작]
수직 배향 액정 경화막의 막 두께를 0.3 ㎛, RthC(550)=-40 ㎚로 한 것 이외에는 원편광판 1과 동일하게 하여, 원편광판 2를 제작하였다. |RthC(550)|/|RoA(550)|=0.28였다.
[원편광판 3의 제작]
수직 배향 액정 경화막의 막 두께를 0.4 ㎛, RthC(550)=-60 ㎚로 한 것 이외에는 원편광판 1과 동일하게 하여, 원편광판 3을 제작하였다. |RthC(550)|/|RoA(550)|=0.42였다.
[원편광판 4의 제작]
수직 배향 액정 경화막의 막 두께를 0.5 ㎛, RthC(550)=-71 ㎚로 한 것 이외에는 원편광판 1과 동일하게 하여, 원편광판 4를 제작하였다. |RthC(550)|/|RoA(550)|=0.50이었다.
[원편광판 5의 제작]
수직 배향 액정 경화막의 막 두께를 0.6 ㎛, RthC(550)=-90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원편광판 5를 제작하였다. |RthC(550)|/|RoA(550)|=0.63이었다.
[원편광판 6의 제작]
수직 배향 액정 경화막을 제작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원편광판 1과 동일하게 하여, 원편광판 6을 제작하였다. 원편광판 6은, 위상차 필름으로서 수평 배향 액정 경화막(제1 위상차 필름)만을 가지고 있었다. |RthC(550)|/|RoA(550)|=0이었다.
[실시예 1]
원편광판에 있어서의, COP 필름을 박리하여 노출한 면에, 점착제층을 적층하였다. 이 점착제층을 통해, 원편광판 1과 광 반사층 1을 적층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에 대해서, 사각 색차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적층체를 앙각 50°의 방향에서 면내 각도를 바꾸어, 각각 반사 색상값을 디스플레이 평가 시스템 DMS803에 의해 측정하였다. 측정한 반사 색상값 중, 반사 색상값이 극대가 되는 면내 각도에 있어서의 반사 색상값과, 그 면내 각도에 90°더한 각도에 있어서의 반사 색상값의 a*b* 평면 내의 거리를 산출하였다.
얻어진 적층체에 대해서, 육안으로 보아 수평 배향 액정 경화막의 광학축과 관측자의 위치의 관계를 변화시켰을 때의 색상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에 평행한 면내 각도로, 앙각 50°부근에서 육안으로 보아 관찰하였을 때의 반사광의 색과, 제1 위상차 필름의 진상축에 평행한 면내 각도로, 앙각 50°부근에서 육안으로 보아 관찰하였을 때의 반사광의 색을 평가하였다.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경사 방향의 콘트라스트가 양호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였다.
양호: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외광의 반사광이 색을 띠지 않아, 양호한 흑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불량: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외광의 반사광이 색을 띠어, 양호한 흑표시를 실현하는 것이 어렵다.
그 결과,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적층체의 사각 색차는 2이며, 어느 방향에서 보아도 반사광의 색은 균일하고, 넓은 시야각에서 양호한 흑표시를 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이상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13, 비교예 1∼17]
원편광판과 광 반사층의 조합을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적층체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사각 색차를 측정하였다. 또한, 얻어진 적층체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육안으로 보아 수평 배향 액정 경화막의 광학축과 관측자의 위치의 관계를 변화시켰을 때의 반사광의 추파를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5
본 발명의 적층체는, 외광 반사에 의한 반사광의 유색을 억제하여,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양호한 흑표시 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를 구비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는, 외광 반사에 의한 반사광의 유색이 억제되어,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양호한 흑표시 능력을 나타낼 수 있다.
2 위상차 필름
10 편광 필름
11, 12 보호 필름
13, 14 점착제층
15 접착층
16 광 반사층
20 제1 위상차 필름
21 제2 위상차 필름
30 앙각
32 면내 각도
40 앙각이 50°가 되는 방향
41 반사 색상값이 극대가 되는 방향
42 반사 색상값이 극대가 되는 방향의 면내 각도에 90°를 더한 각도의 방향
100 적층체

Claims (5)

  1.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및 광 반사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상기 위상차 필름은 제1 위상차 필름과 제2 위상차 필름을 가지고,
    상기 제1 위상차 필름은 식 (1)∼식 (3)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제2 위상차 필름은 식 (4)로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제1 위상차 필름과 상기 제2 위상차 필름이 식 (5)의 관계를 만족하고,
    상기 광 반사층은 식 (6)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갖는 적층체.
    nx>ny≒nz (1)
    RoA(450)/RoA(550)≤0.93 (2)
    135 ㎚<RoA(550)<145 ㎚ (3)
    nx≒ny<nz (4)
    0.1<|RthC(550)|/|RoA(550)|<0.5 (5)
    45%<Yref<85% (6)
    〔각 식에 있어서, nx는 필름 면내에 있어서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y는 필름 면내로서 지상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z는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RoA(λ)는 제1 위상차 필름의 파장 λ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값을 나타내고,
    RthC(λ)는 제2 위상차 필름의 파장 λ ㎚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을 나타내고,
    Yref는 시감도 보정 반사율을 나타낸다.〕
  2.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및 광 반사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상기 위상차 필름은 제1 위상차 필름과 제2 위상차 필름을 가지고,
    상기 제1 위상차 필름은 식 (1)∼식 (3)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제2 위상차 필름은 식 (4)로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제1 위상차 필름과 상기 제2 위상차 필름이 식 (7)의 관계를 만족하고,
    상기 광 반사층은 식 (8)로 나타내는 특성을 갖는 적층체.
    nx>ny≒nz (1)
    RoA(450)/RoA(550)≤0.93 (2)
    135 ㎚<RoA(550)<145 ㎚ (3)
    nx≒ny<nz (4)
    0.5<|RthC(550)|/|RoA(550)|<1.0 (7)
    85%≤Yref<100% (8)
    〔각 식에 있어서, nx는 필름 면내에 있어서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y는 필름 면내로서 지상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z는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RoA(λ)는 제1 위상차 필름의 파장 λ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값을 나타내고,
    RthC(λ)는 제2 위상차 필름의 파장 λ ㎚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을 나타내고,
    Yref는 시감도 보정 반사율을 나타낸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구비하고,
    흑표시 시에 앙각 50°의 사각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
    반사 색상값이 극대가 되는 면내 각도에 있어서의 반사 색상값과, 상기 면내 각도에 90°더한 각도에 있어서의 반사 색상값의 a*b* 평면 내의 거리인 사각 색차가 4 미만인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4. 편광 필름 및 위상차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위상차 필름은 제1 위상차 필름과 제2 위상차 필름을 가지고,
    상기 제1 위상차 필름은 식 (1)∼식 (3)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제2 위상차 필름은 식 (4)로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제1 위상차 필름과 상기 제2 위상차 필름이, 식 (5)의 관계를 만족하는,
    식 (6)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갖는 광 반사층에 접합하기 위한 원편광판.
    nx>ny≒nz (1)
    RoA(450)/RoA(550)≤0.93 (2)
    135 ㎚<RoA(550)<145 ㎚ (3)
    nx≒ny<nz (4)
    0.1<|RthC(550)|/|RoA(550)|<0.5 (5)
    45%<Yref<85% (6)
    〔각 식에 있어서, nx는 필름 면내에 있어서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y는 필름 면내로서 지상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z는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RoA(λ)는 제1 위상차 필름의 파장 λ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값을 나타내고,
    RthC(λ)는 제2 위상차 필름의 파장 λ ㎚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을 나타내고,
    Yref는 시감도 보정 반사율을 나타낸다.〕
  5. 편광 필름 및 위상차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위상차 필름은 제1 위상차 필름과 제2 위상차 필름을 가지고,
    상기 제1 위상차 필름은 식 (1)∼식 (3)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제2 위상차 필름은 식 (4)로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제1 위상차 필름과 상기 제2 위상차 필름이 식 (7)의 관계를 만족하는,
    식 (8)로 나타내는 특성을 갖는 광 반사층에 접합하기 위한 원편광판.
    nx>ny≒nz (1)
    RoA(450)/RoA(550)≤0.93 (2)
    135 ㎚<RoA(550)<145 ㎚ (3)
    nx≒ny<nz (4)
    0.5<|RthC(550)|/|RoA(550)|<1.0 (7)
    85%≤Yref<100% (8)
    〔각 식에 있어서, nx는 필름 면내에 있어서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y는 필름 면내로서 지상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z는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RoA(λ)는 제1 위상차 필름의 파장 λ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값을 나타내고,
    RthC(λ)는 제2 위상차 필름의 파장 λ ㎚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을 나타내고,
    Yref는 시감도 보정 반사율을 나타낸다.〕
KR1020210063307A 2018-06-25 2021-05-17 적층체 KR202100603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19686 2018-06-25
JP2018119686A JP6815354B2 (ja) 2018-06-25 2018-06-25 積層体
KR1020190073440A KR102261806B1 (ko) 2018-06-25 2019-06-20 적층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440A Division KR102261806B1 (ko) 2018-06-25 2019-06-20 적층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388A true KR20210060388A (ko) 2021-05-26

Family

ID=689685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440A KR102261806B1 (ko) 2018-06-25 2019-06-20 적층체
KR1020210063307A KR20210060388A (ko) 2018-06-25 2021-05-17 적층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440A KR102261806B1 (ko) 2018-06-25 2019-06-20 적층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15354B2 (ko)
KR (2) KR102261806B1 (ko)
CN (1) CN110632693B (ko)
TW (1) TWI7532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17321A (ja) * 2020-01-24 2021-08-10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20150283A (ko) * 2020-03-19 2022-11-10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원 편광판 및 광학 적층체
WO2021187098A1 (ja) * 2020-03-19 2021-09-23 住友化学株式会社 円偏光板及び光学積層体
JP7046127B6 (ja) * 2020-07-28 2023-12-1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該光学積層体の位相差層付偏光板を含む画像表示装置
JP2023157234A (ja) 2022-04-14 2023-10-26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0603A (ja) 2013-08-09 2016-03-24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3435A (ja) * 1994-06-10 1995-12-22 Sumitomo Chem Co Ltd 反射型偏光板及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3815461B2 (ja) * 2002-11-22 2006-08-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113203A (ja) * 2004-10-13 2006-04-27 Nitto Denko Corp 積層光学フィルム、楕円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022937B2 (ja) * 2009-10-24 2016-11-0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選択された入射面への角度制限を有する浸漬した反射偏光子
CN202363044U (zh) * 2011-10-26 2012-08-01 东莞市凯昶德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视角改善的led显示屏
JP5528606B2 (ja) * 2012-06-21 2014-06-2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有機elパネル
JP6321435B2 (ja) * 2012-06-21 2018-05-0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有機elパネル
JP2015175994A (ja) * 2014-03-14 2015-10-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50113886A (ko) * 2014-03-31 2015-10-08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편광판, 및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JP2015232647A (ja) * 2014-06-10 2015-12-24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6012417A (ja) * 2014-06-27 2016-01-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電子デバイス
JP7055099B2 (ja) * 2016-06-30 2022-04-15 住友化学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0603A (ja) 2013-08-09 2016-03-24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03520A (ja) 2020-01-09
TW202005793A (zh) 2020-02-01
TWI753266B (zh) 2022-01-21
CN110632693A (zh) 2019-12-31
KR102261806B1 (ko) 2021-06-04
CN110632693B (zh) 2023-07-18
JP6815354B2 (ja) 2021-01-20
KR20200000812A (ko) 2020-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1806B1 (ko) 적층체
JP7439210B2 (ja) 偏光板および表示装置
KR20190103961A (ko) 원 편광판
KR20200014222A (ko) 원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210009330A (ko)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200014225A (ko) 원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7374744B2 (ja) 円偏光板
JP7451922B2 (ja) 自発光型画像表示装置
CN113474697B (zh) 光学层叠体及有机el显示装置
JP2021060607A (ja) 積層体
JP7162037B2 (ja) 画像表示装置
JP2022191315A (ja) 円偏光板
KR20200096431A (ko) 편광판 및 표시 장치
CN116723931A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