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5093A - 종이제 뚜껑 및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종이제 뚜껑 및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5093A
KR20210055093A KR1020217012149A KR20217012149A KR20210055093A KR 20210055093 A KR20210055093 A KR 20210055093A KR 1020217012149 A KR1020217012149 A KR 1020217012149A KR 20217012149 A KR20217012149 A KR 20217012149A KR 20210055093 A KR20210055093 A KR 20210055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aper
curl
container
tap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221B1 (ko
Inventor
기쿠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기쿠오 야마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0730786&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1005509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기쿠오 야마다 filed Critical 기쿠오 야마다
Priority to KR1020227029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137B1/ko
Publication of KR20210055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6Opening arrangements or device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003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flattening or rim-rolling; Shaping by bending, folding or rim-rolling combined with joining; Apparatus therefor
    • B31F1/0038Rim-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36Moistening and heating webs to facilitate mechanical deformation and drying deform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onical or frusto-co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form of integral or permanently secured end closure
    • B65D3/16Discs without flanges engaging a groove in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65D43/0218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65D43/02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only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65D43/022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16Devices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2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1/00Details of blanks
    • B65D2301/10Blanks mutually positioned to minimise waste material upon cutting out the individual blank from a continuous or large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46Drinking-through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31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made of several pieces
    • B65D2543/0024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made of several pieces two pieces, one forming at least the whole skirt, the other forming at least the whole upper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68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49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49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27NO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37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55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11Profiles
    • B65D2543/00638Rolled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75Periphery concerned
    • B65D2543/00685Tot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22Profiles
    • B65D2543/0074Massive b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87Periphery concerned
    • B65D2543/00805Se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81Dis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편이성이 좋은 종이제 뚜껑을 제공하기 위하여, 종이제 뚜껑은, 개구부와 테이퍼와 컬부를 가진 용기에 장착되도록, 종이재료를 가진 뚜껑본체부와, 뚜껑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퍼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테이퍼를 가지며, 컬부의 외측으로부터 컬부에 계합하는 제1 계합부와, 뚜껑본체부에 설치되고, 제1 계합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본체부측 컬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종이제 뚜껑 및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종이제 뚜껑 및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액체용기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종이제 뚜껑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피, 홍차 등의 각종 드링크의 용기로서 종이제 컵이 이용되고 있다. 종이제 컵으로부터 내용물의 액체가 새지 않도록 뚜껑을 덮고 있다. 이러한 뚜껑은 플라스틱제가 많아, 플라스틱을 삭감하여 친환경 제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최근 트렌드에는 맞지 않았다. 또한, 종이컵의 바닥 부분을 종이제 뚜껑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제안되고 있지만, 사용 편의성까지 고려된 것은 아니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248530호
특허문헌 1은, 종이컵의 테이퍼와, 뚜껑의 테이퍼가 순방향 테이퍼로, 종이컵을 기울였을 때에 내용물이 샐 우려가 있어, 사용 편의성이 충분하지 않았다. 또한, 특허문헌 1은, 종이제 뚜껑의 제안에 머무르고 있어, 세부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 편의성이 충분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 편의성이 좋은 종이제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종이제 뚜껑은, 개구부와 테이퍼와 컬부를 가진 용기에 장착되도록, 종이재료를 가진 뚜껑본체부와, 상기 뚜껑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퍼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테이퍼를 가지며, 상기 컬부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컬부에 계합하는 제1 계합부와, 상기 뚜껑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계합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본체부측 컬부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은, 종이재료를 이용한 천장뚜껑부에 음용구부와, 상기 천장뚜껑부와 상기 음용구부에 접합되는 씰부를 설치하는 스텝과, 상기 음용구부와, 상기 씰부가 형성된 천장뚜껑부를,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종이재료를 이용한 테이퍼부에 접합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은, 개구부와 테이퍼와 컬부를 가진 용기에 장착되는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컬부를 변형시켜서 계합하는 계합부를 부채꼴 형상의 종이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스텝과, 상기 계합부에 천장뚜껑부를 접합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있다.
청구항 23에 기재된 종이제 뚜껑은, 종이재료를 가진 본체부와, 개구부와 테이퍼를 가진 용기에 장착되도록, 상기 테이퍼의 각도와는 다른 각도를 가지고, 상기 테이퍼와 계합하는 계합부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24에 기재된 종이제 뚜껑은, 개구부와 테이퍼를 가진 용기에 장착되도록, 상기 개구부의 외측으로부터 계합 가능한 제1 계합부를 구비하고, 종이재료를 가진 본체부와,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부터 계합 가능하며, 종이재료를 가진 제2 계합부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종이제 뚜껑은, 종이제 뚜껑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종이제 뚜껑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은, 음용구부와, 씰부가 형성된 천장뚜껑부를,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종이재료를 이용한 테이퍼부에 접합하고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좋은 종이제 뚜껑을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은, 용기의 컬부를 변형시키도록, 계합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종이제 뚜껑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종이제 뚜껑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3에 기재된 종이제 뚜껑은, 종이제 뚜껑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종이제 뚜껑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4에 기재된 종이제 뚜껑은, 종이제 뚜껑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종이제 뚜껑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 및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의 개요도이다.
도 3은, 플라스틱제 뚜껑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 및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형태의 홀더 부착 종이제 뚜껑의 개요도이다.
도 6은, 제4 실시형태의 홀더 부착 종이제 뚜껑의 개요도이다.
도 7은, 종이제 뚜껑에 손잡이 및 홀더를 장착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제5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의 개요도이다.
도 9는, 제6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의 개요도이다.
도 10은, 제6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6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컬부의 감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씰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씰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7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의 개요도이다.
도 17은, 제7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천장뚜껑부와 계합부와의 접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6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의 변형예이다.
도 20은, 제7 실시형태의 창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7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의 창부의 변형예이다.
도 22는, 제8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제8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의 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f)의 계합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요도 및 단면도이다.
도 25는, 종이제 뚜껑(1)의 표시부(40)를 나타내는 개요도, 부분확대도 및 A-A 단면도, 그리고 간격 없이 3개의 표시부(40)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개요도 및 종이제 뚜껑(1)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천장뚜껑부(2)를 제외한 종이제 뚜껑(1)의 전개도이다.
도 27은, 제8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9는,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의 개요도이다.
도 30은, 원판으로부터 천장뚜껑부를 빼내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볼록부를 형성하는 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2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거나 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 및 용기(20)의 단면도이다. 도 1의 (a)는,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서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의 (b)는,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감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을 위에서부터 본 개요도이다. 도 2의 (a)는, 씰부(8)가 음용구(5)를 밀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2의 (b)는, 씰부(8)가 음용구(5)에서 벗겨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의 (c), 도 2의 (d)는, 음용구(5)를 종이제 뚜껑(1)의 중심을 향하여 접어서 형성한 것이고, 실선이 절취선으로 되어 있다.
(종이제 뚜껑)
종이제 뚜껑(1)은, 천장뚜껑부(2), 이 천장뚜껑부(2)에 형성된 테이퍼부(3), 바닥뚜껑부(4), 음용구(5), 홈부(6), 공기구멍부(7), 씰부(8)를 가지고 있다.
종이제 뚜껑(1)은, 용기(20)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으로, 종이재료를 이용하고 있다. 종이재료로서는, 적어도 셀룰로오스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면 좋고, 그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초조(抄造)에 의하여 형성된 종이재료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종이재료로서, 표면에 코팅층을 마련한 코팅지 등의 각종 내수지를 이용하여도 좋고, 적어도 종이재료의 용기측 면에 코팅층을 마련하여도 좋다. 코팅층으로서는, 필름이나 도공제를 이용할 수 있다. 필름이나 도공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초산비닐,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에폭시수지, 폴리아크릴산수지, 폴리메타크릴산수지, 나일론,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폴리히드록시부틸레이트, 폴리유산, 에스테르화전분 등의 전분계수지, 초산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석시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글리콜산, 키토산/셀룰로오스/전분, 폴리(히드록시부틸레이트/히드록시헥사노에이트), 폴리(카프로락톤/부틸렌석시네이트),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석시네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생분해성 수지나 생분해성 수지혼합물; 생분해성 바이오매스수지; 불소수지, 실리콘수지, 자외선경화수지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스틸렌 공중합체,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등, 상기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공중합체, 천연수지, 파라핀, 젤라틴, 셀로판, 폴리메틸펜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생분해성 수지 이들 수지의 필름이나, 에멀젼, 용액이나, 더욱이는 불소계 코팅제, 실리콘계 코팅제, 니스 등의 도공제를 도포, 분사하는 등을 하여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필름으로서는, 단층필름이어도 복층필름이어도 좋고, 도공제도 1종류를 도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2종류 이상의 도공제를 겹침 도공하여도 좋다. 필름이나 도공제는, 폴리유산 등의 생분해성이나 생분해성 수지혼합물의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환경부하를 적게 할 수 있다. 한편,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40% 정도라면 생분해성을 가진다.
또한, 도공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식물성 전분 등 인체에 영향이 없는 것을 이용하면 좋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종이컵의 바닥 부분을 이용하여 종이제 뚜껑(1)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천장뚜껑부(2)는, 하측(용기(20)측)을 향하여 깊이 3mm~12mm 정도의 단(오목부)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테이퍼부(3)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부(3)는, 후술하는 용기(20)의 외형의 테이퍼부(21)와는 반대 방향의 테이퍼(역방향 테이퍼)이고, 용기(20)를 향하여 확산되고 있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테이퍼부(3)의 높이 방향(도 1의 Z방향)의 치수는, 후술하는 용기(20)의 컬부(22)의 높이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종이제 뚜껑(1)이 용기(20)의 내측에 삽입된 경우에, 용기(20)를 쓰러뜨려 버린 경우에도, 용기(20)의 내용물을 흘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테이퍼부(3)와, 테이퍼부(21)가 역방향 테이퍼인 경우에는, 감합하는 힘이 면이 아닌 점접촉(선접촉)이 되므로, 감합할 때의 힘이 면접촉인 경우에 비하여 감합부에 집중하여 작용한다. 이 때문에, 테이퍼부(3)와, 테이퍼부(21)와의 감합성이 향상되므로, 종이제 뚜껑(1)의 밀폐성이 향상된다. 또한, 테이퍼부(3)와, 테이퍼부(21)는 종이재료이므로, 테이퍼부(3) 및 테이퍼부(21)가 감합에 의하여 변형되어 약간의 평면부가 형성된다. 이 평면부가, 테이퍼부(3)와, 테이퍼부(21)와의 감합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테이퍼부(3)는, 테이퍼를 가지지 않는 직선형상으로 하여서도,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테이퍼부(3)의 기울기가, 테이퍼부(21)의 기울기에 대하여 다르면 좋다.
한편, 종이제 뚜껑(1)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테이퍼부(3)에 요철부를 설치하거나, 단부를 설치하거나 하여도 좋다.
바닥뚜껑부(4)는, 천장뚜껑부(2)와 계합하는 형상이다. 바닥뚜껑부(4)와 천장뚜껑부(2)와의 계합에는, 프레스 가공, 초음파 접합, 히트씰 및 접착제(예를 들어, 전분풀) 등의 각종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음용구(5)는, 천장뚜껑부(2) 및 바닥뚜껑부(4)에 설치된 개구이고, 음용구로서 혹은 스트로를 삽입하는 구멍으로서, 그 크기나 형상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하프커팅의 절취선을 넣어, 유저가 하프커팅을 제거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음용구(5)는, 도 2의 (c), 도 2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선의 절취선과,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가지고,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힌지로서 기능하고 있다. 실선의 절취선을 종이제 뚜껑(1)의 중심을 향하여 접음으로써, 음용구(5)가 열린다. 이 경우, 천장뚜껑부(2)에 절취선을 넣고, 바닥뚜껑부(4)는 이러한 절취선에 대응한 개구부로 함으로써, 음용구(5)를 쉽게 접을 수 있다. 또한, 절취선은, 천장뚜껑부(2)측에서 바닥뚜껑부(4)를 향하여 절취함으로써, V자(역삼각형상)로 하면, 음용구(5)를 닫은 상태에서는 용기(20)로부터의 내용물이 천장뚜껑부(2)측에 새어 들어가기 힘들어진다. 한편, 음용구(5)의 형상은, 직선적인 형상, 곡선적인 형상, 직선적인 형상에 곡선적인 형상을 더한 형상이어도 좋고, 도 2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음용구(5)에 대응하여 도 2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컬부(9)를 외측으로 펼치거나, 도 2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컬부(9)의 외륜을 내측으로 짓누르거나 하면, 음용구(5)로부터의 내용물을 마시기 쉬워진다. 한편, 도 2의 (d)의 컬부(9)의 외륜 대신에 내륜을 외측을 향하여 짓누르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2의 (d)의 부분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용구(5)의 실선의 절취부의 일부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이음부(5a)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음부(5a)가 존재한다면 음용구(5)가 개봉되어 있지 않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것과는 반대로, 이음부(5a)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음용구(5)가 개봉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음부(5a)는, 음용구(5)가 사용되었는지 아닌지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이음부(5a)를 형성하는 위치나 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a) 내지 도 2의 (c)의 음용구(5)에도 이음부(5a)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의 (a),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부(6)는,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천장뚜껑부(2)에 설치된 선이고, 천장뚜껑부(2)를 관통하지 않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홈부(6)는, 복수개 설치되고, 음용구(5)에 연결되어 있다. 용기(20)의 내용물이 음용구(5)로부터 천장뚜껑부(2)의 오목부(단부)에 고여 버린 경우에, 홈부(6)는 천장뚜껑부(2)의 오목부에 고인 내용물을 음용구(5)로 유도하고, 그리고 용기(20)에 내용물을 되돌리는 것이다.
또한,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홈부(6)를 설치함으로써, 천장뚜껑부(2), 나아가서는 종이제 뚜껑(1)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의 (c), 도 2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용구(5)로부터 컬부(9)를 향하여 홈부(6)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홈부(6)는, 가장자리부까지 도달하도록 형성하여도 좋고, 가장자리부 앞까지로 해서 형성하여도 좋다. 도 2의 (c), 도 2의 (d)에 나타내는 홈부(6)는, 음용구(5)로부터의 내용물을 유저의 입으로 유도하는 동시에, 유저가 음용구(5)로부터 입을 뗐을 때에는, 음용구(5) 부근에 남은 내용물을 음용구(5)로 되돌릴 수 있다. 한편, 도 2의 (c), 도 2의 (d)에서는, 3개의 홈부(6)를 나타내었는데, 그 수는 몇 개여도 좋고,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홈부(6) 대신에, 혹은 홈부(6)와 병용하여, 천장뚜껑부(2)의 음용구(5)측에 상술한 코팅층을 마련함으로써, 음용구(5)로부터 내용물을 섭취한 후, 내용물이 천장뚜껑부(2)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음용구(5)의 형상을 도 2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부가 천장뚜껑부(2)의 둘레를 향하여 돌출된 것과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내용물이 천장뚜껑부(2)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천장뚜껑부(2)에 내용물을 나타내는 스티커를 붙이거나, 인쇄하여도 좋고, 사람이나 동물의 얼굴 스티커를 붙이거나, 인쇄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음용구(5)를 사람의 입이나 동물의 입에 대응하도록 하면, 내용물을 섭취할 때에 키스를 하는 것과 같은 유희심을 즐길 수 있다. 또한, 테이퍼부(3)에 얼굴의 절반을 인쇄하고, 용기(20)의 테이퍼부(21)에 얼굴의 나머지 부분을 인쇄하여, 종이제 뚜껑(1)이 정확하게 맞을 경우에, 인쇄된 얼굴을 시인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도 25의 (a)는, 종이제 뚜껑(1)의 표시부(40)를 나타내는 개요도, 부분확대도 및 A-A 단면도이다. 한편, 부분확대도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종이제 뚜껑(1)의 둘레벽의 내측과 외측을 전개한 것과 같은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표시부(40)는, 문자, 기호, 모양, 도형 등을 인쇄함으로써 용기(20)의 내용물을 식별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이제 뚜껑(1)은, 종이재료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쉽게 인쇄를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40)는, 배경색의 인쇄에 의하여 내용물이 뜨거운 것인지 차가운 것인지를 식별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뜨거운 음료는 배경색을 적색계의 색으로 하여서 식별하게 하거나, 차가운 음료는 배경색을 남색계의 색으로 하여서 식별하게 하거나 하여도 좋다. 또한, 배경색에 의하여 내용물을 연상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랙커피라면 배경색을 검정색계의 색으로 하고, 오렌지주스라면 주황색계의 색으로 하며, 우유라면 배경색을 백색계로 하면 좋다. 한편, 배경색이 검정색계의 색인 경우에는, 문자, 기호, 모양, 도형 등은 백발(白拔)로 하면 좋다.
표시부(40)는, 부분확대도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종이제 뚜껑(1)의 둘레벽의 외측에 대응하여 인쇄되는 외측표시부(40a)와, 컬부(9)에 대응하여 인쇄되는 컬표시부(40b)와, 종이제 뚜껑(1)의 둘레벽의 내측에 대응하여 인쇄되는 내측표시부(40c)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둘레벽은, 천장뚜껑부(2)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고, 컬부(9)까지 연장되고 있으며, 컬부(9)에 접속되어 있다.
외측표시부(40a)는, 주로 내용물을 제공하는 측이 내용물을 인식할 수 있도록, 종이제 뚜껑(1)의 둘레벽의 외측에 내용물의 후보가 문자로써 복수 인쇄되어 있다. 일례를 들자면, 모카커피, 블랙커피 등이다. 한편, 종이제 뚜껑(1)의 둘레벽의 공간상 문자수 등에 제한이 있는 경우에는, 약칭을 인쇄하면 좋고, 카푸치노(cappuccino)라면 CAPP 등으로 인쇄하면 좋다.
컬표시부(40b)는, 외측표시부(40a)와 내측표시부(40c)와의 적어도 한쪽과 연결되어 표시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내용물을 제공하는 측은, 복수의 내용물 후보 중에서 용기(20)의 내용물을 확인하여, 용기(20)의 내용물의 외측표시부(40a)에 연결된 컬표시부(40b)를 변형시킴으로써 다른 사람(예를 들어, 유저나 자신 이외의 점원)에게 내용물을 식별시킬 수 있다. 컬부(9)는,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구부리거나 함으로써 쉽게 변형되므로, 필기구 등을 이용하지 않아도 다른 사람에게 내용물을 식별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컬표시부(40b)는, 직선이나, 곡선 등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컬표시부(40b)를 복수의 곡선으로 하고, 위에서부터 누름으로써 곡선의 형상이 변형되어, 눌리지 않은 곡선과는 다르다. 이 때문에, 다른 사람은, 컬부(9)의 변형이나, 인쇄의 변형에 의하여 내용물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컬표시부(40b)를 문자로 하면, 위로부터의 누름에 의하여 컬부(9)가 평면 형상으로 변형되므로, 인쇄한 문자가 크게 보여, 눌리지 않은 문자와의 크기 차이로부터 내용물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컬부(9)의 변형은, 위로부터의 누름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컬부(9)를 내측으로 구부리거나, 외측으로 구부리거나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컬부(9)나 종이제 뚜껑(1)의 둘레벽에 절취선을 마련해 두면 좋다.
또한, 천공 공구 등에 의하여, 컬부(9) 또는 둘레벽에 구멍을 뚫는 것과 같은 변형을 하여도 좋다. 또한, 컬부(9)를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식별한다는 룰이 정해져 있는 등의 경우에는, 컬표시부(40b)의 인쇄는 생략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컬부(9)를 물리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내용물을 인식할 수 있다.
내측표시부(40c)는, 주로 유저가 내용물을 인식할 수 있도록, 종이제 뚜껑(1)의 둘레벽 내측에 내용물의 후보가 문자로써 복수 인쇄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측표시부(40c)는, 컬표시부(40b)와 함께, 음용구(5)로부터 유저가 시인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음용구(5)를 하측으로 한 경우에, 종이제 뚜껑(1)의 오른쪽 위(제1 사분면)나 왼쪽 위(제2 사분면)에 내측표시부(40c)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측표시부(40a)와, 컬표시부(40b)와, 내측표시부(40c)는, 서로 연결되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외측표시부(40a)는, 내용물을 제공하는 측이 내용물을 인식할 수 있으면 되므로, 내측표시부(40c)와는 독립적으로 설치하여도 좋고, 종이제 뚜껑(1)의 둘레벽 외측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컬표시부(40b)를 포함하는 표시부(40)의 인쇄는, 컬부(9)의 형성 전에 하는 것이, 인쇄를 쉽게 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표시부(40)는, 인쇄 대신에 스티커에 의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외측표시부(40a) 혹은 내측표시부(40c)의 표시에 관련시켜서 천장뚜껑부(2)에 마크를 마련하여도 좋다. 이 경우, 필기구에 의하여 천장뚜껑부(2)에 마크를 그려도 좋다.
또한, 도 25의 (a)에 있어서는, 표시부(40)를 2곳에 설치하였지만, 3곳 이상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도 25의 (a)에 있어서는, 2개의 표시부(40) 사이에 간격을 설정하고 있는데, 그 간격의 길이는 임의이며, 간격 없이 복수의 표시부(40)를 설치하여도 좋다. 도 25의 (b)는 간격 없이 3개의 표시부(40)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종이제 뚜껑(1)의 표시부(40)를 나타내는 개요도 및 종이제 뚜껑(1)의 정면도이다. 도 25의 (b)에는, 음용구(5)에 대응하도록 컬부(9)에 단차부(9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40)와 단차부(9b)를 제외한 컬부(9)가 착색되어 있다. 단차부(9b)와 컬부(9)의 착색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제5 실시형태에서 설명한다.
컬부(9) 및 종이제 뚜껑(1)의 둘레벽의 일부를 물리적으로 변형시키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컬부(9)나 종이제 뚜껑(1)의 둘레벽에 절취선을 마련하여도 좋다. 도 26은, 천장뚜껑부(2)를 제외한 종이제 뚜껑(1)의 전개도이고, 표시부(40)의 주변에 절취부(41)를 형성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표시부(40) 사이에 절취부(41)를 형성하면, 1개의 표시부(40)에 대하여 2개의 절취부(41)가 필요해지고, 3개의 표시부(4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6개의 절취부(41)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도 2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격 없이 3개의 표시부(4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앙의 표시부(40)의 절취부(41)를 좌우의 표시부(40)의 절취부(41)로서 겸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3개의 표시부(4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4개의 절취부(41)를 형성하게 된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장뚜껑부(2)를 제외한 종이제 뚜껑(1)은 부채꼴 형상이고, 좌우 양단을 접합하는 동시에, 상단부의 컬부형성영역(9a)을 컬하여 컬부(9)를 형성해 간다. 그리고, 다른 부재의 천장뚜껑부(2)와 접합함으로써, 종이제 뚜껑(1)이 된다. 또한, 좌우 양단의 접합부분이 이음매가 되어, 용기(20)로부터의 내용물이 이 이음매로부터 새기 쉬워진다. 한편, 이 이음매로부터 새는 것에 대한 대책의 상세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컬부형성영역(9a)의 선단은, 컬부(9) 안으로 말려들어 가기 때문에, 컬표시부(40b)용 인쇄를 하여도 시인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컬부형성영역(9a)의 선단은, 컬표시부(40b)용 인쇄를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컬부형성영역(9a)은, 컬형성을 위하여 강성이 필요하며, 컬부(9)의 형성 전에 컬부형성영역(9a)에 절취부(41)를 형성하는 것에는 어울리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절취부(41)는, 컬부형성영역(9a)을 피한, 표시부(40)의 양단의 외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컬부(9)를 형성한 후에, 표시부(40)를 포함하는 영역을 내측이나 외측을 향하여 접히도록 컬부(9)에 절취선을 마련하여도 좋다.
한편, 표시부(40)의 인쇄 후에, 절취부(41)를 형성하는 것이 제조를 쉽게 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한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더욱이, 절취부(41)는, 컬부(9)를 형성한 후에 형성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절취부(41)는, 하프커팅으로써 형성하여도 좋으며, 불연속적으로 형성하여도 좋고, 표시부(40)의 한쪽에만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표시부(40)를 내측으로 접은 경우에는 외측표시부(40a)의 인쇄를 시인할 수 있고, 표시부(40)를 외측으로 접은 경우에는 내측표시부(40c)의 인쇄를 시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어서 표시부(40)의 표시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도 25의 (a)의 부분확대도의 표시와 같이 외측표시부(40a)와 내측표시부(40c)와의 인쇄는 반전시킬 필요가 없고, 같은 방향으로 인쇄하면 좋다.
이에 따라, 용기(20)의 내용물에 대응하는 표시부(40)를 접음으로써, 유저는 용기(20)의 내용물을 시인할 수 있다.
한편, 절취부(41)는, 천장뚜껑부(2)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용기(20)로부터의 내용물이 절취부(41)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절취부(41)를 접는 것이 아니라, 절취부(41)가 형성된 컬부(9)를 눌러서 변형시키고, 표시부(40)의 표시를 연결하여 내용물을 시인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위로부터의 누름에 의하여 컬부(9)가 평면 형상으로 변형되므로, 컬표시부(40b)에 인쇄한 문자, 마크, 도형 등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음용구(5)의 크기는, 음용 용이성의 관점에서 일례를 들면, 폭(W1)이 10mm~25mm, 바람직하게는 15mm~22mm이고, 길이(L1)가 10mm~25mm, 바람직하게는 14mm~21mm이다. 또한, 음용구(5)는, 천장뚜껑부(2)의 외주단(둘레벽 부분)에 있으면 음용하기 어려우므로, 외주단(둘레벽 부분)에서 음용구(5)까지의 길이(L2)가 1mm~15mm, 바람직하게는 4mm~12mm이다. 용기(20)의 내용물이 뜨거운 음료인 경우, 길이(L2)를 4mm 이상으로 하면, 내용물의 온도가 천장뚜껑부(2)에 전달되는 동안에 낮아지므로, 외주단(둘레벽 부분)을 통하여 내용물을 섭취하면 화상의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한편, L2를 3mm~5mm로 짧게 하면, 음용구(5)로부터 내용물을 섭취한 후에, 내용물이 천장뚜껑부(2)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22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둘레벽의 높이(H2)의 설정에 따라, 내용물이 둘레벽으로 전달되는 동안에 내용물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음용 용이성과, 화상의 우려를 저감시키는 것을 감안하면, 음용구(5)의 길이(L1)와, 음용구(5)까지의 길이(L2)와의 비는, 1.1~10, 바람직하게는 1.1~5.3으로 하면 좋다. 한편, 음용구(5)의 형상은, 도시하는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음용구(5)에 도 2에 도시한 이음부(5a)나, 홈부(6)를 설치하여도 상관없다.
도 3은, 플라스틱제 뚜껑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플라스틱제 뚜껑은, 용기의 외측에 끼워 넣는 것으로, 음용구(5)의 하방에 삽입부가 있으므로, 하방홈부(50)가 존재한다. 내용물을 섭취할 때에 음용구(5)로부터 내용물이 하방홈부(50)에 흘러 버리는 경우가 있어, 사용 편의성이 나쁘다. 특히, 고령자가 내용물을 하방홈부(50)에 흘리기 쉽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홈부(6)가 있으므로, 종이제 뚜껑(1)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도 2로 되돌어가서, 공기구멍부(7)는,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씌울 때에,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가 밀착 감합하여 액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부(6)에 중첩하여 공기구멍부(7)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천장뚜껑부(2)의 오목부에 쌓인 내용물을 공기구멍부(7)로부터 용기(20) 내에 되돌릴 수도 있다. 한편, 공기구멍부(7)를 홈부(6)를 피해서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공기구멍부(7)는, 액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용기가 압박되었을 때의 용기내 공기의 도피부가 되어, 용기에 감합된 종이제 뚜껑(1)이 용기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도 가진다.
씰부(8)는, 일단이 음용구(5)를 막는 씰부(8a)이고, 타단(8b)이 후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재박리성의 씰로 되어 있다. 씰부(8)는, 파라핀지 등의 방수지를 이용할 수 있고, 종이에 파라핀 코팅이나, 실리콘, 테플론(등록상표) 등의 방수제를 도포하여도 좋다.
타단(8b)은, 씰부(8)를 벗길 때의 돌출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것 대신에, 타단(8b)은, 씰부(8a)를 집어서 씰부(8)를 벗길 때에, 천장뚜껑부(2)에 접합된 상태 그대로로 하여도 좋다.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잡은 씰부(8a)의 접착면을 용기(20)의 테이퍼부(21)나 컬부(22)에 접착함으로써,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가 씰부(8)에 의하여 접합되므로, 종이제 뚜껑(1)이 용기(20)에 떨어져 버리거나, 용기(20)로부터 분리되어 버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종이제 뚜껑(1)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20)의 컬부(22)의 상측 일부를 눌러서 평면부를 마련하고, 이 평면부와, 테이퍼부(3)의 바닥면 혹은 바닥뚜껑부(4)의 바닥면을 접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의 접합방법으로서는, 초음파씰, 히트씰, 접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타단(8b)을 잡고 이용하는 경우에는, 타단(8b)에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아도 좋다. 이에 대하여, 씰부(8a)의 접착면을 용기(20)의 테이퍼부(21)나 컬부(22)에 접착하는 경우에는, 타단(8b)을 씰부(8a)보다 강하게 접착하면 좋다. 어떤 경우에나 씰부(8a)의 접착력과 타단(8b)의 접착력은 다르다.
용기(20)는, 상측에 개구를 가진 종이제 용기이고, 테이퍼부(21), 컬부(22) 및 바닥부(23)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20)의 테이퍼부(21)와, 종이제 뚜껑(1)의 테이퍼부(3)와의 테이퍼가 역방향이므로,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밀어 넣으면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이 향상되어, 용기(20)를 쓰러뜨린 경우에도, 용기(20)의 내용물을 흘릴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종이제 뚜껑(1)에는, 각종 인쇄를 실시할 수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제3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데, 테이퍼부(21)(측면)에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밀어 넣기 위한 표시(선, 마크, 메세지)를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천장뚜껑부(2)의 오목부에 인쇄를 하면, 유저가 시인하기 쉬워, 제품의 설명이나 주의사항의 설명을 인쇄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용기(20)측에 종이제 뚜껑(1)을 밀어 넣기 위한 표시(선, 마크, 메세지)를 설정해 두고, 천장뚜껑부(2)의 오목부나 테이퍼부(3)에 용기(20)측의 표시까지, 혹은 표시가 보이지 않게 될 때까지 종이제 뚜껑(1)을 밀어 넣어 주십시오 등과 같은 주의문구를 인쇄하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종이제 뚜껑(1)의 표시나 메세지와, 용기(20)의 표시나 메시지를 맞춤으로써, 새로운 표시가 되거나, 새로운 메시지가 되거나 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본 발명의 종이제 뚜껑(1)은, 종이제 용기에 이용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으며, 플라스틱제 용기, 발포플라스틱제 용기 등, 각종 용기의 뚜껑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 및 용기(20)의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로부터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감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이제 뚜껑(1)에도 컬부(9)를 설치하고 있다. 컬부(9)는, 종이제 뚜껑(1)에 일체로 설치하여도 좋고, 별체의 컬부(9)를 종이제 뚜껑(1)에 접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컬부(9)는, 반환점이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그 형상은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컬부(9)와 컬부(22)는 크기가 다르고, 컬부(9)를 크게 한 경우에는, 컬부(9)와 컬부(22)를 감합시켰을 때의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용기(20)를 쓰러뜨렸더라도, 용기(20)의 내용물을 흘릴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컬부(9)의 하단 일부를 눌러서 평면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컬부(22)의 상단 일부를 눌러서 평면부를 1개 설치하고, 이 평면부끼리를 접합하여 힌지부를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컬부(9)의 크기를 컬부(22)의 크기보다 작게 하여도 좋다.
(제3 실시형태)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제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5는, 제3 실시형태의 홀더(30) 부착 종이제 뚜껑(1)의 개요도이다. 도 5의 (a)는,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장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의 (b) 및 도 5의 (c)는,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장착한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홀더(30)는, 종이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용기(20)의 테이퍼부(21)와 동일한 테이퍼를 가진 테이퍼 환상부재이다. 한편, 홀더(30)의 테이퍼 환상부재의 일부를 잘라도 좋다.
또한, 용기(20)를 잘못하여서 떨어뜨리지 않도록, 홀더(30)의 표면에 프레스 가공이나 엠보싱 가공 등에 의하여 요철를 설치하거나, 미끄러짐 방지제를 도포하거나 하여도 좋다.
힌지(31)는, 홀더(30)와 종이제 뚜껑(1)을 접속하는 접속부재이다. 힌지(31)는, 종이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일단이 홀더(30)의 테이퍼에 접합되고, 타단이 종이제 뚜껑(1)에 접합되어 있다. 이 경우, 힌지(31)의 타단을 천장뚜껑부(2)의 오목부에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힌지(31)를 Z형상이 되도록 몇 단을 접어서 스프링성을 부여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힌지(31)를 실이나 천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종이제 뚜껑(1)의 측면에는,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밀어 넣기 위한 표시가 되는 마크(10)가 인쇄되어 있다.
한편, 힌지(31)의 접합방법으로는, 초음파 접합, 히트씰, 접착 등 각종 접합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용기(20)는, 각종 크기(S사이즈, M사이즈, L사이즈 등)가 있고, 컬부(22)의 직경이나, 테이퍼부(21)의 직경이 사이즈에 따라서 다르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이제 뚜껑(1)의 사이즈와 홀더(30)의 사이즈를 일치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종이제 뚜껑(1)의 사이즈가 L사이즈라면, 홀더(30)도 L사이즈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용기(20)에 홀더(30)가 계지하는 위치가 일정해지므로, 유저가 위화감을 느끼지 않는다.
도 5의 (b)는, 홀더(30)가 용기(20)의 높이방향의 중아부가 되도록 한 예이다. 또한, 힌지(31)가 그 양단부를 제외하고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에 접하지 않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c)는, 홀더(30)가 용기(20)의 높이방향의 상부가 되도록 한 예이다. 또한, 힌지(31)는, 종이제 뚜껑(1)과 홀더(30)에 접하도록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힌지(31)가 천장뚜껑부(2)의 측면 및 오목부에 접하도록 하면, 힌지(31)로 천장뚜껑부(2)를 용기(20)에 밀어 넣을 수 있다. 따라서, 종이제 뚜껑(1)이 용기(20)에 떨어져 버리거나, 용기(20)로부터 분리되어 버리거나 하는 것이 방지할 수 있어, 종이제 뚜껑(1)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씰부(8)에 의하여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를 접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의 (b)에 있어서도, 힌지(31)가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에 접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종이제 뚜껑(1)의 테이퍼부(3)는, 용기(20)의 테이퍼부(21)와 동일한 테이퍼(순방향 테이퍼)로 하여도 좋다.
(제4 실시형태)
이하, 도 6을 이용하여 제4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6은, 제4 실시형태의 홀더(30) 부착 종이제 뚜껑(1)의 개요도이다. 도 6의 (a)는,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접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의 (b) 및 도 6의 (c)는,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장착한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홀더(30)는, 용기(20)의 테이퍼부(21)와는 반대인 테이퍼를 가진 테이퍼 환상부재로 하고 있다. 한편, 홀더(30)의 테이퍼 환상부재의 일부를 잘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종이제 뚜껑(1)의 테이퍼부(3)는, 용기(20)의 테이퍼부(21)와 동일한 테이퍼(순방향 테이퍼)로 하여도 좋다.
제3 실시형태 및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종이제 뚜껑(1)과 홀더가 힌지(31)를 통하여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용기(20)의 내용물이 뜨거운 경우에도 용기(20)가 뜨거워서 잡을 수 없는 경우가 없고, 용기(20)의 내용물이 식어버리는 경우도 없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 및 제4 실시형태의 홀더(30) 부착 종이제 뚜껑(1)의 변형예이고, 종이제 뚜껑(1)에 손잡이 및 홀더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30)를 횡방향으로 연장시키는 동시에, 이 연장한 부분에 개구부(32)를 설치함으로써 손잡이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뚜껑과 홀더와 손잡이를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용기(20)를 들어 운반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은, 겹쳐 보관하거나 운송하거나 할 수 있으므로, 물류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및 제4 실시형태의 홀더(30) 부착 종이제 뚜껑(1)에 있어서도, 겹쳐 보관하거나 운송하거나 할 수 있으므로, 물류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의 참고도에 나타내는 뚜껑에서는, 용기로부터 뚜껑을 제거하는 경우에, 음용구(5)측을 테이블 등에 둔 경우에는, 음용구(5)가 테이블에 닿아 버려서 위생적이지 않다. 이것과는 반대로, 음용구(5)를 거꾸로 하여서 테이블에 둔 경우에는, 용기의 내용물이 뚜껑의 바닥층에 붙어 있어서 테이블에 내용물이 부착되어 버려, 테이블을 청소할 필요가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제3 실시형태 및 제4 실시형태의 홀더(30) 부착 종이제 뚜껑(1)은, 종이제 뚜껑(1)을 제거한 경우에도 홀더(30)에 종이제 뚜껑(1)이 보유되어 있다. 따라서, 음용구(5)가 테이블에 닿는 일도 없고, 테이퍼부(3)에 의하여 바닥뚜껑부(4)에 부착된 내용물이 테이블에 떨어지는 경우도 없어, 종이제 뚜껑(1)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테이퍼부(3)를 용기(20)의 내측에 감합시키고,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의 내측에 끼우는 예를 설명하였는데, 이하,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의 외측에 기우는 예에 대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도 8은, 제5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의 개요도이다. 도 8의 (a) 내지 도 8의 (e)까지 종이제 뚜껑(1)의 5개의 예를 개시하고 있다. 이하, 도 8의 (a) 내지 도 8의 (e)의 각 예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도면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음용구(5)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8의 (a)의 종이제 뚜껑(1)에는, 컬부(22)의 외측과 감합하기 위한 제2 테이퍼부(11)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종이제 뚜껑(1)은 용기(20)의 외측에 끼우므로, 용기(20)의 외측에 끼우는 경우에 비하여 그 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도 8의 (a)와 같이, 제2 테이퍼부(11)에 의하여 컬부(22)를 감합하면, 종이제 뚜껑(1)의 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종이제 뚜껑(1)은, 차가운 음료용 용기(20)의 뚜껑에 적합하다.
한편, 도 8에서는, 종이제 뚜껑(1)의 크기를 과장하여 도시하고 있고, 그 치수는 도시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의 (b)의 종이제 뚜껑(1)은, 제2 테이퍼부(11)에 더하여, 컬부(22)의 내측과 계합 가능한 계합부(12)를 설치하고 있다. 계합부(12)는 종이재료를 이용하고 있고, 그 형상은,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등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은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형으로 하고 있다. 계합부(12)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이제 뚜껑(1)과는 별체로 형성하고, 접착이나 초음파 접합 등 각종 접합방법을 이용하여 접합하고 있다. 종이제 뚜껑(1)과, 계합부(12)와의 접합부분에 각각 필름이 코팅되어 있으면, 히트씰에 의하여 종이제 뚜껑(1)과 계합부(12)를 접합할 수 있다.
제2 테이퍼부(11)와 계합부(12)와의 사이에 컬부(22)를 위치시킴으로써, 종이제 뚜껑(1)이 용기(20)로부터 벗어나 버릴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계합부(12)는 항상 컬부(22)에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어, 종이제 뚜껑(1)이 용기(20)에 끼워져 있고, 제2 테이퍼부(11)가 컬부(22)와 감합하고 있으면, 계합부(12)와 컬부(22)와의 사이에 0.1mm~1.5mm 정도의 클리어런스가 있어도 좋다. 한편, 계합부(12)는, 컬부(22)의 전체 둘레와 계합 가능한 형상이어도 좋고, 컬부(22)와 몇 군데 계합 가능한 형상이어도 좋다.
도 8의 (c)의 종이제 뚜껑(1)은, 계합부(12)를 베이스부(12a)와, 계합부분(12b)으로 형성하고 있다. 베이스부(12a)와, 계합부분(12b)은, 일체적으로 형성하여도 좋고, 별체로 형성한 후에 접합하여도 좋다. 계합부분(12b)은, 도 8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컬부(22)와 2곳에서 계합 가능하도록 하여도 좋고, 이 대신에 컬부(22)의 전체 둘레와 계합 가능한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계합부(12)를 베이스부(12a)와, 계합부분(12b)으로 형성함으로써, 계합부(12)의 종이재료의 사용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도 8의 (a) 내지 도 8의 (c)에서는, 제2 테이퍼부(11)를 순방향 테이퍼로 하여서 도시하였는데, 역방향 테이퍼로 하여도 좋고, 테이퍼가 아니라 직선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의 외측에 끼우는 경우에는, 테이퍼부(3)를 직선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컬부(9)를 높이방향(Z방향)으로 누른 경우에는, 컬부(9)의 높이가 높아지고, 오목부에 형성된 음용구(5)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져, 보다 마시기 쉬운 종이제 뚜껑(1)을 실현할 수 있다. 컬부(9)는, 폭방향으로 0.5mm~1mm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컬부(9)를 누른 경우에는, 프레스 가공기의 일부(예를 들어, 종이제 뚜껑(1)을 보유하는 하형(下型))를 50℃~90℃로 가열함으로써, 컬부(9)의 프레스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컬부(9)를 누른 경우에는, 종이제 뚜껑(1)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종이제 뚜껑(1)을 반송할 때의 수량을 늘릴 수 있어, 종이제 뚜껑(1)의 단위당 운송료를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의 (b)에서는, 컬부(22)의 내측으로부터 계합부(12)와 컬부(22)를 계합시켰는데, 도 8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컬부(22)의 상측으로부터 계합부(12)와 컬부(22)를 계합시켜도 좋다. 이 경우, 컬부(22)의 컬 중심보다 내측에서 계합부(12)와 컬부(22)를 계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도 8의 (c)에서는, 컬부(22)의 내측으로부터 계합부분(12b)과 컬부(22)를 계합시켰는데, 도 8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컬부(22)의 상측으로부터 계합부분(12b)과 컬부(22)를 계합시켜도 좋다. 이 경우, 컬부(22)의 컬 중심보다 내측에서 계합부(12)와 컬부(22)를 계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의 (a) 내지 도 8의 (e)와 같이, 컬부(9)가 종이제 뚜껑(1)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이며, 제2 테이퍼부(11)와 테이퍼부(21)가 순방향 테이퍼인 경우에는, 제2 테이퍼부(11)의 선단(바닥뚜껑부(4)측)의 내경 치수는, 컬부(22)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용기(20)에 종이제 뚜껑을 끼워 넣을 때에 컬부(22)가 눌려서(변형되어서),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가 감합하므로,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테이퍼부(11)와 테이퍼부(21)가 순방향 테이퍼인 경우에 있어서도, 제2 테이퍼부(11)의 테이퍼 각도를 3~5도로 하고, 테이퍼부(21)의 테이퍼 각도를 6~7도로 하여, 테이퍼 각도를 다르게 하여도 좋다.
또한, 제2 테이퍼부(11)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컬부(22)와 계합하는 부분)는, 코팅층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이에 따라, 제2 테이퍼부(11)의 내주면의 종이재료와, 코팅층이 설치된 컬부(22)가 계합하므로, 종이재료의 마찰에 의하여 제2 테이퍼부(11)와 컬부(22)가 미끄러지기 어려워져서,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테이퍼부(11)의 내주면의 종이재료로부터 용기(20)의 내용물이 잠겨서 제2 테이퍼부(11)가 팽윤하므로,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참고예에서는, 하방홈부(50)와 동일 위치, 또는 보다 하방에 용기(20)와의 감합부가 있고, 이 감합부 부근으로부터 플라스틱제 뚜껑을 제거함으로써, 내용물이 유저의 손에 닿아,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컬부(9)가,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가 감합하는 위치보다 상방에 있으므로, 컬부(9)나 그 주변의 둘레벽을 손으로 잡음으로써,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간단하여, 유저의 손에 내용물이 닿을 우려가 없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참고예에서는, 음용구(5)의 하방으로부터 플라스틱제 뚜껑을 제거하기 때문에, 음용구(5)로부터 내용물이 튀어, 유저의 손에 닿을 우려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음용구(5)의 상방에 있는 종이제 뚜껑(1)의 상측에 형성된 컬부(9)나 그 주변의 둘레벽을 손으로 잡고 종이제 뚜껑(1)을 제거하므로, 음용구(5)로부터 내용물이 튀어 유저의 손에 닿을 우려가 없다. 한편, 컬부(9)나 그 주변의 둘레벽을 손으로 잡고 종이제 뚜껑(1)을 장착하고, 제거할 경우에 위생상 관점에서, 음용구(5) 부근의 컬부(9)를 손으로 만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도 2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40)와 단차부(9b)를 제외한 컬부(9)를 착색하면 유저에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예를 들어 천장뚜껑부(2)에 착색부분을 가지고 종이제 뚜껑을 장착하고, 제거한다는 취지의 주의문구를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장뚜껑부(2)의 착색 대신에, 혹은 천장뚜껑부(2)의 착색과 병용하여 단차부(9b)를 설치함으로써, 음용구(5) 부근의 컬부(9)를 손으로 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종이제 뚜껑(1)이 종이제 뚜껑(1)을 제거하고 용기(20)의 내용물을 마시는 타입이라면, 음용구(5)를 생략할 수도 있다.
도 8의 (a) 내지 도 8의 (e)와 같이, 컬부(9)가 종이제 뚜껑(1)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면, 컬부(9)에 입에 대고 천장뚜껑부(2)에 형성된 음용구(5)로부터 내용물을 마시게 된다. 이것은, 종이제 용기(20)로부터 내용물을 마실 때에 컬부(22)에 입에 대고 마실 때와 같은 느낌이 된다. 이 때문에, 유저는, 플라스틱제 뚜껑의 음용구로부터 내용물을 마실 때에 느끼는 위화감을 느낄 수가 없다. 또한, 테이퍼부(3)와 테이퍼부(21)가 순방향 테이퍼가 되므로, 종이제 용기(20)로부터 내용물을 마실 떼와 같은 각도로, 컬부(9)에 입에 대고 음용구(5)로부터 내용물을 마실 수 있다. 이에 따라, 종이제 용기(20)로부터 내용물을 마실 때와 같은 느낌으로, 종이제 뚜껑(1)으로부터 내용물을 마실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도 9는, 제6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의 개요도이고, 제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종이제 뚜껑(1)은 용기(20)의 외측에 끼우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a) 내지 도 9의 (d)에는, 종이제 뚜껑(1)의 4개의 예를 개시하고 있다. 이하, 도 9의 (a) 내지 도 9의 (c)의 각 예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도면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음용구(5)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계합부(12)를 테이퍼로 하여서, 테이퍼부(12c)를 형성하고 있다. 테이퍼부(12c)는, 제2 테이퍼부(11)와 동일한 테이퍼(순방향 테이퍼)로 하고 있는데, 테이퍼의 방향이 다른 역방향 테이퍼로 하여도 좋고, 테이퍼의 각도를 다르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9의 (a)의 종이제 뚜껑(1)에 있어서는, 제2 테이퍼부(11)가 컬부(22)와 계합하기 시작하고나서, 테이퍼부(12c)가 컬부(22)와 계합하도록, 제2 테이퍼부(11)의 선단이 테이퍼부(12c)의 선단보다 용기(20)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계합부(12)는, 제2 테이퍼부(11)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2 테이퍼부(11)가 컬부(22)와 계합함으로써, 컬부(22) 및 테이퍼부(21)의 상부는 내측을 향한 힘을 받는다. 이 상태로 테이퍼부(12c)가 컬부(22)와 계합함으로써, 컬부(22) 및 테이퍼부(21)의 상부에 외측을 향한 힘을 받으므로,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확실히 끼워 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테이퍼부(12c)의 테이퍼 길이를 제2 테이퍼부(11)의 테이퍼 길이보다 짧게 함으로써,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로부터 쉽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테이퍼부(12c)의 테이퍼 길이를 컬부(22)의 직경보다 길게 함으로써,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확실하게 끼워 넣을 수 있어, 용기(20)의 내용물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도 화상에 의한 사고를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계합부(12)의 상면에 컬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컬부에 의하여 계합부(12)와 바닥뚜껑부(4)를 접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9의 (b)의 종이제 뚜껑(1)에 있어서는, 제2 테이퍼부(11)와 테이퍼부(12c)가 컬부(22)와 거의 동시에 계합하도록, 제2 테이퍼부(11)의 선단과 테이퍼부(12c)의 선단을 일치시키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부(12a)에 의하여 제2 테이퍼부(11)의 선단과 테이퍼부(12c)와의 선단을 일치시키고 있는데, 제2 테이퍼부(11)와 테이퍼부(12c)와의 적어도 한쪽 크기를 조절하여, 제2 테이퍼부(11)의 선단과 테이퍼부(12c)와의 선단을 일치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제2 테이퍼부(11)의 선단과 테이퍼부(12c)의 선단을 일치시킴으로써, 종이제 뚜껑(1)을 균형 있게 용기(20)에 끼워 넣을 수 있다.
도 9의 (c)의 종이제 뚜껑(1)에 있어서는, 테이퍼부(12c)가 컬부(22)와 계합하기 시작하고나서, 제2 테이퍼부(11)가 컬부(22)와 계합하도록, 테이퍼부(12c)의 선단이 제2 테이퍼부(11)의 선단보다 용기(20)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부(12a)에 의하여 테이퍼부(12c)의 선단을 제2 테이퍼부(11)의 선단보다 용기(20)를 향하여 돌출시키고 있는데, 제2 테이퍼부(11)와 테이퍼부(12c)와의 적어도 한쪽 크기를 조절하여, 테이퍼부(12c)의 선단을 제2 테이퍼부(11)의 선단보다 용기(20)를 향하여 돌출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테이퍼부(12c)의 선단을 제2 테이퍼부(11)의 선단보다 용기(20)를 향하여 돌출시킴으로써, 테이퍼부(12c)와 컬부(22)와의 계합을 안내로서, 제2 테이퍼부(11)를 컬부(22)에 감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종이제 뚜껑(1)을 쉽게 용기(20)에 끼워 넣을 수 있다.
도 9의 (d)는, 계합부(12)의 상면에 개구부(33)를 설치한 예이다. 개구부(33)에 의하여, 천장뚜껑부(2)와 계합부(12)와의 접합은, 계합부(12)의 외주만이 되는데, 계합부(12)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천장뚜껑부(2)에도 개구부를 형성하여 천장뚜껑부(2)의 중량을 줄이도록 하여도 좋다.
도 10, 도 11은, 제6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10, 도 11을 이용하여 제6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한편, 제6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은, 사이즈가 다른 용기(20)의 바닥부(23)를 이용하여 종이제 뚜껑(1)을 제조하는 것으로 하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종이재료를 프레스 가공이나 초조 등을 함으로써 종이제 뚜껑(1)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레스 가공기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종이제 뚜껑(1)을 보유하는 하형)를 50℃~90℃로 가열함으로써, 종이제 뚜껑(1)의 프레스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의 (a)에 도시한 종이제 뚜껑(1)을 예로 설명을 계속한다.
도 10의 (a)는, 사이즈가 다른 용기(20)의 바닥부(23a, 23b)를 2개 도시하고 있다. 바닥부(23a)는, 컬부(22)의 외측(외경)의 크기에 따라서 형성된다. 바닥부(23b)는, 컬부(22)의 내측(내경)의 크기에 따라서 형성된다. 도 10의 (a)로부터도 명확하듯이, 바닥부(23a)의 일부분(천장뚜껑부(2) 및 바닥뚜껑부(4))은, 바닥부(23b)와 닮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테이퍼부(3)를 제1 계합부로 하고, 테이퍼부(12c)를 제2 테이퍼부로 하여서, 종이제 뚜껑(1)이 용기에 끼워 넣어지면, 용기(20)를 쓰러뜨린 경우에도, 용기(20)의 내용물을 흘릴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부(23a)와 바닥부(23b)의 중량은 동일하여도 좋은데, 용기(20)의 외측에 감합하는 바닥부(23a)에는 강도가 요구되므로, 바닥부(23a)의 중량을 바닥부(23b)의 중량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를 들면, 바닥부(23a)의 중량이 200g/m2~360g/m2이고, 바닥부(23b)의 중량이 150g/m2~199g/m2이다. 이 경우, 제2 테이퍼부(11)의 중량을 200g/m2~360g/m2로 하고, 테이퍼부(12c)의 중량을 150g/m2~199g/m2로 하면, 테이퍼부(12c)의 저항(강성)이 작아지므로, 종이제 뚜껑(1)을 제거하기 쉬워진다.
또한, 바닥부(23a)와 바닥부(23b)는, 동일한 종이재료를 이용하여도 좋고, 다른 종이재료를 이용하여도 좋다.
도 10의 (b)는, 바닥부(23a)의 상방에 컬부(9)를 형성하고 있다. 도 11은 컬성형금형(70)의 부분확대도이다. 컬성형금형(70)은, 상형(71), 상형홈부(72), 하형(73), 하형홈부(74)를 가지고 있다. 상형(71)은, 바닥부(23a)의 상방이 진입 가능한 선단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형(71)은, 곡면 형상을 가진 상형홈부(72)를 가지고 있다. 하형(73)은 바닥부(23a)를 보유하는 보유부와, 상형홈부(72)와 대향하는 하형홈부(74)를 가지고 있다.
바닥부(23a)를 보유한 하형(73)이 상형(71)을 향하여 이동하면, 바닥부(23a)의 선단이 상형홈부(72)에 맞닿아, 상형홈부(72)의 곡면을 따라서 상형홈부(72) 표면을 미끄러져, 외측으로 열리도록 펼쳐져서 서서히 둥글게 되며, 하형홈부(74)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바닥부(23a)의 상방은 컬링된다.
도 10의 (c)는, 바닥부(23a)의 천장뚜껑부(2) 하측에 바닥부(23b)의 천장뚜껑부(2a)를 접합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천장뚜껑부(2)와 천장뚜껑부(2a)와의 접합은, 접착, 초음파 접합 등의 각종 접합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장뚜껑부(2)와 천장뚜껑부(2a)와의 접합부분에 각각 필름이 코팅되어 있으면, 천장뚜껑부(2)의 오목부와, 천장뚜껑부(2a)의 오목부는, 각각 평편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히트씰에 의하여 천장뚜껑부(2)와 천장뚜껑부(2a)를 접합할 수 있다. 한편, 천장뚜껑부(2)와 천장뚜껑부(2a)와의 접합은, 천장뚜껑부(2)와 천장뚜껑부(2a)와의 중심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음용구(5) 및 그 근방에서는, 제2 테이퍼부(11)와 테이퍼부(12c)에 의한 컬부(22)의 감합이 강해지도록, 천장뚜껑부(2)와 천장뚜껑부(2a)와의 중심을 편심시켜도 좋다.
천장뚜껑부(2)와 천장뚜껑부(2a)를 접합한 후에, 음용구(5)나 공기구멍부(7) 등의 가공을 행함으로써, 종이제 뚜껑(1)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종이제 뚜껑(1)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용기(20)의 바닥부(23)를 이용하여 종이제 뚜껑(1)을 제조하는 것으로 하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종이재료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종이제 뚜껑(1)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의 (a)는, 용기(20)의 바닥부(23)를 소정의 크기로 절취한 것이고,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하단부를 내측으로 접는다.
도 12의 (b)는, 하단부를 내측으로 접은 후의 도면이다. 하단부를 내측으로 접음으로써, 도 12의 (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종이재료가 2겹이 되는 부분과 1겹인 부분(화살표로 나타내는 부분)이 존재한다.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끼워넣으면, 용기(20)의 컬부(22)가 이 1겹인 부분에 걸려서 유지된다. 더욱이, 종이제 뚜껑(1)의 테이퍼부(3)와 용기(20)의 테이퍼부(21)가 감합하므로,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확실히 끼워 넣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이제 뚜껑(1)의 테이퍼부(3)와 용기(20)의 테이퍼부(21)를 역방향 테이퍼로 하였는데, 종이제 뚜껑(1)의 테이퍼부(3)와 용기(20)의 테이퍼부(21)를 순방향 테이퍼로 하여도 좋고, 테이퍼부(3)를 직선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한편, 하단부를 내측으로 접는 동시에, 내면에 볼록부를 설치하거나, 내면을 물결 형상으로 하거나 하면,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의하여 확실히 끼워 넣을 수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컬부끼리를 감합시키는 것이나,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컬부와 테이퍼부를 감합시키는 것 등은, 본원의 출원인이 2018년 7월 12일에 미국 가출원한 62/696895를 기초출원으로 한 2018년 7월 23일 출원한 일본특허출원 2018-138005호에 개시되어 있고, 그 개시내용은 본원에 원용되는데, 그 기재를 이하에 기술한다. 한편, 부호가 중복되는 부분만 부호를 변경하고 있다.
도 13(일본특허출원 2018-138005호의 도 38)은, 컬부재(52)(56)를 이용한 감합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a)는, 설치부(104)에 테이퍼환상의 오목홈부(55)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테이퍼환상의 오목홈부(55)는, 설치부(104)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하여, 테이퍼가 끼워져 있다. 이 때문에, 설치부(104)의 상면의 감합용 폭(W5)은, 컬부재(52)의 감합폭(W3)보다 크게(넓게) 되어 있다.
도 13의 (b)는, 설치부(104)에 컬부재(56)를 설치하고, 뚜껑부(105)에 테이퍼환상의 오목홈부(57)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컬부재(56)의 구성은 컬부재(52)와 동일하다. 테이퍼환상의 오목홈부(57)의 설치부(104)와 대향하는 대향면측의 폭(W6)은, 컬부재(56)의 감합폭(W7)보다 크게(넓게) 되어 있다.
도 13의 (c)는, 뚜껑부(105)에 둘레가 테이퍼환상으로 형성된 오목부(15)를 설치하는 동시에, 테이퍼환상의 오목부(15)에 컬부재(52)를 접합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오목부(15)의 테이퍼면을 따라서 컬부재(52)를 접합하므로, 컬부재(52)의 위치 결정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컬부재(52)는, 일부가 오목부(15)에서 설치부(104)를 향하여 튀어나와 있다.
또한, 도 13의 (c)는, 설치부(104)에 둘레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오목부(58)를 설치하고, 오목부(58) 내에 컬부재(56)를 수용하도록, 컬부재(56)를 오목부(58)에 접합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오목부(58)의 테이퍼면을 따라서 컬부재(56)를 접합하므로, 컬부재(56)의 위치 결정을 쉽게 할 수 있다.
컬부재(52)의 긴 직경(d5)은, 컬부재(56)의 내경(d6)보다 크고, 뚜껑부(105)의 뚜껑 폐쇄시에 컬부재(52)와 컬부재(56)와의 적어도 한쪽이 탄성변형됨으로써, 컬부재(52)가 컬부재(56)에 안쪽 감합하고 있다.
도 13의 (d)는, 설치부(104)에 주변이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볼록부(17)를 설치하고 있다. 컬부재(52)의 긴 직경(d5)은, 볼록부(17)의 외경(d7)보다 크고, 뚜껑부(105)의 뚜껑 폐쇄시에 컬부재(52)가 탄성변형됨으로써, 컬부재(52)가 볼록부(17)에 바깥 감합하고 있다.
한편, 도 13의 (a) 내지 도 13의 (d)에 있어서, 뚜껑 폐쇄시에 설치부(104)의 상면(104a)과, 뚜껑부(105)의 상면(105a)이 접촉하도록, 컬부재(52, 56), 및 오목홈부(55, 57), 오목부(58)의 형상·크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포제를 함유하는 발포성 잉크, 발포성 핫멜트를 컬부재(52, 56), 오목홈부(55, 57), 및 오목부(15, 58)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 발포시켜도 좋다. 한편, 오목홈부(55, 57), 오목부(15, 58) 및 볼록부(17)는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기재로부터도 명확하듯이, 컬부끼리를 감합시키는 것이나, 컬부와 테이퍼부를 감합시키는 것 등은, 일본특허출원 2018-13800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제6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의 감합은, 다른 형태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는, 제6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의 변형예이고, 도 19의 (a) 내지 도 19의 (f)까지 6개의 예를 개시하고 있으며,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9의 (a) 내지 도 19의 (c)는, 계합부(12)의 테이퍼부(12c)와 용기(20)의 테이퍼부(21)가 순방향 테이퍼인 예를 나타내고, 도 19의 (d) 내지 도 19의 (f)는, 계합부(12)의 테이퍼부(12c)와 용기(20)의 테이퍼부(21)가 역방향 테이퍼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면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음용구(5)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9의 (a)는, 계합부(12)의 상면에 컬부(29)를 형성하고, 이 컬부(29)에 의하여 계합부(12)와 천장뚜껑부(2)를 접합시키고 있다. 이 컬부(29)와 용기(20)의 컬부(22)를 감합 혹은 계합시키고, 제2 테이퍼부(11)와 컬부(22)를 감합 혹은 계합시키며, 계합부(12)의 테이퍼부(12c)와 용기(20)의 테이퍼부(21)의 내면을 감합시킴으로써, 용기(20)를 쓰러뜨리거나, 과도하게 기울여 버리거나 한 경우에도 상술한 3곳에서 감합 혹은 계합 및 그 양쪽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이 향상되어, 용기(20)의 내용물을 흘릴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9의 (b)는, 컬부(29)를 도 19의 (b)의 Z축을 따라서 눌러 X축 방향으로 연장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컬부(29)를 납작하게 가로로 길게 함으로써, 컬부(29)와 천장뚜껑부(2)와의 접합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계합부(12)를 확실하게 천장뚜껑부(2)에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컬부(29)와 컬부(22)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용기(20)의 내용물을 흘릴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컬부(29)를 Z축을 따라서 눌러 X축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 19의 (c)는, 컬부(29)를 도 19의 (c)의 X축을 따라서 눌러 Z축 방향으로 연장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컬부(29)를 세로로 길게 함으로써, 천장뚜껑부(2)의 하면과 바닥뚜껑부(4)의 상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이 단열부로서 기능하므로, 용기(20) 내의 내용물의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컬부(29)와 컬부(22)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용기(20)의 내용물을 흘릴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컬부(29)를 Z축을 따라서 눌러 X축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컬부(29)는, 패킹과 같은 기능을 하고 있어, 이에 따라, 용기(20)의 내용물을 흘릴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9의 (d)는, 도 19의 (a)에 도시한 계합부(12)를 상하 반전시켜서 천장뚜껑부(2)에 접합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계합부(12)의 테이퍼부(12c)와 용기(20)의 테이퍼부(21)가 역방향 테이퍼가 된다.
테이퍼부(12c)와, 테이퍼부(21)가 역방향 테이퍼인 경우에는, 감합시에 면접촉이 아니라 점접촉(선접촉)이 되므로, 감합시의 힘이 면접촉인 경우에 비하여 감합부에 집중하여 작용한다. 이 때문에, 테이퍼부(12c)와 테이퍼부(21)와의 감합성이 향상되므로, 종이제 뚜껑(1)의 밀폐성이 향상된다. 또한, 테이퍼부(12c)와, 테이퍼부(21)는 종이재료이므로, 테이퍼부(12c) 및 테이퍼부(21)가 감합에 의하여 변형되어 약간의 평면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평면부가, 테이퍼부(12c)와, 테이퍼부(21)와의 감합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로부터 제거할 때에도, 테이퍼부(12c)와, 테이퍼부(21)가 점접촉(선접촉)하므로 순방향 테이퍼인 경우에 비하여 감합길이가 짧기 때문에, 종이제 뚜껑(1)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9의 (e)는, 컬부(29)를 도 19의 (e)의 Z축을 따라서 눌러 X축 방향으로 연장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컬부(29)를 납작하게 가로로 길게 함으로써, 테이퍼부(12c)와, 테이퍼부(21)와의 감합부분을 도 19의 (d)의 예에 비하여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도 19의 (f)는, 컬부(29)를 도 19의 (f)의 X축을 따라서 눌러 Z축 방향으로 연장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컬부(29)를 세로로 길게 함으로써, 테이퍼부(12c)와, 테이퍼부(21)와의 감합부분을 도 19의 (d)의 예에 비하여 크게 할 수 있다. 테이퍼부(12c)와, 테이퍼부(21)를 역방향 테이퍼로 하는 동시에, 컬부(29)와 테이퍼부(21)와의 감합부분의 크기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좋은 종이제 뚜껑(1)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제4 실시형태 및 제5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을 홀더(30) 부착형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각종 변형 등도 가능하다. 이하, 도 14, 도 15를 이용하여, 도 2의 씰부(8)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의 (a)는, 씰부(8)가 C자 형상으로 접혀져 있고, 씰부(8)의 하면측에 도포된 접착제(13)에 의하여 천장뚜껑부(2)의 오목부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씰부(8)의 상면측에 접착제(14)가 도포되어 있다. 한편, 접착제(14)는 재박리성의 접착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의 (b)는, 씰부(8)의 상면의 일단을 당겨서, 씰부(8)의 상면의 일단과 용기(20)의 테이퍼부(21)를 접착제(14)에 의하여 접합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씰부(8)를 이용하여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를 접합함으로써, 종이제 뚜껑(1)이 용기(20) 내에 탈락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서는, 접착제(14)를 씰부(8)의 상면의 단부까지 도포하고 있는데, 손에 접착제(14)가 묻지 않도록, 접착제(14)는 상면의 단부에서 벗어나게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제(13)의 접착력이 접착제(14)의 접착력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 대신에, 혹은 이것과 병용하여, 접착제(13)의 도포량을 접착제(14)의 도포량보다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접착제(13) 대신에 히트씰에 의하여, 씰부(8)의 하면과, 천장뚜껑부(2)의 오목부를 접합하여도 좋다.
도 15는, 도 14의 종이제 뚜껑(1)의 접착제(14)를 생략한 예를 나타내고 있고, 접착제(14) 대신에, 씰부(8)의 상면의 단부를 컬부(22)에 계합시킴으로써, 종이제 뚜껑(1)이 용기(20) 내에 탈락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씰부(8)의 상면의 단부는, 컬부(22)와 계합하도록 V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V자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V자 형상의 골짜기부를 접착, 히트씰, 초음파 접합, 고주파 접합 등의 각종 접합방법에 의하여 접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4, 도 15의 씰부(8)는, 음용구(5)를 덮는 씰이어도 좋고, 음용구(5)를 덮는 씰과는 다른 씰이어도 좋다. 씰부(8)에 의하여 음용구(5)를 덮는 경우에는, 음용구(5)와 대향하는 부분 및 그 주변에는 접착제(13)를 마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7 실시형태)
도 16은, 제7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의 개요도이다. 한편, 도면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씰부(8)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용기(20)의 내용물을 시인할 수 있는 창부(18)를 마련하는 동시에, 이 창부(18)에 절취부(24)를 마련하고 있다. 한편, 이 창부(18)는, 천장뚜껑부(2)의 오목부 등에 형성할 수 있다.
도 16의 (a)는, 원 형상의 창부(18)를 나타내고 있는데, 그 형상이나 크기는 용기(20)의 내용물을 시인할 수 있다면 어떤 것이어도 좋다. 또한, 창부(18)는,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용구(5)와 간섭하지 않는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창부(18)는, 투명부재이고,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각종 필름(생분해성 필름을 포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투명부재로서 셀룰로오스나노화이버를 이용하여도 좋고, 종이제 뚜껑(1)을 셀룰로오스나노화이버로 하여도 좋다.
창부(18)는, 종이재료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를 덮도록 코팅층으로서의 필름을 히트씰이나 접착제 등의 각종 접합방법에 의하여 접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필름은, 종이재료의 한쪽 면측(예를 들어 상면측)에 접합하여도 좋고, 필름롤을 2개 설치하여 양면(상면측 및 하면측)에 접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녹인 수지를 슬릿으로부터 압출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T-다이 성형에 의한 필름을 종이재료에 접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녹인 수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종이재료와 필름을 한쌍의 압연롤에 의하여 누르면, 필름측의 압연롤에 수지가 부착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필름측의 압연롤은 테플론(등록상표)이나 실리콘제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이재료와 필름과의 접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한쌍의 압연롤을 가열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필름측의 압연롤에 수지가 부착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종이재료측의 압연롤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구멍부(7)는, 도 1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창부(18)와는 다른 위치에 형성하여도 좋고,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창부(18)에 형성하여도 좋다. 한편, 종이제 뚜껑(1)이 차가운 음료용이라면, 공기구멍부(7)를 생략하여도 좋다. 또한, 종이제 뚜껑(1)이 차가운 음료용이라면, 천장뚜껑부(2)를 종이재료가 아니라, 용기(20)의 내용물을 시인할 수 있는 필름으로 하고, 이 필름에 스트로를 끼워 넣는 절취선을 형성하여도 좋다.
절취부(24)는, 스트로를 끼워 넣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절취선과, 이 절취선의 양단에 형성되어 점선으로 나타내는 하프커팅을 가지고 있는데, 절취선만이어도 좋고, 하프커팅만이어도 좋다. 한편, 종이제 뚜껑(1)이 뜨거운 음료용이라면, 절취부(24)를 생략하여도 좋다. 절취부(24)의 폭은 0.3mm~1mm 정도로 할 수 있다. 창부(18)의 필름을 설치한 상태로 칼을 필름에 넣고 용기(20)측과 연통 가능한 절취선을 마련하면, 칼을 빼냈을 때에 필름의 탄성에 의하여 절취선의 폭이 좁아져, 용기(20)측을 향함에 따라서, 보다 절취선폭이 좁아진다. 이 때문에, 스트로가 끼워지기 전 상태라면, 용기(20)에 종이제 뚜껑(1)을 끼워 넣고, 용기(20)를 거꾸로 하여도 절취부(24)로부터 내용물이 새는 일은 거의 없으며, 잘못하여 용기(20)를 쓰러뜨렸더라도 종이제 뚜껑(1)으로부터 내용물이 새는 일은 없다. 한편, 절취부(24)는, 십자선, 방사상선, 곡선(예를 들어 S자 형상) 등이어도 좋다.
절취부(24)는, 상술과 같이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쉽게 스트로를 끼워 넣을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취선의 양단에 하프커팅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직경이 큰 스트로가 끼워진 경우에는, 하프 커팅된 부분이 파괴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절취부(24)는, 직경이 작은 스트로에서 직경이 큰 스트로까지 쉽게 끼워 넣을 수 있다.
도 16의 (c)는, 창부(18)를 2군데(복수 군데)에 마련한 예를 나타내고 있고, 절취부(24)도 2군데(복수 군데)에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절취부(24)는 1군데여도 좋다. 2개의 창부(18)를 좌우 대칭으로 마련함으로써, 그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창부(18)를 천장뚜껑부(2)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마련함으로써, 그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의 (a) 내지 도 16의 (c)의 예에 있어서, 창부(18)는, 천장뚜껑부(2)의 면적의 5%~5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창부(18)의 크기가 천장뚜껑부(2)의 면적의 5% 미만이 되면, 그 시인성이 나빠진다. 창부(18)의 크기가 천장뚜껑부(2)의 면적의 50%를 넘으면, 필름의 사용량이 많아져, 환경면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생분해성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창부(18)의 크기가 천장뚜껑부(2)의 면적의 50%를 넘어도 좋다.
또한, 절취부(2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창부(18)의 주변에 프레스 가공을 실시하여, 창부(18)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창부(18)의 형성과 함께, 상술한 표시부(40)나 절취부(41)를 마련하면, 용기(20)의 내용물을 보다 시인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17은, 제7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의 단면도이고, 도 17의 (a)는 제5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도 8의 (a))에 창부(18)를 마련한 경우이며, 도 17의 (b)는 제6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도 9의 (a))에 창부(18)를 마련한 경우이다. 한편, 도면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음용구(5)나 절취부(24)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7의 (a)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천장뚜껑부(2)에 창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과 더불어, 부호 4가 붙어 있는 부분(바닥뚜껑부(4)의 하부)에도 필름을 설치하여 창부(18)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창부(18)를 2개로 함으로써, 2개의 필름으로 형성되는 공간이 단열부로서 기능하므로, 용기(20) 내의 내용물의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7의 (b)는, 천장뚜껑부(2)가 아니라, 계합부(12)에 창부(18)를 마련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의 (b)에서는, 천장뚜껑부(2)에 개구부(19)를 마련함으로써, 계합부(12)에 창부(18)를 마련하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한편, 천장뚜껑부(2)에도 개구부(19) 대신에 창부(18)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부호 12가 붙어 있는 부분(계합부(12)의 하부)에도 필름을 설치하여 창부(18)로 하여도 좋고, 부호 4가 붙어 있는 부분(바닥뚜껑부(4)의 하부)에도 필름을 설치하여 창부(18)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창부(18)를 2개 이상으로 함으로써, 2개의 필름으로 형성되는 공간이 단열부로서 기능하므로, 용기(20) 내의 내용물의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계합부(12)의 상면에 컬부를 형성하고, 이 컬부에 의하여 계합부(12)와 바닥뚜껑부(4)를 접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20은, 제7 실시형태의 창부(18)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면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절취부(24)는 생략하고 있다. 창부(18)에 절취부(24)를 형성하면, 절취부(24) 근방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약해져 버린다. 이 때문에, 도 20의 (a)에서는, 절취부(24) 근방의 보강으로서 보강부(27)를 형성하고 있다. 보강부(27)로서 접착제(예를 들어, 핫멜트)를 도포하고 있다. 접착제가 건조됨으로써 경화하여, 절취부(24) 근방을 보강할 수 있다.
도 20의 (b)에서는 보강부(27)로서, 창부(18)의 필름을 압축하여 밀도를 높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창부(18)의 필름을 히트씰, 초음파 접합, 고주파 접합, 압착 등에 의하여 필름을 압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절취부(24) 근방을 보강할 수 있다.
도 21은, 제7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의 창부(18)의 변형예이다. 도 21의 (a)에 있어서는, 종이제 뚜껑(1)에 개구부(19)를 형성하고, 절취부(24)를 형성하지 않으며, 절취부(24)를 다른 부재로서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다른 부재는, 제2 씰부(28)이고, 도 21의 (a)의 우측에 3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3개의 예에 대하여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설명을 계속한다.
한편, 어떤 제2 씰부(28)에 대하여도, 필름, 종이재료, 알루미늄, 부직포, 고무, 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제2 씰부(28a)에 대하여도 이들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가장 위의 제2 씰부(28)는, 중앙에 절취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도 21의 (a)에 있어서 제2 씰부(28)는, 원 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개구부(19)의 크기보다 크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제2 씰부(28)의 개구부(19)와의 대향면에 재박리성의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제2 씰부(28)를 개구부(19)의 둘레에 접합하도록 하면 좋다. 이 대신에, 히트씰, 초음파 접합, 고주파 접합에 의하여 제2 씰부(28)를 개구부(19)의 둘레에 접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절취부(24)로부터 스트로를 삽입할 수 있다.
가장 가운데의 제2 씰부(28)는, 도너츠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2 씰부(28) 위에 제2 씰부(28)보다 작은 서브 제2 씰부(28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씰부(28)는, 상술과 같이 절취부(24)가 형성되고, 개구부(19) 둘레에 접합된다. 서브 제2 씰부(28a)는, 재박리성의 접착제가 도포되고, 제2 씰부(28)에 접합되어 있다. 한편, 서브 제2 씰부(28a)에 절취부(24)를 형성하지 않으면, 제2 씰부(28)의 절취부(24)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위생적이다. 그리고, 서브 제2 씰부(28a)를 제2 씰부(28)로부터 벗김으로써 절취부(24)로부터 스트로를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서브 제2 씰부(28a)에도 절취부(24)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서브 제2 씰부(28a)를 마련함으로써, 제2 씰부(28)에 형성된 절취부(24)를 상술한 보강부(27)와 같이 보강할 수 있다.
가장 아래의 제2 씰부(28)는, 도너츠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2 씰부(28) 위에 제2 씰부(28)보다 작은 서브 제2 씰부(28a)가 형성되어 있다. 서브 제2 씰부(28a)의 외주의 일부는 커팅되어 있지 않으며, 제2 씰부(28)와 일체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서브 제2 씰부(28a)를 제2 씰부(28)로부터 벗김으로써 절취부(24)로부터 스트로를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제2 씰부(28)와 서브 제2 씰부(28a)와의 적어도 한쪽에 인쇄를 함으로써, 스트로의 삽입구라고 알 수 있을 만한 표시를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절취부(24)는, 종이제의 스트로나, 선단이 예리하지 않은 스트로에도 대응할 수 있는 형상,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1의 (b)는, 종이제 뚜껑(1)에 창부(18) 및 절취부(24)를 형성하고, 제2 씰부(28)에 의하여, 절취부(24)를 덮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씰부(28)의 크기는, 창부(18)의 크기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가장 위의 제2 씰부(28)는, 재박리성의 접착제에 의하여 창부(18)로부터 벗길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2 씰부(28)의 외주의 절반 정도를 창부(18)에 히트씰 등에 의하여 용착하여, 제2 씰부(28)를 벗길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가장 가운데의 제2 씰부(28)는, 도너츠 형상으로 되어 있고, 서브 제2 씰부(28a)는, 재박리성의 접착제에 의하여 제2 씰부(28)로부터 벗길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서브 제2 씰부(28a)의 외주의 절반 정도를 히트씰 등에 의하여 제2 씰부(28)에 용착하여, 서브 제2 씰부(28a)를 벗길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제2 씰부(28)는, 창부(18)의 절취부(24)에 대응하여 절취부(24)를 형성하여도 좋고, 개구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가장 아래의 제2 씰부(28)는, 도너츠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2 씰부(28) 위에 제2 씰부(28)보다 작은 서브 제2 씰부(28a)가 형성되어 있다. 서브 제2 씰부(28a)의 외주의 일부는 커팅되어 있지 않으며, 제2 씰부(28)와 일체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씰부(28)는, 창부(18)의 절취부(24)에 대응하여 절취부(24) 혹은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서브 제2 씰부(28a)를 제2 씰부(28)로부터 벗김으로써 절취부(24)로부터 스트로를 삽입할 수 있다. 한편, 도 21의 (a), 도 21의 (b)의 제2 씰부(28)는, 2매의 씰부(예를 들어, 반원 형상, 직사각형 형상)로 형성하여도 좋고, 그 일부분이 수 밀리미터 정도 겹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2 씰부(28)의 일단을 상부를 향하여 접어서,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제8 실시형태)
도 22의 (a)는, 제8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의 단면도이고, 부분확대도와 함께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천장뚜껑부(2)의 오목한 부분에 오목부(35)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천장뚜껑부(2)에 컬부(22)와 계합하는 계합부(36)를 접합하고 있다. 또한, 제2 테이퍼부(11)의 일부를 제외하고 누름으로써, 결과적으로 원주 형상의 볼록부(37)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볼록부(37)의 두께(좌우방향)를 작게 도시하고 있는데, 볼록부(37)는, 천장뚜껑부(2)나 제2 테이퍼부(11)의 종이재료의 두께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은 간략화하고 있지만, 컬부(9) 및 컬부(22)는 외향 컬이다. 또한, 도면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음용구(5)는 도시하지 않는다.
종이제 뚜껑(1)의 치수의 일례를 들면, 직경이 70mm~140mm 정도이고, 종이제 뚜껑(1)의 전체 높이(H1)가 12mm~20mm이며, 컬부(9)에서 천장뚜껑부(2)까지의 둘레벽의 높이(H2)가 3.5mm~12mm이다. 한편, 종이제 뚜껑(1)의 용량에도 따르지만 둘레벽의 높이(H2)는, 음용의 용이성 관점에서 6mm~9mm가 바람직하고, 전체 높이(H1)의 36%~53% 정도의 높이로 함으로써 균형 잡힌 종이제 뚜껑(1)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종이제 뚜껑(1)을 적층하여 운송하는 경우, 컬부(9)와 컬부(9)가 딱 달라붙게 적층하면 종이제 뚜껑(1)을 취출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전체 높이(H1)에서 둘레벽의 높이(H2)를 뺀 높이가, 둘레벽의 높이(H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둘레벽의 높이(H2)는, 전체 높이(H1)의 36%~48%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층한 복수의 종이제 뚜껑(1)을 취출할 때의 취출이 쉬운 동시에, 적층의 부피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컬부(9)의 직경은 2mm~3mm 정도이고, 둘레벽의 높이(H2)에서 컬부(9)의 직경을 뺀 높이가, 컬부의 직경(높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뜨거운 음료를 컬부(9)에 입을 대고 음용구(5)로부터 마실 때에도, 둘레벽 높이(H2)에 따라서 내용물의 온도가 낮아지므로 화상의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25의 (a)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외주단(둘레벽 부분)에서 음용구(5)까지의 길이(L2)가 1mm~15mm, 바람직하게는 4mm~12mm이므로, 음용구(5)까지의 길이(L2)와 둘레벽의 높이(H2)를 합하여 4.5mm~27mm, 바람직하게는 15mm~25mm로 하고, 둘레벽을 통하여 내용물을 섭취하도록 하면, 화상의 우려를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 상은 다르게 보이지만, 상술한 종이제 뚜껑(1)의 치수는, 제4 실시형태 내지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의 중량은, 150g/m2~300g/m2 미만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200g/m2~250g/m2 정도가 좋다. 이와 같이 중량을 적게 함으로써,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설치하였을 때, 용기(20)의 컬부(22)를 변형시키거나 손상시키거나 하는 일이 없다. 한편, 천장뚜껑부(2)와 제2 테이퍼부(11)와의 중량과는 동일하여도 달라도 좋은데, 같은 중량으로 한 경우에도, 천장뚜껑부(2)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밀도를 작게 하여 부드럽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20)에 뜨거운 음료를 넣고 종이제 뚜껑(1)을 끼워 넣으면, 증기에 의하여 천장뚜껑부(2)가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된다. 천장뚜껑부(2)의 변형에 따라서, 컬부(9)가 내측으로 변형되므로,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이 향상된다.
천장뚜껑부(2)의 오목부(35)는,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고, 그 깊이는 0.8mm~2.0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천장뚜껑부(2)의 양단에 컬부(22)의 적어도 상부가 수납 가능하도록 오목부(35)의 폭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컬부(22)의 폭보다 약간 작은 폭으로 하여서, 천장뚜껑부(2)의 양단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컬부(22)의 적어도 상부를 수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천장뚜껑부(2)의 양단에 의하여 컬부(22)의 적어도 상부를 수납하면,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이 향상된다.
오목부(35)의 형성을 쉽게 하기 위하여, 종이재료(혹은 종이제 뚜껑(1))를 종이재료의 코팅제에 영향이 없는 온도(예를 들어, 50℃~100℃)까지 적외선이나 열풍에 의하여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스 가공기의 종이재료(혹은 종이제 뚜껑(1))를 보유하는 하형을 60℃~130℃, 바람직하게는 70℃~100℃까지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종이재료(혹은 종이제 뚜껑(1))의 가열과, 프레스 가공기의 가열은 어느 한쪽만 하여도 좋고, 양쪽 모두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오목부(35)를 형성함으로써, 부분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테이퍼부(11)와, 오목부(35)와의 공간이 작아져,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설치하였을 때의 밀폐성이 향상된다. 한편, 오목부(35)의 단부가 컬부(22)와 접촉하도록, 오목부(35)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오목부(35)는, 오목부(35)에 상당하는 부분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하여도 좋고, 종이제 뚜껑(1)을 뒤집어서, 천장뚜껑부(2)의 양단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계합부(36)는, 필름 등의 코팅층이 마련된 종이재료로 형성된 링 형상(도너츠 형상)의 부재이고, 천장뚜껑부(2)의 내측에 예를 들어, 히트씰이나 초음파 접합 등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다. 또한, 계합부(36)의 양단은, 천장뚜껑부(2)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한편, 계합부(36)의 양단을 테이퍼 형상으로 하여도 좋고, 테이퍼부(21)와 동일한 테이퍼 방향인 순방향 테이퍼로 하여도 좋으며, 테이퍼부(21)와는 테이퍼 방향이 다른 역방향 테이퍼로 하여도 좋다.
계합부(36)는, 컬부(22)와 계합 가능한 치수로 되어 있고, 도시는 생략하는데, 컬부(22)의 계합에 의하여 계합부(36)의 자유단이 상방으로 접히도록 되어 있다. 계합부(36)가 패킹으로서 기능함으로써,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설치하였을 때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계합부(36)의 중량은, 종이제 뚜껑(1)의 중량에 대하여 동등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0g/m2~250g/m2 정도가 좋다.
계합부(36)는, 링 형상이므로 그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이 단열부로서 기능하므로, 용기(20) 내의 내용물의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20)를 기울였을 때, 컬부(22)와, 천장뚜껑부(2)와, 계합부(36)로 형성되는 공간부(S1)가 용기(20)로부터의 내용물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음용구(5)를 제외하고 종이제 뚜껑(1)으로부터 내용물이 새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계합부(36)는, 링 형상이 아니라 속이 채워진 형상으로 하여도 좋고, 종이재료로서 풀루트를 가진 각종 골판지를 이용하여도 좋으며, 종이재료 대신에 필름(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필름)을 이용하여도 좋다.
제2 테이퍼부(11)의 내주면은, 일부가 오목한 브릿지 부재를 누름으로써, 압축시키고 있다. 브릿지 부재의 오목한 부분에 의하여 눌리지 않은 부분이 볼록부(37)로서 남아 있다. 컬부(22)는, 이 볼록부(37)를 넘어, 제2 테이퍼부(11)와, 오목부(35)로 형성되는 공간으로 들어간다. 볼록부(37)는, 제2 테이퍼부(11)와, 오목부(35)로 형성되는 공간에 들어간 컬부(22)의 빠짐 방지로서 기능하고 있다. 한편, 제2 테이퍼부의 내주면에 볼록부(37)를 복수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상하방향으로 이간하여 볼록부(37)를 2개 형성하고, 이 2개의 볼록부(37) 사이에 컬부(22)를 끼워 넣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컬부(22)의 직경보다 2개의 볼록부(37)의 간격을 좁게 함으로써, 컬부(22)가 눌려서(변형되어서)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가 감합하도록 되므로,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볼록부(37)는, 제2 테이퍼부(11)의 내주에 연속적이지 않고, 단속적으로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볼록부(37)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이어도 반원 형상이어도 타원 형상이어도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은데, 밀폐성의 관점에서 볼록부(37)의 일부 형상이 컬부(22)의 형상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볼록부(37)가 컬부(22)와 계합하는 부분의 형상은, 컬부(22)의 원주 형상과 동일한 원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2의 (b) 내지 도 22의 (d)는, 계합부(36)로서 필름을 이용하였을 때의 확대도이고, 이하, 순서대로 설명한다. 도 22의 (b)는,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설치한 경우에, 컬부(22)가 계합부(36)의 자유단을 넘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도 컬부(22)와, 천장뚜껑부(2)와, 계합부(36)로 형성되는 공간부(S1)가 용기(20)로부터의 내용물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음용구(5)를 제외하고 종이제 뚜껑(1)으로부터 내용물이 새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2의 (b)에 있어서, 계합부(36)로서 필름 등의 코팅층이 마련된 상술한 종이재료를 이용하여도 좋고, 이 경우, 계합부(36)의 양단의 형상을 직각으로 접어도 좋으며, 예각으로 접어도 좋고, 둔각으로 접어도 좋다. 이에 따라, 제2 테이퍼부(11)와 계합부(36)의 단부와의 틈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계합부(36)의 양단의 형상이 도 2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둔각인 경우,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2의 (c)는, 계합부(36)의 단부를 자유단으로 하지 않고, 제2 테이퍼부(11)의 측면에 접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계합부(36)는, 중앙 및 그 주변이 천장뚜껑부(2)에 접합되어 있고, 천장뚜껑부(2)에 접합된 부분과, 제2 테이퍼부(11)의 측면에 접합된 부분과의 사이가 어디에도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으로 되어 있다.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설치한 경우에, 컬부(22)가 이 어디에도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과 맞닿아, 계합부(36)를 형성하는 필름이 종이제 뚜껑(1)을 향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가 감합한다. 이 때문에, 용기(20)를 기울인 경우에도 계합부(36)를 형성하는 필름이 용기(20)로부터의 내용물이 새지 않도록 작용하므로, 음용구(5)를 제외하고 종이제 뚜껑(1)으로부터 내용물이 새는 일이 없다.
또한, 천장뚜껑부(2)와, 제2 테이퍼부(11)와, 계합부(36)와, 컬부(22)에 의하여 공간부(S1)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종이제 용기(20)를 손으로 강하게 부여잡아 용기(20)가 변형된 경우에도, 공간부(S1)이 이러한 변형에 추종하거나, 쿠션으로서 기능하거나 하므로, 종이제 뚜껑(1)이 용기(20)로부터 벗어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도 22의 (d)는, 계합부(36)를 천장뚜껑부(2)가 아니라, 계합부(36)의 양단을 제2 테이퍼부(11)의 측면에 접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도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설치한 경우에, 계합부(36)를 형성하는 필름이 종이제 뚜껑(1)을 향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가 감합한다. 이 때문에, 용기(20)를 기울였더라도, 계합부(36)를 형성하는 필름이 용기(20)로부터 내용물이 새지 않게 하도록 작용하므로, 음용구(5)를 제외하고 종이제 뚜껑(1)으로부터 내용물이 새는 일이 없다. 계합부(36)로서 필름 등의 코팅층이 마련된 상술한 종이재료를 이용하여도 좋고, 이 경우, 계합부(36)를 속이 찬 형상으로 하여서, 계합부(36)를 천장뚜껑부(2)에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장뚜껑부(2)는 그 제조공정에 의하여, 평면도가 열화하는 경우가 있고, 천장뚜껑부(2)와 컬부(22)로부터 천장뚜껑부(2)의 평면도의 열화에 기인하여 내용물이 샐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평면도가 유지된 계합부(36)에 컬부(22)를 계합시킴으로써, 상술한 것과 같은 새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계합부(36)의 형상을 링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계합부(36)의 접합은, 상술한 각종 접합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필름 이외의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필름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범위에서, 필름에 종이재료나, 분쇄펄프를 적층한 에어레이드 등의 다른 재료를 접합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도 22의 (b) 내지 도 22의 (d)에 있어서, 오목부(35) 및 볼록부(37)는 형성하여도 좋고, 생략하여도 좋다. 오목부(35)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계합부(36)의 일부를 오목부(35)에 접합하여도 좋다.
또한, 도 22의 (a) 내지 도 22의 (d)에 있어서, 용기(20)의 내용물이 뜨거운 커피 등과 같이 뜨거운 음료인 경우에는,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로 밀폐되는 공간의 압력이 높아지므로, 계합부(36)를 형성하는 필름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2의 (e) 내지 도 22의 (g)는, 계합부(36)로서 필름 등의 코팅층이 마련된 종이재료를 이용한 경우의 변형예이고, 이하, 순서대로 설명한다. 도 22의 (e)는, 컬부(22)의 외측을 실질적으로 덮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계합부(36)의 단부를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형성하고 있다. 오목부(35)와 계합부(36)와의 접촉면은 접합되어 있다. 계합부(36)의 단부는, 자유단으로 하여도 좋고, 제2 테이퍼부(11)와 접합시켜도 좋다. 계합부(36)의 단부를 자유단으로 한 경우에는, 컬부(22)와의 계합에 의하여 계합부(36)의 자유단이 상방으로 접히도록 계합부(36)의 단부의 치수를 설정하면 좋다.
종이제 뚜껑(1)으로서 종이컵의 바닥 부분을 이용한 경우에는, 종이제 뚜껑(1)의 둘레벽의 내측에 종이재료와 종이재료와의 이음매가 형성되어 버려서, 이 이음매로부터 용기(20)의 내용물이 샐 우려가 있다. 하지만, 계합부(36)의 단부에 의하여 종이제 뚜껑(1)의 둘레벽의 내측 이음매의 일부를 눌러서 밀폐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이음매를 따라서 내용물이 종이제 뚜껑(1)으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20)를 기울인 경우에도 계합부(36)가 컬부(22)의 외측을 덮으므로, 음용구(5)를 제외하고 종이제 뚜껑(1)으로부터 내용물이 새는 일이 없다. 또한, 천장뚜껑부(2)와, 제2 테이퍼부(11)와, 계합부(36)와, 컬부(22)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부(S1)에 의하여, 종이제 용기(20)를 손으로 강하게 잡아서 용기(20)가 변형된 경우에도, 공간부(S1)가 공간부(S1)의 탄성에 의하여 이러한 변형에 추종하거나, 쿠션으로서 기능하거나 하므로 종이제 뚜껑(1)이 용기(20)로부터 벗어나기 어렵게 되어 있다.
한편, 종이제 뚜껑(1)의 둘레벽 내측의 이음매가 있는 부분에 음용구(5)를 형성하면, 이 이음매로부터 내용물이 새어 버린다. 이 때문에, 음용구(5)는, 종이제 뚜껑(1)의 둘레벽 내측의 이음매와는 다른 위치(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2의 (e)의 계합부(36)를 필름으로 구성하고, 이 필름의 탄성을 이용하여, 계합부(36)와 컬부(22)와 계합하면, 계합부(36)와 컬부(22)와의 밀착성이 보다 향상된다.
도 22의 (f)는, 컬부(22)의 외측 및 내측을 실질적으로 덮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계합부(36)의 볼록부(36a) 및 오목부(36b)를 덮는 단부를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형성하고 있다. 상술과 같이, 계합부(36)의 단부에 의하여 종이제 뚜껑(1)의 둘레벽 내측의 이음매의 일부를 눌러서 밀폐하면, 이 이음매를 따라서 내용물이 종이제 뚜껑(1)으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계합부(36)의 오목부(36b)에 의하여, 용기(20)의 둘레벽 내측에 형성된 이음매의 일부를 눌러서 밀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용기(20)의 둘레벽 내측의 이음매를 따라서 내용물이 종이제 뚜껑(1)으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20)를 기울인 경우에도 계합부(36)가 컬부(22)의 외측 및 내측을 덮으므로, 음용구(5)를 제외하고 종이제 뚜껑(1)으로부터 내용물이 새는 일이 없다. 한편, 음용구(5)는, 오목부(35)와 계합부(36)가 접촉하고 있는 부분에 설치하면 좋다.
도 24는, 도 22의 (f)의 계합부(36)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요도 및 단면도이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합부(36)는 원 형상이고, 제1 부분인 볼록부(36a)와, 제2 부분인 오목부(36b)와, 개구부(36c)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부(36)의 외경은, 바닥뚜껑부(4)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계합부(36)를 천장뚜껑부(2)에 끼워 넣은 경우에, 계합부(36)의 단부가 용기(20)측으로 접히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계합부(36)의 외경을 바닥뚜껑부(4)의 외경보다 크게 하고, 계합부(36)를 천장뚜껑부(2)에 끼워 넣은 경우에는, 천장뚜껑부(2)와 계합부(36)와의 히트씰 등에 의한 접합을 생략하여도 좋다.
한편, 계합부(36)의 두께는, 볼록부(36a) 및 오목부(36b)를 제외하고, 0.7mm~2.0mm 정도이다. 계합부(36)의 두께를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천장뚜껑부(2)나 오목부(35)의 강도가 향상되어, 천장뚜껑부(2)나 오목부(35)의 평면도가 향상된다. 또한, 볼록부(36a)에 스프링성(탄성)을 부여할 수 있어, 볼록부(36a)가 컬부(22)의 변형에 추종할 수 있다. 한편, 볼록부(36a)는, 컬부(22)와 계합하도록 반원 형상으로 하였는데, 역U자 형상이나 역V자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볼록부(36a)를 컬부(22)와 계합시키는 경우에, 볼록부(36a)의 크기(반원 형상 등의 크기)를 컬부(22)의 크기(직경)보다 작게 해 두고, 컬부(22)를 변형시켜서 컬부(22)를 볼록부(36a)와 계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오목부(36b)는 직선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볼록부(36a)와 오목부(36b)는, 상술과 같이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형성된다. 볼록부(36a)는 컬부(22)의 외측을 덮는 것과 같은 형상이고, 오목부(36b)는 컬부(22)의 외측을 덮는 것과 같은 형상이다. 즉, 볼록부(36a)와 오목부(36b)에 의하여 컬부(22)를 덮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볼록부(36a)와 오목부(36b)에 의하여 컬부(22) 전체를 덮지 않아도 좋다.
상술과 같이, 계합부(36)는, 필름 등의 코팅층이 마련된 종이재료이다. 볼록부(36a)와 오목부(36b)를 형성하는 프레스 가공은, 필름이 접합된 상태로 행하여도 좋고, 프레스 가공 후에 필름을 설치하여도 좋다. 볼록부(36a)가 형성된 후에 볼록부(36a)의 컬부(22)와의 대향면에 필름을 설치하면, 필름의 탄성을 이용하여 볼록부(36a)와 컬부(22)의 외측을 계합시킬 수 있다.
개구부(36c)는, 계합부(36)를 오목부(35)에 접합하기 위한 위치 맞춤용 개구이고, 그 크기는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한편, 개구부(36c)를 생략하고, 계합부(36)의 외주를 이용하여서 오목부(35)에 접합하기 위한 위치 맞춤을 행하여도 좋으며, 계합부(36)에 노치를 형성하여 오목부(35)에 접합하기 위한 위치 맞춤을 행하여도 좋다.
도 22의 (g)는, 도 22의 (a)로부터 볼록부(37)를 생략한 예이고, 계합부(36)의 종이재료로서 탄성(쿠션성)이 있는 종이재료를 이용하고 있다. 한편, 탄성이 있는 종이재료의 적어도 편면(용기(20)와의 대향면)에는, 필름 등의 코팅층이 마련되어 있다. 탄성이 있는 종이재료로서 각종 골판지를 이용할 수 있다. 골판지는, 플루트에 의한 쿠션성과, 강성이 뛰어난데, 그 단부는 강성이 약하여 탄성 변형되기 쉽다. 골판지를 계합부(36)로서 이용한 경우에, 그 단부가 컬부(22)와 계합하여 탄성 변형되므로,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탄성이 있는 종이재료로서, 종이재료와 발포 폴리에틸렌을 라미네이트하여도 좋고, 엠보싱 가공이 실시된 유연성이 있는 종이재료나 에어레이드를 라미네이트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종이재료의 적어도 편면(용기(20)와의 대향면)에는, 필름 등의 코팅층을 마련하거나, 방수제를 도포하거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이재료와 종이재료와의 사이에 탄성이 있는 종이재료를 라미네이트하여도 좋다. 또한, 탄성이 있는 종이재료 대신에, 각종 부직포를 이용하여도 좋다.
한편, 에어레이드는, 종이재료와 라미네이트하지 않고, 필름과 히트씰함으로써, 에어레이드의 히트씰면을 열처리하여 밀폐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코팅층(방수층)과 탄성층으로 계합부(36)를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탄성이 있는 종이재료로서, 박엽지를 복수매 적층하고, 적층한 박엽지에 코팅층을 마련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한편, 도 22의 (g)의 계합부(36)의 자유단을 테이퍼 형상으로 하여도 좋고, 테이퍼부(21)와 동일한 테이퍼 방향인 순방향 테이퍼로 하여도 좋으며, 테이퍼부(21)와는 테이퍼 방향이 다른 역방향 테이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컬부(22)와의 계합에 의하여 계합부(36)의 자유단이 상방으로 접히도록(공간부(S1)를 향하도록) 계합부(36)의 단부의 치수를 설정하여도 좋다.
또한, 제2 테이퍼부(11)와 계합부(36)의 단부와의 간격을 컬부(22)의 크기보다 작게 해 두고, 컬부(22)를 변형시켜서, 제2 테이퍼부(11)와 계합부(36)의 단부와의 사이에 컬부(22)가 계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도 22의 (e) 내지 도 22의 (g)에 있어서, 제2 테이퍼부(11)에 볼록부(37)를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고, 오목부(35)를 생략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도 22의 (c), 도 22의 (e), 도 22의 (f)의 예에 있어서, 제2 테이퍼부(11)에 볼록부(37)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계합부(36)의 단부가 볼록부(37)를 덮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종이제 뚜껑(1)으로부터 용기(20)의 내용물이 새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 22의 (a) 내지 도 22의 (g)에 있어서, 제2 테이퍼부(11)의 테이퍼 각도를 용기(20)의 테이퍼부(21)의 테이퍼 각도보다 예각으로 하면, 공간부(S1)의 용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20)가 변형된 경우에도 종이제 뚜껑(1)이 용기(20)로부터 벗어나기 어려워진다.
한편, 계합부(36) 대신에, 컬부(22)와 계합하도록 천장뚜껑부(2)의 컬부(22)측이나 제2 테이퍼부(11)의 내주면에 탄성부재를 마련하여도 좋다. 탄성부재로서는, 필름, 고무, 발포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실리콘, 핫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7도 제8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의 단면도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7의 (a) 내지 도 27의 (e)에는, 종이제 뚜껑(1)의 5개의 예가 나타나 있다. 이하, 도 27의 (a) 내지 27의 (e)의 예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이 5개의 예에서는, 오목부(35) 및 계합부(36)를 생략하고 있는데, 오목부(35) 및 계합부(36)를 마련하여도 좋다.
도 27의 (a)는, 제2 테이퍼부(11)의 내주에 마련된 원주 형상의 볼록부(37)로 컬부(22)를 감합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컬부(22)가 진입하는 볼록부(37)의 선단의 내경을, 컬부(22)의 외경보다 작게 함으로써, 컬부(22)와 볼록부(37)와의 적어도 한쪽을 변형시켜서 컬부(22)와 볼록부(37)를 감합시킬 수 있으므로,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이 향상된다.
도 27의 (b)는, 제2 테이퍼부(11)를 복수의 각도가 다른 테이퍼 각도로 형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강테이퍼부(11a)는, 일례로서 테이퍼각이 5°이고, 후술하는 약테이퍼부(11b)보다 테이퍼 각도가 강하게(크게) 되어 있다. 약테이퍼부(11b)는, 강테이퍼부(11a)보다 용기(20)측(컬부(22)측)에 설치되어 있고, 일례로서 테이퍼각이 3°이며, 강테이퍼부(11a)보다 테이퍼 각도가 약하게(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용기(20)측(컬부(22)측)의 테이퍼 각도를 약하게(작게) 함으로써, 컬부(22)가 종이제 뚜껑(1)에 진입하기 쉬워진다. 한편, 약테이퍼부(11b)의 테이퍼를 강테이퍼부(11a)와는 반대인 테이퍼 형상으로(외측으로 확산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하면, 컬부(22)가 종이제 뚜껑(1)에 의하여 진입하기 쉬워진다.
한편, 도 27의 (a), 도 27의 (b)에 있어서, 볼록부(37)의 Z방향(높이방향)의 치수는, 컬부(22) 직경의 절반 이상, 바람직하게는 컬부(22)의 직경과 동등 이상으로 함으로써,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7의 (c)는, 볼록부(37)를 강테이퍼부(11a)의 하방에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용기(20)에 종이제 뚜껑을 감합시킬 때에, 컬부(22)가 볼록부(37)를 넘어 가기 때문에, 유저는 노치감을 느낄 수 있어, 종이제 뚜껑(1)이 닫힌 것을 감각적으로 느낄 수 있다.
도 27의 (d)는, 볼록부(37)를 강테이퍼부(11a)의 하방에 설치하는 동시에, 약테이퍼부(11b) 대신에, 직선부(11c)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직선부(11c)에 의하여 컬부(22)가 종이제 뚜껑(1)에 진입하기 쉬워지므로, 유저는 간단하게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장착할 수 있다. 한편, 강테이퍼부(11a) 및 약테이퍼부(11b)의 이음매, 또는, 강테이퍼부(11a) 및 직선부(11c)의 이음매는, 직선적으로 하여도 좋고 곡선적으로 하여도 좋다.
도 27의 (e)는, 볼록부(37) 대신에 강테이퍼부(11a)의 선단을 내측으로 접은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공간부(S1)를 다른 예에 비하여 넓게 할 수 있으므로, 이 공간부(S1)에 의하여 내용물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컬부(22)가 강테이퍼부(11a)의 선단을 내측으로 접은 부분을 넘기 때문에 노치감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27의 (a) 내지 도 27의 (d)에 있어서도 볼록부(37)를 생략하고, 제2 테이퍼부(11)의 선단 혹은 강테이퍼부(11a)의 선단을 내측으로 접어도 좋다.
한편, 볼록부(37)는, 별체의 부재를 설치하여 형성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브릿지 부재를 가지는 성형장치에 의하여 테이퍼부의 내측에 일체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도 23은, 제8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의 씰부(8)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의 (a) 내지 도 23의 (c)에는, 종이제 뚜껑(1)의 씰부(8)의 3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23의 (a) 내지 도 23의 (c)의 예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종이제 뚜껑(1)으로서 제8 실시형태 이외의 종이제 뚜껑(1)을 이용하여도 좋다.
도 23의 (a)는, 천장뚜껑부(2)의 오목부(35)에 형성된 음용구(5)를 씰하는 씰부(8)를 나타내고 있다. 음용구(5)를 상방에서 본 도면을 하방에 나타내고 있다. 음용구(5)는, 도 2의 (c)에 나타내고 있는 형상과 같은 형상이고, 오목부(35)에 절취선을 넣어, 종이제 뚜껑(1)의 화살표 방향을 향하여 여는 것이다. 씰부(8)는, 음용구(5)를 덮는 크기로 되어 있는데, 음용구(5)의 일부를 덮는 크기여도 상관없다. 한편, 음용구(5)를 시인하기 어려우므로, 씰부(8)에 음용구(5)의 장소를 나타내는 문자나 그림을 인쇄하여도 좋다.
씰부(8)는, 역C자 형상이고, 음용구(5)의 상면에 대응하여 설치된 접착제(13)에 의하여 씰부(8)의 하면과 오목부(35)를 접합하고 있다. 한편, 씰부(8)의 자유단의 선단은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있고, 씰부(8)의 돌출부로 되어 있다.
씰부(8)의 접착제(13)가 도포된 하면과 반대면에 재박리성의 접착제(14)가 분산되어 도포되어 있다. 한편, 재박리성의 접착제(14)는, 점 형상으로 복수 군데에 도포하여도 좋고, 스파이럴 형상으로 도포하여도 좋으며, 연속적으로 도포하여도 좋다. 도 23의 (a)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돌출부를 당기면, 음용구(5)의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힌지로서 기능하여, 음용구(5)가 개구된다. 더욱이, 씰부(8)를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씰부(8)는, 역C자 형상에서 직선 형상이 되며, 재박리성의 접착제(14)가 오목부(35)와 대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오목부(35)에 재박리성의 접착제(14)를 누름으로써, 음용구(5)의 개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3의 (b)는, 재박리성의 접착제(14)를 도포하는 위치가 도 23의 (a)와 다르고, 역C자 형상의 상부 이면에 재박리성의 접착제(14)가 도포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3의 (b)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돌출부를 당기면, 음용구(5)가 개구되어, 씰부(8)는, 역C자 형상에서 직선 형상이 되며, 재박리성의 접착제(14)가 오목부(35)와 대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오목부(35)에 재박리성의 접착제(14)를 누름으로써, 음용구(5)의 개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3의 (c)은, 씰부(8)가 직선 형상이고, 오목부(35)와의 대향면인 씰부(8)의 하면에 접착제(13)와 재박리성의 접착제(14)가 도포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접착제(13)는 음용구(5)의 상면에 대응하고 있다. 이 경우, 재박리성의 접착제(14)는, 오목부(35)와 접합하도록 도포되어 있어도 좋고, 오목부(35)와는 접합하지 않도록 도포되어 있어도 좋다. 재박리성의 접착제(14)를 오목부(35)에 접합하는 경우에는, 재박리성의 접착제(14)와 접합하는 오목부(35)에 박리지를 붙이거나, 실리콘이나 테플론(등록상표) 등의 박리제를 오목부(35)에 도포하거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박리지는, 접착제(13)의 적어도 일부(음용구(5)측)와 간섭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3의 (c)의 확대도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씰부(8)는 음용구(5)의 일부분을 덮는 것과 같은 형상이고, 재박리성의 접착제(14)가 음용구(5)를 사이에 끼우도록 2군데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음용구(5)와 둘레벽과의 사이에도 재박리성의 접착제(14)를 설치함으로써, 음용구(5)가 열린 것인지, 열려 있지 않은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3의 (c)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돌출부를 당겨서 음용구(5)를 개구시킨 후, 오목부(35)에 중앙으로부터의 재박리성의 접착제(14)를 누름으로써, 음용구(5)의 개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제(13)의 접착력을 접착제(14)의 접착력보다 크게 하고 있다. 이 대신에, 혹은 이것과 병용하여, 접착제(13)의 도포량을 접착제(14)의 도포량보다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씰부(8)의 이면 전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돌출부나 접착력을 약하게 하는 부분에 왁스 등을 도포하여 이 접착제의 접착력을 상쇄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돌출부나 접착력을 약하게 하는 부분에는, 접착제의 도포량을 적게 하거나, 왁스의 도포량을 많게 하거나 하는 등 적절히 할 수 있다. 한편, 접착제(13) 대신에 히트씰에 의하여 씰부(8)의 하면과 오목부(35)를 접합하여도 좋다. 또한, 씰부(8)를 Z접기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오목부(35)를 형성하지 않고 평편한 천장뚜껑부(2)로 하여도 좋다.
한편, 도 2 및 도 23에 나타내는 음용구(5)에 있어서, 음용구(5)의 크기는, 원 형상이라면 직경 6mm~14mm 정도, 직사각형 형상이라면 대각선의 길이가 9mm~20mm 정도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큰 얼음이 음용구(5)를 통과하지 않아, 어린이가 잘못하여 큰 얼음을 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7의 (a)의 종이제 뚜껑(1)의 제조방법)
도 28은 종이제 뚜껑(1)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고, 도 29는 종이제 뚜껑(1)의 제조방법의 개요도이다. 이하, 종이제 뚜껑(1)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여기에서는, 도 27의 (a)에 나타낸 종이제 뚜껑(1)을 예로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이제 뚜껑(1)의 테이퍼부(3)를 형성하는 재료(부채꼴 형상의 코팅층을 가진 종이재료라고 함)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으로 본떠져, 이 상태로 표시부(40)의 인쇄가 이루어진다(스텝 S1). 한편, 표시부(40)는, 부채꼴 형상으로 본떠지기 전에 인쇄가 이루어져도 좋다. 또한, 표시부(40)는, 종이재료에 인쇄되어도 좋고, 코팅층인 필름에 인쇄되어도 좋다. 또한, 표시부(40)의 수는 3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부(40)의 인쇄에 이어서, 절취부(41)의 절취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채꼴 형상의 코팅층을 가진 종이재료는, 제1 가공 스테이션(61)으로 반송된다. 제1 가공 스테이션(61)에 있어서, 부채꼴 형상의 코팅층을 가진 종이재료는, 부채꼴 형상의 양단을 일부 중복하여, 예를 들어 초음파 접합에 의하여 접합된다. 이에 따라, 테이퍼부(3)가 형성된다(스텝 S2). 이 경우, 테이퍼부(3)를 본뜬 금형을 이용하여 테이퍼부(3)가 형성된다. 한편, 이 일부 중복된 부분이 이음매가 된다.
또한, 부채꼴 형상의 코팅층을 가진 종이재료의 아래둘레를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내측으로 접음으로써 제2 테이퍼부(11)가 형성된다. 한편, 부채꼴 형상의 코팅층을 가진 종이재료의 상측은, 컬부(9)나, 천장뚜껑부(2)를 둘러싸는 둘레벽이 되는데, 이것들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제1 가공 스테이션(61)에서의 가공이 종료된 부채꼴 형상의 코팅층을 가진 종이재료는, 제4 가공 스테이션(64)으로 반송된다. 제4 가공 스테이션(64)에서의 가공의 설명에 앞서, 천장뚜껑부(2)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원판(60)은, 코팅층을 가진 종이재료이고, 천장뚜껑부(2)의 형성에 이용된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판(60)의 상단 및 하단은 물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하, 이러한 물결 형상에 대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도 30은, 원판(60a)으로부터 천장뚜껑부(2)를 빼내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원판(60a)으로부터는 천장뚜껑부(2)를 2열만큼 빼내는 것으로 한다. 도 3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장뚜껑부(2)의 1열째와 2열째와의 상하 위치를 동일하게 하여서 빼내는 경우, 검정색으로 칠하여 나타낸 부분이 천장뚜껑부(2)를 빼낸 후에 폐기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도 3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장뚜껑부(2)의 1열째와 2열째와의 상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서 천장뚜껑부(2)를 빼내는 경우, 폐기되는 검정칠 부분이 적어진다. 더욱이, 원판(60a)의 폭(w)을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폭(w)만큼 원판(60a)의 폭을 줄일 수 있고, 원판(60a)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종이제 뚜껑(1)의 제조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천장뚜껑부(2)의 1열째와 2열째의 상하를 어긋나게 하는 양은, 천장뚜껑부(2)의 반경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0에서는 원판(60a)으로부터 2열만큼의 천장뚜껑부(2)를 빼내었는데, 원판(60a)의 폭에 따라서 천장뚜껑부(2)를 3열 이상 빼내도록 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0의 (b)의 방법으로, 1매의 원판(60a)으로부터 3열 이상을 빼내는 것으로 하고 있으므로, 1열만큼의 원판(도 29에 나타내는 원판(60))은, 상단 및 하단이 물결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단 및 하단의 적어도 한쪽이 직선 형상인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30의 (b)의 방법으로, 1매의 원판(60a)으로부터 천장뚜껑부(2)를 2열 빼내는 경우에는, 원판(60)은, 상단 또는 하단이 직선 형상인 것이 된다. 또한, 도 30의 (a)의 원판(60a)을 이용하여도 좋고, 이 경우에도 상단과 하단의 한쪽이 물결 형상이 되며, 상단과 하단의 다른 쪽이 직선 형상인 것이 된다. 한편, 도 30의 (a)의 원판(60a)을 1열만큼의 원판으로 한 경우에는, 상단 및 하단 모두 직선 형상이 되어, 이러한 원판을 이용하여도 좋다.
도 29로 되돌아가, 원판(60)은, 제2 가공 스테이션(62)으로 반송된다. 제2 가공 스테이션(62)에서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씰부(8)가 원판(60)에 접합된다. 제2 가공 스테이션(62)에 있어서, 2개만큼의 씰부(8)가 접합되도록 도시하고 있는데, 그 수는 1개여도 좋고, 3개 이상이어도 좋다. 씰부(8)는, 도시하지 않은 씰원판으로부터 반송되고, 그 반송 과정에서 보호용 박리지가 제거되며, 접착면이 원판(60)에 접합된다. 도 29의 접착제(14)가 접착되는 부분에는, 보호용 박리지와는 다른 박리지를 설치하고, 접착제(14)의 접착력을 접착제(13)의 접착력보다 약해지도록 하여도 좋다.
씰부(8)가 접합된 원판(60)은, 제3 가공 스테이션(63)으로 반송된다. 제3 가공 스테이션(63)에서는, 음용구(5)를 형성하기 위한 가공이 칼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3 가공 스테이션(63)에서는, 천장뚜껑부(2)를 빼내는 것이 칼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음용구(5)는, 원판(60)에 접합된 씰부(8)를 표시로 하여서 이루어진다.
천장뚜껑부(2)는, 원 형상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빼내진다. 또한, 천장뚜껑부(2)는, 단면이 U자 형상인 테이퍼부(3)와 제2 테이퍼부(11)와의 사이에 접합되도록, 천장뚜껑부(2)의 외주가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접힌다(스텝 S3). 한편, 음용구(5)의 가공과, 천장뚜껑부(2)를 빼내는 가공은 어떤 것을 먼저 하여도 좋고, 동시에 하여도 좋다.
또한, 제2 가공 스테이션(62)과 제3 가공 스테이션(63)과의 레이아웃을 교체하여, 제2 가공 스테이션(62)의 가공에 앞서, 제3 가공 스테이션(63)을 가공하여도 좋다. 이 경우, 씰부(8)는, 음용구(5)를 표시로서 천장뚜껑부(2)에 접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3 가공 스테이션(63)에서의 가공이 종료된 천장뚜껑부(2)가 제4 가공 스테이션(64)으로 반송된다.
제4 가공 스테이션(64)에서는, 단면이 U자 형상인 테이퍼부(3)와 제2 테이퍼부(11)와의 사이에, 외주가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접힌 천장뚜껑부(2)가 끼워 넣어진다. 천장뚜껑부(2)가, 테이퍼부(3)와 제2 테이퍼부(11)와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가열 처리가 행하여진다(스텝 S4). 이러한 가열 처리에 의하여, 천장뚜껑부(2)와, 테이퍼부(3)와, 제2 테이퍼부(11)에 코팅되어 있는 필름이 녹아, 천장뚜껑부(2)와, 테이퍼부(3)와, 제2 테이퍼부(11)가 히트씰 접합된다. 한편, 천장뚜껑부(2)와, 테이퍼부(3)와, 제2 테이퍼부(11)와의 히트씰 접합은, 전면에서 행하여도 좋고, 부분적으로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볼록부(37) 근방에서는, 테이퍼부(3)와, 제2 테이퍼부(11)와의 히트씰 접합을 행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천장뚜껑부(2)를 둘러싸는 둘레벽이 테이퍼부(3)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스텝 S2에 있어서, 부채꼴 형상의 코팅층을 가진 종이재료의 아래둘레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2 테이퍼부(11)를 형성하고, 스텝 S3에 있어서, 천장뚜껑부(2)의 외주를 프레스 가공하여 접는 것으로 하였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텝 S4의 가열 처리 직전, 또는 가열 처리를 하면서, 이들 프레스 가공의 적어도 한쪽을 하도록 하여도 좋다.
천장뚜껑부(2)와, 테이퍼부(3)와, 제2 테이퍼부(11)가 히트씰 접합하는 경우에, 음용구(5)가, 테이퍼부(3)(천장뚜껑부를 둘러싸는 둘레벽이라고도 함)에 형성된 이음매를 피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도시하지 않은 검출장치에 의하여, 이음매나 이음매 근방에 설치한 마크를 검출하고, 이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천장뚜껑부(2)를 회전시켜서 음용구(5)의 위치를 조절하고나서 상술한 히트씰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천장뚜껑부(2)가 테이퍼부(3) 및 제2 테이퍼부(11)와 접합된 후에, 음용구(5)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음용구(5)의 형성에 이어서, 씰부(8)를 형성하여도 좋고, 후공정으로 씰부(8)를 형성하여도 좋다.
제2 테이퍼부(11)의 내주면을 일부가 오목한 브릿지 부재로 누름으로써, 브릿지 부재의 오목한 부분에 의하여 눌리지 않았던 부분이 볼록부(37)로서 형성된다(스텝 S5). 한편, 볼록부(37)는, 제2 테이퍼부(1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데, 그 높이방향의 위치는 브릿지 부재의 형상에 의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브릿지 부재를 누르는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볼록부(3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2 테이퍼부(11)의 중량에 의하여, 볼록부(37)의 높이를 조절하여도 좋다.
제2 테이퍼부(11)의 내주면을 브릿지 부재로 누른 후에, 제2 테이퍼부(11)의 선단(바닥뚜껑부(4)측)의 내경 치수는, 컬부(22)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되어 있다면, 용기(20)에 종이제 뚜껑을 끼워 넣을 때에 컬부(22)가 눌려서(변형되어서),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가 감합되므로,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대신에, 혹은, 이것과 병용하여, 컬부(22)가 진입하는 볼록부(37)의 선단 내경을, 컬부(22)의 외경보다 작게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컬부(22)와 볼록부(37)와의 적어도 한쪽을 변형시켜서 컬부(22)와 볼록부(37)를 감합시킬 수 있으므로,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볼록부(37)가 형성된 후, 히트씰 접합된 천장뚜껑부(2)와, 테이퍼부(3)와, 제2 테이퍼부(11)는, 제5 가공 스테이션(65)으로 반송된다.
이어서, 제5 가공 스테이션(65)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컬성형금형(70)에 의하여, 컬부(9)가 형성된다(스텝 S6). 이에 따라, 도 27의 (a)의 종이제 뚜껑(1)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조방법은 일례이고, 일부 공정의 순서를 바꾸는 등의 변형을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원판(60)은 코팅층을 가진 종이재료이므로, 도 16,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창부(18)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종이재료에 필름 등의 코팅층이 접합되기 전에 창부(18)의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이재료와 필름을 접합하는 경우에는, 라미네이트여도 좋고, T-다이 성형이어도 좋다. 한편, 종이재료와 필름을 가열하여 접합한 경우에는, 상온 또는 실온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에서 필름의 치수가 변화되기 쉽다. 이 때문에, 접합한 종이재료와 필름을 냉각하는 공정을 마련하여도 좋다. 이 대신에, 창부(18)가 형성된 것을 원판(60)으로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냉각공정을 마련하지 않아도 제2 가공 스테이션(62)에서 가공할 때까지 충분한 시간을 취할 수 있으므로, 필름의 치수 변화를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브릿지 부재를 이용하여 도 22의 (a)의 볼록부(37)와, 도 27의 (c)의 볼록부(37)와, 도 27의 (d)의 볼록부(37)를 형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31은, 볼록부(37)를 형성하는 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1의 (a) 내지 도 31의 (c)에는, 형성장치의 3개의 예를 나타내고 있고, 이하, 순서대로 설명하는데, 중복되는 설명에 대하여는 할애한다. 한편, 이러한 형성장치는, 제4 가공 스테이션(64)에 설치할 수 있다.
도 31의 (a)은, 도 22의 (a)의 볼록부(37)를 형성하는 형성장치이고, 단면이 U자 형상인 테이퍼부(3)를 외측으로부터 고정하는 고정부재(80)와, 금속제의 브릿지 부재(81)를 가지고 있다. 브릿지 부재(81)는, 전체적으로는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이고, 제2 테이퍼부(11)와 동일한 테이퍼 형상의 상방 테이퍼부(82)와, 볼록부(37)를 형성하기 위한 도피부(83)와, 제2 테이퍼부(11)와 동일한 테이퍼 형상의 하방 테이퍼부(84)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단면이 U자 형상인 테이퍼부(3)에는 천장뚜껑부(2)가 이미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고정부재(80)에 의하여 단면이 U자 형상인 테이퍼부(3)가 고정된 상태로, 브릿지 부재(81)가 도시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하여 편심하여 회전하고, 상방 테이퍼부(82)와 하방 테이퍼부(84)가 제2 테이퍼부(11)의 내주를 누름으로써, 도 22의 (a)의 볼록부(37)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1의 (b)는, 도 22의 (c)의 볼록부(37) 및 약테이퍼부(11b)를 형성하는 형성장치이고, 하방 테이퍼부(84)의 테이퍼 각도가 제2 테이퍼부(11)의 테이퍼 각도와는 다르다. 제2 테이퍼부(11)의 테이퍼 각도와는 다른 테이퍼 각도의 하방 테이퍼부(84)를 제2 테이퍼부(11)의 내주를 누름으로써, 약테이퍼부(11b)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1의 (c)는, 도 22의 (d)의 볼록부(37) 및 직선부(11c)를 형성하는 형성장치이고, 하방 테이퍼부(84) 대신에 직선부(8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직선부(85)를 제2 테이퍼부(11)의 내주를 누름으로써, 직선부(11c)를 형성할 수 있다.
(보온성)
용기(20) 내의 내용물의 보온성 향상에 대하여는, 종이제 뚜껑(1)에 의하여 그 밖에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제5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에 의한 보온성 향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도 9의 (a)의 종이제 뚜껑(1)의 천장뚜껑부(2)와 계합부(12)와의 접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의 (a)는, 천장뚜껑부(2)와, 계합부(12)의 천장뚜껑부(2a)(도 10을 참조)와의 전체면에 접착제(25)를 도포하여 접착한 접합예이고, 천장뚜껑부(2)와 천장뚜껑부(2a)와의 사이에는 공간부(26)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 18의 (b)는, 천장뚜껑부(2)와, 계합부(12)의 천장뚜껑부(2a)(도 10을 참조)와의 중앙부에 접착제(25)를 도포하여 접착한 접합예이고, 공간부(26)가 존재한다. 도 18의 (c)는, 천장뚜껑부(2)와, 계합부(12)의 천장뚜껑부(2a)(도 10을 참조)와의 외주에 접착제(25)를 도포하여 접착한 접합예이고, 공간부(26)가 존재한다.
5온스용 용기(20)에 75℃의 물(내용물)을 150cc 넣고, 종이제 뚜껑(1)을 끼워 넣은 상태로 물(내용물)의 경과시간마다의 온도를 측정하는 보온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음용구(5)를 닫은 상태와, 음용구(5)를 연 상태의 2종류로 시험을 하였다.
또한, 비교예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제 뚜껑으로도 측정을 하였다. 이 플라스틱제 뚜껑은, 천장뚜껑부(2)와, 계합부(12)를 접합하는 타입이 아니므로, 접착부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뚜껑상태 접착방법 경과시간(분)
0 10 20 30 40 50 60

음용구(5)
개방
전면접착 75 57 51 45 42 39 37
중앙접착 75 58 52 46 43 40 38
외주접착 75 58 52 46 43 40 38
비교예 75 57 51 46 42 39 37

음용구(5)
폐쇄
전면접착 75 57 52 47 44 41 38
중앙접착 75 58 52 48 44 41 39
외주접착 75 58 52 48 44 41 39
비교예 75 57 51 47 43 40 37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제 뚜껑(1)의 보온성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제 뚜껑으로 손색없을 뿐만 아니라, 중앙부에 접착제(25)를 도포한 측정예와, 외주에 접착제(25)를 도포한 측정예는, 플라스틱제 뚜껑보다 1℃~2℃ 보온성이 뛰어나다. 이것은, 공간부(26)의 단열 효과가 기인하고 있다. 이와 같이, 친환경적인 종이제 뚜껑(1)에 있어서, 그 보온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천장뚜껑부(2)와, 계합부(12)와의 접합은, 접착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공간부(26)를 형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접합방법을 이용하여도 상관없다.
(그 밖의 변형예)
도 32는, 도 22로 나타낸 제8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의 변형예이다. 도 32의 (a)에서는, 볼록부(37)의 형상을 컬부(22)의 원주 형상에 맞춘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볼록부(37)의 형상을 원주 형상으로 하는 경우에, 컬부(22)의 상방이 천장뚜껑부(2)에 접하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2의 (b)에서는, 볼록부(37)의 형상을 컬부(22)의 원주 형상에 맞추는 동시에, 컬부(22)의 일부를 아래에서부터 보유하고 있다.
도 32의 (a), 도 3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컬부(22)의 일부를 아래에서부터 보유하는 동시에, 컬부(22)의 상방이 천장뚜껑부(2)에 접하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37)와 천장뚜껑부(2)에서 컬부(22)를 끼워 넣음(껴안음)으로써,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볼록부(37)의 형상을 볼록부(37)와 천장뚜껑부(2)에서 컬부(22)를 끼워 넣는(껴안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한 경우, 컬부(22)의 변형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이제 뚜껑(1)을 용기(20)에 끼우거나, 제거하거나 하는 것을 반복한 경우에도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이 열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용기(20)의 내용물이 뜨거운 음료인 경우, 수증기나 열에 의하여 볼록부(37)가 변형되거나, 볼록부(37)와 컬부(22)가 미끄러져 버려서,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이 열화할 우려가 있다. 하지만, 볼록부(37)의 형상이 컬부(22)의 하측을 지지하는 형상으로 한 경우, 볼록부(37)가 변형된 경우의 영향이 적고, 또한, 볼록부(37)와 컬부(22)가 미끄러진 경우의 영향도 적다. 한편, 볼록부(37)의 형상은, 컬부(22)를 지지하는 것과 같은 형상이라면, 테이퍼 형상이어도 좋고, 복수의 볼록부(37)에 의하여 컬부(22)를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단면이 U자 형상인 테이퍼부(3)와 제2 테이퍼부(11)와의 사이에, 외주가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접혀진 천장뚜껑부(2)가 끼워 넣어지는데, 이 접힌 부분의 치수를 짧게 하여, 공간(S2)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접힌 부분의 치수를 짧게 함으로써, 천장뚜껑부(2)에서 사용하는 종이재료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공간부(S2)에 의하여, 단면이 U자 형상인 테이퍼부(3)와 제2 테이퍼부(11)와의 강성을 약하게 할 수 있으므로, 컬부(22)가 종이제 뚜껑(1)에 진입하기 쉬워진다.
한편, 도 32의 변형예에 있어서도,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약테이퍼부(11b)를 마련하여도 좋고, 직선부(11c)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종이제 뚜껑(1)과 용기(20)와의 밀폐성을 볼록부(37)에 의하여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는, 테이퍼부(3) 및 제2 테이퍼부(11)를 직선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도,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벽의 높이(H2)를 전체의 높이(H1)의 36%~48% 정도로 함으로써 복수의 종이제 뚜껑(1)을 적층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의 예이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각 실시형태를 적절히 조합하여도 좋고, 그 구성의 일부를 생략하여도 좋다. 또한, 일부의 구성을 변형하여도 좋고, 예를 들어, 컬부(9)에 절취선을 넣고 컬부(9)의 강성을 약하게 하여도 좋다. 이러한 절취선이 마련된 컬부(9)를 이용하여 용기(20)를 외측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프레스 가공시에 프레스 가공기의 일부를 가열하는 것을 개시하였는데, 초음파 접합을 할 때에도 초음파 접합장치의 일부(예를 들어, 종이제 뚜껑(1)을 보유하는 부분)를 50℃~85℃ 정도로 가열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종이제 뚜껑(1)을 가열하여 제조함으로써, 용기(20)의 내용물이 뜨거운 음료(60℃~100℃)인 경우에도, 종이제 뚜껑(1)이 프레스 가공 전의 형상으로 변형되기 어려워지므로, 종이제 뚜껑(1)이 용기(20)로부터 벗어날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계합부(12), 베이스부(12a), 계합부분(12b), 컬부(29), 계합부(36)의 적어도 1개의 부재는, 분쇄펄프를 적층한 에어레이드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에어레이드의 중량은 20g/m2~100g/m2, 바람직하게는 40g/m2~60g/m2로 하면 좋다. 또한, 에어레이드의 양면에 필름(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필름)을 라미네이트하고, 초음파 접합에 의하여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레이드를 이용함으로써, 완충부재나 패킹으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종이제 뚜껑(1)은, 과자 등의 식품용 뚜껑으로서 이용하여도 좋고, 물티슈를 수용하는 물티슈 포장체의 뚜껑으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실시할 수 있다.
1: 종이제 뚜껑
2: 천장뚜껑부
3: 테이퍼부
5: 음용구
6: 홈부
8: 씰부
9: 컬부
10: 마크
20: 용기
21: 테이퍼부
22: 컬부
30: 홀더
31: 힌지

Claims (24)

  1. 개구부와 테이퍼와 컬부를 가진 용기에 장착되도록, 종이재료를 가진 뚜껑본체부와,
    상기 뚜껑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퍼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테이퍼를 가지며, 상기 컬부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컬부에 계합하는 제1 계합부와,
    상기 뚜껑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계합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본체부측 컬부를 구비한 종이제 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합부와 상기 본체부측 컬부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음용구가 형성된 천장뚜껑부를 구비한 종이제 뚜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부에는, 상기 종이재료와 상기 종이재료와의 이음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음용구는 상기 이음매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종이제 뚜껑.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뚜껑부의 외주에는, 상기 본체부측 컬부와 접속된 둘레벽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둘레벽부에 상기 용기의 내용물에 관련된 복수의 표시가 실시된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종이제 뚜껑.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측 컬부는 변형 가능하고,
    상기 본체부측 컬부의 변형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식별하는 종이제 뚜껑.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합부는, 상기 용기의 상기 컬부를 변형시켜서 상기 컬부에 계합하는 종이제 뚜껑.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측 컬부의 크기는, 상기 컬부와는 다른 종이제 뚜껑.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부에 상기 용기 내를 시인 가능한 시인부를 설치한 종이제 뚜껑.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구에 접합되는 제1 접합부와, 상기 음용구를 개구 가능한 돌출부를 가진 씰부를 구비한 종이제 뚜껑.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씰부는, 상기 천장뚜껑부에 접합되는 제2 접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접합부의 접합력이 상기 제2 접합부의 접합력보다 큰 종이제 뚜껑.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측 컬부에서 상기 천장뚜껑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뚜껑본체부의 높이의 6%~53%인 종이제 뚜껑.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합부는, 원주 형상의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는 종이제 뚜껑.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부의 상기 종이재료는, 생분해성의 필름이 코팅되어 있는 종이제 뚜껑.
  14. 종이재료를 이용한 천장뚜껑부에 음용구부와, 상기 천장뚜껑부와 상기 음용구부에 접합되는 씰부를 설치하는 스텝과,
    상기 음용구부와, 상기 씰부가 형성된 상기 천장뚜껑부를,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종이재료를 이용한 테이퍼부에 접합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에 컬 형상의 컬부를 형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뚜껑부를 둘러싸는 둘레벽부를 설치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
  17. 개구부와 테이퍼와 컬부를 가진 용기에 설치되는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컬부를 변형시켜서 계합하는 계합부를 부채꼴 형상의 종이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스텝과,
    상기 계합부에 천장뚜껑부를 접합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에 원주 형상의 볼록부를 형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형상의 볼록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뚜껑부는, 물결 형상의 원판으로부터 상기 천장뚜껑부에 따른 형상이 잘려져서 형성되는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채꼴 형상의 상기 종이재료 혹은 상기 종이재료를 코팅하는 필름에 상기 용기의 내용물에 관한 인쇄를 행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에 상기 천장뚜껑부를 접합하는 스텝은, 상기 계합부와, 상기 천장뚜껑부를 가열하여 행하여지는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
  23. 종이재료를 가진 본체부와,
    개구부와 테이퍼를 가진 용기에 장착되도록, 상기 테이퍼의 각도와는 다른 각도를 가지고, 상기 테이퍼와 계합하는 계합부를 구비한 종이제 뚜껑.
  24. 개구부와 테이퍼를 가진 용기에 장착되도록, 상기 개구부의 외측으로부터 계합 가능한 제1 계합부를 구비하고, 종이재료를 가진 본체부와,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부터 계합 가능하며, 종이재료을 가진 제2 계합부를 구비한 종이제 뚜껑.
KR1020217012149A 2018-11-16 2019-02-01 종이제 뚜껑 및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 KR102452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29918A KR102556137B1 (ko) 2018-11-16 2019-02-01 종이제 뚜껑 및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68142P 2018-11-16 2018-11-16
US62/768,142 2018-11-16
US201862770852P 2018-11-23 2018-11-23
US62/770,852 2018-11-23
US201862772649P 2018-11-29 2018-11-29
US62/772,649 2018-11-29
US201862774355P 2018-12-03 2018-12-03
JP2018226847 2018-12-03
JPJP-P-2018-226847 2018-12-03
US62/774,355 2018-12-03
US201862775935P 2018-12-06 2018-12-06
US62/775,935 2018-12-06
US201862779530P 2018-12-14 2018-12-14
US62/779,530 2018-12-14
US201862781026P 2018-12-18 2018-12-18
US62/781,026 2018-12-18
US201862784863P 2018-12-26 2018-12-26
US62/784,863 2018-12-26
US201862785763P 2018-12-28 2018-12-28
US62/785,763 2018-12-28
US201862786567P 2018-12-31 2018-12-31
US62/786,567 2018-12-31
US201962790050P 2019-01-09 2019-01-09
US62/790,050 2019-01-09
JP2019003320 2019-01-11
JPJP-P-2019-003320 2019-01-11
US201962793943P 2019-01-18 2019-01-18
US62/793,943 2019-01-18
US201962796617P 2019-01-25 2019-01-25
US62/796,617 2019-01-25
US201962797397P 2019-01-28 2019-01-28
US62/797,397 2019-01-28
PCT/JP2019/003670 WO2020100316A1 (ja) 2018-11-16 2019-02-01 紙製の蓋及び紙製の蓋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918A Division KR102556137B1 (ko) 2018-11-16 2019-02-01 종이제 뚜껑 및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093A true KR20210055093A (ko) 2021-05-14
KR102452221B1 KR102452221B1 (ko) 2022-10-07

Family

ID=707307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918A KR102556137B1 (ko) 2018-11-16 2019-02-01 종이제 뚜껑 및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
KR1020217012149A KR102452221B1 (ko) 2018-11-16 2019-02-01 종이제 뚜껑 및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918A KR102556137B1 (ko) 2018-11-16 2019-02-01 종이제 뚜껑 및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220227546A1 (ko)
EP (1) EP3895999A4 (ko)
JP (2) JP6895601B2 (ko)
KR (2) KR102556137B1 (ko)
CN (1) CN113165768B (ko)
AU (4) AU2019379339A1 (ko)
BR (1) BR112021009005A2 (ko)
CA (1) CA3119093C (ko)
MX (1) MX2021005467A (ko)
MY (1) MY189728A (ko)
PH (1) PH12021551083A1 (ko)
RU (1) RU2767119C1 (ko)
SG (1) SG11202105080YA (ko)
WO (1) WO20201003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489B1 (ko) * 2022-08-25 2023-03-17 (주)그린어스 종이 뚜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2579B2 (en) 2018-12-04 2022-10-18 Gpcp Ip Holdings Llc Film securing apparatus and method
CN113017375A (zh) * 2021-03-26 2021-06-25 上海纸杯有限公司 一种杯盖及其杯子
CA3144904A1 (en) * 2019-07-30 2021-02-04 Kikuo Yamada Lid body
WO2021246488A1 (ja) * 2020-06-04 2021-12-09 朗 高野 蓋体
JP6886068B1 (ja) * 2020-06-04 2021-06-16 株式会社Ky7 蓋体
KR20220156965A (ko) * 2020-06-04 2022-11-28 가부시키가이샤 케이와이세븐 뚜껑체
JP1679578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JP1679510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JP1679936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JP1679579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JP1680013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JP1679509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JP1679511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JP1679584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JP1679583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JP1679581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JP1679580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JP1679582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KR102508423B1 (ko) * 2020-11-02 2023-03-09 주식회사 케이팩 종이병
WO2022124383A1 (ja) * 2020-12-09 2022-06-16 株式会社Ky7 蓋体
WO2022181737A1 (ja) * 2021-02-24 2022-09-01 株式会社Ky7 蓋体
KR102531727B1 (ko) * 2021-03-04 2023-05-12 주식회사 바나 종이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JP7162391B1 (ja) * 2021-06-15 2022-10-28 株式会社Ky7 蓋体、容器と蓋体の組み合わせ、及び蓋体付き容器
IT202100019763A1 (it) * 2021-07-23 2023-01-23 Soc Agricola Ondalab S R L Diffusore di aromi naturali.
WO2024111653A1 (ja) * 2022-11-22 2024-05-30 裕義 林 蓋体、蓋体用ブランク材、蓋体と容器の組み合わせ、及び蓋体付き容器
KR102660493B1 (ko) * 2023-11-17 2024-04-25 주식회사 케이피피인터내셔널 종이뚜껑 제조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9935A (en) * 1957-03-13 1959-03-31 Maryland Cup Company Resilient paper covers for container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S62512U (ko) * 1985-06-17 1987-01-06
KR890007733U (ko) * 1987-09-22 1989-05-17 일이산업 주식회사 할로겐 전구
KR940024126U (ko) * 1993-04-12 1994-11-16 김병옥 공간이용을 최대화한 휴대용 컵 및 커피류 보관함
KR950027365U (ko) * 1994-03-12 1995-10-18 송정식 일회용 컵
KR20030064199A (ko) * 2002-01-24 2003-07-31 (주)성우엔비테크 뚜껑이 구비된 종이컵
JP2006248530A (ja) 2005-03-08 2006-09-21 Pic:Kk 紙製容器用の紙製蓋
KR20100083567A (ko) * 2009-01-14 2010-07-22 김용률 종이 뚜껑
JP5028719B2 (ja) * 2001-07-10 2012-09-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紙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87332A (en) * 1929-04-29 1930-12-30 Oswego Falls Corp Tapered or nesting paper can
US2069213A (en) 1931-11-27 1937-02-02 Individual Drinking Cup Co Container and closure cap therefor
US2181545A (en) * 1936-10-23 1939-11-28 President And Directors Of The Container and closure therefor
US2721686A (en) * 1950-11-07 1955-10-25 Lily Tulip Cup Corp Container closure with transparent pane
JPS5028719B1 (ko) * 1970-09-30 1975-09-17
US4473168A (en) * 1983-09-28 1984-09-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vercap having a resiliently deformable member for resealing dispensing aperture in integral container lid
JPH0212178Y2 (ko) * 1985-06-17 1990-04-05
JPS6290306U (ko) * 1985-11-25 1987-06-09
JPS6439220U (ko) * 1987-09-03 1989-03-08
JPH0248513U (ko) * 1988-09-30 1990-04-04
JPH0471610U (ko) * 1990-10-30 1992-06-24
DE4304130C2 (de) * 1993-02-11 1995-02-23 Zach Verpackungen Stülpdeckel aus Karton zur Schnappverrastung auf einem Verpackungsbehälter
JPH0728814U (ja) * 1993-11-18 1995-05-30 凸版印刷株式会社 蓋付き紙製容器
DE4429057A1 (de) * 1994-08-16 1996-02-22 Hoerauf Michael Maschf Stapelbarer Deckel für einen Behälter
US6116422A (en) * 1997-09-22 2000-09-12 Sealright Co., Inc. Frozen dessert container
US5960986A (en) * 1997-09-22 1999-10-05 Sealright Co., Inc. Lid for a frozen dessert container
JPH11124121A (ja) * 1997-10-20 1999-05-11 Sanyo Pax Co Ltd 蓋体及びその原板
JP2001096645A (ja) * 1999-10-01 2001-04-10 Ueda Insatsu Shiko Kk 紙蓋用周壁の製造方法と、紙蓋
JP2002096824A (ja) * 2000-07-17 2002-04-02 Ekoro Pack:Kk シート材及びシート材の製造方法及び物品収納箱
JP2002225965A (ja) * 2001-01-26 2002-08-14 Tokyo Food Co Ltd 生鮮食料品の搬送用容器及びその使用方法
NZ537049A (en) * 2002-05-29 2007-04-27 Seda Spa Cup-shaped receptacle and lid that has inverted U shape having constriction that clips over receptacle bead
JP4098051B2 (ja) * 2002-09-30 2008-06-11 上田印刷紙工株式会社 紙製容器
JP2004189253A (ja) * 2002-12-10 2004-07-08 Ueda Insatsu Shiko Kk 紙製容器
JP4353944B2 (ja) * 2003-07-25 2009-10-28 加川 敦子 開封保持性に優れた容器密封用蓋体
JP2005343557A (ja) * 2004-05-31 2005-12-15 Makusamu:Kk 紙製カップの蓋。
WO2007110897A1 (ja) * 2006-03-24 2007-10-04 Pic Co., Ltd. 紙製容器用の紙製蓋
US8672163B2 (en) * 2009-01-14 2014-03-18 Yeong Leul Kim Reinforced paper lid
CA2695042A1 (en) * 2009-04-07 2010-10-07 Ambareen Syed Container lid, container-lid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JP5442304B2 (ja) * 2009-04-10 2014-03-12 東罐高山株式会社 紙蓋及び紙蓋の製造方法
KR101093091B1 (ko) 2009-09-17 2011-12-13 이정호 종이 뚜껑 제조 설비용 뚜껑통체 로렛팅장치
JP2012066856A (ja) * 2010-09-24 2012-04-05 Toppan Printing Co Ltd 紙製の飲料用容器
IT1402013B1 (it) * 2010-10-08 2013-08-28 Trani Contenitore in materiale cartaceo, metodo ed apparecchiatura per la realizzazione dello stesso
AU2013240349B2 (en) * 2012-03-30 2017-03-02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omposite package
EP2674369B1 (de) * 2012-06-13 2022-08-17 Michael Hörauf Maschinenfabrik GmbH u. Co. KG Mehrteiliger deckel aus einem papiermateria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mehrteiligen deckels
DE102014219272A1 (de) * 2014-09-24 2016-03-24 Ptm Packaging Tools Machinery Pte. Ltd. Deckel für einen Getränkebecher, Becheranord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ckels
JP6708571B2 (ja) 2017-02-24 2020-06-10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9935A (en) * 1957-03-13 1959-03-31 Maryland Cup Company Resilient paper covers for container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S62512U (ko) * 1985-06-17 1987-01-06
KR890007733U (ko) * 1987-09-22 1989-05-17 일이산업 주식회사 할로겐 전구
KR940024126U (ko) * 1993-04-12 1994-11-16 김병옥 공간이용을 최대화한 휴대용 컵 및 커피류 보관함
KR950027365U (ko) * 1994-03-12 1995-10-18 송정식 일회용 컵
JP5028719B2 (ja) * 2001-07-10 2012-09-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紙容器
KR20030064199A (ko) * 2002-01-24 2003-07-31 (주)성우엔비테크 뚜껑이 구비된 종이컵
JP2006248530A (ja) 2005-03-08 2006-09-21 Pic:Kk 紙製容器用の紙製蓋
KR20100083567A (ko) * 2009-01-14 2010-07-22 김용률 종이 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489B1 (ko) * 2022-08-25 2023-03-17 (주)그린어스 종이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200799B2 (en) 2022-07-21
PH12021551083A1 (en) 2021-11-22
CN113165768A (zh) 2021-07-23
BR112021009005A2 (pt) 2021-08-10
MY189728A (en) 2022-02-28
AU2023203896A1 (en) 2023-07-13
JPWO2020100316A1 (ja) 2021-02-15
CN113165768B (zh) 2022-11-29
KR20220123485A (ko) 2022-09-06
CA3119093A1 (en) 2020-05-22
AU2022200799A1 (en) 2022-02-24
KR102556137B1 (ko) 2023-07-14
MX2021005467A (es) 2022-03-29
RU2767119C1 (ru) 2022-03-16
JP6867564B1 (ja) 2021-04-28
US20220227546A1 (en) 2022-07-21
JP6895601B2 (ja) 2021-06-30
WO2020100316A1 (ja) 2020-05-22
KR102452221B1 (ko) 2022-10-07
EP3895999A1 (en) 2021-10-20
SG11202105080YA (en) 2021-06-29
CA3119093C (en) 2023-07-25
AU2022203330A1 (en) 2022-06-09
EP3895999A4 (en) 2022-08-17
AU2019379339A1 (en) 2020-06-25
JP2021091487A (ja)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2221B1 (ko) 종이제 뚜껑 및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
US20210316912A1 (en) Paper Lid And Method For Producing Paper Lid
WO2020166715A1 (ja) 紙製の蓋
CN209987436U (zh) 纸制盖
TWI841019B (zh) 紙製之蓋
CN111196056B (zh) 纸制盖
JP5046847B2 (ja) カップ上載置式支持具付嗜好飲料抽出バッグ及び抽出方法
JP5834479B2 (ja) 紙容器
JP5929976B2 (ja) 飲料用紙容器
JP7140228B2 (ja) ドリッパーとその製造方法
JP2004083120A (ja) 分配包装体
JP2021151879A (ja) 連結ポーション
CN104244894B (zh) 具有改进的密封性能的包装单元
CN114007868A (zh) 滴头及其制造方法
JP2018122932A (ja) 紙容器
JP2012066830A (ja) 密封容器同時開封カート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