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989A - 이데베논 및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 Google Patents

이데베논 및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989A
KR20210047989A KR1020190131149A KR20190131149A KR20210047989A KR 20210047989 A KR20210047989 A KR 20210047989A KR 1020190131149 A KR1020190131149 A KR 1020190131149A KR 20190131149 A KR20190131149 A KR 20190131149A KR 20210047989 A KR20210047989 A KR 20210047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benone
liposome
nano
bisabolol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329B1 (ko
Inventor
차훈
권영일
김진욱
김기현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주)더마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마펌 filed Critical (주)더마펌
Priority to KR1020190131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3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은 이데베논(idebenone) 및 비사보롤(bisabolol)을 포함하는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비사보롤은 난용성인 이데베논을 용해하므로 이데베논의 피부 침투 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어 이데베논과 함께 상승적으로 미백 또는 보습의 약리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은 이데베논의 경피 전달률이 우수하며 미백 또는 보습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제형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데베논 및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Nano-liposome Comprising Idebenone and Bisabolol}
본 발명은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나노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데베논은 살아있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유비퀴논(Ubiquinone)계 항산화제이면서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내 세포에너지인 ATP(Adenosine triphosphate)의 생성에 관련된 ETC(Electron Transfer Chain)에 주로 관여하는 코엔자임 Q1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화학물질로서, 화학명은 2,3-디메톡시-5-메틸-6-(10-히드록시데실)-1,4-벤조퀴논[dimethoxy-5-methyl-6-(10-hydroxy decyl)-1,4-benzoquinone]이고 분자량은 338.44이며, 주로 화학적인 합성방법으로 얻어져 정제된 노란색의 결정성 파우더 물질로 알려져 있다.
기공지된 연구논문에 따르면 이러한 이데베논을 제약용 또는 화장품용으로 응용한 의약품 및 화장품이 노화에 매우 우수한 효능을 갖는 것으로 여러 학술논문에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이데베논은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내 세포에너지인 ATP(Adenosinetriphosphate)의 생성에 관련된 ETC(Electron Transfer Chain)에 관여하여 세포활성화에 효과가 있으며, 미토콘드리아에서 활성산소군 (ROS,Reactive Oxygen Species)의 형성을 방지하여 피부를 보호하고, 의학적으로는 신경성장인자(NGF, Nerve Growth Factor)를 촉진하여 노화로 인해 문제가 되는 퇴행성 신경질환인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혈관질환인 뇌혈관질환(Cerebrovascular disease) 및 간질환 등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 역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체 유용성 활성 물질 중의 하나인 이데베논은 퀴논(Quinone)기, 포화탄화수소(Saturated hydrocarbon) 및 수산(Hydroxyl)기와 같은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높은 극성으로 낮은 녹는점(Melting point)을 가지고 있어, 유화계에서는 안정화가 어렵고 피부 침투도 용이치 않아 실제 화장료에 적용하기에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데베논을 리포좀에 봉입하는 방식으로 경피 제형화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등록특허 제10-2004147호), 리포좀의 내부 수상에 단순히 봉입시키는 형태로서는 경피흡수를 증가시키기 어려우며, 리포좀의 안정성을 높이는 형태로 제제화 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자들은 이데베논과 비사보롤의 두 가지 유효성분이 상호 상승적으로 미백 및 보습 등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발견 하에, 제1 유효성분인 이데베논을 제2 유효성분인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용매에 용해하여 인지질 이중층에 삽입시킴에 따라, 유효성분을 비교적 적은 양으로 리포좀 내에 삽입하여 리포좀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제제를 고안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지질 이중층; 및 이데베논(idebenone) 및 비사보롤(bisabolol)을 포함하는 콤플렉스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나노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나노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인지질 이중층; 및 이데베논(idebenone) 및 비사보롤(bisabolol)을 포함하는 콤플렉스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비사보롤은 난용성인 이데베논을 용해하므로 이데베논의 피부 침투 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어 이데베논과 함께 상승적으로 미백 또는 보습의 약리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은 이데베논의 경피 전달률이 우수하며 미백 또는 보습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제형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나노 리포좀”은 인지질 이중막으로 이루어진 나노 크기의 구형 입자로서, 특히 리포좀막을 구성하는 인지질의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여 인체에 적용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콜로이드성 입자형 제형 중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수난용성 약물들은 소수성 부분에 친화성을 갖는 경우가 많아 이들을 이중막을 구성하는 인지질 분자 사이에 삽입시키는 형태로 가용화할 수 있어 난용성 약물 가용화 제형으로서 리포좀 기반 제품이 연구개발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리포좀 인지질막내에 약물을 끼워넣어 삽입시키는 경우 인지질 분자 사이의 충분한 공간 확보가 어려워 소수성 약물의 삽입농도가 높지 못한 단점이 있다. 특히, 리포좀의 응집(aggregation)과 융합 (fusion)은 리포좀의 불안정화의 주요 원인이 된다. 즉, 소수성 약물이 막에 높은 농도로 삽입되어 있을 경우, 리포좀의 응집 또는 융합을 심화시켜 제조 후 보관과정에서 또는 투여 후 작용 부위에 도달하기 전에 지질 이중막을 뚫고 나와 약물이 석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들은 이데베논과 비사보롤의 두 가지 유효성분이 상호 상승적으로 미백 및 보습 등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발견 하에, 제1 유효성분인 이데베논을 제2 유효성분인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하여 인지질 이중층에 삽입시켰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은 비교적 적은 양의 유효성분이 리포좀 내에 삽입된 것으로, 리포좀의 안정성을 유지되면서도 우수한 화장료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이데베논(idebenone)”은 살아있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유비퀴논(Ubiquinone)계 항산화제이면서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내 세포에너지인 ATP(Adenosinetriphosphate)의 생성에 관련된 전자전달계(ETC, Electron Transfer Chain)에 주로 관여하는 코엔자임 Q1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화학물질로서, 하기 화학식 1과 같은 구조이며, 화학명은 2,3-디메톡시-5-메틸-6-(10-히드록시데실)-1,4-벤조퀴논[dimethoxy-5-methyl-6-(10-hydroxy decyl)-1,4-benzoquinone]이고 분자량은 338.439 g·mol-1이며, 주로 화학적인 합성방법으로 얻어져 정제된 노란색의 결정성 파우더 물질로 알려져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이데베논은 세포호흡에 관여하는 기관인 미토콘드리아에서 산화를 개선하고 세포의 산화 스트레스에 보호 작용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종래에는 이데베논이 신경세포 손상에 의한 운동실조증이나 치매 등의 신경학적 증상 회복, 외부손상에 의한 청력 저하 개선, 시신경염 호전 등의 효능이 있어 의약용으로 주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 이데베논이 피부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 논문들이 발표되면서 노화 억제, 피부보습, 콜라겐 합성 증진에 의한 미세 주름 개선 등의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비사보롤(Bisabolol)”은 천연의 단환 세스퀘테르펜(monocyclic sesquiterpene) 알코올 중 한 종류로, 알파 비사보롤(α-(-)-bisabolol) 또는 레보메놀(levomenol)로도 알려져 있다. 알파 비사보롤(α-(-)-bisabolol) 은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지며, 화학명은 6-methyl-2-(4-methylcyclohex-3-en-1-yl)hept-5-en-2-ol이고, 분자량은 222.372g·mol-1이다. 비사보롤은 브라질 칸데이아 나무(Eremanthus erythropappus 또는 Vanillosmopsis erythoropappa) 또는 독일 카모마일(Matricaria recutita)의 에센셜 오일의 주된 성분인 무색의 점성 오일로서도 알려져 있다.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대부분의 비사보롤은 칸데이아 나무 껍질의 증류에 의하여 제조된다. 비사보롤은 화학적으로도 합성해 낼 수 있으며,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정제 과정을 거쳐 얻을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은 미백, 항노화 및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하며,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활성성분인 비사보롤을 이데베논의 용매로 사용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데베논이 비사보롤 용매에 용해되어 (흑색종) 세포에 처리될 경우, 각각을 별도로 처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시너지적으로 멜라닌 생성능을 감소시키고, 관련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인지질 이중층”은 친수성 헤드(head)와 소수성 테일(tail)을 가지고 있는 인지질들이 2개층으로 구성된 막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친수성 헤드들이 이중층의 표면 및 내부상에 노출되어 있고, 인지질 이중층의 소수성 테일은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인지질 이중층은 리포좀 표면에 노출된 친수성 헤드 영역, 소수성 테일 영역, 및 리포좀 내부에 노출된 친수성 헤드 영역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데베논 및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콤플렉스는 상기 인지질 이중층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콤플렉스는 양쪽의 친수성 헤드 영역 사이에 삽입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인지질 이중층은 인지질 이중층을 구성하는 인지질은 중성지질, 음이온성 인지질 및 양이온성 인지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중성지질은 L-a-포스파티딜콜린,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및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인지질은 L-α-포스파티딕산, L-α-포스파티딜-DL-글리세롤, 카디오리핀, L-a-포스파티딜이노시톨, 1,2-디라우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rac-(1-글리세롤)], 1,2-디라우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L-세린], 1,2-디라우로일-sn-글리세로-3-포스페이트,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rac-(1-글리세롤)],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L-세린],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페이트,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rac-(1-글리세롤)],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L-세린],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페이트,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L-세린],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페이트, 1,2-디스테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rac-(1-글리세롤)], 1,2-디스테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L-세린], 1,2-디스테로일-sn-글리세로-3-포스페이트,1,2-디스테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N-[카복시(폴리에틸렌글리콜2000], 1,2-디스테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N-[말레이미드(폴리에틸렌글리콜)2000], 1,2-디스테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N-[PDP(폴리에틸렌글리콜)2000], 1-팔미토일-2-올레일-sn-글리세로-3-[포스포-rac-(1-글리세롤)], 1-팔미토일-2-올레일-sn-글리세로-3-[포스포-L-세린], 1-팔미토일-2-올레일-sn-글리세로-3-포스페이트 및 올레산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인지질은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에틸포스포콜린, 1,2-디올레오일-3-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 디올레오일 글루타마이드, 디스테아로일 글루타마이드, 디팔미토일 글루타마이드, 디올레오일 아스파르타마이드, 1,2-디올레오일-3-디메틸암모늄-프로판, 3-β-[N-(N',N'-디메틸아미노에탄)카바모일]콜레스테롤, 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브로마이드,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및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은 상기 인지질을 이데베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 구체적으로 1 내지 5 중량부만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콤플렉스”는 용질인 이데베논이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된 용액을 의미한다. 상기 콤플렉스는 이데베논이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용매에 균일하게 섞여 이데베논의 입자가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용매 입자에 둘러싸여 안정한 상태를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들은 이데베논은 비사보롤에 대해 실온에서 약 34%의 높은 용해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상기 용해도 이하로 이데베논이 비사보롤에 용해된 용액은 이데베논이 1μm 이상, 구체적으로는 100nm,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50nm 이상 크기의 입자로 석출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콤플렉스는 이데베논의 용해 또는 분산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적인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코올 및/또는 다가 알코올 등의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다가 알코올은 글리세롤, 프로판디올, 및 1,2-헥산디올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콤플렉스는 이데베논 1 중량부와 비사보롤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용매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콤플렉스는 이데베논 1 중량부와 비사보롤 2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하는 용매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데베논 1 중량부와 비사보롤 2.5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용매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균일한 콤플렉스를 형성하면서, 세포에 미백 및 보습과 관련된 우수한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은 인지질 이중층 내 인지질 분자 사이에 이데베논이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용매에 용해된 콤플렉스가 삽입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데베논이 비사보롤 용매에 용해된 형태로 리포좀의 인지질 이중층에 삽입된 제형을 프란츠 셀을 이용한 인공 피부(Merck 사의 strat-M)에 적용한 결과, 이데베논의 경피흡수율, 특히 진피 투과율을 상승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실험예 2).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인지질 이중층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친수성 부위가 음전하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의미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나노 리포좀의 인지질 이중층에 포함되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음전하 부위가 나노 리포좀 표면에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경피 투과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나노리포좀의 경피흡수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1).
구체적으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포타슘 세틸 포스페이트(Potassium Cetyl Phosphate),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및 소듐 디옥시콜레이트(sodium deoxycho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포타슘 세틸 포스페이트(Potassium Cetyl Phosphate)일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들보다 피부에 자극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은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데베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 구체적으로 1 내지 5 중량부만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지방산”은 지방족 탄화수소의 말단이 카르복실기인 것을 의미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지방산이 나노 리포좀의 인지질 이중층에 포함되어, 카르복실기가 나노 리포좀의 표면에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리포좀 막에 탄력을 줄 뿐만 아니라 산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지방산을 추가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나노리포좀의 경피흡수 효율, 특히 진피 투과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2 및 실험예 3).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지방산은 엘라이드산, 라우르산, 리미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리놀레산, 올레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및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레사라이드(MC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한 종 이상이 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은 상기 지방산을 이데베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 구체적으로 0.5 내지 1.0중량부만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 내부공간에는 수상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수상에는 극성분자와 같은 수용성의 유효성분이 용해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으며, 지용성의 유효성분이 용해되지 않는 상태로 봉입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나노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나노 리포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은 피부에 적용되어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나노 리포좀이 갖는 이데베논이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며, 비사보롤이 미백 관련 효소의 발현을 저해함에 기인한다. 구체적으로, 이데베논은 미토콘드리아 레벨에서 산화적 대사의 개선 및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작용을 나타내어 산화를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이데베논은 CoQ10과 유사체이나, 항산화 효과는 CoQ10보다 6배 이상의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이데베논은 피부 세포에 적용되어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며,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사보롤은 티로시나아제, TRP-1 및 TRP-2 등의 효소의 발현을 저해한다.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은 피부에 적용되어 보습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이데베논이 피부 보습에도 효과를 나타내며, 비사보롤이 피부 자극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이데베논은 보습 효과와 콜라젠 합성 증진에 의한 미세주름의 개선 효능이 밝혀져 있고, 비사보롤은 피부자극을 완화하며 진정시키는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또는 보습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가용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쉬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유화제, 비누산, 용매, 착색제, 보존제, 항산화제, 소포제, 항균제, 항재침착제, 효소, 식물 또는 미네랄 오일, 지방,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체, 방향제, 방향제 담체, 보존제, 단백질, 실리콘, 용해화제, 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 물 추출물, 왁스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가용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이데베논(idebenone) 및 비사보롤(bisabolol)을 포함하는 이데베논 용해부를 제공하는 단계; 인지질을 포함하는 지질 용해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이데베논 용해부와 상기 지질 용해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현탁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현탁액에 포함된 나노 리포좀의 특성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데베논 및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이데베논 용해부는, 이데베논을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용매에 용해하여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이데베논에 비사보롤을 실온에서 혼합한 후 교반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이데베논 용해부는 알코올 및/또는 다가 알코올을 추가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다가 알코올은 글리세롤, 프로판디올, 및 1,2-헥산디올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지질 용해부는 인지질을 용매에 용해하여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인지질을 용매에 분산한 후, 고온에서 교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질 용해부는 인지질 혼합액을 60 내지 90℃에서 교반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지방산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교반 이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질 용해부의 용매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이콜, 부틸렌글리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지질 용해부에 페녹시에탄올과 같은 방부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두 단계 이후, 상기 이데베논 용해부 및 지질 용해부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리포좀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리포좀에 물을 첨가하여 리포좀 현탁액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최종 생성물인 나노리포좀이 갖는 구성비(이데베논의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인지질,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 등의 중량비)는 제조하는 단계에서 각 용해부에 첨가되는 양을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데베논과 비사보롤의 두 가지 유효성분이 상호 상승적으로 미백 또는 보습 작용을 나타낸다는 발견 하에, 제1 유효성분인 이데베논을 제2 유효성분인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용매에 용해하여 인지질 이중층에 삽입시킨 나노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은 이데베논이 비사보롤에 안정적으로 용해 또는 분산된 형태의 콤플렉스를 가지므로, 두 가지 유효성분을 동시에 높은 효율로서 경피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비사보롤은 그 자체로 항산화 작용을 가지는데, 미백 또는 보습 등의 약리 작용에 이데베논과 함께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은 최적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양으로 이데베논 및 비사보롤의 유효성분을 포함하여도 우수한 화장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의 인지질 이중층은 지방산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함유함에 따라 경피 전달 효율 및 나노 리포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이데베논 및/또는 α-비사보롤을 첨가하였을 때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이데베논 및/또는 α-비사보롤을 B16-F10 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의 멜라닌 생성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이데베논 및/또는 α-비사보롤을 B16-F10 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의 멜라닌 생성 관여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이데베논 및/또는 α-비사보롤을 대상으로 DCF-DA 항산화 실험을 하여 측정한 ROS 제거능 값을 나타낸 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실험예 2-1에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을 인공피부에 처리하여 이데베논의 피부 투과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실험예 2-2에서, 실시예 3, 비교예 1, 및 리포좀화 하지 않은 이데베논 용액을 인공피부에 처리하여 이데베논의 피부 투과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실험예 2-3에서, 실시예 4 내지 6을 인공피부에 처리하여 이데베논의 피부 투과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실험예 2-4에서, 실시예 6 및 이데베논 용액을 인공피부에 처리하여 이데베논의 피부 투과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6 리포좀 현탁액의 입도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험예 1. 이데베논 및 α-비사볼롤 콤플렉스의 시너지 효과 확인
본 발명자들은 난용성인 이데베논의 피부 침투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용매를 탐색하던 중에,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활성성분 α-비사보롤(bisabolol)을 이데베논의 용매로 사용하는 화장료 제형을 고안하였다.
먼저, 이데베논을 α-비사보롤에 용해한 콤플렉스에서, 두 성분이 상호간에 미치는 물리적, 화학적 영향으로 인해 타겟 세포에 대한 효과가 상승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예 1-1: 세포독성 측정
이데베논 및 α-비사보롤을 농도별로 혼합하여, 대조군 대비 세포 생존능을 측정함에 따라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B16-F10 세포주를 24-well plate에 1×105 cells/mL의 농도로 각 well에 500 μL씩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37℃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10μM 및 20 μM 이데베논 단독, 0.001% α-비사보롤 단독 그리고 이데베논과α-비사보롤의 콤플렉스10 μM로, 세포주에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PBS 완충액에 녹인 MTT 용액을 20 μL씩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반응시켜 formazan 형성을 확인하고, 배지를 완전히 제거 후 100 μL의 solubilization solution를 첨가하여 formazan을 다 녹인 후, ELISA reader (Synergy HTX Multi-Mode Reader, Bio-tex, USA)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데베논 및/또는 α-비사보롤을 처리하지 않고 배양시킨 대조군 세포의 생존율을 100%로 하였을 때의 상대적인 세포생존율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기재하였다.
이데베논 단독 처리군에서는 10 uM, 20 uM 수준에서도 큰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α-bisabolol 0.001% 농도에서는 전혀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음. 하지만 IDE&α-bisabolol complex에서는 10uM 수준에서 cell viability가 50%까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complex 농도를 이보다 낮게 조절하여 다음 실험 진행함.
실험예 1-2: 멜라닌 생성능 측정
B16-F10 세포주에 대한 이데베논 단독, α-비사보롤 단독, 및 이들의 컴플렉스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세포주를 6-well plate에 3X105 cells/well이 되도록 2 mL씩 첨가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 5μM농도의 이데베논 단독과 0.0005%의 α-비사보롤, 그리고 이들의 콤플렉스를 5 μM 처리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 1mM 농도의 알부틴(arbutin)을 처리하였다. 여기에 100 nM의 α-MSH를 처리하여 72 동안 세포를 자극한 후, 세포 내외 생성된 멜라닌을 측정하였다. 세포 외 분비된 멜라닌 (Extracellular melanin)은 배양액을 100 μL씩 96 well plate에 옮겨 405 nm에 측정하였다. 세포 내 형성된 멜라닌 (Intracellular melanin)은 배양한 세포를 0.25% Trypsin-EDTA 용액을 처리하여 세포를 수확한 후 원심분리(10,000 rpm, 4℃를 5분간 실시한 뒤, cell pellet에 1 N NaOH (10% DMSO)를 넣고, 80℃에서 60분간 세포 내 멜라닌을 녹여 405 nm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세포외 멜라닌을 측정한 결과, 이데베논 단독 처리군과 α-비사보롤 단독 처리군에서 알부틴보다 멜라닌 형성을 저해하지 못하는 것에 대비해서 이데베논 및 α-비사보롤 콤플렉스에서는 알부틴보다 현저하게 멜라닌 형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내 멜라닌 결과도, 동일한 양상으로 결과가 나타났는바, 두 개의 콤플렉스 형성에 따라 상승적인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3: 멜라닌 생성 관여 유전자 발현 확인
B16-F10 세포주에 대한 이데베논 단독, α-비사보롤 단독, 및 이들의 컴플렉스의 멜라닌 생성 관여 유전자의 발현 억제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세포주를 6-well plate에 3X105 cells/well이 되도록 2 mL씩 첨가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 5μM농도의 이데베논 단독과 0.0005%의 α-비사보롤, 그리고 이들의 콤플렉스를 5 μM 처리하였고 멜라닌 생성 유도제인 1 mM의 α-MSH를 처리하고 40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수확하였다. 세포 내 mRNA로부터 cDNA를 합성한 후,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4개의 유전자 TYR, TRP-1, DCT, MITF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1 mM의 알부틴(arbutin)을 처리한 세포주를 준비하였고 동일한 방식으로 4 개의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이데베논 단독 처리군에서는 양성대조군과 비교하여 DCT및 MITF의 발현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TYR과 TRP-1의 발현량은 양성대조군과 비교하여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데베논 및 α-비사보롤의 콤플렉스 처리군에서는 4 개의 유전자 (TYR, TRP-1, DCT, MITF) 모두의 발현량이 양성대조군이나 이데베논 단독 처리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α-비사보롤은 양성대조군과 비교하여 4개의 유전자 발현량을 감소시키지 못하였음을 감안하면, α-비사보롤이 이데베논에 결합하여 콤플렉스를 형성함에 따라 멜라닌 생성 유전자 발현을 예측할 수 없는 수준으로 감소시키는데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4: DCF-DA 항산화 실험
DCF-DA 시료가 세포 내 존재하는 ROS와 반응하여 형광을 나타내는 정도를 측정함에 따라 시료의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B16F10 세포주를 5X104 cells/well 로 94-well에 처리한 후,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데베논 10μM 단독, 0.001% α-비사보롤 단독, 이데베논과 α-비사보롤 콤플렉스5μM 와 DCF-DA probe를 함께 처리한 후, 37℃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PBS로 세척 후, Free radical initiator 100μl 씩 처리한 후, 시간별로 480nm (excitation), 530nm (emission) 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항산화 실험 진행 결과, 3개의 군 모두 대조군 수치보다 낮게 측정되었으며, 콤플렉스는 단독군보다 절반의 함량으로 포함되었음에도 유사한 수준으로 항산화 능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즉, 이데베논 및 α-비사보롤 콤플렉스는 세포내 발생하는 ROS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에 따라 우수한 항산화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1. 리포좀 현탁액의 제조
실험예 1의 결과를 토대로 유효성분인 이데베논을 α-비사보롤에 용해한 콤플렉스를 이용하여 이데베논 리포좀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리포좀 현탁액을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제조하였다.
1) 이데베논 용해부의 제조
이데베논에 α-비사볼롤을 1:3의 비율로 RT(실온)에서 혼합 후, 500rpm, 5분간 용해하였다. 이후,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및 1,2-Hexanediol 와 같은 다가 알코올 등을 추가로 혼합하였다.
2) 지질 용해부의 제조
레시틴과 같은 인지질, Oleic acid 및 MCT와 같은 지방산, Potassium Cetyl Phosphate와 같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글리세린과 같은 용매에 첨가하여 혼합한 후, 80℃로 가온하여 500rpm에서 5분간 용해하였다. 이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3) 이데베논 용해부와 지질 용해부의 혼합
상기 이데베논 용해부 및 지질 용해부를 혼합하여 500rpm에서10분간 교반 후 High pressure homogenizer를 이용, 3회 순환하여 Liposome을 형성 및 균질화 하였다.
4) 리포좀 현탁액의 제조
상기 3)단계를 통해 이데베논 및 α-비사보롤 콤플렉스가 봉입된 리포좀에 물을 첨가하여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 리포좀 현탁액의 피부투과 시험
생체 외 피부 흡수 시험- 실험방법
본 발명의 리포좀 현탁액의 경피흡수율을 측정하기 위해, 생체 외 피부흡수시험 가이드라인(식품의약품안전처)을 따라 진행하였다. 생체 외 피부 흡수시험방법은 시험물질이 피부를 통과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피부 표면에 시험물질을 도포 혹은 적용하여 일정한 시간 이후 피부 안쪽 용액저장소에 이동한 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인간 또는 다른 종의 다세포 동물의 피부, 또는 인공피부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인공 피부를 사용하는 경우 시험물질에 대하여 반복 측정이 가능하며 실험 동물을 사용하지 않고 노출 조건에 대한 연구가 가능하다. 생체 외 피부흡수시험은 물질의 조성에 따른 피부 흡수와 투과를 비교할 수 있어, 인체 내 피부흡수에 의한 위험성 평가 등에 유용한 모델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험예에서는, 밀리포아(미국)사의 경피흡수시험용 인공 Membrane Strat-M을 사용하여, Franz-Diffusion Cell and System (Perme gear사, 미국)에 장착하여 실험하였다. Franz-Diffusion Cell은 비폐색(non-occluded) 조건으로 공여 챔버(donor chamber)를 파라 필름(para film)으로 밀봉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였다. 기타 조건은 표 1과 같이 조절하였다.
인공피부 Strat-M Membrane
피부 면적(Area of skin) 1.326665cm2
시료 용액의 양(Volume of sample solution) 0.5ml
수용체 매질(Receptor medium) PBS
수용체 매질의 양(Volume of Receptor medium) 12ml
온도(Temperature) 37 °C
교반속도(Stirbar speed) 500rpm
샘플링 분액(Sampling Aliquot) 1ml
샘플링 시간(Sampling time) 24h
각 시험물질을 용매와 혼합하여 공여 챔버에 로딩(loading)하고 일정 시간 이후에 멤브레인 및 Reservoir에 있는 샘플(이데베논)을 채취하여 성분을 HPLC로 분석하여 시험물질의 피부 투과율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부에 남아 있는 잔존량을 측정하였다. 계산이 불가능하도록 지속적으로 노출시킨 경우 투과 상수 (permeability constant, Kp) 를 이용하여 흡수율을 계산하였다. HPLC의 분석 조건은 하기 표 2와 같다.
HPLC의 분석 조건
파장 480 nm 검출시간이 빠른 경우
이동상에 물의 함량을 증가시킨다.
칼럼 4.6 mm, * 200mm, 4 μm, C18
이동상 95% 메탄올 + 5% 물
유량 분당 1 mL
샘플주입량 25 μl
실험예 2-1. 음이온성계면활성제 사용에 의한 경피흡수 개선 여부
상기 제조예 1의 공정에 따라, 음이온성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실시예 1 및 2, 이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2,3을 하기의 표 3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SDS 첨가)
실시예 2
(Amphisol K 첨가)
비교예 1
(계면활성제, α-비사보롤 무첨가 )
비교예 2
(계면활성제 무첨가)
비교예 3
(α-비사보롤 무첨가)
성분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지질 용해부 EDTA-2Na 0.03 0.03 0.03 0.03 0.03
Lecithin (phospholipon 90H) 1 1 4 4 1
Sodium dodecyl sulfate 1 0 0 0 0
Potassium Cetyl Phosphate 0 1 0 0 1
MCT 2 2 0 0 2
Glycerin 10 10 75 75 10
이데베논 용해부 Ethanol 10 10 0 0 10
Bisabolol 1.5 1.5 0 1.5 0
Idebenone 0.5 0.5 0.5 0.5 0.5
Propanediol 0 0 7 7 7
1,2-Hexanediol 2 2 2 2 2
DI-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험예 2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3을 5,000ppm의 농도로 인공피부에 처리하여, 4시간 이후에 피부 투과 정도를 측정하였다. 두 차례 시험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와 도 6(1차 실험), 표 5와 도 7 (2차 실험)에 나타내었다.
1차 실험 단위 (mAU*s)
Reservoir Membrane 5,000ppm
142.95 336.21 479.17 비교예 1
135.95 408.93 544.88 비교예 2
124.99 108.81 233.8 비교예 3
199.60 244.08 443.69 실시예 1
147.93 254.11 402.05 실시예 2
2차 실험 단위 (mAU*s)
Reservoir Membrane 5,000ppm
120.24 359.57 479.82 비교예 1
238.78 250.99 489.77 실시예 1
169.53 290.60 460.14 실시예 2
Potassium Cetyl Phosphate와 같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체 투여량 대비 Reservoir로 전달된 양의 비율이 현저히 낮았으며(비교예 2), α-비사보롤 용매로 콤플렉스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진피 투과정도가 낮아 Membrane으로 전달된 양의 비율이 현저히 낮게 측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비교예 3). 이와 달리 α-비사보롤 용매로 콤플렉스를 형성하며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실시예 1 및 2에서 세포 전달 및 진피층 투과율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대표적인 음이온계면활성제인 SLS는 EWG그린등급이나 화장품에서는 사용이 기피되고 있어 SLS 대신 포타슘 세틸 포스페이트를 사용하더라도 유사한 경피흡수율을 나타내며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2. 올레산 사용에 의한 경피흡수 개선 여부
상기 제조예 1의 공정에 따라, Oleic acid을 함유한 실시예 3, Oleic acid대신 글리세린을 다량 함유한 비교예 4를 하기의 표 6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3
성분 함량 함량
지질 용해부 EDTA-2Na 0.03 0.03
Lecithin (phospholipon 90H) 1 1
Potassium Cetyl Phosphate 1 1
Oleic acid 0 0.2
MCT 2 2
Glycerin 30 10
이데베논 용해부 Ethanol 10 10
Bisabolol 1.5 1.5
Idebenone 0.5 0.5
1,2-Hexanediol 2 2
DI-Water To 100 To 100
실험예 2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4 및 리포좀화 하지 않은 이데베논 용액을 1,000ppm의 농도로 인공피부에 처리하여, 70시간 이후에 피부 투과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3차 실험 단위 (mAU*s)
Reservoir Membrane 1000ppm
212.84 187.55 400.40 비교예 1
171.33 183.56 354.89 Idebenone (0.1%) + Bisabolol (0.3%) + Butylene Glycol (99.6%)
434.20 265.68 699.89 Idebenone (0.1%) + Bisabolol (0.3%) + Ethanol (99.6%)
223.07 220.83 443.91 Idebenone (0.1%) + Bisabolol (0.3%) + Propanediol (99.6%)
201.00 220.90 421.90 비교예 4
378.56 142.46 521.02 실시예 3
이와 같이, 올레산을 사용하여 Liposome 제조시 Membrane에 남아 있는 잔존량이 적고 Reservoir로 투과되는 양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이 리포좀 막에 탄력을 부여하며 리포좀의 산화를 방지하여 리포좀의 안정성, 경피 투과율을 높인 것으로 해석된다.
실험예 2-3. 인지질 이중층 조성에 따른 경피흡수 개선 여부
상기 제조예 1의 공정에 따라, 인지질 이중층 조성을 달리한 실시예 4 내지 6의 리포좀 현탁액을 하기의 표 8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성분 함량 함량
지질 용해부 EDTA-2Na 0.03 0.03 0.03
Lecithin (phospholipon 90H) 0.5 1 2
Potassium Cetyl Phosphate 0.5 1 2
Oleic acid 0.1 0.2 0.4
MCT 1 2 4
Glycerin 5 10 20
이데베논 용해부 Ethanol 5 10 20
Bisabolol 1.5 1.5 1.5
Idebenone 0.5 0.5 0.5
1,2-Hexanediol 2 2 2
DI-Water To 100 To 100 To 100
실험예 1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4 내지 6을 5000ppm의 농도로 인공피부에 처리하여, 70시간 이후에 피부 투과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9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4차 실험 단위 (mAU*s)
Reservoir Membrane 5000ppm
339.2925 109.4116 448.7041 실시예 4
400.5162 178.7104 579.2266 실시예 5
646.9277 387.4342 1,034.362 실시예 6
이와 같이, 실시예 4 내지 6 모두에서 경피흡수율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Lecithin 및 Oleic acid 각각 전체 리포좀 현탁액의2 및 0.4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현저히 높은 경피 투과율을 보이며, 전체 함량이 높게 나타나므로 장기간 안정성이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4. 시간별 경피 투과 실험 결과
실험예 2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6 및 이데베논 용해부를 5000ppm의 농도로 인공피부에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피부 투과 정도를 측정하였다. 공여 챔버에 샘플을 최초 투여한 후, 6시간 경과한 때 Reservoir의 용매를 전량 회수하고, 이어서 6시간 경과한 때 Reservoir의 용매를 전량회수 하였으며, 마지막 12시간 이 경과한 때 Reservoir의 용매를 전량회수 하여 이데베논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0 및 도 10에 나타내었다.
5차 실험 단위 (mAU*s)
5,000ppm Reservoir Membrane
6시간 6시간 12시간
실시예 6 380.78 349.68 521.18 203.92 1,455.56
Idebenone(0.5%) + Bisabolol(99.5%) 258.31 239.28 335.56 613.4 1,446.55
Idebenone(0.5%) + Bisabolol(1.5%) + Butylene Glycol(98%) 187.48 163.22 194.48 366.12 911.3
이와 같이, 리포좀 현탁액의 경피 흡수율이 이데베논 용해부를 사용한 것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리포좀을 조성하지 않고 α-비사보롤에 용해한 용액과 비교 시, Membrane에 잔존량이 현저하게 적고 Reservoir에서 검출되는 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피 투과 능이 더욱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6에서 장시간 동안 시간이 경과하여도 일정한 수준으로 흡수가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리포좀의 제타 전위 측정
제타전위는 매질과 분산된 입자에 부착된 고정 유체 층 사이의 전위차로 제타 전위는 콜로이드 분산물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로 활용된다. 제타 전위의 크기는 분산액에서 유사하게 하전 된 인접 입자 사이의 정전기 반발 정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제타전위에 따른 안정성은 표 1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제타 전위 [mV]
0 ~ ± 5 빠른 응고 또는 응집
± 10 ~ ± 30 초기 불안정성
± 30 ~ ± 40 중간정도의 안정성
± 40 ~ ± 60 우수한 안정성
± 61 탁월한 안정성
실시예 6의 제타 전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Time / s pH Temp / degC Potential (Signal)
/ mV
Potential (ZP)
/ mV
Conductivity
/ mS/cm
0.00 6.77 26.91 -2,188.78 -75.61 1.06
5.00 6.77 26.91 -2,184.42 -75.46 1.06
10.00 6.77 26.91 -2,180.11 -75.31 1.06
15.00 6.77 26.91 -2,178.73 -75.26 1.06
20.00 6.77 26.91 -2,172.71 -75.06 1.06
25.00 6.77 26.90 -2,174.31 -75.11 1.06
30.00 6.77 26.90 -2,172.03 -75.03 1.06
35.00 6.77 26.90 -2,172.54 -75.05 1.06
40.00 6.77 26.88 -2,181.22 -75.35 1.06
45.00 6.77 26.88 -2,178.94 -75.27 1.06
50.00 6.77 26.88 -2,177.29 -75.21 1.06
55.00 6.77 26.88 -2,173.08 -75.07 1.06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포좀은 제타 전위값이 평균 -75mV로 측정되어, 높은 분산 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리포좀의 입도 분석
리포좀의 입도는 체내 약물 동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입도가 너무 작을 경우 체내 소실 속도가 빨라 원하는 시간만큼의 약물 효능을 발휘할 수 없으며, 반대로 너무 클 경우 경피흡수율이 저해될 수 있다.
말번(Malvern)사의 입도 분석기 제타사이저 나노 ZS(Zetasizer Nano ZS)를 이용하여 실시예 6의 입도를 분석하였다. 상기 입도 분석기는 나노입자의 브라운 운동을 수식으로 계산하여 입자 크기를 분석하는 바, 주사전자현미경 분석에 비하여 입자 크기가 큰 값으로 나타난다.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입도 분석 결과, 실시예 6내 평균 입자 크기(D50)은 약 200nm이며, D95는 350nm로 나타나 경피 흡수용도에 적절한 크기와 높은 균일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인지질 이중층; 및
    이데베논(idebenone) 및 비사보롤(bisabolol)을 포함하는 콤플렉스
    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콤플렉스는 상기 인지질 이중층 내에 삽입된 것인, 나노 리포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콤플렉스는 이데베논이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된 액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리포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 이중층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을 포함하되,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음전하 부위 및 지방산의 카르복실기가 나노 리포좀 표면에 존재하는 것인, 나노 리포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포타슘 세틸 포스페이트(Potassium Cetyl Phosphate),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및 소듐 디옥시콜레이트(sodium deoxycho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나노 리포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엘라이드산, 라우르산, 리미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리놀레산, 올레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및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레사라이드(MC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나노 리포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리포좀은, 이데베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인지질,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을 각각 1 내지 10 중량부, 1 내지 10 중량부, 및 0.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인, 나노 리포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나노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9. 이데베논(idebenone) 및 비사보롤(bisabolol)을 포함하는 이데베논 용해부를 제공하는 단계;
    인지질을 포함하는 지질 용해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이데베논 용해부와 상기 지질 용해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현탁액의 제조방법.
KR1020190131149A 2019-10-22 2019-10-22 이데베논 및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KR102266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149A KR102266329B1 (ko) 2019-10-22 2019-10-22 이데베논 및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149A KR102266329B1 (ko) 2019-10-22 2019-10-22 이데베논 및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989A true KR20210047989A (ko) 2021-05-03
KR102266329B1 KR102266329B1 (ko) 2021-06-21

Family

ID=7591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149A KR102266329B1 (ko) 2019-10-22 2019-10-22 이데베논 및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32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730A (ko) * 2004-01-02 2005-07-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녹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113711A (ko) * 2006-05-26 2007-11-29 한국콜마 주식회사 이데베논 나노캡슐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KR20130047842A (ko) * 2011-11-01 2013-05-09 최화숙 화장료용 이중 캡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0319A (ko) * 2017-06-22 2019-01-0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제인 삽입 리포좀
KR20190065103A (ko) * 2017-12-01 2019-06-11 이수천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1558A (ko) * 2017-12-29 2019-07-09 (주)힐링앤드자연 피부장벽 강화효과가 우수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730A (ko) * 2004-01-02 2005-07-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녹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113711A (ko) * 2006-05-26 2007-11-29 한국콜마 주식회사 이데베논 나노캡슐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KR20130047842A (ko) * 2011-11-01 2013-05-09 최화숙 화장료용 이중 캡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0319A (ko) * 2017-06-22 2019-01-0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제인 삽입 리포좀
KR20190065103A (ko) * 2017-12-01 2019-06-11 이수천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1558A (ko) * 2017-12-29 2019-07-09 (주)힐링앤드자연 피부장벽 강화효과가 우수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이데베논효능에 대해서 알아보자 <화공남의 성분이야기>' (http://blog.naver.com/jugism/221539996442) (2019.05.1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329B1 (ko)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in et al. Recent advances in lipid-based vesicles and particulate carriers for topical and transdermal application
Montenegro et al. From nanoemulsions to nanostructured lipid carriers: A relevant development in dermal delivery of drugs and cosmetics
Güng New formulation strategies in topical antifungal therapy
JP2019206561A (ja) 脂質及び界面活性剤の高分子集合体を含む組成物
Das et al. Ethosomes as novel vesicular carrier: An overview of the principle, preparation and its applications
US103073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cosmeceutical ingredients containing epi-dermal delivery mechanisms
Abolmaali et al. Pharmaceutical Nanoemulsions and Their Potential Topical and Transdermal Applications: Pharmaceutical nanoemulsions potential applications
KR102203360B1 (ko) 아스타잔틴을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US8541010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double-shell nano-structure
US11826474B2 (en) Nano-lipid carrier for encapsulation of bioactiv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Mirtaleb et al. Advances in biological nano-phospholipid vesicles for transdermal delivery: A review on applications
KR20110076068A (ko) 자기유화형 나노 리포좀/다중층 액정 함유 베지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0785484B1 (ko) 고농도의 이데베논을 나노캡슐화한 기제 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Manconi et al. Eco-scalable baicalin loaded vesicles developed by combining phospholipid with ethanol, glycerol, and propylene glycol to enhance skin permeation and protection
CA2683940A1 (en) Nanoparticle-coated capsule formulation for dermal drug delivery
Wolf et al. Monoacyl-phospatidylcholine based drug delivery systems for lipophilic drugs: Nanostructured lipid carriers vs. nano-sized emulsions
JP2009249370A (ja) タンパク質ナノ粒子
Esposito et al. Cubic phases, cubosomes and ethosomes for cutaneous application
KR102266329B1 (ko) 이데베논 및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KR102509693B1 (ko)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bu-Huwaij et al. Exploring the use of niosomes in cosmetics for efficient dermal drug delivery
Fornasier et al. Lipid vesicular gels for topical administration of antioxidants
WO2022186343A1 (ja) 外用微粒子カプセル製剤及び皮膚外用剤
KR102632679B1 (ko) 히알루론산 봉입 나노 입자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RU2481822C1 (ru) Микроэмульсио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создания трансдермальных и трансмукозальных форм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средств и косметических препаратов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