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2674A - 1-(4-{[6-아미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메틸}-4-플루오로-피페리딘-1-일)-프로펜온의 신규한 결정 형태, 이의 염 형태, 및 이를 수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1-(4-{[6-아미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메틸}-4-플루오로-피페리딘-1-일)-프로펜온의 신규한 결정 형태, 이의 염 형태, 및 이를 수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674A
KR20210022674A KR1020217001602A KR20217001602A KR20210022674A KR 20210022674 A KR20210022674 A KR 20210022674A KR 1020217001602 A KR1020217001602 A KR 1020217001602A KR 20217001602 A KR20217001602 A KR 20217001602A KR 20210022674 A KR20210022674 A KR 20210022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umarate
salt
formula
certain embodi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하엘 랑게
클레멘스 퀸
토비아스 슐뤼터
베르너 메데르스키
다비드 마일라르드
에도아르도 부리니
Original Assignee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22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TK 억제제로서 유용한 1-(4-{[6-아미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메틸}-4-플루오로-피페리딘-1-일)-프로펜온(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23

Description

1-(4-{[6-아미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메틸}-4-플루오로-피페리딘-1-일)-프로펜온의 신규한 결정 형태, 이의 염 형태, 및 이를 수득하는 방법
본 발명은 실질적 결정 형태(substantially crystalline form) 또는 무정형 형태(amorphous form)의 1-(4-{[6-아미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메틸}-4-플루오로-피페리딘-1-일)-프로펜온(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solid form)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에 의한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질적 결정 형태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HCl, HBr, 옥살레이트, 말레에이트, 푸마레이트 및 메실레이트 염, 및 상기 염의 고체형, 이의 약학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백질 키나제는 인간 효소의 가장 큰 족(family) 중 하나이고, 단백질에 포스페이트 기를 첨가함으로써 다양한 신호전달 과정을 조절한다(문헌[T. Hunter, Cell 1987 50:823-829]). 구체적으로, 티로신 키나제는 티로신 잔기의 페놀 부분에서 단백질을 인산화시킨다. 티로신 키나제 족은 세포 성장, 이동 및 분화를 제어하는 구성원을 포함한다. 키나제의 이상 활성은 다양한 인간 질병, 예컨대 암, 자가면역 질환 및 염증 질환에 연루되어 왔다. 특히, 단백질 키나제가 세포 신호전달의 주요 조절제이기 때문에, 이는 소분자 키나제 억제제에 의해 세포 기능을 조절하는 표적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우수한 약물 표적을 이룬다. 키나제-매개 질환 치료 과정 이외에도, 키나제 활성의 선택적 및 효능적 억제제는 치료적으로 관심이 되는 다른 세포 표적의 세포 신호전달 과정 및 동정의 연구에도 유용하다.
B 세포가 자가면역 질환 및/또는 염증 질환의 발병학에 있어서 주요한 역할을 함이 잘 입증되어 있다. B 세포를 고갈시키는 단백질-기반 치료제, 예컨대 리툭산(Rituxan)은 자가항체-유발성 염증 질환, 예컨대 류마티스성 관절염에 대해 효과적이다(문헌[Rastetter et al. Annu Rev Med 2004 55:477]). 따라서, B 세포 활성화의 역할을 하는 단백질 키나제의 억제제가 B 세포 매개 질환의 병리, 예컨대 자가항체 생성에 대한 유용한 치료제가 될 수 있다.
B 세포 수용체(BCR)를 통한 신호전달은 B 세포 반응 범위, 예컨대 성숙한 항체를 생성하는 세포로의 증식 및 분화를 제어한다. BCR은 B 세포 활성에 대한 주요 조절점이고, 비정상 신호전달은 조절되지 않은 B 세포 증식 및 병원성 자가항체의 형성을 야기할 수 있는데, 이는 다양한 자가면역 질환 및/또는 염증 질환을 야기한다. 브루톤형 티로신 키나제(BTK)는 BCR 비연관 키나제이고, 이는 막 근처 및 BCR로부터의 바로 하류에 존재한다. BTK의 결여는 BCR 신호전달을 차단하므로 BTK의 억제가 B 세포 매개 질환의 진행을 차단하기 위한 유용한 치료적 접근법임이 제시되어 왔다. 또한, BTK는 세포사멸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고(문헌[Islam and Smith Immunol. Rev. 2000 178:49]), 이에 따라 BTK 억제제는 특정 B 세포 림프종 및 백혈병의 치료에 유용할 것이다(문헌[Feldhahn et al. J. Exp. Med. 2005 201:1837]).
BTK는 티로신 키나제의 Tec 과의 구성원이고, 초기 B 세포 발달 및 성숙한 B 세포의 활성화 및 생존의 중요한 억제제인 것으로 제시되어 왔다(문헌[Khan et al. Immunity 1995 3:283]; 및 문헌[Ellmeier et al. J. Exp. Med. 2000 192:1611]). 인간의 BTK의 돌연변이는 X-연관 무γ글로불린혈증의 병태를 야기한다(문헌[Rosen et al. New Eng. J. Med. 1995 333:431]; 및 문헌[Lindvall et al. Immunol. Rev. 2005 203:200]에서 검토됨). 상기 병태를 앓는 환자는 면역이 손상되고, B 세포 성숙의 약화, 감소된 면역글로불린 및 말초 B 세포 수준, 감소된 T-세포 비의존성 면역 반응 및 BCR 자극 후 약화된 칼슘 이동을 나타낸다.
자가면역 질환 및 염증 질환에서 BTK의 역할에 대한 입증이 BTK-결손 마우스 모델에 의해서도 제공되어져 왔다. 전신 홍반 루푸스(SLE)의 전임상 쥐과(murine) 모델에서, BTK-결손 마우스는 질환 진행의 현저한 개선을 나타낸다. 또한, BTK-결손 마우스는 콜라겐-유도성 관절염에 내성이 있다(문헌[Jansson and Holmdahl Clin. Exp. Immunol. 1993 94:459]). 선택성 BTK 억제제는 마우스 관절염 모델에서 투여량-의존적 효능을 입증해 왔다(문헌[Z. Pan et al., Chem. Med Chem. 2007 2:58-61]).
BTK는 질환 진행에 연루될 수 있는 B 세포 이외의 다른 세포에 의해서도 발현된다. BTK는 골수 세포의 Fc-γ 신호전달의 주요 요소이다. 예를 들어, BTK는 비만 세포에 의해 발현되고, BTK-결손 골수에서 유래되는 비만 세포는 항원 유도성 탈과립화의 약화를 나타낸다(문헌[Iwaki et al. J. Biol. Chem. 2005 280:40261]). 이는 BTK가 비만 세포의 병리적 반응, 예컨대 알러지 및 천식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XLA 환자로부터의 단핵구(BTK 활성이 부재함)는 자극 후 TNF 알파 생성의 감소를 나타낸다(문헌[Horwood et al. J Exp Med 197:1603, 2003]). 따라서, TNF 알파 매개 염증은 소분자 BTK 억제제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제, 1-(4-{[6-아미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메틸}-4-플루오로-피페리딘-1-일)-프로펜온(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조성물이 BTK의 억제제로서 유효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일 양상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실질적으로 결정질이고, 본원에 기재되고 특성화되는 형태 A2로서 지칭되는 무염 형태(salt free form)이다. 일 양상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실질적으로 결정질이고, 본원에 기재되고 특성화되는 형태 A1으로서 지칭되는 무염 형태이다. 일 양상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실질적으로 결정질이고, 본원에 기재되고 특성화되는 형태 HCl-NF1으로서 지칭되는 무염 형태이다. 일 양상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실질적으로 결정질이고, 본원에 기재되고 특성화되는 형태 HCl-NF2로서 지칭되는 무염 형태이다. 일 양상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실질적으로 결정질이고, 본원에 기재되고 특성화되는 형태 HCl-NF3로서 지칭되는 무염 형태이다. 일 양상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실질적으로 결정질이고, 본원에 기재되고 특성화되는 형태 HBr-NF1으로서 지칭되는 무염 형태이다. 일 양상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실질적으로 결정질이고, 본원에 기재되고 특성화되는 형태 HBr-NF2로서 지칭되는 무염 형태이다. 특정 양상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옥살레이트 염 형태 옥살레이트-NF1이다. 특정 양상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말레에이트 염 형태 말레에이트-NF1 이다. 특정 양상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말레에이트 염 형태 말레에이트-NF2이다. 특정 양상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1이다. 특정 양상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2이다. 특정 양상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3이다. 특정 양상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4이다. 특정 양상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5이다. 특정 양상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메실레이트 염 형태 메실레이트-NF1이다.
약물로서의 효능과 관련된 고체의 특성은 상기 고체의 형태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 물질에서, 고체형의 변형은 특성, 예컨대 융점, 용해 속도, 경구 흡수성, 생체 이용성, 독성학적 결과 및 임상 시험 결과의 차이를 야기할 수 있다.
하기 고체형의 특정 장점은 하기 사항을 포함한다.
A1: 결정 형태형(crystalline morphic form), 매우 우수한 결정화도; 높은 열 안정성(융점 약 160℃); 유럽 약전(섹션 5.11)에 따라 약간 흡습성.
A2: 결정 형태형, 매우 우수한 결정화도; 높은 열 안정성(융점 약 168℃); 유럽 약전(섹션 5.11)에 따라 약간 흡습성.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형태 HCl-NF1: 결정 형태형, 매우 우수한 결정화도; 높은 열 안정성(융점/분해점 약 200℃); 유럽 약전(섹션 5.11)에 따라 약간 흡습성; 1:1 염 화학양론; 생체관련 장 매질 중 결정 니트 형태 A1 대비 높은 용해(dissolution) 수준(2h); FaSSIF A1 대비 약 4배 높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형태 HCl-NF2: 결정 형태형; 높은 열 안정성(융점/분해점 약 192℃); 1:1 염 화학양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형태 HCl-NF3: 결정 형태형, 매우 우수한 결정화도; 높은 열 안정성(융점/분해점 약 200℃); 1:1 염 화학양론.
하이드로브로마이드 염 형태 HBr-NF1: 결정 형태형, 매우 우수한 결정화도; 높은 열 안정성(융점/분해점 약 203℃); 유럽 약전(섹션 5.11)에 따라 약간 흡습성; 1:1 염 화학양론; 생체관련 장 매질 중 결정 니트 형태 A1 대비 높은 용해 수준(2h); FaSSIF A1 대비 약 3배 높음.
하이드로브로마이드 염 형태 HBr-NF2: 결정 형태형; 높은 열 안정성(융점/분해점 약 173℃); 유럽 약전(섹션 5.11)에 따라 약간 흡습성; 1:1 염 화학양론.
옥살레이트 염 형태 NF1: 결정 형태형, 매우 우수한 결정화도; 높은 열 안정성(융점/분해점 약 173℃); 유럽 약전(섹션 5.11)에 따라 약간 흡습성; 1:0.5 염 화학양론; 생체관련 장 매질 중 결정 니트 형태 A1 대비 높은 용해 수준(2h); FaSSIF A1 대비 약 4배 높음.
말레에이트 염 형태 NF1: 결정 형태형, 매우 우수한 결정화도; 높은 열 안정성(융점/분해점 약 139℃); 유럽 약전(섹션 5.11)에 따라 약간 흡습성; 1:1 염 화학양론.
말레에이트 염 형태 NF2: 결정 형태형, 매우 우수한 결정화도; 1:1 염 화학양론.
푸마레이트 염 형태 NF1: 결정 형태형; 높은 열 안정성(융점/분해점 약 173℃); 유럽 약전(섹션 5.11)에 따라 약간 흡습성; 1:1 염 화학양론; 생체관련 장 매질 중 결정 니트 형태 A1 대비 높은 용해 수준(2h); FaSSIF A1 대비 약 2배 높음.
푸마레이트 염 형태 NF2: 결정 형태형, 우수한 결정화도; 열 안정성 (상 전이 약 90℃; NF-1으로의 전이); 1:1 염 화학양론.
푸마레이트 염 형태 NF3: 결정 형태형, 매우 우수한 결정화도; 열 안정성 (상 전이 약 70℃; NF-1으로의 전이); 1:1 염 화학양론.
푸마레이트 염 형태 NF4: 결정 형태형, 우수한 결정화도; 높은 열 안정성(융점/분해점 약 140℃).
푸마레이트 염 형태 NF5: 결정 형태형; 높은 열 안정성(융점/분해점 약 158℃); 1:1 염 화학양론.
메실레이트 염 형태 NF1: 결정 형태형, 우수한 결정화도; 높은 열 안정성(융점/분해점 약 196℃); 유럽 약전(섹션 5.11)에 따라 약간 흡습성; 1:1 염 화학양론.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조성물은 BTK와 연관된 다양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치료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는 본원에 기재되는 것들을 포함한다.
도 1: 형태 A1의 분말 X-선 회절 분석도(diffractogram).
도 2: 대략 A-축을 따라 관찰된 유리 염기 형태 A1의 단결정 구조.
도 3: 유리 염기 형태 A1의 DSC 스캔(5 K/분).
도 4: 유리 염기 형태 A1의 TGA 스캔(5 K/분).
도 5: 유리 염기 형태 A1의 수증기 수착 등온선(25℃).
도 6: 유리 염기 형태 A2의 분말 X-선 회절 분석도.
도 7: 대략 A-축을 따라 관찰된 유리 염기 형태 A2의 단결정 구조.
도 8: 유리 염기 형태 A2의 DSC 스캔(5 K/분).
도 9: 유리 염기 형태 A2의 TGA 스캔(5 K/분).
도 10: 유리 염기 형태 A2의 수증기 수착 등온선(25℃).
도 11: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1의 분말 X-선 회절 분석도.
도 12: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1의 DSC 스캔(5 K/분).
도 13: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1의 TGA 스캔(5 K/분).
도 14: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1의 수증기 수착 등온선(25℃).
도 15: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2의 분말 X-선 회절 분석도.
도 16: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2의 DSC 스캔(5 K/분).
도 17: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2의 TGA 스캔(5 K/분).
도 18: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3의 분말 X-선 회절 분석도.
도 19: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3의 DSC 스캔(5 K/분).
도 20: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3의 TGA 스캔(5 K/분).
도 21: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1의 분말 X-선 회절 분석도.
도 22: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1의 DSC 스캔(5 K/분).
도 23: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1의 TGA 스캔(5 K/분).
도 24: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1의 수증기 수착 등온선(25℃).
도 25: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2의 분말 X-선 회절 분석도.
도 26: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2의 DSC 스캔(5 K/분).
도 27: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2의 TGA 스캔(5 K/분).
도 28: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2의 수증기 수착 등온선(25℃).
도 29: 옥살레이트 형태 옥살레이트-NF1의 분말 X-선 회절 분석도.
도 30: 옥살레이트 형태 옥살레이트-NF1의 DSC 스캔(5 K/분).
도 31: 옥살레이트 형태 옥살레이트-NF1의 TGA 스캔(5 K/분).
도 32: 옥살레이트 형태 옥살레이트-NF1의 수증기 수착 등온선(25℃).
도 33: 말레에이트 염 형태 말레에이트-NF1의 분말 X-선 회절 분석도.
도 34: 말레에이트 염 형태 말레에이트-NF1의 DSC 스캔(5 K/분).
도 35: 말레에이트 염 형태 말레에이트-NF1의 TGA 스캔(5 K/분).
도 36: 말레에이트 염 형태 말레에이트-NF1의 수증기 수착 등온선(25℃).
도 37: 말레에이트 염 형태 말레에이트-NF2의 분말 X-선 회절 분석도.
도 38: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1의 분말 X-선 회절 분석도.
도 39: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1의 DSC 스캔(5 K/분).
도 40: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1의 TGA 스캔(5 K/분).
도 41: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1의 수증기 수착 등온선(25℃).
도 42: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2의 분말 X-선 회절 분석도.
도 43: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2의 DSC 스캔(5 K/분).
도 44: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2의 TGA 스캔(5 K/분).
도 45: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3의 분말 X-선 회절 분석도.
도 46: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3의 DSC 스캔 (5 K/분).
도 47: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3의 TGA 스캔 (5 K/분).
도 48: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4의 분말 X-선 회절 분석도.
도 49: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4 (5 K/분)의 DSC 스캔.
도 50: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4 (5 K/분)의 TGA 스캔.
도 51: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5의 분말 X-선 회절 분석도.
도 52: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5 (5 K/분)의 DSC 스캔.
도 53: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5 (5 K/분)의 TGA 스캔.
도 54: 메실레이트 염 형태 메실레이트-NF1의 분말 X-선 회절 분석도.
도 55: 메실레이트 염 형태 메실레이트-NF1 (5 K/분)의 DSC 스캔.
도 56: 메실레이트 염 형태 메실레이트-NF1 (5 K/분)의 TGA 스캔.
도 57: 메실레이트 염 형태 메실레이트-NF1의 수증기 수착 등온선(25℃).
1.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일반적 설명
특정 양상에서, 본 발명은 BTK의 억제제를 제공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화합물은 전술된 것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여기서 각각의 변수는 본원에 정의되고 기재되는 바와 같다.
2. 화합물 및 정의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무정형"은 불규칙한 정렬의 분자로 이루어지고 구별가능한 결정 격자를 갖지 않는 고체형을 지칭한다. 결정 구조를 구성하는 구조적 단위는 원자, 분자 또는 이온일 수 있다. 결정질 고체는 확정된 융점을 나타낸다.
본원에 사용되는 "결정질"은 구조 단위가 고정된 기하학적 패턴 또는 격자로 정렬되어 상기 결정질 고체가 견고한 장거리의 질서를 갖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화학적으로 안정한"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이 특정한 조건, 예를 들어 40℃/75% 상대습도에 특정 시간, 예컨대 1일, 2일, 3일, 1주 또는 2주 이상 동안 놓일 때 하나 이상의 상이한 화합물로 분해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일부 양태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의 25% 미만이 특정된 조건하에 분해되고, 일부 양태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의 약 20% 미만, 약 15% 미만, 약 10% 미만, 약 5% 미만, 약 3% 미만, 약 1% 미만, 약 0.5% 미만이 특정된 조건하에 분해된다. 일부 양태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의 검출가능하지 않은 양이 분해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물리적으로 안정한"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이 특정한 조건, 예를 들어 40℃/75% 상대습도에 특정 시간, 예컨대 1일, 2일, 3일, 1주 또는 2주 이상 동안 놓일 때 화학식 1의 하나 이상의 상이한 물리적 형태(예를 들어 XRPD, DSC 등으로 측정된 상이한 고체형)로 변화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일부 양태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의 25% 미만이 특정된 조건에 놓일 때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상이한 물리적 형태로 변화한다. 일부 양태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의 약 20% 미만, 약 15% 미만, 약 10% 미만, 약 5% 미만, 약 3% 미만, 약 1% 미만, 약 0.5% 미만이 특정된 조건에 놓일 때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상이한 물리적 형태로 변화한다. 일부 양태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의 검출불가능한 양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물리적으로 상이한 하나 이상의 고체형으로 변화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어구 "실질적 무정형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어구 "무정형의 화학식 1의 화합물", "결정질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실질적으로 부재하는 무정형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실질적 무정형의 1-(4-{[6-아미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메틸}-4-플루오로-피페리딘-1-일)-프로펜온"과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일부 양태에서, 실질적 무정형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 30% 미만, 약 25% 미만, 약 20% 미만, 약 15% 미만, 약 10% 미만, 약 5% 미만, 약 2% 미만의 결정질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갖는다.
본원에 사용되는 어구 "실질적 결정질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어구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무정형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실질적으로 부재하는 결정질의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일부 양태에서, 실질적 결정질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 30% 미만, 예를 들어 약 25% 미만, 약 20% 미만, 약 15% 미만, 약 10% 미만, 약 5% 미만, 약 2% 미만의 무정형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다른 고체형을 갖는다. 일부 양태에서, 실질적 결정질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 1% 미만의 무정형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다른 고체형을 갖는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시되는 고체형(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되는 무정형 또는 결정질 고체형)을 지칭할 때, 용어 "실질적으로 부재하는"(어구 "형태 X가 실질적으로 부재하는"에서와 같이)은 20 (중량)% 미만의 제시되는 형태 또는 공동-형태(co-form)가 존재함,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미만의 제시되는 형태가 존재함,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중량)%의 미만의 제시되는 형태가 존재함, 가장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미만의 제시되는 형태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시되는 고체형(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되는 무정형 또는 결정질 고체형)을 지칭할 때, 용어 "실질적으로 순수한"은 제시되는 고체형이 20 (중량)% 미만의 잔류 성분, 예컨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교호(alternate) 다형 또는 동형의 결정 형태을 함유함을 의미한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실질적으로 순수한 고체형이 10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미만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교호 다형 또는 동형의 결정 형태을 함유함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되는 "분산물"은 별개의 단위의 하나 이상의 물질(분산된 상)이 제2 물질(연속 상 또는 비히클(vehicle)) 전반에 걸쳐 분포된 분산계를 지칭한다. 분산상의 크기는 현저히 달라질 수 있다(예를 들어 나노미터 치수의 콜로이드 입자 내지는 수 마이크로미터 크기). 일반적으로, 분산상은 고체, 액체 또는 기체일 수 있다. 고체 분산물의 경우, 분산상 및 연속상은 둘 다 고체이다. 약학적 적용례에서, 고체 분산물은 무정형 중합체(연속상) 중 결정질 약물(분산상), 다르게는, 무정형 중합체(연속상) 중 무정형 약물(분산상)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무정형 고체 분산물은 분산상을 구성하는 중합체; 및 연속상을 구성하는 약물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분산물은 무정형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실질적 무정형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용어 "고체 무정형 분산물"은 2개 이상의 성분, 통상적으로는 약물과 중합체의 고체 분산물이되, 다른 성분, 예컨대 계면활성제 또는 기타 약학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는 고체 분산물을 지칭하고, 여기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무정형 또는 실질적 무정형이고(예를 들어 결정질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실질적으로 부재함), 상기 무정형 약물의 물리적 안정성 및/또는 용해 및/또는 용해도는 다른 성분들에 의해 보강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약" 및 "대략"은 투약량, 양, 또는 조성물 또는 투약형의 성분의 중량%는 특정된 투약량, 양 또는 중량%로부터 수득되는 바와 등가의 약리적 효과를 제공하도록 당업자에 의해 인지되는 투약량, 양 또눈 중량%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용어 "약" 또는 "대략"은 당업자에 의해 결정되는 특정 값에 대한 허용 오차를 의미하고, 이는 상기 값이 측정 또는 결정되는 방법에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특정 양태에서, 용어 "약" 또는 "대략"은 1, 2, 3 또는 4의 표준 편차 이내를 의미한다. 특정 양태에서, 용어 "약" 또는 "대략"은 제시되는 값 또는 범위의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1%, 0.5%, 0.1% 또는 0.05% 이내를 의미한다.
약어 "XRPD"는 X-선 분말 회절 분석을 지칭한다. 상기 용어 XRPD는 PXRD와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약어 "DSC"는 시차 주사 열량 분석을 지칭한다.
약어 "TGA"는 열중량 분석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일반적으로 기재되는 것들을 포함하고, 본원에 개시되는 부류, 하위부류 및 종에 의해 설명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하기 정의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적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화학 원소는 문헌[the Periodic Table of the Elements, CAS version,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75th Ed.]에 따라 동정된다. 또한, 유기 화학의 일반적 원칙은 문헌["Organic Chemistry", Thomas Sorrell, University Science Books, Sausalito: 1999]; 및 문헌["March's Advanced Organic Chemistry", 5th Ed., Ed.: Smith, M.B. and March, J., John Wiley & Sons, New York: 2001]에 기재되어 있고, 상기 문헌들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혼입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우수한 의학적 판단의 범주 내에서, 독성, 자극 및 알러지 반응 등 없이 인간 및 이보다 하등의 동물의 조직에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합리적인 이익/위험 비로 균형을 이루는 염을 지칭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S. M. 베르제(S. M. Berge) 등은 문헌[J. Pharmaceutical Sciences, 1977, 66, 1-19]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상세히 기재하였고, 이는 본원에 참조로 혼입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적합한 유기 및 무기 산 및 염기로부터 유래하는 것을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비독성 산 부가 염은 무기산(예컨대 염산, 브롬화수소산, 인산, 황산 및 과염소산)에 의해, 유기산(예컨대 아세트산, 옥살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숙신산 또는 말론산)에 의해, 또는 이온 교환과 같이 당업계에 사용되는 다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형성된 아미노 기의 염이다. 다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아디페이트, 알기네이트, 아스코르베이트, 아스파테이트, 벤젠설포네이트, 벤조에이트, 바이설페이트, 보레이트, 부티레이트, 캄포레이트, 캄포설포네이트, 시트레이트, 사이클로펜탄프로피오네이트, 다이글루코네이트, 도데실설페이트, 에탄설포네이트, 포르메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코헵토네이트, 글리세로포스페이트, 글루코네이트, 헤미설페이트, 헵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하이드로요오다이드, 2-하이드록시-에탄설포네이트, 락토바이오네이트, 락테이트, 라우레이트, 라우릴 설페이트, 말레이트, 말레에이트, 말로네이트, 메탄설포네이트, 2-나프탈렌설포네이트, 니코티네이트, 니트레이트, 올리에이트, 옥살레이트, 팔미테이트, 파모에이트, 펙티네이트, 퍼설페이트, 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포스페이트, 피발레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스테아레이트, 숙시네이트, 타르타레이트, 티오시아네이트, p-톨루엔설포네이트, 운데카노에이트 및 발러레이트 등의 염을 포함한다.
적절한 염기로부터 유래하는 염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토 금속, 암모늄 및 N+(C1-4알킬)4 염을 포함한다. 대표적인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 금속 염은 나트륨, 리튬,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 등을 포함한다. 추가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필요에 따라, 할라이드, 하이드록사이드, 카복실레이트,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니트레이트, 저급알킬 설포네이트 및 아릴 설포네이트와 같은 상대 이온을 사용하여 형성된 비독성 암모늄, 4차 암모늄 및 아민 양이온을 포함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원에 표시되는 구조는 상기 구조의 이성질체(예를 들어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및 기하 이성질체(또는 형태 이성질체))의 형태(각각의 비대칭 중심에 대한 R 및 S 배열, Z 및 E 이중 결합 이성질체, 및 Z 및 E 형태 이성질체)를 포함하도록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단일의 입체 화학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및 기하 이성질체(형태 이성질체) 혼합물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든 호변 이성질체의 형태는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조절제"는 측정가능한 친화도에 의해 표적에 결합하고/거나 이를 억제하는 화합물로서 정의된다. 특정 양태에서, 조절제는 약 50 μM 미만, 약 1 μM 미만, 약 500 nM 미만, 약 100 nM 미만 또는 약 10 nM 미만의 IC50 및/또는 결합 상수를 갖는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측정가능한 친화도" 및 "측정가능한 억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조성물 및 BTK를 포함하는 샘플과 BTK를 포함하되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조성물이 부재하는 등가의 샘플 간의 BTK 활성의 측정 가능한 차이를 의미한다.
3. 예시 화합물의 설명
하나의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특정 양상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A2,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A1, 화학식 1의 화합물의 HCl 염 HCl-NF1, 화학식 1의 화합물의 HCl 염 HCl-NF2, 화학식 1의 화합물의 HCl 염 HCl-NF3, 화학식 1의 화합물의 HBr 염 HBr-NF1, 화학식 1의 화합물의 HBr 염 HBr-NF2,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옥살레이트 염 형태 옥살레이트-NF1,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말레에이트 염 형태 말레에이트-NF1,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말레에이트 염 형태 말레에이트-NF2,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1,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2,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3,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4,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5, 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메실레이트 염 형태 메실레이트-NF1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결정 형태 A1로서 특징지워지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A1은 17.4 및 20.0°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A1은 17.1, 17.4, 18.8, 20.0, 및 21.1°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A1은 17.1, 17.4, 18.8, 20.0, 및 21.1°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A1은 17.1, 17.4, 18.8, 20.0, 및 21.1°에서의 3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A1은 17.1, 17.4, 18.8, 20.0, 및 21.1°에서의 4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A2는 17.1, 17.4, 18.8, 20.0, 및 21.1°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A1은 하기 표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Figure pct00002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A1은 도 1의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회절 패턴으로 특징지워진다.
유리 염기 형태 A1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유럽 약전 제6판 2.9.33장에 기재되어 있는 표준 기법에 의해 수득하였고, 이는 하기 X-선 분말 회절 분석도로 특징지어졌다(단색 Cu-Kα1 복사, λ = 1.5406 Å, 스토에 스타디피(Stoe StadiP) 611 KL 투사 회전 분석계).
특정 양태에서, 형태 A1은 (298 K에서) 격자 매개변수 a = 12.8483(4) Å, b = 12.8585(3) Å, c = 28.5734(9) Å, 및 β = 97.950(3)°(이때 α = γ = 90°)을 갖는 단사정 공간군(monoclinic space group) P21/n 을 갖는 결정 형태로 특징지어진다. 합리적으로 반올림하여, 상기 매개변수는 a = 12.8 ± 0.1 Å, b = 12.9 ± 0.1 Å, c = 28.6 ± 0.1 Å, 및 β = 98.0 ± 0.1°(이때 α = γ = 90°)이다. 단결정 구조로부터, 형태 A1이 무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 명확하다. 단결정 X-선 구조 데이터를 유리 염기 형태 A1에 대해서도 수득하였다(298 K에서 Cu-Kα 복사를 사용하는 CCD 검출기가 장착된 애질런트(Agilent)의 슈퍼노바(SuperNova) 회절 분석계).
특정 양태에서, 형태 A1은 무수 형태이다.
형태 A1의 다른 물리적 특성은 하기를 포함한다: 형태 A1의 열 거동(thermal behaviour)은 약 160℃에서의 용융 피크 개시(onset)를 나타냈다. 열중량 분석은 상기 온도까지 약 0.2 % m/m의 낮은 중량 손실을 나타냈다. DSC 및 TGA 프로파일이 하기에 도시된다. 형태 A1의 DSC 스캔을 메틀러-톨레도(Mettler-Toledo) DSC 1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형태 A1 의 TGA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TGA 851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형태 A1의 수증기 수착 거동은 0 내지 80%의 상대습도에서 1 % m/m 이하의 적은 물 흡수 수준, 및 90 내지 98%의 상대습도에서 2 % m/m 이하의 매우 약간 증가된(elevated) 물 흡수 수준을 나타냈다. 형태 A1은 유럽 약전 기준(섹션 5.11.)에 따라 약간의 흡습성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형태 A1의 수증기 수착 등온선(25℃)이 도면에 제공된다. 수증기 수착 등온선을 SMS의 디브이에스-인트린직(DVS-Intrinsic) 시스템에서 수득하였다. 37℃에서 형태 A1의 열역학적 용해도(24시간)는 단식-상태 시뮬레이션된 장액[Fasted-State Simulated Intestinal Fluid(FaSSIF), pH 6.5] 중 약 17 ㎍/mL, 및 USP 포스페이트 완충액[pH 7.4] 중 약 1 ㎍/mL로 각각 측정되었다(실시예 6 참고). 37℃에서 단식-상태 시뮬레이션된 장액[FaSSIF, pH 6.5] 중 형태 A1의 용해 수준은 약 17 ㎍/mL(2시간 후)로 측정되었다(실시예 7 참고). 전반적으로, 유리 염기 형태 A1은 우수한 고체-상태 특성(우수한 결정화도, 약간의 흡습성, 높은 열 안정성) 및 매우 우수한 대량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결정 형태 A2로 특징지어지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A2는 17.0, 18.7, 및 21.7°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A2는 17.0, 18.7, 및 21.7°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A2는 17.0, 18.7, 및 21.7°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A2는 7.5, 10.8, 17.0, 17.5, 18.7, 20.5, 21.7, 22.3, 23.6, 및 24.0°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A2는 7.5, 10.8, 17.0, 17.5, 18.7, 20.5, 21.7, 22.3, 23.6, 및 24.0°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A2는 7.5, 10.8, 17.0, 17.5, 18.7, 20.5, 21.7, 22.3, 23.6, 및 24.0°에서의 3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A2는 7.5, 10.8, 17.0, 17.5, 18.7, 20.5, 21.7, 22.3, 23.6, 및 24.0°에서의 4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A2는 7.5, 10.8, 17.0, 17.5, 18.7, 20.5, 21.7, 22.3, 23.6, 및 24.0°에서의 5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A2는 7.5, 10.8, 17.0, 17.5, 18.7, 20.5, 21.7, 22.3, 23.6, 및 24.0°에서의 6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A2는 7.5, 10.8, 17.0, 17.5, 18.7, 20.5, 21.7, 22.3, 23.6, 및 24.0°에서의 7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A2는 7.5, 10.8, 17.0, 17.5, 18.7, 20.5, 21.7, 22.3, 23.6, 및 24.0°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A2는 하기 표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Figure pct00003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A2는 도 6의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회절 패턴으로 특징지워진다.
유리 염기 형태 A2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유럽 약전 제6판 2.9.33장에 기재되어 있는 표준 기법에 의해 수득하였고, 이는 하기 X-선 분말 회절 분석도로 특징지어졌다(단색 Cu-Kα1 복사, λ = 1.5406 Å, 스토에 스타디피 611 KL 투사 회전 분석계).
특정 양태에서, 형태 A2는 (200 K에서) 격자 매개변수 a = 9.5326(12) Å, b = 10.7284(14) Å, c = 12.7734(16) Å, 및 α = 70.960(12)°, β = 68.852(11)°, γ = 71.900(11)°을 갖는 삼사정(triclinic) 공간군 P-1을 갖는 결정 형태로 특징지어진다. 합리적으로 반올림하여, 상기 매개변수는 a = 9.5 ± 0.1 Å, b = 10.7 ± 0.1 Å, c = 12.8 ± 0.1 Å, 및 α = 71.0 ± 0.1°, β = 68.9 ± 0.1°, γ = 71.9 ± 0.1°이다. 단결정 구조로부터, 형태 A2가 무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 명확하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A2는 무수 형태이다. 특정 양태에서, 유리 염기 형태 A2는 결정질 무수 형태이다.
형태 A2의 다른 물리적 특성은 하기를 포함한다: 형태 A2의 열 거동은 약 168℃에서의 용융 피크 개시를 나타냈다. 열중량 분석은 상기 온도까지 약 0.2 % m/m의 낮은 중량 손실을 나타냈다. DSC 및 TGA 프로파일이 도면에 도시된다. 형태 A2의 DSC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DSC 821e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형태 A2 의 TGA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TGA 851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형태 A2의 수증기 수착 거동은 0 내지 80%의 상대습도에서 1 % m/m 이하의 적은 물 흡수 수준, 및 90 내지 98%의 상대습도에서 2 % m/m 이하의 매우 약간 증가된 물 흡수 수준을 나타냈다. 형태 A2는 유럽 약전 기준(섹션 5.11.)에 따라 약간의 흡습성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형태 A2의 수증기 수착 등온선(25℃)이 이하에서 도시된다. 수증기 수착 등온선을 SMS의 DVS-인트린직 시스템에서 수득하였다. 37℃에서 형태 A1의 열역학적 용해도(24시간)는 단식-상태 시뮬레이션된 장액[FaSSIF, pH 6.5] 중 약 10 ㎍/mL, 및 USP 포스페이트 완충액[pH 7.4] 중 약 2 ㎍/mL로 각각 측정되었다(실시예 6 참고). 37℃에서 단식-상태 시뮬레이션된 장액[FaSSIF, pH 6.5] 중 형태 A2의 용해 수준은 약 8 ㎍/mL(2시간 후)로 측정되었다(실시예 7 참고). 전반적으로, 유리 염기 형태 A2는 우수한 고체-상태 특성(우수한 결정화도, 약간의 흡습성, 높은 열 안정성) 및 매우 우수한 대량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1로 특징지워지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1은 15.7, 19.1, 20.3, 및 20.8°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1은 15.7, 19.1, 20.3, 및 20.8°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1은 15.7, 19.1, 20.3, 및 20.8°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1은 10.3, 13.7, 15.7, 19.1, 20.3, 20.8, 및 21.9°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1은 10.3, 13.7, 15.7, 19.1, 20.3, 20.8, 및 21.9°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1은 10.3, 13.7, 15.7, 19.1, 20.3, 20.8, 및 21.9°에서의 3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1은 10.3, 13.7, 15.7, 19.1, 20.3, 20.8, 및 21.9°에서의 4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1은 10.3, 13.7, 15.7, 19.1, 20.3, 20.8, 및 21.9°에서의 5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1은 10.3, 13.7, 15.7, 19.1, 20.3, 20.8, 및 21.9°에서의 6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1은 10.3, 13.7, 15.7, 19.1, 20.3, 20.8, 및 21.9°에서의 4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1은 하기 표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Figure pct00004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HCl-NF1은 도 11의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회절 패턴으로 특징지워진다.
형태 HCl-NF1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유럽 약전 제6판 2.9.33장에 기재되어 있는 표준 기법에 의해 수득하였고, 이는 하기 X-선 분말 회절 분석도로 특징지어졌다(단색 Cu-Kα1 복사, λ = 1.5406 Å, 스토에 스타디피 611 KL 투사 회전 분석계).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HCl-NF1은 결정질 무수 형태로 특징지워진다.
형태 HCl-NF1의 다른 물리적 특성은 하기를 포함한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1의 열 거동은 약 200℃에서의 용융 피크 개시를 나타냈다. 열중량 분석은 상기 온도까지 약 0.7 % m/m의 낮은 중량 손실을 나타냈다. DSC 및 TGA 프로파일이 도면에 도시된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1의 DSC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DSC 821e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1의 TGA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TGA 851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1의 수증기 수착 거동은 0 내지 80%의 상대습도에서 1 % m/m 이하의 적은 물 흡수 수준, 및 90 내지 98%의 상대습도에서 5 % m/m 이하의 약간 증가된 물 흡수 수준을 나타낸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1은 유럽 약전 기준(섹션 5.11.)에 따라 약간의 흡습성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1의 수증기 수착 등온선(25℃)이 도면에 도시된다. 수증기 수착 등온선을 SMS의 DVS-인트린직 시스템에서 수득하였다. 37℃에서 단식-상태 시뮬레이션된 장액[FaSSIF, pH 6.5] 중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1의 용해 수준은 약 46 ㎍/mL(2시간 후)로 측정되었다(실시예 7 참고). 전반적으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1은 우수한 고체-상태 특성(우수한 결정화도, 약간의 흡습성, 높은 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2로 특징지어지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2는 7.8, 13.0, 및 15.6°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2는 7.8, 13.0, 및 15.6°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2는 7.8, 13.0, 및 15.6°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2는 6.5, 7.8, 9.1, 13.0, 및 22.0°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2는 6.5, 7.8, 9.1, 13.0, 및 22.0°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2는 6.5, 7.8, 9.1, 13.0, 및 22.0°에서의 3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2는 6.5, 7.8, 9.1, 13.0, 및 22.0°에서의 4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2는 6.5, 7.8, 9.1, 13.0, 및 22.0°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2는 하기 표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Figure pct00005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HCl-NF2는 도 15의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회절 패턴으로 특징지워진다.
형태 HCl-NF2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유럽 약전 제6판 2.9.33장에 기재되어 있는 표준 기법에 의해 수득하였고, 이는 하기 X-선 분말 회절 분석도로 특징지어졌다(단색 Cu-Kα1 복사, λ = 1.5406 Å, 스토에 스타디피 611 KL 투사 회전 분석계).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HCl-NF2는 결정질 무수 형태로 특징지워진다.
형태 HCl-NF2의 다른 물리적 특성은 하기를 포함한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2의 열 거동은 약 192℃에서의 용융 피크 개시를 나타냈다. 열중량 분석은 상기 온도까지 약 0.6 % m/m의 낮은 중량 손실을 나타냈다. DSC 및 TGA 프로파일이 도면에 도시된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2의 DSC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DSC 821e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2의 TGA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TGA/DSC 1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전반적으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2는 우수한 고체-상태 특성(결정화도, 높은 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3로 특징지어지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3은 14.8, 16.8, 20.1, 및 20.4°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3은 14.8, 16.8, 20.1, 및 20.4°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3은 14.8, 16.8, 20.1, 및 20.4°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3은 9.7, 13.5, 14.8, 16.8, 20.1, 20.4, 및 23.0°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3은 9.7, 13.5, 14.8, 16.8, 20.1, 20.4, 및 23.0°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3은 9.7, 13.5, 14.8, 16.8, 20.1, 20.4, 및 23.0°에서의 3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3은 9.7, 13.5, 14.8, 16.8, 20.1, 20.4, 및 23.0°에서의 4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3은 9.7, 13.5, 14.8, 16.8, 20.1, 20.4, 및 23.0°에서의 5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3은 9.7, 13.5, 14.8, 16.8, 20.1, 20.4, 및 23.0°에서의 6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3은 9.7, 13.5, 14.8, 16.8, 20.1, 20.4, 및 23.0°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Cl-NF3은 하기 표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Figure pct00006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HCl-NF3은 도 18의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회절 패턴으로 특징지워진다.
형태 HCl-NF3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유럽 약전 제6판 2.9.33장에 기재되어 있는 표준 기법에 의해 수득하였고, 이는 하기 X-선 분말 회절 분석도로 특징지어졌다(단색 Cu-Kα1 복사, λ = 1.5406 Å, 스토에 스타디피 611 KL 투사 회전 분석계).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HCl-NF3은 결정질 무수 형태로 특징지워진다.
형태 HCl-NF3의 다른 물리적 특성은 하기를 포함한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3의 열 거동은 약 200℃에서의 용융 피크 개시를 나타냈다. 열중량 분석은 상기 온도까지 약 0.7 % m/m의 중량 손실을 나타냈다. DSC 및 TGA 프로파일이 도면에 도시된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3의 DSC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DSC 821e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3의 TGA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TGA 851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전반적으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3은 우수한 고체-상태 특성(우수한 결정화도, 높은 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1로 특징지어지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Br-NF1은 6.9, 19.1, 20.4, 20.8, 및 21.9°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Br-NF1은 6.9, 19.1, 20.4, 20.8, 및 21.9°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Br-NF1은 6.9, 19.1, 20.4, 20.8, 및 21.9°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Br-NF1은 6.9, 13.6, 15.5, 16.5, 19.1, 20.4, 20.8, 21.9, 및 23.5°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Br-NF1은 6.9, 13.6, 15.5, 16.5, 19.1, 20.4, 20.8, 21.9, 및 23.5°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Br-NF1은 6.9, 13.6, 15.5, 16.5, 19.1, 20.4, 20.8, 21.9, 및 23.5°에서의 3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Br-NF1은 6.9, 13.6, 15.5, 16.5, 19.1, 20.4, 20.8, 21.9, 및 23.5°에서의 4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Br-NF1은 6.9, 13.6, 15.5, 16.5, 19.1, 20.4, 20.8, 21.9, 및 23.5°에서의 5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Br-NF1은 6.9, 13.6, 15.5, 16.5, 19.1, 20.4, 20.8, 21.9, 및 23.5°에서의 6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Br-NF1은 6.9, 13.6, 15.5, 16.5, 19.1, 20.4, 20.8, 21.9, 및 23.5°에서의 7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Br-NF1은 6.9, 13.6, 15.5, 16.5, 19.1, 20.4, 20.8, 21.9, 및 23.5°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Br-NF1은 하기 표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Figure pct00007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HBr-NF1은 도 21의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회절 패턴으로 특징지워진다.
유리 염기 형태 HBr-NF1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유럽 약전 제6판 2.9.33장에 기재되어 있는 표준 기법에 의해 수득하였고, 이는 하기 X-선 분말 회절 분석도로 특징지어졌다(단색 Cu-Kα1 복사, λ = 1.5406 Å, 스토에 스타디피 611 KL 투사 회전 분석계).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HBr-NF1은 결정질 무수 형태로 특징지워진다.
형태 HBr-NF1의 다른 물리적 특성은 하기를 포함한다: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1의 열 거동은 약 203℃에서의 용융 피크 개시를 나타냈다. 열중량 분석은 상기 온도까지 약 0.8 % m/m의 낮은 중량 손실을 나타냈다. DSC 및 TGA 프로파일이 도면에 도시된다.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1의 DSC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DSC 821e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1의 TGA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TGA 851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1의 수증기 수착 거동은 0 내지 80%의 상대습도에서 1 % m/m 이하의 적은 물 흡수 수준, 및 90 내지 98%의 상대습도에서 2 % m/m 이하의 약간 증가된 물 흡수 수준을 나타낸다.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1은 유럽 약전 기준(섹션 5.11.)에 따라 약간의 흡습성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1의 수증기 수착 등온선(25℃)이 도면에 도시된다. 수증기 수착 등온선을 SMS의 DVS-인트린직 시스템에서 수득하였다. 37℃에서 단식-상태 시뮬레이션된 장액[FaSSIF, pH 6.5] 중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1의 용해 수준은 약 35 ㎍/mL(2시간 후)로 측정되었다(실시예 7 참고). 전반적으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1은 우수한 고체-상태 특성(우수한 결정화도, 약간의 흡습성, 높은 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2로 특징지어지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Br-NF2는 4.9, 13.2, 및 20.0°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Br-NF2는 4.9, 13.2, 및 20.0°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Br-NF2는 4.9, 13.2, 및 20.0°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Br-NF2는 4.9, 7.5, 13.2, 20.0, 및 20.6°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Br-NF2는 4.9, 7.5, 13.2, 20.0, 및 20.6°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Br-NF2는 4.9, 7.5, 13.2, 20.0, 및 20.6°에서의 3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Br-NF2는 4.9, 7.5, 13.2, 20.0, 및 20.6°에서의 4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Br-NF2는 4.9, 7.5, 13.2, 20.0, 및 20.6°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HBr-NF2는 하기 표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Figure pct00008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HBr-NF2는 도 25의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회절 패턴으로 특징지워진다.
유리 염기 형태 HBr-NF2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유럽 약전 제6판 2.9.33장에 기재되어 있는 표준 기법에 의해 수득하였고, 이는 하기 X-선 분말 회절 분석도로 특징지어졌다(단색 Cu-Kα1 복사, λ = 1.5406 Å, 스토에 스타디피 611 KL 투사 회전 분석계).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HBr-NF2는 결정질 무수 형태로 특징지워진다.
형태 HBr-NF2의 다른 물리적 특성은 하기를 포함한다: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2의 열 거동은 약 192℃에서의 용융 피크 개시를 나타냈다. 열중량 분석은 상기 온도까지 약 1.3 % m/m의 중량 손실을 나타냈다. DSC 및 TGA 프로파일이 도면에 도시된다.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2의 DSC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DSC 821e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2의 TGA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TGA/DSC 1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2의 수증기 수착 거동은 0 내지 80%의 상대습도에서 1 % m/m 이하의 적은 물 흡수 수준, 및 90 내지 98%의 상대습도에서 5 % m/m 이상의 증가된 물 흡수 수준을 나타낸다.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2는 유럽 약전 기준(섹션 5.11.)에 따라 약간의 흡습성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2의 수증기 수착 등온선(25℃)이 도면에 도시된다. 수증기 수착 등온선을 SMS의 DVS-인트린직 시스템에서 수득하였다. 전반적으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형태 HBr-NF2는 우수한 고체-상태 특성(우수한 결정화도, 약간의 흡습성, 높은 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옥살레이트 형태 옥살레이트-NF1로 특징지어지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옥살레이트-NF1은 16.2, 17.7, 18.6, 21.1, 및 21.3°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옥살레이트-NF1은 16.2, 17.7, 18.6, 21.1, 및 21.3°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옥살레이트-NF1은 16.2, 17.7, 18.6, 21.1, 및 21.3°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옥살레이트-NF1은 8.2, 10.4, 13.0, 16.2, 17.7, 18.6, 21.1, 21.3, 및 23.2°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옥살레이트-NF1은 8.2, 10.4, 13.0, 16.2, 17.7, 18.6, 21.1, 21.3, 및 23.2°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옥살레이트-NF1은 8.2, 10.4, 13.0, 16.2, 17.7, 18.6, 21.1, 21.3, 및 23.2°에서의 3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옥살레이트-NF1은 8.2, 10.4, 13.0, 16.2, 17.7, 18.6, 21.1, 21.3, 및 23.2°에서의 4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옥살레이트-NF1은 8.2, 10.4, 13.0, 16.2, 17.7, 18.6, 21.1, 21.3, 및 23.2°에서의 5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옥살레이트-NF1은 8.2, 10.4, 13.0, 16.2, 17.7, 18.6, 21.1, 21.3, 및 23.2°에서의 6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옥살레이트-NF1은 8.2, 10.4, 13.0, 16.2, 17.7, 18.6, 21.1, 21.3, 및 23.2°에서의 7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옥살레이트-NF1은 8.2, 10.4, 13.0, 16.2, 17.7, 18.6, 21.1, 21.3, 및 23.2°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옥살레이트-NF1은 하기 표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Figure pct00009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옥살레이트-NF1은 도 29의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회절 패턴으로 특징지워진다.
유리 염기 형태 옥살레이트-NF1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유럽 약전 제6판 2.9.33장에 기재되어 있는 표준 기법에 의해 수득하였고, 이는 하기 X-선 분말 회절 분석도로 특징지어졌다(단색 Cu-Kα1 복사, λ = 1.5406 Å, 스토에 스타디피 611 KL 투사 회전 분석계).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옥살레이트-NF1은 결정질 무수 형태로 특징지워진다.
형태 옥살레이트-NF1의 다른 물리적 특성은 하기를 포함한다: 옥살레이트 형태 옥살레이트-NF1의 열 거동은 약 173℃에서의 용융 피크 개시를 나타냈다. 열중량 분석은 상기 온도까지 약 1.2 % m/m의 중량 손실을 나타냈다. DSC 및 TGA 프로파일이 도면에 도시된다. 옥살레이트 형태 옥살레이트-NF1의 DSC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DSC 821e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옥살레이트 형태 옥살레이트-NF1의 TGA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TGA 851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옥살레이트 형태 옥살레이트-NF1의 수증기 수착 거동은 0 내지 80%의 상대습도에서 1 % m/m 이하의 적은 물 흡수 수준, 및 90 내지 98%의 상대습도에서 5 % m/m 이하의 약간 증가된 물 흡수 수준을 나타낸다. 옥살레이트 형태 옥살레이트-NF1은 유럽 약전 기준(섹션 5.11.)에 따라 약간의 흡습성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옥살레이트 형태 옥살레이트-NF1의 수증기 수착 등온선(25℃)이 도면에 도시된다. 수증기 수착 등온선을 SMS의 DVS-인트린직 시스템에서 수득하였다. 37℃에서 단식-상태 시뮬레이션된 장액[FaSSIF, pH 6.5] 중 옥살레이트 형태 옥살레이트-NF1의 용해 수준은 약 53 ㎍/mL(2시간 후)로 측정되었다(실시예 7 참고). 전반적으로, 옥살레이트 형태 옥살레이트-NF1은 우수한 고체-상태 특성(우수한 결정화도, 약간의 흡습성, 높은 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말레에이트 형태 말레에이트-NF1으로 특징지어지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1은 18.1, 19.1, 20.8, 및 24.8°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1은 18.1, 19.1, 20.8, 및 24.8°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1은 18.1, 19.1, 20.8, 및 24.8°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1은 6.5, 10.3, 11.5, 12.8, 18.1, 18.7, 19.1, 20.8, 및 24.8°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1은 6.5, 10.3, 11.5, 12.8, 18.1, 18.7, 19.1, 20.8, 및 24.8°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1은 6.5, 10.3, 11.5, 12.8, 18.1, 18.7, 19.1, 20.8, 및 24.8°에서의 3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1은 6.5, 10.3, 11.5, 12.8, 18.1, 18.7, 19.1, 20.8, 및 24.8°에서의 4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1은 6.5, 10.3, 11.5, 12.8, 18.1, 18.7, 19.1, 20.8, 및 24.8°에서의 5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1은 6.5, 10.3, 11.5, 12.8, 18.1, 18.7, 19.1, 20.8, 및 24.8°에서의 6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1은 6.5, 10.3, 11.5, 12.8, 18.1, 18.7, 19.1, 20.8, 및 24.8°에서의 7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1은 6.5, 10.3, 11.5, 12.8, 18.1, 18.7, 19.1, 20.8, 및 24.8°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1은 하기 표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Figure pct00010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1은 도 33의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회절 패턴으로 특징지워진다.
유리 염기 형태 말레에이트-NF1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유럽 약전 제6판 2.9.33장에 기재되어 있는 표준 기법에 의해 수득하였고, 이는 하기 X-선 분말 회절 분석도로 특징지어졌다(단색 Cu-Kα1 복사, λ = 1.5406 Å, 스토에 스타디피 611 KL 투사 회전 분석계).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1은 결정질 무수 형태로 특징지워진다.
형태 말레에이트-NF1의 다른 물리적 특성은 하기를 포함한다: 말레에이트 염 형태 말레에이트-NF1의 열 거동은 약 139℃에서의 용융 피크 개시를 나타냈다. 열중량 분석은 상기 온도까지 약 0.7 % m/m의 낮은 중량 손실을 나타냈다. DSC 및 TGA 프로파일이 도면에 도시된다. 말레에이트 염 형태 말레에이트-NF1의 DSC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DSC 821e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말레에이트 염 형태 말레에이트-NF1의 TGA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TGA 851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말레에이트 염 형태 말레에이트-NF1의 수증기 수착 거동은 0 내지 80%의 상대습도에서 1 % m/m 이하의 적은 물 흡수 수준, 및 90 내지 98%의 상대습도에서 5 % m/m 이하의 약간 증가된 물 흡수 수준을 나타낸다. 말레에이트 염 형태 말레에이트-NF1은 유럽 약전 기준(섹션 5.11.)에 따라 약간의 흡습성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말레에이트 염 형태 말레에이트-NF1의 수증기 수착 등온선(25℃)이 도면에 도시된다. 수증기 수착 등온선을 SMS의 DVS-인트린직 시스템에서 수득하였다. 전반적으로, 말레에이트 염 형태 말레에이트-NF1은 우수한 고체-상태 특성(우수한 결정화도, 약간의 흡습성, 높은 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말레에이트 형태 말레에이트-NF2로 특징지어지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2는 10.8, 17.1, 19.2, 및 20.7°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2는 10.8, 17.1, 19.2, 및 20.7°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2는 10.8, 17.1, 19.2, 및 20.7°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2는 8.5, 10.8, 17.1, 18.1, 18.5, 19.2, 20.7, 21.7, 및 23.2°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2는 8.5, 10.8, 17.1, 18.1, 18.5, 19.2, 20.7, 21.7, 및 23.2°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2는 8.5, 10.8, 17.1, 18.1, 18.5, 19.2, 20.7, 21.7, 및 23.2°에서의 3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2는 8.5, 10.8, 17.1, 18.1, 18.5, 19.2, 20.7, 21.7, 및 23.2°에서의 4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2는 8.5, 10.8, 17.1, 18.1, 18.5, 19.2, 20.7, 21.7, 및 23.2°에서의 5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2는 8.5, 10.8, 17.1, 18.1, 18.5, 19.2, 20.7, 21.7, 및 23.2°에서의 6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2는 8.5, 10.8, 17.1, 18.1, 18.5, 19.2, 20.7, 21.7, 및 23.2°에서의 7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2는 8.5, 10.8, 17.1, 18.1, 18.5, 19.2, 20.7, 21.7, 및 23.2°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2는 하기 표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Figure pct00011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2는 도 37의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회절 패턴으로 특징지워진다.
유리 염기 형태 말레에이트-NF2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유럽 약전 제6판 2.9.33장에 기재되어 있는 표준 기법에 의해 수득하였고, 이는 하기 X-선 분말 회절 분석도로 특징지어졌다(단색 Cu-Kα1 복사, λ = 1.5406 Å, 스토에 스타디피 611 KL 투사 회전 분석계).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말레에이트-NF2는 결정 형태로 특징지워진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푸마레이트 형태 푸마레이트-NF1로 특징지어지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1은 9.0, 17.0, 18.4, 및 22.1°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1은 9.0, 17.0, 18.4, 및 22.1°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1은 9.0, 17.0, 18.4, 및 22.1°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1은 9.0, 16.7, 17.0, 18.4, 18.7, 20.9, 및 22.1°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1은 9.0, 16.7, 17.0, 18.4, 18.7, 20.9, 및 22.1°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1은 9.0, 16.7, 17.0, 18.4, 18.7, 20.9, 및 22.1°에서의 3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1은 9.0, 16.7, 17.0, 18.4, 18.7, 20.9, 및 22.1°에서의 4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1은 9.0, 16.7, 17.0, 18.4, 18.7, 20.9, 및 22.1°에서의 5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1은 9.0, 16.7, 17.0, 18.4, 18.7, 20.9, 및 22.1°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1은 하기 표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Figure pct00012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1은 도 38의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회절 패턴으로 특징지워진다.
유리 염기 형태 푸마레이트-NF1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유럽 약전 제6판 2.9.33장에 기재되어 있는 표준 기법에 의해 수득하였고, 이는 하기 X-선 분말 회절 분석도로 특징지어졌다(단색 Cu-Kα1 복사, λ = 1.5406 Å, 스토에 스타디피 611 KL 투사 회전 분석계).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1은 결정질 무수 형태로 특징지워진다.
형태 푸마레이트-NF1의 다른 물리적 특성은 하기를 포함한다: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1의 열 거동은 약 173℃에서의 용융 피크 개시를 나타냈다. 열중량 분석은 상기 온도까지 약 0.3 % m/m의 낮은 중량 손실을 나타냈다. DSC 및 TGA 프로파일이 도면에 도시된다.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1의 DSC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DSC 821e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1의 TGA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TGA 851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1의 수증기 수착 거동은 0 내지 80%의 상대습도에서 1 % m/m 이하의 적은 물 흡수 수준, 및 90 내지 98%의 상대습도에서 5 % m/m 이상의 증가된 물 흡수 수준을 나타낸다.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1은 유럽 약전 기준(섹션 5.11.)에 따라 약간의 흡습성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1의 수증기 수착 등온선(25℃)이 도면에 도시된다. 수증기 수착 등온선을 SMS의 DVS-인트린직 시스템에서 수득하였다. 37℃에서 단식-상태 시뮬레이션된 장액[FaSSIF, pH 6.5] 중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1의 용해 수준은 약 27 ㎍/mL(2시간 후)로 측정되었다(실시예 7 참고). 전반적으로,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1은 우수한 고체-상태 특성(우수한 결정화도, 약간의 흡습성, 높은 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푸마레이트 형태 푸마레이트-NF2로 특징지어지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2는 18.4, 19.2, 및 20.3°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2는 18.4, 19.2, 및 20.3°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2는 18.4, 19.2, 및 20.3°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2는 9.6, 10.6, 13.9, 14.9, 18.4, 19.2, 및 20.3°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2는 9.6, 10.6, 13.9, 14.9, 18.4, 19.2, 및 20.3°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2는 9.6, 10.6, 13.9, 14.9, 18.4, 19.2, 및 20.3°에서의 3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2는 9.6, 10.6, 13.9, 14.9, 18.4, 19.2, 및 20.3°에서의 4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2는 9.6, 10.6, 13.9, 14.9, 18.4, 19.2, 및 20.3°에서의 5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2는 9.6, 10.6, 13.9, 14.9, 18.4, 19.2, 및 20.3°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2는 하기 표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Figure pct00013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2는 도 42의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회절 패턴으로 특징지워진다.
유리 염기 형태 푸마레이트-NF2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유럽 약전 제6판 2.9.33장에 기재되어 있는 표준 기법에 의해 수득하였고, 이는 하기 X-선 분말 회절 분석도로 특징지어졌다(단색 Cu-Kα1 복사, λ = 1.5406 Å, 스토에 스타디피 611 KL 투사 회전 분석계).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2는 결정질 용매화물 형태로 특징지워진다.
형태 푸마레이트-NF2의 다른 물리적 특성은 하기를 포함한다: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2의 열 거동은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1으로의 약 90℃의 상 전이 및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1의 약 172℃에서의 용융 피크 개시를 나타냈다. 열중량 분석은 상기 온도까지 약 6 % m/m의 중량 손실을 나타냈다. DSC 및 TGA 프로파일이 도면에 도시된다.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2의 DSC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DSC 821e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2의 TGA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TGA 851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전반적으로,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2는 우수한 고체-상태 특성(우수한 결정화도, 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푸마레이트 형태 푸마레이트-NF3으로 특징지어지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3은 6.9, 10.3, 17.4, 및 21.1°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3은 6.9, 10.3, 17.4, 및 21.1°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3은 6.9, 10.3, 17.4, 및 21.1°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3은 6.9, 10.3, 17.4, 21.1, 21.4, 및 25.7°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3은 6.9, 10.3, 17.4, 21.1, 21.4, 및 25.7°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3은 6.9, 10.3, 17.4, 21.1, 21.4, 및 25.7°에서의 3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3은 96.9, 10.3, 17.4, 21.1, 21.4, 및 25.7°에서의 4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3은 6.9, 10.3, 17.4, 21.1, 21.4, 및 25.7°에서의 5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3은 6.9, 10.3, 17.4, 21.1, 21.4, 및 25.7°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3은 하기 표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Figure pct00014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3은 도 45의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회절 패턴으로 특징지워진다.
유리 염기 형태 푸마레이트-NF3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유럽 약전 제6판 2.9.33장에 기재되어 있는 표준 기법에 의해 수득하였고, 이는 하기 X-선 분말 회절 분석도로 특징지어졌다(단색 Cu-Kα1 복사, λ = 1.5406 Å, 스토에 스타디피 611 KL 투사 회전 분석계).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3은 결정질 용매화물 형태로 특징지워진다.
형태 푸마레이트-NF3의 다른 물리적 특성은 하기를 포함한다: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3의 열 거동은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1으로의 약 70℃의 상 전이 및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1의 약 170℃에서의 용융 피크 개시를 나타냈다. 열중량 분석은 상기 온도까지 약 14 % m/m의 중량 손실을 나타냈다. DSC 및 TGA 프로파일이 도면에 도시된다.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3의 DSC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DSC 821e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3의 TGA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TGA 851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전반적으로,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3은 우수한 고체-상태 특성(우수한 결정화도, 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푸마레이트 형태 푸마레이트-NF4로 특징지어지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4는 7.9, 15.8, 18.4, 및 19.4°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4은 7.9, 15.8, 18.4, 및 19.4°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4는 7.9, 15.8, 18.4, 및 19.4°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4는 7.9, 8.9, 11.7, 12.9, 15.8, 18.4, 19.4, 및 21.8°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4는 7.9, 8.9, 11.7, 12.9, 15.8, 18.4, 19.4, 및 21.8°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4는 7.9, 8.9, 11.7, 12.9, 15.8, 18.4, 19.4, 및 21.8°에서의 3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4는 7.9, 8.9, 11.7, 12.9, 15.8, 18.4, 19.4, 및 21.8°에서의 4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4는 7.9, 8.9, 11.7, 12.9, 15.8, 18.4, 19.4, 및 21.8°에서의 5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4는 7.9, 8.9, 11.7, 12.9, 15.8, 18.4, 19.4, 및 21.8°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4는 하기 표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Figure pct00015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4는 도 48의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회절 패턴으로 특징지워진다.
유리 염기 형태 푸마레이트-NF4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유럽 약전 제6판 2.9.33장에 기재되어 있는 표준 기법에 의해 수득하였고, 이는 하기 X-선 분말 회절 분석도로 특징지어졌다(단색 Cu-Kα1 복사, λ = 1.5406 Å, 스토에 스타디피 611 KL 투사 회전 분석계).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4는 결정질 용매화물 형태로 특징지워진다.
형태 푸마레이트-NF4의 다른 물리적 특성은 하기를 포함한다: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4의 열 거동은 약 140℃에서의 용융 피크 개시를 나타냈다. 열중량 분석은 상기 온도까지 약 3 % m/m의 낮은 중량 손실을 나타냈다. DSC 및 TGA 프로파일이 도면에 도시된다.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4의 DSC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DSC 821e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4의 TGA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TGA 851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전반적으로,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4는 우수한 고체-상태 특성(우수한 결정화도, 높은 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푸마레이트 형태 푸마레이트-NF5로 특징지어지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5는 16.0, 19.8, 22.2, 및 23.4°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5는 16.0, 19.8, 22.2, 및 23.4°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5는 16.0, 19.8, 22.2, 및 23.4°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5는 하기 표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Figure pct00016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5는 도 51의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회절 패턴으로 특징지워진다.
유리 염기 형태 푸마레이트-NF5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유럽 약전 제6판 2.9.33장에 기재되어 있는 표준 기법에 의해 수득하였고, 이는 하기 X-선 분말 회절 분석도로 특징지어졌다(단색 Cu-Kα1 복사, λ = 1.5406 Å, 스토에 스타디피 611 KL 투사 회전 분석계).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푸마레이트-NF5는 결정 형태로 특징지워진다.
형태 푸마레이트-NF5의 다른 물리적 특성은 하기를 포함한다: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5의 열 거동은 약 140℃에서의 용융 피크 개시를 나타냈다. 열중량 분석은 상기 온도까지 약 3 % m/m의 낮은 중량 손실을 나타냈다. DSC 및 TGA 프로파일이 도면에 도시된다.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5의 DSC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DSC 821e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5의 TGA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TGA 851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전반적으로,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5는 우수한 고체-상태 특성(결정화도, 높은 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메실레이트 염 형태 메실레이트-NF1로 특징지어지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메실레이트-NF1은 18.7, 19.5, 및 21.1°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메실레이트-NF1은 18.7, 19.5, 및 21.1°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메실레이트-NF1은 18.7, 19.5, 및 21.1°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메실레이트-NF1은 11.2, 12.4, 13.1, 18.7, 19.5, 및 21.1°에서의 하나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메실레이트-NF1은 11.2, 12.4, 13.1, 18.7, 19.5, 및 21.1°에서의 2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메실레이트-NF1은 11.2, 12.4, 13.1, 18.7, 19.5, 및 21.1°에서의 3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메실레이트-NF1은 11.2, 12.4, 13.1, 18.7, 19.5, 및 21.17°에서의 4개 이상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메실레이트-NF1은 11.2, 12.4, 13.1, 18.7, 19.5, 및 21.1°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형태 메실레이트-NF1은 하기 표에서의 2θ 피크로 특징지어진다.
Figure pct00017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메실레이트-NF1은 도 54의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회절 패턴으로 특징지워진다.
유리 염기 형태 메실레이트-NF1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유럽 약전 제6판 2.9.33장에 기재되어 있는 표준 기법에 의해 수득하였고, 이는 하기 X-선 분말 회절 분석도로 특징지어졌다(단색 Cu-Kα1 복사, λ = 1.5406 Å, 스토에 스타디피 611 KL 투사 회전 분석계).
또 다른 양태에서, 형태 메실레이트-NF1은 결정질 무수 형태로 특징지워진다.
형태 메실레이트-NF1의 다른 물리적 특성은 하기를 포함한다: 메실레이트 염 형태 메실레이트-NF1의 열 거동은 약 196℃에서의 용융 피크 개시를 나타냈다. 열중량 분석은 상기 온도까지 약 0.6 % m/m의 낮은 중량 손실을 나타냈다. DSC 및 TGA 프로파일이 도면에 도시된다. 메실레이트 염 형태 메실레이트-NF1의 DSC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DSC 821e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메실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1의 TGA 스캔을 메틀러-톨레도 TGA 851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50 mL/분의 질소 퍼지 기체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메실레이트 염 형태 메실레이트-NF1의 수증기 수착 거동은 0 내지 80%의 상대습도에서 1 % m/m 이하의 적은 물 흡수 수준, 및 90 내지 98%의 상대습도에서 5 % m/m 이하의 약간 증가된 물 흡수 수준을 나타낸다. 메실레이트 염 형태 메실레이트-NF1은 유럽 약전 기준(섹션 5.11.)에 따라 약간의 흡습성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메실레이트 염 형태 메실레이트-NF1의 수증기 수착 등온선(25℃)이 도면에 도시된다. 수증기 수착 등온선을 SMS의 DVS-어드밴티지(Advantage) 시스템에서 수득하였다. 전반적으로, 메실레이트 염 형태 메실레이트-NF1은 우수한 고체-상태 특성(우수한 결정화도, 약간의 흡습성, 높은 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결정 형태 A1과 A2의 혼합물로서 특징지어지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고체-상태 제조 경로의 개발은 주로 대량 확장성(scalability)을 가능하게 하고 우수한 생산성을 제공하는 분말 물질을 가능하게 하는 용매 결정화 접근법을 기반으로 한다.
혼합물의 상 조성이 회분마다 제어가 어렵기 때문에, 형태들의 혼합물은 조절적 및 품질적 관점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 조성의 가변성은 중요한 품질 특성(예를 들어 경구 흡수 거동 및 안정성 거동)에 영향을 주는 광범위한 특성규명을 요하고, 입자의 거동과 같은 매개변수가 상이한 형태 및 이의 혼합물에 있어서 상이한 경우 견고한 DP 생산성을 위태롭게 할 수도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상-순수 결정 형태 A2를 제공하고, 이는 우수한 대량 생산성을 갖는 분말 물질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전술된 임의의 형태 및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추가적인 치료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기 용매,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형태 A1 또는 A2를 제조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 양태에서, 용매는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2-부탄올,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에틸 아세테이트, 1,4-다이옥산, 다이에틸 에테르, 메틸 tert-부틸 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아세토니트릴, 다이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톨루엔 또는 피리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용매는 에탄올, 1-프로판올, 1-부탄올, 이소-부탄올,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에틸 아세테이트, 1,4-다이옥산, 다이에틸 에테르, 메틸 tert-부틸 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아세토니트릴, 다이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N,N-다이메틸포름아미드, 톨루엔, 오르토-자일렌, 파라-자일렌 또는 피리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용매는 에탄올, 2-프로판올, 아세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토 니트릴, 또는 톨루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 20 내지 75℃의 유기 용매에 용해된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 25℃에서 유기 용매에 용해된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 50℃에서 유기 용매에 용해된다.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형태 A1을 알코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형태 A2의 제조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 양태에서,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또는 2-프로판올이다.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고체형을 하기 실시예에 제공되는 반응식에 따라 합성하였다.
4. 용도, 제형화 및 투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조성물
또 다른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되는 유도체의 고체형;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보조제 또는 비히클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의 양은 생물학적 샘플 또는 환자에서 BTK 또는 이의 돌연변이를 측정가능하게 억제하기에 효과적인 양이다.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중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의 양은 생물학적 샘플 또는 환자에서 BTK 또는 이의 돌연변이를 측정가능하게 억제하기에 효과적인 양이다.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 대한 투여를 위해 제형화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환자" 또는 "피치료자(subject)"는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보조제 또는 비히클"은 제형화에 사용되는 화합물의 고체형의 약리학적 활성을 파괴하지 않는 비독성 담체, 보조제 또는 비히클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보조제 또는 비히클은 비제한적으로 이온 교환제, 알루미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혈청 단백질(예컨대 인간 혈청 알부민), 완충 물질(예컨대 포스페이트), 글리신, 소르브산, 칼륨 소르베이트, 포화된 식물성 지방산들의 부분 글리세리드 혼합물, 염 또는 전해질(예컨대 프로타민 설페이트, 다이나트륨 수소 포스페이트, 칼륨 수소 포스페이트, 나트륨 클로라이드 또는 아연 염), 콜로이드 실리카, 마그네슘 트라이실리케이트, 폴리비닐 피롤리돈, 셀룰로스를 기제로 하는 물질,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아크릴레이트, 왁스, 폴리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럭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양모 지방(wool fat, 라놀린)이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도체"는 피치료자에게 투여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억제적 활성 대사물 또는 잔기를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비독성 염, 에스터, 에스터의 염 또는 기타 유도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로 흡입 분사제에 의해 국소, 직장, 비강, 볼, 질 또는 이식된 저장매체(implanted reservoir)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비경구"는 피하,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윤활막내, 흉골내, 난포막내, 간내, 병반내 및 두개골내 주사 또는 주입 기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 복막내 또는 정맥내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멸균 주사 형태는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을 포함한다. 상기 현탁액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기법에 따라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를 사용하여 제형화된다. 멸균 주사 제형은 비경구적으로 허용가능한 비독성 희석제 또는 용매, 예를 들어 1,3-부탄다이올 중 멸균 주사 용액 또는 현탁액일 수도 있다. 특히, 허용되는 비히클 및 용매 중에서도 물, 링거액 및 등장성 나트륨 클로라이드 용액이 사용된다. 또한, 멸균 고정유(fixed oil)가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무자극 고정유는 합성 모노- 또는 다이-글리세리드를 포함한다. 지방산, 예컨대 올레산 및 이의 글리세리드 유도체는 천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오일, 예컨대 올리브유 또는 피마자유, 특히 이의 폴리옥시에틸화된 종류이므로 주사물 제제에 적합하다. 이러한 오일 용액 또는 현탁액은 장쇄 알코올 희석제 또는 분산제, 예컨대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또는 유화액 및 현탁액을 비롯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투약형의 제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사 분산제도 함유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고체, 액체 또는 기타 투약형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계면활성제, 예컨대 트윈(Tween), 스판(Span) 및 기타 유화제 또는 생체이용가능 보강제도 상기 목적의 제형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조성물은 경구적으로 허용가능한 임의의 투약형으로 경구 투여된다. 예시적인 경구 투약형은 캡슐, 정제, 수성 현탁액 또는 용액이다. 경구 사용을 위한 정제의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는 락토스 및 옥수수 전분을 포함한다. 활택제, 예컨대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도 전형적으로 첨가된다. 캡슐형의 경구 투여에 있어서, 유용한 희석제는 락토스 및 건조된 옥수수 전분을 포함한다. 수성 현탁액에 경구 사용에 요구될 때, 활성 성분은 유화제 및 현탁제와 합쳐진다. 필요에 따라, 특정 감미제, 향미제 또는 착색제도 임의적으로 첨가된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형으로 투여된다. 이는 상기 제제를, 실온에서는 고체이되 직장 온도에서는 액체이므로 직장 내에서 용융되어 약물을 방출하는 적합한 비자극성 부형제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코코아 버터, 밀랍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조성물은, 특히 치료 표적이 국소 적용에 의해 용이하게 접근되는 면적 또는 기관, 예컨대 눈, 피부 또는 하부 장관의 질환을 포함할 때에 국소 투여된다. 적합한 국소 제형은 이러한 면적 또는 기관에 대해 용이하게 제조된다.
하부 장관에 대한 국소 투여는 직장용 좌제 제형(상기 참고) 또는 적합한 관장 제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국소적인 경피 부착포도 사용된다.
국소 적용에 있어서, 제공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담체 중에 현탁되거나 용해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적합한 연고로 제형화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국소 투여에 적합한 예시적인 담체는 광유, 액상 페트롤라텀(petrolatum), 백색 페트롤라텀,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화합물, 유화성 왁스 및 물이다. 다르게는, 제공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중에 현탁 또는 용해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적합한 로션 또는 크림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적합한 담체는 비제한적으로 광유,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세틸 에스터 왁스, 세테아릴 알코올, 2-옥틸도데칸올, 벤질 알코올 및 물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하용되는 조성물은 코 에어로졸 또는 흡입에 의해 임의적으로 투여된다. 이러한 조성물은 약학 제형의 분야에 주지되어 있는 기법에 따라 제조되고, 벤질 알코올 또는 기타 적합한 보존제, 생체이용성을 보강하기 위한 흡수 촉진제, 플루오르화탄소 및/또는 기타 통상적인 가용화제 또는 분산제를 사용하여 함염물 중 용액으로서 제조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으로 제형화된다. 이러한 제형은 음식물에 의해 또는 의하지 않고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조성물은 음식물에 의하지 않고 투여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조성물은 음식에 의해 투여된다.
담체 물질과 임의적으로 합쳐져 단일 투여형 중 조성물을 생성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은 치료되는 피치료자 및 특정한 치료 방식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공되는 조성물은 0.01 내지 100 mg/kg 체중/1일의 화합물의 투약량이 상기 조성물을 투약받는 환자에게 투여되도록 제형화되어야 한다.
또한, 임의의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 투약량 및 치료법은 다양한 요인, 예컨대 사용되는 특정 화합물의 활성, 연령, 체중, 포괄적인 건강상태, 성별, 식이, 투여 시간, 배설 속도, 약물 조합, 주치의의 판단 및 치료되는 특정 질환의 중증도에 의존할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 중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은 상기 조성물 중 특정 화합물에 의존할 것이다.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조성물의 용도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환자 또는 생물학적 샘플의 BTK 또는 이의 돌연변이체를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 또는 상기 생물학적 샘플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은 BTK 효소를 조절 또는 억제하기 위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용어 "조절"은 BTK-매개 신호 변환의 임의의 변화를 나타내고, 이는 BTK 표적과 인식, 결합 및 활성화가 가능하도록 상호적용할 수 있는 특정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작용을 기반으로 한다. 상기 화합물은 BTK와의 특히 높은 친화도로 특징지어지고, 이는 BTK의 안정적인 결합을 확보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물질은 단일 BTK 표적에 의한 독점적이고 직접적인 인식을 보장하기 위해, 대부분의 다른 키나제에 우선하여 BTK에 대한 높은 선택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인식"은 비제한적으로, 특정 화합물과 표적 간의 임의의 유형의 상호 작용, 특히 공유 또는 비공유 결합 또는 회합, 예컨대 공유 결합, 소수성/친수성 상호작용, 반데르발스 힘, 이온쌍, 수소 결합 및 리간드-수용체(효소-억제제) 상호작용 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회합은 다른 분자, 예컨대 펩티드, 단백질 또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존재도 포괄할 수 있다. 이러한 단백질/리간드(효소-억제제)-상호작용은 높은 친화도, 높은 선택성, 및 치료 대상에 대해 건강에 좋지 않고 해로운 효과를 배제하는 다른 표적 분자에 대해 최소이거나 심지어는 결여된 교차-반응성으로 특징지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사용하여 BTK 효소가 억제되는 조건하에 BTK를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양태에서, 계는 세포계이다. 다른 양태에서, 계는 생존 세포 없이 단백질을 합성하는 생체외 번역이다. 세포계는 세포를 포함하는 임의의 대상인 것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세포계는 단일 세포, 배양된 세포, 조직, 기관 및 동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BTK 효소의 조절 방법은 생체외에서 수행된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의 임의의 양태를 포함)에 관한 본 명세서의 전술된 교시는 BTK를 억제하는 방법에 사용될 때 상기 화합물에 대한 제한 없이 유효하고 적용가능하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관한 본 명세서의 전술된 교시는 BTK를 억제하는 방법에 사용될 때 상기 화합물에 대한 제한 없이 유효하고 적용가능하다.
BTK에 돌연변이를 갖는 환자는 B 세포 발달에 있어서 중증의 차단을 갖고, 이는 성숙한 B 림프구 및 형질세포의 거의 완전한 부재, 심히 감소된 Ig 수준, 및 항원 회수에 대한 체액성 반응의 중증의 억제를 야기한다(문헌[Vihinen et al Frontiers in Bioscience 5: d917-928]에서 검토됨). 또한, BTK 결핍 마우스는 감소된 수의 말초 B 세포 및 IgM 및 IgG3의 감소된 혈정 수준을 갖는다. 마우스의 BTK 결실은 항-IgM에 의해 유도되는 B 세포 증식에 중증의 효과를 갖고 흉선-비의존성 II형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문헌[Ellmeier et al, J Exp Med 192: 1611-1623 (2000)]). 또한, BTK는 고친화도 IgE 수용체(Fc 입실론 RI)를 통한 비만 세포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BTK 결손 쥐과 비만 세포는 탈과립을 감소시키고 Fc 입실론 RI에 이은 염증전(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감소시킨다(문헌[Kawakami et al. Journal of Leukocyte Biology 65: 286-290]).
제공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BTK의 억제제이고, 이에 따라 BTK의 활성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장애를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따라서, 일부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TK-매개 장애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BTK-매개" 장애 또는 병태는 BTK 또는 이의 돌연변이가 일정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질환 또는 다른 해로운 병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BTK 또는 이의 돌연변이가 일정한 역할을 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의 중증도의 치료 또는 완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증식성 장애 또는 자가면역 장애로부터 선택되는 질환 또는 병태의 중증도를 치료 또는 완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본 발명은 BTK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질환 또는 병태의 중증도를 치료 또는 완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상기 질환 또는 병태는 암으로부터 선택된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암은 B 세포 증식성 질환, 예를 들어 광범위 거대 B 세포 림프종, 소포성 림프종, 만성 림프구 림프종, 만성 림프성 백혈병, 급성 림프성 백혈병, B 세포 전신림프성 백혈병, 림프형질세포성 림프종/발텐스트롬 마크로글로불린혈증, 지라 변연부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형질세포 골수종으로도 공지되어 있음), 비호지킨 림프종, 호지킨 림프종, 형질세포종, 림프절외 변연부 B 세포 림프종, 림프절내 변연부 B 세포 림프종, 외투세포 림프종, 종격 (흉선) 거대 B 세포 림프종, 혈관내 거대 B 세포 림프종, 원발성 삼출성 림프종, 버킷 림프종/백형병 또는 림프종모양 육아종증이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암은 유방암, 전립선암 또는 비만 세포 암(예를 들어 비만 세포종, 비만 세포 백혈병, 비만 세포 육종 또는 전신 비만 세포종)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암은 골암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암은 골(bone)에 대한 다른 원발성 유래 및 전이이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암은 대장암 또는 췌장암이다.
특정 양태에서, 암은 비-호지킨 림프종 맨틀 세포 림프종 또는 비-호지킨 림프종 분산 거대 B 세포 림프종(abc 아형 포함)이다.
일부 양태에서, 본 발명은 BTK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질환 및 병태의 중증도를 치료하거나 완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질환 또는 병태는 자가면역 질환, 예를 들어 염증성 장 질환, 관절염, 전신 홍반 루푸스(SLE 또는 루푸스), 루푸스 신염, 혈관염,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ITP), 류마티스 관절염, 건성성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스틸병, 소아 관절염, 당뇨, 중증 근무력증, 하시모토 갑상선염, 오드(Ord) 갑상선염, 그레이브스병,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쇼그렌 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전신 경화증, 라임병, 길랑-바레 증후군, 급성 파종성 척수뇌염, 애디슨병, 안구간 대경련-근간 대경련 증후군, 강직성 척추염, 항인지질 항체 증후군, 재생불량성 빈혈, 자가면역성 간염, 자가면역성 위염, 악성 빈혈, 셀리악병, 굿파스쳐 증후군, 시신경염, 피부 경화증, 원발성 담증성 경변증, 라이터병, 타까야수 동맥염, 측두 동맥염, 온난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베게너 육아종증, 건선, 전신 탈모증, 베체트병, 만성 피로, 자율신경 실조증, 막성 사구체신병증, 자궁내막증, 간질성 방광염, 심상성 천포창, 수포성 유사천포창, 신경근육 긴장증 또는 외음부통이다. 특정 양태에서, 질환 또는 병증은 전신 홍반 루푸스(SLE 또는 루푸스) 또는 루푸스 신염이다.
일부 양태에서, 질환 또는 병태는 과증식성 질환 또는 면역-매개 질환(예컨대 이식 장기 또는 조직 거부증 및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AIDS, HIV로도 공지되어 있음)이다.
일부 양태에서, 본 발명은 BTK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질환 또는 병태의 중증도를 치료 또는 완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상기 질환 또는 병태는 비제한적으로 이식편 대 숙주 질환, 장기 이식, 수혈, 과민증, 알러지(예를 들어 식물 꽃가루, 라텍스, 약물, 음식물, 곤충 독, 동물 모발, 동물 비듬, 먼지 진드기 또는 바퀴벌레 배상 기관에 대한 알러지), I형 과민증, 알러지성 결막염, 알러지성 비염 및 아토피 피부염을 포함하는 이종면역 병태 또는 질환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양태에서, 본 발명은 BTK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질환 또는 병태의 중증도를 치료 또는 완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상기 질환 또는 병태는 염증성 질환, 예를 들어 천식, 맹장염, 아토피성 피부염, 알러지, 안검염, 모세기관지염, 기관지염, 활액낭염, 자궁경부염, 담관염, 담낭염, 만성 이식편 거부증, 대장염, 결막염, 크론병, 방광염, 눈물샘염, 피부염, 피부근육염, 뇌염, 심내막염, 자궁내막염, 장염, 소장대장염, 상과염, 부고환염, 근막염, 섬유조직염, 위염, 위장염, 헤노흐-쇤라인 자반병, 간염, 화농성 한선염, 면역글로불린 A 신장병증, 간질성 폐 질환, 후두염, 유선염, 수막염, 척수염, 심근염, 근염, 신장염, 난소염, 과환염, 골염, 이염, 췌장염, 이하선염, 심막염, 복막염, 인두염, 늑막염, 정맥염, 간질성 폐렴, 폐렴, 다발성근염, 직장염, 전립선염, 신우신염, 비염, 난관염, 부비강염, 구내염, 활액막염, 석회화 건염, 편도선염, 궤양성 대장염, 포도막염, 질염, 혈관염 또는 외음염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양태에서, 본 발명은 BTK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질환 또는 병태, 예컨대 골 및 관절 질환,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류마티스성 관절염, 혈청반응 음성 척추관절병증(예컨대 강직성 척추염, 건선 척추염 및 라이터병), 베체트병, 쇼그렌 증후군, 전신 경화증, 골다공증, 골암 및 골 전이의 중증도를 치료 또는 완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양태에서, 본 발명은 BTK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질환 또는 병태의 중증도를 치료 또는 완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상기 질환 또는 병태는 혈전색전성 질환 또는 심혈관 장애, 예를 들어 심근 경색, 협심증, 혈관 성형술 후 재폐색, 혈관 성형술 후 재협착증, 대동맥-관상동맥 우회술 후 재폐색, 대동맥-관상동맥 우회술 후 재협착증, 뇌졸중, 일과성 허혈, 말초 동맥 폐색성 장애, 폐색전증 또는 심부정맥 혈전증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양태에서, BTK는 혈소판의 활성화에도 관여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항-혈전제를 제공한다.
일부 양태에서, 본 발명은 BTK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질환 또는 병태, 예컨대 감염성 및 비감염성 염증성 사건 및 자가면역 및 기타 염증성 질환의 중증도를 치료 또는 완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자가면역 및 염증성 질환, 장애 및 증후군은 염증성 골반 질환, 요도염, 피부 일광화상, 부비강염, 간질성 폐렴, 뇌염, 수막염, 심근염, 신장염, 골수염, 근염, 간염, 위염, 장염, 피부염, 치은염, 맹장염, 췌장염, 담낭염, 무γ 글로불린혈증, 건선, 알러지, 크론병, 과민성 대장 증후군, 궤양성 대장염, 쇼그렌병, 조직 이식편 거부증, 이식된 장기의 초급성 거부증, 천식, 알러지성 비염, 만성 폐쇄성 질환(COPD), 자가면역성 다선성 질환(자가면역성 다선성 증후군으로도 공지되어 있음), 자가면역성 탈모증, 악성 빈혈, 사구체 신염, 피부근육염, 다발성 경화증, 피부 경화증, 혈관염, 자가면역성 용혈성 및 혈소판감소성 상태, 굿파스쳐 증후군, 아테로마성 동맥 경화증, 애디슨병,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당뇨병, 패혈성 쇼크, 전신 홍반 루푸스(SLE), 류마티스성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연소성 관절염, 골관절염, 만성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 발텐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중증 근무력증, 하시모토 갑상선염, 아토피성 피부염, 퇴행성 관절 질환, 백반증, 자가면역성 뇌하수체 기능저하증, 길랑-바레 증후군, 베체트병, 균상 식육종, 급성 염증 반응(예컨대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및 허혈/재관류 손상) 및 그레이브스병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당뇨는 I형 당뇨이다.
일부 양태에서, 본 발명은 류마티스성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B 세포 만성 림프성 백혈병, 급성 림프성 백혈병, 털세포 백혈병, 비호지킨 림프종, 호지킨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골암, 골 전이, 골다공증, 당뇨(예를 들어 I형 당뇨), 과민성 대장 증후군, 크론병, 루푸스 및 신장 이식으로부터 선택되는 BTK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질환 및 병태의 중증도를 치료 또는 완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을 피치료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MS), 예컨대 재발성 MS(RMS), 재발성-완화성 MS(RRMS), 진행성 MS(PMS), 2차-진행성 MS(SPMS), 원발성-진형성 MS(PPMS) 및 진행성-재발성 MS(PRMS)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BTK 활성에 의해 매개 및/또는 전파되는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여기서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상기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된다.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은 루푸스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고, 여기서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상기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화합물은 상기 정의된 효과량으로 투여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투여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생체외 또는 생체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 의한 치료에 대한 특정 세포의 감소성은 연구 또는 임상 적용의 단계에서 생체외 시험에 의해 특정하게 측정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배양된 세포는 활성 제제가 BTK 활성을 억제하도록 하는 충분한 시간, 통상적으로는 약 1시간 내지 약 1주 동안 다양한 농도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과 조합된다. 생체외 치료는 생검 샘플 또는 세포주로부터 배양된 세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숙주 또는 환자는 임의의 포유동물 종, 예를 들어 영장류, 특히 인간; 설치류, 예컨대 마우스, 랫(rat) 및 햄스터; 토끼; 말, 소, 젖소, 개 및 고양이 등에 속할 수 있다. 동물 모델은 인간 질환의 치료를 위한 모델을 제공하기에 실험적 연구에 있어서 관심의 대상이 된다.
신호 변환 경로의 동정 및 다양한 신호 변환 경로간의 상호작용의 검출을 위해, 수많은 과학자들이 적합한 모델 또는 모델 시스템, 예를 들어 배양된 세포 모델 및 형질전환 동물 모델을 개발하여 왔다. 신호 변환 케스케이드(cascade)에서 특정 단계의 확정함에 있어서, 상호작용하는 화합물이 신호 조절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본원에 언급된 동물 및/또는 배양된 세포 모델 또는 임상 질환에서 BTK-의존성 신호 변환 경로를 시험하기 위한 시약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예방 또는 치료 및/또는 모니터링을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용도는 적합하다면 BTK 활성의 억제를 위한 화합물의 용도로 제한됨 없이 유효하고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BTK 활성에 의해 야기, 매개 및/또는 전파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및/또는 모니터링을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BTK 활성에 의해 야기, 매개 및/또는 전파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 및/또는 모니터링을 위한 약제의 제조를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BTK-매개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BTK 활성에 의해 야기, 매개 및/또는 전파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및/또는 모니터링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목적은 루푸스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치료제로서 작용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발병 전 또는 이후에 1회 또는 수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된 화합물 및 의학 제품은 치료에 특히 적합하다. 치료 관련 효과는 장애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일정 수준으로 완화하거나, 질환 또는 병리적 병태와 연관되거나 이를 야기하는 하나 이상의 생리적 또는 생화학적 매개변수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정상으로 회복시킨다. 모니터링은 치료의 한 종류로서 간주되되, 상기 화합물은, 예를 들어 반응을 촉진하거나 질환의 병원성 및/또는 증상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별개의 격차를 두어 투여된다. 동일한 화합물 또는 상이한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BTK 활성과 연관된 장애의 발병 가능성을 감소시키거나, 심지어는 상기 장애의 개시를 미리 예방하거나, 나타나거나 진행중인 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 있어서, 예방적 치료는 피치료자가 전술된 생리적 또는 병리적 병태에 대한 임의의 전제 조건, 예컨대 가족력, 유전적 결함 또는 사전 질환력을 갖는 경우에 권장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하나 이상의 고체형을 포함하는 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 있어서, "약제"는 제약 분야의 임의의 제제이고, 이는 하나 이상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제제(예를 들어 약학 조성물 또는 약학 제형)를 포함하고, 개체의 전체적 병태 또는 특정 부위의 병태의 병원성 변형이 적어도 일시적으로 확립되는 방식으로 BTK와 연관된 질환을 앓는 환자의 예방, 치료, 사후 치료 또는 사후 관리에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활성 성분은 단독 또는 다른 치료와의 조합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승적 효과는 약학 조성물에 하나 초과의 화합물을 사용함(즉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화학식 1의 또 다른 화합물이거나 상이한 구조 골격의 화합물인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제제(활성 성분)와 조합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상기 활성 성분은 동시적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화학적 실체가 항염증제와 조합으로 투여되는 치료 방법이 본원에 포함된다. 항염증제는 비제한적으로 NSAID, 비특이성 및 COX-2 특이성 사이클로옥시제나제 효소 억제제, 금 화합물,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메토트렉세이트, 종양 괴사 인자(TNF) 길항제 및 면역억제제를 포함한다.
NSAID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이부프로펜, 플루르비프로펜, 나프록센 및 나프록센 나트륨, 다이클로페낙, 다이클로페낙 나트륨과 미소프로스톨의 조합물, 설린닥, 옥사프로진, 디플루니살, 피록시캄, 인도메타신, 에토돌락, 페노프로펜 칼슘, 케토프로펜, 나트륨 나부메톤, 설파살라진, 톨메틴 나트륨 및 하이드록시클로로귄을 포함한다. NSAID의 예는 COX-2 특이성 억제제, 예컨대 셀레콕시브, 발데콕시브, 루미라콕시브 및/또는 에토리콕시브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항염증제는 살리실레이트이다. 살리실레이트는 비제한적으로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아스피린, 나트륨 살리실레이트, 및 콜린 및 마그네슘 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항염증제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코르티손, 덱사메타손, 메틸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솔론 나트륨 포스페이트 또는 프레드니솔론일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항염증제는 금 화합물, 예컨대 금 나트륨 티오말레이트 또는 오라노핀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항염증제가 대사 억제제, 예컨대 다이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효소 억제제, 예컨대 메토트렉세이트 또는 다이하이드로오로테이트 탈수소효소 억제제, 예컨대 레플루노미드인 양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하나 이상의 항염증 화합물이 항단클론 항체(예컨대 에클리주맙 또는 펙셀리주맙), TNF 길항제, 예컨대 엔타네르셉트, 또는 인플릭시맙(항TNF 알파 단클론 항체)인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하나 이상의 활성제가 메토트렉세이트, 레플루노미드, 사이클로스포린, 타크롤리무스, 아자티오프린 및 마이코페놀레이트 모페틸로부터 선택되는 면역억제제 화합물인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BTK를 발현하는 B 세포 및 B 세포 전구체는 악성 B 세포의 병리에 연루되어 있고, 이는 비제한 적으로 B 세포 림프종, 림프종(예컨대 호지킨 및 비호지킨 림프종), 털세포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만성 및 급성 골수성 백혈병 및 만성 및 급성 림프성 백혈병을 포함한다.
BTK는 B계(B-lineage) 림프구 세포의 신호전달 복합체(DISC)를 비롯한 Fas/APO-1(CD-95) 사멸의 억제제로 제시되어 왔다. 백혈병/림프종 세포의 운명은 DISC에 의해 활성화되는 케스파제(caspases)의 세포사멸전(proapoptotic) 상대 효과와 BTK 및/또는 이의 기질이 연루되는 상류 항세포사멸성 조절 기작간의 균형에 달려있다(문헌[Vassilev et al., J. Biol. Chem. 1998, 274, 1646-1656]).
또한, BTK 억제제가 화학감수성화제로서 유용하고, 이에 따라 다른 화학치료성 약물, 특히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약물과의 조합으로 유용한 것이 밝혀졌다. 화학감수성화 BTK 억제제와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화학치료성 약물의 예는 국소이성질화 효소 I 억제제(캄프토테신 또는 토포테칸), 국소이정질화 효소 II 억제제(예를 들어 다우노마이신 및 에토포시드), 알킬화제(예를 들어 사이클로포스포아미드, 멜팔란 및 BCNU), 튜불린 관련 제제(예를 들어 탁솔 및 빈블라스틴) 및 생물학적 제제(예를 들어 CD20 항체, IDEC 8, 면역독소 및 사이토카인과 같은 항체)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다른 기지의 치료제, 예컨대 항암제와 조합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항암제"는 암을 앓는 환자에게 상기 암의 치료를 목적으로 투여될 수 있는 임의의 제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정의된 항암제 치료는 단일치료로서 적용될 수 있거나, 본원에 개시되는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외에도, 통상적인 수술 또는 방사선 치료 또는 의약 치료를 수반할 수 있다. 이러한 의약 치료, 예를 들어 화학치료 또는 표적화 치료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하기 항종양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알킬화제: 예컨대 알트레타민, 벤다무스틴, 부설판, 카르무스틴, 클로람부실, 클로르메틴, 사이클로포스포아미드, 다카바진, 이포스파미드, 임프로설판, 토실레이트, 로무스틴, 멜팔란, 미토브로니톨, 미토락톨, 니무스틴, 라니무스틴, 테모졸로미드, 티오테파, 트레설판, 메클로레타민, 카보쿠온, 아파지쿠온, 포테무스틴, 글루포스파미드, 팔리포스파미드, 피포브로만, 트로포스파미드, 우라무스틴, TH-3024 또는 VAL-0834;
백금 화합물: 예컨대 카보플라틴, 시스플라틴, 엡타플라틴, 미리플라틴 수화물, 옥살리플라틴, 로바플라틴, 네다플라틴, 피코플라틴 또는 사트라플라틴;
DNA 변경제: 예컨대 암루비신, 비스안트렌, 데시타빈, 미톡산트론, 프로카바진, 트라벡테딘, 클로파라빈, 암사크린, 브로스탈리신, 픽산트론 또는 라우로무스틴1,3;
국소이성질체화 효소 억제제: 예컨대 엡토포시드, 이리노테칸, 라족산, 소부족산, 테니포시드, 토포테칸, 아모나피드, 벨로테칸, 엘립티늄 아세테이트 또는 보렐록신;
미세소관 개질제: 예컨대 카바지탁셀, 도세탁셀, 에리불린, 익사베필론, 파클리탁셀,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비노렐빈, 빈데신, 빈플루닌, 포스브레타불린 또는 테세탁셀;
대사길항제: 예컨대 아스파라기나제3, 아자시티딘, 칼슘 레보폴리네이트, 카펙시타빈, 클라드리빈, 시타라빈, 에노시타빈, 플록수리딘, 플루다라빈, 플루오로우라실, 겜시타빈, 머캅토퓨린, 메토트렉세이트, 넬라라빈, 페메트렉세드, 프랄라트렉세이트, 아자티오프린, 티오구아닌, 카르모푸르, 독시플루리딘, 엘라시타라빈, 랄티트렉세드, 사파시타빈, 테가푸르2,3 또는 트라이메트렉세이트;
항암성 항생제: 예컨대 블레오마이신, 닥티노마이신, 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이다루비신, 레바미솔, 밀테포신, 미토마이신 C, 로미뎁신, 스트렙토조신, 발루비신, 지노스타틴, 조루비신, 다우누로비신, 플리카마이신, 아클라루비신, 페플로마이신 또는 피라루비신;
호르몬/길항제: 예컨대 아바렐릭스, 아비라테론, 바이칼루타미드, 부세렐린, 칼루스테론, 클로로트라이아니센, 덱사메타손, 에스트라다이올, 플루오코르톨론, 플루옥시메스테론, 플루타미드, 풀베스트란트, 고세렐린, 히스트렐린, 류프로렐린, 메게스트롤, 미토탄, 나파렐린, 난드롤론, 닐루타미드, 옥트레오티드, 프레드니솔론, 랄록시펜, 타목시펜, 티로트로핀 알파, 토레미펜, 트라이로스탄, 트라이토렐린, 다이에틸스틸베스트롤, 아콜비펜, 다나졸, 데스로렐린, 에피티오스탄올, 오스테로넬 또는 엔잘루타미드1,3;
방향화 효소 억제제: 예컨대 아미노글루테티미드, 아나스트로졸, 엑세메스탄, 파드로졸, 레트로졸, 테스토락톤 또는 포름에스탄;
소분자 키나제 억제제: 예컨대 크리조티니브, 다사티니브, 에를로티니브, 이마티니브, 라파티니브, 닐로티니브, 파조파니브, 레고라페니브, 룩소리티니브, 소라페니브, 수니티니브, 반데타니브, 베무라페니브, 보수티니브, 게피티니브, 악시티니브, 아파티니브, 알리세르티브, 다브라페니브, 다코미티니브, 다이나시클리브, 도비티니브, 엔자스타우린, 닌테다니브, 레바티니브, 리니파니브, 린시티니브, 마시티니브, 미도스타우린, 모테사니브, 네라티니브, 오란티니브, 페리포신, 포나티니브, 라도티니브, 리고세르티브, 티피파르니브, 티반티니브, 티보자니브, 트라메티니브, 피마세르티브, 브리바니브 알라니네이트, 세디라니브, 아파티니브4, 카보잔티니브 S-말레이트1,3, 이브루티니브1,3, 이코티니브4, 부파를리시브2, 시파티니브4, 코비메티니브1,3, 이데랄리시브1,3, 페드라티니브1 또는 XL-6474;
감광제: 예컨대 메톡살렌3, 포르피머 나트륨, 탈라포르핀 또는 테모프로핀;
항체: 예컨대 알렘투주맙, 베질레소맙, 브렌툭시맙 베도틴, 세툭시맙, 데노수맙, 이필리무맙, 오파투무맙, 파니투무맙, 리툭시맙, 토시투모맙, 트라스투주맙, 베베시주맙, 페트주맙2,3; 카투막소맙, 엘로투주맙, 에프라투주맙, 파레투주맙, 모가물리주맙, 네시투무맙, 니모투주맙, 오비누투주맙, 오카라투주맙, 오레고보맙, 라무시루맙, 릴로투무맙, 실로툭시맙, 토실리주맙, 잘루투무맙, 자노리무맙, 마투주맙, 달로투주맙1,2,3, 오나르투주맙1,3, 라코투모맙1, 타발루맙1,3, EMD-5257974 또는 니볼루맙1,3;
사이토카인: 예컨대 알데스류킨, 인터페론 알파2, 인터페론 알파2a3, 인터페론 알파2b2,3, 설모류킨, 타소네르민, 테세류킨, 오프레베킨1,3 또는 재조합 인터페론 베타-1a4;
약물 접합체: 예컨대 데니류킨 다이프티톡스,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요벤구안 I123, 프레드니무스틴, 트라스투주맙 엠탄신, 에스트라무스틴, 겜투주맙, 오조가미신, 알플리베르셉트, 신트레데킨 베수도톡스, 에도트레오티드, 이노투주맙 오조카미신, 나프투모맙 에스타페나톡스, 오포투주맙 모나톡스, 테크네튬(99mTc) 아르시투모맙1,3 또는 빈타폴리데1,3;
백신: 예컨대 시푸류셀3, 비테스펜3, 에메페피무트-S3, 온코 VAX4, 린도페피무트3, 트로Vax4, MGN-16014 또는 MGN-17034; 및
기타: 알리트레티노인, 벡사트로텐, 보르테조미브, 에베롤리무스, 이반드론산, 이미퀴모드, 레날리도미드, 렌티난, 메티로신, 미파무르티드, 파미드론산, 페가스파르가제, 펜토스타틴, 시푸류셀3, 시조피란, 타미바로텐, 템시롤리무스, 탈리도미드, 트레티노인, 비스모데기브, 졸레드론산, 보리노스타트, 셀레콕시브, 실렌기티드, 엔티노스타트, 에타니다졸, 가네테스피브, 이드로녹실, 이니파리브, 익사조미브, 로니다민, 니모라졸, 파노비노스타트, 페레티노인, 플리티뎁신, 포말리도미드, 프로코다졸, 리다포롤리무스, 타스퀴니모드, 텔로트리스타트, 티말파신, 티라파자민, 토세도스타트, 트라베데르센, 우베니멕스, 발스포다르, 겐디신4, 피시바닐4, 레올리신4, 레타스피마이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1,3, 트레바나니브2,3, 비룰리진4, 카르필조미브1,3, 엔도스타틴4, 이뮤노코텔4, 벨리노스타트3 또는 MGN-17034(1: Prop. INN(제안된 국제 일반 명칭); 2: Rec. INN(권장된 국제 일반 명칭); 3: USAN(미국식 차용 명칭)).
또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효과량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유도체, 용매화물 및 이의 입체 이성질체; 모든 비의 이의 혼합물; 및 임의적으로 효과량의 추가 활성 성분의 별개의 팩(pack)으로 이루어진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적합한 용기, 예컨대 박스, 개별적인 병, 낭 또는 앰플을 포함한다. 상기 키트는 용해 또는 동결 건조된 형태로 효과량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유도체, 용매화물 및 이의 입체 이성질체; 모든 비의 이의 혼합물; 및 임의적으로 효과량의 추가 활성 성분을 각각 함유하는 별개의 앰플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치료", "치료하다" 및 "치료하는"은 본원에 기재되는 질환 또는 장애, 또는 이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발병을 역전, 완화 또는 지연시키거나 이의 진행을 억제함을 의미한다. 일부 양태에서, 치료제는 하나 이상의 증상이 발병된 이후에 투여된다. 다른 양태에서, 치료제는 증상의 부재하에 투여된다. 예를 들어, 치료제는 증상의 발병 전에 취약한(예를 들어 증상력(history of symptom)을 반영하거나 유전적 요인 또는 기타 취약성 요인을 반영하여) 개인에게 투여된다. 또한, 치료는 증상이 해결된 후에도, 예를 들어 이의 재발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키기 위해 계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화합물 및 조성물은 전술된 장애의 중증도를 치료 또는 완화하는데 효과적인 임의의 양 및 임의의 경로의 투여된다. 정확한 요구량은 종, 연령 및 피치료자의 일반적인 병태, 감염의 중증도, 특정 제제 및 투여 방식 등에 의존하여 피치료자마다 달라질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투여의 용이함 및 투약량의 균일성을 위해 단위 투약형으로 제형화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표현 "단위 투약형"은 치료되는 환자에 적절한 제제의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단위를 지칭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성물의 총 일일 용량은 주치의에 의해 우수한 의학적 판단의 범주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임의의 특정 환자 또는 개체에 효과적인 특정 투여 수준은 다양한 요인, 예컨대 치료되는 장애 및 상기 장애의 중증도; 사용되는 특정 화합물의 활성; 사용되는 특정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사용되는 특정 화합물의 배설 속도; 치료 기간; 상기 특정 화합물과 조합으로 또는 동시적으로 사용되는 약물, 및 의학 분야에 주지되어 있는 인자 등에 의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조성물은 치료되는 감염의 중증도에 따라 인간 또는 다른 동물에게 경구, 직장, 비경구, 낭내(intracisternally), 질내, 복강내, 국소(분말, 연고 또는 점적(drop)) 또는 볼로 경구 또는 비강 분사제 등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목적하는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당 피치료자의 체중의 약 0.01 내지 100 mg/kg,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50 mg/kg의 경구 또는 비경구 투약량 수준으로 1일에 1회 이상 투여된다.
경구 투여용 액상 투약형은 비제한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화액, 미세 유화액(microemulsion), 용액, 현탁액, 시럽 및 엘릭서(elixir)를 포함한다. 활성 화합물에 이외에도, 액상 투약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 예를 들어 물 또는 기타 용매, 가용화제 및 유화제, 예컨대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다이메틸포름아미드, 오일(특히 면실유, 땅콩유, 옥수수유, 배아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및 참깨유), 글리세롤, 테트라하이드로퓨르퓨르일 알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소비탄의 지방산 에스터, 및 이들의 혼합물을 임의적으로 함유한다. 불활성 희석제 이외에도, 경구 조성물은 부형제, 예컨대 습윤제, 유화제 및 현탁제, 감미제, 향미제 및 향료제도 포함할 수 있다.
주사 제제, 예를 들어 주사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은 적합한 분산제, 습윤제 및 현탁제를 사용하여 기지의 기술에 따라 제형화된다. 또한, 멸균 주사 제제는 비독성의 비경구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용매 중 멸균 주사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예를 들어 1,3-부탄다이올 중 용액이다. 특히, 사용될 수 있는 허용되는 비히클 및 용매는 물, 링거액, U.S.P. 및 등장성 나트륨 클로라이드 용액이다. 또한, 멸균된 고정유가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임의의 무자극 고정유가 합성 모노글리세리드 또는 다이글리세리드를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방산, 예컨대 올레산이 주사 제제에 사용된다.
주사 제형은 사용 전에, 예를 들어 박테리아-거름 필터(bacterial-retaining filter)에 의해, 또는 멸균수 또는 기타 멸균 주사 매질 중에 용해되거나 분산될 수 있는 멸균 고체 조성물 형태의 멸균제를 혼입함에 의해 멸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과를 지속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는, 피하 또는 근육내 주사로부터 화합물을 서서히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낮은 수용해도를 갖는 결정 형태 또는 무정형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성취된다. 이어서, 화합물의 흡수 속도는 이의 용해 속도에 의존하고,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결정 크기 및 결정 형태에 의존할 것이다. 다르게는, 비경구 투여되는 화합물 형태의 지연 흡수는 상기 화합물을 오일 비히클 중에 용해시키거나 현탁시킴으로써 성취된다. 주사 축적형(depot form)은 생분해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락티드-폴리글리콜리드 내의 상기 화합물의 미세캡슐 매트릭스를 형성함으로써 성취된다. 화합물 대 중합체의 비 및 사용되는 특정한 중합체의 성질에 따라, 화합물의 방출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기타 생분해성 중합체의 예는 폴리(오르쏘에스터) 및 폴리(무수물)을 포함한다. 축적 주사 제형은 리포좀 또는 미세 유화액에 상기 화합물을 포획함으로써 제조되기도 하고, 이는 신체 조직과 양립가능하다.
직장 또는 질 투여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주위 온도에서는 고체이되 체온에서는 액체이고, 이에 따라 직장 또는 질강에서 용융되는 비자극성 부형제 또는 담체, 예컨대 코코아 버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좌제용 왁스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 좌제이다.
경구 투여용 고체 투약형은 캡슐, 정제, 알약, 분말 및 과립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체 투약형에서, 활성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불활성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 예컨대 나트륨 시트레이트 또는 다이칼슘 포스페이트 및/또는 (a) 충전제 또는 증량제, 예컨대 전분, 락토스, 수크로스, 글루코스, 만니톨 및 규산, (b) 결합제, 예컨대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알기네이트,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 (c) 습윤제, 예컨대 글리세롤, (d) 붕해제, 예컨대 아가-아가(agar-agar), 칼슘 카보네이트, 감자 전분 또는 타피오카 전분, 알긴산, 특정 실리케이트 및 나트륨 카보네이트, (e) 용액 지연제, 예컨대 파라핀, (f) 흡수 촉진제, 예컨대 4차 암모늄 화합물, (g) 습윤제, 예컨대 세틸 알코올 및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h) 흡수제, 예컨대 고령토 및 벤토나이트 점토, 및 (i) 활택제, 예컨대 활석, 칼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고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과 혼합된다. 캡슐, 정제 및 알약의 경우, 투약형은 완충제를 임의적으로 포함하기도 한다.
유사 유형의 고체 조성물이 연질 및 경질의 충전된 젤라틴 캡슐 내에 부형제, 예컨대 락토스, 유당 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을 사용하여 충전제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정제, 당의정, 캡슐, 알약 및 과립의 고체 투약형은 코팅 및 쉘(shell), 예컨대 장용 코팅 또는 약학 제형 분야에 주지되어 있는 기타 코팅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는 불투명화제를 임의적으로 함유하고, 단지 또는 바람직하게는 장관의 특정 부위에서, 임의적으로는 지연 방식으로 활성 성분을 방출하는 조성물일 수도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포매 조성물의 예는 중합성 물질 및 왁스를 포함한다. 유사 유형의 고체 조성물은 연질 및 경질의 충전된 젤라틴 캡슐 내에 부형제, 예컨대 락토스, 유당 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을 사용하여 충전제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활성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전술된 부형제에 의해 미세캡슐화된 형태일 수 있다. 정제, 당의정, 캡슐, 알약 및 과립의 고체형은 코팅 및 쉘, 예컨대 장용 코팅, 방출 제어 코팅 또는 제약 제형 분야에 주지되어 있는 기타 코팅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고체형에서, 활성 성분은 하나 이상의 불활성 희석제, 예컨대 수크로스, 락토스 또는 전분과 혼합될 수 있다. 통상적인 실시에 있어서, 이러한 고체형은 불활성 희석제 이외의 추가적인 물질, 예를 들어 타정 활택제 및 기타 타정 보조제, 예컨대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미세결정질 셀룰로스를 포함하기도 한다. 캡슐, 정제 및 알약의 경우, 투약형은 완충제를 임의적으로 포함하기도 한다. 이는 불투명화제를 임의적으로 함유하고, 단지 또는 바람직하게는 장관의 특정 부위에서, 임의적으로는 지연 방식으로 활성 성분을 방출하는 조성물일 수도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포매 조성물의 예는 중합성 물질 및 왁스를 포함한다.
상기 화합물의 국소 또는 경피 투여용 투약형은 연고, 페이스트, 크림, 로션, 젤, 분말, 용액, 분사제, 흡입제 또는 부착포를 포함한다. 활성 성분은 멸균 조건하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필요에 따라 임의의 필요한 보존제 또는 완충제와 혼합된다. 안구용 제형, 이용 점적(ear drop) 및 안구용 점적도 본 발명의 범주 내의 것으로서 계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피용 부착포의 사용으로 계획되고, 이는 화합물의 신체로의 제어된 전달을 제공하는 추가적인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투약형은 상기 화합물을 적절한 매질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흡수 보강제가 피부를 통과하는 화합물의 유동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속도는 속도 제어 막을 저공하거나 상기 화합물을 중합체 매트릭스 또는 젤 중에 분산시킴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따라, 본 발명은 생물학적 샘플을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생물학적 샘플에서 BTK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은 생물학적 샘플을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생물학적 샘플에서 BTK 또는 이의 돌연변이체의 활성을 적극적인 방식으로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생체외에서 BTK의 생물학적 역할을 이해하기 위한 독자적인 도구로서 유용하고, 이는 BTK의 생성 및 BTK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거나 이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되는 다수의 요인의 평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BTK와 상호작용하는 다른 화합물의 개발에도 유용한데,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상기 개발을 용이하게 하는 중요한 구조-활성 관계(SAR)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BTK에 결합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생물학적 유체, 조직 균질물 및 정제된 천연 생물학적 물질 등 중의 생존 세포 또는 고정된 세포에서 BTK를 검출하기 위한 시약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합물을 표지함으로써, BTK를 발현하는 세포를 동정할 수 있다. 또한, BTK에 결합하는 능력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제자리(in-situ) 염색, FACS(형광-활성화 세포 분류),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젤 전기영동(SDS-PAGE), ELISA(효소-연결 면역흡착 분석), 효소 정제 또는 투과성화(permeabilized) 세포 중 BTK를 발현하는 세포를 정제하는 것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양한 의학 연구 및 진단 용도를 위한 시판되는 연구용 시약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용도는 비제한 적으로 하기를 포함한다: 다양한 기능 분석에서 후보 BTK 억제제의 활성을 성량화하기 위한 보정 표준으로서의 용도; 무작위 화합물 선별, 즉 BTK 리간드의 신규 과에 대한 탐색에서 차단 시약으로서의 용도(상기 화합물이 본원에 청구되는 BTK 화합물의 회수를 차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 BTK 효소에 의한 동반-결정화에서의 용도(즉 본 발명의 화합물이 BTK에 결합하는 상기 화합물의 결정 형태 형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X-선 결정학에 의한 효소/화합물 구조의 측정을 가능하게 함); BTK가 바람직하게는 활성화되거나 이러한 활성화가 BTK 억제제의 기지의 정량에 대해 편리하게 보정되는 기타 연구 및 진단 적용례 등; 분석에 있어서, 세포에서 BTK의 발현을 측정하기 위한 탐침으로서의 용도; 및 BTK 결합 리간드와 동일한 위치에 결합하는 화합물을 검출하기 위한 분석의 개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그 자체로 및/또는 치료 효과의 진단을 위한 물리적 측정과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및 BTK-매개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상기 화합물의 용도는 인간 또는 동물의 건강 상태에 있어서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개선을 야기하는 광범위한 치료에 대한 유망한 신규 접근법이다. 경구적으로 생체이용가능하고 활성인 신규한 본 발명의 화학적 실체는 환자에 대한 편의성 및 주치의에 대한 협력성을 향상시킨다.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염,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유도체, 전구약물 및/또는 대사물질은 높은 특이성 및 안정성, 낮은 제조 비용 및 편리한 취급으로 특정지어진다. 이러한 특징은 교차-반응성의 결여가 포함되는 재생성가능한 작용, 및 표적 구조와의 신뢰성있고 안정한 상호작용에 대한 기초가 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생물학적 샘플"은 비제한 적으로 배양된 세포 또는 이의 추출물; 포유동물로부터 수득된 생검된 물질 또는 이의 추출물; 및 혈액, 침, 소변, 대변, 정액, 눈물, 또는 다른 체액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생물학적 샘플에서 BTK 또는 이의 돌연변이의 활성의 조절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목적에 유용하다. 상기 목적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수혈, 장기 이식, 생물학적 표본의 저장 및 생물학적 분석을 포함한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특정한 예시적 양태에서, 화합물은 하기 일반적 절차에 따라 제조된다. 본원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일반적 방법이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의 합성을 설명하지만, 하기 일반적 방법 및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다른 방법이 모든 화합물 및 각각의 상기 화합물의 하위 부류 및 종에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 방법, 반응식 및 예시의 설명에 사용되는 기호 및 관습은 현재의 과학 문헌, 예를 들어 문헌[the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or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에 사용된 것과 일치한다.
모든 형태는, 예를 들어 문헌[Rolf Hilfiker, 'Polymorphism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Wiley-VCH. Weinheim 2006 (Chapter 6: X-Ray Diffraction, Chapter 6: Vibrational Spectroscopy, Chapter 3: Thermal Analysis, Chapter 9: Water Vapour Sorption, and references therein)]; 및 문헌[H.G. Brittain, 'Polymorphism in Pharmaceutical Solids, Vol. 95,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99(Chapter 6 and reference therein)]에 기재되어 있는 표준 방법에 따라 특성규명된다.
달리 제시되지 않는 한, 모든 온도는 ℃(섭씨 온도)로 표현된다. 달리 제시되지 않는 한, 모든 반응은 실온에서 수행되었다. 본 발명의 모든 화합물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 발명된 방법에 의해 합성되었다.
1H-NMR 스펙트럼은 브루커 어벤스(Bruker Avance) III 400 MHz에서 기록하였다. 화학적 이동을 백만분율(ppm, δ 단위)로 표시하였다. 결합 상수는 헤르츠(Hz) 단위이다. 분리 패턴은 겉보기 다중도를 설명하고, s(단일항), d(이중항), t(삼중항), q(사중항), m(다중항) 또는 br(광대역)으로서 표기하였다.
질랑 스펙트럼은 어질런트 테크놀로지스(Agilent technologies)의 어질런트 1200 시리즈 질량 스펙트럼계에서 대기 화학 이온화(APCI) 또는 전자분사 이온화(ESI)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컬럼: 엑스브리지(XBridge) C8 C8, 3.5 μm, 4.6 x 50 mm; 용매 A: 물 + 0.1 % TFA; 용매 B: CAN ; 유동: 2 mL/분; 구배: 0분: 5 % B, 8분: 100 % B, 8.1분: 100 % B, 8.5분: 5% B, 및 10분 5% B.
HPLC 데이터를 어질런트 테크놀로지스의 어질런트 1100 시리즈 HPLC 및 엑스브리지 컬럼(C8, 3.5 μm, 4.6 x 50 mm)을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용매 A: 물 + 0.1 % TFA; 용매 B: ACN; 유동: 2 mL/분; 구배: 0분: 5 % B, 8분: 100 % B, 8.1분: 100 % B, 8.5분: 5% B, 및 10분 5% B.
마이크로파 반응을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바이오테이지 이니시에이터 마이크로웨이브 신테사이저(Biotage Initiator Microwave Synthesizer) 및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본원에 나타나는 일부 약어는 하기 표와 같다.
Figure pct00018
하기 실시예들에 이용되는 화합물 번호는 상기 제시된 화합물 번호에 상응한다.
실시예 1: 0.1 % TFA-H2O/ACN 혼합물로부터의 동결건조 실험(WO2012/170976, 방법 S4A에 기재된 변형법에 따름):
a) 0.1 % TFA-H2O:ACN 90:10(v:v)로부터의 동결건조:
정제된 유리 염기 약 200mg을 실온(약 22℃)에서 0.1 % TFA-H2O:ACN 90:10(v:v) 혼합물 50mL에 용해시켰다. 그 물질은 거의 완전히 용해되었다. 투명한 용액을 얻기 위해 0.45 μm 주사기 필터를 통해 여과를 수행하였다. 이 용액을 10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액체 질소로 순간-동결시키고, 동결된 샘플을 약 0.8 mbar로 작동하는 동결건조기(스테리스(Steris), 라이오백(Lyovac) GT2)에 부착하였다. 1 일 후, 백색 고체 잔류물이 수집되었다.
NMR: 화학양론 API:TFA 약 1:1.1
1H NMR (400 MHz, DMSO-d6) d 8.36 (s, 1H), 7.48 - 7.41 (m, 2H), 7.32 - 7.25 (m, 2H), 7.23 - 7.07 (m, 7H), 6.87 (t, J = 6.5 Hz, 1H), 6.80 (dd, J = 16.7, 10.5 Hz, 1H), 6.09 (dd, J = 16.8, 2.4 Hz, 1H), 5.67 (dd, J = 10.4, 2.4 Hz, 1H), 4.28 - 4.18 (m, 1H), 3.97 - 3.87 (m, 1H), 3.64 (dd, J = 20.6, 6.5 Hz, 2H), 3.24 (t, J = 12.7 Hz, 1H), 2.88 (t, J = 12.6 Hz, 1H), 1.78 - 1.68 (m, 2H), 1.68 - 1.44 (m, 2H)
b) 0.1 % TFA-H2O:ACN 50:50(v:v)로부터의 동결건조:
약 200mg의 정제된 유리 염기를 실온(약 22℃)에서 0.1 % TFA-H2O:ACN 50:50(v:v) 혼합물 15mL에 용해시켰다. 물질은 거의 완전히 용해되었다. 투명한 용액을 얻기 위해 0.45 μm 주사기 필터를 통해 여과를 수행하였다. 이 용액을 10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액체 질소로 급속 냉동시켰고, 동결된 샘플은 약 0.8mbar에서 작동하는 동결건조기(스테리스, 라이오백 GT2)에 부착되었다. 1 일 후, 백색 고체 잔류물이 수집되었다.
NMR: 화학양론 API:TFA 약 1:0.3
1H NMR (400 MHz, DMSO-d6) d 8.06 (s, 1H), 7.46 - 7.39 (m, 2H), 7.27 - 7.22 (m, 2H), 7.21 - 7.15 (m, 1H), 7.15 - 7.09 (m, 4H), 6.80 (dd, J = 16.7, 10.4 Hz, 1H), 6.09 (dd, J = 16.7, 2.4 Hz, 1H), 6.01 - 5.90 (m, 2H), 5.71 - 5.62 (m, 1H), 5.66 (dd, J = 10.5, 2.4 Hz, 1H), 4.25 - 4.14 (m, 1H), 3.95 - 3.85 (m, 1H), 3.60 (dd, J = 20.8, 6.4 Hz, 2H), 2.94 - 2.85 (m, 1H), 1.76 - 1.66 (m, 2H), 1.66 - 1.45 (m, 2H)
c) 0.1 % TFA-H2O:ACN 10:90(v:v)로부터의 동결건조:
약 200mg의 정제된 유리 염기를 실온(약 22℃)에서 0.1 % TFA-H2O:ACN 10:90(v:v) 혼합물 8mL에 용해시켰다. 그 물질은 거의 완전히 용해되었다. 투명한 용액을 얻기 위해 0.45 μm 주사기 필터를 통해 여과를 수행하였다. 이 용액을 10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액체 질소로 급속 냉동시켰고, 동결된 샘플은 약 0.8mbar에서 작동하는 동결건조기(스테리스, 라이오백 GT2)에 부착되었다. 1 일 후, 백색 고체 잔류물이 수집되었다.
NMR: 화학양론 API:TFA 약 1:0.02
1H NMR (400 MHz, DMSO-d6) d 7.96 (s, 1H), 7.46 - 7.38 (m, 2H), 7.27 - 7.21 (m, 2H), 7.20 - 7.14 (m, 1H), 7.14 - 7.08 (m, 4H), 6.80 (dd, J = 16.7, 10.5 Hz, 1H), 6.09 (dd, J = 16.6, 2.4 Hz, 1H), 5.65 (dd, J = 10.5, 2.4 Hz, 1H), 5.60 - 5.51 (m, 2H), 5.20 (t, J = 6.4 Hz, 1H), 4.24 - 4.13 (m, 1H), 3.95 - 3.85 (m, 1H), 3.58 (dd, J = 20.9, 6.4 Hz, 2H), 3.28 - 3.19 (m, 1H), 2.90 (t, J = 12.7 Hz, 1H), 1.76 - 1.66 (m, 2H), 1.65 - 1.45 (m, 2H)
실시예 2: 순수한 형태 A1을 얻기 위한 유리 염기의 결정화 공정
a) 소규모: 등온 용매 증발에 의한 여러 용매로부터의 결정화
약 10 mg 유리 염기는 RT 또는 50℃에서 여러 용매의 500 μL 내지 최대 4 mL(용해도에 따름)에 분산되거나 용해되었다. 모든 현탁액/용액은 0.2 μm 주사기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되었다. 투명한 여액을 담은 바이알을, 건조 고체 잔류물이 얻어질 때까지 등온 용매 증발을 위해 템퍼링된 알루미늄 랙에 두었다. 다음 용매에서 형태 A1을 수득하였다: 25℃: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2-부탄올,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에틸 아세테이트, 1,4-다이옥산, 다이에틸 에테르, 메틸 tert-부틸 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아세토니트릴, 다이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톨루엔, 피리딘; 50℃: 에탄올, 1-프로판올, 1-부탄올, 이소-부탄올,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에틸 아세테이트, 1,4-다이옥산, 다이에틸 에테르, 메틸 tert-부틸 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아세토니트릴, 다이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N,N-다이메틸 포름아미드, 톨루엔, 오르토-자일렌, 파라-자일렌, 피리딘.
b) 소규모: 여러 용매로부터 냉각 결정화(cooling crystallisation)
약 14 mg 유리 염기는 50℃에서 여러 용매의 200 μL 최대 1 mL(용해도에 따름)에 분산 또는 용해되었다. 모든 현탁액/용액은 0.2 μm 주사기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되었다. 투명한 여액이 있는 바이알을 강화 알루미늄 랙에 넣고 0.1K/분에서 5℃로 냉각하였다. 수득된 고체를 PE 원심 분리 바이알을 사용하여 원심 분리하여 고액 분리하였다. 다음 용매에서 형태 A1을 수득하였다:
에탄올, 2-프로판올, 아세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토니트릴, 톨루엔.
c) 대규모: 증발 및 냉각 결정화의 조합
65L 에나멜 반응기를 질소로 불활성화시켰다. 공급 용기를 사용하여 25 L 무수 에탄올을 반응기에 채웠다. 교반하고, 응축기 0℃ 및 재킷 온도 30℃가 시작되었다. 그 후, 생성물을 (유리 염기의 여러 배치(batch) 3980g)에 채웠다. 재킷 온도는 95℃까지 상승하였다. 30 분 후 반응 온도는 78℃(환류 조건)이었고, 탁한 용액이 형성되었다. 뜨거운 혼합물을 압력 필터로 여과하고, 2 L 에탄올로 헹구었다. 용기와 필터에서 소량의 갈색 잔류물이 검출되었다. 여액을 회전 증발기로 옮겼다. 결정화가 시작될 때까지 약 13L 에탄올을 증류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스틸 포트에 채우고, 빙냉하에 2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침전물을 흡입에 의해 여과하고 1L 에탄올로 헹구었다. 그 후, 51℃ 및 30 mbar에서 진공 건조기에서 2 일 동안 건조되었다. 생성물을 코밀(comil) U5(메시 크기 1mm)에서 밀링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d 7.96 (s, 1H), 7.46 - 7.39 (m, 2H), 7.27 - 7.21 (m, 2H), 7.20 - 7.14 (m, 1H), 7.14 - 7.09 (m, 4H), 6.79 (dd, J = 16.7, 10.5 Hz, 1H), 6.09 (dd, J = 16.7, 2.4 Hz, 1H), 5.65 (dd, J = 10.5, 2.4 Hz, 1H), 5.62 - 5.50 (m, 2H), 5.20 (t, J = 6.4 Hz, 1H), 4.24 - 4.13 (m, 1H), 3.95 - 3.84 (m, 1H), 3.59 (dd, J = 20.9, 6.4 Hz, 2H), 3.24 (t, J = 12.9 Hz, 1H), 2.91 (t, J = 12.2 Hz, 1H), 1.77 - 1.65 (m, 2H), 1.67 - 1.45 (m, 2H).
실시예 3: 순수한 형태 A2를 얻기 위한 유리 염기의 결정화 공정
a) 소규모: 2-프로판올로부터의 냉각 결정화
약 14 mg 유리 염기를 200 μL 2-프로판올에 완전히 용해시켰다. 0.2㎛ 주사기 필터를 사용하여 용액을 여과하였다. 투명한 여액이 담긴 바이알을 강화 알루미늄 랙에 넣고 0.1K/분에서 5℃로 냉각시켰다. 수득된 고체는 PE 원심 분리 바이알을 사용하여 원심 분리하여 고액 분리하였다.
b) 소규모: 에탄올 중 형태 A1 슬러리 전환
약 2.5 g 유리 염기 형태 A1 및 25 mL 에탄올을 50 mL 에를렌마이어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수득된 현탁액을 50℃로 가열하고, 약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태 A2의 시드(seed) 50mg을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약 20 시간 후에 공정 제어(IPC 1)에서 PXRD에 의해 형태 A1을 나타냈다. 형태 A2의 시드 약 100mg을 현탁액에 제공하였다. 50℃에서 30 시간 교반 후 제 2 IPC는 여전히 형태 A1을 나타냈다. 추가로 10 시간 동안 교반한 후 그 물질은 형태 A2(IPC 3)로 완전히 전환되었다. 에탄올을 진공하에 회전 증발기에서 증발시켜 건조시켰다. 그 물질은 건조 질소 유동에서 80℃에서 최종 건조되었다.
c) 대규모: 에탄올 중 슬러리 전환 형태 A1
분석을 위한 3.2 kg의 여러 약물 물질 배치 및 9 L의 무수 에탄올 GR을 25 L 에나멜 반응기(25L 에나멜 반응기(POS 1065))에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백색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샘플을 취하고(IPC1, 0 시간), PXRD 정량화는 13 % 형태 A1과 87 % 형태 A2의 혼합물을 보여 주었다. 현탁액을 35℃(반응기)로 가열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샘플을 취하고(IPC2, 18 시간), PXRD 정량은 11 % 형태 A1과 89 % 형태 A2의 혼합물을 보여 주었다. 템퍼링을 중단하고, 혼합물을 천천히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형태 A2 30g을 모르타르(mortar)에서 마쇄하고, 28℃에서 10 분 이내에 단계적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샘플을 취하고(IPC3, 41 시간), PXRD 정량화는 11 % 형태 A1과 89 % 형태 A2의 혼합물을 보여 주었다. 4x5g의 형태 A2를 25℃(반응기)에서 4 시간 이내에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35℃(반응기)로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주말 동안 교반하였다. 샘플을 취하고(IPC4, 113 시간), PXRD 정량화는 10 % 형태 A1과 90 % 형태 A2의 혼합물을 보여 주었다. 5 시간 후 템퍼링이 중단되었다. 3x8g의 형태 A2를 모르타르에서 마쇄하고, 33-35℃(반응기)에서 3 시간 이내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샘플을 취하고(IPC5, 137 시간), PXRD 정량화는 7 % 형태 A1과 93 % 형태 A2의 혼합물을 보여 주었다. 혼합물을 35℃(반응기)로 가열하였다. 3x8g의 형태 A2를 모르타르에서 마쇄하고, 33-35℃(반응기)에서 3 시간 이내에 첨가하였다. 템퍼링을 중지하고, 혼합물을 천천히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혼합물을 25℃(반응기)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샘플을 취하고(IPC5, 161 시간), PXRD 정량은 100 % A2를 나타냈다. 현탁액을 35℃로 가열한 다음, 템퍼링을 중지하였다. 3x8g의 형태 A2를 모르타르에서 마쇄하고, 33-35℃(반응기)에서 3 시간 이내에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천천히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회전 증발기(부치(Buchi) R220 EX)에서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농축된 현탁액을 밤새 실온에서 보관하였다. 현탁액을 흡입에 의해 여과하였다. 케이크를 주말 동안 50℃ 및 20mbar에서 일정한 질량으로 건조시켰다. 생성물을 코밀 U5(메쉬 크기 1mm)로 밀링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d 8.32 (s, 1H), 7.47 - 7.42 (m, 2H), 7.30 - 7.26 (m, 2H), 7.22 - 7.18 (m, 1H), 7.17 - 7.11 (m, 4H), 6.96 - 6.85 (m, 2H), 6.83 - 6.76 (m, 2H), 6.09 (dd, J = 16.7, 2.4 Hz, 1H), 5.66 (dd, J = 10.4, 2.4 Hz, 1H), 4.27 - 4.18 (m, 1H), 3.96 - 3.87 (m, 1H), 3.69 - 3.58 (m, 2H), 3.24 (t, J = 12.8 Hz, 1H), 2.88 (t, J = 12.5 Hz, 1H), 1.78 - 1.68 (m, 2H), 1.67 - 1.46 (m, 2H).
d) 소규모: 형태 A2 시딩에 의한 메탄올에서의 냉각 결정화
30.0 g 약물 물질 및 120 g 메탄올을 250 mL 재킷형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65℃로 가열하였다. 약 45 분 후, 환류 조건에서 투명하고 약간 황색을 띠는 용액을 수득하였다. 재킷 온도는 이후 58℃로 빠르게 냉각되었다. 냉각 동안, 형태 A2(이전에 도자기 모르타르에서 마쇄됨)의 300mg 시드 결정을 59℃에서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0.23 K/분의 냉각 속도로 -28℃로 추가로 냉각시키고, 마지막으로 깔때기 필터를 사용하여 진공하에 여과하였다. 분리된 필터 케이크를 30 mL의 예비-냉각된 메탄올(-30℃)로 2 회 세척하고, 40℃에서 진공(<10 mbar) 하에 16 시간 건조하여 순수한 형태 A2(90 % 수율)의 결정 27.3g을 수득하였다.
e) 소규모: 형태 A2 시딩에 의한 에탄올에서의 냉각 결정화
5.0 g 약물 물질 및 66.4 g 에탄올을 250 mL 재킷형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가열하고, 76℃에서 용해시켜 투명하고 약간 황색을 띠는 용액을 형성하였다. 재킷 온도는 이후 58℃로 빠르게 냉각되었다. 형태 A2(이전에 도자기 모르타르에서 마쇄됨)의 50mg 시드 결정을 58℃에서 용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0.62 K/분의 냉각 속도로 -30℃로 추가로 냉각시켰다. 최종 온도에서 현탁액을 추가로 22 시간(밤새) 교반하고, 마지막으로 깔때기 필터를 사용하여 진공하에 여과하였다. 분리된 필터 케이크를 5 mL의 예비-냉각된 에탄올(-30℃)로 2 회 세척하고, 40℃에서 24 시간 동안 진공(<10mbar) 하에 건조시켜 4.17g의 순수한 형태 A2(83 % 수율)의 결정을 수득하였다.
f) 대규모: 형태 A2의 시딩에 의한 메탄올에서의 냉각 결정화
82 L의 메탄올(7 Vol)을 250 L 반응기에 충전하고, 70℃의 외부 온도로 가온하였다. 11.72 kg의 약물 물질을 예비-가온된 (환류) 메탄올에 천천히 충전하였다. 대략 15 분 안에 고체가 완전히 용해되었다. 뜨거운 용액을 0.45 μm 카트리지로 여과하였다. 여액을 70℃에서 예비-가온된 세척된 반응기로 다시 채웠다. 온도 램프(ramp)가 시작되었다: 외부 온도가 + 70℃에서 -20℃까지 900 분 내에 감소하였다. 내부 온도가 50℃에 도달하면 시드 결정이 추가되었다(조 API에 대해 1 % wt/wt). 외부 온도가 -20℃에 도달하면 혼합물을 30 분 동안 교반한 후 고체를 여과로 단리하고, 케이크를 MeOH로 세척하고, 50℃에서 12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1H NMR (500 MHz, DMSO-d6) d 7.96 (s, 1H), 7.45 - 7.39 (m, 2H), 7.26 - 7.21 (m, 2H), 7.19 - 7.15 (m, 1H), 7.14 - 7.09 (m, 4H), 6.79 (dd, J = 16.7, 10.5 Hz, 1H), 6.09 (dd, J = 16.7, 2.4 Hz, 1H), 5.65 (dd, J = 10.5, 2.4 Hz, 1H), 5.61 - 5.50 (m, 2H), 5.19 (t, J = 6.4 Hz, 1H), 4.23 - 4.13 (m, 1H), 3.94 - 3.85 (m, 1H), 3.59 (dd, J = 21.1, 6.7 Hz, 2H), 3.24 (t, J = 12.9 Hz, 1H), 2.90 (t, J = 12.3 Hz, 1H), 1.77 - 1.67 (m, 2H), 1.67 - 1.47 (m, 2H).
g) 킬로-랩(Kilo-lab): 시딩 없이 형태 A2로의 메탄올에서의 냉각 결정화
2300 ml의 메탄올(6.5 Vol)을 5 L 오일 재킷형 반응기에 충전하고, ET = 70℃로 가온하였다. 353.2g의 조 약물을 예비-가온된 메탄올에 천천히 충전시켰다. IT가 58℃에 도달했을 때, 여전히 혼합물은, 용해되지 않은 물질이 존재하는 탁한 용액이었다. 추가로 180ml(0.5 Vol)의 메탄올을 첨가하고, ET를 75℃로 증가시켰다(IT = 62℃에서 환류). 대략 30 분 후에, 고체가 완전히 용해되고, 뜨거운 용액을 2.5 um 종이 필터(와트맨(Whatman) 42)에서 여과하였다. 여액을 70℃에서 예비-가온된 세척된 반응기로 다시 채웠다. 진공 여과 동안 일부 생성물이 침전되었기 때문에(탁한 용액이 관찰됨), 투명한 용액을 얻기 위해 ET를 75℃로 증가시켜야 하였다. 그 후, ET를 70℃로 낮추고, 온도 램프가 시작되었다: 외부 온도(ET)가 900 분 내에 +70℃에서 -20℃까지 됨.
실시예 4: 염 스크리닝의 제 1 설정을 위한 제조 공정
황산, 인산, 톨루엔 설폰산 및 숙신산을 사용하여 염 스크리닝의 제 1 설정을 수행하였다.
2-프로판올, 톨루엔 및 THF/물(0.5:1; v:v)에서의 화학양론적 1:1(염기:산) 조합을 사용한 냉각 결정화가 시작되었다. 약 20 mg API를 고온에서 용해시키고, 산을 용액에 각각의 양으로 투여하였다. 고체 산을 칭량하고, 고체로서 API 용액에 첨가하고, 액체 산을 각각의 용매에 용해시키고, 피펫으로 API 용액에 제공하였다. 어떤 경우에도 산 투여 후 자발적인 염 침전이 관찰되지 않았다. 그 후, 용액을 느린 냉각 속도, 예컨대 1 K/분(2-PrOH를 사용한 실험에서 3 배 사이클 가열 → 냉각 실행)로 5℃로 냉각하였다. 결정화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바이알을 냉장고에 추가 수 일 더 보관하였다. 아세톤 증발로부터의 결정화를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냉각 결정화로부터 고체 잔류물, 무정형 고체 잔류물 또는 모 형태 A1이 수득되지 않았다. 아세톤에서의 증발 결정화로부터 무정형 잔류물만이 수득되었다. 이들 잔류물은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다이에틸 에테르로 증기 확산 실험을 수행하여 추가로 처리하였다. 어떠한 경우에도 결정질 잔류물이 수득되지 않았다.
실시예 5: 신규 염 형태에 대한 제조 공정
a)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형태 HCl-NF1:
i) 아세톤으로부터의 실험 및 에탄올로부터 수득된 무정형 물질의 후속 결정화:
약 49 mg의 유리 염기 및 108 μL 염산(32 %, 아세톤에 1:10으로 희석됨)을 실온에서 2 mL 아세톤에 용해시켰다. 자발적인 침전은 관찰되지 않았다. 바이알을 개방하여 흄(fume) 후드에 두어 용매를 증발시켰다. 유리질 잔류물이 수득되었다. 이 잔류물에 1 mL 에탄올을 첨가하고, 투명한 용액을 50℃에서 수득하고, 이를 16 시간 내에 5℃로 냉각시켰다. 결정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투명한 용액이 담긴 바이알을 증기 확산 공정을 위한 항-용매 저장소로서 바닥에 다이에틸 에테르가 있는 밀폐된 더 큰 바이알에 개방하여 두었다. 다시, 유리질 잔류물이 수득되었다. 유리질 잔류물이 있는 용액에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형태 HCl-NF2의 시드 수 mg을 첨가하였다. 1 분 내에 백색 분말이 결정화되었다. 1 mL 다이에틸 에테르를 현탁액에 첨가하고, PE 원심 분리 바이알을 사용하여 원심 분리하여 고액 분리하였다.
ii) 에탄올로부터의 직접 실험:
약 1g의 유리 염기를 가열 플레이트의 수조 위의 10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환류 조건하에 10mL 에탄올에 완전히 용해시켰다. 22μL 염산 (32 %)을 첨가하여도 자발적인 침전이 관찰되지 않았다. 용액을 각각 70℃, 60℃, 50℃로 빠르게 냉각시켰다. 어떤 단계에서도 침전이 발생하지 않았다. 50℃ 및 40℃에서 수 mg의 HCl-NF1의 시드를 각각 용액에 첨가하였다. 두 온도에서 시드가 용해되었다. 용액을 20℃로 빠르게 냉각시켰고, 침전이 발생하지 않았다. 20℃에서 수 mg의 HCl-NF1 시드가 첨가되었고, 작은 부스러기가 형성되었다. 용액을 5℃로 빠르게 냉각시키고, 다시 수 mg의 HCl-NF1 시드를 첨가하였다. 탁한 용액이 수득되었다. 탁한 용액에 20 mL 다이에틸 에테르를 첨가하고, 미세한 현탁액이 관찰되었다. 20 mL 다이에틸 에테르를 추가로 첨가하면 유리 표면에 황색 반죽형 잔류물이 발생되었다. 그 후, 45 mL 다이에틸 에테르를 빠르게 첨가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끈적한 황색 잔류물을 스파툴라로 용액에 긁어 내고, 10 mL 다이에틸 에테르를 빠르게 투여하였다. 욕을 40℃로 가열하고, 끈적한 잔류물을 20 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배치를 1 시간 내에 40℃에서 5℃로 냉각시키고, 추가로 5mL 다이에틸 에테르를 25℃에서 첨가하였다. 미세한 백색 결정화물이 수득되었다. 고액 분리는 PE 원심 분리 바이알을 사용하여 원심 분리하여 수행되었다. 수득된 분말을 약 2 시간 동안 질소 유동 하에서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b)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2:
약 20mg의 유리 염기 및 45μL 염산(32 %, 아세톤에 1:10으로 희석)을 실온에서 0.8ml 아세톤에 용해시켰다. 자발적인 침전은 관찰되지 않았다. 바이알을 개방하여 흄 후드에 두어 용매를 증발시켰다. 유리질 잔류물이 수득되었다. 이 잔류물에 0.4 mL 에탄올을 첨가하고 투명한 용액을 50℃에서 얻어 16 시간 내에 5℃로 냉각시켰다. 결정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투명한 용액이 담긴 바이알을 증기 확산 공정을 위한 항-용매 저장소로서 바닥에 다이에틸 에테르가 있는 밀폐된 더 큰 바이알에 개방하여 두었다. 백색 잔류물이 수득되었고 PE 원심 분리 바이알을 사용하여 원심 분리하여 고액 분리하였다.
c)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 HCl-NF3:
약 25 mg의 유리 염기 및 56 μL 염산(32 %, 아세톤에 1:10으로 희석)을 0.8 mL 아세톤에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자발적인 침전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 용액에 250μL의 다이에틸 에테르를 적가하고, 이는 탁해졌다. 수 mg의 형태 HCl-NF1 시드와 추가로 250 μL 다이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였다. 수 분 후 백색 잔류물이 수득되었고 밤새 교반되었다. 수득된 현탁액을 PE 원심 분리 바이알을 사용하여 원심 분리하여 고체/액체로 분리하였다.
d) 하이드로브로마이드 염 형태 HBr-NF1:
약 51 mg의 유리 염기 및 133 μL 브롬화 수소산(48 %, 아세톤에 1:10으로 희석)을 실온에서 2 mL 아세톤에 용해시켰다. 자발적인 침전은 관찰되지 않았다. 바이알을 개방하여 흄 후드에 두어 용매를 증발시켰다. 유리질 잔류물이 수득되었다. 이 잔류물에 1 mL 에탄올을 첨가하고, 투명한 용액을 수득하였다. 투명한 용액이 담긴 바이알을 증기 확산 공정을 위한 항-용매 저장소로서 바닥에 다이에틸 에테르가 있는 밀폐된 더 큰 바이알에 개방하여 두었다. 다시, 유리질 잔류물이 수득되었다. 유리질 잔류물이 있는 용액에 수 mg의 하이드로브로마이드 염 형태 HBr-NF2 시드를 첨가하였다. 1 분 안에 백색 분말이 결정화되었다. 1 mL 다이에틸 에테르를 현탁액에 첨가하고, PE 원심 분리 바이알을 사용하여 원심 분리하여 고액 분리하였다.
e) 하이드로브로마이드 염 형태 HBr-NF2:
약 20 mg의 유리 염기 및 50 μL 브롬화 수소산(48 %, 아세톤에서 1:10으로 희석)을 0.8 mL 아세톤에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자발적인 침전은 관찰되지 않았다. 바이알을 개방하여 흄 후드에 두어 용매를 증발시켰다. 유리질 잔류물이 수득되었다. 이 잔류물에 0.4 mL 에탄올을 첨가하고, 투명한 용액을 50℃에서 얻어 16 시간 내에 5℃로 냉각시켰다. 결정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투명한 용액이 담긴 바이알을 증기 확산 공정을 위한 항-용매 저장소로서 바닥에 다이에틸 에테르가 있는 밀폐된 더 큰 바이알에 개방하여 두었다. 백색 잔류물이 수득되었고, PE 원심 분리 바이알을 사용하여 원심 분리하여 고액 분리하였다.
f) 옥살레이트 염 형태 옥살레이트-NF1:
i) 아세톤으로부터의 실험 및 에탄올로부터 수득된 무정형 물질의 후속 결정화:
약 19mg의 유리 염기를 실온에서 0.8mL 아세톤에 용해시키고, 5 mg 옥살산을 용액에 첨가하였다. 자발적인 침전은 관찰되지 않았다. 바이알을 개방하여 흄 후드에 두어 용매를 증발시켰다. 유리질 잔류물이 수득되었다. 이 잔류물에 0.4 mL 에탄올을 첨가하고, 투명한 용액을 50℃에서 얻어 16 시간 내에 5℃로 냉각시켰다. 결정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투명한 용액이 담긴 바이알을 증기 확산 공정을 위한 항-용매 저장소로서 바닥에 다이에틸 에테르가 있는 밀폐된 더 큰 바이알에 개방하여 두었다. 백색 잔류물이 수득되었고, PE 원심 분리 바이알을 사용하여 원심 분리하여 고액 분리하였다.
ii) 항-용매 침전(anti-solvent precipitation)에 의한 아세톤으로부터의 직접 실험:
약 989 mg 유리 염기를 가열 플레이트의 수조 위의 2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환류 조건하에 15 mL 아세톤에 완전히 용해시켰다. 1 mL 아세톤에 용해된 202 mg 옥살산을 첨가함으로써 자발적인 침전이 관찰되지 않았다. 수 mg의 옥살레이트-NF1 시드를 첨가하여 탁한 용액을 수득하였다. 수조의 온도를 60℃로 설정하고, 추가 mg의 형태 옥살레이트-NF1 시드를 추가하였다. 수조의 온도를 40℃로 낮추고, 미세한 백색 입자가 포함된 투명한 용액이 관찰되었다. 5℃(수조)의 온도에서 미세한 백색 입자와 어두운 덩어리가 있는 투명한 용액이 수득되었다. 용액에 25 mL 다이에틸 에테르를 적가하고, 첨가하는 동안 용액은 국소적인 백색 침전, 그 후 탁한 용액, 및 마지막으로 유리 벽 상의 끈적한 황색 잔류물을 나타냈다. 추가 100 mL 다이에틸 에테르의 빠른 투여 후, 탁한 백색 용액 및 벽 상의 끈적한 황색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추가의 수 mg의 형태 옥살레이트-NF1 시드 및 10 mL 다이에틸 에테르를 현탁액에 첨가하고 실온으로 가열하였다. 수득된 백색 현탁액을 다시 5℃로 냉각시켰다. 이 온도에서, 고액 분리는 PE 원심 분리 바이알을 사용하여 원심 분리하여 수행되었다. 수득된 분말을 약 2 시간 동안 질소 유동 하에서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g) 말레에이트 염 형태 말레에이트-NF1:
i) THF/물로부터의 실험 및 2-프로판올로부터 수득된 무정형 물질의 후속 결정화:
약 21mg의 유리 염기를 50℃에서 500μL THF + 1mL 물의 혼합물에 용해시켰다. 6mg 말레 산을 용액에 첨가하였다. 자발적인 침전은 관찰되지 않았다. 용액을 5℃로 냉각시켰고, 결정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바이알을 개방하여 흄 후드에 두어 용매를 증발시켰다. 유리질 잔류물이 수득되었다. 이 잔류물을 50℃에서 2-프로판올에 용해시키고, 다시 5℃로 냉각시켰다. 결정화가 발생하지 않았고, 바이알을 냉장고에 넣었다. 수 일 후 백색 잔류물이 수득되었고, PE 원심 분리 바이알을 사용하여 원심 분리하여 고액 분리하였다.
ii) 냉각 결정화에 의한 톨루엔으로부터의 직접 실험:
약 19mg의 유리 염기를 80℃ 및 약 1mL 톨루엔에 용해시켰다. 5mg 말레 산을 용액에 첨가하였다. 자발적인 침전은 관찰되지 않았다. 용액을 5℃로 냉각시켰다. 백색 분말을 얻고 PE 원심 분리 바이알을 사용하여 원심 분리하여 고액 분리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d 8.16 (s, 1H), 7.46 - 7.41 (m, 2H), 7.27 - 7.24 (m, 2H), 7.21 - 7.17 (m, 1H), 7.16 - 7.11 (m, 4H), 6.80 (dd, J = 16.7, 10.5 Hz, 1H), 6.40 - 6.21 (m, 2H), 6.12 (s, 2H), 6.09 (dd, J = 16.7, 2.4 Hz, 1H), 5.66 (dd, J = 10.4, 2.4 Hz, 1H), 4.25 - 4.16 (m, 1H), 3.96 - 3.86 (m, 1H), 3.61 (dd, J = 20.6, 6.4 Hz, 2H), 3.28 - 3.21 (m, 1H), 2.93 - 2.85 (m, 1H), 1.76 - 1.68 (m, 2H), 1.67 - 1.47 (m, 2H)
h) 말레에이트 염 형태 말레에이트-NF2:
약 19mg의 유리 염기를 실온에서 0.8mL 아세톤에 용해시키고 5mg 말레 산을 용액에 첨가하였다. 자발적인 침전은 관찰되지 않았다. 바이알을 개방하여 흄 후드에 두어 용매를 증발시켰다. 유리질 잔류물이 수득되었다. 이 잔류물에 0.4 mL 에탄올을 첨가하고, 투명한 용액을 50℃에서 얻어 16 시간 내에 5℃로 냉각시켰다. 결정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투명한 용액이 담긴 바이알을 증기 확산 공정을 위한 항-용매 저장소로서 바닥에 다이에틸 에테르가 있는 밀폐된 더 큰 바이알에 개방하여 두었다. 백색 잔류물이 수득되었고, PE 원심 분리 바이알을 사용하여 원심 분리하여 고액 분리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d 8.14 - 8.10 (m, 1H), 7.45 - 7.41 (m, 2H), 7.27 - 7.24 (m, 2H), 7.21 - 7.16 (m, 1H), 7.16 - 7.09 (m, 4H), 6.80 (dd, J = 16.7, 10.5 Hz, 1H), 6.10 (s, 2H), 6.11 - 6.07 (m, 1H), 6.30 - 5.76 (m, 2H), 5.66 (dd, J = 10.5, 2.4 Hz, 1H), 4.23 - 4.16 (m, 1H), 3.94 - 3.86 (m, 1H), 3.60 (dd, J = 20.7, 6.5 Hz, 2H), 3.46 - 3.37 (m, 1H), 2.93 - 2.85 (m, 1H), 1.75 - 1.67 (m, 2H), 1.67 - 1.46 (m, 2H)
i)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1:
약 6mg의 푸마레이트-NF2를 40μL 알루미늄 팬으로 칭량하고, 탈용매화를 위해 DSC 오븐에서 약 130℃로 가열하였다. 50 mL/분의 질소 퍼지 가스를 사용하여 5 K/분의 가열 속도로 메틀러-톨레도 DSC 821e에서 DSC 수행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6) d 7.96 (s, 1H), 7.45 - 7.40 (m, 2H), 7.25 - 7.22 (m, 2H), 7.20 - 7.15 (m, 1H), 7.14 - 7.10 (m, 4H), 6.79 (dd, J = 16.7, 10.5 Hz, 1H), 6.58 (s, 2H), 6.09 (dd, J = 16.7, 2.5 Hz, 1H), 5.65 (dd, J = 10.5, 2.4 Hz, 1H), 5.59 - 5.52 (m, 2H), 5.20 (t, J = 6.4 Hz, 1H), 4.21 - 4.15 (m, 1H), 3.93 - 3.85 (m, 1H), 3.58 (dd, J = 21.0, 6.5 Hz, 2H), 3.40 - 3.18 (m, 1H), 2.94 - 2.86 (m, 1H), 1.74 - 1.67 (m, 2H), 1.65 - 1.48 (m, 2H)
j)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2:
약 20mg의 유리 염기를 80℃ 및 약 1mL 톨루엔에 용해시켰다. 5mg의 푸마르산을 용액에 첨가하였다. 자발적인 침전은 관찰되지 않았다. 용액을 5℃로 냉각시켰다. 백색 분말을 얻고, PE 원심 분리 바이알을 사용하여 원심 분리하여 고액 분리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d 7.96 (s, 1H), 7.44 - 7.39 (m, 2H), 7.27 - 7.22 (m, 2H), 7.19 - 7.10 (m, 5H), 6.79 (dd, J = 16.7, 10.5 Hz, 1H), 6.62 (s, 2H), 6.09 (dd, J = 16.7, 2.4 Hz, 1H), 5.65 (dd, J = 10.5, 2.4 Hz, 1H), 5.60 - 5.51 (m, 2H), 5.20 (t, J = 6.4 Hz, 1H), 4.22 - 4.15 (m, 1H), 3.93 - 3.86 (m, 1H), 3.62 - 3.55 (m, 2H), 3.25 (s, 1H), 2.94 - 2.86 (m, 1H), 1.75 - 1.66 (m, 2H), 1.66 - 1.47 (m, 2H)
k)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3:
약 20mg의 유리 염기를 실온에서 0.8mL 아세톤에 용해시키고, 5mg의 푸마르산을 용액에 첨가하였다. 자발적인 침전은 관찰되지 않았다. 바이알을 개방하여 흄 후드에 두어 용매를 증발시켰다. 유리질 잔류물 및 회백색 분말의 일부가 수득되었다. PE 원심 분리 바이알을 사용하여 원심 분리하여 고체/액체를 분리한 후 회백색 분말을 추출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d 7.96 (s, 1H), 7.44 - 7.40 (m, 2H), 7.25 - 7.22 (m, 2H), 7.19 - 7.15 (m, 1H), 7.14 - 7.10 (m, 4H), 6.79 (dd, J = 16.7, 10.5 Hz, 1H), 6.62 (s, 2H), 6.09 (dd, J = 16.7, 2.4 Hz, 1H), 5.65 (dd, J = 10.5, 2.4 Hz, 1H), 5.58 - 5.54 (m, 2H), 5.20 (t, J = 6.4 Hz, 1H), 4.22 - 4.15 (m, 1H), 3.93 - 3.86 (m, 1H), 3.64 - 3.55 (m, 2H), 3.27 - 3.19 (m, 1H), 2.95 - 2.86 (m, 1H), 1.75 - 1.67 (m, 2H), 1.66 - 1.47 (m, 2H)
l)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4:
약 50mg의 유리 염기를 실온에서 2.5mL 2-프로판올에 용해시키고, 13 mg 푸마르산을 용액에 첨가하였다. 자발적인 침전은 관찰되지 않았다. 바이알을 개방하여 흄 후드에 두어 용매를 증발시켰다. 유리질 잔류물이 수득되었다. 2-프로판올을 첨가하여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PE 원심 분리 바이알을 사용하여 원심 분리하여 고액 분리하였다.
m)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5(푸마레이트-NF1과의 혼합물):
약 20 mg 유리 염기, 5 mg 푸마르산 및 1 mL 2-프로판올의 원래 조성을 갖는 2-프로판올 중 푸마레이트 염 결정화 실험의 투명 모액을 실온에서 증발시켰다. 유리질 잔류물과 일부 백색 결정이 수득되었다. 분석을 위해 백색 결정을 추출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d 7.96 (s, 1H), 7.45 - 7.39 (m, 2H), 7.26 - 7.22 (m, 2H), 7.19 - 7.14 (m, 1H), 7.14 - 7.10 (m, 4H), 6.80 (dd, J = 16.7, 10.5 Hz, 1H), 6.62 (s, 2H), 6.09 (dd, J = 16.7, 2.4 Hz, 1H), 5.65 (dd, J = 10.5, 2.4 Hz, 1H), 5.60 - 5.53 (m, 2H), 5.20 (t, J = 6.4 Hz, 1H), 4.22 - 4.14 (m, 1H), 3.94 - 3.85 (m, 1H), 3.58 (dd, J = 21.0, 6.4 Hz, 2H), 3.28 - 3.19 (m, 1H), 2.95 - 2.86 (m, 1H), 1.75 - 1.67 (m, 2H), 1.66 - 1.48 (m, 2H)
n) 메실레이트 염 형태 메실레이트-NF1:
약 20mg의 유리 염기를 실온에서 0.8mL 아세톤에 용해시키고, 용액에 3 μL 메탄 설폰산을 첨가하였다. 자발적인 침전은 관찰되지 않았다. 바이알을 개방하여 흄 후드에 두어 용매를 증발시켰다. 유리질 잔류물이 수득되었다. 이 잔류물에 0.4 mL 에탄올을 첨가하고 투명한 용액을 50℃에서 얻어 16 시간 내에 5℃로 냉각시켰다. 결정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투명한 용액이 담긴 바이알을 증기 확산 공정을 위한 항-용매 저장소로서 바닥에 다이에틸 에테르가 있는 밀폐된 더 큰 바이알에 개방하여 두었다. 백색 잔류물이 수득되었고 PE 원심 분리 바이알을 사용하여 원심 분리하여 고액 분리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d 8.30 (s, 1H), 7.47 - 7.42 (m, 2H), 7.29 - 7.25 (m, 2H), 7.22 - 7.18 (m, 1H), 7.18 - 7.11 (m, 4H), 6.92 - 6.69 (m, 2H), 6.81 (dd, J = 16.7, 10.5 Hz, 1H), 6.10 (dd, J = 16.7, 2.4 Hz, 1H), 5.67 (dd, J = 10.4, 2.4 Hz, 1H), 4.27 - 4.19 (m, 1H), 3.97 - 3.88 (m, 1H), 3.69 - 3.57 (m, 2H), 3.28 - 3.19 (m, 1H), 2.92 - 2.83 (m, 1H), 2.30 (s, 3H), 1.76 - 1.67 (m, 2H), 1.67 - 1.46 (m, 2H)
실시예 6: 유리 염기 형태의 용해도 데이터
37℃의 유리 염기 형태 A1 및 A2의 열역학적 용해도 데이터
약 10-20 mg의 1-(4-{[6-아미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메틸}-4-플루오로-피페리딘-1-일)-프로펜온을 4 mL 유리 바이알로 칭량하였다. 1mL의 FaSSIF 배지(pH 6.5) 또는 USP 포스페이트 완충액 pH 7.4를 첨가하고, 현탁액을 37℃에서 450rpm에서 24 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1 시간, 6 시간 후 및 24 시간 후 바이알에 용해되지 않은 화합물이 있는지 확인하고, pH를 측정하였다. 필요한 경우 1 시간 및 6 시간 후에 pH를 조정하였다. 고체 액체 분리는 1mL 주사기와 0.2μm 주사기 필터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용해된 API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적절한 희석 후에 투명한 여액을 HPLC로 분석하였다.
열역학적 용해도 측정 결과가 하기에 요약되어 있다.
Figure pct00019
실시예 7: 신규 염 형태 대 모 화합물의 미니-용해 데이터
약 10-20 mg의 1-(4-{[6-아미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메틸}-4-플루오로-피페리딘-1-일)-프로페온을 유리 바이알로 칭량하였다. 7 mL의 FaSSIF 배지(pH 6.5, 37℃로 예비-가온됨)를 첨가하고 현탁액을 37℃에서 450rpm으로 진탕시켰다. 30 분, 60 분, 120 분 후 1 mL 현탁액을 빼내고, 0.2 μm 주사기 필터를 통해 여과하였다. 용해된 API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적절한 희석 후 투명한 여액을 HPLC로 분석하였다.
미니 용해 연구의 결과가 하기에 요약되어 있다.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본 발명의 다수의 양태가 본원에 기재되는 한편, 기본적인 예들이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방법을 이용하는 다른 양태를 제공하도록 변경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예시된 특정 양태보다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Claims (22)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Figure pct00022
    .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형이 결정질 무수 형태 A2인, 고체형.
  3. 제 2 항에 있어서,
    17.0 ± 0.2°, 18.7 ± 0.2°, 및 21.7 ± 0.2°에서의 2개 이상의 2θ XRPD 피크로 특징지어지는 결정 형태 A2인 고체형.
  4. 제 2 항에 있어서,
    형태 A2가 7.5 ± 0.2°, 10.8 ± 0.2°, 17.0 ± 0.2°, 17.5 ± 0.2°, 18.7 ± 0.2°, 20.5 ± 0.2°, 21.7 ± 0.2°, 22.3 ± 0.2°, 23.6 ± 0.2°, 및 24.0 ± 0.2°에서의 4개 이상의 2θ XRPD 피크로 특징지어지는, 고체형.
  5. 제 2 항에 있어서,
    a = 9.5 ± 0.1 Å, b = 10.7 ± 0.1 Å, c = 12.8 ± 0.1 Å, 및 α = 71.0 ± 0.1°, β = 68.9 ± 0.1°, γ = 71.9 ± 0.1°의 격자 매개변수를 갖는 공간군(monoclinic space group) P-1을 갖는 결정 형태 A2인 고체형.
  6. 제 1 항에 있어서,
    17.1 ± 0.2°, 17.4 ± 0.2°, 18.8 ± 0.2°, 20.0 ± 0.2°, 및 21.1 ± 0.2°에서의 2개 이상의 2θ XRPD 피크로 특징지어지는 결정 형태 A1인 고체형.
  7. 제 6 항에 있어서,
    형태 A1이 17.1 ± 0.2°, 17.4 ± 0.2°, 18.8 ± 0.2°, 20.0 ± 0.2°, 및 21.1 ± 0.2°에서의 4개 이상의 2θ XRPD 피크로 특징지어지는, 고체형.
  8. 제 1 항에 있어서,
    a = 12.8 ± 0.1 Å, b = 12.9 ± 0.1 Å, c = 28.6 ± 0.1 Å, 및 β = 98.0 ± 0.1°(이때 α = γ = 90°)의 격자 매개변수를 갖는 공간군 P21/n을 갖는 결정 형태 A1인 고체형.
  9.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HCl 염 HCl-NF1, 화학식 1의 화합물의 HCl 염 HCl-NF2, 화학식 1의 화합물의 HCl 염 HCl-NF3, 화학식 1의 화합물의 HBr 염 HBr-NF1, 화학식 1의 화합물의 HBr 염 HBr-NF2,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옥살레이트 염 형태 옥살레이트-NF1,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말레에이트 염 형태 말레에이트-NF1,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말레에이트 염 형태 말레에이트-NF2,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1,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2,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3,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4,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푸마레이트 염 형태 푸마레이트-NF5, 및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메실레이트 염 형태 메실레이트-NF1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체형.
  10. 제 9 항에 있어서,
    15.7 ± 0.2°, 19.1 ± 0.2°, 20.3 ± 0.2°, 및 20.8 ± 0.2°에서의 2개 이상의 2θ XRPD 피크로 특징지어지는 HCl-NF1 염.
  11. 제 9 항에 있어서,
    7.8 ± 0.2°, 13.0 ± 0.2°, 및 15.6 ± 0.2°에서의 2개 이상의 2θ XRPD 피크로 특징지어지는 HCl-NF2 염.
  12. 제 9 항에 있어서,
    14.8 ± 0.2°, 16.8 ± 0.2°, 20.1 ± 0.2°, 및 20.4 ± 0.2°에서의 2개 이상의 2θ XRPD 피크로 특징지어지는 HCl-NF3 염.
  13. 제 9 항에 있어서,
    6.9 ± 0.2°, 19.1 ± 0.2°, 20.4 ± 0.2°, 20.8 ± 0.2°, 및 21.9 ± 0.2°에서의 2개 이상의 2θ XRPD 피크로 특징지어지는 HBr-NF1 염.
  14. 제 9 항에 있어서,
    4.9 ± 0.2°, 13.2 ± 0.2°, 및 20.0 ± 0.2°에서의 2개 이상의 2θ XRPD 피크로 특징지어지는 HBr-NF2 염.
  15. 제 9 항에 있어서,
    16.2 ± 0.2°, 17.7 ± 0.2°, 18.6 ± 0.2°, 21.1 ± 0.2°, 및 21.3 ± 0.2°에서의 2개 이상의 2θ XRPD 피크로 특징지어지는 옥살레이트-NF1 염.
  16. 제 9 항에 있어서,
    18. 1 ± 0.2°, 19.1 ± 0.2°, 20.8 ± 0.2°, 및 24.8 ± 0.2°에서의 2개 이상의 2θ XRPD 피크로 특징지어지는 말레에이트-NF1 염.
  17. 제 9 항에 있어서,
    10.8 ± 0.2°, 17.1 ± 0.2°, 19.2 ± 0.2°, 및 20.7 ± 0.2°에서의 2개 이상의 2θ XRPD 피크로 특징지어지는 말레에이트-NF2 염.
  18. 제 9 항에 있어서,
    9.0 ± 0.2°, 17.0 ± 0.2°, 18. ± 0.2°4, 및 22.1 ± 0.2°에서의 2개 이상의 2θ XRPD 피크로 특징지어지는 푸마레이트-NF1 염.
  19. 제 9 항에 있어서,
    18.7 ± 0.2°, 19.5 ± 0.2°, 및 21.1 ± 0.2°에서의 2개 이상의 2θ XRPD 피크로 특징지어지는 메실레이트-NF1 염.
  20. 제 1 항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제(adjuvant), 담체 또는 비히클(vehicle)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21. 제 1 항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을 BTK-매개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환자의 BTK-매개 장애의 치료 방법.
  22. 제 1 항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고체형 또는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BTK-매개 장애의 예방용 또는 치료용 약물의 제조를 위한 용도.
KR1020217001602A 2018-06-19 2019-06-17 1-(4-{[6-아미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메틸}-4-플루오로-피페리딘-1-일)-프로펜온의 신규한 결정 형태, 이의 염 형태, 및 이를 수득하는 방법 KR202100226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86797P 2018-06-19 2018-06-19
US62/686,797 2018-06-19
PCT/EP2019/065815 WO2019243223A1 (en) 2018-06-19 2019-06-17 Novel crystalline forms of 1-(4-{[6-amino-5-(4-phenoxy-phenyl)-pyrimidin-4-ylamino]-methyl}-4-fluoro-piperidin-1-yl)-propenone, salt forms thereof, and processes to obta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674A true KR20210022674A (ko) 2021-03-03

Family

ID=67003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602A KR20210022674A (ko) 2018-06-19 2019-06-17 1-(4-{[6-아미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메틸}-4-플루오로-피페리딘-1-일)-프로펜온의 신규한 결정 형태, 이의 염 형태, 및 이를 수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11878967B2 (ko)
EP (1) EP3810590A1 (ko)
JP (1) JP2021527685A (ko)
KR (1) KR20210022674A (ko)
CN (1) CN112313214A (ko)
AU (1) AU2019289628A1 (ko)
BR (1) BR112020025881A2 (ko)
CA (1) CA3104191A1 (ko)
CL (1) CL2020003272A1 (ko)
IL (1) IL279485A (ko)
MX (1) MX2020013321A (ko)
SG (1) SG11202012595PA (ko)
WO (1) WO20192432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24314A1 (en) * 2020-01-08 2024-01-25 Telios Pharma, Inc. Methods of Treating Splenomegaly
KR20220130151A (ko) * 2020-01-08 2022-09-26 텔리오스 파마, 인크. 비장비대의 치료 방법
KR20230022991A (ko) 2020-06-10 2023-02-16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조종 가능한 안테나 및 조종 가능한 안테나의 가열 및/또는 템퍼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33771C (en) 2011-06-10 2021-08-03 Merck Patent Gmbh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pyrimidine and pyridine compounds with btk inhibitory activity
US9296753B2 (en) 2012-06-04 2016-03-29 Pharmacyclics Llc Crystalline forms of a Bruton's tyrosine kinase inhibitor
CN103694241A (zh) 2013-11-27 2014-04-02 苏州晶云药物科技有限公司 Pci-32765的新晶型a及其制备方法
WO2016139588A1 (en) 2015-03-03 2016-09-09 Dr. Reddy's Laboratories Limited Polymorphs of ibrutinib
EP3277688B1 (en) * 2015-04-02 2019-05-08 ratiopharm GmbH Co-crystals of ibrutinib
KR20180073599A (ko) * 2015-11-04 2018-07-02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Btk 억제 활성을 갖는 피리미딘 및 피리딘 화합물을 사용하여 암 치료하는 방법
NZ741294A (en) * 2015-11-17 2023-07-28 Merck Patent Gmbh Methods for treating multiple sclerosis using pyrimidine and pyridine compounds with btk inhibitory activity
US10464923B2 (en) 2017-02-27 2019-11-05 Merck Patent Gmbh Crystalline forms of 1-(4-{[6-amino-5-(4-phenoxy-phenyl)-pyrimidin-4-ylamino]-methyl}-piperidin-1-yl)-propen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32472A1 (en) 2024-04-25
WO2019243223A1 (en) 2019-12-26
JP2021527685A (ja) 2021-10-14
BR112020025881A2 (pt) 2021-03-23
EP3810590A1 (en) 2021-04-28
CL2020003272A1 (es) 2021-05-07
MX2020013321A (es) 2021-02-22
SG11202012595PA (en) 2021-01-28
US20210261525A1 (en) 2021-08-26
IL279485A (en) 2021-01-31
US11878967B2 (en) 2024-01-23
AU2019289628A1 (en) 2021-02-04
CN112313214A (zh) 2021-02-02
CA3104191A1 (en)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3267B1 (ko) 1-(4-{[6-아미노-5-(4-페녹시-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메틸}-피페리딘-1-일)-프로펜온의 신규한 결정형
US9969710B2 (en) Heteroaryl compounds as IRAK inhibitors and uses thereof
EP3253764B1 (en) Macrocyclic compounds as irak1/4 inhibitors and uses thereof
JP2018531225A6 (ja) Irak阻害剤としてのヘテロアリール化合物及びその使用
US20240132472A1 (en) Novel crystalline forms of 1-(4-{[6-amino-5-(4-phenoxy-phenyl)-pyrimidin-4-ylamino]-methyl}-4-fluoro-piperidin-1-yl)-propenone, salt forms thereof, and processes to obtain
CA3092625A1 (en) Heteroaryl compounds as type ii irak inhibitors and uses thereof
EA041566B1 (ru) Новые кристаллические формы 1-(4-([6-амино-5-(4-фенокси-фенил)-пиримидин-4-иламино]-метил)-пиперидин-1-ил)-пропенон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