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1020A - 차량 시트용 등받이 및 등받이 헤드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등받이 및 등받이 헤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1020A
KR20210021020A KR1020217000973A KR20217000973A KR20210021020A KR 20210021020 A KR20210021020 A KR 20210021020A KR 1020217000973 A KR1020217000973 A KR 1020217000973A KR 20217000973 A KR20217000973 A KR 20217000973A KR 20210021020 A KR20210021020 A KR 20210021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upport element
vehicle seat
headres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1079B1 (ko
Inventor
토마스 비터만
요헨 호프만
마르셀 암슈타인
요르그 그롭
재클린 알브레히트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코부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코부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코부르크
Publication of KR20210021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the back-rest having two or mo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02/0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 B60N2002/0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transversal axis
    • B60N2002/02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등받이(1)에 관한 것으로, 어깨 영역에서 시트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1) 헤드(LK) 지지 요소(3)가 제공될 수 있는 등받이 프레임(2)을 포함한다. 특히, 지지 요소(3)는, 외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지지 요소(3)에 배치되는 구동 유닛(6) 및 이 구동 유닛(6)과 상호 작용하는 레버 기구(5)를 통해 회전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등받이 및 등받이 헤드 모듈
제안된 해결 방안은, 등받이 프레임 및 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및 등받이 헤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차량 시트의 등받이는 일반적으로 시트 부분에 대해 경사지게 조절 가능하다. 추가로, 특히, 고급 차량을 위한 장비의 경우에, 등받이의 상측 영역, 즉 등받이 헤드의 경사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 조절은 예컨대 분할된 등받이 프레임, 또는 등받이에 추가로 장착되는 부품으로 실현된다. 조절 범위는 통상적으로 10°내지 18°이다.
이러한 해결 방안은 예컨대 DE 199 17 050 A1에서 찾을 수 있다. 이 경우, 개별적인 등받이 프레임을 갖는 등받이 헤드는 등받이의 2개의 상호 대향 등받이 측방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 가능한 장착은 여기서 간단한 회전 베어링을 통해 이루어진다. 차량 시트의 시트 벨트의 리트랙터(retractor)가 등받이에 통합된다. 등받이 헤드는 리트랙터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리트랙터는 여기서 한 등받이 측방 부분에 고정된다.
예컨대 DE 199 17 050 A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등받이의 경우에, 등받이 헤드는 20°이상으로 쉽게 회전될 수 없다. 그러나, 특히, 자율 주행 차량의 경우에, 등받이의 상측 영역이 20°이상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 편안함의 이유로 바람직하다. 등받이 헤드 또는 이 등받이 헤드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기구의 회전 가능한 장착에 대한 상세는 DE 199 17 050 A1에 나타나 있지 않다. 개시되어 있는 바로서, 등받이 헤드는 힌지 장치를 통해 등받이의 등받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등받이 헤드의 조절을 위해 제어 로드가 등받이 헤드의 탭에 작용한다.
그러므로 제안된 해결 방안의 목적은 개선된 등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9의 등받이 및 청구항 24의 등받이 헤드 모듈로 달성된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차량 시트용 등받이가 제공되며, 이는 등받이 프레임을 포함하고, 이 등받이 프레임에는 등받이의 등받이 헤드의 지지 요소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지지 요소는 어깨 영역에서 시트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지지 요소는, 지지 요소에 배치되는 구동 유닛 및 이 구동 유닛과 상호 작용하는 레버 기구를 통해 외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지지 요소에 배치되고 외력에 의한 그 지지 요소의 조절을 위한 구동 유닛과, 구동 유닛과 상호 작용하고 이 구동 유닛으로 생긴 조절력을 지지 요소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레버 기구의 조합에 의해, 지지 요소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기구는 비교적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레버 기구의 사용으로, 지지 요소의 회전 동안에 지지 요소에 작용하는 조절력의 힘 값 및/또는 힘 프로파일이 비교적 정밀하게 규정될 수 있고, 요구되는 구성에 따라, 레버 기구에 사용되는 레버의 길이를 변화시켜 간단히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등받이 헤드의 지지 요소를 위해 20°이상의 큰 회전 범위가 또한 레버 기구에 의해 쉽게 실현될 수 있다.
등받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지지 요소는 예컨대 지지면을 갖는다. 이 지지면은 등받이의 등받이 쿠션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하도록 설계되고 제공되며, 일 실시 형태에서, 등받이를 형성하는 등받이 측방 부분의 두 등받이 길이방향 측부 사이에 존재하는 등받이 프레임의 영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지지 요소는 예컨대, 지지면을 형성하고 등받이의 상측 삼분의 일 부분에 있는 등받이 프레임의 중심 영역에 걸쳐 있는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요소의 지지면은 등받이의 등받이 쿠션의 적어도 일부분의 편평한 접촉을 허용하고, 등받이를 구비하는 차량 시트의 정확한 사용 동안에 시트 사용자는 그의 등의 상측 삼분의 일 부분 및 따라서 어깨의 영역에서 등받이 쿠션에 지지된다.
한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요소가 구동 유닛을 통해 병진 운동적으로 조절 가능하고, 지지 요소를 외력에 의해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 요소는 구동 유닛에 의해 생긴 조절력을 레버 기구에 전달한다. 구동 유닛, 특히 예컨대, 전동 구동 유닛을 통해, 구동 요소는 등받이 프레임에서의 지지 요소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직선형 구동 축선을 따라 조절된다.
구동 유닛의 병진 운동적 조절이 레버 기구를 통해 지지 요소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 기구는 구동 요소의 병진 운동적 조절을 지지 요소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레버 기구는 예컨대 크랭크 기구의 일부분으로서 설계되며, 구동 축선을 따른 구동 요소의 직선형 조절 운동이 그 크랭크 기구를 통해, 등받이 프레임에 규정되어 있는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지지 요소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 기구는 예컨대 크랭크 록커 운동 기구에 기반하여 지지 요소를 조절할 수 있다.
원리적으로, 구동 유닛과 상호 작용하는 레버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레버는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된다. 특히, 따라서, 그러한 레버는, 외력에 의해 병진 운동적으로 조절 가능한 구동 요소에 의해 등받이 프레임상의 지지 요소의 회전 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한 가능한 실시 형태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크랭크 기구의 일부분일 수 잇다.
한 실시 형태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는 레버 기구의 연결 요소에 추가로 연결되고, 이 연결 요소는 지지 요소에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레버 기구(및 지지 요소에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 요소)는 통상적으로 지지 요소의 후방측에 제공되며, 이 후방측은 등받이의 등받이 쿠션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한다. 연결 요소는 여기서 예컨대 회전 베어링을 통해 지지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연결 요소는 지지 요소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연결 요소는 슬롯형 안내 기구의 추가의 연결된 레버 또는 부분일 수 있다.
특히,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가 지지 요소에 연결되는 연결 요소에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일 실시 형태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되는, 레버 기구의 적어도 하나의 레버는 V-형이다. 여기서 V-형 레버는, 서로에 대해 180°외의 각도를 이루는 2개의 림을 갖는 레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컨대, 레버 기구의 V-형(피봇) 레버의 림들은 서로에 대해 70°내지 140°의 각도로 배향된다.
한 실시 형태에서, 구동 유닛에 의해 병진 운동적으로 조절 가능한 구동 요소가, V-형 레버의 좌굴점의 영역에서 외력에 의해 지지 요소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 유닛에 의해 생긴 조절력이 V-형 레버에 전달되도록 레버 기구와 상호 작용하고, 레버의 V-형을 규정하는 림(limb)들이 좌굴점에서 서로에 연결되어 있다. 좌굴점의 다른 측에 위치되는 레버의 두 림의 단부는 예컨대 등받이 프레임 또는 지지 요소에 관절식으로 각각 연결된다. 다시 말해, 한 림의 한 단부는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되고, 다른 림의 단부는 연결 요소에 연결되며, 이 연결 요소는 지지 요소에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좌굴점의 병진 운동 조절로 좌굴점의 영역에 또한 그래서 두 연결된 림 단부 사이에 도입되는 조절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V-형 레버의 회전 운동이 일어나고 그래서 등받이 프레임에 대한 지지 요소(레버에 연결됨)의 회전 운동이 일어나게 된다.
이미 위에서 논의되었고 연결 요소가 지지 요소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연결 요소는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안내 슬롯을 통해 지지 요소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연결 요소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상호 대향 안내 슬롯을 통해 지지 요소에서 변위 가능하다는 사실을 포함한다. 레버 기구에 작용하고 구동 유닛에 의해 생기는 조절력의 경우에, 지지 요소에 제공되어 있는 2개의 안내 슬롯을 따른 연결 요소의 슬롯 안내 변위가 일어나게 된다.
원리적으로, 구동 유닛과 상호 작용하는 레버 기구는 각기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 기구 및 이를 통해 조절 가능한 지지 요소를 위한 2개의 지지점 및 베어링 점이 이렇게 해서 등받이 프레임에 제공된다. 여기서 구동 요소는, 각 경우에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되는 레버의 동기적인 조절을 위해, 레버 기구의 요소에 작용할 수 있고,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레버가 그 요소를 통해 서로에 연결된다.
조절력을 전달하기 위해 구동 요소가 작용하는 요소는 특히 지지 요소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안내 슬롯을 통해) 연결 요소일 수 있다. 한 실시 형태에서, 조절력을 레버 기구에 전달하기 위해 구동 요소가 작용하는 요소는, 연결 요소와 다른 요소이다. 예컨대, 각기 V-형으로 되어 있는 레버의 경우에, 이 요소는 각 경우에 레버의 두 림이 서로에 연결되는 좌굴점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각 경우에 단부에서 연결되는 V-형 레버의 경우에, 등받이의 준비를 위해 등받이 프레임에서 지지 요소를 후방측으로부터 향하는 공간 방향에 대해 앞쪽 또는 뒤쪽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 요소의 직선형 조절 운동에 의해 레버의 회전 운동이 일어나게 된다.
한 실시 형태에서, 등받이는 리트랙터 및 시트 벨트를 위한 벨트 리트랙터 를 갖는다. 리트랙터는 예컨대 등받이 프레임에 제공되며, 그래서 지지 요소는 리트랙터에 대해 조절 가능하다. 따라서, 리트랙터를 지니고 있는 등받이 프레임은 지지 요소에 독립적으로 또한 그 지지 요소의 조절에 필요한 조절 기구에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등받이 프레임은, 지지 요소의 조절을 위한 운동 기구에 영향을 줌이 없이, 리트랙터 때문에 충돌시에 시트 벨트로부터 등받이 프레임에 직접 생기는 하중에 대해 더 강직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등받이 프레임의 상측 부분에 제공되는 리트랙터로 인해 예컨대 등받이 프레임이 강직화될 필요가 있지만, 등받이 헤드의 지지 요소는 중량 및 기능의 최적화 면에서 더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원리적으로, 지지 요소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섬유 복합 재료 또는 플라스틱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시트의 시트 벨트를 위한 리트랙터가 등받이에 통합되고 리트랙터를 통해 작용하는 하중이 지지 요소에 의해 흡수될 필요가 없거나 기껏해야 작은 정도로 흡수되어야 한다면, 여기서 지지 요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 실시 형태에서, 지지 요소는, 구동 유닛 및 레버 기구와 함께, 등받이 프레임에 미리 제조된 구성 유닛으로서 장착될 수 등받이 헤드 모듈의 일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등받이 헤드 모듈은 적어도 지지 요소, 구동 유닛 및 레버 기구를 갖는 미리 시험 가능한 구성 유닛으로서 미리 조립될 수 있다. 이어서, 그 구성 유닛은, 예컨대, 지지 요소가 여전히 등받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또한 레버 기구의 부품들이 등받이 프레임에 관절식으로 연결됨으로써, 등받이 프레임에 장착된다.
지지 요소가 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피봇 축선은, 원리적으로 예컨대, 등받이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분에 있는 회전 베어링, 특히, 등받이의 두 상호 대향 등받이 측방 부분 중의 하나에 제공되는 회전 베어링으로 규정될 수 있고, 등받이 측방 부분은 통상적으로 등받이의 등받이 길이방향 측부를 규정한다. 이러한 회전 베어링은 예컨대 등받이 프레임 또는 지지 요소의 회전 저널 또는 회전 핀을 포함하고, 또는 지지 요소 또는 등받이 프레임의 회전 베어링 개구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별도의 회전 볼트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지지 요소의 피봇 축선은 적어도 하나의 막힌지로 규정된다. 따라서, 지지 요소를 위한 피봇 축선(지지 요소는 등받이 프레임에서 그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음)은 여기서 재료 조인트를 통해 미리 결정된다. 피봇 축선은 적어도 하나의 막힌지로 규정되므로, 등받이 헤드의 지지 요소를 위한 피봇 축선의 위치는 등받이 프레임에서 비교적 유연하게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회전 베어링은 이러한 목적으로 등받이 프레임 자체에 형성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한 실시 형태에서, 지지 요소의 피봇 축선은 등받이 프레임의 등받이 측방 부분의 전방 가장자리에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막힌지는 지지 요소의 베어링 부분으로 형성되고, 이 베어링 부분은 등받이 프레임의 등받이 측방 부분에 접해 있다. 따라서, 지지 요소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절력이 지지 요소에 전달되면, 지지 요소의 막힌지는 회전 운동이 일어날 수 있게 해준다. 이 경우에, 베어링 부분은, 베어링 부분이 등받이 측방 부분에 고정될 필요 없이, 등받이 측방 부분의 전방 가장자리에 접해 있을 수 있다. 베어링 부분은, 등받이 측방 부분에 지지되는 베어링 부분의 부분을 중심으로 하는 지지 요소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막힌지의 영역에서 국부적으로 구부려질 수 있다.
지지 요소의 피봇 축선을 규정하기 위한 막힌지의 사용은 또한 등받이 헤드의 지지 요소를 외력으로 조절하기 위한 구동 유닛 및 이와 상호 작용하는 레버 기구의 사용과는 또한 독립적이다. 따라서, 제 2 양태에 따르면, 차량 시트용 등받이가 매우 대략적으로 제안되며, 이 등받이는 등받이 프레임을 포함하고, 등받이의 등받이 헤드의 지지 요소가 등받이 프레임에서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지지 요소는 어깨 영역에서 시트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며, 피봇 축선은 적어도 하나의 막힌지로 규정된다.
지지 요소의 피봇 축선을 등받이 프레임의 등받이 측방 부분의 전방 가장자리에 간단한 방식으로 위치시킬 수 있음으로해서, 예컨대 여기서, (지지 요소의 피봇 축선이 등받이 측방 부분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그래서 더 후방부 쪽에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지지 요소가 회전되면, 등받이의 등받이 쿠션(지지 요소에 제공됨)이 덜 크게 압축된다는 이점이 얻어질 수 있다. 쿠션의 이러한 작은 압축은, 특히 지지 요소가 18°이상의 더 큰 회전 범위, 특히 20°이상의 회전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는 것과 관련하여 특히 중요하다.
한 실시 형태에서, 머리받이가 지지 요소에 제공되며 이 지지 요소의 회전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요소는 차량 시트를 위한 머리받이를 지니고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지지 요소는 이러한 목적으로 머리받이가 고정되는 보유 플레이트를 갖는다.
지지 요소에 제공되는 머리받이는 특히 지지 요소에 대해 조절 가능한 머리받이일 수 있다. 따라서, 한 실시 형태에서, 등받이의 쿠션 캐리어는 지지 요소의 보유 플레이트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쿠션 캐리어는 머리받이의 머리받이 쿠션을 지닐 수 있고, 예컨대, 머리받이 쿠션을 시트 사용자의 머리 쪽으로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게 조절하기 위해 추가로 보유 플레이트에 대해 조절될 수 있다.
제안된 해결 방안의 추가 양태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이는 등받이 프레임을 포함하고, 등받이의 등받이 헤드의 지지 요소가 등받이 프레임에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지지 요소는 어깨 영역에서 시트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며, 머리받이가 지지 요소에 제공되고, 머리받이는 지지 요소에 대해 조절 가능하다. 등받이는 요구되는 양태 또는 여기서 설명되는 요구되는 실시 형태에 따라 개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먼저, 특히 편안하게 조절될 수 있는 머리받이가 가능하다. 또한, 지지 요소의 피봇 가능성은 머리받이의 위치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그래서 20°이상의 회전 범위가 특히 편안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조절 동안에, 머리받이의 적어도 일부분은 지지요소, 특히, 시트 사용자의 머리를 위한 지지면을 제공하는 부분에 대해 움직인다.
머리받이는 2개의 방향으로 지지 요소에 대해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다. 이 2개의 방향은 서로에 수직이고 예컨대 특히 실질적으로 차량의 좌표계의 X 및 Y 방향이다(그것이 차량에 설치되는 등받이의 상태에 대해). 한 방향으로의 조절은 특히 다른 방향의 조절에 독립적이다. 두 방향으로의 조절 가능성에 의해, 특히, 차량 시트의 시트 부분에 대한 등받이의 경사의 다른 조절의 경우에도, 머리받이의 위치를 시트 사용자의 높이에 쉽게 적합하게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레일이 지지 요소에 고정적으로 제공되는데, 예컨대 장착될 수 있다. 머리받이는 레일 상에 지지 요소에 대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레일은 지지 요소 상에 나사결합된다. 선택적으로, 2개의 레일이 제공된다. 머리받이는 예컨대 레일(들) 상에서 예컨대 Z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다. 레일 당 복수의 슬라이더가 제공될 수 있고, 이 슬라이더는 각각의 레일과 결합한다.
선택적으로, 레일(들)은 지지 요소를 보강하고, 예컨대 그 지지 요소를 강직화한다. 따라서 지지 요소는 중량 자체에 있어서 더 가볍게 구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더 적은 재료가 사용된다. 따라서 레일은 이중의 용도를 가지며 머리받이의 조절 및 지지 요소의 보강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러한 목적으로, 레일은 지지 요소에 전달되는 힘을 흡수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그 지지 요소에 연결된다.
예컨대, 레일은 지지 요소에 사출 성형되거나 또는 인서트 몰딩되거나 또는 그에 형성된다. 레일은 예컨대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며, 사출 성형 공정에서, 레일이 지지 요소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재료로 덮힌다. 이렇게 해서 특히 안정적인 실시 형태가 가능하게 된다. 대안적으로, 레일(들) 자체는 지지 요소 상에 스프레이되며, 지지 요소 또는 지지 요소의 부품과 동일한 재료, 예컨대 사출 성형 재료, 특히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특히 가볍고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 실시 형태가 가능하게 된다.
머리받이의 요소(예컨대, 머리받이 패드 등)가 가위형 운동 기구를 통해 지지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가위형 운동 기구에 의해, X 방향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요소는 지지 요소에 대해 X 방향으로 움직인다. 가위형 운동 기구는 회전 가능하게 서로에 장착되는 적어도 2개의 레버를 포함한다. 이리하여, 특히 안정적이고 정밀한 조절이 가능하고, 그 조절은 직선을 따른 조절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머리받이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슬라이더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레일(특히 한쌍의 레일)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캐리어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추가로, 캐리어에는 가위형 운동 기구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예컨대, 한 점에서 서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2개의 레버가 각각 그 점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캐리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위형 운동 기구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 기구가 캐리어에 장착될 수 있다. 구동 기구는 예컨대 캐리어에 장착되는 모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머리받이 뒤의 공간이 구동 기구 또는 그의 적어도 일부분을 배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므로 특히 공간 절약적인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캐리어를 지지 요소에 대해 조절하기 위한 구동 기구가 제공되는데, 이 구동 기구는 예컨대 캐리어에 장착된다. 구동 기구는 또한 캐리어에 장착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마찬가지로, 공간 절약적인 실시 형태 및 특히 간단한 배선이 가능하게 된다.
제안된 해결 방안의 추가 양태는, 차량 시트를 위해 제공되는 등받이를 위한, 위에서 이미 논의한 바와 같은 등받이 헤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 등받이 헤드 모듈은 등받이의 등받이 프레임에 미리 제조된 구성 유닛으로서 장착될 수 있고, 어깨 영역에서 시트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지지 요소에 추가로, 지지 요소에 배치되는 구동 유닛, 및 등받이 프레임 상의 지지 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게 위해 구동 유닛과 상호 작용하는 레버 기구 및/또는 지지 요소에 대해 조절 가능한 머리받이를 포함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등받이 헤드 모듈은, 이미 개별적으로 미리 조립되고 시험될 수 있음으로해서 등받이 헤드의 지지 요소(등받이 프레임에 조절 가능하게 제공됨)의 더 신속하고 효율적인 설치를 가능하게 해준다.
제안된 해결 방안으로, 제안된 등받이의 실시 형태 또는 제안된 등받이 헤드 모듈의 실시 형태를 갖는 차량 시트가 또한 제공된다.
첨부된 도면은 제안된 해결 방안의 가능한 실시 형태들을 예로서 도시한다.
도 1은 등받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차폐부로 구성되어 있는 지지 요소를 갖는 제안된 등받이의 제 1 실시 형태를 앞쪽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a 및 2b는 차폐부를 2개의 상이한 회전 위치에서 등받이의 후방측에서 본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1 내지 2b의 등받이의 등받이 프레임을 나타내며, 차폐부는 없고 시트 벨트를 위해 그에 제공되어 있는 리트랙터가 나타나 있다.
도 4a 및 4b는 차폐부, 전동 구동 유닛, 및 도 3의 등받이 프레임에의 설치를 위한 레버 기구를 갖는 등받이 헤드 모듈을 상이한 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a 및 5b는 차폐부가 도 2a 및 2b의 두 회전 위치에 있는 등받이를 측면도로 부분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a 및 6b는 슬롯형 안내 기구를 포함하는 상이하게 구성된 레버 기구를 갖는 제안된 해결 방안의 실시 형태를 다양한 도로 나타낸 것으로, 차폐부는 등받이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고(도 6a) 및 등받이 헤드 모듈의 일부분으로서 개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도 6b).
도 7a 및 7b는 추가 실시 형태를 등받이의 전방측에서 본 것으로, 여기서, 차폐부는 머리받이를 지니고 있으며, 차폐부를위한 피봇 축선은 2개의 막힌지로 미리 결정된다.
도 8a 및 8b는 머리받이가 제공되어 있는 차폐부를 다양한 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제안된 머리받이의 추가 실시 형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머리받이는 지지 요소로서 차폐부에 개별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10c는 제안된 머리받이의 추가 실시 형태의 다양한 도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머리받이는 지지 요소로서 차폐부에 조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11d는 도 10a 내지 10c에 따른 등받이의 차폐부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머리받이는 차폐부에 대해 다양한 조절 위치에 있다.
도 12a 내지 12d는 도 10a 내지 10c에 따른 등받이의 머리받이의 구동 및 조절 기구와 베이스의 측면도를 구동 및 조절 기구로 조절될 수 있는 다양한 조절 위치에서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도 10a 내지 10c에 따른 등받이의 차폐부의 추가 실시 형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10a 내지 10c에 따른 등받이의 차폐부의 선택적인 파이프 채널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등받이(1)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데, 이 등받이는 피봇 축선(S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피팅(B1, B2)을 통해 시트 하부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피팅(B1, B2)의 측방부 어댑터/피팅 부분(SA1, SA2)이 차량 시트의 시트 하부 프레임에 고정된다. 피팅(B1)과 상호 작용하는 전동 구동기(A1)를 통해, 등받이(1)는 외력에 의해 피봇 축선(S1)을 중심으로 시트 하부 프레임에 대한 경사로 설정될 수 있고, 또한 로딩 위치로 앞으로 그리고 다시 뒤로 선택적으로 접힐 수 있다. 또한, 등받이(1)는 차량 시트에서 피봇 축선(S1)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젖힘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등받이(1)의 등받이 프레임(2)(이 등받이 프레임에 예컨대 구동기(A1)가 배치되고 또한 피팅(B1, B2)이 제공됨)은, 등받이 길이방향 측부를 규정하고 등받이 지주(21, 22)의 형태로 되어 있는 2개의 등받이 측방 부분을 포함한다. 서로 대향하는 등받이 지주(21, 22)는 등받이 프레임(2)의 상단부에서 (상측) 가로부재(20a)를 통해 서로에 연결된다.
시트 벨트(40)의 리트랙터(retractor)(4)가 가로부재(20a)의 영역에 제공되 있고 또한 등받이 지주(21, 22) 중의 하나(도 1의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 등받이 지주(22))에 할당된다. 따라서 등받이 프레임(2)은 특히 충돌시에 리트랙터(4)와 결합하고, 이 리트랙터는 시트 벨트(40)를 인장하기 위한 리트랙터 구동기(41)를 포함한다. 등받이 프레임(2)은 리트랙터(4)를 등받이 프레임(2)에 고정시키기 위한 리트랙터 수용부(24)를 형성한다. 리트랙터(4)와 시트 벨트(40) 때문에 생기는 하중이 이를 위해 설계된 등받이 프레임(2)을 통해 흡수된다.
등받이 프레임(2)의 상측 삼분의 일 부분에는, 차폐부(3)의 형태로 되어 있는 조절 가능한 지지 요소를 갖는 등받이 헤드(LK)가 어깨의 영역에서 시트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차폐부(3)는 지지면(30)을 형성하고, 이 지지면은 두 등받이 지주(21, 22) 사이의 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또한 등받이 프레임(1)의 등받이 쿠션(여기에는 미도시)의 편평한 접촉 및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등받이 헤드(LK)의 차폐부(3)는, 도 2a 및 2b 또는 5a 및 5b의 도시에 따라 차폐부(3)를 회전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등받이 프레임(2)에서 피봇 축선(S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 1, 2a, 2b, 3, 4a, 4b 및 5a 및 5b의 전체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금속, 섬유 복합 재료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차폐부(3)는 여기서 등받이 지주(21, 2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컨대, 이러한 목적으로, 회전 베어링을 형성하는 베어링 탭(tab)(210, 220)이 등받이 지주(21, 22)에 제공된다. 베어링 탭(210, 220)은 등받이 지주(21, 22)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그에 고정될 수 있다.
전동 구동 유닛(6) 및 이와 상호 작용하는 레버 기구(5)가, 외력에 의해 피봇 축선(S2)(등받이 프레임(21, 22)에서 규정됨)을 중심으로 일어하는 차폐부(3)의 회전 운동을 위해 제공된다. 구동 유닛(6)은, 등받이 쿠션으로부터 멀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차폐부(3)의 후방측에서 차폐부(6)의 체결 영역(306)에 고정되며, 이 체결 영역은 그러한 목적으로 제공된다. 구동 유닛(6)에 의해 발생되는 조절력이 레버 기구(5)를 통해 전달되어, 피봇 축선(S2)을 중심으로 하는 차폐부(3)의 회전 운동이 일어나고, 레버 기구는 등받이 프레임(2) 및 차폐부(3)에 연결된다. 여기서 레버 기구(5)는 크랭크 로커의 원리에 따라 작동하며, 그래서 구동 요소(구동 유닛(6)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 로드(60)의 형태로 되어 있음)의 병진 운동 조절을 차폐부(3)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커플링 기구를 형성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레버 기구(5)는 2개의 V-형 회전 레버(51, 52)를 포함한다. 커플링 로드(500)를 통해 서로에 강성적으로 연결되는 그 회전 레버(51, 52)는 각각 등받이 프레임(2), 구체적으로는 하측 가로부재(20b)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하측 가로부재(20b)는 상측 가로부재(20a) 아래에서 2개의 등받이 지주(21, 22)를 서로에 연결한다. 두 회전 레버(51, 52)는, 각각의 회전 레버(51, 52)의 두 림(limb)(51.1, 51.2 또는 52.1, 52.2)(V-형상을 이룸) 중의 하나의 일단부에서, 따라서, V-형상을 이루는 두 림(51.1, 51.2 또는 52.1, 52.2)이 서로에 연결되는 좌굴점(516 또는 526)의 다른 측에서 등받이 프레임(2)에 연결된다.
등받이 프레임(2)에 연결되지 않는 회전 레버(51 또는 52)의 각각의 림(51.2 또는 52.2)는 각 경우에 레버 기구(5)의 연결 레버(53a, 53b)의 형태로 된 연결 요소에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연결 레버(53a, 53b)의 한 레버 단부는 각 경우에 한 단부에서 회전 레버(55 또는 56)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차폐부(3)의 후방측에 있는 연결부(35a, 35b)에 연결된다. 차폐부(3)의 연결부는 여기서, 차폐부(3)의 후방측에서 돌출하고 또한 선택적으로 뒤쪽으로 돌출하는 연결 탭(305a, 305b)으로 형성된다. 피봇 축선(S2)의 다른 측에서 그리고 등받이(1)의 길이방향에 대해 위쪽으로 오프셋되어, 차폐부(3)는 레버(51, 53a, 52, 53b)의 두 상호 연결 쌍을 통해 등받이 프레임(2)에 연결되고, 레버 쌍의 회전 레버(51 또는 52)가 각 경우에 등받이 프레임(2)에 연결되며, 다른 레버(53a 또는 53b)는 차폐부(3)에 연결되며, 한쌍의 레버(51, 53a 또는 52, 53b) 중의 두 레버는 서로에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구동기(6)를 통해 병진 운동 방식으로 조절 가능한 구동 로드(60)는 로드 헤드(600)를 갖는다. 이 로드 헤드(600)는 연결 로드(50)의 형태로 된 커플링 요소에 연결되고(도 5b와 비교요), 그 연결 로드는 두 회전 레버(51, 52)의 좌굴점(516, 526)에 고정된다. 따라서, 예컨대 도 2a 및 2b와 5a 및 5b에 도시되어 있는 같이, 구동 로드(60)가 구동 유닛(6)의 도움으로 직선형 구동 축선을 따라 조절되면, 로드 헤드(600)는 연결 로드(50)를 따른다. 이에 의해, 좌굴점(516, 526)에서, 조절력이 레버 기구(5)의 두 회전 레버(51, 52)에 전달되고, 그 조절력에 의해, 등받이 프레임(2)에 규정되어 있는 힌지점에 대한 토크가 회전 레버(51, 52)에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회전 레버(51, 52)는 구동 로드(60)의 조절 운동에 의해 두 가능한 회전 방향 중의 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차폐부(3)는 연결 레버(53a, 53b)에 대한 힌지 연결을 통해 등받이 프레임(2)에서 미리 결정된 피봇 축선(S2)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연결 레버는 차폐부(3)의 후방측에 연결된다. 예컨대, 구동 로드(60)가 등받이의 길이방향에 대해 아래쪽으로 병진 운동적으로 조절되는 경우, 차폐부(3)는 회전 축선(S2)을 중심으로 도 2a 및 5a에 도시되어 있는 비작용 위치로부터 앞쪽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최대 가능한 회전 각도 및 차폐부(3)에 작용하는 힘 값과 작용하는 조절력의 프로파일은 여기서 회전 레버(51, 52)의 림(51.1-52.2)의 길이 및 연결 레버(53a, 53b)의 레버 길이를 통해 미리 결정된다. 이에 의해 형성되는 차폐부(3)와 등받이 헤드(LK)의 회전 각도 범위(현재 차량 주행 차량에 유리하다고 생각되는 20°이상임)는 쉽게 가능하다.
차폐부(3)는, 전동 구동 유닛(6)(차폐부(3)의 후방측에 고정됨) 및 구동 유닛(6)과 상호 작용하는 레버 기구(5)와 함께, 미리 제조되는 등받이 헤드 모듈(M)을 형성하고, 이 모듈은 도 4a 및 4b에서 개별적인 도로 도시되어 있다. 등받이 헤드 모듈(M)은, 도 3의 등받이 프레임(2)에 장착될 있는 미리 조립되고 또한 미리 시험 가능한 구성 유닛을 형성한다. 여기서 행해질 필요가 있는 모든 것은, 차폐부(3)의 베어링 아암(31, 32)의 형태로 된 측방 베어링 부분이 등받이 지주(21, 22), 예컨대, 피봇 축선(S2)을 규정하는 베어링 탭(210, 220)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또한 레버 기구(5)의 회전 레버(51, 52)가 그의 림(51.1, 52.1)의 자유 단부에서 등받이 프레임(2)(여기서는 하측 가로부재(20b))에 연결되는 것이다. 등받이 프레임(2)에 대한 관절식 연결을 위해, 회전 레버(51, 52)에 대응하는 힌지점(512, 522)이 림(51.1, 52.1)에 제공된다(특히, 도 4b 참조요).
도 6a 및 6b의 실시 형태에서, 슬롯형 안내 기구를 갖는 해결 방안이, 레버 기구(5)의 연결 레버(53a, 53b)의 회전 마운팅 대신에, 차폐부(3)의 후방측에 제공된다. 이 경우, 슬롯형 안내 부분(54a, 54b)이 차폐부(3)의 후방측에 제공되어 있는데, 예컨대, 차폐부(3)의 후방측에 고정되거나 그에 형성된다. 슬롯형 안내 부분(54a, 54b) 각각은 안내 슬롯(540a, 540b)를 갖는다. 서로 대향하는 슬롯형 안내 부분(54a, 54b)의 안내 슬롯(540a, 540b)은 여기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안내 로드(50)의 형태로 된 연결 요소의 일 단부가 각 경우에 안내 슬롯(540a, 540b)에 결합한다. 안내 로드(50)의 각각의 단부는 여기서 기다란 안내 슬롯(540a, 540b)에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 레버 기구(5)의 두 회전 레버(55, 56)의 레버 단부는 두 슬롯형 안내 부분(54a, 54b) 사이의 안내 로드(50)에 연결된다. 회전 레버(55, 56)는 각 경우에 여기서 안내 로드(50)에 연결된다. 도 6a 및 6b의 실시 형태에 있는 기다란(따라서 V-형이 아님) 설계의 회전 레버(55, 56)는 안내 로드(50)의 다른 측에서 등받이 프레임(2)에 연결되고, 예컨대, 마찬가지로 하측 가로부재(20b)에 연결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안내 로드(50)에 연결되지 않는 자유 레버 단부에 있는 각 회전 레버(55, 56)는 각 경우에 등받이 프레임 연결을 위한 힌지점(552 또는 562)을 형성한다.
구동 로드(60)의 로드 헤드(600)가 안내 로드(50)에 작용하며, 그래서, 구동 유닛(6)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 로드(60)의 병진 조절 운동 시에, 안내 로드(50)는 차폐부(3)에 있는 안내 슬롯(540a, 540b)을 따라 변위된다. 여기서 안내 로드(50)에 연결되어 있어 그에 따르는 회전 레버(55, 56)는 등받이 프레임(2)에서 회전 베어링 주위로 회전되며(피봇 축선(S2) 위쪽에서), 이에 의해, 등받이 지주(21, 22)에 규정되어 있는 피봇 축선(S2)을 중심으로 차폐부(3)가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도 7a 및 7b에 따른 가능한 개량의 범위 내에서, 차폐부(3)는 또한 차량 시트의 머리받이(7)를 지니고 있을 수 있다. 도 7a 및 7b의 실시 형태에서, 차폐부(3)는 이러한 목적으로 지지면(30) 위쪽에서 예컨대 보유 플레이트(37)를 형성한다. 머리받이 쿠션이 이 보유 플레이트(37)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머리받이(7)의 쿠션 캐리어는 보유 플레이트(37)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쿠션 캐리어는 머리받이(7)의 머리받이 쿠션을 지닐 수 있고, 추가적으로, 예컨대 머리받이를 시트 사용자의 머리 쪽으로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게 조절하기 위해 보유 플레이트(37)에 대해 조절 가능하다.
특히, 머리받이(7)는, 예컨대 보유 플레이트(37) 또는 머리받이 캐리어에 통합되어 있는 전동 구동 유닛을 통해 외력에 의해 조절 가능한 머리받이 쿠션을 가질 수 있다.
도 7a 및 7b의 실시 형태에서, 머리받이(7)가 차폐부(3)에 제공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상관 없이, 차폐부(3)의 피봇 축선(S2)은 등받이 지주(21, 22)에 있는 2개의 회전 베어링에 의해 규정되지 않는다. 반대로, 피봇 축선(S2)은 2개의 등받이 길이방향 측에서 각 경우에 차폐부(3)의 베어링 아암(31 또는 32)에 있는 막힌지(310, 320)의 형태로 된 재료 힌지에 의해 규정된다.
또한 도 8a 및 8b의 개별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베어링 아암(31, 32)은 안착부(311 또는 321)를 가지며, 이 안착부를 통해 각각의 베어링 프레임(31 또는 32)은 관련된 등받이 지주(21 또는 22)의 전방측에 안착된다. 따라서 차폐부(3)는 베어링 아암(31, 32)의 안착부(311, 321)를 통해 등받이 지주(21, 22)에 지지된다. 전동 구동기(6)를 통해, 레버 기구(5)를 통해 차폐부(3)를 상측 가로부재(20a)에 대해 앞쪽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조절력이 차폐부(3)에 전달되면, 베어링 아암(31, 32)의 막힌지(310, 320)는 그러한 회전 운동을 허용한다. 이 경우, 베어링 아암(31, 32)의 재료는 막힌지(310, 320)를 통해 규정되는 굽힘점에서 가역적으로 변형되고, 그래서 차폐부(3)는 등받이 지주(21, 22)에 지지되는 안착부(311, 321)에 대해 지지면(3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막힌지(310, 320)를 통해 규정되는 피봇 축선(S2)은 등받이 지주(21, 22)의 전방 가장자리에 존재하고, 그래서 등받이의 등받이 쿠션 가까이에 있다. 피봇 축선(S2)이 전방 가장자리에 배치됨으로써, 차폐부(3)가 20°이상의 비교적 큰 회전 각도로 앞쪽으로 회전하더라도, 등받이 헤드(LK)의 영역에 제공되어 있는 등받이 쿠션은 차폐부(3)의 전방 회전 동안에 거의 압축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피봇 축선(S2)은 차폐부(3)의 막힌지(310, 320)를 통해 등받이 프레임(2)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그 결과, 쿠션은 큰 회전 각도에도 비교적 작게 압축된다.
도 9의 실시 형태에서, 차폐부(3)는 마찬가지로 차량 시트의 머리받이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지지면(30) 위쪽에 있는 보유 플레이트(37) 대신에, 일 실시 형태의 차폐부(3)는 단지 머리받이 슬리브(38a, 38b)와의 머리받이 교차부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예컨대, 통상적인 머리받이는 차폐부(3)에 장착될 수 있고, 차폐부는 등받이 프레임(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머리받이는, 도 7a 내지 8b의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차폐부(3)가 특히 등받이 프레임(2)의 리트랙터 수용부(24)에 제공되어 있는 리트랙터(4)에 대해 회전되면 이동된다.
도 10a 내지 10c는 등받이 프레임(2) 및 등받이 헤드(LK)를 갖는 등받이(1)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그 등받이 헤드는 차폐부(3) 형태의 조절 가능한 지지 요소를 갖는다. 등받이 프레임(2)(여기서는 대시선으로 도시되어 있음)은 예컨대 전술한 도들 중의 하나에 따라 설계된다. 차폐부(3)는 베어링 부분(31, 32)을 통해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등받이 프레임(2)에 장착된다. 베어링 부분(31, 32) 각각은 등받이 프레임(2)에의 회전 가능한 연결을 위한 베어링 수용부를 포함한다. 또한, 나타나 있는 예에서, 베어링 부분(31, 33)은 (하향) 돌출 베어링 아암의 형태로 설계되어 있다. 차폐부(3)를 등받이 프레임(2)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해, 도 10a 내지 10c에 따른 차량 시트(1)는, 예컨대, 전술한 구동 유닛(6) 및 이와 상호 작용하는 레버 기구(5)를 포함한다.
리트택터 수용부는, 예컨대 도 7a 및 7b에 따라, 등받이 프레임(2)에 배치되며, 또는 대안적으로, 등받이(1)를 갖는 차량 시트는 벨트 리트랙터를 포함하지 않고, 벨트 리트랙터는 예컨대 차량 시트를 갖는 차량의 샤시에 제공된다.
차폐부(3)는 힘 플럭스로 (부분적으로) 리브화되어 있다. 차폐부(3)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플라스틱 부품이고, 예컨대, 사출 성형 작업으로 제조될 수 있고, 또는 특히 도 10c에 나타나 있는 강직화 리브(33)가 스프레이되는 평평한 재료를 포함한다. 도 10a 내지 10c에 나타나 있는 차폐부(3)는 강직화 리브(33)가 스프레이되는 복합 재료의 섹션, 구체적으로 오르가노시트(34)를 포함한다(후방측에서). 오르가노시트는 열가소성 매트릭스에 매립되는 무단 섬유를 포함한다.
차폐부(3)는, 등받이(1)의 등받이 쿠션(여기서는 미도시)의 편평한 접촉 및 지지를 허용하는 지지면(30)을 형성한다(이 지지면은 예컨대 두 등받이 지주 사이의 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음).
머리받이(7)가 차폐부(3)에 제공되며, 머리받이는 차폐부(3)에 대해 조절 가능하다. 머리받이(7)는 등받이 헤드에 직접 통합된다. 머리받이(7)는 시트 사용자의 머리를 위한 접촉면을 형성하는 머리받이 패드(70)를 포함한다. 머리받이(7)의 조절에 의해, 특히 도 11a 내지 12d에 대해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머리받이 패드(70)는 앞뒤로 또한 상하로 조절될 수 있다. 머리받이 패드(70)는 강직화 리브(701)가 스프레이되는 오르가노시트(700)를 포함한다(후방측에서). 대안적으로, 머리받이 패드(70)는 예컨대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이다.
머리받이 패드(70)는 가위형 운동 기구(71)를 통해 캐리어(72)에 장착된다. 캐리어(72)는 길이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한쌍의 레일(32a, 32b)에 장착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캐리어(72)는, 레일(32a, 32b) 당 2개의 슬라이더(720)(슬라이딩 블럭의 형태로 되어 있음)를 포함하고, 이들 슬라이더는 각각의 레일(32a, 32b)와 결합한다. 레일(32a, 32b)은 차폐부(3)에 체결된다. 본 경우에, 레일(32a, 32b)은 차폐부(3)에 나사 결합되고,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레일(32a, 32b)을 사출 성형품(E) 또는 인서트 몰딩품에 의해 차폐부(3)에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 그러한 사출 성형품(E)이 예컨대 도 10c에서 대시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레일(32a, 32b)은 금속, 본 경우에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레일(32a, 32b)은 각각 직선형이고, 여기서는 각 경우에 차폐부(3)의 주 연장 방향을 따라 배향된다. 레일(32a, 32b)은 머리받이(7)를 안내할 뿐만 아니라 차폐부(3)를 강직화하는 역할을 한다. 차폐부(3)와 함께, 레일(32a, 32b)은 등받이 프레임(2)에 대한 상측 등받이 부분의 지지 구조물을 형성한다. 레일(32a, 32b)에 대한 대안으로서, 튜브가 또한 가능하다. 레일(32a, 32b)과 슬라이더(720)는 선택적으로 각 경우에 IGUS 선형 안내 시스템으로 설계된다.
머리받이(7)를 레일(32a, 32b)을 따라 조절하기 위해, 머리받이 프레임(1)은 구동 기구(74)를 포함한다. 이 구동 기구(74)는 캐리어(72)에 장착되는 모터(740)를 포함한다. 이 모터(740)는 연결 케이블(744)을 통해 활성화된다. 모터(740)는 스핀들(741)(레일(32a, 32b)에 평행하게 배향됨)을 캐리어(72)에 대해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스핀들(741)은 차폐부(3)에 체결되는 구동기(743)(여기서는 플라스틱 부품의 형태임)과 결합한다. 따라서 모터(740)의 활성화는 레일(32a, 32b)을 따른 머리받이(7)의 조절이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해서 머리받이 패드(70)의 높이가 설정될 수 있다.
스핀들 케이지(742)가 2개의 상호 반대 측에서 스핀들(741)과 구동기(743)를 둘러싸고 스핀들(741)의 자유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스핀들 케이지(742)는 스핀들(741)을 보호하고 구동기(743)를 위한 엔드 스탑을 제공한다.
머리받이(7)는 가위형 운동 기구(71)를 작동시키기 위한 추가 구동 기구(73)를 더 포함한다. 구동 기구(73)는 캐리어(72)에 체결되는 모터(730)를 포함한다. 모터(730)의 활성화에 의해, 가위형 운동 기구(71)가 회전 방향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게 된다. 이에 의해, 머리받이 패드(70)의 깊이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이 모터(73)는 마찬가지로 연결 케이블(744)을 통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도 11a 및 11b는 머리받이(7)의 2개의 상이한 높이 설정(및 머리받이 패드(70)의 높이 위치)를 나타낸다. 특히, 차폐부(3)에 대한 머리받이 패드(70)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캐리어(72)가 레일(32a, 32b) 상에서 어떻게 안내되는지를 알 수 있다. 머리받이 패드(70)는 도 11a에서 최하측 위치에서 나타나 있지만, 도 11b는 머리받이 패드의 최고 위치를 나타낸다. 등받이(1)의 직립 위치에서, 조절 방향은 차량의 좌표계의 Z 축선, 즉 차량의 수직 축선에 평행하다.
도 11c 및 11d는 머리받이(7)의 2개의 상이한 수평 설정(및 머리받이 패드(70)의 수평 위치)을 나타낸다. 여기서 캐리어(72)는 차폐부(3)에 대한 그위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경우, 가위형 운동 기구(71)는 머리받이 패드(70)가 캐리어(72) 및 차폐부(3)에 대해 이동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머리받이(1)의 직립 위치에서, 조절 방향은 차량의 좌표계의 X 축선, 즉 차량의 길이방향 축선에 평행하다. 도 11c는 도 11a와 동일한 위치를 나타내고 더 양호한 비교를 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2a 및 12b는 도 11a 및 11b와 동일한 레일(32a, 32b)에 대한 캐리어(72)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두 구동 기구(73, 74)의 도는 위로 개방되어 있다. 이 방향(Z 방향)으로의 조절시에, 가위형 운동 기구(71)는 조절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12c 및 12d는 도 11c 및 11d와 동일한 가위형 운동 기구(71)의 설정 위치를 나타낸다. 도 12c는 도 12a와 동일한 위치를 나타낸다. 가위형 운동 기구(71)는 가위형 아암(710a, 710b)의 형태로 된 두 쌍의 레버를 포함한다(추가로 10c 참조요).
가위형 아암(710a, 710b) 각각은 2개의 외측 베어링 점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중심 베어링 점을 포함한다. 각 쌍의 두 가위형 아암(710a, 710b)은 중심 베어링 점에서 회전 가능하게 서로에 장착된다. 본 경우에, 연결축(712)이 제공되는데, 총 4개의 가위형 아암(710a, 710b) 각각이 각각의 중심 베어링 점에서 그 연결축에 장착된다. 두 쌍 각각의 한 가위형 아암(710a)의 외측 베어링 점 중의 하나(여기서는 사용 중에 있는 하측 베어링 점)이 회전 힌지(713a)를 통해 캐리어(7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위형 아암(710a)의 각각의 다른 외측 베어링 점은 회전 가능하게 또한 변위 가능하게 베이스(75)의 슬롯형 안내부(750)에 장착된다. 두 쌍 각각의 다른 가위형 아암(710b)의 외측 베어링 점 중의 하나(여기서는 사용 중에 있는 하측 베어링 점)이 회전 힌지(713b)를 통해 베이스(7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각각의 다른 외측 베어링 점은 회전 가능하게 또한 변위 가능하게 캐리어(72)의 슬롯형 안내부(721)에 장착된다.
슬롯형 안내부(721, 750)의 연결은 2개의 연결 로드(711a, 711b)를 통해 일어나고, 이들 연결 로드 각각은 가위형 아암(710a, 710b)의 베어링 점(슬롯형 안내부에 할당됨)을 연결한다(또한 그 사이에 연장되어 있음).
이에 의해, 직선을 따라 베이스(75)를 조절할 수 있고, 기구는 접힌 상태에서 특히 평평한 구성 깊이를 갖는다(도 12a 및 21c 참조).
가위형 운동 기구(71)의 조절은 모터(730)에 의해 일어난다(특히 도 10c 참조). 모터는 스핀들(731)(특히 도 12d에서 볼 수 있음)을 구동시키고, 이 스핀들은 가위형 운동 기구(71)를 펼치거나 접기 위해 연결축(712)에 작용한다.
머리받이 패드(70)는 베이스(75)에 체결된다.
따라서 머리받이(7)는 차폐부(3)에 대한 2개의 상이한 방향으로 서로에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머리받이(7)의 일 요소(여기서는 머리받이 패드(70))가 여기서 차폐부(3)에 대해 이들 두 방향으로 움직인다.
도 13은 레일(32a, 32b)의 대안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도 10a 내지 12d에 따른 실시 형태에 대응한다. 도 13에 따르면, 레일(32a, 32b)은 차폐부(3)에 형성되거나 몰딩되며, 예컨대 사출 성형에 의해 그 차폐부 상에 스프레이된다. 예컨대, 도 13의 레일(32a, 32b)은 강직화 리브(701)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다.
도 14는 라이닝 또는 커버를 위한 차폐부(3)의 선택적인 파이프 채널(36)을 나타낸다. 파이프 채널(36)은 예컨대 차폐부(3)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선택적으로, 머리받이 패드(70)에 대응하여). 파이프 채널(36) 안에 또는 그 위에 있는 파이프 훅크(360)가 파이프 채널(36)에서 커버 또는 라이닝을 유지한다.
등받이 헤드(LK)의 복수의 부품, 예컨대, 머리받이 패드(70)의 차폐부(3), 캐리어(72), 구동기(743) 및/또는 베이스(75)를 플라스틱으로 형성함으로써, 특히 낮은 중량 및 특히 유연한 적응성이 가능하다.
1 등받이
2 등받이 프레임
20a, 20b 가로부재
21, 22 등받이 지주(등받이 측방 부분)
210, 220 베어링 탭
24 리트랙터 수용부
3 차폐부(지지 요소)
30 지지면
305a, 305b 연결 탭(연결 부분)
306 체결 영역
31, 32 베어링 아암(베어링 부분)
310, 320 막힌지
311, 321 안착부
32a, 32b 레일
33 강직화 리브
34 오르가노시트
35a, 35b 연결 부분
36 파이프 채널
360 파이프 훅크
37 보유 플레이트
38a, 38b 머리받이 슬리브
4 리트랙터
40 시트 벨트
41 리트랙터 구동기
5 레버 기구/커플링 기구
50 연결 로드/안내 로드(연결 요소)
500 커플링 로드(커플링 요소)
51, 52 회전 레버
51.1, 51.2, 52.1, 52.2 림
512, 522 힌지점
516, 526 좌굴점
53a, 53b 연결 레버(연결 요소)
540a, 540b 안내 슬롯
54a, 54b 슬롯형 안내 부분
55, 56 회전 레버
552, 562 힌지점
6 구동 유닛
60 구동 로드(구동 요소)
600 로드 헤드
7 머리받이
70 머리받이 패드
700 오르가노시트
701 강직화 리브
71 가위형 운동 기구
710a, 710b 가위형 아암
711a, 711b 연결 로드
712 연결 축선
713a, 713b 연결점
72 캐리어
720 슬라이더
721 슬롯형 안내부
73 구동 기구
730 모터
731 스핀들
74 구동 기구
740 모터
741 스핀들
742 스핀들 케이지
743 구동기
744 연결 케이블
75 베이스
750 슬롯형 안내부
A1 구동기
B1, B2 피팅
E 사출 성형품
LK 등받이 헤드
M 등받이 헤드 모듈
S1, S2 피봇 축선
SA1, SA2 측방 부분 어댑터/피팅 부분

Claims (34)

  1. 차량 시트용 등받이로서, 등받이 프레임(2)을 포함하고, 이 등받이 프레임에서 등받이(1)의 등받이 헤드(LK)의 지지 요소(3)가 회전될 수 있고, 지지 요소는 어깨 영역에서 시트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며,
    상기 지지 요소(3)는, 지지 요소(3)에 배치되는 구동 유닛(6) 및 이 구동 유닛(6)과 상호 작용하는 레버 기구를 통해 외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요소(60)가 상기 구동 유닛(6)을 통해 병진 운동적으로 조절 가능하고, 지지 요소(3)를 외력에 의해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 요소는 구동 유닛(6)에 의해 생긴 조절력을 레버 기구(5)에 전달하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60)의 병진 운동적 조절이 레버 기구(5)를 통해 상기 지지 요소(3)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되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6)과 상호 작용하는 레버 기구(5)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2)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51, 52; 55, 56)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2)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51, 52; 55, 56)는 레버 기구(5)의 연결 요소(53a, 53b; 50)에 추가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지지 요소(3)에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53a, 53b)는 상기 지지 요소(3)에 연결되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등받이 프레임(2)에 연결되는, 상기 레버 기구(5)의 적어도 하나의 레버(51, 52)는 V-형인, 차량 시트용 등받이.
  8. 제 2 항 또는 제 3 항 및 제 7 항에 있어서,
    V-형 레버(51, 52)의 좌굴점(516, 526)의 영역에서 외력에 의해 지지 요소(3)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절력이 V-형 레버(51, 52)에 전달되도록 상기 구동 요소(60)는 상기 레버 기구(5)와 상호 작용하고, 상기 레버(51, 52)의, V-형을 규정하는 두 림(limb)(51.1, 51.2, 52.1, 52.2)이 상기 좌굴점에서 서로에 연결되어 있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50)는 상기 지지 요소(3)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50)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슬롯(540a, 540b)을 통해 상기 지지 요소(3)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50)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상호 대향 안내 슬롯(540a, 540b)을 통해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12. 제 4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6)과 상호 작용하는 상기 레버 기구(5)는 각기 상기 등받이 프레임(2)에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레버(51, 52; 55, 56)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요소(60)는 레버 기구(5)의 요소(50)에 작용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2)에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레버(51, 52)는 상기 요소(50)를 통해 서로에 연결되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14. 제 8 항 및 제 8 항을 인용하는 경우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50)는, 각 경우에 좌굴점(516, 526)의 영역에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2)에 연결되는 레버(51, 52)에 연결되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6)은 상기 지지 요소(3)의 후방측에 제공되며, 그 후방측은 등받이(1)의 등받이 쿠션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3)는 상기 등받이(1)의 등받이 쿠션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30)을 갖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 벨트(40)를 위한 리트랙터(retractor)(4)가 상기 등받이 프레임(2)에 제공되어 있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3)는, 상기 구동 유닛(6) 및 레버 기구(5)와 함께, 등받이 프레임(2)에 미리 제조된 구성 유닛으로서 장착될 수 있는 등받이 헤드 모듈(M)의 일부분인, 차량 시트용 등받이.
  19. 특히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 시트용 등받이로서,
    등받이 프레임(2)을 포함하고, 등받이(1)의 등받이 헤드(LK)의 지지 요소(3)가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서 피봇 축선(S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지지 요소는 어깨 영역에서 시트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며,
    상기 지지 요소(3)의 피봇 축선(S2)은 적어도 하나의 막힌지(310, 320)로 규정되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축선(S2)은 등받이 프레임(2)의 등받이 측방 부분(21, 22)의 전방 가장자리에 있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막힌지(310, 320)는 상기 지지 요소(3)의 베어링 부분(31, 32)으로 형성되고, 이 베어링 부분은 상기 등받이 프레임(2)의 등받이 측방 부분(21, 22)에 접해 있는 있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머리받이(7)가 상기 지지 요소(3)에 제공되며 상기 지지 요소(3)의 회전으로 회전될 수 있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3)는 상기 머리받이(7)가 고정되는 보유 플레이트(37)를 가지고 있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24. 차량 시트용 등받이로서,
    등받이 프레임(2)을 포함하고, 등받이(1)의 등받이 헤드(LK)의 지지 요소(3)가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서 회전될 수 있고, 특히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요소는 어깨 영역에서 시트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며, 머리받이(7)가 상기 지지 요소(3)에 제공되고, 머리받이(7)는 지지 요소(3)에 대해 조절 가능한, 차량 시트용 등받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이(7)는 2개의 방향으로 상기 지지 요소(3)에 대해 조절 가능한, 차량 시트용 등받이.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이(7)가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32a, 32b)이 상기 지지 요소(3)에 고정적으로 제공되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32a, 32b)은 상기 지지 요소(3)를 보강하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28.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32a, 32b)은 상기 지지 요소(30)에 사출 성형되거나 그에 형성되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29. 제 24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이(7)의 요소(70)가 가위형 운동 기구(71)를 통해 상기 지지 요소(3)에 연결되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30. 제 26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 및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이(7)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32a, 32b)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캐리어(72)를 포함하고, 이 캐리어에는 상기 가위형 운동 기구(71)가 연결되어 있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위형 운동 기구(71)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 기구(73)가 상기 캐리어(72)에 장착되어 있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32.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72)를 상기 지지 요소(3)에 대해 조절하기 위한 구동 기구(74)가 상기 캐리어(72)에 장착되어 있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33. 차량 시트용 등받이(1)를 위한 등받이 헤드 모듈로서, 등받이 헤드 모듈은 등받이(1)의 등받이 프레임(2)에 미리 제조된 구성 유닛으로서 장착될 수 있고, 어깨 영역에서 시트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지지 요소(3), 지지 요소(3)에 배치되는 구동 요소(6), 및 지지 요소(3)를 등받이 프레임(2)에 회전 가능한 장착하기 위해 구동 유닛(6)과 상호 작용하는 레버 기구(5)를 포함하는, 등받이 헤드 모듈.
  34. 제 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등받이(1) 또는 제 33 항에 따른 등받이 헤드 모듈(M)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
KR1020217000973A 2018-06-13 2019-06-12 차량 시트용 등받이 및 등받이 헤드 모듈 KR102651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09438.1 2018-06-13
DE102018209438.1A DE102018209438A1 (de) 2018-06-13 2018-06-13 Rückenlehne für einen Fahrzeugsitz und Lehnenkopfmodul
PCT/EP2019/065310 WO2019238735A2 (de) 2018-06-13 2019-06-12 Rückenlehne für einen fahrzeugsitz und lehnenkopfmodu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020A true KR20210021020A (ko) 2021-02-24
KR102651079B1 KR102651079B1 (ko) 2024-03-22

Family

ID=6695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973A KR102651079B1 (ko) 2018-06-13 2019-06-12 차량 시트용 등받이 및 등받이 헤드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245634A1 (ko)
EP (1) EP3807125B1 (ko)
KR (1) KR102651079B1 (ko)
CN (1) CN112243415A (ko)
DE (1) DE102018209438A1 (ko)
WO (1) WO201923873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9899A1 (ja) * 2016-08-09 2018-02-15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フレーム
CN114013350B (zh) * 2021-11-16 2023-02-28 恺博(常熟)座椅机械部件有限公司 一种座椅调节机构
US11865957B1 (en) * 2022-07-22 2024-01-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ter-connected tethers at rear of seatback foam for occupant thoracic prot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7050A1 (de) * 1998-04-17 1999-10-21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Rückenlehnenarmatur für einen Fahrzeugsitz
FR2844489A1 (fr) * 2002-09-16 2004-03-19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dote d'un dispositif de protection du cou en cas de choc arrier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6328A (ja) * 1982-12-09 1984-06-20 Ikeda Bussan Co Ltd サポ−ト機構
US4610480A (en) * 1985-02-22 1986-09-09 Nippon Soken, Inc. Built-in type safety seat belt system for reclining vehicle seat
IT1223725B (it) * 1988-07-25 1990-09-29 Sicam Linea Srl Sedile di autoveicolo
DE3909221A1 (de) * 1989-03-21 1990-10-04 Keiper Recaro Gmbh Co Fahrzeugsitz,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JP2664603B2 (ja) * 1992-08-31 1997-10-15 池田物産株式会社 座席装置
FR2714340B1 (fr) * 1993-12-28 1996-03-01 Bfa Perfectionnements aux armatures réglables de siège et aux sièges équipés de telles armatures.
GB2318045B (en) * 1996-10-09 2000-08-09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Vehicle seat and headrest arrangement
DE19740588B4 (de) * 1997-09-15 2007-10-11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Rückenlehne eines Fahrzeugsitzes, die eine verstellbare Schulterstütze hat
DE10012973B4 (de) * 2000-03-16 2004-02-26 Daimlerchrysler Ag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JP2003080985A (ja) * 2001-06-26 2003-03-19 Nhk Spring Co Ltd 自動車用シート装置
DE10328044A1 (de) * 2003-06-23 2005-02-03 Fico Cables, Lda. Rückenlehnentragstruktur mit Einstellung der Druckverteilungskarte
FR2867725B1 (fr) * 2004-03-16 2007-06-15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dote d'un dispositif de protection du cou en cas de choc arriere
US20060226683A1 (en) * 2005-04-08 2006-10-12 Alfmeier Corporation Adjustable lumbar support with extensive configurability
DE102007028034B4 (de) * 2007-06-14 2013-12-12 Grammer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 mit einem schwenkbaren Schulter- und Kopfbereich
JP4957416B2 (ja) * 2007-07-05 2012-06-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JP5347636B2 (ja) * 2009-03-27 2013-11-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調整装置及びそのシート調整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装置
JP5316557B2 (ja) * 2011-02-02 2013-10-1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調整装置及びそのシート調整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装置
JP5875361B2 (ja) * 2011-12-26 2016-03-02 難波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842719B2 (ja) * 2012-04-13 2016-01-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フレームの製造方法
CN104736385A (zh) * 2012-09-26 2015-06-24 提爱思科技股份有限公司 头枕
DE102013102380A1 (de) * 2013-03-11 2014-09-11 Visiotex GmbH Sitzmöbel mit einer neigungsverstellbaren Rückenlehne
KR200475520Y1 (ko) * 2013-10-17 2014-12-0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KR101628579B1 (ko) * 2014-12-30 2016-06-08 주식회사다스 시트 쿠션의 틸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7050A1 (de) * 1998-04-17 1999-10-21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Rückenlehnenarmatur für einen Fahrzeugsitz
FR2844489A1 (fr) * 2002-09-16 2004-03-19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dote d'un dispositif de protection du cou en cas de choc arrie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243415A (zh) 2021-01-19
KR102651079B1 (ko) 2024-03-22
EP3807125B1 (de) 2023-08-09
DE102018209438A1 (de) 2019-12-19
EP3807125A2 (de) 2021-04-21
WO2019238735A2 (de) 2019-12-19
WO2019238735A3 (de) 2020-03-19
US20210245634A1 (en)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9335B1 (ko) 차량의 시트 위치 조절 장치
EP1924465B1 (en)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KR102651079B1 (ko) 차량 시트용 등받이 및 등받이 헤드 모듈
EP1946958B1 (en) Vehicle seat assembly
EP2019608B1 (en) Adjustable bolster assembly
CN111497692B (zh) 用于纵向调节车辆座椅的调节装置
US20060226683A1 (en) Adjustable lumbar support with extensive configurability
JPH10175469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1547105B1 (ko)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US9821692B2 (en) Deployable leg rest assembly
EP0289468B1 (en) Front seat for two door motor-cars
US6193316B1 (en) Vehicle seat with backrest part adjustment
US11577838B2 (en) Seat, in particular an aircraft seat
CN108312909A (zh) 交通工具座椅易进入式***
CN104284799A (zh) 用于垂直调节车辆座椅的座椅调节装置
US6582023B2 (en) Vehicle seat with a side carrier and a buckle
KR101592758B1 (ko) 차량용 후석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US5232264A (en) Vehicle seat
KR101220939B1 (ko)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KR101945797B1 (ko) 파워 헤드레스팅 장치
KR102125978B1 (ko)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KR101220944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KR102411246B1 (ko)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KR101252497B1 (ko) 리어시트 편의 장치
US11505096B2 (en) Reclining device for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