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380A - 디스플레이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의 동시 다기능 핸들링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의 동시 다기능 핸들링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380A
KR20210002380A KR1020197028263A KR20197028263A KR20210002380A KR 20210002380 A KR20210002380 A KR 20210002380A KR 1020197028263 A KR1020197028263 A KR 1020197028263A KR 20197028263 A KR20197028263 A KR 20197028263A KR 20210002380 A KR20210002380 A KR 20210002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ing
handling field
field
display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저 발린트
Original Assignee
게저 발린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저 발린트 filed Critical 게저 발린트
Publication of KR20210002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8Touch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time-pie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6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in which functions not related to time can be display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Electric Clock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의 터치에 의해 제어되는 핸들링 필드(2, 25, 32, 41)를 포함하는 스마트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13, 22) 상에 나타내어진 화상의 제어된 수작업 선택 및/또는 화상의 디스플레이 매개변수들의 조절을 위한 구성체로서, 화상 및/또는 디스플레이 매개변수들의 제1 사전결정 그룹은 한 사용자의 한 손가락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구성체는 동일 사용자의 다른 한 손가락에 의해 터치될 수 있는 위치에 배열된 추가 핸들링 필드(1, 27, 37, 38, 42)를 포함하고, 터치됨으로써 제1 그룹에 속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디스플레이 매개변수가 조절될 수 있으며, 추가 핸들링 필드(1, 27, 37, 38, 42)는 상기 핸들링 필드(2, 25, 32, 41)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되고, 핸들링 필드들은 공통 몸체(11, 24, 31)를 통해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의 동시 다기능 핸들링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 장치
본 발명은 지능형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수작업으로 제어된 선택 및/또는 표시 매개변수의 조절을 위한 구성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지능형 전자장치는 손가락 터치에 의해 제어되는 핸들링 필드를 가지며, 상기 핸들링 필드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화상 및/또는 매개변수의 제1 사전결정 그룹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연산 장치들의 빠른 발전이 전부 작은 사이즈인 여러 종류의 스마트 장치들의 실현을 가능하게 만든 고속 프로세서와 데이터 저장장치를 제공해왔음은 기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장치들은 주로, 전화로서의 사용은 능력의 작은 일부만을 필요로 하는 더욱더 많은 기능들을 구비한 휴대전화들이거나, 또는 이러한 휴대전화들과 견주는 성능을 가진 스마트 워치들이며, 나아가 특정 스마트 장치들은 상이한 목적들에 사용된다. 자동차에 내장될 수 있는 장치들은 자동항법장치로서의 용도 외에 여러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그러한 장치들에도 속한다.
이러한 장치들은 사용자가 더욱 많은 가능성들의 종류 중에서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장치들에 의해 제공되는 능력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을 요구하는 반면, 인간의 손과 손가락들의 크기 및 이들의 해부학적 제한들 또는 기타 사정들(예를 들어 자동차 운전자로서 손들의 다른 할 일들 또는 장치를 잡고 있을 필요)은 장치들을 핸들링하고 다중 개수의 기능들 중 선택한다는 관점에서 또한 소형화에 인간적인 한계들을 부과한다.
이러한 한계로는 예를 들어 데이터 입력에 필요한 키보드의 디자인이 있는데, 이 경우에 있어 소형화는 더욱 작은 필드들에서의 조작을 요구한다. 데이터 입력에 관한 한, 발전의 일 방향은 수작업 데이터 입력을 어느 정도까지 대체할 수도 있을 음성인식의 완성, 또는 작은 손가락 움직임들의 스마트한 인식이 직접 데이터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솔루션의 발명이지만, 이때 사용자는 사전결정된 제스처 조합을 배워야 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직접 데이터 입력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시스템이 제공된 WO2016/170374 A1 공보로부터 습득할 수 있다. 여기서는 동일한 제스처 조합들의 감지에 대해 두 개의 택일적인 솔루션들이 제안되었다. 이들 중 하나에서는, 장치의 핸들링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상호 수직인 두 방향을 따라 장치의 몸체에 대해 미세한 정도로 이동될 수 있다. 변위는 (바람직하게는 원형 또는 타원형인) 폐경로에 의해 제한되며, 이 경로를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직경방향 대향 위치들에, 터치에 의해 또는 햅틱 피드백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쉽게 감지될 수 있는 오목부들 또는 블록들이 배열된다. 경로 가장자리의 도달 또한 감지될 수 있다. 핸들링 필드는 바이어스된 스프링 시스템에 의해 항상 필드의 중앙으로 이동되며, 따라서 문자의 입력은 쉽게 배울 수 있고 감지될 수 있는 제스처들 조합을 그리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동일한 원리를 이용하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입력 필드는 정적이지만 손가락이 따라 움직여질 수 있는 일종의 오목부로 된 유사한 경로를 포함한다. 특별한 위치들은 이 위치들에 배치된 오목부들에 의해 또는 손가락 끝부분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작은 융기 섬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문자들을 "그리는 것"이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동작이 항상 햅틱 피드백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 즉 문자들을 그리는 것에 대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필드를 관찰하거나 또는 시각적 관찰에 의해 손가락 움직임을 점검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이들 택일적 솔루션 양쪽 모두의 특징이다.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내어지는 화상의 제어는 단지 증가된 수의 가능성들 및 사용자 요구사항들 때문에 점점 더 복잡해지는 과제들을 대변한다. 터치스크린 장치들의 경우 여러 디스플레이 기능들이, 화상의 양방향 이동, 화상 축척의 증가 또는 감소 또는 화상의 회전을 포함하는, 여러 방향들로 만들어진 제스처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솔루션들의 일반적인 결점은 그 자체로도 작은 디스플레이 필드로부터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의 작은 면적을 차지한다는 점이다. 이 문제는 디스플레이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더욱 커진다.
요구사항들의 발전은 나열된 가능성들을 넘어서는 화상 핸들링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요구사항들의 전형적인 일례는 더욱 많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요구되는 3차원 시각화이다. 표시될 물체의 3차원 데이터는 장치의 메모리에서 입수가능하지만, 사용자는 상호 수직인 3개 방향 중 하나 이상으로 화상을 이동시키고,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화상을 회전시키며, 또한 화상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시킬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2차원 평면에서 해결될 수 없는 유사한 과제가, 자동항법 도중에 해당 지역들의 지도가 다른 관점들로부터 관찰되어야 할지, 예를 들어 선택된 유형의 관심지점(POI)이, 교통 표지판들 또는 등고선 또는 주위 시설물들이 어디에서 더욱 자세히 관찰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상이한 디스플레이 컨텐츠들은 레이어들로 배열되며, 화상 제어를 위해서는 레이어들 사이를 이동할 필요가 또한 있다.
화상 핸들링 매개변수들의 추가적인 그룹은 3차원 기능들에 관련되는 것이 아니라 검색(스크롤) 기능들의 최적 성능에 관련되는데, 여기서는 먼저 더 큰 필드에서 더 작은 필드가 검색되며, 우리가 목적지에 접근할 때, 확대된 화상은 훨씬 더 느리게 이동되어야 한다. 이는 매개변수를 따르는 이동(좌-우 또는 위-아래 이동들)에서 검색 속도를 또한 바꿀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요구사항들 측면에서는 아주 많은 매개변수들을 변경해야 할 필요가 있는 반면, 더욱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2차원 필드에서는 핸들링될 수 있는 매개변수들의 개수가 제한되며 과제들은 예컨대 여러 기능 필드들의 연계 및 사용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인간-기계 시스템의 인간 측면의 보다 나은 활용과, 이전에 사용된 2차원 제어에 의해 잘 핸들링될 수 있는 매개변수들 그룹이 추가 매개변수들에 대한 조절 가능성들을 생성함으로써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화상 제어 및 핸들링 가능성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가능성들의 확장이 사용자를 더 피곤하게 만들지 않으며, 오히려 사용자가 필요한 조절을 편안하게 거의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이용가능한 디스플레이 표면에서 귀중한 부분들을 차지하지 않거나 또는 기껏해야 작은 영역들을 차지하는 추가 핸들링 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적인 목적은 별개 중요 응용분야들(스마트 워치, 자동차 적용, 모바일 장치에 사용)에 대해 이전에 세워진 목표들을 이러한 특정 응용들의 제한사항들을 고려함으로써 최적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적인 목적은 확장된 화상 핸들링 및 화상 제어 과제의 제공 도중에 화상 핸들링 및 제어를 위해서도 전술한 직접 데이터 입력 기능들의 사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은, 손가락의 터치에 의해 제어되는 핸들링 필드를 포함하는 스마트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내어진 화상의 제어된 수작업 선택 및/또는 화상의 디스플레이 매개변수들의 조절을 위한 구성체로서, 화상 및/또는 디스플레이 매개변수들의 제1 사전결정 그룹은 한 사용자의 한 손가락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구성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성체는 동일 사용자의 다른 한 손가락에 의해 터치될 수 있는 위치에 배열된 추가 핸들링 필드를 포함하고, 터치됨으로써 제1 그룹에 속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디스플레이 매개변수가 조절될 수 있으며, 추가 핸들링 필드는 상기 핸들링 필드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되고, 핸들링 필드들은 공통 몸체를 통해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자연스러운 3차원 움직임을 모방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링 필드들이 서로 각을 형성하거나 또는 몸체의 대향 표면들에 배열된다면 바람직하다.
알려진 직접 데이터 입력 솔루션의 활용을 위하여, 핸들링 필드 또는 핸들링 필드의 일부는 상호 수직인 두 방향으로 폐쇄 경로를 따라서 몸체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고, 핸들링 필드의 이러한 디자인은 제1 기능 모드에서 그 자체로 알려진 데이터 입력 장치의 일 요소를 구성하고, 상이한 다른 기능 모드에서는 몸체에 대한 이러한 이동이 추가적인 디스플레이 매개변수들과 연관된다.
상기 핸들링 필드 및 상기 추가 핸들링 필드 상에서 두 손가락의 동시 이동이 사전결정된 논리 시스템에 따라 서로 조정되고, 이러한 이동이 동일한 논리 시스템과 논리적으로 연결된 화상 이동을 초래한다면, 입력의 학습이 더 쉬워질 것이다.
디스플레이 매개변수들의 제1 및 제2 그룹들이 상호 수직인 3개의 좌표들(x, y, z)을 따르는 화상의 조절에 요구되는 매개변수들을 함께 포함할 때, 특별한 화상 핸들링 가능성이 제공될 것이다.
중요한 응용 분야에서, 몸체는 사용자의 손목에 배치될 수 있는 스마트 워치의 몸체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핸들링 필드는 디스플레이의 일단부 가까이에 배열되고 추가 핸들링 필드는 디스플레이의 타단부 가까이에 배열된다.
추가 핸들링 필드가 상기 핸들링 필드보다 상당히 작다면 전체 크기는 축소될 수 있다.
다른 중요한 응용에서, 몸체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의 일부에 의해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핸들링 필드가 스티어링 휠을 파지할 때 한 손의 한 손가락이 닿는 거리 내에 배치되고 운전자를 향해 있으며, 추가 핸들링 필드가 동일한 손의 추가 손가락이 닿는 거리에 배열되고 반대방향으로 향해 있다면 바람직하다.
다른 적당한 응용분야에서, 몸체는 스마트 전자장치의 평평한 직사각형 몸체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핸들링 필드는 장치의 정면에 배열되고 정면은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추가 핸들링 필드는 장치의 후면에 배열되고, 상기 핸들링 필드는 햅틱 피드백에 의해 데이터의 입력을 보장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햅틱 피드백은 상기 수단 또는 손가락 중 하나를 제스처 조합들에 의해 폐쇄 경로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이루어지며, 반면 추가 작동 모드에서 폐쇄 경로를 포함하는 동일한 수단에 의해 추가적인 화상 디스플레이 매개변수들이 제어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응용분야에서, 핸들링 필드 및 추가 핸들링 필드가 랩탑 또는 키보드가 구비된 태블로이드의 평면 핸들링 표면으로부터 공간으로 경사져 돌출될 수 있는 몸체 또는 몸체들 상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체는 설정된 과제들의 완전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그 사용은 이전에 알려진 솔루션들에 비해 상당히 향상되고 단순화된 핸들링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체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연계되어 더욱 자세히 설명될 것이며, 이때 첨부도면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것이다. 도면들은,
도 1은 약간 아래에서 본 스마트 워치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약간 위에서 본 도 1에 유사한 도면이며,
도 3은 핸들링 필드(1)의 이동가능 특성을 시각화한 확대 스케치이고,
도 4는 다른 방향에서 본 스마트 워치의 단순화된 사시도이며,
도 5는 z축을 따르는 하방 이동의 스케치를 나타내고,
도 6은 z축을 따르는 상방 이동의 스케치를 나타내며,
도 7은 x축을 따르는 이동의 스케치를 나타내고,
도 8은 z축 중심의 시계방향 회전 이동의 스케치를 나타내며,
도 9는 z축 중심의 반대방향 회전의 스케치를 나타내고,
도 10은 x, y 평면에서의 이동의 스케치를 나타내며,
도 11은 x축 중심의 일방향 회전의 스케치를 나타내고,
도 12는 x축 중심의 타방향 회전의 스케치를 나타내며,
도 13은 자동차 내부 공간의 상세를 스티어링 휠과 대시보드 및 윈드쉴드의 일부로써 나타내고,
도 14는 운전자를 향하는 제1 핸들링 필드의 핸들링을 도시한 스케치이며,
도 15는 운전자에서 먼 쪽을 향하는 제2 핸들링 필드의 스케치이고,
도 16은 전체 디스플레이 필드가 이동될 수 있는 스마트 모바일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7은 핸들링 필드가 상부 표면의 상부 표면의 작은 일부만을 차지하는 도 16에 유사한 도면이고,
도 18은 모바일 장치의 후면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스케치이며,
도 19는 랩탑 또는 데스크탑 장치의 플레이트 평면의 스케치를 나타내고,
도 20은 도 19에 나타낸 장치의 상부 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두 핸들링 필드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 실시예는 하박(손목)의 형상을 추종하는 큰 원호모양 몸체를 가지며, 풀거나 개방할 수 있는 어울리는 스타일의 금속 시계줄(12)에 피벗 연결을 통해 결합되어 워치(10)를 하박에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스마트 워치(10)이다. 최신 스마트 휴대전화에 비견할 만한 내부 구조와 연산 능력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고, 더욱이 이번 경우에는 종래의 평평한 수지형(hand-held) 휴대전화에서는 실현될 수 없었던 부가적인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워치(10)의 내부에 소형 전자 시스템이 배열된다. 본 발명의 핵심은 스마트 워치의 내부 디자인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이 소형 전자장치가 더욱 편안하고 빠르며 동시에 더욱 효율적인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해 핸들링될 수 있도록 하는 솔루션에 있다.
워치(10)의 가장 큰 중앙 필드는 터치 감응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터치 감응형일 필요는 없는 약간 원호 형상의 디스플레이(13)이다. 워치(10)는 도 1에 약간 아래로부터, 도 2에 약간 위로부터 도시되어 있다. 터치 감응형인 핸들링 표면을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사실상 워치(10)의 전체 폭을 따라 연장되는 직사각형을 형성하는 좁은 형상을 가지는 제1 핸들링 필드(센서)(1)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13)의 상부 가장자리의 위아래로 배열된다.
디스플레이(13) 아래에는, 워치(10)의 몸체(11)의 폭과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폭을 갖지만 제1 핸들링 필드(1)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가짐으로써 실질적으로 더 큰 표면을 가지는, 도 1에서 잘 볼 수 있는 제2 핸들링 필드(센서)(2)가 배열된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제2 핸들링 필드(2)는 도 1에 겹화살표(14)로 시각화된 상호 수직인 두 축들을 따라서, 워치(10)의 몸체(11)에 대해, 워치(10) 자체에 평행하게(그러나 절대 회전되지 않게), 약간 변위될 수 있는 평평한 기계 유닛이다. 핸들링 필드(2)와 몸체(11)의 사이의 기계적 연결과 연계된 기능들은 WO/2016/170374 A1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즉, 핸들링 필드(2)는 도 3에 나타낸 폐쇄 경로(15)에 의해 제한된 방식으로 단일 손가락에 의해 이동될 수 있고, 그 이동은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며 쉬운 방법으로 습득될 수 있는 데이터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경로(15)의 직경방향 대향측들에서 햅틱 피드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작은 오목부들(16)이 형성되고, 이로써 경로(15)를 따르는 이동 도중에 각각의 오목부들(16)에 도달된 때를 사용 중에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핸들링 필드(2) 이동의 가능성은 참조된 공보에 설명된 직접 데이터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에 나타낸 경로(15)의 실제 크기는 훨씬 작고 변위의 직경의 길이는 기껏해야 수 밀리미터에 불과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핸들링 필드들(1, 2)의 표면들이 감지 표면들이므로 표면들을 따르는 손가락 이동들은 적절한 전자 유닛들에 의해 감지되고 각각의 이동 제스처들은 그 방향, 속도, 크기 및 위치에 따라 서로간에 구별될 수 있다. 핸들링 표면(2)은 다른 하나의 핸들링 표면에 비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우리 손가락들을 이 표면을 따라서 움직임으로써 더욱 상세하고 복잡한 제스처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경로(15)를 따르는 핸들링 필드(2)의 이동은 스프링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손가락을 (마치 가볍게 어루만지기만 한 것처럼) 정적인 표면을 따라서 움직이는 것인지 아니면 핸들링 필드(2) 전체가 데이터 입력에 필요한 강제 푸시 및 이동이 된 것인지 충분히 구별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핸들링 필드(2)가 그 위에서 (바람직하게는 그 상부 위에서) 여러 목적들을 위해 사용되므로, 여러 작은 기능 구역들이 나타나 있고, 도 1에는 이들 중 수치 입력과 연관된 기능 구역(17)이 나타내어졌다. 초기 상태에서 핸들링 필드(2)의 센서 입력 기능이 설정되며 데이터 입력 기능은 핸들링 필드(2)가 푸시되어 몸체(11)에 대해 완전히 이동되면 촉발될 것이다. 이 시작 상태에서 데이터 엔트리는 예를 들어 영어 알파벳 문자들의 입력으로 맞춰지지만, 기능 구역(17)을 이전에 누른 이후에 각각의 이동 조합들은 숫자들 또는 구두점들과 연계될 것이고, 추가적인 기능 구역들이 상이한 워드프로세싱 명령어들 또는 상태들에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들은 인용한 공보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관점에서는, 더 강하게 눌려진 상태에서 핸들링 필드(2)가 데이터 및 명령어들의 입력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는 중요성만을 가진다.
본 발명이 스마트 워치(10)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핸들링 필드들(1, 2)은 서로로부터 일정 거리에, 예컨대 디스플레이(13)의 양단부들에 배열된다는 사실들에 의해 특징지어지기만 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핸들링 필드들(1, 2) 각각의 평면들이 각을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후술할 공간 제어의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핸들링 필드들(1, 2)의 거리 및 배열이 아무런 물리적 노력 없이 두 손가락에 의해 쉽게 터치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과, 이로써 핸들링 필드들(1, 2)은 손가락들에 의해 별개로 또는 함께 접촉됨으로써 손가락들이 핸들링 필드들(1, 2)을 따라서 편안하게 이동될 수 있다는 점이 또한 중요하다.
도 4는 핸들링 필드들(1, 2)에 의해 형성된 상대 각도가 더욱 잘 도시되어 있는 스마트 워치(10)의 단순화된 사시도를 나타낸다. 각각의 기능들의 이해를 더 쉽도록 하기 위하여, 이들 기능의 기본 특성들이 도 4 내지 도 12에 영어 용어로 나타나 있다.
각각의 주 기능들의 실현을 도시하고 있는 도 5 내지 도 12를 이제 참조한다. 핸들링은 공간에서, 즉 3차원에서 이루어지므로, 각각의 수치들 옆에는 공간좌표시스템의 x, y, z 방향이 항상 지시되고 좌표 바로 옆에는 x-y 평면에서의 투사가 보여지며, 그 좌표들은 굵은 선들로 그려지고, 이 선들을 따라서 해당 기능(이동 조합)이 디스플레이(13)에 나타난 화상 또는 커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10)의 프로세서는 해당 기능의 공간 데이터를 포함하며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고 가정된다. 이는 예를 들어 지도의 경우에 x, y 평면에 지도 자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으며, 동시에 (알려진 바와 같이) 각각의 상이한 레이어들(예를 들어, 상이한 관심지점들, 교통표지판들, 규칙들, 등고선들 등등)에 시각화될 수 있는 특성들이 있는데, 이는 이들을 동시에 지시하면 화상을 해석하기에 너무 복잡하게 만들 것이기 때문이다. 본체 또는 제품의 내부 좌표가 기계 내에서 입수가능한 때(예컨대 3차원 설계의 경우)에는 추가적인 기능들과 프로그램들이 있으며, 사용자가 구조를 x, y 평면에서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깊이방향 검사, 즉 z축을 따르는 검사도 또한 가능하게 되어야 하며, 즉 관심있는 화상이 선택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솔루션은 이러한 다소 복잡한 과제를 핸들링할 수 있는 쉬운 방법을 제공하여, 핸들링 중에는 손가락들과 손이 디스플레이(13)의 영역을 덮지 않을 것이다.
도 5는 z축을 따르는 하방 이동(스프레드)을 도시한다. 이러한 이동을 위해 두 손가락이 도면에 화살표들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링 필드들(1, 2)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이어서 우리는 깊이방향 아래쪽으로 레이어에서 레이어로 이동한다. 워치(10)는 대부분 왼쪽 손목에 채워지므로, 공간에서 컨텐츠의 하방 이동은 두 손가락을 아래쪽으로 슬라이드시키는 두뇌에 의한 자연스러운 이미징을 나타내며 따라서 이러한 제어는 사용자에게 가장 자연스러운 것인 이동 조합들을 활용한다.
도 6은 앞서 설명한 이동의 정확히 반대인 z축을 따르는 반대방향 상방 이동을 나타낸다.
도 7은 양방향 두 손가락 제어의 경우에 x-y 평면의 화상을 x 축 방향으로 이동(스와이프로 지칭됨)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실제 디스플레이된 평면에서 기본 이동들(우에서 좌로 및 위 및 아래 이동, 및 화상의 확대 또는 축소)은 핸들링 필드(2)의 평면적 제어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지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위치 제어에 익숙해졌다면, 두 손가락에 의해 이러한 이동을 확실히 제어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도 8은 z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의 제어를 나타내고, 한편 도 9는 반시계방향의 유사한 제어를 나타낸다. 회전에 연관된 손가락 이동들은 다시 자연스러운 방식에 대응하는데, 왜냐하면 손가락들이 반대 방향들로 이동되기 때문이다.
도 10은 핸들링 필드(2)를 따라서만 손가락을 이동할 필요성이 있는 앞서 언급한 단일 손가락에 의한 이동을 나타낸다. 주어진 화상 평면에서 이루어지는 이러한 종류의 이동(팬 이동)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은 복수의 기능들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화상 또는 커서가 디스플레이된 평면에서 이동되어야 할 때, 그때 검색된 위치는 더 거친 이동에 의해 먼저 검색되고 목표물이 보이려고 할 때, 이동 속도가 감소되어야 한다. "속도"라는 용어는 단일 손가락 변위와 연관된 스크린상의 변위에 의해 해석된다. 속도 변화를 위해서는 나머지 핸들링 필드(1)의 존재가 좋은 가능성을 제공한다. 핸들링 필드(1)가 안정 위치(18)에서 다른 손가락에 의해 터치되면, 그러면 이 접촉은 워치(10)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 이벤트로서 감지될 것이다. 여러 가지 경우에서, 한 번의 속도 변화 단계만 제공된다면 충분하며, 이러한 경우들에는 위치(18)가 단순히 터치된다면 충분하다. 여러 스피드를 구비한 시스템들에서, 제어는 다수의 연이은 접촉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역방향 변경 또한 여러 방법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런 가능성들 중 하나는 핸들링 필드(1)의 우측이 터치되면 속도가 감소할 것이고 좌측이 터치되면 속도가 증가할 것이라는 점에 놓여 있다. 대안적 가능성에서는, 접촉 위치는 아무런 역할이 없지만, 예를 들어 첫 세 번의 접촉은 속도를 증가시키고 각각의 이어지는 접촉들은 속도를 감소시킨다. 핵심은 속도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하나의 핸들링 필드(1)를 터치함으로써 속도 변화가 가능하게 된다는 사실에 있다.
마지막으로, 도 11 및 도 12는 y-z 평면에서의(즉 y축 중심의) 회전의 제어를 나타내며, 이는 x-y 평면에서만큼이나 사용자에게는 자연스럽다.
두 손가락에 의한 제어 외에도 이전 장치들에서 사용되고 습득된 기능들은 여전히 사용될 수 있다. 즉 두 손가락이 더 큰 핸들링 필드(2)를 따라서 멀어지게 이동된다면 화상은 확대될 것이고 손가락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된다면 화상은 축소될 것이다.
핸들링 필드(2)가 본체(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된다면 즉, 주어진 평면에서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이동이 하나의 손가락에 의해 제어되어 상방 및 하방 또는 우에서 좌로 이루어진다면 추가적인 흥미로운 가능성이 얻어지며, 이 가능성은 스크롤 기능에 대응한다. 디스플레이가 이런 식으로 제어될 때, 핸들링 필드(2)는 데이터 입력 모드에 있지 않으며, 따라서 핸들링 필드(2)는 도 3에 나타낸 경로(15)를 따라서 4개의 오목부들(16)에 의해 형성된 특별한 위치들 중 임의의 하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들 위치들은 예컨대 상방, 하방, 우측 및 좌측 방향의 이동들 중 각각 하나와 연계될 수 있다. 워치(10)의 프로세서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드에서 핸들링 필드(2)를 오목부들(16) 중 임의의 하나에 배치하면 디스플레이된 화상을 연계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고, 이는 별도 핸들링 수단의 필요성 없이 상-하 및 좌-우 방향들로의 스크롤 기능을 간단히 구현한 것을 의미한다. 핸들링 필드(2)를 몸체(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가능성은 각각의 제스처들을 쉽게 해석될 수 있는 적절한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들과 연계시킴으로써 추가적인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들과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15)를 따르는 시계방향 회전 제스처는 화상을 우측으로 회전시키는 결과를 낳고, 반대방향 제스처는 화상의 좌측 회전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평면에서의 종래의 제어는 우선 도 5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핸들링 필드들을 사용하는 제어에 의해 향상되고, 이는 핸들링 필드(2)를 몸체(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특별한 위치들의 존재를 활용하는 가능성과 조합되거나 이러한 가능성에 의해 보완될 수 있으며, 이로써 핸들링 자유도를 증가시키고 또한 편안함을 증가시키는 추가적인 디스플레이 기능들이 실현될 수 있다.
다중 손가락에 의한 화상 및/또는 커서의 3차원 제어는 스마트 워치의 경우에만 활용될 것이 아니라 여러 다른 응용 분야에서도 또한 활용될 수 있다. 도 13은 스티어링 휠(20)을 운전자의 양손이 파지하고 있는 자동차의 내부 공간의 상세를 나타낸다. 자동차의 내부 공간에서 내장 디스플레이(21)가 언급된 통상적인 핸들링 및 디스플레이 수단을 볼 수 있고, 윈드쉴드 앞에는 대시보드에 내장된 스마트 전자제어유닛의 프로젝터에 의해 생성된 투사 화상(22)을 볼 수 있다. 화상(22)은 경로 지도의 상세사항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의 목적은 앞서 언급되었으나 도시되지는 아니한 제어유닛에 의해 운전자를 위해 투사된 디스플레이된 화상(22)을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3차원 제어하는 것이다.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20)과 스티어링 칼럼에 고정된 스티어링 휠 중앙부(23)는 일반적으로 두 연결부재들(24)에 의해 연결되며, 이들 중 하나는 운전자의 오른손 가까이에 있고 다른 하나는 왼손 가까이에 있다. 운전자가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냐에 따라 우측 또는 좌측 연결부재(24)의 전방표면상에, 이전 실시예에서의 스마트 워치(10)의 핸들링 필드(2)와 유사한 방식으로 디자인되고 제어될 수 있는, 센서를 사용하는 핸들링 필드(25)가 배열된다. 차이점은 이용가능한 표면이 더 크다는 점에 있는데, 이는 핸들링 필드(2)에서 그랬던 것처럼 핸들링 필드(25) 전체를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디자인함으로써 데이터 입력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불필요한 것으로 만들어 버릴 수 있다. 이 경우 WO/2016/170374 A1 서면에서 제2 데이터 입력 모드로 설명된 다른 유형의 데이터 입력이 더 선호될 수도 있는데, 여기서는 핸들링 필드가 폐쇄 경로를 따라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폐쇄 경로가 표면상에 만들어지고 직경방향 대향 위치들의 터치 감지를 가능하게 하는 오목부들이 경로의 가장자리에 배열된다. 이 내부 필드는 약간 외측으로 융기된 섬들에 의해 복수의 부분들, 바람직하게는 4개의 부분들로 분할되고, 이러한 경우 데이터 입력은 필드 전체가 경로를 따라서 이동되었을 때와 동일한 이동 조합들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번 경우에는 손가락이 정적 필드 상에서 이동되어야 한다. 데이터 입력 필드가 핸들링 필드(25)의 별도 부분 상에 제공되는지 또는 핸들링 필드(25)의 옆 또는 아무데나 편리한 곳에 배열되는지는 세부적인 문제일 뿐이다.
도 14 및 도 15의 확대도에서는, 스티어링 휠의 연결부재(24)의 전방부분(도 14) 및 후방부분(도 15)이 도시되었다. 도 14는 운전자를 향해 있는 전방 핸들링 필드(25)가 엄지손가락(26)에 의해 터치되고 있는 것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운전자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는 연결부재(24)의 후방표면을 나타내며, 상기 후방표면에는 센서를 가지며 운전자의 검지(28)에 의해 터치되고 있는 후방 핸들링 필드(27)가 제공된다.
디스플레이(21) 상에 투사되거나 또는 나타난 화상 및/또는 커서를 제어하기 위하여, 도 5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던 것과 동일한 이동 조합들이 연계될 수 있으며, 따라서 x, y, z축을 따르는 또는 중심으로 하는 모든 종류의 이동이 운전자의 두 손가락의 쉽게 조직된 이동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두 전방 및 후방 핸들링 필드들(25, 27)이 서로의 후방에 배열되어 동일한 손의 두 손가락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면 바람직하겠지만, 다른 솔루션도 가능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제2 핸들링 필드(27)가 스티어링 휠(20)의 다른 또는 추가 연결부재의 전방 표면상에 제공되고, 그러면 이는 운전자의 왼손(29)의 한 손가락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도 13).
이전에 언급된 데이터 입력 기능은 이전에 참조된 공보의 두 버전 모두에 따라 실현될 수 있다. 전방 핸들링 필드(25)는 핸들링 필드(2)의 이동과 유사하게 스티어링 휠의 연결부재(2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만들어질 수 있고, 그 경우 유사한 기능적 가능성들이 이용가능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폐쇄 경로가 전방 핸들링 필드(25)의 일부에 제공되고 그 필드에서 손가락의 이동이 데이터 입력 또는 특별한 화상 이동 기능들 중 하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핸들링 필드가 제공되는 구조는 손에 의해 특별히 유지될 것을 요구하지 않았는데, 이는 워치(10)는 손에 고정되고 다른 손의 손가락들은 그 위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자동차 내의 응용에서는 핸들링 필드들이 스티어링 휠에 의해 유지되고, 스티어링 휠을 잡고 있는 손들의 손가락들은 쉬운 방법으로 필드들을 따라 움직일 수 있었다.
3차원 제어 또는 핸들링 기능들 향상에 대한 가장 빈번한 필요성 중 하나는 스마트 휴대전화 또는 다른 지능형 전자장치들의 핸들링 요소들의 경우에 나타난다. 이러한 경우에는 손가락들의 자유 이동이 한 손으로 장치 자체를 유지할 필요성에 의해 제한된다. 즉, 손은 여러 가지 할 일들이 있고, 장치의 낙하 위험이 없게 하려면 손가락들의 이동이 이전 경우들에 비해 현저히 부자유스럽다.
도 16 및 도 17에서는 이전에 참조된 공보 WO/2016/170374 A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 핸들링 필드들이 기본적으로 장착된 각각의 전형적인 스마트 모바일장치가 도시된다. 도 16에 나타낸 장치(30)는 동시에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이기도 한 핸들링 필드(32)에 의해 거의 완전히 덮이는 평평한 직사각형 몸체(31)를 가진다. 핸들링 필드(32)는 공보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겹화살표(33)의 각각의 방향을 따라서 소정 제한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낸 장치(34)는 소정 제한 내에서 양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역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가 제공되는 장치(34)의 전방표면의 대부분을 자유롭게 남겨두는 더 작은 핸들링 필드(35)를 가진다는 점에서만 장치(30)와 다르다. 핸들링 필드(35)의 표면은 접촉하는 손가락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표면이기도 하다. 핸들링 필드(35)는 참조된 공보에 설명된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을 위해 당연히 사용될 수 있다.
도 18은 바람직하게는 중앙부분에 융기부(36)가 장치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한 표면으로부터 약간 융기되어 나온 이전 장치들(30, 34)의 후방측을 나타낸다. 융기부의 양측 모두에 각각의 핸들링 필드들(37, 38)이 제공된다. 장치가 손에 의해 유지될 때는, 엄지손가락은 장치의 전방측에 제공된 전방 핸들링 필드(32 또는 35)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고, 장치의 낙하 위험 없이 추가 손가락이 후방표면을 따라 이동가능하지만, 유지 기능이 제한사항을 가하므로 이 이동은 손가락이 다른 어떤 임무도 없을 때처럼 미세하고 복잡하지는 못할 것이다. 후방측을 터치하는 손가락들 중 하나는 융기부(36)의 존재를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자유도를 가질 것이며 융기부(36)의 우측 또는 좌측에서 필드들(37 또는 38)을 접촉하는지를 구별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에서는, 전방면의 핸들링 필드는 여러 방법으로 다시 사용될 것이다. 즉, 전방면의 핸들링 필드가 살짝 눌러져서 장치(30 또는 34)의 몸체(31)에 대해 상대적으로 x 또는 y 방향을 따라 변위하면, 데이터 입력 기능이 선택될 것이고 이동에 의해 데이터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바이어스된 기본 위치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힘으로 손가락이 핸들링 필드(32 또는 35) 상에서 이동될 때, 그러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 이동에 의해 팬 제어가 실현될 수 있다. 만약 동시에 예를 들어 융기부(36)로부터 좌측 핸들링 필드(37)가 터치되면(즉, 장치를 유지하느라 묶여 있는 손가락을 움직일 필요가 없음) 기능 변화가 발생할 것이며, 핸들링 필드들(32 또는 35)을 이동시킴으로써 추가 이동 기능들이 선택될 수 있다. 핸들링 필드(32 또는 35)는 중앙 위치로부터 임의의 오목부(16)까지의 반경방향 변위에 의해 이동될 수 있고, 이들 오목부들에 푸시될 수 있거나 또는 여러 제스처들을 만들면서 폐쇄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들과 제스처들에 대해 각각의 화상 또는 커서 제어 기능들이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링 필드가 y축을 따라서 상부 오목부까지 눌려진다면 화상이 상방 또는 그 반대로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핸들링 필드를 횡단 대각선의 단부들까지 누른다면 화상은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시계방향 원호 제스처는 우측으로 회전을 초래하고 반대방향 원호 제스처는 좌측으로 회전을 초래한다. 흥미로운 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핸들링 필드가 수직 오목부까지 눌려지면 화상은 상방으로 이동하고, 그 경우에 압력은 감소되지만 손가락은 동일한 수직 방향으로 감지 필드를 따라서 이동된다면, 시작된 수직 화상 이동은 손가락이 제거되거나 들어올려질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후방측에 있는 손가락이 융기부(36)의 좌측에 있는 핸들링 필드(37)에 터치되지 않고 우측 핸들링 필드(38)에 터치되는 경우에는 기능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전방 핸들링 필드(32 또는 35)의 변위의 경우에는 상방 또는 하방 이동인 z방향을 따르는 이동의 제어가 발생할 것이며, 이는 이전 케이스에서 만들어진 제어에 수직이다.
도 16 내지 도 18에 나타낸 솔루션의 핵심은 어느 특정 화상 제어모드에 있는 것이 아니라, 종래 제어들에 더하여, 감지 핸들링 표면을 따라 손가락을 움직이는 것을 부가함으로써 추가 제어 차원들이 제공될 것이라는 점에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핸들링 필드 자체가 장치의 몸체에 대해 이동되어야 하고, 장치의 후방측에서 적절한 필드를 터치함으로써 두 추가 기능들이 이들 가능성들에 부가될 수 있는데, 이 터치는 후방측에서 장치를 낙하 위험 없이 유지하는 손가락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한다. 도 19는 종래 랩탑(40) 또는 유사한 컴퓨터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키보드는 영역(39)으로 부호화되고, 그 전방에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필드가 종래 터치패드를 위해 커서 제어 필드로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링 필드의 향상된 기능은 서로에 대해 각지게 튀어나올 수 있는 두 핸들링 필드들(41, 42)이 해당 영역에서 제공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초기 또는 기본 위치에서 이들 필드들은 랩탑(40)의 상부 평면에 배열되며, 두 부분으로 나누어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커서 제어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핸들링 필드들(41, 42) 옆에는 버튼(43) 또는 유사한 수단이 구비되며, 버튼(43)을 누른 결과로 두 핸들링 필드들(41, 42)은 (스프링 바이어스 덕분에) 상부 평면으로부터 융기되어 나갈 것이고 도 20에 나타낸 위치를 차지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안내 요소들이 핸들링 필드들(41, 42)의 이런 경사진 위치가 안정적인 방식으로 유지되도록 확실히 한다. 이런 높은 위치에서 핸들링 필드들(41, 42)의 역할은 별개일 것이며 그들은 도1 내지 도 12와 연관된 스마트 워치(10)의 설명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핸들링 필드들(1, 2)의 기능들을 맡을 것이다. 두 핸들링 필드들(41, 42)은 이제 분리되었고 각각 다른 경사 평면들을 가지므로, 스마트 워치(10)의 제어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던 것과 동일한 기능들이 그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비록 각지게 경사진 디자인이 바람직하지만, 직사각형 지지 요소가 상부 평면에 대해 직립 위치를 차지하는 대안적인 솔루션이 실현될 수도 있으며, 핸들링 필드들이 이 플레이트 상의 전방 및 후방 면들 위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그 핵심이 핸들링 기능들의 실질적 향상 및 단순화에 있으므로 나타낸 예시적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로 제한되지 않으며, 반면 본 발명은 지금까지 해결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던 과제들을 해결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10)만큼 작은 핸들링 필드를 갖는 장치는 랩탑이나 휴대전화의 핸들링 가능성을 가질 뿐 아니라 그들의 기능들을 고려할 때 이러한 장치들에 대하여 과도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손가락의 터치에 의해 제어되는 핸들링 필드(2, 25, 32, 41)를 포함하는 스마트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13, 22) 상에 나타내어진 화상의 제어된 수작업 선택 및/또는 화상의 디스플레이 매개변수들의 조절을 위한 구성체로서,
    화상 및/또는 디스플레이 매개변수들의 제1 사전결정 그룹은 한 사용자의 한 손가락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동일 사용자의 다른 한 손가락에 의해 터치될 수 있는 위치에 배열된 추가 핸들링 필드(1, 27, 37, 38, 42)를 포함하고, 터치됨으로써 제1 그룹에 속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디스플레이 매개변수가 조절될 수 있으며, 추가 핸들링 필드(1, 27, 37, 38, 42)는 상기 핸들링 필드(2, 25, 32, 41)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되고, 핸들링 필드들은 공통 몸체(11, 24, 31)를 통해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 필드(2, 25, 32, 41) 및 추가 핸들링 필드(2, 25, 32, 41)는 서로 각을 형성하거나 또는 몸체(11, 24, 31)의 대향 표면들에 배열되는, 구성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 필드(2, 25, 32, 41) 또는 상기 핸들링 필드(2, 25, 32, 41)의 일부는 상호 수직인 두 방향으로 폐쇄 경로(15)를 따라서 몸체(11, 24, 31)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고, 핸들링 필드의 이러한 디자인은 제1 기능 모드에서 그 자체로 알려진 데이터 입력 장치의 일 요소를 구성하고, 상이한 다른 기능 모드에서는 몸체(11, 24, 31)에 대한 이러한 이동이 추가적인 디스플레이 매개변수들과 연관되는, 구성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 필드 및 상기 추가 핸들링 필드 상에서 두 손가락의 동시 이동은 사전결정된 논리 시스템에 따라 서로 조정되고, 이러한 이동은 동일한 논리 시스템과 논리적으로 연결된 화상 이동을 초래하는, 구성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매개변수들의 제1 및 제2 그룹들은 상호 수직인 3개의 좌표들(x, y, z)을 따르는 화상의 조절에 요구되는 매개변수들을 함께 포함하는, 구성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는 사용자의 손목에 배치될 수 있는 스마트 워치(10)의 몸체(11)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핸들링 필드(2)는 디스플레이(13)의 일단부 가까이에 배열되고 추가 핸들링 필드(1)는 디스플레이(13)의 타단부 가까이에 배열되는, 구성체.
  7. 제6항에 있어서, 추가 핸들링 필드(1)는 상기 핸들링 필드(2)보다 상당히 작은, 구성체.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20)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는, 구성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 필드(25)는 스티어링 휠(20)을 파지할 때 한 손의 한 손가락이 닿는 거리 내에 배치되고 운전자를 향해 있으며, 추가 핸들링 필드(27)는 동일한 손의 추가 손가락이 닿는 거리에 배열되고 반대방향으로 향해 있는, 구성체.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는 스마트 전자장치의 평평한 직사각형 몸체(31)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핸들링 필드(35)는 장치의 정면에 배열되고 정면은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추가 핸들링 필드(37, 38)는 장치의 후면에 배열되고, 상기 핸들링 필드(35)는 햅틱 피드백에 의해 데이터의 입력을 보장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햅틱 피드백은 상기 수단 또는 손가락 중 하나를 제스처 조합들에 의해 폐쇄 경로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이루어지며, 반면 추가 작동 모드에서 폐쇄 경로를 포함하는 동일한 수단에 의해 추가적인 화상 디스플레이 매개변수들이 제어될 수 있는, 구성체.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링 필드(41) 및 추가 핸들링 필드(42)는 랩탑 또는 키보드(39)가 구비된 태블로이드의 평면 핸들링 표면으로부터 공간으로 경사져 돌출될 수 있는 몸체 또는 몸체들 상에 구비되는, 구성체.

KR1020197028263A 2017-02-27 2018-02-23 디스플레이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의 동시 다기능 핸들링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 장치 KR202100023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UP1700089 2017-02-27
HUP1700089 2017-02-27
PCT/HU2018/050010 WO2018154346A1 (en) 2017-02-27 2018-02-23 Smart device with a display that enables simultaneous multi-functional handling of the displayed information and/or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380A true KR20210002380A (ko) 2021-01-08

Family

ID=8972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263A KR20210002380A (ko) 2017-02-27 2018-02-23 디스플레이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의 동시 다기능 핸들링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106356B2 (ko)
EP (1) EP3586216A4 (ko)
JP (1) JP7245167B2 (ko)
KR (1) KR20210002380A (ko)
CN (1) CN110419019A (ko)
AU (1) AU2018223313B2 (ko)
CA (1) CA3053719A1 (ko)
EA (1) EA201991981A1 (ko)
IL (1) IL268825A (ko)
WO (1) WO20181543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4311A (zh) * 2019-04-08 2019-08-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屏幕显示方法、可穿戴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835885B1 (fr) * 2019-12-10 2023-12-06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Montre pourvue d'un organe de commande
EP3835892B1 (fr) * 2019-12-10 2022-08-10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Montre pourvue d'un organe de commande
FR3126387B1 (fr) * 2021-08-27 2024-05-03 Psa Automobiles Sa Gestion à distance d’un dispositif utilisateur dans un véhicul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6984A (en) * 1997-01-21 2000-08-01 Dell Usa, L.P. Adjustable touchpad
US8245158B1 (en) * 2002-03-11 2012-08-14 Brad Schrick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keyboard type interface for a computing device
US7561146B1 (en) * 2004-08-25 2009-07-14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to reject accidental contact on a touchpad
JP2010262557A (ja) * 2009-05-11 2010-11-1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20110087963A1 (en) * 2009-10-09 2011-04-14 At&T Mobility Ii Llc User Interface Control with Edge Finger and Motion Sensing
JP5429627B2 (ja) 2009-12-04 2014-02-2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携帯端末の操作方法、及び携帯端末の操作プログラム
US20110169750A1 (en) 2010-01-14 2011-07-14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Multi-touchpad multi-touch user interface
US8177182B1 (en) * 2011-01-07 2012-05-15 Apple Inc.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for a portable media device
JP5710381B2 (ja) 2011-05-25 2015-04-30 株式会社Nttドコモ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095289A (ja) 2011-11-01 2013-05-20 Clarion Co Ltd 入力装置
DE102012011179A1 (de) * 2012-06-06 2013-12-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orrichtung zur Bedienung einesKraftfahrzeuges
CA2878792A1 (en) 2012-07-12 2014-01-16 Chiesi Farmaceutici S.P.A. Inhibition of enzymes
US10691234B2 (en) * 2012-12-17 2020-06-23 Intel Corporation Receiving input from multiple touch sensors
JP5874625B2 (ja) * 2012-12-20 2016-03-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入力装置、入力操作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機器
JP5784061B2 (ja) * 2013-03-27 2015-09-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入力プログラム
JP2015005182A (ja) * 2013-06-21 2015-01-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機器
KR102169952B1 (ko) 2013-10-18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61420A (ko) * 2013-11-27 2015-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5302350B (zh) * 2014-07-25 2018-01-23 南京瀚宇彩欣科技有限责任公司 穿戴式智能装置及计算机执行的方法
US20160085397A1 (en) * 2014-09-23 2016-03-24 Qualcomm Incorporated Smart Watch Notification Manager
KR102298972B1 (ko) * 2014-10-21 2021-09-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엣지에서 수행되는 제스처를 기반으로 하는 동작 수행
KR20160099399A (ko) * 2015-02-12 2016-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 단말기
HUP1500189A2 (en) * 2015-04-24 2016-10-28 Geza Balint Process and recording device for recording data electronically
CN104978142B (zh) * 2015-06-17 2018-07-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及智能穿戴设备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223313B2 (en) 2023-02-23
EP3586216A1 (en) 2020-01-01
AU2018223313A1 (en) 2019-10-17
WO2018154346A1 (en) 2018-08-30
IL268825A (en) 2019-10-31
JP2020510254A (ja) 2020-04-02
US11106356B2 (en) 2021-08-31
EP3586216A4 (en) 2020-12-30
JP7245167B2 (ja) 2023-03-23
CA3053719A1 (en) 2018-08-30
EA201991981A1 (ru) 2020-02-27
CN110419019A (zh) 2019-11-05
US20190369866A1 (en)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2380A (ko) 디스플레이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의 동시 다기능 핸들링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 장치
JP5074475B2 (ja) 3次元表示制御方法、3次元表示制御装置、及び3次元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1686581B1 (ko) 툴바 탐색(Toolbar Navigation)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CN107193398B (zh) 触摸输入设备及包括该触摸输入设备的交通工具
KR20160108705A (ko) 표시 장치
US9665269B2 (en) Touch input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CN104137043A (zh) 用于在图形用户界面(gui)上进行人机交互的方法
CN106371743B (zh) 触摸输入装置及其控制方法
US11474687B2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105607770B (zh) 触摸输入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车辆
CN106095299B (zh) 触摸输入设备和具有该触摸输入设备的交通工具
CN105320275A (zh) 可穿戴设备和操作可穿戴设备的方法
KR20170064456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5607772B (zh) 触摸输入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车辆
Brasier et al. AR-enhanced Widgets for Smartphone-centric Interaction
KR102265372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442438B1 (ko) 듀얼 터치 경험 필드를 달성하기 위한 싱글 터치 프로세스
US20180081452A1 (en) Touch input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anz et al. DistScroll-a new one-handed interaction device
WO2015122259A1 (ja) 入力方法、及び入力装置
EA043001B1 (ru)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дисплеем, включающее средство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отображаемой информацией и/или данными
Naito et al. Interaction techniques using a spherical cursor for 3d targets acquisition and indicating in volumetric displays
Thomason et al. Exploring multi-dimensional data on mobile devices with single hand motion and orientation gestures
KR101744736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JP7001368B2 (ja) 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