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5398A -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5398A
KR20200135398A KR1020207029343A KR20207029343A KR20200135398A KR 20200135398 A KR20200135398 A KR 20200135398A KR 1020207029343 A KR1020207029343 A KR 1020207029343A KR 20207029343 A KR20207029343 A KR 20207029343A KR 20200135398 A KR20200135398 A KR 20200135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heet
fibers
layer
skin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메구미 요시바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135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99Forming webs by bringing together several webs, e.g. by laminating or folding several web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of the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17Making absorbent pads from fibres or pulverulent material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the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31Treating webs, e.g. for giving them a fibrelike appearance, e.g. by embo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61F13/5110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the top sheet having corrugations or embossments having one ax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axis, e.g. forming channels or gro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2013/15715Shaping or making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6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 A61F2013/1587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by thermal bo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55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for improving fluid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과제] 코튼의 부드러운 피부 감촉을 저하시키지 않고, 표면 시트에 흡수된 체액을 비피부측으로 이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표면 시트(3)가 피부측에 배치된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비열융착층(10), 및 비피부측에 배치된 열융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열융착층(11)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표면 시트(3)의 비피부측에, 열융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세컨드 시트(6)가 배치되며, 세컨드 시트(6)의 비피부측 면에, 세컨드 시트(6) 및 표면 시트(3)를 일체적으로 피부측을 향해 움푹 패이게 한 다수의 압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열융착층(10) 및 열융착층(11)은, 서로 섬유가 교락되어 접합되어 있다. 상기 세컨드 시트(6)는, 열융착층(11)보다 저평량이고 또한 저밀도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착부(15)는, 간헐적인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실금 패드, 팬티라이너, 생리용 냅킨 등에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하며, 특히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표면 시트와, 이 표면 시트의 비피부측에 배치되는 세컨드 시트의 접합 강도를 높인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다.
종래부터, 실금 패드, 팬티라이너, 생리용 냅킨 등의 여성용 흡수성 물품으로서, 폴리에틸렌 시트 또는 폴리에틸렌 시트 라미네이트 부직포 등의 불투액성 이면 시트와, 표면 시트 사이에 분쇄 펄프 등의 지면(紙綿)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를 개재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표면 시트는 피부에 맞닿는 면(당접면)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유연할 것, 배설액의 흡수 후에도 건조한 피부 감촉이 얻어질 것, 피부에 대해 자극이 적을 것 등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는 소재로서, 합성 섬유 부직포, 수지제 메시 시트가 흡수성 물품의 분야에서 널리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는 가려움이나 발진 등이 생기기 쉽다는 점에서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이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코튼 섬유(면섬유)를 소재로 한 표면 시트가 제안되었다. 코튼 섬유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는 속옷과 같은 부드러운 피부 감촉을 실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가 높은 투액성을 가져서 신속하게 액을 흡수체로 이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에 대응하고, 통상적인 탈지 면섬유를 표면 시트에 함유시킨 경우, 표면 시트 자체가 높은 보액성을 가져 표면에 끈적함이 남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는 것으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표면 시트를 코튼 부직포에 의해 구성함과 동시에, 해당 표면 시트의 하층에서 흡수체와의 사이에 상기 코튼 부직포보다 섬유 밀도가 낮고 또한 친수성을 가지는 열융착성 섬유 시트를 개재시키며, 이들의 적층 상태에서 표면측으로부터 다수의 엠보스가 마련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가, 코튼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 구성되는 제1 섬유층과,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 섬유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2층의 섬유층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이며, 상기 부직포는, 피부 대향면측 면으로서 상기 제2 섬유층에 의해 형성되는 제1면과 비피부대향면측 면으로서 흡수체와 대향하는 제2면을 가지고, 상기 부직포는 상기 제1면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복수의 볼록부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볼록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면 방향을 향해 움푹한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부직포의 제2면이 면하는 공극부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9-148328호 공개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 2016-220986호 공개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표면측, 즉 피부면에 대향하는 코튼 부직포의 외면측으로부터의 압착에 의해 엠보스가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엠보스 가공 시에, 엠보스 롤에 구비된 엠보스 볼록부의 선단과 열융착성 섬유층 사이에 비열융착성 코튼 부직포가 개재하게 된다. 이 때문에, 엠보스 볼록부 선단의 열이 열융착성 섬유에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 표면 시트의 피비부측에 배치된 세컨드 시트와 표면 시트의 접합 강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어 표면 시트에서 세컨드 시트로 체액이 이행되기 어렵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코튼 부직포에 대하여 가열을 수반하는 요철 가공을 수행하면, 코튼 부직포의 수류 교락 등에 의한 섬유의 얽힘이 풀려 섬유단이 튀어나오거나, 코튼 부직포의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표면의 평활성이 훼손되는 것에 의한 피부 감촉의 악화나 강도 저하가 문제가 되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코튼을 포함하는 층이 직접 피부에 닿지 않는 표면 시트의 비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코튼의 부드러운 피부 감촉을 살릴 수 없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코튼의 부드러운 피부 감촉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표면 시트에 흡수된 체액이 비피부측으로 이행할 수 있도록 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가 피부측에 배치된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비열융착층과, 비피부측에 배치된 열융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열융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 시트의 비피부측에 열융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세컨드 시트가 배치되며, 상기 세컨드 시트의 비피부측 면에 상기 세컨드 시트 및 표면 시트를 일체로 하여 피부측을 향해 움푹 패이게 한 다수의 압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표면 시트의 피부 당접면에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비열융착층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셀룰로오스계 섬유(예를 들면 코튼 섬유)의 부드러운 피부 감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표면 시트가 피부측의 비열융착층과 비피부측의 열융착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 표면 시트의 비피부측에, 열융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세컨드 시트를 배치한 상태로, 상기 세컨드 시트의 비피부측 면에, 상기 세컨드 시트 및 표면 시트를 일체로 하여 피부측을 향해 움푹 패이게 한 다수의 압착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압착부에 의해 열융착성 세컨드 시트와 표면 시트의 열융착층(비피부측 층)이 강고히 접합되어, 표면 시트로부터 그 하층 측에 배치된 세컨드 시트로 체액이 이행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압착부는 상기 표면 시트의 비피부측으로부터의 압착에 의해 상기 세컨드 시트와 표면 시트의 비피부측 층을 구성하는 열융착층을 열융착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측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비열융착층이 고온으로 가열된 상태로 압착됨 없이, 가열이나 압착에 따른 비열융착층의 섬유 교락이 풀려 부직포의 파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표면의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어, 피부 감촉의 악화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비열융착층과 열융착층은 서로 섬유가 교락(交絡)되어 접합되어 있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비열융착층과 열융착층의 접합은, 수류교락 등의 서로 섬유를 교락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접착제 등으로 접합한 경우에 해당 접착제 등에 의해 체액의 이행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서로 교락된 섬유를 통해 비열융착층으로부터 열융착층으로 체액이 이행하기 쉬워지며, 또한 접합 강도가 그다지 강해지지 않으므로, 열융착층을 가열·압착했을 때, 비열융착층에 대한 가열이나 압착의 영향이 적어지는 등의 이점을 가진다.
청구항 3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세컨드 시트는 상기 열융착층보다 낮은 목부(目付)이고 또한 저밀도로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세컨드 시트를 상기 표면 시트의 열융착층보다 낮은 목부이고 또한 저밀도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압착부에 의한 세컨드 시트와 열융착층의 접합을 더욱 강고히 하였다.
청구항 4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압착부는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된 간헐적인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압착부의 패턴으로서,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된 간헐적인 패턴으로 함으로써, 압착부 전체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비열융착층의 피부 감촉(평활성)이나 강도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비열융착층은 코튼 섬유 100중량%로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비열융착층을 코튼 섬유 100중량%로 형성함으로써 표면 시트의 유연성이나 촉감성이 특히 뛰어나다.
청구항 6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열융착층에는 비열융착성 섬유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열융착층과 세컨드 시트의 접합 강도를 더욱 강고히 하기 위해, 상기 열융착층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등의 비열융착성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7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와 세컨드 시트의 적층체를, 표면이 평탄한 가열하지 않은 플랫 롤과, 표면에 상기 압착부에 대응하는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된, 적어도 압착 시에 가열하는 볼록 롤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세컨드 시트 및 열융착층의 열융착성 섬유를 열융착하여 접합함과 동시에, 상기 압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압착부를 형성하는 제1 제조 방법으로서, 표면 시트와 세컨드 시트를 적층한 상태로 플랫 롤과 볼록 롤 사이를 통과시킨다. 이로써 표면이 평탄하고 피부 감촉이 뛰어남과 동시에, 표면 시트의 열융착층과 세컨트 시트가 상기 압착부에 있어서 강고히 접합된 표면 시트 및 세컨드 시트의 적층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청구항 8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를, 표면이 평탄한 가열하지 않은 플랫 롤과, 표면에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된 적어도 압착 시에 가열하는 볼록 롤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표면 시트의 상기 비피부측 면에, 상기 열융착층 및 비열융착층을 일체로 하여 피부측을 향해 움푹 패이게 한 다수의 중간 압착부를 형성한 후, 표면이 평탄한 가열하지 않은 제2 플랫 롤과, 표면에 상기 압착부에 대응하는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된 적어도 압착 시에 가열하는 제2 볼록 롤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세컨드 시트 및 열융착층의 열융착성 섬유를 열융착하여 접합함과 동시에, 상기 압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미리 표면 시트에 중간 압착부를 형성함으로써 비열융착층과 열융착층의 접합 강도를 높인 후, 표면 시트와 세컨드 시트를 적층한 상태로 플랫 롤과 볼록 롤 사이를 통과시켰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코튼의 부드러운 피부 감촉을 저하시키지 않고, 표면 시트에 흡수된 체액이 비피부측으로 이행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생리용 냅킨(1)의 일부 파단 전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의 화살표선으로 나타내어지는 도면이다.
도 3는 도 1의 III-III의 화살표선으로 나타내어지는 도면이다.
도 4는 압착부(15) 근방의 표면 시트(3) 및 세컨드 시트(6)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표면 시트(3)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은 제1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생리용 냅킨의 기본 구조의 일례>
본 발명에 관한 생리용 냅킨(1)은,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2)와, 피부 당접면을 이루고, 체액을 신속하게 투과시키는 표면 시트(3)와, 이들 양 시트(2, 3) 사이에 개재된 면 형상 펄프 또는 합성 펄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4)와, 이들 흡수체(4)의 형상 유지 및 확산성 향상을 위해 상기 흡수체(4)의 적어도 피부측 면 및 비피부측 면을 덮는 크레이프지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피포(被包) 시트(5)와, 상기 표면 시트(3)와 흡수체(4) 사이에 개재된 세컨드 시트(6)와, 상기 흡수체(4)의 대략 측연부를 기립 기단으로 하고, 또한 적어도 착용자의 체액 배출부(H)를 포함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구간 내에 있어서 피부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입체 개더(BS, BS)를 형성하는 사이드 부직포(7, 7)로 주로 구성되고, 또한 흡수체(4)의 주위에 있어서는, 그 상하 단연부에서는 상기 이면 시트(2)와 표면 시트(3)의 외연부가 핫멜트 등의 접착제나 히트 씰, 초음파 씰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접합되며, 또한 그 양 측연부에서는 흡수체(4)보다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기 이면 시트(2)와 사이드 부직포(7)가 핫멜트 등의 접착제나 히트 씰, 초음파 씰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도시 예에 있어서는, 흡수체(4)는 1층 구조로 되어 있지만, 중고부를 형성하는 다층 구조로 해도 좋고, 또한, 동일한 크기, 형상의 흡수체를 겹친 다층 구조로 해도 좋다.
상기 이면 시트(2)는, 폴리에틸렌 등의 적어도 차수성을 갖는 시트재가 이용되지만, 최근에는 축축함 방지의 관점에서 투습성을 가지는 것이 이용되는 경향이 있다. 이 차수·투습성 시트재로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 무기 충전제를 용융 혼련하여 시트를 성형한 후, 1축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 미다공성 시트가 적절하게 이용된다. 이면 시트(2)의 비사용면측(외면)에는 한 줄 또는 복수 줄의 점착제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신체로의 장착 시에 생리용 냅킨(1)을 속옷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면 시트(2)로서는 플라스틱 필름과 부직포를 적층시킨 폴리라미부직포를 이용해도 좋다.
상기 흡수체(4)는 체액을 흡수·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날개 모양의 펄프 섬유 속에 분립 형상의 고흡수성 폴리머를 분산 흡입시킨 것, 또는, 피부측에 배치된 상층 시트와 비피부측에 배치된 하층 시트 사이의 소정 영역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개재된 폴리머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펄프 섬유로서는, 목재로부터 얻어지는 화학 펄프, 용해 펄프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나,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인공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으며, 활엽수 펄프보다는 섬유 길이가 긴 침엽수 펄프 쪽이 기능 및 가격 면에서 적절하게 사용된다. 상기 펄프 섬유의 목부는 150~500g/m2, 바람직하게는 250~400g/m2로 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목부는 70~470g/m2, 바람직하게는 140~240g/m2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염 가교물, 자기가교된 폴리아크릴산염, 아크릴산에스테르-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가교물의 비누화물, 이소부틸렌·무수말레산공중합체 가교물, 폴리설폰산염 가교물이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수팽윤성 폴리머를 부분 가교한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중 흡수량, 흡수 속도가 뛰어난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염계가 적절하다. 상기 흡수 성능을 가지는 고흡수성 폴리머는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가교 밀도 및 가교 밀도 구배를 조정함으로써 흡수 배율(흡수력)과 흡수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시 예에서는, 표면 시트(3)는 흡수체(4)의 폭보다 약간 폭이 넓은 정도로, 흡수체(4)를 덮는 정도에 그치며, 표면 시트(3)의 폭 방향 외측은, 표면 시트(3)의 양측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사이드 부직포(7)(표면 시트(3)와는 별개의 부재)에 의해 덮여 있다. 상기 사이드 부직포(7)의 폭 방향 중앙측 부분은 입체 개더(BS)를 형성한다. 사이드 부직포(7)로서는 체액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혹은 피부 감촉을 높인다는 등의 목적에 따라 적절한 발수 처리 또는 친수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드 부직포(7)로서는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또는 재생 섬유 등을 소재로 하여 적절한 가공법에 의해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뻣뻣함을 없앰과 동시에 축축함을 방지하기 위해 평량을 억제하여 통기성을 가지게 한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는 평량을 15~23g/m2로 하여 제작한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체액의 투과를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계나, 파라핀계 등의 발수제 등을 코팅한 발수 처리 부직포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상기 사이드 부직포(7)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폭 방향 중간부보다 외측 부분을 흡수체(4)의 내측 위치로부터 흡수체 측연을 약간 넘어 이면 시트(2)의 외연까지의 범위에 걸쳐 핫멜트 등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였다.
한편, 상기 가이드 부직포(7)의 내방측 부분은 거의 이중으로 접힘과 동시에, 이 이중 시트의 내부에, 그 높이 방향 중간부에 양단 또는 긴 쪽 방향의 적절한 위치가 고정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도시예서는 두 개의 실모양 탄성신축부재(8, 8)가 양단 또는 길이방향의 적절한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이중 시트 부분은 전후 단부에서는,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접힌 상태로 표면 시트(3) 측에 고정되어 있다.
<표면 시트>
상기 표면 시트(3)는 흡수체(4)의 피부측을 덮는 부분인 피부 당접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피부측에 배치된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비열융착층(10)과 비피부측에 배치된 열융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열융착층(11)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표면 시트(3)는 상기 비열융착층(10)과 열융착층(11)으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중간에 셀룰로오스계 섬유나 합성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을 설치해도 좋다.
상기 표면 시트(3)의 피부 당접면을 형성하는 비열융착층(10)은 친수성 셀룰로오스 섬유를 함유하는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친수성 셀룰로오스계 섬유로서는 코튼 섬유(면섬유)나 펄프 섬유 등의 천연 유래의 것이나, 레이온 섬유, 아세테이트 섬유, 라이오셀 섬유 등의 인공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코튼 섬유로서는 목면의 원면, 정련·표백한 면섬유 혹은 정련·표백 후 염색을 실시한 면섬유, 정련·표백한 탈지 면섬유, 추가적으로는 실 혹은 포백(布帛)이 된 것을 해섬한 반모(反毛) 등, 모든 코튼 섬유를 사용할 수 있지만, 하층 측의 시트에서의 액의 흡수 스피드 및 확산성을 높이기 위해, 특히 코튼 섬유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코튼 왁스의 천연 유지를 탈지한 탈지 면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열융착층(10)은, 특히, 코튼 섬유 100중량%로 이루어지는 스판레이스 부직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튼 섬유만으로 구성됨으로써 부드러운 피부 감촉이 얻어져 장시간 장작하고 있어도 가려움이나 발진 등 장착 시의 피부 트러블이 쉽게 생기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판레이스 부직포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유연성이 있다는 등의 이점을 가진다.
상기 비열융착층(10)의 목부로서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유연성이나 촉감을 발휘할 수 있도록, 10~30g/m2, 바람직하게는 10~15g/m2로 하는 것이 좋다. 부직포의 목부는 50mm×50mm(±2mm) 치수의 시료를 잘라내어 중량을 측정하여 1m2 당 무게로 환산하여 구한 것이다. 부직포의 부분적인 영역에 다수의 개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개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부직포를 이용하여 측정을 수행한다. 또한, 부직포의 전면에 다수의 개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개공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다수 잘라내고, 잘라낸 다수 부분의 합계 면적이 2500mm2가 되도록 하여 합계 중량을 측정하여 합계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목부를 구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시트(3)의 비피부 당접면을 형성하는 열융착층(11)은 유공 또는 무공의 부직포가 이용된다. 부직포의 섬유 소재로서는 합성 섬유가 함유되어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 외, 이들 합성 섬유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로서는 스판레이스법, 스판본드법, 써멀본드법, 멜트블로운법, 니들펀치법 등의 적절한 가공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가공법 중, 스판레이스법은 유연성, 드레이프성이 풍부하다는 점에서 뛰어나고, 써멀본드법은 부피가 크고 압축 복원성이 높다는 점에서 뛰어나다. 상기 열융착층(11)이 합성 섬유를 함유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짐으로써 열융착성 섬유의 열용융에 의해 접합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열융착층(11)이 액을 보유하기 어려워져, 하층 측으로의 통액성이 양호해짐과 동시에, 열융착층(11)에 체액이 유지되어 피부측으로 역류하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열융착층(11)은 비열융착성 섬유, 구체적으로는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융착성 섬유, 구체적으로는 합성 섬유에 의해서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열융착층(11)은, 이후 상세히 서술하는 바와 같이, 압착부(15)에 있어서 하층 측의 세컨드 시트(6)와 열융착되기 때문에, 비열융착성 섬유가 포함되어 있다면 압착부(15)에 있어서 열융착되기 어려워 열융착층(11)과 세컨드 시트(6)의 접합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열융착층(11)의 목부로서는, 상기 비열융착층(10)의 평량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10~40g/m2, 바람직하게는 15~20g/m2로 하는 것이 좋다. 열융착층(11)의 목부를 비열융착층(10)보다 크게 함으로써, 세컨드 시트(6) 및 열융착층(11)을 가열하면서 압착할 때 비열융착층(10)에 미치는 영향이 작아진다.
상기 비열융착층(10)과 열융착층(11)은 소정의 접합법에 의해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각 층(10, 11)을 접합하지 않고 단순히 적층했을 뿐인 상태로 설치한 경우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비열융착층(10)의 강도가 약해 찢어지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즉, 비열융착층(10)을 열융착층(11)과 접합함으로써 비열융착층(10)이 열융착층(11)에 의해 보강되어 표면 시트(3)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시트를 같은 목부로 한 경우, 비열융착층(10)만으로 구성했을 때에 비해 비열융착층(10)과 열융착층(10)의 적층 구조로 함으로써 합성 섬유에 비해 고가인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3)의 비용을 늘리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서도 비열융착층(10)과 열융착층(11)을 접합한 적층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열융착층(10)과 열융착층(11)의 접합은, 접합제 등에 의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섬유를 교락시켜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섬유를 서로 교락시켜 접합함으로써 접합제 등에 의해 접합한 경우에 비해 비열융착층(10)과 열융착층(11) 사이에 접착제 등의 체액의 이행을 저해하기 쉬운 부재가 개재되지 않기 때문에, 비열융착층(10)으로부터 열융착층(11)으로 체액이 이행하기 쉬워짐과 동시에, 서로 교락된 섬유를 통해 비열융착층(10)으로부터 열융착층(11)으로 체액이 이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섬유의 교락에 의한 접합은 접합 강도가 그다지 강하지 않으므로, 열융착층(11)을 가열·압착했을 때 비열융착층(10)에 대한 가열이나 압착의 영향이 적다는 이점도 가진다. 이러한 섬유의 교락에 의한 접합법으로서는 고압 수류를 분사하여 섬유끼리 얽히게 하는 수류교락법이나, 바늘을 찌르는 것에 의해 기계적으로 섬유끼리 얽히게 하는 찌르기법 등이 있다.
그런데 상기 표면 시트(3)의 적어도 비열융착층(10)은,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투액성을 높이기 위해 적어도 체액 배출부(H)에 대응하는 영역에 표리를 관통하는 다수의 개공(12, 12…)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개공(12)은 스판레이스 제조 시의 수류교락 공정에 있어서 섬유 재료를 메쉬 형상 지지체에 담지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하는 메쉬의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개개의 개공의 사이즈, 개공률을 조정할 수 있다. 물론, 제조 후의 부직포에 펀치(구멍 뚫기) 가공을 실시하여 개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개공(12)은 표면 시트 전체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적어도 체액 배출부(H)에 대응하는 영역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체액 배출부(H)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제품 길이방향으로 흡수체 길이의 15% 이상, 제품 폭 방향으로 흡수체 폭의 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체액 배출부(H)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제품 길이방향으로 흡수체 길이의 50% 이상, 제품 폭 방향으로 흡수체 폭의 70% 이상의 영역에 설치하도록 한다. 개공(12)의 형성 영역이, 제품 길이 방향으로 흡수체 길이의 15% 미만이고 또한 제품 폭 방향으로 흡수체 폭의 50% 미만인 경우에는, 체액 배출 범위를 커버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하여, 표면 시트(3)에 체액이 남아 끈적함을 느끼게 됨과 동시에, 가려움이나 발진 등 장착 시의 피부 트러블이 생기기 쉽다. 상기 개공(12)은 비열융착층(10)에만 설치할 수도 있고, 비열융착층(10) 및 열융착층(11)의 양쪽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개공(12)은,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생리용 냅킨(1)의 길비방향으로 기다란 세로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원형 개공보다 액체가 투과하기 쉬워지므로, 이 개공(12)을 통해 체액이 표면 시트(3)를 통과하기 쉬워져 표면 시트(3)로의 보수(保水)가 저감된다. 또한, 체액이 개공(12)을 통과할 때 액체가 세로로 길게 변형되면서 통과하기 때문에, 체액의 확산 방향이 냅키 길이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가로 방향으로의 확산이 억제되어 쉽게 가로로 새지 않게 된다. 또한, 스판레이스인 경우에는 개공 형상이 균일해지기 어렵지만, 상기 개공(12)의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모서리가 깎인 긴 구멍 형상 혹은 타원 형상과 같은 형상이 된다.
상기 개공(12)의 치수로서는, 생리용 냅킨(1)의 길이방향의 길이(L1)가 1.0~4.0mm, 바람직하게는 1.5~3.0mm로 하는 것이 좋고,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의 길이(L2)가, 0.5~1.5mm, 바람직하게는 0.5~1.0mm로 하는 것이 좋다. 개공(12)의 치수가 0.5mm 미만에서는 체액이 통과하기 어려움과 동시에, 섬유에 보풀이 이는 것에 의해 명확한 개공이 형성되기 어렵고, 개공(12)의 최대 치수가 4.0mm을 초과하면 개공(12)으로부터의 액의 역류, 흡수체(4) 구성 소재가 표면으로 노출되는 요인이 된다. 또한, 상기 L1과 L2의 비(L1/L2)는 1.2~5.0, 바람직하게는 2.0~3.0으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개공(12)의 면적(A)은, 0.9~3.0mm2, 바람직하게는 0.9~2.5mm2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개공률은 15~45%, 바람직하게는 17~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8~25%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개공(12)의 치수는 전체에 걸쳐 균일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 범위 내라면 임의의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시트(3)의 적어도 비열융착층(10)은,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면섬유에 의해, 생리용 냅킨(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세로줄(13, 13…)과,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인접하는 상기 세로줄(13, 13) 사이를 잇는 다수의 가로줄(14, 14…)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세로줄(13)과 가로줄(14)로 둘러싸인 부분에 상기 개공(1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로줄(13)의 폭(W1)은 0.5~2.5mm, 바람직하게는 0.8~2.3mm으로 하는 것이 좋고, 상기 가로줄(14)의 폭(W2)은 0.2~1.6mm, 바람직하게는 0.3~1.4mm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폭 W1과 W2의 비(W1/W2)는 1.2~2.0, 바람직하게는 1.5~2.0으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세로줄(13)의 폭(W1)을 가로줄(14)의 폭(W2)보다 크게 함으로써, 세로줄(13)을 따른 생리용 냅킨(1)의 길이 방향으로의 액 확산이 쉽게 일어난다.
상기 세로줄(13)은 가로줄(14)보다 섬유량이 많고, 또한 고밀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세로줄(13) 부분만이 피부에 접촉하게 되어 피부에 대한 접촉 면적의 저감에 의해 장시간 착용하여도 가려움이나 발진 등 장착 시의 피부 트러블이 쉽게 생기지 않음과 동시에, 배액 후에도 끈적이는 느낌이 경감된다. 또한, 체액이 표면 시트(3)를 통과할 때, 섬유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대적으로 고밀도인 상기 세로줄(13)을 따라 생리용 냅킨(1)의 길이방향으로의 확산이 쉽게 일어난다. 게다가 상기 개공(12)을 통과하는 체액과 표면 시트(3)를 침투하는 체액의 확산 방향이 생리용 냅킨(1)의 길이방향으로 일치하기 때문에, 상기 개공(13)을 통과하는 체액에 빨려 들어가도록 하여 표면 시트(3)의 세로줄(13)을 침투하기 때문에, 표면 시트(3)에 액이 남는 것이 최대한으로 억제된다.
상기 섬유량의 측정은, JIS P8207:2009의 “펄프-체가름 시험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도의 측정은, 자동 두께 측정기(기토테크 사가 제조한 핸디 압축 시험기, KES-G5)를 이용하여 두께 T0(하중: 0.5gf/cm2)를 자동 측정하여, 목부/T0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시트(3)의 적어도 비열융착층(10)에는 적어도 체액 배출부(H)에 대응하는 영역에 발수제가 외첨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수제로서는, 파라핀계, 실리콘계 등의 이미 알려진 것들 중에서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적은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스테아르산글리세릴, 스테아르산아미드,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디에탄올아미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등의 자극성이 적은 유지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중에서도, 스테아르산글리세릴이 특히 바람직하다.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 스테아르산글리세릴로 이루어지는 발수제를 이용하는 경우, 그 도포량은 섬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1.50중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양면 도포인 경우에는 양면의 도포량 합계). 더욱 바람직한 도포량은 0.03~1.50중량부이다. 발수제 도포량은 0.05중량부 미만이면 발수 효과가 부족한 경우가 있고, 1.50중량부를 초과하면 발수성이 너무 높아, 오히려 수분을 투과시키기 어려워진다.
상기 발수제는 피부 당접면에만 도포할 수도, 피부 당접면과 흡수체(4) 측 면 양면에 도포해도 좋지만, 적어도 후술할 흡수량 시험에서 구한 흡수량이 0.03g 이하, 호적으로는 0.02g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시트(3)의 흡수량은 다음의 순서로 구한 것이다. (1) 10cm×10cm의 시료를 준비하고 중량을 측정한다(A). (2) 10cm×10cm의 여과지를 표면이 평활한 측을 위로 하여 3장 겹치고, 그 위에 상기 시료를 세팅한다. (3) 세팅한 시료 위에 상온의 수돗물을 3ml 적하하고 5분간 방치한다. (4) 5분간 방치한 후의 시료의 중량을 측정한다(B). (5) (B)-(A)=흡수량(g)에 의해 표면 시트(3)의 흡수량(보수량)을 구한다.
상기 발수제의 도포 방법은 전사, 분무, 브러시 코팅, 함침, 디핑 등의 기지의 방법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시트 양면의 흡수도에 차이를 둔 경우에는 전사에 의한 도포 방법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수제는, 제조 효율의 관점에서, 전면 도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어도 체액 배출부(H)에 대응하는 영역에 도포해 두면 되며, 배설액을 받는 부분에만 도포할 수도 있다.
<세컨드 시트>
상기 세컨드 시트(6)는 상기 표면 시트(3)와 흡수체(4)의 사이이며 상기 표면 시트(3)의 비피부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표면 시트(3)의 비피부측 층을 구성하는 열융착층(11)의 비피부측 면과, 세컨드 시트(6)의 피부측면이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세컨드 시트(6)는 표면 시트(3)와 거의 같은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세컨드 시트(6)는, 후술하는 것처럼,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3)의 열융착층(11)에 대하여, 압착부(15)에서의 열융착에 의해 접합된다.
상기 세컨드 시트(6)는, 상기 표면 시트(3)의 열융착층(11)과 마찬가지로, 유공 또는 무공의 부직포가 이용된다. 부직포의 섬유 소재로서는 합성 섬유가 함유되어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 외, 이들 합성 섬유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로서는 스판레이스법, 스판본드법, 써멀본드법, 멜트블로운법, 니들펀치법 등의 적절한 가공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세컨드 시트(6)는 비열융착성 섬유,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융착성 섬유, 구체적으로는 합성 섬유에 의해서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세컨드 시트(6)는, 이후 상세히 서술하는 바와 같이, 압착부(15)에 있어서 상층 측의 표면 시트(3)의 열융착층(11)과 열융착되기 때문에, 비열융착성 섬유가 포함되어 있으면, 압착부(15)에 있어서 쉽게 열융착되지 않아 세컨드 시트(6)와 열융착층(11)의 접합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세컨드 시트(6)의 열융착성 섬유와 상기 열융착층(11)의 열융착성 섬유는 거의 같은 정도의 융점을 가지는 섬유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양자의 섬유 소재가 같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세컨드 시트(6)는 상기 열융착층보다 낮은 목부이고 또한 저밀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이후 상세히 서술할 압착부(15)를 설치할 때, 세컨드 시트(6)가 열융착층(11)에 접합되기 쉬워짐과 동시에, 열융착층(11)의 섬유의 일부가 세컨드 시트(6)의 섬유 사이로 파고들어 열융착층(11)으로부터 세컨드 시트(6)로 체액이 이행하기 쉬워진다. 상기 세컨드 시트(6)의 목부으로서는, 13~35g/m2, 바람직하게는 13~18g/m2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세컨드 시트(6)는 체액에 대하여 친수성을 가지는 소재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합성 섬유를 친수화제에 의해 표면 처리하여 친수성을 부여한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세컨드 시트(6)는, 표면 시트(3)의 열융착층(11)보다 친수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부>
상기 세컨드 시트(6)의 비피부측 면에는,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세컨드 시트(6) 및 표면 시트(3)를 일체로 하여 피부측을 향해 움푹 패이게 한 다수의 압착부(15, 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착부(15)는 표면 시트(3)의 비피부측(열융착층(11)의 외면측)에 세컨드 시트(6)를 적층한 상태로 상기 세컨드 시트(6)의 비피부측으로부터 압착함과 동시에 열 또는 초음파를 가함으로써 상기 열융착층(11) 및 세컨드 시트(6)의 열융착성 섬유를 용융·고화하여 압착 상태를 유지하여 형성한 패임부이다. 이 압착부(15)에 있어서 열융착층(11)와 세컨드 시트(6)가 강고히 고착되어 표면 시트(3)와 세컨드 시트(6)가 일체화되어 있다. 이 표면 시트(3) 및 세컨드 시트(6)의 적층체는 피부측 면이 평탄하게 형성되고, 비피부측 면에 상기 압착부(15…)에 대응하는 패임부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렇듯 상기 압착부(15)에 의해 표면 시트(3)와 세컨드 시트(6)가 강고히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3) 및 세컨드 시트(6) 사이가 빈틈없이 밀착되어, 이들 층 사이에 액 고임 등이 발생하지 않아 표면 시트(3)로부터 세컨드 시트(6)로 액체가 이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압착부(15)가 세컨드 시트(6)의 비피부측으로부터의 압착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측의 비열융착층(10)은 고온 상태에서 요철 가공되지 않아 고온 상태에서의 압착에 의한 섬유교락의 해제나 이에 따른 부직포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표면의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어 피부 감촉의 악화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압착부(15)는,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된 간헐적인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예에서는 도트 형상의 압착부(15)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압착부(15)의 배치는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한 정격자(正格子)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예서는, 압착부(15)가 표면 시트(3)의 거의 전체에 실시되어 있지만, 체액 배출부(H)에 대응하는 영역 등 소요 영역에만 실시되고, 그 이외의 영역에는 실시되지 않아도 좋다. 이로써 체액 배출부(H)에 대응하는 영역에서는 표면 시트(3)로부터 세컨드 시트(6)로의 체액의 이행이 매끄럽게 수행되고, 그 이외의 영역에서는 압착에 의해 시트가 딱딱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유연한 촉감을 한층 더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압착부(15)의 크기는 1~10mm, 바람직하게는 1~3m로 하는 것이 좋다. 1mm보다 작으면, 열융착층(11)과 세컨드 시트(6)의 압착부(15)의 한 곳 당 접합 강도가 작아져 열융착층(11)과 세컨드 시트(6)의 밀착성이 저하되며 체액의 이행이 매끄럽게 수행되기 어려워진다. 한편, 10mm보다 크면, 압착부(15)의 딱딱함을 느끼기 쉬워져 장착감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상기 압착부(15)의 형상은, 도시 예에서는 원형이지만, 타원형이나 다각형 등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서로 이웃하는 압착부(15, 15)의 간격(B)은 3~15mm, 바람직하게는 5~10m로 하는 것이 좋다. 이 간격(B)이 3mm보다 작으면 압착부(15, 15)가 너무 근접하여 표면 시트(3)가 딱딱해지는 원인이 된다. 한편, 15mm보다 크면 열융착층(11)과 세컨드 시트(6)의 밀착성이 저하되어 체액의 이행이 매끄럽게 수행되기 어려워진다. 이 간격(B)은,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전면에 걸쳐 거의 일정하지만, 영역에 따라 변화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체액 배출부(H)에 대응하는 영역에서는, 열융착층(11) 및 세컨드 시트(6)의 밀착성을 높여 체액을 이행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 상기 간격(B)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고, 그 이외의 영역에서는 유연한 감촉을 유지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체액 배출부(H)에 대응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생리용 냅킨(1)의 외연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간격(B)이 커지게 할 수도 있다.
다수의 압착부(15, 15…)의 합계 면적이 상기 세컨드 시트(6)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엠보스율은 세컨드 시트(6)와 열융착층(11)의 접합 강도를 높여 체액을 이행시키기 쉽게 하는 한편으로, 압착부(15)의 딱딱함에 의해 장착감이 악화되지 않도록 하는 관점에서, 1~20%, 바람직하게는 6~15%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압착부(15)의 압착 깊이는,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비열융착층(10)의 중간 위치까지로 하고, 비열융착층(10)의 대부분, 바람직하게는 두께의 절반 이상이 압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압착부(15)를 실시한 부분에 있어서도 비열융착층(10)의 피부측 면이 유연한 촉감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압착부(15)에 있어서는, 압착 시에, 바닥부의 열융착층(11) 및 세컨드 시트(6)의 열융착성 섬유가 용융되어 고화함으로써, 소정의 패임 형상이 유지되어 있다. 또한, 용융된 열융착성 섬유의 일부가 압착부(15)의 바닥부에 있어서 비열융착층(10)의 섬유 사이로 흘러 들어 고화함으로써 열융착층(11)과 비열융착층(10)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압착부(15)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비열융착층(10)은 비피부측의 일부가 압축되어 섬유 밀도가 높아져 있다. 이 때문에 섬유의 밀도차에 따른 모관 작용에 의해 비열융착층(10)에 흡수된 체액이 압착부(15)로 빨려 들어가기 쉬워지고, 이 압착부(15)로 빨려 들어간 체액은 압착 가공에 따른 각 층 사이의 섬유의 얽힘이나 섬유의 밀도차에 의해 세컨드 시트(6)로 이행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상기 압착부(15)를 마련함으로써 비열융착층(10)의 표면에 액이 남는 현상이 적어져 끈적임이 저감됨과 동시에, 축축함에 의한 발진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조 방법>
이어서 상기 생리용 냅킨대(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특징인 상기 압착부(15)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 밖의 공정은 일반적인 생리용 냅킨의 제조 방법과 같다.
제1 형태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표면 시트(3)와 세컨드 시트(6)의 적층체를 표면이 평탄한 가열하지 않은 플랫 롤(20)과, 표면에 상기 압착부(15…)에 대응하는 다수의 볼록부(22, 22…)가 형성된, 적어도 압착 시에 가열하는 볼록 롤(21)의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세컨드 시트(6) 및 열융착층(11)의 열융착성 섬유를 열융착하여 접합함과 동시에, 상기 압착부(15…)를 형성하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표면 시트(3)의 피부측 면이 평탄하고 피부 감촉이 뛰어남과 동시에, 표면 시트(3)의 열융착층(11)과 세컨트 시트(6)가 상기 압착부(15)에 있어서 강고히 접합된 표면 시트(3)와 세컨드 시트(6)의 적층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표면 시트(3)의 비열융착층(10)에 대향하는 롤로서 플랫 롤(20)을 이용하기 때문에, 비열융착층(10)측으로부터의 부분적인 압축력이 작용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플랫 롤(20)을 가열하지 않고 볼록 롤(21)만을 가열하여 압착을 수행하기 때문에, 압착 시의 가열이나 압착 공정에 의해 비열융착층(10)의 섬유의 교락이 풀려 부직포의 파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열융착층(10) 표면의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어 피부 감촉의 악화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형태예로서는,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비열융착층(10) 및 열융착층(11)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3)를 표면이 평탄한 가열하지 않은 플랫 롤(23)과 표면에 다수의 볼록부(25, 25…)가 형성된 적어도 압착 시에 가열하는 볼록 롤(24)의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표면 시트(3)의 상기 비피부측 면에 열융착층(11) 및 비열융착층(10)을 일체로 하여 피부측을 향해 움푹 패이게 한 다수의 중간 압착부(15, 15'…)를 형성한 후, 표면이 평탄한 가열하지 않은 제2 플랫 롤(26)과, 표면에 상기 압착부(15…)에 대응하는 다수의 볼록부(28, 28…)가 형성된 적어도 압착 시에 가열하는 제2 볼록 롤(27)의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세컨드 시트(6) 및 열융착층(11)의 열융착성 섬유를 열융착하여 접합함과 동시에, 상기 압착부(15)를 형성하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제2 형태예서는 미리, 표면 시트(3)에 중간 압착부(15'…)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비열융착층(10)과 열융착층(11)의 접합 강도를 높였다. 그 후 표면 시트(3) 및 세컨드 시트(6)를 적층한 상태로 압착부(15)를 형성하였다. 이 압착부(15…)는 상기 중간 압착부(15'…)의 패임부에 대하여 마련할 수도 있고 중간 압착부(15'…) 이외의 부위에 마련할 수도 있다.
1: 생리용 냅킨, 2: 이면 시트, 3: 표면 시트, 4: 흡수체, 5: 피포 시트, 6: 세컨드 시트, 7: 사이드 부직포, 8: 실 형상 탄성 신축 부재, 10: 비열융착층, 11: 열융착층, 12: 개공, 13: 세로줄, 14: 가로줄, 15: 압착부, 15’; 중간 압착부, 20: 플랫 롤, 21: 볼록 롤, 22: 볼록부, 23: 플랫 롤, 24: 볼록 롤, 25: 볼록부, 26: 제2 플랫 롤, 27: 제2 볼록 롤, 28: 볼록부

Claims (8)

  1.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가 피부측에 배치된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비열융착층과 비피부측에 배치된 열융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열융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 시트의 비피부측에 열융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세컨드 시트가 배치되며, 상기 세컨드 시트의 비피부측 면에 상기 세컨드 시트 및 표면 시트를 일체로 하여 피부측을 향해 움푹 패이게 한 다수의 압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열융착층 및 열융착층은 서로 섬유가 교락되어 접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드 시트는 상기 열융착층보다 낮은 목부이고 또한 저밀도로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된 간헐적인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열융착층은 코튼 섬유 100중량%로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층에는 비열융착성 섬유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흡수성 물품.
  7.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와 세컨드 시트의 적층체를, 표면이 평탄한 가열하지 않은 플랫 롤과, 표면에 상기 압착부에 대응하는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된 적어도 압착 시에 가열하는 볼록 롤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세컨드 시트 및 열융착층의 열융착성 섬유를 열융착하여 접합함과 동시에, 상기 압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8.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를, 표면이 평탄한 가열하지 않은 플랫 롤과, 표면에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된 적어도 압착 시에 가열하는 볼록 롤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표면 시트의 상기 비피부측 면에 상기 열융착층 및 비열융착층을 일체적으로 피부측을 향해 움푹 패이게 한 다수의 중간 압착부를 형성한 후, 표면이 평탄한 가열하지 않은 제2 플랫 롤과, 표면에 상기 압착부에 대응하는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된 적어도 압착 시에 가열하는 제2 볼록 롤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세컨드 시트 및 열융착층의 열융착성 섬유를 열융착하여 접합함과 동시에, 상기 압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207029343A 2018-03-19 2019-03-18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353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50860 2018-03-19
JP2018050860A JP6507282B1 (ja) 2018-03-19 2018-03-19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PCT/JP2019/011096 WO2019181831A1 (ja) 2018-03-19 2019-03-18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398A true KR20200135398A (ko) 2020-12-02

Family

ID=66324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343A KR20200135398A (ko) 2018-03-19 2019-03-18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92395B2 (ko)
EP (1) EP3769734A4 (ko)
JP (1) JP6507282B1 (ko)
KR (1) KR20200135398A (ko)
CN (1) CN111867537B (ko)
WO (1) WO20191818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1689B2 (ja) * 2019-09-25 2023-09-2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21083471A (ja) * 2019-11-25 2021-06-03 花王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7390970B2 (ja) * 2020-05-14 2023-12-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7711B2 (en) * 2002-12-05 2006-06-27 Uni-Charm Corporation Elongated absorbent article
JP4851169B2 (ja) * 2005-11-25 2012-01-1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074913B2 (ja) 2007-12-19 2012-11-1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0148730A (ja) * 2008-12-25 2010-07-08 Kao Corp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5538943B2 (ja) * 2010-02-19 2014-07-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07502B2 (ja) * 2010-11-08 2014-10-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479389B2 (ja) * 2014-09-30 2019-03-0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84156B2 (ja) * 2014-11-19 2016-09-0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JP6214598B2 (ja) 2015-05-29 2017-10-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7030136A1 (ja) * 2015-08-17 2017-02-2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174391B2 (ja) * 2016-05-16 2022-11-17 ユニチカ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の製造方法
JP6001207B1 (ja) 2016-06-30 2016-10-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92395B2 (en) 2024-05-28
CN111867537A (zh) 2020-10-30
EP3769734A4 (en) 2022-01-05
JP2019162218A (ja) 2019-09-26
CN111867537B (zh) 2022-06-07
US20210007909A1 (en) 2021-01-14
EP3769734A1 (en) 2021-01-27
WO2019181831A1 (ja) 2019-09-26
JP6507282B1 (ja)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22139B (zh) 吸收性物品
TWI708597B (zh) 吸收性物品
CN108697561B (zh) 吸收性物品
CN109152679B (zh) 吸收性物品
JP2017038925A5 (ko)
JP6479520B2 (ja) 吸収性物品
TWI708594B (zh) 吸收性物品
JP2017176315A5 (ko)
JP6382384B1 (ja) 吸収性物品
WO2017030136A1 (ja) 吸収性物品
CN111867537B (zh) 吸收性物品的制造方法
JP2019170625A (ja) 吸収性物品
JP2004073759A (ja) 吸収性物品
JP6207557B2 (ja) 吸収性物品
JP6668522B2 (ja) 吸収性物品
JP5766254B2 (ja) 吸収性物品
KR20200138277A (ko) 흡수성 물품
WO2006038264A1 (ja) 吸収性物品
WO2020195479A1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7351689B2 (ja) 吸収性物品
JP2019154650A (ja) 吸収性物品
JP2021119879A (ja) 吸収性物品
KR20210062037A (ko) 흡수성 물품
JP2017113512A (ja) 吸収性物品
JP2016174740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