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196A - 센서 - Google Patents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196A
KR20200124196A KR1020200139010A KR20200139010A KR20200124196A KR 20200124196 A KR20200124196 A KR 20200124196A KR 1020200139010 A KR1020200139010 A KR 1020200139010A KR 20200139010 A KR20200139010 A KR 20200139010A KR 20200124196 A KR20200124196 A KR 20200124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ealing member
cover
senso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860B1 (ko
Inventor
황도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닉스
Priority to KR1020200139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860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2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multipl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6Windows; Cover glasses; Sealing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센서가 개시된다. 길게 연장되고, 중공된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개구부, 그리고 일단에 형성된 제2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제2 개구부를 막는 캡;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덮고, 일단이 상기 캡과 결합되는 커버; 상기 제1 개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커버와 마주하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 수용홈; 상기 커버와 마주하는 상기 캡에 형성되는 제2 수용홈; 상기 제1 수용홈 및 상기 제2 수용홈에 삽입되고, 상기 커버와 접촉하는 전면 실링부재; 상기 제2 개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단과 마주하는 상기 캡에 형성되는 홈; 그리고, 상기 홈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단과 접촉하는 측면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센서{SENSOR}
본 발명은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영역을 감지할 수 있는 에어리어 센서에 관한 것이다.
에어리어 센서는 다수의 광원을 사용하여 특정 영역(area)의 감지를 목적으로 하는 센서를 말한다. 에어리어 센서는 출입구, 승강기, 무빙워크, 에스컬레이터 등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에어리어 센서는 특정 영역에 사람 또는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이 필요한 곳에 널리 쓰일 수 있다.
센서 또는 에어리어 센서는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센서 또는 에어리어 센서는 실내에 설치될 수 있고, 실외에 설치될 수도 있다. 센서 또는 에어리어 센서가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또는 실내에 설치되더라도), 습도가 높은 외기 또는 물에 의해 센서의 내구성이 떨어지거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최근에, 외부 환경에 의한 센서의 성능저하 또는 내구성 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수분에 의한 센서의 성능저하 또는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센서의 방수구조를 개선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센서의 생산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센서의 구조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길게 연장되고, 중공된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개구부, 그리고 일단에 형성된 제2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제2 개구부를 막는 캡;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덮고, 일단이 상기 캡과 결합되는 커버; 상기 제1 개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커버와 마주하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 수용홈; 상기 커버와 마주하는 상기 캡에 형성되는 제2 수용홈; 상기 제1 수용홈 및 상기 제2 수용홈에 삽입되고, 상기 커버와 접촉하는 전면 실링부재; 상기 제2 개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단과 마주하는 상기 캡에 형성되는 홈; 그리고, 상기 홈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단과 접촉하는 측면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센서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수용홈에 위치하는 상기 전면 실링부재는, 상기 캡에서 상기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으로 가까워질수록 실링부재의 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수용홈에 위치하는 상기 전면 실링부재는, 상기 제1 수용홈과 마주하는 커버의 엣지를 중심으로 상기 커버의 적어도 2면과 접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캡은, 상기 제2 수용홈과 상기 홈을 연결하는 유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홈에 위치하고, 상기 전면 실링부재와 상기 측면 실링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캡은: 상기 하우징의 제2 개구부와 마주하는 바텀; 상기 바텀의 주위에 형성되는 사이드월; 그리고, 상기 바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케이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실링부재는:
상기 홈에 위치하는 파트들; 그리고, 상기 바텀을 가로지르며 상기 파트들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며, 상기 브릿지는, 상기 바텀과 결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홀에 삽입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 홀에 삽입되고, 상기 케이블 홀과 접촉하는 방수링; 그리고,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과 접촉하고, 상기 방수링에 삽입되어 상기 방수링과 밀착되는 러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수링과 상기 러버는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캡은, 상기 커버의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일단은 상기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상기 전면 실링부재에 접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부 또는 수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투광성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센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수분에 의한 센서의 성능저하 또는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센서의 방수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센서의 생산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센서의 구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센서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 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정한 영역을 감지한다는 의미에서 센서(100)는 에어리어 센서(area sensor, 100)라 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리어 센서(100)는 이미터(emitter, 100E), 그리고 리시버(receiver, 100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터(100E)는 리시버(100R)와 마주할 수 있다. 이미터(100E)는 빛을 발할 수 있다. 이미터(100E)는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터(100E)는 발광유닛(100E) 또는 투광기(100E)라 칭할 수 있다. 이미터(100E)는 복수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소자는 이미터(100E)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또는 직렬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리시버(100R)는 빛을 감지할 수 있다. 리시버(100R)는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리시버(100R)는 수광유닛(100R) 또는 수광기(100R)라 칭할 수 있다. 리시버(100R)는 복수개의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수광소자는 리시버(100R)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또는 직렬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미터(100E)에서 제공되는 빛은 리시버(100R)에서 감지할 수 있다. 이미터(100E)와 리시버(100R) 사이에 사람 또는 물체가 위치하면, 이미터(100E)에서 제공되는 빛의 일부가 차단되어 감지영역에 사람 또는 물체의 존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미터(100E)는 하우징(110E), 발광부(120E), 그리고 캡(130E,140E)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E)은 길게 연장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발광부(120E)는 하우징(110E)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120E)는 하우징(110E)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하우징(110E)의 일면 또는 일측에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캡(130E,140E)은 하우징(110E)의 일단 및/또는 타단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120E) 및 하우징(110E)은 캡(130E,140E)에 의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미터(100E)는 케이블(CA)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CA)은 발광부(120E)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CA)은 하우징(110E)의 일측 또는 캡(140E)에서 외부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CA)은 일측이 발광부(120E)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이 커넥터(CN)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터(100E)는 외부에서 전원 또는 제어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미터(100E)는 브라켓(BKT)을 구비할 수 있다. 브라켓(BKT)은 이미터(100E)의 일단 또는 양단에 장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BKT)은 이미터(100E)를 일정한 설비에 설치 또는 장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브라켓(BKT)은 이미터(100E)에 결합부재(f)에 의해서 장착될 수 있다.
리시버(100R)는 하우징(110R), 수광부(120R), 그리고 캡(130R,140R)을 구비할 수 있다. 리시버(100R)는 케이블(CA)을 구비할 수 있고, 브라켓(BKT)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110R), 캡(130R,140R), 케이블(CA) 및/또는 브라켓(BKT)은 이미터(100E)의 그것 또는 그것들과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서, 수광부(120R)는 발광부(120E)와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미터(100E)와 리시버(100R)는 서로를 구별하지 않고 센서(100)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중공 되어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긴 원통 또는 사각통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110)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면에 길게 신장된 개구부(110P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10P1)는 제1 개구부(110P1)라 칭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일단 또는 양단에 개구부(110P2) 또는 개구부들(110P2)을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110P2) 또는 개구부들(110P2)은 제2 개구부(110P2) 또는 제2 개구부들(110P2)이라 칭할 수 있다. 개구부들(110P2)은 상개구부(110P2T), 그리고 하개구부(110P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부(110P1)는 제2 개구부(110P2)와 연결될 수 있다.
발광소자 및/또는 수광소자는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센싱 모듈(190)은 발광소자 및/또는 수광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캡(130)은 하우징(110)의 상단에 형성된 상개구부(110P2T)를 막을 수 있다. 또 캡(140)은 하우징(110)의 하단에 형성된 하개구부(110P2B)를 막을 수 있다. 하우징(110)의 양단의 구조는 동일할 수 있다.
실링 부재(160T)는 캡(130)과 하우징(110)의 일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실링 부재(160T)는 하우징(110)의 상개구부(110P2T)의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실링 부재(160T)는 제1 실링 부재(160T)라 칭할 수 있다. 제 1 실링 부재(160T)는 상실링부재(160T)라 칭할 수 있다.
커버(150)는 길게 연장된 평판 형상일 수 있고, 하우징(110)의 제1 개구부(110P1)를 막을 수 있다. 커버(150)는 전면 커버(150) 또는 투광 커버(150)라 칭할 수 있다.
실링 부재(170)는 하우징(110)과 커버(1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실링 부재(170)는 제2 실링 부재(170)라 칭할 수 있다. 제2 실링부재는 전면 실링부재(170)라 칭할 수 있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전면 실링부재(170)는 하우징(110)의 전면에 형성된 홈들(210,220)과 캡들(130,140)의 전면에 형성된 홈들(230,240)에 도포될 수 있다. 홈들(210,220,230,240)은 수용홈(200)이라 통칭될 수 있다. 홈들(210,220)은 제1 수용홈(210,220)이라 칭할 수 있고, 홈들(230,240)은 제2 수용홈(230,240)이라 칭할 수 있다.
전면 실링부재(170)는 탄성력 및/또는 접착력을 지닐 수 있다. 도포된 전면 실링부재(170)는 일정시간을 경과하여 경화될 수 있다. 전면 실링부재(170)를 도포하여 형성함에 따라서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전면 실링부재(170)는 제1 길이부(170L1), 제2 길이부(170L2), 제1 사이드부(170S1), 그리고 제2 사이드부(170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길이부(170L1) 및/또는 제2 길이부(170L2)는 하우징(110)의 홈들(210,220)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사이드부(170S1) 및/또는 제2 사이드부(170S2)는 캡들(130,140)의 홈들(230,24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사이드부(170S1) 및/또는 제2 사이드부(170S2)는 전체적으로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중앙폭(D2)은 사이드폭(D1) 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실링부재(170)의 수축 및/또는 팽창에 의해 부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면 실링부재(170)와 커버(150)의 접촉면적이 향상됨으로써, 센서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바텀(110B), 사이드월들(110S1,110S2)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110B)은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일 수 있다. 사이드월들(110S1,110S2)은 서로 대향하며 바텀(110B)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들월들(110S1,110S2)의 상측에 루프들(110R1,110R2)이 형성될 수 있다. 루프들(110R1,110R2)은 사이드월들(110S1,110S2)로부터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홈들(210,220)은 루프들(110R1,110R2)에 형성될 수 있고, 루프들(110R1,110R2)과 사이드월들(110S1,110S2)에 형성될 수도 있다. 홈(210)은 루프(110R1) 및/또는 사이드월(110S1)에 형성될 수 있고, 홈(220)은 루프(110R2) 및/또는 사이드월(110S2)에 형성될 수 있다. 홈들(210,220)은 전체적으로 ㄴ 형상일 수 있다. 전면 실링부재(170L1,170L2)와 커버(150)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커버(150)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방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댐들(110R1S,110R2S)은 루프들(110R1,110R2)로부터 돌출되어, 도포되는 전면 실링부재(170)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다. 댐(110R1S,110R2S)은 단차(110R1S,110R2S, stepped portion)라 칭할 수 있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제1 길이부(170L1)는 제2 실링부재(170)의 길이의 대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길이부(170L1)는 하우징(110, 도 3참조)의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길이부(170L1)는 제1 수평부(170L1H)와 제1 수직부(170L1V)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길이부(170L2)는 제1 길이부(170L1)에 나란할 수 있다. 제2 길이부(170L2)는 제2 수평부(170L2H)와 제2 수직부(170L2V)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사이드부(170S1)는 제1 길이부(170L1)의 일단 및 제2 길이부(170L2)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사이드부(170S2)는 제1 길이부(170L1)의 타단 및 제2 길이부(170L2)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길이부(170L1)는 하우징(110)의 홈(210)에 위치하거나 접착될 수 있고, 제2 길이부(170L2)는 하우징(110)의 홈(220)에 위치하거나 접착될 수 있고, 제1 사이드부(170S1)는 캡(130)의 홈(230)에 위치하거나 접착될 수 있고, 제2 사이드부(170S2)는 캡(140)의 홈(240)에 위치하거나 접착될 수 있다. 제2 실링부재(170)는 길이방향의 중심선(CL)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다. 제2 실링부재(170)는 폭방향의 중심선(CS)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캡(130)은 전체적으로 터브(tub) 형상일 수 있다. 캡(130)은 바텀(130B), 그리고 사이드월(130S)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구(130H)는 바텀(130B)에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월(130S)은 하우징(110, 도 3참조)의 일단면(111, 도 3 참조)과 마주하고 접촉하는 상단면(130SF)을 구비할 수 있다. 홈(300)은 사이드월(130S)의 상단면(130SF)에 형성될 수 있다. 홈(300)은 전체적으로 C형상일 수 있다. 이때, 홈(300)의 루프(loop)의 오픈된 부분(OL)은 센서의 커버(150, 도 3 참조)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실링부재(160T)는 전체적으로 홈(300)에 대응되는 C형상일 수 있다. 제1 실링부재(160T)는 측면 실링부재(160T)라 칭할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160T)는 제1 파트(161), 제2 파트(162), 제3 파트(163), 제4 파트(164), 제5 파트(165), 그리고 브릿지(1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트(162)는 제1 파트(161)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제3 파트(163)는 제2 파트(162)에 대향할 수 있고, 제1 파트(161)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제4 파트(164)는 제2 파트(162)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고, 제1 파트(161)에 대향할 수 있다. 제5 파트(165)는 제3 파트(163)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고, 제1 파트(161)에 대향할 수 있다. 브릿지(166)는 제2 파트(162)와 제3 파트(163)를 연결할 수 있다. 브릿지(166)는 캡(130)의 바텀(130B)에 접촉할 수 있다. 브릿지 수용부(130LB)는 바텀(130B)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고, 브릿지(166)는 브릿지 수용부(130LB)에 놓여질 수 있다. 브릿지(166)는 제1 실링부재(160T)와 캡(130)의 조립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릿지(166)가 캡(130)에 형성된 관통구(130H) 등을 밀폐함으로써 센서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캡(140)은 전체적으로 터브(tub) 형상일 수 있다. 캡(140)은 바텀(140B), 그리고 사이드월(140S)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구(140H)는 바텀(140B)에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월(140S)은 하우징(110, 도 3참조)의 일단면(112, 도 3 참조)과 마주하고 접촉하는 상단면(140SF)을 구비할 수 있다. 홈(400)은 사이드월(140S)의 상단면(140SF)에 형성될 수 있다. 홈(400)은 전체적으로 C형상일 수 있다. 이때, 홈(400)의 루프(loop)의 오픈된 부분(OL)은 센서의 커버(150, 도 3 참조)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캡(140)은 케이블 홀(140H)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 홀(140H)은 바텀(140B)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3 실링부재(180T)는 전체적으로 홈(400)에 대응되는 C형상일 수 있다. 제3 실링부재(180T)는 측면 실링부재(180T)라 칭할 수 있다. 제3 실링 부재(180T)는 제1 파트(181), 제2 파트(182), 제3 파트(183), 제4 파트(184), 제5 파트(185), 그리고 브릿지(18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트(182)는 제1 파트(181)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제3 파트(183)는 제2 파트(182)에 대향할 수 있고, 제1 파트(181)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제4 파트(184)는 제2 파트(182)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고, 제1 파트(181)에 대향할 수 있다. 제5 파트(185)는 제3 파트(183)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고, 제1 파트(181)에 대향할 수 있다. 브릿지(186)는 제2 파트(182)와 제3 파트(183)를 연결할 수 있다. 브릿지(186)는 캡(140)의 바텀(140B)에 접촉할 수 있다. 브릿지 수용부(140LB)는 바텀(140B)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고, 브릿지(186)는 브릿지 수용부(140LB)에 놓여질 수 있다. 제3 실링부재(180T)는 케이블 홀(186H)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 홀(186H)은 브릿지(186)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186)는 제3 실링부재(180T)와 캡(140)의 조립편의성 및 센서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12를 참조하면, 제2 실링부재(170)는 제1 실링부재(160T) 및/또는 제3 실링부재(180T)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CN)는 제2 실링부재(170)의 제1 길이부(170L1)와 제1 실링부재(160T)의 제4 파트(164)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CN)는 제2 실링부재(170)의 제2 길이부(170L2)와 제1 실링부재(160T)의 제5 파트(165)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CN)는 제2 실링부재(170)의 제1 길이부(170L1)와 제3 실링부재(180T)의 제5 파트(185)를 연결할 수 있고, 연결부(CN)는 제2 실링부재(170)의 제2 길이부(170L2)와 제3 실링부재(180T)의 제4 파트(184)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들(CN)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링부재의 도포과정에서 캡들(130,140)의 유입홈들(IH)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160T), 제2 실링부재(170) 및 제3 실링부재(180T)는 한번의 도포과정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칼럼(167)은 브릿지(166)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고, 캡(130,140)의 관통구(130H)에 삽입되어 관통구(130H)를 밀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의 방수성능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센서가 설치되는 외부 환경(예를 들면, 온도변화)에 따라서 커버(150)는 팽창 또는 수축이 될 수 있으며, 이들이 반복될 수 있다. 하우징(110) 및/또는 캡(130)에 비하여 커버(150)가 외부 환경에 따라서 더 많이 변형될 수 있다.
캡(130)은 슬롯(132)을 구비할 수 있다. 커버(150)의 일단(150E1)은 슬롯(132)에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110) 및/또는 캡(130)과 열팽창계수가 상이한 커버(150)가 이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열에 의한 많은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 센서의 방수성이 저하될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센서의 실링 구조는 이러한 환경에서 초기에 설정된 센서의 방수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캡(140)은 슬롯(142)을 구비할 수 있다. 커버(150)의 타단(150E2)은 슬롯(142)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0 및 14를 참조하면, 러버(500)는 케이블(CA)의 외주에 삽입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러버(500)는 케이블(CA)의 삽입방향으로 경사면(510)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쐐기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방수링(600)은 케이블홀(140H)에 삽입될 수 있다. 방수링(600)은 러버(500)에 대응하는 내면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방수링(600)은 케이블(CA)의 삽입방향으로 경사면(610)을 구비하여 러버(500)가 삽입되면 러버(500)와 밀착 또는 압착될 수 있다. 러버(500)는 케이블(CA)의 외주면과 밀착됨과 동시에 방수링(600)과 밀착되고, 방수링(600)은 러버(500)와 밀착됨과 동시에 케이블홀(140H)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CA) 주위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3)

  1. 길게 연장되고, 중공된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개구부와, 일단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2 개구부에 배치되는 캡;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덮고, 일단이 상기 캡과 결합되는 커버;
    상기 제1 개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커버와 마주하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 수용홈;
    상기 커버와 마주하는 상기 캡에 형성되는 제2 수용홈;
    상기 제1 수용홈 및 상기 제2 수용홈에 삽입되고, 상기 커버와 접촉하는 전면 실링부재;
    상기 제2 개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단과 마주하는 상기 캡에 형성되는 홈; 및
    상기 홈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단과 접촉하는 측면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과 마주하는 상기 커버의 일면 중 상기 길이방향의 일측은 상기 전면 실링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캡은,
    상기 제2 수용홈과 상기 홈을 연결하는 유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홈에 위치하고, 상기 전면 실링부재와 상기 측면 실링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센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홈에 위치하는 상기 전면 실링부재는,
    상기 캡에서 상기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으로 가까워질수록 실링부재의 면적이 감소하는 센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홈에 위치하는 상기 전면 실링부재는,
    상기 제1 수용홈과 마주하는 커버의 엣지를 중심으로 상기 커버의 적어도 2면과 접촉하는 센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하우징의 제2 개구부와 마주하는 바텀;
    상기 바텀의 주위에 형성되는 사이드월; 그리고,
    상기 바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케이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실링부재는:
    상기 홈에 위치하는 파트들; 그리고,
    상기 바텀을 가로지르며 상기 파트들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며,
    상기 브릿지는,
    상기 바텀과 결합되는 센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홀에 삽입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 홀에 삽입되고, 상기 케이블 홀과 접촉하는 방수링; 그리고,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과 접촉하고, 상기 방수링에 삽입되어 상기 방수링과 밀착되는 러버를 더 포함하는 센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링과 상기 러버는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들을 구비하는 센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커버의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일단은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센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기 일단과 상기 슬롯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센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하우징의 제2 개구부와 마주하는 바텀과, 상기 바텀의 주위에 형성되는 사이드월과, 상기 바텀에 형성되는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실링부재는,
    상기 홈에 배치되는 파트들과, 상기 파트들을 연결하는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는 칼럼을 포함하는 센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전면 실링부재에 접착되는 센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부 또는 수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투광성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센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텀과,
    상기 바텀의 주위에 형성되는 사이드월과,
    상기 사이드월의 상부 영역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루프와,
    상기 루프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상기 제1 수용홈과,
    상기 루프에서 상기 커버 방향으로 돌출되는 댐을 포함하는 센서.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실링부재는,
    상기 커버의 측면과 접촉하는 제1 수직부와,
    상기 제1 수직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커버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 수평부를 포함하는 센서.
KR1020200139010A 2020-10-26 2020-10-26 센서 KR102230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010A KR102230860B1 (ko) 2020-10-26 2020-10-26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010A KR102230860B1 (ko) 2020-10-26 2020-10-26 센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932A Division KR20200114345A (ko) 2019-03-28 2019-03-28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196A true KR20200124196A (ko) 2020-11-02
KR102230860B1 KR102230860B1 (ko) 2021-03-23

Family

ID=7339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010A KR102230860B1 (ko) 2020-10-26 2020-10-26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8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5550A (ja) * 2009-01-15 2010-07-29 Shihen Tech Corp 照明装置
KR20110003836U (ko) * 2009-10-13 2011-04-20 비전엑스아시아 주식회사 차량용 바형 엘이디 조명장치
KR20180112624A (ko) * 2017-04-04 2018-10-12 주식회사 오토닉스 센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5550A (ja) * 2009-01-15 2010-07-29 Shihen Tech Corp 照明装置
KR20110003836U (ko) * 2009-10-13 2011-04-20 비전엑스아시아 주식회사 차량용 바형 엘이디 조명장치
KR20180112624A (ko) * 2017-04-04 2018-10-12 주식회사 오토닉스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860B1 (ko)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1654B1 (en)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00114345A (ko) 센서
US8841690B1 (en) Optical semiconductor lighting apparatus
KR102230860B1 (ko) 센서
US9915420B2 (en) Illuminating device with sealed optics
KR101644146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2456655B1 (ko) 센서
NL2029021B1 (en) Optical plate with integrated connection
KR101160348B1 (ko) 복합 센서 장치
KR101985055B1 (ko) 광전 센서 및 광전 센서의 제조 방법
US20200393092A1 (en) Lighting device
CN104112813A (zh) 发光模块和灯条
ES2906256T3 (es) Soporte de componentes con cámaras de contacto para un dispositivo optoelectrónico
CN210462587U (zh) 一种具有防水抗潮功效的灯条结构
KR100627237B1 (ko) 에리어 센서
CN216490436U (zh) 具防水机制的光电开关
CN214851180U (zh) 一种光电开关
CN221165536U (zh) 一种易于装配的光幕结构
CN220958397U (zh) 氛围灯
JP2007108542A (ja) 光ファイバモジュール
CN216281278U (zh) 一种免螺丝结构防水灯
CN219040458U (zh) 盖板组件、光电装置及光电模块
KR20210111499A (ko) 센서
CN108931819B (zh) 传感器
JP2018137186A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