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903A - 항바이러스성 화합물 - Google Patents

항바이러스성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903A
KR20200118903A KR1020207028460A KR20207028460A KR20200118903A KR 20200118903 A KR20200118903 A KR 20200118903A KR 1020207028460 A KR1020207028460 A KR 1020207028460A KR 20207028460 A KR20207028460 A KR 20207028460A KR 20200118903 A KR20200118903 A KR 20200118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idazol
methyl
pyran
tert
methylpyrrolid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리자베스 엠 베이컨
제로미 제이 코텔
존 오 링크
마틴 테레사 알레잔드라 트레조
Original Assignee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974893&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0011890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18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90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04Ortho-condensed systems
    • C07D491/044Ortho-condensed systems with only one oxygen atom as ring hetero atom in the oxygen-containing ring
    • C07D491/052Ortho-condensed systems with only one oxygen atom as ring hetero atom in the oxygen-containing ring the oxygen-containing ring being six-memb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881,3-Diazoles condensed with o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e.g. biotin, sorbin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5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6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yrimidine ring, e.g. cytidine, cytid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6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yrimidine ring, e.g. cytidine, cytidylic acid
    • A61K31/707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yrimidine ring, e.g. cytidine, cytidylic acid having two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yrimidine ring, e.g. uridine, uridylic acid, thymidine, zidovu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1Interferons [IF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04Ortho-condensed systems

Abstract

본 개시물은 폴리시클릭 코어 및 하나 이상의 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4-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또는 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 캡핑기를 갖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화합물은 C 형 간염 (HCV) 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및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Description

항바이러스성 화합물 {ANTIVIRAL COMPOUNDS}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2 년 12 월 21 일에 출원한 미국 가출원 일련 번호 61/745,452 및 2013 년 3 월 14 일에 출원한 미국 출원 일련 번호 13/830,346 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C 형 간염은 간 질환으로 특징되는 간의 만성 바이러스성 질환으로서 알려져있다. 간을 표적으로 하는 약물이 널리 사용되고, 효능을 나타내고 있지만, 독성 및 기타 부작용이 이의 유용성을 제한하고 있다. C 형 간염 바이러스 (HCV) 의 억제제는 HCV 에 의한 감염의 발생 및 진행을 제한하는데 있어서 뿐 아니라 HCV 에 대한 진단 검정에서 유용하다.
이에 신규한 HCV 치료제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HCV 유전자형 (예컨대, 유전자형 1a, 1b, 2a, 3a, 4a) 에 대항하여 광범위한 활성을 갖는 HCV 치료제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바이러스 내성에 덜 민감한 제제가 특히 요구되고 있다. 억제제에 대한 내성 돌연변이는 유전자형 1a 및 1b 에 대한 HCV NS5A 에 대하여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September 2010, Volume 54, p. 3641-3650] 에 기재되어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개시물은 약학 조성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및 C 형 간염 (HCV)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폴리시클릭 코어 및 하나 이상의 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4-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또는 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 캡핑기를 갖는 화합물이 본원에 제공되며, 상기 화합물은 예컨대 증진된 생물학적 이용도 및/또는 특정 HCV 유전자형 (이의 공지된 내성 돌연변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에 대한 증진된 활성과 같은 유리한 특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표 1, 2A 및 2B 참고).
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개시물은 하기 식 (I) 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을 제공한다:
E1a-V1a-C(=O)-P1a-W1a -P1b-C(=O)-V1b-E1b (I)
[식 중:
W1a
Figure pat00001
이고,
W1a 는 하나 이상의 할로, 알킬, 할로알킬, 임의 치환된 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 또는 시아노로 임의 치환되고;
Y5 는 -O-CH2-, -CH2-O-, -O-C(=O)- 또는 -C(=O)-O- 이고;
X5 는 -CH2-CH2- 또는 -CH=CH- 이고;
P1a 및 P1b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의 것이고:
Figure pat00002
V1a 및 V1b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의 것이고:
Figure pat00003
;
단, V1a 및 V1b 중 하나 이상은
Figure pat00004
이고;
E1a 및 E1b 는 각각 독립적으로 -N(H)(알콕시카르보닐), -N(H)(시클로알킬카르보닐) 또는 -N(H)(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 이거나; E1a-V1a 는 함께 R9a 이거나; E1b-V1b 는 함께 R9b 이고;
R9a 및 R9b 는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05
임].
본 발명의 개시물은 또한 동위원소로 농축된 화합물을 제공하며, 이는 상기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농축된 동위원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개시물의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개시물은 또한 본 발명의 개시물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 및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시물은 또한 C 형 간염 (HCV) 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HCV 치료를 위한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치료제를 포함한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치료제는 리바비린 (ribavirin), NS3 프로테아제 억제제, HCV NS5B 폴리머라아제의 뉴클레오시드 또는 뉴클레오티드 억제제, 알파-글루코시다아제 1 억제제, 간장보호제 (hepatoprotectant), HCV 폴리머라아제의 비(非)뉴클레오시드 억제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HCV NS5B 폴리머라아제의 뉴클레오시드 또는 뉴클레오티드 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HCV NS5B 폴리머라아제의 뉴클레오시드 또는 뉴클레오티드 억제제는 리바비린, 비라미딘 (viramidine), 레보비린 (levovirin), L-뉴클레오시드 또는 이사토리빈 (isatoribine) 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HCV NS5B 폴리머라아제의 뉴클레오시드 또는 뉴클레오티드 억제제, 및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인터페론, PEG화 (pegylated) 인터페론, 리바비린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HCV NS5B 폴리머라아제의 뉴클레오시드 또는 뉴클레오티드 억제제는 소포스부비르 (sofosbuvir) 이다. 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NS3 프로테아제 억제제, 및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소포스부비르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개시물은 또한 인터페론 또는 PEG화 인터페론을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시물은 또한 뉴클레오시드 유사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시물은 또한 상기 뉴클레오시드 유사체가 리바비린, 비라미딘, 레보비린, L-뉴클레오시드 및 이사토리빈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인터페론이 α-인터페론 또는 PEG화 α-인터페론인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시물은 또한 C 형 간염의 치료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개시물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인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시물은 또한 HCV 의 억제 방법으로서, HCV 를 억제하는데 유효한 본 개시물의 화합물의 소정량을 HCV 활성 관련 증상으로 고통받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시물은 또한 의학적 치료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예컨대 HCV 활성의 억제 또는 HCV 활성 관련 증상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개시물의 화합물, 뿐 아니라 포유동물에서 HCV 억제 또는 HCV 활성 관련 증상의 치료에 유용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본 개시물의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시물은 또한 본 개시물의 화합물의 제조에 유용한 본원에 개시된 합성 방법 및 신규한 중간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물의 화합물 중 일부는 또 다른 본 개시물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유용하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C 형 간염 또는 C 형 간염 관련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적 처치에 사용하기 위한, 본 개시물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샘플에서의 HCV 활성 억제 방법으로서, 본 개시물의 화합물로 샘플을 치료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식 (I) 의 화합물이 몇몇의 HCV 유전자형에 대항하여 유용한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특정한 식 (I) 의 화합물은, 예컨대 GT1 에서 내성 변이체에 대항하여 유의한 효능을 나타낸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개시물의 특정한 구현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언급될 것이며, 이의 예는 구조 및 식을 동반하여 예시된다. 본 개시물이 열거된 구현예와 함께 기재되는 되지만, 이는 본 개시물을 이러한 구현예로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본 개시물은 모든 대체, 변형 및 등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이는 구현예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시물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다.
화합물
본원의 식 (I) 에 정의된 "P" 기 (예컨대 P1a 및 P1b) 는 식 (I) 의 -C(=O)- 와의 하나의 결합 및 W1a 기와의 하나의 결합을 갖는다. 상기 P 기의 질소는 식 (I) 의 -C(=O)- 기에 연결되고, 상기 P 기의 탄소는 W1a 기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Figure pat00006
W1a 기 중에, Y5 기가 존재한다. Y5 기가 -O-CH2- 또는 -CH2-O- 기로서 정의되는 경우, Y5 기는 방향성을 갖는다. 상기 Y5 기는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방향성으로 W1a 기에 연결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Y5 가 -O-CH2- 인 경우, 바로 하기 구조가 의도된다:
Figure pat00007
예를 들어, Y5 가 -CH2-O- 인 경우, 바로 하기 구조가 의도된다:
Figure pat00008
구조 I 에서, W1a 기는 I 및 W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방향성을 갖는다.
E1a-V1a-C(=O)-P1a-W1a -P1b-C(=O)-V1b-E1b (I)
[식 중:
W1a
Figure pat00009
임].
예를 들어, P1a 기는 W1a 의 이미다졸 기에 연결되고, P1b 기는 W1a 의 펜타시클릭 고리계에 연결된다.
"알킬" 은 노르말 (normal), 2 차, 3 차 또는 시클릭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C1-C18 탄화수소이다. 그 예는 메틸 (Me, -CH3), 에틸 (Et, -CH2CH3), 1-프로필 (n-Pr, n-프로필, -CH2CH2CH3), 2-프로필 (i-Pr, i-프로필, -CH(CH3)2), 1-부틸 (n-Bu, n-부틸, -CH2CH2CH2CH3), 2-메틸-1-프로필 (i-Bu, i-부틸, -CH2CH(CH3)2), 2-부틸 (s-Bu, s-부틸, -CH(CH3)CH2CH3), 2-메틸-2-프로필 (t-Bu, t-부틸, -C(CH3)3), 1-펜틸 (n-펜틸, -CH2CH2CH2CH2CH3), 2-펜틸 (-CH(CH3)CH2CH2CH3), 3-펜틸 (-CH(CH2CH3)2), 2-메틸-2-부틸 (-C(CH3)2CH2CH3), 3-메틸-2-부틸 (-CH(CH3)CH(CH3)2), 3-메틸-1-부틸 (-CH2CH2CH(CH3)2), 2-메틸-1-부틸 (-CH2CH(CH3)CH2CH3), 1-헥실 (-CH2CH2CH2CH2CH2CH3), 2-헥실 (-CH(CH3)CH2CH2CH2CH3), 3-헥실 (-CH(CH2CH3)(CH2CH2CH3)), 2-메틸-2-펜틸 (-C(CH3)2CH2CH2CH3), 3-메틸-2-펜틸 (-CH(CH3)CH(CH3)CH2CH3), 4-메틸-2-펜틸 (-CH(CH3)CH2CH(CH3)2), 3-메틸-3-펜틸 (-C(CH3)(CH2CH3)2), 2-메틸-3-펜틸 (-CH(CH2CH3)CH(CH3)2), 2,3-디메틸-2-부틸 (-C(CH3)2CH(CH3)2), 3,3-디메틸-2-부틸 (-CH(CH3)C(CH3)3, 및 시클로프로필메틸
Figure pat00010
이다.
"알케닐" 은 하나 이상의 불포화 부위 (즉 탄소-탄소, sp 2 이중 결합) 를 포함하는, 노르말, 2 차, 3 차 또는 시클릭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C2-C18 탄화수소이다. 그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에틸렌 또는 비닐 (-CH=CH2), 알릴 (-CH2CH=CH2), 시클로펜테닐 (-C5H7), 및 5-헥세닐 (-CH2 CH2CH2CH2CH=CH2) 이 포함된다.
"알키닐" 은 하나 이상의 불포화 부위 (즉 탄소-탄소, sp 삼중 결합) 를 갖는, 노르말, 2 차, 3 차 또는 시클릭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C2-C18 탄화수소이다. 그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아세틸렌 (-C≡CH) 및 프로파르길 (-CH2C≡CH) 이 포함된다.
"알킬렌" 은 모 (parent) 알칸의 동일 또는 2 개의 상이한 탄소 원자로부터 2 개의 수소 원자의 제거에 의해 유도된 2 개의 1 가 라디칼 중심을 갖는, 탄소수 1-18 의 포화, 분지쇄 또는 직쇄 또는 시클릭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전형적인 알킬렌 라디칼에는 비제한적으로, 메틸렌 (-CH2-) 1,2-에틸 (-CH2CH2-), 1,3-프로필 (-CH2CH2CH2-), 1,4-부틸 (-CH2CH2CH2CH2-) 등이 포함된다.
"알케닐렌" 은 모 알켄의 동일 또는 2 개의 상이한 탄소 원자로부터 2 개의 수소 원자의 제거에 의해 유도된 2 개의 1 가 라디칼 중심을 갖는, 탄소수 2-18 의 불포화, 분지쇄 또는 직쇄 또는 시클릭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전형적인 알케닐렌 라디칼에는 비제한적으로, 1,2-에틸렌 (-CH=CH-) 이 포함된다.
"알키닐렌" 은 모 알킨의 동일 또는 2 개의 상이한 탄소 원자로부터 2 개의 수소 원자의 제거에 의해 유도된 2 개의 1 가 라디칼 중심을 갖는, 탄소수 2-18 의 불포화, 분지쇄 또는 직쇄 또는 시클릭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전형적인 알키닐렌 라디칼에는, 비제한적으로, 아세틸렌 (-C≡C-), 프로파르길 (-CH2C≡C-) 및 4-펜티닐 (-CH2CH2CH2C≡CH) 이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 용어 "알콕시" 또는 "알킬옥시" 는 산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 용어 "알콕시카르보닐" 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알콕시기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 용어 "시클로알킬" 은 탄소수 3 내지 7 이고, 헤테로원자를 갖지 않는 포화 모노시클릭, 탄화수소 고리계를 의미한다. 시클로알킬의 대표적인 예로는 비제한적으로, 시클로프로필, 시클로펜틸 및 시클로헥실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개시물의 시클로알킬기는 알콕시, 알킬, 아릴, 시아노, 할로,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헤테로시클릴, 히드록시, 히드록시알킬, 니트로 및 -NRxRy 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4 또는 5 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및 상기 헤테로시클릴은 추가로 알콕시, 알킬, 시아노, 할로,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히드록시 및 니트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 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 용어 "시클로알킬카르보닐" 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시클로알킬기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 용어 "시클로알킬옥시" 는 산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시클로알킬기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 용어 "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 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시클로알킬옥시기를 의미한다.
"아릴" 은 모 방향족 고리계의 단일 탄소 원자로부터 하나의 수소 원자의 제거에 의해 유도된, 탄소수 6-20 의 1 가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전형적인 아릴기에는 비제한적으로, 벤젠, 치환된 벤젠, 나프탈렌, 안트라센, 바이페닐 등으로부터 유도된 라디칼이 포함된다.
"아릴알킬" 은 탄소 원자, 통상적으로 말단 또는 sp 3 탄소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 중 하나가 아릴 라디칼로 대체된, 비(非)시클릭 알킬 라디칼을 의미한다. 전형적인 아릴알킬에는 비제한적으로, 벤질, 2-페닐에탄-1-일, 나프틸메틸, 2-나프틸에탄-1-일, 나프토벤질, 2-나프토페닐에탄-1-일 등이 포함된다. 상기 아릴알킬기는 탄소수 6 내지 20 인 것으로, 예컨대 상기 아릴알킬기의 알킬 부분 (알카닐, 알케닐 또는 알키닐기 포함) 은 탄소수 1 내지 6 이고, 아릴 부분은 탄소수 5 내지 14 다.
"치환된 알킬", "치환된 아릴" 및 "치환된 아릴알킬" 은 각각,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비(非)수소 치환기로 대체된 알킬, 아릴 및 아릴알킬을 의미한다. 전형적인 치환기에는 비제한적으로: 할로 (예를 들어 F, Cl, Br, I), -R, -OR, -SR, -NR2, -CF3, -CCl3, -OCF3, -CN, -NO2, -N(R)C(=O)R, -C(=O)R, -OC(=O)R, -C(O)OR, -C(=O)NRR, -S(=O)R, -S(=O)2OR, -S(=O)2R, -OS(=O)2OR, -S(=O)2NRR 이 포함되고,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H, 알킬, 아릴, 아릴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이다. 알킬렌, 알케닐렌 및 알키닐렌기 또한 유사하게 치환될 수 있다.
식 (I) 의 화합물의 특정한 부분의 언급에서, 용어 "임의로 치환된" (예컨대, 임의로 치환된 아릴기) 은 0, 1, 2 또는 그 이상의 치환기를 갖는 부분을 의미한다.
고리 구조 내 부호 "----" 는 결합이 단일 또는 이중 결합인 것을 의미한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 "할로알킬" 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예컨대 F, Cl, Br 또는 I) 으로 치환된 알킬기가 포함된다. 할로알킬의 대표적인 예로는 트리플루오로메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및 2,2,2-트리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이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 "헤테로사이클" 또는 "헤테로시클릴" 에는 예를 들면, 비제한적으로, [Paquette, Leo A.; Principles of Modern Heterocyclic Chemistry (W.A. Benjamin, New York, 1968), 특히 Chapters 1, 3, 4, 6, 7 및 9; "The Chemistry of Heterocyclic Compounds, A Series of Monographs" (John Wiley & Sons, New York, 1950 에서 현재), 특히 Volumes 13, 14, 16, 19 및 28; 및 J. Am. Chem. Soc. (1960) 82:5566] 에 기재된 이러한 헤테로사이클이 포함된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헤테로사이클" 에는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카르보사이클" 이 포함되고, 여기서 하나 이상의 (예컨대 1, 2, 3 또는 4 개) 탄소 원자는 헤테로원자 (예컨대 O, N 또는 S) 로 대체된다. 용어 헤테로사이클에는 또한 "헤테로아릴" 이 포함되고, 이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시클릭 고리가 방향족인 헤테로사이클이다.
헤테로사이클의 예로는, 예를 들면, 비제한적으로, 피리딜, 디히드로피리딜, 테트라히드로피리딜 (피페리딜), 티아졸릴, 테트라히드로티오페닐, 황 산화된 테트라히드로티오페닐, 피리미디닐, 푸라닐, 티에닐, 피롤릴,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테트라졸릴, 벤조푸라닐, 티아나프탈레닐, 인돌릴, 인돌레닐,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벤즈이미다졸릴, 피페리디닐, 4-피페리도닐, 피롤리디닐, 2-피롤리도닐, 피롤리닐, 테트라히드로푸라닐, 테트라히드로퀴놀리닐,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닐, 데카히드로퀴놀리닐, 옥타히드로이소퀴놀리닐, 아조시닐, 트리아지닐, 6H-1,2,5-티아디아지닐, 2H,6H-1,5,2-디티아지닐, 티에닐, 티안트레닐, 피라닐, 이소벤조푸라닐, 크로메닐, 잔테닐, 페녹사티닐, 2H-피롤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피라지닐, 피리다지닐, 인돌리지닐, 이소인돌릴, 3H-인돌릴, 1H-인다졸릴, 푸리닐, 4H-퀴놀리지닐, 프탈라지닐, 나프티리디닐, 퀴녹살리닐, 퀴나졸리닐, 신놀리닐, 프테리디닐, 4H-카르바졸릴, 카르바졸릴, β-카르볼리닐, 페난트리디닐, 아크리디닐, 피리미디닐, 페난트롤리닐, 페나지닐, 페노티아지닐, 푸라자닐, 페녹사지닐, 이소크로마닐, 크로마닐, 이미다졸리디닐, 이미다졸리닐, 피라졸리디닐, 피라졸리닐, 피페라지닐, 인돌리닐, 이소인돌리닐, 퀴누클리디닐, 모르폴리닐, 옥사졸리디닐, 벤조트리아졸릴, 벤즈이속사졸릴, 옥스인돌릴, 벤즈옥사졸리닐, 이사티노일 및 비스-테트라히드로푸라닐:
Figure pat00013
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비제한적으로, 탄소 결합 헤테로사이클은 피리딘의 2, 3, 4, 5 또는 6 위치, 피리다진의 3, 4, 5 또는 6 위치, 피리미딘의 2, 4, 5 또는 6 위치, 피라진의 2, 3, 5 또는 6 위치, 푸란, 테트라히드로푸란, 티오푸란, 티오펜, 피롤 또는 테트라히드로피롤의 2, 3, 4 또는 5 위치, 옥사졸, 이미다졸 또는 티아졸의 2, 4 또는 5 위치, 이속사졸, 피라졸 또는 이소티아졸의 3, 4 또는 5 위치, 아지리딘의 2 또는 3 위치, 아제티딘의 2, 3 또는 4 위치, 퀴놀린의 2, 3, 4, 5, 6, 7 또는 8 위치 또는 이소퀴놀린의 1, 3, 4, 5, 6, 7 또는 8 위치에서 결합된다. 보다 더욱 통상적으로, 탄소 결합 헤테로사이클에는 2-피리딜, 3-피리딜, 4-피리딜, 5-피리딜, 6-피리딜, 3-피리다지닐, 4-피리다지닐, 5-피리다지닐, 6-피리다지닐, 2-피리미디닐, 4-피리미디닐, 5-피리미디닐, 6-피리미디닐, 2-피라지닐, 3-피라지닐, 5-피라지닐, 6-피라지닐, 2-티아졸릴, 4-티아졸릴 또는 5-티아졸릴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비제한적으로, 질소 결합 헤테로사이클은 아지리딘, 아제티딘, 피롤, 피롤리딘, 2-피롤린, 3-피롤린, 이미다졸, 이미다졸리딘, 2-이미다졸린, 3-이미다졸린, 피라졸, 피라졸린, 2-피라졸린, 3-피라졸린, 피페리딘, 피페라진, 인돌, 인돌린, 1H-인다졸의 1 위치, 이소인돌 또는 이소인돌린의 2 위치, 모르폴린의 4 위치 및 카르바졸 또는 β-카르볼린의 9 위치에서 결합된다. 보다 더욱 통상적으로, 질소 결합 헤테로사이클에는 1-아지리딜, 1-아제티딜, 1-피롤릴, 1-이미다졸릴, 1-피라졸릴 및 1-피페리디닐이 포함된다.
"카르보사이클" 은 탄소수 약 25 이하의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고리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카르보사이클은 모노사이클로서 탄소수 약 3 내지 7, 바이사이클로서 탄소수 약 7 내지 12 및 폴리사이클로서 탄소수 약 25 이하를 갖는다. 모노시클릭 카르보사이클은 통상적으로 3 내지 6 개의 고리 원자, 보다 더욱 통상적으로 5 또는 6 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다. 바이시클릭 카르보사이클은 통상적으로, 7 내지 12 개의 고리 원자 (예컨대 바이시클로[4,5], [5,5], [5,6] 또는 [6,6] 시스템으로서 배열됨), 또는 9 또는 10 개의 고리 원자 (바이시클로[5,6] 또는 [6,6] 시스템으로서 배열됨) 를 갖는다. 용어 카르보사이클에는 포화 또는 불포화 카르보사이클인 "시클로알킬" 이 포함된다. 모노시클릭 카르보사이클의 예로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1-시클로펜트-1-에닐, 1-시클로펜트-2-에닐, 1-시클로펜트-3-에닐, 시클로헥실, 1-시클로헥스-1-에닐, 1-시클로헥스-2-에닐, 1-시클로헥스-3-에닐, 페닐, 스피릴 및 나프틸이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 용어 "아미노" 는 -NH2 를 의미한다.
용어 "키랄" 은 거울상 파트너와 겹쳐지지 않는 특성을 갖는 분자를 의미하고, 반면 용어 "아키랄 (achiral)" 은 이의 거울상 파트너와 겹쳐지는 분자를 의미한다.
용어 "입체이성질체" 는 동일한 화학적 구성을 갖지만, 공간에서 원자 또는 기의 배열이 상이한 화합물을 의미한다.
"부분입체이성질체" 는 키랄성의 둘 이상의 중심을 갖고, 이의 분자가 서로 거울상이 아닌 입체이성질체를 의미한다. 부분입체이성질체는 상이한 물리적 특성, 예컨대 용융점, 비등점, 스펙트럼 특성 및 반응성을 갖는다.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은 고해상도 분석 절차, 예컨대 전기영동법 및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될 수 있다.
"거울상이성질체" 는 서로의 거울상이 겹쳐지지 않는 화합물의 2 가지 입체이성질체를 의미한다.
용어 "치료" 또는 "치료하는 것" 은 확장되어, 질환 또는 증상의 발생을 예방, 질환 또는 증상을 억제, 질환 또는 증상을 제거 및/또는 질환 또는 증상의 하나 이상의 징후를 완화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입체화학적 정의 및 규약은 일반적으로 [S. P. Parker, Ed., McGraw-Hill Dictionary of Chemical Terms (1984)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and Eliel, E. and Wilen, S., Stereochemistry of Organic Compounds (1994)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를 따른다. 수많은 유기 화합물이 광학적 활성 형태로 존재하며, 즉, 이들은 평면-편광의 평면을 회전시킬 수 있다. 광학적 활성 화합물의 기재에서, 접두어 (D 및 L) 또는 (R 및 S) 는 이의 키랄 중심(들)에 대한 분자의 절대 배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접두어 d 및 l 또는 (+) 및 (-) 는 상기 화합물에 의한 평면-편광의 회전의 신호를 지정하기 위해 이용되며, (-) 또는 l 은 상기 화합물이 좌선성 (levorotatory) 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 또는 d 를 접두어로 갖는 화합물은 우선성 (dextrorotatory) 이다. 제시된 화학 구조에 있어서, 이의 입체이성질체는 서로가 거울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특정 입체이성질체는 또한 거울상이성질체로서 언급될 수 있고, 상기 이성질체의 혼합물은 종종 거울상이성질체 혼합물로 불린다. 거울상이성질체의 50:50 혼합물은 라세미 혼합물 또는 라세미체로서 언급되고, 이는 화학 반응 또는 공정에서 입체선택성 또는 입체특이성이 없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용어 "라세미 혼합물" 및 "라세미체" 는 광학 활성이 없는, 2 개의 거울상이성질체 종의 등몰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는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모든 입체이성질체가 포함된다.
전구약물
본원에서 사용된 바, 용어 "전구약물" 은 생물계에 투여될 때, HCV 활성을 억제하는 본 개시물의 화합물 ("활성 억제성 화합물") 을 생성하는 임의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화합물은 하기 반응의 결과로서, 전구약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i) 자발적 화학 반응(들), (ii) 효소 촉매화된 화학 반응(들), (iii) 광분해 및/또는 (iv) 대사성 화학 반응(들).
"전구약물 부분" 은 대사과정 중에, 전체적으로, 세포 내에서, 가수분해, 효소적 절단에 의해 또는 일부 기타 방법에 의해 활성 억제성 화합물로부터 분리되는 불안정한 관능기를 의미한다 (Bundgaard, Hans, "Design and Application of Prodrug" in A Textbook of Drug Design and Development (1991), P. Krogsgaard-Larsen and H. Bundgaard, Eds. Harwood Academic Publishers, pp. 113-191). 본 개시물의 전구약물 화합물을 이용한 효소적 활성화 메카니즘이 가능한 효소에는 비제한적으로, 아미다아제, 에스테라아제, 미생물 효소, 포스포리파아제, 콜린에스테라아제 및 포스파아제가 포함된다. 전구약물 부분은 용해도, 흡수 및 친유성을 증진시켜, 약물 전달, 생체이용률 및 효능을 최적화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전구약물 부분에는 활성 대사산물 또는 약물 그 자체가 포함될 수 있다.
전형적인 전구약물 부분에는 가수분해적으로 민감한 또는 불안정한 아실옥시메틸 에스테르 -CH2OC(=O)R99 및 아실옥시메틸 카르보네이트 -CH2OC(=O)OR99 가 포함되고, 여기서 R99 는 C1-C6 알킬, C1-C6 치환된 알킬, C6-C20 아릴 또는 C6-C20 치환된 아릴이다. 상기 아실옥시알킬 에스테르는 처음에는 카르복실산을 위한 전구약물 전략으로서 사용되었고, 그 후 포스페이트 및 포스포네이트에 적용되었다 [Farquhar et al. (1983) J. Pharm. Sci. 72: 324; 또한 미국 특허 제 4816570, 4968788, 5663159 및 5792756 호]. 그 후에, 상기 아실옥시알킬 에스테르는 세포 멤브레인을 통해 포스폰산을 전달하고, 경구적 생체이용률 증진시키는데 사용되었다. 상기 아실옥시알킬 에스테르의 유사 변이체인, 알콕시카르보닐옥시알킬 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는 또한 본 개시물의 조합물의 화합물에서 전구약물 부분으로서 경구적 생체이용률을 증진시킬 수 있다. 전형적인 아실옥시메틸 에스테르는 피발로일옥시메톡시, (POM) -CH2OC(=O)C(CH3)3 이다. 전형적인 아실옥시메틸 카르보네이트 전구약물 부분은 피발로일옥시메틸카르보네이트 (POC) -CH2OC(=O)OC(CH3)3 이다.
보호기
본 개시물의 맥락에서, 보호기에는 전구약물 부분 및 화학적 보호기가 포함된다.
"보호기" 는 상기 관능기의 특성 또는 상기 화합물 전체의 특성을 차폐 또는 변경하는 화합물의 부분을 의미한다. 화학적 보호기 및 보호/탈보호를 위한 전략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 Theodora W. Greene,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91] 참조. 보호기는 종종 특정한 관능기의 반응성을 차폐하고, 목적하는 화학 반응의 효율성 면에서 도움을 주기 위하여, 예컨대 순서화 및 계획된 방식으로 화학적 결합을 생성 및 분해하는데 이용된다. 화합물의 관능기의 보호는 보호된 관능기의 반응성 이외의 기타 물리적 특성, 예컨대 극성, 친유성 (소수성) 및 통상의 분석 도구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기타 특성을 변경한다. 화학적으로 보호된 중간체는 그 자체가 생물학적으로 활성 또는 불활성일 수 있다.
보호된 화합물은 또한 시험관내생체내에서, 변경된 및 일부 경우에서는, 최적화된 특성, 예컨대 세포 멤브레인의 통과 및 효소적 열화 또는 격리에 대한 내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역할에서, 의도된 치료적 효과를 갖는 보호된 화합물은 전구약물로서 언급될 수 있다. 보호기의 또 다른 기능은 생체내에서 전구약물의 전환 시 모 약물이 방출되는 것에 의해, 모 약물을 전구약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활성 전구약물이 모 약물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전구약물은 생체내에서 모 약물보다 더 뛰어난 효능을 가질 수 있다. 보호기는 화학적 중간체의 경우 시험관내에서, 또는 전구약물의 경우 생체내에서 제거된다. 화학적 중간체에 있어서, 탈보호 후 수득 생성물, 예컨대 알코올이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것이 특히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상기 생성물이 약리학적으로 무해한 경우가 더욱 바람직하다.
보호기는 이용가능하고, 통상적으로 공지 및 사용되고 있으며, 본 개시물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합성 절차, 즉 경로 또는 방법 중 보호된 기와 관련된 부 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임의로 사용된다. 대부분, 보호될 기의 종류, 보호하는 시점 및 화학적 보호기 "PG" 의 성질에 대한 결정은 대항하여 보호되어야 하는 반응의 화학 (예컨대 산성, 염기성, 산화성, 환원성 또는 기타 조건) 및 합성의 의도된 방향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PG 는 상기 화합물이 다수의 PG 로 치환되는 경우 동일할 필요가 없고, 일반적으로 동일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PG 는 관능기, 예컨대 카르복실, 히드록실, 티오 또는 아미노기를 보호하여, 부 반응을 방지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합성 효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유리된 탈보호된 기를 수득하기 위한 탈보호의 순서는 합성의 의도된 방향 및 접하게 되는 반응 조건에 따라 달라지고, 당업자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순서로 일어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화합물의 각종 관능기는 보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H 기 (히드록실, 카르복실산, 포스폰산 또는 기타 관능기에 있에서) 를 위한 보호기에는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형성기" 가 포함된다.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형성기는 본원에서 제시된 합성 반응식에서 화학적 보호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하지만,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부 히드록실 및 티오 보호기는 에테르- 도 에스테르-형성기도 아니며, 하기 논의되는 아미드가 포함된다.
다수의 히드록실 보호기 및 아미드-형성기 및 해당 화학적 절단 반응은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Theodora W. Greene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91, ISBN 0-471-62301-6) ("Greene")] 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Kocienski, Philip J.; Protecting Groups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New York, 1994)] 참조, 이의 전체는 본원에 참조로서 인용됨. 특히, Chapter 1, Protecting Groups: An Overview, pages 1-20, Chapter 2, Hydroxyl Protecting Groups, pages 21-94, Chapter 3, Diol Protecting Groupss, pages 95-117, Chapter 4, Carboxyl Protecting Groupss, pages 118-154, Chapter 5, Carbonyl Protecting Groupss, pages 155-184. 카르복실산, 포스폰산, 포스포네이트, 술폰산 및 산을 위한 기타 보호기는 하기 제시된 바와 같이 Greene 을 참조한다.
입체이성질체
본 개시물의 화합물은 키랄 중심, 예컨대 키랄 탄소 또는 포스포러스 원자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물의 화합물에는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회전장애이성질체 (atropisomer) 를 비롯한, 모든 입체이성질체가 포함된다. 또한, 본 개시물의 화합물에는 임의의 또는 모든 비대칭, 키랄 원자에서 농축된 또는 분리된 광학 이성질체가 포함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서술로부터 명백한 키랄 중심은 비(非)라세미 또는 라세미 혼합물로서 제공된다. 라세미 및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둘 모두 뿐 아니라, 실질적으로 이의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 파트너가 유리된, 단리된 또는 합성된 개별적인 광학 이성질체 전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 라세미 혼합물은 널리 공지된 기술, 예를 들어 광학적 활성 부가물, 예컨대 산 또는 염기와 함께 형성된 부분입체이성질체 염을 분리하고, 이어서 광학적 활성 물질로 다시 전환시키는 방법을 통해, 이의 개별적인, 실질적으로 광학적으로 순수한 이성질체로 분리된다. 대부분의 경우, 목적하는 광학 이성질체는 목적하는 출발 물질의 적당한 입체이성질체로부터 입체특이적 반응을 통해 또는 거울상이성질선택적 반응을 통해 합성된다.
본 개시물의 화합물은 또한 특정한 경우 호변이성질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단지 하나의 호변이성질체만이 도시될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은 모든 형태가 본 개시물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엔-아민 호변이성질체는 푸린, 피리미딘, 이미다졸, 구아니딘, 아미딘 및 테트라졸 시스템으로 존재할 수 있고, 이의 가능한 모든 호변이성질체 형태는 본 개시물의 범위에 속한다.
염 및 수화물
본 개시물의 화합물의 생리학적으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예로는 적당한 염기, 예컨대 알칼리 금속 (예를 들어, 나트륨), 알칼리 토금속 (예를 들어, 마그네슘), 암모늄 및 NX4 + (식 중 X 는 C1-C4 알킬임) 로부터 유도된 염이 포함된다. 수소 원자 또는 아미노기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는 유기 카르복실산, 예컨대 아세트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말레산, 말론산, 말산, 이세티온산, 락토비온산 및 숙신산; 유기 술폰산, 예컨대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벤젠술폰산 및 p-톨루엔술폰산; 및 무기산, 예컨대 염산, 황산, 인산 및 술팜산의 염이 포함된다. 히드록시기 화합물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는 적합한 양이온, 예컨대 Na+ 및 NX4 + (식 중 X 는 H 또는 C1-C4 알킬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됨) 과 조합된 상기 화합물의 음이온이 포함된다.
치료적 용도를 위하여, 본 개시물의 화합물의 활성 성분의 염은 통상적으로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할 수 있고, 즉 이들은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또는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일 수 있다. 하지만,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하지 않은 산 또는 염기의 염은 또한, 예를 들어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화합물의 제조 또는 정제에서, 그 용도가 확인될 수 있다.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또는 염기로부터 유도되거나 유도되지 않은 모든 염은, 본 개시물의 범위에 속한다.
금속염은 통상적으로 금속 수산화물과 본 개시물의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되는 금속염의 예는 Li+, Na+ K+ 를 함유하는 염이다. 용해성이 낮은 금속염은 적합한 금속 화합물의 첨가에 의해 용해성이 우수한 염의 용액으로부터 침전될 수 있다.
또한, 염은 특정한 유기 및 무기산, 예컨대 HCl, HBr, H2SO4, H3PO4 또는 유기 술폰산의, 염기성 중심, 통상적으로 아민 또는 산성기에의 산 첨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본원의 조성물은 비(非)이온화된 형태 뿐 아니라, 양쪽성 이온 형태 및 화학량론적 양의 물과 조합된 수화물 형태의 본 개시물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모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과의 염은 또한 본 개시물의 범위에 포함된다. 아미노산은 통상적으로 염기성 또는 산성기 (예컨대 리신, 아르기닌 또는 글루탐산) 또는 중성기 (예컨대 글리신, 세린, 트레오닌, 알라닌, 이소류신 또는 류신) 을 갖는 측쇄를 포함하지만, 임의의 천연 또는 비(非)천연 아미노산, 특히 단백질 성분으로서 확인된 천연 발생적 아미노산이 적합하다.
HCV 억제 방법
본 개시물의 또 다른 측면은 HCV 를 함유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샘플을 본 개시물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CV 활성의 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물의 처리 단계는 본 개시물의 화합물을 상기 샘플에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거나, 상기 조성물의 전구체를 상기 샘플에 첨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첨가 단계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임의의 투여 방법을 포함한다.
요구되는 경우, 상기 화합물의 적용 후 HCV 의 활성은 HCV 활성을 검출하는 직접 및 간접적인 방법을 비롯한, 임의의 방법에 의해 관찰될 수 있다. HCV 활성을 측정하는 정량적, 정성적 및 반정량적 방법이 모두 고려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스크리닝 방법 중 하나가 적용되지만, 임의의 기타 방법, 예컨대 생체의 생리학적 특성의 관찰 또한 적용가능하다.
다수의 유기체는 HCV 를 함유한다. 본 개시물의 화합물은 동물 또는 인간에서의 HCV 활성 관련 증상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다.
하지만, HCV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의 스크리닝에서, 효소 검정의 결과는 세포 배양 검정과 항상 상관관계가 있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따라서, 세포 기반 검정이 통상적으로 제 1 차적 스크리닝 도구여야 한다.
약학 제형
본 개시물의 화합물은 통상의 실시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통상적인 담체 및 부형제와 함께 제형화된다. 정제는 부형제, 활택제, 충전제, 결합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수성 제형은 무균 형태로 제조되고, 경구 투여 이외의 방법에 의한 전달이 의도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등장성일 수 있다. 모든 제형은 임의로 부형제, 예컨대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ipients (1986)] 에 제시된 것들을 함유할 수 있다. 부형제에는 아스코르브산 및 기타 항산화제, 킬레이트제, 예컨대 EDTA, 탄수화물, 예컨대 덱스트린,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히드록시알킬메틸셀룰로오스, 스테아르산 등이 포함된다. 상기 제형의 pH 는 약 3 내지 약 11 의 범위이지만, 통상적으로는 약 7 내지 10 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0.01 mg 내지 2 g 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용량은 약 10 mg 내지 450 mg 일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1 일 1 회, 2 회 또는 3 회 투여될 수 있다고 고려된다.
상기 활성 성분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지만, 약학 제형으로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동물용 및 인간에서 모두 사용을 위한 본 개시물의 제형은 본 개시물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 (본원에서 활성 성분으로서 지칭함) 을, 하나 이상의 허용가능한 담체 및 그에 따라 임의로 기타 치료적 성분과 함께 포함한다. 상기 담체(들) 는 상기 제형의 기타 성분과 상용가능하고 이의 수용자에게 생리학적으로 무해한 측면에서 "허용가능" 해야한다.
상기 제형에는 전술한 투여 경로에 적합한 것들이 포함된다. 상기 제형은 편리하게는 단위 투여량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약학 업계에서 널리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기술 및 제형은 일반적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에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에는 상기 활성 성분을 하나 이상의 부속 성분을 구성하는 담체와 함께 조합으로 제공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형은 상기 활성 성분을 액체 담체 또는 미분된 고체 담체 또는 둘 모두와의 균일하고 조밀한 조합으로 제공한 후, 필요한 경우, 상기 생성물을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본 개시물의 제형은 각각 선결된 양의 상기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개별 단위, 예컨대 캡슐, 샤셰 또는 정제로서; 분말 또는 과립으로서; 수성 또는 비(非)수성 액체 중의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 또는 수중유 액체 에멀젼 또는 유중수 액체 에멀젼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성분은 또한 볼루스 (bolus), 연약 또는 페이스트로서 투여될 수 있다.
정제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부속 성분과 함께 압축 또는 몰딩에 의해 제조된다. 압축된 정제는 상기 활성 성분을 자유 유동성 형태, 예컨대 분말 또는 과립을 임의로 결합제, 윤활제, 불활성 희석제, 보존제, 표면 활성제 또는 분산제와 혼합된 형태로 적합한 기계 내에서 압축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몰딩된 정제는 불활성 액체 희석제로 습윤화된 분말화된 활성 성분의 혼합물을 적합한 기계 내에서 몰딩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임의로 코팅되거나 스코어링 (scored) 될 수 있고, 임의로 상기 활성 성분의 서방출 (slow release) 또는 조절 방출을 제공하기 위해 제형화된다.
눈 또는 기타 외부 조직, 예컨대 구강 및 피부에의 투여를 위하여, 상기 제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성 성분(들)을, 예를 들어, 0.075 내지 20% w/w (0.1% w/w 의 증분으로 0.1% 내지 20% 범위로, 예컨대 0.6% w/w, 0.7% w/w 등으로 활성 성분(들)을 포함함),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 w/w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w/w 의 양으로 함유하는 국소 연고 또는 크림으로서 적용된다. 연고로 제형화되는 경우, 상기 활성 성분은 파라핀성 또는 수혼화성 연고 기재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활성 성분은 수중유 크림 기재와 함께 크림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요구되는 경우, 상기 크림 기재의 수성상에는, 예를 들어, 30% w/w 이상의 다가 알코올, 즉 둘 이상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알코올,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 1,3-디올, 만니톨, 소르비톨, 글리세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400 포함)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국소 제형에는 바람직하게는 피부 또는 기타 영향을 받은 영역을 통해 상기 활성 성분의 흡수 또는 투과를 증진시키는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피부 투과 증진제의 예로는 디메틸 술폭시드 및 관련 유사체가 포함된다.
본 개시물의 에멀젼의 오일상은 공지된 방식으로, 공지된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이 단지 유화제 (또는 에멀젼트 (emulgent) 로서 공지됨) 만을 포함하는 경우, 이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와 지방 또는 오일, 또는 지방 및 오일 둘 모두와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유화제에는 안정화제로서 작용하는 친유성 유화제가 함께 포함된다. 이는 또한 오일 및 지방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화제(들)을 포함 또는 포함하지 않는 유화제(들)은 함께 소위 에멀젼화 왁스를 구성하고, 상기 왁스는 오일 및 지방과 함께 소위 에멀젼화 연고 기재를 구성하고, 이는 크림 제형의 오일성 분산 상을 형성한다.
본 개시물의 제형에 사용하기 적합한 에멀젼트 및 에멀젼 안정화제에는 Tween®60, Span®80,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벤질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가 포함된다.
상기 제형을 위한 적합한 오일 또는 지방의 선택은 목적하는 화장용 특성을 달성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상기 크림은 바람직하게는 튜브 또는 기타 용기로부터의 누출을 피하기 위해 적합한 점조도를 갖는, 기름지지 않고, 착색되지 않고, 세정가능한 제품이어야 한다. 직쇄 또는 분지쇄, 1- 또는 2염기성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디-이소아디페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코코넛 지방산의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스테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또는 Crodamol CAP 로서 공지된 분지쇄 에스테르의 블렌드가 사용될 수 있고, 마지막 3 개가 바람직한 에스테르이다. 이들은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 용융점 지질, 예컨대 백색 연질 파라핀 및/또는 액체 파라핀 또는 기타 미네랄 오일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개시에 따른 약학 제형은 하나 이상의 본 개시물의 화합물을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 및 임의로 기타 치료제와 함께 포함한다. 상기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약학 제형은 의도된 투여 방법에 적합한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경구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정제, 트로키, 로렌지, 수성 또는 오일 현탁액, 분산성 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경질 또는 연질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로 제조될 수 있다. 경구용으로 의도된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위하여 당업계의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조성물은 맛좋은 제제를 제공하기 위하여, 감미제, 향미제, 착색제 및 방부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성분을 정제의 제조에 적합한 비독성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혼합된 형태로 함유하는 정제가 허용가능하다. 이러한 부형제는, 예를 들어, 불활성 희석제, 예컨대 칼슘 또는 탄산나트륨, 락토오스, 락토오스 1수화물, 크로스카르멜로오스 나트륨, 포비돈, 칼슘 또는 나트륨 포스페이트; 과립화제 및 붕해제, 예컨대 옥수수 전분 또는 알긴산; 결합제, 예컨대 셀룰로오스,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전분, 젤라틴 또는 아카시아; 및 윤활제, 예컨대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또는 탈크일 수 있다. 정제는 코팅되지 않거나, 위장관에서 붕해 및 흡착을 지연시켜, 보다 장기간에 걸쳐 지속된 작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캡슐화를 비롯한 공지된 기술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지연물질, 예컨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가 단독으로 또는 왁스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경구용 제형은 또한 상기 활성 성분이 불활성 고체 희석제, 예를 들어 칼슘 포스페이트 또는 카올린과 혼합된 경질 젤라틴 캡슐로서, 또는 상기 활성 성분이 물 또는 오일 매질, 예컨대 땅콩 오일, 액체 파라핀 또는 올리브 오일과 혼합된 연질 젤라틴 캡슐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수성 현탁액은 상기 활성 물질을 수성 현탁액의 제조에 적합한 부형제와 혼합된 형태로 함유한다. 상기와 같은 부형제에는 현탁제, 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알기네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트라가칸트 검 및 아카시아 검 및 분산제 또는 습윤제, 예컨대 천연 발생 포스파티드 (예컨대, 레시틴), 알킬렌 옥시드와 지방산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에틸렌 옥시드와 장쇄 지방족 알코올과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헵타데카에틸렌옥시세탄올), 에틸렌 옥시드와 지방산 및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와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이 포함된다. 상기 수성 현탁액은 또한 하나 이상의 보존제, 예컨대 에틸 또는 n-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하나 이상의 착색제, 하나 이상의 향미제 및 하나 이상의 감미제, 예컨대 수크로오스 또는 사카린을 함유할 수 있다.
오일 현탁액은 상기 활성 성분을 식물성 오일, 예컨대 아라키스 오일 (arachis oil), 올리브 오일, 참깨 오일 또는 코코넛 오일, 또는 미네랄 오일, 예컨대 액체 파라핀 중에 현탁시킴으로써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현탁액은 증점제, 예컨대 비즈왁스, 경질 파라핀 또는 세틸 알코올을 함유할 수 있다. 감미제, 예컨대 상기 제시된 것들 및 향미제가 맛좋은 경구 제제를 제공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의 첨가에 의해 보존될 수 있다.
물의 첨가에 의한 수성 현탁액의 제조에 적합한 본 개시물의 분산성 분말 및 과립은, 상기 활성 성분을 분산제 또는 습윤제, 현탁제 및 하나 이상의 보존제와 혼합된 형태로 제공한다.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는 상기 개시된 것들로 예시된다. 부가적인 부형제, 예를 들어 감미제, 향미제 및 착색제가 또한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약학 조성물은 수중유 에멀젼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오일상은 식물성 오일, 예컨대 올리브 오일 또는 아라키스 오일, 미네랄 오일, 예컨대 액체 파라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적합한 유화제에는 천연 발생적 검, 예컨대 아카시아 검 및 트라가칸트 검, 천연 발생 포스파티드, 예컨대 대두 레시틴, 지방산 및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도된 에스테르 또는 부분 에스테르, 예컨대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및 상기 부분 에스테르와 에틸렌 옥시드와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가 포함된다. 상기 에멀젼은 또한 감미제 및 향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시럽 및 엘릭시르는 감미제, 예컨대 글리세롤, 소르비톨 또는 수크로오스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형은 또한 완화제, 보존제, 향미제 또는 착색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약학 조성물은 무균 주사가능 제제, 예컨대 무균 주사가능 수성 또는 유지성 (oleaginous)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현탁액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를 사용하여 업계의 공지된 방식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무균 주사가능 제제는 또한 비독성의 비경구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무균 주사가능 용액 또는 현탁액, 예컨대 1,3-부탄디올 중의 용액일 수 있거나, 또는 동결건조된 분말로서 제조될 수 있다. 이용될 수 있는 허용가능한 비히클 및 용매 중에는 물, 링거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또한, 무균 불휘발성 오일 (fixed oil) 이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무자극 (bland) 불휘발성 오일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지방산, 예컨대 올레산이 마찬가지로 주사가능한 제제에 사용될 수 있다.
단일 투여량 형태를 제조하기 위하여 담체 물질과 조합될 수 있는 활성 성분의 양은, 치료되는 호스트 (host) 및 특정한 투여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에의 경구 투여용으로 의도되는 지속 방출형 제형은 적당한 및 편리한 양의 담체 물질 (총 조성물 중 약 5 내지 약 95% 로 달라질 수 있음 (중량:중량)) 과 혼합된 활성 물질을 대략 1 내지 1000 mg 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한 용이하게 측정가능한 양을 제공하기 위해 제조될 있다. 예를 들어, 정맥내 주입을 위해 의도된 수용액은 약 30 mL/hr 의 속도로 적합한 부피의 투입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용액의 mL 당 상기 활성 성분 약 3 내지 500 μg 을 함유할 수 있다.
눈에의 투여에 적합한 제형에는 상기 활성 성분이 적합한 담체, 특히 상기 활성 성분을 위한 수성 용매 중에 용해된 또는 현탁된 점안액이 포함된다. 상기 활성 성분은 상기와 같은 제형 중에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유리하게는 0.5 내지 10%, 특히 약 1.5% w/w 의 농도로 존재한다.
구강에의 국소 투여에 적합한 제형에는 향미 기재, 통상적으로 수크로오스 및 아카시아 또는 트라가칸트 중에 상기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로렌지; 불활성 기재, 예컨대 젤라틴 및 글리세린 또는 수크로오스 및 아카시아 중에 상기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향정 (pastille); 및 적합한 액체 담체 중에 상기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세정제가 포함된다.
직장 투여용 제형은, 예를 들어 코코아 버터 또는 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적합한 기재와 함게 좌제로서 존재할 수 있다.
폐내 및 비강 투여에 적합한 제형은, 예를 들어 0.1 내지 500 마이크론 범위의 입자 크기 (예컨대 0.5, 1, 30 마이크론, 35 마이크론 등의 증분으로 0.1 내지 500 마이크론의 범위의 입자 크기를 포함함) 를 갖고, 이는 비강을 통한 신속한 흡입 또는 폐포에 도달하기 위해 입을 통한 흡입에 의해 투여된다. 적합한 제형에는 상기 활성 성분의 수성 또는 오일성 용액이 포함된다. 에어로졸 또는 건조 분말 투여에 적합한 제형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기타 치료제, 예컨대 HCV 활성 관련 증상 활성의 치료 또는 예방에서 지금까지 사용된 화합물과 함께 전달될 수 있다.
질내 투여에 적합한 제형은 상기 활성 성분에 더하여 적당한 당업계에 공지된 상기와 같은 담체를 함유하는, 페서리, 탐폰, 크림, 겔, 페이스트, 발포체 또는 분무 제형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비경구적 투여에 적합한 제형에는 항산화제, 완충액, 세균 발육 억제제 (bacteriostat) 및 상기 제형을 의도된 수용자의 혈액과 등장성이 되도록 하는 용질을 함유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무균 주사 용액; 및 현탁제 및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무균 현탁액이 포함된다.
상기 제형은 단일-용량 또는 다중-용량 용기, 예를 들어 밀봉된 앰플 및 바이알 내에 존재하고, 사용하기 바로 직전에 무균 액체 담체, 예를 들어 주사용 물의 첨가만이 요구되는 동결건조된 (lyophilized)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즉석 주사 용액 및 현탁액은 상기 기재된 종류의 무균 분말, 과립 및 정제로부터 제조된다. 바람직한 단위 투여량 제형은 본원에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활성 성분의 1 일 용량 또는 단위 1 일 서브-용량, 또는 이의 적당한 분획을 함유하는 것이다.
또한, 특히 상기 언급한 성분에 더하여, 본 개시물의 제형에는 논의되는 제형의 유형에 따라 당업계에 통상적인 기타 제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구 투여에 적합한 것에는 향미제가 포함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물은 추가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을 동물용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동물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동물용 담체는 상기 조성물의 투여 목적을 위해 유용한 물질이고, 동물용 업계에서 불활성 또는 허용가능하고, 상기 활성 성분과 상용가능한, 고체, 액체 또는 기체 물질일 수 있다. 이러한 동물용 조성물은 경구적으로, 비경구적으로 또는 임의의 기타 목적하는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화합물은 또한 덜 빈번한 투여를 가능하게 하는 상기 활성 성분의 조절 방출을 제공하기 위하여, 또는 상기 활성 성분의 약동학적 또는 독성 프로파일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물은 또한 지속된 또는 조절된 방출을 위해 제형화된 하나 이상의 본 개시물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활성 성분의 유효 용량은 적어도 치료될 증상의 특성, 독성, 상기 화합물이 예방을 위하여 (낮은 용량) 사용되는지 여부, 전달 방법 및 약학 제형에 따라 좌우되고, 이는 통상적인 용량 증가 연구 (dose escalation study) 를 사용하여 임상의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한 구현예에서, 활성 성분 (즉, 본원에 기재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화합물) 또는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유전자형 1 HCV 감염 대상, 유전자형 2 HCV 감염 대상, 유전자형 3 HCV 감염 대상, 유전자형 4 HCV 감염 대상, 유전자형 5 HCV 감염 대상 및/또는 유전자형 6 HCV 감염 대상 중 하나 이상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한 구현예에서,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유전자형 1 HCV 감염 대상 (유전자형 1a 및/또는 유전자형 1b 포함) 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유전자형 2 HCV 감염 대상 (유전자형 2a, 유전자형 2b, 유전자형 2c 및/또는 유전자형 2d 포함) 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유전자형 3 HCV 감염 대상 (유전자형 3a, 유전자형 3b, 유전자형 3c, 유전자형 3d, 유전자형 3e 및/또는 유전자형 3f 포함) 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유전자형 4 HCV 감염 대상 (유전자형 4a, 유전자형 4b, 유전자형 4c, 유전자형 4d, 유전자형 4e, 유전자형 4f, 유전자형 4g, 유전자형 4h, 유전자형 4i 및/또는 유전자형 4j 포함) 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유전자형 5 HCV 감염 대상 (유전자형 5a 포함) 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유전자형 6 HCV 감염 대상 (유전자형 6a 포함) 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HCV 치료를 위한 하나 이상의 치료제(들) (예컨대 HCV NS3 프로테아제 억제제 또는 HCV NS5B 폴리머라아제 억제제) 와 조합으로, 약 24 주 동안, 약 16 주 동안, 또는 약 12 주 동안 (또는 그 이하) 투여된다. 추가 구현예에서,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HCV 치료를 위한 하나 이상의 치료제(들) (예컨대 HCV NS3 프로테아제 억제제 또는 HCV NS5B 폴리머라아제 억제제) 와 조합으로, 약 24 주 이하, 약 22 주 이하, 약 20 주 이하, 약 18 주 이하, 약 16 주 이하, 약 12 주 이하, 약 10 주 이하, 약 8 주 이하, 또는 약 6 주 이하 또는 약 4 주 이하 동안 투여된다.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1 일 1 회, 1 일 2 회, 2 일 1 회, 주 2 회, 주 3 회, 주 4 회 또는 주 5 회 투여될 수 있다.
추가 구현예에서, 지속적 바이러스 반응 (sustained virologic response) 은 약 4 주, 6 주, 8 주, 12 주, 또는 16 주, 또는 약 20 주, 또는 약 24 주, 또는 약 4 개월, 또는 약 5 개월, 또는 약 6 개월, 또는 약 1 년, 또는 약 2 년에서 달성된다.
투여 경로
하나 이상의 본 개시물의 화합물 (본원에서 활성 성분으로서 언급됨) 은 치료될 증상에 대하여 적당한 임의의 경로로 투여된다. 적합한 경로에는 경구, 직장, 비강, 국소 (구강 및 설하 포함), 질 및 비경구 (피하, 근육내, 정맥내, 피내, 척추강내 및 경막외 포함) 등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경로는, 예를 들어 수용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물의 화합물의 이점은 경구적으로 생물학적으로 이용가능하고, 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는 것이다.
HCV 조합 치료법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적합한 조합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 (I) 및 (A1-A4) 중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인터페론, 리바비린 또는 이의 유사체, HCV NS3 프로테아제 억제제, 알파-글루코시다아제 1 억제제, 간장보호제, HCV NS5B 폴리머라아제의 뉴클레오시드 또는 뉴클레오티드 억제제, HCV NS5B 폴리머라아제의 비뉴클레오시드 억제제, HCV NS5A 억제제, TLR-7 작용제, 시클로필린 억제제, HCV IRES 억제제, 약동학적 증진제 및 HCV 치료를 위한 기타 약물 또는 치료제와의 조합이 포함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하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조합될 수 있다:
1) 인터페론, 예컨대 PEG화 rIFN-알파 2b (PEG-Intron®), PEG화 rIFN-알파 2a (Pegasys®), rIFN-알파 2b (Intron® A), rIFN-알파 2a (Roferon®-A), 인터페론 알파 (MOR-22, OPC-18, Alfaferone®, Alfanative®, Multiferon®, subalin), 인터페론 알파콘-1 (Infergen®), 인터페론 알파-n1 (Wellferon), 인터페론 알파-n3 (Alferon®), 인터페론-베타 (Avonex®, DL-8234), 인터페론-오메가 (omega DUROS®, Biomed® 510), 알브인터페론 (albinterferon) 알파-2b (Albuferon®), IFN 알파-2b XL, BLX-883 (Locteron®), DA-3021, 글리코실화된 인터페론 알파-2b (AVI-005), PEG-Infergen (인퍼겐), PEG화 인터페론 람다-1 (PEGylated IL-29) 및 벨레로폰 (belerofon®);
2) 리바비린 및 이의 유사체, 예컨대 리바비린 (Rebetol®, Copegus®) 및 타리바비린 (taribavirin) (Viramidine®);
3) HCV NS3 프로테아제 억제제, 예컨대 보세프레비르 (boceprevir) (SCH-503034, SCH-7), 텔라프레비르 (telaprevir) (VX-950), TMC435350, BI-1335, BI-1230, MK-7009, VBY-376, VX-500, GS-9256, GS-9451, BMS-605339, PHX-1766, AS-101, YH-5258, YH5530, YH5531, ABT-450, ACH-1625, ITMN-191, AT26893, MK5172, MK6325 및 MK2748;
4) 알파-글루코시다아제 1 억제제, 예컨대 셀고시비르 (celgosivir) (MX-3253), 미글리톨 (Miglitol) 및 UT-231B;
5) 간장보호제, 예컨대 에머리카산 (emericasan) (IDN-6556), ME-3738, GS-9450 (LB-84451), 실리빌린 (silibilin) 및 MitoQ;
6) HCV NS5B 폴리머라아제의 뉴클레오시드 또는 뉴클레오티드 억제제, 예컨대 R1626, R7128 (R4048), IDX184, IDX-102, BCX-4678, 발로피시타빈 (valopicitabine) (NM-283), MK-0608, 소포스부비르 (GS-7977 (이전에 PSI-7977)), VLX 135 (이전에 ALS 2200) 및 INX-189 (현재 BMS986094);
7) HCV NS5B 폴리머라아제의 비뉴클레오시드 억제제, 예컨대 PF-868554, VCH-759, VCH-916, JTK-652, MK-3281, GS-9190, VBY-708, VCH-222, A848837, ANA-598, GL60667, GL59728, A-63890, A-48773, A-48547, BC-2329, VCH-796 (네스부비르 (nesbuvir)), GSK625433, BILN-1941, XTL-2125, ABT-072, ABT-333, GS-9669, PSI-7792 및 GS-9190;
8) HCV NS5A 억제제, 예컨대 AZD-2836 (A-831), BMS-790052, ACH-3102, ACH-2928, MK8325, MK4882, MK8742, PSI-461, IDX719, GS-5885 및 A-689;
9) TLR-7 작용제, 예컨대 이미퀴모드 (imiquimod), 852A, GS-9524, ANA-773, ANA-975 (이사토리빈), AZD-8848 (DSP-3025) 및 SM-360320;
10) 시클로필린 억제제, 예컨대 DEBIO-025, SCY-635 및 NIM811;
11) HCV IRES 억제제, 예컨대 MCI-067;
12) 약동학적 증진제, 예컨대 BAS-100, SPI-452, PF-4194477, TMC-41629, GS-9350 (코비시스타트 (cobicistat), GS-9585 및 록시트로마이신 (roxythromycin); 및
13) HCV 치료용 기타 약물, 예컨대 티모신 알파 1 (Zadaxin), 니타족사니드 (nitazoxanide) (Alinea, NTZ), BIVN-401 (비로스타트 (virostat)), PYN-17 (알티렉스 (altirex)), KPE02003002, 액틸론 (actilon) (CPG-10101), GS-9525, KRN-7000, 시바시르 (civacir), GI-5005, XTL-6865, BIT225, PTX-111, ITX2865, TT-033i, ANA 971, NOV-205, 타르바신 (tarvacin), EHC-18, VGX-410C, EMZ-702, AVI 4065, BMS-650032, BMS-791325, 바비툭시마브 (Bavituximab), MDX-1106 (ONO-4538), 오글루파니드 (Oglufanide) 및 VX-497 (메리메포디브 (merimepodib)).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출원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를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치료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와의 조합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가적인 치료제는 HCV NS5B 폴리머라아제의 비-뉴클레오시드 억제제 (ABT-072 및 ABT-333), HCV NS5A 억제제 (ACH-3102 및 ACH-2928) 및 HCV NS3 프로테아제 억제제 (ABT-450 및 ACH-125)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약학 조성물과 조합으로 사용한 치료제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약학 조성물과 조합으로 사용시 치료 효과를 갖는 임의의 작용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약학 조성물과 조합으로 사용한 치료제는 인터페론, 리바비린 유사체, NS3 프로테아제 억제제, NS5B 폴리머라아제 억제제, 알파-글루코시다아제 1 억제제, 간장보호제, HCV 의 비-뉴클레오시드 억제제, 및 HCV 치료를 위한 기타 약물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원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약학 조성물과 조합으로 사용한 부가적인 치료제는 시클로필린 억제제, 예를 들어 WO/2013/185093 에 개시된 시클로필린 억제제이다. 비제한적 예에는 하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 및 이의 입체이성질체 및 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이 포함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약학 조성물과 조합으로 사용한 부가적인 치료제는 HCV NS5B 폴리머라아제의 비-뉴클레오시드 억제제이다. 비제한적 예는 GS-9669 를 포함한다.
본원에 제공된 조성물과 조합될 수 있는 부가적인 항-HCV 작용제의 예는 제한없이, 하기를 포함한다:
A. 인터페론, 예를 들어, PEG화 rIFN-알파 2b (PEG-인트론), PEG화 rIFN-알파 2a (페가시스 (Pegasys)), rIFN-알파 2b (인트론 A), rIFN-알파 2a (로페론 (Roferon)-A), 인터페론 알파 (MOR-22, OPC-18, 알파페론 (Alfaferone), 알파나티브 (Alfanative), 멀티페론 (Multiferon), 수발린 (subalin)), 인터페론 알파콘 (alfacon)-1 (인페르겐 (Infergen)), 인터페론 알파-n1 (웰페론 (Wellferon)), 인터페론 알파-n3 (알페론 (Alferon)), 인터페론-베타 (아보넥스 (Avonex), DL-8234), 인터페론-오메가 (오메가 DUROS, 바이오메드 (Biomed) 510), 알빈터페론 알파-2b (알부페론 (Albuferon)), IFN 알파 XL, BLX-883 (록테론 (Locteron)), DA-3021, 글리코실화 인터페론 알파-2b (AVI-005), PEG-인페르겐 (Infergen), PEG화 인터페론 람다 (PEG화 IL-29), 또는 벨레로폰 (belerofon), IFN 알파-2b XL, rIFN-알파 2a, 컨센서스 IFN 알파, 인페르겐, 레비프 (rebif), PEG화 IFN-베타, 경구 인터페론 알파, 페론 (feron), 레아페론 (reaferon), 인터막스 (intermax) 알파, r-IFN-베타, 및 인페르겐 + 악티뮨리바비린 (actimmuneribavirin) 및 리바비린 유사체, 예를 들어 레베톨 (rebetol), 코페구스 (copegus), VX-497 및 비라미딘 (타리바비린 (taribavirin));
B. NS5A 억제제, 예를 들어, 화합물 B (하기 기재), 화합물 C (하기 기재), ABT-267, 화합물 D (하기 기재), JNJ-47910382, 다클라타스비르 (daclatasvir) (BMS-790052), ABT-267, MK-8742, EDP-239, IDX-719, PPI-668, GSK-2336805, ACH-3102, A-831, A-689, AZD-2836 (A-831), AZD-7295 (A-689), 및 BMS-790052;
C. NS5B 폴리머라아제 억제제, 예를 들어, 화합물 E (하기 기재), 화합물 F (하기 기재), ABT-333, 화합물 G (하기 기재), ABT-072, 화합물 H (하기 기재), 테고부비르 (tegobuvir) (GS-9190), GS-9669, TMC647055, 세트로부비르 (setrobuvir) (ANA-598), 필리부비르 (filibuvir) (PF-868554), VX-222, IDX-375, IDX-184, IDX-102, BI-207127, 발로피시타빈 (valopicitabine) (NM-283), PSI-6130 (R1656), PSI-7851, BCX-4678, 네스부비르 (nesbuvir) (HCV-796), BILB 1941, MK-0608, NM-107, R7128, VCH-759, GSK625433, XTL-2125, VCH-916, JTK-652, MK-3281, VBY-708, A848837, GL59728, A-63890, A-48773, A-48547, BC-2329, BMS-791325, 및 BILB-1941;
D. NS3 프로테아제 억제제, 예를 들어, 화합물 I, 화합물 J, 화합물 K, ABT-450, 화합물 L (하기 기재), 시메프레비르 (simeprevir) (TMC-435), 보세프레비르 (boceprevir) (SCH-503034), 날라프레비르 (narlaprevir) (SCH-900518), 바니프레비르 (vaniprevir) (MK-7009), MK-5172, 다노프레비르 (danoprevir) (ITMN-191), 소바프레비르 (sovaprevir) (ACH-1625), 네세프레비르 (neceprevir) (ACH-2684), 텔라프레비르 (Telaprevir) (VX-950), VX-813, VX-500, 팔다프레비르 (faldaprevir) (BI-201335), 아수나프레비르 (asunaprevir) (BMS-650032), BMS-605339, VBY-376, PHX-1766, YH5531, BILN-2065, 및 BILN-2061;
E. 알파-글루코시다아제 1 억제제, 예를 들어, 셀고시비르 (celgosivir) (MX-3253), 미글리톨 (Miglitol), 및 UT-231B;
F. 간장보호제, 예를 들어, IDN-6556, ME 3738, MitoQ, 및 LB-84451;
G. HCV 의 비-뉴클레오시드 억제제, 예를 들어,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벤조-1,2,4-티아디아진 유도체, 및 페닐알라닌 유도체; 및
H. 기타 항-HCV 작용제, 예를 들어, 자닥신 (zadaxin), 니타족사니드 (nitazoxanide) (앨리니아 (alinia)), BIVN-401 (비로스타트 (virostat)), DEBIO-025, VGX-410C, EMZ-702, AVI 4065, 바비툭시마브 (bavituximab), 오글루파니드 (oglufanide), PYN-17, KPE02003002, 액틸론 (actilon) (CPG-10101), KRN-7000, 시바시르 (civacir), GI-5005, ANA-975, XTL-6865, ANA 971, NOV-205, 타르바신 (tarvacin), EHC-18, 및 NIM811.
화합물 B 는 NS5A 억제제이며 하기 화학 구조에 의해 나타낸다:
Figure pat00016
.
화합물 C 는 NS5A 억제제이며 하기 화학 구조에 의해 나타낸다:
Figure pat00017
.
화합물 D 는 NS5A 억제제이며 하기 화학 구조에 의해 나타낸다:
Figure pat00018
.
미국 공개 번호 2013/0102525 및 그의 참고문헌을 참조한다.
화합물 E 는 NS5B Thumb II 폴리머라아제 억제제이며 하기 화학 구조에 의해 나타낸다:
Figure pat00019
.
화합물 F 는 HCV NS5B 폴리머라아제에 의한 바이러스 RNA 의 복제를 억제하도록 설계된 뉴클레오티드 억제제 전구약물이며, 하기 화학 구조에 의해 나타낸다:
Figure pat00020
.
화합물 G 는 HCV 폴리머라아제 억제제이며 하기 화학 구조에 의해 나타낸다:
Figure pat00021
.
미국 공개 번호 2013/0102525 및 그의 참고문헌을 참조한다.
화합물 H 는 HCV 폴리머라아제 억제제이며 하기 화학 구조에 의해 나타낸다:
Figure pat00022
.
미국 공개 번호 2013/0102525 및 그의 참고문헌을 참조한다.
화합물 I 는 HCV 프로테아제 억제제이며 하기 화학 구조에 의해 나타낸다:
Figure pat00023
.
2013 년 7 월 2 일에 출원한 PCT/US2013/049119 및 그의 참고문헌을 참조한다.
화합물 J 는 HCV 프로테아제 억제제이며 하기 화학 구조에 의해 나타낸다:
Figure pat00024
.
화합물 K 는 HCV 프로테아제 억제제이며 하기 화학 구조에 의해 나타낸다:
Figure pat00025
.
화합물 L 은 HCV 프로테아제 억제제이며 하기 화학 구조에 의해 나타낸다:
Figure pat00026
.
미국 공개 번호 2013/0102525 및 그의 참고문헌을 참조한다.
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약학 조성물과 조합으로 사용한 부가적인 치료제는 HCV NS3 프로테아제 억제제이다. 비제한적 예는 하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출원은 치료적 유효량의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약학 조성물 및 PEG화 rIFN-알파 2b, PEG화 rIFN-알파 2a, rIFN-알파 2b, IFN 알파-2b XL, rIFN-알파 2a, 컨센서스 IFN 알파, 인페르겐, 레비프, 록테론, AVI-005, PEG-인페르겐, PEG화 IFN-베타, 경구 인터페론 알파, 페론, 레아페론, 인터막스 알파, r-IFN-베타, 인페르겐 + 악티뮨, IFN-메가와 DUROS, 알부페론, 레베톨, 코페구스, 레보비린, VX-497, 비라미딘 (타리바비린), A-831, A-689, NM-283, 발로피시타빈, R1626, PSI-6130 (R1656), HCV-796, BILB 1941, MK-0608, NM-107, R7128, VCH-759, PF-868554, GSK625433, XTL-2125, SCH-503034 (SCH-7), VX-950 (텔라프레비르), ITMN-191, 및 BILN-2065, MX-3253 (셀고스비르), UT-231B, IDN-6556, ME 3738, MitoQ, 및 LB-84451,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벤조-1,2,4-티아디아진 유도체, 및 페닐알라닌 유도체, 자닥신, 니타족사니드 (알리니아), BIVN-401 (비로스타트), DEBIO-025, VGX-410C, EMZ-702, AVI 4065, 바비툭시마브, 오글루파니드, PYN-17, KPE02003002, 액틸론 (actilon) (CPG-10101), KRN-7000, 시바시르, GI-5005, ANA-975 (이사토리빈), XTL-6865, ANA 971, NOV-205, 타르바신, EHC-18, 및 NIM811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치료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를 필요로 하는 인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인간 환자에서 C 형 간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식 (I) 의 화합물 및 소포스부비르 및/또는 GS-5885 및 임의로 인터페론 또는 리바비린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부가적인 치료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고, 상기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고 고려된다. 예를 들어, 부가적인 치료제는 1 일 약 0.01 mg 내지 약 2 g 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화합물의 대사산물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생체내 대사 생성물 또한 본 개시물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은 생성물은, 예를 들어 투여되는 화합물의 산화, 환원, 가수분해, 아미드화, 에스테르화 등으로부터, 주로 효소 공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는 본 개시물의 화합물을 이의 대사 생성물을 수득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포유동물에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생성물은 통상적으로 방사성라벨된 (예컨대, C14 또는 H3) 본 개시물의 화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비경구적으로, 검출가능한 용량으로 (예컨대, 약 0.5 mg/kg 초과), 동물, 예컨대 랫트, 마우스, 기니어 피그, 원숭이에게 또는 인간에게 투여하고, 대사가 일어나기에 충분한 시간 (통상적으로 약 30 초 내지 30 시간) 을 제공하고, 소변, 혈액 또는 기타 생물학적 샘플로부터 이의 전환 생성물을 단리함으로써 규명된다. 이러한 생성물은 이들이 라벨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단리된다 (다른 것들은 대사산물 중에 잔존한 항원결정부위와의 결합이 가능한 항체의 사용에 의해 단리된다). 상기 대사산물 구조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예컨대 MS 또는 NMR 분석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대사산물의 분석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통상적인 약물 대사 연구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상기 전환 화합물은, 이들이 생체내에서 발견되지 않는 한, 이들 자체가 HCV 억제 활성을 갖지 않을지라도, 본 개시물의 화합물의 치료적 투여를 위한 진단 검정에서 유용하다.
위장 분비물 대용품에서의 화합물의 안정성 측정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화합물의 전형적인 제조 방법
본 개시물은 또한 본 개시물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임의의 적용가능한 유기 합성의 기술에 의해 제조된다. 다수의 상기와 같은 기술이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공지된 기술 중 다수는 하기 문헌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Compendium of Organic Synthetic Methods (John Wiley & Sons, New York), Vol. 1, Ian T. Harrison and Shuyen Harrison, 1971; Vol. 2, Ian T. Harrison and Shuyen Harrison, 1974; Vol. 3, Louis S. Hegedus and Leroy Wade, 1977; Vol. 4, Leroy G. Wade, Jr., 1980; Vol. 5, Leroy G. Wade, Jr., 1984; 및 Vol. 6, Michael B. Smith; 뿐 아니라, March, J., Advanced Organic Chemistry, Third Edition, (John Wiley & Sons, New York, 1985), Comprehensive Organic Synthesis. Selectivity, Strategy & Efficiency in Modern Organic Chemistry. In 9 Volumes, Barry M. Trost, Editor-in-Chief (Pergamon Press, New York, 1993 출판). 본 개시물의 화합물의 제조에 적합한 기타 방법은 국제 특허출원 제 WO 2006/020276 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개시물의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다수의 전형적인 방법은 하기 반응식 및 실시예에서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와 같은 제조의 특성을 예시하기 위해 의도된 것으로, 적용가능한 방법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반응 조건, 예컨대 온도, 반응 시간, 용매, 후처리 절차 등은 수행될 특정한 반응에 대하여 당업계에서 일반적인 것들일 것이다. 본원에 인용된 물질과 함께, 인용된 참고 물질은 상기와 같은 조건의 상세한 설명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온도는 -100℃ 내지 200℃ 일 것이고, 용매는 비양성자성 또는 양성자성일 것이고, 반응 시간은 10 초 내지 10 일일 것이다. 후처리에는, 통상적으로 임의의 비(非)반응된 시약을 켄칭하고, 이어서 물/유기 층 시스템 사이에 분배 (추출) 하고, 생성물을 함유하는 층을 분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산화 및 환원 반응은 통상적으로 실온 근처의 온도 (약 20℃) 에서 수행되지만, 금속 수소화물 환원을 위해서는 빈번하게, 온도가 0℃ 내지 -100℃ 로 저하되고, 용매는 통상적으로 환원의 경우에는 비양성자성이고, 산화의 경우에는 양성자성 또는 비양성자성일 수 있다. 반응 시간은 목적하는 전환을 달성하기 위해 조정된다.
축합 반응은 통상적으로 실온 근처의 온도에서 수행되지만, 비-평형, 동력학적으로 조절된 축합인 경우에는, 저하된 온도 (0℃ 내지 -100℃) 가 또한 일반적이다. 용매는 양성자성 (평형 반응에서 일반적임) 또는 비양성자성 (동력학적으로 조절된 반응에서 일반적임) 일 수 있다.
표준 합성 기술, 예컨대 반응 부산물의 공비 제거 및 무수 반응 조건 (예컨대, 불활성 기체 환경) 의 사용이 당업계에서 일반적이고, 해당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용어 "처리된", "처리하기", "처리" 등은 화학적 합성 작업과 연관되어 사용되는 경우, 접촉시키기, 혼합하기, 반응시키기,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기, 접촉되도록 하기 및 하나 이상의 화학적 개체를 하나 이상의 다른 화학적 개체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을 나타내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인 기타 용어를 의미한다. 이는 "화합물 1 을 화합물 2 로 처리하기" 가 "화합물 1 과 화합물 2 가 반응하도록 하기", "화합물 1 과 화합물 2 를 접촉시키기", " 화합물 1 과 화합물 2 를 반응시키기" 및 화합물 1 을 화합물 2 로(와) "처리하기" "반응시키기",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기" 등을 합리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유기 합성 업계에서 일반적인 기타 표현과 동의어라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처리하기는 유기 화학물질을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합리적이고 통상적인 방식을 나타낸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통상의 농도 (0.01M 내지 10M, 통상적으로 0.1M 내지 1M), 온도 (-100℃ 내지 250℃, 통상적으로 -78℃ 내지 150℃, 더욱 통상적으로 -78℃ 내지 100℃, 보다 더욱 통상적으로 0℃ 내지 100℃), 반응 용기 (통상적으로 유리, 플라스틱, 금속), 용매, 압력, 대기 (분위기) (통상적으로 산소 및 물 비(非)민감성 반응의 경우에는 공기, 또는 산소 또는 물 민감성의 경우에는 질소 또는 아르곤) 등이 의도된다. 유기 합성의 업계에 공지된 유사한 반응의 지식이 제시된 방법에서 "처리하기" 를 위한 조건 및 장치의 선택에 사용된다. 특히, 유기 합성의 업계에 통상의 기술자는 당업계의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기재된 방법의 화학적 반응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합리적으로 예상되는 조건 및 장치를 선택한다.
전형적인 반응식 및 실시예 (이하 "전형적인 반응식") 의 각각의 변형은 특정한 전형적인 물질의 각종 유사체 생성을 유도한다. 유기 합성의 적합한 방법을 기재한 상기 인용된 인용문헌이 상기와 같은 변형에 적용가능하다.
각각의 전형적인 반응식에서, 반응 생성물을 서로 및/또는 출발 물질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각각의 단계 또는 일련의 단계의 목적하는 생성물은 당업계의 일반적인 기술에 의해, 목적하는 균질성의 정도로 분리 및/또는 정제된다 (이하 분리된다).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은 분리에는 다중상 추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로부터의 결정화, 증류, 승화 또는 크로마토그래피가 포함된다. 크로마토그래피에는 하기를 포함하는 수많은 방법, 예를 들어: 역상 및 순상 (normal phase); 크기 배제; 이온 교환; 고, 중 및 저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방법 및 장치; 소규모 분석; 유사 이동층 (SMB) 및 분취용 박막 또는 후막 크로마토그래피 뿐 아니라, 소규모 박막 및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의 기술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부류의 분리 방법에는 혼합물을 목적하는 생성물, 비반응된 출발 물질, 반응 부산물 등과 결합하거나, 또는 이와 분리시키기 위해 선택된 시약으로 처리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시약에는 흡착제 또는 흡수제, 예컨대 활성탄, 분자체, 이온 교환 매질 등이 포함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시약은 염기성 물질의 경우 산, 산성 물질의 경우 염기, 결합제, 예컨대 항체, 결합 단백질, 선택적 킬레이터, 예컨대 크라운 에테르, 액체/액체 이온 추출 시약 (LIX) 등 일 수 있다.
적당한 분리 방법의 선택은 연관된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증류 및 승화에서 비등점 및 분자량, 크로마토그래피에서 극성 관능기의 존재 또는 부재, 다중상 추출에서 산성 및 염기성 매질 중 물질의 안정성 등. 당업자는 목적하는 분리를 가장 잘 달성할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할 것이다.
단일 입체이성질체, 예컨대 이의 입체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유리된 거울상이성질체는, 광학적 활성 분리제를 사용한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형성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라세미 혼합물의 분리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Stereochemistry of Carbon Compounds, (1962) by E. L. Eliel, McGraw Hill; Lochmuller, C. H., (1975) J. Chromatogr., 113, 3) 283-302). 본 개시물의 키랄 화합물의 라세미 혼합물은 하기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단리 및 분리될 수 있다: (1) 키랄 화합물과 이온성, 부분입체이성질체 염의 형성 및 분별 결정화 또는 기타 방법에 의한 분리, (2) 키랄 유도체화 시약을 이용한 부분입체이성질체 화합물의 형성, 상기 부분입체이성질체의 분리 및 순수한 입체이성질체로의 전환, 및 (3) 키랄 조건 하에서 직접적으로 실질적으로 순수한 또는 농축된 입체이성질체의 분리.
방법 (1) 하에서, 부분입체이성질체 염은 거울상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키랄 염기, 예컨대 브루신 (brucine), 퀴닌, 에페드린, 스트리키닌 (strychnine), α-메틸-β-페닐에틸아민 (암페타민) 등과 산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비대칭 화합물, 예컨대 카르복실산 및 술폰산과의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분입체이성질체 염은 분별 결정화 또는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가 유도될 수 있다. 아미노 화합물의 광학 이성질체 분리를 위하여, 키랄 카르복실산 또는 술폰산, 예컨대 캠퍼술폰산, 타르타르산, 만델산 또는 락트산의 첨가는 부분입체이성질체 염의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방법 (2) 에 의해, 분리되어야 할 기질을 키랄 화합물 중 하나의 거울상이성질체와 반응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 쌍을 형성한다 (Eliel, E. and Wilen, S. (1994) Stereochemistry of Organic Compounds, John Wiley & Sons, Inc., p. 322). 부분입체이성질체 화합물은 비대칭 화합물과 거울상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키랄 유도체화 시약, 예컨대 멘틸 유도체와의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이어서 상기 부분입체이성질체의 분리 및 가수분해에 의해 유리된, 거울상이성질체적으로 농축된 기질을 수득할 수 있다. 광학적 순도의 측정 방법에는 라세미 혼합물의 키랄 에스테르, 예를 들어 염기 존재 하의 멘틸 에스테르 (예컨대 (-) 멘틸 클로로포르메이트) 또는 모셔 (Mosher) 에스테르, α-메톡시-α-(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테이트 (Jacob III. (1982) J. Org. Chem. 47:4165) 의 제조 및 2 가지 회전장애이성질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존재에 대한 NMR 스펙트럼의 분석이 포함된다. 회전장애이성질체 화합물의 안정한 부분입체이성질체는 회전장애이성질 나프틸-이소퀴놀린의 분리를 위한 방법에 따라 (Hoye, T., WO 96/15111), 순상 및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 및 단리될 수 있다. 방법 (3) 에 의해, 2 가지 거울상이성질체의 라세미 혼합물은 키랄 정지상을 사용하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Chiral Liquid Chromatography (1989) W. J. Lough, Ed. Chapman and Hall, New York; Okamoto, (1990) J. of Chromatogr. 513:375-378). 농축된 또는 정제된 거울상이성질체는 다른 키랄 분자를 비대칭 탄소 원자와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방법, 예컨대 광회전도 및 원편광 이색성 (circular dichroism) 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반응식 및 실시예
상기 전형적인 방법의 일반적인 측면은 이하 및 실시예에 기재된다. 하기 공정의 각각의 생성물은 후속 공정에서 사용되기 전 임의로 분리, 단리 및/또는 정제된다.
본 개시물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다수의 전형적인 방법이 이하, 예를 들어, 하기 실시예에서 제공된다. 이들 방법은 상기 제조의 특징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의도되며, 적용가능한 방법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특정한 본 개시물의 화합물은 본 개시물의 기타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중간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전형적인 방법에서, 단편 E-V- 는 또한 R9- 로서 표시될 수 있다. PG 는 제시된 관능기에 부착되는 통상적인 보호기를 나타낸다. 보호기의 도입 및 제거는, 예컨대 [Wuts, P. G. M., Greene, T.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4th ed.; John Wiley & Sons, Inc.: Hoboken, New Jersey, 2007] 에 기재된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반응식 1. E-V-C(=O)-P-W-P-C(=O)-V-E 의 대표적인 합성
Figure pat00029
반응식 1 은 본 발명의 분자 E-V-C(=O)-P-W-P-C(=O)-V-E 의 일반적 합성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식 중 E 는 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이다. 1a 또는 1c 를 염기성 조건 (예컨대 수산화나트륨) 하에서, 각각 1 또는 2 당량의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로 처리하여, 분자 1b 또는 1d 가 수득된다.
반응식 2. E-V-C(=O)-P-W-P-C(=O)-V-E 의 대표적인 합성
Figure pat00030
반응식 2 는 본 발명의 분자 E-V-C(=O)-P-W-P-C(=O)-V-E 의 일반적 합성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식 중 P 는 피롤리딘이다. 아민 2a 를 펩티드 커플링제 (예컨대 HATU) 를 사용하여 산 2b 와 커플링시켜, 2c 를 수득한다. 대안적으로, 아민 2d 를 유사한 조건 하에서 2 당량의 2b 와 커플링시켜, 2e 가 수득된다. 대안적으로, 아민 2d 를 2 당량의 2b' 와 직접 반응시켜 2e 가 수득되고, 이때 E' 는 구조 2b' 를 활성화된 에스테르로 만드는 히드록시벤즈트리아졸, 파라-니트로페놀 등과 같은 이탈기이다.
반응식 3. R 1 -V-C(=O)-P-R 2 의 대표적인 합성
Figure pat00031
반응식 3 은 중간체 R1 -V-C(=O)-P-R2 의 일반적 합성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식 중 P 는 피롤리딘이고, R1-E 또는 아미노 보호기로서 도시되는 일반기이고, R2-W-P-C(=O)-V-E, -W-P-C(=O)-V-NH-PG, -W-P-NH-PG 또는 -W-NH-PG 로서 도시되는 일반기이다. 아민 3a (또는 3d, 3h, 3k) 를 펩티드 커플링제 (예컨대 HATU) 를 사용하여 산 3b 또는 3e 와 커플링시켜, 각각 3c (또는 3f, 3g, 3i, 3j, 3l, 3m) 를 수득한다.
반응식 4. E-V-C(=O)-R 1 의 대표적인 합성
Figure pat00032
반응식 4 는 중간체 E-V-C(=O)-R1 의 일반적 합성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식 중 E 는 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이고, R1-P-W-P-C(=O)-V-NH-PG, -P-W-P-PG, -P-W-PG, -P-PG 또는 -O-PG 로서 도시되는 일반기이다. 4a (또는 4c, 4e, 4g, 4i) 를 염기성 조건 (예컨대 수산화나트륨) 하에서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로 처리하여, 분자 4b (또는 4d, 4f, 4h, 4j) 가 수득된다.
반응식 5. R 1 -P-W-P-R 2 의 대표적인 합성
Figure pat00033
반응식 5 는 중간체 R1 -P-W-P-R2 의 일반적 합성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식 중 R1 및 R2 는 독립적인 보호기이고 W 는 전이 금속 매개 환화를 통해 구축된 2 개의 방향족 고리 단위이다. 페놀 5b 의 알킬 브로마이드, 예컨대 5a 와의 알킬화로 에테르 5c 가 수득된다. 팔라듐 촉매의 존재 하 방향족 고리의 환화로 인해 화합물 5d 가 수득된다. 5d 의 CuBr2 로의 처리로 인해 α-할로케톤 5e 가 수득되고, 이는 염기성 조건 하에 (예를 들어 Et3N) 산 첨가시 5f 가 제공되게 한다. 5f 와 아민 또는 아민 염 (예를 들어 암모늄 아세테이트) 과의 반응으로 분자 5g 를 함유하는 이미다졸이 수득된다. 5g, 5i 또는 5l 의 산화는 MnO2 의 존재 하 가열에 의해 이루어져, 각각 5h, 5j 또는 5m 이 수득될 수 있다. 5g 또는 5h 를 팔라듐 촉매, 예컨대 Pd2dba3 및 X-Phos, 및 붕소 공급원 예컨대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으로 전환시켜, 보로닉 에스테르 5i 또는 5j 가 수득된다. 보로닉 에스테르는 팔라듐 촉매, 예컨대 Pd(PPh3)4 또는 PdCl2(dppf) 를 사용하여 적절한 커플링 파트너 (예를 들어 5k) 와 함께 커플링되어, 5l 또는 5m 이 수득된다. 각각의 전이 금속 매개 교차 결합 반응에 대해, 구핵 원자 및 친전자체의 역할은 반전되어 동일한 커플링 생성물이 생성될 수 있다. W 가 구축될 수 있게 하지만 대안적 커플링 파트너 및 시약을 이용하는 다른 전이 금속 매개 교차 결합은 비제한적으로, 네기시 (Negishi), 쿠마다 (Kumada), 스틸 (Stille) 및 울만 (Ullman) 커플링을 포함한다. W 기를 함유하는 교대 2 개 방향족 고리의 제조를 위해, 이러한 일반적 반응식이 출발 시약의 적절한 선택을 통해 적용될 수 있다.
반응식 6. R 1 -P-W-P-R 2 의 대표적인 합성
Figure pat00034
반응식 6 은 본 개시물의 중간체 R1 -P-W-P-R2 의 일반적 합성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R1 및 R2 는 독립적인 보호기이고 W 는 전이 금속 매개 환화를 통해 구축된 2 개 방향족 고리 단위이다. 팔라듐 촉매 (예를 들어 팔라듐 아세테이트 및 S-Phos) 의 존재 하에 5d 를 활성화 비닐 시약 (예를 들어 칼륨 비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으로 처리하여, 비닐 화합물 6a 가 수득된다. 상응하는 α-할로 케톤으로의 전환은 N-브로모숙신이미드로의 브롬화, 이후 MnO2 로의 산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염기성 조건 (예를 들어 Et3N) 하에 산을 첨가하여, α-할로 케톤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피리디늄 트리브로마이드로의 처리시 6d 의 브롬화가 진행되고, 이후 염기성 조건 하에 2 차 산을 첨가하여 디에스테르 6e 가 수득된다. 6e 와 아민 또는 아민 염 (예를 들어 암모늄 아세테이트) 과의 반응으로 인해, 분자 6f 를 함유하는 이미다졸이 수득된다. 6f 의 산화는 MnO2 의 존재 하에 이루어져 6g 가 수득될 수 있다.
반응식 7. E-V-C(=O)-P-W-P-R 의 대표적인 합성
Figure pat00035
반응식 7 은 본 개시물의 중간체 E-V-C(=O)-P-W-P-R 의 일반적 합성으로 나타내고, 예를 들어, R 은 보호기이고 W 는 2 개의 방향족 고리 단위이다. 염기성 조건 (예를 들어 Et3N) 하에 산을 첨가하여 α-할로 케톤 6b 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피리디늄 트리브로마이드로의 처리시 7b 의 브롬화를 진행하고, 이후 염기성 조건 하에 2 차 산을 첨가하여 디에스테르 7c 가 수득된다. 7c 와 아민 또는 아민 염 (예를 들어 암모늄 아세테이트) 과의 반응으로 인해, 7d 를 함유하는 이미다졸이 수득된다. 7d 의 산화는 MnO2 의 존재 하에 이루어져 7e 가 수득될 수 있다.
반응식 8. R-P-W-P-C(=O)-V-E 의 대표적인 합성
Figure pat00036
반응식 8 은 본 개시물의 중간체 E-V-C(=O)-P-W-P-R 의 일반적 합성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R 은 보호기이고 W 는 2 개의 방향족 고리 단위이다. 염기성 조건 (예를 들어 Et3N) 하에 산을 첨가하여 α-할로 케톤 6d 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8a 와 아민 또는 아민 염 (예를 들어 암모늄 아세테이트) 의 반응으로 인해, 분자 8b 를 함유하는 이미다졸이 수득된다. 8b 의 산화는 MnO2 의 존재 하에 이루어져 8c 가 수득될 수 있다.
반응식 9. E-V-C(=O)-P-W-P-C(=O)-V-E 의 대표적인 합성
Figure pat00037
반응식 9 는 본 개시물의 E-V-C(=O)-P-W-P-C(=O)-V-E 분자의 일반적 합성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E 는 에틸카르보닐아미노이다. 9a 또는 9c 를 염기성 조건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하에 각각 1 또는 2 당량의 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로 처리하여, 분자 9b 또는 9d 가 수득된다.
반응식 10. R 1 -P-W-P-R 2 의 대표적인 합성
Figure pat00038
반응식 10 은 본 발명의 중간체 R1 -P-W-P-R2 의 대체 일반적 합성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R1 및 R2 는 독립적인 보호기이고 W 는 전이 금속 매개 환화를 통해 구축된 2 개 방향족 고리 단위이다. 6b 를 브롬화제 (즉 피리디늄 트리브로마이드) 로 처리하여, 디브로마이드 10a 가 수득된다. 염기성 조건 (예를 들어 K-2CO3) 하에 산을 첨가하여 1 차 브로마이드의 위치를 변경시켜, 10d 가 수득된다. 10f 또는 10g 로의 전환은 반응식 8 에서 기재된 방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반응식 11. E-V-C(=O)-P-W-P-R 의 대표적인 합성
Figure pat00039
반응식 11 은 본 발명의 중간체 E-V-C(=O)-P-W-P-R 의 대체 일반적 합성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R 은 보호기이고 W 는 2 개의 방향족 고리 단위이다. 6b 를 브롬화제 (즉 피리디늄 트리브로마이드) 로 브롬화하여 디브로마이드 10a 가 수득된다. 염기성 조건 (예를 들어 K-2CO3) 하에 산을 첨가하여 1 차 브로마이드의 위치를 변경시켜, 11b 가 수득된다. 11d 또는 11e 로의 전환은 반응식 8 에서 기재된 방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반응식 12. R 1 -V-C(=O)-P-R 2 의 대표적인 합성
Figure pat00040
반응식 12 는 중간체 R1 -V-C(=O)-P-R2 의 일반적 합성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P 는 피롤리딘이고, R1 은 -E 또는 아미노 보호기로서 도시되는 일반기이고, R2 는 -C(=O)-O-PG 로서 도시되는 일반기이다. 아민 12a (또는 12d) 와 산 12b 또는 12e 의 커플링은 펩티드 커플링 시약 (예를 들어 HATU) 을 사용하여 이루어져, 각각 12c (또는 12f) 가 수득된다. 12f12c 로의 전환은 적절한 보호기를 제거한 후, 염기성 조건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하에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로 처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반응식 13. E-V-C(=O)-P-W-P-C(=O)-V-E 의 대표적인 합성
Figure pat00041
반응식 13 은 본 발명의 중간체 E-V-C(=O)-P-W-P-C(=O)-V-E 의 대체 일반적 합성이고, 예를 들어, W 는 2 개의 방향족 고리 단위이다. 염기성 조건 (예를 들어 K2CO3) 하에 산을 첨가하여 브로마이드 모두의 위치를 변경시켜, 11c 가 수득된다. 11d 또는 11e 로의 전환은 반응식 8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특정 구현예
한 구현예에서, 하기 식 (I) 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이 제공된다:
E1a-V1a-C(=O)-P1a-W1a-P1b-C(=O)-V1b-E1b (I)
[식 중:
W1a
Figure pat00042
이고,
W1a 는 하나 이상의 할로, 알킬, 할로알킬, 임의 치환된 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 또는 시아노로 임의 치환되고;
Y5 는 -O-CH2-, -CH2-O-, -O-C(=O)-, 또는 -C(=O)-O- 이고;
X5 는 -CH2-CH2-, 또는 -CH=CH- 이고;
P1a 및 P1b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의 것이고:
Figure pat00043
;
V1a 및 V1b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의 것이고:
Figure pat00044
;
단, V1a 및 V1b 중 하나 이상은
Figure pat00045
이고;
E1a 및 E1b 는 각각 독립적으로 -N(H)(알콕시카르보닐), -N(H)(시클로알킬카르보닐) 또는 -N(H)(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 이거나; E1a-V1a 는 함께 R9a 이거나; E1b-V1b 는 함께 R9b 이고;
R9a 및 R9b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의 것임:
Figure pat00046
].
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물은 하기 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47
[식 중, 식 A1, A2, A3A4 에서 나타낸 이미다졸 고리는 하나 이상의 할로, 할로알킬, 시아노 또는 알킬에 의해 임의 치환됨].
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물은 하기 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48
[식 중, 식 A2A4 에서 나타낸 이미다졸 고리는 하나 이상의 할로, 할로알킬, 시아노 또는 알킬로 임의 치환됨].
한 구현예에서 P1a 및 P1b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의 것이다:
Figure pat00049
.
한 구현예에서 V1a 및 V1b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의 것이고:
Figure pat00050
;
단, V1a 및 V1b 중 하나 이상은
Figure pat00051
이다.
한 구현예에서, 하기 식 (I) 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이 제공된다:
E1a-V1a-C(=O)-P1a-W1a-P1b-C(=O)-V1b-E1b (I)
[식 중:
W1a
Figure pat00052
이고,
W1a 는 하나 이상의 할로, 알킬, 할로알킬 또는 시아노로 임의 치환되고;
Y5 는 -O-CH2- 또는 -CH2-O- 이고;
X5 는 -CH2-CH2- 또는 -CH=CH- 이고;
P1a 및 P1b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의 것이고:
Figure pat00053
;
V1a 및 V1b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의 것이고:
Figure pat00054
;
단, V1a 및 V1b 중 하나 이상은
Figure pat00055
이고;
E1a 및 E1b 는 각각 독립적으로 -N(H)(알콕시카르보닐), -N(H)(시클로알킬카르보닐) 또는 -N(H)(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 이거나; E1a-V1a 는 함께 R9a 이거나; E1b-V1b 는 함께 R9b 이고;
R9a 및 R9b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의 것임:
Figure pat00056
].
한 구현예에서, V1a 및 V1b 중 하나는:
Figure pat00057
이고, V1a 및 V1b 중 다른 하나는
Figure pat00058
이다.
한 구현예에서, V1a 및 V1b 중 하나는:
Figure pat00059
이고, V1a 및 V1b 중 다른 하나는
Figure pat00060
이다.
한 구현예에서, V1a 및 V1b 중 하나는:
Figure pat00061
이고, V1a 및 V1b 중 다른 하나는
Figure pat00062
이다.
한 구현예에서, V1a 및 V1b 중 하나는:
Figure pat00063
이고, V1a 및 V1b 중 다른 하나는
Figure pat00064
이다.
한 구현예에서, V1a 및 V1b 중 하나는:
Figure pat00065
이고, V1a 및 V1b 중 다른 하나는
Figure pat00066
이다.
한 구현예에서, V1a 및 V1b 중 하나는:
Figure pat00067
이고, V1a 및 V1b 중 다른 하나는
Figure pat00068
이다.
한 구현예에서, V1a 및 V1b 중 하나는:
Figure pat00069
이고, V1a 및 V1b 중 다른 하나는
Figure pat00070
이다.
한 구현예에서, V1a 및 V1b 중 하나는:
Figure pat00071
이고, V1a 및 V1b 중 다른 하나는
Figure pat00072
이다.
한 구현예에서, V1a 및 V1b 중 하나는:
Figure pat00073
이고, V1a 및 V1b 중 다른 하나는
Figure pat00074
이다.
한 구현예에서, P1a 및 P1b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의 것이다:
Figure pat00075
.
한 구현예에서, V1a 및 V1b 중 하나는 하기의 것이다:
Figure pat00076
.
한 구현예에서, V1a 및 V1b 둘 모두는 하기의 것이다:
Figure pat00077
.
한 구현예에서, V1a 및 V1b 중 하나는 하기의 것이다:
Figure pat00078
.
한 구현예에서, V1a 및 V1b 둘 모두는 하기의 것이다:
Figure pat00079
.
한 구현예에서, V1a 및 V1b 중 하나는 하기의 것이며:
Figure pat00080
, 단, 결합 (a) 가 E1a 또는 E1b 에 연결되고 결합 (b) 가 식 (1) 또는 (A1, A2, A3 또는 A4) 의 -C(=O)- 기에 연결된다.
한 구현예에서, V1a 및 V1b 중 하나는 하기의 것이며:
Figure pat00081
, 단, 결합 (a) 가 E1a 또는 E1b 에 연결되고 결합 (b) 가 식 (1) 또는 (A1, A2, A3 또는 A4) 의 -C(=O)- 기에 연결된다.
한 구현예에서, V1a 및 V1b 중 하나는 하기의 것이며:
Figure pat00082
, 단, 결합 (a) 가 E1a 또는 E1b 에 연결되고 결합 (b) 가 식 (1) 또는 (A1, A2, A3 또는 A4) 의 -C(=O)- 기에 연결된다.
한 구현예에서, V1a 및 V1b 중 하나는 하기의 것이며:
Figure pat00083
, 단, 결합 (a) 가 E1a 또는 E1b 에 연결되고 결합 (b) 가 식 (1) 또는 (A1, A2, A3 또는 A4) 의 -C(=O)- 기에 연결된다.
한 구현예에서, P1a 및 P1b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의 것이다:
Figure pat00084
.
한 구현예에서, P1a 및 P1b 중 하나는 하기의 것이다:
Figure pat00085
.
한 구현예에서, P1a 및 P1b 중 하나는 하기의 것이다:
Figure pat00086
.
한 구현예에서, P1a 및 P1b 둘 모두는 하기의 것이다:
Figure pat00087
.
한 구현예에서, -V1a-C(=O)-P1a- 및 -P1b-C(=O)-V1b-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의 것이며:
Figure pat00088
,
Figure pat00089
Figure pat00090
단, V1a 및 V1b 중 하나 이상은
Figure pat00091
이다.
한 구현예에서, -V1a-C(=O)-P1a- 및 -P1b-C(=O)-V1b-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의 것이며:
Figure pat00092
,
단, V1a 및 V1b 중 하나 이상은
Figure pat00093
이다.
한 구현예에서, -V1a-C(=O)-P1a- 및 -P1b-C(=O)-V1b- 중 하나는 하기의 것이고:
Figure pat00094
Figure pat00095
,
-V1a-C(=O)-P1a- 및 -P1b-C(=O)-V1b- 중 다른 하나는 하기의 것이다:
Figure pat00096
.
한 구현예에서, -V1a-C(=O)-P1a- 및 -P1b-C(=O)-V1b- 중 하나는 하기의 것이고:
Figure pat00097
;
-V1a-C(=O)-P1a- 및 -P1b-C(=O)-V1b- 중 다른 하나는 하기의 것이다:
Figure pat00098
.
한 구현예에서, -V1a-C(=O)-P1a- 및 -P1b-C(=O)-V1b- 둘 모두는 하기의 것이다:
Figure pat00099
.
한 구현예에서, E1a 및 E1b 중 하나 이상은 -N(H)(알콕시카르보닐) 이다.
한 구현예에서, E1a 및 E1b 둘 모두는 -N(H)(알콕시카르보닐) 이다.
한 구현예에서, E1a 및 E1b 중 하나 이상은 -N(H)C(=O)OMe 이다.
한 구현예에서, E1a 및 E1b 둘 모두는 -N(H)C(=O)OMe 이다.
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물은 하기 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100
Figure pat00101
Figure pat00102
Figure pat00103
Figure pat00104
.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물은 하기 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105
,
Figure pat00106
Figure pat00107
Figure pat00108
Figure pat00109
.
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물은 하기 식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110
.
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물은 하기 식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111
.
본 개시물은 이제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예시될 것이다. 하기 약어는 실시예를 비롯하여,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
Figure pat00112
Figure pat00113
Figure pat00114
실시예
중간체 1
Figure pat00115
Figure pat00116
7-(2-브로모-5-클로로벤질옥시)-3,4-디히드로나프탈렌-1(2H)-온
디메틸포름아미드 (850 mL) 중 7-히드록시-1-테트랄론 (13.9 g, 85.7 mmol) 및 1-브로모-2-(브로모메틸)-4-클로로벤젠 (25.6 g, 90.0 mmol) 의 교반된 용액에 탄산칼륨 (24 g, 172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8 시간 동안 아르곤 하에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1 L) 로 희석하였다. 유기물을 물로 3 회 세척하고 염수로 1 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이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생성된 오일에 메탄올 (500 mL) 을 첨가하고, 현탁액을 30 분 동안 휘저었다. 7-(2-브로모-5-클로로벤질옥시)-3,4-디히드로나프탈렌-1(2H)-온 (27.8 g, 89% 수율) 을 여과에 의해 단리하였다.
3-클로로-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팔라듐(II) 피발레이트 (1.18 g, 3.8 mmol), 트리(4-플루오로페닐)포스핀 (1.20 g, 3.8 mmol), 피발산 (2.33 g, 22.8 mmol) 및 탄산칼륨 (31.8 g, 228 mmol) 을 함유하는 1 L 플라스크에, 디메틸아세트아미드 (380 mL) 중 7-(2-브로모-5-클로로벤질옥시)-3,4-디히드로나프탈렌-1(2H)-온 (27.8 g, 76.2 mmol) 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비우고 아르곤으로 5 회 다시 채운 후, 아르곤 하에 60℃ 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MTBE 및 물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2상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교반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MTBE 로 헹구었다. 여과물의 유기층을 분리한 후 물로 2 회, 염수로 1 회 세척하였다. 유기물을 이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고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DCM) 에 의해 정제하여, 3-클로로-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14.4 g, 67% 수율) 을 황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3-비닐-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3-구 오븐-건조 50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를 Ar 하에 냉각시킨 후, 3-클로로-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12.0 g, 42.1 mmol), 칼륨 비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8.47 g, 6.32 mmol), Pd(OAc)2 (473 mg, 2.11 mmol), SPhos (1.74 g, 4.25 mmol), K2CO3 (17.5 g, 126 mmol) 및 무수 프로판올 (120 mL) 로 충전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Ar 을 16 분 동안 살포한 후, 5.5 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완료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미정제 잔류물을 DCM 에 현탁한 후, H2O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용액을 Mg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실리카 플러그를 통해 추가 정제하고, DCM 으로 용리하여, 3-비닐-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10.2 g, 87%) 을 수득하였다.
3-(2-브로모아세틸)-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3-비닐-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9.98 g, 36.1 mmol) 을 THF (70 mL), DMSO (70 mL) 및 H2O (35 mL) 의 교반된 용액 중에 용해하였다. NBS (6.75 g, 37.9 mmol) 를 1 회분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3 분 동안 교반하였다. 완료시, 반응 매질을 EtOAc 로 희석하고, H2O 로 2 회, 염수로 1 회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Mg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생성된 미정제 브로모히드린을 DCM (200 mL) 에 현탁하고 활성화 MnO2 (62.7 g, 722 mmol) 로 처리하였다. 15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DCM 으로 수회 헹구었다. 조합된 여과물 (~400 mL) 을 MeOH (~100 mL) 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감압 하에 서서히 농축하여, 고체 물질을 용액으로부터 침전시켰다. 액체 부피가 ~200 mL 에 도달하였을 때, 고체를 여과해내고 MeOH 로 헹구었다. 농축/침전/여과/헹굼 순서를 2x 더 수행하여, 분말화된 3-(2-브로모아세틸)-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3 수확량을 수집하였다 (7.49 g, 2 단계에 걸쳐 56%).
중간체 2
Figure pat00117
9-브로모-3-(2-브로모아세틸)-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3-(2-브로모아세틸)-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2.58 g, 6.95 mmol), 피리디늄 트리브로마이드 (2.56 g, 8.0 mmol), 디클로로메탄 (22 mL) 및 메탄올 (2.5 mL) 의 혼합물을 약 20℃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여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 (10 mL) 으로 세척하고, 40℃ 에서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9-브로모-3-(2-브로모아세틸)-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2.62 g, 84% 수율) 을 수득하였다. 400 MHz
Figure pat00118
중간체 2a
Figure pat00119
9-브로모-3-(2-브로모아세틸)-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DCM (365 mL) 중 3-(2-브로모-1-히드록시에틸)-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20.3 g, 54.4 mmol) 에 MeOH (22 mL) 및 피리디늄 트리브로마이드 (18.24 g, 57.0 mmol) 를 첨가하였다. 2 시간 후, 물을 첨가하고 (100 mL), 잠시 휘저은 후 층을 분할시키고 하부 유기층을 수집하였다. 유기층을 1M HCl (100 mL) 로 세척하고, 9-브로모-3-(2-브로모-1-히드록시에틸)-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을 함유하는 하부 유기층을 수집하였다. 400 MHz
Figure pat00120
,
C-OH 는 관찰되지 않음.
DCM (365 mL) 중 9-브로모-3-(2-브로모-1-히드록시에틸)-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대략 54.4 mmol) 에 중탄산나트륨 (5.45 g), 브롬화나트륨 (6.14 g), TEMPO (16.55 mg) 및 물 (60 mL) 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0-5℃ 로 냉각시키고 6% 표백제 (91.5 mL) 를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이소프로필 알코올 (20 mL) 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교반을 중단하고, 층을 분리시키고 하부 유기층을 수집하고 농축하여 대략 345 g 의 용매를 제거하였다. 슬러리를 여과하고 케이크를 50 mL 물로 세척한 다음 50 mL DCM (5℃ 로 사전냉각) 으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수집하고 진공 하 건조시켜 9-브로모-3-(2-브로모아세틸)-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18.6 g, 76% 수율) 을 수득하였다. 400 MHz
Figure pat00121
중간체 2b
Figure pat00122
3-((트리메틸실릴)에티닐)-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질소 분위기 하 환류 응축기 및 오버헤드 교반기가 장착된 300 mL 플라스크를 3-클로로-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10.0 g, 35.12 mmol), 분말화 무수 제삼인산칼륨 (22.4 g, 105.4 mmol), XPhos (1.34 g, 2.81 mmol) 및 PdCl2(MeCN)2 (364 mg, 1.40 mmol) 으로 충전하였다. 아세토니트릴 (140 mL) 을 첨가한 후 TMS아세틸렌 (18 mL, 141 mmol) 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5℃ 로 가열하였다. 6 시간 후, 반응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혼합물을 20℃ 로 냉각하였다. 혼합물을 프릿 깔때기 (fritted funnel) 를 통해 여과하고, 필터케이크를 아세토니트릴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감압 하에 약 150 mL 로 농축하고 헵탄 (50 mL, 3x100 mL) 으로 추출하였다. N-아세틸 시스테인 (15 g) 을 아세토니트릴상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5 시간 동안 45℃ 에서 휘저었다. 혼합물을 주변 온도로 냉각하고, 프릿 깔때기를 통해 여과하고, 필터케이크를 아세토니트릴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감압 하에 약 120 mL 로 농축하였다. 물 (120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40 분 동안 45℃ 에서 휘저은 후 주변 온도로 냉각시켰다. 30 분 후 혼합물을 프릿 깔때기를 통해 여과하여 3-((트리메틸실릴)에티닐)-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4.07 g, 33.4% 수율) 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400 MHz
Figure pat00123
3-아세틸-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교반 막대를 갖는 20 mL 바이알을 3-((트리메틸실릴)에티닐)-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850 mg, 2.44 mmol) 및 포름산 (9.8 mL) 으로 충전하였다. 용액을 65℃ 로 가열하였다. 3 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 농축하고; 생성된 잔류물을 CH2Cl2 중에서 취하고 사전패킹된 25g 실리카 겔 카트리지에 로딩하였다. 생성물을 5% 에서 85% 로의 EtOAc/헥산의 용매 구배로 용리하여 사전패킹된 80g 실리카 겔 컬럼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분획물을 함유하는 생성물을 조합하고 농축하여 3-아세틸-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616 mg, 86%) 을 수득하였다: 400 MHz
Figure pat00124
9-브로모-3-(2-브로모아세틸)-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교반 막대를 갖는 20 mL 바이알을 3-아세틸-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100 mg, 0.366 mmol), 9:1 CH2Cl2/MeOH (3.4 mL) 및 피리디늄 트리브로마이드 (246 mg, 0.769 mmol) 로 충전하였다. 용액을 35℃ 로 가열하였다. 30 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혼합물을 주변 온도로 냉각하고, EtOAc (50 mL) 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2S2O3 (20 mL), 2% 수성 NaHCO3 (20 mL), 물 (20 mL) 및 염수 (10 mL) 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Mg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 농축하여 9-브로모-3-(2-브로모아세틸)-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68 mg, 41%) 을 수득하였다: 400 MHz
Figure pat00125
중간체 3
Figure pat00126
(S)-에틸 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옥소헥사노에이트.
아르곤 하 2 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무수 THF (150 mL) 중 에틸 N-Boc (S)-피로글루타메이트 (20.0 g, 77.7 mmol) 의 용액을 -40℃ 로 냉각하였다.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 (에테르 중 3.0 M, 28.5 mL, 85.5 mmol) 을 반응 혼합물에 30 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4 시간 동안 -40℃ 에서 교반한 후 1 시간 동안 0℃ 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 사이에 구분시키고 1 N HCl 로 산성화하였다. 수성층을 에틸아세테이트로 2 회 더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조합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20% - 40% EtOAc/헥산) 에 의해 정제하여 (S)-에틸 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옥소헥사노에이트를 점성 오일로서 수득하고,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S)-에틸 5-메틸-3,4-디히드로-2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1 L 플라스크에서 (S)-에틸 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옥소헥사노에이트를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 디클로로메탄 용액 (1:1 혼합물, 100 mL) 으로 처리하였다. 거품발생이 관찰되었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휘발물을 진공 하 제거하여 (S)-에틸 5-메틸-3,4-디히드로-2H-피롤-2-카르복실레이트를 오일로서 수득하고,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2S,5S)-에틸 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레이트.
1L 플라스크에서 (S)-에틸 5-메틸-3,4-디히드로-2H-피롤-2-카르복실레이트를 에탄올 (400 mL) 에 용해하고, 이를 비우고 아르곤으로 3 회 (3x) 충전하였다. 탄소 상 팔라듐 (대략 750 mg, 10% w/w, 건조) 을 첨가하고 반응물에서 기체를 없애고 수소 기체로 충전하였다 (3x). 반응물을 수소 분위기 하에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 플러그를 통해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 하 농축하였다. 디에틸 에테르를 오일에 첨가하였고,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2S,5S)-에틸 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0.6 g, 67.4 mmol, 3 단계에 걸쳐 86.7%).
Figure pat00127
(2S,5S)-1-Tert-부틸 2-에틸 5-메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디클로로메탄 (250 mL) 중 (2S,5S)-에틸 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레이트 (7.0 g, 44.5 mmol) 의 용액에, 디tert부틸무수물 (10.7 g, 49.0 mmo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7.1 mL, 98.0 mmol) (10 분에 걸쳐 적가), 및 디메틸 아미노 피리딘 (0.27 g, 2.23 mmol) 을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거품발생이 관찰되었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HCl (1N 의, 250 mL) 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이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5% - 25% EtOAc/헥산) 에 의해 정제하여 (2S,5S)-1-tert-부틸 2-에틸 5-메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6.46 g, 25.1 mmol, 56%). LCMS-ESI+: C13H23NO4 에 대한 계산치: 257.16 (M +); 측정치: 258.70 (M+H+).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에탄올 (20 mL) 중 (2S,5S)-1-tert-부틸 2-에틸 5-메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6.46 g, 25.1 mmol) 의 용액에 수산화리튬 일수화물 (2.11 g, 50.2 mmol) 및 탈이온수 (12 mL)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6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와 포화 염수 및 1N HCl의 1:1 혼합물 사이에 구분시켰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가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조합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 하 제거하여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백색 고체 (정량적) 로서 수득하고,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중간체 4
Figure pat00128
(2S,5S)-에틸 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레이트.
(2S,5S)-에틸 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레이트 2,2,2-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10.0 g, 39.3 mmol), (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산 (6.88 g, 39.3 mmol) 및 HATU (14.9 g, 39.3 mmol) 를 DMF (100 mL) 중에서 조합하고 DIPEA (15.0 mL, 86.5 mmol) 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EtOAc 로 희석하였다. 유기상을 10% HCl, 포화 수성 NaHCO3 및 염수로 연속적으로 세척한 후, Mg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 농축하여 (2S,5S)-에틸 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 미정제 물질을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2S,5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2S,5S)-에틸 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레이트 (39.3 mmol, 이전 변형으로부터의 완전한 전환 추정) 를 MeOH (200 mL) 에 현탁하고 수성 LiOH (1.0 M, 100 mL, 100 mmol) 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한 후, 감압 하 농축하여 대부분의 MeOH 를 제거하였다. 수용액을 DCM 으로 2x 세척한 후 10% HCl 을 사용하여 pH~1-2 로 산성화하였다. 그런 다음, 산성 수성상을 EtOAc 로 5x 추출하였다. 조합된 EtOAc 추출물을 Mg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 농축하여 (2S,5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수득하였다 (6.89 g, 2 단계에 걸쳐 56%).
중간체 5
Figure pat00129
(2S,4S)-1-Tert-부틸 2,4-디메틸 피롤리딘-1,2,4-트리카르복실레이트.
MeOH (196 mL) 중 (2S,4S)-1-tert-부틸 2-메틸 4-시아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9.0 g, 35.4 mmol) 의 용액에 HCl (1,4-디옥산 중 4M, 100 mL, 403 mmol) 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고 진공 하 농축하였다. 미정제 중간체를 EtOAc (180 mL) 에 용해하고 수성 중탄산염 (포화) 로 염기화하였다.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8.5 g, 38.9 mmol) 를 첨가하고 2상 용액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EtOAc 로 재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미정제 오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15% → 40% → 100% EtOAc/헥산) 에 의해 정제하여 (2S,4S)-1-tert-부틸 2,4-디메틸 피롤리딘-1,2,4-트리카르복실레이트 (9.56 g, 94%) 를 수득하였다.
(3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3-카르복실산.
0℃ (외부 온도, 빙조) 에서 THF (70 mL) 중 (2S,4S)-1-tert-부틸 2,4-디메틸 피롤리딘-1,2,4-트리카르복실레이트 (9.56 g, 33.3 mmol) 의 용액에 NaOH (1N 수성, 33 mL, 33.3 mmol) 를 15 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용액을 0℃ 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한 후 HCl (1N) 로 산성화하였다. 용액을 EtOAc 로 추출하였다 (3x).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미정제 오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2% → 5% → 10% MeOH/CH2Cl2) 에 의해 정제하여 (3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3-카르복실산 (6.38 g, 70%) 을 수득하였다.
(2S,4S)-1-Tert-부틸 2-메틸 4-(히드록시메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0℃ (외부 온도, 빙조) 에서 THF (116 mL) 중 (3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3-카르복실산 (6.38 g, 23.3 mmol) 의 용액에 Et3N (4.9 mL, 35.0 mmol) 및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2.7 mL, 28.0 mmol) 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0℃ 에서 45 분 동안 교반하였고, 그 동안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미정제 중간체를 THF (59 mL) 에 용해하고 0℃ (외부 온도, 빙조) 로 냉각하였다. H2O (59 mL) 중 NaBH4 (4.41 g, 116.7 mmol) 를 천천히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 로 희석하고 H2O 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EtOAc 로 재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미정제 오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42% → 69% → 100% EtOAc/헥산) 에 의해 정제하여 (2S,4S)-1-tert-부틸 2-메틸 4-(히드록시메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3.63 g, 60%) 를 수득하였다.
(2S,4S)-1-Tert-부틸 2-메틸 4-(메톡시메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CH2Cl2 (50 mL) 중 (2S,4S)-1-tert-부틸 2-메틸 4-(히드록시메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2.57 g, 9.9 mmol) 의 용액에 AgOTf (4.07 g, 15.8 mmol) 및 2,6-디-tert--부틸피리딘 (4.4 mL, 19.8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외부 온도, 빙조) 로 냉각하고 MeI (0.98 mL, 15.8 mmol) 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슬러리를 0℃ 에서 1.5 시간 동안, 실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슬러리를 CH2Cl2 로 희석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하여 건조시키고, Et2O 에 용해하고, HCl (1N)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Et2O 로 재추출하고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미정제 오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10% → 75% → 100% EtOAc/헥산) 로 정제하여 (2S,4S)-1-tert-부틸 2-메틸 4-(메톡시메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2.11 g, 78%) 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30
(2S,4S)-1-(Tert-부톡시카르보닐)-4-(메톡시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THF (38 mL) 및 MeOH (15 mL) 의 혼합물 중 (2S,4S)-1-tert-부틸 2-메틸 4-(메톡시메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2.11 g, 7.7 mmol) 의 용액에 LiOH (2.5 M 수성, 15 mL, 38.6 mmol) 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수성 HCl (1N) 로 산성화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CH2Cl2 로 추출하였다 (4x).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2S,4S)-1-(tert-부톡시카르보닐)-4-(메톡시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2.0 g, 99%) 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31
중간체 6
Figure pat00132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 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 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산을 (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탄산으로 대체하여, 중간체 4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MS (ESI) m/z 301.19 [M + H]+.
중간체 7
Figure pat00133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에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에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를 에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로 대체하여, 중간체 3 과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134
중간체 8
Figure pat00135
(2S,5S)-5-에틸-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피롤리딘-2-카르복실산.
(2S,5S)-5-에틸-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에틸 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레이트 2,2,2-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2S,5S)-메틸 5-에틸피롤리딘-2-카르복실레이트-HCl 로 대체하여, 중간체 4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MS (ESI) m/z 301.15 [M + H]+.
중간체 9
Figure pat00136
(2S,5S)-5-에틸-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피롤리딘-2-카르복실산.
(2S,5S)-5-에틸-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산을 (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탄산으로, (2S,5S)-에틸 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레이트 2,2,2-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2S,5S)-메틸 5-에틸피롤리딘-2-카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로 대체하여, 중간체 4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중간체 10
Figure pat00137
(S)-1-Tert-부틸 2-메틸 4-옥소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CrO3 (194 g, 1.94 mol) 을 30 분에 걸쳐 교반하면서 0℃ 에서 DCM (900 mL) 중 피리딘 (340 mL) 의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DCM (700 mL) 중 (2S,4R)-1-tert-부틸 2-메틸 4-히드록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56 g, 0.216 mol) 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4 시간 동안 실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형성된 짙은색 고체를 디켄팅하고 DCM 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수성 NaHCO3, 10% 수성 시트르산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 제거하고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PE: EtOAc=50:1 → 10:1) 에 의해 정제하여 (S)-1-tert-부틸 2-메틸 4-옥소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42.6 g, 81%) 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S)-1-Tert-부틸 2-메틸 4-에틸리덴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THF (1100 mL) 중 Ph3PEtBr (84 g, 227 mmol) 및 KOtBu (76.7 g, 556 mmol) 의 용액을 1 시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교반한 후, THF (350 mL) 중 (S)-1-tert-부틸 2-메틸 4-옥소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50 g, 206 mmol) 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이 나타났다. 혼합물을 수성 NH4Cl 로 켄칭하고 농축하여 THF 를 제거한 후, EtOAc 및 물에 용해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PE: EtOAc=30:1 → 5:1) 에 의해 정제하여 (S)-1-tert-부틸 2-메틸 4-에틸리덴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18.3 g, 35%) 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2S)-1-Tert-부틸 2-메틸 4-에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EtOH (500 mL) 중 (S)-1-tert-부틸 2-메틸 4-에틸리덴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50 g, 196 mmol), Pd/C (5 g) 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수소화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2S)-1-tert-부틸 2-메틸 4-에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9.8 g, 97%) 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2S)-1-(Tert-부톡시카르보닐)-4-에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MeOH (1500 mL) 중 (2S)-1-tert-부틸 2-메틸 4-에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49.5 g, 0.19 mol), LiOH (950 mL, 1M) 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TLC 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이 나타났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1N HCl 로 pH 를 2 로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EA 로 추출하고, 조합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2S)-1-(tert-부톡시카르보닐)-4-에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45.5 g, 97%) 을 추가 정제 없이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2S)-2-벤질 1-tert-부틸 4-에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THF (1 L) 중 (2S)-1-(tert-부톡시카르보닐)-4-에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45.5 g, 187 mmol), TEA (37.8 g, 374 mmol) 의 혼합물을 BnBr (38.5 g, 225 mmol) 에 0℃ 에서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TLC 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이 나타났다. 혼합물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EtOAc 와 물 사이에 구분시켰다. 조합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2S)-2-벤질 1-tert-부틸 4-에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46 g, 74%) 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2S)-2-벤질 1-tert-부틸 4-에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를 Chiralcel OD 250*50mm i.d. 10 ㎛ 컬럼을 통한 분취용 SFC (이동상: n-헥산에 대해서는 A, 에탄올 (0.05% IPAm) 에 대해서는 B, 구배: A: B = 97:3, 유량: 100 ml/분, 파장: 210 및 220 nm, 주입량: 주입 당 0.4 g) 에 의해 분리하여, (2S,4S)-2-벤질 1-tert-부틸 4-에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
(2S,4S)-1-(Tert-부톡시카르보닐)-4-에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MeOH (1 L) 중 (2S,4S)-2-벤질 1-tert-부틸 4-에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18 g, 54.1 mmol), Pd/C (3.6 g) 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수소화하였다. TLC 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이 나타났다. 혼합물을 셀라이트에 의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하여 (2S,4S)-1-(tert-부톡시카르보닐)-4-에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10 g, 77%) 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38
중간체 11
Figure pat00139
rel-(2S,4S,5S)-1-(tert-부톡시카르보닐)-4,5-디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EtOH (100 mL) 중 1-tert-부틸 2-에틸 4,5-디메틸-1H-피롤-1,2-디카르복실레이트 (4.016 g, 15.02 mmol) 의 용액에 탄소 상 백금 (5%, 0.58 g) 을 첨가하였다. 슬러리를 3 일 동안 수소 분위기 (1 atm) 하에 교반하였다. 슬러리를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MeOH 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농축하고 미정제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SiO2, 5-10-20% EtOAc/헥산) 에 의해 정제하여 rel-(2S,4S,5S)-1-tert-부틸 2-에틸 4,5-디메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
THF (70 mL), MeOH (25 mL) 및 H2O (25 mL) 의 혼합물 중 rel-(2S,4S,5S)-1-tert-부틸 2-에틸 4,5-디메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의 용액에 수산화리튬 (1.53 g, 63.7 mmol) 을 첨가하였다. 슬러리를 실온에서 2.5 시간 동안, 45℃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HCl (수성, 1N, 70 mL) 을 첨가하였다. 유기물을 농축하고 생성된 수성층을 EtOAc 로 추출하였다 (3x).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rel-(2S,4S,5S)-1-(tert-부톡시카르보닐)-4,5-디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3.08 g, 84%) 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12
Figure pat00140
(2S,3aS,6aS)-2-벤질 1-tert-부틸 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1,2(2H)-디카르복실레이트
메틸렌 클로라이드 (42 mL) 중 시판 (2S,3aS,6aS)-벤질 옥타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2-카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4.70 g, 16.68 mmol) 의 용액에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7.28 g, 33.36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5.82 mL, 33.36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0.20 g, 1.67 mmol) 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16 시간 동안 공기 중에서 교반하였다. 완료시, 반응물을 진공 하 농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중 희석하고, 1N HCl 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재추출하고, 조합된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중 5-40% 에틸 아세테이트) 로 정제하여 (2S,3aS,6aS)-2-벤질 1-tert-부틸 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1,2(2H)-디카르복실레이트를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MS (ESI) m/z 368.47 [M + Na]+.
(2S,3aS,6aS)-1-(tert-부톡시카르보닐)옥타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2-카르복실산
교반 막대 및 (2S,3aS,6aS)-2-벤질 1-tert-부틸 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1,2(2H)-디카르복실레이트 (5.76 g, 16.68 mmol) 로 충전된 2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탄소 상 10% 팔라듐 (1.77 g) 을 첨가하였다. 에탄올을 혼합물에 붓고 반응 혼합물을 비우고 수소 기체로 3 회 플러싱하였다. 현탁액을 24 시간 동안 수소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완료시,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하여 (2S,3aS,6aS)-1-(tert-부톡시카르보닐)옥타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2-카르복실산 (4.45g, >99%) 을 수득하였다. MS (ESI) m/z 256.21 [M + H]+.
중간체 13
Figure pat00141
(2S,3aS,6aS)-벤질 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옥타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메틸렌 클로라이드 (100 mL) 중 시판 (2S,3aS,6aS)-벤질 옥타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2-카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10.0 g, 35.489 mmol) 의 용액에 (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탄산 (10.072 g, 53.23 mmol), HATU (21.59 g, 56.78 mmol) 및 DIPEA (18.59 mL, 106.46 mmol) 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고, 이때 진공 하 농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중 희석하고 HCl (1N) 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재추출하고, 조합된 유개물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생성된 오일을 소량의 클로로포름 중 희석하고 여과하여 테트라메틸 우레아 침전물을 제거하였다. 생성된 오일을 순상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중 50% 에틸 아세테이트) 에 의해 정제하여 (2S,3aS,6aS)-벤질 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옥타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2-카르복실레이트 (19.53g, >99% 수율) 를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ESI+ C23H33N2O5 에 대한 계산치: 417.23 ; 측정치: 417.37.
(2S,3aS,6a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옥타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2-카르복실산
교반 막대 및 (2S,3aS,6aS)-벤질 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옥타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2-카르복실레이트 (19.53 g 미정제물, 35.49 mmol 로 추정) 로 충전된 2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탄소 상 10% 팔라듐 (3.55 g) 을 첨가하였다. 에탄올을 혼합물에 붓고 반응 혼합물을 비우고 수소 기체로 3 회 플러싱하였다. 현탁액을 3 일 동안 수소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완료시,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하여 (2S,3aS,6a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옥타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2-카르복실산 (13.65 g, >99%) 을 수득하였다. LCMS-ESI+ C16H26N2O5 에 대한 계산치: 327.18 ; 측정치: 327.13.
중간체 14
Figure pat00142
(2S,3aS,6a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옥타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2-카르복실산
(2S,3aS,6a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옥타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2-카르복실산을, (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탄산을 (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산으로 대체하여, (2S,3aS,6a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옥타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2-카르복실산과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LCMS-ESI+ C15H25N2O5 에 대한 계산치: 313.17 ; 측정치: 313.12.
중간체 15
Figure pat00143
(2S,5S)-1-((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2S,5S)-1-((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산을 (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으로 대체하여, 중간체 4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144
LCMS-ESI+ C17H29N2O6 에 대한 계산치: 357.19 ; 측정치: 357.08.
실시예 AA
Figure pat00145
Figure pat00146
(2S,5S)-2-(9-브로모-8-옥소-8,9,10,11-테트라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3-일)-2-옥소에틸 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레이트
디클로로메탄 (50 mL) 중 9-브로모-3-(2-브로모아세틸)-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4.00 g, 8.88 mmol) 의 슬러리에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2.80 g, 9.32 mmol) 및 K2CO3 (1.84 g, 13.31 mmol) 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슬러리를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수성 HCl (0.5 M)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재추출하고 (2x),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다음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2S,5S)-1-Tert-부틸 2-(3-(2-((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보닐옥시)아세틸)-8-옥소-8,9,10,11-테트라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9-일) 5-메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THF (60 mL) 중 (2S,5S)-2-(9-브로모-8-옥소-8,9,10,11-테트라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3-일)-2-옥소에틸 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레이트 (5.95 g, 8.88 mmol) 의 용액에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3.05 g, 13.3 mmol) 및 Cs2CO3 (2.31 g, 7.09 mmol) 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8 시간 동안 50℃ 로 가열하였다.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EtOAc 로 희석하고 수성 HCl (0.5 M) 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EtOAc 로 재추출하고 (2x),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미정제 오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SiO2, 25-100% EtOAc (5% MeOH)/ 헥산) 에 의해 정제하여 (2S,5S)-1-tert-부틸 2-(3-(2-((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보닐옥시)아세틸)-8-옥소-8,9,10,11-테트라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9-일) 5-메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3.116, 2 단계에 걸쳐 43%) 를 주황색 거품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ESI+: C44H55N3O12 에 대한 계산치: 817.38 (M+); 측정치: 817.65 (M+).
Tert-부틸 (2S,5S)-2-[9-(2-{(2S,5S)-1-[N-(메톡시카르보닐)-L-이소류실]-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4,5,11-테트라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톨루엔 (35 mL) 중 (2S,5S)-1-tert-부틸 2-(3-(2-((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보닐옥시)아세틸)-8-옥소-8,9,10,11-테트라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9-일) 5-메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3.116 g, 3.57 mmol) 의 용액에 헥사메트디실라잔 (6.0 mL, 28.7 mmol) 및 프로피온산 (8.0 mL, 107.1 mmol) 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18 시간 동안 90℃ 로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용액을 MeOH 로 희석하고 NH4OH 및 물의 1:1 혼합물로 염기화하였다. 슬러리를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3x).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미정제 오일을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LCMS-ESI+: C44H55N7O6 에 대한 계산치: 777.42 (M+); 측정치: 778.30 (M+H+).
Tert-부틸 (2S,5S)-2-[9-(2-{(2S,5S)-1-[N-(메톡시카르보닐)-L-이소류실]-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디클로로메탄 (25 mL) 중 tert-부틸 (2S,5S)-2-[9-(2-{(2S,5S)-1-[N-(메톡시카르보닐)-L-이소류실]-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4,5,11-테트라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2.77 g, 3.5 mmol) 의 용액에 MnO2 (9.00 g, 103 mmol) 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슬러리를 실온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미정제 오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SiO2, 0-5-10% EtOAc/ MeOH) 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2S,5S)-2-[9-(2-{(2S,5S)-1-[N-(메톡시카르보닐)-L-이소류실]-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10 g, 2 단계에 걸쳐 40%) 를 갈색 거품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ESI+: C44H53N7O6 에 대한 계산치: 775.41 (M+); 측정치: 776.37 (M+H+)
메틸 {(2S,3S)-1-[(2S,5S)-2-(5-{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펜탄-2-일}카르바메이트
디클로로메탄 (4 mL) 및 메탄올 (0.5 mL) 의 혼합물 중 tert-부틸 (2S,5S)-2-[9-(2-{(2S,5S)-1-[N-(메톡시카르보닐)-L-이소류실]-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0.30 g, 0.39 mmol) 의 용액에 HCl (디옥산 중 4M, 1.45 mL, 5.80 mmol) 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1 시간 동안 40℃ 로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용액을 이후 진공 하 농축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DMF (3 mL) 에 용해한 후, (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 (0.11 g, 0.46 mmol), HATU (0.18 g, 0.48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3 mL, 1.72 mmol) 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성 HCl (6M, 4 점적) 을 첨가하고 용액을 역상 HPLC (Gemini 컬럼, 10-53% MeCN/H2O/0.1% TFA) 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분획물을 조합하고, 유기물을 진공 하 농축하였다. 생성된 수용액을 포화 NaHCO3 으로 염기화하여 백색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건조시켜 메틸 {(2S,3S)-1-[(2S,5S)-2-(5-{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펜탄-2-일}카르바메이트 (0.082 g, 23%) 를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LCMS-ESI+: C50H62N8O9 에 대한 계산치: 903.08 (M+); 측정치: 903.84 (M+H+).
Figure pat00147
실시예 AB
Figure pat00148
메틸 {(2S)-1-[(2S,5S)-2-(9-{2-[(2S,4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4-(메톡시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실시예 AA 에 따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4S)-1-(tert-부톡시카르보닐)-4-(메톡시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여, 메틸 {(2S)-1-[(2S,5S)-2-(9-{2-[(2S,4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4-(메톡시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0.25 g) 를 수득하였다. LCMS-ESI+: C50H62N8O9 에 대한 계산치: 918.46 (M+); 측정치: 919.97 (M+H+).
Figure pat00149
Figure pat00150
실시예 AC
Figure pat00151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5S)-2-에틸-5-(9-{2-[(2S,5S)-1-{(2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실시예 AB 에 따라, (2S,5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4S)-1-(tert-부톡시카르보닐)-4-(메톡시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에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여,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5S)-2-에틸-5-(9-{2-[(2S,5S)-1-{(2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0.21 g) 를 수득하였다. LCMS-ESI+: C50H62N8O8 에 대한 계산치: 902.47 (M+); 측정치: 904.14 (M+H+).
Figure pat00152
실시예 AD
Figure pat00153
메틸 [(2S)-1-{(2S,5S)-2-[5-(2-{(2S,5S)-1-[(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4-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1-{(2S,5S)-2-[5-(2-{(2S,5S)-1-[(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4-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을 (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4-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세트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MS (ESI) m/z 917.62 [M + H]+.
메틸 [(2S)-1-{(2S,5S)-2-[5-(2-{(2S,5S)-1-[(2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2-(4-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디클로로메탄 (6.4 mL) 및 메탄올 (1.2 mL) 의 혼합물 중 메틸 [(2S)-1-{(2S,5S)-2-[5-(2-{(2S,5S)-1-[(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4-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0.594 g, 0.648 mmol) 의 용액에 HCl (디옥산 중 4M, 2.4 mL, 9.72 mmol) 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1 시간 동안 40℃ 로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용액을 이후 진공 하 농축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DMF (3 mL) 에 용해한 후,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 (0.050 mL, 0.648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4 mL, 0.78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LCMS 모니터링에 의한 완료시, 용액을 역상 HPLC (Gemini 컬럼, 10-45% MeCN/H2O/0.1% TFA) 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분획물을 동결건조하여 메틸 [(2S)-1-{(2S,5S)-2-[5-(2-{(2S,5S)-1-[(2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2-(4-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0.057 g, 10%) 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54
실시예 AE
Figure pat00155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4S)-4-에틸-2-[5-(2-{(2S,5S)-1-[N-(메톡시카르보닐)-L-발릴]-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4S)-4-에틸-2-[5-(2-{(2S,5S)-1-[N-(메톡시카르보닐)-L-발릴]-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4S)-1-(tert-부톡시카르보닐)-4-에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156
실시예 AF
Figure pat00157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4S)-4-에틸-2-[9-(2-{(2S,5S)-1-[N-(메톡시카르보닐)-L-발릴]-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4S)-4-에틸-2-[9-(2-{(2S,5S)-1-[N-(메톡시카르보닐)-L-발릴]-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4S)-1-(tert-부톡시카르보닐)-4-에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158
MS (ESI) m/z 903.88 [M + H]+.
실시예 AG
Figure pat00159
메틸{(1S)-2-[(2S,5S)-2-에틸-5-(9-{2-[(2S,5S)-1-{(2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피롤리딘-1-일]-2-옥소-1-[(3R)-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에틸}카르바메이트
메틸{(1S)-2-[(2S,5S)-2-에틸-5-(9-{2-[(2S,5S)-1-{(2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피롤리딘-1-일]-2-옥소-1-[(3R)-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에틸}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tert-부톡시 카르보닐)-5-에틸 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을 (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2-((R)-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아세트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160
실시예 AH
Figure pat00161
메틸{(1S)-2-[(2S,5S)-2-에틸-5-(9-{2-[(2S,5S)-1-{(2S)-2-[(메톡시카르보닐) 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피롤리딘-1-일]-2-옥소-1-[(3S)-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에틸}카르바메이트
메틸{(1S)-2-[(2S,5S)-2-에틸-5-(9-{2-[(2S,5S)-1-{(2S)-2-[(메톡시카르보닐) 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피롤리딘-1-일]-2-옥소-1-[(3S)-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에틸}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에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을 (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2-((S)-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아세트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162
실시예 AI
Figure pat00163
메틸 {(1S)-2-[(2S,5S)-2-메틸-5-(9-{2-[(2S,5S)-1-{(2S)-2-[(메톡시카르보닐) 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피롤리딘-1-일]-2-옥소-1-[(3R)-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에틸}카르바메이트
메틸 {(1S)-2-[(2S,5S)-2-메틸-5-(9-{2-[(2S,5S)-1-{(2S)-2-[(메톡시카르보닐) 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피롤리딘-1-일]-2-옥소-1-[(3R)-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에틸}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S)-2-(메톡시 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을 (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2-((R)-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아세트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164
MS (ESI) m/z 861.45 [M + H]+.
실시예 AJ
Figure pat00165
메틸 {(1S)-2-[(2S,5S)-2-메틸-5-(9-{2-[(2S,5S)-1-{(2S)-2-[(메톡시카르보닐) 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피롤리딘-1-일]-2-옥소-1-[(3S)-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에틸}카르바메이트
메틸 {(1S)-2-[(2S,5S)-2-메틸-5-(9-{2-[(2S,5S)-1-{(2S)-2-[(메톡시카르보닐) 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피롤리딘-1-일]-2-옥소-1-[(3S)-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에틸}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S)-2-(메톡시 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을 (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2-((S)-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아세트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166
MS (ESI) m/z 861.41 [M + H]+.
실시예 AK
Figure pat00167
메틸 [(2S)-1-{(2S,5S)-2-[9-(2-{(2S,5S)-1-[(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4-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1-{(2S,5S)-2-[9-(2-{(2S,5S)-1-[(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4-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S)-2-(메톡시 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을 (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4-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세트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실시예 AL
Figure pat00168
메틸 [(2S)-1-{(2S,5S)-2-[9-(2-{(2S,5S)-1-[(2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2-(4-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1-{(2S,5S)-2-[9-(2-{(2S,5S)-1-[(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4-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316 mg, 0.34 mmol) 를 EtOH (3 mL) 에 용해하고 HCl (1 mL)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감압 하 농축하였다. 미정제 잔류물을 THF (3 mL) 및 CH2Cl2 (3 mL) 에 용해하고 DIPEA (0.18 mL, 1.0 mmol) 및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 (0.03 mL, 0.38 mmol) 로 처리하였다. 1 시간 후, 혼합물을 EtOAc 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연속하여 세척하였다. 유기물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미정제 잔류물을 역상 HPLC (Gemini, 15 → 45% ACN/H2O + 0.1% TFA) 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2S)-1-{(2S,5S)-2-[9-(2-{(2S,5S)-1-[(2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2-(4-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 [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100 mg, 33%) 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69
실시예 AM
Figure pat00170
메틸 {(2S)-1-[(2S,5S)-2-(5-{2-[(2S,5S)-1-{(2S)-2-[(2R,6S)-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1-[(2S,5S)-2-(5-{2-[(2S,5S)-1-{(2S)-2-[(2R,6S)-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S)-2-(메톡시 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을 (2S)-2-((2R,6S)-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 아세트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171
MS (ESI) m/z 889.60 [M + H]+.
실시예 AN
Figure pat00172
메틸 {(2S)-1-[(2S,5S)-2-(5-{2-[(2S,5S)-1-{(2R)-2-[(2R,6S)-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1-[(2S,5S)-2-(5-{2-[(2S,5S)-1-{(2R)-2-[(2R,6S)-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S)-2-(메톡시 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을 (2R)-2-((2R,6S)-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 아세트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173
MS (ESI) m/z 889.69 [M + H]+.
실시예 AO
Figure pat00174
메틸 {(2S)-1-[(2S,5S)-2-(9-{2-[(2S,5S)-1-{(2S)-2-[(2R,6S)-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1-[(2S,5S)-2-(9-{2-[(2S,5S)-1-{(2S)-2-[(2R,6S)-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을 (2S)-2-((2R,6S)-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 아미노)아세트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175
MS (ESI) m/z 889.56 [M + H] +.
실시예 AP
Figure pat00176
메틸 {(2S)-1-[(2S,5S)-2-(9-{2-[(2S,5S)-1-{(2R)-2-[(2R,6S)-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1-[(2S,5S)-2-(9-{2-[(2S,5S)-1-{(2R)-2-[(2R,6S)-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을 (2R)-2-((2R,6S)-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177
MS (ESI) m/z 890.05 [M + H] +.
실시예 AQ
Figure pat00178
메틸 {(2S)-1-[(2S,5S)-2-(5-{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1-[(2S,5S)-2-(5-{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S)-2-(메톡시 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179
MS (ESI) m/z 889.58 [M + H]+.
실시예 AR
Figure pat00180
메틸 {(2S)-1-[(2S,5S)-2-(5-{2-[(2S,5S)-1-{(2R)-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1-[(2S,5S)-2-(5-{2-[(2S,5S)-1-{(2R)-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S)-2-(메톡시 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을 (R)-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 아세트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181
Figure pat00182
실시예 AS
Figure pat00183
메틸 {(2S)-1-[(2S,5S)-2-(9-{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1-[(2S,5S)-2-(9-{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 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184
MS (ESI) m/z 889.88 [M + H] +.
실시예 AT
Figure pat00185
메틸 {(2S)-1-[(2S,5S)-2-(9-{2-[(2S,5S)-1-{(2R)-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1-[(2S,5S)-2-(9-{2-[(2S,5S)-1-{(2R)-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을 (R)-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 아미노)아세트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186
MS (ESI) m/z 889.53 [M + H] +.
실시예 AU
Figure pat00187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5S)-2-(5-{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5S)-2-(5-{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188
MS (ESI) m/z 960.04 [M + H] +.
실시예 AU-2
Figure pat00189
Figure pat00190
(2S,5S)-2-(2-(9-(((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보닐)옥시)-8-옥소-8,9,10,11-테트라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3-일)-2-옥소에틸) 1-tert-부틸 5-메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THF (400 mL) 중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25.44 g, 111 mmol) 의 용액에 탄산세슘 (21.7 g, 66.6 mmol) 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15 분 동안 교반한 후, 9-브로모-3-(2-브로모아세틸)-10,11-디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8(9H)-온 (19.9 g, 44.4 mmol) 을 첨가하였다. 슬러리를 실온에서 15 분 동안 교반한 후 16 시간 동안 40℃ 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EtOAc 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0.3 M 수성 HCl 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EtOAc 로 재추출하고,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미정제 오일을 40% EtOAc/헥산으로 실리카 겔 (260g) 의 플러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조합하고 농축하여 (2S,5S)-2-(2-(9-(((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보닐)옥시)-8-옥소-8,9,10,11-테트라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3-일)-2-옥소에틸) 1-tert-부틸 5-메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33 g, 100%) 를 수득하였다. MS (ESI) m/z 647.57 [M - Boc] +
(2S,5S)-tert-부틸 2-(5-(2-((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일)-1,4,5,11-테트라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톨루엔 (600 mL) 및 이소프로판올 (66 mL) 중 (2S,5S)-2-(2-(9-(((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보닐)옥시)-8-옥소-8,9,10,11-테트라히드로-5H-디벤조[c,g]크로멘-3-일)-2-옥소에틸) 1-tert-부틸 5-메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49.3 g, 66 mmol) 의 용액에 암모늄 아세테이트 (102 g, 1323 mmol) 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8 시간 동안 90℃ 로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물 (200 mL) 을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하고 실온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단리하고 물 (200 mL) 로 세척하였다. 조합된 수성층을 톨루엔/이소프로판올/메탄올의 혼합물 (10:1:1, 60 mL) 로 재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옮기고, 셀라이트 (29 g), 메탄올 (150 mL), 및 염수 및 6M NaOH 의 2:1 혼합물을 첨가하였다. 40 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한 후, 슬러리를 여과하고 톨루엔/이소프로판올의 9:1 혼합물로 헹구었다. 유기층을 단리하고, EtOAc 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이후 농축하고, CH2Cl2/헥산의 혼합물에 용해하고, 농축하여 건조시켰다. 이로 인해 (2S,5S)-tert-부틸 2-(5-(2-((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일)-1,4,5,11-테트라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32.3 g, 69%) 를 수득하였다. MS (ESI) m/z 707.30 [M + H] +
(2S,5S)-tert-부틸 2-(5-(2-((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CH2Cl2 (420 mL) 중 (2S,5S)-tert-부틸 2-(5-(2-((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일)-1,4,5,11-테트라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32.3 g, 45.7 mmol) 의 용액에 이산화망간 (120 g, 1380 mmol) 을 첨가하였다. 슬러리를 실온에서 4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CH2Cl2 로 희석하고 셀라이트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0 분 동안 교반한 후, 슬러리를 여과하고 셀라이트를 CH2Cl2 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농축하여 (2S,5S)-tert-부틸 2-(5-(2-((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25.1 g, 78%) 를 수득하였다. MS (ESI) m/z 705.50 [M + H] +
2-((2S,5S)-5-메틸피롤리딘-2-일)-9-(2-((2S,5S)-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
CH2Cl2 (350 mL) 중 (2S,5S)-tert-부틸 2-(5-(2-((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25.1 g, 35.6 mmol) 의 용액에 HCl (디옥산 중 6M, 180 mL, 720 mmoL) 을 5 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한 후, 1.5 시간 동안 40℃ 로 가온하였다. 생성된 슬러리를 실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하였다. 침전물을 이후 CH2Cl2 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2-((2S,5S)-5-메틸피롤리딘-2-일)-9-(2-((2S,5S)-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을 테트라-HCl 염 (21.2 g, 92%) 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I) m/z 505.18 [M + H] +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5S)-2-(5-{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DMF (180 mL) 중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EDCI.HCl, 11.7 g, 61 mmol) 의 용액에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8.2 g, 61 mmol) 을 첨가하였다. 균질해질 때까지 슬러리를 교반하고 2℃ 로 냉각하였다. (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 (15.0 g, 61.2 mmol) 을 첨가하고 1℃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2-((2S,5S)-5-메틸피롤리딘-2-일)-9-(2-((2S,5S)-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 테트라-HCl 염 (15.6 g, 27.1 mmol) 및 n-메틸모르폴린 (17.8 mL, 162.6 mmol) 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EtOAc 로 희석하고 NH4Cl (2x 500 mL), 수성 중탄산염 (2x 300 mL) 및 염수 (300 mL) 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EtOAc 로 재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미정제 물질을 3 → 8% MeOH/CH2Cl2 로 실리카 겔의 플러그를 통해 정제하여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5S)-2-(5-{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20.5 g, 79%) 를 수득하였다. MS (ESI) m/z 959.87 [M + H] +
실시예 AV
Figure pat00191
메틸 {(2S)-1-[(2S,5S)-2-(5-{2-[(2S,4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4-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1-[(2S,5S)-2-(5-{2-[(2S,4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4-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고,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4S)-1-(tert-부톡시카르보닐)-4-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192
LCMS-ESI+ C49H61N8O8 에 대한 계산치: 890.05 ; 측정치: 889.23.
실시예 AW
Figure pat00193
메틸 {(2S)-1-[(2S,5S)-2-(5-{2-[(2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1-[(2S,5S)-2-(5-{2-[(2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고,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S)-1-(tert-부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194
LCMS-ESI+ C48H59N8O8 에 대한 계산치: 875.45 ; 측정치: 875.29.
실시예 AX
Figure pat00195
메틸 {(2S)-1-[(2S,5S)-2-(5-{2-[(2S,3aS,6a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옥타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1-[(2S,5S)-2-(5-{2-[(2S,3aS,6a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옥타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고,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3aS,6aS)-1-(tert-부톡시카르보닐)옥타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196
LCMS-ESI+ C51H63N8O8 에 대한 계산치: 915.48 ; 측정치: 915.29.
실시예 AY
Figure pat00197
메틸 {(2S)-1-[(2S,3aS,6aS)-2-(5-{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1(2H)-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1-[(2S,3aS,6aS)-2-(5-{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1(2H)-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3aS,6a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옥타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198
LCMS-ESI+ C51H63N8O8 에 대한 계산치: 915.48 ; 측정치: 915.379.
실시예 AZ, BA, BB, BC
Figure pat00199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3S,5S)-5-(5-{2-[(2S,4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4,5-디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2,3-디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R,3R,5R)-5-(9-{2-[(2S,4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4,5-디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2,3-디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R,3R,5R)-5-(5-{2-[(2S,4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4,5-디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2,3-디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R,3R,5R)-5-(5-{2-[(2R,4R,5R)-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4,5-디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2,3-디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실시예 AA 에 따라서,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및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rel-(2S,4S,5S)-1-(tert-부톡시카르보닐)-4,5-디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고, 2 당량의 (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을 사용하여, 4 개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수득하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역상 HPLC (Gemini 컬럼, 10-45% MeCN/H2O/0.1% TFA) 에 의해 분리하였다.
실시예 AZ.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3S,5S)-5-(5-{2-[(2S,4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4,5-디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2,3-디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RT = 3.757 분 (Gemini 컬럼, 8 분에 걸쳐 2-95% MeCN/H2O/0.1% TFA). LCMS-ESI+: C55H70N8O9 에 대한 계산치: 986.53 (M+); 측정치: 987.88 (M+H+).
Figure pat00200
실시예 BA.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R,3R,5R)-5-(9-{2-[(2S,4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4,5-디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2,3-디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RT = 3.899 분 (Gemini 컬럼, 8 분에 걸쳐 2-95% MeCN/H2O/0.1% TFA). LCMS-ESI+: C55H70N8O9 에 대한 계산치: 986.53 (M+); 측정치: 987.95 (M+H+).
Figure pat00201
실시예 BB.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R,3R,5R)-5-(5-{2-[(2S,4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4,5-디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2,3-디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RT = 3.940 분 (Gemini 컬럼, 8 분에 걸쳐 2-95% MeCN/H2O/0.1% TFA). LCMS-ESI+: C55H70N8O9 에 대한 계산치: 986.53 (M+); 측정치: 987.86 (M+H+).
Figure pat00202
실시예 BC.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R,3R,5R)-5-(5-{2-[(2R,4R,5R)-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4,5-디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2,3-디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RT = 4.076 분 (Gemini 컬럼, 8 분에 걸쳐 2-95% MeCN/H2O/0.1% TFA). LCMS-ESI+: C55H70N8O9 에 대한 계산치: 986.53 (M+); 측정치: 987.91 (M+H+).
Figure pat00203
실시예 BD
Figure pat00204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5S)-2-(5-{2-[(2S,4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4-메톡시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5S)-2-(5-{2-[(2S,4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4-메톡시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4S)-1-(tert-부톡시카르보닐)-4-(메톡시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205
MS (ESI) m/z 989.41 [M + H] +.
실시예 BE
Figure pat00206
메틸{(2S,3S)-1-[(2S,5S)-2-(5-{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4,5,11-테트라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펜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2S,3S)-1-[(2S,5S)-2-(5-{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4,5,11-테트라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펜탄-2-일}카르바메이트를, MnO2 로의 산화를 생략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207
MS (ESI) m/z 905.78 [M + H] +.
실시예 BF
Figure pat00208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5S)-2-(9-{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4,5,11-테트라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5S)-2-(9-{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4,5,11-테트라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4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고, MnO2 로의 산화를 생략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209
MS (ESI) m/z 961.54 [M + H] +.
실시예 BG
Figure pat00210
메틸{(2S,3S)-1-[(2S,3aS,6aS)-2-(5-{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1(2H)-일]-3-메틸-1-옥소펜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2S,3S)-1-[(2S,3aS,6aS)-2-(5-{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1(2H)-일]-3-메틸-1-옥소펜탄-2-일}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3aS,6a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옥타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211
MS (ESI) m/z 929.46 [M + H] +.
실시예 BH
Figure pat00212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5S)-2-(9-{2-[(2S,4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4-(메톡시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5S)-2-(9-{2-[(2S,4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4-(메톡시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4S)-1-(tert-부톡시카르보닐)-4-(메톡시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213
MS (ESI) m/z 989.65 [M + H] +.
실시예 BI
Figure pat00214
메틸 {(2S)-1-[(2S,3aS,6aS)-2-(9-{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 나프토[1,2-d]이미다졸-2-일)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1(2H)-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1-[(2S,3aS,6aS)-2-(9-{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 나프토[1,2-d]이미다졸-2-일)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1(2H)-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3aS,6a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 메틸부타노일)옥타히드로시클로펜타[b]피롤-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215
MS (ESI) m/z 915.37 [M + H] +.
실시예 BJ
Figure pat00216
메틸 {(2S)-1-[(2S,5S)-2-(9-{2-[(2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1-[(2S,5S)-2-(9-{2-[(2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217
MS (ESI) m/z 875.30 [M + H] +.
실시예 BK
Figure pat00218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2-(5-{2-[(2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 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 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2-(5-{2-[(2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 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 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S)-1-(tert-부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S)-1-(tert-부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219
MS (ESI) m/z 931.86 [M + H] +.
실시예 BL
Figure pat00220
메틸 {(2S,3S)-1-[(2S,5S)-2-(9-{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 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펜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3S)-1-[(2S,5S)-2-(9-{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 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펜탄-2-일}카르바메이트를,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2S,5S)-1-((2S,3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하여, 실시예 AA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221
실시예 BM
Figure pat00222
에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5S)-2-(5-{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요오도트리메틸실란 (1.14 ml, 8.03 mmol) 을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메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5S)-2-(5-{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770 mg, 0.8 mmol) 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혼합물을 농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하고 2 x 7 ml 의 1N 염산 용액으로 추출하였다. 수성상을 조합하고, 냉각한 후 5N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염기화하였다. 염기성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10 ml 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조합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 농축하고, 생성물 667 mg (98.5%) 을 물 (7 ml) 중 수산화나트륨 (66.25 mg, 1.66 mmol) 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빙조에서 냉각시키고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0.16 ml, 1.66 mmol) 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고, 2 x 10 ml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역상 HPLC (Gemini 컬럼, 10-46% MeCN/H2O/0.1% TFA) 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분획물을 조합하고, 동결건조시켜 에틸 {(1S)-1-[(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2S,5S)-2-(5-{2-[(2S,5S)-1-{(2S)-2-[(2R,6R)-2,6-디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2-[(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디히드로이소크로메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223
MS (ESI) m/z 987.89 [M + H] +.
생물학적 검정
레플리콘 효능에 대한 혈청 단백질의 효과: 레플리콘 검정을 생리학적 농도의 인간 혈청 알부민 (40 mg/mL) 또는 α-산 글리코단백질 (1 mg/mL) 이 보충된 통상의 세포 배양 매질 (DMEM + 10%FBS) 중에서 수행하였다. 인간 혈청 단백질 존재 하의 EC50 을 통상의 매질 중의 EC50 와 비교하여 효능의 폴드 시프트 (fold shift) 를 측정하였다.
MT-4 세포 세포독성: MT4 세포를 화합물의 순차적 희석액으로 5 일의 기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 생존력을 Promega CellTiter-Glo 검정을 사용하여 처리 기간의 마지막에 측정하고, 비-선형 회귀를 수행하여 CC50 를 계산하였다.
EC 50 에서의 세포 관련 화합물 농도: Huh-luc 배양액을 EC50 와 동일한 농도에서 화합물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다수의 시간 지점에서 (0 - 72 시간), 세포를 냉각된 매질을 이용하여 2 회 세정하고, 85% 아세토니트릴로 추출하고; 또한 각각의 시간-지점에서 매질 중의 샘플을 추출하였다. 세포 및 매질 추출물을 LC/MS/MS 로 분석하여, 각각의 분획에서 화합물의 몰농도를 측정하였다. 본 개시물의 대표적인 화합물들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용해도 및 안정성: 10 mM DMSO 저장 용액의 분취량을 취하고, 상기 화합물을 총 DMSO 농도 1% 를 갖는 시험 매질 용액 (PBS, pH 7.4 및 0.1 N HCl, pH 1.5) 중에 최종 농도 100 μM 로 제조하여,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 매질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진탕하면서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상기 용액을 원심분리하고, 회수된 상청액을 HPLC/UV 상에서 검정하였다. 상기 정의된 시험 용액에서 검출된 화합물의 양을 동일한 농도에서의 DMSO 중에서 검출된 양과 비교하여, 용해도를 계산하였다. 또한, PBS 와 함께 37℃ 에서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화합물의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동결보존된 인간, 개 및 랫트 간세포에서의 안정성: 각각의 화합물을 간세포 현탁액 (100 ㎕, 웰 당 80,000 개의 세포) 중에서, 37℃ 에서 1 시간 이하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동결보존된 간세포를 혈청-유리된 인큐베이션 매질 중에 재구성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96-웰 플레이트 (50 ㎕/웰) 로 옮겼다. 상기 화합물을 인큐베이션 매질 중에 2 μM 로 희석한 후, 간세포 현탁액에 첨가하여 인큐베이션을 시작하였다. 인큐베이션 시작 후 0, 10, 30 및 60 분에서, 샘플을 취하고, 상기 반응액을 90% 아세토니트릴/10% 물 중의 0.3% 포름산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 켄칭하였다. 각각의 샘플에서 상기 화합물의 농도를 LC/MS/MS 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간세포 현탁액 중의 상기 화합물의 소실 반감기를 단일상 지수 방정식을 이용하여 농도-시간 데이터를 피팅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상기 데이터의 규모를 확대 (scale up) 하여, 고유 간 제거율 (clearance) 및/또는 총 간 제거율로 나타내었다.
인간, 개 및 랫트로부터의 간 S9 분획물에서의 안정성: 각각의 화합물을 S9 현탁액 (500 ㎕, 3 mg 단백질/mL) 중에서, 37℃ 에서 1 시간 이하 동안 인큐베이션 하였다 (n = 3). 상기 화합물을 상기 S9 현탁액에 첨가하여, 인큐베이션을 시작하였다. 인큐베이션 시작 후 0, 10, 30 및 60 분에서, 샘플을 취하였다. 각각의 샘플에서 상기 화합물의 농도를 LC/MS/MS 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S9 현탁액 중의 상기 화합물의 소실 반감기를 단일상 지수 방정식을 이용하여 농도-시간 데이터를 피팅함으로써 측정하였다.
Caco-2 투과성: 화합물을 계약 서비스 (Absorption Systems, Exton, PA) 를 통해 검정하였다. 화합물을 맹검 방식으로 계약자에게 제공하였다. 정방향 (A-에서-B) 및 역방향 (B-에서-A) 투과성 모두 측정하였다. Caco-2 단일층을 12-웰 Costar TRANSWELL® 플레이트 내 콜라겐-코팅된, 미세다공성, 폴리카르보네이트 멤브레인 상에서 융합될 때까지 성장시켰다. 상기 화합물을 정방향 투과성 (A-에서-B) 에 대하여 정점에서 투여하고, 역방향 투과성 (B-에서-A) 에 대하여 기저점에서 투여하였다. 상기 세포를 5% CO2 포함 가습 인큐베이터 내에서, 37℃ 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의 시작 시, 인큐베이션 후 1 시간 및 2 시간에서, 200-㎕ 분취량을 리시버 (receiver) 챔버로부터 취하고, 새로운 검정 완충액으로 대체하였다. 각각의 샘플 내 상기 화합물의 농도를 LC/MS/MS 으로 측정하였다. 겉보기 투과성 (apparent permeability), Papp 를 계산하였다.
혈장 단백질 결합: 혈장 단백질 결합을 평형 투석법으로 측정하였다. 각각의 화합물을 블랭크 (blank) 혈장에 최종 농도 2 μM 로 첨가하였다. 상기 첨가된 혈장 및 포스페이트 완충액을 집합된 투석 세포의 반대 측면에 위치시킨 후, 이를 37℃ 수조에서 천천히 회전시켰다. 상기 인큐베이션의 마지막에, 혈장 및 포스페이트 완충액 중의 상기 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미결합 (unbound) 백분율을 하기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pat00224
식 중, Cf 및 Cb 는 각각, 투석 후 완충액 및 혈장 농도로서 측정된, 유리된 및 결합된 농도이다.
CYP450 프로파일링: 각각의 화합물을 NADPH 의 존재 및 부재 하에서, 각각의 5 가지 재조합 인간 CYP450 효소 (CYP1A2, CYP2C9, CYP3A4, CYP2D6 및 CYP2C19 포함) 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일련의 샘플을 인큐베이션의 시작 시 및 인큐베이션의 시작 후 5, 15, 30, 45 및 60 분에서, 상기 인큐베이션 혼합물로부터 취하였다. 인큐베이션 혼합물 중의 상기 화합물의 농도를 LC/MS/MS 로 측정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각각의 시간 지점에서 남아있는 상기 화합물의 백분율을 인큐베이션의 시작시 샘플링한 것과 비교하여 계산하였다.
랫트, 개, 원숭이 및 인간 혈장에서의 안정성: 화합물을 혈장 (랫트, 개, 원숭이 또는 인간) 중에서, 37℃ 에서 2 시간 이하의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화합물을 상기 혈장에 최종 농도 1 및 10 ㎍/mL 로 첨가하였다. 상기 화합물의 첨가 후 0, 5, 15, 30, 60 및 120 분에서 분취량을 취하였다. 각각의 시간 지점에서 화합물 및 주요 대사산물의 농도를 LC/MS/MS 로 측정하였다.
세포-기반 항-HCV 활성의 평가: 항바이러스 효능 (EC50) 을 레닐라 루시페라아제 (Renilla luciferase) (RLuc)-기반 HCV 레플리콘 리포터 검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전자형 1 및 2a JFH-1 에 대한 검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안정한 HCV 1a RLuc 레플리콘 세포 (RLuc 리포터를 인코딩하는 디시스트론 (dicistronic) 유전자형 1a H77 레플리콘 함유), 안정한 HCV 1b RLuc 레플리콘 세포 (RLuc 리포터를 인코딩하는 디시스트론 유전자형 1b Con1 레플리콘 함유) 또는 안정한 HCV 2a JFH-1 Rluc 레플리콘 세포 (RLuc 리포터를 인코딩하는 디시스트론 유전자형 2a JFH-1 레플리콘 함유; NS5A 중에 존재하는 L31 포함) 를 EC50 검정을 위하여 384-웰 플레이트 내에 현탁시켰다. 유전자형 2a (NS5A 에 존재하는 M31 포함) 또는 2b 에 대한 검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RLuc-Neo 리포터를 인코딩하는 NS5A 키메라 (chimeric) 유전자형 2a JFH-1 레플리콘 및 유전자형 2a J6 세포주 NS5A 유전자 또는 유전자형 2b MD2b-1 세포주 NS5A 유전자 (둘다 M31 포함) 를 각각, Huh-Lunet 세포 내로 일시적으로 트랜스펙션시키거나 (t), 또는 안정하게 복제된 레플리콘 세포 (s) 로서 형성시켜 제공하였다. 각각의 세포를 EC50 검정을 위하여 384-웰 플레이트 내에 현탁시켰다. 유전자형 3 및 4 에 대한 검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Pi-RLuc 리포터를 인코딩하는 NS5A 키메라 유전자형 1b Con1 레플리콘 및 유전자형 3a S52 세포주 NS5A 유전자 또는 유전자형 4a ED43 세포주 NS5A 유전자를 각각, Huh-Lunet 세포 내로 일시적으로 트랜스펙션시키고 (t), 이를 그 후에 384-웰 플레이트 내에 현탁시켰다. 화합물을 DMSO 중에서 농도 10 mM 로 용해시키고, 수작업으로 또는 자동 피펫팅 기기를 사용하여 DMSO 중에 희석하였다. 순차적으로 3-회 희석된 화합물을 세포 배양 매질과 수작업으로 혼합하여 씨딩된 세포에 첨가하거나, 또는 자동화 기기를 사용하여 세포에 직접적으로 첨가하였다. DMSO 를 음성 (용매; 억제제 없음) 대조군으로서 사용하고, 프로테아제 억제제 ITMN-191 를 양성 대조군으로서 농도 > 100 x EC50 로 인큐베이션하였다. 72 시간 후, 세포를 용해시키고 (lysed), 제조업자 (Promega-Madison, WI) 에 의해 권장되는 바와 같이 레닐라 루시페라아제 (Renilla luciferase) 의 활성을 정량화하였다. 비-선형 회귀를 수행하여 EC50 값을 계산하였다.
내성 돌연변이에 대항하는 항바이러스 효능 (EC50) 을 측정하기 위하여 , 내성 돌연변이 (유전자형 1a NS5A 중 M28T, Q30R, Q30H, Q30E, L31M, Y93C, Y93H 및 Y93N, 유전자형 1b NS5A 중 Y93H 및 L31V/Y93H, 및 유전자형 3a NS5A 중 Y93H 포함) 를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유도에 의해 1a Pi-Rluc 또는 1b Pi-Rluc 레플리콘 내에 개별적으로 도입하였다. 내성 돌연변이 각각의 레플리콘 RNA 를 Huh-7-유래 치료된-51 개 세포 내로 일시적으로 트랜스펙션시키고, 항바이러스 효능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트랜스펙션된 세포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SD 랫트에서의 IV 및 PO 단일 용량 약동학적 연구: 선택된 화합물의 약동학을 수컷 Sprague-Dawley (SD) 랫트 (250-300g) 에서 특징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2 개의 군의 순수종 SD 랫트 (군 당 N=3, 밤새 단식시킴) 에게 선택된 화합물을 경정맥을 통해 정맥내 (IV) 주입 (30 분에 걸쳐 1 mg/kg) 또는 경구 위관영양법 (gavage) (2 mg/kg) 으로 제공하였다. 상기 정맥내 (IV) 투여 비히클은 5% 에탄올, 35%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PEG 400) 및 60% 물 pH 2.0 이었다. 상기 경구 투여 비히클은 5% 에탄올, 55% PEG 400 및 40% 시트레이트 완충액 pH 2.2 이었다.
일련의 혈액 샘플 (각각, 약 0.3 mL) 을 특정화된 시간 지점에서 경정맥 또는 기타 적합한 정맥으로부터 수집하였다. 상기 IV 주입 군에 대하여, 혈액 샘플을 투여 전 및 주입 시작 후 0.25, 0.48, 0.58, 0.75, 1.5, 3, 6, 8, 12 및 24 시간에서 수집하였다. 상기 경구 투여군에 대하여, 혈액 샘플을 투여 전 및 투여 후 0.25, 0.50, 1, 2, 4, 6, 8, 12 및 24 시간에서 수집하였다. 혈액 샘플을 항-응고제로서 EDTA-K3 를 함유한 Vacutainer™ 내에 수집하고, 약 4℃ 에서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수득하였다. 상기 혈장 샘플을 LC/MS/MS 로 분석할 때까지 -20℃ 에서 보관하였다.
이중 질량 분석기가 결합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LC/MS/MS) 를 이용한 바이오분석 방법을 랫트 혈장 내 선택된 화합물의 분석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검출을 선택적 반응 모니터링 (SRM) 을 사용하여 수행하고; 전구체를 나타내는 이온 (M+H)+ 종을 사중극 1 (Q1) 에서 선택하고, 충돌 세포 (Q2) 에서 아르곤 기체와 충돌시켜, 특정 생성물 이온을 생성시킨 후, 이를 사중극 3 (Q3) 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표준 곡선 및 품질 관리 샘플을 수컷 랫트 혈장에서 제조하고, 정량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시험 샘플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약동학적 매개변수를 비구획 약동학적 분석 (Phoenix WinNonlin, version 6.3) 을 사용하여 생성하였다. 정량화의 하한 (LLOQ) 미만의 값을 투여 전의 0 값으로 지정하고, 이후에 누락시키는 것으로 처리하였다. 상기 곡선 하 면적 (AUC) 을 선형 사다리꼴 공식 (linear trapezoidal rule) 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경구 투여에 따라 혈장에서 생성된 상기 화합물 및/또는 대사산물의 곡선 하 면적 (AUC) 을 정맥내 투여에 따라 생성된 것과 비교하여, 경구적 생체이용률 (%F) 을 측정하였다.
본원에 기재한 바와 같은 화합물에 대한 상기 기재한 검정에서 수득한 데이터를 표 1 에 나타낸다.
본 개시물의 화합물은, 하기 열거한 비교예와 비교시, 특정 HCV 유전자형 및/또는 이의 내성 돌연변이에 대해 향상된 생물학적 이용도 및/또는 활성을 나타낸다. 하기 표 2A 및 2B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비교예 (비교예 1-14) 를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본원에 기재한 합성 프로토콜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pat00225
Figure pat00226
표 2A
Figure pat00227
Figure pat00228
Figure pat00229
표 2B
Figure pat00230
Figure pat00231
Figure pat00232

Claims (1)

  1. 하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
    Figure pat00233
    ,

    Figure pat00234

    Figure pat00235

    Figure pat00236
    .
KR1020207028460A 2012-12-21 2013-12-19 항바이러스성 화합물 KR202001189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45452P 2012-12-21 2012-12-21
US61/745,452 2012-12-21
US13/830,346 2013-03-14
US13/830,346 US9233974B2 (en) 2012-12-21 2013-03-14 Antiviral compounds
PCT/US2013/076734 WO2014100500A1 (en) 2012-12-21 2013-12-19 Antiviral compound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764A Division KR102164390B1 (ko) 2012-12-21 2013-12-19 항바이러스성 화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903A true KR20200118903A (ko) 2020-10-16

Family

ID=509748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764A KR102164390B1 (ko) 2012-12-21 2013-12-19 항바이러스성 화합물
KR1020207028460A KR20200118903A (ko) 2012-12-21 2013-12-19 항바이러스성 화합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764A KR102164390B1 (ko) 2012-12-21 2013-12-19 항바이러스성 화합물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5) US9233974B2 (ko)
EP (3) EP3404030A1 (ko)
JP (1) JP6333849B2 (ko)
KR (2) KR102164390B1 (ko)
CN (2) CN107011350A (ko)
AP (1) AP2015008511A0 (ko)
AR (1) AR094262A1 (ko)
AU (1) AU2013361195B2 (ko)
BR (1) BR112015014333A8 (ko)
CA (1) CA2893963C (ko)
CL (1) CL2015001702A1 (ko)
CR (1) CR20150370A (ko)
EA (2) EA027828B1 (ko)
ES (1) ES2626392T3 (ko)
HK (3) HK1214594A1 (ko)
IL (1) IL239496A0 (ko)
MA (1) MA38261A1 (ko)
MD (1) MD20150062A2 (ko)
MX (1) MX2015007888A (ko)
PE (1) PE20151423A1 (ko)
PH (1) PH12015501354A1 (ko)
PL (1) PL2935279T3 (ko)
PT (1) PT2935279T (ko)
SG (1) SG11201504746PA (ko)
SI (1) SI2935279T1 (ko)
TW (2) TW201835087A (ko)
UY (1) UY35241A (ko)
WO (1) WO20141005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40719B1 (en) 2010-11-17 2017-05-10 Gilead Pharmasset LLC Antiviral compounds
SG10201700947UA (en) 2011-11-16 2017-03-30 Gilead Pharmasset Llc Condensed imidazolylimidazoles as antiviral compounds
US20130309196A1 (en) 2012-05-16 2013-11-21 Gilead Sciences, Inc. Antiviral compounds
KR102327888B1 (ko) 2012-12-21 2021-11-17 얀센 바이오파마, 인코퍼레이트. 치환된 뉴클레오사이드, 뉴클레오타이드 및 그것의 유사체
US9398640B2 (en) 2012-12-21 2016-07-19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Digital multi-use thermo-cup
UA111305C2 (uk) 2012-12-21 2016-04-11 Пфайзер Інк. Конденсовані лактами арилу та гетероарилу
US10053463B2 (en) 2013-03-14 2018-08-21 Janssen Pharmaceutica Nv Substituted [1,2,4]triazolo[4,3-a]pyrazines as P2X7 modulators
TWI644671B (zh) 2013-03-14 2018-12-21 比利時商健生藥品公司 P2x7調節劑
WO2014140075A1 (en) 2013-03-14 2014-09-1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Substituted 2-aza-bicyclo[2.2.1]heptane-3-carboxylic acid (benzyl-cyano-methyl)-amides inhibitors of cathepsin c
JP6294953B2 (ja) 2013-03-14 2018-03-14 ヤンセン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 エヌ.ベー. P2x7調節物質
JO3509B1 (ar) 2013-03-14 2020-07-05 Janssen Pharmaceutica Nv معدلات p2x7
US9717712B2 (en) 2013-07-02 2017-08-0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binations comprising tricyclohexadecahexaene derivative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virus
WO2015009744A1 (en) 2013-07-17 2015-01-2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binations comprising biphenyl derivative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hcv
SG11201600919UA (en) 2013-08-27 2016-03-30 Gilead Pharmasset Llc Combination formulation of two antiviral compounds
TWI721947B (zh) 2014-06-11 2021-03-21 美商基利法瑪席特有限責任公司 抗病毒化合物的固態形式
SG11201609386YA (en) 2014-06-17 2017-01-27 Pfizer Substituted dihydroisoquinolinone compounds
CN107074870B (zh) 2014-09-12 2019-07-12 勃林格殷格翰国际有限公司 组织蛋白酶c的螺环化合物抑制剂
ES2714048T3 (es) 2014-09-12 2019-05-24 Janssen Pharmaceutica Nv Moduladores de P2X7
CA2972259A1 (en) 2014-12-26 2016-06-30 Emory University N4-hydroxycytidine and derivatives and anti-viral uses related thereto
CN110372559A (zh) * 2014-12-29 2019-10-25 重庆博腾制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4S)-N-Boc-4--甲氧基甲基-L-脯氨酸的合成方法
WO2017023631A1 (en) 2015-08-06 2017-02-0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CN105732765B (zh) * 2016-02-01 2019-07-26 杭州科巢生物科技有限公司 丙肝药物维帕他韦的新合成方法
CN106916134B (zh) * 2016-04-14 2020-04-17 苏州楚凯药业有限公司 一种10,11-二氢-5H-苯并[d]萘并[2,3-b]吡喃酮衍生物的制备方法
CN109562107A (zh) 2016-05-10 2019-04-02 C4医药公司 用于靶蛋白降解的杂环降解决定子体
WO2017197046A1 (en) 2016-05-10 2017-11-16 C4 Therapeutics, Inc. C3-carbon linked glutarimide degronimers for target protein degradation
EP3454862A4 (en) 2016-05-10 2020-02-12 C4 Therapeutics, Inc. SPIROCYCLIC DEGRONIMERS FOR TARGET PROTEIN REDUCTION
CA3025633C (en) 2016-05-27 2021-02-23 Gilead Sciences, Inc. Methods for treating hepatitis b virus infections using ns5a, ns5b or ns3 inhibitors
CN106831737B (zh) * 2017-02-27 2020-03-17 上海众强药业有限公司 维帕他韦及其衍生物的制备
KR20200056420A (ko) * 2017-09-21 2020-05-22 리보사이언스 엘엘씨 Hcv rna 복제의 억제제로서 4'-플루오로-2'-메틸 치환된 뉴클레오시드 유도체
RU2020116571A (ru) 2017-12-07 2021-11-22 Эмори Юниверсити N4-гидроксицитидин и производные и связанные с этим противовирусные применения
MA53722A (fr) 2018-09-28 2022-03-30 Janssen Pharmaceutica Nv Modulateurs de la monoacylglycérol lipase
EA202190886A1 (ru) 2018-09-28 2021-09-07 Янссен Фармацевтика Нв Модуляторы моноацилглицерин-липазы
CA3156100A1 (en) 2019-09-30 2021-04-08 Janssen Pharmaceutica Nv MGL PET RADIOLABE LIGANDS
KR20220157999A (ko) 2020-03-26 2022-11-29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모노아실글리세롤 리파아제 조절제
CA3220903A1 (en) * 2021-05-21 2022-11-24 Gilead Sciences, Inc. Pentacyclic derivatives as zika virus inhibitor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6570A (en) 1982-11-30 1989-03-28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Biologically reversible phosphate and phosphonate protective groups
US4968788A (en) 1986-04-04 1990-11-06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Biologically reversible phosphate and phosphonate protective gruops
DK0481214T3 (da) 1990-09-14 1999-02-22 Acad Of Science Czech Republic Prolægemidler af phosphonater
US5543523A (en) 1994-11-15 1996-08-06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ethod and intermediates for the synthesis of korupensamines
CA2571984C (en) 2004-07-16 2012-04-10 Gilead Sciences, Inc. Antiviral compounds
US7741347B2 (en) * 2007-05-17 2010-06-2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EP2398474A4 (en) * 2009-02-23 2012-12-05 Presidio Pharmaceuticals Inc HCV NS5A SHEMMER
EP2640719B1 (en) * 2010-11-17 2017-05-10 Gilead Pharmasset LLC Antiviral compounds
US8552047B2 (en) * 2011-02-07 2013-10-0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8466159B2 (en) 2011-10-21 2013-06-18 Abbvie Inc. Methods for treating HCV
US20130309196A1 (en) * 2012-05-16 2013-11-21 Gilead Sciences, Inc. Antiviral compounds
AR091279A1 (es) 2012-06-08 2015-01-21 Gilead Sciences Inc Inhibidores macrociclicos de virus flavivirida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361195A1 (en) 2015-06-11
EA201590868A1 (ru) 2015-11-30
US20170369502A1 (en) 2017-12-28
US20140178336A1 (en) 2014-06-26
IL239496A0 (en) 2015-08-31
AU2013361195B2 (en) 2018-05-17
TWI613202B (zh) 2018-02-01
AP2015008511A0 (en) 2015-06-30
TW201441229A (zh) 2014-11-01
MX2015007888A (es) 2015-09-29
SI2935279T1 (sl) 2017-06-30
CR20150370A (es) 2015-08-14
JP2016503800A (ja) 2016-02-08
US20180244684A1 (en) 2018-08-30
EP3404030A1 (en) 2018-11-21
CA2893963C (en) 2021-09-07
CL2015001702A1 (es) 2015-08-07
BR112015014333A2 (pt) 2017-07-11
MA38261A1 (fr) 2017-06-30
UY35241A (es) 2014-07-31
CA2893963A1 (en) 2014-06-26
EA201790781A3 (ru) 2017-11-30
PT2935279T (pt) 2017-06-02
AR094262A1 (es) 2015-07-22
KR20150100728A (ko) 2015-09-02
US9233974B2 (en) 2016-01-12
PH12015501354A1 (en) 2015-09-07
SG11201504746PA (en) 2015-07-30
TW201835087A (zh) 2018-10-01
PL2935279T3 (pl) 2017-08-31
CN104918943A (zh) 2015-09-16
WO2014100500A1 (en) 2014-06-26
US20160083395A1 (en) 2016-03-24
BR112015014333A8 (pt) 2019-10-15
MD20150062A2 (ro) 2015-12-31
HK1214594A1 (zh) 2016-07-29
US20160362416A1 (en) 2016-12-15
JP6333849B2 (ja) 2018-05-30
KR102164390B1 (ko) 2020-10-12
EP3239152A1 (en) 2017-11-01
HK1216177A1 (zh) 2016-10-21
HK1245263A1 (zh) 2018-08-24
EA201790781A2 (ru) 2017-08-31
EP2935279B1 (en) 2017-03-15
EA027828B1 (ru) 2017-09-29
CN107011350A (zh) 2017-08-04
CN104918943B (zh) 2017-04-05
EP2935279A1 (en) 2015-10-28
PE20151423A1 (es) 2015-10-17
ES2626392T3 (es) 201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4390B1 (ko) 항바이러스성 화합물
US10800789B2 (en) Antiviral compounds
KR102036469B1 (ko) 항바이러스성 화합물로서의 축합된 이미다졸릴이미다졸
AU2015274863B2 (en) Antiviral compounds
OA17337A (en) Antiviral compounds.
AU2015252077A1 (en) Antiviral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