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674A - 가전기기, 단말 장치 및 이의 무선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단말 장치 및 이의 무선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674A
KR20200079674A KR1020180169054A KR20180169054A KR20200079674A KR 20200079674 A KR20200079674 A KR 20200079674A KR 1020180169054 A KR1020180169054 A KR 1020180169054A KR 20180169054 A KR20180169054 A KR 20180169054A KR 20200079674 A KR20200079674 A KR 20200079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ethod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태환
신영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9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9674A/ko
Priority to PCT/KR2019/014486 priority patent/WO2020138686A1/ko
Priority to US17/309,355 priority patent/US11689385B2/en
Publication of KR20200079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a format for calling an appliance service function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5Reporting to a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04W12/084Access security using delegated authorisation, e.g. open authorisation [OAuth]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3Access point logical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전기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가전기기는, 복수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방법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AP(Access Point) 모드로 동작하도록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단말 장치와 연결되고, 단말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가 접속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무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3 통신 방법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도록 통신 장치를 제어한다.

Description

가전기기, 단말 장치 및 이의 무선 연결 방법{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WIRELESS CONNECTION THEREOF}
본 개시는 가전기기, 단말 장치 및 이의 무선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전기기를 복수의 통신망에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가전기기, 단말 장치 및 이의 무선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전기기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의 가전기기는 무선 연결을 지원하며, 다양한 단말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받기 위하여 네트워크 망에 연결될 수 있다.
종래에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무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가전기기가 무선랜(Wireless LAN)에 연결되거나, 가전기기가 직접 이동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었다.
그러나 가전기기가 무선랜(Wireless LAN)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무선 설정 동작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점과 단말 장치로부터 무선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가전기기의 정보가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전기기가 이동통신망에 연결하는 경우, 통신사의 망을 이용해야 하므로 과금이 발생하며 속도가 느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의 목적은 가전기기를 복수의 통신망에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가전기기, 단말 장치 및 이의 무선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는, 복수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방법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AP(Access Point)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단말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가 접속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무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3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도록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복수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상기 단말 장치가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가전기기의 기기정보를 획득하면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외부 서버로 상기 기기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고,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가전기기에 접속하고, 상기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가전기기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무선 연결 방법은,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AP(Access Point)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단말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가 접속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무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3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무선 연결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가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가전기기의 기기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외부 서버로 상기 기기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가전기기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가전기기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설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간단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간단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간단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무선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무선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무선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무선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설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설정 시스템(1000)은 가전기기(100), 단말 장치(200), 서버(300) 및 액세스 포인트(400)로 구성된다.
가전기기(100)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 기계 기구로, 로봇 청소기, 진공 청소기, 전기 레인지, 가스 레인지, 전파 오븐기, 레인지 후드, 세탁기, 건조기, 냉장고, 식기 세척기, 에어컨 등일 수 있다.
가전기기(100)는 복수의 통신 방법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 LTE 및 5G 뿐만 아니라, NB-IoT, LoRa, SigFox, LTE-CAT1 과 같은 LPWN(Low Power Wireless Network) 및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거나,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뿐만 아니라 WiFi 802.11a/b/g/n 와 같은 무선 LAN을 이용하거나, NFC, Bluetooth와 같은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가전기기(100)는 제1 통신 방법(10)을 통해 서버(300)로부터 가전기기(100)에 대응되는 무선 식별 정보 및 토큰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방법(10)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통신 방법일 수 있다. 그리고 가전기기(100)의 무선 식별 정보는 가전기기(100)의 SSID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토큰은 서버(300)가 특정 단말 장치에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 권한의 부여 여부를 판단할 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가전기기(100)는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방법(20)을 이용하는 AP(Access Point)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통신 방법(20)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한 통신 방법일 수 있다. 그리고 AP 모드는 SSID가 공개되지 않는 Hidden AP 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가전기기(100)는 AP 모드로 동작 중 제2 통신 방법(20)을 통해 단말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로부터 단말 장치(200)가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400)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설정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400)의 SSID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전기기(100)는 제2 통신 방법(20)을 통해 단말 장치(200)에 가전기기(100)에 대응되는 토큰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가전기기(100)는 AP 모드에서 액세스 포인트(400)로 접속 가능한 Station 모드로 전환하고, 수신한 무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3 통신 방법(30)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400)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통신 방법은 무선랜(Wireless LAN)을 이용한 통신 방법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전기기(100)의 구체적인 동작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단말 장치(200)는 휴대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화상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사용자 단말장치,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사용자 단말장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사용자 단말장치, E-Book,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등)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단말기는 데스크 탑(desktop)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액세스 포인트(400)와 무선랜 통신(5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400)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만약 단말 장치(200)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경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 각각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무선 설정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SSID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를 획득하여 서버(300)와의 통신(40)을 통해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기기정보는 해당 가전기기를 특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유니크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고유의 시리얼 넘버 또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를 입력받거나, 가전기기(100)의 QR 코드를 촬영함으로써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한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를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300)와의 통신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행되거나 단말 장치(200)가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400)를 경유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서버(300)로부터 서버(300)에 전송한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가전기기(100)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통신 방법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한 통신 방법일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가전기기(100)에 액세스 포인트(400)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가전기기(100)로부터 가전기기(100)에 대응되는 토큰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수신한 토큰을 서버(300)에 다시 전송하며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서버(300)로부터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 권한을 부여 받으면, 통신을 통해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 장치(200)의 구체적인 동작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서버(300)는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server computer) 또는 프로그램(server program)을 의미한다. 서버(300)는 복수의 가전기기의 기기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가전기기(100)로부터 무선 식별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가전기기(100)에 대응되는 무선 식별 정보 및 토큰을 생성하고, 생성한 무선 식별 정보 및 토큰을 가전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식별 정보 요청은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한 무선 식별 정보 및 토큰을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는 시리얼 넘버 또는 UUID일 수 있다. 또는 서버(30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QR 코드 이미지를 수신하고, QR 코드 이미지로부터 기기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수신한 가전기기(100)의 기기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식별 정보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토큰을 수신하면 수신한 토큰을 저장된 토큰들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동일한 토큰이 발견되면, 해당 토큰에 대응되는 가전기기(100)를 확인하고, 확인된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 권한을 단말 장치(200)에 부여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토큰을 수신하면, 수신한 토큰과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QR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매칭이 확인되면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 권한을 단말 장치(200)에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버(300)의 구체적인 동작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가전기기(100)가 하나의 단말 장치(200)에 연결되는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하나의 가전기기(100)에 복수의 단말 장치(200)가 연결될 수 있으며, 하나의 단말 장치(200)에 복수의 가전기기(100)가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간단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전기기(100)는 통신 장치(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110)는 외부 장치(미도시)와 연결되며, 복수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10)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망은 3G, LTE 및 5G 뿐만 아니라, NB-IoT, LoRa, SigFox, LTE-CAT1 과 같은 LPWN(Low Power Wireless Network) 및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110)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뿐만 아니라 WiFi 802.11a/b/g/n 와 같은 무선 LAN을 이용한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통신 장치(110)는 NFC, Bluetooth와 같은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장치(110)는 이동통신망 통신 드라이버 및 무선랜 통신 드라이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110)는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한 Station 모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10)는 스스로가 액세스 포인트의 역할을 수행하는 AP(Access Point) 모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AP 모드는 SSID가 공개되지 않은 Hidden AP 모드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가전기기(1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가전기기(1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100)가 세탁기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탈수 명령을 수신하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모터(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방법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통신 방법일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무선 설정 작업을 요하지 않으므로, 프로세서(120)는 별도의 무선 설정 작업 없이도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관리 서버에 대한 가전기기(100)의 상태 보고 및 펌웨어 업데이트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망만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속도가 느리고 통신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속도가 빠르고 통신 비용이 낮은 무선 랜을 이용한 통신 방법도 함께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로세서(120)가 무선 랜을 이용한 통신 수행을 위한 무선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서버(300)로부터 가전기기(100)의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방법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통신 방법일 수 있다.
여기서 가전기기(100)의 무선 식별 정보는 가전기기(100)의 SSID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가전기기(100)의 SSID 및 패스워드는 기설정된 값이 아닌 서버(300)가 랜덤으로 생성한 값일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수신한 가전기기(100)의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AP(Access Point) 모드로 동작하도록 통신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가전기기(100)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AP(Access Point) 모드로 동작하도록 통신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통신 방법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한 통신 방법일 수 있다. 그리고 AP 모드는 SSID가 공개되지 않는 Hidden AP 모드일 수 있다. 통신 장치(110)가 Hidden AP 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가전기기(100)의 SSID가 공개되지 않으므로, 실제 사용자가 아닌 외부인이 가전기기(100)에 접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통신 장치(110)가 액세스 포인트의 역할을 수행하는 AP 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단말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단말 장치(200)로부터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프로세서(12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와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 결과 양 정보가 동일하면 단말 장치(200)와 제2 통신 방법을 통한 무선 연결을 확립하고, 양 정보가 상이하면 단말 장치(200)와의 무선 연결을 확립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와 제2 통신 방법을 통한 무선 연결이 확립되면, 프로세서(12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단말 장치(200)가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400)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설정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400)의 SSID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수신한 무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400)에 접속하도록 통신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AP 모드에서 Station 모드로 전환하도록 통신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400)의 SSID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3 통신 방법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400)에 접속하도록 통신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통신 방법은 무선랜(Wireless LAN)을 이용한 통신 방법일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액세스 포인트(400)와의 제3 통신 방법을 통한 무선 연결이 확립되면,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제1 통신 방법보다 무선 랜을 사용하는 제3 통신 방법에 우선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서버(300)로부터 가전기기(100)의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 시, 가전기기(100)에 대응되는 토큰을 더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가전기기(100)에 대응되는 토큰은 서버(300)가 특정 단말 장치에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 권한의 부여 여부를 판단할 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토큰은 기설정된 값이 아닌 서버(300)가 랜덤으로 생성되고, 추측이 불가능한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통신 장치(110)가 AP 모드로 동작 중에 제2 통신 방법을 통한 단말 장치(200)와의 무선 연결이 확립되면, 가전기기(100)의 대응되는 토큰을 단말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수신한 토큰을 이용하여 서버(300)로부터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가전기기(100)는 액세스 포인트(400)에 접속하지 않더라도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에서 랜덤 생성된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Hidden AP 모드로 동작하는바, 가전기기(100)의 SSID가 공개되는 보안상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하나의 단말 장치와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연결되고,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의 무선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복수의 단말 장치와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연결되고, 복수의 단말 장치 각각으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의 무선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방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가전기기를 구성하는 간단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양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100)는 통신 장치(110), 프로세서(120), 입력 장치(130), 메모리(140) 및 디스플레이(150)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장치(110)는 도 2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20)에 대해서도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하였는바, 도 2에서 설명한 내용은 중복 기재하지 않고, 도 3에 추가된 구성과 관련된 내용만 이하에서 설명한다.
입력 장치(130)는 가전기기(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가전기기(100)에 대한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100)가 세탁기인 경우, 사용자는 입력 장치(130)를 통해 세탁기의 탈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장치(130)는 Station 모드 또는 AP 모드로의 전환을 명령하는 기능키를 구비할 수 있다. 가전기기(100)는 평소에는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한 Station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입력 장치(1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의 무선 설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AP 모드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가전기기(100)는 AP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P 모드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20)는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서버(300)에 식별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 요청 신호는, 가전기기(100)의 무선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로,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기정보는 해당 가전기기를 특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유니크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고유의 시리얼 넘버 또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서버(300)로부터 가전기기(100)의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가전기기(100)의 무선 식별 정보는 서버(300)에 의해 랜덤으로 생성된 값일 수 있다. 만약 무선 식별 정보가 랜덤으로 생성되는 경우, 가전기기(100)의 무선 식별 정보는 무선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시점에 따라 각각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통신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2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가전기기(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40)는 가전기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가전기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및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40)는 가전기기의 기기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40)는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가전기기(100)의 무선 식별 정보 및 가전기기(100)에 대응되는 토큰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가전기기(1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50)는 가전기기(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 및 옵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100)가 세탁기인 경우, 디스플레이(150)는 세탁기가 탈수 동작을 수행하고 있음을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탈수 기능을 몇 분 동안 동작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50)는 가전기기(100)의 통신 연결 현황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50)는 통신 장치(110)가 현재 제1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지 또는 제3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50)는 가전기기(100)의 Station 모드 또는 AP 모드로의 동작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종래에는 가전기기가 이동통신망만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거나 무선랜만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동통신망만을 이용하는 경우 속도가 느리고 통신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무선랜만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랜에 연결하기 위해 단말 장치와 접속하는 과정에서 가전기기의 SSID가 공개되는 보안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는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을 모두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바,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신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무선랜에 연결하기 위해 서버에서 랜덤 생성된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Hidden AP 모드로 동작하는바, 가전기기의 SSID가 공개되는 보안상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AP 모드로 동작하는 가전기기에 접속한 단말 장치에 한해 서버로부터 수신한 토큰이 전송되는바, 실제 가전기기의 근처의 사용자가 안전하게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간단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200)는 통신 장치(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210)는 외부 장치(미도시)와 연결되며, 복수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210)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망은 3G, LTE 및 5G 뿐만 아니라, NB-IoT, LoRa, SigFox, LTE-CAT1 과 같은 LPWN(Low Power Wireless Network) 및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210)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뿐만 아니라 WiFi 802.11a/b/g/n 와 같은 무선 LAN을 이용한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통신 장치(210)는 NFC, Bluetooth와 같은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3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단말 장치(2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220)는 단말 장치(2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및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220)는 단말 장치(200)가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400)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만약 단말 장치(200)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경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 각각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무선 설정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SSID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단말 장치(2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단말 장치(2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입력 장치(2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를 입력받거나, 카메라(250)를 통해 가전기기(100)의 QR 코드를 촬영함으로써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상술한 예에 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서버(300)로 획득한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 장치(2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버(300)로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 장치(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장치(200)가 액세스 포인트(400)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400)를 경유하여 서버(300)로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 장치(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30)는 단말 장치(200)의 계정 정보를 함께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통신 장치(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서버(300)로부터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서버로부터 전송한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가전기기(100)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통신 방법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한 통신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AP 모드로 동작하는 가전기기(100)로 전송하며 무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가전기기(100)로부터 무선 연결에 대해 허가가 이루어지면 가전기기(100)와 제2 통신 방법을 통한 무선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가전기기(100)에 액세스 포인트(400)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 장치(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가전기기(100)로부터 가전기기(100)에 대응되는 토큰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수신한 토큰을 서버(300)에 다시 전송하며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로부터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 권한을 부여 받으면, 통신을 통해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단말 장치를 구성하는 간단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양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200)는 통신 장치(210), 메모리(220), 프로세서(230), 입력 장치(240), 카메라(250) 및 디스플레이(260)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장치(210) 및 메모리(220)는 도 4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30)에 대해서도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하였는바, 도 4에서 설명한 내용은 중복 기재하지 않고, 도 5에 추가된 구성과 관련된 내용만 이하에서 설명한다.
입력 장치(240)는 단말 장치(2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장치(240)는 사용자로부터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기기정보는 해당 가전기기를 특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유니크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고유의 시리얼 넘버 또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메라(250)는 촬상 방향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250)는 단말 장치(2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어 촬상 방향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250)는 가전기기(100)의 QR 코드를 촬영하여 QR 코드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취득한 QR 코드 이미지를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로써 메모리(220)에 저장하고,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는 단말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260)는 단말 장치(2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 및 옵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60)는 사용자가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60)는 카메라(250)를 통해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영역을 표시할 수 있고, 카메라(250)를 통해 촬영된 QR 코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60)는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가 복수 개인 경우, 사용자에게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 중 하나를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사용자가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면,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로 접속하도록 통신 장치(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60)는 메모리(220)에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 중 하나를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사용자가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면,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가전기기(100)로 전송하도록 통신 장치(210)를 제어할 수 있다.
종래에는 시리얼 넘버 또는 QR 코드와 같은 가전기기의 기기정보가 노출된 경우 실제 사용자가 아닌 외부인도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는 보안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가전기기의 기기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로부터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가전기기에 접속하고, 가전기기로부터 수신한 토큰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가전기기의 관리 권한을 획득할 수 있는바, 실제 가전기기의 근처의 사용자에 한해 안전하게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간단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300)는 통신 장치(310), 메모리(320) 및 프로세서(330)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310)는 외부 장치(미도시)와 연결되며, 복수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310)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망은 3G, LTE 및 5G 뿐만 아니라, NB-IoT, LoRa, SigFox, LTE-CAT1 과 같은 LPWN(Low Power Wireless Network) 및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310)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뿐만 아니라 WiFi 802.11a/b/g/n 와 같은 무선 LAN을 이용한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통신 장치(310)는 NFC, Bluetooth와 같은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310)는 복수의 단말 장치 또는 복수의 가전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프로세서(33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서버(3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320)는 서버(3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서버(3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및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320)는 복수의 가전기기의 기기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기정보는 복수의 가전기기 각각을 특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유니크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고유의 시리얼 넘버 또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330)는 서버(3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서버(3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330)는 가전기기(100)로부터 식별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가전기기(100)에 대응되는 무선 식별 정보를 가전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식별 정보는 가전기기(100)의 SSID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30)는 가전기기(100)에 대응되는 무선 식별 정보, 즉 SSID 및 패스워드를 랜덤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무선 식별 정보를 가전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330)는 생성된 무선 식별 정보를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에 대응하여 메모리(3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330)는 가전기기(100)에 대응되는 토큰을 생성하고, 생성된 토큰을 가전기기(100)에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가전기기(100)에 대응되는 토큰은 서버(300)가 특정 단말 장치에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 권한의 부여 여부를 판단할 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토큰은 기설정된 값이 아닌 서버(300)가 랜덤으로 생성되고, 추측이 불가능한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330)는 생성된 토큰을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에 대응하여 메모리(32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33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를 수신하면 가전기기(100)에 대응되는 무선 식별 정보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3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시리얼 넘버 또는 UUID 등의 기기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기기정보에 대응되는 가전기기(100)를 확인하고, 메모리(320)에 저장된 가전기기(100)의 무선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33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QR 코드 이미지를 수신하면, QR 코드로부터 기기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기기정보에 대응되는 가전기기(100)를 확인하고, 메모리(320)에 저장된 가전기기(100)의 무선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33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단말 장치(200)의 계정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33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토큰을 수신하면 단말 장치(200)에 토큰에 대응되는 가전기기(100)의 관리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3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토큰을 수신하면, 수신한 토큰을 메모리(320)에 저장된 토큰들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동일한 토큰이 발견되면, 해당 토큰에 대응되는 가전기기(100)를 확인하고, 확인된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 권한을 단말 장치(200)에 부여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33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토큰을 수신하면, 수신한 토큰과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QR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매칭이 확인되면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 권한을 단말 장치(200)에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서버를 구성하는 간단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양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300)는 통신 장치(310), 메모리(320), 프로세서(330), 입력 장치(340) 및 디스플레이(350)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장치(310) 및 메모리(320)는 도 6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30)에 대해서도 도 6과 관련하여 설명하였는바, 도 6에서 설명한 내용은 중복 기재하지 않고, 도 7에 추가된 구성과 관련된 내용만 이하에서 설명한다.
입력 장치(340)는 서버(3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서버(300)에 대한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50)는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350)는 서버(3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 및 옵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350)는 복수의 가전기기의 통신 연결 현황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350)는 서버(300)에 연결된 복수의 가전기기 각각에 대하여 현재 제1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지 또는 제3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종래에는 시리얼 넘버 또는 QR 코드와 같은 가전기기의 기기정보가 노출된 경우 실제 사용자가 아닌 외부인에게도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안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가전기기에 고정된 무선 식별 정보가 아닌 랜덤으로 생성된 무선 식별 정보를 전송하므로, 무선 식별 정보의 노출에 의한 보안상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에 랜덤으로 생성된 토큰을 전송하고, 단말 장치로부터 토큰을 수신하고,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토큰이 가전기기에 전송한 토큰과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권한을 부여하는바, 실제 가전기기의 근처의 사용자에 한해 안전하게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도 8은 무선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가전기기(100)는 AP 모드로의 전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S811). 구체적으로, 가전기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할 수 있는 AP 모드로의 전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가전기기(100)는 서버(300)에 무선 식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813). 구체적으로, 가전기기(100)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서버(300)에 가전기기(100)의 식별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식별 정보는 가전기기(100)의 SSID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식별 정보 요청 신호는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가전기기(100)의 무선 식별 정보 및 가전기기(100)에 대응되는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S815). 이때 생성되는 무선 식별 정보 및 토큰은 랜덤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식별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를 확인하여, 생성된 무선 식별 정보와 토큰을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생성된 무선 식별 정보와 토큰을 가전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S817).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생성된 무선 식별 정보와 토큰을 가전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가전기기(10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SSID가 공개되지 않는 Hidden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819). 그리고 가전기기(10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와 같은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가전기기(100)가 Hidden AP 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가전기기(100)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알고 있는 장치에 한해 가전기기(100)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가전기기(100)의 QR 코드를 촬영할 수 있다(S821). QR 코드는 가전기기(100)의 본체 등에 부착될 수 있고,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여 단말 장치(200)를 이용하여 QR 코드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촬영한 가전기기(100)의 QR 코드 이미지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823).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QR 코드 이미지를 전송함과 동시에 단말 장치(200)의 계정 정보를 함께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QR 코드 이미지로부터 기기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기기정보에 대응되는 가전기기(100)를 확인할 수 있다(S825). 그리고 확인된 가전기기(100)의 무선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827).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가전기기(100)에 접속할 수 있다(S829).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200)는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AP 모드로 동작하는 가전기기(100)로 전송하며 무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가전기기(100)로부터 무선 연결에 대해 허가가 이루어지면 단말 장치(200)는 가전기기(100)와 제2 통신 방법을 통한 무선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그리고 가전기기(100)는 토큰을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831). 구체적으로, 가전기기(100)는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가전기기(100)에 대응되는 토큰을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가전기기(100)에 액세스 포인트(400)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835). 여기서 무선 설정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400)의 SSID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전기기(100)는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400)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400)에 접속할 수 있다(S837). 구체적으로, AP 모드에서 Station 모드로 전환하고,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400)의 SSID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3 통신 방법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400)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통신 방법은 무선랜(Wireless LAN)을 이용한 통신 방법일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수신한 토큰을 서버(300)에 다시 전송할 수 있다(S839).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200)는 수신한 가전기기(100)에 대응되는 토큰을 서버(300)에 전송하며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토큰을 확인하여 단말 장치(200)에게 가전기기(100)의 관리 권한 부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841).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토큰을 저장된 토큰들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동일한 토큰이 발견되면, 해당 토큰에 대응되는 가전기기(100)를 확인하고, 확인된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 권한을 단말 장치(200)에 부여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토큰과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QR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매칭이 확인되면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 권한을 단말 장치(200)에 부여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관리 권한을 단말 장치(200)에 부여할 수 있다(S843).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수신한 토큰에 대응되는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 권한을 단말 장치(200)에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 관리 권한을 부여한 단말 장치(200)의 계정 정보를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가전기기(100)는 서버(300)에 가전기기(100)의 통신 상태를 전달할 수 있다(S845). 구체적으로, 가전기기(100)는 서버(300)에 가전기기(100)의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랜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가전기기(100)는 제1 통신 방법보다 제3 통신 방법에 우선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무선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서버로부터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S910). 여기서 제1 통신 방법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통신 방법일 수 있다. 그리고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는 가전기기의 SSID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가전기기의 SSID 및 패스워드는 기설정된 값이 아닌 서버가 랜덤으로 생성한 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서버에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요청하고, 서버로부터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식별 정보에는 가전기기의 기기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기기정보는 해당 가전기기를 특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유니크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고유의 시리얼 넘버 또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사용자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의 무선 설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AP 모드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일 수 있으며, 상술한 예에 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무선 식별 정보는 서버가 랜덤으로 생성함에 따라, 가전기기가 무선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시점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수신한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AP(Access Point) 모드로 동작한다(S920). 구체적으로, 가전기기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AP(Access Point)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통신 방법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한 통신 방법일 수 있다. 그리고 AP 모드는 SSID가 공개되지 않는 Hidden AP 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Hidden AP 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가전기기의 SSID가 공개되지 않으므로, 외부인이 가전기기에 접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의 역할을 수행하는 AP 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단말 장치와 연결한다(S930). 구체적으로,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단말 장치로부터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와 서버로부터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 결과 양 정보가 동일하면 단말 장치와 제2 통신 방법을 통한 무선 연결을 확립하고, 양 정보가 상이하면 단말 장치와의 무선 연결을 확립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로부터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단말 장치가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940). 여기서 무선 설정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SSID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한 무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3 통신 방법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400)에 접속한다(S950). 구체적으로, AP 모드에서 Station 모드로 전환한 후,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400)의 SSID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3 통신 방법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400)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통신 방법은 무선랜(Wireless LAN)을 이용한 통신 방법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서버로부터 가전기기(100)의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 시,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토큰을 더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토큰은 서버가 특정 단말 장치에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권한의 부여 여부를 판단할 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토큰은 기설정된 값이 아닌 서버가 랜덤으로 생성한 값일 수 있다.
그리고 AP 모드로 동작 중에 제2 통신 방법을 통한 단말 장치와의 무선 연결이 확립되면, 가전기기의 대응되는 토큰을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은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을 모두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바,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신 방법을 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무선랜에 연결하기 위해 서버에서 랜덤 생성된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Hidden AP 모드로 동작하는바, 가전기기의 SSID가 공개되는 보안상의 문제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AP 모드로 동작하는 가전기기에 접속한 단말 장치에 한해 서버로부터 수신한 토큰이 전송되는바, 실제 가전기기의 근처의 사용자에 한해 안전하게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권한을 획득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9와 같은 제어 방법은, 도 2 또는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가전기기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가전기기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비일시적인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무선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단말 장치가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S1010). 만약 단말 장치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경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 각각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가전기기의 기기정보를 획득한다(S1020). 여기서 기기정보는 해당 가전기기를 특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유니크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고유의 시리얼 넘버 또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로부터 가전기기의 기기정보를 입력받거나, 가전기기의 QR 코드를 촬영함으로써 가전기기의 기기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가전기기의 기기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상술한 예에 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서버로 획득한 가전기기(100)의 기기정보를 전송한다(S1030). 구체적으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가전기기의 기기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서버로 가전기기의 기기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의 계정 정보를 함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로부터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S1040). 구체적으로, 서버로부터 전송한 가전기기의 기기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가전기기에 접속한다(S1050). 여기서 제2 통신 방법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한 통신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AP 모드로 동작하는 가전기기로 전송하며 무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가전기기로부터 무선 연결에 대해 허가가 이루어지면 가전기기와 제2 통신 방법을 통한 무선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가전기기에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S1060).
그리고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가전기기로부터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토큰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한 토큰을 서버에 다시 전송하며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로부터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권한을 부여 받으면, 통신을 통해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가전기기의 기기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로부터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가전기기에 접속하고, 가전기기로부터 수신한 토큰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가전기기의 관리 권한을 획득할 수 있는바, 실제 가전기기의 근처의 사용자에 한해 안전하게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권한을 획득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0과 같은 제어 방법은, 도 4 또는 도 5의 구성을 가지는 단말 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단말 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비일시적인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무선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무선 식별 정보를 생성한다(S1110). 구체적으로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가전기기로부터 무선 식별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무선 식별 정보, 즉 SSID 및 패스워드를 랜덤으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한 무선 식별 정보를 가전기기에 전송한다(S1120). 그리고 전송한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가전기기의 기기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토큰을 생성하고, 생성된 토큰을 가전기기에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토큰은 서버가 특정 단말 장치에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 권한의 부여 여부를 판단할 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토큰은 기설정된 값이 아닌 서버가 랜덤으로 생성한 값일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로부터 가전기기의 기기정보를 수신한다(S1130).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로부터 가전기기의 시리얼 넘버 또는 UUID 등의 기기정보 또는 가전기기의 기기정보가 포함된 QR 코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한 가전기기의 기기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식별 정보를 단말 장치에 전송한다(S1140).
그리고 단말 장치로부터 토큰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토큰에 대응되는 가전기기의 관리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한 토큰을 저장된 토큰들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동일한 토큰이 발견되면, 해당 토큰에 대응되는 가전기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권한을 단말 장치에 부여할 수 있다.
또는, 수신한 토큰과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QR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가전기기의 기기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매칭이 확인되면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권한을 단말 장치에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서버의 제어 방법은 가전기기에 고정된 무선 식별 정보가 아닌 랜덤으로 생성된 무선 식별 정보를 전송하므로, 무선 식별 정보의 노출에 의한 보안상 문제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가전기기에 랜덤으로 생성된 토큰을 전송하고, 단말 장치로부터 토큰을 수신하고,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토큰이 가전기기에 전송한 토큰과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권한을 부여하는바, 실제 가전기기의 근처의 사용자에 한해 안전하게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권한을 부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1과 같은 제어 방법은, 도 6 또는 도 7의 구성을 가지는 서버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서버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비일시적인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0: 무선 설정 시스템 100: 가전기기
200: 단말 장치 300: 서버
400: 액세스 포인트

Claims (20)

  1. 가전기기에 있어서,
    복수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방법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AP(Access Point)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단말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가 접속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무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3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도록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가전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 장치와의 무선 연결을 확립하는 가전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법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통신 방법이고,
    상기 제2 통신 방법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한 통신 방법이고,
    상기 제3 통신 방법은, 무선랜(Wireless LAN)을 이용한 통신 방법인 가전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는
    SSID 및 패스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P 모드는 Hidden AP 모드인 가전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외부 서버에 상기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가전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무선 식별 정보는 상기 무선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시점에 따라 상이한 가전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토큰을 수신하고, 상기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수신한 토큰을 상기 단말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가전기기.
  9. 단말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상기 단말 장치가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가전기기의 기기정보를 획득하면 외부 서버로 상기 기기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고,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가전기기에 접속하고, 상기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가전기기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단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가전기기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토큰을 수신하면, 상기 외부 서버로 상기 수신한 토큰을 전송하여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권리 권한을 획득하는 단말 장치.
  11. 가전기기의 무선 연결 방법에 있어서,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AP(Access Point)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단말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가 접속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무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3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연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 장치와의 무선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연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법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통신 방법이고,
    상기 제2 통신 방법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한 통신 방법이고,
    상기 제3 통신 방법은, 무선랜(Wireless LAN)을 이용한 통신 방법인 무선 연결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는
    SSID 및 패스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연결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P 모드는 Hidden AP 모드인 무선 연결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외부 서버에 상기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연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무선 식별 정보는 상기 무선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시점에 따라 상이한 무선 연결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토큰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수신한 토큰을 상기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연결 방법.
  19. 단말 장치의 무선 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가전기기의 기기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외부 서버로 상기 기기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가전기기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가전기기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연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가전기기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토큰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서버로 상기 수신한 토큰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권리 권한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연결 방법.
KR1020180169054A 2018-12-26 2018-12-26 가전기기, 단말 장치 및 이의 무선 연결 방법 KR20200079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054A KR20200079674A (ko) 2018-12-26 2018-12-26 가전기기, 단말 장치 및 이의 무선 연결 방법
PCT/KR2019/014486 WO2020138686A1 (ko) 2018-12-26 2019-10-30 가전기기, 단말 장치 및 이의 무선 연결 방법
US17/309,355 US11689385B2 (en) 2018-12-26 2019-10-30 Home appliance, terminal device, and wireless connec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054A KR20200079674A (ko) 2018-12-26 2018-12-26 가전기기, 단말 장치 및 이의 무선 연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674A true KR20200079674A (ko) 2020-07-06

Family

ID=7112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054A KR20200079674A (ko) 2018-12-26 2018-12-26 가전기기, 단말 장치 및 이의 무선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89385B2 (ko)
KR (1) KR20200079674A (ko)
WO (1) WO20201386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183A1 (ko) * 2022-05-11 2023-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 장치의 등록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56689A (ja) * 2021-03-31 2022-10-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送信方法
FR3134492A1 (fr) * 2022-04-08 2023-10-13 Orange Procédé d’ajout d’un objet communicant à un réseau de communication sans fi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7394B2 (ja) 2008-03-21 2014-02-05 Jnc株式会社 光配向剤、配向膜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素子
KR101867813B1 (ko) * 2011-04-12 2018-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관리를 위한 서버시스템 및 온라인 서비스
KR101276861B1 (ko) 2011-07-2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20130084014A (ko) * 2012-01-16 2013-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RU2533310C2 (ru) 2012-11-08 2014-11-20 Корпорация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Вспомогательный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беспроводных сигналов мобильными устройствами
TWI514902B (zh) * 2013-11-15 2015-12-21 環旭電子股份有限公司 智慧家電之無線網路設定方法及系統
KR102218295B1 (ko) * 2014-02-06 202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 기기,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CN105578557A (zh) * 2015-12-15 2016-05-1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传输路由信息的方法及装置
KR101980039B1 (ko) 2018-03-26 2019-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자동 등록 시스템 및 방법
KR101870875B1 (ko) 2018-04-12 2018-06-26 (주)아이렉스넷 저전력 기반 lpwa 무선통신 센서장치 제어 방법
CN108833228A (zh) 2018-06-21 2018-11-16 合肥美菱股份有限公司 物联网冰箱的无线网络参数设置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183A1 (ko) * 2022-05-11 2023-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 장치의 등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89385B2 (en) 2023-06-27
US20220021554A1 (en) 2022-01-20
WO2020138686A1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018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based on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EP2975871B1 (en) Processing provisioning sim profile
CN107251596B (zh) 信息处理装置、通信***和通信方法
EP3672148B1 (en) Home appliance,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home appliance and network connection method of home appliance
JP6231044B2 (ja) 電子的加入者識別モジュール(eSIM)のアプリケーション識別情報の取り扱い
EP3193518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gram
CN112566050B (zh) 附件无线设备的蜂窝服务账户转移
KR101793443B1 (ko) 스마트 기기의 관리 계정 설정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US96031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im devices with embedded SIM functionality
US11075895B2 (en) Cloud operation interface sharing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KR20200079674A (ko) 가전기기, 단말 장치 및 이의 무선 연결 방법
TW201611644A (zh) 電子用戶身分模組選擇
CN104780154A (zh) 设备绑定方法和装置
CN104302014A (zh) 连接Wi-Fi热点的方法和装置
JP2019114910A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216331B1 (ko) 화상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CN108848469B (zh) 群组建立方法、***、切换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US20140321446A1 (en) Connection informatio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N111788840B (zh) 利用无线局域网服务来认证设备的方法和设备
EP3759955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s for provisioning or controlling operator profiles in terminals
KR102137422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KR20180135232A (ko) 전자장치,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및 시스템
US1192182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KR102128278B1 (ko) 가입자 인증 모듈의 공장 초기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US20230283994A1 (en) Automatic Control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