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214A -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및 안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및 안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214A
KR20200071214A KR1020180158662A KR20180158662A KR20200071214A KR 20200071214 A KR20200071214 A KR 20200071214A KR 1020180158662 A KR1020180158662 A KR 1020180158662A KR 20180158662 A KR20180158662 A KR 20180158662A KR 20200071214 A KR20200071214 A KR 20200071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vehicle
safety
retractor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7190B1 (ko
Inventor
이홍희
장승혁
정대익
김은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8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1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60R22/14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incorporating enlarged restraint areas, e.g. vests, nets, crash pads, optionally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시트백의 내부에 마련되고, 안전줄의 일단이 고정되어 감기며 안전줄의 타단이 시트백의 전면부를 향해 연장된 리트랙터; 탑승자의 몸통을 감싸는 의류 형상이고, 착좌시 시트백의 전면부와 접하는 후방부가 안전줄의 타단과 연결된 웨어러블 벨트; 리트랙터를 감는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구동부; 및 탑승자의 몸통이 시트백에 밀착되어야 하는 경우 구동부를 동작시켜 안전줄이 리트랙터를 통해 감기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및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및 안전시스템 {WEARABLE SAFETY DEVICE AND SYSTEM FOR VEHICLE }
본 발명은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구속장치로서, 차량 내 움직임 및 활동성이 보장되는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구속장치 분야에서 시트백 또는 유아용 카시트의 안전벨트는 안전벨트의 착용시 차량 내에서 탑승자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따라서, 탑승자는 차량 내에서 거동이 불편하게 되고, 차량을 통한 장시간 이동시에는 멀미 및 근육통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구속장치라 하더라도 차량의 충돌 또는 충돌예상상황에 탑승자의 이동을 구속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차량의 이동시 또는 정차시에는 탑승자의 거동을 가능하도록 하여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안전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또한, 자율주행 차량의 경우 실내에서 탑승자의 거주성과 활동성이 필요하며 동시에 안전장치도 필요한바, 이러한 점들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871164 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구속장치 분야에서 차량 내 움직임 및 활동성이 보장되는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는, 시트백의 내부에 마련되고, 안전줄의 일단이 고정되어 감기며 안전줄의 타단이 시트백의 전면부를 향해 연장된 리트랙터; 탑승자의 몸통을 감싸며 조끼를 포함하는 의류 형상이고, 착좌시 시트백의 전면부와 접하는 후방부가 안전줄의 타단과 연결된 웨어러블 벨트; 리트랙터를 감는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구동부; 및 탑승자의 몸통이 시트백에 밀착되어야 하는 경우 구동부를 동작시켜 안전줄이 리트랙터를 통해 감기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줄의 타단 또는 웨어러블 벨트의 후방부 중 일측에는 만입부가 형성된 체결구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만입부에 대응되는 체결핀이 형성되며, 체결핀이 체결구의 만입부에 삽입되어 리트랙터의 안전줄과 웨어러블 벨트가 연결될 수 있다.
체결핀의 일단에는 외경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체결구의 만입부 입구에는 돌기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며, 체결핀의 삽입 후 회전시 돌기가 만입부의 내부에서 걸려 이탈이 방지됨으로써 웨어러블 벨트가 리트랙터에 구속될 수 있다.
체결핀의 끝단에는 자석이 마련되고, 체결구의 내부에는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는 전자석이 마련되며, 제어부의 전자석 작동시 자석과 전자석이 정렬되며 체결핀과 체결구가 결합될 수 있다.
체결구는 일측에 체결구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가 마련되고, 체결핀이 고정되어야 하는 경우 회전기구가 동작하여 체결구가 일측으로 회전되어 체결핀의 이탈이 방지되고, 체결핀이 해체되어야 하는 경우 회전기구가 동작하여 체결구가 타측으로 회전하여 체결핀이 이탈될 수 있다.
웨어러블 벨트의 후방부에는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고, 와이어의 타단은 안전줄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웨어러블 벨트의 후방부에는 텐션릴이 마련되고 텐션릴에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며, 와이어는 텐션릴에 의해 항상 웨어러블 벨트측으로 감기는 방향으로 장력이 걸릴 수 있다.
리트랙터는 복수개가 마련되고 각각의 리트랙터마다 안전줄이 마련되며, 복수의 안전줄은 각각 웨어러블 벨트의 이격된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안전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웨어러블 벨트의 후방부 중 탑승자의 목 하단부에 대응되는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안전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웨어러블 벨트의 후방부 중 탑승자의 등 중앙부에 대응되는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안전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웨어러블 벨트의 후방부 중 탑승자의 골반부에 대응되는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안전줄의 타단은 시트백의 설치공간까지 연장되고, 시트백의 설치공간에는 체결구 또는 체결핀이 위치되며, 시트백의 설치공간 전면에는 커버가 마련되어 내장된 체결구 또는 체결핀의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시스템은, 차량의 충돌 또는 충돌예상상황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감지센서로부터 충돌 또는 충돌예상 신호를 수신한 경우 탑승자의 몸통이 시트백에 밀착되어야 하는 경우로 판단하고 구동부를 동작시킴으로써 리트랙터를 감아 탑승자의 몸통이 시트백에 밀착되도록 하는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시스템의 제어부는 구동부의 초기 제어시 리트랙터를 감는 방향으로 제어하고, 후기 제어시 리트랙터가 풀릴 수 있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및 안전시스템에 따르면,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며 동시에 차량 내 움직임 및 활동성이 보장될 수 있다.
특히, 탑승자의 몸통 크기에 따라 웨어러블 벨트 의류 형상의 크기를 다르게 제작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카시트 없이도 유아가 착용 가능한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의 안전줄이 리트랙터에 감겨 탑승자가 시트백에 구속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의 리트랙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의 체결핀 및 체결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의 커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의 리트랙터가 복수개 마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의 안전줄이 리트랙터에 감겨 탑승자가 시트백에 구속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의 리트랙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의 체결핀 및 체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의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의 리트랙터가 복수개 마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3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는 시트백(S)의 내부에 마련되고, 안전줄(L)의 일단이 고정되어 감기며 안전줄(L)의 타단이 시트백(S)의 전면부를 향해 연장된 리트랙터(100); 탑승자의 몸통을 감싸며 조끼를 포함하는 의류 형상이고, 착좌시 시트백(S)의 전면부와 접하는 후방부가 안전줄(L)의 타단과 연결된 웨어러블 벨트(200); 리트랙터(100)를 감는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구동부(300); 및 탑승자의 몸통이 시트백(S)에 밀착되어야 하는 경우 구동부(300)를 동작시켜 안전줄(L)이 리트랙터(100)를 통해 감기도록 하는 제어부(400);를 포함된다. 종래에 차량용 안전벨트는 착용시에 탑승자에게 압박감을 느끼게 하고 차량 내 이동이 제한되어 장시간 이동시에는 탑승자에게 불편함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이동시 또는 정차시에 안전줄(L)의 여유길이를 확보하여 탑승자가 시트로부터 이탈하여 차량 내에서 어느 정도의 거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탑승자의 안전이 확보되어야 하는 경우 제어부(400)를 통해 구동부(300)를 동작시켜 안전줄(L)이 리트랙터(100)를 통해 감기게 된다. 이와 같은 구동부(30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 등의 제어가 가능하다. 결국, 도 2 내지 3과 같이 안전줄(L)이 리트랙터(100)에 감기는 방향(A)으로 구동부(300)가 회전되는 경우, 탑승자의 몸통이 시트백(S)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사고시 안전벨트의 기능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 내지 2와 같이 본 발명의 웨어러블 벨트(200)는 탑승자의 몸통을 감싸는 의류 형상이므로 탑승자의 몸통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가 제작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조끼 타입의 형상이 탑승자에게 있어 간편할 것이며, 조끼는 X밴드 형상일 수도 있고 몸통 전체를 감싸는 형상일 수도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탑승자의 몸통을 감싸도록 구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웨어러블 벨트(200)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카시트 없이도 유아가 착용 가능한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율주행 차량에서도 거주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및 4와 같이 안전줄(L)의 타단 또는 웨어러블 벨트(200)의 후방부 중 일측에는 만입부가 형성된 체결구(C)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만입부에 대응되는 체결핀(P)이 형성되며, 체결핀(P)이 체결구(C)의 만입부에 삽입되어 리트랙터(100)의 안전줄(L)과 웨어러블 벨트(200)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핀(P)의 일단에는 외경방향으로 돌출된 돌기(P1)가 형성되고, 체결구(C)의 만입부 입구에는 돌기(P1)에 대응되는 홈(C1)이 형성되며, 체결핀(P)의 삽입 후 회전시 돌기(P1)가 만입부의 내부에서 걸려 이탈이 방지됨으로써 웨어러블 벨트(200)가 리트랙터(100)에 구속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충돌시에 탑승자가 차량 외부로 튕겨나가지 않도록 최소한의 안전성을 제공하고, 안전줄(L)이 감기는 경우 탑승자의 몸통이 시트백(S)에 밀착되지 않는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체결핀(P) 및 체결구(C)의 구조는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가 가능하다.
또한, 도 4와 같이 체결핀(P)의 끝단에는 자석(P2)이 마련되고, 체결구(C)의 내부에는 제어부(400)에 의해 동작하는 전자석(C2)이 마련되며, 제어부(400)의 전자석(C2) 작동시 자석(P2)과 전자석(C2)이 정렬되며 체결핀(P)과 체결구(C)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벨트(200)를 리트랙터(100)와 결합시키는 경우 전자석(C2)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전자석(C2)과 자석(P2)의 결합을 유도한다. 즉, 탑승자가 웨어러블 벨트(200)를 착용 후에 웨어러블 벨트(200)의 후방부를 시트백(S)의 전면부에 위치시키면 체결핀(P) 및 체결구(C)가 올바른 위치에서 정렬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웨어러블 벨트(200)를 리트랙터(100)와 분해하는 경우에는 전자석(C2)에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전자석(C2)과 자석(P2)의 결합이 해체되는 것이다. 전자석(C2)의 경우 통전이 이루어지면 자력이 발생되는데, 전자석(C2)의 작동은 차량의 시동 또는 운행 시작과 동시에 하는 것도 가능하고, 해당 시트에 승객이 착좌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시작하는 것도 가능하며, 카메라 센서 등을 통하여 해당 시트의 탑승자가 웨어러블 벨트(200)를 입은 경우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4와 같이 체결구(C)는 일측에 체결구(C)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C3)가 마련되고, 체결핀(P)이 고정되어야 하는 경우 회전기구(C3)가 동작하여 체결구(C)가 일측으로 회전되어 체결핀(P)의 이탈이 방지되고, 체결핀(P)이 해체되어야 하는 경우 회전기구(C3)가 동작하여 체결구(C)가 타측으로 회전하여 체결핀(P)이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체결구(C)의 회전을 통해서 체결구(C) 및 체결핀(P)의 결합 및 해체를 제어함으로써, 탑승자가 수동으로 체결핀(P) 또는 체결구(C)를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회전기구(C3)의 경우에는 모터, 전자석, 솔레노이드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정회전과 역회전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과 같이 웨어러블 벨트(200)의 후방부에는 와이어(240)의 일단이 연결되고, 와이어(240)의 타단은 안전줄(L)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벨트(200)의 후방부에는 텐션릴(220)이 마련되고 텐션릴(220)에 와이어(240)의 일단이 연결되며, 와이어(240)는 텐션릴(220)에 의해 항상 웨어러블 벨트(200)측으로 감기는 방향으로 장력이 걸린다. 이와 같은 텐션릴(220)의 내부에는 스파이럴 형상의 판스프링이 내재되어 웨어러블 벨트(200)측으로 와이어를 항상 당기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240)는 텐션릴(220)에 내장된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항상 감기는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와이어를 별도로 정리하지 않더라도 와이어가 항상 깔끔하게 수납되는 장점이 있다. 물론, 탑승자의 몸통이 시트백(S)에 밀착되어야 하는 경우 안전줄(L)과 함께 와이어(240)도 리트랙터(100)를 통해 감기도록 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한다.
한편, 도 6과 같이 리트랙터(100)는 복수개가 마련되고 각각의 리트랙터(100)마다 안전줄(L)이 마련되며, 복수의 안전줄(L)은 각각 웨어러블 벨트(200)의 이격된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안전줄(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웨어러블 벨트(200)의 후방부 중 탑승자의 목 하단부에 대응되는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충돌시 상체 중 머리 부분의 변위가 가장 크기 때문에 목 아래 부분을 구속함으로써 승객의 변위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안전줄(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웨어러블 벨트(200)의 후방부 중 탑승자의 등 중앙부에 대응되는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탑승자의 몸통이 관성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안전줄(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웨어러블 벨트(200)의 후방부 중 탑승자의 골반부에 대응되는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탑승자의 골반 자체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여 별도의 랩벨트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안전줄(L)을 다양한 지점에 연결함으로써 성별에 따른 신체구조 또는 몸통 크기의 차이에 따라서 웨어러블 벨트(200)를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와 같이 안전줄(L)의 타단은 시트백(S)의 설치공간(T)까지 연장되고, 시트백(S)의 설치공간(T)에는 체결구(C) 또는 체결핀(P)이 위치되며, 시트백(S)의 설치공간(T) 전면에는 커버(S1)가 마련되어 내장된 체결구(C) 또는 체결핀(P)의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구(C) 또는 체결핀(P)의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탑승자의 착좌시 체결구(C) 또는 체결핀(P)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결국, 접촉으로 인한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커버(S1)를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시트백(S)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착좌시 이물감이 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시스템으로서, 도 1 내지 2와 같이 차량의 충돌 또는 충돌예상상황을 감지하는 감지센서(500);를 포함하고, 제어부(400)는 감지센서(500)로부터 충돌 또는 충돌예상 신호를 수신한 경우 탑승자의 몸통이 시트백(S)에 밀착되어야 하는 경우로 판단하고 구동부(300)를 동작시킴으로써 리트랙터(100)를 감아 탑승자의 몸통이 시트백(S)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지센서(500)는 충돌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경우 차량의 가속도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충돌예상을 감지하기 위한 경우에는 카메라 또는 레이더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루프나 룸미러, 사이드미러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구동부(300)의 초기 제어시 도 3과 같이 리트랙터(100)를 감는 방향(A)으로 제어하고, 후기 제어시 리트랙터(100)가 풀릴 수 있도록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충돌 또는 충돌예상상황의 초기 제어시 리트랙터(100)를 감아 탑승자를 시트백(S)에 구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충돌 후 일정시간이 지난 후기 제어시에는 리트랙터(100)가 어느정도 풀릴 수 있게 하여 탑승자가 차량의 전방 방향으로 받는 관성을 완화시킬 수 있게 하고, 충돌이 모두 종료된 후에는 웨어러블 벨트(200)와 안전줄(L)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하기 위해서 체결구(C) 및 체결핀(P)을 시트백(S) 외부로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리트랙터 200 : 웨어러블 벨트
220 : 텐션릴 240 : 와이어
300 : 구동부 400 : 제어부
500 : 감지센서 S : 시트백
S1 : 커버 T : 설치공간
L : 안전줄 C : 체결구
P : 체결핀

Claims (14)

  1. 시트백의 내부에 마련되고, 안전줄의 일단이 고정되어 감기며 안전줄의 타단이 시트백의 전면부를 향해 연장된 리트랙터;
    탑승자의 몸통을 감싸며 조끼를 포함하는 의류 형상이고, 착좌시 시트백의 전면부와 접하는 후방부가 안전줄의 타단과 연결된 웨어러블 벨트;
    리트랙터를 감는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구동부; 및
    탑승자의 몸통이 시트백에 밀착되어야 하는 경우 구동부를 동작시켜 안전줄이 리트랙터를 통해 감기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안전줄의 타단 또는 웨어러블 벨트의 후방부 중 일측에는 만입부가 형성된 체결구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만입부에 대응되는 체결핀이 형성되며, 체결핀이 체결구의 만입부에 삽입되어 리트랙터의 안전줄과 웨어러블 벨트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체결핀의 일단에는 외경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체결구의 만입부 입구에는 돌기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며, 체결핀의 삽입 후 회전시 돌기가 만입부의 내부에서 걸려 이탈이 방지됨으로써 웨어러블 벨트가 리트랙터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체결핀의 끝단에는 자석이 마련되고, 체결구의 내부에는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는 전자석이 마련되며, 제어부의 전자석 작동시 자석과 전자석이 정렬되며 체결핀과 체결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체결구는 일측에 체결구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가 마련되고, 체결핀이 고정되어야 하는 경우 회전기구가 동작하여 체결구가 일측으로 회전되어 체결핀의 이탈이 방지되고, 체결핀이 해체되어야 하는 경우 회전기구가 동작하여 체결구가 타측으로 회전하여 체결핀이 이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웨어러블 벨트의 후방부에는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고, 와이어의 타단은 안전줄의 타단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웨어러블 벨트의 후방부에는 텐션릴이 마련되고 텐션릴에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며, 와이어는 텐션릴에 의해 항상 웨어러블 벨트측으로 감기는 방향으로 장력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리트랙터는 복수개가 마련되고 각각의 리트랙터마다 안전줄이 마련되며, 복수의 안전줄은 각각 웨어러블 벨트의 이격된 지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복수의 안전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웨어러블 벨트의 후방부 중 탑승자의 목 하단부에 대응되는 지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복수의 안전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웨어러블 벨트의 후방부 중 탑승자의 등 중앙부에 대응되는 지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복수의 안전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웨어러블 벨트의 후방부 중 탑승자의 골반부에 대응되는 지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안전줄의 타단은 시트백의 설치공간까지 연장되고, 시트백의 설치공간에는 체결구 또는 체결핀이 위치되며, 시트백의 설치공간 전면에는 커버가 마련되어 내장된 체결구 또는 체결핀의 노출이 방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13. 제 1항의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시스템으로서,
    차량의 충돌 또는 충돌예상상황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감지센서로부터 충돌 또는 충돌예상 신호를 수신한 경우 탑승자의 몸통이 시트백에 밀착되어야 하는 경우로 판단하고 구동부를 동작시킴으로써 리트랙터를 감아 탑승자의 몸통이 시트백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구동부의 초기 제어시 리트랙터를 감는 방향으로 제어하고, 후기 제어시 리트랙터가 풀릴 수 있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시스템.
KR1020180158662A 2018-12-10 2018-12-10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및 안전시스템 KR102647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662A KR102647190B1 (ko) 2018-12-10 2018-12-10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및 안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662A KR102647190B1 (ko) 2018-12-10 2018-12-10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및 안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214A true KR20200071214A (ko) 2020-06-19
KR102647190B1 KR102647190B1 (ko) 2024-03-13

Family

ID=7113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662A KR102647190B1 (ko) 2018-12-10 2018-12-10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및 안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1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804A (ko) * 1994-08-24 1996-03-22 오오가 노리오 디스크형 기록 매체 조립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 조립 방법
KR20120040408A (ko) * 2010-10-19 2012-04-27 주식회사 삼송 신체 사이즈에 의해 모터의 구동력을 조절하는 차량의 시트벨트
KR20160082561A (ko) * 2014-12-30 2016-07-08 김동현 전자석을 이용한 차량용 안전벨트
KR101871164B1 (ko) 2017-07-14 2018-06-27 김민선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804A (ko) * 1994-08-24 1996-03-22 오오가 노리오 디스크형 기록 매체 조립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 조립 방법
KR20120040408A (ko) * 2010-10-19 2012-04-27 주식회사 삼송 신체 사이즈에 의해 모터의 구동력을 조절하는 차량의 시트벨트
KR20160082561A (ko) * 2014-12-30 2016-07-08 김동현 전자석을 이용한 차량용 안전벨트
KR101871164B1 (ko) 2017-07-14 2018-06-27 김민선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190B1 (ko) 202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3363B2 (ja) 4点式シートベルト装置。
US5123673A (en) Seat belt system for a vehicle seat
EP1790540A1 (en) Seat belt retractor, seat belt apparatus, and vehicle with seat belt apparatus
JP2007290423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5389545B2 (ja) 全方位型シートベルト装置
JP6364436B2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US9902354B2 (en) Vehicle pre-crash seat belt device
CN110304012A (zh) 车辆座椅安全带装置
CN111267773A (zh) 改进的四点式安全带和包括该四点式安全带的车辆
JP2007045189A (ja) シートベルト装着補助装置
JP2004130920A (ja)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3796961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20200071214A (ko)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및 안전시스템
JP4917510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7196881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3891057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6284273B2 (ja) 車両用シート
US4268816A (en) Safety alarm system for an automatic seat belt
JP2001163148A (ja) エアベルトのガイド装置
JP6825417B2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ガイド構造
JP2007137177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767626B2 (ja) シートベルトの有効拘束限界警報装置
JPH0215000Y2 (ko)
JP2005186633A (ja) シートベルト装置およびその作動方法
JP2007210432A (ja) 車両用エア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