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164B1 -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164B1
KR101871164B1 KR1020170089570A KR20170089570A KR101871164B1 KR 101871164 B1 KR101871164 B1 KR 101871164B1 KR 1020170089570 A KR1020170089570 A KR 1020170089570A KR 20170089570 A KR20170089570 A KR 20170089570A KR 101871164 B1 KR101871164 B1 KR 101871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body member
lower body
length
position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선
김부선
김태수
Original Assignee
김민선
김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선, 김부선 filed Critical 김민선
Priority to KR1020170089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60R22/14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incorporating enlarged restraint areas, e.g. vests, nets, crash pads, optionally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깨 벨트와 랩 벨트를 구비한 안전벨트를 갖춘 차량에서 착용자를 구속하기 위한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은, 착용자의 상체 부분으로 연장되고, 전방에서 착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 어깨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어깨 벨트를 수용하는 어깨 벨트 홀더를 구비하는 상체 부재, 착용자의 하체 부분으로 연장되고, 전방에서 착용자의 골반 영역 또는 다리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랩 벨트를 수용하는 랩 벨트 홀더를 구비하는 하체 부재, 및 상기 상체 부재와 상기 하체 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상체 부재와 상기 하체 부재가 서로 겹쳐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 {VEST TYPE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본 발명은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착용자의 신장에 맞추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사고는 어린이 사망의 주된 원인 중 하나로 남아있다. 어린이와 함께 탑승하여 운전하는 경우, 도로 사고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잠재적인 상해로부터 그들을 보호하도록 차량의 좌석에 탑승자의 몸을 구속하여 보호하는 것이 안전하다.
비록 차량에는 탑승자에게 상당한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 벨트를 갖추고 있으나, 이러한 안전 벨트는 성인의 신체에 맞추어진 것으로 몸이 작은 아동에게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아동을 추가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보조 구속 시스템을 사용한다. 종래에 사용되는 보조 구속 시스템으로 부스터 시트와 같은 시트형 보조 구속 시스템이 있고, 특허문헌 1과 같은 조끼형 차량안전벨트 보조구가 있다. 이러한 보조 구속 시스템으로 아동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보조 구속 시스템을 아동의 신체의 사이즈에 좁은 범위 내로 맞추어 단단히 구속하여야 한다.
그러나, 아동의 신체에 맞추어 보조 구속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성장에 맞추어 보조 구속 시스템을 매번 바꾸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너무 커버린 아이들에게는 부스터 시트의 사용은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이다.
KR 20-0463003 Y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동의 성장에 맞추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자동차, 비행기와 같은 운송 수단의 이용 중 간단한 방식으로 기존의 안전 벨트에 장착하여 아동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깨 벨트와 랩 벨트를 구비한 안전벨트를 갖춘 차량에서 착용자를 구속하기 위한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은, 착용자의 상체 부분으로 연장되고, 전방에서 착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 어깨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어깨 벨트를 수용하는 어깨 벨트 홀더를 구비하는 상체 부재, 착용자의 하체 부분으로 연장되고, 전방에서 착용자의 골반 영역 또는 다리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랩 벨트를 수용하는 랩 벨트 홀더를 구비하는 하체 부재, 및 상기 상체 부재와 상기 하체 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상체 부재와 상기 하체 부재가 서로 겹쳐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체 부재는 착용자의 몸통의 앞 부분으로 연장되는 상체 전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체 부재는 착용자의 앞 부분에서 무릎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체 전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체 전방 부재는 그 하부 단부에 상기 하체 전방 부재의 상부 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 조절 부재는, 상기 포켓의 내부와 상기 하체 전방 부재의 상부 단부에 양측 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연결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서로 겹쳐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 연결부는, 탄성 밴드, 직물 밴드 및 탄성 밴드와 직물 밴드가 중첩된 중첩 밴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 부재는, 상기 포켓의 내부와 상기 하체 전방 부재의 상부 단부에 서로 마주하는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서로 체결 또는 해제가 가능하고, 상대적인 체결 위치를 조절하여 서로 겹쳐지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제1 위치 결정부와 제2 위치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결정부와 제2 위치 결정부는 암형 벨크로와 수형 벨크로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결정부와 제2 위치 결정부는 서로 나란한 형태 또는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상체 부재는, 착용자의 몸통의 앞 부분의 좌측과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1 전방 부재와 제2 전방 부재, 및 상기 제1 전방 부재와 제2 전방 부재를 착용자의 몸통의 뒷 부분을 따라 연결하는 후방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하체 부재는, 상기 제1 전방 부재와 제2 전방 부재의 하부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착용자의 무릎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전방 부재와 제4 전방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방 부재, 착용자의 등 영역, 및 상기 제2 전방 부재에 거쳐 착용자의 흉부 영역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며, 일단과 타단에는 서로 체결 또는 해제가 가능한 제1 잠금 부재 및 제2 잠금 부재를 각각 구비한 제1 스트랩 부재, 상기 후방 부재로부터 상기 제1 스트랩 부재까지 연장된, 하나 이상의 제2 스트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랩 부재는, 상기 후방 부재에 결합되며 제3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고정 단부, 상기 고정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스트랩 부재에 형성된 개방형 포켓를 통과하여 지나가는 개방 루프, 및 상기 개방 루프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3 위치 결정부에 대해 체결 또는 해제가 가능한 제4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자유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체 부재의 내부에 상기 어깨 벨트 홀더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충격 흡수 부재, 상기 하체 부재의 내부에 상기 랩 벨트 홀더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2 충격 흡수 부재, 상기 상체 부재의 내부에 상기 어깨 벨트 홀더에 하체 부재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충격 흡수 부재, 및 상기 하체 부재의 내부에 상기 랩 벨트 홀더에 상체 부재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충격 흡수 부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체 부재 또는 하체 부재의 내부에 폼 또는 패딩 형태의 충격 흡수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착용자와 접촉하는 내부면은 평면이 되도록, 상기 상체 부재 또는 하체 부재에서 상기 내부면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동의 성장에 맞추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비행기와 같은 운송 수단의 이용 중 간단한 방식으로 기존의 안전 벨트에 장착하여 아동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부재의 길이 조절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의 배면도이고, 도 9b는 제1 스트랩 부재와 제2 스트랩 부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의 착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의 착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1)은, 착용자의 상체 부분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상체 부재(10), 착용자의 하체 부분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하체 부재(20), 및 상기 상체 부재(10)의 하부 단부와 상기 하체 부재의 상부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길이 조절 부재(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1)은 일반적으로 안전 벨트, 차량의 경우 좌석 벨트를 사용하여 탑승자를 구속하도록 형성된다. 자동차 또는 비행기 등과 같이 안전 벨트가 사용되는 곳에서, 탑승자를 구속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좌석 벨트는 2가지 구역의 벨트로 구성되며, 한 구역은 어깨 벨트로서 작동하고, 다른 구역은 랩 벨트로서 작동한다. 어깨 벨트는 탑승자의 몸통 영역을 거쳐 지나며, 랩 벨트는 탑승자의 무릎을 거쳐 지나간다. 일반적인 좌석 벨트는 3점 구속 시스템으로 작동한다. 좌석 벨트는 성인의 신체에 맞추어져 있으므로, 영 유아나 어린이와 같은 아동에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조 구속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상기 보조 구속 시스템은 아동의 연령, 체중 및 신장 등에 맞추어 그에 맞는 구속력을 제공하여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1)은 조끼 형태를 가지며, 어깨 벨트와 랩 벨트를 포함하는 좌석 벨트에 결합하여 이를 착용한 아동에게 그에 맞는 구속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아동의 연령, 체중 및 신장 등에 맞추어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이를 착용한 아동에게 최적화된 구속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1)은 상체 부재(10)와 하체 부재(20)를 포함한다. 상체 부재(10)는 착용자의 상체 부분의 전부 또는 일부로 연장되어 상체 부분을 구속하며, 하체 부재(20)는 착용자의 하체 부분의 전부 또는 일부로 연장되어 하체 부분을 구속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체 부재(10)는 착용자의 몸통에 맞추어 이를 보호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체 부재(10)는 전방에 착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 어깨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어깨 벨트를 수용하는 어깨 벨트 홀더(110, 120)를 구비한다.
상기 어깨 벨트 홀더(110, 120)들 중 어느 하나에 어깨 벨트가 고정되어 착용자의 몸통의 전방을 가로질러 지나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1)을 착용한 착용자의 몸통에 대해 전방으로 구속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방 부재(11), 제2 전방 부재(13) 또는 둘 다에 어깨 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어깨 벨트 홀더(110, 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어깨 벨트 홀더(110, 120) 중 어느 하나에 안전 벨트의 어깨 벨트(BS)(도 11 참조)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어깨 벨트(BS)가 탑승자의 흉부 영역을 구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착용자의 좌측 어깨 벨트 홀더(12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벨트 홀더는 상체 부재(10)에서 착용자의 좌측 및/또는 우측 어깨 영역에 배치되며, 제3 잠금 부재와 이에 연결된 스트랩으로 구성되는 제1 홀더(117)와, 상기 제3 잠금 부재에 체결되는 제4 잠금 부재와 이에 연결된 스트랩으로 구성되는 제2 홀더(118)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어깨 벨트(BS)가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한 어깨 벨트 홀더(120) 내부로 지나가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3 잠금 부재와 제4 잠금 부재를 체결하면, 제1 홀더(117)와 제2 홀더(118)가 연결되어, 상기 어깨 벨트(BS)가 이탈되지 않게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1)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도 11 및 도 12 참조).
또한, 어깨 벨트 홀더(120)는 상기 제1 홀더(117)와 제2 홀더(118)를 각각 덮도록 형성된 제1 덮개(111)와 제2 덮개(113)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1 덮개(111)와 제2 덮개(113)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암형 벨크로(116)와 수형 벨크로(115)가 형성되어 서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제1 홀더(117)와 제2 홀더(118)로 어깨 벨트(BS)를 고정한 후에, 제1 덮개(111)와 제2 덮개(113)로 덮어 다시 한번 고정하고 이들을 감추어, 아동이 제1 홀더(117)와 제2 홀더(118)를 가지고 놀면서 풀린다거나 제1 홀더(117)와 제2 홀더(118)가 아동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의 경우 착용자의 좌측 어깨 벨트 홀더(120)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위와 같은 제1 홀더, 제2 홀더, 제1 덮개 및 제2 덮개와 같은 구성은 우측 어깨 벨트 홀더(110)에도 적용될 수도 있고, 후술하는 랩 벨트 홀더들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체 부재(20)는 상기 상체 부재(10)로부터 연장되며 착용자의 하체 부분, 무릎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체 부재(20)는 전방에 착용자의 골반 영역 또는 다리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랩 벨트를 수용하는 랩 벨트 홀더(130, 140)를 구비한다. 그에 따라, 상기 랩 벨트 홀더(130, 140)에 랩 벨트가 고정되어 착용자의 전방의 골반 영역 또는 다리 영역을 가로질러 지나가면서 구속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체 부재(20)에는 랩 벨트 홀더(130, 140)에 의해 랩 벨트(BL)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도 11 참조). 랩 벨트 홀더(130, 140)는, 하체 부재(20)에서 착용자의 양측 상부 다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제5 잠금 부재와 이에 연결된 스트랩으로 구성되는 제3 홀더(131)와, 상기 제5 잠금 부재에 체결되는 제6 잠금 부재와 이에 연결되는 스트랩으로 구성되는 제4 홀더(1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랩 벨트(BL)가 좌/우의 랩 벨트 홀더(130, 140)를 거쳐 지나가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5 잠금 부재와 제6 잠금 부재를 체결하면, 상기 제3 홀더(113)와 제4 홀더(133)가 연결되어, 랩 벨트(BL)가 이탈되지 않게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1)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3 전방 부재(21)와 상기 제4 전방 부재(23)에 랩 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랩 벨트 홀더(130, 14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체 부재(20)는 상기 상체 부재(10)에 대하여 기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무릎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12 참조).
그에 따라, 상기 랩 벨트(BL)는 착용자의 다리 영역을 구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랩 벨트(BL)가 착용자의 복부 영역을 지나가는 경우, 차량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랩 벨트(BL)에 의하여 아동의 복부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으며, 이는 내장 파열 등의 복부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랩 벨트 홀더(130, 140)는 상기 상체 부재(10)에 대하여 기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져 골반 영역부터 무릎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체 부재(20)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의 충격이 복부 영역에 전달되지 않고 다리 영역으로 분산되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아동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 할 수 있는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체 부재(10)는, 착용자의 몸통의 앞 부분의 좌측과 우측으로 연장되는 상체 전방 부재(제1 전방 부재(11)와 제2 전방 부재(13)), 및 상기 상체 전방 부재(제1 전방 부재(11)와 제2 전방 부재(13))를 착용자의 몸통의 뒷 부분을 따라 연결하는 후방 부재(1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방 부재(11), 제2 전방 부재(13) 및 후방 부재(15)는 착용자의 목과 머리를 수용하기 위한 목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목 개구는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1)을 착용하는 착용자의 머리와 목을 수용하기 위한 충분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탑승자가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1)을 착용하는 경우, 제1 전방 부재(11)와 제2 전방 부재(13)는 탑승자의 좌측 및 우측의 흉부 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후방 부재(15)는 탑승자의 후방 좌/우 어깨와 목 영역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체 부재(20)는, 상기 상체 전방 부재(제1 전방 부재(11)와 제2 전방 부재(13))의 하부 단부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무릎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체 전방 부재(제3 전방 부재(21)와 제4 전방 부재(23))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체 부재(10)와 하체 부재(20)는 자연 직물, 합성 섬유, 직물 등의 탄성 중합체 물질, 자연 가죽, 합성 가죽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의복 구성에 적합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어린이에게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은, 상기 상체 부재(10)와 상기 하체 부재(20)에 각각 연결되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상체 부재(10)와 상기 하체 부재(20)가 서로 겹쳐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길이 조절 부재(30)를 더 포함한다.
길이 조절 부재(30)를 통하여, 아동의 신체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1)을 교체할 필요가 없이, 상체 부재(10)와 하체 부재(20) 사이의 서로 겹쳐지는 길이를 조절하여 전체 보조 구속 시스템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임일 수 있다.
하체 부재(20)의 전체 길이는 미리 제조되어 정해진 길이를 가지므로, 하체 부재(20)와 상체 부재(10)가 겹쳐지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하체 부재(20)가 아래 방향으로 인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어린이가 성장하면 어린이의 키에 맞추어 하체 부재(20)를 아래 방향으로 인출하여 전체 길이를 늘려서, 상체 부재(10)는 아동의 신체 크기에 맞추어 상체 영역을 구속하고, 하체 부재(20)는 아동의 하체 영역을 구속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 부재(30)는 상기 상체 부재(10)와 하체 부재(20)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부재(3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체 부재(10) 중 제1 전방 부재(11)와 이에 연결된 제3 전방 부재(21)의 앞면(도 2의 (a))과 뒷면(도 2의 (b))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의 경우 상체 부재(10) 내부의 포켓(H)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전방 부재(11)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부분 절개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부재(30)는, 상기 상체 부재(10)와 상기 하체 부재(20)에 양측 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연결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서로 겹쳐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연결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체 부재(10)와 상기 하체 부재(20)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며, 연결부(31)의 상기 연결 길이를 조절하여 서로 겹쳐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1)는, 탄성 밴드, 직물 밴드 및 탄성 밴드와 직물 밴드가 중첩된 중첩 밴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방 부재(11)에 대해 상기 제3 전방 부재(21)를 잡아당기거나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제3 전방 부재(21)의 인출 길이 또는 삽입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방 부재(11)와 제3 전방 부재(21)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전방 부재(13)와 제4 전방 부재(23) 사이의 길이 조절 부재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체 부재(10)(도 2의 경우 제1 전방 부재(11))의 하부 단부에는 포켓(H)이 형성되고, 상기 하체 부재(20)(도 2의 경우 제3 전방 부재(21))의 상부 단부(21u)는 상기 포켓(H)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하체 부재(20)가 상기 포켓(H)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31)의 연결 길이를 조절하여 서로 겹쳐지는 길이(즉, 삽입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31)는 상기 포켓(H)의 내부로부터 (즉, 포켓의 상부 단부(Hu)로부터) 제3 전방 부재(21)의 상부 단부(21u)까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부재(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1 전방 부재(11)와 이에 연결된 제3 전방 부재(21)의 앞면(도 3의 (a))과 뒷면(도 3의 (b))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의 경우 내부 구성을 명확히 도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전방 부재(11)의 앞면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제2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길이 조절 부재(30)는, 연결부(31)와, 상기 상체 부재(10)와 상기 하체 부재(20)에 서로 겹쳐지는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서로 체결 또는 해제가 가능한 제1 위치 결정부(35)와 제2 위치 결정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길이 조절 부재(30)는, 상기 상체 부재(10)와 상기 하체 부재(20)에 서로 겹쳐지는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서로 체결 또는 해제가 가능하고, 상대적인 체결 위치를 조절하여 서로 겹쳐지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제1 위치 결정부(35)와 제2 위치 결정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결정부(35)와 제2 위치 결정부(33)는 서로 나란한 형태 또는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결정부(35)와 제2 위치 결정부(33)는 암형 벨크로와 수형 벨크로로 각각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대적인 체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가 이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켓(H)의 내면에 형성된 제1 위치 결정부(35)와 이와 마주하는 하체 부재(20)(도 3의 경우 제3 전방 부재(21))의 상부 단부면에 형성된 제2 위치 결정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결정부(35)에 대해 제2 위치 결정부(33)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하체 부재(20)가 상기 포켓(H)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 또는 삽입된 상태로 고정 시킬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하체 부재(20)(도 3의 경우 제3 전방 부재(21))의 길이방향 길이가 L0라 하면, 제1 위치 결정부(35)와 제2 위치 결정부(33) 사이의 위치를 조절하여 포켓(H)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 길이(I1)을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체 부재(20)(도 3의 경우 제3 전방 부재(21))가 인출되는 인출 길이(L1)을 조절하여, 상체 부재(10)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져 착용자의 다리 부분으로 연장되는 하체 부재(20)(도 3의 경우 제3 전방 부재(21))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착용자의 앉은 키가 커지는 경우에도, 제품을 새로 교체할 필요가 없이, 길이 조절 부재(3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체 부재는 착용자의 상체 부분을 구속하고 하체 부재는 착용자의 하체 부분을 구속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착용자의 앉은키에 따라 길이 조절 부재(3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경우 제1 전방 부재(11)와 제3 전방 부재(21)를 기준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전방 부재(13)와 제4 전방 부재(23)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착용자의 앉은 키가 가장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3 전방 부재(21)의 길이방향 길이가 L0인 경우, 제3 전방 부재(21)를 포켓(H) 내부로 넣어 상기 제1 위치 결정부(35)와 제2 위치 결정부(33)로 상기 제1 전방 부재(11)에 대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3 전방 부재(21)의 삽입 길이(I1)는 길고, 인출 길이(L1)는 짧게 형성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착용자의 앉은 키가 커지는 경우, 상기 제3 전방 부재(21)의 길이방향 길이 L0는 미리 정해져 제공되므로, 상기 제3 전방 부재(21)를 포켓(H)으로부터 빼내어 상기 제1 위치 결정부(35)와 제2 위치 결정부(33)로 상기 제1 전방 부재(11)에 대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3 전방 부재(21)의 삽입 길이(I2)는 도 4의 (a)의 경우보다 작아지고, 인출 길이(L2)는 도 4의 (a)의 경우보다 길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31)의 신장 길이(d2)는 도 4의 (a)의 경우보다 길어지게 된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착용자의 앉은 키가 더욱 커지는 경우, 상기 제3 전방 부재(21)의 길이방향 길이 L0는 미리 정해져 제공되므로, 상기 제3 전방 부재(21)를 포켓(H)으로부터 최대한 빼내어 상기 제1 위치 결정부(35)와 제2 위치 결정부(33)로 상기 제1 전방 부재(11)에 대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3 전방 부재(21)의 삽입 길이(I3)는 도 4의 (b)의 경우보다 작아지고, 인출 길이(L3)는 도 4의 (b)의 경우보다 길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31)의 신장 길이(d3)는 도 4의 (b)의 경우보다 길어지게 된다.
그에 따라, 제3 전방 부재(21)의 삽입 길이, 인출 길이와, 상기 연결부(31)의 신장 길이는 아래 [식 1]과 같이 커지거나 작아지게 된다.
[식 1]
L1 < L2 < L3
I1 > I2 > I3
d1 < d2 < d3
결국, 상기 제3 전방 부재(21)의 제1 전방 부재(11)에 대한 삽입 길이와 인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착용자의 성장에 따라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1)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부 부재의 포켓을 구성하는 제1 면(201a)과 제2 면(201b)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제1 면(201a)과 제2 면(201b)은 봉제선(a)를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봉제되어 사용된다. 상기 상체 부재의 하부 단부에는 포켓이 형성되어, 하체 부재(202)의 상부 단부가 이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면(201a)과 제2 면(201b)으로 구성되는 포켓의 깊이(P1)는 대략 5 내지 15 cm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략 10 cm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부재는, 상기 포켓의 내부와 상기 하체 부재의 상부 단부에 양측 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연결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서로 겹쳐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연결부(203) 및 제2 연결부(20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부(203)와 제2 연결부(204)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축 가능한 탄성 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길이 조절 부재는, 상기 포켓의 내부와 상기 하체 부재의 상부 단부에 서로 마주하는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서로 체결 또는 해제가 가능하고, 상대적인 체결 위치를 조절하여 서로 겹쳐지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암형 벨크로와 수형 벨크로 형태의, 제1 위치 결정부(233)와 제2 위치 결정부(235)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위치 결정부(233)는 상기 하체 부재(203)의 상부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체 부재(203)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기 설정된 제1 거리(S1)만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리(S1)은 대략 2cm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결정부(233)의 보조 구속 시스템의 길이 방향의 폭(V1)은 대략 4 cm, 보다 구체적으로 대략 3.8 cm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 결정부(235)는 상기 포켓에서 상기 하체 부재(203)와 마주하는 제2 면(201b)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켓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기 설정된 제2 거리(S2)만큼, 일 예로 대략 3 cm, 보다 구체적으로 2.2 cm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위치 결정부(235)의 보조 구속 시스템의 길이 방향의 폭(V2)는 대략 4cm, 보다 구체적으로 대략 3.8 cm가 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의 경우, 포켓의 깊이(P1)가 대략 10 cm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포켓의 상부 단부로부터 하체 부재(202)까지의 제1 연결부(203) 및 제2 연결부(204)의 길이(r1 + S1)은 대략 4 cm 내지 6 cm 범위 내로 신축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위치 결정부(233) 및 제2 위치 결정부(235) 길이 방향의 폭(V1, V2)가 대략 3.8 cm이고, 제2 위치 결정부(235)가 포켓의 하부 단부로부터 대략 2.2 cm만큼 떨어진 제2 거리(S2)로 이격되어 배치된 경우(즉 포켓의 상부 단부로부터 대략 4 cm 떨어져 배치된 경우), 제1 연결부(203) 및 제2 연결부(204)가 신축되지 않으면(대략 4 cm의 길이를 갖는 경우), 제1 위치 결정부(233)와 제2 위치 결정부(235)는 서로 완전히 겹쳐지게 된다.
그리고 제1 연결부(203) 및 제2 연결부(204)가 최대한으로 신축되면(대략 6 cm의 길이를 갖는 경우), 상기 제1 위치 결정부(233)와 제2 위치 결정부(235)는 서로 대략 2 cm, 보다 구체적으로 1.8 cm 겹쳐지게 된다. 그리고, 최대한으로 집어 넣어 상기 포켓의 상부 단부와 상기 하체 부재(202)의 상부 단부가 맞닿게 되는 경우 2 cm, 보다 구체적으로 대략 1.8 cm가 겹쳐지게 된다.
즉, 이 경우 사용자는 최대한 집어 넣은 상태로부터 최대한 신축된 상태까지 대략 6cm 범위 내에서 상기 하체 부재(203)의 인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 위치 결정부(233)와 제2 위치 결정부(235)의 서로 겹쳐지는 길이는 대략 2 cm 내지 4 cm, 보다 구체적으로 대략 1.8 cm 내지 3.8 cm내로 보장하여 상기 하체 부재(203)를 상기 포켓 내부에 안정적으로 탈부착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연결부(203) 및 제2 연결부(204)의 길이(r1 + S1)은 대략 3 cm 내지 6 cm 범위 내로 신축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품의 요구 사항에 따라 다양한 범위 내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신축되지 않으면 서로 완전히 겹쳐지게 되고, 최대한으로 신축되면 대략 1 cm, 보다 구체적으로 0.8 cm 겹쳐지게 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부 부재의 포켓을 구성하는 제2 면(201b)을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제1 면(201a)과 제2 면(201b)은 봉제선(a)를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봉제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우측의 경우 이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다.
상기 상체 부재의 하부 단부에는 포켓(201a, 201b)이 형성되어, 하체 부재(202)의 상부 단부가 이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부재는, 상기 포켓(201a, 201b)의 내부와 상기 하체 부재(202)의 상부 단부에 양측 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연결 길이를 조절하여 포켓(201a, 201b)과 하체 부재(202) 사이의 서로 겹쳐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연결부(203), 제2 연결부(204), 제3 연결부(206) 및 제4 연결부(20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부(203)와 제3 연결부(206)가 서로 중첩되며, 상기 제2 연결부(204)와 제4 연결부(207)가 중첩되어 중첩 밴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3 연결부(203, 206)과 제2 및 제4 연결부(204, 207)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203)와 제3 연결부(206)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밴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203)와 제3 연결부(206)를 덮는 상기 제3 연결부(206)와 제4 연결부(207)는 웨빙 된 형태의 직물 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203)와 제3 연결부(206)가 직물 밴드로 구성되고, 이들을 덮는 제3 연결부(206)와 제4 연결부(207)가 탄성 밴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3 연결부(203, 206)과 제2 및 제4 연결부(204, 207)의 하부 단부는 상기 하체 부재(202) 상에 직물 밴드 형태의 고정 밴드(205)로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직물 밴드와 탄성 밴드가 서로 중첩되어 중첩 밴드로서 제공되므로, 탄성 밴드에 의해 제1 및 제3 연결부(203, 206)과 제2 및 제4 연결부(204, 207)는 기 설정된 길이까지 신축 가능하나, 직물 밴드에 의해 최대 신축 길이 이상으로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정적으로 하체 부재를 상체 부재에 연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부 부재의 포켓을 구성하는 제1 면(201a)과 제2 면(201b)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제1 면(201a)과 제2 면(201b)은 봉제선(a)를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봉제되어 사용된다.
상기 상체 부재의 하부 단부에는 포켓이 형성되어, 하체 부재(202)의 상부 단부가 이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부재는, 상기 포켓의 내부와 상기 하체 부재의 상부 단부에 서로 마주하는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서로 체결 또는 해제가 가능하고, 상대적인 체결 위치를 조절하여 서로 겹쳐지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암형 벨크로와 수형 벨크로 형태의, 제1 위치 결정부(243)와 제2 위치 결정부(245)를 포함한다.
도 5의 제3 실시예의 경우 제1 위치 결정부(233)와 제2 위치 결정부(235)는 서로 나란한 형태로 배치되나, 도 7의 제5 실시예의 경우 제1 위치 결정부(243)과 제2 위치 결정부(245)는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5 실시예의 경우 제1 위치 결정부(243)의 길이 방향의 폭(V3)의 대략 4 cm 보다 구체적으로 3.8 cm 인 경우, 상기 제2 위치 결정부(245)의 길이 방향 폭(V4)는 대략 7 cm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위치 결정부(243)는 하체 부재(202)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대략 2 cm 떨어져 배치되고, 제2 위치 결정부(245)는 포켓의 제2 면(201b)에 포켓의 상부 단부(봉제선(a))으로부터 대략 2 cm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체 부재(202)의 상부 가장자리가 포켓의 봉제선(a)에 맞닿는 경우 제1 위치 결정부(243)와 제2 위치 결정부(245)는 대략 4 cm, 보다 구체적으로 3.8 cm 겹쳐진 상태로 체결되며, 최대한으로 인출되는 경우에는 대략 3 cm, 보다 구체적으로 대략 2.8 cm 겹쳐진 상태로 체결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위치 결정부(243)와 제2 위치 결정부(245)가 서로 체결되어 겹쳐지는 간격을 최대한으로 확보하여 제1 위치 결정부(243)와 제2 위치 결정부(245)의 체결 안정성을 확보하여 하체 부재가 상체 부재 또는 포켓으로부터 쉽게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길이 조절 부재는, 선택적으로, 상기 포켓의 내부와 상기 하체 부재의 상부 단부에 양측 단부가 각각 연결된 제1 연결부(206) 및 제2 연결부(20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206) 및 제2 연결부(207)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축 가능한 웨빙 형태의 직물 밴드 또는 탄성 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1)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1)은 상기 제1 전방 부재(11), 착용자의 등 부분, 및 상기 제2 전방 부재(13)에 거쳐 연장되며, 일단과 타단에는 서로 체결 및 해제 가능한 제1 잠금 부재(161a) 및 제2 잠금 부재(161b)를 각각 구비하여 제공되는 제1 스트랩 부재(1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깨 벨트 홀더(110, 120)의 제3 잠금 부재, 제4 잠금 부재와 랩 벨트 홀더(130, 140)의 제5 잠금 부재, 제6 잠금 부재, 상기 제1 잠금 부재(161a) 및 제2 잠금 부재(161b) 중 하나 이상에는, 버클, 측면 분리형 잠금 장치, 스냅 파스너, 스냅 버튼 파스너 등 본 기술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잠금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잠금 장치들은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충격으로 인해 소재의 강도 한계보다 더 큰 힘이 가해지면 구부러지지 않고 파손되도록 형성되는 합성 플라스틱, 탄소 섬유 또는 기타 복합 소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차량의 충돌에 의해 한계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잠금 장치들은 충격을 흡수하여 부서지도록 형성되어, 착용자가 어깨 벨트(BS) 및 랩 벨트(BL)를 쉽게 분리하거나, 착용자가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을 벗어, 탈출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착용자가 어깨 벨트 및 랩 벨트의 고장에 의해 탈출하지 못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체 부재(10) 및 하체 부재(20)가 도시된 실시 예에서처럼 좌/우가 분리된 경우, 상기 제1 스트랩 부재(161)를 통하여 체결 또는 해제함으로써 착용자가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1)을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스트랩 부재(161)는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가슴 둘레 또는 복부 둘레에 맞추어 상기 제1 스트랩 부재(161)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1)은 상기 후방 부재(15)로부터 상기 제1 스트랩 부재(161)까지 연장된, 하나 이상의 제2 스트랩 부재(162, 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트랩 부재(162, 163)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b는 상기 제2 스트랩 부재(162, 163) 중 하나의 제2 스트랩 부재(163)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제2 스트랩 부재(162)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스트랩 부재(162, 163)는, 상기 후방 부재에 결합되며 제3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고정 단부(163a), 상기 고정 단부(163a)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스트랩 부재(161)에 형성된 개방형 포켓(161p, 161q)를 통과하여 지나가는 개방 루프(163c), 및 상기 개방 루프(163c 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3 위치 결정부에 대해 체결 또는 해제가 가능한 제4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자유 단부(16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유 단부와 이와 마주하는 고정 단부에, 일 예로 암형 벨크로와 수형 벨크로인, 제3 위치 결정부와 제4 위치 결정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자유 단부를 고정 단부 방향 스트랩 부분에 원하는 위치에 부착함으로써 개방 루프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트랩 부재(161)와 상기 제2 스트랩 부재(162, 163)이 연결되는 부분에, 등받이 부(167)를 더 포함하여 착용자의 등 부분을 보호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스트랩 부재(162, 163)에서 개방 루프가 형성되는 부분에 등받이 부(167)가 고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자유 단부가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등받이 부(167)의 위치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즉,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등받이 부(167)를 올리거나 내려 맞추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후방 부재(15)가 등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지 않아도, 착용자의 상체 부분을 안정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1)은 상체 부재, 하체 부재에 하나 이상의 충격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쿠션 또는 패딩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상기 어깨 벨트 홀더(110, 120)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전방 부재(11), 제2 전방 부재(13) 또는 둘 다의 내부에 쿠션 또는 패딩 형태의 제1 충격 흡수 부재(151)를 포함할 수 있다. 어깨 벨트 홀더에 의해 어깨 벨트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랩 벨트 홀더(130, 140)에 대응하는 상기 제3 전방 부재(21)와 제4 전방 부재(23)의 내부에 쿠션 또는 패딩 형태의 제2 충격 흡수 부재(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안전 벨트의 어깨 벨트가 지나갈 수 있는 상기 제1 전방 부재(11) 및/또는 제2 전방 부재(13)의 어깨 벨트 홀더(110, 120)의 하체 부재 방향(20)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충격 흡수 부재(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깨 벨트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체 부재(20)의 내부에 상기 랩 벨트 홀더(130, 140)에 상체 부재(10)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충격 흡수 부재(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충격 흡수 부재(153)와 제4 충격 흡수 부재(157)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그 사이의 구부러짐을 도울 수 있다.
즉, 착용자가 앉았을 때에 하체 부재가 상체 부재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로 구부러지게 되는 데, 상기 제2 충격 흡수 부재와 제4 충격 흡수 부재 사이의 위치에서 구부러지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원하는 부분만을 구부림으로써 랩 벨트가 복부 방향으로 배치되지 않고 다리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부분에 충격 흡수 부재가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 내지 제4 충격 흡수 부재들과 같은 충격 흡수 부재들로, 발포체, 오픈 셀 발포체 등의 다양한 형태의 쿠션 또는 패딩이 사용될 수 있다. 패딩 또는 발포체들은 가로지르는 형태의 구획 요소를 구비하여 제공될 수 있다. 구획 요소들은 원하는 유연성 또는 구부러짐을 달성하도록 상기 상체 부재 또는 하체 부재의 외부 표면을 바느질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획 요소들은 쿠션 또는 패딩이 적절한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면, 쿠션 또는 패딩과 함께 바느질 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체 부재 또는 하체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폼 또는 패딩 형태의 충격 흡수 부재들은, 착용자와 접촉하는 내부면은 평면이 되도록, 상기 상체 부재 또는 하체 부재에서 상기 내부면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8에서와 같이 착용자와 직접 접촉하는 내부면은 평평한 상태가 되어 착용의 편안함을 제공하고, 외부면으로 충격 흡수 부재들이 돌출되어 안전 벨트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체 부재(10) 또는 하체 부재(20)로부터 연장되어 착용자의 다리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3 스트랩 부재(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상기 제3 스트랩 부재(164)의 일단과 타단은 제1 스트랩 부재(161) 상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3 스트랩 부재(164)는 하체 부재(20)의 내면에 형성된 고리(165)를 통과하여 지나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상체 부재(10)는 착용자의 흉부 부분과 복부 부분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체 부재(20)는 상기 상체 부재(10)에 대하여 기 설정된 각도로 배치되어 골반 영역으로부터 무릎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리고, 상기 제1 전방 부재(11)와 제3 전방 부재(21)가 착용자의 우측 부분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전방 부재(13)와 제4 전방 부재(23)가 착용자의 좌측 부분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착용자에게 조끼와 같이 착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방 부재(11)와 제3 전방 부재(21)는 그 사이의 겹쳐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착용자의 우측 흉부 부분과 다리 부분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전방 부재(13)와 제4 전방 부재(23)도 마찬가지로 서로 겹쳐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착용자의 좌측 흉부 부분과 다리 부분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체 부재(20)(제3 전방 부재(21)와 제4 전방 부재(23))는 착용자의 무릎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하체 부재(20)와 상기 제3 스트랩 부재(164)는 함께 착용자의 양쪽 다리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양쪽 다리 영역을 각각 구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랑이 사이로 지나는 스트랩의 경우 착용자의 다리 영역을 각각 구속할 수 없다. 그러나, 다리 위로 연장되는 하체 부재(20)와 다리 밑으로 연장되는 제3 스트랩 부재(164)를 통하여 다리를 구속함으로써, 착용자에게 구속력을 제공하여 보다 안전하게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보조 구속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구속 시스템은 아동에게 쉽게 착용 될 수 있다. 즉, 탑승 전에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을 착용하여, 제1 스트랩 부재(161)를 잠그고, 제3 스트랩 부재(164)에 양측 다리를 고정하고, 안전 벨트의 어깨 벨트(Bs)와 랩 벨트(BL)를 어깨 벨트 홀더와 랩 벨트 홀더에 각각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구속 시스템에 의하면, 어깨 벨트(BS)와 랩 벨트(BL)가 아동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어깨 벨트(BS)가 아동에게 직접 접촉하는 경우 신장이 작은 아동의 경우 목 부분을 지나가게 되어, 충돌 시 경추 손상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착용자의 흉부 부분에 형성되는 어깨 벨트 홀더(110, 120)로 어깨 벨트(BS)를 고정함으로써, 아동의 목 부분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랩 벨트(BL)가 아동에게 직접 접촉하는 경우 신체가 작은 아동의 경우 복부 부분을 지나가게 되어, 충돌 시 복부 내장 손상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착용자의 랩 벨트 홀더(130, 140)가 착용자의 다리 부분을 지나가가도록 형성되어, 아동의 복부 부분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패딩 또는 쿠션 등을 사용하여 잠금 장치들이 아동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잠금 장치와 아동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잠금 장치에는 선택적으로 덮개가 형성되어 아동이 이를 가지고 놀거나 아동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체 부재와 하체 부재 사이에 길이 조절 부재를 형성하여, 착용자의 성장에 따라 키가 커지더라도, 하체 부재의 인출 길이를 조절하여 보조 구속 시스템을 바꾸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보조 구속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소비자에게 착용자의 성장에 따라 보조 구속 시스템을 바꾸는 번거로움을 제공하고 사용 수명이 길고, 다양한 아동에게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 효율성이 높은 보조 구속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구속 시스템은, 다양한 크기의 자동차, 버스, 비행기, 롤러 코스터와 같은 놀이 기구에 적용되어, 다양한 아동에 맞추어 아동에게 구속력을 제공할 수 있다.
10: 상체 부재
11: 제1 전방 부재
13: 제2 전방 부재
15: 후방 부재
20: 하체 부재
21: 제3 전방 부재
23: 제4 전방 부재
30: 길이 조절 부재
31: 연결부
33: 제2 위치 결정부
35: 제1 위치 결정부

Claims (11)

  1. 어깨 벨트와 랩 벨트를 구비한 안전벨트를 갖춘 차량에서 착용자를 구속하기 위한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으로서,
    착용자의 상체 부분으로 연장되고, 전방에서 착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 어깨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어깨 벨트를 수용하는 어깨 벨트 홀더를 구비하는 상체 부재;
    착용자의 하체 부분으로 연장되고, 전방에서 착용자의 골반 영역 또는 다리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랩 벨트를 수용하는 랩 벨트 홀더를 구비하는 하체 부재; 및
    상기 상체 부재와 상기 하체 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상체 부재와 상기 하체 부재가 서로 겹쳐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체 부재는 착용자의 몸통의 앞 부분으로 연장되는 상체 전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체 부재는 착용자의 앞 부분에서 무릎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체 전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체 전방 부재는 그 하부 단부에 상기 하체 전방 부재의 상부 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 조절 부재는, 상기 포켓의 내부와 상기 하체 전방 부재의 상부 단부에 양측 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연결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서로 겹쳐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탄성 밴드, 직물 밴드 및 탄성 밴드와 직물 밴드가 중첩된 중첩 밴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 부재는,
    상기 포켓의 내부와 상기 하체 전방 부재의 상부 단부에 서로 마주하는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서로 체결 또는 해제가 가능하고, 상대적인 체결 위치를 조절하여 서로 겹쳐지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제1 위치 결정부와 제2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결정부와 제2 위치 결정부는 암형 벨크로와 수형 벨크로로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결정부와 제2 위치 결정부는 서로 나란한 형태 또는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부재는, 착용자의 몸통의 앞 부분의 좌측과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1 전방 부재와 제2 전방 부재, 및 상기 제1 전방 부재와 제2 전방 부재를 착용자의 몸통의 뒷 부분을 따라 연결하는 후방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하체 부재는, 상기 제1 전방 부재와 제2 전방 부재의 하부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착용자의 무릎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전방 부재와 제4 전방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 부재, 착용자의 등 영역, 및 상기 제2 전방 부재에 거쳐 착용자의 흉부 영역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며, 일단과 타단에는 서로 체결 또는 해제가 가능한 제1 잠금 부재 및 제2 잠금 부재를 각각 구비한 제1 스트랩 부재;
    상기 후방 부재로부터 상기 제1 스트랩 부재까지 연장된, 하나 이상의 제2 스트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랩 부재는,
    상기 후방 부재에 결합되며 제3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고정 단부,
    상기 고정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스트랩 부재에 형성된 개방형 포켓를 통과하여 지나가는 개방 루프, 및
    상기 개방 루프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3 위치 결정부에 대해 체결 또는 해제가 가능한 제4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자유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부재의 내부에 상기 어깨 벨트 홀더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충격 흡수 부재;
    상기 하체 부재의 내부에 상기 랩 벨트 홀더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2 충격 흡수 부재;
    상기 상체 부재의 내부에 상기 어깨 벨트 홀더에 하체 부재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충격 흡수 부재; 및
    상기 하체 부재의 내부에 상기 랩 벨트 홀더에 상체 부재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충격 흡수 부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부재 또는 하체 부재의 내부에 폼 또는 패딩 형태의 충격 흡수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착용자와 접촉하는 내부면은 평면이 되도록, 상기 상체 부재 또는 하체 부재에서 상기 내부면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
KR1020170089570A 2017-07-14 2017-07-14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 KR101871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570A KR101871164B1 (ko) 2017-07-14 2017-07-14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570A KR101871164B1 (ko) 2017-07-14 2017-07-14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164B1 true KR101871164B1 (ko) 2018-06-27

Family

ID=62790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570A KR101871164B1 (ko) 2017-07-14 2017-07-14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1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214A (ko) 2018-12-10 2020-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및 안전시스템
KR20220118701A (ko) * 2021-02-19 2022-08-26 주식회사 마노 영유아용 안전조끼,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
KR20230118327A (ko) 2022-02-04 2023-08-1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끼형 안전벨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003Y1 (ko) 2010-07-26 2012-10-12 김대길 조끼형 차량안전벨트 보조구
KR20150004083U (ko) * 2014-04-30 2015-11-09 유현욱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모자
KR20160055238A (ko) * 2013-09-12 2016-05-17 김민선 6점 구속 방식의 개선된 보조 구속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003Y1 (ko) 2010-07-26 2012-10-12 김대길 조끼형 차량안전벨트 보조구
KR20160055238A (ko) * 2013-09-12 2016-05-17 김민선 6점 구속 방식의 개선된 보조 구속 시스템
KR20150004083U (ko) * 2014-04-30 2015-11-09 유현욱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모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214A (ko) 2018-12-10 2020-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및 안전시스템
KR20220118701A (ko) * 2021-02-19 2022-08-26 주식회사 마노 영유아용 안전조끼,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
KR102509733B1 (ko) * 2021-02-19 2023-03-15 주식회사 마노 영유아용 안전조끼,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
KR20230118327A (ko) 2022-02-04 2023-08-1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끼형 안전벨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3622A (en) Infant&#39;s car seat
US5074588A (en) Child safety restraint
US3301594A (en) Safety harness
US4951965A (en) Vehicle seat belt retainer for a child
EP0347505B1 (en) Child&#39;s safety restraining vest
US5215354A (en) Vehicle safety restraint
US8210617B2 (en) Child restraint system
US20120217786A1 (en) Support device for vehicle child seat belt
KR101871164B1 (ko)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
KR20160055238A (ko) 6점 구속 방식의 개선된 보조 구속 시스템
KR101225929B1 (ko) 차량용 유아안전시트
US5727814A (en) Motor vehicle safety restraint blanket
EP2321147B1 (en) Child support strap
KR20160149328A (ko) 어린이 안전시트로 사용가능한 차량용 보조시트
ES2774688T3 (es) Dispositivo de retención de cinturón de seguridad
US7270347B1 (en) Seatbelt attachment for use by pregnant women
US20050110316A1 (en) Vehicle safety device
KR20180002971U (ko) 유아용 카시트
KR102201179B1 (ko) 차량 좌석의 등받이와 안전시트 등받이 사이의 공간이 벌이지지 않게 고정되어 안전성이 향상된 안전시트.
KR100975112B1 (ko) 유아용 차량안전벨트 보조구
KR200463003Y1 (ko) 조끼형 차량안전벨트 보조구
KR200424593Y1 (ko) 다용도 안전조끼
CN111319582A (zh) 用于车辆的睡眠辅助靠垫
KR102668214B1 (ko) 휴대용 안전벨트
US20160221531A1 (en) Ergonomic restraint har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