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462A - 족장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족장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462A
KR20200068462A KR1020180155480A KR20180155480A KR20200068462A KR 20200068462 A KR20200068462 A KR 20200068462A KR 1020180155480 A KR1020180155480 A KR 1020180155480A KR 20180155480 A KR20180155480 A KR 20180155480A KR 20200068462 A KR20200068462 A KR 20200068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riarch
protruding
connecting device
fasten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9619B1 (ko
Inventor
정우돈
Original Assignee
정우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돈 filed Critical 정우돈
Priority to KR1020180155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619B1/ko
Publication of KR20200068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04G5/062Console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build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족장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족장용 연결장치는, 족장피스와 족장 브라켓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족장용 연결장치로서,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영역에 형성되는 체결공;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족장용 연결장치{CONNECTOR FOR INSTALLING SCAFFOLDING}
본 발명은 족장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족장을 설치할 때 족장피스와 족장 브라켓을 연결하는 데에 사용하는 족장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족장은 건물 건축이나 선박 건조시에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이다. 재료운반이나 작업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 역할을 한다. 비계(scaffolding)라고도 한다.
족장을 설치할 때에는 설치벽면 또는 설치대상물에 족장 브라켓을 고정하고(예를 들어 외팔보 형상으로 고정하고), 그 족장 브라켓 위에 족장판을 올려놓음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족장판은 외력에 의해 쉽게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족장 브라켓에는 지주 역할의 난간(또는 스텐션)과 핸드레일 역할의 가로대가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족장판 위를 통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이 담보될 수 있다.
한편, 족장 브라켓을 설치벽면에 고정할 때에는 족장피스를 매개로 한다. 족장피스는 설치벽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구조물이다.
즉, 설치벽면에 고정된 족장피스와 족장 브라켓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족장의 설치를 위한 기초대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족장 브라켓은 족장, 스텐션, 핸드레일 등 높은 하중을 버티는 구조물에 해당한다. 필요한 통행로의 길이에 따라, 여러 개의 족장들, 스텐션들, 핸드레일들이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때에도 요구되는 안전하중을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기존에는 족장피스와 족장 브라켓을 서로 체결함에 있어서, 볼트/너트를 주로 활용하였다. 통상 위쪽에 하나 아래쪽에 하나 해서 상하로 견고하게 잡아줌으로써 족장피스와 족장 브라켓의 체결력을 높였다.
그러나 이는 전통적 방식에 해당하여 작업 편의성은 그다지 높지 않다. 통상 선박 건조시에는 수십개에서 수백여개에 이르는 족장을 설치하게 되는데, 건조를 마친 후 족장을 제거해야하는 일까지 고려하면 설치 작업자(비계공)의 작업량은 크게 증가한다. 이는 결국 건조 기간과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족장 설치의 안전성을 담보함과 동시에 설치 작업의 편의성을 갖는 족장용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연결장치는 족장피스와 족장 브라켓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족장용 연결장치로서,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영역에 형성되는 체결공;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의 일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마주하는 제2 방향으로 돌설된 한 쌍의 돌설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돌설부들은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오프셋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돌설부들이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오프셋된 거리는 동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돌설부들은, 상기 체결핀에 가까이 위치하는 제1 돌설부 및 상기 체결핀으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제2 돌설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돌설부들은 상기 체결핀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의 양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슬롯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부들은 상기 돌설부들의 변형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슬롯부들은, 상기 체결핀에 가까이 위치하는 제1 슬롯부 및 상기 체결핀으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제2 슬롯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설부, 상기 제1 슬롯부, 상기 체결공, 상기 제2 슬롯부 및 상기 제2 돌설부가 순차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설부는 상기 슬롯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벤딩된 벤딩부를 통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돌설부들은 상기 베이스부와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설부는 상단이 양쪽은 높고 가운데로 갈수록 낮아지는 오목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핀은 나사산 없이 표면이 매끈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기술은 족장을 설치함에 있어서 기존과 같은 안전하중을 만족시키면서 동시에 설치 및 해체 작업의 편의성을 갖는 족장용 연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공사기간이나 건조기간을 단축시켜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족장용 연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족장이 설치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연결장치가 족장피스와 족장 브라켓을 서로 연결하는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연결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연결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연결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연결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연결장치가 서로 다른 크기의 머리부분을 갖는 볼트를 수용하는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연결장치가 서로 다른 크기의 머리부분을 갖는 볼트를 수용하는 또 다른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연결장치(100)를 이용하여 족장(1)이 설치벽면(IW)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족장(1)을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연결장치(100)가 족장피스(20)와 족장 브라켓(30)을 서로 연결하는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기 위해, 족장(1)을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족장이 설치되는 위치를 설치벽면이라고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족장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장소, 예를 들어, 선박의 블록일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족장(1)은, 족장판(10), 족장피스(20), 족장 브라켓(30), 스텐션(40), 핸드레일(50) 및 족장용 연결장치(100)를 포함한다.
설치벽면(IW)에 족장피스(20)가 구비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연결장치(100)(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결장치'라 함)를 이용하여 족장피스(20)에 족장 브라켓(30)을 연결할 수 있다.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족장 브라켓(30)에 스텐션(40)이 세워지고, 스텐션을 가로로 연결하는 핸드레일(50)이 다수개 설치됨으로써 족장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족장(1)은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공간 및 통행로를 확보하기 위해 매우 견고히 설치되어야 한다. 설치벽면(IW)으로부터 최초 연결 부위인 족장피스(20)가 일단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견고히 고정되어 있어야 하며, 족장피스(20)와 족장 브라켓(30)도 서로 견고히 체결되어야 한다.
연결장치(100)는 족장피스(20)와 족장 브라켓(30)를 서로 견고히 연결하는 데에 사용된다. 전체적으로, 연결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볼트/너트 체결을 위한 제1 고정구조(S1)를 제공한다. 제1 고정구조(S1)는 후술할 체결공(12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 아래에서 족장피스와 족장 브라켓을 관통하는 제2 고정구조(S2)를 제공한다. 제2 고정구조(S2)는 후술할 체결핀(13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구조(S1)와 제2 고정구조(S2)에 의해 족장피스와 족장 브라켓을 서로 견고히 체결할 수 있다.
한편, 체결핀은 예비 고정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족장 설치자는 족장 브라켓을 높은 곳으로 들고 올라가서 우선 연결장치의 체결핀을 족장피스와 족장 브라켓을 관통하는 홀(H, 도 2 참조)에 걸어두고, 양손을 자유롭게 이용하여 볼트/너트 체결 작업을 할 수 있다. 즉, 제2 고정 구조를 이용해 브라켓을 피스에 예비 고정해두고, 제1 고정 구조를 이용한 체결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고정구조가 상부에 위치하고, 제2 고정구조가 하부에 위치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하부 위치는 바뀔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볼트/너트가 전단응력을 버티는 힘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핀이 전단응력을 버티는 힘을 더 강하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볼트는 구조적으로 나사산을 가져야 해서 전단응력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중 전단응력이 보다 크게 작용하는 부분에 체결핀, 즉, 제2 고정구조가 위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연결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그 평면도를, 도 5는 그 측면도를, 그리고 도 6은 그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연결장치(100)는, 베이스부(110), 체결공(120), 체결핀(130) 및 한 쌍의 돌설부들(140)을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상술한 제1 고정구조 및 제2 고정구조 중 하나를 제공하기 위한 일영역과 다른 하나를 제공하기 위한 타영역을 갖는다. 일영역과 타영역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영역에 제1 고정구조의 체결공이, 타영역에 제2 고정구조의 체결핀이 제공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베이스부는 긴 타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중간 부분이 약간 잘록한 호리병 형상의 플레이트 구조물일 수도 있다. 호리병 형상은 타원형보다 설치자가 파지할 때 유리할 수 있다.
체결공(120)이 베이스부(110)의 일영역에 형성된다. 체결공(120)은 볼트(B)가 삽입되는 부분이므로 대체로 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원형 구조를 보다 명확히 도시하기 위해, 그리고 후술할 슬롯부들과의 경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도면에서 점선 부분이 함께 도시된다.
체결공은 베이스부를 타공 과정을 거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형으로 프레스 성형할 때 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핀(130)은 베이스부(120)의 타영역에 형성된다.
체결핀(130)은 베이스부의 타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향은 후술할 돌설부들이 돌출 형성되는 방향과 마주보는 방향에 해당한다.
체결핀(130)은 족장피스와 족장 브라켓의 센터가 맞춰졌을 때 그들을 관통하는 홀(H)에 삽입되는 부분이므로 대체로 원기둥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체결핀의 원기둥 구조는 표면에 어떠한 나사산 없이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나사산을 갖는 볼트 대비 전단응력에 버티는 힘을 증가시킨다. 체결핀은 내부가 꽉찬 원기둥 구조일 수 있다.
체결핀은 베이스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별도로 제조된 이후 베이스부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만약 베이스부에 결합홀(일영역에 형성되는 상술한 체결공에 대응하여 타영역에 동일한 크기의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이 형성된 경우라면, 체결핀을 결합홀에 용접할 수 있다. 결합홀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라도 체결핀과 베이스부를 마찰용접이나 스폿용접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돌설부들(140)은 베이스부(110)의 일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마주하는 제2 방향으로 돌설된다. 체결핀이 베이스부의 일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면, 돌설부들은 베이스부의 타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한 쌍의 돌설부들은 제1 돌설부(142)와 제2 돌설부(144)를 포함한다. 제1 돌설부가 체결핀에 보다 가깝게 위치한다. 제2 돌설부가 체결핀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한다.
한 쌍의 돌설부들은 볼트/너트 체결시 볼트(B)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돌설부들이 볼트의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볼트/너트 체결을 용이하게 한다.
한 쌍의 돌설부들(140)은 체결공(120)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오프셋된 위치에 마련된다. 체결공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된 거리가 도면에서 do로 참조된다. 각 돌설부들이 체결공으로부터 오프셋된 거리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돌설부들은 서로 최대로 멀리 이격된다.
이로써 체결공은 볼트(B)의 몸통부분(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을 수용하고, 돌설부들은 그 사이에 몸통부분보다 일반적으로 큰, 볼트(B)의 머리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한 쌍의 돌설부들(140)은 프레스 과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부를 금형으로 프레스 성형할 때, 상술한 체결공(120)과 한 쌍의 돌설부들(140)이 함께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돌설부들은 베이스부와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돌설부들(140)은 체결공(120)의 양측 부분을 위로 접어 올려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체결공에서 체결핀에 가까운 일측 부분을 위로 접어 올려줌으로써 제1 돌설부(142)가 형성되고, 체결공에서 체결핀으로부터 먼 타측 부분을 위로 접어 올려줌으로써 제2 돌설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제1 돌설부(142)와 제2 돌설부(144)는 체결공으로부터 일정 거리 오프셋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돌설부는 상단의 형상이 가운데가 오목지게 형성된다. 즉, 돌설부의 상단은 양쪽(e1, e2)이 높고 가운데(c)로 갈수록 낮아지는 오목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경우에도 볼트의 회전을 저지하기에 충분하다.
그리고, 체결공(120)의 양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슬롯부들(SL1, SL2)이 형성된다. 슬롯부들은 제1 슬롯부(SL1)와 제2 슬롯부(SL2)를 포함하며, 제1 슬롯부가 체결핀에 보다 가깝게 위치한다. 제2 슬롯부가 체결핀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한다.
슬롯부들은 체결공과 함께 베이스부의 일영역에 개방된 공간을 만든다. 슬롯부들과 체결공은 함께 하나의 개방된 공간을 만든다. 개방된 공간 중 체결공은 볼트 삽입에 관여하고, 개방된 공간 중 슬롯부들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돌설부의 변형 공간 제공에 관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돌설부들은 체결공의 양측 부분을 위로 접어 올려줌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1 돌설부(142)가 있던 자리에 제1 슬롯부(SL1)가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제2 돌설부(144)가 있던 자리에 제1 슬롯부(SL1)가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돌설부들에는 절곡된 부분이 존재한다. 각각 벤딩부(1421, 1441)로 참조된다. 도 6에서는 베이스부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절곡된 것으로 도시되나, 본 발명이 각도에 한정되지 않으며, 볼트의 머리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각도이면 충분하다.
돌설부들(140)이 형성되는 폭(W, 도 4 참조)은 체결공(120)이 형성되는 폭(D)보다 작을 수 있다. 체결공은 볼트가 삽입되어 직접 족장 구조물의 하중을 받치는 부분에 해당하지만, 돌설부들은 볼트/너트 체결시 볼트의 회전을 저지하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120)과 체결핀(130)은 베이스부(110)상에서 일렬로 배열된다. 이들에 대해 돌설부들(142, 144)도 일렬로 배열된다. 또한, 이들에 대해 슬롯부들(SL1, SL2)도 일렬로 배열된다. 베이스부의 타영역에서 일영역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체결핀(130), 제1 돌설부(142), 제1 슬롯(SL1), 체결공(120), 제2 슬롯(SL2) 및 제2 돌설부(144)가 순차로 배열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연결장치가 서로 다른 크기의 머리부분을 갖는 볼트를 수용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도 7a의 볼트머리가 도 7b의 볼트머리보다 크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00)는 다양한 크기의 볼트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돌설부들이 베이스부를 프레스 과정하는 과정에서 함께 형성되므로(즉, 베이스부의 일부가 한 쌍의 돌설부로 변형되는 것이므로), 볼트머리 크기에 따라 규격화된 다양한 금형을 활용하여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설부들을 길게 하여 위로 접어 올려주면(그에 따라 슬롯부들도 크게 형성됨), 큰 볼트머리를 수용할 수 있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설부들을 짧게 하여 위로 접어 올려주면(그에 따라 슬롯부들도 작게 형성됨), 상대적으로 작은 볼트머리를 수용할 수 있다.
이는 큰 설계변경을 요구하지 않고, 족장 설치 현장의 요구조건에 맞는 다양한 규격의 족장용 연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장용 연결장치가 서로 다른 크기의 머리부분을 갖는 볼트를 수용하는 또 다른 상황을 도시한다. 도 8a의 볼트머리가 도 8b보다 작게 도시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00)는 다양한 크기의 볼트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돌설부들이 베이스부를 프레스 과정하는 과정에서 함께 형성되므로(즉, 베이스부의 일부가 한 쌍의 돌설부로 변형되는 것이므로), 돌설부가 파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외력(설치자가 도구를 이용해 두드려주는 행위와 같이)을 가해 내측이나 외측으로 기울여줌으로써 다양한 볼트머리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설부들(142, 144)을 볼트머리에 밀착되도록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기울여주면 볼트/너트 체결간 볼트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이때, 돌설부들이 내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여유 공간은 슬롯부들(SL1, SL2)에 의해 제공된다. 즉, 슬롯부들은 돌설부들의 변형 공간을 제공한다. 돌설부들의 외형과 동일 내지는 거의 동일한 슬롯부들이 존재하므로(물론, 한 쌍의 돌설부들을 체결공의 양측 부분을 위로 접어 올려줌으로써 형성하면, 슬롯부들은 돌설부들의 외형보다 아주 약간 작을 수 있다), 돌설부들이 안쪽으로 들어올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반대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설부들(142, 144)을 볼트머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여주면 마찬가지로 볼트/너트 체결간 볼트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이는 별도의 설계변경을 요구하지 않고, 족장 설치 현장의 요구조건에 맞는 다양한 규격의 족장용 연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족장
10 : 족장판
20 : 족장피스
30 : 족장 브라켓
40 : 스텐션
50 : 핸드레일
100 : 족장용 연결장치
110 : 베이스부
120 : 체결공
130 : 체결핀
140 : 한 쌍의 돌설부들
142 : 제1 돌설부
144 : 제2 돌설부
1421, 1441 : 벤딩부
SL1 : 제1 슬롯부
SL2 : 제2 슬롯부
IW : 설치벽면

Claims (11)

  1. 족장피스와 족장 브라켓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족장용 연결장치로서,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영역에 형성되는 체결공;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핀;을 포함하는 족장용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마주하는 제2 방향으로 돌설된 한 쌍의 돌설부들;을 더 포함하는, 족장용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설부들은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오프셋된 위치에 마련되는, 족장용 연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설부들이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오프셋된 거리는 동등한, 족장용 연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설부들은, 상기 체결핀에 가까이 위치하는 제1 돌설부 및 상기 체결핀으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제2 돌설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돌설부들은 상기 체결핀과 일렬로 배열되는, 족장용 연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의 양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슬롯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부들은 상기 돌설부들의 변형 공간을 제공하는, 족장용 연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들은, 상기 체결핀에 가까이 위치하는 제1 슬롯부 및 상기 체결핀으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제2 슬롯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설부, 상기 제1 슬롯부, 상기 체결공, 상기 제2 슬롯부 및 상기 제2 돌설부가 순차로 배치되는, 족장용 연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설부는 상기 슬롯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벤딩된 벤딩부를 통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족장용 연결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설부들은 상기 베이스부와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족장용 연결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설부는 상단이 양쪽은 높고 가운데로 갈수록 낮아지는 오목한 구조를 갖는, 족장용 연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은 나사산 없이 표면이 매끈한 원기둥 형상을 갖는, 족장용 연결장치.
KR1020180155480A 2018-12-05 2018-12-05 족장용 연결장치 KR102169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480A KR102169619B1 (ko) 2018-12-05 2018-12-05 족장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480A KR102169619B1 (ko) 2018-12-05 2018-12-05 족장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462A true KR20200068462A (ko) 2020-06-15
KR102169619B1 KR102169619B1 (ko) 2020-10-23

Family

ID=7108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480A KR102169619B1 (ko) 2018-12-05 2018-12-05 족장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6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2122A (ja) * 2000-10-17 2002-04-26 Ikeya Kogyo Kk ボルトナット組み用の座金と、ネジ式締付け具
KR20160104821A (ko) * 2015-02-26 2016-09-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고정용 볼트 및 족장 설치 구조
KR20180061719A (ko) * 2016-11-30 2018-06-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볼 조인트 너트의 회전 풀림 방지 와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2122A (ja) * 2000-10-17 2002-04-26 Ikeya Kogyo Kk ボルトナット組み用の座金と、ネジ式締付け具
KR20160104821A (ko) * 2015-02-26 2016-09-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고정용 볼트 및 족장 설치 구조
KR20180061719A (ko) * 2016-11-30 2018-06-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볼 조인트 너트의 회전 풀림 방지 와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619B1 (ko) 202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828B1 (ko) 발판지지대
KR20200068462A (ko) 족장용 연결장치
JP2020016139A (ja) 仮設床材
WO2024007452A1 (zh) 固定装置、固定装置安装方法及墙体施工方法
KR200404527Y1 (ko)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
JP3229113U (ja) スラブ型枠の吊り上げ装置
JP4274991B2 (ja) 吊り治具
JP6395222B2 (ja) 曲面用ブレース付き先行手摺
KR200372312Y1 (ko) 구조물 공사용 고소작업 안전발판
KR102181014B1 (ko) 족장용 브라켓 및 스텐션
JP2007218076A (ja) 連結金具,受け金具及び建築用接合金具
CN205804922U (zh) 一种新型预埋工具式脚手架连墙件
KR20130127763A (ko) 작업용 비계
JP2020117879A (ja) 木製横架材と鋼製横架材との接合構造および受け金物
JPH0533623Y2 (ko)
KR20140005570A (ko) 보조 전로용 체결식 행거
JP3236083U (ja) 仮設足場用幅木
JP3187838U (ja) 仮設足場のh鋼用連結固定具及び該h鋼用連結固定具を備える仮設足場
JP3115524U (ja) 足場組付け装置
JPH0868120A (ja) 木造軸組工法用の継手金物
KR20180079696A (ko) 시스템 비계용 단관 연결구 및 단관 연결구조
KR101918932B1 (ko) 가설 비계용 조인트 장치
KR100931532B1 (ko) 갱폼시스템의 고정장치
JP2018040213A (ja) 補助脚連結装置
JP2019218774A (ja) 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