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557A -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557A
KR20200067557A KR1020180154542A KR20180154542A KR20200067557A KR 20200067557 A KR20200067557 A KR 20200067557A KR 1020180154542 A KR1020180154542 A KR 1020180154542A KR 20180154542 A KR20180154542 A KR 20180154542A KR 20200067557 A KR20200067557 A KR 20200067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nut
ring
sharp end
inclined surface
pip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구
Original Assignee
김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구 filed Critical 김완구
Priority to KR1020180154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7557A/ko
Publication of KR20200067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72Joints for pipes of dissimi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고정너트(100); 상기 제1 고정너트(100)와 결합되며, 내부에 제1 경사면(201)이 형성된 니플(200); 일단은 상기 제1 경사면(201)에 대응하는 경사를 가진 쐐기면(211)으로 형성되며, 타단은 평평한 플랫면(212)으로 형성된 패킹부재(210); 상기 플랫면(212)에 접촉되는 제1 와셔(220); 상기 제1 와셔(220)에 접촉되되,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된 압착링(230); 및 상기 니플(200)과 결합되되, 내부에는 상기 압착링(230)과 접촉되는 제2 경사면(301)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너트(100)와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제2 고정너트(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A heterogeneous material pipe connector equipped a press ring having sharp end}
본 발명은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재질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제1 고정너트와 제2 고정너트를 마련하고, 특히, 금속 재질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제2 고정너트 측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된 압착링을 설치함으로써 가압 시 밀착력이 증가와 함께 체결력을 향상시켜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냉난방, 급수 등을 위해 동파이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관뿐만 아니라, 폴리부틸렌, 가교화된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계열과 PVC, PPC 등의 플라스틱관 등도 사용되고 있다. 이때, 상술한 관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 관 연결구인데, 이는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관과 관을 기밀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장치이다.
한편, 관 연결 시에는 동종 재질의 관뿐만 아니라, 이종 재질의 관들을 서로 연결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 바, 이를 위해서는 금속관과 제1 관이음쇠의 연결시공, 플리스틱관과 제2 관이음쇠의 연결시공, 그리고 상술한 제1 관이음쇠와 제2 관이음쇠 간의 연결시공, 즉 3번의 연결시공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총 3번의 연결시공을 수행하게 되면 작업자의 작업 속도는 현저하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연결시공을 함에 있어서 필요한 부품의 수 마저도 증가하게 되므로 경제적인 측면까지도 상당히 비효율적이었다.
따라서, 관 연결구가 기본적으로 요구하는 체결의 용이함, 파이프와의 양호한 체결상태 유지, 기밀성의 향상과 더불어서 다른 종류의 재질을 서로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관 연결구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34887호(등록일: 1998.10.26.)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2-0044731호(공개일: 2002.06.19.)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재질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제1 고정너트와 제2 고정너트를 마련하고, 특히, 금속 재질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제2 고정너트 측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된 압착링을 설치함으로써 가압 시 밀착력이 증가와 함께 체결력을 향상시켜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고정너트와 니플 사이에 배치된 압착링과 와셔가 서로 중첩되는 경사구조를 이룸으로써, 각 부재간 밀찰력과 확장성을 배가시켜 연결구로서의 기밀성은 물론, 체결력을 높일 수 있는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착링 외주 양단 사이에 음각의 요홈부가 형성되고, 압력 발생에 따라 요홈부를 중심으로 양단이 굴절되도록 하여 삽입된 파이프와의 밀착상태를 배가시킬 수 있는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착링과 파이프 사이, 또는 압착링 내주에 마찰부가 형성되어, 파이프와 연결구 사이의 저항력을 향상시켜 파이프와의 결합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는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제1 고정너트; 상기 제1 고정너트와 결합되며, 내부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된 니플; 일단은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를 가진 쐐기면으로 형성되며, 타단은 평평한 플랫면으로 형성된 패킹부재; 상기 플랫면에 접촉되는 제1 와셔; 상기 제1 와셔에 접촉되되,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된 압착링; 및 상기 니플과 결합되되, 내부에는 상기 압착링과 접촉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너트와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제2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고정너트와 상기 니플 사이에는, 상기 제1 고정너트에 삽입된 파이프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오링; 상기 오링에 압력을 가하는 제2 와셔; 및 상기 제1 고정너트에 삽입된 파이프의 외주면에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축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그립링;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고정너트 또는 제2 고정너트는 고무 재질, 플라스틱 재질 및 금속 재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와셔의 외경은 적어도 상기 플랫면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착링은, 상기 제1 와셔의 일단에 형성된 제3 경사면과 접촉되도록 돌출된 제1 첨예부; 및 상기 제2 경사면과 접촉되도록 돌출된 제2 첨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착링은 상기 제1 첨예부와 제2 첨예부 사이에 음각으로 형성되는 요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첨예부는 상기 제3 경사면 보다 낮은 각도로 형성되어 외압 발생 시 상기 제3 경사면 측으로 침입이 가능하고, 상기 제2 첨예부는 상기 제2 경사면 보다 낮은 각도로 형성되어 외압 발생 시 상기 제2 경사면 측으로 침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요홈부는 외압 발생 시 상기 제1 첨예부와 제2 첨예부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굴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착링은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외압 발생 시 직경의 축소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착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고정너트에 삽입된 파이프의 외주면과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에 의하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재질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제1 고정너트와 제2 고정너트를 마련하고, 특히, 금속 재질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제2 고정너트 측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된 압착링을 설치함으로써 가압 시 밀착력이 증가와 함께 체결력을 향상시켜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고정너트와 니플 사이에 배치된 압착링과 와셔가 서로 중첩되는 경사구조를 이룸으로써, 각 부재간 밀찰력과 확장성을 배가시켜 연결구로서의 기밀성은 물론, 체결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착링 외주 양단 사이에 음각의 요홈부가 형성되고, 압력 발생에 따라 요홈부를 중심으로 양단이 굴절되도록 하여 삽입된 파이프와의 밀착상태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착링과 파이프 사이, 또는 압착링 내주에 마찰부가 형성되어, 파이프와 연결구 사이의 저항력을 향상시켜 파이프와의 결합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에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의 내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의 내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의 마찰부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또한,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그리고,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에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의 내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의 내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의 마찰부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는 기본적으로 제1 고정너트(100), 니플(200), 패킹부재(210), 제1 와셔(220), 압착링(230) 및 제2 고정너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너트(100)는 파이프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그 재질은 플라스틱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고무재질일 수도 있다. 제1 고정너트(100)는 중공이 형성된 구조로써, 내측으로 후술하는 니플(200)과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고정너트(100)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지 시에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어 결합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회전이 용이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너트(100)에 연결되는 파이프는 제1 고정너트(100)가 플라스틱 재질인 경우, 플라스틱 재질의 파이프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며, 제1 고정너트(100)가 고무재질인 경우, 고무재질의 파이프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고정너트(300) 역시 파이프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그 재질은 제1 고정너트(100)와는 다른 재질인 금속재질일 수 있다. 제1 고정너트(100)와 마찬가지로 제2 고정너트(300)는 중공이 형성된 구조로써, 내측으로 니플(200)과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데, 특히, 제2 고정너트(300)의 내부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압착링(230)과 접촉되는 제2 경사면(30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 고정너트(300)에는 제1 고정너트(100)에 연결되는 파이프와는 다른 재질의 파이프가 연결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금속재질의 파이프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니플(200)은 제1 고정너트(100) 및 제2 고정너트(300)가 양단으로 결합되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제1 경사면(201)이 형성된 구성으로, 그 재질은 금속재질일 수 있다. 이러한 니플(200)은 양단이 수나사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으로는 제1 고정너트(100)가, 타단으로는 제2 고정너트(300)가 결합되게 되며, 특히, 니플(200)의 타단과 제2 고정너트(300) 사이에는 도 1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패킹부재(210), 제1 와셔(220) 및 압착링(230)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니플(200)의 제1 경사면(201)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너트(300)가 결합되는 측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c)를 참조하면, 제1 고정너트(100)와 니플(200) 사이에는, 제1 고정너트(100)에 삽입된 파이프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오링(110), 오링(110)에 압력을 가하는 제2 와셔(120) 및 제1 고정너트(100)에 삽입된 파이프의 외주면에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축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135)가 형성된 그립링(130)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너트(100)에 결합되는 파이프는 오링(110)에 의해 기밀성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2 와셔(120)에 의해 그 기밀성이 배가됨과 함께, 그립링(130)의 돌출부(135)에 의해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패킹부재(210)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제1 경사면(201)에 대응하는 경사를 가진 쐐기면(211)으로 형성되며, 타단은 평평한 플랫면(212)으로 형성된 구성이다. 이러한 패킹부재(210)의 재질은 실리콘, 우레탄, 라텍스 및 합성수지 등과 같은 플랙시블하며 방수가 가능한 재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무재질일 수 있다.
제1 와셔(220)는 패킹부재(210)의 플랫면(212)에 접촉되는 구성으로, 그 형상은 양단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금속재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패킹부재(210)의 플랫면(212)과 접촉되는 평평한 형상이며, 타단은 축 방향을 따라 내경이 감소되며 함몰되도록 경사진 제3 경사면(22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와셔(220)의 외경은 적어도 패킹부재(210)의 플랫면(21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삽입된 파이프에 의해 압력을 받게 되면 제1 와셔(220)가 패킹부재(210)의 플랫면(212)을 전체적으로 압착하게 되어 기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압착링(230)은 제1 와셔(220)에 접촉되되,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된 구성으로, 그 재질은 금속재질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일 실시 예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너트(300)의 제2 경사면(301)에 접촉되는 일단이 제2 경사면(301) 보다 낮은 각도를 가지도록 첨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링(230)은 일단이 제1 와셔(220)의 타단에 형성된 제3 경사면(221)과 접촉되며, 타단이 제2 고정너트(300)의 제2 경사면(301)에 접촉되도록 양단이 첨예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압착링(230)의 세부구성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셔(220)의 제3 경사면(221)과 접촉되도록 돌출된 제1 첨예부(231) 및 제2 고정너트(300)의 제2 경사면(301)과 접촉되도록 돌출된 제2 첨예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첨예부(231)는 제3 경사면(221) 보다 낮은 각도로 형성되어 외압 발생 시 제3 경사면(221) 측으로 침입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고, 제2 첨예부(232)는 제2 경사면(301) 보다 낮은 각도로 형성되어 외압 발생 시 제2 경사면(301) 측으로 침입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추가적으로, 압착링(230)은 제1 첨예부(231)와 제2 첨예부(232) 사이에 음각으로 형성되는 요홈부(23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요홈부(233)는 제1 첨예부(231) 및 제2 첨예부(232) 사이에 형성되는데 내측 방향으로 음각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외압 발생 시 제1 첨예부(231)와 제2 첨예부(232)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굴절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한편, 압착링(23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234)가 형성되어 외압 발생 시 직경의 축소가 가능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파이프가 삽입된 상태로 제2 고정너트(300)와 니플(200)을 조여 체결시키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링(230)의 제1 첨예부(231)는 제1 와셔(220)의 제3 경사면(221)을 따라 삽입된 파이프와 제1 와셔(220)의 사이 공간으로 파고 들게 되고, 제2 첨예부(232)는 제2 고정너트(300)의 제2 경사면(301)을 따라 삽입된 파이프와 제2 고정너트(300)의 사이 공간으로 파고 들게 됨과 함께, 압착링(230)에는 절개부(234)가 형성되어 있어 압착링(230)의 직경이 증가하게 되어, 이로 인한 밀착력 증가로 삽입된 파이프와 제2 고정너트(300)간의 기밀성이 증가되게 된다.
게다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링(230)의 내주면에는 제2 고정너트(300)에 삽입된 파이프의 외주면과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23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마찰부(235)는 압착링(230)과 파이프 사이, 또는 압착링(230) 내주에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링(230)과 파이프 사이에 패드의 형태로 존재하거나,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패드의 경우, 고무, 실리콘, 우레탄 및 라텍스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에 의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돌기의 경우, 압착링(230)의 내주에 일체로 성형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한 구조일 수 있으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압착링(230)의 내주를 거칠게 가공하여 파이프와의 마찰력이 높아지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파이프와의 결합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고정너트 110: 오링
120: 제2 와셔 130: 그립링
135: 돌출부 200: 니플
201: 제1 경사면 210: 패킹부재
211: 쐐기면 212: 플랫면
220: 제1 와셔 221: 제3 경사면
230: 압착링 231: 제1 첨예부
232: 제2 첨예부 233: 요홈부
234: 절개부 235: 마찰부
300: 제2 고정너트 301: 제2 경사면

Claims (10)

  1. 제1 고정너트(100);
    상기 제1 고정너트(100)와 결합되며, 내부에 제1 경사면(201)이 형성된 니플(200);
    일단은 상기 제1 경사면(201)에 대응하는 경사를 가진 쐐기면(211)으로 형성되며, 타단은 평평한 플랫면(212)으로 형성된 패킹부재(210);
    상기 플랫면(212)에 접촉되는 제1 와셔(220);
    상기 제1 와셔(220)에 접촉되되,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된 압착링(230); 및
    상기 니플(200)과 결합되되, 내부에는 상기 압착링(230)과 접촉되는 제2 경사면(301)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너트(100)와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제2 고정너트(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너트(100)와 상기 니플(200) 사이에는,
    상기 제1 고정너트(100)에 삽입된 파이프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오링(110);
    상기 오링(110)에 압력을 가하는 제2 와셔(120); 및
    상기 제1 고정너트(100)에 삽입된 파이프의 외주면에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축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135)가 형성된 그립링(130);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너트(100) 또는 제2 고정너트(300)는 고무 재질, 플라스틱 재질 및 금속 재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셔(220)의 외경은 적어도 상기 플랫면(21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링(230)은,
    상기 제1 와셔(220)의 일단에 형성된 제3 경사면(221)과 접촉되도록 돌출된 제1 첨예부(231); 및
    상기 제2 경사면(301)과 접촉되도록 돌출된 제2 첨예부(2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링(230)은 상기 제1 첨예부(231)와 제2 첨예부(232) 사이에 음각으로 형성되는 요홈부(2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첨예부(231)는 상기 제3 경사면(221) 보다 낮은 각도로 형성되어 외압 발생 시 상기 제3 경사면(221) 측으로 침입이 가능하고, 상기 제2 첨예부(232)는 상기 제2 경사면(301) 보다 낮은 각도로 형성되어 외압 발생 시 상기 제2 경사면(301) 측으로 침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233)는 외압 발생 시 상기 제1 첨예부(231)와 제2 첨예부(232)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굴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링(230)은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234)가 형성되어 외압 발생 시 직경의 축소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링(2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고정너트(300)에 삽입된 파이프의 외주면과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23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
KR1020180154542A 2018-12-04 2018-12-04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 KR20200067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542A KR20200067557A (ko) 2018-12-04 2018-12-04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542A KR20200067557A (ko) 2018-12-04 2018-12-04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557A true KR20200067557A (ko) 2020-06-12

Family

ID=71088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542A KR20200067557A (ko) 2018-12-04 2018-12-04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755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950A (ko) * 2021-06-15 2022-12-22 김완구 이종관 연결구
KR20220167953A (ko) * 2021-06-15 2022-12-22 김완구 설치 및 보수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이종관 연결 조립체
KR20220167952A (ko) * 2021-06-15 2022-12-22 김완구 폴리올레핀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KR20220167951A (ko) * 2021-06-15 2022-12-22 김완구 주름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887Y1 (ko) 1995-07-24 1999-02-18 조홍구 관이음쇠
KR20020044731A (ko) 2000-12-06 2002-06-19 이기완 관이음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887Y1 (ko) 1995-07-24 1999-02-18 조홍구 관이음쇠
KR20020044731A (ko) 2000-12-06 2002-06-19 이기완 관이음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950A (ko) * 2021-06-15 2022-12-22 김완구 이종관 연결구
KR20220167953A (ko) * 2021-06-15 2022-12-22 김완구 설치 및 보수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이종관 연결 조립체
KR20220167952A (ko) * 2021-06-15 2022-12-22 김완구 폴리올레핀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KR20220167951A (ko) * 2021-06-15 2022-12-22 김완구 주름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7557A (ko) 첨예단부가 형성된 압착링이 구비된 이종관 연결구
RU2158873C2 (ru) Шланг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CN105917154A (zh) 管连接配件
US20090127802A1 (en) Two part grommet with hard plastic locking prongs
CN105276307A (zh) 管接头
EP2628989B1 (en) Crimp connection with seal member
JP2008095765A (ja) ホース継手
EP2547947B1 (en) Hose coupling
CN201774215U (zh) 电缆与波浪管防水接头
KR101452360B1 (ko)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인지가능한 인지부재를 갖는 관이음 조립체
KR101871167B1 (ko) 외관돌출에 의한 육안과 촉감으로 파이프 완전삽입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KR20190094342A (ko)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및 관련 조립방법
KR20190021677A (ko) 이탈 방지용 합성수지관 이음장치
KR101857027B1 (ko) 스프링밴드 밀폐형 원터치 배관 커플러
GB2129080A (en) Pipe fitting
KR20170044300A (ko) 원터치식 수도관 연결장치
WO2019035257A1 (ja) クランプ
KR101871168B1 (ko) 육안식별부에 의한 육안용이 식별형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JP2020026884A (ja) レバレッジ型冷媒フィッティング用ギャップ充填運送キャップ
JP2003214577A (ja) ケーブル保護用耐蝕ライニング管のカップリング
KR20150109122A (ko) 이중 가압스프링이 구비된 배관 커플러
AU2018264057B2 (en) Improved compression seal
JP3187036U (ja) クランプリング
KR20130075098A (ko) 나사조임식 이음관용 고무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관
JPH06159566A (ja) 離脱防止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