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6300A - 다광축 광전 센서 - Google Patents

다광축 광전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6300A
KR20200026300A KR1020207004399A KR20207004399A KR20200026300A KR 20200026300 A KR20200026300 A KR 20200026300A KR 1020207004399 A KR1020207004399 A KR 1020207004399A KR 20207004399 A KR20207004399 A KR 20207004399A KR 20200026300 A KR20200026300 A KR 20200026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pressing member
projection
photoelectric sensor
str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5718B1 (ko
Inventor
사토시 니시우치
슌키치 사사키
?키치 사사키
노부치카 타키구치
케이사쿠 키쿠치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6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2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multipl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71Housings; Attachments or accessories for photome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조립 작업에 필요한 노력이 저감된 다광축 광전 센서를 실현한다. 다광축 광전 센서(100)는 외각 케이스(10)와 투광판(15)과 가압 부재(20)를 포함하는 몸체(1)에 의해, 투광기(110) 및 수광기(120)의 외형이 형성되고, 외각 케이스의 측판의 내면에 지지부(11b)가 형성되고, 측판의 단부에 연신부(11c)가 형성되고, 가압 부재는 연신부에 부착됨으로써 투광판을 지지부에 가압한다.

Description

다광축 광전 센서
본 발명은 앞면에 개구를 갖는 외각 케이스와 상기 개구를 막는 투광판과 상기 투광판을 상기 외각 케이스에 대해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몸체에 의해, 투광기 및 수광기의 외형이 각각 형성되는 다광축 광전 센서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본체 케이스와 투광판과 투광판을 본체 케이스에 가압 고정하기 위한 제1 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광전 센서가 개시되어 있다. 당해 광전 센서에서, 본체 케이스에는 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1 통과구와 상기 제1 통과구를 끼우고 형성된 한 쌍의 제1 부착면과 상기 한 쌍의 제1 부착면에 대해 상기 본체 케이스의 외방으로 돌출한 한 쌍의 제1 돌출부와 각 제1 부착면과 대응하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계지용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투광판은 제1 통과구를 막도록, 제1 부착면상에 부착된다. 가압 부재는 한 쌍의 계지용 개구에 각각 부착되고, 투광판에서의 제1 부착면과는 반대측의 면을 가압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4628402호 공보(2011년 2월 9일 공개)」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광전 센서에서는 가압 부재를 부착하는 경우에, 투광판을 일시적으로 과잉한 힘으로 가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광전 센서의 조립 작업에 여분의 노력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는 조립 작업에 필요한 노력이 저감된 다광축 광전 센서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다광축 광전 센서는 앞면에 개구를 갖는 외각 케이스와 상기 개구를 막는 투광판과 상기 투광판을 상기 외각 케이스에 대해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몸체에 의해, 투광기 및 수광기의 외형이 각각 형성되는 다광축 광전 센서로서, 상기 외각 케이스의 한 쌍의 측판의, 각각의 내면에는 상기 투광판의 양측연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판의 각각의,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단부에는 타방의 상기 측판의 상기 단부의 방향으로 연신하는 연신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투광판의 두께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사이에 상기 연신부를 끼워 넣는 상태로 상기 연신부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투광판을 상기 지지부에 가압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의하면, 조립 작업에 필요한 노력이 저감된 다광축 광전 센서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몸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전개도.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다광축 광전 센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몸체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몸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5는 제1의 변형례에 관한 몸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6은 제2의 변형례에 관한 몸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7은 제3의 변형례에 관한 몸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실시 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한 측면에 관한 실시의 형태(이하, 「본 실시 형태」라고 표기한다)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본 발명의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가지의 개량이나 변형을 행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즉, 본 발명의 실시에서, 실시 형태에 응한 구체적 구성이 적절히 채용되어도 좋다.
§1 적용례
우선,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면의 한 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광축 광전 센서(100)는 소정의 검출 영역을 통하여 대향 배치되는 투광기(110)와 수광기(120)를 구비한다. 도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투광기(110)와 수광기(120)의 사이에는 복수의 광축이 설정되고, 다광축 광전 센서(100)는 이들 광축의 입광, 차광 상태에 의해 물체를 검출한다.
도 3은 몸체(1)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몸체(1)는 투광기(110) 및 수광기(120)의 몸체로서 사용된다. 몸체(1)는 본체 케이스(11)와 캡 부재(12 및 13)와 투광판(15)과 가압 부재(20)(도 1 참조)를 구비한다. 도 3에서는 가압 부재(20)는 생략되어 있다.
몸체(1)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1), 캡 부재(12 및 13)에 의해, 외각 케이스(10)가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외각 케이스(10)는 단면이 사각형인 통형상의 본체 케이스(11)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캡 부재(12 및 13)가 감입된 구성을 갖는다.
외각 케이스(10)에는 하나의 면에서 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14)는 투광판(15)에 의해 막혀 있다. 투광판(15)은 가압 부재(20)에 의해 몸체(1)에 대해 가압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개구(14)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1)의 면을 「앞면」이라고 칭한다. 또한, 몸체(1)의 내부로부터 앞면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 또는 「전측」이라고 칭한다.
개구(1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1), 캡 부재(12 및 13)의 전체에 걸처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단, 개구(14)는 본체 케이스(11)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개구(14)는 적어도 본체 케이스(11)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한 다광축 광전 센서(100)에 관해, 이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즉, 다광축 광전 센서(100)는 앞면에 개구(14)를 갖는 외각 케이스(10)와 개구(14)를 막는 투광판(15)과 투광판(15)을 몸체(1)에 대해 가압하는 가압 부재(20)를 포함하는 몸체(1)에 의해, 투광기(110) 및 수광기(120)의 외형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2 구성례
이하, 몸체(1)의 구성례를,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 및 도 4에서는 몸체(1)의 폭방향을 x방향, 길이 방향을 y방향, 전후 방향을 z방향으로 하고 있다. 특히, 몸체(1)의 전방을 +z방향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몸체(1)의 구성을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1)는 본체 케이스(11)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캡 부재(12 및 13)가 감입된 구성을 갖는다.
몸체(1)의 내부에, 광학 소자(16)가 수용되어 있다. 광학 소자(16)는 몸체(1)가 투광기(110)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발광 소자이고, 수광기(120)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수광 소자이다. 캡 부재(12 또는 1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광학 소자(16)에 전력을 공급하고, 또는 광학 소자(16)로부터 신호를 취출하기 위한 커넥터(부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몸체(1)는 점착 테이프(17)(점착재)를 또한 구비한다. 투광판(15)은 점착 테이프(17)의 전측(前側)부터, 개구(14)를 막도록 배치된다. 투광판(15)의 전측에, 가압 부재(20)가 부착된다. 점착 테이프(17) 및 가압 부재(20)의 구체적인 위치 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본체 케이스(11)의 길이는 다광축 광전 센서(100)가 적용되는 양태에 따라 다르다. 다광축 광전 센서(100)는 충분한 길이를 갖는 점착 테이프(17)를 본체 케이스(11)의 길이에 응하여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임의의 길이의 본체 케이스(11)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는 몸체(1)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4는 몸체(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고, 또한 본체 케이스(11)를 포함하는 면에서의 몸체(1)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1)는 폭방향에서의 양측에 한 쌍의 측판(11a)을 구비한다. 측판(11a)의 각각의 내면에는 투광판(15)의 양측연을 지지하는 지지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 부재(12 및 13)에도, 지지부(11b)와 연속하는 지지부(부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부(11b)의 전측의 면에, 점착 테이프(17)가 배치되어 있다. 점착 테이프(17)는 투광판(15)을 지지부(11b)에 접착한다.
측판(11a)의 각각의, 개구(14)를 형성하는 단부에는 타방의 측판(11a)의 단부의 방향으로 연신하는 연신부(11c)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 부재(20)는 연신부(11c)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몸체(1)에서, 가압 부재(20)는 제1 돌출부(21)와 제2 돌출부(22)를 갖는다. 제1 돌출부(21) 및 제2 돌출부(22)는 투광판(15)의 두께 방향에서 서로 대향한다. 또한, 제1 돌출부(21) 및 제2 돌출부(22)는 본체 케이스(11)의 길이의 개략 전체에 걸처서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부(21)는 가압 부재(20)가 연신부(11c)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2 돌출부(22)보다도 전방에 위치한다. 가압 부재(20)는 제1 돌출부(21)와 제2 돌출부(22)의 사이에 연신부(11c)를 끼워 넣는 상태로 연신부(11c)에 부착됨으로써, 투광판(15)을 지지부(11b)에 가압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압 부재(20)는 연신부(11c)에 대해, 몸체(1)의 앞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부착된다. 이 때문에 가압 부재(20)의 부착시에, 부착된 가압 부재(20)에 의한 가압력 이상의 힘으로 투광판(15)을 가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몸체(1)를 구비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조립 작업에 필요한 노력이 저감된다.
가압 부재(20)에 의해 투광판(15)이 가압됨으로써, 투광판(15)과 지지부(11b) 사이의 간극이 작아진다. 따라서 기름 등의 액체의, 몸체(1)의 내부로의 침입이 억제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몸체(1)에서는 투광판(15)과 지지부(11b) 사이가 점착 테이프(17)에 의해 실 됨으로써, 점착 테이프(17)를 구비하지 않는 몸체와 비교하여, 액체의 침입이 더욱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연신부(11c)의 선단 사이의 간격은 투광판(15)의 폭보다도 크다. 이 때문에 몸체(1)의 조립시에, 투광판(15)을 외각 케이스(10)의 전방부터 지지부(11b)에 배치할 수 있다.
연신부(11c)의, 제1 돌출부(21)와 대향하는 면에는 제1 돌기부(11d)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돌출부(21)의, 연신부(11c)와 대향하는 면에는 제1 돌기부(11d)가 감합하는 오목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1a)는 가압 부재(20)가 연신부(11c)에 적절하게 부착된 경우에 있어서, 제1 돌기부(11d)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이 때문에 가압 부재(20)가 연신부(11c)에 적절하게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서는 제1 돌출부(21)가 연신부(11c)로부터 들떠오른 상태가 된다. 따라서 가압 부재(20)가 연신부(11c)에 적절하게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 그 것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몸체(1)에서, 제1 돌기부(11d)가 제1 돌출부(21)에 형성되고, 오목부(21a)가 연신부(11c)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1 돌기부(11d) 및 오목부(21a)가, (i) 연신부(11c)의, 제2 돌출부(22)와 대향하는 면 및 (ⅱ) 제2 돌출부(22)의, 연신부(11c)와 대향하는 면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몸체(1)에서는 (i) 연신부(11c)의, 제1 돌출부(21) 또는 제2 돌출부(22)와 대향하는 면, 또는 (ⅱ) 연신부(11c)에 대향하는 제1 돌출부(21) 또는 제2 돌출부(22)와 대향하는 면의 어느 일방의 면이 제1 돌기부(11d)를 가지며, 상기 일방의 면과는 역측의 타방의 면이, 제1 돌기부(11d)가 감합하는 오목부(21a)를 갖고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은 몸체(1)에 의하면, 가압 부재(20)가 연신부(11c)에 부착되는 위치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측판(11a)은 연신부(11c)보다도 투광판(15)부터 이격한 측에, 제1 돌출부(21)(가압 부재의 단부)와 계합하는 계합부(11e)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부(11e)는 연신부(11c)로부터 전방을 향함에 따라, 본체 케이스(11)의 폭방향에서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하고 있다. 또한, 제1 돌출부(21)의 선단도, 가압 부재(20)가 연신부(11c)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방을 향함에 따라, 본체 케이스(11)의 폭방향에서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하고 있다. 따라서 가압 부재(20)가 연신부(11c)에 적절하게 부착된 후에, 제1 돌출부(21)와 제2 돌출부(22)와의 간격이 열리도록 가압 부재(20)가 변형하여도, 제1 돌출부(21)가 연신부(11c)에서 들떠오를 우려가 저감된다.
§3 변형례
도 5는 제1의 변형례에 관한 몸체(1A)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몸체(1A)는 가압 부재(20) 대신에 가압 부재(20A)를 구비하는 점에서, 몸체(1)와 상위하다. 가압 부재(20A)는 제1 돌출부(21)의, 연신부(11c)와 대향하는 면에, 제2 돌기부(21b)를 갖는 점에서 가압 부재(20)와 상위하다.
가압 부재(20A)에서는 제1 돌출부(21)는 제2 돌기부(21b)에서만 연신부(11c)와 당접한다. 이 때문에 가압 부재(20A)를 연신부(11c)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제1 돌출부(21)와 연신부(11c)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은 가압 부재(20)를 연신부(11c)에 부착하는 과정에서의 상기 마찰력과 비교하여 작아진다. 환언하면, 가압 부재(20A)를 연신부(11c)에 부착하기 위해 필요한 힘은 가압 부재(20)를 연신부(11c)에 부착하기 위해 필요한 힘보다도 작다. 따라서 몸체(1A)를 구비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는 몸체(1)를 구비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100)와 비교하여, 또한 용이하게 조립 가능하다.
또한, 제2 돌기부(21b)는 제1 돌기부(11d)가 형성되어 있는 연신부(22c)의 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돌기부(21b)는 가압 부재(20A)가 연신부(11c)에 부착된 상태에서, 폭방향에서 제1 돌기부(11d)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 때문에 가압 부재(20A)가 연신부(11c)에서 벗겨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제2 돌기부(21b)가 제1 돌기부(11d)에 걸리기 때문에 가압 부재(20A)의 연신부(11c)로부터의 의도하지 않은 탈락이 억제된다.
또한, 본 변형례에서는 제1 돌출부(21) 또는 제2 돌출부(22)의, 제1 돌기부(11d)를 갖는 연신부(11c)의 면과 대향하는 면이 제2 돌기부(21b)를 갖고 있으면 된다. 즉, 제2 돌출부(22와고 대향하는 연신부(11c)의 면이 제1 돌기부(11d)를 갖는 경우에는 제1 돌기부(11d)를 갖는 연신부(11c)의 면과 대향하는 제2 돌출부(22)의 면이 제2 돌기부(21b)를 갖는다.
도 6은 제2의 변형례에 관한 몸체(1B)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몸체(1B)는 가압 부재(20)와 투광판(15) 사이에, 탄성 부재(18)를 구비하는 점에서 몸체(1)와 상위하다. 탄성 부재(18)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탄성 부재(18)는 예를 들면 평(平)고무이다.
몸체(1B)에서, 가압 부재(20)는 탄성 부재(18)를 통하여 투광판(15)을 가압한다. 따라서 몸체(1B)에서는 탄성 부재(18)의 탄성에 의해, 보다 강하게 투광판(15)이 가압된다. 따라서 점착 테이프(17)가, 보다 강하게 가압되게 되기 때문에 광학 소자(16)(도 1 참조)가 기름 등의 액체에 폭로될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탄성 부재(18)에 의해 가압 부재(20)와 투광판(15)의 사이가 실(seal) 되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17)가 액체에 폭로될 우려도 저감된다.
도 7은 제3의 변형례에 관한 몸체(1C)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체(1C)는 (i) 탄성 부재(18) 대신에 탄성 부재(18C)를 구비하는 점 및 (ⅱ) 가압 부재(20) 대신에 가압 부재(20C)를 구비하는 점에서, 몸체(1B)와 상위하다. 탄성 부재(18C)는 단면이 사각형이 아니라 원형인 점에서, 탄성 부재(18)와 상위하다. 가압 부재(20C)는 탄성 부재(18C)가 감입되는 홈부(23)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가압 부재(20)와 상위하다.
홈부(23)의 깊이는 탄성 부재(18C)의 단면의 반경보다 깊고, 또한 직경보다 얕다. 또한, 홈부(23)의 단면은 탄성 부재(18C)의 단면에 따른 형상을 갖는다. 즉, (i) 가압 부재(20C)의 표면에서의 홈부(23)의 폭은 탄성 부재(18C)의 직경보다도 작고, 또한, (ⅱ) 홈부(23)는 가압 부재(20C)의 내부에서, 폭이 탄성 부재(18C)의 직경과 개략 동등하게 되는 개소를 갖는다. 따라서 홈부(23)에 감입된 탄성 부재(18C)는 중력 등에 의해서는 홈부(23)로부터 탈락하기 어렵다. 또한, 탄성 부재(18C)는 탄성을 갖기 때문에 압력에 의해 변형시킴으로써, 변형하지 않는 상태의 탄성 부재(18C)의 직경보다도 좁은 폭을 갖는 홈부(23)에 탄성 부재(18C)를 감입할 수 있다.
몸체(1C)에서, 가압 부재(20C)는 탄성 부재(18C)를 통하여 투광판(15)을 가압한다. 몸체(1C)는 몸체(1B)가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이하가 효과를 이룬다. 즉, 몸체(1C)의 조립시에, 홈부(23)에 미리 탄성 부재(18C)를 감입하여 둠으로써, 가압 부재(20C)를 연신부(11c)에 마련할 때에 탄성 부재(18C)의 위치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몸체(1C)를 구비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는 몸체(1B)를 구비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와 비교하여 용이하게 조립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정리)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다광축 광전 센서는 앞면에 개구를 갖는 외각 케이스와 상기 개구를 막는 투광판과 상기 투광판을 상기 외각 케이스에 대해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몸체에 의해, 투광기 및 수광기의 외형이 각각 형성되는 다광축 광전 센서로서, 상기 외각 케이스의 한 쌍의 측판의, 각각의 내면에는 상기 투광판의 양측연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판의 각각의,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단부에는 타방의 상기 측판의 상기 단부의 방향으로 연신하는 연신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투광판의 두께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사이에 상기 연신부를 끼워 넣는 상태로 상기 연신부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투광판을 상기 지지부에 가압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외각 케이스의 측판의 내면에 형성됐다, 타방의 상기 측판의 상기 단부의 방향으로 연신하는 지지부에, 투광판이 지지된다. 또한, 외각 케이스의 단부에, 형성된 연신부를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의 사이에 끼워 넣는 상태에서, 가압 부재가 부착된다.
가압 부재는 연신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외각 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부에 지지된 투광판을 적절한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압 부재를 부착하는 경우에 투광판을 과잉한 압력으로 가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다광축 광전 센서의 조립 작업에 필요한 노력이 저감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다광축 광전 센서에서, (i) 상기 연신부의, 상기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제2 돌출부와 대향하는 면, 또는 (ⅱ) 상기 연신부에 대향하는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제2 돌출부와 대향하는 면의 어느 일방이 제1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i) 또는 상기 (ⅱ)의 면의, 상기 일방과는 역측의 타방의 면은 상기 제1 돌기부가 감합하는 오목부를 갖는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가압 부재가 연신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1 돌기부가 오목부에 감합한다. 따라서 가압 부재가 연신부에 부착되는 위치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다광축 광전 센서에서, 상기 연신부의, 상기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제2 돌출부와 대향하는 면은 제1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연신부의, 상기 제1 돌기부를 갖는 면과 대향하는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제2 돌출부의 면은 제2 돌기부를 갖는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연신부에 가압 부재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연신부와 가압 부재가 접촉하는 영역의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양자 사이의 마찰력이 작아진다. 따라서 연신부에 가압 부재를 부착하기 위해 필요한 힘이 작아져서, 다광축 광전 센서의 조립 작업에 필요한 노력이 더욱 저감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다광축 광전 센서에서, 상기 외각 케이스의 상기 측판은 상기 연신부보다도 상기 투광판부터 이격한 측에, 상기 가압 부재의 단부와 계합하는 계합부를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투광판부터 이격 하측의, 가압 부재의 돌출부의 단부가, 계합부와 계합한다. 따라서 가압 부재를 연신부에 부착한 후에, 가압 부재의 변형에 기인하여 당해 가압 부재가 연신부로부터 들떠오를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다광축 광전 센서에서, 상기 가압 부재는 탄성 부재를 통하여 상기 투광판을 가압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탄성 부재의 탄성에 의해, 보다 강하게 투광판이 가압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다광축 광전 센서는 상기 투광판을 상기 지지부에 접착하는 점착재를 또한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점착재가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몸체의 내부가 실 된다. 따라서 몸체 내부에의 기름 등의 침입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다광축 광전 센서에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연신부에 대해, 상기 앞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부착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가압 부재의 부착시에, 앞면에 수직한 힘을 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다광축 광전 센서의 조립 작업에 필요한 노력이 저감된다.
1, 1A, 1B, 1C : 몸체 10 : 외각 케이스
11b : 지지부 11c : 연신부
11d : 제1 돌기부 14 : 개구
15 : 투광판 17 : 점착 테이프(점착재)
18, 18C : 탄성 부재 20 : 가압 부재
21 : 제1 돌출부 21a : 오목부
22 : 제2 돌출부 100 : 다광축 광전 센서
110 : 투광기 120 : 수광기

Claims (7)

  1. 앞면에 개구를 갖는 외각 케이스와 상기 개구를 막는 투광판과 상기 투광판을 상기 외각 케이스에 대해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몸체에 의해, 투광기 및 수광기의 외형이 각각 형성되는 다광축 광전 센서로서,
    상기 외각 케이스의 한 쌍의 측판의, 각각의 내면에는 상기 투광판의 양측연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판의 각각의,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단부에는 타방의 상기 측판의 상기 단부의 방향으로 연신하는 연신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투광판의 두께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사이에 상기 연신부를 끼워 넣는 상태로 상기 연신부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투광판을 상기 지지부에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i) 상기 연신부의, 상기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제2 돌출부와 대향하는 면, 또는 (ⅱ) 상기 연신부에 대향하는 상기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제2 돌출부와 대향하는 면이 제1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돌기부를 갖는 면과는 역측의 면은 상기 제1 돌기부가 감합하는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부의, 상기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제2 돌출부와 대향하는 면이 제1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제2 돌출부의, 상기 제1 돌기부를 갖는 상기 연신부의 면과 대향하는 면이, 제2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각 케이스의 상기 측판은 상기 연신부보다도 상기 투광판부터 이격한 측에, 상기 가압 부재의 단부와 계합하는 계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탄성 부재를 통하여 상기 투광판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판을 상기 지지부에 접착하는 점착재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연신부에 대해, 상기 앞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
KR1020207004399A 2018-03-07 2019-01-28 다광축 광전 센서 KR102295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41080A JP6911796B2 (ja) 2018-03-07 2018-03-07 多光軸光電センサ
JPJP-P-2018-041080 2018-03-07
PCT/JP2019/002637 WO2019171813A1 (ja) 2018-03-07 2019-01-28 多光軸光電セ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300A true KR20200026300A (ko) 2020-03-10
KR102295718B1 KR102295718B1 (ko) 2021-08-31

Family

ID=67847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399A KR102295718B1 (ko) 2018-03-07 2019-01-28 다광축 광전 센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41975B2 (ko)
JP (1) JP6911796B2 (ko)
KR (1) KR102295718B1 (ko)
CN (1) CN111052290B (ko)
DE (1) DE112019001172T5 (ko)
WO (1) WO20191718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5628B2 (ja) * 2020-03-13 2023-11-08 オムロン株式会社 固定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716B1 (ko) * 2010-03-25 2010-10-08 주식회사 스타넷 경관 조명기구
JP4628402B2 (ja) 2007-06-29 2011-02-09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光電センサ及び光電センサ用発光装置
KR200480026Y1 (ko) * 2014-01-17 2016-04-20 (주)솔라루체 절연 베리어를 갖는 led램프 어셈블리
JP2018010789A (ja) * 2016-07-13 2018-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1364A1 (en) * 2009-06-29 2011-01-06 Nxp B.V. Parallel three-dimensional recursive search (3drs) meandering algorithm
EP2461340B1 (en) * 2009-07-30 2018-11-07 Omron Corporation 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JP6475544B2 (ja) * 2015-03-31 2019-02-27 パナソニック デバイスSunx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JP6627543B2 (ja) * 2015-05-28 2020-01-08 三菱電機株式会社 防水灯具
JP2018010790A (ja) * 2016-07-13 2018-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8402B2 (ja) 2007-06-29 2011-02-09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光電センサ及び光電センサ用発光装置
KR100986716B1 (ko) * 2010-03-25 2010-10-08 주식회사 스타넷 경관 조명기구
KR200480026Y1 (ko) * 2014-01-17 2016-04-20 (주)솔라루체 절연 베리어를 갖는 led램프 어셈블리
JP2018010789A (ja) * 2016-07-13 2018-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1813A1 (ja) 2019-09-12
US11041975B2 (en) 2021-06-22
JP6911796B2 (ja) 2021-07-28
CN111052290B (zh) 2022-04-08
DE112019001172T5 (de) 2020-11-19
JP2019160426A (ja) 2019-09-19
CN111052290A (zh) 2020-04-21
US20210080611A1 (en) 2021-03-18
KR102295718B1 (ko) 202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8402B2 (ja) 光電センサ及び光電センサ用発光装置
EP3270189B1 (en) Multiple-optical-axis photoelectric sensor
US8536510B2 (en) 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WO2006004864A3 (en) Packaging for a fiber-coupled optical device
US10309827B2 (en) 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comprising a light transmissive plate disposed to straddle the body housing and a pair of caps
KR20200026300A (ko) 다광축 광전 센서
US20180017434A1 (en) Multiple-optical-axis photoelectric sensor
US20180017435A1 (en) Multiple-optical-axis photoelectric sensor
US9575242B2 (en) Fixture for assembling light strip and back plate
KR102301488B1 (ko) 다광축 광전 센서
JP2001267594A (ja) 光学装置
JP2002075149A (ja) 多光軸光電センサ
WO2012137712A1 (ja) 液晶表示装置
JP2530369Y2 (ja) 光結合装置
JP4048703B2 (ja) キャップ固定方法
WO2008108268A1 (ja) 光学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デバイス
CN213600217U (zh) 用于单光子探测器的密封组件
KR20180001738A (ko) 조립가능한 체결 구 접촉 부를 가지는 플레이트
JP2007054215A (ja) 内視鏡
JPS636772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