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418A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2418A
KR20200012418A KR1020180087705A KR20180087705A KR20200012418A KR 20200012418 A KR20200012418 A KR 20200012418A KR 1020180087705 A KR1020180087705 A KR 1020180087705A KR 20180087705 A KR20180087705 A KR 20180087705A KR 20200012418 A KR20200012418 A KR 20200012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source
source unit
driv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to KR1020180087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2418A/ko
Publication of KR20200012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4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상부의 일부 또는 전체가 평판형인 매립대상물의 매립홀을 통해 승강 가능한 조명장치로서, 매립대상물의 상부를 조사하는 빛을 발광시키는 광원부; 매립대상물의 매립홀의 하부에 마련되며, 광원부를 승강 가능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광원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버튼부 및 광원부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대응하여 구동부의 승강을 제어하며 광원부로 온/오프 제어신호, 디밍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스크의 표면으로부터 인출되어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이동하여 조사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데스크용 조명장치는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데스크에 세워져 사용하는 이동식 전등으로 특정부분을 밝게 비추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데스크용 조명장치는 전원이 인가되면 빛을 발하는 전등과, 전등의 불빛을 집중시켜 주는 전등갓과, 전등 및 전등갓을 지지하는 지주와 각각의 부재를 바닥면에 세워주는 받침부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데스크용 조명장치는 받침부재를 통해 데스크의 일정부분을 점유하고 있어 데스크 위에서 공부나 서류작업을 할 때 조명장치에 의해 데스크의 사용공간이 적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데스크용 조명장치는 작업의 효율성을 위해 데스크의 일측부에 배치되므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아래로 떨어져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데스크 상에서 데스크의 사용공간을 확보하고 파손의 가능성이 적은 조명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463호(2005.11.1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매립대상물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다가 사용 시 매립대상물의 표면으로부터 인출되어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이동하여 광을 조사하고 미사용시 다시 매립대상물의 내부에 매립되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상부의 일부 또는 전체가 평판형인 매립대상물의 매립홀을 통해 승강 가능한 조명장치로서, 상기 매립대상물의 상부를 조사하는 빛을 발광시키는 광원부; 상기 매립대상물의 매립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광원부를 승강 가능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버튼부 및 상기 광원부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부의 승강을 제어하며 상기 광원부로 온/오프 제어신호, 디밍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부는 사용자 접촉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접촉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광원부의 동작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버튼부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횟수에 기초하여 출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버튼부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시간에 기초하여 승강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는 포토 인터럽터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구동부의 상부와 연결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하 적어도 2곳에 마련된 스토퍼;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서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기어를 통해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된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부의 상부에는 상기 광원부의 중심과 연결하는 지지부(P)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부의 상부에 마련된 센서부와 대응하는 곳에 상기 스토퍼가 위치할 때 상기 구동부의 동작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부의 모터와 연결된 톱니바퀴는 상기 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를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서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매립대상물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다가 사용 시 매립대상물의 표면으로부터 인출되어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이동하여 광을 조사하고 미사용시 다시 매립대상물의 내부에 매립됨으로써, 매립대상물의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하지 않을 경우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터치만으로 승하강, 디밍 등의 연속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가 매립대상물에 마련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블럭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가 매립대상물로부터 인출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가 매립대상물에 매립된 것을 나타내는 개락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상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승강부의 분해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바디부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가 매립대상물에 마련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블럭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가 매립대상물로부터 인출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가 매립대상물에 매립된 것을 나타내는 개락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상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광원부(110), 버튼부(120), 구동부(130), 제어부(140) 및 센서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예를 들어 데스크, 책상, 테이블, 탁자와 같은 상부의 일부 또는 전체가 평판형인 매립대상물(10)의 매립홀(20)을 통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다.
매립홀(20)은 매립대상물(1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이동으로 인한 파손의 염려가 없는 부분에 마련된다.
매립홀(20)은 광원부(1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형이나 다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매립홀(20)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3b와 같이 매립대상물(10)의 상부에 광원부(11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매립홀(20)에는 상부 프레임(135)이 고정되며, 상부 프레임(135)의 일부가 노출된다. 이때, 광원부(110)의 상부는 매립대상물(10)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의 접촉신호에 따라 구동부(130)가 상승구동되면 도 3a와 같이 조명장치는 매립대상물(10)의 표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한 후, 사용자의 접촉신호에 따라 조명출력이 조절된다. 이후, 사용자의 접촉신호에 따라 구동부(130)가 하강구동되면 도 3b와 같이 매립홀(20)에 마련된 상부 프레임(135)으로 광원부(110)의 일부가 노출될 때까지 하강한 후 정지한다.
도 3c를 참조할 때, 광원부(110)는 매립대상물(10)의 상부를 조사하는 빛을 발광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광원부의 외형을 디스크형으로 예시하였으나, 직육면체형, 타원형,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부(110)는 구동부의 상부와 연결된 하우징(111, 113)과 하우징(111, 113)의 내부에 마련되는 PCB 기판(112)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램프(115)를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111)의 상부에는 버튼부(120)가 마련되며, 하부 하우징(113)을 통해 LED 램프(115)의 빛이 조사된다. 하부 하우징(113)의 중심에는 지지부(P)가 결합된다.
버튼부(120)는 광원부(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사용자 접촉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접촉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부(130) 및 광원부(110)의 동작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광원부(110)의 상부에서 마련되는 버튼부(120)는 도전체로 제작되며, 접촉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접촉센서(미도시)에서 접촉이 감지되면 광원부(110)와 구동부(130)가 구동된다.
원형으로 마련되는 버튼부(120) 전체가 접촉 센싱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버튼부(120)의 구성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버튼부(120)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면 도 3a와 같이 조명장치는 매립대상물(10)의 표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한다. 이때, 미리 설정된 시간은 예를 들어, 1.5초일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높이는 300mm일 수 있으나, 매립대상물(10)의 높이, 매립대상물의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매립대상물(10)에 매립된 조명장치(100)는, 센서부(150)에 의해 위치가 인식되고 버튼부(120)의 접촉시간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140)가 수신하여 분석한 후 그 시간이 접촉시간이 1.5초 이상이면 구동부(130)에 상승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 구동부(130)는 센서부(150)의 위치 센싱에 의해 미리 설정된 높이인 300mm까지 상승한 후 멈추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버튼부(120)의 구성에 따라 광원부(110)는 버튼부(120)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횟수에 기초하여 출력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단으로 광원부(11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접촉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광원부(110)의 출력이 점점 증가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접촉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광원부(110)의 LED 램프(115)의 점등되는 수를 증가시키도록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광원부(110)는 구동부(130)의 상승이 완료되는 동시에 ON 상태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으나, 구동부(130)의 상승이 완료된 후 1번의 접촉에 의해 ON 상태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광원부(110)는 다단으로 출력이 증가한 후 다수의 터치에 의해 출력이 감소하도록 한 후 가장 낮은 출력단계에서 한 번의 추가 터치로 OFF 상태로 될 수 있다.
또한, 광원부(110)가 구동중인 상태에서도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의 버튼부(120)의 터치에 의해 광원부(110)는 OFF 상태가 되거나, OFF 상태와 동시에 구동부(130)는 하강동작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승강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바디부의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5b를 참조할 때, 구동부(130)는 매립대상물(10)의 매립홀(20)에 고정되되 매립홀(20)의 하부에 마련되며, 광원부(110)를 승강 가능하도록 구동시키는 것이다.
구동부(130)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바디부(131), 바디부(131)의 상하 적어도 2곳에 마련된 스토퍼(139a, 139b), 바디부(131)의 내부에서 바디부(131)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기어(132)를 통해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된 승강부(133) 및 승강부(133)의 상부에 결합된 지지부(P)를 포함한다.
승강부(133)는 모터(미도시) 및 톱니바퀴(134)가 마련되는 승강부 본체(133a), 승강부 본체(133a)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부(133c), 승강부 본체(133a)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지지부(P)가 고정결합되는 상부 커버부(133b)를 포함한다.
승강부(133)의 모터(미도시)와 연결된 톱니바퀴(134)는 기어(132)에 결합되어, 승강부(133)는 바디부(131)의 내부에서 승강된다.
승강부(133)는 톱니바퀴(134)와 기어(132)의 결합 이외에도 웜(미도시)과 웜기어(미도시)의 결합에 의해 승강하는 것도 가능하며, 승강부(133)의 승강을 위한 구조는 톱니바퀴(134)와 기어(132)의 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디부(131)의 내부에 지지부(P)가 결합한 승강부(133)가 결합한 후, 상부 프레임(135)와 하부 프레임(137)은 각각 바디부(131)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된다.
상부 프레임(135)은 매립홀(20)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부 프레임(135)의 하부는 바디부(131)의 상부에 삽입된다.
지지부(P)는 중공 또는 중실의 윈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광원부(110), 버튼부(120)와 연결된 전선(미도시)이 통과한다.
지지부(P)는 장주(long column, 長柱)의 일종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광원부(110), 버튼부(120)의 무게에 의하여도 휘어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제어부(140)는 광원부(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버튼부(120) 및 광원부(110)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부(15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대응하여 구동부(130)의 승강을 제어하며, 광원부(110)로 온/오프 제어신호, 디밍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제어부(140)는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룰 정보를 저장부(미도시)에서 검색하며, 검색된 제어룰 정보에 따라 광원부(120)의 조명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룰 정보는 사용자 접촉신호 중 접촉 시간 및 접촉횟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미리 정해진 온/오프, 디밍 제어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정된 제어모드이다.
또한, 제어부(140)는 스마트폰과 같은 입력수단(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미리 정해진 온/오프, 디밍 제어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광원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버튼부(120)의 조작에 구동부(130)가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센서부(150)가 상부 스토퍼(139a) 또는 하부 스토퍼(139b)에 대응하는 곳에 위치할 때 구동부(130)의 동작이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150)는 승강부(133)의 상부에 위치하며, 승강부(133)의 상부와 스토퍼(139a, 139b)가 마주할 때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에 제어부(140)는 승강부(133)의 승하강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한다.
센서부(150)는 포토 인터럽터 센서일 수 있으나, 승강부(133)의 위치를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다면 다른 센서도 채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센서부(150)가 포토 인터럽터 센서인 경우, 포토 인터럽터 사이로 스토퍼(139a, 139b)가 위치할 때 스토퍼(139a, 139b)가 포토 인터럽트 사이의 빛을 차단함으로써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하고 이 신호가 승강부(133)의 모터(미도시)의 회전을 멈추게 하여 승강부(133)의 승하강 동작을 멈추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100)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버튼부(120)를 접촉하면 제어부(140)는 버튼부(120)의 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한 후 구동부(130)를 상승구동시킨다(S110, S120).
이후 구동부(130)는 센서부(150)가 스토퍼(139a)와 마주하는 위치에 있을 때, 스토퍼(139a)가 포토 인터럽트 사이의 빛을 차단함으로써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하고 이 신호가 승강부(133)의 모터(미도시)의 회전을 멈추게 하여 승강부(133)의 상승 동작을 멈추게 한다.
광원부(110)는 승강부(133)의 멈춤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ON 상태가 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버튼부(120)를 접촉한 후에 ON 상태가 될 수 있다(S130).
이때 광원부(110)는 버튼부(120)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횟수에 기초하여 출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다단 버튼부(120) 신호에 의해 광원부(110)는 디밍 제어될 수 있다(S140).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버튼부(120)를 접촉하면 제어부(140)는 버튼부(120)의 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한 후 구동부(130)를 하강구동시킨다. 이때 광원부(110)는 자동으로 OFF 상태가 된다(S150, S160).
이후 구동부(130)는 센서부(150)가 스토퍼(139b)와 마주하는 위치에 있을 때, 스토퍼(139b)가 포토 인터럽트 사이의 빛을 차단함으로써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하고 이 신호가 승강부(133)의 모터(미도시)의 회전을 멈추게 하여 승강부(133)의 하강 동작을 멈추게 한다(S17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매립대상물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다가 사용 시 매립대상물의 표면으로부터 인출되어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이동하여 광을 조사하고 미사용시 다시 매립대상물의 내부에 매립됨으로써, 매립대상물의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하지 않을 경우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터치만으로 승하강, 디밍 등의 연속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매립대상물
20: 매립홀
100: 조명장치
110: 광원부
120: 버튼부
130: 구동부
140: 제어부
150: 센서부

Claims (10)

  1. 상부의 일부 또는 전체가 평판형인 매립대상물의 매립홀을 통해 승강 가능한 조명장치로서,
    상기 매립대상물의 상부를 조사하는 빛을 발광시키는 광원부;
    상기 매립대상물의 매립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광원부를 승강 가능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버튼부 및 상기 광원부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부의 승강을 제어하며 상기 광원부로 온/오프 제어신호, 디밍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사용자 접촉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접촉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광원부의 동작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버튼부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횟수에 기초하여 출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버튼부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시간에 기초하여 승강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포토 인터럽터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구동부의 상부와 연결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하 적어도 2곳에 마련된 스토퍼;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서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기어를 통해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된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의 상부에는 상기 광원부의 중심과 연결하는 지지부(P)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의 상부에 마련된 센서부와 대응하는 곳에 상기 스토퍼가 위치할 때 상기 구동부의 동작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의 모터와 연결된 톱니바퀴는 상기 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를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서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180087705A 2018-07-27 2018-07-27 조명장치 KR202000124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705A KR20200012418A (ko) 2018-07-27 2018-07-27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705A KR20200012418A (ko) 2018-07-27 2018-07-27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418A true KR20200012418A (ko) 2020-02-05

Family

ID=69514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705A KR20200012418A (ko) 2018-07-27 2018-07-27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24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695B1 (ko) * 2023-05-15 2023-12-19 주식회사 선우엘 지중 매립형 승강식 스마트 등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463Y1 (ko) 2005-08-12 2005-11-17 (주)남영가구산업 책상용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463Y1 (ko) 2005-08-12 2005-11-17 (주)남영가구산업 책상용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695B1 (ko) * 2023-05-15 2023-12-19 주식회사 선우엘 지중 매립형 승강식 스마트 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403914U (zh) 可悬浮操控的照明装置
US10213352B2 (en) Hand-held control for an electromotive furniture drive, method for detecting actuation of a hand-held control, and electromotive furniture drive
WO2008149561A1 (ja) 加熱調理器
JP2011072470A (ja) 昇降棚装置
KR910000895B1 (ko) 전기 호이스트의 조작장치
KR20200012418A (ko) 조명장치
KR102376164B1 (ko) 부유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100612464B1 (ko) 승강식 배기후드 장치
JPWO2015145778A1 (ja) 車載用照明装置
US20230175675A1 (en) Adjustable-height pendant luminaire
JP2010146923A (ja) 照明システム
KR101658633B1 (ko) 공동주택의 조명효율이 개선된 엘이디 등기구
ATE325312T1 (de) Hocheinbaugerät
CN106658813B (zh) 一种智能便携灯
CN218441925U (zh) 一种自动定位高度的升降灯具
KR100642493B1 (ko) 드럼 회전수 감지장치를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EP1453398B1 (en) Lamp and table (lamp 'n'table)
WO2019088092A1 (ja) 天板付什器
CN205456994U (zh) 升降装置及安装了该升降装置的电子桌牌
JPH0710479A (ja) 昇降装置
TWI735260B (zh) 自動升降裝置及自動升降系統
KR100927900B1 (ko) 모니터 승하강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10869A (ko) 승하강 테이블 겸용 조명장치를 갖는 이동식 기능성 임시주택
CN205681660U (zh) 一种智能便携灯
CN218409626U (zh) 一种具有智能语音的台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