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122A -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122A
KR20190140122A KR1020180066059A KR20180066059A KR20190140122A KR 20190140122 A KR20190140122 A KR 20190140122A KR 1020180066059 A KR1020180066059 A KR 1020180066059A KR 20180066059 A KR20180066059 A KR 20180066059A KR 20190140122 A KR20190140122 A KR 20190140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ouch
pattern
reg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6769B1 (ko
Inventor
김기철
정환희
서미경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6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769B1/ko
Priority to US16/166,744 priority patent/US11604544B2/en
Priority to TW112129392A priority patent/TW202401221A/zh
Priority to TW107144626A priority patent/TWI825049B/zh
Priority to CN201910109831.5A priority patent/CN110580109A/zh
Publication of KR20190140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122A/ko
Priority to US18/181,259 priority patent/US2023021406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L27/32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터치 센서는, 제1영역 및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1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영역을 포함한 감지영역과, 상기 감지영역 주변의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제1전극부로서,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전극부; 상기 베이스층 상에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2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제2전극부로서,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전극부; 및 상기 베이스층 상에 위치하는 제1전극패턴으로서, 상기 제1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부 중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1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에서 상기 제2영역으로 연장된 제2부분을 포함하는 제1전극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1전극패턴의 최대폭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1터치전극의 최대전극폭보다 작고, 상기 제1터치전극의 최대전극폭의 절반보다 크다.

Description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다양한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를 중심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 센서가 표시 장치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방식의 편리함으로 기존의 물리적인 입력 장치인 키패드 등을 대체하는 추세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치 감도가 향상된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제1영역 및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1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영역을 포함한 감지영역과, 상기 감지영역 주변의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제1전극부로서,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전극부; 상기 베이스층 상에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2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제2전극부로서,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전극부; 및 상기 베이스층 상에 위치하는 제1전극패턴으로서, 상기 제1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부 중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1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에서 상기 제2영역으로 연장된 제2부분을 포함하는 제1전극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1전극패턴의 최대폭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1터치전극의 최대전극폭보다 작고, 상기 제1터치전극의 최대전극폭의 절반보다 크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2부분의 최대폭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1터치전극의 최대전극폭의 절반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1부분의 최대폭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1터치전극의 최대전극폭의 절반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2영역의 폭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2부분의 최대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터치전극, 상기 제2터치전극 및 상기 제1전극패턴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전극패턴, 상기 제1터치전극 및 상기 제2터치전극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전극부는 상기 복수의 제1터치전극 중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두개의 제1터치전극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1전극패턴과 연결된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복수의 제2터치전극 중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두개의 제2터치전극을 연결하고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와 절연된 제3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3연결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터치전극, 상기 제2터치전극 및 상기 제1전극패턴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3연결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터치전극, 상기 제2터치전극 및 상기 제1전극패턴과 다른 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는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층 상에 위치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베이스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터치전극, 상기 제2터치전극, 상기 제1전극패턴 및 상기 제3연결부는 상기 절연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터치전극은 전극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패턴은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개구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터치전극과 이격된 더미패턴; 및 상기 개구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전극패턴과 이격된 전극더미패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더미패턴, 상기 더미패턴, 상기 제1터치전극 및 상기 제1전극패턴은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전극패턴, 상기 제1터치전극, 상기 전극더미패턴 및 상기 더미패턴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더미패턴의 평면형상과 상기 더미패턴의 평면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전극패턴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층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제2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전극패턴과 이격된 도전성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터치전극, 상기 제2터치전극, 상기 제1전극패턴 및 상기 도전성 패턴은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성 패턴은 상기 복수개의 제2전극부 중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2전극부와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성 패턴은 상기 복수의 제2터치전극 중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2터치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주변영역 내에 위치하며 제1전극패턴과 연결된 신호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선은, 상기 제1전극패턴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영역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제1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3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 상에 상기 제1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전극부 중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2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부분 및 상기 제3부분에서 상기 제3영역으로 연장된 제4부분을 포함하는 제2전극패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2전극패턴의 최대폭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2터치전극의 최대전극폭보다 작고 상기 제2터치전극의 최대전극폭의 절반보다 크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4부분의 최대폭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2터치전극의 최대전극폭의 절반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3영역의 폭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3부분의 최대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터치전극, 상기 제2터치전극, 상기 제1전극패턴 및 상기 제2전극패턴은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서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층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제3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전극패턴과 이격되며 상기 제2전극패턴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도전성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터치전극, 상기 제2터치전극, 상기 제1전극패턴, 상기 제2전극패턴 및 상기 도전성 패턴은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성 패턴은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부 중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1전극부와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성 패턴은 플로팅 패턴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제1영역 및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1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영역을 포함한 감지영역과, 상기 감지영역 주변의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제1전극부로서,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전극부; 상기 베이스층 상에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2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제2전극부로서,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전극부; 및 상기 베이스층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제2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2전극부 중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2전극부와 연결된 제1도전성 패턴; 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터치전극, 상기 제2터치전극 및 상기 제1도전성 패턴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도전성 패턴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영역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제1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3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제3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1전극부 중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1전극부와 연결된 제2도전성 패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터치전극, 상기 제2터치전극, 상기 제1도전성 패턴 및 상기 제2도전성 패턴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표시영역 상에 위치하는 자발광소자; 상기 자발광소자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영역과 중첩하는 감지영역을 포함하는 박막 봉지층으로서, 상기 감지영역은 제1영역 및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1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박막 봉지층;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제1전극부로서,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전극부;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2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제2전극부로서,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전극부; 및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제1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부 중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1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에서 상기 제2영역으로 연장된 제2부분을 포함하는 제1전극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1전극패턴의 최대폭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1터치전극의 최대전극폭보다 작고, 상기 제1터치전극의 최대전극폭의 절반보다 크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박막 봉지층은, 상기 자발광소자 상에 위치하는 제1봉지 무기막, 상기 제1봉지 무기막 상에 위치하는 봉지 유기막, 및 상기 봉지 유기막 상에 위치하는 제2봉지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2부분의 최대폭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1터치전극의 최대전극폭의 절반보다 작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2영역의 폭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2부분의 최대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터치 감도가 향상된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화소의 예시적인 등가회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화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포함하는 터치 센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Q1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X1-X1'을 따라 절단한 터치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X3-X3'를 따라 절단한 터치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X5-X5'를 따라 절단한 터치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Q7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구조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7에 도시된 구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6의 Q3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X7-X7'를 따라 절단한 터치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X9-X9'를 따라 절단한 터치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구조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5에 도시된 구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6의 Q5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구조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구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제3, 제4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 제3 구성요소, 제4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표시면(IS)을 포함한다. 표시면(IS)은 제1방향(DR1) 및 제2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할 수 있다. 표시면(IS)의 법선 방향, 즉 표시 장치(1)의 두께 방향은 제3방향(DR3)이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방향(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에는 표시면(IS)이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1)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1)는 곡면형 표시면 또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시하는 복수 개의 표시영역들을 포함하는 입체형 표시면(다각 기둥형 표시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리지드 표시 장치 또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가 적용된 예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하였다. 휴대용 단말기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게임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표시 장치(1)의 구체적인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표시 장치(1)가 텔레비전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전자 장비를 비롯하여,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 스마트 와치,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 장비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제1방향(DR1)으로 연장된 양 단변과 제2방향(DR2)으로 연장된 양 장변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장변과 단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직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곡면을 이룰 수 있다. 또는 표시 장치(1)의 모서리는 파손 위험을 줄이기 위해 모따기 처리(chamfering)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외에도 표시 장치(1)의 평면 형상은 예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의 표시면(IS)은 이미지가 표시되는 표시영역(DD-DA) 및 표시영역(DM-DA)에 인접한 비표시영역(DM-NDA)을 포함한다. 비표시영역(DM-NDA)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영역(DM-DA)은 대체로 사각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M-DA)의 모서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을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표시 영역(DM-DA)의 모서리가 곡면을 이루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비표시영역(DM-NDA)은 표시영역(DM-DA)을 둘러쌀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영역(DM-DA)의 형상과 비표시영역(DM-NDA)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측", "상부", "탑", "상면"은 도면을 기준으로 제1방향(DR1) 및 제2방향(DR2)과 교차하는 제3방향(DR3)의 화살표가 향하는 측을 의미하고, "하", "하측", "하부", "바텀", "하면"은 도면을 기준으로 제3방향(DR3)의 화살표가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2방향(DR2)과 제3방향(DR3)이 정의하는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장치(1)는 표시패널(DP)과 터치 센서(TS)를 포함한다. 표시패널(DP)은 이미지를 생성하고, 터치 센서(TS)는 외부입력(터치 이벤트)의 좌표정보를 획득한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 장치(1)는 표시패널(DP)의 하측에 배치된 보호부재, 터치 센서(TS)의 상측에 배치된 반사방지부재 및/또는 윈도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패널(DP)은 자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자발광소자는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양자점 발광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무기물 기반의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예컨대 Micro LED), 무기물 기반의 나노 발광 다이오드(예컨대 Nano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자발광소자가 유기발광소자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표시패널(DP)은 베이스 기판(SUB), 베이스 기판(SUB)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회로 소자층(DP-CL), 표시 소자층(DP-OLED), 및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패널(DP)은 반사방지층, 굴절률 조절층 등과 같은 기능성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판(SUB)은 유리, 석영,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의 예로는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 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cellulose triacetate: 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베이스 기판(SUB)은 금속 재질의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베이스 기판(SUB)은 리지드(rigid) 기판이거나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을 이루는 물질의 예로 폴리이미드(PI)를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영역(DM-DA)과 비표시영역(DM-NDA)은 베이스 기판(SUB)에 동일하게 정의될 수 있다.
회로 소자층(DP-CL)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 절연층과 회로 소자를 포함한다. 중간 절연층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 무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중간 유기막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 소자는 신호라인들, 화소의 구동회로 등을 포함한다. 코팅, 증착 등에 의한 절연층 형성공정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한 도체층 및/또는 반도체층의 패터닝 공정을 통해 회로 소자층(DP-CL)이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자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자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일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화소 정의막과 같은 유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표시 소자층(DP-OLED)을 밀봉한다.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이하, 봉지 무기막)을 포함한다.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이하, 봉지 유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봉지 무기막은 수분/산소로부터 표시 소자층(DP-OLED)을 보호하고, 봉지 유기막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표시 소자층(DP-OLED)을 보호한다. 봉지 무기막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및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 유기막은 아크릴 계열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박막 봉지층(TFE)은 봉지 기판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실런트에 의해 표시 소자층(DP-OLED)을 밀봉한다.
터치 센서(TS)는 베이스층(BSL) 및 베이스층(BSL) 상에 위치하는 터치 소자층(TC)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층(BSL)은 표시패널(DP)의 일부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층(BSL)은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 터치 센서(TS)의 베이스층(BSL)으로서 표시패널(DP)의 구성 중 일부가 더 사용될 수도 있다.
터치 센서(TS)가 표시패널(DP)의 구성 중 일부, 예컨대 박막 봉지층(TFE)을 베이스층(BSL)으로 이용함에 따라, 표시 장치(1)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센서(TS)의 베이스층(BSL)은 표시패널(DP)의 구성과는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접착층등을 매개로 표시패널(DP)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 센서(TS)의 베이스층(BSL)이 표시패널(DP)의 구성 중 일부, 예컨대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터치 센서(TS)는 예컨대, 정전용량 방식으로 외부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정전용량 방식은 자기 정전용량(self-capacitance) 방식 또는 상호 정전용량(mutual-capacitance) 방식으로 터치된 지점의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센서(TS)가 상호 정전용량 방식의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화소의 예시적인 등가회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화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표시패널(DP)은 평면상에서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의 테두리를 따라 정의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1)의 표시영역(DM-DA) 및 비표시영역(DM-NDA)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은 표시 장치(1)의 표시영역(DM-DA) 및 비표시영역(DM-NDA)과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고, 표시패널(DP)의 구조/디자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A)의 모서리는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구동회로(GDC), 복수 개의 신호라인들(SGL) 및 복수 개의 화소들(PX)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화소들(PX)은 표시영역(DA)에 배치된다. 화소들(PX) 각각은 자발광 소자(예컨대 유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자발광 소자에 연결된 화소 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회로(GDC), 복수 개의 신호라인들(SGL) 및 화소 구동회로는 도 2에 도시된 회로 소자층(DP-CL)에 포함될 수 있다.
구동회로(GDC)는 주사 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회로(GDC)는 복수 개의 주사 신호들을 생성하고, 복수 개의 주사 신호들을 후술하는 복수 개의 주사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주사 구동회로(GDC)는 화소들(PX)의 구동회로에 또 다른 제어 신호를 더 출력할 수 있다.
구동회로(GDC)는 화소들(PX)의 구동회로와 동일한 공정, 예컨대 LTPS(Low Temperature Polycrystaline Silicon) 공정 또는 LTPO(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 공정을 통해 형성된 복수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신호라인들(SGL)은 주사 라인들(GL), 데이터 라인들(DL), 전원 라인(PL), 및 제어신호 라인(CSL)을 포함할 수 있다. 주사 라인들(G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되고, 데이터 라인들(D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된다. 전원 라인(P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에 연결된다. 제어신호 라인(CSL)은 구동회로(GDC)에 제어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신호라인들(SGL)의 말단에 연결된 신호패드들(DP-PD)을 포함한다. 신호패드들(DP-PD)은 일종의 회로 소자일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 중 신호패드들(DP-PD)이 배치된 영역은 패드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 중 상기 패드영역에는 후술하는 터치 센서(TS)의 신호선들(901, 903, 9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 패드들(TS-PD)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치 패드들(TS-PD)은 신호라인들(SGL)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신호라인들(SGL)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치 패드들(TS-PD)은 표시패널의 신호라인들(SGL)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편,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표시패널(DP)의 비표시영역(NDA)에는 칩실장영역이 더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칩실장영역에는 칩 형태의 타이밍 제어회로 등 구동칩이 실장될 수도 있다.
도 5에는 어느 하나의 주사 라인(GL), 어느 하나의 데이터 라인(DL), 전원 라인(PL), 및 이들에 연결된 화소(PX)를 도시하였다. 화소(PX)의 구성은 도 5에 제한되지 않고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전면 발광형 다이오드이거나, 배면 발광형 다이오드일 수 있다. 화소(PX)는 유기 발광 소자(OLED)를 구동하기 위한 화소 구동회로로써 제1 트랜지스터(T1, 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제2 트랜지스터(T2, 또는 구동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제1 전원 전압(ELVDD)은 제2 트랜지스터(T2)에 제공되고, 제2 전원 전압(ELVSS)은 유기 발광 소자(OLED)에 제공된다. 제2 전원 전압(ELVSS)은 제1 전원 전압(ELVDD) 보다 낮은 전압일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주사 라인(GL)에 인가된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커패시터(Cst)는 제1 트랜지스터(T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유기 발광 소자(OLED)에 연결된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하량에 대응하여 유기 발광 소자(OLED)에 흐르는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등가회로는 하나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제하되지 않는다. 화소(PX)는 복수 개의 트랜지스터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더 많은 캐수의 커패시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전원 라인(PL)과 제2 트랜지스터(T2) 사이에 접속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등가회로에 대응하는 표시패널(DP)의 부분 단면을 도시하였다.
베이스층(BL) 상에 회로 소자층(DP-CL), 표시 소자층(DP-OLED), 및 박막 봉지층(TFE)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로 소자층(DP-CL)은 무기막인 버퍼막(BFL), 제1 중간 무기막(10) 및 제2 중간 무기막(20)을 포함하고, 유기막인 중간 유기막(30)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 및 유기막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버퍼막(BFL)은 선택적으로 배치/생략될 수 있다.
버퍼막(BFL) 상에 제1 트랜지스터(T1)의 반도체 패턴(OSP1: 이하 제1 반도체 패턴), 제2 트랜지스터(T2)의 반도체 패턴(OSP2: 이하 제2 반도체 패턴)이 배치된다. 제1 반도체 패턴(OSP1) 및 제2 반도체 패턴(OSP2)은 아몰포스 실리콘, 폴리 실리콘, 금속 산화물 반도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턴(OSP1) 및 제2 반도체 패턴(OSP2) 상에 제1 중간 무기막(10)이 배치된다. 제1 중간 무기막(10) 상에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어전극(GE1: 이하, 제1 제어전극) 및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어전극(GE2: 이하, 제2 제어전극)이 배치된다. 제1 제어전극(GE1) 및 제2 제어전극(GE2)은 주사 라인들(GL, 도 3 참조)과 동일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제1 중간 무기막(10) 상에는 제1 제어전극(GE1) 및 제2 제어전극(GE2)을 커버하는 제2 중간 무기막(20)이 배치된다. 제2 중간 무기막(20) 상에 제1 트랜지스터(T1)의 입력전극(DE1: 이하, 제1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SE1: 제1 출력전극), 제2 트랜지스터(T2)의 입력전극(DE2: 이하, 제2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SE2: 제2 출력전극)이 배치된다.
제1 입력전극(DE1)과 제1 출력전극(SE1)은 제1 중간 무기막(10) 및 제2 중간 무기막(20)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CH1)과 제2 관통홀(CH2)을 통해 제1 반도체 패턴(OSP1)에 각각 연결된다. 제2 입력전극(DE2)과 제2 출력전극(SE2)은 제1 중간 무기막(10) 및 제2 중간 무기막(20)을 관통하는 제3 관통홀(CH3)과 제4 관통홀(CH4)을 통해 제2 반도체 패턴(OSP2)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2 트랜지스터(T2) 중 일부는 바텀 게이트 구조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제2 중간 무기막(20) 상에 제1 입력전극(DE1), 제2 입력전극(DE2), 제1 출력전극(SE1), 및 제2 출력전극(SE2)을 커버하는 중간 유기막(30)이 배치된다. 중간 유기막은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중간 유기막(30) 상에는 표시 소자층(DP-OLED)이 배치된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화소 정의막(PDL) 및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유기막(30) 상에 제1 전극(AE)이 배치된다. 제1 전극(AE)은 중간 유기막(30)을 관통하는 제5 관통홀(CH5)을 통해 제2 출력전극(SE2)에 연결된다. 화소 정의막(PDL)에는 개구부(OP)가 정의된다. 화소 정의막(PDL)의 개구부(OP)는 제1 전극(AE)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소 정의막(PDL)은 생략될 수도 있다.
화소(PX)는 표시영역(DP-DA)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영역(DP-DA)은 발광영역(PXA)과 발광영역(PXA)에 인접한 비발광영역(NPXA)을 포함할 수 있다. 비발광영역(NPXA)은 발광영역(PXA)을 둘러 쌀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영역(PXA)은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AE)의 일부영역에 대응하게 정의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광영역(PXA)은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들(T1, T2) 중 적어도 하나에 중첩할 수 있다. 개구부(OP)가 더 넓어지고, 제1 전극(AE), 및 후술하는 발광층(EML)도 더 넓어질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은 발광영역(PXA)과 비발광영역(NPXA)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정공 제어층(HCL)과 같은 공통층은 화소들(PX, 도 3 참조)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 상에 발광층(EML)이 배치된다. 발광층(EML)은 개구부(OP)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발광층(EML)은 화소들(PX) 각각에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유기물질 및/또는 무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소정의 유색 컬러광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패터닝된 발광층(EML)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발광층(EML)은 화소들(PX)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발광층(EML)은 백색 광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발광층(EML)은 텐덤(tandem)이라 지칭되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발광층(EML) 상에 전자 제어층(ECL)이 배치된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제어층(ECL)은 화소들(PX, 도 3 참조)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제어층(ECL) 상에 제2 전극(CE)이 배치된다. 제2 전극(CE)은 화소들(PX)에 공통적으로 배치된다.
제2 전극(CE) 상에 박막 봉지층(TFE)이 배치된다. 박막 봉지층(TFE)은 화소들(PX)에 공통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박막 봉지층(TFE)은 제2 전극(CE)을 직접 커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박막 봉지층(TFE)과 제2 전극(CE) 사이에는, 제2 전극(CE)을 커버하는 캡핑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박막 봉지층(TFE)은 캡핑층을 직접 커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박막 봉지층(TFE)은 제2 전극(CE)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봉지 무기막(lOL1), 봉지 유기막(OL1) 및 제2 봉지 무기막(IOL2)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봉지 무기막(lOL1) 및 제2 봉지 무기막(IOL2)은 각각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주석 산화물, 세륨 산화물, 실리콘 산질화물(SiON), 리튬 플로라이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봉지 유기막(OL1)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박막 봉지층(TFE)의 구조가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박막 봉지층(TFE)의 적층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기 발광 소자(OLED)는 발광층(EML)에서 생성된 광의 공진 거리를 제어하기 위한 공진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진 구조물은 제1 전극(AE)과 제2 전극(CE) 사이에 배치되며, 공진 구조물의 두께는 발광층(EML)에서 생성된 광의 파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포함하는 터치 센서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Q1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도 8은 도 7의 X1-X1’을 따라 절단한 터치 센서의 단면도, 도 9는 도 7의 X3-X3’를 따라 절단한 터치 센서의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X5-X5’를 따라 절단한 터치 센서의 단면도, 도 11은 도 7의 Q7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구조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도 7에 도시된 구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도 6의 Q3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X7-X7’를 따라 절단한 터치 센서의 단면도, 도 17은 도 15의 X9-X9’를 따라 절단한 터치 센서의 단면도,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구조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0은 도 15에 도시된 구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터치 센서(TS)는 베이스층(BSL), 제1전극부(120), 제2전극부(130), 제1전극패턴(141)을 포함하며, 제2전극패턴(143), 제3전극패턴(145) 및 제4전극패턴(147)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TS)는 제1도전성 패턴(15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도전성 패턴(153), 제3도전성 패턴(155) 및 제4도전성 패턴(157)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TS)는 모서리 도전 패턴(15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TS)의 구성 중 베이스층(BSL)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터치 소자층(TC)에 포함될 수 있다.
베이스층(BSL)은 터치 센서(TS)의 기재가 되는 층으로서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층(BSL)은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을 구성하는 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층(BSL)은 표시패널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예컨대 박막 봉지층을 포함하는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층(BSL)은 평면 상에서 감지 영역(SA) 및 주변 영역(NSA)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영역(SA)은 터치 센서(TS) 중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영역이고, 주변 영역(NSA)은 터치 센서(TS) 중 터치 입력을 감지하지 못하는 영역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주변 영역(NSA)은 감지 영역(SA)의 테두리를 따라 정의될 수 있다. 감지 영역(SA) 및 주변 영역(NSA)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1)의 표시영역(DM-DA) 및 비표시영역(DM-NDA)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또는 감지 영역(SA) 및 주변 영역(NSA)은 도 3에 도시된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감지 영역(SA)은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A)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A)의 모서리가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감지 영역(SA)의 모서리도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감지 영역(SA)은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A1)은 제1전극부(120) 및 제2전극부(130)가 배치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영역(A2)은 감지 영역(SA) 중 제1방향(DR1)을 따라 제1영역(A1)의 일측에 위치하는 영역으로서, 제1전극패턴(141)의 일부가 위치하는 영역 또는 제1도전성 패턴(151)이 위치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감지 영역(SA)은 제3영역(A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영역(A3)은 감지 영역(SA) 중 제2방향(DR2)을 따라 제1영역(A1)의 일측에 위치하는 영역으로서, 제2전극패턴(143)의 일부가 위치하는 영역 또는 제2도전성 패턴(153)이 위치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감지 영역(SA)은 모서리 영역(E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서리 영역(EA)은 감지 영역(SA) 중 모서리 측을 포함하는 영역으로서, 제1영역(A1), 제2영역(A2), 제3영역(A3) 및 주변 영역(NSA)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감지 영역(SA)은 제4영역(A4) 및 제5영역(A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영역(A4)은 제1영역(A1)을 사이에 두고 제2영역(A2)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제5영역(A5)은 제1영역(A1)을 사이에 두고 제3영역(A3)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이하 제1영역(A1)에 대해 설명한다.
베이스층(BSL)상에는 제1전극부(120), 제1전극부(120)와 절연된 제2전극부(13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전극부(120) 및 제2전극부(130)는 감지 영역(SA) 중 제1영역(A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영역(A1) 내에서 제1전극부(120)는 제1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전극부(120)는 복수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방향(DR2)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전극부(120)는 제1방향(DR1)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터치전극(121) 및 제1방향(DR1)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제1터치전극(121)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연결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전극부(120)는 제1전극패턴(141)과 연결된 제2연결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연결"이라 함은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인 측면에서의 "연결"을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터치전극(121)의 평면 형상은 마름모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원형, 바(bar)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제1터치전극(121)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도전성 물질은 금속이나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으로는 금(Au), 은(Ag),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크롬(Cr),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구리(Cu), 백금(Pt)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1터치전극(121)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투명 도전성 물질로는 은나노와이어(AgNW),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ntimony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ZnO(Zinc Oxide), 및 SnO2(Tin Oxide),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PEDOT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터치전극(121)은 단층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다층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터치전극(121)이 다층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터치전극(121)은 다층의 금속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터치전극(121)은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의 3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터치전극(121)은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쉬(mesh)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터치전극(121)이 메쉬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터치전극(12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광영역(PXA)과 비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메쉬 구조의 제1터치전극(121)에는 발광영역(PXA)과 중첩하는 메쉬홀이 정의될 수 있다.
제1터치전극(121)은 제1전극개구부(OPE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터치전극(121) 각각은 적어도 중앙부분이 개구되어 제1터치전극(121) 아래에 위치하는 층을 노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터치전극(121) 아래에 제1절연층(51)이 위치하는 경우, 제1절연층(51)의 일부는 제1전극개구부(OPE1)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전극개구부(OPE1)의 평면 형상은 마름모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연결부(123)는 제1방향(DR1)을 따라 이웃하는 제1터치전극(121)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제1터치전극(121)과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123)는 브리지(bridge) 형태의 연결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123)는 제1터치전극(121)이 위치하는 층과 다른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연결부(123)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123)는 제1터치전극(12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제1터치전극(121)의 구성 물질로 예시된 물질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123)는 단층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층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연결부(123)는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의 3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터치전극(121)과 제1연결부(123) 사이에는 제1절연층(51)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연결부(123)는 베이스층(BSL) 상에 위치하고, 제1연결부(123) 상에는 제1절연층(51)이 위치하고, 제1터치전극(121)은 제1절연층(5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연결부(123)와 제1터치전극(121)은 제1절연층(51)에 형성된 제1컨택홀(CNT1)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절연층(51)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물질은 무기 절연물질 또는 유기 절연물질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절연물질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 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절연물질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123)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123)는 제1터치전극(12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제1터치전극(121)의 구성 물질로 예시된 물질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제1방향(DR1)을 따라 이웃하는 제1터치전극(121) 사이에 제1연결부(123)가 하나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연결부(123)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연결부(12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제1방향(DR1)을 따라 이웃하는 제1터치전극(121) 사이에 두개 이상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연결부(125)는 제1전극부(120)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특히 제1전극부(120)의 단부 중 제1전극패턴(141)과 제1방향(DR1)을 따라 인접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연결부(125)는 제1전극부(120)의 제1터치전극(121) 중 제1방향(DR1)을 따라 제1전극패턴(141)과 인접한 제1터치전극(121)과 제1전극패턴(141)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제1절연층(51)에 형성된 제2컨택홀(CNT2)을 통해 제1터치전극(121) 및 제1전극패턴(141)과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연결부(125)는 브리지(bridge) 형태의 연결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연결부(125)는 제1터치전극(121)이 위치하는 층과 다른 층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연결부(123)와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연결부(125)는 제1연결부(123)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연결부(123)와 동일한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영역(A1) 내에서 제2전극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방향(DR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전극부(130)는 복수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방향(DR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전극부(130)는 제2방향(DR2)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터치전극(131) 및 제2방향(DR2)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제2터치전극(131)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연결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전극부(130)는 제2전극패턴(143)과 연결되는 제4연결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터치전극(131)은 제1터치전극(121)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2터치전극(131)은 제1절연층(5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터치전극(131)은 마름모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원형, 바(bar)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제2터치전극(131)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터치전극(12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터치전극(121)이 다층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터치전극(131)도 다층 적층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터치전극(121)이 메쉬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터치전극(131)도 메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연결부(133)는 제2방향(DR2)을 따라 이웃하는 제2터치전극(131)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제2터치전극(131)과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연결부(133)는 제1터치전극(121) 및 제2터치전극(131)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3연결부(133)는 제1터치전극(121) 및 제2터치전극(131)과 마찬가지로 제1절연층(5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3연결부(133)는 제1절연층(51)을 매개로 제1연결부(123)와 절연되고 제1연결부(123)와 교차할 수 있다.
제3연결부(133)는 제1터치전극(121) 및 제2터치전극(13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터치전극(121) 및 제2터치전극(131)이 다층 적층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메쉬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3연결부(133)도 제1터치전극(121) 및 제2터치전극(131)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터치전극(131)은 제2전극개구부(OPE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터치전극(131) 각각은 적어도 중앙부분이 개구되어 제2터치전극(131) 아래에 위치하는 제1절연층(51)을 노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전극개구부(OPE2)의 평면 형상은 마름모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4연결부(135)는 제2전극부(130)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특히 제2전극부(130)의 단부 중 제2전극패턴(143)과 제2방향(DR2)을 따라 인접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제4연결부(135)는 제2전극부(130)의 복수의 제2터치전극(131) 중 제1방향(DR1)을 따라 제2전극패턴(143)과 인접한 제2터치전극(131)과 제2전극패턴(143)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4연결부(135)는 제1터치전극(121), 제2터치전극(131) 및 제3연결부(133)와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4연결부(135)는 제1터치전극(121) 및 제2터치전극(13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터치전극(121) 및 제2터치전극(131)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전극부(120)는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제공받는 구동전극부 일 수 있으며, 제2전극부(130)는 상기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전극부 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터치전극(121)의 제1전극개구부(OPE1) 내에는 제1더미패턴(171)이 위치할 수 있으며, 제2터치전극(131)의 제2전극개구부(OPE2) 내에는 제2더미패턴(173)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더미패턴(171)은 제1전극개구부(OPE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전극개구부(OPE1)가 마름모 형상인 경우, 제1더미패턴(171)도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제2더미패턴(173)은 제2전극개구부(OPE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더미패턴(171)은 제1전극개구부(OPE1) 내에서 제1터치전극(121)과 이격되고, 제2더미패턴(173)은 제2전극개구부(OPE2) 내에서 제2터치전극(131)과 이격될 수 있다. 즉, 제1더미패턴(171) 및 제2더미패턴(173)은 각각 섬 형상을 갖는 플로팅(floating) 전극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더미패턴(171) 및 제2더미패턴(173)은 제1터치전극(121) 및 제2터치전극(131)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더미패턴(171) 및 제2더미패턴(173)은 제1터치전극(121) 및 제2터치전극(131)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됨으로써,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며, 동일한 적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더미패턴(171) 및 제2더미패턴(173)을 배치함에 따라, 제1터치전극(121)과 제2터치전극(131) 사이의 경계 영역이 외부에서 시인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이하 제2영역(A2)에 대해 설명한다.
제2영역(A2) 내에는 제1전극부(120) 및 제2전극부(130)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제1전극부(120)의 제1방향(DR1)의 일측에는 제1전극패턴(141)이 위치할 수 있다. 제1전극패턴(141)은 제1영역(A1)에 위치하는 제1부분(141a) 및 제2영역(A2)에 위치하는 제2부분(14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부분(141b)은 제1부분(141a)에서 제1방향(DR1)을 따라 제2영역(A2)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부분(141a)은 상술한 제2연결부(125)를 매개로 제1방향(DR1)을 따라 인접한 제1전극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부분(141a)의 형상은, 제2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선을 기준으로 제1터치전극(121)의 일부분과 대칭인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부분(141b)은 제1부분(141a)에서 제2영역(A2)으로 연장된 부분일 수 있으며, 주변 영역(SA)에 위치하는 제2신호선(903)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전극부(120)는 제1전극패턴(141)을 매개로 제2신호선(9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신호선(903)을 통해 터치 신호(예컨대, 구동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부분(141b)의 형상은, 제2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선을 기준으로 제1터치전극(121)의 일부분과 대칭인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방향(DR1)을 따라 측정한 제1부분(141a)의 제1최대폭(W1)과 제1방향(DR1)을 따라 측정한 제2부분(141b)의 제2최대폭(W2)의 합은, 제1방향(DR1)을 따라 측정한 제1터치전극(121)의 최대폭(WA)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부분(141a)의 제1최대폭(W1)과 제2부분(141b)의 제2최대폭(W2)의 합은 제1터치전극(121)의 최대폭(WA)의 절반값, 즉 WA/2보다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부분(141a)의 제1최대폭(W1)은 제1터치전극(121)의 최대폭(WA)의 절반값, 즉 WA/2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부분(141a)의 제1최대폭(W1)은 제2부분(141b)의 제2최대폭(W2)보다 클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부분(141a)의 제1최대폭(W1)이 제1터치전극(121)의 최대폭(WA)의 절반값인 WA/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 제2부분(141b)의 제2최대폭(W2)은 제1터치전극(121)의 최대폭(WA)의 절반값인 WA/2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방향(DR1)을 따라 측정한 제2영역(A2)의 폭은 제2부분(141b)의 제2최대폭(W2)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방향(DR1)을 따라 측정한 제2영역(A2)의 폭은 제1터치전극(121)의 최대폭(WA)보다 작을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터치전극(121)의 최대폭(WA)의 절반값인 WA/2보다 작을 수 있다.
제2영역(A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터치전극(121)의 최대폭(WA)의 절반값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영역(A2)에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제1터치전극(121)을 추가 배치하기 어렵다. 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 내에 제1전극패턴(141)을 배치하고, 제1전극패턴(141)을 제1전극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바, 결과적으로 제1전극부(120)와 제2전극부(130)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입력을 수용하는 면적이 증가하는 바, 결과적으로 터치 입력 발생시 발생하는 상호 정전용량 변화량이 보다 증가할 수 있게 되어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감지 영역(SA)의 가장자리 측, 예컨대 제2영역(A2)에서의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전극패턴(141)은 제1터치전극(121) 및 제2터치전극(131)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전극패턴(141)은 제1터치전극(121) 및 제2터치전극(131)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됨으로써,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며, 동일한 적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전극패턴(141)에는 제1개구부(OP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개구부(OP1)는 제1영역(A1)에 위치하는 부분 및 제2영역(A2)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선을 기준으로 제1전극개구부(OPE1)의 일부 또는 전부와 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개구부(OP1) 내에는 제1전극패턴(141)과 이격된 제1전극더미패턴(175)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전극더미패턴(175)은 제1전극패턴(141)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고 동일한 적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전극패턴(141)은 제2방향(DR2)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고, 각각의 제1전극패턴(141)은 제1방향(DR1)을 따라 인접한 제1전극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영역(A2)에는 제1도전성 패턴(151)이 더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도전성 패턴(151)은 제2방향(DR2)을 따라 이격된 두개의 제1전극패턴(14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도전성 패턴(151)은 제1전극패턴(141), 제1터치전극(121) 및 제2터치전극(131)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고 동일한 적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도전성 패턴(15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패턴(141) 및 제1방향(DR1)을 따라 인접한 제2터치전극(131)과 이격될 수 있다. 즉, 제1도전성 패턴(151)은 플로팅 패턴일 수 있다. 제1도전성 패턴(151)이 제2영역(A2)에 위치함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제1전극패턴(141) 사이의 공간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제2영역(A2)의 구조는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역(A2) 내에 위치하는 제1도전성 패턴(151-1)은 적어도 일부가 제1영역(A1)으로 연장되어 제1방향(DR1)을 따라 인접한 제2터치전극(131)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도전성 패턴(151-1)은 복수개의 제2전극부(130) 중 제1방향(DR1)을 따라 제2영역(A2)에 최인접한 제2전극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전극부(120)와 제2전극부(130)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이 더욱 증가하고 터치 입력을 수용하는 면적이 더욱 증가하는 바, 결과적으로 터치 입력 발생시 발생하는 상호 정전용량 변화량이 보다 증가할 수 있게 되어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역(A2) 내에 제1도전성 패턴(151)이 배치되지 않고, 제1전극패턴(141-1)의 형상이 변경될 수도 있다.
제1전극패턴(141-1)의 제1부분(141a)의 형상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고, 제2부분(141b-1)의 형상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변형될 수 있다. 제2부분(141b-1)은 가장자리가 제1방향(DR1)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패턴(141-2)의 제1부분(141a)의 형상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고, 제2부분(141b-2)은 가장자리가 제1방향(DR1)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제1개구부(OP1-1)도 제2영역(A2) 내에서 가장자리가 제1방향(DR1)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개구부(OP1-1) 내에 배치되는 제3더미전극(175-1)도 제1개구부(OP1-1)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 제3영역(A3)에 대해 설명한다.
제3영역(A3) 내에는 제1전극부(120) 및 제2전극부(130)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제2전극부(130)의 제2방향(DR2)의 일측에는 제2전극패턴(143)이 위치할 수 있다. 제2전극패턴(143)은 제1영역(A1)에 위치하는 제3부분(143a) 및 제3영역(A3)에 위치하는 제4부분(14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4부분(143b)은 제3부분(143a)에서 제2방향(DR2)을 따라 제3영역(A3)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부분(143a)은 상술한 제4연결부(135)를 매개로 제2방향(DR2)을 따라 인접한 제2전극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부분(143a)의 형상은, 제1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선을 기준으로 제2터치전극(131)의 일부분과 대칭인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4부분(143b)의 형상은, 제1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선을 기준으로 제2터치전극(131)의 일부분과 대칭인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방향(DR2)을 따라 측정한 제3부분(143a)의 제3최대폭(W3)과 제2방향(DR2)을 따라 측정한 제4부분(144b)의 제4최대폭(W4)의 합은, 제2방향(DR2)을 따라 측정한 제2터치전극(131)의 최대폭(WB)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3부분(143a)의 제3최대폭(W3)과 제4부분(143b)의 제4최대폭(W4)의 합은 제2터치전극(131)의 최대폭(WB)의 절반값, 즉 WB/2보다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부분(143a)의 제3최대폭(W3)은 제2터치전극(131)의 최대폭(WB)의 절반값, 즉 WB/2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3부분(143a)의 제3최대폭(W3)은 제4부분(143b)의 제4최대폭(W4)보다 클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3부분(143a)의 제3최대폭(W3)이 제2터치전극(131)의 최대폭(WB)의 절반값인 WB/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 제4부분(143b)의 제4최대폭(W4)은 제2터치전극(131)의 최대폭(WB)의 절반값인 WB/2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방향(DR2)을 따라 측정한 제3영역(A3)의 폭은 제4부분(143b)의 제4최대폭(W4)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방향(DR2)을 따라 측정한 제3영역(A3)의 폭은 제2터치전극(131)의 최대폭(WB)보다 작을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2터치전극(131)의 최대폭(WB)의 절반값인 WB/2보다 작을 수 있다.
제3영역(A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터치전극(131)의 최대폭(WB)의 절반값보다 작은 폭을 갖는 바, 제3영역(A3)에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제2터치전극(131)을 추가 배치하기 어렵다. 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제1영역(A1) 및 제3영역(A3) 내에 제2전극패턴(143)을 배치하고, 제2전극패턴(143)을 제2전극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바, 결과적으로 제1전극부(120)와 제2전극부(130)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이 증가하고 터치 입력을 수용하는 면적이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터치 입력 발생시 발생하는 상호 정전용량 변화량이 보다 증가할 수 있게 되어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감지 영역(SA)의 가장자리 측, 예컨대 제3영역(A3)에서의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전극패턴(143)은 제1전극패턴(141), 제1터치전극(121) 및 제2터치전극(131)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전극패턴(143)은 제1전극패턴(141), 제1터치전극(121) 및 제2터치전극(131)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됨으로써,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며, 동일한 적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전극패턴(143)에는 제2개구부(OP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개구부(OP2)는 제1영역(A1)에 위치하는 부분 및 제3영역(A3)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선을 기준으로 제2전극개구부(OPE2)의 일부 또는 전부와 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개구부(OP2) 내에는 제2전극패턴(143)과 이격된 제2전극더미패턴(177)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전극더미패턴(177)은 제2전극패턴(143)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고 동일한 적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전극패턴(143)은 제1방향(DR1)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고, 각각의 제2전극패턴(143)은 제2방향(DR2)을 따라 인접한 제2전극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영역(A3)에는 제2도전성 패턴(153)이 더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도전성 패턴(153)은 제1방향(DR1)을 따라 이격된 두개의 제2전극패턴(14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도전성 패턴(153)은 제2전극패턴(143), 제1터치전극(121) 및 제2터치전극(131)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고 동일한 적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도전성 패턴(153)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극패턴(143) 및 제2방향(DR2)을 따라 인접한 제1터치전극(121)과 이격될 수 있다. 즉, 제2도전성 패턴(153)은 플로팅 패턴일 수 있다. 제2도전성 패턴(153)이 제3영역(A3)에 위치함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제2전극패턴(143) 사이의 공간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제3영역(A3)의 구조는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영역(A3) 내에 위치하는 제2도전성 패턴(153-1)은 적어도 일부가 제1영역(A1)으로 연장되어 제2방향(DR2)을 따라 인접한 제1터치전극(121)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도전성 패턴(153-1)은 복수개의 제1전극부(120) 중 제2방향(DR2)을 따라 제3영역(A3)에 최인접한 제1전극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입력을 수용하는 면적이 더욱 증가하고 터치 입력 발생시 발생하는 상호 정전용량 변화량이 보다 증가할 수 있게 되어 터치 감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영역(A3) 내에 제2도전성 패턴(153)이 배치되지 않고, 제2전극패턴(143-1)의 형상이 변경될 수도 있다.
제2전극패턴(143-1)의 제3부분(143a)의 형상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고, 제4부분(143b-1)의 형상이 도 15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변형될 수 있다. 제4부분(143b-1)은 제3영역(A3) 내에서 가장자리가 제2방향(DR2)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극패턴(143-2)의 제3부분(143a)의 형상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고, 제4부분(143b-2)은 제3영역(A3) 내에서 가장자리가 제2방향(DR2)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제2개구부(OP2-1)도 제3영역(A3) 내에서 가장자리가 제2방향(DR2)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개구부(OP2-1) 내에 배치되는 제4더미전극(177-1)도 제2개구부(OP2-1)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TS)는, 상술한 제2영역(A2)의 구조와 제3영역(A3)의 구조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영역(A2)의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구조, 도 12에 도시된 구조, 도 13에 도시된 구조 및 도 14에 도시된 구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제3영역(A3)의 구조는 도 15에 도시된 구조, 도 18에 도시된 구조, 도 19에 도시된 구조 및 도 20에 도시된 구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는 터치 센서(TS)는 상술한 제2영역(A2)의 구조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제3영역(A3)은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터치 센서(TS)는 상술한 제3영역(A3)의 구조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제2영역(A2)은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제4영역(A4)에 대해 설명한다.
제4영역(A4)에는 제3전극패턴(145)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제3도전성 패턴(155)이 더 위치할 수도 있다. 제3전극패턴(145)은 제4영역(A4)과 인접한 제1전극부(120)의 단부에 마련된 제2연결부(125)를 매개로 제1전극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4영역(A4)의 구조는 제2영역(A2)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대칭일 수 있다. 예컨대, 제3전극패턴(145)의 형상은 제2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선을 기준으로 제1전극패턴(141)의 형상과 대칭일 수 있으며, 제3도전성 패턴(155)의 형상은 제2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선을 기준으로 제1도전성 패턴(151)의 형상과 대칭일 수 있다. 이외에 제4영역(A4)의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제2영역의 구조, 도 12에 도시된 제2영역의 구조, 도 13에 도시된 제2영역의 구조, 도 14에 도시된 제2영역의 구조 중 어느 하나와 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4영역(A4)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제5영역(A5)에 대해 설명한다.
제5영역(A5)에는 제4전극패턴(147)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제4도전성 패턴(157)이 더 위치할 수도 있다. 제4전극패턴(147)은 제4영역(A4)과 인접한 제2전극부(130)의 단부에 더 마련된 제4연결부(135)를 매개로 제2전극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제5영역(A5)의 구조는 제3영역(A3)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대칭일 수 있다. 예컨대, 제4전극패턴(147)의 형상은 제1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선을 기준으로 제2전극패턴(143)의 형상과 대칭일 수 있으며, 제4도전성 패턴(157)의 형상은 제1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선을 기준으로 제2도전성 패턴(153)의 형상과 대칭일 수 있다. 이외에 제5영역(A5)의 구조는 도 15에 도시된 제3영역의 구조, 도 18에 도시된 제3영역의 구조, 도 19에 도시된 제3영역의 구조 및 도 20에 도시된 제3영역의 구조 중 어느 하나와 대칭인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5영역(A5)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주변 영역(NSA)에 대해 설명한다.
주변 영역(NSA) 내에서 베이스층(BLS) 상에는 신호선들(901, 902, 903)이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신호선들(901, 903, 905)은 각각의 제1전극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신호선(901) 및 제2신호선(903)과, 각각의 제2전극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신호선(905)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극부(130)는 제4전극패턴(147)을 매개로 제3신호선(9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제2전극부(130)는 제2전극패턴(143)을 매개로 제3신호선(9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4전극패턴(147)이 생략된 경우, 제3신호선(905)은 제2전극부(130)의 일단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신호선(905)은 싱글 라우팅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신호선(905)의 일단은 제2전극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신호선(905)의 타단은 터치 패드들(TS-PD)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부(120)의 일단은 제1전극패턴(141)을 매개로 제2신호선(9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전극부(120)의 타단은 제3전극패턴(145)을 매개로 제1신호선(901)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3전극패턴(145)이 생략된 경우 제1전극부(120)의 타단은 제1신호선(901)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제1전극부(120)에 연결되는 신호선들은 더블 라우팅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전극부(120)의 저항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RC지연을 개선할 수 있다.
제1신호선(901) 및 제2신호선(903)의 일단은 제1전극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신호선(901) 및 제2신호선(903)의 타단은 터치 패드들(TS-PD)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신호선(901), 제2신호선(903) 및 제3신호선(905)은 제1터치전극(121) 및 제2터치전극(13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제1신호선(901), 제2신호선(903) 및 제3신호선(905)은 제1연결부(123)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제1도전층 및 제1터치전극(12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제2도전층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신호선(901), 제2신호선(903) 및 제3신호선(905)이 상기 제1도전층 및 상기 제2도전층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도전층과 상기 제2도전층은 제1절연층(51)에 형성된 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제1전극부(120), 제2전극부(130), 제1전극패턴(141), 제2전극패턴(143), 제3전극패턴(145), 제4전극패턴(147), 제1도전성 패턴(151), 제2도전성 패턴(153), 제3도전성 패턴(155), 제4도전성 패턴(157) 상에는 제2절연층(53)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절연층(53)은 유기 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절연층(51)의 물질 예시에서 언급된 유기 절연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은 도 6의 Q5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구조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구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도 21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모서리 영역(EA)에 대해 설명한다.
모서리 영역(EA)에는 모서리 도전패턴(159)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서리 도전패턴(159)은 감지 영역(SA)의 모서리 형상과 대응하는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 영역(SA)의 모서리가 라운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모서리 도전패턴(159)의 가장자리 중 일부로 라운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서리 영역(EA)은 감지 영역(SA)의 네개의 모서리 부분 각각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서리 도전패턴(159)은 제1터치전극(121) 및 제2터치전극(131)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고 동일한 적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서리 도전패턴(159)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역(A2) 내로 연장되되 제1전극패턴(141)과 이격되고, 제3영역(A3) 내로 연장되되 제2전극패턴(143)과 이격될 수 있다.
즉, 모서리 도전패턴(159)은 플로팅 패턴일 수 있다. 모서리 도전패턴(159)이 제3영역(A3)에 위치함에 따라, 모서리 영역(EA)의 공간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모서리 도전패턴(159)의 구조는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도전패턴(159-1)은 제3영역(A3) 내에서 제2전극패턴(143)측으로 연장되어 제2전극패턴(143)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서리 영역(EA)에서의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도전패턴(159-2)은 제2영역(A2) 내에서 제1전극패턴(141)측으로 연장되어 제1전극패턴(141)과 연결될 수도 있다.
또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도전패턴(159-3)은 서로 이격된 두개의 부분(1591, 1593)을 포함하되, 모서리 도전패턴(159-3)의 한 부분(1591)은 제3영역(A3) 내에서 제2전극패턴(143)과 연결되고, 모서리 도전패턴(159-3)의 다른 부분은 제2영역(A2) 내에서 제1전극패턴(141)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터치 센서(TS)는 다양한 조합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제2영역(A2)의 구조들 중 어느 하나, 제3영역(A3)의 구조들 중 어느 하나, 모서리 영역(EA)의 구조들 중 어느 하나의 조합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TS)가 제4영역(A4) 및 제5영역(A5)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조합들에 부가하여 제4영역(A4)의 구조들 중 어느 하나 및 제5영역(A5)의 구조들 중 어느 하나의 조합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터치 감도가 향상된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감지 영역의 가장자리 측에서의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구현된다.
도 2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1)와는 달리, 표시면(IS)이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면(IS) 중 표시 영역(DM-DA)은 장변의 가장자리 측에서 부분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 영역(DM-DA)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표시 장치(2)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24에서 상술한 구조의 장변측 가장자리를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9)

  1. 제1영역 및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1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영역을 포함한 감지영역과, 상기 감지영역 주변의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제1전극부로서,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전극부;
    상기 베이스층 상에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2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제2전극부로서,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전극부; 및
    상기 베이스층 상에 위치하는 제1전극패턴으로서, 상기 제1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부 중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1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에서 상기 제2영역으로 연장된 제2부분을 포함하는 제1전극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1전극패턴의 최대폭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1터치전극의 최대전극폭보다 작고, 상기 제1터치전극의 최대전극폭의 절반보다 큰 터치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2부분의 최대폭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1터치전극의 최대전극폭의 절반보다 작은 터치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1부분의 최대폭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1터치전극의 최대전극폭의 절반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터치센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2영역의 폭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2부분의 최대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터치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치전극, 상기 제2터치전극 및 상기 제1전극패턴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전극패턴, 상기 제1터치전극 및 상기 제2터치전극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는 상기 복수의 제1터치전극 중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두개의 제1터치전극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1전극패턴과 연결된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복수의 제2터치전극 중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두개의 제2터치전극을 연결하고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와 절연된 제3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3연결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터치전극, 상기 제2터치전극 및 상기 제1전극패턴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3연결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터치전극, 상기 제2터치전극 및 상기 제1전극패턴과 다른 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는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터치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 상에 위치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베이스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터치전극, 상기 제2터치전극, 상기 제1전극패턴 및 상기 제3연결부는 상기 절연층 상에 위치하는 터치센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치전극은 전극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패턴은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개구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터치전극과 이격된 더미패턴; 및
    상기 개구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전극패턴과 이격된 전극더미패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더미패턴, 상기 더미패턴, 상기 제1터치전극 및 상기 제1전극패턴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터치센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패턴, 상기 제1터치전극, 상기 전극더미패턴 및 상기 더미패턴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더미패턴의 평면형상과 상기 더미패턴의 평면형상은 서로 다른 터치센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패턴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복수개 배치된 터치센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제2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전극패턴과 이격된 도전성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터치전극, 상기 제2터치전극, 상기 제1전극패턴 및 상기 도전성 패턴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터치센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은 상기 복수개의 제2전극부 중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2전극부와 연결된 터치센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은 상기 복수의 제2터치전극 중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2터치전극과 연결된 터치센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은 플로팅 패턴인 터치센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주변영역 내에 위치하며 제1전극패턴과 연결된 신호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선은, 상기 제1전극패턴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영역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제1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3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 상에 상기 제1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전극부 중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2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부분 및 상기 제3부분에서 상기 제3영역으로 연장된 제4부분을 포함하는 제2전극패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2전극패턴의 최대폭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2터치전극의 최대전극폭보다 작고 상기 제2터치전극의 최대전극폭의 절반보다 크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4부분의 최대폭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2터치전극의 최대전극폭의 절반보다 작은 터치센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3영역의 폭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3부분의 최대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터치센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치전극, 상기 제2터치전극, 상기 제1전극패턴 및 상기 제2전극패턴은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서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제3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전극패턴과 이격되며 상기 제2전극패턴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도전성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터치전극, 상기 제2터치전극, 상기 제1전극패턴, 상기 제2전극패턴 및 상기 도전성 패턴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터치센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은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부 중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1전극부와 연결된 터치센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은 플로팅된 터치센서.
  23. 제1영역 및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1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영역을 포함한 감지영역과, 상기 감지영역 주변의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제1전극부로서,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전극부;
    상기 베이스층 상에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2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제2전극부로서,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전극부; 및
    상기 베이스층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제2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2전극부 중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2전극부와 연결된 제1도전성 패턴; 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치전극, 상기 제2터치전극 및 상기 제1도전성 패턴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성 패턴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터치센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영역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제1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3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제3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1전극부 중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1전극부와 연결된 제2도전성 패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터치전극, 상기 제2터치전극, 상기 제1도전성 패턴 및 상기 제2도전성 패턴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27.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표시영역 상에 위치하는 자발광소자;
    상기 자발광소자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영역과 중첩하는 감지영역을 포함하는 박막 봉지층으로서, 상기 감지영역은 제1영역 및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1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박막 봉지층;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제1전극부로서,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전극부;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2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제2전극부로서,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전극부; 및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제1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부 중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1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에서 상기 제2영역으로 연장된 제2부분을 포함하는 제1전극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1전극패턴의 최대폭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1터치전극의 최대전극폭보다 작고, 상기 제1터치전극의 최대전극폭의 절반보다 큰 표시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층은,
    상기 자발광소자 상에 위치하는 제1봉지 무기막,
    상기 제1봉지 무기막 상에 위치하는 봉지 유기막, 및
    상기 봉지 유기막 상에 위치하는 제2봉지 무기막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2부분의 최대폭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1터치전극의 최대전극폭의 절반보다 작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2영역의 폭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제2부분의 최대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장치.
KR1020180066059A 2018-06-08 2018-06-08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KR102546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059A KR102546769B1 (ko) 2018-06-08 2018-06-08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US16/166,744 US11604544B2 (en) 2018-06-08 2018-10-22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TW112129392A TW202401221A (zh) 2018-06-08 2018-12-11 觸控感測器及其顯示裝置
TW107144626A TWI825049B (zh) 2018-06-08 2018-12-11 觸控感測器及其顯示裝置
CN201910109831.5A CN110580109A (zh) 2018-06-08 2019-01-28 触摸传感器和显示装置
US18/181,259 US20230214065A1 (en) 2018-06-08 2023-03-09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059A KR102546769B1 (ko) 2018-06-08 2018-06-08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122A true KR20190140122A (ko) 2019-12-19
KR102546769B1 KR102546769B1 (ko) 2023-06-22

Family

ID=6876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059A KR102546769B1 (ko) 2018-06-08 2018-06-08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604544B2 (ko)
KR (1) KR102546769B1 (ko)
CN (1) CN110580109A (ko)
TW (2) TWI82504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6290A (ko) * 2021-12-23 2023-06-30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30277B (zh) * 2018-12-20 2021-06-1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製造方法
WO2021075304A1 (ja) * 2019-10-18 2021-04-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透明積層体、画像表示装置
KR20210061808A (ko) * 2019-11-20 2021-05-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
CN111324233A (zh) * 2020-02-15 2020-06-23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感应膜及触控显示装置
KR20220001050A (ko) * 2020-06-26 2022-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TWI744051B (zh) * 2020-10-26 2021-10-21 欣興電子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裝置及其製作方法
TWI781616B (zh) * 2021-05-12 2022-10-2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及顯示面板的製備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559B1 (ko) * 2011-03-24 2011-12-20 (주) 태양기전 터치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01016A (ko) * 2013-06-26 2015-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식 터치 감지 패널
KR20160048534A (ko) * 2014-10-24 2016-05-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8063669A (ja) * 2016-10-14 2018-04-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4595A1 (en) * 2008-04-11 2009-10-15 Carl Zeiss Smt Ag Optical aperture device
JP5138529B2 (ja) * 2008-10-03 2013-02-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タッチパネル
KR101875020B1 (ko) * 2011-05-31 2018-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30069938A (ko) 2011-12-19 2013-06-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패널의 전극 패턴
KR101373044B1 (ko) 2012-04-19 2014-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EP2662758A3 (en) * 2012-05-09 2015-03-04 LG Innotek Co., Ltd. Electrode member and touch window including the same
CN103853380B (zh) * 2012-12-03 2017-04-12 Lg伊诺特有限公司 电极构件及包括该电极构件的触屏
CN104123023A (zh) 2013-04-24 2014-10-29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DE102013219849A1 (de) 2013-10-01 2015-04-02 Aktiebolaget Skf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Detektieren einer Druckveränderung in einem Reifen
CN203689474U (zh) * 2013-12-09 2014-07-02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有源矩阵有机发光显示屏的触控结构
KR102262548B1 (ko) * 2014-02-05 2021-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JP6325342B2 (ja) * 2014-05-26 2018-05-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139104A (ko) 2014-06-02 2015-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터치 스크린 패널
US9958973B2 (en) * 2014-10-24 2018-05-01 Lg Display Co., Ltd. Touch panel and touch panel-integrat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388711B1 (ko) * 2015-04-27 2022-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21876B1 (ko) * 2016-04-12 2023-04-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6690992B2 (ja) 2016-05-18 2020-04-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170135602A (ko) * 2016-05-31 2017-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89340B1 (ko) 2016-08-31 2020-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26527B1 (ko) * 2016-09-30 2018-1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6849501B2 (ja) * 2017-03-29 2021-03-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322834B1 (ko) * 2017-06-28 2021-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CN107315500B (zh) * 2017-06-29 2020-03-20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阵列基板和触控显示面板
KR102377960B1 (ko) * 2017-08-04 2022-03-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9032351A1 (en) * 2017-08-10 2019-02-14 Synaptics Incorporated SENSOR ELECTRODE PATTERNS FOR INPUT DEVICES
KR102422074B1 (ko) * 2017-08-14 2022-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559B1 (ko) * 2011-03-24 2011-12-20 (주) 태양기전 터치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01016A (ko) * 2013-06-26 2015-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식 터치 감지 패널
KR20160048534A (ko) * 2014-10-24 2016-05-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8063669A (ja) * 2016-10-14 2018-04-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6290A (ko) * 2021-12-23 2023-06-30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14065A1 (en) 2023-07-06
TW202401221A (zh) 2024-01-01
KR102546769B1 (ko) 2023-06-22
TWI825049B (zh) 2023-12-11
TW202001527A (zh) 2020-01-01
US20190377438A1 (en) 2019-12-12
US11604544B2 (en) 2023-03-14
CN110580109A (zh) 201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6769B1 (ko)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US11768571B2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KR102421678B1 (ko)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11550437B2 (en) Display device
KR20180038603A (ko) 터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11507232B2 (en) Sensor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256373B2 (en) Input sensing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941219B2 (en) Touch sensor having improved sensing sensitivit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2014015B2 (en) Display device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portion in non-display area
CN112289178A (zh) 显示装置
US11880221B2 (en) Input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467701B2 (en) Touch sensor,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204660B2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64268B1 (ko) 표시장치
CN115202506A (zh) 触控显示模组及显示装置
US11809650B2 (en) Display device
CN221103941U (zh) 电子设备
KR20210116732A (ko) 표시 장치
KR20210004001A (ko)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CN115202519A (zh) 电子装置
KR20220092692A (ko) 표시장치
KR20200101549A (ko) 입력 감지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