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548B1 - 터치 윈도우 - Google Patents

터치 윈도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548B1
KR102262548B1 KR1020140013002A KR20140013002A KR102262548B1 KR 102262548 B1 KR102262548 B1 KR 102262548B1 KR 1020140013002 A KR1020140013002 A KR 1020140013002A KR 20140013002 A KR20140013002 A KR 20140013002A KR 102262548 B1 KR102262548 B1 KR 102262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my electrode
electrode
dummy
sens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2526A (ko
Inventor
정관열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3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548B1/ko
Priority to CN201520053342.XU priority patent/CN204557438U/zh
Priority to EP15153273.6A priority patent/EP2905683A1/en
Priority to US14/614,048 priority patent/US9778801B2/en
Publication of KR20150092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526A/ko
Priority to US15/689,364 priority patent/US1001912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 및 상기 감지 전극 사이 배치되는 더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전극은, 서로 이격하며 배치되는 제 1 더미 전극, 제 2 더미 전극 및 제 3 더미 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윈도우{TOUCH WINDOW}
실시예는 터치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 패널은 대표적으로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에 압력을 가했을 때 전극 간 연결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제조 방식의 편의성 및 센싱력 등을 감안하여 소형 모델에 있어서는 최근 정전 용량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의 투명 전극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은 가격이 비싸고, 기판의 굽힘과 휨에 의해 물리적으로 쉽게 타격을 받아 전극으로의 특성이 악화되고, 이에 의해 플렉시블(flexible) 소자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형 크기의 터치 패널에 적용할 경우 높은 저항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체 전극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금속 물질을 메쉬 형상으로 형성하여 ITO를 대체하고자 하나, 이러한 메쉬 패턴에서 각 채널과 채널 사이에 존재하는 단락으로 인해 시인성 문제 또는 통전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터치 윈도우가 요구된다.
실시예는 향상된 신뢰성을 가지는 터치 윈도우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 및 상기 감지 전극 사이 배치되는 더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전극은, 서로 이격하며 배치되는 제 1 더미 전극, 제 2 더미 전극 및 제 3 더미 전극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판의 유효 영역 상에 더미 전극을 포함한다. 즉, 기판의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는 더미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더미 전극은 제 1 더미 전극, 제 2 더미 전극 및 제 3 더미 전극을 포함한다. 즉, 더미 전극은, 감지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더미 전극과 제 1 더미 전극과 감지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더미 전극 및 제 3 더미 전극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감지 전극들 사이에 제 1 더미 전극들이 배치됨으로써, 기판의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들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감지 전극들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에 더미 전극을 메쉬 형상으로 배치한다. 이에 따라, 감지 전극과 기판의 광 특성이 서로 상이함에 따라 감지 전극이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여, 터치 윈도우의 전체적인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제 1 더미 전극과 감지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더미 전극 및 제 3 더미 전극을 더 포함한다. 즉, 제 1 더미 전극 및 감지 전극과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 2 더미 전극 및 제 3 더미 전극을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감지 전극과 더미 전극의 미세한 갭(gap)에서 감지 전극과 더미 전극의 쇼트(short)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제 1 더미 전극, 제 2 더미 전극 및 제 3 더미 전극에 의해 터치 윈도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제 2 더미 전극 및 제 3 더미 전극에 의해 터치 윈도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의 일례를 도시하 도면들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며,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판(100), 감지 전극(200), 배선 전극(300) 및 더미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은 강화 유리, 반강화 유리 또는, 소다라임 유리 등의 유리 기판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은 사용자의 터치 명령 입력이 가능한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유효 영역(AA)과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활성화되지 않아서 터치 명령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감지 전극(200)은 상기 기판(100)의 유효 영역(A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200)은 상기 기판(100)의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감지 전극(200)이 기판 상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감지 전극(200)은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감지 전극(20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 및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두 종류의 감지 전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감지 전극(200)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감지 전극(200)은 Cu, Au, Ag, Al, Ti, Ni 또는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감지 전극(200)이 적용된 터치 윈도우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200)은 메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감지 전극(200)은 상기 기판(100) 상에 수지층을 형성하고, 상기 수지층에 메쉬 형상의 음각 영역을 형성한 후, 상기 음각 영역 내에 전도성 물질을 충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200)은 메쉬 개구부(OA) 및 메쉬 선부(L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쉬 선부(LA)의 선폭은 0.1㎛ 내지 10㎛ 일수 있다. 선폭이 0.1㎛ 이하인 메쉬 선부(LA)는 제조 공정 상 불가능할 수 있다. 선폭이 10㎛ 이하일 경우, 상기 감지 전극(200)의 패턴이 눈에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쉬 선부(LA)의 선폭은 1㎛ 내지 5㎛일 수 있다.
상기 메쉬 개구부(OA)는 사각형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메쉬 개구부(OA)는 다이아몬드형, 오각형, 육각형의 다각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200)이 메쉬 형상을 가짐으로써, 유효 영역(AA) 상에서 상기 감지 전극(200)의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 전극(200)이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전극(200)이 대형 크기의 터치 윈도우에 적용되어도 터치 윈도우의 저항을 낮출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300)은 상기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U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배선 전극(300)은 상기 감지 전극(200)과 연결되면서, 상기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U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300)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선 전극(300)은 Cr, Ni, Cu, Al, Ag, Mo 및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UA) 상에는 상기 배선 전극(300)과 연결되는 회로 기판이 더 위치할 수 있다. 회로 기판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인쇄 회로 기판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더미부(400)는 상기 기판(100)의 유효 영역(A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더미부(400)는 상기 감지 전극(20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더미부(400)는 상기 감지 전극(200)들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하여 상기 감지 전극(20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더미부(400)는 서로 이격하며 배치되는 적어도 3개의 더미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더미부(400)는 제 1 더미 전극(410), 제 2 더미 전극(420) 및 제 3 더미 전극(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더미부가 제 1 내지 제 3 더미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더미부는 4 더미 전극 및 5 더미 전극 등 복수 개의 더미 전극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은 상기 감지 전극(200)과 동일하게 메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 전극(200),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이러한 이격 부분에서는 상기 메쉬 형상의 전극들이 단락되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이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은 사각형, 삼각형, 원형, 바(bar)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 중 적어도 하나의 더미 전극은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을 둘러싸면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은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을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 중 적어도 하나의 더미 전극은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과 상기 감지 전극(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을 감싸면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 중 적어도 하나의 더미 전극은 절곡부를 포함하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은 각각의 더미 전극의 형상에 따라 서로 상보적으로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은 서로 다른 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의 폭은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의 폭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의 폭(d1)은 약 2㎜ 내지 약 5㎜ 일 수 있다.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의 폭(d1)이 약 2㎜ 내지 약 5㎜을 벗어나는 경우, 커버 윈도우를 통해 기판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들이 시인될 수 있어,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의 폭(d2)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의 폭(d3) 중 적어도 하나의 더미 전극의 폭은 약 0.1㎜ 내지 약 0.2㎜일 수 있다.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의 폭(d2)과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의 폭(d3)은 상기 범위에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의 폭(d2)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의 폭(d3) 중 적어도 하나의 더미 전극의 폭이 약 0.1㎜ 내지 약 0.2㎜을 벗어나는 경우, 제 1 더미 전극(410)과 감지 전극(200) 사이에서 쇼트가 발생하여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 및 상기 감지 전극(200)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과 상기 감지 전극(200)의 이격 폭(d4)은 약 0.15㎜ 내지 약 0.3㎜ 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은 상기 감지 전극(200)과은 약 0.15㎜ 내지 약 0.3㎜의 폭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과 상기 감지 전극(200)의 이격 폭(d4)이 약 0.15㎜ 내지 약 0.3㎜을 벗어나는 경우, 커버 윈도우를 통해 기판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들이 시인될 수 있어,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과,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 중 적어도 하나의 더미 전극의 이격 폭(d5)은 약 0.002㎜ 내지 약 0.05㎜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은,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 중 적어도 하나의 더미 전극과 약 0.002㎜ 내지 약 0.05㎜의 폭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과,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 중 적어도 하나의 더미 전극의 이격 폭(d5)이 약 0.002㎜ 내지 약 0.05㎜을 벗어나는 경우, 제 1 더미 전극(410)과 감지 전극(200) 사이에서 쇼트가 발생하여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과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의 이격거리와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과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의 이격 거리는 상기 범위 내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 중 적어도 하나의 더미 전극과 상기 감지 전극(200)의 이격 폭(d6)은 약 0.002㎜ 내지 약 0.05㎜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 중 적어도 하나의 더미 전극은 상기 감지 전극(200)과 약 0.002㎜ 내지 약 0.05㎜의 폭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 중 적어도 하나의 더미 전극과 상기 감지 전극(200)의 이격 폭(d6)이 약 0.002㎜ 내지 약 0.05㎜을 벗어나는 경우, 제 1 더미 전극(410)과 감지 전극(200) 사이에서 쇼트가 발생하여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유효 영역(AA)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200) 및 더미부(400)는 일정한 면적 범위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감지 전극(200)의 면적은 상기 유효 영역(AA) 전체 면적에 대해 약 40% 내지 약 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더미부(400)의 면적은 상기 유효 영역(AA) 전체 면적에 대해 약 50% 내지 약 60% 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더미 전극(410), 상기 제 2 더미 전극(420)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430)의 면적 합은 상기 유효 영역(AA) 전체 면적에 대해 약 50% 내지 약 6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의 유효 영역(AA) 상에는 상기 감지 전극(200) 및 상기 더미부(400)가 배치되지 않고, 기판의 일면이 노출되는 노출 영역(E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 전극(200) 및 상기 더미부(400)가 배치되지 않는 기판의 면적 즉, 상기 노출 영역(EA)의 면적은 상기 유효 영역(AA) 전체 면적에 대해 약 5%내지 약 10% 일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200)의 면적, 상기 더미부(400)의 면적 및 상기 노출 영역(EA)의 면적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시인성 및 쇼트 방지를 고려하여 설정된 값이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판의 유효 영역 상에 더미 전극을 포함한다. 즉, 기판의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는 더미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더미 전극은 제 1 더미 전극, 제 2 더미 전극 및 제 3 더미 전극을 포함한다. 즉, 더미 전극은, 감지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더미 전극과 제 1 더미 전극과 감지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더미 전극 및 제 3 더미 전극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감지 전극들 사이에 제 1 더미 전극들이 배치됨으로써, 기판의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들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감지 전극들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에 더미 전극을 메쉬 형상으로 배치한다. 이에 따라, 감지 전극과 기판의 광 특성이 서로 상이함에 따라 감지 전극이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여, 터치 윈도우의 전체적인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제 1 더미 전극과 감지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더미 전극 및 제 3 더미 전극을 더 포함한다. 즉, 제 1 더미 전극 및 감지 전극과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 2 더미 전극 및 제 3 더미 전극을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감지 전극과 더미 전극의 미세한 갭(gap)에서 감지 전극과 더미 전극의 쇼트(short)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제 1 더미 전극, 제 2 더미 전극 및 제 3 더미 전극에 의해 터치 윈도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제 2 더미 전극 및 제 3 더미 전극에 의해 터치 윈도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앞서 설명한 터치 윈도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로서, 이동식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식 단말기(1000)는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은 손가락 등의 터치에 의해 터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비유효 영역에는 명령 아이콘 패턴부 및 로고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로서, 휴대용 노트북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휴대용 노트북(2000)은 터치 패널(2200), 터치 시트(2100) 및 회로 기판(2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2200)의 상면에는 터치 시트(2100)가 배치된다. 상기 터치 시트(2100)는 터치 영역(TA)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시트(2100)는 사용자의 터치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2200)의 하면에 상기 터치 패널(2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기판(2300)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 기판(2300)은 인쇄 회로 기판으로써, 휴대용 노트북을 구성하기 위한 각종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일례로, 이동식 단말기 및 휴대용 노트븍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앞서 설명한 터치 패널은 이동식 단말기 및 휴대용 노트북 이외에도 디스플레이가 적용되는 자동차, 가전제품 등 다양한 전자 제품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1)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하는 제 1 감지 전극 및 제 2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1 감지 전극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더미 전극, 제 2 더미 전극 및 제 3 더미 전극을 포함하는 더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더미 전극은 상기 제 2 더미 전극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감지 전극, 상기 제2 감지 전극 및 상기 더미 전극은 상기 기판의 동일한 일면 상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더미 전극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은 상기 제 1 더미 전극의 양측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 더미 전극의 폭은 2㎜ 내지 5㎜인 터치 윈도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더미 전극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더미 전극의 폭은 0.1㎜ 내지 0.2㎜인 터치 윈도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더미 전극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과 0.15㎜ 내지 0.3㎜의 폭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더미 전극은, 상기 제 2 더미 전극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더미 전극과 0.002㎜ 내지 0.05㎜의 폭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더미 전극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더미 전극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과 0.002㎜ 내지 0.05㎜의 폭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유효 영역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과 더미 전극이 이격되는 노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 영역의 면적은 상기 유효 영역 전체 면적에 대해 5% 내지 10%인 터치 윈도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 전극, 상기 제 2 감지 전극 및 상기 더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메쉬 형상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수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지층에는 메쉬 형상의 음각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감지 전극, 상기 제 2 감지 전극 및 상기 더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상기 음각 영역에 전도성 물질을 충진하여 형성되는 터치 윈도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은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감지 전극 및 타 방향으로 연장하는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12.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 및 더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전극은 서로 이격하는 제 1 더미 전극, 제 2 더미 전극 및 제 3 더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더미 전극은 상기 제 2 더미 전극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은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전극 및 상기 더미 전극은 상기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더미 전극의 면적은 상기 유효 영역 전체 면적에 대해 50% 내지 60%인 터치 윈도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의 면적은 상기 유효 영역 전체 면적에 대해 40% 내지 50%인 터치 윈도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더미 전극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더미 전극은 바(bar) 형상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바 형상은 절곡부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더미 전극, 상기 제 2 더미 전극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 중 두 개의 더미 전극은 동일한 형상이고, 다른 하나의 더미 전극은 다른 형상인 터치 윈도우.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더미 전극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은 상기 제 1 더미 전극을 둘러싸는 터치 윈도우.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더미 전극, 상기 제 2 더미 전극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은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되는 터치 윈도우.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더미 전극, 상기 제 2 더미 전극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은 폭은 상기 감지 전극의 폭보다 작은 터치 윈도우.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은 메쉬 형상으로 형성되는 터치 윈도우.
  21.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의 면적은 상기 감지 전극의 면적보다 작은 터치 윈도우.
  22.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더미 전극, 상기 제 2 더미 전극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 중 하나의 더미 전극의 면적은 다른 두 개의 더미 전극의 면적보다 큰 터치 윈도우.
  23.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1 감지 전극과 이격하는 제 2 감지 전극;
    상기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더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전극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과 이격하고,
    상기 더미 전극은 서로 이격하며 배치되는 제 1 더미 전극, 제 2 더미 전극 및 제 3 더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더미 전극은 상기 제 2 더미 전극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 옆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더미 전극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1 더미 전극 옆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더미 전극은 상기 제 2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1 더미 전극 옆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더미 전극은 상기 제 2 더미 전극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더미 전극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더미 전극은 복수의 내부 각도를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각도는 적어도 4개의 둔각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4개의 둔각은, 90° 내지 180°의 적어도 2개의 제 1 둔각; 및 180° 내지 270°의 적어도 2개의 제 2 둔각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 중 하나의 감지 전극과 마주보는 상기 제 2 더미 전극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더미 전극의 측면 가장자리는 상기 측면 가장자리의 방향이 바뀌는 제 1 변곡점 및 제 2 변곡점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 전극, 상기 제2 감지 전극 및 상기 더미 전극은 상기 기판의 동일한 일면 상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더미 전극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더미 전극의 폭은 0.1㎜ 내지 0.2㎜인 터치 윈도우.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더미 전극은, 상기 제 2 더미 전극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더미 전극과 0.002㎜ 내지 0.05㎜의 폭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28.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더미 전극과 상기 제 3 더미 전극은 동일 형상이고,
    상기 제 1 더미 전극은 상기 제 2 더미 전극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과 다른 형상인 터치 윈도우.
  29.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더미 전극은 육각형이고.
    상기 제 2 더미 전극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은 절곡부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30.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더미 전극 및 상기 제 3 더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더미 전극의 면적은 상기 제 1 더미 전극의 면적과 다른 터치 윈도우.
  31.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 전극, 상기 제 2 감지 전극 및 상기 더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메쉬 형상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KR1020140013002A 2014-02-05 2014-02-05 터치 윈도우 KR102262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002A KR102262548B1 (ko) 2014-02-05 2014-02-05 터치 윈도우
CN201520053342.XU CN204557438U (zh) 2014-02-05 2015-01-26 触摸窗
EP15153273.6A EP2905683A1 (en) 2014-02-05 2015-01-30 Capacitive touch window
US14/614,048 US9778801B2 (en) 2014-02-05 2015-02-04 Touch window
US15/689,364 US10019124B2 (en) 2014-02-05 2017-08-29 Touch wind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002A KR102262548B1 (ko) 2014-02-05 2014-02-05 터치 윈도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526A KR20150092526A (ko) 2015-08-13
KR102262548B1 true KR102262548B1 (ko) 2021-06-09

Family

ID=5246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002A KR102262548B1 (ko) 2014-02-05 2014-02-05 터치 윈도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778801B2 (ko)
EP (1) EP2905683A1 (ko)
KR (1) KR102262548B1 (ko)
CN (1) CN20455743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548B1 (ko) * 2014-02-05 2021-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JP2015161985A (ja) * 2014-02-26 2015-09-0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9952691B2 (en) * 2014-05-09 2018-04-24 Lg Innotek Co., Ltd. Touch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GB2526316B (en) * 2014-05-20 2018-10-31 Flexenable Ltd Production of transistor arrays
CN105446512B (zh) * 2014-08-08 2018-10-26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电极结构及应用其的触控面板
US9927939B2 (en) 2014-08-13 2018-03-27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199340B1 (ko) * 2014-10-08 2021-0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TWI545479B (zh) * 2014-10-09 2016-08-1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面板
KR20160086528A (ko) * 2015-01-09 2016-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760061B1 (ko) * 2015-07-06 2017-07-21 주식회사 지2터치 시인성 개선을 위한 미세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KR102410661B1 (ko) * 2015-11-13 2022-06-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539190B2 (ja) * 2015-11-20 2019-07-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装置及び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CN105677086B (zh) * 2015-12-31 2018-11-23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互电容式的内嵌型触摸屏
CN105607158B (zh) * 2016-01-04 2018-07-06 重庆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基板、基板制造方法、触摸屏和显示装置
CN105824469B (zh) 2016-03-15 2018-10-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内嵌式触摸屏及显示装置
KR102337892B1 (ko) * 2016-03-31 2021-12-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돌출형 전극이 형성된 터치 센서
JP6431020B2 (ja) * 2016-10-25 2018-11-28 ホシデン株式会社 タッチ入力装置
US11592918B2 (en) 2017-01-20 2023-02-28 Boe Technology Group Co., Ltd. Flexible touch panel and display apparatus
CN108334215B (zh) * 2017-01-20 2020-01-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触控面板及显示装置
JP6817862B2 (ja) 2017-03-24 2021-01-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456333B1 (ko) * 2017-10-23 2022-10-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및 패널
CN108563364B (zh) * 2018-04-28 2024-03-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其制作方法、触控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19221546A1 (ko) * 2018-05-18 2019-11-21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압력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546769B1 (ko) * 2018-06-08 2023-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KR102632590B1 (ko) * 2018-10-16 2024-0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한 표시 장치
KR20200107019A (ko) * 2019-03-05 2020-09-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CN110308820B (zh) * 2019-06-28 2021-02-12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触控结构、显示面板及其显示装置
KR20210021793A (ko) * 2019-08-19 2021-03-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US11226709B2 (en) * 2020-03-13 2022-01-18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Touch substrate and touch screen
CN114115570A (zh) * 2020-08-26 2022-03-01 深圳柔宇显示技术有限公司 触控面板、触控显示面板及电子设备
KR20230124144A (ko) * 2022-02-17 2023-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2677A1 (en) 2010-01-28 2012-12-13 Fujifilm Corporation Conductive sheet, method for using conductive sheet, and touch panel
US20130278513A1 (en) 2012-04-19 2013-10-24 Hyoung-Wook Jang Touch screen panel
US20130341651A1 (en) 2012-06-21 2013-12-26 Samsung Display Co., Ltd. Sensor substrate and sensing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3607B2 (en) * 2004-05-06 2010-02-16 Apple Inc. Multipoint touchscreen
TW564476B (en) * 2002-10-21 2003-12-01 Univ Chung Yuan Christian Method for fabricating a monolithic chip including pH, temperature and photo intensity multi-sensors and a readout circuit
EP1892609A4 (en) 2005-05-26 2013-03-27 Gunze Kk TRANSPARENT PLANAR BODY AND TRANSPARENT TOUCH SWITCH
JP4945483B2 (ja) * 2008-02-27 2012-06-06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パネル
KR101726623B1 (ko) * 2010-03-16 2017-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101624391B1 (ko) 2011-02-18 2016-05-25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도전 시트 및 터치 패널
KR101978666B1 (ko) * 2011-06-10 2019-05-15 미래나노텍(주)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터치 스크린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US8680419B2 (en) * 2011-09-01 2014-03-25 Wistron Corporation Seamless capacitive touch panel
JP5698103B2 (ja) * 2011-10-27 2015-04-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性フイ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TWI471795B (zh) 2011-12-14 2015-02-01 Wintek Corp 電容式觸控面板
JP5875484B2 (ja) 2011-12-22 2016-03-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KR101542043B1 (ko) * 2012-06-27 2015-08-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101887B1 (ko) * 2012-10-05 2020-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TWI472982B (zh) 2012-11-30 2015-02-11 Henghao Technology Co Ltd 觸控面板
TWI470504B (zh) * 2013-01-03 2015-01-2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觸控結構
KR101337913B1 (ko) 2013-05-30 2013-12-09 미래나노텍(주) 터치 스크린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WM470315U (zh) * 2013-09-05 2014-01-11 Wintek Corp 觸控面板
KR102262548B1 (ko) * 2014-02-05 2021-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2677A1 (en) 2010-01-28 2012-12-13 Fujifilm Corporation Conductive sheet, method for using conductive sheet, and touch panel
US20130278513A1 (en) 2012-04-19 2013-10-24 Hyoung-Wook Jang Touch screen panel
US20130341651A1 (en) 2012-06-21 2013-12-26 Samsung Display Co., Ltd. Sensor substrate and sensing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4557438U (zh) 2015-08-12
US9778801B2 (en) 2017-10-03
EP2905683A1 (en) 2015-08-12
KR20150092526A (ko) 2015-08-13
US10019124B2 (en) 2018-07-10
US20170364179A1 (en) 2017-12-21
US20150220181A1 (en)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2548B1 (ko) 터치 윈도우
KR102302811B1 (ko) 터치 패널
KR102187680B1 (ko) 터치 윈도우
KR102175699B1 (ko) 터치패널
CN103168335A (zh) 触摸开关
KR20180025389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3970335A (zh) 触摸屏面板
KR20150009316A (ko) 터치 윈도우
JP2011086149A (ja) 静電容量型タッチセンサ
KR20150009420A (ko) 터치 윈도우
KR20150036903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1279299A (zh) 导电部件及触摸面板
KR20120075982A (ko) 정전용량 터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03601A (ko) 터치 패널
KR101241469B1 (ko) 터치 패널
KR102119827B1 (ko) 터치 패널
JP2016095675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KR102239169B1 (ko) 터치스크린 패널
KR102237797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87445B1 (ko) 터치 윈도우
KR102237904B1 (ko) 터치 패널
KR20160014942A (ko) 터치 윈도우
KR102187470B1 (ko) 터치 윈도우
KR102237915B1 (ko) 터치 윈도우
KR102288796B1 (ko) 터치 윈도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