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744A - 승객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승객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744A
KR20190138744A KR1020190065219A KR20190065219A KR20190138744A KR 20190138744 A KR20190138744 A KR 20190138744A KR 1020190065219 A KR1020190065219 A KR 1020190065219A KR 20190065219 A KR20190065219 A KR 20190065219A KR 20190138744 A KR20190138744 A KR 20190138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time
passenger conveyor
pair
tot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치오 아카기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8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7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3Methods or algorith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2Escalators
    • B66B21/025Escalators of variable spee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10Moving walkways
    • B66B21/12Moving walkways of variable spee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2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responsive to, or preventing, jamming by foreign objects
    • B66B29/06Combplate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승강판(32)의 선단 위치부터 승강구를 향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과점이 미리 차례로 설정되고, 승객이 각 통과점을 각각 통과한 것을 1차 센서(70)가 각각 검출했을 때, 그 검출한 검출 시간 T1 내지 T3을 가산하여 합계 시간 M을 구하여, 합계 시간 M이 작을수록, 디딤판(30)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통상 속도로 가속되기 위한 가속도α를 크게 한다.

Description

승객 컨베이어{PASSENGER CONVEYOR}
본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18-108561호(출원일: 2018년 6월 6일)를 기초로 하며, 이 출원으로부터 우선의 이익을 향수한다. 본 출원은, 이 출원을 참조함으로써, 동 출원의 내용 모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승객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에스컬레이터나 무빙 워크 등의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는, 승객이 타고 있는 경우에는 통상 속도로 주행하고, 승객이 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저속으로 주행하거나 정지하거나 하여 에너지 절약을 도모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승객 컨베이어가 저속으로 주행, 또는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 승객이 접근한 경우에는 통상 속도까지 가속되고 있다. 그러나, 노인이나 어린이 등의 보행 속도가 느린 승객이 올라타, 갑자기 가속되는 디딤판을 탔을 경우에, 그 타이밍이 맞지 않아 전도되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올라타는 승객의 보행 속도에 맞춰서 디딤판이 통상 속도까지 가속되는 승객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후 방향으로 주행하는 디딤판과, 선단으로부터 상기 디딤판이 진출하는 승강판과, 상기 디딤판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좌우 1쌍의 난간과, 상기 디딤판을 주행시키는 구동 장치와, 상기 구동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디딤판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좌우 1쌍의 상기 난간의 승강구에 마련된 좌우 1쌍의 정면 스커트 가드와, 좌우 1쌍의 정면 스커트 가드의 정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마련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승강구로 오는 승객을 검출하는 1차 센서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판의 선단의 위치로부터 상기 승강구를 향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과점이 미리 차례로 설정되어, 상기 선단의 위치에서 가장 먼 상기 통과점을 상기 승객이 통과한 것을 상기 1차 센서가 검출한 시간을 기준 시간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승객이 가장 먼 상기 통과점 이후의 상기 각 통과점을 각각 통과한 것을 상기 1차 센서가 각각 검출한 시간에 대해, 상기 기준 시간으로부터 경과하고 있는 검출 시간으로서 각각 기억하고, 모든 상기 검출 시간을 가산한 합계 시간을 구하여, 상기 합계 시간이 작을수록, 상기 디딤판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통상 속도로 가속되기 위한 제1 가속도를 크게 하는, 승객 컨베이어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올라타는 승객의 보행 속도에 맞춰서 디딤판이 통상 속도까지 가속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에스컬레이터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2는 에스컬레이터의 상층측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에스컬레이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운전 개시 모드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에스컬레이터(10)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 에스컬레이터(10)
에스컬레이터(10)의 구조에 대해, 도 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에스컬레이터(10)를 측면으로부터 본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10)의 프레임워크인 트러스(12)가, 건물(1)의 상층과 하층에 걸쳐 지지 앵글(2, 3)을 사용하여 전후 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트러스(12)의 상단부에 있는 상층측의 기계실(14) 내부에는, 디딤판(30)을 주행시키는 구동 장치(18), 좌우 1쌍의 주 구동 스프로킷(24, 24), 좌우 1쌍의 벨트 스프로킷(27, 27)이 마련되어 있다. 구동 장치(18)는, 유도 전동기(인덕션 모터)를 포함하는 모터(20)와, 감속기와, 이 감속기의 출력축에 장착된 출력 스프로킷과, 이 출력 스프로킷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 체인(22)과, 모터(20)의 회전을 정지시키며, 또한,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갖고 있다. 이 구동 체인(22)에 의해 주 구동 스프로킷(24)이 회전한다. 좌우 1쌍의 주 구동 스프로킷(24, 24)과 좌우 1쌍의 벨트 스프로킷(27, 27)은, 도시되지 않은 연결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동기하여 회전한다. 또한, 상층측의 기계실(14) 내부에는, 모터(20)나 디스크 브레이크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50)가 마련되어 있다.
트러스(12)의 하단부에 있는 하층측의 기계실(16) 내부에는, 종동 스프로킷(26)이 마련되어 있다. 상층측의 주 구동 스프로킷(24)과 하층측의 종동 스프로킷(26) 사이에는, 좌우 1쌍의 무단의 디딤판 체인(28, 28)이 걸쳐져 있다. 즉, 좌우 1쌍의 디딤판 체인(28, 28)에는, 복수의 디딤판(30)의 차륜(301)이 등간격으로 장착되어 있다. 디딤판(30)의 차륜(301)은 트러스(12)에 고정된 도시되지 않은 안내 레일을 따라 주행함과 함께, 주 구동 스프로킷(24)의 외주부에 있는 오목부와 종동 스프로킷(26)의 외주부에 있는 오목부에 걸림 결합하여, 디딤판(30)이 상하로 반전한다. 또한, 차륜(302)은 트러스(12)에 고정된 안내 레일(25)을 주행한다.
트러스(12)의 좌우 양측에는, 좌우 1쌍의 스커트 가드(44, 44)와 좌우 1쌍의 난간(36, 36)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난간(36)의 상부에 핸드 레일(39)이 마련되고, 이 핸드 레일(39)을 따라 핸드 벨트(38)가 이동한다. 난간(36)의 상층측의 정면 하부에는 상층측의 정면 스커트 가드(40)가 마련되고, 하층측의 정면 하부에는 하층측의 정면 스커트 가드(42)가 마련되고, 정면 스커트 가드(40, 42)로부터 핸드 벨트(38)의 출입구인 인렛부(46, 48)가 각각 돌출되어 있다. 스커트 가드(44)는, 난간(36)의 측면 하부에 마련되고, 좌우 1쌍의 스커트 가드(44, 44) 사이를 디딤판(30)이 주행한다. 상하층의 스커트 가드(44)의 내측면에는, 조작반(52, 56), 스피커(54, 58)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핸드 벨트(38)는, 상층측의 인렛부(46)로부터 정면 스커트 가드(40) 내에 침입하고, 안내 롤러군(64)을 통해 벨트 스프로킷(27)에 걸쳐져, 그 후, 안내 롤러군(66)을 통해 스커트 가드(44) 내를 이동하여, 하층측의 인렛부(48)로부터 정면 스커트 가드(42) 밖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핸드 벨트(38)는, 벨트 스프로킷(27)이 주 구동 스프로킷(24)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디딤판(30)과 동기하여 이동한다. 또한, 회전하는 벨트 스프로킷(27)에, 주행하는 핸드 벨트(38)를 압박하기 위한 압박 부재(68)를 갖는다.
상층측의 기계실(14)의 천장면에 있는 승강구에는, 상층측의 승강판(32)이 수평으로 마련되고, 하층측의 기계실(16)의 천장면에 있는 승강구에는, 하층측의 승강판(34)이 수평으로 마련되어 있다. 승강판(32)의 선단에는 빗살형의 콤(60)이 마련되고, 이 콤(60)으로부터 디딤판(30)이 나타난다. 또한, 승강판(34)에도 빗살형의 콤(62)이 마련되어 있다.
난간(36)의 승강구에 해당되는 상층측의 좌우 1쌍의 정면 스커트 가드(40, 40)의 정면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센서(70L, 70R)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1차 센서(70L, 70R)는, 거리 센서이며, 예를 들어 ToF(Time of Flight)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ToF 센서」는, 근적외선 LED의 고속 광원과, 거리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CMOS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여, 투광된 광 펄스가 타깃을 맞추고 되돌아가는 시간을 화소마다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거리 화상 이미지를 취득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위상차법을 사용한 경우에는, 투광 펄스를 고속으로 점멸시켜, 반사광의 위상 지연을 계측함으로써 거리 계측을 행하는 것이다.
난간(36)의 승강구에 해당되는 상층측의 좌우 1쌍의 정면 스커트 가드(40)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센서(72)가 마련되어 있다. 이 2차 센서(72)는, 광전 센서이며, 한쪽 정면 스커트 가드(40)의 측면에 발광부가 마련되고, 다른 쪽 정면 스커트 가드(40)의 측면에 수광부가 마련되어, 이 사이를 승객이 통과하면, 그 승객을 검출한다.
하층측의 정면 스커트 가드(42, 42)에 있어서도, 상층측과 동일하게 1차 센서(70L, 70R) 및 2차 센서(72)가 마련되어 있다.
(2) 에스컬레이터(10)의 전기적 구성
에스컬레이터(10)의 전기적 구성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기계실(14)에 마련된 제어부(50)에는, 모터(20)의 구동 장치(18), 상하층에 있는 조작반(52, 56), 상하층에 있는 스피커(54, 58)가 접속되고, 또한, 기억부(74), 외부와 무선으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76)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0)에는, 상층측의 좌우 1쌍에 1차 센서(70L, 70R)와 2차 센서(72) 및 하층측의 1차 센서(70L, 70R)와 2차 센서(7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하층의 좌측의 1차 센서(70L)를 도면에 있어서 표현할 때는 간략화를 위하여, 「L1차 센서」라 표현하고, 우측의 1차 센서(70R)를 표현할 때는 「R1차 센서」라 기재한다.
(3) 운전 개시 모드
에스컬레이터(10)에 승객이 없고,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승객이 나타나 디딤판(30)에 올라탈 때의 운전 개시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설명에서는, 디딤판(30)이 하강하고, 상층으로부터 승객이 올라타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제어부(50)에는, 상층의 콤(60)의 선단으로부터 올라타는 측을 향하여 1.6m의 위치에 A점이 있다고 설정되고, 1.4m의 위치에 B 지점이 있다고 설정되고, 1.0m의 위치에 C점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2차 센서(72)의 위치가 D점인 것으로 하여 설정되어 있다.
좌우 1쌍의 1차 센서(70)는, 올라타는 입구를 향해 오는 승객을 검출하고, 그 승객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 신호를 제어부(50)에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또한, 좌우 1쌍의 1차 센서(70)를 마련하는 것은, 편측의 1차 센서(70)의 검출 범위만으로는 승객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보다 확실하게 검출하기 위해서 좌우에 1개씩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어부(50)는, 적어도 어느 한쪽의 1차 센서(70)가 승객을 검출하면 A점, B점, 또는 C점을 통과한 것으로 한다. 1차 센서(70)가 검출하는 승객까지의 거리는, 1차 센서(70)가 장착된 위치를 원점으로 하여, 승객까지의 거리이기 때문에, 제어부(50)는, 이 승객에 관한 거리 신호를 상기에서 설명한 콤(60)의 선단으로부터의 거리로 환산한다.
제어부(50)는, 1차 센서(70)로부터 승객의 거리 신호에 기초하여, 승객이 A점을 통과한 시간을 기준 시간으로 하여 검출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 다음에 B점을 통과했을 때의 검출 시간 T1을 기억하고, 다음에 C점을 통과했을 때의 검출 시간 T2를 기억하고, 다음에 D점을 통과했을 때의 검출 시간 T4를 기억한다. 예를 들어, A점에서는 검출 시간이 0이며, B점에서는 T1= 2초, C점에서는 T2= 4초, D점에서는 T3= 7초이다.
제어부(50)는, 검출 시간 T1, T2, T3을 가산하여 합계 시간 M을 구한다. 이 합계 시간 M이, 승객의 보행 속도를 나타낸 것이며, M이 클수록 보행 속도가 느리고, 반대로 작을수록 보행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제어부(50)는, 승객의 보행 속도에 대응한 합계 시간 M과, 기준 보행 속도에 대응한 기준 합계 시간 M0을 비교하여, M≥M0일 때에는 느린 보행 속도로 보고 디딤판(30)의 정지 상태로부터 통상 속도로 가속되는 가속도α=0.05m/초2로 하여 느리게 하고, M<M0인 때에는, 빠른 보행 속도로 보고 가속도α= 0.1m/초2로 하여 빠르게 하여 가속시킨다.
(4) 운전 개시 모드의 처리
상기에서 설명한 에스컬레이터(10)의 운전 개시 모드의 처리에 대해,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1에 있어서, 제어부(50)는, 1차 센서(70)로부터의 거리 신호에 기초하여, 승객이 A점을 통과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되었으면 스텝 S2로 진행하고(y의 경우), 검출되지 않았으면 스텝 S1로 되돌아간다(n의 경우).
스텝 S2에 있어서, 제어부(50)는, 승객이 A점을 통과했기 때문에, 검출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에 있어서, 제어부(50)는, 1차 센서(70)로부터의 거리 신호에 기초하여, 승객이 B점을 통과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되었으면 스텝 S4로 진행하고(y의 경우), 검출되지 않았으면 스텝 S16으로 진행한다(n의 경우). 단, 승객이 B점을 통과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A점에서의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 내(예를 들어, 5초간) 동안에 판단한다. 이것은, 판단하는 시간을 짧게 하면 A점을 통과하고 나서 B점까지 보행하는 보행 속도가 느린 승객에 대해 Time Over가 되어 검출할 수 없게 되고, 반대로 너무 길어지면, 다른 승객을 검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스텝 S5, 스텝 S7에 있어서 승객의 검출을 판단하는 시간도 동일하다.
스텝 S4에 있어서, 제어부(50)는, A점에서 B점까지의 검출 시간 T1을 기억하고, 스텝 S5로 진행한다.
스텝 S5에 있어서, 제어부(50)는, 1차 센서(70)로부터의 거리 신호에 기초하여, 승객이 C점을 통과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되었으면 스텝 S6으로 진행하고(y의 경우), 검출되지 않았으면 스텝 S16으로 진행한다(n의 경우).
스텝 S6에 있어서, 제어부(50)는, A점에서 C점까지의 검출 시간 T2를 기억하고, 스텝 S7로 진행한다.
스텝 S7에 있어서, 제어부(50)는, 승객이 D점을 통과했는지 여부를 2차 센서(72)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하고, 검출되었으면 스텝 S8로 진행하고(y의 경우), 검출되지 않았으면 스텝 S16으로 진행한다(n의 경우).
스텝 S8에 있어서, 제어부(50)는, A점에서 D점까지의 검출 시간 T3을 기억하고, 스텝 S9로 진행한다.
스텝 S9에 있어서, 제어부(50)는, 검출 시간 T1, T2, T3을 모두 가산하여 합계 시간 M을 구함과 함께, 계측하고 있는 검출 시간을 리셋한다. 그리고 스텝 S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에 있어서, 합계 시간 M≥기준 합계 시간 M0이면 스텝 S12로 진행하고(y의 경우), M<M0이면 스텝 S11로 진행한다(n의 경우).
스텝 S11에 있어서, 제어부(50)는, 디딤판(30)의 가속도α를 0.1m/초2로 설정하고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2에 있어서, 제어부(50)는, 디딤판(30)의 가속도α를 0.05m/초2로 설정하고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 있어서, 제어부(50)는, 구동 장치(18)를 사용하여 디딤판(30)을 정지 상태로부터 가속도α로 가속되고, 스텝 S14로 진행한다.
스텝 S14에 있어서, 디딤판(30)의 주행 속도가 통상 속도에 도달했으면 스텝 S15로 진행하고(y의 경우), 도달하지 않았으면 스텝 S14를 계속한다(n의 경우).
스텝 S15에 있어서, 제어부(50)는, 디딤판(30)을 통상 속도로 운전을 계속하고, 운전 개시 모드를 종료한다.
스텝 S16에 있어서, 승객은 지니간 것으로 보고 에스컬레이터(10)를 타지 않은 것으로 검출 시간을 리셋하여, 스텝 S1로 되돌아간다.
(5) 효과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디딤판(30)이 정지 상태로부터 통상 속도에 가속되는 가속도를, 승객의 보행 속도에 맞춰서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행 속도가 느린 사람은 느린 가속도로, 보행 속도가 빠른 사람은 빠른 가속도로 디딤판(30)이 가속되어, 올라탈 때에 타이밍이 맞아,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검출 시간 T1 내지 T3의 합계 시간 M이, 기준 합계 시간 M0보다 큰지 여부로 판단하고 있는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A점에서 계측을 개시하고, D점까지에 있어서의 검출 시간만을 확인해도 승객의 보행 속도는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A점과 D점만으로 승객을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 A점에서 D점까지의 사이에 승객이 에스컬레이터(10)를 타지 않고 지나간 경우에 즉시 그 지나감을 검출할 수 없다. 이에 대해 A점, B점, C점, D점에서 승객을 각각 검출되었으면 각각의 장소에서 지나갔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승객이 A점에서 D점을 통과하는 것으로 해도, 디딤판(30)에 곧바로 접근하는 경우와, 비스듬히 접근하는 경우에는, 걷는 거리가 상이하기 때문에, 걷는 거리에 대응하여 검출 시간도 달라지게 된다. 이 때에 A점과 D점만으로 승객을 검출하고 있으면, D점에 있어서 승객을 검출하는 시간에 상당히 폭을 갖게 할 필요가 있어, 그만큼 검출 시간에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B점에서의 검출하는 시간은 A점에서의 기준 시간을 기준으로 폭을 조금 갖게 하고, C점에서의 검출하는 시간은 B점에서의 검출 시간을 기준으로 폭을 조금 갖게 하고, D점에서의 검출하는 시간은 C점에서의 검출 시간을 기준으로 폭을 조금 갖게 하고 있으므로, 각각의 폭을 갖게 하는 시간이 적어짐과 함께, 검출의 오차가 작아진다.
<변경예>
다음에, 변경예에 대해 설명한다.
(1) 변경예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1쌍의 정면 스커트 가드(40, 40)에 각각 좌우 1쌍의 1차 센서(70)를 마련했지만, 이것 대신에 어느 한쪽에만 1차 센서(70)를 마련해도 된다.
(2) 변경예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A점 내지 D점까지의 4개소였지만, 5개소 이상을 설정하고, 승객을 검출하여, 합계 시간 M을 산출해도 된다.
(3) 변경예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층측에서 설명을 행했지만, 에스컬레이터(10)가 상승하고 있는 경우에는, 하층측의 1차 센서(70)와 2차 센서(72)를 사용하여 디딤판(30)의 가속도 제어를 행한다.
(4) 변경예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디딤판(30)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통상 속도로 가속될 때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 대신에 통상 속도보다도 늦은 저속으로 주행하고 있을 때, 승객이 접근하여 통상 속도로 올릴 때의 가속도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산출하면 된다.
(5) 변경예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디딤판(30)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통상 속도로 가속될 때에 대해 설명했지만, 디딤판(30)이 통상 속도로 주행하고 있을 때, 예를 들어 보행 속도가 느린 승객이 올라타려고 하고 있음을 검출한 경우에는, 통상 속도보다도 늦은 저속으로 디딤판(30)을 주행시키도록 제어해도 된다. 즉, 합계 시간 M≥기준 합계 시간 M0인 때는, 통상 속도로부터 저속으로 변경된다.
(6) 변경예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A점 내지 C점을 설정할 때의 기준 위치는, 콤(60)의 선단에 설정했지만, 이외에 승강판(32)과 콤(60)의 경계선 등에 설정해도 된다.
(7) 변경예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합계 시간 M과 기준 합계 시간 M0로 비교했지만, 이것 대신에 기준이 되는 합계 시간을 복수 설정하고, 합계 시간 M이 작을수록, 가속도를 크게 해도 된다.
(8) 변경예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에스컬레이터(10)에 적용하여 설명했지만, 이것 대신에 무빙 워크에 적용해도 된다.
(9) 기타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다른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발명의 주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와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전후 방향으로 주행하는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이 진출하는 승강판과,
    상기 디딤판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좌우 1쌍의 난간과,
    상기 디딤판을 주행시키는 구동 장치와,
    상기 구동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디딤판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좌우 1쌍의 상기 난간의 승강구에 마련된 좌우 1쌍의 정면 스커트 가드와,
    좌우 1쌍의 정면 스커트 가드의 정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마련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승강구로 오는 승객을 검출하는 1차 센서
    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판의 선단의 위치에서 상기 승강구를 향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과점이 미리 차례로 설정되고,
    상기 선단의 위치에서 가장 먼 상기 통과점을 상기 승객이 통과한 것을 상기 1차 센서가 검출한 시간을 기준 시간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승객이 가장 먼 상기 통과점 이후의 상기 각 통과점을 각각 통과한 것을 상기 1차 센서가 각각 검출한 시간에 대해, 상기 기준 시간으로부터 경과하고 있는 검출 시간으로서 각각 기억하고,
    모든 상기 검출 시간을 가산한 합계 시간을 구하여,
    상기 합계 시간이 작을수록, 상기 디딤판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통상 속도로 가속되기 위한 제1 가속도를 크게 하는,
    승객 컨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좌우 1쌍의 정면 스커트 가드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마련되고, 좌우 1쌍의 정면 스커트 가드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승객을 검출하는 2차 센서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 센서가 상기 승객을 검출했을 때의 검출 시간을 추가로 기억하고,
    상기 1차 센서에 의한 상기 합계 시간에, 상기 2차 센서의 상기 검출 시간을 추가로 가산하여 상기 합계 시간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 시간에 관해서, 상기 승강판의 상기 선단의 위치에서 가장 먼 상기 통과점에 있어서, 상기 승객을 검출했을 때부터 상기 검출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는,
    승객 컨베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상 속도보다 늦은 저속으로 주행하고 있는 상기 디딤판을, 상기 통상 속도까지 제2 가속도로 가속되는 경우에, 상기 합계 시간이 작을수록 상기 제2 가속도를 크게 하는,
    승객 컨베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계 시간이 기준 합계 시간보다 큰 승객의 경우에, 상기 통상 속도로 주행하고 있는 상기 디딤판을, 상기 통상 속도보다 늦은 속도로 주행시키는,
    승객 컨베이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의 선단에 마련된 콤으로부터 상기 디딤판이 진출하는,
    승객 컨베이어.
  7. 제1항에 있어서, 좌우 1쌍의 정면 스커트 가드의 상기 정면의 양쪽에 상기 1차 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어느 한쪽의 상기 1차 센서가 상기 통과점에 있어서의 상기 승객을 검출했을 때, 상기 통과점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 시간으로서 기억하는,
    승객 컨베이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센서는, ToF 센서인,
    승객 컨베이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센서는, 광전 센서인,
    승객 컨베이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컨베이어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인,
    승객 컨베이어.
KR1020190065219A 2018-06-06 2019-06-03 승객 컨베이어 KR201901387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08561A JP6657303B2 (ja) 2018-06-06 2018-06-06 乗客コンベア
JPJP-P-2018-108561 2018-06-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744A true KR20190138744A (ko) 2019-12-16

Family

ID=68773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219A KR20190138744A (ko) 2018-06-06 2019-06-03 승객 컨베이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57303B2 (ko)
KR (1) KR20190138744A (ko)
CN (1) CN1105628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7563B1 (ja) 2022-04-15 2023-08-16 フジテック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群の自動発停止運転方法
JP7435655B2 (ja) 2022-04-15 2024-02-21 フジテック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自動発停止運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3376A (ja) * 1993-03-16 1994-09-20 Hitachi Ltd エスカレータの制御装置
JP4353763B2 (ja) * 2003-10-10 2009-10-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自動運転方式マンコンベア
JP4388416B2 (ja) * 2004-05-25 2009-1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装置
JP2008273728A (ja) * 2007-05-07 2008-11-13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JP2011011874A (ja) * 2009-07-02 2011-01-20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アの運転制御装置
JP5567101B2 (ja) * 2012-11-21 2014-08-0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62834A (zh) 2019-12-13
JP6657303B2 (ja) 2020-03-04
JP2019210114A (ja) 2019-12-12
CN110562834B (zh) 202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3763B2 (ja) 自動運転方式マンコンベア
JP6262287B2 (ja) 乗客コンベア
KR20190138744A (ko) 승객 컨베이어
JP6453424B1 (ja) 乗客コンベア
JP2019151431A (ja) 乗客コンベア
JP6786577B2 (ja) 乗客コンベア
JP5623492B2 (ja) 乗客コンベア
JP6786673B1 (ja) 乗客コンベア
JP6321126B1 (ja) 乗客コンベア
JP2019108191A (ja) 乗客コンベア
JP5567064B2 (ja) 乗客コンベアの乗客カウント装置
JP2006193258A (ja) 乗客コンベア
JP2004099266A (ja) 乗客コンベア
CN107337071B (zh) 乘客输送机的速度控制***
JP5567101B2 (ja) 乗客コンベア
JP6453425B1 (ja) 乗客コンベア
JP7289898B1 (ja) 乗客コンベアの乗り込み抑制装置
CN210150556U (zh) 乘客输送机
JP6015455B2 (ja) マンコンベア自動運転装置
JP7434650B1 (ja) 乗客コンベアシステムと移動体
JP6797973B1 (ja) 乗客コンベア
JP7456049B1 (ja) 乗客コンベアシステム及び移動体
JP7327563B1 (ja) 乗客コンベア群の自動発停止運転方法
JP7485474B1 (ja) 乗客コンベア及び乗客コンベアの制御方法
JP7443599B1 (ja) 乗客コンベアの長尺物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