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996A -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 Google Patents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996A
KR20190120996A KR1020180044429A KR20180044429A KR20190120996A KR 20190120996 A KR20190120996 A KR 20190120996A KR 1020180044429 A KR1020180044429 A KR 1020180044429A KR 20180044429 A KR20180044429 A KR 20180044429A KR 20190120996 A KR20190120996 A KR 20190120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film
composition
stripper composition
weight
film res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4907B1 (ko
Inventor
최호성
김규상
배종일
이종순
하상구
양윤모
Original Assignee
엘티씨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티씨 (주) filed Critical 엘티씨 (주)
Priority to KR1020180044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907B1/ko
Priority to CN201980001421.7A priority patent/CN110622071A/zh
Priority to EP19752067.9A priority patent/EP3617801A4/en
Priority to US16/487,905 priority patent/US11092895B2/en
Priority to JP2019545939A priority patent/JP6888846B2/ja
Priority to PCT/KR2019/004560 priority patent/WO2019203529A1/ko
Publication of KR20190120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42Stripping or agents therefor
    • G03F7/422Stripping or agents therefor using liquids only
    • G03F7/425Stripping or agents therefor using liquids only containing mineral alkaline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basic compounds, e.g.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bas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42Stripping or agent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1/00Special methods for prepar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detergents
    • C11D11/0047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3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3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7/3218Alkanolamines or alkanoli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3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50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50Solvents
    • C11D7/5004Organic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 C11D2111/22Electronic devices, e.g. PCBs or semicondu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회로를 형성하는 PCB 제조용, 특히 다층 연성 PCB(Flexible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제조 공정에 적용 가능한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LIQUID STRIPPER COMPOSITION FOR DRYFILM RESIST}
본 발명은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회로를 형성하는 PCB 제조용, 특히 다층 연성 PCB(Flexible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제조 공정에 적용 가능한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박형·경량·소형화되는 경향에 따라,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 PCB)은 보다 고밀도의 배선 형성이 요구되어, 단면에서 양면 또는 다층 PCB로, 미세회로가 구현된 PCB로서의 발전을 해오고 있으며, 특히, 접을 수 있을 정도의 얇은 배선판으로 구현된 연성 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는 많은 전자기기에 이용되고 있어, 최근 그 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한편, PCB의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어디티브 공법(Additive process), 서브트랙티브 공법(Subtractive process), 세미-어디티브 공법(Semi-additive process, SAP), 수정 세미-어디티브 공법(Modified semi-additive process, MSAP)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불필요한 부분을 에칭 가공하여 제거하는 서브트랙티브 공법이 주로 이용되나, 이 방법은 회로가공이 간편하다는 이점 이면에 미세가공에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미세회로가공을 위해 SAP 공법이 유리하다. 또한 FPCB는 양면화, 다층화 및 정밀화를 목표로 레이저빔을 이용한 MSAP 공법이 사용되는 것이 최근 경향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들 SAP 및 MSAP 공법은 도금 레지스트에 해당하는 드라이필름의 박리 공정 난이도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통상, PCB는 기판 위에 드라이필름을 도포하고, 노광, 현상 공정을 진행한 후, 식각을 실시하여 회로를 형성한다. 이후, 기판 상부로부터 상기 드라이필름을 애싱(ashing)하거나, 박리액을 이용하여 박리하여 상기 드라이필름을 제거한 다음, 남은 드라이필름 잔사(殘渣)를 박리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그런데, 상기 박리 과정에서 박리액은 필연적으로 구리 배선과 접촉하여 전기 화학적으로 부식을 일으키는 인자가 되므로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하기 화학반응식 참조).
(1) 수용액 상태에서의 아민과 구리 부식반응
RNH2 + H2O → RNH3 + OH-
Cu 2+ + 2OH- → Cu(OH)2(s)
Cu(OH)(s)+ 4RNH3+ → [Cu(RNH2)4]
(2) 유기용액 상태에서의 아민과 구리 부식반응
Cu + 4RNH2 → Cu(RNH2)4
드라이필름을 기판 위로부터 혹은 드라이필름 잔사를 박리하기 위해, 종래부터 여러가지 드라이필름 박리액이 제안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4885호에서는 하이드록실아민(Hydroxylamine)류, 초순수,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디에탄올아민(Diethanolamin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방향족 하이드록실 화합물(Aromatic hydroxyl compound)로 이루어진 포토레지스트용 박리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토레지스트 박리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090호에서는 하이드록실아민류, 초순수, 산해리정수(Pka)가 7,5 내지 13인 아민류, 수용성 유기용매, 방식제로 이루어진 포토레지스트용 박리액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포토레지스트 박리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드라이필름을 제거하는 박리액 조성물로 수산화물 및 알칼리금속 아민류를 이용한 조성물이 이용되어 왔으나, 박리성 향상에 따른 금속 패턴의 부식 및 이로 인한 변색 및 하부 침식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하이드록실아민류는 독성 및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는 조성물로 작업자 안전 및 환경적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며,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조성물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포토레지스트용 박리액 또는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이 가지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박리성이 우수하면서도 구리 배선의 부식은 최소화하고, 작업 안정성 및 환경오염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포토레지스트용 박리액 또는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488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09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수한 박리성을 갖는 동시에 종래 박리액 대비 동(Cu) 배선에 대한 부식을 최소화하는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래 하이드록실아민류를 대체한 친환경 아민류 및 부식방지제로서 설퍼를 포함하는 아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테트라메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TMAH), 테트라메틸암모늄 펜타플루오로옥세네이트(Tetramethylammonium pentafluoroxenate, TMAPF)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4급 암모늄염 수용액 10~30중량%, 알칸올 아민계 화합물 30~60중량%, 양자성 극성 유기 용제 10~30중량% 및 설퍼를 포함하는 아졸계 화합물 0.1~5중량%를 포함하는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은 50 ℃ 가량의 비교적 낮은 공정 조건에서도 수분 이내로 드라이필름을 박리 가능한 우수한 폴리머 제거력을 갖는 동시에, 종래 박리액 대비 탁월한 동 배선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공정 환경 및 필름 경화 조건 등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박리액 조성물을 초순수에 희석하여 사용 가능함으로써, 공정 원가의 절감 효과가 있고, 작업자의 안전 및 환경적 측면에서도 우수하다.
도 1은 FPCB 기판상에 도포된 드라이 필름을 박리하기 전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실물 사진으로, (a)는 드라이필름이 도포되어 있는 기판,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박리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드라이필름을 박리한 후의 기판을 나타낸다.
도 2는 FPCB 기판상에 도포된 드라이 필름을 박리하기 전후의 모습을 촬영한 광학현미경 사진으로, (a)는 드라이필름이 도포되어 있는 기판, (b)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박리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드라이필름을 박리한 후의 기판, 및 (c)는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박리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드라이필름을 박리한 후의 기판을 나타낸다.
도 3은 FPCB 기판상에 도포된 드라이 필름을 박리하기 전후의 모습을 촬영한 광학현미경 및 전자주사현미경 사진으로, (a) 및 (d)는 드라이필름이 도포되어 있는 기판, (b) 및 (e)는 실시예 4에서 제조된 박리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드라이필름을 박리한 후의 기판, (c) 및 (f)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박리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드라이필름을 박리한 후의 기판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서, 테트라메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TMAH), 테트라메틸암모늄 펜타플루오로옥세네이트(Tetramethylammonium pentafluoroxenate, TMAPF)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4급 암모늄염 수용액 10~30중량%, 알칸올 아민계 화합물 30~60중량%, 양자성 극성 유기 용제 10~30중량% 및 설퍼를 포함하는 아졸계 화합물 0.1~5중량%를 포함하는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제4급 암모늄염은 고형 성분 또는 초순수에 희석하여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칼리성을 보이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지만, 우수한 박리성 및 부식 방지 효과를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테트라메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TMAH), 테트라메틸암모늄 펜타플루오로옥세네이트(Tetramethylammonium pentafluoroxenate, TMAPF)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급 암모늄염 수용액은 상기 조성물에 10 내지 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충분한 드라이필름 박리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5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첨가 중량 대비 박리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각종 금속층에 부식을 가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알칸올 아민계 화합물은 상기 제4급 암모늄염 수용액의 작용을 증진시키고, 드라이필름 내 고분자로의 침투 및 팽윤을 가속화시켜 필름의 박리를 돕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알칸올 아민계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Monoisopropanolamine, MIPA),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아민(2-Amino-2-methyl-1-propanolamine, AMPA), 2-아미노 에톡시에탄올아민(2-Amino ethoxyethanolamine, AEEA),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TEA),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MEA) 및 디에탄올아민(Diethanolamine, DEA)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알칸올 아민계 화합물은 상기 조성물에 30 내지 6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0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드라이필름의 박리 속도가 저하되고, 6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고분자로의 침투 및 팽윤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양자성 극성 유기 용제는 양자성계 글리콜류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혼합하여 포토레지스트를 박리시키는데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글리콜류는 용해된 포토레지스트를 박리제에 잘 퍼지게 하는 역할을 하여 신속히 제거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양자성 극성 유기 용제는 구체적으로, 에틸렌글리콜(Etylene glycol, EG),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PG),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EDG),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D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BDG),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D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MDG),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Ethylene glycol mono ethyl ether, EE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에테르(propylene glycol monobutyl ether, PGMBE), 트리프로판올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tripropylene glycol monoethyl ether, TPGMEE) 및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Tr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TEGMBE)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설퍼를 포함하는 아졸계 화합물은 비교적 안정적인 부식 방지 및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 능력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부식방지제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퍼를 포함하는 아졸계 화합물은 메르캅토벤조이미다졸 (Mercaptobenzimidazole, MBI) 메르캅토벤조씨아디아졸(Mercaptobenzothiadiazole, MBT), 메르캅토벤지미다졸(Mercaptobenzimidazole), 메르캅토벤조옥사졸(Mercaptobenzoxazole, MBO), 메르캅토메틸이미다졸(Mercaptomethylimidazole, MMI), 4-메틸이미다졸(4-Methylimidazole, 4-MI) 및 2,5-디메르캅토-1,3,4-씨아디아졸(2,5-Dimercapto-1,3,4-thiadiazole)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설퍼를 포함하는 아졸계 화합물은 상기 조성물에 0.1 내지 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금속 배선막에 대한 부식방지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5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서, 테트라메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TMAH) 10~30중량%,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Monoisopropanolamine, MIPA) 또는 2-아미노 에톡시에탄올아민(2-Amino ethoxyethanolamine, AEEA) 30~60중량%,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D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BDG) 10~30중량% 및 메르캅토벤조이미다졸(Mercaptobenzimidazole, MBI) 또는 메르캅토벤조옥사졸(Mercaptobenzoxazole, MBO) 0.1~5중량%를 포함하는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초순수와 1:2 내지 1: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희석하여 사용가능하며, 희석 배율에 따라 박리 및 부식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성물에 대하여 희석 배율이 높아질수록 드라이필름의 박리성이 저하되나 부식 제어 측면에서는 유리하며, 반대로 희석배율이 낮아질수록, 박리성은 우수하나 부식 제어 측면에서는 불리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10.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의 제조
제4급 암모늄염 수용액으로 테트라메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수용액, 알칸올 아민계 화합물, 양자성 글리콜류, 설퍼를 포함하는 아졸계 화합물로 구성된 실시예 1 내지 10의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조성물의 구성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내지 4.
제4급 암모늄염 수용액으로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수용액, 알칸올 아민계 화합물, 양자성 글리콜류, 설퍼를 포함하는 아졸계 화합물로 구성된 비교예 1 내지 4의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조성물의 함량은 상기 실시예와 유사한 범위이나, 상기 알칸올 아민계 화합물 또는 양자성 글리콜류의 성분을 달리 배합하였다. 각 조성물에 대한 구성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구분 구성성분 함량 (단위: 중량%)
암모늄염 알칸올아민 양자성
글리콜
설퍼계 아졸화합물 암모늄염 알칸올아민 양자성
글리콜
설퍼계 아졸화합물 DI
희석
배율
실시예 1 TMAH AEEA BDG MBI 30 50 19 1.0 -
실시예 2 TMAH MIPA BDG MBO 30 50 19 1.0 -
실시예 3 TMAH DEA EDG BMI 30 50 19 1.0 -
실시예 4 TMAH DEA EDG MBO 30 50 19 1.0 -
실시예 5 TMAH DEA PGMBE MBO 20 60 34 1.0 -
실시예 6 TMAH DEA BDG MBO 20 60 34 1.0 -
실시예 7 TMAH MIPA BDG MBO 30 50 19 1.0 2배
실시예 8 TMAH MIPA BDG MBO 30 50 19 1.0 10배
실시예 9 TMAH MIPA BDG MBO 30 50 19 1.0 20배
실시예 10 TMAH MIPA BDG MBO 30 50 19 1.0 30배
비교예 1 TMACl MEA EDG MBO 30 50 19 1.0 -
비교예 2 TMACl MEA EG 4-MI 30 50 19 1.0 -
비교예 3 TMACl AEE PG MBI 20 60 34 1.0 -
비교예 4 TMACl MIPA PG MBI 20 60 34 1.0 -
TMAH :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TMACl : Tetramethylammonium chloride
AEEA : 2-Aminoethoxy-ethanol amine
MIPA : Monoisopropanol amine
DEA : Diethanol amine
MEA : Monoethanol amine
BDG : D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EDG :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PGMBE : Propylene glycol monobuthyl ether
EG : Etylene glycol
PG : Propylene glycol
MBI : Mercaptobenzimidazole
MBO : Mercaptobezoxazole
4-MI : 4-methyl imidazole
실험예 1. 박리성 평가
상기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박리액 조성물의 드라이필름 박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패턴 형성을 위한 에칭 및 현상 공정 후, 배선이 형성된 FPCB 기판에서 동 배선 상부막에 드라이필름이 도포된 시편을 제작하고, 이를 박리액 조성물에 침적시켰다.
구체적으로, 박리액 조성물 1ℓl를 비이커에 넣고, 마그네틱바를 사용하여 100 rpm으로 교반하면서 50℃의 온도로 가열하였다. 가열된 박리액 조성물에 드라이필름막(약10μ)이 도포된 시편을 300초 동안 침적하여 상기 드라이필름막을 박리시켰다. 이어서 상기 시편을 꺼내 초순수로 세척, 건조한 후, 드라이필름막의 잔존 여부를 분석하였다.
동 배선의 부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먼저 육안으로 시편의 변색 여부를 확인 후 광학현미경 및 전자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부식 유무를 면밀히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2 내지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10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박리성 O O O O O O O O O
부식 O O O O O O O X X X X
[드라이필름 박리에 대한 판단 기준]
육안 및 광학현미경 측정 시,
O : PCB기판 상에서 드라이필름이 완전 박리됨.
△ : PCB기판 상에서 드라이필름이 잔존함.
X : PCB기판 상에서 드라이필름이 확연히 제거되지 않음.
[동 배선 부식에 대한 판단 기준]
육안, 광학현미경 및 전자주사현미경 측정 시,
O : 동배선의 부식 현상 없음.
△ : 동배선의 변색 등이 관찰됨.
X : 동배선의 부식이 확연히 관찰됨.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9에서 제조된 조성물이 박리성이 우수하면서도 동 배선 부식을 최소화한 가장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한 박리 시, 시편의 동 배선의 부식 및 침식 현상이 나타나며, 이러한 결과는 박리성이 강한 알칸올아민으로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염으로 인하여, 동 배선의 부식 제어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실시예 7 내지 10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한 박리 시, 희석 배율에 따른 차이가 있으며, 희석 배율이 높은 조성물의 경우, 드라이필름의 박리성이 저하되나 부식 제어 측면에서는 유리하며, 반대로 희석배율이 낮은 조성물의 경우, 박리성에서는 우수한 결과를 보이나 부식 제어 측면에서는 불리한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박리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각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편을 박리 처리한 후 시편을 광학현미경 또는 전자주사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박리액 조성물의 박리성을 비교해 볼 때, 실시예 3 대비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한 박리 시, 드라이 필름이 더 깨끗하게 제거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고하면, 박리액 조성물의 부식 정도를 비교해 볼 때, 실시예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한 박리 시, 광학현미경 사진으로 볼 때 드라이 필름의 제거는 전반적으로 잘 이루어진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한 박리 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으로 볼 때, 동 배선 부분의 변색 및 표면 거칠기가 증가함에 따라 부식이 더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박리액 조성물 중 알칸올 아민계 화합물 성분 차이에 따른 것으로, 2차 아민과 1차 아민의 폴리머 반응성 차에 따른 영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비교예 1 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경우, 아민의 반응성이 강하여 상기 드라이 필름의 박리성이 우수하나 동시에 부식성 또한 강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박리성이 우수하면서도 부식을 제어할 수 있는 박리액 조성물로는 부적합하다. 반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경우, 아민의 반응성이 비교적 안정적이기 때문에 박리성과 부식 방지 효과면에서 우수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테트라메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TMAH), 테트라메틸암모늄 펜타플루오로옥세네이트(Tetramethylammonium pentafluoroxenate, TMAPF)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4급 암모늄염 수용액 10~30중량%, 알칸올 아민계 화합물 30~60중량%, 양자성 극성 유기 용제 10~30중량% 및 설퍼를 포함하는 아졸계 화합물 0.1~5중량%를 포함하는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칸올 아민계 화합물은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Monoisopropanolamine, MIPA),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아민(2-Amino-2-methyl-1-propanolamine, AMPA), 2-아미노 에톡시에탄올아민(2-Amino ethoxyethanolamine, AEEA),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TEA),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MEA) 및 디에탄올아민(Diethanolamine, DEA)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성 극성 유기 용제는 에틸렌글리콜(Etylene glycol, EG),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PG),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EDG),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D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BDG),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D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MDG),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Ethylene glycol mono ethyl ether, EE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에테르(propylene glycol monobutyl ether, PGMBE), 트리프로판올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tripropylene glycol monoethyl ether, TPGMEE) 및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Tr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TEGMBE)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퍼를 포함하는 아졸계 화합물은 메르캅토벤조이미다졸 (Mercaptobenzimidazole, MBI) 메르캅토벤조씨아디아졸(Mercaptobenzothiadiazole, MBT), 메르캅토벤지미다졸(Mercaptobenzimidazole), 메르캅토벤조옥사졸(Mercaptobenzoxazole, MBO), 메르캅토메틸이미다졸(Mercaptomethylimidazole, MMI), 4-메틸이미다졸(4-Methylimidazole, 4-MI) 및 2,5-디메르캅토-1,3,4-씨아디아졸(2,5-Dimercapto-1,3,4-thiadiazole)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초순수와 1:2 내지 1: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희석한 것인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KR1020180044429A 2018-04-17 2018-04-17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KR102224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429A KR102224907B1 (ko) 2018-04-17 2018-04-17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CN201980001421.7A CN110622071A (zh) 2018-04-17 2019-04-16 干膜光阻剥离液组合物
EP19752067.9A EP3617801A4 (en) 2018-04-17 2019-04-16 STRIPPING COMPOSITION FOR DRY FILM RESIST
US16/487,905 US11092895B2 (en) 2018-04-17 2019-04-16 Peeling solution composition for dry film resist
JP2019545939A JP6888846B2 (ja) 2018-04-17 2019-04-16 ドライフィルムレジスト剥離液組成物
PCT/KR2019/004560 WO2019203529A1 (ko) 2018-04-17 2019-04-16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429A KR102224907B1 (ko) 2018-04-17 2018-04-17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996A true KR20190120996A (ko) 2019-10-25
KR102224907B1 KR102224907B1 (ko) 2021-03-09

Family

ID=68239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429A KR102224907B1 (ko) 2018-04-17 2018-04-17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92895B2 (ko)
EP (1) EP3617801A4 (ko)
JP (1) JP6888846B2 (ko)
KR (1) KR102224907B1 (ko)
CN (1) CN110622071A (ko)
WO (1) WO20192035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014B1 (ko) 2019-02-05 2022-09-15 가부시키가이샤 도쿠야마 실리콘 에칭액 및 상기 에칭액을 이용한 실리콘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3090B1 (ko) 1995-09-29 1999-03-20 나까네 히사시 포토레지스트용 박리액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포토레지스트 박리 방법
KR100364885B1 (ko) 1997-10-16 2003-05-09 도오꾜오까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포토레지스트용박리액조성물및이를이용한포토레지스트박리방법
KR20140045275A (ko) * 2012-10-08 2014-04-16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두꺼운 필름 레지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스트리핑 및 세정 조성물
JP2015118124A (ja) * 2013-11-18 2015-06-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変性レジストの剥離方法、これに用いる変性レジストの剥離液および半導体基板製品の製造方法
JP2015118125A (ja) * 2013-11-18 2015-06-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変性レジストの剥離液、これを用いた変性レジストの剥離方法および半導体基板製品の製造方法
KR20170100974A (ko) * 2016-02-26 2017-09-05 삼영순화(주)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2903B2 (ja) * 1999-06-21 2003-02-04 ニチゴー・モートン株式会社 フォトレジスト剥離剤
KR100518714B1 (ko) 2002-02-19 2005-10-05 주식회사 덕성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JP4159929B2 (ja) * 2003-05-28 2008-10-01 花王株式会社 レジスト用剥離剤組成物
US7384900B2 (en) * 2003-08-27 2008-06-10 Lg Display Co., Ltd.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moving copper-compatible resist
KR101488265B1 (ko) 2007-09-28 2015-0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리 조성물 및 박리 방법
JP2010121148A (ja) * 2008-11-17 2010-06-03 Ube Ind Ltd ビアリール化合物を含有する防食剤又は剥離剤。
US9005367B2 (en) * 2009-05-07 2015-04-14 Basf Se Resist stripp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devices
US8110535B2 (en) * 2009-08-05 2012-02-07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Semi-aqueous stripping and cleaning formulation for metal substrate and methods for using same
KR20110049066A (ko) 2009-11-04 2011-05-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컬러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JP5498768B2 (ja) 2009-12-02 2014-05-21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リソグラフィー用洗浄液及び配線形成方法
KR101089211B1 (ko) * 2010-12-02 2011-12-02 엘티씨 (주) 1차 알칸올 아민을 포함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CN102411269A (zh) * 2011-11-18 2012-04-11 西安东旺精细化学有限公司 光致抗蚀剂膜的剥离液组合物
US20140100151A1 (en) 2012-10-08 2014-04-10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Stripping and Cleaning Compositions for Removal of Thick Film Resist
JP2014157339A (ja) * 2013-02-18 2014-08-28 Lion Corp レジスト剥離剤組成物
KR101420571B1 (ko) 2013-07-05 2014-07-16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드라이필름 레지스트의 제거방법
JP2015018957A (ja) * 2013-07-11 2015-01-29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半導体処理液、及びそれを用いた処理方法
JP6464578B2 (ja) * 2013-08-01 2019-02-06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6277511B2 (ja) * 2013-10-18 2018-0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レジスト剥離液
TWI690780B (zh) * 2014-12-30 2020-04-11 美商富士軟片電子材料美國股份有限公司 用於自半導體基板去除光阻之剝離組成物
KR101567407B1 (ko) 2015-03-27 2015-11-10 주식회사 심텍 열경화성 솔더마스크 제거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레지스트 패턴의 형성 방법
KR102183400B1 (ko) * 2015-06-23 2020-11-26 주식회사 이엔에프테크놀로지 세정액 조성물
KR20170097256A (ko) 2016-02-17 2017-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드라이필름 레지스트의 제거방법
KR102508822B1 (ko) * 2016-04-28 2023-03-10 (주)덕산테코피아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KR20190006483A (ko) * 2016-05-13 2019-01-18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씨유 레지스트 박리액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3090B1 (ko) 1995-09-29 1999-03-20 나까네 히사시 포토레지스트용 박리액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포토레지스트 박리 방법
KR100364885B1 (ko) 1997-10-16 2003-05-09 도오꾜오까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포토레지스트용박리액조성물및이를이용한포토레지스트박리방법
KR20140045275A (ko) * 2012-10-08 2014-04-16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두꺼운 필름 레지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스트리핑 및 세정 조성물
JP2015118124A (ja) * 2013-11-18 2015-06-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変性レジストの剥離方法、これに用いる変性レジストの剥離液および半導体基板製品の製造方法
JP2015118125A (ja) * 2013-11-18 2015-06-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変性レジストの剥離液、これを用いた変性レジストの剥離方法および半導体基板製品の製造方法
KR20170100974A (ko) * 2016-02-26 2017-09-05 삼영순화(주)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22071A (zh) 2019-12-27
US20200272056A1 (en) 2020-08-27
EP3617801A4 (en) 2020-12-23
KR102224907B1 (ko) 2021-03-09
JP6888846B2 (ja) 2021-06-16
US11092895B2 (en) 2021-08-17
EP3617801A1 (en) 2020-03-04
JP2020519915A (ja) 2020-07-02
WO2019203529A1 (ko)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2777A (en) Resist stripping
EP1904898B1 (en) Method for fine line resist stripping
JP2017040928A (ja) 1級アルカノールアミンを含むlcd製造用フォトレジスト剥離液組成物
CN104281017A (zh) 干膜抗蚀剂剥离剂组合物以及使用该组合物的干膜抗蚀剂的除去方法
KR20060110712A (ko) 갈바닉 부식을 억제하는 비수성 포토레지스트 스트립퍼
KR100718527B1 (ko) 네거티브 포토레지스트용 박리액 조성물
US11092895B2 (en) Peeling solution composition for dry film resist
KR102029442B1 (ko)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제거용 박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드라이필름 레지스트의 박리방법
KR101374565B1 (ko) 포토레지스트용 스트리퍼 조성물
KR101213731B1 (ko) 포토레지스트용 스트리퍼 조성물
KR102512488B1 (ko) 포토레지스트 제거용 박리액 조성물
KR101130353B1 (ko) 포토레지스트용 박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토레지스트 박리방법
KR102124328B1 (ko) 구리 금속 표면의 밀착 향상용 미세 조도 형성 조성물
WO2022114110A1 (ja) 樹脂マスク剥離用洗浄剤組成物
JPH03235395A (ja) 銅スルーホール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KR101374686B1 (ko) 포토레지스트용 스트리퍼 조성물
JP4431641B2 (ja) 感光性レジスト用現像液組成物
KR20240024847A (ko) 회로 기판용 수지막의 박리제 및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CN111352315A (zh) 一种用于光刻胶剥离的水性剥离液
CN116018397A (zh) 基板的清洗方法
KR20030002940A (ko) 레지스트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레지스트 제거 방법
KR20070023916A (ko) 투명 전도막 및 레지스트 제거용 박리액 조성물
WO2007064377A1 (en) Developer solution and process for use
KR20100132586A (ko) 유기절연막 박리액의 제조방법
DD246777A1 (de) Entschichtungsmittel zur entfernung von fotokopierlack- und galvanoabdecklackschichten von aetzmask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