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715A -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715A
KR20190118715A KR1020180041908A KR20180041908A KR20190118715A KR 20190118715 A KR20190118715 A KR 20190118715A KR 1020180041908 A KR1020180041908 A KR 1020180041908A KR 20180041908 A KR20180041908 A KR 20180041908A KR 20190118715 A KR20190118715 A KR 20190118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teer
case
uni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5936B1 (ko
Inventor
이석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80041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93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01Mechanical components or aspects of steer-by-wi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main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003Steerable ax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자동차의 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구동부의 하우징에 결합되되, 인장되면서 바퀴를 가압하여, 바퀴의 틀어진 각도를 정렬하는 정렬부를 포함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STEER BY WIER TYPE STEERING APPARATUS}
본 실시예들은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티어 바이 와이어(steer by wire : SBW) 시스템은 조향휠과 차량의 구동바퀴의 기계적 연결을 없앤 시스템으로, 조향휠의 회전 신호를 전자제어장치(ECU)를 통해 입력받아 구동바퀴에 연결된 모터를 작동시켜 차량을 조향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조향입력 측에 구비되어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각 센서 등과, 출력측에 구비되어 구동바퀴의 회전각을 검출할 수 있는 조향출력 센서와 보조력을 발생시켜 구동바퀴가 회전되도록 하는 조향 액츄에이터 등으로 구성된다.
운전자가 조향휠을 돌리면 조향휠의 회전량을 조향각 센서가 검출하여 전자제어장치(ECU)에 전송하고, 전자제어장치는 구동바퀴를 회전시키는 조향 액츄에이터를 조정하여 조향출력이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상술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경우, 조향휠과 구동바퀴의 기계적 연결이 없기 때문에, 주차 또는 정차시 구동바퀴에 역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구동바퀴가 틀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조향휠의 회전각도와 구동바퀴의 조향각도가 불일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이 적용된 자동차에서, 정차 또는 주차시 바퀴에 외력이 가해져 바퀴의 정렬이 틀어진 경우(스티어링 휠의 회전각도와 바퀴의 조향각도가 불일치하게 되는 경우), 정렬부의 작동으로 바퀴의 틀어진 각도를 정렬할 수 있어서, 종래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에서 문제되었던 바퀴 틀어짐 문제를 확인 및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바퀴와의 사이에 마찰력을 생성하는 패드부가 정렬부에 포함됨으로써, 정차, 주차시 바퀴의 제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동을 위한 장치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들은 자동차 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구동부의 하우징에 결합되되, 인장되면서 바퀴를 가압하여, 바퀴의 틀어진 각도를 정렬하는 정렬부를 포함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이 적용된 자동차에서, 정차 또는 주차시 바퀴에 외력이 가해져 바퀴의 정렬이 틀어진 경우(스티어링 휠의 회전각도와 바퀴의 조향각도가 불일치하게 되는 경우), 정렬부의 작동으로 바퀴의 틀어진 각도를 정렬할 수 있어서, 종래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에서 문제되었던 바퀴 틀어짐 문제를 확인 및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퀴와의 사이에 마찰력을 생성하는 패드부가 정렬부에 포함됨으로써, 정차, 주차시 바퀴의 제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동을 위한 장치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정렬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위치조절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주행중인 상태에서 자동차의 바퀴와 정렬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와 도 6은 주차 또는 정차 상태에서 자동차의 바퀴와 정렬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주차 또는 정차 상태에서 정렬부가 바퀴의 틀어진 각도를 센싱하고 정렬하는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순서도,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나탠 구성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정렬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위치조절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주행중인 상태에서 자동차의 바퀴와 정렬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와 도 6은 주차 또는 정차 상태에서 자동차의 바퀴와 정렬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주차 또는 정차 상태에서 정렬부가 바퀴의 틀어진 각도를 센싱하고 정렬하는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순서도,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나탠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100)는, 자동차의 바퀴(10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05), 구동부(105)의 하우징(103)에 결합되되, 인장되면서 자동차의 바퀴(101)를 가압하여, 자동차의 바퀴(101)의 틀어진 각도를 정렬하는 정렬부(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부(105)는 자동차의 바퀴(10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구동부(105)는 하우징(103)을 포함하며, 하우징(103)의 내측에는 전기 모터 등의 구동기가 장착되고, 구동기의 회전축과 자동차의 바퀴(101)의 바퀴축(109)은 일예로, 유니버셜 조인트 구조, 베벨기어 구조 등으로 서로 연결되어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구동기의 회전축과 바퀴축(109)의 이와 같은 연결구조로 인해, 구동부(105)의 구동력이 자동차의 바퀴(101)로 전달될 수 있게 되어 있고, 정렬부(107)에는 구동부(105)의 하우징(103)이 결합된다.
이러한 정렬부(107)는 인장되면서 자동차의 바퀴(101)를 가압하여, 자동차의 바퀴(101)의 틀어진 각도를 센싱하고 정렬하게 된다.
여기서, 정렬부(107)의 구성에 대한 일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렬부(107)는, 하우징(103)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111), 지지플레이트(111)에 결합되는 케이스(113), 케이스(113)의 내측에 구비되며, 전동기(115)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축(201), 케이스(113)의 내측에 지지되고, 스크류축(201)이 내삽되어 결합되며, 스크류축(201)의 회전에 따라 케이스(113)의 외부로 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자동차의 바퀴(101)를 가압하는 가압부재(117)를 포함한다.
또한, 정렬부(107)는 바퀴(101)의 양측을 가압하여 일렬로 정렬하기 용이하도록 하우징(103)의 양측에 각각 제공될 수 있으며, 이처럼 한쌍으로 제공되는 정렬부(107)는 동일한 구성을 갖게 되며, 운전자가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미도시) 또는 조향 컬럼에는 회전각도를 센싱하여 제어부로 송신하는 회전각센서(260)가 기본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하, 하나의 정렬부(107)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지플레이트(111)는 하우징(103)에 결합되는데, 이러한 지지플레이트(111)는 일예로, 일정 두께를 갖는 평평한 판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지지플레이트(111)는 하우징(103)의 외주면에 볼팅, 용접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113)는 지지플레이트(111)에 결합되는데, 케이스(113)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제공된다.
한편, 케이스(113)는 후술할 위치조절부(121)에 대해 회동되면서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크류축(201)은 케이스(113)의 내측에 구비되는데, 스크류축(201)은 전동기(115)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전동기(115)는 일예로 전기 모터로 제공될 수 있으며 물론, 전동기(115)는 회전축이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이 모두 가능한 구동장치로 제공된다.
한편, 스크류축(201)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긴 봉 형상으로 제공되며, 스크류축(201)은 그 일단이 상술한 전동기(115)의 회전축에 결합되어서, 전동기(115)의 회전구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가압부재(117)는 케이스(113)의 내측에 지지되는데, 가압부재(117)의 일단이 스크류축(201)의 타단에 내삽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가압부재(117)는 일예로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을 이루는 둘레면에 스크류축(30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스크류축(201)과 가압부재(117)는 서로 나사결합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동기(115)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구동력이 스크류축(20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가압부재(117)가 케이스(113)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케이스(113)의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게 된다.
따라서, 주차 또는 정차시 자동차의 바퀴(101)가 틀어진 상태에 놓인 경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동기(115)가 작동되면서 가압부재(117)가 인출되게 된다.
그리고, 가압부재(117)의 인출량과, 인출되는 가압부재(117)가 자동차의 바퀴(101)를 가압하게 되는 시점의 전동기(115) 부하변화를 통해, 자동차의 바퀴(101)의 틀어진 각도(조향각도)가 센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이 주차 또는 정차시 자동차의 바퀴(101)의 틀어진 각도(조향각도)가 센싱되면, 이에 연동하여 제어부(250)의 전동기(115) 작동 제어에 의해 바퀴(101)의 틀어진 각도가 정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정렬부(107)는 가압부재(117)의 단부에 형성되며, 자동차의 바퀴(101)에 밀착시 마찰력을 생성하는 패드부(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119)는 자동차의 바퀴(101)와의 사이에서 마찰력을 발생시켜, 자동차의 바퀴(101)의 회전력을 감쇄시키는 제동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정렬부(107)에 패드부(119)가 포함됨으로써, 주차 또는 정차시 자동차의 바퀴(101)의 틀어진 각도의 센싱 기능뿐만 아니라, 제동 기능까지 함께 수행될 수도 있게 된다.
더불어, 정렬부(107)는, 케이스(113)를 향하는 면의 일측이 케이스(113)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지지플레이트(111)의 측면에 위치가변되게 결합되며, 케이스(113)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이 차체에 고정되는 위치조절부(121)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위치조절부(121)는, 정렬부(107)의 조립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즉, 차체에 고정된 위치조절부(121)에, 정렬부(107) 또는 구동부(105)가 결합된 정렬부(107)가 회동 및 결합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조립편의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위치조절부(121)의 일예에 대한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위치조절부(121)는 지지플레이트(111)의 측면에서 돌출연장된 안내돌기부(301)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케이스(113)를 향하는 면의 타측에 가이드홀(303)이 형성되고, 케이스(113)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이 차체에 고정되는 몸체부(123), 몸체부(123)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며 돌출된 복수개의 걸림돌기부(305), 안내돌기부(301)와 연결되며, 몸체부(123)의 내측에서 탄성지지되되, 걸림돌기부(305)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면서 몸체부(123)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손잡이(307)를 포함한다.
몸체부(123)는 일예로 중공의 각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몸체부(123)는 케이스(113)를 향하는 면의 일측이 케이스(113)의 외주면에 힌지축(H) 등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몸체부(123)는, 케이스(113)를 향하는 면의 타측에 가이드홀(303)이 형성된다.
물론, 이 가이드홀(303)은, 힌지축(H)이 관통되는 결합홀과 연통되지는 않으며, 이 가이드홀(303)을 통해 지지플레이트(111)의 측면에서 돌출연장된 안내돌기부(301)가 삽입되며, 안내돌기부(301)가 가이드홀(303)을 통해 이동될 수 있게 됨으로써, 차체에 고정된 몸체부(123)에 지지플레이트(111), 케이스(113) 등이 조립될 때, 작업자가 조립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걸림돌기부(305)는 몸체부(123)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며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걸림돌기부(305)는 후술할 고정손잡이(307)와 연동하여, 몸체부(123)에 조립 완료된 지지플레이트(111), 케이스(113) 등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부(305)의 길이(도 3을 기준으로 좌우방향)는, 몸체부(123) 내측면 공간의 폭보다 짧게 형성되어서, 후술할 고정플레이트(309)가 걸림돌기부(305)에 원활히 걸림 또는 걸림해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고정손잡이(307)는 안내돌기부(301)와 연결되는데, 고정손잡이(307)는 몸체부(123)의 내측에서 탄성지지되며, 걸림돌기부(305)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면서 몸체부(123)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손잡이(307)의 일예에 대한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손잡이(307)는 안내돌기부(301)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몸체부(123) 내측에서 걸림돌기부(305)와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고정플레이트(309), 고정플레이트(309)와 일체로 연결되며, 몸체부(123) 외부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그립부(311)를 포함한다.
고정플레이트(309)는 몸체부(123)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고정플레이트(309)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제공된다.
한편, 고정플레이트(309)에는 안내돌기부(301)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물론, 안내돌기부(301)는 고정플레이트(309)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고정플레이트(309)가 안내돌기부(301)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되며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플레이트(309)는 걸림돌기부(305)와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데, 걸림해제시에는, 고정플레이트(309)가 도 3 기준 좌측으로 이동됨으로 인해 걸림돌기부(305)와의 접촉이 해제된다.
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부(305)의 길이와 몸체부(123) 내측면 공간의 폭이 정해진다.
한편, 고정플레이트(309)는 몸체부(123) 내측에서 탄성부재(313)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그립부(311)는 고정플레이트(309)와 일체로 연결되며 그립부(311)는 몸체부(123) 외부로 연장되어 돌출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그립부(311)를 잡고 도 3 기준 우측으로 당기면, 고정플레이트(309)와 걸림돌기부(305)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지지플레이트(111), 케이스(113) 등의 위치, 각도 등을 변경할 수 있게 되고, 변경 완료 후, 사용자가 그립부(311)를 놓으면, 탄성부재(31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고정플레이트(309)가 도 3 기준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고정플레이트(309)와 걸림돌기부(305)가 다시 접촉하게 되어, 지지플레이트(111), 케이스(113) 등의 위치, 각도 변경 및 고정이 완료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중에는 정렬부(107)의 가압부재(117)(또는, 패드부(119))가 자동차의 바퀴(101)에 맞닿지 않고,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또는 정차시 자동차의 바퀴(101)가 놓여진 상황에 따라, 정렬부(107)의 가압부재(117)(또는, 패드부(119))가 자동차의 바퀴(101)에 맞닿는다.
그리고, 정렬부(107)에는 가압부재(117)의 인출량과, 인출되는 가압부재(117)가 자동차의 바퀴(101)를 가압하게 되는 시점의 전동기 부하변화를 센싱하는 센싱부(270)가 구비되는데, 센싱부(270)는 케이스(113)와 가압부재(117) 등에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센싱부(2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부재(117)의 인출량과, 전동기(115) 부하변화를 센싱하여 제어부(250)로 전송하고, 제어부(250)는 이를 근거로 바퀴(101)의 틀어진 각도를 산출하여 기설정된 정렬 각도 기준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전동기(115)를 작동시킨다.
도 7과 도 8을 참고하여, 주차 또는 정차 상태에서 정렬부(107)가 자동차의 바퀴의 틀어진 각도를 센싱하고 정렬하는 프로세스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운전자의 시동 OFF 명령이 제어부(250)로 전송되면, 제어부(250)는 4개의 자동차의 바퀴(101)에 장착된 정렬부(107)로 제어신호를 전달하게 되는데, 시동 OFF 신호는 별도의 송신부(265)를 통해 제어부(250)로 전송되며 여기서, 송신부(265)는 시동 스위치 또는 엔진 ECU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후, 전동기(115)의 작동에 따라 가압부재(117)가 인출되고, 인출된 가압부재(117)가 자동차의 바퀴(101)를 가압하기 시작함에 따라 전동기(115)에 일정 수준 이상의 부하가 걸리게 되면, 제어부가 이 시점에서 자동차의 바퀴(101)의 틀어진 각도를 계산하게 된다.(가압부재(117)의 인출량과 자동차의 바퀴(101)의 틀어진 각도 사이의 연관데이터는 기설정되어 있음)
그리고, 계산된 결과가 기설정되어 있는 정렬 각도 기준데이터(일예로,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도와 자동차의 바퀴(101)의 조향각도 사이의 연관관계에 대한 데이터)와 부합될 때, 전동기(115)를 정지시킨 후 시동 OFF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제어부(250)는 운전자의 시동 OFF 신호가 수신되면, 바퀴(101)가 정렬되는 시점까지 전동기(115)를 작동시키는데, 여기서 바퀴(101)가 정렬되는 시점은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회전한 회전각도와 바퀴(101)가 회전한 조향각도가 일치하는 시점을 의미한다.
이 때, 센싱부(270)로부터 수신되는 전동기(115)에 걸리는 부하값이 기설정된 부하값보다 크면 전동기(115)의 작동을 정지시키는데, 이는 바퀴(101)가 도로의 연석이나 장애물과 같은 곳에 지지되어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는 경우에 전동기(115)와 가압부재(117)의 과부하로 인한 파손과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250)는 운전자의 시동 OFF 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도 바퀴(101)가 정렬되는 시점까지는 시동을 ON 상태로 유지시키고, 바퀴(101)의 정렬이 완료되어 전동기(115)의 작동이 정지되면 시동을 OFF 시킴으로써, 주차시 운전자가 조작한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도와 바퀴(101)의 조향각도를 일치시킨 상태로 주차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는, 전기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이 적용된 자동차에서, 정차 또는 주차시 바퀴에 외력이 가해져 바퀴의 정렬이 틀어진 경우(스티어링 휠의 회전각도와 바퀴의 조향각도가 불일치하게 되는 경우), 정렬부의 작동으로 바퀴의 틀어진 각도를 센싱할 수 있어서, 종래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에서 문제되었던 바퀴 틀어짐 문제를 확인 및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퀴와의 사이에 마찰력을 생성하는 패드부가 정렬부에 포함됨으로써, 정차, 주차시 바퀴의 제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동을 위한 장치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들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101 : 자동차의 바퀴 103 : 하우징
105 : 구동부 107 : 정렬부
109 : 바퀴축 111 : 지지플레이트
113 : 케이스 115 : 전동기
117 : 가압부재 119 : 패드부
121 : 위치조절부 123 : 몸체부
201 : 스크류축 301 : 안내돌기부
303 : 가이드홀 305 : 걸림돌기부
307 : 고정손잡이 309 : 고정플레이트
311 : 그립부 313 : 탄성부재

Claims (12)

  1. 자동차의 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하우징에 결합되어 지지되되, 인장되면서 상기 바퀴를 가압하여, 상기 바퀴의 틀어진 각도를 정렬하는 정렬부;
    를 포함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바퀴의 양측을 가압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며, 전동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축;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지지되고, 상기 스크류축이 내삽되어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바퀴를 가압하는 가압부재;
    를 포함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축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둘레면에 상기 스크류축의 나산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가압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바퀴에 밀착시 마찰력을 생성하는 패드부;
    를 포함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케이스를 향하는 면의 일측이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측면에 위치가변되게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이 차체에 고정되는 위치조절부;
    를 포함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측면에서 돌출연장된 안내돌기부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스를 향하는 면의 타측에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이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며 돌출된 복수개의 걸림돌기부;
    상기 안내돌기부와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서 탄성지지되되, 상기 걸림돌기부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면서 상기 몸체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손잡이;
    를 포함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가압부재의 인출량과,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바퀴를 가압하는 시점에서의 전동기 부하변화를 센싱하는 센싱부;
    를 더 포함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인출량과 부하변화를 통해 상기 바퀴의 틀어진 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바퀴의 틀어진 각도를 기설정된 정렬 각도와 비교하여 제어값 신호를 상기 정렬부로 전송하여 상기 전동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의 시동 오프(OFF)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바퀴의 틀어진 각도와 기설정된 정렬 각도를 비교하여 상기 바퀴가 정렬되는 시점까지 상기 전동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전동기에 걸리는 부하값이 기설정된 부하값보다 크면 상기 전동기의 작동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의 시동 오프(OFF) 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상기 바퀴가 정렬되는 시점까지는 시동을 온(ON)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바퀴가 정렬되어 상기 전동기가 정지된 후 시동을 오프(OFF)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KR1020180041908A 2018-04-11 2018-04-11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KR102505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908A KR102505936B1 (ko) 2018-04-11 2018-04-11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908A KR102505936B1 (ko) 2018-04-11 2018-04-11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715A true KR20190118715A (ko) 2019-10-21
KR102505936B1 KR102505936B1 (ko) 2023-03-03

Family

ID=6846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908A KR102505936B1 (ko) 2018-04-11 2018-04-11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9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642A (ko) * 2003-08-08 2005-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주차시 바퀴 자동정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327571A (ja) * 2005-04-27 2006-12-07 Equos Research Co Ltd 制御装置
KR20110062628A (ko) * 2009-12-03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KR101042401B1 (ko) * 2009-11-18 2011-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독립형 sbw 조향 장치
JP2012158311A (ja) * 2011-02-03 2012-08-23 Aisin Seiki Co Ltd 車両用駆動操舵アクチュエータ
CN102774269A (zh) * 2012-07-14 2012-11-14 盐城工学院 一种可实现大角度转向的不等长双横臂悬架轮边驱动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642A (ko) * 2003-08-08 2005-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주차시 바퀴 자동정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327571A (ja) * 2005-04-27 2006-12-07 Equos Research Co Ltd 制御装置
KR101042401B1 (ko) * 2009-11-18 2011-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독립형 sbw 조향 장치
KR20110062628A (ko) * 2009-12-03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JP2012158311A (ja) * 2011-02-03 2012-08-23 Aisin Seiki Co Ltd 車両用駆動操舵アクチュエータ
CN102774269A (zh) * 2012-07-14 2012-11-14 盐城工学院 一种可实现大角度转向的不等长双横臂悬架轮边驱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936B1 (ko)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5278B2 (en) Apparatus for limiting rotation of steering wheel
EP3620350B1 (en) Vehicle steering wheel assembly and vehicle
KR100548839B1 (ko) 차량용 이중 안전 스티어링 시스템
US20100318264A1 (en) Vehicle steering system
KR20130024229A (ko) 벨트식 전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US9932065B2 (en) Steering device
KR20130048837A (ko) 랙구동형 조향장치 및 이를 구비한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EP2093125B1 (en) Vehicle steering device
CN116238584A (zh) 线控转向式转向装置及其控制方法
EP2946986A1 (en) Steering system with tilted motor axis
KR20190118715A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CN109923025A (zh) 用于机动车辆的具有蜗轮蜗杆传动机构的齿轮齿条式转向***
KR20200107497A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US20220379949A1 (en) Steer by wire type steering apparatus
JP4701699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EP2235403B1 (en) Vehicle range change apparatus
CN115009352A (zh) 线控转向式转向设备
KR101993280B1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JP4446861B2 (ja) 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KR20210054774A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JP3328719B2 (ja) 動力舵取装置
KR100585997B1 (ko) 차량용 미러 조정기구의 클러치 구조
KR100621346B1 (ko) 축 연결 부재를 가지는 감속기구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기식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2109341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090007105A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