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018A - 음향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018A
KR20190107018A KR1020197020320A KR20197020320A KR20190107018A KR 20190107018 A KR20190107018 A KR 20190107018A KR 1020197020320 A KR1020197020320 A KR 1020197020320A KR 20197020320 A KR20197020320 A KR 20197020320A KR 20190107018 A KR20190107018 A KR 20190107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utput
output device
ear
mount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256B1 (ko
Inventor
료타 미하라
야스히데 호소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07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이개의 양면에 각각 눌러지는 제1 가압부와 제2 가압부를 갖고 이개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귀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장착부가 한 쌍 마련되고, 한 쌍의 장착부가 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불사용 시 등에 한 쌍의 장착부를 조합한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코드끼리 또는 코드와 장착부의 얽힘을 방지하여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향 출력 장치
본 기술은 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귀에 장착되어 헤드폰이나 이어폰으로서 사용되며 스피커로부터 음성의 출력이 행해지는 음향 출력 장치가 있다.
음향 출력 장치는, 근년, 실내에서 사용되는 양태 외에, 실외에서 사용되는 양태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음향 출력 장치에 있어서는, 양호한 음성의 출력이 확보되는 것 외에, 휴대성의 향상 등의 편리성이 확보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음향 출력 장치에 있어서는, 불사용 시에는 귀에서 분리된 상태에 있어서, 백이나 포켓 등에 수용되어 휴대되는 경우가 많아, 근년, 소형 타입이 개발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음향 출력 장치에 있어서는, 하우징이 삽입부와 전달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전달 부재의 내부에 음성 출력용 드라이버로서 전기 음향 변환 소자와 진동체가 배치되고, 삽입부의 내외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마개가 마련되어 있다. 삽입부에는 외부 음성의 청취를 가능하게 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음향 출력 장치는, 삽입부의 일부가 외이도에 삽입되고, 전달 부재가 삽입부의 전방측에 있어서 이주 및 대이주에 접한 상태로 귀에 장착된다. 전기 음향 변환 소자에 생기는 진동은 진동체로부터 전달 부재로 전달되고, 전달된 진동이 이골(耳骨)로부터 두개골 등을 통하여 뇌에 전달되어 음성의 인식이 행해진다. 외부 음성은 마개와 고막의 사이의 공간에까지 진동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며, 이때 마개를 이동시킴으로써 외부 음성의 청취 방법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4-96739호 공보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음향 출력 장치에는, 코드를 통하여 음성 신호 등의 전기적 신호가 입출력되는 것도 많지만, 이러한 코드가 접속된 타입의 음향 출력 장치에 있어서, 휴대 시에 귀에 장착되는 부분과 코드가 서로 얽혀 버리면, 귀에 대한 신속한 장착이 불가능하게 되는 등, 사용 편의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기술의 음향 출력 장치는,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여,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 번째, 본 기술에 관한 음향 출력 장치는, 이개의 양면에 각각 눌러지는 제1 가압부와 제2 가압부를 가지며 상기 이개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귀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가 한 쌍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장착부가 조합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에 의해, 불사용 시 등에 한 쌍의 장착부를 조합한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두 번째, 상기한 음향 출력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장착부는 긴 변 방향이 둘레 방향으로 되도록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간에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가 서로 분리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귀에 대한 장착 시 및 분리 시에 장착부가 탄성 변형된다.
세 번째, 상기한 음향 출력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장착부의 상기 양단부에 각각 상기 제1 가압부와 상기 제2 가압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장착부의 양단부가 각각 이개의 양면에 눌러진다.
네 번째, 상기한 음향 출력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장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양단부 이외의 부분이 중간부로서 마련되고, 상기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간의 거리가 상기 중간부의 내주에 있어서의 2점을 연결하는 거리 중 최대의 거리보다 작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음향 출력 장치가 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중간부가 이개에 접촉하기 어렵다.
다섯 번째, 상기한 음향 출력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 가압부와 상기 제2 가압부의 표면이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이개에 음향 출력 장치로부터 과도한 부하가 부여되지 않는다.
여섯 번째, 상기한 음향 출력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장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양단부 이외의 부분이 중간부로서 마련되고, 상기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의 최대의 굵기와 상기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의 최대의 굵기가 상기 중간부의 최대의 굵기보다 굵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장착부를 조합한 상태에 있어서 양단부를 중간부의 내측에 삽입한 상태에서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일곱 번째, 상기한 음향 출력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장착부는 복수의 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장착부는 외면에 커버가 밀착된 상태로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장착부가 외측으로부터 커버로 덮이기 때문에, 복수의 부재의 사이에 간극이 생겼어도 간극이 커버에 의해 폐색된다.
여덟 번째, 상기한 음향 출력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장착부의 외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음향 출력 장치는 곡면이 눌러진 상태로 귀에 장착된다.
본 기술에 따르면, 불사용 시 등에 한 쌍의 장착부를 조합한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 코드끼리 또는 코드와 장착부의 얽힘을 방지하여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도 1은, 도 2 내지 도 12와 함께 본 기술의 음향 출력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며, 본 도면은 음향 출력 장치가 장착되는 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음향 출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음향 출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음향 출력 장치를 도 4와는 상이한 방향에서 본 상태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음향 출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음향 출력 장치가 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음향 출력 장치가 귀에 장착된 상태를 도 7과는 상이한 각도에서 본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음향 출력 장치가 탄성 변형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음향 출력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음향 출력 장치가 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음향 출력 장치가 전자 기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기술의 음향 출력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낸 실시 형태는, 본 기술의 음향 출력 장치를 이어폰에 적용한 것이다. 단, 본 기술의 적용 범위는 이어폰에 한정되지 않고, 헤드폰 등의 다른 각종 음향 출력 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귀의 구조>
우선, 음향 출력 장치가 장착되는 귀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1 및 도 2 참조).
귀(100, 100)는 헤드부(200)의 일부로 되어 있고, 각각 이개(101)와 헤드부(20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고막이나 삼반규관이나 와우 등의 각 부로 이루어진다. 헤드부(200) 중 이개(101)의 내측의 부분은 각각 측두부(201, 201)이며, 이개(101)는 측두부(201, 201)로부터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개(101)는 내측 공간(150)을 갖도록 전체로서 대략 전방으로 개구된 얕은 오목형으로 되고, 외주부가 이륜(102)이라고 칭해지는 부분과 이륜(102)에 연속되고 측두부(201)의 근방에 위치된 이륜각(103)이라고 칭해지는 부분을 갖고 있다.
이륜(102)의 내측의 부분은 오목형의 주상와(104)라고 칭해지며, 주상와(104)의 내측에 있어서의 하측 대략 절반의 부분은 볼록형의 대이륜(105)이라고 칭해진다. 대이륜(105)의 상방에는 대이륜(105)에 연속하여 두 갈래형의 볼록형의 부분이 존재하고, 이 두 갈래형의 부분 중 외측의 부분과 내측의 부분이 각각 대이륜상각(106)과 대이륜하각(107)이라고 칭해진다. 대이륜상각(106)과 대이륜하각(107)의 사이의 부분은 오목형의 삼각와(108)라고 칭해지고, 대이륜(105) 및 대이륜하각(107)의 내측의 부분은 오목형의 이갑개정(109)이라고 칭해진다.
대이륜(105)의 하측에 연속되는 부분은 측두부(201)측으로 약간 팽출되며, 대이주(110)라고 칭해지는 부분이다. 대이주(110)에 대향하는 측두부(201)측의 부분은 대이주(110)측으로 약간 팽출된 이주(111)라고 칭해지고, 이륜(102)의 하측에 연속되는 하단부가 이수(112)라고 칭해진다.
대이주(110)와 이주(111)의 사이의 부분에는 외이도(113)의 입구인 외이공(113a)이 존재하고, 외이도(113)는 고막이나 삼반규관 등에 연통되어 있다. 이개(101)의 내측 공간(150) 중, 대이륜(105)과 대이륜하각(107)과 이륜각(10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즉 이갑개정(109)의 전방측의 공간은 이갑개강(114)이라고 칭해지며, 외이도(113)의 외이공(113a)에 연통되어 있다. 내측 공간(150) 중 이갑개강(114)의 하측에 연속하여 U자형으로 열린 공간은 주간절흔(115)이라고 칭해지는 공간이다.
이개(101)의 내측 공간(150)은 이갑개강(114)과 주간절흔(115)과 외이도(113)의 외이공(113a) 부근의 공간을 포함하고, 주상와(104), 대이륜(105), 대이륜상각(106), 대이륜하각(107), 삼각와(108), 대이주(110) 및 이주(111)의 전방측의 공간도 포함하는 공간이다.
<음향 출력 장치의 개략 구성>
이어서, 음향 출력 장치(1, 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3 내지 도 6 참조). 음향 출력 장치(1, 1)는 한쪽이 왼쪽 귀(100)용으로서 사용되고 다른 쪽이 오른쪽 귀(100)용으로서 사용된다. 단, 어느 한쪽의 음향 출력 장치(1)를 사용하여 음성의 청취를 행해도 된다.
음향 출력 장치(1)는 장착부(2)와 스피커(3)를 갖고 있다.
장착부(2)는 하우징(4)과 착탈체(5)와 접속 부재(6)가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장착부(2)는 긴 변 방향이 둘레 방향으로 되도록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체로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2)는 외면이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2)는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가 스피커 배치부(7)로서 마련되고,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가 음성 출력부(8)로서 마련되고, 스피커 배치부(7)와 음성 출력부(8)의 사이의 부분이 중간부(9)로서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4)은, 예를 들어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일부가 스피커 배치부(7)로서 기능하고 다른 부분이 중간부(9)로서 기능한다. 하우징(4)은 제1 부재(10)와 제2 부재(11)가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도 4 내지 도 6 참조). 제1 부재(10)와 제2 부재(11)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결합됨으로써 하우징(4)을 구성한다.
제1 부재(10)는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된 베이스부(12)와 베이스부(12)의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에 연속된 배치부(13)와 베이스부(12)의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에 연속된 연결부(14)로 이루어진다. 베이스부(12)에는 긴 변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배치부(13)에는 홈부(12a)에 연속하여 배치 오목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4)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이 홈부(12a)에 연속된 음성용 구멍(14a)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배치부(13)의 외면측에는 얕은 설치 오목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배치부(13)에는 설치 오목부(13b)와 배치 오목부(13a)에 연통된 코드 삽입 구멍(13c)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부재(11)는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된 베이스부(15)와 베이스부(15)의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에 연속된 배치부(16)로 이루어진다. 베이스부(15)에는 긴 변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배치부(16)에는 홈부(15a)에 연속하여 배치 오목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10)와 제2 부재(11)는, 예를 들어 접착에 의해 베이스부(12)와 베이스부(15)가 결합됨과 함께 배치부(13)와 배치부(16)가 결합된다. 제1 부재(10)와 제2 부재(11)가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는, 홈부(12a)와 홈부(15a)에 의해 음 가이드 공간(17)이 형성되고, 배치 오목부(13a)와 배치 오목부(16a)에 의해 배치 공간(18)이 형성된다.
제1 부재(10)와 제2 부재(11)가 결합되어 하우징(4)이 구성된 상태에 있어서, 배치 공간(18)에 스피커(3)가 배치된다. 스피커(3)로서는, 예를 들어 다이내믹형 드라이버 유닛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배치 공간(18)에는 스피커(3) 외에, 스피커(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지(배터리)나 스피커(3)를 제어하는 제어 기판 등이 배치되어도 된다.
착탈체(5)는, 예를 들어 실리콘이나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음성용 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음성용 구멍(19)은 일단이 음성 출력용 개구(19a)로서 형성되어 있다. 착탈체(5)는 음성용 구멍(19)이 연장되는 방향이 긴 변 방향으로 되고,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절반의 부분이 결합부(20)로서 마련되고, 다른 대략 절반의 부분이 선단부(21)로서 마련되어 있다. 결합부(20)는 중간부(9)의 일부로서 기능하고, 선단부(21)는 음성 출력부(8)로서 기능한다.
착탈체(5)는 결합부(20)의 내주부가 외부 끼움부(20a)로서 마련되고, 외부 끼움부(20a)가 착탈체(5)의 다른 부분보다 경도가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착탈체(5)는 하우징(4)에 탈착 가능하게 되고, 외부 끼움부(20a)가 연결부(14)에 외부 끼움됨으로써 하우징(4)에 연결된다.
장착부(2)는 하우징(4)의 스피커 배치부(7)와 착탈체(5)의 선단부(21)가 대향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고, 스피커 배치부(7)의 선단부(21)에 대향하는 부분이 제1 가압부(22)로서 마련되고, 선단부(21)의 스피커 배치부(7)에 대향하는 부분이 제2 가압부(23)로서 마련되며, 제1 가압부(22)와 제2 가압부(23)의 사이에는 간극 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압부(22)와 제2 가압부(23)는 음향 출력 장치(1)가 귀(10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각각 이개(101)의 양면에 눌러지는 부분이다. 제1 가압부(22)와 제2 가압부(23)의 표면은 외측으로 볼록한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부(2)는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 이외의 부분이 중간부(9)로서 마련되고,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간의 거리 A가 중간부(9)의 내주에 있어서의 2점을 연결하는 거리 중 최대의 거리 H보다 작게 되어 있다.
장착부(2)는 제1 가압부(22)와 제2 가압부(23)가 서로 분리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속 부재(6)는 피설치판부(24)와 피설치판부(24)로부터 돌출된 코드 삽통부(25)로 이루어진다(도 3 내지 도 5 참조). 접속 부재(6)에는 코드 삽통부(25)와 피설치판부(24)의 사이에서 관통된 코드 삽통 구멍(6a)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 부재(6)는 피설치판부(24)가 설치 오목부(13b)에 삽입된 상태로 하우징(4)에 접착 등에 의해 설치된다. 접속 부재(6)가 하우징(4)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는, 코드 삽통 구멍(6a)이 코드 삽입 구멍(13c)에 연통된다.
하우징(4)에는 연결부(14)를 제외한 부분이 커버(26)에 의해 덮이고, 커버(26)는 하우징(4)의 외면에 밀착된다. 커버(26)는 탄성 변형 가능한 실리콘이나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되며, 두께가 얇게 되어 주머니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26)의 일단부면에는 개구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26)에는 배치 구멍(26b)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26)에 의해 하우징(4)이 덮인 상태에 있어서는, 커버(26)가 하우징(4)의 외면에 밀착되고, 개구부(26a)가 연결부(14)와 베이스부(12)의 경계 부분에 위치되고, 배치 구멍(26b)에 접속 부재(6)가 배치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하우징(4)은 연결부(14)가 개구부(26a)로부터 돌출되고, 접속 부재(6)는 코드 삽통부(25)가 배치 구멍(26b)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착부(2)는 적어도 제1 부재(10)와 제2 부재(11)의 복수의 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외면에 커버(26)가 밀착된 상태로 덮여 있다.
따라서, 장착부(2)가 외측으로부터 커버(26)로 덮이기 때문에, 제1 부재(10)와 제2 부재(11)의 사이에 간극이 생겼어도 간극이 커버(26)에 의해 폐색되어, 스피커(3)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외부로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10)와 제2 부재(11)는 접착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접착제가 하우징(4)의 외면측으로 비어져 나올 가능성이 있지만, 접착제가 비어져 나온 경우에 있어서도, 비어져 나온 접착제가 커버(26)에 의해 폐색되어,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을 방지하는 구조를 하우징(4)에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제조 비용의 저감 및 접착 작업에 있어서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하우징(4)의 두께의 범위에서 접착제의 누출을 방지하는 수직벽이나 홈 등을 형성하는 수단이 있지만, 커버(26)에 의해 수직벽이나 홈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만큼, 하우징(4)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우징(4)의 내부에 형성되는 음성을 유도하기 위한 공간의 직경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음성의 양호한 출력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접속 부재(6)의 코드 삽통 구멍(6a)과 하우징(4)의 코드 삽입 구멍(13c)에는 코드(27)가 삽입되고, 코드(27)의 일단부가 제어 기판 또는 스피커(3)에 접속된다. 코드(27)의 중간 부분에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리모컨 장치가 접속되어 있고, 리모컨 장치의 조작에 의해 스피커(3)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종류의 변경이나 음량의 변경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왼쪽 귀(100)용 음향 출력 장치(1)로부터 도출된 코드(27)와 오른쪽 귀(100)용 음향 출력 장치(1)로부터 도출된 코드(27)는, 모두 중간 부분이 동일한 리모컨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코드(27)의 타단부는 음성(음성 신호)의 발생원으로서 사용되는 음악 플레이어 등의 도시하지 않은 외부 기기에 접속된다. 따라서, 외부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가 코드(27)를 통하여 스피커(3)에 전달되어, 스피커(3)로부터 음성의 출력이 행해진다. 또한, 코드(27)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스피커(3)로 전력이 공급되어, 스피커(3)의 구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음향 출력 장치의 귀에 대한 장착 상태>
이하에, 음향 출력 장치(1)의 귀(100)에 대한 장착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7 내지 도 10 참조).
음향 출력 장치(1)는,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커버(26)에 의해 덮인 상태로 장착부(2)가 이개(101)의 외주부, 예를 들어 이륜(102)을 전후에서 집은 상태로 귀(100)에 장착된다(도 7 및 도 8 참조).
음향 출력 장치(1)가 귀(100)에 장착될 때, 이륜(102)은, 제1 가압부(22)와 제2 가압부(23)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도 9 참조)에서 제1 가압부(22)와 제2 가압부(23)의 사이에 상대적으로 삽입되고, 이륜(102)이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음향 출력 장치(1)가 탄성 복귀되어 귀(100)에 장착된다(도 10 참조). 음향 출력 장치(1)가 귀(10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는, 장착부(2)의 제1 가압부(22)와 제2 가압부(23)가 각각 이개(101)의 양면에 접하여 눌러진 상태로 된다.
또한, 제1 가압부(22)는 커버(26)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장착부(2)는 제1 가압부(22)가 커버(26)를 통하여 이개(101)로 눌러져 접한 상태로 된다.
제1 가압부(22)는 이개(101)의 후방면에 접하고 제2 가압부(23)는 이개(101)의 전방면에 접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스피커 배치부(7)에 배치된 스피커(3)는 이개(101)의 후방측에 위치된다.
이때 제1 가압부(22)와 제2 가압부(23)의 표면이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곡면이 눌러진 상태로 음향 출력 장치(1)가 귀(100)에 장착되기 때문에, 이개(101)에 음향 출력 장치(1)로부터 과도한 부하가 부여되지 않고, 귀(100)에 대한 음향 출력 장치(1)의 양호한 장착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는, 제1 가압부(22)와 제2 가압부(23)의 표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지만, 제1 가압부(22)와 제2 가압부(23)의 표면 중 적어도 한쪽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음향 출력 장치(1)는, 상기와 같이 귀(100)에 장착되지만, 특히 음향 출력 장치(1)의 일부를 측두부(201)와 이개(101)의 경계 부분인 이개(101)의 근원 부분에 걸어 장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여성 등의 머리가 긴 사용자에 있어서 모발이 음향 출력 장치(1)와 간섭하는 일 없이, 사용자의 모발의 길이에 상관없이 안정된 장착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피어스 등의 액세서리를 귀(100)에 장착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액세서리의 장착 부분, 예를 들어 이수(112) 이외의 위치에 음향 출력 장치(1)를 장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한 후에 안정된 장착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는, 장착부(2)의 각 일부가 이개(101)의 외주부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음향 출력 장치(1)가 귀(100)에 장착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장착부(2)의 각 일부가 이개(101)의 외주부 이외의 부분을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음향 출력 장치(1)가 귀(100)에 장착되어도 된다.
한편, 음향 출력 장치(1)의 귀(100)로부터의 분리는, 제1 가압부(22)와 제2 가압부(23)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음향 출력 장치(1)를 탄성 변형시켜 음향 출력 장치(1)를 이개(101)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착부(2)는 긴 변 방향이 둘레 방향으로 되도록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간에 간극 A가 형성되고, 장착부(2)는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가 서로 분리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귀(100)에 대한 장착 시 및 분리 시에 장착부(2)가 탄성 변형되기 때문에, 귀에 대한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귀에 대한 안정된 장착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장치(1)에 있어서는, 장착부(2)의 양단부에 각각 제1 가압부(22)와 제2 가압부(23)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부(2)의 양단부가 각각 이개(101)의 양면으로 눌러진다.
따라서, 이개(101)로 눌러지는 부분이 장착부(2)의 양단부로 되고, 제1 가압부(22)에서부터 제2 가압부(23)까지의 길이가 음향 출력 장치(1)의 전체 길이로 되어, 음향 출력 장치(1)의 소형화를 확보한 상태에서 귀(100)에 대한 안정된 장착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2)에 있어서의 양단부 이외의 부분이 중간부(9)로서 마련되고,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간의 거리 A가 중간부(9)의 내주에 있어서의 2점을 연결하는 거리 중 최대의 거리 H보다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음향 출력 장치(1)가 귀(10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중간부(9)가 이개(101)에 접촉하기 어려워, 귀(100)에 대하여 중간부(9)로부터의 부하를 발생시키지 않고 음향 출력 장치(1)를 귀(100)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2)의 외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향 출력 장치(1)는 곡면이 눌러진 상태로 귀(100)에 장착되기 때문에, 귀(100)에 대한 양호한 장착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음향 출력 장치(1)가 귀(10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착탈체(5)는 선단부가 이개(101)에 비접촉의 상태로 이개(101)의 내측 공간(150)에 위치된다. 착탈체(5)는 외이공(113a)의 전체를 막지 않는 상태로 되며, 개구(19a)가 외이공(113a) 부근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음향 출력 장치(1)가 귀(10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장착부(2)의 개구(19a)가 이개(101)의 내측 공간(150)에 위치되기 때문에, 개구(19a)가 외이도(113)에 근접하여 위치되어, 스피커(3)로부터 출력되는 음성과 외부 음성의 양호한 인식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장치(1)는 귀(10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장착부(2)의 개구(19a)를 갖는 부분이 귀(100)에 비접촉의 상태로 되기 때문에, 음성이 발해지는 개구(19a)를 갖는 부분이 귀(100)에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음향 출력 장치(1)로부터 출력되는 음성과 외부 음성의 양호한 인식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귀(100)에 대한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위화감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장치(1)가 귀(10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개구(19a)가 외이공(113a) 부근에 위치되기 때문에, 장착부(2)로 유도된 음성이 개구(19a)로부터 외이도(113)를 향하여 발해져, 음성을 양호하게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장치(1)가 귀(10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장착부(2)의 개구(19a)가 이갑개강(114)에 위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장착부(2)의 개구(19a)가 외이도(113)에 근접하여 위치되기 때문에, 스피커(3)로부터 출력되는 음성과 외부 음성의 양호한 인식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착탈체(5)의 개구(19a)는 외이도(113) 또는 이갑개강(114)에 위치되어 있지 않아도 되며, 이개(101)의 내측 공간(150)에 위치되어 있으면 외이도(113) 및 이갑개강(114)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사용자의 귀(100)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서는, 착탈체(5)의 개구(19a)가 이개(101)의 내측 공간(150)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음향 출력 장치(1)가 귀(10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이개(101)의 전방측에 장착부(2)의 내부에 배치된 스피커(3) 등의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개(101)의 전방측에 존재하는 구조물이 작고, 헤드부 전달 함수에 대한 영향이 억제되어 공간 지각 능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개구(19a)를 갖는 착탈체(5)는, 하우징(4)의 연결부(1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착탈체(5)를 귀(100)의 크기나 형상 등에 따라 바꾸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귀(100)의 크기나 형상 등에 상관없이 음성의 양호한 청취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탈체(5)를 길이가 상이한 것으로 바꿈으로써, 음향 출력 장치(1)가 귀(10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개구(19a)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음향 출력 장치(1)의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장치(1)에는 착탈체(5)의 연결 시에 착탈체(5)에 삽입되는 연결부(14)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14)가 착탈체(5)에 삽입됨으로써 착탈체(5)가 연결부(14)에 연결되어, 착탈체(5)의 연결부(14)에 대한 연결 작업을 신속하면서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2)에 커버(26)가 설치됨으로써, 커버(26)의 두께분에 의해 커버(26)와 제2 가압부(23)의 사이의 간극이 간극 A보다 작아져, 음향 출력 장치(1)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이개(101)가 제1 가압부(22)와 제2 가압부(23)에 의해 충분한 압력으로 집어져, 음향 출력 장치(1)의 귀(100)에 대한 안정된 장착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연결부(14)에 외부 끼움되는 착탈체(5)의 외부 끼움부(20a)는 착탈체(5)의 다른 부분보다 경도가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음향 출력 장치(1)가 귀(100)에 대한 장착 시 및 분리 시에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귀되었을 때, 착탈체(5)의 결합부(20)가 연결부(14)에 대하여 변형되기 어렵기 때문에, 착탈체(5)의 하우징(4)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끼움부(20a)가 착탈체(5)의 다른 부분보다 경도가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결합부(20)가 변형되기 어려워, 착탈체(5)의 하우징(4)에 대한 젖혀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착탈체(5)는 변형(굴곡) 가능하며 변형된 상태가 유지되는 재료(플렉시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착탈체(5)가 이러한 재료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음향 출력 장치(1)가 귀(10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착탈체(5)를 원하는 상태로 변형시켜, 예를 들어 개구(19a)를 외이도(113)에 근접시키거나, 개구(19a)로부터 발해지는 음성의 방향을 필요에 따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연결부(14)와 착탈체(5)의 양쪽이 변형(굴곡) 가능하며 변형된 상태가 유지되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연결부(14)와 착탈체(5)가 이러한 재료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음향 출력 장치(1)가 귀(10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장착부(2)를 원하는 상태로 변형시켜, 예를 들어 개구(19a)를 외이도(113)에 근접시키거나, 개구(19a)로부터 발해지는 음성의 방향을 필요에 따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장착부(2)의 귀(100)에 대한 장착 시에 귀(100)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장착부(2)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음향 출력 장치(1)의 귀(100)에 대한 안정된 장착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음향 출력 장치(1, 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음향 출력 장치(1, 1)가 스테레오 타입으로서 기능하여, 음향 출력 장치(1, 1)의 기능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양질의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귀(100, 100)에 대하여 중량적으로 양호한 밸런스가 확보되어, 음향 출력 장치(1, 1)를 안정된 상태로 좌우의 귀(100, 100)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는 스피커(3)가 장착부(2)의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마련된 스피커 배치부(7)에 배치된 예를 나타내었지만, 스피커(3)는 장착부(2)의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 또는 타단부로부터의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음향 출력 장치의 조합 상태 등>
이하에, 음향 출력 장치(1, 1)의 조합 상태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11 및 도 12 참조).
음향 출력 장치(1, 1)에 있어서는, 양자를 조합하여 유지되는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11 참조).
음향 출력 장치(1, 1)의 조합은, 양자를 마주보게 한 상태에서 스피커 배치부(7, 7)와 음성 출력부(8, 8)의 위치 관계를 직교하는 위치로 하고, 적어도 한쪽을 다른 쪽에 근접시켜 감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 1)가 조합될 때에는, 음향 출력 장치(1, 1)에 있어서 서로 스피커 배치부(7)와 음성 출력부(8)의 사이에 스피커 배치부(7)와 음성 출력부(8)가 삽입되어 간다.
이때 음향 출력 장치(1, 1)에 있어서 서로 스피커 배치부(7, 7)와 음성 출력부(8, 8)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서로 스피커 배치부(7, 7)와 음성 출력부(8, 8)가 스피커 배치부(7, 7)와 음성 출력부(8, 8)를 타고 넘음으로써 탄성 복귀된다. 서로 스피커 배치부(7)와 음성 출력부(8)의 사이에 스피커 배치부(7)와 음성 출력부(8)가 삽입되어 갈 때에는, 장착부(2, 2)의 외면끼리(장착부(2)의 외면과 커버(26)의 외면) 미끄럼 접촉되지만, 음향 출력 장치(1, 1)에 있어서는 장착부(2, 2)의 외면이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의 스피커 배치부(7)와 음성 출력부(8)의 삽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 1)가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는, 서로 스피커 배치부(7, 7)와 음성 출력부(8, 8)가 중간부(9, 9)의 내측에 위치되어, 음향 출력 장치(1, 1)가 이격되기 어려운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음향 출력 장치(1, 1)의 조합을 해제할 때에는, 양자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움직여 탄성 변형시킨 후에 탄성 복귀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향 출력 장치(1)에 있어서는, 장착부(2, 2)가 조합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불사용 시에 한 쌍의 장착부(2, 2)를 조합한 상태로 하여 휴대 또는 보관할 수 있어, 휴대 시 및 보관 시에, 귀에 장착되는 부분인 장착부(2, 2)와 코드(27) 및 코드(27)끼리의 얽힘을 방지하여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2)는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인 스피커 배치부(7)의 최대의 굵기와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인 음성 출력부(8)의 최대의 굵기가 중간부(9)의 최대의 굵기보다 굵게 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부(2, 2)를 조합한 상태에 있어서 양단부인 스피커 배치부(7, 7)와 음성 출력부(8, 8)를 중간부(9, 9)의 내측에 삽입한 상태에서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조합 상태에 있어서 빠지기 어려워, 장착부(2, 2)를 안정된 상태로 조합할 수 있다.
한편, 음향 출력 장치(1, 1)는 양자의 조합 이외에, 다른 구조물이나 기기 등에 설치하여 보관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12 참조).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50)에 있어서 음향 출력 장치(1)를 사용하는 경우 등에, 전자 기기(50)의 외주부(51)를 스피커 배치부(7)와 음성 출력부(8)의 사이에 삽입하고, 외주부(51)를 양면측으로부터 스피커 배치부(7)와 음성 출력부(8)에 의해 협지한 상태에서 음향 출력 장치(1)를 전자 기기(50)에 설치하여 보관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주부(51)를 양면측으로부터 스피커 배치부(7)와 음성 출력부(8)에 의해 협지한 상태에 있어서는, 탄성력에 의해 음향 출력 장치(1)에 스피커 배치부(7)와 음성 출력부(8)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부여되어 있어, 진동 등에 의해 음향 출력 장치(1)가 전자 기기(50)로부터 탈락하기 어려운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사용(보관)은, 예를 들어 일시적으로 음악의 청취를 정지하고 음향 출력 장치(1)를 귀(100)에서 분리할 때 등에 있어서도 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음향 출력 장치(1)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50)의 외주부(51)를 협지한 상태에서 외주부(51)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나 보관 등이 용이하여,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시 및 보관 시에, 귀(100)에 장착되는 부분인 장착부(2)와 코드(27) 및 코드(27)끼리의 얽힘을 방지하여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 예>
또한, 음향 출력 장치(1, 1)에 있어서는, 왼쪽 귀(100)용 음향 출력 장치(1)와 오른쪽 귀(100)용 음향 출력 장치(1)의 내부 구성이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왼쪽 귀(100)용 음향 출력 장치(1)와 오른쪽 귀(100)용 음향 출력 장치(1)의 내부 구성이 상이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한쪽의 음향 출력 장치(1)에 있어서의 장착부(2)의 내부에 스피커(3)와 도시하지 않은 전지와 도시하지 않은 중계 기판이 배치되고, 다른 쪽의 음향 출력 장치(1)에 있어서의 장착부(2)의 내부에 스피커(3)와 도시하지 않은 제어 기판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한쪽의 음향 출력 장치(1)의 중계 기판과 다른 쪽의 음향 출력 장치(1)의 제어 기판은 코드(2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전지의 전력은 한쪽의 음향 출력 장치(1)의 스피커(3)와 중계 기판에 공급되고, 중계 기판으로부터 코드(27)를 통하여 다른 쪽의 음향 출력 장치(1)의 제어 기판과 스피커(3)에도 공급된다. 또한, 제어 기판에 있어서의 통신용 회로의 무선 통신에 의해 수신한 음성 신호가, 한쪽의 음향 출력 장치(1)의 스피커(3)에 송신됨과 함께 코드(27) 및 중계 기판을 통하여 다른 쪽의 음향 출력 장치(1)의 스피커(3)에 송신된다. 수신한 음성 신호는 음성으로 변환되어 각각 스피커(3, 3)로부터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음향 출력 장치(1, 1)에 있어서는, 무선 통신에 의해 음성 신호의 수신이 행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리성 및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장치(1)에 있어서는, 무선 통신에 의해 음악 플레이어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성 신호를 변환하여 스피커(3)로부터 음성으로서 출력하는 것이나, 음악 플레이어와의 접속 인증 등의 페어링 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음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으로서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등록 상표)나 WiFi(Wireless Fidelity), 접속 인증 등의 페어링 처리용 무선 통신으로서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대응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음향 출력 장치(1, 1)에 있어서는, 한쪽의 음향 출력 장치(1)에만 전지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음향 출력 장치(1, 1)의 전체로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내부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경량화가 도모되기 때문에, 귀(10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귀(100)에 과도한 부하가 부여되지 않아, 귀(100)에 대한 위화감이 없는 양호한 장착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2)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지는 1회용 타입이어도 되고 충전 가능한 타입이어도 된다. 특히, 전지가 1회용 타입인 경우에는, 장착부(2)의 일부가 개폐 가능하게 되어, 전지의 교환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지가 충전 가능한 타입인 경우에도 장착부(2)의 일부가 개폐 가능하게 되어, 전지의 교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기술>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1) 이개의 양면에 각각 눌러지는 제1 가압부와 제2 가압부를 가지며 상기 이개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귀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가 한 쌍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장착부가 조합 가능하게 된
음향 출력 장치.
(2) 상기 장착부는 긴 변 방향이 둘레 방향으로 되도록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간에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가 서로 분리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
상기 (1)에 기재된 음향 출력 장치.
(3) 상기 장착부의 상기 양단부에 각각 상기 제1 가압부와 상기 제2 가압부가 마련된
상기 (2)에 기재된 음향 출력 장치.
(4) 상기 장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양단부 이외의 부분이 중간부로서 마련되고,
상기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간의 거리가 상기 중간부의 내주에 있어서의 2점을 연결하는 거리 중 최대의 거리보다 작게 된
상기 (2) 또는 상기 (3)에 기재된 음향 출력 장치.
(5) 상기 제1 가압부와 상기 제2 가압부의 표면이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
상기 (1) 내지 상기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음향 출력 장치.
(6) 상기 장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양단부 이외의 부분이 중간부로서 마련되고,
상기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의 최대의 굵기와 상기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의 최대의 굵기가 상기 중간부의 최대의 굵기보다 굵게 된
상기 (2) 내지 상기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음향 출력 장치.
(7) 상기 장착부는 복수의 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장착부는 외면에 커버가 밀착된 상태로 덮인
상기 (1) 내지 상기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음향 출력 장치.
(8) 상기 장착부의 외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상기 (1) 내지 상기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음향 출력 장치.
100: 귀
101: 이개
1: 음향 출력 장치
2: 장착부
3: 스피커
4: 하우징
9: 중간부
22: 제1 가압부
23: 제2 가압부
26: 커버

Claims (8)

  1. 이개의 양면에 각각 눌러지는 제1 가압부와 제2 가압부를 가지며 상기 이개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귀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가 한 쌍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장착부가 조합 가능하게 된,
    음향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긴 변 방향이 둘레 방향으로 되도록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간에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가 서로 분리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
    음향 출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상기 양단부에 각각 상기 제1 가압부와 상기 제2 가압부가 마련된,
    음향 출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양단부 이외의 부분이 중간부로서 마련되고,
    상기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간의 거리가 상기 중간부의 내주에 있어서의 2점을 연결하는 거리 중 최대의 거리보다 작게 된,
    음향 출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와 상기 제2 가압부의 표면이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
    음향 출력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양단부 이외의 부분이 중간부로서 마련되고,
    상기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의 최대의 굵기와 상기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의 최대의 굵기가 상기 중간부의 최대의 굵기보다 굵게 된,
    음향 출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복수의 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장착부는 외면에 커버가 밀착된 상태로 덮인,
    음향 출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외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음향 출력 장치.
KR1020197020320A 2017-01-27 2017-12-13 음향 출력 장치 KR102382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13706 2017-01-27
JP2017013706 2017-01-27
PCT/JP2017/044762 WO2018139088A1 (ja) 2017-01-27 2017-12-13 音響出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018A true KR20190107018A (ko) 2019-09-18
KR102382256B1 KR102382256B1 (ko) 2022-04-05

Family

ID=6297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320A KR102382256B1 (ko) 2017-01-27 2017-12-13 음향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683626B2 (ko)
EP (1) EP3576424B1 (ko)
JP (2) JP7452948B2 (ko)
KR (1) KR102382256B1 (ko)
CN (1) CN110199526B (ko)
BR (1) BR112019014899A2 (ko)
WO (1) WO20181390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0000A1 (zh) * 2022-09-20 2024-03-28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声学输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9124A (ja) * 2009-07-09 2011-01-27 Sony Corp ヘッドホン装置
JP2013115799A (ja) * 2011-12-01 2013-06-10 Goldendance Co Ltd 耳掛け型補聴器
JP2014096739A (ja) 2012-11-12 2014-05-22 Kyocera Corp イヤホン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718Y2 (ko) * 1986-02-28 1992-11-30
JP3057731B2 (ja) * 1990-08-21 2000-07-04 ソニー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及び音響再生システム
JP3205809B2 (ja) 1991-08-20 2001-09-04 ケイコー株式会社 インボリュート形反射板
JPH0588086U (ja) * 1991-09-17 1993-11-26 民雄 安藤 クリップ付きイヤホン
US6681022B1 (en) * 1998-07-22 2004-01-20 Gn Resound North Amerca Corporation Two-way communication earpiece
JP4310893B2 (ja) * 2000-06-26 2009-08-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ード巻き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JP3838229B2 (ja) * 2003-08-13 2006-10-25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
JP2006148186A (ja) * 2004-11-16 2006-06-08 Sony Corp イヤホン
JP2006270907A (ja) * 2005-03-23 2006-10-05 Atsumune Tsutsumi イヤリング式イヤホン固定器具
US8452039B2 (en) * 2006-05-03 2013-05-28 Mad Catz, Inc Wearable personal sound delivery apparatus
US20120243723A1 (en) * 2011-03-25 2012-09-27 Savox Communications Oy Ab (Ltd) Earphone with a support element
US20130216087A1 (en) * 2012-02-20 2013-08-22 Scott Lewis MacDonald Earbud Positioning Device
CN104661134A (zh) * 2013-11-21 2015-05-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耳机组件
US9883279B2 (en) * 2014-07-31 2018-01-30 Khyber Technologies Corporation Wireless headset system
EP3429223B1 (en) * 2014-10-30 2021-09-29 Sony Group Corporation Sound output device and sound output method
BR112019003531A2 (pt) * 2016-08-31 2019-05-21 Sony Corporation aparelho para emissão de so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9124A (ja) * 2009-07-09 2011-01-27 Sony Corp ヘッドホン装置
JP2013115799A (ja) * 2011-12-01 2013-06-10 Goldendance Co Ltd 耳掛け型補聴器
JP2014096739A (ja) 2012-11-12 2014-05-22 Kyocera Corp イヤホ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76424A4 (en) 2020-02-26
US20190356975A1 (en) 2019-11-21
WO2018139088A1 (ja) 2018-08-02
EP3576424B1 (en) 2022-08-24
US20230276156A1 (en) 2023-08-31
BR112019014899A2 (pt) 2020-03-03
CN110199526B (zh) 2021-03-09
KR102382256B1 (ko) 2022-04-05
CN110199526A (zh) 2019-09-03
JP2023096092A (ja) 2023-07-06
JPWO2018139088A1 (ja) 2019-11-14
JP7452948B2 (ja) 2024-03-19
US11683626B2 (en) 2023-06-20
EP3576424A1 (en)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2989B2 (en) Earset
JP7101030B2 (ja) 電気音響変換器、アダプタ付き電気音響変換器及び音響機器
WO2016067754A1 (ja) 音響出力装置
US9473842B2 (en) Earset
US20230276156A1 (en) Sound output device
US10911857B2 (en) Sound output apparatus
WO2017134968A1 (ja) 音響出力装置
JP7204223B2 (ja) 聴音装置、聴音装置用クレードル
JP7347927B2 (ja) 電気音響変換器及び音響機器
US20240147115A1 (en) Open-ear bluetooth e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