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386A - 상용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패드 세트 - Google Patents

상용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패드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386A
KR20190096386A KR1020197020442A KR20197020442A KR20190096386A KR 20190096386 A KR20190096386 A KR 20190096386A KR 1020197020442 A KR1020197020442 A KR 1020197020442A KR 20197020442 A KR20197020442 A KR 20197020442A KR 20190096386 A KR20190096386 A KR 20190096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disc
attachment
sect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4571B1 (ko
Inventor
크리스티안 브란들
미하엘 히드링거
마르틴 프라인틴거
이고르 네스므야노비치
옌스 프리케
마르쿠스 몰나르
Original Assignee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96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3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 F16D65/0974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acting on or in the vicinity of the pad rim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brake disc axis
    • F16D65/0977Springs made from sheet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3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 F16D65/0974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acting on or in the vicinity of the pad rim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brake disc axis
    • F16D65/0975Springs made from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2055/0004Parts or details of disc brakes
    • F16D2055/0016Brake calipers
    • F16D2055/0029Retra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2065/13Parts or details of discs or drums
    • F16D2065/134Connection
    • F16D2065/1392Connection elements
    • F16D2065/1396Ancillary resilient elements, e.g. anti-rattle or retraction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차용 디스크 브레이크(10)에 관한 것으로, 브레이크 디스크(2) 위를 덮는 슬라이딩 캘리퍼로서 형성된 브레이크 캘리퍼(1), 브레이크 캘리퍼(1) 내에 배치되어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각각 백킹 플레이트(4, 4')와 그 위에 고정된 마찰 라이닝(5, 5')을 가진 2개의 브레이크 패드(3) 및 적어도 하나의 익스팬더 장치(8)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는 고정형 브레이크 캐리어(6)에 고정되고 브레이크 디스크(2)에 걸쳐 중앙 개구(9)를 가지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들 중 작용 측 브레이크 패드는 체결 장치를 이용해서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피스톤를 통해 브레이크 디스크(2)에 대해 가압될 수 있고, 상기 익스팬더 장치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1)는 제동으로 인한 변위 및 제동의 해제 후에 복귀 가능하고, 상기 익스팬더 장치(8)는 서로 대향하는 브레이크 패드(3, 3')에 작용하는 스프링 탄성의 스프링 유닛(19, 19')을 포함하고, 상기 익스팬더 장치(8)는 중앙 개구(9)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 유닛(19, 19')은 마찰 라이닝(5, 5')의 외부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중심에 대해 서로 이격 배치된, 브레이크 패드(3, 3')의 적어도 2개의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에 작용한다. 스프링 유닛(19, 19')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 인터페이스(20)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21, 23, 24, 26, 28, 29, 38, 39)에 의해 고정형 부착 부재(18)에 연결된다. 해당하는 브레이크 패드 세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상용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패드 세트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상용차용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브레이크 패드 세트에 관한 것이다.
공압식 또는 전기 모터식으로 작동 가능한 체결 장치를 이용해서 제동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슬라이딩 캘리퍼-브레이크로도 공개된 일반적인 디스크 브레이크에서는 작용 측 브레이크 패드가 차량 측 브레이크 디스크에 대해 가압된다. 제동 과정이 추가로 진행되면, 대향하는 반작용 측 브레이크 패드가 브레이크 디스크의 다른 측으로 함께 움직이고 압착되는 가운데, 브레이크 캘리퍼는 브레이크 디스크와 관련해서, 작용 측 브레이크 패드의 체결 방향과 반대로 이동된다.
공개된 디스크 브레이크에서 브레이크의 해제 후에 브레이크 캘리퍼는, 브레이크 패드, 적어도 반작용 측 브레이크 패드가 무압 상태에서, 연마되면서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로 인해 주행 작동 시 발생하는 브레이크 패드의 잔류 연마 토크는 연비를 높일 뿐만 아니라 관련 부품들, 즉 브레이크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의 수명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주행 작동 시, 예를 들어 브레이크 디스크의 흔들림과 곡선 주행 시 진동 및 횡 가속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는 약간 릴리스 된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가 전술한 잔류 연마 토크를 효과적으로 저지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E 10 2007 001 213 호에 디스크 브레이크가 복귀 장치와 함께 개시되어 있고, 브레이크 캘리퍼를 이동 가능하게 브레이크 캐리어 상에서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 중 하나에 상기 복귀 장치가 배치되고 탄성적인 복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귀 부재에 의해 브레이크 캘리퍼는 출발 위치로 이동된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입증되었다. 그러나 대형 상용차의 압축 공기 작동식 디스크 브레이크에 공개된 이러한 복귀 장치의 사용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복귀 장치의 확실한 기능을 항상 허용하지 않는 부품 공차 및 부품 변형으로 인해 가변적 영향이 광범위하게 제한되기 때문이다.
DE 10 2012 006 111 A1 호에 언급된 디스크 브레이크에서 유사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 경우 체결 장치에 마주 놓이며 반작용 측 브레이크 패드를 향하는 측에 복귀 장치가 배치되고, 이로써 브레이크 캘리퍼의 효과적인, 특히 자동 복귀가 달성되는 동시에 시스템 강성에 최소한의 개입이 이루어진다.
어떠한 경우든 복귀 장치는 브레이크 캘리퍼에 작용하며, 이 경우 브레이크 캐리어는 지지부로서 작용한다.
DE 43 01 621 A1 호는 고정형 브레이크 캐리어를 가진 플로팅 캘리퍼-디스크 브레이크를 기술하며,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외부 에지 위로 돌출하는 2개의 캐리어 암, 브레이크 디스크의 양측에 배치된, 각각 하나의 마찰 라이닝과 백킹 플레이트을 가지며 캐리어 암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레이크 슈, 브레이크 캐리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며 브레이크 슈를 둘러싸고 브레이크 디스크에 대해 브레이크 슈를 가압하기 위한 특정한 작동 장치를 포함하는 플로팅 캘리퍼 및, 브레이크 슈에 축방향으로 브레이크 해제 방향으로 작용하며 제동 후에 브레이크 슈와 브레이크 디스크 사이의 에어 갭의 조절을 지원하는 스프링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스프링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익스팬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브레이크 캐리어의 캐리어 암에 축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브레이크 디스크의 외부 에지에 걸쳐 위치한 캐리어 암의 섹션에서 고정이 이루어지고, 익스팬더 스프링은 적어도 2개의 스프링 암을 갖고, 상기 스프링 암은 브레이크 슈의 뒤판에 축방향으로 탄성 접촉한다.
US 2014/0339026 A1 호는 익스팬더 스프링을 기술하고, 상기 스프링은 브레이크 구성 요소에 익스팬더 스프링을 연결하는 록킹 암, 복귀 암 및 상기 록킹 암과 상기 복귀 암 사이에 배치된 예비 응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예비 응력 장치는 브레이크 작동 중에 에너지를 저장하고 제동 과정이 종료되는 즉시 브레이크 구성 요소(브레이크 패드)를 제자리로 당기는 6개 이상의 나선형 루프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캘리퍼가 아닌 피스트형(fist) 캘리퍼 형태의 브레이크 캘리퍼가 제안된다.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는 승용차에는 적합하지만 상용차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과제는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저렴한 수단으로 특히 브레이크 패드 및 브레이크 디스크의 수명이 증가하고 작동 비용이 전체적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방식의 디스크 브레이크를 개선하는 것이다.
다른 과제는 해당하는 브레이크 패드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의해 해결된다.
다른 과제는 청구항 제 20 항의 특징들을 갖는 브레이크 패드 세트에 의해 해결된다.
고정형 브레이크 캐리어에 고정되고 브레이크 디스크에 걸쳐 중앙 개구를 가지며, 브레이크 디스크 위를 덮는, 슬라이딩 캘리퍼로서 형성된 브레이크 캘리퍼를 포함하는 상용차용 디스크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캘리퍼 내에 배치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각각 백킹 플레이트와 그 위에 고정된 마찰 라이닝을 가진 2개의 브레이크 패드와 적어도 하나의 익스팬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들 중 작용 측 브레이크 패드는 체결 장치를 이용해서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피스톤을 통해 브레이크 디스크에 대해 가압될 수 있고, 상기 익스팬더 장치에 의해 브레이크 캘리퍼는 제동으로 인한 변위 및 제동의 해제 후에 복귀될 수 있고, 상기 익스팬더 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브레이크 패드에 작용하는 스프링 탄성의 스프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익스팬더 장치는 중앙 개구에 배치되고, 스프링 유닛은 마찰 라이닝의 외부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중심에 대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브레이크 패드의 적어도 2개의 부착 인터페이스에 작용한다. 스프링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 인터페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에 의해 고정형 부착 부재에 연결된다.
디스크 브레이크의 본 발명에 따른 형성에 의해, 브레이크가 해제되는 경우 2개의 브레이크 패드의 동시 복귀 및 브레이크 캘리퍼의 복귀가 이루어지고, 이 경우 동시성은 복귀력은 물론 복귀 경로와도 관련된다. 이 경우 복귀력은 2개의 브레이크 패드의 각각의 체결 방향과 반대로, 즉 반작용 측 브레이크 패드의 경우에 캘리퍼 백을 향해 작용하고, 작용 측 브레이크 패드의 경우에 브레이크 디스크에 대해 갭을 형상하면서 캘리퍼 헤드를 향해 작용한다.
잔류 연마 토크를 저지하기 위해, 한편으로는 고정형 부품(예를 들어, 브레이크 캐리어)에 대한 부착부를 갖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프링 작용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로부터 브레이크 패드를 밀어내는 스프링 패킷이 사용된다.
제시된 개념은 원형 재료로 이루어진 스프링 암의 실현의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하는다.
평면 재료 대신 원형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한편으로는 공구 비용이 낮아지고 다른 한편으로 재료 낭비가 없기 때문에, 상당한 비용상의 장점이 달성된다. 또한, 추가로 제조 가능성이 크게 개선된다.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진 평면 재료의 펀칭은 1.5mm의 박판 두께부터 제한적으로만 가능하며, 이미 상당한 공구 마모를 초래한다. 평면 재료로 유사하게 구현 시 1.5mm 이상의 박판 두께가 필요할 것이기 때문에, 이와 달리 원형 와이어 변형예는 상당한 장점을 제공한다.
특히,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캐리어에 대한 부착 인터페이스에 중점을 둔다. 이는, 원형 재료의 성형은 평면 재료의 성형과 다르게 제한되기 때문에 그러하다.
2개의 브레이크 패드에 대한 익스팬더 장치의 작용은 바람직하게 백킹 플레이트에서, 즉 거기에 고정된 마찰 라이닝을 향한 측에서 또는 반대편에 있는 후방 측에서 이루어진다. 복귀 시 각각의 브레이크 패드의 틸팅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 반경의 중간에서 익스팬더 부재가 백킹 플레이트에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 세트는 백킹 플레이트와 백킹 플레이트 상에 장착된 마찰 라이닝을 가진 적어도 2개의 브레이크 패드 및 전술한 익스팬더 장치를 포함한다.
마찰 재료의 증가하는 마모를 보상하기 위해 스프링 암의 부착부는 자유도를 갖는다. 이러한 자유도는 시스템의 다축 뒤틀림/틸팅을 저지하는데 이용된다.
실시예는 스프링 부재들의 부착부가 변위될 수 있게 구현되는 스프링 패킷을 포함한다. 따라서 마찰 재료 마모의 보상은 고정형 부착 부재에 대한 스프링 부착부의 축방향 슬라이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센터링 유닛이라고도 할 수 있는 완전한 익스팬더 유닛의 조립은, 탄성 부품과 부착 부재(고정형 부품)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에 일정한 유격이 제공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유격으로 인해, 연결 인터페이스는 스프링의 점진적인 적용에 따라 브레이크의 중심을 향해 (패드 지지 브래킷을 향해) 변위된다.
스프링 부재의 부착부는 예를 들어 가압된 박판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와이어 브래킷의 축방향 변위가 가능한 것이 중요하다.
이 경우, 상이한 특성들을 갖는 재료들 사이에 변위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지 않는 것이 장점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연질 캐스팅 재료로 이루어진 백킹 플레이트의 파손 위험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백킹 플레이트에 대한 스프링 부재의 부착 가능성이 간단해진다.
주행 중에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부착 인터페이스는 쉽게 변위될 수 있으므로, 오염이나 부식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올바른 작동이 전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서 특징된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는 부착 부재의 중앙 섹션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연결부를 형성한다. 이것은 이동과 마모를 보상하는 데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는 부착 부재 중앙 섹션의 길이 방향 축을 향해 변위될 수 있는 연결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가 아치형으로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윙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윙 섹션 내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유닛이 클립핑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는, 간단한 구조뿐만 아니라 간단한 조립을 위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의 베이스 섹션의 길이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플랩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섹션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섹션의 측면 섹션들은 스프링 유닛과 접촉한다. 이로 인해 스프링 암에 대해 간단한 지지가 이루어진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가 금속 스탬핑 굽힘부이면, 제조 면에서 바람직하다.
대안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가 일종의 권선의 코일을 포함하고, 부착 부재는 코일을 통해서 연장되는 것을 제공한다. 그 결과 간단한 구조가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의 코일이 스프링 유닛의 스프링 암의 섹션들의 코일이인 경우, 특히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로 인해 스프링 암 및 연결 부재의 간단한 일체형 구조가 달성되기 때문이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스프링 유닛은 한 쌍의 스프링 암을 포함하며, 개구의 중심을 향하는 상기 스프링 암의 내측 단부들은 연결된다. 이로 인해 콤팩트한 구조가 달성된다.
한 쌍의 스프링 암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 부품 수 및 제조 비용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스프링 암의 각각의 쌍의 스프링 암의 다른 단부들은 부착 섹션을 갖고, 상기 부착 섹션들은 브레이크 패드의 부착 인터페이스에서 함께 작용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로 인해 간단한 구조가 달성된다.
실시예에서, 부착 인터페이스는 브레이크 패드의 백킹 플레이트에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부착 인터페이스는 관통 홀 및/또는 블라인드 홀로서 형성된 수용 개구를 갖는다.
수용 개구들은 또한 보어로서 및/또는 긴 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부착 인터페이스는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부착 인터페이스들이 가이드 부재를 갖는 것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부착 인터페이스는 가이드 부재가 제공되거나 제공되지 않는 숄더를 가질 수 있다.
다른 대안 실시예는, 부착 인터페이스들이 간접적으로 패드 지지 스프링 상의 브레이크 패드의 백킹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것을 제공한다.
스프링 유닛과 고정형 부착 부재가, 예를 들어 원형 횡단면을 갖는 와이어 재료, 특히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이는 제조- 및/또는 재료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패드 세트는 체결 측 브레이크 패드, 후면 측 브레이크 패드 및 전술한 익스팬더 장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패드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패드 지지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스프링은 단부에 각각 챔퍼를 갖는다. 이는 익스팬더 장치의 바람직한 조립- 및 분해를 가능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는, 익스팬더 장치가 제공되지 않거나 제거된 경우에, 브레이크 캐리어 혼의 수용 개구는 각각 스토퍼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는 먼지와 습기 침투에 대해 바람직한 보호를 제공한다.
이 경우, 스토퍼는 그립 섹션과 단부 섹션으로 원추형으로 형성된 바디를 포함한다. 원추 형상은 간단한 밀봉을 가능하게 한다.
바디가 원주 방향 비드를 갖고, 상기 비드들 사이에 원주 방향 리세스가 배치되는 경우에, 수용 개구의 밀봉이 개선된다. 이를 위해, 적어도 비드는 탄성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비드는 또한 입술 모양으로 설계될 수 있다.
스토퍼의 바람직하게 간단한 취급을 위해, 바디의 그립 섹션은 그립에 연결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부분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연결 인터페이스의 제 1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른 사시도;
도 7은 도 4 내지 도 6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의 연결 인터페이스의 변형예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연결 인터페이스의 제 2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의 연결 인터페이스의 제 2 변형예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연결 인터페이스의 제 3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의 연결 인터페이스의 제 3 변형예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연결 인터페이스의 제 4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연결 인터페이스의 제 5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의 제 1 변형예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도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15 및 도 16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의 제 1 변형예의 스프링 암 유닛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연결 인터페이스의 제 6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의 제 2 변형예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9는 연결 인터페이스의 제 7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의 제 3 변형예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의 제 3 변형예의 연결 인터페이스의 제 7 변형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1 및 도 22는 연결 인터페이스의 제 8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부분 단면도;
도 23 및 도 24는 연결 인터페이스의 제 1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21 및 도 2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부착 인터페이스의 제 2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21 및 도 2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를 도시한 도면;
도 26 및 도 27은 부착 인터페이스의 제 3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21 및 도 2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부착 인터페이스의 제 3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21 및 도 2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를 도시한 도면;
도 29는 부착 인터페이스의 제 4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21 및 도 2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부착 인터페이스의 제 5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21 및 도 2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를 도시한 도면;
도 31은 부착 인터페이스의 제 6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21 및 도 2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를 도시한 도면;
도 32는 부착 인터페이스의 제 7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21 및 도 2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를 도시한 도면;
도 33은 연결 인터페이스의 제 9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23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를 도시한 도면;
도 34는 도 33에 따른 연결 인터페이스의 제 9 변형예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5 및 도 36은 도 28에 따른 연결 인터페이스의 제 8 변형예 및 익스팬더 장치의 제 4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26 및 도 27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도;
도 37 및 도 38은 연결 인터페이스의 제 10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39는 도 37 및 도 38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의 연결 인터페이스의 제 10 변형예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0은 수용 개구 및 스토퍼를 갖는 브레이크 캐리어 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1은 도 40에 따른 삽입된 스토퍼를 갖는 브레이크 캐리어 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2는 도 40 및 도 41에 따른 스토퍼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용어 "상부", "하부", "좌측", "우측"은 도면에서 각각의 배치와 관련된다.
브레이크 패드(3, 3') 또는 백킹 플레이트(4, 4')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항상 브레이크 패드(3, 3')의 설치 상황과 관련된다.
디스크 브레이크(10)의 브레이크 디스크(2)의 양측의 부품들과 기능 그룹을 구별하기 위해, 디스크 브레이크(10)의 브레이크 캘리퍼(1)의 캘리퍼 백(12)을 향한 브레이크 디스크(2)의 측의 부품들과 기능 그룹의 도면 부호는 각각 아포스트로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8)의 제 1 실시예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0)의 부분 단면을 개략적인 평면 사시도에 도시한다. 도 2에는 도 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8)의 확대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8)의 연결 인터페이스(20)의 확대된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브레이크 캘리퍼(1)는 브레이크 디스크 축(2a)을 갖는 브레이크 디스크(2) 위를 덮는다. 브레이크 캘리퍼(1)는 브레이크 디스크(2)와 관련해서 브레이크 디스크(2)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브레이크 캐리어(6)에 장착되고, 이를 위해 브레이크 캘리퍼(1)는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 레일 상에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차량에 고정 지지되는 브레이크 캐리어(6)에 연결된다.
브레이크 캘리퍼(1)는 체결 섹션(11), 캘리퍼 백(12) 및 2개의 타이 바(13)를 포함한다. 체결 섹션(11)의 한 측면은 브레이크 디스크(2)의 한 측면에서 브레이크 디스크(2)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브레이크 디스크(2)의 다른 측면에서는 캘리퍼 백(12)이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디스크(2)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어 배치된다. 캘리퍼 백(12)은 각각의 단부에서 각각의 타이 바(13)에 의해 체결 섹션(11)에 연결된다. 타이 바(13)는 체결 섹션(11) 및 캘리퍼 백(12)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체결 섹션(11)은 디스크 브레이크(10)의 도시되지 않은 체결 장치가 배치된 내부 챔버를 갖는다.
체결 섹션(11), 캘리퍼 백(12) 및 타이 바(13)는 이러한 배치에서, 이들 사이에 브레이크 디스크에 위에 형성된 중앙 개구(9)를 규정한다. 개구(9)는 브레이크 디스크(2)의 평면에 놓여 타이 바(13)의 가상의 중심선을 연결하는 가상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갖는다. 또한 개구(9)는 체결 섹션(11)의 가상의 중심과 캘리퍼 백(12)의 가상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추가 횡방향 중심선을 갖는다. 길이 방향 중심선과 횡방향 중심선은 가상의 중심점에서 교차하며, 여기서 상기 중심점은 개구(9)의 가상 중심이라고 한다.
브레이크 캐리어(6)에서 브레이크 패드(3, 3')는 각각의 2개의 브레이크 캐리어 혼(17, 17') 사이의 소위 패드 샤프트 내에 배치된다. 브레이크 패드(3, 3')는 제동 시 브레이크 디스크(2)에 대해 양측으로 압착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브레이크 패드(3, 3')는 백킹 플레이트(4, 4') 및 브레이크 디스크(2)를 향하는 측에서 거기에 고정된, 패드 측(4a)에 있는 마찰 라이닝(5, 5')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 라이닝은 작동 중에, 즉 제동 시 브레이크 디스크(2)에 밀착된다. 백킹 플레이트(4, 4')의 다른 측은 또한 가압측(4b)이라고 한다.
교체 및 유지 보수를 위해 중앙 개구(9)를 통해 브레이크 패드(3, 3')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중앙 개구(9)를 통해 관련된 패드 샤프트 내로 삽입되고 다시 그것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디스크 브레이크(10)에 브레이크 디스크(2)의 주 회전 방향에 대하여, 유입 측(ESP)과 반대편에 출력 측(AS)이 지정된다.
패드 지지 브래킷(16)은 체결 섹션(11)과 캘리퍼 백(12) 사이에 개구(9)의 횡방향으로 또는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의 방향으로 브레이크 패드(3, 3') 위에 배치된다. 패드 지지 브래킷(16)은 여기에서 그 하부면의 섹션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3, 3')의 패드 지지 스프링(7, 7')을 가압하고, 이로 인해 이러한 브레이크 패드는 그것의 패드 샤프트에서 지지된다. 패드 지지 스프링(7)은 각각 백킹 플레이트(4, 4')의 상부면에서 돌출부에 지지된다.
브레이크 캘리퍼(1)의 체결 섹션(11)에서 거기에 있는 수용 챔버 내에 배치된 체결 장치를 이용해서 예를 들어, 브레이크 캘리퍼(1)의 돔 내에 위치 설정된 브레이크 레버에 의해 제동이 이루어진다. 작용 측 또는 체결 측 브레이크 패드라고도 하는 관련 브레이크 패드(3)는 제동 시 먼저 브레이크 디스크(2)와 접촉한다. 추가 진행 시 브레이크 캘리퍼(1)의 발생하는 반응력에 의해 브레이크 캘리퍼(1)는, 반작용 측 브레이크 패드(3')가 함께 움직이면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가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디스크에 마찰 접촉할 때까지 반대 방향으로 변위된다. 반작용 측 브레이크 패드(3')는 후면 브레이크 패드라고도 하며, 이하에서 체결 측 브레이크 패드(3)와 도면 부호 3'으로 구별된다.
브레이크의 해제 후에,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브레이크 패드(3, 3')는, 브레이크 패드(3, 3')에 대해 브레이크 디스크(2)가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복귀 장치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2)로부터 분리된다.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에, 브레이크 패드(3, 3')는 제동력이 제거된 후에도 브레이크 디스크(2)와 접촉하여 잔류 연마 토크를 야기할 수 있다.
잔류 연마 토크를 저지하기 위해, 한편으로는 고정형 부품(예를 들어, 브레이크 캐리어; 6)에 대한 부착부를 포함하고 다른 한편으로 스프링 작용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3, 3')를 브레이크 디스크(2)로부터 밀어내는 스프링 패킷이 사용된다.
이러한 스프링 패킷은 소위 익스팬더 장치(8)로서 제공된다.
익스팬더 장치(8)는 서로 대향하는 브레이크 패드(3, 3')의 백킹 플레이트(4, 4')의 상부 영역에서 체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동일하게 작용한다. 이로 인해 브레이크 패드(3, 3')의 상부 영역에 익스팬더 장치(8)의 복귀력이 가해진다.
익스팬더 장치(8)는 부착 부재(18), 4개의 스프링 암 유닛(19, 19') 및 각각 연결 부재(21)를 갖는 2개의 연결 인터페이스(20)를 포함한다.
부착 부재(18)는 C형으로 형성되고, 브레이크 캐리어(6)에, 즉 브레이크 캐리어 혼(17)에 고정되어 스프링 암 유닛(19, 19')을 위한 홀더를 형성한다.
스프링 암 유닛(19)은 여기에서 스프링 암(19a, 19'a)의 동일한 2개의 쌍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암들의 하나의 단부들은 함께 연결 인터페이스(20)를 통해 연결 부재(21)를 이용해서 부착 부재(18)에 연결된다. 각각의 스프링 암 유닛(19)의 다른 단부들은 부착 섹션(19b, 19b')으로서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에서 브레이크 패드(3, 3')와 함께 작용한다. 이 경우 체결 시 발생하는 예비 응력에 의해 브레이크의 해제 후에 브레이크 패드(3, 3')의 확장이 가능하다.
부착 부재(18)와 스프링 암 유닛(19)은 여기에서, 예를 들어 원형 횡단면을 갖는 와이어 재료로 이루어진다.
부착 부재(18)는 개구(9)의 중앙 영역에, 예를 들어 브레이크 디스크(2)의 중앙 평면에 여기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중앙 섹션(18a)을 포함한다. 중앙 섹션(18a)의 각 측면에 브레이크 디스크(2)에 대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연결 섹션(18b)이 연결된다. 따라서 부착 부재(18)는 개구(9)의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체결 측 브레이크 패드(3)의 패드 샤프트의 브레이크 캐리어 혼(17)까지 연장된다.
연결 섹션(18b)의 각 단부에는 대략 90°로 각각의 브레이크 캐리어 혼(17)을 향하도록 구부러져 각각 직선으로 연장되는 다른 연결 섹션(18d)으로 이어지고 각각의 브레이크 캐리어 혼(17)에 도달하는 아치형의 연결 섹션(18c)이 장착된다. 이러한 연결 섹션들(18d)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브레이크 디스크 축(2a)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이어서 각각의 고정 섹션(18e) 내로 대략 90°만큼 아래쪽으로 구부러진다. 각 고정 섹션(18e)은 각 브레이크 캐리어 혼(17)의 보어(17a) 내에 고정되고, 따라서 브레이크 캐리어(6)의 익스팬더 장치(8)와 부착 부재(18)의 고정형 지지 수단을 형성한다.
부착 부재(18)가 고정된 브레이크 캐리어(6)는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에 대해 변위될 수 있게 브레이크 캘리퍼(1)가 지지되는 점에서, 부착 부재(18)는 브레이크 캘리퍼(1)를 위한 센터링 장치를 형성하므로, 브레이크의 해제 후에 및 익스팬더 장치(8)의 익스팬더 후에, 즉 브레이크 패드들(3)이 서로 멀어지게 가압된 후에 브레이크 캘리퍼(1)는 센터링된 위치로 안내된다.
각 쌍의 스프링 유닛(19, 19')의 2개의 스프링 암(19a, 19'a)은, 도 2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부재(18)의 중앙 섹션(18a)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형성된다.
스프링 암(19a, 19'a)의 쌍들은 개구(9)의 가로 방향으로 마주 놓이게 배치되므로, 개구(9)의 중심을 향하는 상기 스프링 암의 내측 단부들은 각각 연결 인터페이스(20)를 통해 연결 부재(21)를 이용해서 부착 부재(18)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 암의 외측 자유 단부들은 브레이크 패드(3, 3')의 백킹 플레이트(4, 4')와 함께 작용한다. 이 경우 한 쌍의 스프링 암(19a, 19'a)은 개구(9)의 중심으로부터 우측에 배치되고, 다른 쌍의 스프링 암(19a, 19'a)은 개구(9)의 중심으로부터 좌측에 배치된다.
도 1 및 도 2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유닛(19, 19')의 설명은 다른 스프링 유닛(19, 19')에도 거울 대칭 방식으로 적용된다.
각각의 스프링 암(19a, 19'a)은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를 갖는 직선 바디 갖는다. 내측 단부들은 나란히 인접하고, 개구(9)의 중심을 향하며, 외측 단부들은 서로 멀리 떨어져 있고 각각은 백킹 플레이트(4, 4')의 단부 영역 위에 배치된다.
2개의 스프링 암(19a, 19'a)의 내측 단부들에는 각각 직선 연결 섹션(19c, 19'c)이 제공된다. 연결 섹션들(19c, 19'c)은 서로 평행하게 및 브레이크 디스크(2)의 중앙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연결 섹션들은 상부 연결 아치(19d)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2개의 스프링 암(19a, 19'a)은 연결 아치(19d)와 일체형으로, 예를 들어 와이어 굽힘부로서 형성된다. 스프링 암들(19a, 19'a)은 개별적으로 제조된 다음, 연결 아치(19d)를 형성하는 추가 부품을 통해, 추후에,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 연결 섹션(19c, 19'c)과 연결 아치(19d)는 추가 부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각각의 스프링 암(19a, 19'a)의 외측 자유 단부는 각각의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에서 백킹 플레이트(4, 4')와 각각 상호 작용을 위한 아래쪽으로 향하는 부착 섹션(19b, 19'b)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부착 섹션(19b, 19'b)은 아래쪽으로 구부러져서 직선으로 구현된다. 이 경우 상기 섹션들은 브레이크 패드(3, 3')의 각각의 백킹 플레이트(4, 4')의 모서리 영역의 상부면(4d, 4'd)에 있는 수용 개구들(4c, 4'c) 내에 형상 끼워 맞춤 결합 방식으로 수용된다. 수용 개구(4c, 4'c)는 부착 섹션(19b, 19'b)의 형상과 연결되며 여기에서는 보어로서 구현된다. 각각의 수용 개구(4c, 4'c)의 벽 또는 벽들은 각각의 부착 섹션(19b, 19'b)을 위한 지지면을 형성한다. 수용 개구들(4c, 4'c)은 예를 들어 블라인드 홀 및/또는 관통 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개구들(4c, 4'c)은 상이한 횡단면을 가질 수 있고, 즉 예를 들어 라운드, 원형, 타원형, 각형이고, 상기 개구에 수용된, 스프링 암(19a, 19'a)의 부착 섹션(19b, 19'b)의 횡단면은 수용 개구(4c, 4'c)의 각각의 횡단면과 연결된다. 그러나 각형 또는 타원형의 수용 개구(4c, 4'c)에 원형 부착 섹션(19b, 19'b)이 삽입될 수도 있다.
수용 개구들(4c, 4'c)이 블라인드 홀로서 형성되면, 부착 섹션(19b, 19'b)의 단부들은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는 블라인드 홀의 각각의 바닥에 놓일 수 있다.
연결 섹션(19c, 19'c) 및 상기 연결 섹션들을 연결하는 연결 아치(19d)의 내측 단부들은 관련 연결 부재(21)에 연결된다. 각각의 연결 부재들(21)은 각각의 스프링 유닛(19, 19')과 고정형 부착 부재(18)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20)를 형성한다. 이는 도 3에 확대 도시된다.
연결 부재(2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섹션(21a),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윙 섹션(21b, 21'b) 및 서로 대향하는 두 쌍의 슬리브 섹션(21c, 21'c; 21d, 21'd)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팬더 장치(8)의 장착 상태에서 베이스 섹션(21a)은 개구(9)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개구(9)의 중심으로부터 먼 쪽의 베이스 섹션(21a)의 외측 단부에는 윙 섹션(21b, 21'b)이 장착된다. 각각의 윙 섹션(21b, 21'b)은 베이스 섹션(21a)의 각각의 길이 방향 측에 베이스 섹션(21a)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상기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랩을 형성한다.
베이스 섹션(21a)의 다른 내측 단부에는 양측으로 슬리브 섹션(21c, 21'c; 21d, 21'd)이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 섹션들은 위쪽으로 연장되고, 부착 부재(18)의 중앙 섹션(18a)의 둘레를 따라 구부러져 있다.
베이스 섹션(21a)은 부착 부재(18)의 중앙 섹션(18a)의 라운드된 외형에 맞게 조정되고, 이 경우 중앙 섹션(18a)은 베이스 섹션(21a)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것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중앙 섹션(18a)은 베이스 섹션(21a)의 지지 섹션(21f) 상의 윙 섹션(21b, 21'b) 사이 및 베이스 섹션(21a) 상의 슬리브 섹션(21c, 21'c; 21d, 21'd) 내에 놓인다.
관련 스프링 유닛(19, 19')은, 각각의 윙 섹션(21b, 21'b) 아래의 연결 부재(21)의 베이스 섹션(21a)에 대해 평행하게 2개의 연결 섹션(21c, 21'c)이 연장되도록, 연결 부재(21)에 연결되고, 이 경우 2개의 연결 섹션(19c, 19'c)의 내측 단부들은 각각 90°굴곡으로 위쪽으로 구부러진 후에 연결 아치(19d) 내로 이어진다. 연결 아치(19d)는 슬리브 섹션(21c, 21'c; 21d, 21'd) 사이에서 연장되어 축방향 간극(21e, 21'e)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 부재(21)는 스프링 유닛(19, 19')에 연결되고, 동시에 부착 부재(18)의 중앙 섹션(18a)에 대한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 부재는 한편으로는 베이스 섹션(21a)에서 스프링 유닛(19, 19')의 연결 섹션(19c, 19c')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또한 슬리브 섹션(21c, 21'c; 21d, 21'd)을 통해서 스프링 유닛(19, 19')의 연결 아치(19d) 아래를 지나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연결 인터페이스(20)에서 각각의 2개의 스프링 암(19a, 19'a)을 갖는 스프링(19) 유닛은 부착 부재(18)의 중앙 섹션(18a) 상에서 부착 부재(18)의 중앙 섹션(18a)의 길이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뿐만 아니라, 회전 가능하게도 지지된다.
다시 말해서, 스프링 유닛들(19, 19')은 부착 섹션(18)의 중앙 섹션(18a)의 길이 방향 축의 축방향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동시에 중앙 섹션(18a)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익스팬더 장치는 특히 유연하고 조정 가능해진다. 그러나 더 간단한 장착 가능성을 위해 회전 가능성의 고정도 고려될 수 있다.
마찰 재료, 즉 브레이크 패드(3, 3')의 마찰 라이닝(5, 5') 및 브레이크 디스크(2)의 마모의 증가로 인해, 스프링 암(19a, 19'a)의 부착부는 자유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자유도는 시스템의 다축 뒤틀림/틸팅을 저지하는데 이용된다. 이를 위해, 고정형 부착 부재(18)에 연결 인터페이스(20)를 이용한 스프링 암(19a, 19'a) 형태의 스프링 부재의 접속부는 이동 가능하게 구현된다. 마찰 재료 마모의 보상은 따라서 고정형 부착 부재(18)에 대한 연결 인터페이스(20)에서 스프링 암 부착부의 축방향 슬라이딩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완전한 익스팬더 장치(8; 센터링 유닛)의 조립은, 탄성 스프링 유닛(19, 19)과 부착 부재(8; 고정형 부품)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20)에 일정한 유격이 제공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유격으로 인해, 연결 인터페이스(20)는 스프링 유닛(19, 19')의 점진적인 적용 시 디스크 브레이크(10)의 개구(9)의 중심을 향해 [패드 지지 브래킷(16)을 향해] 변위된다.
스프링 유닛(19, 19')의 부착은 각각의 연결 부재(21)에 의해 수행된다. 연결 부재(21)는 예를 들어, 가압된 박판 부재일 수 있다. 그러나 구현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와이어 브래킷의 축방향 변위가 가능하다.
디스크 브레이크(10)를 갖는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하는 진동은 연결 인터페이스(20)의 변위를 용이하게 하여, 오염 시에도 올바른 작동이 전제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연결 인터페이스(20)의 제 1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8)의 다른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7은 도 4 내지 도 6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8)의 연결 인터페이스(20)의 변형예의 확대된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연결 인터페이스(20)의 제 1 변형예는, 연결 부재(21)의 외측 단부에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스페이서 섹션(22)이 장착되는 것이다. 스페이서 섹션(22)의 측면 섹션(22a)에는 스프링 유닛(19, 19')의 연결 섹션(19c, 19'c)이 위치한다.
도 7에는 관련 연결 부재(21)가 도시된다.
도 8 및 도 9는 약간 변경된 연결 부재(21)를 갖는 연결 인터페이스(20)의 제 2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8)의 확대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경우 스페이서 섹션(22)은, 도 10에서 도 8 및 도 9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21)의 연결 인터페이스(20)의 제 2 변형예의 확대된 개략적인 사시도에 명확하게 도시된 중앙 리세스(22a)를 갖는다.
도 11은 연결 인터페이스(20)의 제 3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의 확대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그 형상이 축소된 관련 연결 부재(23)를 도 12는 도 1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8)의 연결 인터페이스(20)의 제 3 변형예의 확대된 개략적인 사시도에 도시한다.
도 13 및 도 14에 연결 부재(24)를 갖는 연결 인터페이스(20)의 제 4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8)의 확대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된다. 이 경우 4개의 윙 섹션(24b, 24'b; 24d, 24'd)이 제공되고, 가이드 섹션은 고정용 핀(25)을 갖는 포크형 가이드(24f, 24'f)로서 제공된다.
도 15 및 도 16은 연결 인터페이스(8)의 제 5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8)의 제 1 변형예의 확대된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에 도 15 및 도 16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8)의 제 1 변형예의 스프링 암 유닛(19)의 확대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된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핀(26a)을 포함한 가이드 부재(26)는 스프링 유닛의 아치형 섹션(19e, 19'e)에 수용된다. 여기서, 연결 섹션(19c, 19'c)은 각각 수평 평면에 아치형 섹션(27a, 27'a)을 갖는 지지 섹션(27)으로서 제공된다. 부착 부재(18)의 중앙 섹션(18a)은 지지 섹션(27) 상에 배치되고, 가이드 부재(26)의 핀(26a)에 의해 지지 섹션(27)상에 지지된다.
도 18에 연결 부재(26)를 갖는 연결 인터페이스(20)의 제 6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8)의 제 2 변형예의 확대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된다. 연결 부재(26)는 제 5 변형예의 연결 부재와 유사하게 구성되지만, 이와 달리 부착 부재(18)의 중앙 섹션(18a)의 아래에 배치된다. 중앙 섹션(18a)은 가이드 부재(26)의 핀(26a) 위를 지나가고 스프링 유닛(19, 19')의 연결 아치(19d)를 통해서 연장된다.
도 19는 연결 인터페이스(20)의 제 7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8)의 제 3 변형예의 확대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도 19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의 제 3 변형예의 연결 인터페이스(20)의 제 7 변형예의 확대된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경우 연결 부재(28)는 가이드 섹션으로서 부착 부재(18)의 중앙 섹션(18a)의 둘레에 연결 섹션(19c, 19'c)의 코일(28a)에 의해 형성된다. 연결 부재(28)는 이 경우 일종의 권선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이러한 제 7 변형예에서, 스프링 암(19a, 19'a)은 연결 부재(28)와 일체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연결 인터페이스(20)의 연결 부재(28)는 스프링 암(19a, 19'a)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 경우, 스프링 암(19a, 19'a)이 별도로 제조되고, 상기 연결 부재(28)는 추가 부품으로서, 추후에 스프링 암(19a, 19'a)에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도 21 및 도 22는 연결 인터페이스(20)의 제 8 변형예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8)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0)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다.
여기서 연결 인터페이스(20)는 공통의 베이스 섹션(29a)에 의해 연결된 2개의 연결 부재(29)를 갖는다. 연결 부재(29)는 도 28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고, 전술한 윙 섹션(29b, 29'b)과 슬리브 섹션(29c, 29'c; 29d, 29'd)을 갖고, 상기 슬리브 섹션들은 간극(29e, 29'e)을 갖는다. 또한, 슬리브 섹션(29c, 29'c; 29d, 29'd)과 베이스 섹션(29a)의 연결 영역 사이에는 베이스 섹션(29a)에 추가의 윙 섹션(29f, 29'f)이 더 제공된다. 연결 아치는 도 1에 따른 연결 인터페이스(20)와 달리 슬리브 섹션(29c, 29'c; 29d, 29'd) 내에 배치되지 않고, 가이드 섹션(29g, 29'g)의 단부 위에 배치된다. 베이스 섹션(29a)의 연결 섹션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쪽으로 구부러진 가이드 섹션(29g, 29'g)이 제공된다. 부착 부재(18)의 중앙 섹션(18a)은 2개의 측면 섹션(29g, 29'g) 사이의 베이스 섹션(29a)의 연결 영역에 위치한다.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는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용 개구(4c, 4'c)와 함께 구현되지만, 그와 달리 각각의 백킹 플레이트(4, 4')의 상부면(4d, 4'd)에서 중심에 대해 더 오프셋된다.
도 23 및 도 24는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의 제 1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21 및 도 2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0)를 도시한다. 이 경우 수용 개구(4c, 4'c)는 밀링된 또는 캐스팅된 긴 홀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긴 홀은 블라인드 홀 및/또는 관통 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5는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의 제 2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21 및 도 2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0)를 도시하고, 이 경우 스프링 암(19a, 19'a)의 부착 섹션(19b, 19'b)은 연장부로서 구현된 연결 섹션(19g, 19'g)에 장착되고, 백킹 플레이트(4, 4')의 가압 측(4b, 4'b)의 마찰 반경의 중간에 있는 스프루(30, 30';sprue) 내에 삽입된 보어 내에 장착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패드(3, 3')의 틸팅이 저지된다.
연결 섹션(19g, 19'g)의 상단부는 각각의 추가 연결 섹션(19f, 19'f)을 통해 관련 스프링 암(19a, 19'a)에 연결된다. 이 경우 연결 섹션(19g, 19'g)은 백킹 플레이트(4, 4')의 각각의 가압 측(4b, 4b')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이 경우 연결 섹션(19f, 19'f)은 연결 섹션(19g, 19'g)의 상단부에 대략 수직으로 장착되고, 각각의 백킹 플레이트(4, 4')의 상부면(4d, 4'd)의 섹션에 걸쳐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부면(4d, 4'd)의 상기 섹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에,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의 제 3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21 및 도 2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0)가 도시된다. 스프링 암(19a, 19'a)의 부착 섹션(19b, 19'b)은 백킹 플레이트(4, 4')의 원통형 핀(31)에 측면으로 접촉한다. 원통형 핀(31)은 피팅 보어에 삽입되고, 경우에 따라서 숄더(32)를 갖는다. 숄더(32)는, 부착 섹션(19b, 19'b)의 스테인리스강과 백킹 플레이트(4, 4')의 캐스팅 재료 사이의 상대 이동을 저지하데 이용된다.
도 28은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의 제 3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21 및 도 2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0)를 도시한다. 이러한 제 3 변형예에서,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는 각각 가이드 섹션(33a)을 가진 가이드 부재(33)를 포함한다. 가이드 섹션(33a)은 백킹 플레이트(4, 4')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그 사이에 가이드 수용부(33b)를 형성한다. 스프링 암(19a, 19'a)의 부착 섹션(19b, 19'b)은 각각의 가이드 수용부(33b)와 맞물린다. 가이드 부재(33)는 백킹 플레이트(4, 4') 내로, 예를 들어 압입되고,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될 수 있고, 부착 섹션(19b, 19'b)의 경질 탄성 재료와 백킹 플레이트(4, 4')의 연질 캐스팅 재료 사이의 상대 이동을 저지한다.
도 29는 부착 인터페이스의 제 4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21 및 도 2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0)를 도시한다.
스프링 암(19a, 19'a)의 부착 섹션(19b, 19'b)은 단부에서 납작한 단부 섹션(34)으로 편평하게 가압되고, 이어서 긴 홀(34a)이 펀칭될 수 있다. 이러한 긴 홀(34)은 예를 들어 원통형 핀(31)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도 30에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의 제 5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21 및 도 2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0)가 도시된다. 스프링 암(19a, 19'a)의 부착 섹션(19b, 19'b)은 밀링된 숄더(35a) 상의 백킹 플레이트(4, 4')의 모서리 섹션(35)에 안내된다. 숄더(35a)는 가압면(35b)과 지지면(35c)을 갖는다. 가압면(35b)은 여기서 백킹 플레이트(4, 4')의 패드 면(4b, 4'b)에 대해 평행하다. 부착 섹션(19b, 19'b)은 가압면(35b) 및 지지면(35c)과 접촉한다.
도 31에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의 제 6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21 및 도 2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0)를 도시한다.
백킹 플레이트(4, 4')의 밀링된 숄더(35) 위로,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된 가이드 부재가 올려지고, 필요 시 용접되거나 또는 접착될 수 있다. 스프링 암(19a, 19'a)의 부착 섹션(19b, 19'b)은 이러한 추가 부품 위로 안내될 수 있다.
도 32는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의 제 7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21 및 도 2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0)를 도시한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스프링 암(19a, 19'a)의 부착 섹션(19b, 19'b)은 긴 홀(7b)에서 패드 지지 스프링(7, T)의 각각의 스프링 단부(7a, 7'a)와 맞물린다.
도 33은 연결 부재(37)를 갖는 연결 인터페이스(20)의 제 9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23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0)를 도시한다. 도 34는 도 33에 따른 연결 부재(37)를 포함하는 연결 인터페이스(20)의 제 9 변형예의 확대된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연결 부재(37)는 제 9 변형예에서 간극(37c)과 관통 개구(37d)를 갖는 슬리브 섹션(37a, 37'a; 37b, 37'b)을 포함한다. 스프링 유닛(19, 19')의 연결 섹션(19c, 19'c)의 단부 및 그것의 연결 아치(19d)는 양측에서 슬리브 섹션(37a, 37'a; 37b, 37'b)과 함께 가압된다. 부착 부재(18)의 중앙 섹션(18a)은 슬리브 섹션(37a, 37'a; 37b, 37'b)의 관통 개구(37d)를 통해서 연장된다.
도 35 및 도 36은 익스팬더 장치(8)의 제 4 변형예 및 도 28에 따른 연결 인터페이스(20)의 제 8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26 및 도 27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0)의 개략적인 부분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연결 인터페이스(20)는 연결 부재(38)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연결 부재(29)(도 28 참조)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스프링 유닛(19, 19')의 스프링 암 쌍은 여기에서 브레이크 디스크(2)를 위를 덮도록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 디스크 브레이크의 한 측면에 배치된다.
이 경우 한 번은 체결 측에 연속해서 그리고 한 번은 캘리퍼 측에 연속해서 제공된 2개의 스프링 암(19a, 19'a)의 연결 가능성이 도시된다. 스프링 암(19a, 19'a)은 연장된 연결 섹션(19c, 19'c)을 통해 연결된다. 연장된 연결 섹션(19c, 19'c)은 연결 부재(38)의 가이드 섹션(38g, 38'g)에 대해 평행하게 및 나란히 연장된다.
도 37 및 도 38에 연결 인터페이스(20)의 제 10 변형예를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8)의 확대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39는 연결 부재(39)를 포함하는 도 37 및 도 38에 따른 익스팬더 장치(8)의 연결 인터페이스의 제 10 변형예의 확대된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 도 6 및 도 7에 따른 연결 인터페이스(20)의 제 1 변형예와 연결 인터페이스(20)의 제 10 변형예의 차이점은, 변경된 연결 부재(39)에 있고, 이 경우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부 섹션들만이 다르게 설계된다.
연결 부재(39)는 연결 부재(21)처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지 섹션(39f)을 가진 베이스 섹션(39a),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윙 섹션(39b, 39'b) 및 슬리브 섹션(39c, 39'c; 39d, 39'd)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쌍을 포함한다.
연결 부재(21)와 달리 2개의 윙 섹션(39b, 39'b)은 아래쪽으로 향하는 각각의 에지 섹션(39g, 39'g)을 갖도록 볼록하게 형성되고, 이 경우 볼록한 윙 섹션(39b, 39'b)에 의해 형성된 라운드된 접촉 섹션(39h, 39'h)은 볼록한 윙 섹션(39b, 39'b)의 하부면에 배치된다. 윙 섹션(39b, 39'b)의 접촉 섹션(39h, 39h')의 라운드된 형상은 스프링 암(19a, 19'a)의 연결 섹션(19c, 19'c)의 외부 형상에 대응한다.
베이스 섹션(39a)은 부착 부재(18)의 중앙 섹션(18a)의 라운드 외부 형상에 대해 조정되고, 상기 중앙 섹션(18a)은 장착된 상태에서 베이스 섹션(39a)에 상기 베이스 섹션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이 경우 중앙 섹션(18a)은 연결 부재(21)의 경우처럼, 베이스 섹션(39a)의 지지 섹션(39f) 상의 윙 섹션(39b, 39'b) 사이에 및 베이스 섹션(39a) 상의 슬리브 섹션(39c, 39'c; 39d, 39'd) 내에 놓인다.
관련 스프링 유닛(19, 19')은 이 경우에도, 각각의 윙 섹션(39b, 39'b) 아래의 연결 부재(39)의 베이스 섹션(39a)에 대해 평행하게 2개의 연결 섹션(39c, 39'c)이 연장되도록, 상기 연결 부재(39)에 연결되고, 이 경우 2개의 연결 섹션(19c, 19'c)의 내측 단부들은 각각 90°굴곡으로 위쪽으로 구부러진 후에 연결 아치(19d)로 이어진다. 연결 아치(19d)는 이 경우 슬리브 섹션(39c, 39'c; 39d, 39'd) 사이에서 연장되고, 갭이라고도 하는 축방향 간극(39e, 39'e) 내에 배치된다.
상기 갭을 통해 스프링 암 유닛(19, 19')이 연장되어, 갭 내에서 지지되므로, 부착 부재(18)의 중앙 섹션(18a)이 길이 방향으로 변위 시 미끄러져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 부재(39)가 스프링 유닛(19, 19')과 연결되고, 동시에 부착 부재(18)의 중앙 섹션(18a)과의 연결이 형성되고, 상기 부착 부재는 한편으로는 베이스 섹션(39a) 상에서 스프링 유닛(19, 19')의 연결 섹션(19c, 19'c)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추가로 슬리브 섹션(39c, 39'c; 39d, 39'd)을 통해서 그리고 스프링 유닛(19, 19')의 연결 아치(19d) 아래를 통해서 연장된다.
부착 부재(39)는 스페이서 섹션(22)은 물론 베이스 섹션(39a)의 길이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플랩을 갖고, 상기 플랩의 측면 섹션(22a)은 각각 스프링 암(19a, 19'a)과 접촉한다. 이러한 변형예에서도 스프링 유닛(19, 19')의 연결 섹션(19c, 19'c)은 스페이서 섹션(22)의 측면 섹션(22a)에 접촉한다. 스페이서 섹션(22)은 작동 시 내측을 향한, 즉 스페이서 섹션(22)을 향하는 각각 2개의 스프링 암의 측면 지지를 제공하고, 따라서 스프링 암(19a, 19'a)의 지지점을 규정한다.
도 5, 도 6 및 도 7에 따른 연결 인터페이스(20)의 제 1 변형예의 연결 부재(21)와 달리 윙 플랩으로 지칭될 수도 있는 2개의 윙 섹션(39b, 39'b)은 아치형으로 아래쪽으로 기울어지고, 한편으로는 스프링 암(19a, 19'a)의 아래쪽으로 틸팅 및 다른 한편으로 위쪽으로 스프링 암(19a, 19'a)이 미끄러져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조립 시 스프링 암 유닛(19, 19')은 슬리브 섹션(39c, 39'c; 39d, 39'd) 아래로 삽입되고, 일종의 플랩을 형성하는 측면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2개의 윙 섹션(39b, 39'b)이 상기 슬리브 섹션 내로 클립핑된다.
패드 지지 스프링(7, 7')은 그 단부에 각각 챔퍼(chamfer)를 갖는다. 이러한 챔퍼는 각각 브레이크 디스크(2)를 향하고, 익스팬더 장치(8)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는데 이용되고, 이 경우 브레이크 디스크(2)를 향하는 패드 지지 스프링(7, T)의 단부에 스프링 암(19a, 19'a)이 걸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챔퍼가 도시되지 않지만, 도 1, 도 21 내지 도 31, 도 33, 도 35 및 도 36에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도 40은 수용 개구(17a)와 스토퍼(40)를 가진 브레이크 캐리어 혼(17, 17')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1에 도 40에 따른 스토퍼(40)가 삽입된 브레이크 캐리어 혼(17, 17')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42는 도 40 및 41에 따른 스토퍼(40)의 확대된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디스크 브레이크(1)에 추후 개장을 위해 익스팬더 장치(8)가 제공되는 경우, 스토퍼(40)는 수용 개구(17a)를 폐쇄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브레이크 캐리어(6)에 각각 수용 개구(17a)를 가진 브레이크 캐리어 혼(17, 17')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캐리어(6)는 미리 장착될 수 있고, 미사용된 수용 개구(17a)는 각각의 스토퍼(40)에 의해 폐쇄되어 오염으로부터 보호된다. 스토퍼(40)는 또한 익스팬더 장치(8)의 유지 보수 및 교체 시에도 수용 개구(17a)의 일시적인 보호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스토퍼(40)는 바디(41)와 그립(42)을 갖는다. 바디(41)는 상부 그립 섹션(41a)과 하부 단부 섹션(41b)으로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41)는 그립 섹션(41a)으로부터 단부 섹션(41b)까지 길이 방향으로 테이퍼링 된다. 또한, 바디(41)는 원주 방향 비드(41c)를 갖고, 상기 비드 사이에 원주 방향 리세스(41d)가 배치된다. 비드(41c)와 리세스(41d)는 바디(41)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동축으로 상기 바디에 길이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된다.
바디(41)의 그립 섹션(41a)에는 그립(42)이 장착되어 있다. 그립(42)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부 자유 단부에 비드형 모서리가 제공된다. 그립(42)의 길이는 길이 방향으로 바디(41)의 길이에 대략 상응한다.
바디(41)의 평균 직경은 수용 개구(17a)의 내경에 대응한다.
스토퍼(40)의 재료는 내열성 플라스틱이다. 스토퍼(40)는 비드(41c)를 형성하는 플라스틱으로 둘레가 압출된 금속 코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드(41c)는 실질적으로 탄성적이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40)의 하단부(41b)가 먼저 브레이크 캐리어 혼(17, 17') 내의 수용 개구(17a)에 삽입된다. 바디(41)의 길이의 대략 3/4이 수용 개구(17a) 내에 수용된다. 탄성 비드들(17)은 함께 압축되고, 수용 개구(17a)의 내벽(43)과 접촉하여 주변에 대해 수용 개구(17a)의 밀봉부를 형성한다.
수용 개구(17a)는 여기에서 블라인드 홀로서 형성되고, 상부면에 스토퍼(40)처럼 부착 부재(18)의 고정 섹션(18e)의 용이한 삽입을 위한 챔퍼(44)를 갖는다. 수용 개구들(17a)은 관통 홀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또 다른 스토퍼(40)가 제공된다.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의 수용 개구들(4c, 4c')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 홀 및/또는 블라인드 홀로서 형성된다. 두 경우에 수용 개구들(4c, 4'c)은 부착 섹션(19b, 19'b)의 안정한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의 수용 개구들(4c, 4'c)은 예를 들어 브레이크 패드(3, 3')의 1/4, 1/3, 2/4, 2/3, 3/3 이상에 걸쳐, 또는 브레이크 패드(3, 3')의 (관통 홀로서) 전체 측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이 경우 부착 섹션(19b, 19b')의 길이는 수용 개구(4c, 4'c)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브레이크 패드(3, 3')의 전체 측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는 익스팬더 장치(8)의 힘 도입이 복귀를 위해 브레이크 패드(3, 3')에 가해진다.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의 수용 개구(4c, 4'c)가 블라인드 홀로서 형성되는 경우에, 부착 섹션(19b, 19'b)의 단부들은 각각의 블라인드 홀 바닥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부착 섹션(19b, 19'b)의 원주 방향 표면은 관련 수용 개구(4c, 4'c)의 각각의 내벽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부착 섹션(19b, 19'b)에 슬리브가 제공되고, 이러한 슬리브는 각각 부착 섹션(19b, 19'b) 위로 슬라이딩한다. 이는 도시되지 않지만, 간단하게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슬리브는 물론 부착 부재(18)의 고정 섹션(18e) 위로도 슬라이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수정이 가능하다.
1 브레이크 캘리퍼
2 브레이크 디스크
2a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
3, 3' 브레이크 패드
4, 4' 백킹 플레이트
4a 패드 측
4b, 4'b 가압 측
4c, 4'c 수용 개구
4d, 4'd 상부면
5, 5' 마찰 라이닝
6 브레이크 캐리어
7, 7' 패드 지지 스프링
7a 스프링 단부
7b 긴 홀
8 익스팬더 장치
9 개구
10 디스크 브레이크
11 체결 섹션
12 캘리퍼 백
13 타이 바
14, 15 지지 섹션
16 패드 지지 브래킷
17, 17' 브레이크 캐리어 혼
17a 수용 개구
18 부착 부재
18a 중앙 섹션
18b, 18c, 18d 연결 섹션
18e 고정 섹션
19, 19' 스프링 암 유닛
19a, 19'a 스프링 암
19b, 19'b 부착 섹션
19c, 19'c 연결 섹션
19d 연결 아치
19e, 19'e 아치형 섹션
19f, 19'; 19g, 19'g 연결 섹션
20 연결 인터페이스
21 연결 부재
21a 베이스 섹션
21b, 21'b 윙 섹션
21c, 21'c; 21d, 21'd1 슬리브 섹션
21e, 21'e 간극
21f 지지 섹션
22 스페이서 섹션
22a, 22'a 측면 섹션
22b 리세스
23 연결 부재
23a 베이스 섹션
23b, 23'b 윙 섹션
23c 지지 섹션
24 연결 부재
24a 베이스 섹션
24b, 24'b; 24d, 24'd 윙 섹션
24c, 24'c; 24e, 24'e 가이드 섹션
24f, 24'f 포크형 가이드
25 핀
26 가이드 부재
26a 핀
26b, 26'b 디스크 섹션
27 캐리어 섹션
27a, 27'a 아치형 섹션
28 연결 부재
28a 코일
29 연결 부재
29a 베이스 섹션
29b, 29'b 윙 섹션
29c, 29'c; 29d, 29'd 슬리브 섹션
29e, 29'e 간극
29f, 29'f 윙 섹션
29g, 29'g 가이드 섹션
30, 30' 지지 돌출부
31, 31' 실린더 핀
32, 32' 숄더
33 가이드 부재
33a 가이드 섹션
33b 가이드 수용부
34 단부 섹션
34a 긴 홀
35 모서리 섹션
35a 숄더
35b 가압면
35c 지지면
36 가이드 부재
36a 베이스 섹션
36b, 36c 벽 섹션
36d 지지 섹션
37 연결 부재
37a, 37'a; 37b, 37'b 슬리브 섹션
37c 간극
37d 관통 개구
38 연결 부재
38a 베이스 섹션
38b, 38'b 윙 섹션
38c, 38'c; 38d, 38'd 슬리브 섹션
38e, 38'e 간극
38f, 38'f 윙 섹션
38g, 38'g 가이드 섹션
39 연결 부재
39a 베이스 섹션
39b, 39'b 윙 섹션
39c, 39'c; 39d, 29'd 슬리브 섹션
39e, 39'e 간극
39f 지지 섹션
39g, 39'g 에지 섹션
39h, 39'h 접촉면
40 스토퍼
41 바디
41a 그립 섹션
41b 단부 섹션
41c 비드
41d 리세스
42 그립
43 내벽
44 챔퍼
A1, A'1, A2, A'2 부착 인터페이스
AS 출력 측
ES 입력 측

Claims (25)

  1. 상용차용 디스크 브레이크(10)로서, 브레이크 디스크(2) 위를 덮는, 슬라이딩 캘리퍼로서 형성된 브레이크 캘리퍼(1),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1) 내에 배치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각각 백킹 플레이트(4, 4')와 그 위에 고정된 마찰 라이닝(5, 5')을 가진 2개의 브레이크 패드(3, 3') 및 적어도 하나의 익스팬더 장치(8)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는 고정형 브레이크 캐리어(6)에 고정되고 브레이크 디스크(2)에 걸쳐 중앙 개구(9)를 가지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들 중 작용 측 또는 체결 측 브레이크 패드(3)는 체결 장치를 이용해서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피스톤을 통해 브레이크 디스크(2)에 대해 가압될 수 있고, 상기 익스팬더 장치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1)는 제동으로 인한 변위 및 제동의 해제 후에 복귀될 수 있고, 상기 익스팬더 장치(8)는 서로 대향하는 브레이크 패드(3, 3')에 작용하는 스프링 탄성의 스프링 유닛(19, 19')을 포함하고, 상기 익스팬더 장치(8)는 중앙 개구(9)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 유닛(19, 19')은 마찰 라이닝(5, 5')의 외부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중심에 대해 서로 이격 배치된, 브레이크 패드(3, 3')의 적어도 2개의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에 작용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유닛(19, 19')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 인터페이스(20)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21, 23, 24, 26, 28, 29, 38, 39)에 의해 고정형 부착 부재(1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21, 23, 24, 26, 28, 29, 38, 39)는 상기 부착 부재(18)의 중앙 섹션(18a)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21, 23, 24, 26, 28, 29, 38, 39)는 상기 부착 부재(18)의 중앙 섹션(18a)의 길이 방향 축을 향해 변위될 수 있는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39)는 아치형으로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윙 섹션(39b, 39'b)을 포함하고, 상기 윙 섹션 내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유닛(19, 19')이 클립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39)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39)의 베이스 섹션(39a)의 길이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플랩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섹션(22)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섹션(22)의 측면 섹션(22a, 22'a)은 스프링 유닛(19, 19')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21, 23, 24, 26, 28, 29, 38, 39)는 금속 스탬핑 굽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28)는 일종의 권선의 코일(28a)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 부재(18)는 상기 코일(28a)을 통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28)의 상기 코일(28a)은 상기 스프링 유닛(19, 19')의 스프링 암(19a, 19'a)의 섹션들의 코일(28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프링 유닛(19, 19')은 한 쌍의 스프링 암(19a, 19'a)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9)의 중심을 향하는 상기 스프링 암의 내측 단부들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프링 암(19a, 19'a)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암(19a, 19'a)의 각각의 쌍의 스프링 암(19a, 19'a)의 다른 단부들은 부착 섹션(19b, 19'b)을 갖고, 상기 부착 섹션들은 상기 브레이크 패드(3, 3')의 상기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에서 함께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3, 3')의 상기 백킹 플레이트(4, 4')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는 관통 홀로서 및/또는 블라인드 홀로서 형성된 수용 개구(4c, 4c')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개구(4c, 4c')는 보어로서 및/또는 긴 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는 핀(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16.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는 가이드 부재(3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17.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는 가이드 부재(36)가 제공되거나 제공되지 않은 숄더(3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18.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인터페이스(A1, A'1; A2, A'2)는 간접적으로 패드 지지 스프링(7, 7') 상의 브레이크 패드(3, 3')의 상기 백킹 플레이트(4, 4')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유닛(19, 19')과 상기 고정형 부착 부재(18)는 예를 들어 원형 횡단면을 갖는 와이어 재료, 특히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0)의 브레이크 패드 세트로서, 체결 측 브레이크 패드(3), 후면 측 브레이크 패드(3') 및 익스팬더 장치(8)를 포함하는 것인 브레이크 패드 세트.
  21.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3, 3')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패드 지지 스프링(7, 7')을 갖고, 상기 패드 지지 스프링은 단부에 각각 챔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22.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팬더 장치(8)가 제공되지 않거나 제거된 경우에, 브레이크 캐리어 혼(17, 17')의 수용 개구(17a)는 각각 스토퍼(40)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0)는 그립 섹션(41a)과 단부 섹션(41b)으로 원추형으로 형성된 바디(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41)는 원주 방향 비드(41)를 갖고, 상기 비드들 사이에 원주 방향 리세스(41d)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41)의 상기 그립 섹션(41a)은 그립(4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KR1020197020442A 2016-12-14 2017-12-13 상용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패드 세트 KR102244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24310.8 2016-12-14
DE102016124310.8A DE102016124310A1 (de) 2016-12-14 2016-12-14 Scheibenbremse für ein Nutzfahrzeug und Bremsbelagsatz
PCT/EP2017/082629 WO2018109012A1 (de) 2016-12-14 2017-12-13 Scheibenbremse für ein nutzfahrzeug und bremsbelagsa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386A true KR20190096386A (ko) 2019-08-19
KR102244571B1 KR102244571B1 (ko) 2021-04-23

Family

ID=60702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442A KR102244571B1 (ko) 2016-12-14 2017-12-13 상용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패드 세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962068B2 (ko)
EP (1) EP3555495A1 (ko)
JP (1) JP6880187B2 (ko)
KR (1) KR102244571B1 (ko)
CN (1) CN110199139B (ko)
AU (1) AU2017376561B2 (ko)
CA (1) CA3047185C (ko)
DE (1) DE102016124310A1 (ko)
MX (1) MX2019006993A (ko)
RU (1) RU2722516C1 (ko)
WO (1) WO20181090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007288A1 (de) * 2017-08-01 2019-02-07 Lucas Automotive Gmbh Bremssattelanordnung mit Belagrückstellfunktion
DE102018120512A1 (de) * 2018-08-22 2020-02-27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für ein Nutzfahrzeug und Bremsbelagsatz
EP3957876B1 (en) * 2018-12-18 2023-06-07 Volvo Truck Corporation Brake pad arrangement
DE102019103827B4 (de) * 2019-02-15 2023-08-17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mit einer Verschleißsensoreinrichtung, Verfahren zum Bestimmen eines Verschleißes von Bremsbelägen und Bremsscheibe einer Scheibenbremse, und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r Bremsbetätigung und einer Rückstellung einer Scheibenbremse
US11143255B2 (en) * 2019-05-09 2021-10-12 Arvinmeritor Technology, Llc Brake assembly having a retraction spring and method of assembly
DE102019131840A1 (de) * 2019-11-25 2021-05-27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für ein Nutzfahrzeug
KR20210105612A (ko) * 2020-02-19 2021-08-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EP3954919A1 (en) * 2020-08-11 2022-02-16 Meritor Heavy Vehicle Braking Systems (UK) Limited Brake assembly
CN112594305B (zh) * 2020-12-15 2022-05-27 万向钱潮(上海)汽车***有限公司 一种卡钳结构
US11649864B2 (en) 2021-06-11 2023-05-16 Arvinmeritor Technology, Llc Disc brake assembly having a sensor assembly attached to a retraction spring
DE102021121995A1 (de) * 2021-08-25 2023-03-02 Zf Cv Systems Europe Bv Scheibenbremse für ein Kraftfahrzeug
EP4386230A1 (en) 2022-12-14 2024-06-19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preading device for active caliper releas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104A (ja) * 1996-01-31 1997-08-12 Akebono Brake Ind Co Ltd ディスクブレーキのラトルスプリング
JPH1054431A (ja) * 1996-08-09 1998-02-24 Akebono Brake Ind Co Ltd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09537765A (ja) * 2006-05-22 2009-10-29 ワブコ ラドブレムセ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ディスクブレーキ、このようなディスクブレーキ用のパッド支持体および圧力板
US20100116600A1 (en) * 2008-11-07 2010-05-13 Knor-Bremse Systeme Fuer Nutzfahrzeuge Gmbh Fixedly connected pad retaining spring for a brake pad
US20100252370A1 (en) * 2007-10-01 2010-10-07 Knorr-Bremse Systeme Fuer Nutzfahrzeuge Gmbh Brake Pad Holder and Brake Pad of a Disc Brake
DE202016102686U1 (de) * 2015-06-15 2016-06-23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für ein Nutzfahrzeug und Bremsbelagsatz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92769A (ko) * 1967-11-22 1970-05-19
DE3108113A1 (de) * 1981-03-04 1982-09-16 FAG Kugelfischer Georg Schäfer & Co, 8720 Schweinfurt Teilbelagscheibenbremse
GB2257483B (en) * 1991-06-20 1995-04-26 Tokico Ltd Disk brake with return spring
DE59303761D1 (de) * 1992-01-28 1996-10-17 Teves Gmbh Alfred Schwimmsattel-scheibenbremse mit spreizfedern für die bremsbacken
US5549181A (en) * 1994-09-13 1996-08-27 Kelsey-Hayes Company Brake shoe retractor clip for disc brake assembly
EP1148265B1 (en) * 2000-04-18 2007-04-11 Freni Brembo S.p.A. A disk brake unit
US6378665B1 (en) * 2000-06-30 2002-04-30 Kelsey-Hayes Company Pad retraction spring for disc brake assembly
JP2003148525A (ja) * 2001-11-08 2003-05-21 Akebono Brake Ind Co Ltd ディスクブレーキ
US6719105B1 (en) * 2002-06-26 2004-04-13 Kelsey-Hayes Company Pad retraction spring for disc brake assembly
JP2004044635A (ja) 2002-07-09 2004-02-12 Nsk Ltd センサ付軸受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4062731A1 (de) * 2004-06-04 2005-12-2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Scheibenbremse mit Federanordung
JP4656027B2 (ja) * 2006-09-08 2011-03-23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ディスクブレーキ
DE102007001213B4 (de) 2007-01-05 2008-09-04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insbesondere für ein Nutzfahrzeug
JP2009127715A (ja) * 2007-11-21 2009-06-11 Akebono Brake Ind Co Ltd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用リターンスプリングの配置方法、リターンスプリング、および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DE102008051236A1 (de) * 2008-10-10 2010-04-15 Lucas Automotive Gmbh Scheibenbremse für eine Kraftfahrzeugbremsanlage und Belaghaltefederanordnung hierfür
DE102012006111A1 (de) 2012-03-26 2013-09-2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insbesondere für ein Nutzfahrzeug
JP5726151B2 (ja) * 2012-11-08 2015-05-27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US9261152B2 (en) 2013-05-14 2016-02-16 Akebono Brake Corporation Coiled spreader spr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104A (ja) * 1996-01-31 1997-08-12 Akebono Brake Ind Co Ltd ディスクブレーキのラトルスプリング
JPH1054431A (ja) * 1996-08-09 1998-02-24 Akebono Brake Ind Co Ltd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09537765A (ja) * 2006-05-22 2009-10-29 ワブコ ラドブレムセ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ディスクブレーキ、このようなディスクブレーキ用のパッド支持体および圧力板
US20100252370A1 (en) * 2007-10-01 2010-10-07 Knorr-Bremse Systeme Fuer Nutzfahrzeuge Gmbh Brake Pad Holder and Brake Pad of a Disc Brake
US20100116600A1 (en) * 2008-11-07 2010-05-13 Knor-Bremse Systeme Fuer Nutzfahrzeuge Gmbh Fixedly connected pad retaining spring for a brake pad
DE202016102686U1 (de) * 2015-06-15 2016-06-23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für ein Nutzfahrzeug und Bremsbelagsat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93133A1 (en) 2019-09-26
MX2019006993A (es) 2019-08-14
AU2017376561A1 (en) 2019-06-27
US10962068B2 (en) 2021-03-30
RU2722516C1 (ru) 2020-06-01
CN110199139B (zh) 2021-07-02
JP2020502435A (ja) 2020-01-23
WO2018109012A1 (de) 2018-06-21
CA3047185A1 (en) 2018-06-21
KR102244571B1 (ko) 2021-04-23
JP6880187B2 (ja) 2021-06-02
CN110199139A (zh) 2019-09-03
CA3047185C (en) 2021-08-10
DE102016124310A1 (de) 2018-06-14
BR112019011178A2 (pt) 2019-10-08
AU2017376561B2 (en) 2020-07-23
EP3555495A1 (de)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6386A (ko) 상용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패드 세트
KR102564131B1 (ko) 상용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라이닝 세트
KR20130004131A (ko) 디스크 브레이크
JP6818098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8533707A (ja) ディスクブレーキ、及びブレーキパッドのセット
KR20220163108A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JPH0261656B2 (ko)
KR102210584B1 (ko) 프레임 형상의 홀더에 견인 지지된 마찰 라이닝을 갖는 부분적으로 라이닝된 자동차 디스크 브레이크
JP2013545059A (ja) 摩擦ライニング磨耗警告装置を有する部分的にライニングされた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9507298A (ja) ディスクブレーキおよびブレーキパッドセット
KR20110125281A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JPH10220500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180114406A (ko)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
KR102209799B1 (ko) 디스크브레이크용 패드스프링 및 이를 갖춘 디스크브레이크
KR20210121689A (ko) 브레이크 장치
BR112019011178B1 (pt) Freio a disco para veículo utilitário e conjunto de pastilha de freio
KR20210097972A (ko) 커버 심 어셈블리
GB2316725A (en) Friction pad assembly
KR200281989Y1 (ko) 디스크 브레이크_
KR100451534B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이동안내장치
JPH0628369U (ja) ピンスライド型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5344839A (ja) ピンスライド型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KR20090084012A (ko) 차량용 디스크브레이크
KR20130006039U (ko) 디스크 브레이크용 캘리퍼
JPH0725339U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キャリパスライドガ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