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601A -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601A
KR20190086601A KR1020180000325A KR20180000325A KR20190086601A KR 20190086601 A KR20190086601 A KR 20190086601A KR 1020180000325 A KR1020180000325 A KR 1020180000325A KR 20180000325 A KR20180000325 A KR 20180000325A KR 20190086601 A KR20190086601 A KR 20190086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charging
external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수
공광식
안동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0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6601A/ko
Priority to US16/030,017 priority patent/US10663970B2/en
Publication of KR20190086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7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rmination, e.g. using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통신부,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센싱부, 디스플레이부 및 음향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1 외부장치로부터 충전소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외부장치와 다른 제2 외부장치로부터 운전자와 관련된 제2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정보,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해 센싱된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한편,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 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해 차량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자율 주행 자동차(Autonomous Vehicle)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차량에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을 할 때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는 전방에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토록 하는 전조등,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점등되는 브레이크등, 우회전 또는 좌회전 시 사용되는 방향지시등과 같이 램프를 이용하여 직접 발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ADAS(Advanced Driving Assist System)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짐에 따라, 차량 운행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와 안전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전기로 구동되는 전기차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짐에 따라, 전기차의 충전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 및 충전 시스템도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전기차의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소요됨에 따라, 종래에는 고려되지 않았던 전기차 충전시간과 관련된 차량 제어방법 및 충전시간동안 제공 가능한 서비스에 대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최적화된 방법으로 전기차의 충전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전기차를 충전하는 최적화된 충전소를 선택하도록 가이드하는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으 또 다른 일 목적은 전기차의 충전을 수행할 때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UI/UX(User Interface/User Experience)를 제공하고, 충전과 관련된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통신부,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센싱부, 디스플레이부 및 음향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1 외부장치로부터 충전소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외부장치와 다른 제2 외부장치로부터 운전자와 관련된 제2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정보,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해 센싱된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 내에 운전자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상기 출력부에 출력하거나, 상기 제4 정보가 상기 제2 외부장치에 출력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소와 관련된 제1 정보는, 현재 차량에서 충전소까지의 거리, 충전소 별 충전방식, 충전 가능한 충전기 개수, 충전 전력, 충전소별 제공 가능한 서비스 및 기 충전중인 타차량의 충전완료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와 관련된 제2 정보는, 상기 제2 외부장치에 기 설정된 운전자의 스 케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는, 목적지까지 주행 가능한 경로정보, 차량의 충전방식 및 차량의 충전 필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는, 경로정보를 따라 주행하는 중에 진입 가능한 충전소를 알리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 상기 차량과 상기 제2 외부장치 사이의 거리, 상기 제2 외부장치의 이동속도 및 충전 완료 예상시간, 현재 운전자의 위치에서 충전소로 복귀해야 하는 시간정보, 운전자가 상기 충전소로 복귀하는 예상시간, 상기 예상시간까지 차량이 충전될 예상 충전량과 관련된 정보, 카 쉐어링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목적지까지 이동 가능한 대중교통 정보 및 충전소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지도정보 및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경로정보를 따라 주행하는 중에 진입 가능한 충전소를 알리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상기 지도정보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충전소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충전소에서 충전이 가능하도록 충전 예약 요청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충전소의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충전소에서 충전을 시작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가 상기 제2 외부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외부장치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외부장치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차량과 제2 외부장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장치의 위치는 운전자의 위치에 대응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과 상기 제2 외부장치 사이의 거리, 상기 제2 외부장치의 이동속도 및 충전 완료 예상시간에 근거하여, 현재 운전자의 위치에서 충전소로 복귀해야 하는 시간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시간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현재 운전자의 위치에서 충전소로 복귀해야 하는 시간정보는, 충전 완료 예상시간에서 운전자가 충전소까지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뺀 시간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운전자와 관련된 제2 정보에 근거하여, 운전자가 상기 충전소로 복귀하는 예상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예상시간까지 차량이 충전될 예상충전량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충전소에서 충전을 시작한 이후 상기 차량과 상기 제2 외부장치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이 되는 것에 근거하여,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외부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차량과 관련된 기 설정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관련된 기 설정된 제어는, 차량의 문을 잠그는 동작,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수신하는 동작, 차량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에 타사용자가 접근하는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정보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스케줄 시간보다 충전 완료 예상시간이 더 늦은 경우, 충전소에 구비된 타차량을 일정시간 사용하는 카 쉐어링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 쉐어링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타차량의 제어권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타차량의 제어권을 상기 제2 외부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상기 타차량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수신한 타차량은,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에 대응되도록, 목적지까지 주행 가능한 경로정보 설정되고, 차량 세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정보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스케줄 시간보다 충전 완료 예상시간이 더 늦은 경우, 상기 차량을 충전시킨 후 상기 목적지까지 이동 가능한 대중교통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완료 예상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 전 또는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소와 관련된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소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거나, 상기 제2 외부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운전자와 관련된 제2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운전자가 차량을 이용하지 않는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시간 내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자율주행모드를 통해 어느 하나의 충전소로 차량을 자율주행시키고, 상기 충전소에서 충전을 수행하며, 상기 시간 내에 운전자의 위치로 자율주행을 통해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차량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충전소 정보,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정보에 근거하여, 최적화된 충전소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충전시간동안 운전자의 위치와 차량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최적화된 복귀시간을 알릴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운전자 스케줄 시간이 충전시간보다 빠른 경우, 운전자가 스케줄 시간에 도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 도 11, 도 12, 도 13a, 도 13b, 도 14, 도 15,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및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장치(51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주행 상황 정보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제공된 오브젝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수신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외부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정보,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이 자율 주행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행 시스템(700)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율 주행 차량(1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주차 시스템(750)에서 생성되는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차량(100)이 메뉴얼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차량(100)은 운행될 수 있다.
전장(overall length)은 차량(100)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의 길이, 전폭(width)은 차량(100)의 너비, 전고(height)는 바퀴 하부에서 루프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장 방향(L)은 차량(100)의 전장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폭 방향(W)은 차량(100)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고 방향(H)은 차량(100)의 전고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운행 시스템(7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센싱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제어부(170) 및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과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장치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차량(1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UI(User Interfaces) 또는 UX(User Experience)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입력부(210), 내부 카메라(220), 생체 감지부(230), 출력부(250) 및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입력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입력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프로세서(270)에 의해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차량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200)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의 일 영역, 시트(seat)의 일 영역, 각 필러(pillar)의 일 영역, 도어(door)의 일 영역, 센타 콘솔(center console)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head lining)의 일 영역, 썬바이저(sun visor)의 일 영역, 윈드 쉴드(windshield)의 일 영역 또는 윈도우(window)의 일 영역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음성 입력부(211), 제스쳐 입력부(212), 터치 입력부(213) 및 기계식 입력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폰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스쳐 입력부(212)는, 복수의 적외선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 또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TOF(Time of Flight) 방식, 구조광(Structured light) 방식 또는 디스패러티(Disparity)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부(213)는 디스플레이부(251)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1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스티어링 휠, 센테 페시아, 센타 콘솔, 칵픽 모듈, 도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카메라(220)는, 차량 내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 심박동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부(252) 및 햅틱 출력부(2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다양한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 입력부(213)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부착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면서, 소정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도를 가지기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TFEL(Thin Film Elecroluminescent),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투과형 투명디스플레이,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251a 내지 251g)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의 일 영역(521a, 251b, 251e), 시트의 일 영역(251d), 각 필러의 일 영역(251f), 도어의 일 영역(251g), 센타 콘솔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의 일 영역, 썬바이저의 일 영역에 배치되거나, 윈드 쉴드의 일영역(251c), 윈도우의 일영역(251h)에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52)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252)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출력부(25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25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프로세서(2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 외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오브젝트는, 차량(100)의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물체들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오브젝트(O)는, 차선(OB10), 타 차량(OB11), 보행자(OB12), 이륜차(OB13), 교통 신호(OB14, OB15), 빛, 도로, 구조물, 과속 방지턱, 지형물,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선(Lane)(OB10)은, 주행 차선, 주행 차선의 옆 차선, 대향되는 차량이 주행하는 차선일 수 있다. 차선(Lane)(OB10)은, 차선(Lane)을 형성하는 좌우측 선(Line)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타 차량(OB11)은, 차량(100)의 주변에서 주행 중인 차량일 수 있다. 타 차량은,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차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타 차량(OB11)은, 차량(100)보다 선행 또는 후행하는 차량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한 사람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OB12)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이륜차(OB12)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하고, 2개의 바퀴를 이용해 움직이는 탈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륜차(OB12)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2개의 바퀴를 가지는 탈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륜차(OB13)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일 수 있다.
교통 신호는, 교통 신호등(OB15), 교통 표지판(OB14), 도로면에 그려진 문양 또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빛은, 타 차량에 구비된 램프에서 생성된 빛일 수 있다. 빛은, 가로등에서 생성된 빛을 수 있다. 빛은 태양광일 수 있다.
도로는, 도로면, 커브, 오르막, 내리막 등의 경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은, 도로 주변에 위치하고, 지면에 고정된 물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은, 가로등, 가로수, 건물, 전봇대, 신호등,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지형물은, 산, 언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는, 이동 오브젝트와 고정 오브젝트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오브젝트는, 타 차량, 보행자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오브젝트는, 교통 신호, 도로,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적외선 센서(350) 및 프로세서(3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카메라(310)는, 차량 외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310)는, 모노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310a), AVM(Around View Monitoring) 카메라(310b) 또는 360도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프런트 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리어 글라스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리어 범퍼,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사이드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사이드 미러, 휀더 또는 도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310)는, 획득된 영상을 프로세서(370)에 제공할 수 있다.
레이다(320)는, 전자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파 발사 원리상 펄스 레이더(Pulse Radar) 방식 또는 연속파 레이더(Continuous Wave Rada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연속파 레이더 방식 중에서 신호 파형에 따라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방식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o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자파를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구동식 또는 비구동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차량(100) 주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비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광 스티어링에 의해, 차량(100)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차량(100)은 복수의 비구동식 라이다(33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광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초음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은, 초음파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적외선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40)는, 적외선 광을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전자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레이저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초음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적외선 광이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복수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및 적외선 센서(350) 각각은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 프로세서(3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내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4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는, 타 차량,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일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근거리 통신부(410), 위치 정보부(420), V2X 통신부(430), 광통신부(440), 방송 송수신부(450) 및 프로세서(4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유닛이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1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부(420)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닛이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부(4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V2X 통신부(430)는, 서버(V2I : Vehicle to Infra), 타 차량(V2V : Vehicle to Vehicle) 또는 보행자(V2P : Vehicle to Pedestrian)와의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유닛이다. V2X 통신부(430)는, 인프라와의 통신(V2I), 차량간 통신(V2V), 보행자와의 통신(V2P)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통신부(440)는, 광을 매개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이다. 광통신부(440)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하는 광발신부 및 수신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100)에 포함된 램프와 일체화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송 송수신부(450)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방송 관리 서버에 방송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유닛이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70)는, 통신 장치(4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복수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 장치(400)에 프로세서(4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통신 장치(4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와 함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 매틱스(telematics) 장치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메뉴얼 모드인 경우,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조향 입력 장치(510),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장치 또는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차량(100)내 각종 장치의 구동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 샤시 구동부(620), 도어/윈도우 구동부(630), 안전 장치 구동부(640), 램프 구동부(650) 및 공조 구동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 구동 장치(6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파워 트레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동력원 구동부(611) 및 변속기 구동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차량(100)의 동력원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에너지 기반의 모터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전진(D), 후진(R), 중립(N) 또는 주차(P)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변속기 구동부(612)는, 전진(D) 상태에서, 기어의 물림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샤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조향 구동부(621), 브레이크 구동부(622) 및 서스펜션 구동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1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차량(1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브레이크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휠에 걸리는 제동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차량(10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10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복수의 서스펜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차량(100) 내의 도어 장치(door apparatus) 또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도어 구동부(631) 및 윈도우 구동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도어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어의 개방,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트렁크(trunk) 또는 테일 게이트(tail gate)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썬루프(sunroof)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632)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윈도우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차량(100) 내의 각종 안전 장치(safety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에어백 구동부(641), 시트벨트 구동부(642) 및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641)는, 차량(100)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 구동부(641)는, 위험 감지시,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차량(100) 내의 시트벨트 장치(seatbelt appar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위험 감지시, 시트 밸트를 이용해 탑승객이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에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후드 리프트 및 보행자 에어백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보행자와의 충돌 감지시,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에어백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650)는, 차량(100) 내의 각종 램프 장치(lamp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100)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차량(100)의 각종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운행 시스템(700)은, 자율 주행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및 주차 시스템(750) 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운행 시스템(700)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하위 개념일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차량 구동 장치(600) 및 제어부(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맵(map)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 설정 따른 경로 정보, 경로 상의 다양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메모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하위 구성 요소로 분류될 수도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자세 센서(예를 들면, 요 센서(yaw sensor), 롤 센서(roll sensor), 피치 센서(pitch sensor)),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 자세 정보,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차량 외부 조도, 가속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인터페이스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4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제어부(170)의 하위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공급부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제어부(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100)은 차량 제어 장치(8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800)는, 도 7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봤을 때, 상기 차량 제어 장치(800)는 제어부(170)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 제어 장치(800)는, 제어부(170)와 독립된 별도의 구성일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800)가 제어부(170)와 독립된 구성요소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차량 제어 장치(800)는 차량(100)의 일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차량 제어 장치(800)는, 차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800)가 이동 단말기인 경우, 이동 단말기와 차량(100)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800)가 이동 단말기인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 제어 장치(800)를 제어부(170)와 독립된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차량 제어 장치(800)에 대하여 설명하는 기능(동작) 및 제어방법은, 차량의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차량 제어 장치(800)와 관련하여 설명한 모든 내용은, 제어부(170)에도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차량 제어 장치(800)는, 도 7에서 설명한 구성요소 및 차량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에서 설명한 구성요소 및 차량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별도의 명칭과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80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차량의 충전을 최적화된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차량은, 전기로 구동 및 주행되는 전기차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수소 차량, 태양열 차량 등 모든 종류의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제1 외부장치(910), 제2 외부장치(920) 및 차량(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부장치(910)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또는 주유소)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912a, 912b,…,912n)에 구비된 충전기 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통합 서버(또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부장치(910)는, 상기 충전소(912a, 912b,…,912n)별로 구비되어, 각 충전소에 구비된 구성요소(예를 들어, 충전기, 세차장 등)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서버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외부장치(910)는, 각 충전소(912a, 912b,…, 912n)별로 구비된 서버 또는 상기 서버들을 통합 관리하는 통합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외부장치(910)에는, 제2 외부장치(920) 또는 차량 제어 장치(800)(또는 차량(100))과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된 통신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외부장치(920)는, 운전자가 소유한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외부장치(920)는 무선 통신부, 입력부, 센싱부, 출력부, 인터페이스부, 메모리,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는, 제2 외부장치(92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제2 외부장치(920)와 다른 제2 외부장치(920) 사이, 또는 제2 외부장치(92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제2 외부장치(92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부장치(920)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방송을 수신하거나,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외부장치(920)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외부장치(920)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제2 외부장치(92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일 예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입력부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햅팁 모듈,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제2 외부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제2 외부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는 제2 외부장치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부장치(92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제2 외부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는 제2 외부장치(92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제2 외부장치(92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외부장치(92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제2 외부장치(92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2 외부장치(92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제2 외부장치(9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제2 외부장치(92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제2 외부장치(92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제1 외부장치(910) 및 제2 외부장치(92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차량(100)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차량 제어 장치(8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800)는 통신부(810), 센싱부(820), 출력부(830) 및 프로세서(8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810)는, 앞서 설명한 통신장치(400)일 수 있다. 통신부(810)는,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통신 가능한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장치와 무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810)는, 제1 외부장치(910)(예를 들어, 전기충전소에 존재하는 서버, 또는 복수의 서버를 관리하는 통합 서버)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통신부(810)와 제1 외부장치(910)는, 상호 데이터, 정보, 제어권, 제어명령, 제어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 제어 장치(800)(또는 차량(100))와 제2 외부장치(920)는, 통신부(810)를 통해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800)와 제2 외부장치(920)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상호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 연결되거나, 이전에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적이 있으면, 상기 제2 외부장치(920)가 상기 차량 내부로 진입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호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800)와 제2 외부장치(920)는, 제2 외부장치(920)와 차량(100)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호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810)는, 차량 내(또는 차량 제어 장치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별도의 모듈 형태로 형성되어 차량의 구성요소와 통신(또는 전기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800)는, 통신부(810)를 통해 제2 외부장치(9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제어 장치(800)는 통신부(810)를 통해 제2 외부장치(920)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2 외부장치(9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외부장치(920)는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기능/동작/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본 발명은 제2 외부장치(920)가 차량 제어 장치(800)(또는 차량(100))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외부장치(920)는 차량 제어 장치(800)로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차량 제어 장치(800)는, 제2 외부장치(92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기능/동작/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810)는, 차량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외부 서버, 클라우드 서버(또는, 클라우드), 인터넷 등)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810)는, 타차량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810)는, 외부 장치로부터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외부 장치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는, 목적지를 촬영한 이미지, 목적지의 위치, 목적지의 종류, 목적지가 건물에 포함된 경우 건물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해당 건물의 구조 및 각 층별로 입점한 매장 정보), 목적지의 주차장과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810)는, 외부 장치로부터 차량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건물과 관련된 정보, 공터와 관련된 정보 및 주차장과 관련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의 수신은, 일 예로, 프로세서(87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거나, 외부 장치의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810)는, 차량(1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있다. 통신부(810)는, 위치 정보부(420) 또는 V2X 통신부(430)를 통해 차량의 현재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810)는, 위치 정보부에 포함된 GPS 모듈을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V2X 통신부(430)를 통해 타차량 또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인프라)로부터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810)는, 차량 내(또는 차량 제어 장치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차량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모듈 형태로 형성되어 차량의 구성요소와 통신(또는 전기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800)는, 센싱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820)는, 도 7에서 설명한 오브젝트 검출장치(300)일 수도 있고, 차량(100)에 구비된 센싱부(120)일 수 있다.
상기 센싱부(820)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일 예로, 차량 내부를 촬영하도록 형성된 내부 카메라 및 차량 외부를 촬영하도록 형성된 외부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820)는, 내부 카메라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시선 방향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820)는, 외부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외부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싱부(820)는, 상기 오브젝트 검출장치(300)에 포함된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센서(340), 적외선 센서(350), 센싱부(120) 중 적어도 두 개가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센싱부(820)는, 본 발명의 차량(100)과 관련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는, 차량 정보(또는, 차량의 주행 상태) 및 차량의 주변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정보는, 차량의 주행속도, 차량의 무게, 차량의 탑승인원, 차량의 제동력, 차량의 최대 제동력, 차량의 주행모드(자율주행모드인지 수동주행인지 여부), 차량의 주차모드(자율주차모드, 자동주차모드, 수동주차모드), 차량 내에 사용자가 탑승해있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주변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이 주행중인 노면의 상태(마찰력), 날씨, 전방(또는 후방) 차량과의 거리, 전방(또는 후방) 차량의 상대속도, 주행중인 차선이 커브인 경우 커브의 굴곡률, 차량 주변밝기, 차량을 기준으로 기준영역(일정영역) 내에 존재하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 상기 일정영역으로 객체가 진입/이탈하는지 여부, 차량 주변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주변정보(또는 주변 환경정보)는, 차량의 외부 정보(예를 들어, 주변밝기, 온도, 태양위치, 주변 피사체(사람, 타차량, 표지판 등) 정보, 주행중인 노면의 종류, 지형지물, 차선(Line) 정보, 주행차로(Lane) 정보), 자율주행/자율주차/자동주차/수동주차 모드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변정보는,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객체(오브젝트)와 차량(100)까지의 거리, 상기 객체의 종류, 차량이 주차 가능한 주차공간, 주차공간을 식별하기 위한 객체(예를 들어, 주차선, 노끈, 타차량, 벽 등)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는, 차량 내에 구비된 거치대에 이동 단말기가 거치되었는지 여부, 차량 내에 이동 단말기가 진입했는지(존재하는지) 여부 또는 차량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에 이동 단말기가 진입했는지(존재하는지) 여부, 이동 단말기와 차량 제어 장치가 통신 연결되었는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820)를 통해 센싱된 차량과 관련된 정보들은, 차량의 자율주행을 위한 자율주행모드에서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센싱부(820)를 통해 센싱된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을 자율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센싱부(820)는,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의 잔여량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820)는, 차량에서 동작중인 구성(예를 들어, 시트의 열선, 에어컨, 와이퍼, 램프 등)에 근거하여, 현재 배터리의 잔여량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를 센싱(결정,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800)는, 출력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830)는, 도 7에서 설명한 출력부(250)일 수 있다.
상기 출력부(830)는, 디스플레이부(251) 및 음향 출력부(2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830)는, 차량에 구비된 출력부와, 제2 외부장치(920)의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출력부(830)는, 상기 차량에 구비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신 연결된 제2 외부장치(920)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에 구비된 출력부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부(252) 및 햅틱 출력부(2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부(252)는, 차량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차량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출력부(830)는 통신부(810)를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 외부장치(920)의 출력부(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음향 출력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870)는, 외부 서버로부터 정보가 수신되면, 통신부(810)를 통해 제2 외부장치(920)의 출력부에서 상기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외부장치(920)는,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 제2 외부장치(920)일 수도 있고, 차량 외부에 존재하는 제2 외부장치(92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외부장치(920)는, 운전자(또는 차량 소유주)가 소유한 이동 단말기로, 본 차량(100)의 소유주와 동일한 소유주의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외부장치(920)는, 본 차량(100)(또는 차량 제어 장치(800))과 통신 수행이 가능하도록 기 승인되어 있는(또는 연결되었던 이력이 있는)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외부장치(920)의 소유주는 차량(100) 소유주와 다른 사람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51)는, 통신장치(400)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출력부(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1)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부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251)는, 윈드 쉴드 및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서(870)가 디스플레이부(251)에 어느 정보(또는 그래픽 객체)를 출력한다는 것은, 윈드쉴드에 상기 어느 정보(또는 그래픽 객체)를 출력한다는 것 또는 윈도우에 상기 어느 정보(또는 그래픽 객체)를 출력한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1)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의 일 영역(251a, 251b, 251e), 시트의 일 영역(251d), 각 필러의 일 영역(251f), 도어의 일 영역(251g), 센타 콘솔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의 일 영역, 썬바이저의 일 영역에 배치되거나, 윈드 쉴드의 일영역(251c), 윈도우의 일영역(251h)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51)는, 클러스터(Cluster),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 네비게이션 장치 및 HUD(Head-Up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100)(또는 차량 제어 장치(8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부(210)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100)(또는 차량 제어 장치(800))과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차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51)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870)는, 차량과 관련된 정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51)의 서로 다른 위치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목적지의 위치와 운전자의 시선에 근거하여, 그래픽 객체를 기 설정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부(251)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51)는, 내비게이션 시스템(770)(또는 내비게이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51)는,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제어 장치(800)는, 통신부(810), 센싱부(820) 및 출력부(830) 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프로세서(8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통신부(810)를 통해 제1 외부장치(예를 들어, 충전소와 관련된 서버)로부터 충전소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외부장치(예를 들어,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운전자와 관련된 제2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센싱부(820)를 통해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제1 정보,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운전자에게 최적화된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 도 11, 도 12, 도 13a, 도 13b, 도 14, 도 15,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및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 제어 장치(800)에 포함된 프로세서(870)는,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것에 근거하여, 통신부(810)를 통해 충전소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제1 외부장치(910)로부터 수신하고(S1002), 운전자와 관련된 제2 정보를 제2 외부장치(9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1004).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차량의 충전이 필요한 조건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차량의 배터리 잔여량이 기준값보다 적어지는 경우,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주행하는데 필요한 배터리양이 현재 차량의 배터리 잔여량보다 더 많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것에 근거하여, 센싱부(820)를 통해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S1006).
상기 충전소와 관련된 제1 정보는, 현재 차량에서 충전소까지의 거리, 충전소 별 충전방식, 충전 가능한 충전기 개수, 충전 전력, 충전소별 제공 가능한 서비스 및 기 충전중인 타차량의 충전완료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와 관련된 제2 정보는, 상기 제2 외부장치에 기 설정된 운전자의 스케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는, 목적지까지 주행 가능한 경로정보, 차량의 충전방식, 배터리 소모속도 및 차량의 충전 필요량(또는, 현재 차량의 배터리 잔여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통신부(810)를 통해 수신된 충전소와 관련된 제1 정보와 운전자와 관련된 제2 정보, 및 센싱부(820)를 통해 센싱된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008).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는, 경로정보를 따라 주행하는 중에 진입 가능한 충전소를 알리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 상기 차량과 상기 제2 외부장치 사이의 거리, 상기 제2 외부장치의 이동속도 및 충전 완료 예상시간, 현재 운전자의 위치에서 충전소로 복귀해야 하는 시간정보, 운전자가 상기 충전소로 복귀하는 예상시간, 상기 예상시간까지 차량이 충전될 예상 충전량과 관련된 정보, 카 쉐어링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목적지까지 이동 가능한 대중교통 정보 및 충전소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는, 프로세서(870)가 출력부(830)에 출력하거나 제2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모든 종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제4 정보가 생성되면, 센싱부(820)를 통해 차량 내에 운전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S101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차량 내에 운전자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출력부(830)에 출력하거나, 상기 제4 정보가 상기 제2 외부장치에 출력되도록 통신부(8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에 운전자가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서(870)는, 상기 생성된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차량에 구비된 출력부(8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1012).
다른 예로, 차량 내에 운전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870)는, 상기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가 제2 외부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제4 정보를 통신부(810)를 통해 제2 외부장치(920)로 전송할 수 있다(S1014).
이 경우, 제2 외부장치(920)의 출력부에는, 상기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는, 제1 내지 제3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은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와 운전자와 관련된 정보와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화된 충전소를 알리는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은 운전자가 차량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충전소를 알리는 정보를 차량에 구비된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거나,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제2 외부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870)는, 출력부(830)의 디스플레이부(251)에 지도정보 및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1102).
상기 프로세서(870)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목적지가 설정되면, 현재 차량의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주행 가능한 경로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경로정보를 지도정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제1 내지 제3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경로정보를 따라 주행하는 중에 진입 가능한 충전소를 알리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지도정보 상에 출력할 수 있다(S1104).
일 예로, 프로세서(870)는,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거나(예를 들어, 목적지까지 주행하는데 필요한 배터리양이 현재 배터리 잔여량보다 많은 경우), 사용자 요청이 수신되면, 제1 내지 제3 정보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충전소를 알리는 그래픽 객체를 지도정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870)는, 상기 설정된 경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경로정보를 따라 주행하는 중에 진입 가능한 충전소를 알리는 그래픽 객체를 선별적으로 지도정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경로정보를 따라 주행하는 중에 진입 가능한 충전소는, 일 예로, 경로정보에 대응되는 경로를 벗어나지 않고(즉, 유턴,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수행하지 않고), 주행 중 바로 진입 가능한 충전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된 충전소는, 차량의 배터리 잔여량, 충전소와 차량 사이의 거리, 차량 배터리 소모속도, 충전 속도, 충전 시간 및 운전자 스케줄을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결정된 충전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3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된 충전소는, 운전자의 스케줄 시간 이전에 충전을 완료할 수 있는 충전소이거나, 목적지까지 주행하는데 필요한 배터리양만큼 충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충전소에서 목적지까지 주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합친 시간이 운전자의 스케줄 시간보다 빠를 수 있는 충전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된 충전소는, 사용자에 의해 적용된 필터링 요소에 대응되는(부합하는) 충전소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상기 경로정보를 따라 주행하는 중에 진입 가능한 충전소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다음 스케줄 시간 이전에 충전을 완료할 수 있는 충전소 또는 충전소의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소요되는 시간과 충전 시간을 합친 시간이 운전자 스케줄 시간보다 빠른 조건을 만족하는 충전소를 알리는 그래픽 객체를 지도정보 상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870)는, 각 조건을 만족하는 충전소별로 서로 구분되도록 서로 다른 표시방식의 그래픽 객체를 지도정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S1108), 프로세서(870)는, 제1 외부장치(910)로부터 수신된 충전소와 관련된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충전소와 관련된 제1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51)에 출력할 수 있다(S1108).
이 때,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충전소와 관련된 제1 정보는, 지도정보 상에 중첩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충전소에서 충전이 가능하도록 충전 예약 요청을 통신부(810)를 통해 상기 충전소의 서버(예를 들어, 제1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1110).
상기 충전소의 서버(또는 제1 외부장치)는, 상기 충전 예약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충전소에서 본 차량(100)의 충전 예약을 완료할 수 있다(S1112).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운전자의 스케줄을 고려하여 충전 가능한 충전소를 다양한 방식으로 운전자에게 알리고, 운전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충전소가 선택되면, 자동으로 충전소 예약을 수행하여 충전소 진입 직후 바로 충전을 시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충전소와 관련된 제1 정보가 디스플레이부(251)에 출력될 수 있다(S1202).
상기 충전소와 관련된 제1 정보는, 차량이 충전소에 도착하기 이전, 충전소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출력될 수 있으며, 차량이 충전소에 도착한 후에도 차량의 디스플레이부(251)에 출력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870)는, 센싱부(820)를 통해 충전소에서 차량의 충전이 시작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S1204).
이후, 프로세서(870)는, 차량(100)이 충전소에서 충전을 시작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충전과 관련된 제4정보가 제2 외부장치(920)에서 출력되도록, 통신부(810)를 제어할 수 있다(S1206).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차량의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가 출력중인 상태에서, 차량의 충전이 시작되면, 상기 제4 정보가 제2 외부장치(920)에서 출력되도록, 통신부(810)를 통해 상기 제4 정보를 제2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외부장치(920)의 출력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출력되던 제4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전기차의 충전 소요 시간은, 기존의 가솔린 또는 디젤에 비해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일 예로, 2시간~7시간 정도 소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충전이 시작된 후 운전자는 충전소를 벗어날 경우가 많을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은 운전자의 위치와 충전예상완료시간에 근거하여 최적화된 시점에 운전자의 충전소 복귀를 제안하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통신부(810)를 통해 제2 외부장치(920)(예를 들어,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상기 제2 외부장치(920)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차량(100)과 제2 외부장치(920)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통신부(810)를 통해 차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와 제2 외부장치(920)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차량과 제2 외부장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외부장치(920)는,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외부장치의 위치는, 운전자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제2 외부장치(920)로부터 일정시간마다(또는 주기적으로, 또는 항상 또는 사용자 요청이 있는 경우), 제2 외부장치(920)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위치정보를 수신한 시간과 해당 시간별 위치정보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제2 외부장치의 이동속도(즉, 운전자의 이동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차량과 제2 외부장치 사이의 거리, 제2 외부장치의 이동속도 및 충전 완료 예상시간에 근거하여, 현재 운전자의 위치에서 충전소로 복귀해야 하는 시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산출된 시간정보를 통신부(810)를 통해 제2 외부장치(9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운전자의 위치에서 충전소로 복귀해야 하는 시간정보는, 운전자가 차량의 충전완료 예상시간에 맞추어 충전소로 복귀하기 위해 현재 위치에서 충전소로 출발해야 하는 시간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운전자의 위치에서 충전소로 복귀해야 하는 시간정보는, 도 1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충전 완료 예상시간에서 운전자가 충전소로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뺀 시간에 근거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870)는, 현재 배터리 충전 필요량과, 충전소의 충전기 충전속도(또는 충전 전력)에 근거하여, 충전 완료 예상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제2 외부장치의 이동속도와 차량과 제2 외부장치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운전자가 현재 위치에서 충전소까지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예상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충전 완료 예상시간에서 운전자가 충전소까지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예상시간을 뺀 시간을, 현재 운전자의 위치에서 충전소로 복귀해야 하는 시간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시간정보에 대응되는 시간은, 차량의 충전이 진행중인 시간이며, 운전자가 충전소까지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예상시간을 고려하여 충전이 완료되기 이전에 운전자에게 복귀할 것을 제안하는 시간일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현재 운전자의 위치에서 충전소로 복귀해야 하는 시간정보에 대응되는 시간에 충전소로 복귀할 것을 알리는 알림정보를 통신부(810)를 통해 제2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시간정보에 대응되는 시간에 운전자가 제2 외부장치를 통해 상기 알림정보를 수신하여 충전소로 복귀를 시작하면, 운전자는 충전 완료 예상시간을 기준으로 일정시간 이내에 충전소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운전자가 충전소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이격된 장소로 이동한 경우, 충전 완료 시간에 맞추어 복귀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시점에 운전자에게 복귀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충전소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이격된 운전자에게 복귀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운전자와 관련된 제2 정보(예를 들어, 스케줄 정보)에 근거하여, 운전자가 충전소로 복귀하는 예상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870)는, 상기 예상시간까지 차량이 충전될 예상 충전량과 관련된 정보를 통신부(810)를 통해 제2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870)는, 운전자와 관련된 제2 정보(스케줄 정보)에 근거하여, 스케줄 시간에서 충전소에서 목적지까지 소요예상시간을 뺀 시간을 운전자가 충전소로 복귀하는 예상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충전소로 복귀하는 예상시간(t1)은, 도 1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운전자가 스케줄을 시간 내에 도착하기 위해 충전소에서 차량을 출발해야 하는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충전소로 복귀하는 예상시간(t1)이 충전 완료 예상시간보다 이전인 경우, 프로세서(870)는, 상기 예상시간까지 차량이 충전될 예상 충전량과 관련된 정보를 통신부(810)를 통해 제2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상기 스케줄에 시간 내에 도착하기 위해 충전소에서 차량을 출발해야 하는 시간정보(t1)도 통신부(810)를 통해 제2 외부장치(9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870)는, 상기 충전소에서 차량을 출발해야 하는 시간정보(t1)까지 충전될 예상 충전량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상기 시간정보(t1)까지 급속 충전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1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870)는, 차량(100)이 충전소에서 충전을 시작한 이후 차량과 제2 외부장치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이 되는 것에 근거하여,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통신부(810)를 통해 제2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9870)는, 차량과 제2 외부장치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 미만인 경우, 상기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차량에 구비된 출력부(83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차량과 제2 외부장치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 미만인 경우라도, 사용자 요청이 수신되면,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통신부(810)를 통해 제2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870)는, 차량(100)이 충전소에서 충전을 시작한 이후 차량과 제2 외부장치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이 되는 것에 근거하여, 차량과 관련된 기 설정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과 관련된 기 설정된 제어는, 차량의 문을 잠그는 동작,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수신하는 동작, 차량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에 타사용자가 접근하는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운전자가 차량의 충전이 시작된 이후 차량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멀어지더라도, 차량을 보호하는 최적화된 동작을 수행하고,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운전자가 쉽게 파악하도록 제2 외부장치로 상기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충전 완료 예상시간이 운전자의 스케줄 시간보다 더 늦은 경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프로세서(870)는, 운전자 스케줄 시간보다 충전 완료 예상시간이 더 늦는지 판단할 수 있다(S1402).
만약, 운전자 스키줄 시간보다 충전 완료 예상시간이 더 빠른 경우, 프로세서(870)는,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충전소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출력부(8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1416).
한편, 프로세서(87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정보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스케줄 시간보다 충전 완료 예상시간이 더 늦은 경우, 충전소에 구비된 타차량을 일정시간 사용하는 카 쉐어링(car sharing)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부(8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870)는, 운전자의 스케줄 시간보다 충전 완료 예상시간이 더 늦은 경우, 제1 외부장치(또는 충전중인 충전소의 서버)로부터 카 쉐어링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수신할 수 있다(S1404).
상기 카 쉐어링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는, 해당 충전소에 구비된 타차량의 종류, 예약시간, 사용가능시간, 이용요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870)는, 카 쉐어링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근거하여, 제1 외부장치(910)로부터 타차량의 제어권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타차량의 제어권을 제2 외부장치(920)로 전송하며,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상기 타차량으로 전송하도록 통신부(8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870)는, 선택된 타차량의 제어권을 제1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타차량의 제어권을 통신부(810)를 통해 제2 외부장치(운전자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통신부(810)를 통해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상기 타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수신한 타차량은,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에 대응되도록, 목적지까지 주행 가능한 경로정보 설정되고, 차량 세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에 대응되도록 차량 세팅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시트의 위치, 시트의 각도, 사이드미러/룸미러의 각도 등이 본 차량(100)에 설정된 상태에 대응되도록 설정(변경)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870)는, 카 쉐어링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이용 가능한 타차량이 선택되면(S1406), 상기 선택된 타차량 정보와, 본 차량(100)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제1 외부장치(910)로 전송할 수 있다(S1408).
상기 제1 외부장치(910)는, 상기 수신된 타차량 정보와 상기 제3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타차량을 제3 정보에 대응되도록 세팅할 수 있다(S1410).
즉,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수신한 타차량은,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에 대응되도록, 목적지까지 주행 가능한 경로정보 설정되고, 차량 세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외부장치(910)는, 상기 타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권을 제2 외부장치(920)(또는 차량 제어 장치(800))로 전송할 수 있다(S1412).
상기 제2 외부장치(920)에 전송된 제어권을 이용하여, 운전자는, 제2 외부장치(920)를 이용하여 타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S1414).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차량의 충전완료예상시간이 스케줄 시간보다 더 뒤인 경우라도, 타차량을 이용하여 스케줄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정보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스케줄 시간보다 충전 완료 예상시간이 더 늦은 경우, 상기 차량을 충전시킨 후 상기 목적지까지 이동 가능한 대중교통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차량이 충전중인 충전소에서 스케줄 정보에 대응되는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대중교통 정보(예를 들어, 지하철, 버스 등)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거나, 택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목적지를 제3 정보에 근거하여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충전 완료 예상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 전 또는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소와 관련된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소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거나, 상기 제2 외부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S1416).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충전 완료 예상시간까지 스케줄 정보가 없거나, 스케줄 시간에서 충전소부터 스케줄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뺀 시간이 충전 완료 예상시간보다 뒤인 경우, 충전소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정보(예를 들어, 세차, 정기점검, 부품교환 등)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거나, 제2 외부장치에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충전소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정보는, 차량 내에 운전자가 존재하는 경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고, 차량 내에 운전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외부장치에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 제어 장치는, 차량을 자율주행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운전자와 관련된 제2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운전자가 차량을 이용하지 않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상기 시간 내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자율주행모드를 통해 어느 하나의 충전소로 차량을 자율주행시키고, 상기 충전소에서 충전을 수행하며, 상기 시간 내에 운전자의 위치로 자율주행을 통해 복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은 도 15 내지 도 17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1)에는, 지도정보 및 기 설정된 경로정보(1500)가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충전소와 관련된 제1 정보, 운전자와 관련된 제2 정보 및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에 근거하여, 경로정보를 따라 주행하는 중에 진입 가능한 충전소를 알리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1510a, 1520a, 1530a)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830)에는, 상기 충전소와 관련된 제1 정보(1510b, 1520b, 1530b)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전소와 관련된 제1 정보는, 충전소 이름, 충전소별 도착 예상시간, 예약 가능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충전소에는 충전 예약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프로세서(870)는, 사용자로부터 충전소를 검색하는데 필요한 필터링 요소(또는 검색시 표시할 상세정보)를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링 요소는, 거리, 본 차량의 충전 방식을 지원하는지 여부, 충전기수, 충전시간, 급속충전 지원, 예상요금(충전 완료시), 카쉐어링 서비스 지원 여부 및 요금, 공식충전소인지, 비공식 충전소인지, 충전완료안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링 요소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251)(또는 제2 외부장치(910))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251)에는, 상기 필터링 요소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알리는 그래픽 객체(또는 아이콘)(1730)이 지도정보(1700)상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지도정보(1700)에는, 현재 내 차량의 위치를 알리는 정보(1720), 상기 필터링 요소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알리는 그래픽 객체(또는 아이콘)(1730)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상기 필터링 요소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들 중 가장 많은 필터링 요소(또는 운전자가 설정한 최우선 요소)에 부합하는 충전소별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우선순위별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상기 충전소를 알리는 그래픽 객체(173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충전소까지 주행 가능한 경로정보(1710)를 상기 지도정보(170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충전소 정보,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정보에 근거하여, 최적화된 충전소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충전시간동안 운전자의 위치와 차량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최적화된 복귀시간을 알릴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운전자 스케줄 시간이 충전시간보다 빠른 경우, 운전자가 스케줄 시간에 도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차량 제어 장치(800)는, 차량(1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차량 제어 장치(800)의 동작 또는 제어방법은, 차량(100)(또는 제어부(170))의 동작 또는 제어방법으로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는,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갈음하거나,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각 단계는, 차량 제어 장치(800)뿐만 아니라, 차량(100)에 구비된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살펴본 차량제어장치(800)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 구성 또는 제어방법들은, 차량(100)에 구비된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모든 제어방법은, 차량의 제어방법에 적용될 수도 있고,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에 적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위에서 살펴본 차량 제어 장치(800)는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량 제어 장치(800)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 구성 또는 제어방법들은,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모든 제어방법들은,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스마트폰 형태뿐만 아니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예를 들어, 와치, 글래스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통신부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모든 종류의 화면정보, 차량 제어와 관련된 신호 및 사용자 입력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모든 종류의 화면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터치(또는 선택)이 수행되면, 터치(선택)된 정보를 차량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터치된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기어가 변경되거나 차량의 주행상태가 변경되면, 차량 제어 장치는, 차량의 기어 변경 또는 차량의 주행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에 출력된 주차와 관련된 화면정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내용을 적용하여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통신부;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센싱부;
    디스플레이부 및 음향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1 외부장치로부터 충전소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외부장치와 다른 제2 외부장치로부터 운전자와 관련된 제2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정보,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해 센싱된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 내에 운전자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상기 출력부에 출력하거나, 상기 제4 정보가 상기 제2 외부장치에 출력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소와 관련된 제1 정보는,
    현재 차량에서 충전소까지의 거리, 충전소 별 충전방식, 충전 가능한 충전기 개수, 충전 전력, 충전소별 제공 가능한 서비스 및 기 충전중인 타차량의 충전완료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와 관련된 제2 정보는, 상기 제2 외부장치에 기 설정된 운전자의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는, 목적지까지 주행 가능한 경로정보, 차량의 충전방식 및 차량의 충전 필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는,
    경로정보를 따라 주행하는 중에 진입 가능한 충전소를 알리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 상기 차량과 상기 제2 외부장치 사이의 거리, 상기 제2 외부장치의 이동속도 및 충전 완료 예상시간, 현재 운전자의 위치에서 충전소로 복귀해야 하는 시간정보, 운전자가 상기 충전소로 복귀하는 예상시간, 상기 예상시간까지 차량이 충전될 예상 충전량과 관련된 정보, 카 쉐어링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목적지까지 이동 가능한 대중교통 정보 및 충전소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지도정보 및 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경로정보를 따라 주행하는 중에 진입 가능한 충전소를 알리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상기 지도정보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충전소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충전소에서 충전이 가능하도록 충전 예약 요청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충전소의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충전소에서 충전을 시작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가 상기 제2 외부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외부장치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외부장치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차량과 제2 외부장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장치의 위치는 운전자의 위치에 대응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과 상기 제2 외부장치 사이의 거리, 상기 제2 외부장치의 이동속도 및 충전 완료 예상시간에 근거하여, 현재 운전자의 위치에서 충전소로 복귀해야 하는 시간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시간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운전자의 위치에서 충전소로 복귀해야 하는 시간정보는, 충전 완료 예상시간에서 운전자가 충전소까지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뺀 시간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운전자와 관련된 제2 정보에 근거하여, 운전자가 상기 충전소로 복귀하는 예상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예상시간까지 차량이 충전될 예상충전량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충전소에서 충전을 시작한 이후 상기 차량과 상기 제2 외부장치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이 되는 것에 근거하여, 차량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외부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차량과 관련된 기 설정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관련된 기 설정된 제어는,
    차량의 문을 잠그는 동작,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수신하는 동작, 차량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에 타사용자가 접근하는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정보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스케줄 시간보다 충전 완료 예상시간이 더 늦은 경우, 충전소에 구비된 타차량을 일정시간 사용하는 카 쉐어링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 쉐어링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타차량의 제어권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타차량의 제어권을 상기 제2 외부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상기 타차량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수신한 타차량은,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제3 정보에 대응되도록, 목적지까지 주행 가능한 경로정보 설정되고, 차량 세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정보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스케줄 시간보다 충전 완료 예상시간이 더 늦은 경우, 상기 차량을 충전시킨 후 상기 목적지까지 이동 가능한 대중교통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완료 예상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 전 또는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소와 관련된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소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거나, 상기 제2 외부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운전자와 관련된 제2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운전자가 차량을 이용하지 않는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시간 내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자율주행모드를 통해 어느 하나의 충전소로 차량을 자율주행시키고, 상기 충전소에서 충전을 수행하며, 상기 시간 내에 운전자의 위치로 자율주행을 통해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80000325A 2018-01-02 2018-01-02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90086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325A KR20190086601A (ko) 2018-01-02 2018-01-02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6/030,017 US10663970B2 (en) 2018-01-02 2018-07-09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i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325A KR20190086601A (ko) 2018-01-02 2018-01-02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601A true KR20190086601A (ko) 2019-07-23

Family

ID=6705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325A KR20190086601A (ko) 2018-01-02 2018-01-02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63970B2 (ko)
KR (1) KR201900866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900B1 (ko) * 2021-11-04 2023-02-10 주식회사 아이티에스 차량 충전기가 구비된 스마트 인공지능 보안등
WO2023153764A1 (ko) * 2022-02-11 2023-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트윈 기반 충전소 관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94936B (zh) * 2018-03-02 2020-06-01 光陽工業股份有限公司 充電電池的預約方法及電動載具系統
US11168995B2 (en) * 2018-03-15 2021-11-09 Waymo Llc Managing a fleet of vehicles
EP3856596A4 (en) * 2018-09-30 2022-10-12 Strong Force Intellectual Capital, LLC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KR20200042660A (ko) * 2018-10-16 2020-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067341A (ja) * 2018-10-23 2020-04-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充電ステーションの位置の情報を提供する情報処理サーバ、情報処理方法、車両、車両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提供システム
US11394848B2 (en) * 2018-12-24 2022-07-19 Thinkware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serv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in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 based on object detected from video
JP2022518615A (ja) * 2019-02-18 2022-03-15 ニコラ・コーポレーション 水素充填及び充電のための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DE102019118983A1 (de) * 2019-07-12 2021-01-14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Steuersystem
EP4050458A4 (en) * 2019-10-24 2023-07-12 NGK Insulators, Ltd. USER INTERFACE PROVIDING DEVICE, METHOD FOR PROVIDING RECHARGEABLE BATTERY SYSTEM DISCHARGE CAPACITY AND METHOD FOR PROVIDING RECHARGEABLE BATTERY SYSTEM CHARGE/DISCHARGE CAPACITY
US20220309931A1 (en) * 2021-03-23 2022-09-2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uiding vehicles to charging points
US11644335B2 (en) * 2021-03-26 2023-05-09 Gm Cruise Holdings Llc Service area coverage for autonomous vehicle fleets
DE102021205751A1 (de) * 2021-06-08 2022-12-08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r Kommunikation von mindestens zwei Teilnehmern eines vernetzten Verkehrssystems
US11914840B2 (en) * 2021-07-20 2024-02-27 Rivian Ip Holdings, Llc Charger map overlay and detail card
US11913796B2 (en) * 2021-07-28 2024-02-27 Rivian Ip Holdings, Llc Destination reachability via public charging lo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1642A (ja) 2003-04-14 2005-01-06 Fujitsu Ten Ltd 盗難防止装置、監視装置、及び盗難防止システム
US9371007B1 (en) 2011-04-22 2016-06-21 Angel A. Penilla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electric vehicle identification and charging via wireless charging pads
KR101111733B1 (ko) 2011-06-13 2012-02-16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서비스 제공방법, 교통서비스 제공시스템, 교통서비스 요청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KR20130082957A (ko) 2011-12-26 2013-07-22 주식회사 케이티 전기자동차 카쉐어링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JP2013186519A (ja) 2012-03-06 2013-09-19 Toyota Motor Corp 情報提供装置
US9315109B2 (en) * 2013-11-02 2016-04-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charging batteries
US10894482B2 (en) * 2015-08-07 2021-01-19 Cummins, Inc. Systems and methods of battery management and control for a vehicle
US9958864B2 (en) 2015-11-04 2018-05-01 Zoox, Inc. Coordination of dispatching and maintaining fleet of autonomous vehicles
US10272793B2 (en) * 2017-04-04 2019-04-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vailability of vehicle charging sta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900B1 (ko) * 2021-11-04 2023-02-10 주식회사 아이티에스 차량 충전기가 구비된 스마트 인공지능 보안등
WO2023153764A1 (ko) * 2022-02-11 2023-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트윈 기반 충전소 관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63970B2 (en) 2020-05-26
US20190204840A1 (en)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3970B2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i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101979694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974871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861700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4261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09933063B (zh) 设置于车辆的车辆控制装置以及车辆的控制方法
KR101989523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22009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57796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EP3425469A1 (en) Driving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thereof
KR20190009204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79268B1 (ko) 자율 주행 시스템
KR20190039361A (ko) 컴퓨팅 디바이스
KR20190065042A (ko) 차량의 운행 시스템
KR102014263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20190031061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80119055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80068125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212777B1 (ko) 영상 출력 장치
KR101841501B1 (ko) 카 쉐어링을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카 쉐어링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90072239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80051225A (ko)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908422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90019681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88263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