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513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513A
KR20190086513A KR1020197017589A KR20197017589A KR20190086513A KR 20190086513 A KR20190086513 A KR 20190086513A KR 1020197017589 A KR1020197017589 A KR 1020197017589A KR 20197017589 A KR20197017589 A KR 20197017589A KR 20190086513 A KR20190086513 A KR 20190086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liquid
roller
mode
carri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헤이 오쿠무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86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31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0136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transfer member separable from recording member or vice versa, mode switch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4Electronic sequencing control
    • G03G21/145Electronic sequencing control wherein control pulses are generated by the mechanical movement of parts of the machine, e.g. the photoconduct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02Developer
    • G03G2215/0626Developer liquid type (at developing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탠덤형 중간 전사 방식의 구성에서, 화상 형성 모드에 따라 중간 전사 벨트에 형성되는 캐리어액층의 액량을 조정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제어부는 풀 컬러 모드인 경우에(S2의 "예"), 액량 조정 장치의 동작 양태를 「제거 양태」로 설정한다(S4). 제어부는 모노크롬 모드인 경우에(S2의 "아니오"), 액량 조정 장치의 동작 양태를 「공급 양태」로 설정한다(S6). 제거 양태에서는, 캐리어 액조의 캐리어액을 반송 롤러에 담지시키지 않음으로써, 반송 롤러에 의해 벨트로부터 캐리어액이 제거된다. 공급 양태에서는, 공급 롤러에 의해 캐리어 액조로부터 퍼 올려진 캐리어액이 반송 롤러를 통하여 벨트에 공급된다. 이렇게, 화상 형성 모드에 따른 캐리어액층의 액량 조정이 행해지고, 풀 컬러 모드 시의 캐리어 과다를 억제하면서, 모노크롬 모드 시의 캐리어 부족에 기인하는 전사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은 액체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감광 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와 캐리어액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를 사용하여 토너 상으로 현상하고, 현상된 토너 상을 중간 전사체에 1차 전사하여, 또한 중간 전사체에 전사한 토너 상을 기록재에 2차 전사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감광 드럼이나 중간 전사체에 캐리어액의 액층이 형성됨으로써, 토너 상의 현상이나 전사가 가능하다.
그러나, 중간 전사체의 캐리어액 요컨대 캐리어액층의 액량이 적정량보다도 많은 캐리어 과다인 경우에는, 기록재에 토너 상을 정착할 때에 정착 불량이 생기기 쉬워진다. 그래서, 종래, 캐리어액층으로부터 잉여분의 캐리어액을 제거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03-9116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91161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감광 드럼에 맞닿아 회전하는 스위프 롤러에 의해 캐리어액층으로부터 잉여분의 캐리어액이 제거된다. 단, 이 때에 캐리어액층의 액량이 적정량보다도 적은 캐리어 부족이 되면, 캐리어 부족에 기인하여 토너 상의 전사 시에 전사 불량이 생기므로, 제거 후의 캐리어액층의 액량은 적정량으로 조정되어 있다.
또한, 액체 현상제가 아니고 건식 현상제를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이지만, 복수의 감광 드럼이 중간 전사 벨트의 이동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된, 탠덤형 중간 전사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가 종래부터 제안되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10-66452호 공보). 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화상 형성 모드로서, 예를 들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을 사용하여 화상 형성하는 풀 컬러 모드와, 블랙만을 사용하여 화상 형성하는 모노크롬 모드가 선택적으로 실행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풀 컬러 모드 시에는 모든 감광 드럼이 중간 전사 벨트(이하, 간단히 벨트라고도 함)에 맞닿고, 모노크롬 모드 시에는 블랙의 감광 드럼만이 벨트에 맞닿는다.
최근에는, 액체 현상제를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도, 더 한층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10-6645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탠덤형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하고 싶다는 요망이 있다. 단, 그러한 경우, 풀 컬러 모드 시에는 벨트에 대해 모든 감광 드럼이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풀 컬러 모드 시의 경우, 1차 전사 공정에 있어서 각 화상 형성부로부터 캐리어액이 전이되어, 캐리어액층의 캐리어 과다가 생기기 쉽다. 그래서, 풀 컬러 모드 시의 캐리어 과다를 억제하기 위해, 각 화상 형성부로부터 벨트에 공급되는 캐리어량을 제한해 버리면, 모노크롬 모드 시에는 캐리어액층의 캐리어 부족이 생겨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액체 현상제를 사용한 탠덤형 중간 전사 방식의 구성이고, 풀 컬러 모드 시의 캐리어 과다를 억제하면서, 모노크롬 모드 시에 벨트 위의 캐리어액이 부족해지는 것을 억제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이하를 갖는다:
제1 상 담지체;
제2 상 담지체;
상기 제1 상 담지체에 형성된 잠상을 토너와 캐리어액을 포함하는 현상제로 현상하는 제1 현상 장치;
상기 제2 상 담지체에 형성된 잠상을 토너와 캐리어액을 포함하는 현상제로 현상하는 제2 현상 장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상 담지체 및 상기 제2 상 담지체로부터 캐리어액과 함께 토너 상이 1차 전사되는 중간 전사체;
상기 중간 전사체에 1차 전사된 토너 상을 기록재에 2차 전사하는 2차 전사 장치;
상기 제1 상 담지체 및 제2 상 담지체로부터 상기 중간 전사체에 캐리어액과 함께 토너 상을 1차 전사시키는 제1 모드와, 제1 현상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상 담지체에 캐리어액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제1 현상 장치를 제어함과 함께, 상기 제2 상 담지체로부터 상기 중간 전사체에 캐리어액과 함께 토너 상을 1차 전사시키는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실행 가능한 컨트롤러;
상기 중간 전사체의 회전 방향에 관해서, 상기 제2 상 담지체보다도 하류측이고, 상기 2차 전사 장치보다도 상류측에서 상기 중간 전사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제2 모드의 실행 시에 상기 중간 전사체에 캐리어액을 공급 가능한 공급 장치.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화상 형성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액량 조정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액량 조정 장치의 제거 양태에 대해 설명하는 모식도.
도 5는 액량 조정 장치의 동작 제어계를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
도 6은 액량 조정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캐리어액층의 액량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풀 컬러
모드 시, (b)는 모노크롬 모드 시를 나타낸다.
도 8은 액량 조정 장치의 통상 양태에 대해 설명하는 모식도.
도 9는 액량 조정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화상 형성 장치>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복수의 화상 형성부 PY, PM, PC, PBk를 배열한 탠덤형 중간 전사 방식의 풀 컬러 프린터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형성부 PY 내지 PBk가 무단(無端)형의 중간 전사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91)가 이동하는 소정 방향(이동 방향)에 있어서 직렬로, 상류측으로부터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순서대로 4개 배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장치 본체와 통신할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나 화상 판독 장치 등의 도시되지 않은 외부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따라 형성된 컬러 화상이나 모노크롬 화상을, 기록재 S(예를 들어, 용지, OHP 시트 등)에 출력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모든 화상 형성부 PY 내지 PBk를 사용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 가능한 풀 컬러 모드와, 화상 형성부 PY 내지 PBk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단색의 화상을 형성 가능한 단색 모드의 두 화상 형성 모드를 실행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색 모드로서, 블랙의 화상 형성부 PBk만을 사용하여 모노크롬 화상을 형성시키는 모노크롬 모드가 실행 가능하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외부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프린트 신호를 따라서 색 분해된 화상 신호를 생성하고, 이 화상 신호를 따라 각 화상 형성부 PY 내지 PBk에서 각 색의 토너 상을 형성한다. 제1 모드로서의 풀 컬러 모드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는 화상 형성부 PY 내지 PBk에서 형성된 각 색의 토너 상을 벨트(91)에 연속적으로 다중 전사하고, 그 후, 벨트(91)로부터 다중 전사된 복수 색의 토너 상을 기록재 S에 일괄 전사한다. 한편, 제2 모드로서의 모노크롬 모드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는 화상 형성부 PBk에서 형성된 블랙 단색의 토너 상을 벨트(91)에 전사하고, 그 후, 벨트(91)로부터 전사된 단색의 토너 상을 기록재 S에 전사한다.
토너 상이 전사된 기록재 S는, 정착 장치(13)로 반송된다. 기록재 S가 정착 장치(13)로 반송되어 가열 및 가압 또는 자외선 조사됨으로써, 토너 상은 기록재 S에 정착된다. 정착 장치(13)에 의해 토너 상이 정착된 기록재 S는, 기체 외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기록재 S에 컬러 화상 또는 모노크롬 화상이 출력된다.
<화상 형성부>
상술한 바와 같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Bk)의 각 색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 PY 내지 PBk에 대해,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단, 화상 형성부 PY 내지 PBk는, 현상 장치(4Y 내지 4Bk)에서 사용되는 토너의 색이 다른 것 외에는 동일하게 구성된다는 점에서, 특별히 구별을 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각 화상 형성부 PY 내지 PBk를 구별하기 위하여 첨부된 부호 말미의 Y, M, C, Bk를 생략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부 P는, 감광 드럼(1)을 둘러싸고, 대전 장치(2), 노광 장치(3), 현상 장치(4) 및 드럼 클리닝 장치(7)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상 담지체 또는 제2 상 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1)은 도전성 알루미늄제 실린더의 외주면에 비정질 실리콘 감광층이 형성된 광 도전체 드럼이다. 감광 드럼(1)은 도시되지 않은 모터 등에 의해 소정의 프로세스 스피드로 도면 중 화살표 R1 방향으로 회전된다. 대전 수단으로서의 대전 장치(2)는 예를 들어 스코로트론 방식의 코로나 대전기이며, 감광 드럼(1)의 표면을 균일한 부 극성의 암부 전위로 대전시킨다. 노광 장치(3)는, 각 색의 분해 색 화상을 전개한 주사선 화상 데이터를 ON-OFF 변조시킨 레이저광 L을 레이저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하고, 이것을 회전 미러로 주사하여 대전시킨 감광 드럼(1)의 표면에 화상의 정전 잠상을 기입한다.
<액체 현상제>
감광 드럼(1)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4)에서 액체 현상제에 의해 현상된다. 현상 장치(4)에는, 분산매인 캐리어액에 분산질인 입자형 토너를 분산시킨 액체 현상제가 수용되어 있으며, 현상 장치(4)는 액체 현상제를 사용하여 현상을 행한다. 토너는 착색제와 결착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에 대전 보조제 등이 첨가된 수지제 토너이다. 토너는, 예를 들어 평균 입경이 0.1 내지 2㎛로 형성된다. 한편, 캐리어액은, 예를 들어 체적 저항률이 1E+9Ω·㎝ 이상, 비유전율이 10 이하, 점도가 0.1 내지 100cP로 조정된, 고저항이고 또한 저유전율의 불휘발성 액체이다. 캐리어액은, 실리콘 오일, 미네랄 오일, 아이소파 M(등록 상표, 엑손사제) 등의 절연성 용매를 주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대전 제어제 등이 첨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성값의 범위 내이면,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액체 모노머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현상제에 있어서의 토너의 질량 퍼센트 농도가 1 내지 15%로 조정된 것을 사용하였다.
<현상 장치>
현상 장치(4)의 구성 및 현상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장치(4)는 케이싱을 형성하는 현상 용기(40), 현상 롤러(41), 스퀴즈 롤러(42), 클리닝 롤러(43), 전극 세그먼트(44), 공급 트레이(45) 등을 구비한다.
현상 용기(40)에는, 단색의 토너와 캐리어액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가 수용되어 있다. 현상 용기(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 드럼(1)에 대향된 일부분이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부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여 현상 롤러(41)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현상 롤러(4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감광 드럼(1)의 대향면에 있어서 동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현상 롤러(41)의 감광 드럼(1)과의 대향면의 반대측에는, 전극 세그먼트(44)가 감광 드럼(1) 사이에 소정 간격(예를 들어 0.5㎜)의 간극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 전극 세그먼트(44)의 하방에는 공급 트레이(45)가 배치되어, 액체 현상제는 현상 롤러(41)의 회전에 의해 공급 트레이(45)로부터 상기 간극에 퍼 올려진다. 공급 트레이(45)는 현상 롤러(41)가 회전에 의해 액체 현상제를 퍼 올릴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믹서로부터 공급되는 액체 현상제를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전극 세그먼트(44)는 도시되지 않은 전원에 의해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현상 롤러(41)와의 사이에 전계를 형성한다. 이 전계에 따라, 상기 간극에 퍼 올려진 액체 현상제에 포함되어 있는 토너가 현상 롤러(41)의 표면측으로 모인다. 전극 세그먼트(44)보다도 현상 롤러(41)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는, 스퀴즈 롤러(42)가 배치되어 있다. 스퀴즈 롤러(42)는 현상 롤러(41)에 맞닿아서 닙부 N1을 형성하고 있다. 전극 세그먼트(44)와의 대향 영역을 통과한 현상 롤러(41) 위의 액체 현상제 중, 닙부 N1을 통과한 현상 롤러(41)의 표면의 액체 현상제는, 두께(현상 롤러 직경 방향의 높이)가 대략 균일하게 규제되어 있다. 스퀴즈 롤러(42)의 닙부 N1을 통과하지 않은 액체 현상제는, 전극 세그먼트(44)의 상면을 따라 흘러, 현상 용기(40)의 바닥측으로 떨어진다.
현상 장치(4)는 현상 롤러 접촉 분리 수단(20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현상 장치(4)가 회동함으로써, 현상 롤러(41)는 감광 드럼(1)에 소정 압으로 맞닿아서 액체 현상제를 공급 가능한 위치와, 이 공급 가능한 위치보다도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스퀴즈 롤러(42)의 닙부 N1을 통과한 액체 현상제가 현상 위치 c로 반송되면, 감광 드럼(1) 위의 정전 잠상이 토너 상으로 현상된다. 즉, 현상 롤러(41)에 의해 현상 위치 c로 반송된 액체 현상제의 캐리어액은, 현상 롤러(41)와 감광 드럼(1)으로 반송되어 현상 롤러측과 감광 드럼측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드럼 위에 캐리어액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현상 위치 c로 반송된 액체 현상제 중의 토너는 캐리어액층을 통해, 현상 전압에 의한 전계에 의해 감광 드럼(1)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부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감광 드럼(1) 위의 정전 잠상은 토너 상으로 현상된다. 또한, 현상 위치 c는, 현상 롤러(41)와 감광 드럼(1)에 의해 형성되는 현상 닙부 N2이다.
현상 닙부 N2보다도 현상 롤러(41)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는, 클리닝 롤러(43)가 배치되어 있다. 클리닝 롤러(43)는 현상 닙부 N2의 통과 후에 현상 롤러(41) 위에 남은 토너를 회수함과 함께, 현상 롤러(41) 위에 남은 캐리어액을 닙부 N3에서 압력을 가하여 회수한다. 클리닝 롤러(43)에 의해 회수된 토너나 캐리어액은, 현상 용기(40)의 바닥측으로 떨어진다. 현상 용기(40)의 바닥측으로 떨어진 토너나 캐리어액은 닙부 N1을 통과하지 않은 액체 현상제와 혼합되어, 도시되지 않은 믹서로 되돌아간다. 그 때문에, 현상 용기(40)에는 믹서에 연통하는 배출구(47)가 마련되어 있고, 그곳으로부터 액체 현상제가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 P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감광 드럼(1)에 형성된 토너 상은, 1차 전사 위치 d에서 벨트 위에 순차 중첩하여 1차 전사된다. 벨트(91)의 내주면측에는, 벨트(91)를 사이에 두고 감광 드럼(1)에 대향하도록 1차 전사 롤러(92)가 마련되어 있다. 1차 전사 롤러(92)는 예를 들어 도전성 스펀지로 형성되어, 벨트(91)를 압박하여 감광 드럼(1)과 벨트(91) 사이에 1차 전사 닙부 T1을 형성한다. 1차 전사 위치 d는, 1차 전사 닙부 T1이다. 1차 전사 롤러(92)에 도시되지 않은 전원에 의해 1차 전사 전압이 인가되면, 1차 전사 위치 d에서 감광 드럼(1)으로부터 벨트(91)로의 토너 상의 1차 전사가 행하여진다. 또한, 1차 전사 위치 d로 반송된 드럼 표면의 캐리어액층의 캐리어액은 감광 드럼측과 벨트측으로 나뉘어, 감광 드럼(1)과 벨트(91)로 반송되기 때문에, 벨트(91)의 외주면측, 즉 표면측에도 캐리어액층이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1차 전사 위치 d에서는 벨트(91)에도 캐리어액층이 형성됨으로써, 캐리어액층을 통하여 토너 상의 전사가 가능해진다.
1차 전사 위치 d에서 벨트(91)에 전사되지 않고 드럼 표면에 잔류하는 1차 전사 잔류 토너는, 드럼 클리닝 장치(7)에 의해 제거된다. 드럼 클리닝 장치(7)는 감광 드럼(1)에 소정 압으로 맞닿는 클리닝 블레이드(70)를 갖는다.
도 1로 되돌아가, 벨트(91)는 벨트(91)의 내주면측에 배치된 텐션 롤러(94), 구동 롤러(95), 2차 전사 내측 롤러(96) 및 종동 롤러(97)에 걸쳐져 감겨 있다. 텐션 롤러(94)는 도시되지 않은 가압 수단에 의해 벨트(91)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밀어내는 힘이 가해져, 벨트(91)의 텐션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한다. 구동 롤러(95)는 벨트(91)를 도면 중 화살표 R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2차 전사 내측 롤러(96)는 벨트(91)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2차 전사 외측 롤러(10)에 의해 2차 전사부 T2를 형성한다. 종동 롤러(97)는 벨트(91)의 이동 방향에 관해 텐션 롤러(94)와 2차 전사 내측 롤러(96)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벨트(91)에 종동하여 회전한다.
벨트 위에 순차 중첩되어 1차 전사된 토너 상은, 2차 전사부 T2로 반송되어 온 기록재 S 위에 일괄하여 2차 전사된다. 2차 전사부 T2는, 2차 전사 내측 롤러(96)에 감긴 벨트(91)에 2차 전사 외측 롤러(10)를 맞닿게 하여 형성되는 기록재 S에 대한 토너 상 전사 닙부이다. 2차 전사부 T2에서는, 전사 수단으로서의 2차 전사 외측 롤러(10)에 도시되지 않은 전원에 의해 2차 전사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토너 상이 벨트(91)로부터 기록재 S로 2차 전사된다. 그리고, 2차 전사 후에 벨트 위에 남는 2차 전사 잔류 토너는, 벨트 클리닝 장치(11)로 회수된다.
상기 벨트(91)로서는, 수지 벨트, 또는 수지 기초층 위에 탄성층이 형성된 벨트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액량 조정 장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0)는 액량 조정 장치(170)를 구비한다. 조정 수단으로서의 액량 조정 장치(170)는 벨트(91)를 사이에 두고 종동 롤러(97)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액량 조정 장치(170)는 블랙의 1차 전사부 T1Bk보다도 벨트(91)의 이동 방향 하류측(소정 방향 하류측) 또한 2차 전사부 T2보다도 이동 방향 상류측(소정 방향 상류측)의 벨트(91)의 외주면측(표면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액량 조정 장치(170)는 벨트(91)에 캐리어액을 공급하는 기능과, 벨트(91)로부터 캐리어액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져, 벨트(91)의 캐리어액의 액량을 조정 가능하다. 이 액량 조정 장치(170)에 대해,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량 조정 장치(170)는 반송 장치(180)와 공급 장치(190)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공급 장치(190)는 반송 장치(180)보다도 벨트(91)로부터 먼 측의 중력 방향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공급 장치(190)는 제2 롤러로서의 공급 롤러(191)와, 규제 블레이드(192)와, 공급 롤러 구동 수단(193)과, 캐리어 액조(194)와, 액면 센서(195)를 갖는다. 캐리어 액조(194)에는, 캐리어액이 수용되어 있다. 캐리어 액조(194)는 도시되지 않은 캐리어 탱크에 접속되어, 캐리어 탱크로부터 캐리어액이 보급된다. 캐리어액의 보급은, 캐리어 액조(194) 내에 배치된 액면 센서(195)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행하여진다. 구체적으로는, 액면 센서(195)에 의해 검출되는 액면 높이가 소정값 이하로 될 때까지, 캐리어 액조(194) 내의 캐리어액이 감소한 경우에, 캐리어액이 보급된다. 액면 센서(195)로서는, 예를 들어 액면을 향하여 조사되는 초음파의 조사 개시로부터, 조사된 초음파가 액면에 반사하여 돌아올 때까지의 시간을 계시함으로써 액면 높이를 검출 가능한, 초음파 방식의 센서 등이 사용된다.
공급 롤러(191)는 코어 금속과 그 주위에 형성된 탄성층을 갖는다. 탄성층은, 예를 들어 체적 저항률이 1E+8Ω·㎝ 이하, 경도가 30 내지 50도(JIS-A), 표면 조도 Rz가 2㎛ 이하이고, 우레탄 고무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공급 롤러(191)는 외주면의 일부가 캐리어 액조(194)에 수용된 캐리어액에 잠기도록 하여, 캐리어 액조(194)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공급 롤러(191)는 모터 등의 공급 롤러 구동 수단(193)에 의해 도면 중 화살표 R3 방향으로 회전된다. 공급 롤러(191)는 회전함으로써 캐리어액을 담지할 수 있다. 공급 롤러(191)에 담지된 캐리어액은, 공급 롤러(191)에 소정의 가압력으로 맞닿아 있는 규제 블레이드(192)에 의해 규제되어, 이것에 의해 공급 롤러(191) 위의 캐리어액의 두께(공급 롤러 직경 방향의 높이)가 대략 균일하게 조정된다. 규제 후의 캐리어액의 두께는, 예를 들어 4 내지 20㎛이다. 이렇게 하여, 회전하는 공급 롤러(191)에 의해 단위 시간당 공급량이 일정량으로 유지되어, 캐리어 액조(194)의 캐리어액이 반송 장치(180)에 공급된다.
한편, 반송 장치(180)는 제1 롤러로서의 반송 롤러(181)와, 제거 블레이드(182)와, 반송 롤러 구동 수단(183)과, 반송 롤러 인가 전원(184)을 갖는다. 반송 롤러(181)는 예를 들어 표면 조도 Rz가 0.2 내지 2㎛ 정도이고, 스테인리스강(SUS 합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반송 롤러(181)는 모터 등의 반송 롤러 구동 수단(183)에 의해 도면 중 화살표 R4 방향으로 회전된다. 반송 롤러(181)의 회전 방향은, 벨트(91)에 대향하는 대향면에서 벨트(91)의 이동 방향(도면 중 화살표 R2 방향)과 일치하고, 공급 롤러(191)와의 대향면에서 공급 롤러(191)의 회전 방향(도면 중 화살표 R3 방향)과 일치한다. 반송 롤러(181)는 회전함으로써 캐리어액을 담지할 수 있다.
제거 블레이드(182)는 반송 롤러(181)에 맞닿고, 반송 롤러(181)에 담지된 캐리어액을 반송 롤러(181)로부터 제거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벨트(91)로의 캐리어액의 공급 후에 반송 롤러(181)에 남는 캐리어액을 제거한다. 이 제거 블레이드(182)에 의한 캐리어액의 제거에 의해, 공급 롤러(191)로부터 캐리어액이 공급 된 때에, 반송 롤러(181) 위의 캐리어액의 두께(반송 롤러 직경 방향의 높이)는 대략 균일해진다. 전압 인가 수단으로서의 반송 롤러 인가 전원(184)은 벨트 위에 전사된 토너 상의 토너와 동 극성(여기서는 부 극성)의 전압을 반송 롤러(181)에 인가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 블레이드(192)를 사용함으로써 반송 롤러(181) 위의 캐리어액의 두께를 대략 균일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했지만, 규제 수단으로서 규제 블레이드(192) 대신 아닐록스 롤러나 롤러 쌍 등을 사용해도 된다.
공급 장치(190)는 공급 장치 접촉 분리 수단(196)에 의해, 공급 롤러(191)가 반송 롤러(181)와 맞닿은 위치와, 공급 롤러(191)가 반송 롤러(181)로부터 이격된 위치(후술하는 도 4 참조)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 즉, 캐리어 액조(194)의 캐리어액과 반송 롤러(181) 사이에 개재되는 공급 롤러(191)는 캐리어 액조(194)의 캐리어액과 반송 롤러(181)의 양쪽에 접한 접촉 위치와, 반송 롤러(181)로부터 이격된 이격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한편, 반송 장치(180)는 반송 장치 접촉 분리 수단(185)에 의해, 반송 롤러(181)가 벨트(91)와 맞닿은 위치와, 벨트(91)로부터 이격된 위치(후술하는 도 8 참조)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공급 장치 접촉 분리 수단(196)과 반송 장치 접촉 분리 수단(185)이 협동함으로써, 액량 조정 장치(170)의 동작 양태(동작 모드)가 공급 양태(공급 모드)와 제거 양태(제거 모드) 중 어느 것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액량 조정 장치(170)의 동작 양태에 대해 설명한다.
동작 양태의 하나인 공급 양태에 대해,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량 조정 장치(170)가 공급 양태인 경우, 공급 롤러(191)는 반송 롤러(181)에 맞닿아서 닙부 N4를 형성하고, 반송 롤러(181)는 벨트(91)에 맞닿아서 닙부 N5를 형성한다. 공급 롤러(191)에 의해 캐리어 액조(194)로부터 퍼 올려진 캐리어액은, 닙부 N4에서 공급 롤러(191)로부터 반송 롤러(181)에 공급된다. 닙부 N4에서는, 공급 롤러(191)에 의해 퍼 올려진 캐리어액의 약 절반의 양이 반송 롤러측으로 이동된다. 그 때문에, 반송 롤러(181) 위의 캐리어액의 두께는 예를 들어 2 내지 10㎛가 된다. 반송 롤러(181)는 공급 롤러(191)로부터 공급된 캐리어액을 닙부 N5를 향하여 반송한다. 닙부 N5에 도달된 캐리어액은, 벨트(91)측과 반송 롤러(181)측으로 나뉜다. 즉, 벨트(91)에 캐리어액이 공급된다. 한편, 반송 롤러(181) 측으로 나뉜 캐리어액은 제거 블레이드(182)에 의해 제거되어, 캐리어 액조(194)로 회수된다. 또한, 반송 롤러(181)에는 반송 롤러 인가 전원(184)에 의해 토너와 동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으므로, 벨트 위에 전사되어 있는 토너 상의 토너는 벨트(91)로부터 반송 롤러(181)로 이동하지 않는다.
동작 양태의 하나인 제거 양태에 대해,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량 조정 장치(170)가 제거 양태인 경우, 반송 롤러(181)는 벨트(91)에 맞닿아서 닙부 N5를 형성하는 한편, 공급 롤러(191)는 반송 롤러(181)에 맞닿지 않고 닙부 N4(도 3 참조)를 형성하지 않는다. 즉, 반송 롤러(181)와 공급 롤러(191)는 이격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공급 롤러(191)에 의해 캐리어 액조(194)로부터 퍼 올려진 캐리어액은, 반송 롤러(181)에 공급되지 않는다. 캐리어 액조(194)의 캐리어액이 반송 롤러(181)에 공급되지 않으면, 벨트(91)에 캐리어액이 공급되는 일도 없다. 단, 캐리어액이 공급되지 않은 반송 롤러(181)에는, 닙부 N5에서 벨트(91)로부터 캐리어액이 공급된다. 이것은, 벨트(91)에 형성된 캐리어액층의 캐리어액이 닙부 N5에 도달하면, 벨트측과 반송 롤러측으로 나뉘게 된다. 이에 따라, 벨트(91)에 형성된 캐리어액층의 캐리어액의 일부가, 반송 롤러(181)에 의해 벨트(91)로부터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캐리어 액조(194)의 캐리어액을 반송 롤러(181)에 담지시키지 않음으로써, 반송 롤러(181)에 의해 벨트(91)로부터 캐리어액을 제거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반송 롤러(181)에 의해 벨트(91)로부터 제거된 캐리어액은, 제거 블레이드(182)에 의해 반송 롤러(181)로부터 제거되어, 캐리어 액조(194)로 회수된다. 또한, 상기 공급 양태와 마찬가지로 제거 양태에서도, 반송 롤러(181)에는 반송 롤러 인가 전원(184)에 의해 토너와 동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으므로, 벨트 위에 전사되어 있는 토너 상의 토너는 벨트(91)로부터 반송 롤러(181)로 이동하지 않는다.
<제어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제어부(200)를 구비한다. 제어부(200)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어부(200)에는 도시된 이외에도 본 화상 형성 장치(100)를 동작시키는 모터나 전원 등의 각종 기기가 접속되지만, 여기에서는 발명의 본 취지가 아니므로 그것들의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였다.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부(200)는 화상 형성 동작 등의 본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각종 제어를 행하는 것이며, 도시를 생략한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갖는다. 제어부(200)에는, 기억 수단으로서의 ROM이나 RAM 또는 하드 디스크 장치 등의 메모리(201)가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201)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제어부(200)는 메모리(201)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작업을 실행하여, 화상 형성을 행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1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제어부(200)는 화상 형성 작업의 실행 중에, 벨트(91)에 형성된 캐리어액층의 액량을 조정한다. 이 캐리어액층의 액량 조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메모리(201)에는, 각종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수반하는 연산 처리 결과 등이 일시적으로 기억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작업이란, 기록재에 화상 형성하는 프린트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개시하고 나서 화상 형성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의 일련의 동작이다. 즉, 화상 형성을 행함에 있어 필요한 예비 동작(소위, 전 회전)을 개시하고 나서, 화상 형성 공정을 거쳐, 화상 형성을 종료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예비 동작(소위, 후 회전)이 완료될 때까지의 일련의 동작이다. 구체적으로는, 프린트 신호를 받은 (화상 형성 작업의 수신) 후의 전 회전시(화상 형성 전의 준비 동작)로부터, 후 회전(화상 형성 후의 동작)까지를 가리키고, 화상 형성 기간, 지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 회전시란, 화상 형성 개시 시에 프린트 신호를 받아서 토너 상을 형성 하지 않고 감광 드럼(1Y 내지 1Bk)이나 벨트(91) 등의 회전을 개시시키고 나서, 감광 드럼(1Y 내지 1Bk)에 노광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이다. 후 회전시란, 화상 형성 작업의 최후의 화상 형성 종료 후로부터, 토너 상을 형성하지 않고 계속 회전되는 감광 드럼(1Y 내지 1Bk)이나 벨트(91) 등의 회전이 정지될 때까지의 기간이다.
제어부(200)에는 메모리(201) 외에, 도시되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현상 롤러 접촉 분리 수단(202)이 접속되어 있다. 현상 롤러 접촉 분리 수단(202)은 현상 장치(4)를 회동시키는 모터나 동작 기구 등이다. 현상 장치(4)가 회동됨에 따라, 현상 롤러(41)가 감광 드럼(1)에 맞닿은 상태와,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전환된다. 현상 장치(4)는 화상 형성 작업의 후 회전 시에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화상 형성 작업의 전 회전 시에 감광 드럼(1)에 맞닿은 상태로 전환된다.
제어부(200)에는 또한, 반송 롤러 구동 수단(183), 공급 롤러 구동 수단(193), 반송 장치 접촉 분리 수단(185), 공급 장치 접촉 분리 수단(196), 반송 롤러 인가 전원(184) 등이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 롤러 구동 수단(183)은 반송 롤러(181)를 회전하는 모터 등이다. 공급 롤러 구동 수단(193)은 공급 롤러(191)를 회전하는 모터 등이다. 반송 롤러(181)와 공급 롤러(191)란, 구동 롤러(95)의 주속도, 즉 벨트(91)의 이동 속도와 같은 주 속도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송 장치 접촉 분리 수단(185)은 반송 롤러(181)가 벨트(91)와 맞닿은 위치와, 벨트(91)로부터 이격된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반송 장치(180)를 이동시키는 모터나 동작 기구 등이다. 공급 장치 접촉 분리 수단(196)은 공급 롤러(191)가 반송 롤러(181)와 맞닿은 위치와, 반송 롤러(181)로부터 이격된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공급 장치(190)를 이동시키는 모터나 동작 기구 등이다. 반송 롤러 인가 전원(184)은 토너와 동 극성의 전압을 반송 롤러(181)에 인가하는 전원이다.
그런데, 상술한 제어부(200)는 화상 형성 작업의 실행 시에, 도시되지 않은 외부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프린트 신호에 포함되는 인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를 동작시킬 때의 각종 설정을 행한다. 인쇄 설정 정보에는 화상 형성 모드의 지정, 기록재 S의 종류나 사이즈, 기록재 S를 수용하는 도시되지 않은 급지 카세트의 지정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제어부(200)는 그 중의 화상 형성 모드의 지정에 기초하여, 액량 조정 장치(170)의 동작 양태를 설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모노크롬 모드시(제2 모드 시)에 공급 양태(도 3 참조)가 풀 컬러 모드시(제1 모드 시)에 제거 양태(도 4 참조)가 설정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액량 조정 제어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도 6 내지 도 7의 (b)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 본 실시 형태의 액량 조정 제어를 나타낸다. 제어부(200)는 도 6에 나타낸 액량 조정 제어를, 화상 형성 작업의 실행에 맞춰서 개시한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수신된 프린트 신호로부터 인쇄 설정 정보를 취득한다(S1). 제어부(200)는 취득된 인쇄 설정 정보의 화상 형성 모드의 지정이 「풀 컬러 모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2). 「풀 컬러 모드」인 경우(S2의 "예"), 제어부(200)는 모든 화상 형성부 PY 내지 PBk에 있어서 현상 롤러(41)를 감광 드럼(1)에 맞닿게 한다(S3). 그리고, 제어부(200)는 액량 조정 장치(170)의 동작 양태를 상술한 「제거 양태」(도 4 참조)로 설정한다(S4). 제어부(200)는 액량 조정 장치(170)를 「제거 양태」로 설정 후,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시킨다.
한편, 화상 형성 모드의 지정이 「풀 컬러 모드」가 아니고 「모노크롬 모드」인 경우(S2의 "아니오"), 제어부(200)는 블랙의 화상 형성부 PBk에서만 현상 롤러(41)를 감광 드럼(1)에 맞닿게 한다(S5). 그리고, 제어부(200)는 액량 조정 장치(170)의 동작 양태를 상술한 「공급 양태」(도 3 참조)로 설정한다(S6). 제어부(200)는 액량 조정 장치(170)를 「공급 양태」로 설정 후,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시킨다.
도 7의 (a)에, 풀 컬러 모드 시에 있어서의 캐리어액층의 액량 변화를 나타낸다. 도 7의 (a)에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각 1차 전사부 T1Y 내지 T1Bk를 통과한 시점과, 2차 전사부 T2에 도달한 시점의 캐리어액층의 두께를 나타내고 있다. 각 화상 형성부 PY 내지 PBk에 있어서 현상 롤러(41)가 감광 드럼(1Y)에 맞닿게 되면, 감광 드럼(1Y 내지 1Bk)에는 캐리어액이 공급된다. 감광 드럼(1Y 내지 1Bk)에 공급된 캐리어액은, 상술한 바와 같이 1차 전사부(T1Y 내지 T1Bk)에서 벨트측으로 분리됨으로써, 벨트(91)에 공급된다. 그 때문에, 벨트(91)에 형성되는 캐리어액층의 액량은 이동 방향 하류측으로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어액층의 두께는 블랙의 1차 전사부 T1Bk를 통과한 시점에서 최대가 된다. 이렇게 하여, 풀 컬러 모드인 경우에는, 캐리어액층의 캐리어 과다가 생기기 쉽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캐리어 과다를 해소하기 위해서, 제어부(200)는 액량 조정 장치(170)의 동작 양태를 「제거 양태」로 설정하고, 액량 조정 장치(170)에 캐리어액층으로부터 소정량의 캐리어액을 제거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도 7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차 전사부에 도달한 시점의 캐리어액층의 액량은 적정량으로 억제된다는 점에서, 캐리어 과다에 기인하는 정착 장치(13)에서의 정착 불량은 생기지 않는다. 또한, 캐리어 부족에 기인하는 2차 전사부 T2에서의 전사 불량도 생기지 않는다.
도 7의 (b)에, 모노크롬 모드 시에 있어서의 캐리어액층의 액량 변화를 나타낸다. 도 7의 (b)에서도, 각 1차 전사부(T1Y 내지 T1Bk)를 통과한 시점과, 2차 전사부 T2에 도달한 시점의 캐리어액층의 두께를 나타내고 있다. 단, 도 7의 (a)와 비교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블랙 이외의 1차 전사부(T1Y 내지 T1C)에서는 캐리어액층의 두께가 「0」이다. 이것은, 모노크롬 모드인 경우, 블랙의 화상 형성부 PBk에서만 현상 롤러(41)가 감광 드럼(1Y)에 맞닿게 하고, 그 이외의 화상 형성부(PY 내지 PC)에서는 현상 롤러(41)가 감광 드럼(1Y 내지 1C)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블랙 이외의 1차 전사부(T1Y 내지 T1C)에서는 감광 드럼(1Y 내지 1C)으로부터 벨트(91)에 캐리어액이 공급되지 않고, 블랙의 1차 전사부(T1Bk)만으로 감광 드럼(1Bk)으로부터 벨트(91)에 캐리어액이 공급된다. 그 때문에, 캐리어액층은 블랙의 1차 전사부(T1Bk)를 통과한 시점에서밖에 형성되지 않으므로, 블랙 이외의 1차 전사부 T1Y 내지 T1C에서는 캐리어액층의 두께가 「0」이 된다. 또한, 모노크롬 모드 시에 형성되는 캐리어액층의 액량은, 풀 컬러 모드 시에 있어서의 1차 전사부(T1Y)를 통과한 시점의 캐리어액층의 액량과 대략 동등하다.
모노크롬 모드의 경우, 캐리어액층이 1차 전사부(T1Bk)를 통과한 시점에서밖에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캐리어액층의 액량은 적정량보다도 적은 캐리어 부족해지기 쉽다. 이 캐리어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어부(200)는 액량 조정 장치(170)의 동작 양태를 「공급 양태」로 설정하고, 액량 조정 장치(170)에 벨트(91)에 캐리어액을 공급시킨다. 이에 의해, 2차 전사부 T2에 도달한 시점의 캐리어액층의 액량은 적정량으로 증가되기 때문에, 캐리어 부족에 기인하는 2차 전사부 T2에서의 전사 불량은 생기지 않는다. 또한, 캐리어 과다에 기인하는 정착 장치(13)에서의 정착 불량도 생기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모드에 따라, 액량 조정 장치(170)의 동작 양태가 설정된다. 액량 조정 장치(170)는 모노크롬 모드 시에 공급 양태(도 3 참조)로 설정됨으로써, 벨트(91)에 캐리어액을 공급한다. 즉, 비교적 캐리어액층의 캐리어 부족이 생기기 쉬운 모노크롬 모드 시에는, 캐리어액층에 캐리어액이 공급되므로 캐리어 부족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액량 조정 장치(170)는 풀 컬러 모드 시에 제거 양태(도 4 참조)로 설정됨으로써, 벨트(91)로부터 캐리어액을 제거한다. 즉, 비교적 캐리어액층의 캐리어 과다가 생기기 쉬운 풀 컬러 모드 시에는, 캐리어액층으로부터 캐리어액이 제거되므로 캐리어 과다를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 형성 모드에 따른 캐리어액층의 액량 조정이 행해짐으로써, 모노크롬 모드 시의 캐리어 부족에 기인하는 전사 불량의 발생이나, 풀 컬러 모드 시의 캐리어 과다에 기인하는 정착 불량의 발생이 억제된다.
<그 밖의 실시 형태>
그런데,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액량 조정 장치(170)의 동작 양태를, 풀 컬러 모드 시에 제거 양태로 설정하고, 모노크롬 모드 시에 공급 양태로 설정하도록 했지만, 화상 형성 모드에 따른 액량 조정 장치(170)의 동작 양태의 조합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하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작 양태의 조합으로 해도 된다. 표 1에서 「공급」은 공급 양태를, 「제거」는 제거 양태를, 「통상」은 통상 양태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도 8에, 동작 양태의 하나인 통상 양태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량 조정 장치(170)가 통상 양태인 경우, 공급 롤러(191)는 반송 롤러(181)에 맞닿아서 닙부 N4를 형성하는 한편, 반송 롤러(181)는 벨트(91)에 맞닿지 않고 닙부 N5(도 3 참조)를 형성하지 않는다. 즉, 벨트(91)와 액량 조정 장치(170)는 이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공급 롤러(191)에 의해 캐리어 액조(194)로부터 캐리어액을 퍼 올릴 수 있고 반송 롤러(181)에 공급되었다고 해도, 벨트(91)에 캐리어액은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벨트(91)에 형성된 캐리어액층의 캐리어액이, 벨트(91)로부터 제거되는 일도 없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량 조정 장치(170)의 동작 양태를, 풀 컬러 모드 시에 제거 양태로, 모노크롬 모드 시에 통상 양태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 동작 양태의 조합은, 기록재 S가 플라스틱 필름이나 코팅지 등과 같은 캐리어액의 침투가 미세한 경우에 유효하다. 즉, 기록재 S로의 캐리어액의 침투가 미세한 경우에, 벨트(91)에 형성되는 캐리어액층의 액량이 많으면, 캐리어 과다에 기인하는 정착 불량이 보다 생기기 쉽다. 그래서, 캐리어액층의 액량이 비교적 많은 풀 컬러 모드 시에는, 액량 조정 장치(170)에 의해 벨트(91)로부터 캐리어액을 제거시킨다. 한편, 캐리어액층의 액량이 비교적 적은 모노크롬 모드 시에는, 벨트(91)에 캐리어액을 공급하지 않아도, 기록재 S로의 캐리어액의 침투가 미세하기 때문에, 캐리어 부족에 기인하는 전사 불량은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모노크롬 모드 시에는 통상 양태로 설정하면 된다.
또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량 조정 장치(170)의 동작 양태를, 풀 컬러 모드 시에 통상 양태로, 모노크롬 모드 시에 공급 양태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 동작 양태의 조합은, 기록재 S가 보통지나 재생지 등과 같은 캐리어액의 침투가 큰 경우에 유효하다. 즉, 기록재 S로의 캐리어액의 침투가 큰 경우에, 벨트(91)에 형성되는 캐리어액층의 액량이 적으면, 캐리어 부족에 기인하는 전사 불량이 보다 생기기 쉽다. 그래서, 캐리어액층의 액량이 비교적 적은 모노크롬 모드 시에는, 액량 조정 장치(170)에 의해 벨트(91)에 캐리어액을 공급시킨다. 한편, 캐리어액층의 액량이 비교적 많은 풀 컬러 모드 시에는, 벨트(91)로부터 캐리어액을 제거하지 않아도, 기록재 S로의 캐리어액의 침투가 크기 때문에, 캐리어 과다에 기인하는 정착 불량은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풀 컬러 모드 시에는 통상 양태로 설정하면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 장치(180)와 공급 장치(190)를 갖는 액량 조정 장치(170)를 나타냈지만, 액량 조정 장치(17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반송 장치(180)(도 3 참조)를 이용하지 않고, 공급 장치(190)만을 이용하여, 캐리어액층의 액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반송 롤러(181)(도 3 참조)를 통하지 않고 공급 롤러(191)를 벨트(91)에 맞닿게 하고 있으므로, 공급 롤러(191)로부터 벨트(91)에 캐리어 액조(194)의 캐리어액을 직접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캐리어 액조(194)가 공급 롤러(191)에 접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됨으로써, 공급 롤러(191)에 벨트(91)로부터 캐리어액을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반송 롤러(181)와 공급 롤러(191)를 주속차를 마련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벨트(91)에 공급하는 캐리어액의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캐리어액의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벨트(91)와 등속으로 회전시킨 반송 롤러보다도, 공급 롤러(191)를 빠르게 회전시키면 된다. 단, 반송 롤러(181)와 공급 롤러(191)는, 5% 이내의 속도차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 롤러(181)는 벨트와 등속으로 회전시켜서, 공급 롤러(191)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벨트에 공급하는 캐리어량을 조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반송 롤러(181)와 벨트간의 속도를 변경하지 않고, 캐리어 공급량을 변경할 수 있어, 화질 향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모노크롬 모드 시에 현상 장치(4)를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블랙 이외의 감광 드럼으로부터 벨트(91)에 대해 액체 현상제가 공급되지 않도록 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블랙 이외의 감광 드럼(1)을 벨트(91)에 대해 접촉 분리 가능하게 마련하고, 풀 컬러 모드 시에는 벨트(91)에 맞닿게 하고, 모노크롬 모드 시에는 벨트(91)로부터 이격시키게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 전사체로서 중간 전사 벨트를 사용한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중간 전사체는, 예를 들어 드럼형으로 형성된 중간 전사 드럼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모드 시에 중간 전사체에 캐리어액을 공급해 중간 전사체의 캐리어액의 액량을 조정 가능한 점에서, 제2 모드 시에 특히 생기기 쉬운 중간 전사체의 캐리어액의 액량이 적정량보다도 적은 캐리어 부족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5)

  1. 화상 형성 장치이며,
    제1 상 담지체;
    제2 상 담지체;
    상기 제1 상 담지체에 형성된 잠상을 토너와 캐리어액을 포함하는 현상제로 현상하는 제1 현상 장치;
    상기 제2 상 담지체에 형성된 잠상을 토너와 캐리어액을 포함하는 현상제로 현상하는 제2 현상 장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상 담지체 및 상기 제2 상 담지체로부터 캐리어액과 함께 토너 상이 1차 전사되는 중간 전사체;
    상기 중간 전사체에 1차 전사된 토너 상을 기록재에 2차 전사하는 2차 전사 장치;
    상기 제1 상 담지체 및 제2 상 담지체로부터 상기 중간 전사체에 캐리어액과 함께 토너 상을 1차 전사시키는 제1 모드와, 제1 현상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상 담지체에 캐리어액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제1 현상 장치를 제어함과 함께, 상기 제2 상 담지체로부터 상기 중간 전사체에 캐리어액과 함께 토너 상을 1차 전사시키는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실행 가능한 컨트롤러; 및
    상기 중간 전사체의 회전 방향에 관해, 상기 제2 상 담지체보다도 하류측이고, 상기 2차 전사 장치보다도 상류측에서 상기 중간 전사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제2 모드의 실행 시에 상기 중간 전사체에 캐리어액을 공급 가능한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는, 상기 중간 전사체로부터 캐리어액을 회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공급 장치에 의해 상기 중간 전사체로부터 캐리어액을 회수하는 회수 모드와, 상기 중간 전사체에 캐리어액을 공급하는 공급 모드를 선택적으로 실행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는, 캐리어액을 수용하는 캐리어 액조와, 상기 중간 전사체에 접함과 함께, 상기 캐리어 액조에 수용된 캐리어액을 담지 가능한 제1 롤러를 갖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모드 시에 상기 캐리어 액조의 캐리어액을 상기 제1 롤러에 담지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전사체에 캐리어액을 공급시키고, 상기 제1 모드 시에 상기 캐리어 액조의 캐리어액을 상기 제1 롤러에 담지시키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1 롤러에 의해 상기 중간 전사체로부터 캐리어액을 제거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는, 상기 제1 롤러에 접촉 및 이격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캐리어 액조의 캐리어액을 상기 제1 롤러에 공급 가능한 제2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모드 시에 상기 제2 롤러를 상기 제1 롤러에 접촉시켜서, 상기 캐리어 액조의 캐리어액을 상기 제2 롤러로부터 상기 제1 롤러에 공급시키고, 상기 제1 모드 시에 상기 제2 롤러를 상기 제1 롤러로부터 이격시켜서 상기 캐리어 액조의 캐리어액을 상기 제1 롤러에 공급시키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에 토너와 동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97017589A 2016-11-28 2017-11-27 화상 형성 장치 KR201900865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30500A JP6906931B2 (ja) 2016-11-28 2016-11-28 画像形成装置
JPJP-P-2016-230500 2016-11-28
PCT/JP2017/043378 WO2018097336A1 (ja) 2016-11-28 2017-11-27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513A true KR20190086513A (ko) 2019-07-22

Family

ID=62195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589A KR20190086513A (ko) 2016-11-28 2017-11-27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78995B2 (ko)
EP (1) EP3547034A1 (ko)
JP (1) JP6906931B2 (ko)
KR (1) KR20190086513A (ko)
CN (1) CN110023843A (ko)
WO (1) WO20180973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28761A (ja) * 2021-08-20 2023-03-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6309A (en) * 1982-12-29 1985-12-03 Coulter Systems Corporation Electrophotographic imaging apparatus, particularly for color proofing and method
US5150161A (en) * 1991-04-09 1992-09-22 Olin Corporation Color printing apparatus and process using first and second transfer surfaces
US5570173A (en) * 1994-10-31 1996-10-29 Xerox Corporation Color printer using liquid developer
US5537194A (en) * 1995-10-11 1996-07-16 Xerox Corporation Liquid developer compatible intermediate toner transfer member
JP3810953B2 (ja) * 1999-07-07 2006-08-16 株式会社Pfu 液体トナー現像方式の電子写真装置
JP4092052B2 (ja) * 1999-10-08 2008-05-2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KR100354765B1 (ko) * 2000-05-15 2002-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
EP1293844A4 (en) * 2000-06-21 2008-04-09 Pfu Ltd ELECTROPHOTOGRAPHIC DEVICE IN A COLOR OF LIQUID DEVELOPMENT
JP3647762B2 (ja) * 2001-03-15 2005-05-18 株式会社東芝 湿式画像形成装置
US6496676B1 (en) * 2001-06-20 2002-12-17 Xerox Corporation Liquid developer system employing a pretransfer station
US6738592B2 (en) * 2001-07-06 2004-05-18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developing liquid
JP4772236B2 (ja) 2001-09-17 2011-09-14 株式会社リコー 液体画像形成装置
US6816693B2 (en) * 2002-09-13 2004-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carrier liquid from a photoreceptor surface or from a toned image on a photoreceptor
JP4349051B2 (ja) * 2003-09-25 2009-10-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333754B2 (en) 2003-09-17 2008-02-19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liquid development
KR100620287B1 (ko) * 2004-11-30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캐리어 제거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및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캐리어 제거방법
JP4153518B2 (ja) * 2004-12-17 2008-09-2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561815B2 (en) * 2005-08-24 2009-07-14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ontrols development conditions based on paper type
US7657210B2 (en) * 2005-12-20 2010-02-02 Seiko Epson Corporation Developer collection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853624B2 (ja) 2005-12-21 2012-01-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8191298A (ja) * 2007-02-02 2008-08-21 Kyocera Mita Corp 湿式画像形成装置、湿式画像形成方法
JP2010066452A (ja) 2008-09-10 2010-03-2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10185984A (ja) 2009-02-10 2010-08-26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
WO2011096929A1 (en) * 2010-02-05 2011-08-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ing system and method
JP2011232518A (ja) * 2010-04-27 2011-11-17 Seiko Epson Corp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033095A (ja) * 2011-08-01 2013-02-1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6765850B2 (ja) * 2015-05-27 2020-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分離装置
JP6765863B2 (ja) * 2016-06-06 2020-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776017B2 (ja) * 2016-06-17 2020-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78995B2 (en) 2020-03-03
JP2018087875A (ja) 2018-06-07
EP3547034A1 (en) 2019-10-02
WO2018097336A1 (ja) 2018-05-31
JP6906931B2 (ja) 2021-07-21
CN110023843A (zh) 2019-07-16
US20190265615A1 (en)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4106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044946B1 (ko) 투명토너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인쇄방법
US7149459B2 (en) Application roll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312837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US1024804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prevents toner charged with polarity opposite normal charging polarity from being collected
US2011015054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116459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8867971B2 (en) Developer regulator, developmen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109150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90086513A (ko) 화상 형성 장치
JP2003202729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WO2018124310A1 (ja) 画像形成装置
JP2012088367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243553A (ja)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19791B2 (ja) 画像形成装置
JP4636293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201866B2 (ja) 現像装置
JP2022063845A (ja) 画像形成装置
JP6550938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滑剤調整制御方法
JP5187175B2 (ja) 潤滑剤塗布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066822A (ja) 画像形成装置
JP201920733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55997A (ja) 液体現像用現像システム及び液体現像用現像方法
JP2007079322A (ja) 現像装置、これを備え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55999A (ja) 液体現像用現像システム及び液体現像用現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