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386A -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 Google Patents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386A
KR20190085386A KR1020180003455A KR20180003455A KR20190085386A KR 20190085386 A KR20190085386 A KR 20190085386A KR 1020180003455 A KR1020180003455 A KR 1020180003455A KR 20180003455 A KR20180003455 A KR 20180003455A KR 20190085386 A KR20190085386 A KR 20190085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receiving unit
larva
unit
wate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택
강경숙
이동은
Original Assignee
이기택
이동은
강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택, 이동은, 강경숙 filed Critical 이기택
Priority to KR1020180003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5386A/ko
Publication of KR20190085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3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90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 Y02P60/6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종묘 패류 중 수중에서 부유생활을 하는 시기인 부유기의 유생을 용이하게 양식하기 위한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부 및 하부 공간을 나눌 수 있는 격벽부가 마련되는 육면체 형상의 수조부, 상방이 개방되고, 하방에 메쉬부가 마련되는 형태로 상기 수조부 내부에 복수개가 나란히 마련되는 유생수용유닛부, 상기 수조부의 상방에 이격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연결되어 유입되는 해수를 공급할 수 있는 관로가 상기 유생수용유닛부의 위치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해수공급관부, 상기 수조부의 하부 일측에 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해수를 배출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해수배출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는, 부유기에서 중간육성기인 치패로 성장한 유생을 분리할 시 유생수용유닛만을 꺼내어 치패만 구별하여 손쉽게 건져낼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치패로 성장하지 않은 부유기의 유생에게 피해를 최소화하는 범위에서 치패를 분리 수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해수공급부에서 유입되는 해수가 유생수용유닛의 저면 그물망을 통해 지속적으로 흘러감으로써 상기 유생수용유닛에 수용되는 해수가 하강수류를 형성하므로 유생의 배설물을 특별한 작업 없이도 쉽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수가 고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흐르게 해 수조부로 유입되는 해수의 용존산소량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패류 유생의 생존에 필요한 기포기의 설치를 배제하여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기포기의 설치를 배제함에 따라 상기 기포기로부터 생성된 포말(거품)으로 인해 유생이 폐사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FARMING EQUIPMENT FOR ARTIFICIAL SEEDS OF SHELLFISH PLANKTONIC STAGE}
본 발명은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종묘 패류 중 수중에서 부유생활을 하는 시기인 부유기의 유생을 용이하게 양식하기 위한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류란 연체동물 가운데 석회질의 껍데기를 가진 종류를 총칭하며, 여기에는 단판강(單板綱), 다판강(多板綱)과 복족강(腹足綱)의 전새아강, 유폐아강(有肺亞綱)의 대부분 및 후새아강의 일부, 굴족강(掘足綱), 이매패강(二枚貝綱), 그리고 두족강(頭足綱)의 극히 일부가 포함된다.
이 중에서도 이매패류라 불리는 이매패강은 발이 도끼모양을 하고 있어 부족강(斧足綱)이라고도 하는데, 이들의 몸체는 인대(靭帶)로 연결된 좌우대칭형 껍데기로 싸여 있고, 치설(radula)이없는 대신 입수공과 출수공을 이용해서 아가미로 수중(水中)의 먹이를 여과하여 얻는다.
상기 이매패류 중에서 바지락, 꼬막, 피조개, 새꼬막 등은 우리나라 연안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대표적인 식용 이매패류로서, 유생기부터 비부착성의 부유유생생활(planktonic larval stage)을 하다가 일정크기의 중간육성기인 치패로 성장하면 진흙 등의 저질(sediment) 속으로 들어가 생활을 하는 저서성(burrower)을 보인다.
상기 저서성 이매패류들은 가두리나 실내수조에서 먹이와 영양제를 주고 환경을 조절해줄 수 있는 양식 대상종들과는 달리, 자연환경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갯벌 양식으로 자연산 치패를 수집하여 일정기간 성장시킨 후 수확하기 때문에 자연 서식지에서 지속적인 재생산이 이뤄져야 그 품종의 양식산업이 유지된다.
최근 들어, 굴, 전복, 피조개, 가리비, 바지락, 백합 및 가무락 등의 패류의 양식 방법은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으며, 이전까지 국내 어패류의 종패를 천연 종묘에 의존하다가 근래에는 육상 수조에서 종묘를 양식하는 방법으로 변화되고 있다.
즉, 해양 환경 오염과 무분별한 남획으로 인해 천연 종묘의 공급이 불안정하여 자원이 부족해진 것이 원인으로, 육상 수조 내에서 인공 종묘를 양식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패류 부유기기 인공종묘 양식설비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통상적인 종래기술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내측면을 직육면체로 하여 사각의 수조 형태로 이루어지고, 벽면은 시멘트재료 등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수조에는 해수를 가둔 상태에서 부유기의 유생이 생존하기 위한 기포기를 가동하게 되는데, 부유 생활을 하다가 대략 300㎛ 내지 400㎛의 길이가 되면 중간육성기인 치패로 성장하여 수조 바닥면으로 가라앉게 되고, 이렇게 성장한 치패는 부유기의 유생과 분리 수확된 후 다른 환경으로 옮겨져 키워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조에서 중간육성기인 치패를 분리 수확하기 위해서는 수조에 해수가 차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작업하기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작업 효율을 조금 높이기 위해 해수를 뺀 상태에서 치패 분리 수확을 하게 되면 아직 치패로 성장하지 않은 부유기의 유생이 죽거나 유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생의 배설물이 지속적으로 쌓인 상태에서 중간육성기로 접어든 치패가 바닥으로 가라앉게 되면 먹이 활동 및 변태 작용에 장애가 발생하여 폐사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수조에는 해수가 고여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유생의 생존을 위해 항시 기포기를 가동해야하므로 설치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전기요금 등 부가적인 유지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유생의 생존을 위해서 사용되는 기포기는 해수 내에 포말(거품)을 생성하는데, 이러한 거품은 패류가 공통적으로 기피하는 것으로 이 거품으로 인해 오히려 부유기 또는 중간육성기의 유생이 폐사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760272 B1 KR 10-1285112 B1 KR 10-1108643 B1 KR 20-0241833 Y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유기에서 중간육성기인 치패로 성장한 유생을 간단하게 분리 수확할 수 있도록 하고, 치패로 성장하지 않은 부유기의 유생에게 피해를 최소화하는 범위에서 치패를 분리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부유기의 유생으로부터 발생하는 배설물을 특별한 작업 없이도 쉽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의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기포기의 설치를 배제하여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하고 기포기로부터 생성된 포말(거품)으로 인해 유생이 폐사하는 것을 최소화되도록 하는 구조의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부 및 하부 공간을 나눌 수 있는 격벽부가 마련되는 육면체 형상의 수조부, 상방이 개방되고, 하방에 메쉬부가 마련되는 형태로 상기 수조부 내부에 복수개가 나란히 마련되는 유생수용유닛부, 상기 수조부의 상방에 이격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연결되어 유입되는 해수를 공급할 수 있는 관로가 상기 유생수용유닛부의 위치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해수공급관부, 상기 수조부의 하부 일측에 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해수를 배출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해수배출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는, 부유기에서 중간육성기인 치패로 성장한 유생을 분리할 시 유생수용유닛만을 꺼내어 치패만 구별하여 손쉽게 건져낼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치패로 성장하지 않은 부유기의 유생에게 피해를 최소화하는 범위에서 치패를 분리 수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해수공급부에서 유입되는 해수가 유생수용유닛의 저면 그물망을 통해 지속적으로 흘러감으로써 상기 유생수용유닛에 수용되는 해수가 하강수류를 형성하므로 유생의 배설물을 특별한 작업 없이도 쉽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수가 고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흐르게 해 수조부로 유입되는 해수의 용존산소량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패류 유생의 생존에 필요한 기포기의 설치를 배제하여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기포기의 설치를 배제함에 따라 상기 기포기로부터 생성된 포말(거품)으로 인해 유생이 폐사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기술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내부에서의 해수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의 유생수용유닛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의 유생수용유닛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는, 바다와 인접한 육상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바다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패류의 부유기(대략 400㎛ 이하의 길이) 유생을 양성하는 인공종묘 양식설비에 관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부 및 하부 공간을 나눌 수 있는 격벽부(12)가 마련되는 육면체 형상의 수조부(1), 상방이 개방되고, 하방에 메쉬부(21)가 마련되는 형태로 상기 수조부(1) 내부에 복수개가 나란히 마련되는 유생수용유닛부(2), 상기 수조부(1) 상방에 이격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해수를 공급할 수 있는 관로가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의 위치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해수공급관부(3), 상기 수조부(1)의 하부 일측에 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해수를 배출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해수배출관부(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수조부(1)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부 및 하부 공간을 나눌 수 있는 격벽부가 마련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수조부(1)는, 하기의 유생수용유닛부(2)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내부에 유입되는 해수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수조부(1)는,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부 및 하부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조부(1)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를 확인할 수 있게 마련되고, 상기 수조부(1)의 상부에는 하기의 해수공급관부가(3)가 마련되어 하방으로 낙하되는 해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부(1)의 상부는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우천 시와 같이 상부의 폐쇄가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상부를 폐쇄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조부(1)에 마련되는 격벽부(12)는, 지면과 평행한 판상으로 상기 수조부(1)의 중간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조부(1)의 상부와 하부의 공간을 나눌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격벽부(12)는, 선택적으로 상기 수조부(1)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벽부(12)는, 상기 수조부(1)의 중간부에 마련되고, 하기의 유생수용유닛부(2)와 밀착 형성되어, 상기 수조부(1) 내부의 해수가 상방 및 하방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관통홀이 상기 격벽부(12)의 판상에 복수개 마련되어 상기 해수의 유동을 허용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조부(1) 내부의 해수의 유동량 및 하기의 유생수용유닛부(2) 내부에 해수면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격벽부(12)는, 하기의 유생수용유닛부(2)가 상기 수조부(1)의 중간부에 위치할 수 있게 하기의 유생수용유닛부(2)가 거치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수조부(1)에는, 경사부(11)가 더 마련된다.
상기 경사부(11)는, 상기 수조부(1)의 바닥면을 형성하되, 하기의 해수배출관부(5)를 향해 낮아지는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11)는, 상기 수조부(1)의 바닥에 형성될 이물질 및 배설물 등을 하기의 해수배출관부(5)로 용이하게 유도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경사부(11)의 경사면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의 해수배출관부(5)를 향해 이물질 및 배설물이 이동할 수 있고, 해수 또한 하기의 해수배출관부(5)를 향해 보다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는, 상방이 개방되고, 하방에 메쉬부(21)가 마련되는 형태로 상기 수조부(1) 내부에 복수개가 나란히 마련된다.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는, 상기 유생(A)을 수용하여 양성시키는 곳으로, 상기 수조부(1) 내부에 위치하고, 상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하방에는 개방되되, 메쉬망이 마련되는 메쉬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유생(A)은 부유기의 유생으로서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의 내에서 부유하는 형태로 양성된다.
이때, 상기 메쉬부(21)는, 상기 유생(A)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는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쉬부(21)는, 선택적으로 교환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유생(A)의 크기에 맞춰 교체될 수 있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쉬부(21)는, 상기 유생(A)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는 크기 범위내에서 가장 큰 메쉬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는, 해수수용유닛부(23)가 더 마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는, 상기 해수수용유닛부(23)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실시 될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을 따라 돌기 또는 홈 형태로 마련되는 제 1 체결부(22)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수수용유닛부(23)는,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유동되는 해수의 유동성을 보다 높이기 위한 구성이다.
해수가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의 상부로부터 유입되고, 상기 수조부(1)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기의 해수배출관부(5)에 의해 상기 수조부(1)내부의 해수가 전체적으로 하방을 향해 유동되는데, 이때,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의 하부에 스크류 형태의 유동성을 부여하여 상기 메쉬부(21)에 의해, 유동성이 떨어질 수 있는 해수의 유동성을 높여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수수용유닛부(23)는,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의 하단부를 감싸는 관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하게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수수용유닛부(23)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체결부(231), 해류발생부(232) 및 해수수용부(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 2 체결부(231)는, 상기 해수수용유닛부(23)의 상부측 내주면을 따라 돌기 또는 홈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제 1 체결부(22)와의 체결이 실시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 2 체결부(231)는, 상기 제 1 체결부(22)와 대응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해류발생부(232)는, 상기 해수수용유닛부(23)의 내주면의 전반을 따라 스크류형태의 나선이 형성되어 유입되는 해수를 나선형으로 유동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
이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유동되는 해수가 상기 해수수용유닛부(23)의 하부로 유동 시, 상기 해류발생부(232)의 나선을 통해 스크류 형태로 일정한 유동이 발생되어 해수의 통과가 용이하지 않은 상기 메쉬부(21)를 보다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해수수용부(233)는, 상기 해수수용유닛부(23)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공 형태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수수용부(233)는, 상기 해수수용유닛부(23)의 하부측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복수개의 관통공이 마련되되, 상부는 다소 좁아지고, 하부는 다소 넓어지는 형태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해수수용부(233)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유동되는 해수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해수수용유닛부(23)의 하부로 배출되는 형태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하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해수의 유출량을 최대로 하고, 상방으로 유동되는 해수는 사방으로 퍼지지 않도록 잡아주어 상기 수조부(1) 내부에서 해수의 전반적인 유동이 하방을 향해 용이하게 발생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수수용부(233)는,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의 형태가,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가 비교적 넓게 구성되어, 상기 해수수용유닛부(23)의 하방으로 유동되는 해수가 효과적으로 배출 및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메쉬부(21)의 하부에서는 상승하는 해류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부로 향할수록 비교적 좁아지는 관통공 형태의 상기 해수수용부(233)로 인해 해수의 외부로의 유출은 억제되어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쉬부(21)를 향해 해수가 효과적으로 유동되어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 내부에 하강해류를 형성할 수 있어,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 내부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는, 직분사방지부(24)가 더 마련된다.
상기 직분사방지부(24)는,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의 상부에 메쉬망 형태로 복수개의 층으로 마련된다.
상기 직분사방지부(24)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낙하되는 해수가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에 직접적으로 투입 시, 포말이 형성되어 상기 유생(A)의 생장에 유익한 환경이 조성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직분사방지부(24)가 복수층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해수가 하방으로 낙하되며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로 향할수록 분산되어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로 투입 시, 포말이 억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해수공급관부(3)는, 상기 수조부(1) 상부에 이격 마련되어 해수를 공급할 수 있는 관로가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의 위치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수공급관부(3)는, 상기 수조부(1)의 상부에 이격 형성되는 관로가 마련되고,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와 대응되는 위치의 하방으로 해수가 낙하될 수 있는 개방부(31)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해수배출관부(5)는, 상기 수조부(1)의 일측 하부에 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해수를 배출시킨다.
상기 해수배출관부(5)는, 상기 수조부(1) 내부로 유입된 해수가 배출되는 관로이다.
이때 상기 해수배출관부(5)는, 상기 수조부(1)의 일측 하부에 마련됨으로 인해, 상기 수조부(1) 내부에 형성되는 해수의 유동 흐름이 전체적으로 하방을 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배출관부(5)를 통해 해수가 배출되므로 하방으로 가라앉는 이물질 및 유생의 배설물이 상기 해수배출관부(5)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유생
1 : 수조부
11 : 경사부
12 : 격벽부
2 : 유생수용유닛부
21 : 메쉬부
22 : 제 1 체결부
23 : 해수수용유닛부
231 : 제 2 체결부11
232 : 해류발생부
233 : 해수수용부
24 : 직분사방지부
3 : 해수공급관부
31 : 개방부
5 : 해수배출관부

Claims (5)

  1. 바다와 인접한 육상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바다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패류의 부유기(대략 400㎛ 이하의 길이) 유생을 양성하는 인공종묘 양식설비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부 및 하부 공간을 나눌 수 있는 격벽부;가 마련되는 육면체 형상의 수조부;
    상방이 개방되고, 하방에 메쉬부;가 마련되는 형태로 상기 수조부 내부에 복수개가 나란히 마련되는 유생수용유닛부;
    상기 수조부의 상방에 이격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연결되어 유입되는 해수를 공급할 수 있는 관로가 상기 유생수용유닛부의 위치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해수공급관부;
    상기 수조부의 하부 일측에 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해수를 배출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해수배출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생수용유닛부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메쉬망이 형성되어, 상부로부터 수직 낙하하는 해수가 상기 유생수용유닛부 내부로 직분사 되는 것을 방지하는 직분사방지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생수용유닛부는,
    하부에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하게 마련되어 하부로 부터 유입되는 해수에 스크류 형태의 유동성을 부여하여 상기 유생수용유닛부의 메쉬부를 통해 상방으로 유동되는 해수의 양을 늘여주는 해수수용유닛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해수수용유닛부와의 결합이 실시 될 수 있게 하부 외주면을 따라 돌기 또는 홈 형태로 마련되는 제 1 체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수용유닛부는,
    상부측 내주면을 따라 돌기 또는 홈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제 1 체결부와의 체결이 실시될 수 있는 제 2 체결부; 및
    내주면을 따라 스크류형태의 나선이 형성되어 유입되는 해수를 나선형으로 유동시킬수 있게 마련되는 해류발생부;
    하부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공 형태로 마련되는 해수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생수용유닛부는,
    상기 메쉬부를 통해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입되는 해수에 의해, 상기 유생으로부터 발생되는 불순물이 상방으로 떠오를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KR1020180003455A 2018-01-10 2018-01-10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KR201900853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455A KR20190085386A (ko) 2018-01-10 2018-01-10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455A KR20190085386A (ko) 2018-01-10 2018-01-10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386A true KR20190085386A (ko) 2019-07-18

Family

ID=67469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455A KR20190085386A (ko) 2018-01-10 2018-01-10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538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09169A (zh) * 2020-01-21 2020-05-08 大连海洋大学 一种自动化贝类播苗装置
CN113020712A (zh) * 2021-03-15 2021-06-25 杭州泛亚卫浴股份有限公司 一种管类全自动倒角机
KR20230041151A (ko) * 2021-09-16 2023-03-24 주식회사 백두써니텍 육상 양식장용 암모니아 가스 발생 저감장치
KR102543743B1 (ko) * 2022-06-20 2023-06-16 주식회사 미래바다 가리비 개체종묘 생산을 위한 챔버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833Y1 (ko) 2001-05-14 2001-10-15 강명우 패류의 양식장치
KR100760272B1 (ko) 2005-02-07 2007-09-19 주식회사 씨에버 패류 유생 생산용 수조
KR101108643B1 (ko) 2011-07-29 2012-01-31 (주) 대호아이앤티 패류 양식을 위한 연승수하식 채묘기
KR101285112B1 (ko) 2010-12-14 2013-07-17 성순만 패류 양식용 어구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833Y1 (ko) 2001-05-14 2001-10-15 강명우 패류의 양식장치
KR100760272B1 (ko) 2005-02-07 2007-09-19 주식회사 씨에버 패류 유생 생산용 수조
KR101285112B1 (ko) 2010-12-14 2013-07-17 성순만 패류 양식용 어구 조립체
KR101108643B1 (ko) 2011-07-29 2012-01-31 (주) 대호아이앤티 패류 양식을 위한 연승수하식 채묘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09169A (zh) * 2020-01-21 2020-05-08 大连海洋大学 一种自动化贝类播苗装置
CN111109169B (zh) * 2020-01-21 2021-12-28 大连海洋大学 一种自动化贝类播苗装置
CN113020712A (zh) * 2021-03-15 2021-06-25 杭州泛亚卫浴股份有限公司 一种管类全自动倒角机
CN113020712B (zh) * 2021-03-15 2022-03-22 杭州泛亚卫浴股份有限公司 一种管类全自动倒角机
KR20230041151A (ko) * 2021-09-16 2023-03-24 주식회사 백두써니텍 육상 양식장용 암모니아 가스 발생 저감장치
KR102543743B1 (ko) * 2022-06-20 2023-06-16 주식회사 미래바다 가리비 개체종묘 생산을 위한 챔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307084B2 (en) Floating and submersible closed-contained aquaculture farming, and method of rearing fish
JP4803527B2 (ja) カニ類等の池中養殖法
KR101921386B1 (ko)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
KR20190085386A (ko)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Carrasco et al. Paralarval rearing of the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Cuvier).
JP2011223908A (ja) 二枚貝の養殖方法及び施設
KR20200128990A (ko)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US88202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quaculture
CN104957058A (zh) 中华鲎虫仿生态养殖方法
KR102037627B1 (ko) 성게 육상 축양을 위한 양식수조, 이를 이용한 성게 육상 양식 방법
KR101415366B1 (ko) 이중 튜브식 해삼 양성용 쉘터 및 이를 이용한 해삼용 가두리
KR101806086B1 (ko)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방법
KR20220006208A (ko) 패류 인공종묘 양식장치
KR200411254Y1 (ko) 갯지렁이 양식장치
KR100906456B1 (ko) 이매패류 양식장치
KR101849089B1 (ko)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
Macintosh Aquaculture in coastal lagoons
Nabhitabhata et al. Performance of simple large-scale cephalopod culture system in Thailand
KR101968913B1 (ko) 해삼 혼합 양식방법
RU2689676C1 (ru) Способ донного выращивания объектов марикультуры в полувольных условиях
Apud Extensive and semi-intensive culture of sugpo (Penaeus monodon) in the Philippines
Ali et al. Influence of stocking density on the culture potential of endangered riverine catfish Rita rita (Hamilton, 1822) in raceway
KR102542583B1 (ko) 성게 양성용 원통형 회전식 사육장치
CN218789861U (zh) 一种螺蛳网箱养殖设备
CN219537203U (zh) 一种带星云白鱼鱼卵筛选功能的养殖产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