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089B1 -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 - Google Patents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089B1
KR101849089B1 KR1020180003415A KR20180003415A KR101849089B1 KR 101849089 B1 KR101849089 B1 KR 101849089B1 KR 1020180003415 A KR1020180003415 A KR 1020180003415A KR 20180003415 A KR20180003415 A KR 20180003415A KR 101849089 B1 KR101849089 B1 KR 101849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unit
receiving unit
circulation pipe
wate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택
강경숙
이동은
Original Assignee
이기택
강경숙
이동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택, 강경숙, 이동은 filed Critical 이기택
Priority to KR1020180003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종묘 패류 중 300㎛ 내지 5㎝ 길이의 중간육성기의 저서성 유생을 용이하게 양식하기 위한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는, 해수를 공급받아 패류의 중간육성기(대략 300㎛ 내지 5㎝ 길이)의 저서성 유생을 양성하는 인공종묘 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육면체 형상의 수조부, 상방이 개방되고, 하방에 메쉬부;가 마련되는 형태로 상기 수조부 내부에 복수개가 나란히 마련되는 유생수용유닛부, 상기 수조부 하부면에 관통연결되어 해수를 공급할 수 있는 관로가 상기 유생수용유닛부의 위치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해수공급관부, 상기 수조부의 일측 상부 및 일측 하부가 연결될 수 있는 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수조부 내부로 공급되는 해수를 순환시키는 해수순환관부 및 상기 수조부의 타측 상부에 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해수를 배출시키는 해수배출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조부에 유입되는 해수가 유생수용유닛의 저면 메시부를 통해 상승하여 측면으로 유동되므로 상기 유생수용유닛에 유생의 배설물이 저면에 적층되지 않고 계속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유생의 폐사율을 최소화함은 물론 배설물을 수시로 치울 필요가 없어 노동력을 줄일 수 있으며, 배설물을 치울 때 유생을 잠시 옮겨놓기 위해 필요했던 공간이 필요치 않아 효율적인 공간 이용 및 유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유생의 배설물이 쌓이지 않음에 따라 그만큼 유생의 개체수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고밀도의 양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해수가 고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흐르게 해 수조부로 유입되는 해수의 용존산소량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패류 유생의 생존에 필요한 기포기의 설치를 배제하여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포기를 배제함에 따라 패류가 기피하는 포말이 해수 내에서 발생하지 않으므로 바닥에 모래를 깔아야 하는 비용 및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FARMING EQUIPMENT FOR ARTIFICIAL SEEDS OF SHELLFISH SPAT STAGE}
본 발명은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종묘 패류 중 300㎛ 내지 5㎝ 길이의 중간육성기의 저서성 유생을 용이하게 양식하기 위한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류란 연체동물 가운데 석회질의 껍데기를 가진 종류를 총칭하며, 여기에는 단판강(單板綱), 다판강(多板綱)과 복족강(腹足綱)의 전새아강, 유폐아강(有肺亞綱)의 대부분 및 후새아강의 일부, 굴족강(掘足綱), 이매패강(二枚貝綱), 그리고 두족강(頭足綱)의 극히 일부가 포함된다.
이 중에서도 이매패류라 불리는 이매패강은 발이 도끼모양을 하고 있어 부족강(斧足綱)이라고도 하는데, 이들의 몸체는 인대(靭帶)로 연결된 좌우대칭형 껍데기로 싸여 있고, 치설(radula)이없는 대신 입수공과 출수공을 이용해서 아가미로 수중(水中)의 먹이를 여과하여 얻는다.
상기 이매패류 중에서 바지락, 꼬막, 피조개, 새꼬막 등은 우리나라 연안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대표적인 식용 이매패류로서, 유생기부터 비부착성의 부유유생생활(planktonic larval stage)을 하다가 일정크기의 중간육성기인 치패로 성장하면 진흙 등의 저질(sediment) 속으로 들어가 생활을 하는 저서성(burrower)을 보인다.
상기 저서성 이매패류들은 가두리나 실내수조에서 먹이와 영양제를 주고 환경을 조절해줄 수 있는 양식 대상종들과는 달리, 자연환경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갯벌 양식으로 자연산 치패를 수집하여 일정기간 성장시킨 후 수확하기 때문에 자연 서식지에서 지속적인 재생산이 이뤄져야 그 품종의 양식산업이 유지된다.
최근 들어, 굴, 전복, 피조개, 가리비, 바지락, 백합 및 가무락 등의 패류의 양식 방법은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으며, 이전까지 국내 어패류의 종패를 천연 종묘에 의존하다가 근래에는 육상 수조에서 종묘를 양식하는 방법으로 변화되고 있다.
즉, 해양 환경 오염과 무분별한 남획으로 인해 천연 종묘의 공급이 불안정하여 자원이 부족해진 것이 원인으로, 육상 수조 내에서 인공 종묘를 양식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통상적인 종래기술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내측면을 직육면체로 하여 사각의 수조 형태로 이루어지고, 벽면은 시멘트재료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수조는 벽면이 수직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초기 수중을 부유하며 자라던 패류의 유생이 점차 자라면서 중간육성기가 되면 자체의 무게로 바닥면에 가라앉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수조 내에 많은 수의 패류 유생을 양식하게 되면 중간육성기의 유생이 바닥면에 적층되어 먹이 활동에 장애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변태가 적기에 이루어지지 않아 유생이 폐사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수조의 부피가 아닌 수조의 바닥면의 너비를 기준으로 양식 가능한 개체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량 양식이 불가능하고, 대량 양식을 위해서는 엄청나게 큰 면적의 수조가 필요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설비 용지 확보 및 설비 유지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기술의 경우 중간육성기의 유생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이 바닥면에 지속적으로 쌓임에 따라 면적에 따른 양식 가능한 개체수 밀도가 더욱 저하될 수밖에 없으며, 배설물을 수시로 치워주더라도 그때마다 패류 유생을 다른 곳에 옮기는 일을 반복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럽고 옮길 곳을 미리 마련해야 하는 등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조에는 해수가 고여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용존산소량의 유지를 위해서는 항시 기포기를 가동해야하므로 설치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전기요금 등 부가적인 유지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유생의 생존을 위해서 사용되는 기포기는 해수 내에 포말(거품)을 생성하는데, 이러한 거품은 패류가 공통적으로 기피하는 것으로 이 거품으로 인해 오히려 패류가 폐사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수조의 바닥에 모래 등을 필수로 적층하여 패류가 모래속으로 피할 수 있도록 하지만, 이러한 모래는 오히려 패류의 배설물과 섞여 함께 적층되므로 폐사율을 줄일 수 있는데 한계가 있고 수조 내의 배설물을 청소할 때마다 깨끗한 모래로 교체해줘야 하는 등 유지관리에 비용 및 노동력이 크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760272 B1 KR 10-1285112 B1 KR 10-1108643 B1 KR 20-0241833 Y1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류 유생의 폐사율을 최소화하는 상태에서 단위 면적당 고밀도의 양식이 가능하게 하고, 수조 내의 배설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패류 유생의 생존을 유지하는 기포기의 설치 및 바닥에 깔리는 모래를 배제할 수 있는 구조의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는, 해수를 공급받아 패류의 중간육성기(대략 300㎛ 내지 5㎝ 길이)의 저서성 유생을 양성하는 인공종묘 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육면체 형상의 수조부, 상방이 개방되고, 하방에 메쉬부;가 마련되는 형태로 상기 수조부 내부에 복수개가 나란히 마련되는 유생수용유닛부, 상기 수조부 하부면에 관통연결되어 해수를 공급할 수 있는 관로가 상기 유생수용유닛부의 위치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해수공급관부, 상기 수조부의 일측 상부 및 일측 하부가 연결될 수 있는 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수조부 내부로 공급되는 해수를 순환시키는 해수순환관부 및 상기 수조부의 타측 상부에 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해수를 배출시키는 해수배출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수조부에 유입되는 해수가 유생수용유닛의 저면 메시부를 통해 상승하여 측면으로 유동되므로 상기 유생수용유닛에 유생의 배설물이 저면에 적층되지 않고 계속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유생의 폐사율을 최소화함은 물론 배설물을 수시로 치울 필요가 없어 노동력을 줄일 수 있으며, 배설물을 치울 때 유생을 잠시 옮겨놓기 위해 필요했던 공간이 필요치 않아 효율적인 공간 이용 및 유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유생의 배설물이 쌓이지 않음에 따라 그만큼 유생의 개체수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고밀도의 양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해수가 고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흐르게 해 수조부로 유입되는 해수의 용존산소량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패류 유생의 생존에 필요한 기포기의 설치를 배제하여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포기를 배제함에 따라 패류가 기피하는 포말이 해수 내에서 발생하지 않으므로 바닥에 모래를 깔아야 하는 비용 및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패류 인공종묘 양식설비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의 해수의 흐름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의 유생수용유닛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의 유생수용유닛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는, 해수를 공급받아 패류의 중간육성기(대략 300㎛ 내지 5㎝ 길이)의 저서성 유생을 양성하는 인공종묘 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육면체 형상의 수조부(1), 상방이 개방되고, 하방에 메쉬부(21)가 마련되는 형태로 상기 수조부(1) 내부에 복수개가 나란히 마련되는 유생수용유닛부(2), 상기 수조부(1) 하부면에 관통연결되어 해수를 공급할 수 있는 관로가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의 위치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해수공급관부(3), 상기 수조부(1)의 일측 상부 및 일측 하부가 연결될 수 있는 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수조부(1) 내부로 공급되는 해수를 순환시키는 해수순환관부(4) 및 상기 수조부(1)의 타측 상부에 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해수를 배출시키는 해수배출관부(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수조부(1)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수조부(1)는, 하기의 유생수용유닛부(2)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내부에 유입되는 해수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수조부(1)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를 확인할 수 있게 마련된다.
다른 실시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의 상부는 폐쇄된 형태로 마련되고, 하기의 유생수용유닛부(2)가 마련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상부 위치에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개방부(11)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방부(11)는, 일측이 힌지 연결되어 타측이 회동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방부(11)를 통해 하기의 유생수용유닛부(2)에서 육성되고 있는 유생(A)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사료를 공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부유하는 이물질 및 배설물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부(1)는, 격벽부(12)가 더 마련된다.
상기 격벽부(12)는, 지면과 평행한 판상으로 상기 수조부()의 중간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조부(1)의 상부와 하부의 공간을 나눌 수 있게 마련된다.
이로 인해, 상기 수조부(1) 내부의 해수는 하기의 유생수용유닛부(2) 및 해수순환관부(4)를 통해서만 상승 유동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를 통해, 상기 수조부(1)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해수가 하기의 유생수용유닛부(2)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어,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 내부에 상승해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하기의 해수순환관부(4)를 통해 상기 해수가 유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조부(1)의 상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일정한 유동흐름을 생성할 수 있어, 상기 해수의 표면에 떠오르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기설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다음으로,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는, 상방이 개방되고, 하방에 메쉬부(21)가 마련되는 형태로 상기 수조부(1) 내부에 복수개가 나란히 마련된다.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는, 상기 유생(A)을 수용하여 양성시키는 곳으로, 상기 수조부(1) 내부에 위치하고, 상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하방에는 개방되되, 메쉬망이 마련되는 메쉬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유생(A)은 저서성 생물이므로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의 바닥면에서 양성된다.
이때, 상기 메쉬부(21)는, 상기 유생(A)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는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쉬부(21)는, 선택적으로 교환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유생(A)의 크기에 맞춰 교체될 수 있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쉬부(21)는, 상기 유생(A)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는 크기 범위내에서 가장 큰 메쉬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메쉬부(21)를 통해, 상기 수조부(1)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가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 내부로 유입되므로 해수의 유입이 원활할 수 있는 정도의 메쉬크기가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는, 해수수용유닛부(23)가 더 마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는, 상기 해수수용유닛부(23)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실시 될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을 따라 돌기 또는 홈 형태로 마련되는 제 1 체결부(22)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수수용유닛부(23)는,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의 메쉬부(21)를 통해,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에 스크류 형태의 유동성을 부여하여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에 형성된 상기 메쉬부(21)의 투과성을 높여 상기 메쉬부(21)를 통해 상방으로 유동되는 해수의 양을 보다 늘여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수수용유닛부(23)는,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의 하단부를 감싸는 관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하게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수수용유닛부(23)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체결부(231), 해류발생부(232) 및 해수수용부(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 2 체결부(231)는, 상기 해수수용유닛부(23)의 상부측 내주면을 따라 돌기 또는 홈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제 1 체결부(22)와의 체결이 실시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 2 체결부(231)는, 상기 제 1 체결부(22)와 대응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해류발생부(232)는, 상기 해수수용유닛부(23)의 내주면의 전반을 따라 스크류형태의 나선이 형성되어 유입되는 해수를 나선형으로 유동시킬수 있게 마련된다.
이를 통해, 하방으로부터 유입되는 해수가 상기 해수수용유닛부(23)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해류발생부(232)의 나선을 통해 스크류 형태로 일정한 유동이 발생되어 해수의 통과가 용이하지 않은 상기 메쉬부(21)를 보다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해수수용부(233)는, 상기 해수수용유닛부(23)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공 형태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수수용부(233)는, 상기 해수수용유닛부(23)의 하부측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복수개의 관통공이 마련되되, 상부는 다소 좁아지고, 하부는 다소 넓어지는 형태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해수수용부(233)는,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의 유입량을 최대로 하고, 상기 해수수용유닛부(23)의 내측으로 유입된 해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 하여 상기 메쉬부(21)로 상기 해수가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수수용부(233)는,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의 형태가,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가 비교적 넓게 구성되어, 상기 해수수용유닛부(23)의 외측으로부터 해수가 효과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메쉬부(21)의 하부에서는 상승하는 해류가 형성되므로, 유입 된 상기 해수는, 상부로 향할수록 비교적 좁아지는 관통공 형태의 상기 해수수용부(233)로 인해 해수의 외부로의 유출은 억제되어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쉬부(21)를 향해 해수가 효과적으로 유동되어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 내부에 상승해류를 형성할 수 있어,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 내부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해수공급관부(3)는, 상기 수조부(1) 하부면에 관통연결되어 해수를 공급할 수 있는 관로가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의 위치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수공급관부(3)는, 상기 수조부(1)의 하부면에 관통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의 유입될 수 있는 유입관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해수공급관부(3)는,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의 하부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에 상방으로 유동되는 해수를 공급한다.
다음으로, 상기 해수순환관부(4)는, 상기 수조부(1)의 일측 상부 및 일측 하부가 연결될 수 있는 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수조부(1) 내부로 공급되는 해수를 순환시킨다.
상기 해수순환관부(4)는, 상기 수조부(1)의 일측에 순환관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수조부(1) 내부에서 상기 해수의 일정한 유동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수순환관부(4)는, 수조부(1)의 일측 상부 및 하부에 관통 연결되는 관로형태로 마련되는 하부순환관부(42) 및 상부순환관부(41)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해수의 유동 흐름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순환관부(42)는, 상기 수조부(1)의 일측 하부에 관통연결되어 해수가 유입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때, 상기 하부순환관부(42)에는, 스크류부(43)가 더 마련된다.
상기 스크류부(43)는, 상기 하부순환관부(42)에 마련되어 상기 수조부(1) 내부의 해수가 상기 하부순환관부(42)로 유입되어 상기 상부순환관부(41)로 배출될 수 있도록 동력을 이용하여 해수의 유동을 생성하는 구성이다.
상기 스크류부(43)가 마려됨으로 인해, 상기 수조부(1)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해수를 상기 상부순환관부(41)로 보다 효과적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순환관부(41)는, 상기 수조부(1)의 일측 상부에 관통연결되어 상기 하부순환관부(42)를 통해 유입된 해수가 배출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상부순환관부(41)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해수는 상기 수조부(1)의 상부에서 일정한 유동흐름이 생성되어 하기의 해수배출관부(5)로 상기 해수가 용이하게 배출되 수 있게 마련된다.
이를 통해, 상기 유생수용유닛부(2)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떠오르면 상기 해수의 흐름에 의해 상기 해수와 함께 상기 해수배출관부(5)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순환관부(42) 및 상부순환관부(41)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됨은 자명한 일이다.
다음으로, 상기 해수배출관부(5)는, 상기 수조부(1)의 타측 상부에 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해수를 배출시킨다.
상기 해수배출관부(5)는, 상기 수조부(1) 내부로 유입된 해수가 배출되는 관로이다.
이때 상기 해수배출관부(5)는, 상기 수조부(1)의 타측 상부에 마련됨으로 인해, 상기 상부순환관부(41)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와 함께 기설정된 방향으로 해수의 유동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유생
1 : 수조부
11 : 개방부
12 : 격벽부
2 : 유생수용유닛부
21 : 메쉬부
22 : 제 1 체결부
23 : 해수수용유닛부
231 : 제 2 체결부
232 : 해류발생부
233 : 해수수용부
3 : 해수공급관부
4 : 해수순환관부
41 : 상부순환관부
42 : 하부순환관부
43 : 스크류부
5 : 해수배출관부

Claims (5)

  1. 해수를 공급받아 패류의 중간육성기의 저서성 유생을 양성하는 인공종묘 양식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부 및 하부 공간을 나눌 수 있는 격벽부;가 마련되는 육면체 형상의 수조부;
    상방이 개방되고, 하방에 메쉬부;가 마련되는 형태로 상기 수조부 내부에 복수개가 나란히 마련되는 유생수용유닛부;
    상기 수조부 하부면에 관통연결되어 해수를 공급할 수 있는 관로가 상기 유생수용유닛부의 위치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해수공급관부;
    상기 수조부의 일측 상부 및 일측 하부가 연결될 수 있는 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수조부 내부로 공급되는 해수를 순환시키는 해수순환관부; 및
    상기 수조부의 타측 상부에 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해수를 배출시키는 해수배출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순환관부는,
    상기 수조부의 일측 하부에 관통연결되어 해수가 유입되는 하부순환관부;
    상기 수조부의 일측 상부에 관통연결되어 상기 하부순환관부를 통해 유입된 해수가 배출되는 상부순환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순환관부에는 스크류부;가 더 마련되어 해수를 상기 상부순환관부로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생수용유닛부는,
    하부에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하게 마련되어 하부로 부터 유입되는 해수에 스크류 형태의 유동성을 부여하여 상기 유생수용유닛부의 메쉬부를 통해 상방으로 유동되는 해수의 양을 늘여주는 해수수용유닛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해수수용유닛부와의 결합이 실시 될 수 있게 하부 외주면을 따라 돌기 또는 홈 형태로 마련되는 제 1 체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수용유닛부는,
    상부측 내주면을 따라 돌기 또는 홈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제 1 체결부와의 체결이 실시될 수 있는 제 2 체결부; 및
    내주면을 따라 스크류형태의 나선이 형성되어 유입되는 해수를 나선형으로 유동시킬수 있게 마련되는 해류발생부;
    하부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공 형태로 마련되는 해수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생수용유닛부는,
    상기 메쉬부를 통해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입되는 해수에 의해, 상기 유생으로부터 발생되는 불순물이 상방으로 떠오를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

KR1020180003415A 2018-01-10 2018-01-10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 KR101849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415A KR101849089B1 (ko) 2018-01-10 2018-01-10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415A KR101849089B1 (ko) 2018-01-10 2018-01-10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089B1 true KR101849089B1 (ko) 2018-04-16

Family

ID=6208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415A KR101849089B1 (ko) 2018-01-10 2018-01-10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0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73525A (zh) * 2021-05-31 2021-08-20 浙江省海洋水产养殖研究所 高密度幼虫培养设备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735A (ja) * 1994-02-22 1995-09-05 Kaichiyuu Kiyojiyuu Kenkyusho:Kk 魚介類の養殖方法及び装置
KR20050082611A (ko) * 2004-02-19 2005-08-24 (주) 황해 개체굴 종패 생산 및 양성 시스템
KR20110081722A (ko) * 2010-01-08 2011-07-1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사육수 순환 여과 장치를 이용한 육상 수조식 해삼 양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육상 수조식 해삼 양식 방법
JP2012075359A (ja) * 2010-09-30 2012-04-19 Aomori Prefectural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Center 孵化装置
KR20140078038A (ko) * 2012-12-14 2014-06-25 박송범 개체굴 양성장치
KR101549211B1 (ko) * 2015-02-16 2015-09-02 대한민국 어린 패류의 상향식 수류 실내사육장치
JP2016127865A (ja) * 2014-11-21 2016-07-14 一弘 漢那 ヒメジャコの陸上効率養殖方法
KR20160141579A (ko) * 2015-06-01 2016-12-09 김재우 수생 갑각류의 배양 및 알 수거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735A (ja) * 1994-02-22 1995-09-05 Kaichiyuu Kiyojiyuu Kenkyusho:Kk 魚介類の養殖方法及び装置
KR20050082611A (ko) * 2004-02-19 2005-08-24 (주) 황해 개체굴 종패 생산 및 양성 시스템
KR20110081722A (ko) * 2010-01-08 2011-07-1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사육수 순환 여과 장치를 이용한 육상 수조식 해삼 양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육상 수조식 해삼 양식 방법
JP2012075359A (ja) * 2010-09-30 2012-04-19 Aomori Prefectural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Center 孵化装置
KR20140078038A (ko) * 2012-12-14 2014-06-25 박송범 개체굴 양성장치
JP2016127865A (ja) * 2014-11-21 2016-07-14 一弘 漢那 ヒメジャコの陸上効率養殖方法
KR101549211B1 (ko) * 2015-02-16 2015-09-02 대한민국 어린 패류의 상향식 수류 실내사육장치
KR20160141579A (ko) * 2015-06-01 2016-12-09 김재우 수생 갑각류의 배양 및 알 수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73525A (zh) * 2021-05-31 2021-08-20 浙江省海洋水产养殖研究所 高密度幼虫培养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3527B2 (ja) カニ類等の池中養殖法
US9167803B2 (en) Device for farming benthic organisms such as bivalves
Carrasco et al. Paralarval rearing of the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Cuvier).
US88202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quaculture
KR101610681B1 (ko)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어류 양식용 수조
KR20200128990A (ko)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KR20190085386A (ko)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KR100760272B1 (ko) 패류 유생 생산용 수조
JP2011244795A (ja) アサリ等の潜砂性二枚貝の陸上生産方法
JP2019050764A (ja) マシジミの養殖方法及び養殖装置
KR20220006208A (ko) 패류 인공종묘 양식장치
KR101849089B1 (ko)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
US10264767B2 (en) Multi-level apartment type three-dimensional water tank
KR101170304B1 (ko) 양식어류와 갯지렁이의 복합양식 시스템 및 방법
KR200411254Y1 (ko) 갯지렁이 양식장치
KR101011174B1 (ko) 다슬기 양식 설비 및 방법
KR20020024060A (ko) 해산물 양식 장치
KR101270650B1 (ko) 패류 빌딩양식을 위한 먹이생물 공급장치
JP7170253B2 (ja) 貝類の養殖装置
JPH06327375A (ja) 水産生物の養殖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60133274A (ko) 사료통이 장착된 해삼 양식용 쉘터
KR101725614B1 (ko) 축제식 양식장에서 복합양식을 위한 조개류 양식 장치
JP2008092946A (ja) 潜砂性二枚貝の養殖装置
JP6858996B1 (ja) 魚介類の養殖装置及び方法
KR100906456B1 (ko) 이매패류 양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