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362A -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362A
KR20190078362A KR1020170180229A KR20170180229A KR20190078362A KR 20190078362 A KR20190078362 A KR 20190078362A KR 1020170180229 A KR1020170180229 A KR 1020170180229A KR 20170180229 A KR20170180229 A KR 20170180229A KR 20190078362 A KR20190078362 A KR 20190078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late
locking
plate
bracke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1504B1 (ko
Inventor
김정한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0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50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25Location of the latch out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락킹 플레이트가 분기되어 독립 거동되고 좌우 비대칭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시트의 어느 위치에서도 어퍼레일에 구비된 락킹기구가 로어레일이 마련된 스토퍼홈에 삽입됨에 따라 정확한 락킹 동작이 수행되고, 미고정 상태에 따른 소음 문제가 해소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LOCKING APPARATUS OF SEAT RAIL FOR VEHICLE}
본 발명은 로어레일에서 어퍼레일의 위치 고정시 어퍼레일이 미고정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엔 탑승자가 착좌하는 시트가 구비되고, 이러한 시트는 시트레일에 의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시트레일은 차량의 플로어패널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로어레일과 로어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어퍼레일과, 로어레일에서 어퍼레일의 자유로운 슬라이딩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로크장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로크장치는 어퍼레일에서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끝단에 다수개의 포크가 일체로 구비된 포크부가 로어레일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홀에 삽입됨에 따라 어퍼레일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시트의 위치 조절시, 로크장치의 포크가 로어레일의 고정홀에 삽입되지 못한 상태에서 시트의 위치 조절이 끝나는 경우, 이후 차량의 급정거 혹은 급출발시 어퍼레일이 관성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포크가 고정홀에 삽입되어 충격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20-2010-0012459 A (2010. 12. 16.)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시트의 위치 조절시 시트의 어느 위치에서도 어퍼레일에 구비된 포크가 로어레일에 구비된 고정홀에 삽입되어 락킹 동작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락킹 동작이 완벽히 수행되지 않음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 문제가 해소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는 좌우 양단에 전후방향으로 다수개의 스토퍼홈이 반복되어 형성된 로어레일; 로어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고, 좌우 양단에 걸림홈이 형성된 어퍼레일; 및 어퍼레일의 내부에 설치되고, 타울바의 회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거동되어 어퍼레일의 걸림홈과 로어레일의 스토퍼홈에 체결되거나 이탈되는 다수의 락킹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다수의 락킹 플레이트는 분기되어 독립 거동되고 좌우 비대칭되도록 배치된 락킹기구;를 포함한다.
락킹기구의 상측에 마련되고, 타울바와 연결되어 타울바의 회동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다수의 락킹 플레이트가 상하방향으로 거동되도록 하는 작동 플레이트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락킹기구는, 어퍼레일의 내부에 설치되고 중앙부가 함몰되어 설치공간이 구비된 브라켓; 브라켓의 설치공간에서 작동 플레이트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거동되도록 마련되며, 어퍼레일과 로어레일의 좌측단에 형성된 좌측 걸림홈과 좌측 스토퍼홈에 체결되는 제1락킹 플레이트와 어퍼레일과 로어레일의 우측단에 형성된 우측 걸림홈과 우측 스토퍼홈에 체결되는 제2락킹 플레이트; 및 브라켓에 설치되고, 제1락킹 플레이트와 제2락킹 플레이트를 상방으로 탄발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라켓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전방단부와 후방단부가 구비되고, 전방단부와 후방단부를 통해 어퍼레일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탄성체는 브라켓의 전방단부에 마련되어 제1락킹 플레이트를 탄발 지지하는 제1스프링과, 브라켓의 후방단부에 마련되어 제2락킹 플레이트를 탄발 지지하는 제2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스프링은 일단이 브라켓의 전방단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1락킹 플레이트에 접촉되며 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제2스프링은 일단이 브라켓의 후방단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2락킹 플레이트에 접촉되며 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라켓의 전방단부와 후방단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제1결합핀과 제2결합핀이 각기 구비되며, 제1스프링의 일단은 제1결합핀을 후방에서 감싸도록 절곡되게 형성되고, 제2스프링의 일단은 제2결합핀을 전방에서 감싸도록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락킹 플레이트는 설치공간의 중앙부 중심에 위치된 수직축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된 제1몸통부와 제1몸통부에서 좌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제1포크부로 구성되고, 제2락킹 플레이트는 수직축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된 제2몸통부와 제2몸통부에서 우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제2포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락킹 플레이트의 제1포크부와 제2락킹 플레이트의 제2포크부는 일부가 중첩되도록 교차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포크부와 제2포크부의 폭은 스토퍼홈과 걸림홈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동 플레이트는 제1락킹 플레이트와 제2락킹 플레이트의 상단에 접촉되는 평판부와, 평판부의 중심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동레일과 브라켓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수직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락킹 플레이트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작동 플레이트의 평판부와 이동레일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1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제2락킹 플레이트의 제2몸통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작동 플레이트의 평판부와 이동레일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2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는 락킹 플레이트가 분기되어 독립 거동되고 좌우 비대칭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시트의 어느 위치에서도 어퍼레일에 구비된 락킹기구가 로어레일이 마련된 스토퍼홈에 삽입됨에 따라 정확한 락킹 동작이 수행되고, 미고정 상태에 따른 소음 문제가 해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에 따른 락킹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8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에 따른 락킹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8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틀일의 록킹 장치는 좌우 양단에 전후방향으로 다수개의 스토퍼홈(120)이 반복되어 형성된 로어레일(100); 로어레일(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고, 좌우 양단에 걸림홈(220)이 형성된 어퍼레일(200); 및 어퍼레일(200)의 내부에 설치되고, 타울바(T)의 회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거동되어 어퍼레일(200)의 걸림홈(220)과 로어레일(100)의 스토퍼홈(120)에 체결되거나 이탈되는 다수의 락킹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다수의 락킹 플레이트는 분기되어 독립 거동되고 좌우 비대칭되도록 배치된 락킹기구(300);를 포함한다.
이와 더불어, 락킹기구(300)의 상측에 마련되고, 타울바(T)와 연결되어 타울바(T)의 회동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다수의 락킹 플레이트가 상하방향으로 거동되도록 하는 작동 플레이트를(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로어레일(100), 어퍼레일(200), 락킹기구(300), 작동 플레이트(400)가 구성되며, 로어레일(100)에는 좌우 양단에 다수개의 스토퍼홈(120)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어퍼레일(200)에는 스토퍼홈(120)에 대응되는 걸림홈(220)이 형성된다. 여기서, 로어레일(100)과 어퍼레일(200) 사이에는 롤러부재(R)가 구비되어 어퍼레일(200)이 로어레일(100)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레일(100)의 좌우 양단에는 스토퍼홈(120)이 형성되고, 스토퍼홈(120)은 전후방향으로 다수개 반복되어 형성됨에 따라 스토퍼홈(120)을 분기하는 지지틀(140)이 반복되어 형성된다. 한편, 어퍼레일(200)에는 스토퍼홈(120)에 대응되는 걸림홈(220)이 형성되며, 걸림홈(22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거나 일정구간 이격되어 반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락킹기구(300)의 락킹 플레이트가 걸림홈(220)과 스토퍼홈(120)에 삽입시 어퍼레일(200)이 로어레일(100)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제한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락킹기구(300)의 락킹 플레이트는 타울바(T)와 연결된 작동 플레이트(4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거동될 수 있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플레이트(400)는 타울바(T)의 회전 운동시 상하?향으로 직선 운동된다. 이를 위해, 타울바(T)와 작동 플레이트(400) 별도의 레버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별도의 레버스프링을 통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타울바(T)의 회동시 작동 플레이트(40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작동 플레이트(400)가 락킹기구(300)의 락킹 플레이트를 찍어 눌러 하방향으로 거동시킴으로써 락킹 플레이트가 로어레일(100)의 스토퍼홈(120) 및 어퍼레일(200)의 걸림홈(220)에서 이탈되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락킹기구(300)는 다수의 락킹 플레이트가 분기되어 독립 거동되고, 좌우 비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어퍼레일(200)의 위치 조정후 락킹기구(300)를 통해 로어레일(100)에 위치 고정시, 락킹 플레이트가 로어레일(100)의 스토퍼홈(120)과 어퍼레일(200)의 걸림홈(220)에 삽입되되 다수의 락킹 플레이트는 교차되게 배치되고 독립 거동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락킹 플레이트가 어퍼레일(200)과 로어레일(100)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에 형성된 걸림홈(220)과 스토퍼홈(120) 중 어느 하나만 체결되더라도 락킹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락킹기구(3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기구(300)는 어퍼레일(2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중앙부(322)가 함몰되어 설치공간이 구비된 브라켓(320); 브라켓(320)의 설치공간에서 작동 플레이트(4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거동되도록 마련되며, 어퍼레일(200)과 로어레일(100)의 좌측단에 형성된 좌측 걸림홈(220a)과 좌측 스토퍼홈(120a)에 체결되는 제1락킹 플레이트(340)와 어퍼레일(200)과 로어레일(100)의 우측단에 형성된 우측 걸림홈(220b)과 우측 스토퍼홈(120b)에 체결되는 제2락킹 플레이트(360); 및 브라켓(320)에 설치되고, 제1락킹 플레이트(340)와 제2락킹 플레이트(360)를 상방으로 탄발 지지하는 탄성체(3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320)은 중앙부(322)를 중심으로 중앙부(322)의 전후방에 각각 전방단부(324)와 후방단부(326)가 구비되고, 전방단부(324)와 후방단부(326)는 별도의 볼팅수단을 통해 어퍼레일(2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320)은 중앙부(322)가 함몰되어 락킹 플레이트가 마련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된다.
락킹 플레이트의 경우 어퍼레일(200)과 로어레일(100)의 좌측단에 형성된 좌측 걸림홈(220a)과 좌측 스토퍼홈(120a)에 체결되는 제1락킹 플레이트(340)와 어퍼레일(200)과 로어레일(100)의 우측단에 형성된 우측 걸림홈(220b)과 우측 스토퍼홈(120b)에 체결되는 제2락킹 플레이트(360)로 구분되며, 제1락킹 플레이트(340)와 제2락킹 플레이트(360)는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되 비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락킹 플레이트(340)와 제2락킹 플레이트(360)는 브라켓(320)의 설치공간에서 상하방향으로 거동되며, 탄성체(380)에 의해 상방으로 탄발 지지된다. 여기서, 탄성체(380)는 브라켓(320)의 전방단부(324)에 마련되어 제1락킹 플레이트(340)를 탄발 지지하는 제1스프링(382)과, 브라켓(320)의 후방단부(326)에 마련되어 제2락킹 플레이트(360)를 탄발 지지하는 제2스프링(38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타울바(T)의 회동시 작동 플레이트(400)가 제1락킹 플레이트(340)와 제2락킹 플레이트(360)를 동시에 가압하여 제1락킹 플레이트(340)와 제2락킹 플레이트(360)가 동시에 로어레일(100)의 스토퍼홈(120) 및 어퍼레일(200)의 걸림홈(220)에서 이탈되고, 시트의 위치 조절 후 제1락킹 플레이트(340)와 제2락킹 플레이트(360)가 탄성체(38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특히, 제1락킹 플레이트(340)와 제2락킹 플레이트(360)는 독립 거동되고, 비대칭되게 교차 배치됨으로써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된 걸림홈(220)과 스토퍼홈(120) 중 어느 한쪽에 체결되더라도, 락킹 동작되어 어퍼레일(2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5에서 볼 수 있듯이, 제1스프링(382)은 일단이 브라켓(320)의 전방단부(324)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1락킹 플레이트(340)에 접촉되며 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제2스프링(384)은 일단이 브라켓(320)의 후방단부(326)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2락킹 플레이트(360)에 접촉되며 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1스프링(382)과 제2스프링(384)은 굴곡진 상태에서 휨 동작시 발생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된다. 특히, 제1스프링(382)의 경우 전방단부(324)에 마련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제2스프링(384)의 경우 후방단부(326)에 마련된 상태에서 후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제1스프링(382)과 제2스프링(384)은 브라켓(320)의 중앙부(322)에 마련되는 제1락킹 플레이트(340)와 제2락킹 플레이트(360)에 간섭되지 않는다.
이와 더불어, 브라켓(320)의 전방단부(324)와 후방단부(326)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제1결합핀(325)과 제2결합핀(327)이 각기 구비되며, 제1스프링(382)의 일단은 제1결합핀(325)을 후방에서 감싸도록 절곡되게 형성되고, 제2스프링(384)의 일단은 제2결합핀(327)을 전방에서 감싸도록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스프링(382)은 전방단부(324)에 마련되고 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탄성력 제공시 굴곡진 방향인 전방으로 힘이 가해지는데, 제1스프링(382)의 일단이 제1결합핀(325)을 후방에서 감싸도록 절곡되게 형성됨으로써 제1스프링(382)이 제1결합핀(325)에 걸려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제2스프링(384)도 후방단부(326)에 마련되고 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에 따라, 제2스프링(384)의 일단이 제2결합핀(327)을 전방에서 감싸도록 절곡되게 형성되도록 하여, 제2스프링(384)이 제2결합핀(327)에 걸려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락킹 플레이트(340)는 설치공간의 중앙부(322) 중심에 위치된 수직축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된 제1몸통부(342)와 제1몸통부(342)에서 좌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제1포크부(344)로 구성되고, 제2락킹 플레이트(360)(362)는 수직축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된 제2몸통부(362)와 제2몸통부(362)에서 우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제2포크부(36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1락킹 플레이트(340)의 제1몸통부(342)와 제2락킹 플레이트(360)의 제2몸통부(362)는 브라켓(320)의 중앙부(322) 중심에서 전후방에 각기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제1몸통부(342)와 제2몸통부(362)는 상측에 위치한 작동 플레이트(400)에 의해 가압되어 동시에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1몸통부(342)에는 좌측으로 굴곡되어 좌측으로 연장된 제1포크부(344)가 구비되는데, 제1포크부(344)는 로어레일(100)의 스토퍼홈(120) 및 어퍼레일(200)의 걸림홈(220)에 삽입되도록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다수개로 구성되며 다수개의 제1포크부(344)의 연장된 끝단이 연결되어 내구성이 확보되게 할 수 있다.. 제2몸통부(362)에는 우측으로 굴곡되어 우측으로 연장된 제2포크부(364)가 구비되며, 제1포크부(344)와 동일하게 다수개로 구성되고 다수개의 제2포크부(364)의 연장된 끝단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락킹 플레이트(340)와 제2락킹 플레이트(360)는 제1몸통부(342)와 제2몸통부(362)가 전후방향으로 분기되게 위치됨에 따라 작동 플레이트(400)에 의해 동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제1몸통부(342)에서 연장된 제1포크부(344)와 제2몸통부(362)에서 연장된 제2포크부(364)가 좌우방향으로 각기 연장됨으로써, 로어레일(100)과 어퍼레일(200)의 좌측단에 형성된 좌측 스토퍼홈(120a) 및 좌측 걸림홈(220a)과 로어레일(100)과 어퍼레일(200)의 우측단에 형성된 우측 스토퍼홈(120b) 및 우측 걸림홈(220b)에 각기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락킹 플레이트(340)의 제1포크부(344)와 제2락킹 플레이트(360)의 제2포크부(364)는 일부가 중첩되도록 교차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락킹 플레이트(340)와 제2락킹 플레이트(360)는 독립 거동되고, 제1포크부(344)와 제2포크부(364)는 일부 구간이 중첩되도록 배열됨에 따라 제1포크부(344)와 제2포크부(364) 중 어느 한쪽만 스토퍼홈(120) 및 걸림홈(220)에 체결되더라도, 어퍼레일(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락킹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아울러, 제1포크부(344)와 제2포크부(364) 중 어느 한쪽만 스토퍼홈(120) 및 걸림홈(220)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1포크부(344)와 제2포크부(364)가 모두 스토퍼홈(120) 및 걸림홈(220)에 체결되는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미체결되었던 제1포크부(344) 또는 제2포크부(364)와 스토퍼홈(120) 및 걸림홈(220) 간의 유격이 작음에 따라 체결시 발생되는 소음이 최소화된다.
이를 위해, 제1포크부(344)와 제2포크부(364)의 폭(a)은 스토퍼홈(120)과 걸림홈(220)의 폭(b)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스토퍼홈(120)과 걸림홈(220) 사이에 마련되는 지지틀(140)의 폭(c)은 제1포크부(344)와 제2포크부(364)의 폭(a)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플레이트(400)는 제1락킹 플레이트(340)와 제2락킹 플레이트(360)의 상단에 접촉되는 평판부(420)와, 평판부(420)의 중심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동레일과 브라켓(320)의 중앙부(322)를 관통하는 수직부(4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작동 플레이트(400)는 평판부(420)와 수직부(440)로 구성되며, 작동 플레이트(400)가 타울바(T)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 평판부(420)가 제1락킹 플레이트(340)와 제2락킹 플레이트(360)를 동시에 가압하게 된다. 또한, 평판부(420)에서 연장된 수직부(440)가 어퍼레일(200)과 브라켓(320)의 중앙부(322)를 관통함에 따라, 평판부(420)는 수직부(440)가 연장된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동 플레이트(400)의 평판부(420)는 수직부(440)의 연장방향으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락킹 플레이트(340)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작동 플레이트(400)의 평판부(420)와 이동레일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1가이드부(346)가 형성되고, 제2락킹 플레이트(360)의 제2몸통부(362)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작동 플레이트(400)의 평판부(420)와 이동레일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2가이드부(36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1락킹 플레이트(340)에는 제1가이드부(346)가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작동 플레이트(400)의 평판부(420)와 어퍼레일(200)을 수직하게 관통함에 따라 제1락킹 플레이트(340)가 제1가이드부(346)의 연장 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이동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락킹 플레이트(360)에도 제2가이드부(366)가 작동 플레이트(400)의 평판부(420)와 어퍼레일(200)을 수직하게 관통함에 따라 제2가이드부(366)가 연장된 방향으로 제2락킹 플레이트(360)가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의 작동은 하기와 같다.
타울바(T)가 조작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제1락킹 플레이트(340)와 제2락킹 플레이트(360)가 로어레일(100)의 스토퍼홈(120)과 어퍼레일(200)의 걸림홈(220)에 체결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면에서는 로어레일(100)의 스토퍼홈(120)과 어퍼레일(200)의 걸림홈(220)에 대해서 도식하지 않았지만, 제1락킹 플레이트(340)와 제2락킹 플레이트(360)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스토퍼홈(120)과 걸림홈(220)에 체결된 상태인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울바(T)의 조작에 의해 작동 플레이트(400)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락킹 플레이트(340)와 제2락킹 플레이트(360)가 함께 하방으로 거동된다. 이로 인해, 제1락킹 플레이트(340)와 제2락킹 플레이트(360)가 스토퍼홈(120)과 걸림홈(220)에서 이탈되어 어퍼레일(200)이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의 위치가 완료됨에 따라 제1락킹 플레이트(340)와 제2락킹플레이트가 원위치로 복귀시, 제1락킹 플레이트(340)와 제2락킹 플레이트(360)의 제1포크부(344)와 제2포크부(364) 중 어느 하나가 교차 배열됨에 따라 로어레일(100)과 어퍼레일(200)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스토퍼홈(120) 및 걸림홈(220) 중 어느 한쪽에 체결된다. 이렇게, 제1락킹 플레이트(340)와 제2락킹 플레이트(360) 중 어느 하나만이라도 로어레일(100)의 스토퍼홈(120)과 어퍼레일(200)의 걸림홈(220)에 체결시 락킹이 수행되어 어퍼레일(2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락킹 플레이트(340)와 제2락킹 플레이트(360)가 모두 스토퍼홈(120)과 걸림홈(220)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좌우 양단 중 어느 한쪽에만 체결된 상태에서 완전 체결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미체결되었던 제1포크부(344) 또는 제2포크부(364)와 스토퍼홈(120) 및 걸림홈(220) 간의 유격이 작음에 따라 체결시 발생되는 소음이 최소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는 락킹 플레이트가 분기되어 독립 거동되고 좌우 비대칭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시트의 어느 위치에서도 어퍼레일(200)에 구비된 락킹기구(300)가 로어레일(100)이 마련된 스토퍼홈(120)에 삽입됨에 따라 정확한 락킹 동작이 수행되고, 미고정 상태에 따른 소음 문제가 해소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로어레일 120:스토퍼홈
200:어퍼레일 220:걸림홈
300:락킹기구 320:브라켓
322:중앙부 324:전방단부
325:제1결합핀 326:후방단부
340:제1락킹 플레이트 342:제1몸통부
344:제1포크부 346:제1가이드부
360:제2락킹 플레이트 362:제2몸통부
364:제2포크부 366:제2가이드부
380:탄성체 382:제1스프링
384:제2스프링 400:작동 플레이트
420:평판부 440:수직부

Claims (11)

  1. 좌우 양단에 전후방향으로 다수개의 스토퍼홈이 반복되어 형성된 로어레일;
    로어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고, 좌우 양단에 걸림홈이 형성된 어퍼레일; 및
    어퍼레일의 내부에 설치되고, 타울바의 회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거동되어 어퍼레일의 걸림홈과 로어레일의 스토퍼홈에 체결되거나 이탈되는 다수의 락킹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다수의 락킹 플레이트는 분기되어 독립 거동되고 좌우 비대칭되도록 배치된 락킹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락킹기구의 상측에 마련되고, 타울바와 연결되어 타울바의 회동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다수의 락킹 플레이트가 상하방향으로 거동되도록 하는 작동 플레이트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락킹기구는,
    어퍼레일의 내부에 설치되고 중앙부가 함몰되어 설치공간이 구비된 브라켓;
    브라켓의 설치공간에서 작동 플레이트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거동되도록 마련되며, 어퍼레일과 로어레일의 좌측단에 형성된 좌측 걸림홈과 좌측 스토퍼홈에 체결되는 제1락킹 플레이트와 어퍼레일과 로어레일의 우측단에 형성된 우측 걸림홈과 우측 스토퍼홈에 체결되는 제2락킹 플레이트; 및
    브라켓에 설치되고, 제1락킹 플레이트와 제2락킹 플레이트를 상방으로 탄발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브라켓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전방단부와 후방단부가 구비되고, 전방단부와 후방단부를 통해 어퍼레일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탄성체는 브라켓의 전방단부에 마련되어 제1락킹 플레이트를 탄발 지지하는 제1스프링과, 브라켓의 후방단부에 마련되어 제2락킹 플레이트를 탄발 지지하는 제2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스프링은 일단이 브라켓의 전방단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1락킹 플레이트에 접촉되며 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제2스프링은 일단이 브라켓의 후방단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2락킹 플레이트에 접촉되며 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브라켓의 전방단부와 후방단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제1결합핀과 제2결합핀이 각기 구비되며,
    제1스프링의 일단은 제1결합핀을 후방에서 감싸도록 절곡되게 형성되고, 제2스프링의 일단은 제2결합핀을 전방에서 감싸도록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락킹 플레이트는 설치공간의 중앙부 중심에 위치된 수직축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된 제1몸통부와 제1몸통부에서 좌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제1포크부로 구성되고,
    제2락킹 플레이트는 수직축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된 제2몸통부와 제2몸통부에서 우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제2포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1락킹 플레이트의 제1포크부와 제2락킹 플레이트의 제2포크부는 일부가 중첩되도록 교차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제1포크부와 제2포크부의 폭은 스토퍼홈과 걸림홈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작동 플레이트는 제1락킹 플레이트와 제2락킹 플레이트의 상단에 접촉되는 평판부와, 평판부의 중심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동레일과 브라켓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수직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1락킹 플레이트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작동 플레이트의 평판부와 이동레일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1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제2락킹 플레이트의 제2몸통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작동 플레이트의 평판부와 이동레일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2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KR1020170180229A 2017-12-26 2017-12-26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KR102001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229A KR102001504B1 (ko) 2017-12-26 2017-12-26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229A KR102001504B1 (ko) 2017-12-26 2017-12-26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362A true KR20190078362A (ko) 2019-07-04
KR102001504B1 KR102001504B1 (ko) 2019-07-18

Family

ID=6725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229A KR102001504B1 (ko) 2017-12-26 2017-12-26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5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6640A (zh) * 2020-11-19 2021-02-26 延锋安道拓(常熟)座椅机械部件有限公司 一种新型滑轨承载***
KR102446337B1 (ko) * 2021-07-01 2022-09-2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KR102446336B1 (ko) * 2021-06-25 2022-09-2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459U (ko) 2009-06-08 2010-12-16 주식회사다스 차량의 시트레일용 이동레일
KR20120008234A (ko) * 2010-07-16 2012-01-30 (주)케이엠앤아이 차량용 시트트랙 로킹 시스템
KR20130092177A (ko) * 2012-02-10 2013-08-20 대원정밀공업(주)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KR20130092176A (ko) * 2012-02-10 2013-08-20 대원정밀공업(주)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KR101372954B1 (ko) * 2012-11-28 2014-03-10 현대다이모스(주) 슬라이딩시트 로킹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459U (ko) 2009-06-08 2010-12-16 주식회사다스 차량의 시트레일용 이동레일
KR20120008234A (ko) * 2010-07-16 2012-01-30 (주)케이엠앤아이 차량용 시트트랙 로킹 시스템
KR20130092177A (ko) * 2012-02-10 2013-08-20 대원정밀공업(주)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KR20130092176A (ko) * 2012-02-10 2013-08-20 대원정밀공업(주)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KR101372954B1 (ko) * 2012-11-28 2014-03-10 현대다이모스(주) 슬라이딩시트 로킹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6640A (zh) * 2020-11-19 2021-02-26 延锋安道拓(常熟)座椅机械部件有限公司 一种新型滑轨承载***
KR102446336B1 (ko) * 2021-06-25 2022-09-2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KR102446337B1 (ko) * 2021-07-01 2022-09-2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504B1 (ko)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504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JP2017537021A (ja) 車両シート用前後方向アジャスター、及び車両シート
US8757577B2 (en) Slide rail device for vehicle
JP2016516639A (ja) 長手方向に調節可能な車両座席
CN110015215B (zh) 车辆用座椅导轨
KR20140079335A (ko)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의 록 기구
CN107953804B (zh) 座椅滑动装置
KR101518649B1 (ko)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KR20190078360A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JP2004210258A (ja)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18052401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374073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736829B1 (ko)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JP2017202736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11301318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18043716A (ja) シートトラック
CN106660468B (zh) 交通工具用座椅滑轨装置
KR20110054534A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로크장치
KR20110054535A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로크장치
JP2016094102A (ja) スライドレール
JP6324786B2 (ja) シートレール装置
JP2005067557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20110029766A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876427B1 (ko) 시트트랙 록킹장치
JP7436264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